KR20120060861A -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0861A
KR20120060861A KR1020127007455A KR20127007455A KR20120060861A KR 20120060861 A KR20120060861 A KR 20120060861A KR 1020127007455 A KR1020127007455 A KR 1020127007455A KR 20127007455 A KR20127007455 A KR 20127007455A KR 20120060861 A KR20120060861 A KR 20120060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waiting
platform
management control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7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2436B1 (ko
Inventor
고지 다케시마
마사유키 미츠다
요시노리 노나미
사쿠라코 도쿠라
나오히코 스즈키
요시마사 고바
마사후미 이와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60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0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2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2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8Call regist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66B1/18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several cars or c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66B1/2458For elevator systems with multiple shafts and a single car per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41Standby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43Distribution of elevator cars, e.g. based on expected future n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23Wherein the destination is registered after boar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3Wherein the call is registered through physical contact with the elevator syst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50/00Energy efficient technologies in elevators,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e.g. energy saving or recuperation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대기층이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으로 설정되었을 경우, 대기층을 무효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승객이 원격 승강장 조작반에서 엘리베이터 승강장으로 이동하는 동안, 엘리베이터 칸이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에서 대기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이 할당된 엘리베이터 칸은 승객의 이동 시간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그룹 관리 제어 시스템 전체의 운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불필요한 주행을 억제하여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방법{ELEVATOR GROUP CONTROL SYSTEM AND ELEVATOR GROUP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원격 승강장 조작반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각 층마다 엘리베이터 승강장 호출의 발생율 등의 학습 데이터에 기초하여 고(高)수요층의 예측을 행하고, 이 예측 결과에 기초하여 대기층을 결정하여, 빈 엘리베이터 칸을 대기층에 대기시키는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방법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또, 엘리베이터 승강장으로부터 떨어진 장소에 설치된 원격 승강장 조작반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시스템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 특허 문헌 2에서는, 원격 승강장 조작반에 있어서 호출 등록이 발생하고 나서 엘리베이터 칸이 원격 승강장 조작반이 설치된 층(이후,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에 도착하기까지 소요되는 미응답 시간과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에서 엘리베이터 칸이 문 열림 대기하는 문 열림 시간의 합계를, 승객이 원격 승강장 조작반에서 엘리베이터 승강장으로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이동 시간과 동일하게 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소 60-209475호 공보(예를 들면, 제2페이지 우상란, 제17도, 제18도)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개 2002-220177호 공보(예를 들면, 단락 0019~0020)
그렇지만,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과 같이 엘리베이터 칸을 대기층에 대기시키는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시스템에서, 대기층을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으로 설정한 경우, 특허 문헌 2와 같이 미응답 시간과 문 열림 시간의 합계를 이동 시간으로 하면,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에 대기하는 엘리베이터 칸의 미응답 시간은 제로이기 때문에, 문 열림 시간과 이동 시간이 동일해진다. 그러면, 승객이 원격 승강장 조작반에서 엘리베이터 승강장으로 이동하는 동안, 이 엘리베이터 칸은 문 열림 대기만을 하고 타층으로부터 발생하는 승강장 호출 등록에 응답할 수 없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운행 효율이 악화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승객이 원격 승강장 조작반에서 엘리베이터 승강장으로 이동하는 동안은, 엘리베이터 칸이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에 대기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이동 시간 중의 엘리베이터 칸의 대기는 불필요하다. 그러나 빈 엘리베이터 칸으로 된 엘리베이터 칸은, 대기층인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으로 배차되기 때문에, 마지막 승객이 하차한 층으로부터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까지의 불필요한 주행에 의해, 소비 전력이 증대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마련되어 엘리베이터 칸의 호출 등록을 행하는 승강장 호출 수단과, 엘리베이터 승강장으로부터 떨어진 장소에 마련되어 엘리베이터 칸의 호출 등록을 행하는 원격 승강장 호출 수단과, 빈 엘리베이터 칸을 대기시키기 위한 제1 대기층을 결정하는 대기층 결정 수단과, 상기 대기층 결정 수단이 결정한 상기 제1 대기층과 상기 원격 승강장 호출 수단이 마련된 원격 승강장 호출 수단 설치층이 동일한 경우에, 상기 제1 대기층을 무효로 하는 대기층 무효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방법은 빈 엘리베이터 칸을 대기시키기 위한 제1 대기층을 결정하는 대기층 결정 스텝과, 상기 대기층 결정 스텝에서 결정한 상기 제1 대기층과 엘리베이터 승강장으로부터 떨어진 장소에 마련됨과 아울러 엘리베이터 칸의 호출 등록을 행하는 원격 승강장 호출 수단이 마련된 원격 승강장 호출 수단 설치층이 동일한 경우에, 상기 제1 대기층을 무효로 하는 대기층 무효 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기층이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으로 설정되는 것을 억제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운행 효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불필요한 주행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그룹 관리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그룹 관리 제어 시스템이 마련된 빌딩의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그룹 관리 제어 시스템이 마련된 빌딩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그룹 관리 제어 장치(1)가 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그룹 관리 제어 장치(1)가 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그룹 관리 제어 장치(1)가 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 4에 있어서 그룹 관리 제어 장치(1)가 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 5에 있어서 그룹 관리 제어 장치(1)가 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실시 형태 1.
본 발명에 있어서 실시 형태 1에 대해서, 도 1 ~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 ~ 도 3을 참조하여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그룹 관리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그룹 관리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그룹 관리 제어 시스템이 마련된 빌딩의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그룹 관리 제어 시스템이 마련된 빌딩의 종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빌딩(6)은 1층 ~ 10층으로 이루어진 10층건물이며, 1층은 현관이 있는 현관층, 2층~4층은 판매점이 늘어선 백화점층, 5층은 음식점이 늘어선 레스토랑층, 9층~10층은 오피스층이다. 빌딩(6)내에는 3a ~ 3d의 4대의 엘리베이터 호기(3)와, 각 층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1대씩 마련되고 4a~4j의 10개로 이루어진 승강장 버튼(4)과, 1층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으로부터 떨어진 장소에 마련되는 1대의 원격 승강장 조작반(5)과, 그룹 관리 제어 장치(1)가 있고, 이것들은 버스(2)에 접속된다. 여기서, 「호기」란 1대의 엘리베이터 칸 단위의 엘리베이터를 말한다.
다음으로, 엘리베이터 호기(3)의 구성을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칸(33) 및 추(34)는 권상기(32)에 의해 승강되고, 권상기(32)는 구동 제어 회로(31)에 의해 구동 제어된다. 호기 제어 장치(30)는 버스(2)에 접속되어 있고,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로부터 버스(2)를 통해서 받는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구동 제어 회로(31)를 제어한다. 호기 제어 장치(30) 및 구동 제어 회로(31)는 엘리베이터 호기(3)의 제어반(도시하지 않음)에 격납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33) 내에는, 승객이 행선층 정보를 입력하여 엘리베이터 칸 호출을 등록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칸 내 조작반(35)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엘리베이터 칸 호출」이란 엘리베이터 칸 내 조작반(35)에서 입력되는 행선층 정보에 기초하여, 행선층까지 엘리베이터 칸(33)을 배차시키도록 호기 제어 장치(30)에 대해 지령하는 것이다. 또한, 호기 제어 장치(30)는 엘리베이터 칸 내 조작반(35)에서 행선층 정보가 입력되면, 이 행선층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 정보를 그룹 관리 제어 장치(1)에 송신한다.
다음으로, 승강장 버튼(4)은 승객이 행선층 방향 정보를 입력하여 승강장 호출을 등록하기 위한 상방향 버튼과 하방향 버튼을 가진다. 단, 최하층인 1층에 마련되는 승강장 버튼(4)은 상방향 버튼만을 가지고, 최상층인 10층에 마련되는 승강장 버튼(4)은 하방향 버튼만을 가진다. 여기서, 「승강장 호출」이란 승강장 버튼(4)에서 입력되는 행선층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이 행선층 방향 정보가 입력된 승강장 버튼(4)이 설치된 층(이후, 「승강장 호출 등록층」이라고 칭함)까지 엘리베이터 칸(33)을 배차시키고, 승객이 승차한 후 승강장 호출 등록층에서 행선층 방향으로 엘리베이터 칸(33)을 주행시키도록, 그룹 관리 제어 장치(1)에 대해 지령하는 것이다. 또, 「행선층 방향」이란 승강장 호출 등록층에서 행선층으로 향하는 방향이다. 또한, 승강장 버튼(4)은 행선층 방향 정보가 입력되면, 이 행선층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승강장 호출 등록 정보를 그룹 관리 제어 장치(1)에 송신한다.
다음으로, 원격 승강장 조작반(5)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빌딩(6)의 1층인 현관(7)의 부근에 마련되어 승객이 ID카드를 갖다 대거나 지문 인증을 실시하는 등 시큐리티 인증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시큐리티?게이트로 구성된다. 원격 승강장 조작반(5)은 입력되는 시큐리티 인식 정보에 기초하여 승객의 빌딩(6)으로의 입관(入館)을 허가할지 여부의 판단을 행하고, 입관을 허가하는 경우에는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을 행함과 아울러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정보를 그룹 관리 제어 장치(1)에 송신한다. 여기서, 「원격 승강장 호출」이란 원격 승강장 조작반(5)이 마련된 층(이후,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이라고 칭함)인 1층까지 엘리베이터 칸(33)을 배차시키고, 승객이 승차한 후 1층에서 상방향으로 엘리베이터 칸(33)을 주행시키도록 그룹 관리 제어 장치(1)에 대해 지령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그룹 관리 제어 장치(1)의 구성을 설명한다.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예를 들어 기계실의 제어반 내에 마련되어 승강장 호출 등록 정보,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 정보,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정보 등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호기(3a~3d)의 그룹 관리 제어를 행한다.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프로그램이나 이 프로그램의 실행에 이용하는 정보 등을 기억하는 기억부(11)와, 기억부(11) 내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중앙 처리 장치 등의 제어부(10)를 가지고, 이것들은 버스(13)에 접속되어 있다. 또, 이 버스(13)는 I/F부(12)를 통해서 버스(2)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그룹 관리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그룹 관리 제어 장치(1)가 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또한, 그룹 관리 제어 장치(1)의 동작은 그룹 관리 제어 장치(1)의 제어부(10)가 기억부(11)에 기억되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행하는 것이다.
우선,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미리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을 특정하는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 정보를 기억부(11)에 기억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은 1층이다.
또,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수시로, 호기 제어 장치(30), 승강장 버튼(4), 및 원격 승강장 조작반(5)의 각각으로부터 수신하는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 정보, 승강장 호출 등록 정보, 및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정보를, 학습 데이터로서 기억부(11)에 기억하고 있다.
다음으로,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기억부(11)에 기억하는 학습 데이터에 기초하여, 정기적으로, 1층 ~ 10층의 각 층에 대응하는 수요 예측치를 구하고, 구한 수요 예측치를 기억부(11)에 기억한다. 각 층의 수요 예측치는 요일이나 시간대에 따라서 다르다. 또, 각 층의 수요 예측치는 그 층으로부터 승강장 호출 등록이 발생하는 확률, 그 층으로부터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이 발생하는 확률, 그 층을 행선층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발생하는 확률 등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그리고 수요 예측치가 높은 층일수록, 교통량이 많을 것으로 예측되는 층인 것을 의미한다. 빌딩(6)에서는, 수요 예측치가 가장 높은 층은 1층인 현관층이다. 또, 1층 다음으로 수요 예측치가 높은 층은 5층인 레스토랑층이다.
다음으로,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기억부(11)에 기억하는 각 층의 수요 예측치에 기초하여 대기층을 결정하고, 결정한 대기층을 특정하는 대기층 정보를 기억부(11)에 기억한다(스텝 S1). 여기서, 「대기층」이란 승강장 호출 등록 또는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이 할당되지 않음과 아울러 승객을 태우고 있지 않은 엘리베이터 칸(33), 즉 빈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장 호출 등록 또는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이 할당될 때까지 대기시키는 층이다. 대기층으로서는, 예를 들어 가장 수요 예측치가 높은 층이 선택되는 경우나, 수요 예측치가 높은 2개 층의 중간에 위치하는 층이 선택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대기층을 수요 예측치가 높은 층 또는 이 부근으로 설정함으로써, 보다 많은 승강장 호출 등록 또는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에 신속히 응답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층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에서 승객이 대기하는 시간을 전체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즉, 그룹 관리 제어 시스템 전체의 운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의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빌딩(6)에서는 이 S1에 의해 대기층이 수요 예측치가 가장 높은 1층으로 설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기억부(11)에 기억하는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 정보와 대기층 정보에 기초하여,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과 대기층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 즉,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대기층이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인 1층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2에서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과 대기층이 다른 경우는, S4로 진행한다.
한편, S2에서,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과 대기층이 동일한 경우는, 다음으로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대기층을 무효로 한다(스텝 S3). 즉, 도 3에서는,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과 대기층이 모두 1층이기 때문에,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대기층 정보를 기억부(11)로부터 소거하는 등으로 하여, 대기층을 무효로 한다. 이것에 의해서, 대기층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원격 승강장 조작반(5)에서 새로운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4). 즉,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원격 승강장 조작반(5)으로부터 새로운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정보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4에서, 새로운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이 발생한 경우는, S6으로 진행한다.
한편, S4에서, 새로운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이 발생하고 있지 않는 경우는, 다음으로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승강장 버튼(4)에서 새로운 승강장 호출 등록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5). 즉,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승강장 버튼(4)으로부터 새로운 승강장 호출 등록 정보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5에서, 새로운 승강장 호출 등록이 발생한 경우는, S6으로 진행한다.
다음으로, S6에서는,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S4에서 발생한 새로운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또는 S5에서 발생한 승강장 호출 등록에 기초하여, 각 엘리베이터 칸(33)의 평가치를 산출하고, 산출한 각 엘리베이터 칸(33)의 평가치를 기억부(11)에 기억한다(스텝 S6). 여기서, 각 엘리베이터 칸(33)의 「평가치」란 그 엘리베이터 칸(33)에 새로운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또는 승강장 호출 등록을 할당한 경우에 각 엘리베이터 승강장에서 승객의 대기하는 대(待)시간이나, 그 엘리베이터 칸(33)을 타고 있는 승객의 총 중량 등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값이다. 그리고 평가치가 높은 엘리베이터 칸(33)일 수록, 새로운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또는 승강장 호출 등록이 할당되기가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기억부(11)에 기억하는 각 엘리베이터 칸(33)의 평가치에 기초하여, 가장 평가치가 낮은 엘리베이터 칸(33)을 선택하고, 선택한 엘리베이터 칸(33)에, S4에서 발생한 새로운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또는 S5에서 발생한 승강장 호출 등록을 할당하고(스텝 S7), 그 후,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S5에서, 새로운 승강장 호출 등록이 발생하고 있지 않는 경우는, 다음으로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승강장 호출 등록 또는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이 할당되지 않음과 아울러 승객을 태우고 있지 않은 엘리베이터 칸(33), 즉 빈 엘리베이터 칸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8). S8에서, 빈 엘리베이터 칸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그대로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S8에서, 빈 엘리베이터 칸이 존재하는 경우는, 다음으로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이 빈 엘리베이터 칸인 엘리베이터 칸(33)을 대기층에서 대기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9). 여기서, S3에서 대기층을 무효로 한 경우나, 이미 대기층에 다른 엘리베이터 칸(33)이 대기하고 있는 경우는, 이 엘리베이터 칸(33)을 대기층에서 대기시킬 수 없다. S9에서, 상기의 엘리베이터 칸(33)을 대기층에서 대기시킬 수 있는 경우는, 다음으로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이 엘리베이터 칸(33)을 대기층으로 배차하고(스텝 S10), 그 후,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S9에서, 빈 엘리베이터 칸인 엘리베이터 칸(33)을 대기층에서 대기시킬 수 없는 경우는, 이 엘리베이터 칸(33)에 유기 운전(abandoned operation)을 시킬 수 있도록, 마지막 승객이 하차한 층에서 이 엘리베이터 칸(33)을 대기시킨 채로 처리를 종료한다. 여기서, 「유기 운전」이란 승강장 호출 등록 또는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이 할당되지 않음과 아울러 승객을 태우고 있지 않은 엘리베이터 칸(33)을, 승강장 호출 등록 또는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이 할당될 때까지, 마지막 승객이 하차한 층에서 대기시키는 운전이다. 이와 같이, 대기층에 복수대의 엘리베이터 칸(33)을 대기시키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각 엘리베이터 칸(33)을 높은 효율로 분산하여 대기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처리는 정기적으로 행하는 것으로 하고, S1 ~ S10을 연속하여 행하여도 좋고, 각 스텝을 독립해서 서로 다른 주기로 반복해서 행해도 좋다.
또, 원격 승강장 조작반(5)은 빌딩(6)내에 복수대 설치해도 좋고, 빌딩(6)의 밖에 설치해도 좋고, 최하층 이외의 층에 설치해도 좋다. 또, 원격 승강장 조작반(5)은 시큐리티?게이트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행선층 방향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상방향 버튼과 하방향 버튼으로 구성해도 좋다. 또, 시큐리티 인증 정보에 행선층 정보를 포함하거나, 원격 승강장 조작반(5)에 행선층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패드(ten key)를 마련함으로써,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정보에 행선층 정보를 포함하도록 해도 좋다.
또, S1에서 기억부(11)에 기억되는 대기층 정보는 그룹 관리 제어 시스템의 설치시에 설정되어도 좋다.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대기층이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으로 설정되었을 경우, 대기층을 무효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승객이 원격 승강장 조작반에서 엘리베이터 승강장으로 이동하는 동안, 엘리베이터 칸이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에서 대기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이 할당된 엘리베이터 칸은, 예를 들어 다른 승강장 호출 등록에 응답하고 나서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에 응답하는 등, 승객의 이동 시간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그룹 관리 제어 시스템 전체의 운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유기 운전을 행하기 때문에, 마지막 승객이 하차한 층으로부터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까지의 불필요한 주행을 억제하여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S1에서 하나의 대기층만 결정하지만, 복수의 대기층을 결정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어, 1층 ~ 10층을 복수의 존(zone)으로 분할하고, 각 존에 한 개씩 대기층을 결정하도록 해도 괜찮다. 이것에 의해서, 더욱 그룹 관리 제어 시스템 전체의 운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2.
본 발명에 있어서 실시 형태 2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그룹 관리 제어 시스템의 구성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도 1 ~ 도 3과 같다. 이후, 실시 형태 1에서 이용한 부호와 같은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그룹 관리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는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그룹 관리 제어 장치(1)의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또한, 그룹 관리 제어 장치(1)의 동작은 그룹 관리 제어 장치(1)의 제어부(10)가 기억부(11)에 기억되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행하는 것이다.
우선,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미리,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을 특정하는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 정보를 기억부(11)에 기억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은 1층이다.
또,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미리 각 승객이 원격 승강장 조작반(5)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승강장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이동 시간의 평균치를 특정하는 이동 시간치를 기억부(11)에 기억하고 있다. 이 이동 시간치는 그룹 관리 제어 시스템의 설치시에 설정된 값이라도 좋고, 제어부(10)가 원격 승강장 조작반(5)과 엘리베이터 승강장 간의 거리 및 각 승객의 이동 속도의 평균치 등에 기초하여 정기적으로 산출하는 값이라도 좋다.
또,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수시로, 호기 제어 장치(30), 승강장 버튼(4), 및 원격 승강장 조작반(5)의 각각으로부터 수신하는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 정보, 승강장 호출 등록 정보, 및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정보를, 학습 데이터로서 기억부(11)에 기억하고 있다.
다음으로,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기억부(11)에 기억하는 학습 데이터에 기초하여, 정기적으로 1층 ~ 10층의 각 층에 대응하는 수요 예측치를 구하고, 구한 수요 예측치를 기억부(11)에 기억한다. 각 층의 수요 예측치는 요일이나 시간대에 따라서 다르다. 또, 각 층의 수요 예측치는 그 층으로부터 승강장 호출 등록이 발생하는 확률, 그 층으로부터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이 발생하는 확률, 및 그 층을 행선층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발생하는 확률 등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그리고 수요 예측치가 높은 층일수록, 교통량이 많은 것으로 예측되는 층인 것을 의미한다. 빌딩(6)에서는, 수요 예측치가 가장 높은 층은 1층인 현관층이다. 또, 1층 다음으로 수요 예측치가 높은 층은 5층인 레스토랑층이다.
다음으로,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기억부(11)에 기억되어 있는 각 층의 수요 예측치에 기초하여 대기층을 결정하고, 결정한 대기층을 특정하는 대기층 정보를 기억부(11)에 기억한다(스텝 S21). 빌딩(6)에서는, S21에 의해 대기층이 수요 예측치가 가장 높은 1층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S21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S1과 같다.
다음으로,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기억부(11)에 기억하는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 정보와 대기층 정보에 기초하여,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과 대기층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2). 즉,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대기층이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인 1층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이 S22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S2와 같다. S22에서,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과 대기층이 다른 경우는, S25로 진행한다.
한편, S22에서,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과 대기층이 동일한 경우는, 다음으로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에 엘리베이터 칸(33)이 대기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3). S23에서,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에 엘리베이터 칸(33)이 대기하고 있는 경우는, S25로 진행한다.
한편, S23에서,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에 엘리베이터 칸(33)이 대기하고 있지 않는 경우, 다음으로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기억부(11)에 기억하는 이동 시간치와 각 층의 수요 예측치에 기초하여,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으로 설정된 대기층을 보정하고, 보정 후의 대기층(이후, 「보정 대기층」이라고 칭함)을 특정하는 대기층 정보를 기억부(11)에 기억한다(스텝 S24). 즉,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대기층 정보를 기억부(11)로부터 소거하는 등하여 일단 대기층을 무효로 함과 아울러, 이동 시간 이내에 엘리베이터 칸(33)을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으로 배차할 수 있는 층에서, 또한,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 다음으로 수요 예측치가 높은 층에 가장 가까운 층을 대기층으로 결정하고, 결정한 대기층을 특정하는 대기층 정보를 기억부(11)에 기억한다.
예를 들어 빌딩(6)에서는, 이동 시간이 20초이고, 또, 엘리베이터 칸(33)을 근처층으로 배차하는데 8초가 소요된다. 따라서 이동 시간 이내에 엘리베이터 칸(33)을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으로 배차할 수 있는 층은 2층과 3층이다. 또,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 다음으로 수요 예측치가 높은 층은, 상술한 바와 같이 5층이다. 따라서 S24에서 보정 대기층으로서는, 3층이 설정된다.
또한, S23에서, 엘리베이터 칸(33)이 이미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에서 대기하고 있는 경우에, 일부러 대기층을 보정하지 않게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의 소비를 억제하고 있다.
다음으로, S25 ~ S31은 각각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S4 ~10과 같아,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5에 제시된 처리는 정기적으로 행하는 것으로 하고, S21 ~ S31를 연속해서 행해도 좋고, 각 스텝을 독립하여 서로 다른 주기로 반복해서 행해도 좋다.
또, 원격 승강장 조작반(5)은 빌딩(6) 내에 복수대 설치해도 좋고, 빌딩(6)의 밖에 설치해도 좋고, 최하층 이외의 층에 설치해도 좋다. 또, 원격 승강장 조작반(5)은 시큐리티?게이트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행선층 방향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상방향 버튼과 하방향 버튼으로 구성해도 좋다. 또, 시큐리티 인증 정보에 행선층 정보를 포함하거나 원격 승강장 조작반(5)에 행선층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패드를 마련함으로써,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정보에 행선층 정보를 포함하도록 해도 좋다.
또, S21에서 기억부(11)에 기억되는 대기층 정보는 그룹 관리 제어 시스템의 설치시에 설정되어도 좋다.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대기층이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으로 설정된 경우에, 이동 시간 이내에 엘리베이터 칸을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으로 배차할 수 있는 층에서, 또,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 다음으로 수요 예측치가 높은 층에 가장 가까운 층으로 대기층을 보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실시 형태 1의 효과에 더하여, 원격 승강장 호출을 등록한 승객이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에서 대기하는 시간을 제로로 할 수 있다. 또,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 다음으로 수요 예측치가 높은 층과 동일한 층 또는 이것에 가까운 층을 대기층으로 하기 때문에, 보다 많은 승강장 호출에 신속히 응답할 수 있음과 아울러,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24에서, 보정 대기층을 3층으로 함으로써, 보정 대기층을 2층으로 하는 경우에 비해, 보정 대기층과 5층 간의 주행거리가 짧아지기 때문에, 5층으로부터 발생하는 승강장 호출 등록에 신속히 응답할 수 있다.
또한, S21에서 하나의 대기층만 결정하지만, 복수의 대기층을 결정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어, 1층 ~ 10층을 복수의 존으로 분할하고, 각 존에 한 개씩 대기층을 결정하도록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서, 더욱 그룹 관리 제어 시스템 전체의 운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3.
본 발명에 있어서 실시 형태 3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그룹 관리 제어 시스템의 구성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도 1 ~ 도 3과 같다. 이후, 실시 형태 1에서 이용한 부호와 같은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그룹 관리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은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그룹 관리 제어 장치(1)의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또한, 그룹 관리 제어 장치(1)의 동작은, 그룹 관리 제어 장치(1)의 제어부(10)가 기억부(11)에 기억되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행하는 것이다.
우선,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미리,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을 특정하는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 정보를 기억부(11)에 기억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은 1층이다.
또,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실시 형태 2와 마찬가지로, 미리, 평균적인 승객이 원격 승강장 조작반(5)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승강장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이동 시간을 특정하는 이동 시간치를 기억부(11)에 기억하고 있다. 이 이동 시간치는 그룹 관리 제어 시스템의 설치시에 설정된 값이라도 좋고, 제어부(10)가 원격 승강장 조작반(5)과 엘리베이터 승강장 간의 거리 및 평균적인 승객의 이동 속도 등에 기초하여 정기적으로 산출하는 값이라도 좋다.
또,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수시로, 호기 제어 장치(30), 승강장 버튼(4), 및 원격 승강장 조작반(5)의 각각으로부터 수신하는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 정보, 승강장 호출 등록 정보, 및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정보를, 학습 데이터로서 기억부(11)에 기억하고 있다.
다음으로,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기억부(11)에 기억하는 학습 데이터에 기초하여, 정기적으로, 1층 ~ 10층의 각 층에 대응하는 수요 예측치를 구하고, 구한 수요 예측치를 기억부(11)에 기억한다. 각 층의 수요 예측치는 요일이나 시간대에 따라서 다르다. 또, 각 층의 수요 예측치는 그 층으로부터 승강장 호출 등록이 발생하는 확률, 그 층으로부터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이 발생하는 확률, 및 그 층을 행선층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발생하는 확률 등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그리고 수요 예측치가 높은 층일수록, 교통량이 많은 것으로 예측되는 층인 것을 의미한다. 빌딩(6)에서는, 수요 예측치가 가장 높은 층은 1층인 현관층이다. 또, 1층 다음으로 수요 예측치가 높은 층은 5층인 레스토랑층이다.
다음으로, S41 ~ S44는, 각각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S21 ~ S24와 같아,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원격 승강장 조작반(5)에서 새로운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45). 즉,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원격 승강장 조작반(5)으로부터 새로운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정보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이 S45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S4와 같다. S45에서 새로운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이 발생한 경우는, S52로 진행한다.
한편, S45에서, 새로운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이 발생하고 있지 않는 경우는, 다음으로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승강장 버튼(4)에서 새로운 승강장 호출 등록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46). 즉,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승강장 버튼(4)으로부터 새로운 승강장 호출 등록 정보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이 S46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S5와 같다. S46에서, 새로운 승강장 호출 등록이 발생하고 있지 않는 경우는, S53으로 진행한다.
한편, S46에서, 새로운 승강장 호출 등록이 발생한 경우는, 다음으로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기억부(11)에 기억하는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 정보에 기초하여,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과 이 새로운 승강장 호출이 등록된 승강장 호출 등록층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47). S47에서,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과 승강장 호출 등록층이 동일한 경우는, S52로 진행한다.
한편, S47에서,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과 승강장 호출 등록층이 다른 경우는, 다음으로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기억부(11)에 기억하는 대기층 정보에 기초하여, 대기층에 엘리베이터 칸(33)이 대기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48). S48에서, 대기층에 엘리베이터 칸(33)이 대기하고 있지 않는 경우는, S52로 진행한다.
한편, S48에서, 대기층에 엘리베이터 칸(33)이 대기하고 있는 경우는, 다음으로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S46에서 발생한 새로운 승강장 호출 등록에 기초하여, 각 엘리베이터 칸(33)의 평가치를 산출하고, 산출한 평가치를 기억부(11)에 기억한다(스텝 S49). 또한, 이 S49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S6과 같다.
다음으로,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대기층에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33)의 평가치를 보정하고, 보정 후의 평가치를 기억부(11)에 기억한다(스텝 S50). 즉,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대기층에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33)의 평가치를 소정치분 높게 설정하고, 설정한 평가치를 기억부(11)에 기억한다. 이것에 의해서, 대기층에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33)에는, S46에서 발생한 새로운 승강장 호출이 할당되기가 어려워진다. 여기서, 이 「소정치」로서는,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승강장에서 승객이 대기하는 시간의 평균치이다.
다음으로,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기억부(11)에 기억하는 각 엘리베이터 칸(33)의 평가치에 기초하여 가장 평가치가 낮은 엘리베이터 칸(33)을 선택하고, 선택한 엘리베이터 칸(33)에, S46에서 발생한 새로운 승강장 호출 등록을 할당하고(스텝 S51), 그 후,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이 S51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S7과 같다.
한편, S52에서는,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S45에서 발생한 새로운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또는 S46에서 발생한 새로운 승강장 호출 등록에 기초하여, 각 엘리베이터 칸(33)의 평가치를 산출하고, 산출한 평가치를 기억부(11)에 기억한다(스텝 S52). 또한, 이 S52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S6과 같다. 그 후, S51로 진행한다.
한편, S53 ~ S55는 각각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S8 ~ S10과 같아,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6에 제시된 처리는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것으로 하고, S41 ~ S55를 연속해서 행해도 좋고, 각 스텝마다 독립해서 행해도 좋다.
또, 원격 승강장 조작반(5)은 빌딩(6) 내에 복수대 설치해도 좋고, 빌딩(6)의 밖에 설치해도 좋고, 최하층 이외의 층에 설치해도 좋다. 또, 원격 승강장 조작반(5)은 시큐리티?게이트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행선층 방향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상방향 버튼과 하방향 버튼으로 구성해도 좋다. 또, 시큐리티 인증 정보에 행선층 정보를 포함하거나 원격 승강장 조작반(5)에 행선층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패드를 마련함으로써,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정보에 행선층 정보를 포함하도록 해도 좋다.
또, S41에서 기억부(11)에 기억되는 대기층 정보는 그룹 관리 제어 시스템의 설치시에 설정되어도 좋다.
실시 형태 3에 의하면, 실시 형태 2의 효과에 더하여,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 이외의 층으로부터 발생하는 승강장 호출 등록을,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 이외의 층으로 설정된 대기층에서 대기하는 엘리베이터 칸에 할당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으로부터 발생하는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및 승강장 호출 등록을, 대기층에 대기하는 엘리베이터 칸에 실질적으로 우선하여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기층이 3층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 이외의 층인 2층 ~ 10층으로부터 발생하는 승강장 호출 등록을, 대기층에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에 할당하는 것이 제한된다. 이것에 의해서,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인 1층으로부터 발생하는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또는 승강장 호출 등록은, 대기층에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에 실질적으로 우선하여 할당된다.
또한, S41에서 하나의 대기층만 결정하지만, 복수의 대기층을 결정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어, 1층 ~ 10층을 복수의 존으로 분할하고, 각 존에 한 개씩 대기층을 결정하도록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서, 더욱 그룹 관리 제어 시스템 전체의 운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4.
본 발명에 있어서 실시 형태 4에 대해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실시 형태 4에 있어서 그룹 관리 제어 시스템의 구성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도 1 ~ 도 3과 같다. 이후, 실시 형태 1에서 이용한 부호와 같은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실시 형태 4에 있어서 그룹 관리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7은 실시 형태 4에 있어서 그룹 관리 제어 장치(1)의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또한, 그룹 관리 제어 장치(1)의 동작은 그룹 관리 제어 장치(1)의 제어부(10)가 기억부(11)에 기억되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행하는 것이다.
우선,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미리,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을 특정하는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 정보를 기억부(11)에 기억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은 1층이다.
또,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실시 형태 2와 마찬가지로, 미리, 평균적인 승객이 원격 승강장 조작반(5)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승강장까지의 이동에 소요되는 이동 시간을 특정하는 이동 시간치를 기억부(11)에 기억하고 있다. 이 이동 시간치는 그룹 관리 제어 시스템의 설치시에 설정된 값이라도 좋고, 제어부(10)가 원격 승강장 조작반(5)과 엘리베이터 승강장 간의 거리 및 평균적인 승객의 이동 속도 등에 기초하여 정기적으로 산출하는 값이라도 좋다.
또,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수시로, 호기 제어 장치(30), 승강장 버튼(4), 및 원격 승강장 조작반(5)의 각각으로부터 수신하는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 정보, 승강장 호출 등록 정보, 및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정보를, 학습 데이터로서 기억부(11)에 기억하고 있다.
다음으로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기억부(11)에 기억하는 학습 데이터에 기초하여, 정기적으로, 1층 ~ 10층의 각 층에 대응하는 수요 예측치를 구하고, 구한 수요 예측치를 기억부(11)에 기억한다. 각 층의 수요 예측치는 요일이나 시간대에 따라서 다르다. 또, 각 층의 수요 예측치는 그 층으로부터 승강장 호출 등록이 발생하는 확률, 그 층으로부터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이 발생하는 확률, 및 그 층을 행선층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발생하는 확률 등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그리고 수요 예측치가 높은 층일수록, 교통량이 많은 것으로 예측되는 층인 것을 의미한다. 빌딩(6)에서는, 수요 예측치가 가장 높은 층은 1층인 현관층이다. 또, 1층 다음으로 수요 예측치가 높은 층은 5층인 레스토랑층이다.
다음으로, S61 ~ S68은 각각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S41 ~ S48과 같아,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S66에서 발생한 새로운 승강장 호출 등록의 승강장 호출 등록층이, 원격 승강장 조작반에서 대기층까지의 사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69). S69에서, S66에서 발생한 새로운 승강장 호출 등록의 승강장 호출 등록층이, 원격 승강장 조작반에서 대기층까지의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S73으로 진행한다.
한편, S69에서, S66에서 발생한 새로운 승강장 호출 등록의 승강장 호출 등록층이, 원격 승강장 조작반에서 대기층까지의 사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S70으로 진행한다.
다음으로, S71 ~ S76은 각각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S50 ~ S55와 같아,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7에 제시된 처리는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것으로 하고, S61 ~ S76를 연속해서 행해도 좋고, 각 스텝마다 독립해서 행해도 좋다.
또, 원격 승강장 조작반(5)은 빌딩(6) 내에 복수대 설치해도 좋고, 빌딩(6)의 밖에 설치해도 좋고, 최하층 이외의 층에 설치해도 좋다. 또, 원격 승강장 조작반(5)은 시큐리티?게이트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행선층 방향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상방향 버튼과 하방향 버튼으로 구성해도 좋다. 또, 시큐리티 인증 정보에 행선층 정보를 포함하거나 원격 승강장 조작반(5)에 행선층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패드를 마련함으로써,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정보에 행선층 정보를 포함하도록 해도 좋다.
또, S61에서 기억부(11)에 기억되는 대기층 정보는 그룹 관리 제어 시스템의 설치시에 설정되어도 좋다.
실시 형태 4에 의하면,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 이외의 층에 설정된 대기층에서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에,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에서 대기층까지의 사이에 위치하지 않는 층으로부터 발생하는 승강장 호출 등록을 할당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대기층에서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을,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주행하여 승강장 호출 등록층에 배차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대기층에서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에,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에서 대기층까지의 사이에 위치하는 층으로부터 발생하는 승강장 호출을 할당할 수 있기 때문에, 실시 형태 3과 비교해서 많은 승강장 호출에 응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기층이 3층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원격 승강장 조작반으로부터 대기층까지 사이에 위치하지 않는 층인 4층 ~ 10층으로부터 발생하는 승강장 호출 등록을, 대기층에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에 할당하는 것이 제한된다. 이것에 의해서, 승강장 호출 등록층으로,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인 1층으로부터 발생하는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또는 승강장 호출 등록과, 2층 ~ 3층으로부터 발생하는 승강장 호출 등록이, 대기층에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에 실질적으로 우선하여 할당된다.
또한, S61에서 하나의 대기층만 결정하지만, 복수의 대기층을 결정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어, 1층 ~ 10층을 복수의 존으로 분할하고, 각 존에 한 개씩 대기층을 결정하도록 해도 괜찮다. 이것에 의해서, 더욱 그룹 관리 제어 시스템 전체의 운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5.
본 발명에 있어서 실시 형태 5에 대해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실시 형태 5에 있어서 그룹 관리 제어 시스템의 구성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도 1 ~ 도 3과 같다. 이후, 실시 형태 1에서 이용한 부호와 같은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실시 형태 5에 있어서 그룹 관리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8은 실시 형태 5에 있어서 그룹 관리 제어 장치(1)의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또한, 그룹 관리 제어 장치(1)의 동작은, 그룹 관리 제어 장치(1)의 제어부(10)가 기억부(11)에 기억되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행하는 것이다.
우선,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미리,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을 특정하는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 정보를 기억부(11)에 기억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은 1층이다.
또,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실시 형태 2와 마찬가지로, 미리, 평균적인 승객이 원격 승강장 조작반(5)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승강장까지의 이동에 걸리는 이동 시간을 특정하는 이동 시간치를 기억부(11)에 기억하고 있다. 이 이동 시간치는 그룹 관리 제어 시스템의 설치시에 설정된 값이라도 좋고, 제어부(10)가 원격 승강장 조작반(5)과 엘리베이터 승강장 간의 거리 및 평균적인 승객의 이동 속도 등에 기초하여 정기적으로 산출하는 값이라도 좋다.
또,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수시로, 호기 제어 장치(30), 승강장 버튼(4), 및 원격 승강장 조작반(5)의 각각으로부터 수신하는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 정보, 승강장 호출 등록 정보, 및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정보를, 학습 데이터로서 기억부(11)에 기억하고 있다.
다음으로,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기억부(11)에 기억하는 학습 데이터에 기초하여, 정기적으로, 1층 ~ 10층의 각 층에 대응하는 수요 예측치를 구하고, 구한 수요 예측치를 기억부(11)에 기억한다. 각 층의 수요 예측치는 요일이나 시간대에 따라서 다르다. 또, 각 층의 수요 예측치는 그 층으로부터 승강장 호출 등록이 발생하는 확률, 그 층으로부터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이 발생하는 확률, 및 그 층을 행선층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발생하는 확률 등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그리고 수요 예측치가 높은 층일수록, 교통량이 많은 것으로 예측되는 층인 것을 의미한다. 빌딩(6)에서는, 수요 예측치가 가장 높은 층은 1층인 현관층이다. 또, 1층 다음으로 수요 예측치가 높은 층은 5층인 레스토랑층이다.
다음으로, S81 ~ S88은 각각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S41 ~ S48과 같아,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S86에서 발생한 새로운 승강장 호출 등록의 승강장 호출 등록층이, 원격 승강장 조작반에서 대기층까지의 사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89). 또한, 이 S89는 실시 형태 4에 있어서 S69와 같다. S89에서, S86에서 발생한 새로운 승강장 호출 등록의 승강장 호출 등록층이, 원격 승강장 조작반에서 대기층까지의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S93으로 진행한다.
한편, S89에서, S86에서 발생한 새로운 승강장 호출 등록의 승강장 호출 등록층이, 원격 승강장 조작반에서 대기층까지의 사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S90으로 진행한다.
다음으로, S90 ~ S92는 각각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S49 ~ S51과 같아, 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S93에서는, 그룹 관리 제어 장치(1)는 S86에서 발생한 새로운 승강장 호출 등록의 행선층 방향이, 대기층으로부터 보아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에 가까워지는 방향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93). S93에서, 행선층 방향이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에 가까워지는 방향인 경우, S94로 진행한다.
한편, S93에서, S86에서 발생한 새로운 승강장 호출 등록의 행선층 방향이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인 경우, S90으로 진행한다. 다음으로, S94 ~ S97는 각각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S52 ~ S55와 같아,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8에 제시된 처리는 정기적으로 행하는 것으로 하고, S81 ~ S97를 연속해서 행해도 좋고, 각 스텝마다 독립해서 행해도 좋다.
또, 원격 승강장 조작반(5)은 빌딩(6) 내에 복수대 설치해도 좋고, 빌딩(6)의 밖에 설치해도 좋고, 최하층 이외의 층에 설치해도 좋다. 또, 원격 승강장 조작반(5)은 시큐리티?게이트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행선층 방향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상방향 버튼과 하방향 버튼으로 구성해도 좋다. 또, 시큐리티 인증 정보에 행선층 정보를 포함하거나 원격 승강장 조작반(5)에 행선층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패드를 마련함으로써,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정보에 행선층 정보를 포함하도록 해도 괜찮다.
또, S81에서 기억부(11)에 기억되는 대기층 정보는, 그룹 관리 제어 시스템의 설치시에 설정되어도 좋다.
실시 형태 5에 의하면,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 이외의 층으로 설정된 대기층에서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에,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 이외의 층으로부터 발생하는 승강장 호출 등록과,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에서 대기층까지의 사이에 위치하는 층으로부터 발생함과 아울러 행선층 방향이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인 승강장 호출 등록을, 할당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대기층에서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이,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주행하여 승강장 호출 등록층 또는 행선층으로 배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 형태 4의 효과와 비교해서, 그룹 관리 제어 시스템 전체의 운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기층이 3층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대기층에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에,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에서 대기층까지의 사이에 위치하지 않는 층인 4층 ~ 10층으로부터 발생하는 승강장 호출 등록과,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에서 대기층까지의 사이에 위치하는 층인 2층 ~ 3층으로부터 발생함과 아울러 행선층 방향이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인 상방향의 승강장 호출 등록을, 할당하는 것이 제한된다. 이것에 의해서, 승강장 호출 등록층으로, 원격 승강장 조작반 설치층인 1층으로부터 발생하는 원격 승강장 호출 등록 또는 승강장 호출 등록과, 2층 ~ 3층으로부터 발생하는 하방향의 승강장 호출 등록이, 대기층에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에 실질적으로 우선하여 할당된다.
또한, S81에서 하나의 대기층만 결정하지만, 복수의 대기층을 결정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어, 1층 ~ 10층을 복수의 존으로 분할하고, 각 존에 한 개씩 대기층을 결정하도록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서, 더욱 그룹 관리 제어 시스템 전체의 운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승강장 버튼(4)은 승강장 호출 수단에 상당하고, 원격 승강장 조작반(5)은 원격 승강장 호출 수단에 상당한다. 또, 도 4의 S1은 대기층 결정 수단 및 대기층 결정 스텝에 상당하고, 도 4의 S3는 대기층 무효 수단 및 대기층 무효 스텝에 상당한다. 또, 도 5의 S24는 대기층 보정 수단 및 대기층 보정 스텝에 상당한다. 또, 도 6의 S48 ~ S52, 도 7의 S68 ~ S73, 도 8의 S88 ~ S94는 각각 엘리베이터 칸 할당 제한 수단 및 대기층 제한 스텝에 상당한다.
1: 그룹 관리 제어 장치
3: 엘리베이터 호기
4: 승강장 버튼
5: 원격 승강장 조작반
6: 빌딩
10: 제어부

Claims (8)

  1.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마련되어 승강장의 호출 등록을 행하는 승강장 호출 수단과,
    엘리베이터 승강장으로부터 떨어진 장소에 마련되어 승강장의 호출 등록을 행하는 원격 승강장 호출 수단과,
    빈 엘리베이터 칸을 대기시키기 위한 제1 대기층을 결정하는 대기층 결정 수단과,
    상기 대기층 결정 수단이 결정한 상기 제1 대기층과 상기 원격 승강장 호출 수단이 마련된 원격 승강장 호출 수단 설치층이 동일한 경우에, 상기 제1 대기층을 무효로 하는 대기층 무효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기층 무효 수단이 상기 제1 대기층을 무효로 한 경우에, 상기 원격 승강장 호출 수단 설치층과는 다른 층임과 동시에 빈 엘리베이터 칸을 대기시키기 위한 제2 대기층을 결정하는 대기층 보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대기층 보정 수단은 상기 원격 승강장 호출 수단 설치층에 있어서 승객이 상기 원격 승강장 호출 수단이 마련된 장소에서 엘리베이터 승강장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이동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대기층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대기층에서 빈 엘리베이터 칸이 대기하고 있는 경우, 상기 승강장 호출 수단에 의한 소정의 호출 등록을 상기 빈 엘리베이터 칸에 할당하는 것을 제한하는 엘리베이터 칸 할당 제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시스템.
  5. 빈 엘리베이터 칸을 대기시키기 위한 제1 대기층을 결정하는 대기층 결정 스텝과,
    상기 대기층 결정 스텝에서 결정한 상기 제1 대기층과 엘리베이터 승강장으로부터 떨어진 장소에 마련됨과 아울러 승강장의 호출 등록을 행하는 원격 승강장 호출 수단이 마련된 원격 승강장 호출 수단 설치층이 동일한 경우에, 상기 제1 대기층을 무효로 하는 대기층 무효 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대기층 무효 스텝에서 상기 제1 대기층을 무효로 한 후, 상기 원격 승강장 호출 수단 설치층과는 다른 층임과 동시에 빈 엘리베이터 칸을 대기시키기 위한 제2 대기층을 결정하는 대기층 보정 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대기층 보정 스텝은 상기 원격 승강장 호출 수단 설치층에 있어서 승객이 상기 원격 승강장 호출 수단이 마련된 장소에서 엘리베이터 승강장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이동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대기층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대기층에서 빈 엘리베이터 칸이 대기하고 있는 경우, 상기 승강장 호출 수단에 의한 소정의 호출 등록을 상기 빈 엘리베이터 칸에 할당하는 것을 제한하는 엘리베이터 칸 할당 제한 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방법.
KR1020127007455A 2009-11-19 2009-11-19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방법 KR1012924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06208 WO2011061797A1 (ja) 2009-11-19 2009-11-19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861A true KR20120060861A (ko) 2012-06-12
KR101292436B1 KR101292436B1 (ko) 2013-07-31

Family

ID=44059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7455A KR101292436B1 (ko) 2009-11-19 2009-11-19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79752B2 (ko)
EP (1) EP2502868B1 (ko)
JP (1) JP5482797B2 (ko)
KR (1) KR101292436B1 (ko)
CN (1) CN102666338B (ko)
WO (1) WO20110617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08460A1 (en) * 2009-12-03 2012-10-1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system
WO2011145170A1 (ja) * 2010-05-18 2011-11-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FI122597B (fi) * 2010-09-07 2012-04-13 Kone Corp Hissijärjestelmä
CN103237748B (zh) * 2010-11-24 2014-11-05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系统和电梯组群管理系统
KR101476084B1 (ko) * 2011-02-03 2014-12-2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장치
JP5868627B2 (ja) * 2011-07-26 2016-02-24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装置
CN107108150B (zh) * 2014-12-17 2020-04-21 奥的斯电梯公司 可配置多轿厢电梯系统
WO2016143091A1 (ja) * 2015-03-11 2016-09-1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システム
CN104843552B (zh) * 2015-04-27 2017-02-01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选择目的电梯的方法及装置
CN107848739A (zh) * 2015-08-06 2018-03-27 奥的斯电梯公司 启动电梯系统的门厅和轿厢呼叫的系统和方法
JP7215602B2 (ja) * 2020-01-10 2023-01-3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7205998B2 (ja) * 2021-03-19 2023-01-17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群管理制御装置及び乗場呼び割当方法
CN114291668A (zh) * 2021-12-20 2022-04-08 中船邮轮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船舶电梯群组控制和供电的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89643A (en) * 1975-01-31 1976-08-05 Heisetsuerebeetano untenseigyohoshiki
JPS5493538A (en) * 1977-12-28 1979-07-24 Mitsubishi Electric Corp Group management device of elevator
JPS54124461A (en) 1978-03-22 1979-09-27 Mitsubishi Electric Corp Platform call register for elevator
JPS5556956A (en) * 1978-10-18 1980-04-26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group controller
JPS5699183A (en) * 1980-01-07 1981-08-10 Hitachi Ltd Method of controlling elevator
JPS5852164A (ja) * 1981-09-24 1983-03-28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の群管理制御方法
JPH0649552B2 (ja) 1984-03-31 1994-06-29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の群管理制御方法
US4790412A (en) * 1988-03-16 1988-12-13 Westinghouse Electric Corp. Anti-bunching method for dispatching elevator cars
JPH0768013B2 (ja) * 1988-10-25 1995-07-2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H1036019A (ja) * 1996-07-19 1998-02-10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100367365B1 (ko) * 1998-01-19 2003-01-0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관리제어장치
JPH11278762A (ja) * 1998-03-25 1999-10-12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2002037543A (ja) * 2000-07-17 2002-02-06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ーの運転装置
JP2002220177A (ja) 2001-01-24 2002-08-0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運転制御システム
JP2003312949A (ja) * 2002-04-22 2003-11-06 Hitachi Ltd エレベータ遠隔呼び出しシステム
JP2003341944A (ja) * 2002-05-28 2003-12-0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CN100503409C (zh) * 2004-03-30 2009-06-24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组群管理控制装置
CN1972858B (zh) * 2004-06-21 2011-07-06 奥蒂斯电梯公司 在竖井内包括多个轿厢的电梯系统及其控制方法
EP1803675B1 (en) * 2004-10-21 2013-08-1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ontrol device for elevator
JP2008538737A (ja) * 2005-04-15 2008-11-06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予想交通情報を用いる群エレベータのスケジューリング
JP2007145474A (ja) * 2005-11-25 2007-06-14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ー装置
JP4847190B2 (ja) * 2006-04-14 2011-12-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制御システムおよび群管理制御方法
TWI376348B (en) * 2006-06-12 2012-11-11 Inventio Ag Method and device for reducing the energy consumption of a lift installation
KR20070088519A (ko) * 2007-03-15 2007-08-2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
FI119807B (fi) * 2007-11-30 2009-03-31 Kone Corp Hissin valmiustila
JP4657314B2 (ja) * 2008-03-18 2011-03-2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
EP2316771B1 (en) * 2008-08-25 2016-12-1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group management control device
CN102105378B (zh) * 2008-08-26 2013-09-25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控制装置
FI121878B (fi) * 2009-06-03 2011-05-31 Kone Corp Hissijärjestelmä
US8910752B2 (en) * 2009-09-02 2014-12-1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system
CN103237748B (zh) * 2010-11-24 2014-11-05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系统和电梯组群管理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1061797A1 (ja) 2013-04-04
EP2502868B1 (en) 2016-01-06
EP2502868A1 (en) 2012-09-26
WO2011061797A1 (ja) 2011-05-26
US9079752B2 (en) 2015-07-14
EP2502868A4 (en) 2015-01-14
JP5482797B2 (ja) 2014-05-07
KR101292436B1 (ko) 2013-07-31
US20120168261A1 (en) 2012-07-05
CN102666338A (zh) 2012-09-12
CN102666338B (zh) 2016-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2436B1 (ko)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방법
KR101292457B1 (ko)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
KR101457318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시스템
JP4291370B2 (ja) ワンシャフトマルチカー方式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5522272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KR20130031332A (ko)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호출등록장치
US7392883B2 (en) Elevator group control system
JP4784509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WO2007049342A1 (ja) エレベーター群管理制御装置
JP2011111253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の群管理制御方法
KR930004754B1 (ko)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장치 및 그 군관리방법
JP4669657B2 (ja) 区域制御を用いてエレベータ装置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5735384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KR101476084B1 (ko)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 장치
JP6880291B1 (ja) 群管理制御装置、配車制御方法及びエレベーター
CN112209188B (zh) 电梯的群管理系统
JPS61136883A (ja) エレベ−タの群管理装置
JP2017001802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JP4177627B2 (ja) エレベータ群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JP4569197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装置
JP4357248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KR100741244B1 (ko) 원샤프트 멀티카 방식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JP2006160510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2015006942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24006317A (ja) エレベータ群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