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9508A - 에멀션 및 그것을 사용한 이형제 - Google Patents

에멀션 및 그것을 사용한 이형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9508A
KR20120059508A KR1020127004331A KR20127004331A KR20120059508A KR 20120059508 A KR20120059508 A KR 20120059508A KR 1020127004331 A KR1020127004331 A KR 1020127004331A KR 20127004331 A KR20127004331 A KR 20127004331A KR 20120059508 A KR20120059508 A KR 20120059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ulsion
emulsifier
agent
organic solvent
general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4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3015B1 (ko
Inventor
요시야마 카네우미
카츠유키 사토
Original Assignee
유니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15238A external-priority patent/JP525180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1523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1063709A/ja
Application filed by 유니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59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9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3/00Selection of compositions for coating the surfaces of moulds, cores, or patter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2Polyalkylene oxi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1/00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arts thereof
    • A01N1/02Preservation of liv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1/00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arts thereof
    • A01N1/02Preservation of living parts
    • A01N1/0205Chemical aspects
    • A01N1/021Preservation or perfusion media, liquids, solids or gases used in the preservation of cells, tissue, organs or bodily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56Coatings, e.g. enameled or galvanised; Releasing, lubricating or separating agents
    • B29C33/60Releasing, lubricating or separ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56Coatings, e.g. enameled or galvanised; Releasing, lubricating or separating agents
    • B29C33/60Releasing, lubricating or separating agents
    • B29C33/62Releasing, lubricating or separating agents based on polymers or olig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unsaturated compounds
    • C08G65/005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halogens
    • C08G65/00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halogens containing fluor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32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G65/329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 C08G65/335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 C08G65/3353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phosphoru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8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for application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ice, mist or water thereto; Thawing or antifreeze materials for application to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058Liquid or visquous
    • B29K2105/0064Latex, emulsion or disper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65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650/2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characterised by the polymer type
    • C08G2650/4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characterised by the polymer type containing halogen
    • C08G2650/4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characterised by the polymer type containing halogen containing fluorine, e.g. perfluro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3Phosphorus bound to oxygen bound to oxygen and to carbon only
    • C08K5/5317Phosphonic compounds, e.g. R—P(:O)(OR')2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3Phosphorus bound to oxygen bound to oxygen and to carbon only
    • C08K5/5317Phosphonic compounds, e.g. R—P(:O)(OR')2
    • C08K5/5333Esters of phosphonic acids
    • C08K5/5337Esters of phosphonic acids containing also haloge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Materials Applied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Mist Or Water (AREA)
  • Emulsifying, Dispersing, Foam-Producing Or Wetting Agents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일반식 RfO(C3F6O)p(C2F4O)q(CF2O)rRf' [I](Rf, Rf': C1?C5의 퍼플루오로알킬기, p+q+r:2?200), 일반식 F(CF2CF2CF2O)nCF2CF3 [II](n: 2?100)로 표시되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유 또는 퍼플루오로카본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화제로서 일반식 CnF2n +1CH2CH2P(O)(OM1)(OM2) [III](M1: 수소 원자, 암모늄염, 유기 아민염, M2: 암모늄염, 유기 아민염, n: 1?6)으로 표시되는 퍼플루오로알킬에틸포스폰산염 0.01?30중량부를 사용하여 형성시킨 에멀션. 이 에멀션은 생체축적성이 낮다고 하는 C6 이하의 퍼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화합물을 유화제로서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양호한 유화 안정성을 나타내므로, 이형제 등의 표면처리제로서 유효하게 사용된다.

Description

에멀션 및 그것을 사용한 이형제{EMULSION AND MOLD RELEASE AGENT COMPRISING THE EMULSION}
본 발명은 에멀션 및 그것을 사용한 이형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유 또는 퍼플루오로카본 화합물의 에멀션 및 그것을 사용한 이형제에 관한 것이다.
현재, 플라스틱 재료나 고무 재료 등의 고분자 재료를, 금형을 사용하여 성형할 때에, 실리콘유, 왁스, 탈크, 마이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 등의 이형제가 사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실리콘유, 왁스 등은 양호한 이형성을 나타내지만, 이형제가 성형품으로 이행하기 때문에, 균일 도장성, 2차 가공성 등을 손상시키고, 또 지속성의 점에서 부족하다. 또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에서는, 이형 효과의 지속성이나 2차 가공성의 점에서는 만족되지만, 이형 처리 시에 금형의 형면에 막 형상의 베이크 처리를 하지 않으면 안 되고, 재처리시에도 동일한 처리가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조작 공정이 많아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보여진다.
이러한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탄소수 4?20의 폴리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인산에스테르를 유효성분의 하나로 하는 이형제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3 참조). 이들 이형제는 양호한 이형성을 나타내고, 또 종래의 것과 비교하여 이형 수명이 길다고 하고 있지만, 현재 성형품 형상이 복잡해짐에 따라, 이형제로서 더한층의 성능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폴리플루오로알킬에틸포스폰산에스테르도 이형제의 합성 원료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형제로 했을 때의 이형 성능은 퍼플루오로알킬기의 탄소수가 8?12인 화합물에서 가장 발현하기 쉽고, 특히 퍼플루오로옥틸기를 갖는 포스폰산에스테르 화합물이다
CF3(CF2)7CH2CH2P(O)(OC2H5)2
이, 이 종류의 용도에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있다(특허문헌 4?7 참조).
그런데, 탄소수 8?12의 퍼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텔로머 화합물은, 환경 속에서 생물 분해되어, 생체축적성, 환경농축성이 비교적 높은 화합물로 변화되는 것이 보고되어 있어, 처리 공정에서의 폭로나 폐기물, 처리 기재 등으로부터의 환경으로의 방출, 확산 등이 염려되고 있다. 또한 퍼플루오로알킬기의 탄소수가 14 이상인 화합물에서는, 그것의 물리적, 화학적 성상으로부터 그것의 취급이 대단히 곤란하여, 실제로는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다.
또한, 탄소수 8 이상의 퍼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텔로머 화합물은, 그 제조 프로세스에 있어서, 생체축적성이 높은 퍼플루오로옥탄산류의 발생이나 혼입을 피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이러한 텔로머 화합물의 각 제조사는, 그것의 제조로부터의 철퇴나 탄소수 6 이하의 퍼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화합물로의 대체 등을 진척시키고 있다.
한편, 퍼플루오로알킬기의 탄소수가 6 이하의 화합물에서는, 처리 기재 표면에서의 배향성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또 융점, 유리전이점 Tg 등이 탄소수 8의 화합물에 비해 현저하게 낮기 때문에, 온도, 습도, 응력, 유기용제의 접촉 등의 사용환경조건에 큰 영향을 받게 된다. 그 때문에 요구되는 충분한 성능이 얻어지지 않고, 또 내구성 등에도 영향이 보인다.
퍼플루오로알킬알킬포스폰산의 암모늄염 또는 아민염과 폴리에테르 변성 오가노 폴리실록산을 물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수성 이형제 조성물도 제안되어 있고(특허문헌 8 참조), 이 경우에도 퍼플루오로옥틸에틸포스폰산염이 사용되고, 투명한 이형제 용액이 얻어진다고 되어 있다.
또한 발수발유제, 윤활제 등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유는 발수발유성, 윤활성 등은 우수하지만, 다른 화합물과의 상용성에 부족하기 때문에, 용도가 한정된다.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유는, 이것에 가지제(加脂劑)를 가함으로써, 피혁처리제로서의 이용도 도모되어 있다(특허문헌 9 참조). 가지제로서는, 그 일반적인 기재에 있어서, 플루오로알킬기, 플루오로알케닐기 또는 플루오로에테르기를 갖는 포스폰산 유도체 또는 그 암모늄염,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토류 금속염 등이 사용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가지제의 사용 비율은 불소계 오일에 대하여 10?0.5, 바람직하게는 5?1의 중량비로 되어 있다.
이러한 중량비로 사용되는 불소 오일과 가지제는, 통상 에멀션의 형태로 포함되는 피혁 처리제에 의해, 가지 공정에서 유피 처리된다고 기술되어 있지만, 가지제 리치로 사용되는 처리제에서는, 사용되는 유화제량에 비례하여, 에멀션의 평균 입자 직경은 작아지고, 또 경시적인 안정성도 확보되지만, 과잉으로 배합되는 친수성의 가지제에 의해, 피처리물이 친수성화되어, 발수성이 저하되거나, 이것을 이형제로서 사용했을 때의 이형 성능의 저하를 피할 수 없다(후기 비교예 3 참조).
본 출원인은 먼저, 퍼플루오로알킬에틸포스폰산디에스테르를 열분해나 가수분해시킴으로써, 퍼플루오로알킬에틸포스폰산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특허문헌 10 참조). 여기에서 얻어지는 퍼플루오로알킬에틸포스폰산은 물 등의 수성 매체에는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유화제 수용액 등으로서 사용할 수는 없다.
한편,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유는 이것을 에멀션화함으로써 표면처리제로서의 이용이 가능하게 되고, 이형제로의 응용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특허문헌 9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에멀션에서는, 불소계 오일에 대하여 대과잉량의 가지제(퍼플루오로알킬알킬포스폰산의 암모늄염 또는 금속염)가 배합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피혁처리방법으로서는 적합해도,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유 에멀션을 이형제로서 적용한 경우에는, 이것들의 화합물 자체의 이형 성능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게 된다.
일본 특공 소53-23270호 공보 일본 특공 소53-23271호 공보 일본 특공 소57-48035호 공보 일본 특공 평2-45572호 공보 일본 특공 평3-78244호 공보 일본 특공 평4-4923호 공보 일본 특공 평4-11366호 공보 일본 특공 평8-5063호 공보 일본 특허 제3077231호 공보 일본 특개 소58-210096호 공보 일본 특개 2000-72601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생체축적성이 낮다고 하는 탄소수 6 이하의 퍼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화합물로서, 유화 성능이 우수한 펜타데카플루오로옥탄산암모늄에 필적하는 유화 성능을 갖는 것을 유화제로서 사용한,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유 또는 퍼플루오로카본 화합물의 에멀션 및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유 에멀션을 사용한 이형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식
RfO(C3F6O)p(C2F4O)q(CF2O)rRf' [I]
(여기에서, Rf, Rf'은 탄소수 1?5의 퍼플루오로 저급 알킬기이고, C3F6O기, C2F4O기 및 CF2O기는 랜덤하게 결합되어 있어, p+q+r은 2?200의 정수이며, p, q 또는 r은 0일 수 있음) 또는 일반식
F(CF2CF2CF2O)nCF2CF3 [II]
(여기에서, n은 2?100의 정수임)으로 표시되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유 또는 퍼플루오로카본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화제로서 일반식
CnF2n +1CH2CH2P(O)(OM1)(OM2) [III]
(여기에서, M1은 수소 원자, 암모늄염 또는 유기 아민염이고, M2는 암모늄염 또는 유기 아민염이며, n은 1?6의 정수임)으로 표시되는 퍼플루오로알킬에틸포스폰산염 0.01?30중량부를 사용하여 형성시킨 에멀션 및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유 에멀션을 사용한 이형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퍼플루오로알킬에틸포스폰산암모늄염 또는 아민염 유화제, 특히 암모늄염 유화제는 생체축적성이 낮다고 하는 탄소수 6 이하의 퍼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화합물로서, 유화 성능이 우수한 펜타데카플루오로옥탄산암모늄에 필적하는 유화 성능을 가지고 있고, 이 유화제의 수성 용액 또는 유기용매 용액과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유 또는 퍼플루오로카본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에멀션은 안정한 에멀션을 형성시킬 수 있다. 그 유화 안정성은 실온 조건하에 또는 40℃에서 1개월간 방치한 후에도 양호하게 유지되었다.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유와의 에멀션은 그 양호한 유화 안정성을 유지한 채, 발수발유제, 점착방지제, 전사방지제, 이형제 등의 표면처리제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파운데이션 등의 화장용 파우더의 안료 분체의 표면처리제로서 사용된 경우에는, 안료분체의 발수발유성 부여제, 전사방지제 등으로서 사용된다. 또한 퍼플루오로카본 화합물은 대량으로 산소를 용해하여 운반할 수 있으므로, 퍼플루오로카본 화합물의 에멀션은 산소운반 매체나 장기보존액으로서의 유효한 이용이 도모된다.
특히 이형제 용도에서는, 예를 들면, 약 0.1중량% 이하의 고형분 농도로 수성 또는 유기용제성 이형제로서 조제한 경우에도, 이형 대상물, 예를 들면, 성형용 금형에 이것을 도포했을 때에 유효한 이형 성능을 발휘하는 것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은 퍼플루오로알킬에틸포스폰산염이 극히 양호한 용매 용해성을 나타내는 것에 의한 것으로, 고형분 농도가 0.5중량%를 차지하도록 조제된 종래의 이형제보다도 훨씬 우수한 이형성을 나타내는 이형제를 고형분 농도가 약 0.1중량% 이하에서 얻을 수 있다.
또한, 퍼플루오로알킬에틸포스폰산염은 양호한 용매 용해성을 갖기 때문에, 희석제로 희석되었을 때, 용이하게 균일 농도의 이형제 용액을 형성하므로, 종래의 이형제에서 문제로 되고 있던 침전이 생기지 않아, 보존안정성도 양호하다고 하는 특징을 갖는다.
이상의 퍼플루오로알킬에틸포스폰산염이 갖는 여러 특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에멀션형 이형제는 다음과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우수한 조막성을 갖고, 복잡한 형상의 성형품에 대해서도 균일한 도막을 형성시킬 수 있다.
(2) 금형면에 대한 조막성 및 이온기에 의한 금형면으로의 밀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이형 성능 및 이형 수명이 현저한 향상이 도모된다.
(3) 약 0.1중량% 정도의 저농도의 희석으로도 우수한 이형성 및 지속성이 발휘되기 때문에, 이형제에 의한 형 오염이 저감된다.
(4) 이형제의 성형품으로의 이행성이 작기 때문에, 성형 후의 성형품의 품질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아, 성형품의 치수 정밀도가 향상된다.
도 1은 실시예 1(1) 및 참고예 1에서 얻어진 유화제 농도와 표면장력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유화제로서 사용되는 퍼플루오로알킬에틸포스폰산염
CnF2n +1CH2CH2P(O)(OM1)(OM2) [III]
는 특허문헌 10에 기재되는 퍼플루오로알킬에틸포스폰산
CnF2n +1CH2CH2P(O)(OH)2 [IV]
에, 암모니아 수용액 또는 유기 아민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유기 아민으로서는, 예를 들면,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피리딘, 모르폴린 또는 이것들의 유도체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암모니아 또는 유기 아민은 퍼플루오로알킬에틸포스폰산에 대하여 동일 몰량 사용된 경우에는 모노 염을 형성시키고, 또 2배 몰량 사용된 경우에는 디염을 형성시킨다. 일반적으로는, 필요 이론 몰수 이상으로 사용되고, 등 몰량 이상 2배 몰량 미만으로 사용된 경우에는, 모노 염과 디염의 혼합물을 형성시킨다.
퍼플루오로알킬에틸포스폰산염은 물 또는 수용성 유기용매 수용액인 수성 매체에 용해시킨 수성 용액 또는 유기용매에 용해시킨 유기용매 용액으로서 사용된다. 유기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알코올,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 아세토니트릴, 디메틸포름아미드, 디에틸 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2-피롤리돈 등의 비프로톤성 극성 용매가 사용된다.
퍼플루오로알킬에틸포스폰산염의 유화 능력은, 예를 들면, 2-(퍼플루오로헥실)에틸포스폰산암모늄 수용액의 경우, 그 임계 미셀 농도[CMC]는 유화제 농도가 0.8중량% 부근에 보여지고, 유화제 농도가 2.0중량% 정도까지 일정한 낮은 표면장력이 나타내어진다.
유화제의 수성 용액 또는 유기용매 용액은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유 100중량부당, 그 유효성분량이 약 0.01?3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0.1?15중량부의 비율로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유에 첨가되고, 유화 처리되어,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유 에멀션을 형성시킨다. 유화제를 이것 이상의 비율로 사용하면,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유 자체의 특성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게 된다. 유화 처리는 호모지나이저 등을 사용하고, 약 500?10,000rpm의 회전수로 예비 유화를 행한 후, 또한 고압 호모지나이저를 사용하고, 압력 약 100?800kgf/cm2(약 9.8?78.4MPa)로 유화 처리되어 행해진다.
에멀션화되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유로서는, 일반식
RfO(C3F6O)p(C2F4O)q(CF2O)rRf' [I]
로 표시되는 것이 사용된다. 여기에서, Rf, Rf'은 퍼플루오로메틸기, 퍼플루오로에틸기 등의 탄소수 1?5의 퍼플루오로 저급 알킬기이고, C3F6O기, C2F4O기 및 CF2O기는 랜덤하게 결합되어 있고, p+q+r=2?200이고, p,q 또는 r은 0일 수 있다. 이러한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유의 구체예로서는 이하와 같은 것이 있다.
RfO[CF(CF3)CF2O]mRf' [Ia]
여기에서, m은 2?200이며, 이것은 헥사플루오로프로펜의 광산화 중합으로 생성한 전구체를 완전히 불소화함으로써, 또는 불화세슘 촉매의 존재하에 헥사플루오로프로펜옥시드를 음이온 중합시켜, 얻어진 말단 -CF(CF3)COF기를 갖는 산플로리드 화합물을 불소 가스 처리함으로써 얻어진다.
RfO[CF(CF3)CF2O]m(CF2O)nRf' [Ib]
여기에서, CF(CF3)CF2O기 및 CF2O기는 랜덤하게 결합되어 있고, m+n=3?200, m:n=(10:90)?(90:10)이며, 이것은 헥사플루오로프로펜의 광산화중합으로 생성한 전구체를 완전히 불소화함으로써 얻어진다.
RfO(CF2CF2O)m(CF2O)nRf' [Ic]
여기에서, m+n=3?200이고, m:n=(10:90)?(90:10)이며, 이것은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광산화중합으로 생성한 전구체를 완전히 불소화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이외의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유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유가 사용된다.
F(CF2CF2CF2O)nCF2CF3 [II]
여기에서 n=2?100이며, 이것은 불화세슘 촉매의 존재하에 2,2,3,3-테트라플루오로옥세탄을 음이온 중합시켜, 얻어진 함불소 폴리에테르(CH2CF2CF2O)n을 160?300℃의 자외선 조사하에서 불소 가스 처리함으로써 얻어진다.
구체예로서 든 이상의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유는 단독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코스트 퍼포먼스의 점에서는 상기 [Ia] 또는 [Ib], 특히 [Ia]의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유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Ia]로서는 m이 2?100의 정수이고, 수평균 분자량 Mn이 약 300?50000, 바람직하게는 약 500?20000의 것이 사용된다.
이들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유는 어떤 값의 동점도의 것이어도 사용할 수 있지만, 윤활제로서는 5?2000mm2/초(40℃), 고온조건하에서의 사용을 고려하면 바람직하게는 100?1500mm2/초(40℃)의 것이 사용된다. 즉, 약 5mm2/초 이하의 것은 증발량이 많아, 내열용 그리스의 규격인 JIS 구름 베어링용 그리스 3종에서 규정되어 있는 증발량 1.5% 이하라고 하는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게 된다. 또한 2000mm2/초 이상의 동점도의 것은 유동점(ISO 2909 및 ISO 3104에 대응하는 JIS K-2283)이 10℃ 이상으로 되어, 통상의 방법으로는 저온 기동시에 베어링이 회전하지 않아, 그것을 사용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가열할 필요가 있다.
또한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유 에멀션은 또한 그 고형분(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유) 농도가 약 0.01?3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5?10중량%을 차지하는 양이 되도록 수성 용액 또는 유기용매로 희석한 수성 용액 또는 유기용매 용액으로서 사용함으로써, 양호한 유화 안정성을 유지한 채, 발수발유제, 점착방지제, 전사방지제, 이형제 등의 표면처리제를 형성시킨다. 이형제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성형 금형면에 이것이 적용되고, 성형품 등의 기질 위로 적용되는 경우에는, 점착방지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파운데이션 등의 화장용 파우더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안료 분체의 발수발유성 부여제, 전사방지제 등으로서 사용된다.
에멀션을 이형제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물 또는 유기용매에 의해 희석되어 사용된다. 사용되는 유기용매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알코올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류, 디에틸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에테르류,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 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메틸카르비톨, 에틸카르비톨 등의 다가 알코올 유도체류, 사염화탄소, 염화메틸렌, 트리클로로에틸렌, 퍼클로로에틸렌, 트리클로로에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테트라클로로디플루오로에탄, 트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탄 등의 할로겐화탄화수소류 등의 적어도 1종류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이소프로판올 및 에탄올의 혼합용매가 사용된다. 여기에서, 유기용매는 물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형제 용액의 금형으로의 도포는, 침적, 분사, 브러싱, 에어졸 분사, 함침포에 의한 도포 등, 통상 사용되는 임의의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한 이형제가 도포된 금형으로 형성되는 성형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염화비닐 수지 등의 수지류, 천연고무, 클로로프렌고무, 불소 고무 등의 고무류를 들 수 있다.
또한 대량으로 산소를 용해하여 운반할 수 있는 퍼플루오로카본 화합물은 퍼플루오로알킬에틸포스폰산염을 함유하는 에멀션으로서 산소 운반 매체나 적출 장기 보존액(특허문헌 11 참조)으로서의 유효한 이용이 도모된다.
퍼플루오로카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퍼플루오로시클로헥산, 퍼플루오로시클로데칼린 등의 퍼플루오로시클로알칸, 퍼플루오로트리메틸시클로헥산, 퍼플루오로이소프로필시클로헥산, 퍼플루오로알킬데칼린 등의 퍼플루오로알킬시클로알칸을 들 수 있다. 그것의 에멀션의 형성은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행해진다.
(실시예)
다음에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시예 1
(1) 교반장치 및 적하장치를 구비한 용량 200ml의 반응장치 내에, 40℃로 가열된 물 50g을 보온하면서 장입하고, 거기에 2-(퍼플루오로헥실)에틸포스폰산(유니마테크 제품 CHEMINOX FHP-2-OH) 5g(11.7밀리몰)을 첨가한 후, 농도 1.4중량%의 암모니아 수용액 20.5g(16.9밀리몰)을 가하고, 1시간 교반을 계속해서 중화반응을 행했다. 이것에 의해, pH8의 2-(퍼플루오로헥실)에틸포스폰산암모늄염의 수용액(유효성분 농도 6.9중량%)이 얻어졌다[유화제 수용액 I].
이 유화제 수용액 I을 수중에 소량씩 첨가하고, 그 수용액의 표면장력을 측정했다. 도 1의 그래프에 ○ 표시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그것의 임계 미셀 농도[CMC]는 0.8중량%이고, 최저 표면장력은 17mN/m이었다. 표면장력의 측정은 SITA제 동적 표면장력계를 사용하고, 20℃에서, 최대기포법으로 측정했다.
또한, 2-(퍼플루오로헥실)에틸포스폰산에, 암모니아 수용액을 첨가하지 않고 1시간 교반한 경우에는, 첨가한 2-(퍼플루오로헥실)에틸포스폰산은 물에 용해되지 않고 분리되어, 수용액은 얻어지지 않았다.
(2) 교반장치 및 적하장치를 구비한 용량 1,000ml의 반응장치 내에, 40℃로 가열된 물 182g을 보온하면서 장입하고, 거기에 유화제 수용액 I 218g 및 일반식
C3F7O[CF(CF3)CF2O]mC2F5 (m:2?100)
으로 표시되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유(NOK 클루버 제품 BARRIERTA J 25 FLUID; 동점도(40℃)25mm2/초) 100g(이상 합계량 500g)을 가한 후, 호모지나이저를 사용하여 회전수 3000rpm으로 2분간의 예비 유화를 행하고, 또한 고압 호모지나이저(니혼세이키제)를 사용하여 압력 600kgf/cm2(58.8MPa)에서 유화 처리하고,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유 에멀션 A(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유 100중량부에 대하여, 퍼플루오로알킬에틸포스폰산암모늄염은 15.0중량부)를 485g(회수율 97%) 얻었다.
얻어진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유 에멀션 A의 평균 입자직경은 151nm이었다. 이 에멀션 A를, 실온 조건하 및 40℃에서 각각 1개월간 정치한 후의 평균 입자직경을 측정하면, 각각 153nm, 155nm라고 하는 값이 얻어지고, 모두 안정한 에멀션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평균 입자직경의 측정은 니키소제 마이크로드래그 입도분포계 UPA150을 사용하고, 동적 광산란법에 의해 행해졌다.
또한, 수량을 385g으로 변경하고, 또 유화제 수용액 I 대신에 2-(퍼플루오로헥실)에틸포스폰산 15g을 사용하면 혼합액은 즉시 액-액 분리를 일으켜버리고, 에멀션은 형성되지 않았다.
참고예 1
실시예 1(1)에서, 2-(퍼플루오로헥실)에틸포스폰산 및 암모니아 수용액 대신에, 펜타데카플루오로옥탄산암모늄염(젬코 제품 에프톱 EF204) 5g을 사용하고, 그것의 수용액(유효성분 농도 9.1중량%)을 얻었다[유화제 수용액 II].
이 유화제 수용액 II에 대하여, 동일하게 표면장력을 측정하면, 도 1의 그래프에 ■ 표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것의 CMC는 0.8중량%이며, 최저 표면장력은 18mN/m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2)에서, 동일한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유(NOK 클루버 제품 BARRIERTA J 100 FLUID; 동점도(40℃) 95mm2/초)가 동일량(100g) 사용되고(합계량 500g),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유 에멀션 B를 486g(회수율 97%) 얻었다. 이 에멀션 B의 평균 입자직경은 131nm, 실온 1개월 경과 후의 평균 입자직경은 136nm, 40℃ 1개월 경과 후의 평균 입자직경은 140nm이며, 안정한 에멀션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2)에서, 동일한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유(NOK 클루버 제품 BARRIERTA J 400 FLUID; 동점도(40℃) 390mm2/초)가 동일량(100g) 사용되고(합계량 500g),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유 에멀션 C를 485g(회수율 97%) 얻었다. 이 에멀션 C의 평균 입자직경은 145nm, 실온 1개월 경과 후의 평균 입자직경은 146nm, 40℃ 1개월 경과 후의 평균 입자직경은 150nm이며, 비교적 안정한 에멀션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2)에서, 동일한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유(NOK 클루버 제품 BARRIERTA J 800 FLUID; 동점도(40℃) 800mm2/초)가 동일량(100g) 사용되고(합계량 500g),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유 에멀션 D를 480g(회수율 96%) 얻었다. 이 에멀션 D의 평균 입자직경은 155nm, 실온 1개월 경과 후의 평균 입자직경은 160nm, 40℃ 1개월 경과 후의 평균 입자직경은 162nm이며, 비교적 안정한 에멀션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5
실시예 1(2)에서,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유 대신에, 퍼플루오로데칼린이 동일량(100g) 사용되어, 퍼플루오로데칼린 에멀션 E를 484g(회수율 97%) 얻었다. 이 에멀션 E의 평균 입자직경은 189nm, 실온 1개월 경과 후의 평균 입자직경은 190nm, 40℃ 1개월 경과 후의 평균 입자직경은 200nm이며, 안정한 에멀션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참고예 2
실시예 2에서, 유화제 수용액 I 대신에 펜타데카플루오로옥탄산암모늄염 수용액인 유화제 수용액 II가 165g 사용되고, 또 수량을 235g으로 변경하여 사용되어(합계량 500g),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유 에멀션 F를 482g(회수율 96%) 얻었다. 이 에멀션 F의 평균 입자직경은 140nm, 실온 1개월 경과 후의 평균 입자직경은 143nm, 40℃ 1개월 경과 후의 평균 입자직경은 145nm이며, 안정한 에멀션이 형성되었다.
참고예 3
실시예 5에서, 유화제 수용액 I 대신에 펜타데카플루오로옥탄산암모늄염 수용액인 유화제 수용액 II가 165g 사용되고, 또 수량을 235g으로 변경하여 사용되어(합계량 500g), 퍼플루오로데칼린 에멀션 G를 483g(회수율 97%) 얻었다. 이 에멀션 G의 평균 입자직경은 185nm, 실온 1개월 경과 후의 평균 입자직경은 182nm, 40℃ 1개월 경과 후의 평균 입자직경은 196nm이며, 비교적 안정한 에멀션이 형성되었다.
실시예 6
(1) 실시예 1(1)에서, 농도 1.4중량%의 암모니아 수용액 20.5g(16.9밀리몰) 대신에, 트리에틸아민 1.71g(16.9밀리몰)을 사용하여, 2-(퍼플루오로헥실)에틸포스폰산트리에틸아민염의 수용액(유효성분 농도 8.9중량%)을 얻었다[유화제 수용액 III].
이 유화제 수용액 III의 임계 미셀 농도[CMC] 및 최저 표면장력을 동일하게 하여 측정하면, 각각 1.2중량% 및 27.7mN/m라고 하는 값이 얻어졌다.
(2) 실시예 1(2)에서, 40℃로 가열된 수량을 231g으로, 유화제 수용액 I 대신에 사용된 유화제 수용액 III량을 169g으로,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유(BARRIERTA J 100 FLUID)량을 100g으로, 각각 종류 및 양을 변경하고(합계량 500g),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유 에멀션 H를 483g(회수율 97%) 얻었다.
얻어진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유 에멀션 H의 평균 입자직경은 405nm이었다. 또한 이 에멀션 H를 실온 조건하 및 40℃에서 각각 1개월간 정치하면, 모두 침전이 생성되고, 분리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7
이온교환수 97.5중량부에, 교반하면서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유 에멀션 A 2.5중량부를 첨가하고 희석하여, 이형제 유액을 조제했다.
이 이형제 유액을 사용한 우레탄 고무 성형시의 이형 시험을 다음과 같이 실시했다.
직경 45mm, 깊이 50mm의 알루미늄제 컵을 성형 형으로 하고, 이 형을 80℃로 가열한 후 이형제를 도포하고, 80℃에서 건조시켰다. 이 이형제 도포 형 내에, 80℃로 가열한 우레탄 프리폴리머(닛폰폴리우레탄 제품 코로네이트 4090) 100중량부와 120℃로 가열시킨 메틸렌비스(o-클로로아닐린) 경화제(이하라케미칼 제품 이하라큐아민 MT) 12.8중량부와의 혼합물 10g을 주입하고, 120℃에서 1시간 가열 경화시켰다.
경화 전에, 주입부 중앙에 경화 성형품 취출용의 훅이 설치되어 있고, 경화 후에 그 훅을 잡아당겨 성형품을 형으로부터 꺼낼 때의 하중을 상방에 위치하는 스프링 저울로 구하면, 8N이라고 하는 값(이형 성능)이 얻어졌다. 또 이형제를 최초 1회 도포한 후, 50N 이하의 이형 하중으로 몇 회까지 이형할 수 있는지의 회수를 측정하면, 9회라고 하는 값(이형 수명)이 얻어졌다.
비교예 1
(1) 실시예 1(1)에서, 2-(퍼플루오로헥실)에틸포스폰산량을 10g(23.4밀리몰)으로, 또 농도 1.4중량%의 암모니아 수용액량을 40g(32.9밀리몰)으로 각각 변경하고, 그것의 수용액(유효성분 농도 10.0중량%)을 얻었다[유화제 수용액 IV].
(2) 실시예 1(2)에서, 유화제 수용액 IV 250g,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유(BARRIERTA J 100 FLUID) 5g 및 물 245g(이상 합계 500g)이 사용되어,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유 에멀션 I를 486g(회수율 97%) 얻었다. 이 에멀션 I의 평균 입자직경은 61nm, 실온 1개월 경과 후의 평균 입자직경은 65nm, 40℃ 1개월 경과 후의 평균 입자직경은 66nm이며, 비교적 안정한 에멀션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3) 실시예 7에서,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유 에멀션 A 대신에, 동일량(2.5중량부)의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유 에멀션 I을 사용하여 이형제 유액을 조제하고, 그것을 사용하여 우레탄 고무 성형시의 이형 시험을 행하면, 이형 성능 20N, 이형 수명 2회라고 하는 측정결과이었다.
실시예 8?14, 비교예 2?3
실시예 7에서, 이형제 유액 조제에 사용된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유 에멀션의 종류 및 첨가량(중량%), 희석액의 종류(물: 이온교환수, EtOH: 에탄올, IPA: 이소프로판올) 및 사용량(중량%)이, 각각 다음의 표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변경되었다. 얻어진 이형 성능 및 이형 수명의 측정값은 실시예 7의 측정값과 함께, 다음의 표에 표시된다.
Figure pct00001
비교예 4
실시예 7에서, 이형제 유액을 도포하지 않고, 이형 성능 및 이형 수명의 측정을 행했지만, 성형품이 금형으로부터 벗겨지지 않고, 측정 불능이며, 따라서 이형 수명은 0회라고 하는 결과이었다.

Claims (9)

  1. 일반식
    RfO(C3F6O)p(C2F4O)q(CF2O)rRf' [I]
    (여기에서, Rf, Rf'은 탄소수 1?5의 퍼플루오로저급 알킬기이고, C3F6O기, C2F4O기 및 CF2O기는 랜덤하게 결합되어 있고, p+q+r은 2?200의 정수이며, p, q 또는 r은 0일 수 있음) 또는 일반식
    F(CF2CF2CF2O)nCF2CF3 [II]
    (여기에서, n은 2?100의 정수임)으로 표시되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유 또는 퍼플루오로카본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화제로서 일반식
    CnF2n +1CH2CH2P(O)(OM1)(OM2) [III]
    (여기에서, M1은 수소 원자, 암모늄염 또는 유기 아민염이고, M2는 암모늄염 또는 유기 아민염이며, n은 1?6의 정수임)으로 표시되는 퍼플루오로알킬에틸포스폰산염 0.01?30중량부를 사용하여 형성시킨 에멀션.
  2. 제 1 항에 있어서, 일반식
    RfO[CF(CF3)CF2O]mRf'
    (여기에서, m은 2?200의 정수임)으로 표시되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유 [Ia]가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션.
  3. 제 1 항에 있어서, 유화제로서 퍼플루오로알킬에틸포스폰산의 암모늄염이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션.
  4. 제 1 항에 있어서, 유화제가 수성 용액 또는 유기용매 용액으로서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션.
  5. 제 3 항에 있어서, 유화제가 수성 용액 또는 유기용매 용액으로서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션.
  6. 제 1 항에 기재된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유 에멀션이 수성 매체 또는 유기용매로 더 희석되어, 그 고형분 농도가 0.01?30중량%로 된 수성 용액 또는 유기용매 용액으로 이루어지는 표면 처리제.
  7. 제 6 항에 있어서, 발수발유제, 점착방지제, 전사방지제 또는 이형제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제.
  8. 제 7 항에 있어서, 성형용 금형에 도포되는 이형제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제.
  9. 제 1 항에 기재된 퍼플루오로카본 화합물 에멀션을 수성 매체 또는 유기용매로 더 희석한 수성 용액 또는 유기용매 용액으로 이루어지는 산소운반 매체 또는 적출 장기 보존액.
KR1020127004331A 2009-09-17 2010-09-10 에멀션 및 그것을 사용한 이형제 KR1014130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15238A JP5251801B2 (ja) 2009-09-17 2009-09-17 表面処理剤
JPJP-P-2009-215238 2009-09-17
JP2009215239A JP2011063709A (ja) 2009-09-17 2009-09-17 離型剤
JPJP-P-2009-215239 2009-09-17
PCT/JP2010/065620 WO2011034003A1 (ja) 2009-09-17 2010-09-10 エマルジョンおよびそれを用いた離型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9508A true KR20120059508A (ko) 2012-06-08
KR101413015B1 KR101413015B1 (ko) 2014-06-30

Family

ID=43758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4331A KR101413015B1 (ko) 2009-09-17 2010-09-10 에멀션 및 그것을 사용한 이형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610634B2 (ko)
EP (1) EP2479216B1 (ko)
KR (1) KR101413015B1 (ko)
CN (1) CN102510880B (ko)
WO (1) WO20110340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4003A1 (ja) * 2009-09-17 2011-03-24 ユニマテック株式会社 エマルジョンおよびそれを用いた離型剤
JP4858628B2 (ja) * 2010-05-25 2012-01-18 ユニマテック株式会社 含フッ素ポリマー水性分散液
EP2722371B1 (en) * 2012-10-16 2017-01-11 Rohm and Haas Company Fluoroalkyl phosphonate composition
CN103992680B (zh) * 2013-02-15 2018-05-15 罗门哈斯公司 烷氧基化的氟烷基磷酸盐组合物
JP5955468B2 (ja) * 2014-03-11 2016-07-20 ユニマテック株式会社 含フッ素ホウ酸コンポジット粒子
JP7023076B2 (ja) * 2016-12-01 2022-02-21 三井・ケマーズ フロロプロダクツ株式会社 フッ素樹脂塗料組成物から成る塗膜が形成された金型
WO2018102494A1 (en) 2016-12-01 2018-06-07 The Chemours Company Fc, Llc Fluoropolymer coating composition
CN106833858B (zh) * 2017-01-21 2019-11-26 上海新平精细化学品有限公司 一种多用途中性脱模剂及其制备方法
CN108905882B (zh) * 2018-06-21 2021-05-04 汕头大学 一类非离子氟碳表面活性剂及其制备
EP4215333A1 (en) * 2022-01-24 2023-07-26 Productos Concentrol, S.A. Process for preparing an aqueous mould release agent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8235A (en) * 1975-09-18 1978-10-03 Daikin Kogyo Co., Ltd. Mold release agent
JPS5239587A (en) 1975-09-25 1977-03-26 Daikin Ind Ltd Mold releasing agent
JPS5236588A (en) 1975-09-18 1977-03-19 Daikin Ind Ltd Release agent
JPS55133490A (en) 1979-04-03 1980-10-17 Daikin Ind Ltd Fluorine-containing composition and its use
JPS58180597A (ja) 1982-04-19 1983-10-22 Nippon Mektron Ltd 離型剤
JPS58210096A (ja) 1982-06-01 1983-12-07 Nippon Mektron Ltd ホスホン酸の製造法
JPS59166596A (ja) 1983-03-14 1984-09-19 Nippon Mektron Ltd 離型剤
JPS60190309A (ja) 1984-03-12 1985-09-27 Nippon Mektron Ltd 離型剤
JPS60193615A (ja) 1984-03-16 1985-10-02 Nippon Mektron Ltd 離型剤
JPS62194117A (ja) * 1986-02-20 1987-08-26 Ngk Spark Plug Co Ltd デイ−ゼルエンジン等に用いるシ−ズグロ−プラグ
JP2658172B2 (ja) 1988-05-11 1997-09-3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離型剤
US5256318A (en) 1990-04-07 1993-10-26 Daikin Industries Ltd. Leather treatment and process for treating leather
JPH085063B2 (ja) 1990-06-27 1996-01-24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水性離型剤組成物
JP3018091B2 (ja) * 1990-08-03 2000-03-13 花王株式会社 油性外用剤
JP3348433B2 (ja) * 1993-06-24 2002-11-2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非粘着性組成物
DE4342728A1 (de) 1993-12-15 1995-06-22 Thomae Gmbh Dr K Verfahren, Apparate und Perfusionslösungen zur Konservierung explantierter Organe
JPH08323187A (ja) 1995-03-31 1996-12-10 Shiseido Co Ltd 乳化組成物
JP4688987B2 (ja) 1998-08-31 2011-05-25 株式会社バイオバンク 哺乳類動物摘出臓器の保存方法
IT1314183B1 (it) 1999-08-04 2002-12-06 Ausimont Spa Composizioni cosmetiche a base di perfluoropolieteri per laprotezione della pelle
ITMI20020057A1 (it) 2002-01-15 2003-07-15 Ausimont Spa Composizioni acquose di fosfati di perfluoropolieteri e loro uso per conferire oleorepellenza alla carta
JP2004358397A (ja) * 2003-06-05 2004-12-24 Daikin Ind Ltd 界面活性剤、含フッ素重合体の製造方法及び含フッ素重合体水性分散液
EP3536396B1 (en) * 2006-08-07 2022-03-30 The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Fluorocarbon emulsion stabilizing surfactants
JP5278430B2 (ja) * 2008-06-13 2013-09-04 ユニマテック株式会社 ポリフルオロ−1−アルケンおよびその製造法
EP2407472B1 (en) * 2009-03-13 2013-12-04 Unimatec Co., Ltd. Polyfluoroalkylphosphonic acid,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mold-releasing agent comprising same as active ingredient
CA2756685C (en) * 2009-04-15 2019-12-24 Oxygen Biotherapeutics, Inc. Emulsions of perfluorocarbons
WO2010140651A1 (ja) * 2009-06-04 2010-12-09 ユニマテック株式会社 グラフト共重合体および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離型剤
JP4614007B2 (ja) * 2009-06-05 2011-01-19 ユニマテック株式会社 離型剤
EP2476687B1 (en) * 2009-09-11 2013-12-25 Unimatec Co., Ltd. Polyfluoroalkylphosphonic acid oxyalkylene ester,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release agent containing same as active ingredient
JP4626715B1 (ja) * 2009-09-11 2011-02-09 ユニマテック株式会社 離型剤
WO2011034003A1 (ja) * 2009-09-17 2011-03-24 ユニマテック株式会社 エマルジョンおよびそれを用いた離型剤
CN102596382B (zh) * 2009-11-04 2014-09-17 优迈特株式会社 聚氟烷基膦酸盐乳化剂和以该乳化剂作为有效成分的脱模剂
JP4858628B2 (ja) * 2010-05-25 2012-01-18 ユニマテック株式会社 含フッ素ポリマー水性分散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34003A1 (ja) 2011-03-24
EP2479216A4 (en) 2015-09-16
KR101413015B1 (ko) 2014-06-30
US20150306659A1 (en) 2015-10-29
CN102510880A (zh) 2012-06-20
US9610634B2 (en) 2017-04-04
US9937551B2 (en) 2018-04-10
EP2479216A1 (en) 2012-07-25
CN102510880B (zh) 2014-06-25
EP2479216B1 (en) 2017-11-08
US20120178075A1 (en) 201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59508A (ko) 에멀션 및 그것을 사용한 이형제
KR101374596B1 (ko) 폴리플루오로알킬포스폰산염 유화제 및 이것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이형제
JP4656307B2 (ja) 含フッ素有機ケイ素化合物及び含フッ素界面活性剤
JPH0867888A (ja) 減摩性組成物及び減摩方法
JP3986579B2 (ja) 有機溶媒におけるポリテトラフルオロエチレン分散物およびそれに使用される分散剤
JP2011063709A (ja) 離型剤
CN102574880B (zh) 多氟烷基膦酸氧化烯酯、其制备方法及以其作为有效成分的脱模剂
JP5251801B2 (ja) 表面処理剤
JPH0411366B2 (ko)
JPH0245571B2 (ko)
JP5282793B2 (ja) エマルジョン
JP5196217B2 (ja) パーフルオロポリエーテル含有アミン及び界面活性剤
US20210253610A1 (en) Perfluoropolyether phosphate ester,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surface treatment agent comprising the same as active ingredient
KR101378572B1 (ko)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그것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이형제
JP2011110713A (ja) 離型剤
JP2012237000A (ja) エマルジョン
JP2023027615A (ja) 離型剤
JP2020158600A (ja) パーフルオロ基含有化合物エマルジョン
JPH0462113A (ja) 水性離型剤組成物
JPS636329B2 (ko)
US20220204701A1 (en) Curable composition and optical material comprising cured product thereof
JP2011184333A (ja) 含フッ素有機ケイ素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