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6992A - 비만억제 활성과 혈당강하 효능이 있는 꾸지뽕 및 의이인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비만억제 활성과 혈당강하 효능이 있는 꾸지뽕 및 의이인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6992A
KR20120026992A KR1020110091709A KR20110091709A KR20120026992A KR 20120026992 A KR20120026992 A KR 20120026992A KR 1020110091709 A KR1020110091709 A KR 1020110091709A KR 20110091709 A KR20110091709 A KR 20110091709A KR 20120026992 A KR20120026992 A KR 20120026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xtract
uiyiin
kkujipp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1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8668B1 (ko
Inventor
김현구
도정룡
한찬규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20026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6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61K36/8994Coix (Job's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4Cnidium (snowpars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1Astragalus (milkvet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4Lauraceae (Laurel family), e.g. cinnamon or sassaf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9Schisandraceae (Schisandr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4Dioscoreaceae (Yam family)
    • A61K36/8945Dioscorea, e.g. yam, Chinese yam or water ya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iabet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docrin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꾸지뽕 추출물 및 의이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 또는 혈당강하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꾸지뽕 추출물 및 의이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 또는 혈당강하용 약제학적 조성물, 꾸지뽕 추출물 및 의이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 또는 혈당강하용 건강기능식품 또는 식품 첨가용 조성물, 꾸지봉 및 의이인을 주원료로 하여 제조한, 비만억제 기능과 혈당강하 효능이 있는 정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만억제 활성과 혈당강하 효능이 있는 꾸지뽕 및 의이인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ompositon with anti-obesity and anti-diabetic activity comprising cudrania tricuspidata and adlay,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꾸지뽕 추출물 및 의이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 또는 혈당강하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꾸지뽕 추출물 및 의이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 또는 혈당강하용 약제학적 조성물, 꾸지뽕 추출물 및 의이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 또는 혈당강하용 건강기능식품 또는 식품 첨가용 조성물, 꾸지봉 및 의이인을 주원료로 하여 제조한, 비만억제 기능과 혈당강하 효능이 있는 정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 있어서 경제적 발전으로 인한 식생활의 서구화 및 생활의 편의에 따른 활동량의 감소와 체중의 증가 그리고 사회의 복잡성 등으로 질병의 양상이 크게 변화하고 있다. 과거와는 달리 동맥경화, 고혈압, 암, 비만 및 당뇨병 등의 만성 퇴행성 질환이 주요 사망원인으로 나타났다. 이들 만성퇴행성 질환 중에 특히 당뇨병은 비만과 함께 그 환자수가 빠른 속도로 증가할 뿐만 아니라 그 유병 연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어 더욱더 그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다.
당뇨병은 혈액 내에 존재하는 포도당이 소변을 통해 배출되는 질환으로서, 근본적인 치유가 되지 않는 만성 퇴행성 질환 중의 하나이다. 급속한 경제발전에 따른 식생활의 변화로 평균수명은 연장되는 것에 반하여 당뇨병 등의 만성 퇴행성 질환은 증가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국내에서의 당뇨병 발병률은 약 5-10%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21세기에는 당뇨병이 국가적 차원에서도 심각한 건강장애 질환이 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당뇨병은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건강장애 질환이 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3번째로 심각한 질병으로 망막, 신장, 신경, 심혈관계 등의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하고 있어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비만은 고혈압, 당뇨병, 심장순환계질환 및 각종 암 등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며 비만관련 질병치료에 소요되는 의료비는 날로 증가하고 있어 체지방 감소효과를 가지는 물질의 규명 및 이의 효과를 입증하는 노력은 전 세계적으로 큰 관심사가 되고 있다. 또한, 비만을 치료하고 예방하는 방법은 여러 나라에서 활발하게 다각적인 측면에서 연구되고 있는데 현재 실행되고 있는 방법으로 음식물의 섭취량을 억제하여 에너지소비를 줄이는 식이요법, 운동을 통해 에너지를 발산시키는 운동요법, 장기의 일부를 절제하거나 지방 흡입술과 같은 수술요법 그리고 에너지 대사 촉진제, 식욕억제제, 소화흡수 억제제 등을 사용하는 약물요법이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비만을 치료하는 방법 중 완전한 방법은 없으며 이러한 방법을 중단하였을 때 다시 체중이 증가되는 요요현상이 나타나거나 식이제한에 의한 영양불균형, 면역력 저하에 의한 감염 등 여러 가지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약물요법의 경우, 우울증, 불면증, 소화장애 등 그 부작용이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전통적인 방법 이외에 체중감소를 촉진하는 효과적이며 안전한 방법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 (Carr.) Bureau ex Lavallee)는 속명으로서 구지뽕나무, 굿가시나무, 활뽕나무라 불리며 뽕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이다. 꾸지뽕나무의 뿌리껍질, 나무질부, 나무껍질 및 잎에는 인체에 유효한 다양한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서, 전래로부터 꾸지뽕나무는 그 뿌리, 껍질, 줄기, 잎, 나무껍질, 열매 등 부위에 따라 혈압강하제, 결핵치료제, 해열제, 건해제, 거담제, 이뇨제, 지혈제, 거풍제 등의 약재로 이용되었으며, 항진균제로서 무좀에 사용하고 소화기관의 허약에 의한 만성소화불량에 이용되고 있다.
또한 꾸지뽕나무의 열매는 취과로 둥글며 지름이 2.5cm 내외이며, 9월?10월에 적색으로 성숙하며, 과육은 달고 식용이 가능하다. 그 열매에는 비타민 B, B1,B2, 비타민 C, 리놀레인산, 포도당, 말토스, 후럭토스, 사과산, 레몬산 등 유용한 유기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줄기 껍질에는 폐암, 대장암, 피부암, 자궁암 등에 효과가 놓은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꾸지뽕나무는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플라노보이드를 함유하고 있어서, 약재로 사용되고 있음이 동의보감, 약성감, 본초강목 등에서 고대로부터 널리 알려져 있다.
한편, 최근에는 지속적으로 꾸지뽕나무로부터의 추출물을 이용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내의 꾸지뽕 관련 특허로는 꾸지뽕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솔비톨을 이용한 꾸지뽕 분말과 립의 제조 방법, 꾸지뽕나무 뿌리추출물로 코팅한 기능성 쌀과 그 제조 방법 등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바와 같이 꾸지뽕 추출물이 비만과 당뇨 억제 효과를 갖는 기술은 개시된 바 없다.
의이인(Coicis semen)은 건비삼습(健脾渗濕), 제비지사(除痺止瀉) 및 청열배농(淸熱排膿)의 효능이 있으며, 주로 전분, 지질, 코익솔, 스테롤, 아미노산, 비타민 B1 및 코익세놀리드 (Coixenolide)가 함유되어 있다. 벼과의 한해살이 초본으로 재배하며 율무, 해려, 옥담, 기실 및 공미라고도 한다. 약리작용으로는 항염, 항암 작용이 있고, 과콜레스테롤 함량을 낮추며 진정 및 진통 작용이 있어 신경통이나 관절통에 주사약으로도 사용된다. 또한 소화불량, 관절통 및 근육경련에 유용, 피로회복 및 기미, 주근깨의 예방에 효과적이어서 얼굴에 난 잡티를 제거하고 미백효과도 뛰어나며, 말초신경을 확장, 수축시키는 효능이 있어 여드름, 부종, 각기 및 신경통 등에도 효과가 있다.
그러나 꾸지뽕과 의이인을 혼합한 추출물이 비만과 당뇨를 동시에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교시되거나 기재된 바가 없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 유래의 비만 및 당뇨를 동시에 억제시킬 수 있는 물질을 찾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꾸지뽕과 의이인 추출물이 ATP citrate lyase와 H2O2에 의한 췌장 세포(pancreatic islets) 세포사멸 억제활성이 우수하여 비만 억제 및 당뇨 강하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꾸지뽕 추출물 및 의이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 또는 혈당강하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꾸지뽕 추출물 및 의이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 또는 혈당강하용 건강기능식품 또는 식품 첨가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꾸지뽕 추출물 및 의이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 또는 혈당강하용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꾸지뽕과 의이인 및 생약재로서 홍삼, 인삼, 산약, 뽕잎, 헛개나무 열매, 헛개나무 줄기, 헛개나무 잎, 감초, 계피, 황련, 복분자, 토사자, 사상자, 구기자, 오미자 및 황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생약재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의 혼합물에 기능성물질로서 비타민, 당류, 스쿠알렌, 타우린, 허브, 옥타코사놀 및 알긴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성물질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꾸지뽕과 의이인, 생약재 및 기능성물질이 혼합된 혼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의 혼합물을 5~20 ℃에서 10~20시간 숙성시키는 단계; 정제기를 이용하여 알약을 제조하는 단계; 및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 용액으로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꾸지뽕 추출물 및 의이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 또는 혈당강하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꾸지뽕"은 속명으로서 구지뽕나무, 굿가시나무, 활뽕나무라 불리며 뽕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이다. 꾸지뽕나무의 뿌리껍질, 나무질부, 나무껍질 및 잎에는 인체에 유효한 다양한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서, 전래로부터 꾸지뽕나무는 그 뿌리, 껍질, 줄기, 잎, 나무껍질, 열매 등 부위에 따라 혈압강하제, 결핵치료제, 해열제, 건해제, 거담제, 이뇨제, 지혈제, 거풍제 등의 약재로 이용되었으며, 항진균제로서 무좀에 사용하고 소화기관의 허약에 의한 만성소화불량에 이용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 꾸지뽕이 항비만 및 항당뇨 효과가 있음을 최초로 규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꾸지뽕 추출물이 항비만 및 항당뇨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표 1 및 2), 혈당농도를 낮추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5). 아울러, 지방세포 분화 시 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6).
본 발명에서 용어 "의이인"은 벼과의 한해살이 초본으로 재배하며 율무, 해려, 옥담, 기실 및 공미라고도 한다. 약리작용으로는 항염, 항암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본 발명에서 의이인 추출물이 항비만 및 항당뇨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표 1 및 2), 혈당농도를 낮추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5). 아울러, 지방세포 분화 시 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6).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꾸지뽕 및 의이인 각각 단독보다 꾸지뽕 및 의이인을 동량으로 포함하는 혼합물의 경우에 항비만 및 항당뇨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표 1 및 2). 이와 같은 결과는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이 비만억제 또는 혈당강하 효과를 갖고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비만억제 및 혈당강하 효과를 동시에 갖고 있다는 것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꾸지뽕 추출물 및 의이인 추출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꾸지뽕 및 의이인 추출물을 각각 제조한 후 적정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 혼합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꾸지뽕 추출물 및 의이인 추출물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는 1:1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꾸지뽕 및 의이인 추출물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들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각각 독립적으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코올은 에탄올, 메탄올 또는 부탄올일 수 있으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수용액 용매에서 추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꾸지뽕과 의이인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비만과 혈당강하를 통한 당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꾸지뽕과 의이인 추출물은 ATP citrate lyase와 H2O2에 의한 췌장 세포(pancreatic islets) 세포사멸 억제활성을 조사한 결과, ATP citrate lyase와 H2O2에 의한 췌장 세포(pancreatic islets) 세포사멸 억제활성이 우수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를 통해 비만억제 활성과 혈당강하 효능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2). 또한, 물과 주정에서 각각 추출한 꾸지뽕과 의이인 추출물이 대조군인 포도당에 비해 혈당상승율이 낮게 나타나 각각의 꾸지뽕과 의이인 추출물이 혈당강하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5).
본 발명의 꾸지뽕과 의이인 추출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활택제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꾸지뽕과 의이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정제 및 캡슐 등의 제형으로 제제하기 위해 유당, 전분, 셀룰로오스, 미세결정셀룰로오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부형제; 녹말, 덱스트린, 꿀, 시럽제, 셀룰로오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결합체; 결정셀룰로오스, 전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염, 메틸셀룰로오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붕해제; 스테아린산마그네슘, 글리세릴 베헤네이트, 탈크, 식물경화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활택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꾸지뽕과 의이인 추출물은 경구, 직장,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흉골내, 경피, 국소,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투여 용량은 성인의 경우, 일 회에 0.1 내지 10g,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g이며, 투여용량 수준은 환자의 성별, 연령,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약제혼합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적절하게 변화될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로 분할하여 투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꾸지뽕 및 의이인 추출 혼합물은 예로부터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되어 온 것으로 그 투여용량에 특별한 제약은 없다. 본 발명의 꾸지뽕 및 의이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유효량 범위를 고려하여 제조하도록 하며, 이렇게 제형화된 단위 투여형 제제는 필요에 따라 약제의 투여를 감시하거나 관찰하는 전문가의 판단과 개인의 요구에 따라 전문화된 투약법을 사용하거나 일정 시간 간격으로 수회 투여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의 꾸지뽕과 의이인 추출물은 비만과 당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건강기능식품 또는 식품 첨가용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꾸지뽕과 의이인 추출물은 비만과 당뇨 질환의 개선을 위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꾸지뽕과 의이인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는 원료에 대하여 0.01 ~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 ~ 1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단백질, 지방, 영양소, 조미제,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와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예를 들어, 타우마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과 같은 스테비아 추출물) 및 합성 향미제(예를 들어,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꾸지뽕 추출물 및 의이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 또는 혈당강하용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정제는 비만억제 및 혈당강하 효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제는 홍삼, 인삼, 산약, 뽕잎, 헛개나무 열매, 헛개나무 줄기, 헛개나무 잎, 감초, 계피, 황련, 복분자, 토사자, 사상자, 구기자, 오미자 및 황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생약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 및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 제조시 주재료로 사용하는 꾸지뽕과 의이인은 잎, 줄기, 열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분말형태로 가공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분말형태로 가공은 당업계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한 없이 수행할 수 있으나, 그 예로 분쇄기로 분쇄하여 분말형태로 가공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분쇄기로 분쇄후 메쉬(mesh)를 이용하여 더욱 분말화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40~100메쉬로 분말화한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 및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 제조시 주재료로 사용하는 꾸지뽕과 의이인은 잎, 줄기, 열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용매에 넣고 추출하여 얻은 꾸지뽕과 의이인 추출물을 여과한 다음 분무건조하여 고상의 형태로 얻은 다음 이 고상의 꾸지뽕과 의이인을 분말형태로 가공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분말형태로의 가공은 당업계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한 없이 수행할 수 있으나, 그 예로 분쇄기로 분쇄하여 분말형태로 가공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분쇄기로 분쇄후 메쉬를 이용하여 더욱 분말화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0~100메쉬, 바람직하게는 40~100메쉬로 분말화한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 및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 제조시 사용하는 꾸지뽕과 의이인은 분말 형태의 꾸지뽕과 의이인인 것으로 정의한다.
또한, 상기 꾸지뽕과 의이인은 1~20 mm, 바람직하게는 1~15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mm,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5 mm의 소정의 크기로 절단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꾸지뽕과 의이인은 용매로 정제수 또는 에탄올(ethanol)을 사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탄올은 50 % 내지 100% 농도의 에탄올,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 농도의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로 정제수를 사용하는 경우, 꾸지뽕과 의이인을 꾸지뽕과 의이인 중량 대비 3~50배량의 정제수, 바람직하게는 3~30배량의 정제수에 놓고 90~110 ℃에서 최초 정제수의 함량이 10~50 %이 되도록 추출하여 꾸지뽕과 의이인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용매로 에탄올을 사용하는 경우, 꾸지뽕과 의이인을 꾸지뽕과 의이인 중량 대비 3~50배량, 바람직하게는 3~10배량의 에탄올에 놓고 50~60 ℃에서 1~5시간 동안 추출하여 꾸지뽕과 의이인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꾸지뽕과 의이인 추출물은 파장이 1 mm~1 m인 마이크로파(microwave) 존재하에서 50~60 ℃의 용매에서 1~2시간의 조건으로 추출하여 얻을 수 있으며, 이때 용매는 상기에서 언급한 정제수 또는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 제조시 부재료로 홍삼, 인삼, 산약, 뽕잎, 헛개나무 열매, 헛개나무 줄기, 헛개나무 잎, 감초, 계피, 황련, 복분자, 토사자, 사상자, 구기자, 오미자, 황기, 백출, 백복령, 숙지황, 작약, 천궁, 당귀 및 육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생약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종 이상의 생약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생약재를 2종을 포함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서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 제조시 부재료인 생약재는 분말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생약재의 분말화 공정은 상기에서 언급한 꾸지뽕과 의이인을 분말화한 공정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 제조시 꾸지뽕과 의이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생약재 10~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 및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 제조시 꾸지뽕과 의이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생약재 10 중량부 미만을 사용하면 생약재의 기능성 발현이 미미하고, 생약재를 5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생약재의 함량 증가에 따른 생약재의 기능성 향상이 미미하므로, 본 발명의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 및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 제조시 꾸지뽕과 의이인 100중량부에 대하여 생약재 10~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 제조시 정제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꾸지뽕, 의이인 및 생약재 이외에 비타민(vitamin), 당류(saccharide), 스쿠알렌(Squalene), 타우린(taurine), 허브(herb), 옥타코사놀(Octacosanol), 알긴산나트륨 (Sodium Alginat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성 물질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종 이상의 기능성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성 물질을 2종 이상을 포함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기능성 물질은 비타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꾸지뽕과 의이인 100 중량부에 대하여 비타민 1~5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비타민은 비타민 D,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비타민 B12, 비타민 B13, 비타민 C, 비오틴, 폴산, 콜린, 이노시톨, 비타민 L, 비타민 P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물질은 당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꾸지뽕과 의이인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당류 1~10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당류는 유당, 올리고당, 설탕, 과당, 포도당, 덱스트린,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파라티노스, 만니톨, 말티톨, 이노시톨, 쿠에르시톨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물질은 허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꾸지뽕과 의이인 100 중량부에 대하여 허브 1~10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허브는 녹차, 모자반, 알로에, 쑥, 클로렐라, 홍차, 우롱차, 으름덩굴, 드릅나무, 느릅나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물질은 알긴산나트륨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꾸지뽕과 의이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알긴산나트륨 1~5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물질은 비타민(vitamin), 당류(saccharide), 스쿠알렌(Squalene), 타우린(taurine), 허브(herb), 옥타코사놀(Octacosanol), 알긴산나트륨 (Sodium Alginate)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을 각각의 함량만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 제조시 정제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2차 기능성물질인 호로파씨(Fenugreek seed) 분말 또는 모시잎(ramie leaf) 분말을 추가로 더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2차 기능성 물질은 꾸지뽕과 의이인 100 중량부에 대하여 호로파씨 분말 0.5~10 중량부 또는 모시잎 분말 0.5~10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 기능성물질은 2차 기능성물질 중량 대비 3~30배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0~110 ℃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5~50 %, 바람직하게는 5~35 %, 보다 바람직하게는 5~30 %,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25 %가 되도록 추출한 후 여과하고 분무건조방법에 의해 분말화한 다음 입도크기가 10~100 메쉬(mesh)로 조절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a) 꾸지뽕 및 의이인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홍삼, 인삼, 산약, 뽕잎, 헛개나무 열매, 헛개나무 줄기, 헛개나무 잎, 감초, 계피, 황련, 복분자, 토사자, 사상자, 구기자, 오미자 및 황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생약재 10~5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 (b) 상기 혼합물에 꾸지뽕과 의이인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기능성 물질로서 비타민 1~5 중량부, 당류 1~10 중량부, 스쿠알렌 0.5~5 중량부, 타우린 0.5~5 중량부, 허브 1~10 중량부, 옥타코사놀 0.1~5 중량부 및 알긴산나트륨 1~5 중량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성 물질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꾸지뽕과 의이인, 생약재 및 기능성물질이 혼합된 혼합물을 얻는 단계; (c) 상기의 혼합물을 5~20 ℃에서 10~20시간 숙성시키는 단계; (d) 정제기를 이용하여 알약을 제조하는 단계; 및 (e)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 용액으로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 제조시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의 원료 성분들의 혼합은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의 원료 성분들이 잘 혼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10~20 ℃에서 20~60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이때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의 원료 성분들의 혼합시 꾸지뽕과 의이인과 생약재를 한꺼번에 혼합할 수 있고, 기능성물질을 추가로 더 첨가하는 경우 꾸지뽕과 의이인, 생약재, 기능성물질을 한꺼번에 혼합하거나 또는 생약재, 기능성물질을 1차로 혼합한 후 꾸지뽕과 의이인 성분을 첨가하여 2차로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 제조시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의 원료 성분들을 혼합한 후 10~30 ℃에서 1~5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10~20 ℃에서 2~4시간 동안,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 ℃에서 3시간 동안 숙성시킬 수 있다.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의 원료 성분들은 수분함량이 각기 다르므로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의 원료 성분들의 수분평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 제조를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해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의 원료 성분들을 혼합한 후 숙성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 및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 제조시 사용하는 부형제(賦形劑), 결합제, 붕해제(崩解劑), 활택제(滑澤劑)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 및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 제조시 사용하는 부형제(賦形劑), 결합제, 붕해제(崩解劑), 활택제(滑澤劑)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꾸지뽕과 의이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부형제의 일예로 유당, 전분, 셀룰로오스, 미세결정셀룰로오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결합제의 일예로 녹말, 덱스트린, 꿀, 시럽제, 셀룰로오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붕해제의 일예로 결정셀룰로오스, 전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염, 메틸셀룰로오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활택제의 일예로 스테아린산마그네슘, 글리세릴 베헤네이트, 탈크, 식물경화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부형제(賦形劑), 결합제, 붕해제(崩解劑), 활택제(滑澤劑)는 정제 제조시 사용하는 성분이므로 본 발명에서 이러한 성분을 사용할 경우 당업자가 적의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 제조시 정제기를 이용하여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를 제조한 후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의 표면을 코팅하여 표면이 코팅된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정제의 표면에 코팅하는 코팅제는 인체에 유해성이 없으며, 식품관련 분야에서 코팅제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코팅제의 일예로서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Hydroxy prophyl methyl cellulose, HPMC), 셀락(Shellac), 젤라틴(gelatin), 아라비아검(Arabic Gum), 카카오(cacao), 레시틴(lecitin)을 사용하여 정제의 표면에 코팅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 0.3 %를 용액으로 사용한다.
상기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의 표면에 코팅제로 코팅시 상기 코팅제를 스프레이(spray)와 같은 분무장치를 이용하여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의 표면을 코팅할 수 있다. 한편,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의 표면에 코팅제로 코팅하는 방법은 당업자가 적의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을 비만 또는 당뇨병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또는 당뇨병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비만 또는 당뇨병 환자는 비만 또는 당뇨병이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수 있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꾸지뽕 및 의이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비만 또는 당뇨병 환자에 투여함으로써, 환자를 효율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비만 또는 당뇨병 환자에게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료 방법은 꾸지뽕 및 의이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약제학적 유효량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총 1일 사용량은 올바른 의학적 판단범위 내에서 처치의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상, 특정 환자에 대한 구체적인 치료적 유효량은 달성하고자 하는 반응의 종류와 정도, 경우에 따라 다른 제제가 사용되는지의 여부를 비롯한 구체적 조성물,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구체적 조성물과 함께 사용되거나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와 의약 분야에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는 생약재를 포함하고 있어 생약재에 의해 기능성이 향상된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 및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기능성 물질을 추가로 포함하여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 및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꾸지뽕과 의이인 추출물은 ATP citrate lyase와 H2O2에 의한 pancreatic islets 세포사멸 억제활성이 우수하여 비만 억제 및 혈당강하 효과를 나타내므로 비만과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기능성 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는 꾸지뽕과 의이인을 정제 형태로 가공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고 꾸지뽕과 의이인에 대한 저장을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꾸지뽕과 의이인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꾸지뽕과 의인이 정제의 제조공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항비만 항당뇨 천연물 소재의 선발
본초학 및 동의보감 등의 자료를 통하여 비만과 당뇨 처방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며 식품으로 허용되는 천연물 60여종을 검토하였다. 그 가운데 ATP citrate lyase 활성저해(항비만)와 H2O2에 의한 췌장 세포(pancreatic islets)의 산화적 손상억제(항당뇨)를 동시에 나타내는 천연물 15종을 선발하여 조사하였다.
본 실험에 시료로 사용된 소엽, 동과, 황련, 목통, 늙은 호박, 죽옆, 지골피, 독활, 상지, 산수유, 오미자, 황기, 의이인, 꾸지뽕, 브로콜리는 경동시장에서 구입하였다. 모든 생약재는 45 ℃에서 열풍건조하였고, 건조된 각 시료는 분쇄기(M20, IKA, Germany)를 사용하여 분쇄한 다음, 0.2 mm PE 필름에 밀봉 포장하여 냉동고에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ATP - citrate lyase 활성 저해( 항비만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선택된 천연물 15종의 ATP-citrate lyase 활성 저해(항비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12 주령 스프래그-돌리 숫쥐에게 고농도 당 식이(63 % 수크로즈, 30 % 카세인, 4 % 염 혼합물, 2 % 셀룰로즈 분말, 1 % 비타민 혼합물, 및 0.1 % 염화코린(choline chloride))을 3일간 급여하였다. 3일 후 숫쥐를 경추 탈골(cervical dislocation)시켜 죽이고, 간을 분리하여 얼음이 냉각된 버퍼(0.25 M 수크로즈, 50 mM Tris-HCl, pH 8.2, 10 mM MgCl2, 5 mM DTT(dithiothreitol) 및 0.1 mM PMSF(phenylmethylsulfonyl fluoride))에서 파쇄하였다. 그 다음 40 % 포화 암모늄 설페이트 용액으로 침전시키고 4 ℃에서 17,500 x g로 15분간 분리한 상층액을 여과 및 고속원심분리(4 ℃에서 100,000 g로 1 시간)하여 다시 분획한 분획분을 -80 ℃에서 보관하면서 ATP-citrate lyase 시료로 사용하였다. 상기 숫쥐 간의 ATP citrate lyase 활성은 NADH에 의한 oxaloacetate의 malate dehydrogenase-catalyzed reduction으로 측정하여 활성을 분석하였다.
실시예 3: 췌장 세포의 산화적 손상억제( 항당뇨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선택된 천연물 15종의 췌장 세포(pancreatic islets)의 산화적 손상억제(항당뇨)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쥐의 췌장을 분리하여 37 ℃에서 15분간 콜라게나제 V 용액(2 mg/ml)으로 처리하고, 차가운 Krebs-ringer bicarbonate 버퍼를 가해 분해를 정지시켰다. 동일한 버퍼로 3회 씻은 후, 입체현미경(stereomicroscope)을 이용하여 췌장 세포(islets)를 분리(handpicking)하였다. 분리한 세포들은 10 % 태아 소 혈청(fetus calf serum), 100 U/ml 페니실린 및 100/ml 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RPMI1640에서 37 ℃, 95 % O2 및 5 % CO2 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췌장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로 150 ㎕ RPMI1640 배지에서 10 islets/well의 농도가 되도록 하룻밤 전배양(preincubation)하였다. 전배양 후 실시예 1에서 준비한 천연물 시료를 각 웰에 넣고 37 ℃에서 48시간 배양하였고, 상기 각 웰에 500 μM H2O2를 넣어 다시 2시간 배양 후 10 ㎕ MTT 용액을 가하여 37 ℃에서 4시간 추가로 배양하였다. 상청액 (Sepernatant)을 버리고 100 ㎕ DMSO(dinethylsulphoxide)를 넣어 고발색 반응물(dark blue crystal formazan)을 완전히 녹이고,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췌장 세포의 산화적 손상억제 활성을 분석하였다.
상기 실시예 2 및 3에서 측정한 결과로부터, 천연물 60종 중 ATP citrate lyase와 H2O2에 의한 췌장 세포의 세포사멸 억제활성이 우수한 15 종 천연물의 IC50 측정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그 결과,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15종의 천연물 시료 중 H5(늙은 호박), H14(의이인) 및 H15(꾸지뽕) 천연물은 ATP citrate lyase 및 H2O2에 의한 췌장 세포 세포사멸 억제활성이 우수하였고, H2와 H11은 ATP citrate lyase 억제활성이 우수하였으며, H9는 H2O2에 의한 췌장 세포 세포사멸 억제활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TP citrate lyase와 H2O2에 의한 췌장 세포 세포사멸 억제활성이 가장 우수한 H14와 H15를 각각 또는 동량 배합한 시료를 이용하여 ATP citrate lyase와 H2O2에 의한 췌장 세포 세포사멸 억제활성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그 결과,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ATP citrate lyase와 H2O2에 의한 췌장 세포 세포사멸 억제활성이 H14(의이인)와 H15(꾸지뽕)를 각각 사용한 경우보다는 동량 배합하여 사용한 경우에 현저히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비만과 당뇨를 동시에 억제할 수 있는 두가지 기능 소재 2종(H14, H15)인 꾸지뽕과 의이인을 선발하였다.
상기 H14와 H15 배합물을 당뇨식품 전문 유통업체와 공동으로 당뇨인 12명에게 2 개월간 섭취시킨 결과 혈당이 10 %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꾸지뽕과 의이인 동시 배합물이 항당뇨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아울러, 상기 표 1 및 표 2의 결과는 꾸지뽕과 의이인 동시 배합물이 항비만 및 항당뇨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실시예 4: 정제수로 추출한 꾸지뽕과 의이인 추출물의 제조
꾸지뽕과 의이인을 음지에서 자연 건조한 다음 분쇄기로 분쇄하여 입도크기가 80메쉬(mesh)인 꾸지뽕과 의이인 각각의 분말 20 g을 꾸지뽕과 의이인 분말 중량 대비 50배량의 1 L 정제수에 첨가하고 끓는점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하여 꾸지뽕과 의이인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의 꾸지뽕과 의이인 추출물을 농축한 후 진공동결건조하여 꾸지뽕과 의이인 각각의 추출분말을 얻었다.
실시예 5: 에탄올로 추출한 꾸지뽕과 의이인 추출물의 제조
꾸지뽕과 의이인을 음지에서 자연 건조한 다음 분쇄기로 분쇄하여 입도크기가 80메쉬(mesh)인 꾸지뽕과 의이인 각각의 분말 20 g을 꾸지뽕과 의이인 분말 중량 대비 50배량의 1 L의 70 % 에탄올에 첨가하고 80 ℃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하여 꾸지뽕과 의이인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의 꾸지뽕과 의이인 추출물을 농축한 후 진공동결건조하여 꾸지뽕과 의이인 각각의 추출분말을 얻었다.
상기 실시예 4 및 5에서 정제수 또는 70 % 에탄올에서 제조한 꾸지뽕과 의이인 추출물의 수율을 측정하였고, 3번 반복 실험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3
그 결과,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꾸지뽕과 의이인을 정제수에서 추출한 경우, 꾸지뽕은 22.41 %, 의이인은 31.72 %의 수율로 각각의 추출분말을 수득하였으며, 에탄올에서 추출한 경우, 꾸지뽕은 21.12 %, 의이인은 2.86 %의 수율로 각각의 추출분말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6 : 정제수로 추출한 꾸지뽕과 의이인 추출물의 정제 분말 제조 방법
꾸지뽕과 의이인을 음지에서 자연 건조한 다음 분쇄기로 분쇄하여 입도크기가 80 메쉬(mesh)인 꾸지뽕과 의이인 분말을 꾸지뽕과 의이인 분말 중량 대비 50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100 ℃에서 1시간 동안 파장이 500±5 mm인 마이크로파 존재하에서 추출하여 꾸지뽕과 의이인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의 꾸지뽕과 의이인 추출물을 분무건조한 후 입도크기를 조절하여 입도크기가 80 메쉬인 꾸지뽕과 의이인 분말을 얻었다.
실시예 7 : 생약재인 산약 , 뽕잎을 포함하는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 제조
꾸지뽕과 의이인 분말은 상기 실시예 6에서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꾸지뽕과 의이인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약 27 중량부, 뽕잎 9 중량부, 자일리톨 4 중량부, 비타민C 3.8 중량부, 옥타코사놀 1 중량부 및 스테아린산마그네슘 0.2 중량부를 20 ℃에서 40분 동안 호바트 믹서기로 1차 혼합한 후 꾸지뽕과 의이인 분말을 첨가하여 골고루 혼합하였다. 상기에서 산약, 뽕잎, 자일리톨, 비타민 C, 옥타코사놀 및 스테아린산마그네슘은 모두 각각 분쇄기로 분쇄하여 꾸지뽕과 의이인 분말과 동일한 입도크기로 조절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의 꾸지뽕과 의이인 분말이 포함된 혼합물을 20 ℃에서 3시간 동안 숙성시키고 정제기를 이용하여 압력 8 kg/cm2, 순간 온도 80 ℃로 정제하여 1개당 무게가 0.3 g인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의 표면에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HPMC) 3 % 용액으로 스프레이(spray) 코팅하여 표면이 HPMC로 코팅된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 생약재인 감초, 계피를 포함하는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 제조
꾸지뽕과 의이인 분말은 상기 실시예 6에서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의 꾸지뽕과 의이인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감초 27 중량부, 계피 9 중량부, 자일리톨 4 중량부, 비타민C 3.8 중량부, 옥타코사놀 1 중량부 및 스테아린산마그네슘 0.2 중량부를 포함하여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 생약재인 황련 , 황기를 포함하는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 제조
꾸지뽕과 의이인 분말은 상기 실시예 6에서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의 꾸지뽕과 의이인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황련 27 중량부, 황기 9 중량부, 자일리톨 4 중량부, 비타민C 3.8 중량부, 옥타코사놀 1 중량부 및 스테아린산마그네슘 0.2 중량부를 포함하여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 생약재인 백출, 백복령을 포함하는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 제조
꾸지뽕과 의이인 분말은 상기 실시예 6에서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의 꾸지뽕과 의이인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백출 27 중량부, 백복령 9 중량부, 자일리톨 4 중량부, 비타민C 3.8 중량부, 옥타코사놀 1 중량부 및 스테아린산마그네슘 0.2 중량부를 포함하여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 생약재인 숙지황, 작약을 포함하는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 제조
꾸지뽕과 의이인 분말은 상기 실시예 6에서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의 꾸지뽕과 의이인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숙지황 27 중량부, 작약 9 중량부, 자일리톨 4 중량부, 비타민C 3.8 중량부, 옥타코사놀 1 중량부 및 스테아린산마그네슘 0.2 중량부를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 생약재인 산약 , 뽕잎 및 2차 기능성 물질인 호로파씨를 포함하는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 제조
꾸지뽕과 의이인 분말은 상기 실시예 6에서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의 꾸지뽕과 의이인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약 27 중량부, 뽕잎 9 중량부, 자일리톨 4 중량부, 비타민C 3.8 중량부, 옥타코사놀 1 중량부, 스테아린산마그네슘 0.2 중량부 및 호로파씨 3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 생약재인 산약 , 뽕잎 및 2차 기능성 물질인 모시잎을 포함하는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 제조
꾸지뽕과 의이인 분말은 상기 실시예 6에서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의 꾸지뽕과 의이인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약 27 중량부, 뽕잎 9 중량부, 자일리톨 4 중량부, 비타민C 3.8 중량부, 옥타코사놀 1 중량부, 스테아린산마그네슘 0.2 중량부 및 모시잎 2.5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 에탄올로 추출한 꾸지뽕과 의이인 추출물의 정제 분말 제조 방법
꾸지뽕과 의이인을 음지에서 자연 건조한 다음 분쇄기로 분쇄하여 입도크기가 80 메쉬(mesh)인 꾸지뽕과 의이인 분말을 꾸지뽕과 의이인 분말 중량 대비 50배량의 70 % 농도의 에탄올에 첨가하고 80 ℃에서 2시간 동안 파장이 500±5 mm인 마이크로파 존재하에서 추출하고 감압농축하여 에탄올을 제거한 꾸지뽕과 의이인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의 꾸지뽕과 의이인 추출물 분무건조한 후 입도크기를 조절하여 입도크기가 80 메쉬인 꾸지뽕과 의이인 분말을 얻었다.
실시예 15 : 생약재인 산약 , 뽕잎을 포함하는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 제조
꾸지뽕과 의이인 분말은 상기 실시예 14에서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의 꾸지뽕과 의이인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약 27 중량부, 뽕잎 9 중량부, 자일리톨 4 중량부, 비타민C 3.8 중량부, 옥타코사놀 1 중량부 및 스테아린산마그네슘 0.2 중량부를 포함하여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6 : 생약재인 감초, 계피를 포함하는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 제조
꾸지뽕과 의이인 분말은 상기 실시예 14에서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의 꾸지뽕과 의이인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감초 27 중량부, 계피 9 중량부, 자일리톨 4 중량부, 비타민C 3.8 중량부, 옥타코사놀 1 중량부 및 스테아린산마그네슘 0.2 중량부를 포함하여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7 : 생약재인 황련 , 황기를 포함하는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 제조
꾸지뽕과 의이인 분말은 상기 실시예 14에서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의 꾸지뽕과 의이인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황련 27 중량부, 황기 9 중량부, 자일리톨 4 중량부, 비타민C 3.8 중량부, 옥타코사놀 1 중량부 및 스테아린산마그네슘 0.2 중량부를 포함하여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8 : 백출, 백복령을 포함하는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 제조
꾸지뽕과 의이인 분말은 상기 실시예 14에서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의 꾸지뽕과 의이인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백출 27 중량부, 백복령 9 중량부, 자일리톨 4 중량부, 비타민C 3.8 중량부, 옥타코사놀 1 중량부 및 스테아린산마그네슘 0.2 중량부를 포함하여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9 : 생약재인 숙지황, 작약을 포함하는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 제조
꾸지뽕과 의이인 분말은 상기 실시예 14에서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의 꾸지뽕과 의이인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숙지황 27 중량부, 작약 9 중량부, 자일리톨 4 중량부, 비타민C 3.8 중량부, 옥타코사놀 1 중량부 및 스테아린산마그네슘 0.2 중량부를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 관능검사
실시예 7 내지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각각의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에 대해서 맛, 향, 색, 외관, 씹힘성, 기호도와 같은 관능검사를 9점 척도법에 의하여 실시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4에 나타내었다. 상기 관능검사는 식품관련 분야에서 3년 이상 종사하였으며, 관능검사 경험을 지닌 남녀 20명(남여 각각 10명)으로 하여금 측정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4
상기 표 4에서 관능검사 항목에 대한 각각의 수치는 관능검사요원들의 점수의 총합을 관능검사요원수로 나눈 후 소수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으로 관능검사 항목에서 수치가 높을수록 관능성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관능검사 결과,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7 내지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의 맛, 향, 색, 외관, 씹힘성, 전체적인 기호도는 대부분 7점대를 넘고 있어 관능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 꾸지뽕과 의이인 추출물의 혈당강하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4 및 5에서 제조한 꾸지뽕과 의이인 추출물의 경구당부하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5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꾸지뽕과 의이인 추출물이 대조군인 포도당에 비해 혈당 상승율이 낮게 나타났으며, 이로 인해 꾸지뽕과 의이인 추출물이 혈당강하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꾸지뽕과 의이인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4 및 5에서 제조한 꾸지뽕과 의이인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지방전구세포인 3T3-L1를 지방세포로 분화시 상기 추출물이 축적되는 지방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하였다.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3-1: 3 T3 - L1 지방전구세포의 배양
지방전구세포의 배양은 1% P/S(penicillin-streptomycin)과 10% BCS(bovine calf serum)이 첨가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을 사용하여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은 3일 간격으로 하고, 세포는 100 Φ plate 바닥에 70% 정도 자랐을 때,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세척한 후, 0.25% trypsin-EDTA 용액을 넣어 37℃, 5% CO2 조건에서 3분간 정치 후 세포를 탈착시켜 계대배양하여 유지하였다.
3-2: 3 T3 - 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 유도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세포를 10% BCS와 1% P/S가 첨가된 DMEM을 이용하여 6 Well plate의 각 Well에 1.25×105 cells/well로 seeding하고 2일후 배지를 교환하여 3~4일째에 세포가 완전히 융합상태가 되게 하였다. 융합상태에서 배지를 분화 유도 배지인 MDI(IBMX, Dexa, Insulin)로 교환하여 분화를 유도 하였다. 이때, 꾸지뽕 및 의이인 추출물 시료가 지방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시료의 농도를 1 mg/ml 농도로 분화 유도 배지에 함께 처리하였다. 분화 유도 2일 후, 배지를 시료, 10% FBS, 1% P/S, 5 ㎍/㎖ insulin이 포함된 DMEM으로 교환 하였고 분화 유도 4일째부터는 2일에 한번씩 10% FBS와 1% P/S가 포함된 DMEM으로 교환하여 세포를 분화시켰다.
3-3: Oil - red O 염색
Oil-red O 염색 및 정량 분석은 분화 유도 7~9일째 된 세포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10% FBS DMEM을 제거한 뒤, 세포를 PBS로 2번 세척하고, 10% formalin으로 4℃에서 1시간 동안 고정한 다음 증류수로 3번 세척하였다. 세척된 세포는 세포내 생성된 lipid droplet과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oil-red O 용액으로 1시간 동안 염색하였다. 염색 후, 염색액을 제거하고 증류수를 이용해 3번 세척한 다음 증류수를 well에 채우고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중성지방의 정량은 증류수를 제거하고 완전히 마른 well에 100% iso-propyl alcohol을 2㎖ 첨가하여 oil-red O를 다시 용출시킨 후 ELISA reader로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각의 시료가 3T3-L1 지방세포(adipocytes)의 분화 시 축척되는 지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분화 유도 배지에 각 시료를 1 mg/ml의 농도로 희석하여 Oil-red O staining 수행 결과, 율무(의이인) 주정추출물이 대조군대비 92.9%의 지방축척을 나타내었으며, 꾸지뽕 물추출물은 60.9% 그리고 꾸지뽕 주정추출물이 20.5% 로 가장 낮았다(표 6).
이와 같은 결과들은 의이인 추출물 및 꾸지뽕 추출물이 비만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것을 뒷받침하는 결과로 의이인 추출물 및 꾸지뽕 추출물이 항비만 효과가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Figure pat00006
제조예 1 :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 제품 제조
원료 1 ㎏ 기준으로 꾸지뽕 추출분말 40 %(400 g), 의이인 추출 분말 40 % (400 g), 덱스트린 12 %(120 g), 비타민 C 5 %(50 g)을 혼합한 후 HPMC 3 %(20 g)을 배합하여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 제품을 제조하였다(표 7).
Figure pat00007

Claims (8)

  1. 꾸지뽕 추출물 및 의이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 또는 혈당강하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꾸지뽕 추출물 및 의이인 추출물을 1:1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추출물은 각각 독립적으로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한 것인 조성물.
  3. 꾸지뽕 추출물 및 의이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 또는 혈당강하용 건강기능식품 또는 식품 첨가용 조성물.
  4. 꾸지뽕 추출물 및 의이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 또는 혈당강하용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
  5. 제4항에 있어서, 홍삼, 인삼, 산약, 뽕잎, 헛개나무 열매, 헛개나무 줄기, 헛개나무 잎, 감초, 계피, 황련, 복분자, 토사자, 사상자, 구기자, 오미자 및 황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생약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비만억제 또는 혈당강하용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는 비타민, 당류, 스쿠알렌, 타우린, 허브, 옥타코사놀 및 알긴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성물질을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인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
  7. 제6항에 있어서, 꾸지뽕과 의이인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기능성 물질로서 비타민 1~5 중량부, 당류 1~10 중량부, 스쿠알렌 0.5~5 중량부, 타우린 0.5~5 중량부, 허브 1~10 중량부, 옥타코사놀 0.1~5 중량부 및 알긴산나트륨 1~5 중량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성 물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
  8. (a) 꾸지뽕 및 의이인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홍삼, 인삼, 산약, 뽕잎, 헛개나무 열매, 헛개나무 줄기, 헛개나무 잎, 감초, 계피, 황련, 복분자, 토사자, 사상자, 구기자, 오미자 및 황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생약재 10~5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
    (b) 상기 혼합물에 꾸지뽕과 의이인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기능성 물질로서 비타민 1~5 중량부, 당류 1~10 중량부, 스쿠알렌 0.5~5 중량부, 타우린 0.5~5 중량부, 허브 1~10 중량부, 옥타코사놀 0.1~5 중량부 및 알긴산나트륨 1~5 중량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성 물질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꾸지뽕과 의이인, 생약재 및 기능성물질이 혼합된 혼합물을 얻는 단계;
    (c) 상기의 혼합물을 5~20 ℃에서 10~20시간 숙성시키는 단계;
    (d) 정제기를 이용하여 알약을 제조하는 단계; 및
    (e)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 용액으로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꾸지뽕과 의이인 정제의 제조방법.
KR1020110091709A 2010-09-10 2011-09-09 비만억제 활성과 혈당강하 효능이 있는 꾸지뽕 및 의이인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3286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89122 2010-09-10
KR1020100089122 2010-09-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992A true KR20120026992A (ko) 2012-03-20
KR101328668B1 KR101328668B1 (ko) 2013-11-14

Family

ID=45811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1709A KR101328668B1 (ko) 2010-09-10 2011-09-09 비만억제 활성과 혈당강하 효능이 있는 꾸지뽕 및 의이인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47917B2 (ko)
JP (1) JP5718468B2 (ko)
KR (1) KR101328668B1 (ko)
CN (1) CN103298477B (ko)
WO (1) WO2012033378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809B1 (ko) * 2012-11-22 2014-10-17 한국식품연구원 율무 및 꾸지뽕잎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60045155A (ko) * 2014-10-06 2016-04-27 한국식품연구원 꾸지뽕 추출물을 이용한 코팅쌀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코팅쌀
WO2019107638A1 (ko) * 2017-11-29 2019-06-06 극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만예방 한약으로 만든 젤리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83031A (zh) * 2016-07-06 2018-01-16 陈栋梁 一种清蛋白肽混合物的制备方法及其抑制癌细胞增殖作用
CN109480289A (zh) * 2018-11-05 2019-03-19 天津国民健康技术有限公司 一种改善湿热体质的功能食品及其制备方法
CN112704231A (zh) * 2020-12-23 2021-04-27 江苏师范大学 一种用于阳虚肥胖体质的功能食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220142073A (ko) 2021-04-14 2022-10-2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생명의나무 꾸지뽕 잎 추출물 및 굼벵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당조절용 조성물
KR20220142074A (ko) 2021-04-14 2022-10-2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생명의나무 꾸지뽕 열매 추출물 및 굼벵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220142652A (ko) 2021-04-15 2022-10-2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생명의나무 꾸지뽕 열매 추출물 및 굼벵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738A (ko) 1994-07-01 1996-02-23 한동근 당뇨병 개선효과가 있는 건강영양 조성물
JPH0873369A (ja) * 1994-09-01 1996-03-19 Fuairudo:Kk 健康茶
KR100195886B1 (ko) * 1996-11-01 1999-06-15 김상조 당뇨병 치료용 의약조성물
KR100232671B1 (ko) 1997-07-25 2000-02-01 김이현 부인과 질환 및 여성비만 치료를 위한 조성물의 제조방법
JP4022300B2 (ja) * 1997-12-18 2007-12-12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下剤組成物
KR100422214B1 (ko) * 2001-08-27 2004-03-11 (주)헬퍼랩 생약성분을 함유하는 비만방지 차 조성물
JP2003063977A (ja) * 2001-08-28 2003-03-05 Shiseido Co Ltd 痩身用皮膚外用剤
US6683116B1 (en) * 2003-01-31 2004-01-27 Unigen Pharmaceuticals, Inc. Polycosanols from Ericerus pela wax
JP4312992B2 (ja) * 2002-03-07 2009-08-12 ピアス株式会社 抗アレルギー剤
JP2004161656A (ja) * 2002-11-12 2004-06-10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ペルオキシソーム増殖剤応答性受容体リガンド剤
KR100464455B1 (ko) * 2002-12-23 2005-01-03 북제주군 솔비톨을 이용한 꾸지뽕 분말과립의 제조방법
JP2004217532A (ja) * 2003-01-10 2004-08-05 Maruzen Pharmaceut Co Ltd 桑葉抽出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血糖値上昇抑制用組成物及び肥満防止用組成物
KR100572621B1 (ko) * 2003-03-19 2006-04-24 한국 한의학 연구원 비만 및 성인병 치료용 조성물
KR20050027506A (ko) 2003-09-15 2005-03-21 의료법인 길인의료재단 비만치료용 체감의이인탕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5154281A (ja) * 2003-11-20 2005-06-16 Ominedo Yakuhin Kogyo Kk 関節障害予防及び治療用医薬組成物
KR100641807B1 (ko) * 2004-05-31 2006-11-02 퓨리메드 주식회사 비만 억제용 한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692560B1 (ko) 2004-06-18 2007-03-13 한국식품연구원 항비만용 아밀라제 저해제 및 용도
KR20060002087A (ko) * 2004-07-01 2006-01-09 김지현 비만억제 및 치료용 홍삼 총 사포닌과 의이인의 혼합물
JP4742204B2 (ja) * 2005-01-21 2011-08-10 財団法人ヒューマンサイエンス振興財団 脂肪細胞分化制御剤
KR20050079913A (ko) 2005-05-04 2005-08-11 주식회사 엠디케스팅 헛개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를 위한조성물
JP4659655B2 (ja) * 2006-03-24 2011-03-30 富久 太田 ハトムギの茎葉を用いた食品及び医薬組成物
JP2007277128A (ja) * 2006-04-05 2007-10-25 Yutaka Araki 生活習慣病の予防・改善方法及び予防・改善剤
KR100796457B1 (ko) 2006-05-29 2008-01-2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약복합제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15212B1 (ko) * 2006-10-09 2008-03-19 조운행 혈당과 체중 조절용 꾸지뽕잎 추출물과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배합물
US20080286254A1 (en) * 2007-05-17 2008-11-20 Kaneka Corporation Composition comprising licorice polyphenol
KR20090075343A (ko) * 2008-01-04 2009-07-08 (주)케이엠제약 항당뇨 한방생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1537146B (zh) * 2008-03-19 2011-01-12 北京绿源求证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治疗结肠癌的中药
EP2300028A4 (en) * 2008-05-01 2012-10-17 Afexa Life Sciences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EFFICIENT HUANGLIAN (COPTIS SINENSIS) AND KU DING CHA EXTRACTS AS HYPOLIPEMANTS
JP2011522844A (ja) * 2008-06-12 2011-08-04 チェン スチョン 血糖レベルを低下させる組成物及びその用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809B1 (ko) * 2012-11-22 2014-10-17 한국식품연구원 율무 및 꾸지뽕잎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60045155A (ko) * 2014-10-06 2016-04-27 한국식품연구원 꾸지뽕 추출물을 이용한 코팅쌀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코팅쌀
WO2019107638A1 (ko) * 2017-11-29 2019-06-06 극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만예방 한약으로 만든 젤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33378A2 (ko) 2012-03-15
CN103298477B (zh) 2015-09-02
KR101328668B1 (ko) 2013-11-14
US8747917B2 (en) 2014-06-10
WO2012033378A3 (ko) 2012-05-31
CN103298477A (zh) 2013-09-11
US20130171276A1 (en) 2013-07-04
JP2013537890A (ja) 2013-10-07
JP5718468B2 (ja) 2015-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8668B1 (ko) 비만억제 활성과 혈당강하 효능이 있는 꾸지뽕 및 의이인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0864455B1 (ko) 간경변, 세포 독성 개선 및 간손상 억제 활성을 갖는 혼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09157712A2 (ko) 연골 재생, 통증 억제 및 부종 억제용 생약조성물
KR20070101441A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조성물
KR100967814B1 (ko) 자초추출물로부터 분리되는 시코닌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1172155A (zh) 生脉温胆汤新剂型及其生产方法
CN116370556A (zh) 一种活血祛瘀、益气安神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099147B1 (ko) 어수리 지하부 및 사상자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30553B1 (ko) 독활 및 승마 혼합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관련 질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525877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노화 방지를 위한 조성물
KR100865900B1 (ko) 복합생약추출물(occ-ⅰ) 또는 이의분말(occ-ⅱ)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2217732B1 (ko) 조기성숙 가성 유방 발달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0846521B1 (ko) 복합생약추출물(oca-ⅰ) 또는 이의분말(oca-ⅱ)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20060030575A (ko)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갑상선기능 항진증의 예방 및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30082249A (ko) 담쟁이 덩쿨 추출물을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10078237A (ko) 비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40083493A (ko) 참모자반 추출물 또는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234225B1 (ko) 두충 추출물 및 우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408908B1 (ko) 복합 소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16646B1 (ko) 겹삼잎국화 및 사상자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00108869A (ko) 생약재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70796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소기능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85006B1 (ko) 엉겅퀴, 도라지 및 더덕이 포함된 혼합물을 함유하는 천식 및 혈관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50094079A (ko) 생약추출물이 함유된 vdt 증후군의 안증상 개선용약학조성물
CN106470694A (zh) 用于改善包括寒冷敏感性的全身症状的口服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