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1441A -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조성물 - Google Patents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1441A
KR20070101441A KR1020060032424A KR20060032424A KR20070101441A KR 20070101441 A KR20070101441 A KR 20070101441A KR 1020060032424 A KR1020060032424 A KR 1020060032424A KR 20060032424 A KR20060032424 A KR 20060032424A KR 20070101441 A KR20070101441 A KR 20070101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xtract
alcoho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2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1524B1 (ko
Inventor
박선민
고병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당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당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당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060032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1524B1/ko
Publication of KR20070101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1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1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1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헛개나무 열매, 인진호, 갈근, 진피, 창출, 감초 및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장기간의 알코올 섭취로 인한 혈청 내 알코올 및 아세틸알데히드의 농도, GOT, GPT 및 γ-GTP의 농도 및 간과 혈청내의 중성 지방 함량을 감소시키므로 간 기능 개선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헛개나무 열매, 인진호, 갈근, 진피, 창출, 감초, 홍삼, 간기능 개선

Description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liver function comprising herbal mixture extract}
도 1a는 랫트(rat)에 알코올 공급 후 당일의 혈청 내 알코올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b는 랫트에 알코올 공급 후 9일의 혈청 내 알코올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c는 랫트에 알코올 공급 후 28일의 혈청 내 알코올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랫트에 알코올 공급 후 혈청 내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랫트에 알코올 공급 후 28일의 간과 혈청에서 중성 지방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랫트에 알코올 공급 후 28일의 GOT, GPT 및 γ-GTP의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랫트 간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헛개나무 열매, 인진호, 갈근, 진피, 창출, 감초 및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국내에서 1980년대 이후 경제 성장과 함께 알코올의 소비가 급증하여 1996년에는 성인 1인당 1일 평균 음주량은 맥주로 6병이었다(조선일보, 음주문화의 변화). 알코올은 뇌의 중추신경에 작용하여 기분을 좋게 하므로 고대에는 모든 약물의 기본 부형제로 이용되었고, 그 후 점차 사교에 큰 몫을 담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 음주 문화에서는 종종 과음과 잦은 음주로 많은 사람들이 숙취를 제거할 수 있는 약물 또는 음료수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음주 후 나타나는 숙취는 알코올 자체로도 독성을 나타낼 수 있을 뿐 아니라 체내에서 대사 과정 중 인체에 해로운 물질로 전환되고 이는 뇌와 간을 포함한 소화기관에 유해한 물질로 작용함으로 나타나는 증상이다.
음주 후 알코올은 식도 및 구강점막에서 소량 흡수되다가 약 10%는 위장에서 90%는 소장에서 흡수된다. 알코올은 3가지 경로를 통해 대사되는데, 에탄올의 농 도가 낮을 때는 위장관 또는 간에 존재하는 알코올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와 아세트알데히드탈수소효소(Acetaldehyde dehydrogenase)의 작용에 의해, 에탄올의 농도가 높을 때는 소포체에 존재하는 마이크로좀 에탄올 산화체계(MEOS: Microsomal ethanol oxidizing system)에 의해 아세트알데히드와 아세트산으로 대사되며, 이후 퍼옥시좀(peroxisome)에 존재하는 카탈라제(catalase)의 작용 등을 거쳐 이산화탄소(CO2)와 물(H2O)로 최종 분해된다. 적당량의 알코올이 유입되면 상기 기술한 대사 체계가 원활하게 작용하여 알코올 때문에 일어나는 제반 증상이 일어나지 않지만, 다량의 알코올 유입시 대사 체계의 균형이 파괴되어 생체 항상성을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 기관은 간인데, 장기적으로 지방간, 간경변증 등 여러 가지 간 기능 장애가 발생하고, 단기적인 증상으로는 두통 또는 두중감, 집중력 감퇴, 속쓰림 및 소화 불량 등이 초래된다.
간은 인간의 신체 장기 중 생체 내 대사가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는 장기로서, 지방 성분이 포함된 음식 또는 알코올의 과다 섭취, 바이러스의 감염, 각종 약품과 같은 유해물질, 영양부족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급성 또는 만성의 장애가 일어나며, 지방간, 간염, 황달, 간경화, 간암 등이 야기될 수 있다. 특히 음식을 통한 과다한 지방 섭취 또는 과도한 알코올 섭취는 간 조직에 지질이 쌓이는 지방간을 유발하며, 이때 혈청 속의 GOT(glutamate-oxaloacetate transaminase), GPT (glutamate-pyruvate transaminase), γ-GTP(γ-glutamyl transferase) 등이 증가 하게 된다. 간은 완충능력이 큰 기관으로 질환의 초기단계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다가 상당히 악화된 후에야 질환의 증상을 보이게 된다.
또한, 간은 인체에서 혈액의 저장 및 순환, 혈류량 조절과 방어 해독작용을 하며 정신적 활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산업화에 따른 공해 물질, 유독 물질에 우리의 몸은 항상 노출되어 있어 우리의 간은 끊임없는 해독작용에 시달리고 있다. 더욱이, 심각한 것은 정신적인 스트레스로 인한 간 손상이다. 정신적 휴식을 가질 경우 손상된 간 세포는 복구되지만 급박한 현대사회에서는 정신적 휴식의 여유를 찾을 수 없기 때문에 정신적 스트레스, 과음, 흡연으로 간 손상을 가중시켜 인체가 방어 해독작용을 하지 못해 면역체계에 이상을 가져와 다른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알코올성 간 질환은 알코올성 지방간, 알코올성 간염 및 간경변증으로 나뉜다. 이중 지방간이 가장 흔한 편이나 때때로 이들 세 가지 질환은 서로 겹쳐 있을 수도 있으며 그 심한 정도는 주로 음주 소비량과 관계가 깊다.
알코올성 지방간은 간 조직에 지방세포들이 빽빽하게 들어차 있는 것을 말하며, 이러한 지방 축적은 주로 간에서 중성지방의 합성 증가와 지단백 합성 후의 혈중 분비 장애와 더불어 말초 지방 조직으로부터 유리된 지방이 간으로 많이 들어오는 반면 지방산 산화 과정은 오히려 저하되기 때문에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알코올성 간염은 흔히 지방 세포의 침윤과 더불어 간 조직의 염증 반응과 섬유화가 일어나는 경우를 말한다. 여기에 간 세포가 죽어가는 괴사가 일어나고 딱딱한 결절이 형성된 경우를 알코올성 간경변증이라고 부른다. 알코올에 의한 지방간을 거 쳐 간염이 진행되어 간 경변으로 갈수록 교원질의 침착 정도가 증가하여 섬유화의 정도도 점점 심하게 된다. 술에 의한 간장 질환은 음주량이 많으면 많을수록, 그리고 그 기간이 길면 길수록 발생 위험률이 높아진다는 것은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실제 여러 조사 결과들이 이를 뒷받침해주고 있다. 실제로 알코올중독자 3 천명에서 간 조직 검사를 해보았더니 약 40%가 지방간을 보였으며, 5천4백80명의 30%에서도 알코올성 지방간이 확인되었다.
간경화(liver cirrhosis)는 간 조직이 섬유화 되어 일어나는데, 결합 조직의 생성과 분해과정의 항상성이 상실된 상태로, 간 조직 내에 결합 조직이 과도하게 축적, 괴사나 염증이 동반된다. 특히 근섬유아세포 형태로 전이된 간 방사상 세포 (hepatic stellate cells : HSCs)가 증식, 이동하여 과도한 결합 조직을 생성함으로써 이러한 간의 섬유화 과정을 진행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Gressner et al ., Biochem . Biophys . Res . Commun . 151~222, 1988). 간경화는 각종 간 질환이 만성적으로 진행할 경우 공통적으로 이르는 마지막 단계로, 간 혈류량 저하, 간내 혈류의 단축, 대사효소의 기능저하, 혈중 단백질의 질적, 양적 변화 및 담즙 유량의 변화 등 전반적인 간 기능이 저하된다.
현재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간 질환의 치료방법은 크게 식이 요법과 약제요법으로 구분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에 이 두 가지 방법을 병용하고 있다. 간 질환에 대한 약제 요법에서는 간 질환의 발병 원인 및 종류에 따라 다양한 작용 기전을 갖는 약제들이 이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우루소데옥시콜린산(ursodeoxycholic acid), 실리마린(silymarin; Biotech . Therapeutics, 4, 263- 270, 1993), DDB(biphenyl dimethyl dicarboxylate; Biochem. Biophy . Res . Comm, 103:1131-1137, 1981), 글루타치온(glutathione), 글리시리진(glycyrrhizin) 등과 같은 간 세포 재생촉진제 및 간 기능 보조제, 아시클로바(acyclovir)와 같은 항바이러스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corticosteroid), 6-메르캅토퓨린(6-mercaptopurine, 6-MP), 아자치오프린(azathioprine) 등과 같은 면역 억제제 등의 약제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간 질환은 한가지 원인에 의해서만 발생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 요인의 복합적인 작용에 의해 발병하기 때문에, 한가지 작용기전을 갖는 약제에 의한 것만으로는 모든 간 질환에 대해 충분하게 만족스러운 높은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는 없다. 또한 현재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간질환 치료약은 급격한 작용이 발생한다거나 대량 또는 장기간 투여 시에는 부작용이 나타나는 단점이 있다.
헛개나무(Hovenia dulis Thunb)는 갈매 나무과(Rhamnaceae)로 민간 요법에서는 숙취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의 의서나 동의보감에는 간 기능이나 숙취에 효과적이라는 기록은 찾을 수 없다. 반면 중국 명나라 때 이시진이 쓴 본초강목(本草綱目)에 "헛개나무는 가을이 되면 열매 대궁이 비대해지면서 산호 모양으로 되는데, 이것을 약으로 쓰며 맛이 달아서 사람들이 먹는다. 열매에는 숙취를 덜게 하고 간을 보호해 주는 약효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산림청 산하 임업연구원에서 이루어진 과학적인 조사에 따르면 헛개나무는 열매와 잎, 목재 중에 열매를 포함한 열매자루에 약효성분이 가장 많다고 한다. 열매 자루에서 추출한 물질 을 분석해본 결과, 고분자의 친수성(親水性)이며, 산 분해에도 강한 분자량 114,500 정도이고 물에 잘 녹는 구조를 갖는 다당류(polysaccharide)로 규명되었다. 이러한 물질에 간 독성 해소 및 숙취 해소 활성을 갖는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다. 또한 헛개나무는 글루타메이트(glutamate)로 유도한 뇌 손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헛개나무는 사염화타탄소로 유도한 간 소상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며(Hase K et al ., Biol . Pharm . Bull . 20(4):381-385, 1997), 헛개나무 열매에서 분리한 디하이드로플라보논(dihydroflavonols), 호베니틴(hovenitins) I, II 및 III가 알코올로 인한 간 손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다(Yoshikawa M et al ., Yakugaku Zasshi 117(2):108-118, 1997). 헛개나무 열매에서 분리한 석탄산 화합물(phenolic compound)에는 글루타메이트(glutamate)로 유도한 뇌 손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Li G et al ., Arch . Pharm . Res . 28(7):804-809, 2005), 헛개나무 열매는 급성 알코올 투여시 알코올 분해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다(Ji Y. et al ., Zhong Yao Cai 24(2):126-128, 2001).
인진호(Artemisia capillaris Thunb)는 국화과 식물로 간에 이상이 생길 때 나타나는 황달 치료의 특효약으로 이용하여 왔고, 중국, 일본에서는 같은 이름의 약초(Artemisa capillaris Thunb)가 유사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외에도 인진호는 청열이습, 해열, 이담, 소염 이뇨, 전염성 간염 등의 효과가 있다. 연구자들은 인진호가 간 세포에서 알코올에 의해서 분비되는 싸이토카인(cytokine)의 분비를 억제시킴으로 간 세포의 세포 사멸(apoptosis)을 억제한다고 보고하였다(Koo HN, et al ., Immunopharmacol . Immunotoxicol. 24(3):441-453, 2002).
갈근(Pueraria lobata Ohwi)은 콩과(Leguminosae)로 주피를 제거한 뿌리이다. 갈근에는 이소플라보노이드(isoflavonoids)로 다이자인(daidzein), 다이진(daidzin), 포모네팀 제니스틴(formonetinm geniste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트리테르펜(triterpenoids)인 소야사포제놀(soyasapogenol) A와 쿠주사포제놀(Kuzusapogenol) B 등이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성분은 진정 작용, 하열 작용 및 혈관의 이완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갈근은 알코올로 인한 지방간의 생성을 억제하는 약제 중의 하나로(Kwon HJ et al ., World J. Gastroenterol . 11(35):5512-5516, 2005), 갈근 뿌리의 물 추출물은 알코올 투여로 인한 지방 대사와 항산화 효소의 장애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Lee JS. et al ., Clin . Chim . Acta . 347(1-2):121-128, 2004). 갈근에 함유된 이소플라보노이드(isoflavonoids) 중 하나인 다이진(daidzin)은 알코올의 투여 후 혈중 알코올의 농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으며(Xie CI et al ., Alcohol Clin . Exp . Res . 18(6):1443-1447, 1994) 또한 갈근은 인산과 함께 알코올 섭취를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Carai MA et al ., Fitoterapia Aug;71 Suppl 1:S38-42, 2000).
진피는 귤(Citrus unshiu Markovich) 또는 그의 근연식물(산초나무과 Rutaceae)의 성숙한 과피이다. 정유성분인 d-리모넨(d-limonene), 리나롤(linalool)과 리날리아세테이트(linalylacetate)가 함유되어 있고, 플라보노이드(flavonoids)인 헤스피리딘(hesperidin), 나린긴(naringin), 포시린(porcirin)과 노비레틴(nobiletin)이 함유되어 있고 알카로이드(alkaloid)인 시네프린 (synephrine) 또한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진피는 항알레르기 활성(antiallergic activity)이 있고 진정 효과, 항바이러스 효과와 세로토닌(serotonine)의 작용도 향상시킨다는 보고도 있다. 연구자들은 갈근과 진피가 함유된 한약처방이 알코올의 흡수를 저하시켜 음주 후 혈청 알코올의 농도를 저하시켰다고 보고하였고(Shin BS et al ., J Toxicol . Environ . Health A. 68(23-24):2219-2226, 2005), 진피가 C형 감염(hepatitis C)에서 간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다(Cyong JC et al ., Am . J. Chin . Med. 28(3-4):351-360, 2000).
창출은 삽주(Atractylodes japonica Koidzumi)의 뿌리 줄기로 국화과(Compositae)에 속한다. 창출의 주요 성분은 아트라세티논(atractylone), 아트라세티레노이드(atractylenolide) I, II, III, 테트라하이드로아란톨시톨(tetrahydroalantolcton), 아부테노리드(abutenolide) B, b-에데스몰(b-eudesmol), 히네솔(hinesol) 등이 함유되어 있다. 창출은 수분대사를 촉진시켜 이뇨 및 발한을 촉진시키고 정장에도 효과적이다. 그러므로 음주 후 알코올의 배설을 촉진시켜 숙취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xher)는 콩과(Leguminosae)에 속한다. 감초에는 트리테르펜(triterpenoid) 계통의 스포닌(sponines)인 글리시리진(glycyrrhizin)과 글리시르헥틴산(glycyrrhetinic acid)이 있으며 플라보노이드(flavonoids)에는 리퀴리티게닌(liquiritigenin), 이소리퀴리티게닌(isoliquiritigenin), 리퀴리틴(liquiritin), 네오리퀴리틴(neoliquiritin)등이 함유되어 있고 이소플라보노이드(isoflavonoid) 계통인 글리세스트론(glycestrone), 글리시롤(glycyrol), 이소글리시롤(isoglycyrol), 리코리딘(licoridin), 7-아세톡시-2-메틸-이소플라본(7-acetoxy-2-methyl isoflavo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알려진 효과로는 항염 및 항궤양 효과가 있고, 소염 효과(antiphlogistic effect), 해열 작용(antipyretic effect), 진통 효과(analgestic effect)와 에스트로젠 활성(estrogenic activity)이 있다.
홍삼은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 오갈피나무과 Araliaceae)의 뿌리를 쪄서 말린 것이다. 홍삼은 백삼과 유사한 성분을 가지고 있지만 특별히 인삼을 쪄서 말리는 과정에서 배당체가 아세틸렌(acetylene)화되어 글리세롤(glycerol) 배당체를 가지고 있고 파낙시놀(Panaxynol), 파낙시트리올(panaxytriol), 지방산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백삼과 함께 강장, 보정 및 진정약으로 사용되고 있다. 연구자들은 인삼의 물 추출물이 알코올로 인한 간 독성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다(Lin CF. et al ., Phytother . Res. 17(9):1119-1122, 2003).
이에 본 발명자들은 헛개나무 열매, 인진호, 갈근, 진피, 창출, 감초 및 홍삼으로 이루어진 조성물이 간 기능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헛개나무 열매, 인진호, 갈근, 진피, 창출, 감초 및 홍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헛개나무 열매, 인진호, 갈근, 진피, 창출, 감초 및 홍삼을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한 간 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혼합 생약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헛개나무 열매, 인진호, 갈근, 진피, 창출, 감초 및 홍삼을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한 간 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혼합 생약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헛개나무 열매, 인진호, 갈근, 진피, 창출, 감초 및 홍삼 추출물이 간 기능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건조된 헛개나무 열매, 인진호, 갈근, 진피, 창출, 감초, 홍삼을 하기와 같은 중량부로 정량하여 추출하였다. 추출 방법은 당업계에서 공지된 일반적인 추출방법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여, 하기의 추출 방법으로 추출하였다: 1)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헛개나무 열매, 인진호, 갈근, 진피, 창출, 감초 및 홍삼에서 추출물을 획득하는 단계; 2) 단계 1)을 반복하여 2차 추출물을 획득하는 단계; 3) 단계 1)의 1차 추출물과 단계 2)의 2차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 단계 1)에서 순수한 물만으로도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부피는 4 ~ 8 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 시간은 2 ~ 24 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2시간 30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의 조성비는 헛개나무 열매 3 ~ 30 중량부, 인진호 0.1 ~ 6 중량부, 갈근 0.1 ~ 3 중량부, 진피 0.1 ~ 3 중량부, 창출 0.1 ~ 3 중량부, 감초 0.1 ~ 3 중량부, 홍삼 0.1 ~ 3.8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헛개나무 열매 8 ~ 20 중량부, 인진호 0.1 ~ 4 중량부, 갈근 0.1 ~ 2 중량부, 진피 0.1 ~ 2 중량부, 창출 0.1 ~ 2 중량부, 감초 0.1 ~ 2 중량, 홍삼 0.8 ~ 2.5 중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헛개나무 열매 10 중량부, 인진호 2 중량부, 갈근 1 중량부, 진피 1 중량부, 창출 1 중량부, 감초 1 중량부, 홍삼 1.24 중량부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혼합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랫트(rat)에게 섭취시키고 알코올을 공급한 후, 혈액을 채취하여 혈청 내 알코올 농도와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측정하였다. 이 때 헛개나무 열매, 인진호, 갈근, 진피, 창출, 감초 및 홍삼 각각의 단일 추출물(비교예 1 내지 7)과 상기 혼 합 성분에서 홍삼을 제외한 조성물(비교예 8), 시판되고 있는 숙취 해소제인 여명808을 양성 대조군으로, 물을 음성 대조군으로 랫트에 각각 섭취시킨 후 알코올을 공급하였다. 그 결과 알코올을 공급한 당일에서는 본 발명의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실시예 1 내지 7)은 단일 성분의 조성물(비교예 1 내지 8) 또는 음성 대조군보다 혈청 내 알코올 농도를 감소시기지 못했다. 본 발명의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실시예 1 내지 7)은 알코올을 장기 섭취한 후 9일 및 28일이 지나면서 양성 대조군보다 더 뛰어나게 알코올 농도를 감소시켰다(표 3 및 도 1b, 도 1c 참조). 또한 본 발명의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랫트에 알코올 공급 후 당일에는 혈청 내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를 감소시키지 못하였으나, 알코올 장기 복용 후 9일 및 28일이 지나면서 알코올알데히드의 농도 감소시키는 정도가 증가하였다(표 4 및 도 2 참조). 이를 통해 본 발명의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장기간의 알코올 섭취시 혈청 내 알코올과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며, 현재 판매되고 있는 여명 808보다 효율적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혼합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실시예 1 내지 7)을 랫트에게 장기적으로 섭취시키고 알코올을 공급한 후, 혈액을 채취하여 간의 기능 및 손상 정도를 나타내는 혈청 내 GOT, GPT 및 γ-GTP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이 때 헛개나무 열매, 인진호, 갈근, 진피, 창출, 감초 및 홍삼 각각의 단일 추출물(비교예 1 내지 7)과 상기 혼합 성분에서 홍삼을 제외한 조성물(비교예 8), 시판되고 있는 숙취 해소제인 여명808을 양성 대조군으로, 물을 음성 대조군으로 랫트에 각각 섭취시킨 후 알코올을 공급하였다. 그 결과, 본 발 명의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음성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GOT, GPT 및 γ-GTP의 농도를 감소시켰다(표 5 및 도 3 참조).
또한 알코올 과다 섭취시 나타나는 형상인 지방간으로의 유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랫트에 알코올과 장기적으로 섭취시키고 알코올을 공급한 후, 간과 혈액을 채취하여 간과 혈청 내의 중성지방 함량을 측정하였다. 이 때 헛개나무 열매, 인진호, 갈근, 진피, 창출, 감초 및 홍삼 각각의 단일 추출물(비교예 1 내지 7)과 상기 혼합 성분에서 홍삼을 제외한 조성물(비교예 8), 시판되고 있는 숙취 해소제인 여명808을 양성 대조군으로, 물을 음성 대조군으로 랫트에 각각 섭취시킨 후 알코올을 공급하였다. 그 결과, 간과 혈청 내의 중성지방 함량이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였다(표 6 및 도 4 참조).
본 발명자들이 실험 28일 후 랫트의 간 형태(morphology)를 조사한 결과, 간에 저장된 지방의 양이 음성 대조군에서 증가하나 본 발명의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섭취한 랫트의 간에서 지방의 양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도 5 참조).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이 GOT, GPT 및 γ-GTP의 농도를 감소시키며, 알코올로 인한 지방간 유도를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서물은 임상 투여시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주성분인 상기 간 기능 개선용 혼합 생약 추출물의 유효량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통상적인 담체 또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첨가제를 선택하여 통상적인 약제학적 제형의 조성물로 제조할 수 있다.
담체는 희석제, 활택제, 결합제, 붕해제, 감미제, 안정제, 방부제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첨가제로는 향료, 비타민류, 항산화제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담체 및 첨가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것은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구체적으로는 희석제로는 유당(lactose monohydrate), 옥수수 전분(cornstarch), 콩기름(soybean oil), 미결정 셀룰로오스(microcrystalline cellulose) 또는 만니톨(D-mannitorl)이 좋고, 활택제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 또는 탈크(talc)가 바람직하며, 결합제로는 폴리비닐피롤리돈(PVP: polyvinyipyrolidone)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 hydroxypropylcellulose) 중에서 선택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붕해제로는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칼슘(Ca-CMC: carboxymethylcellulose calcium), 전분글리콜산나트륨(sodium starch glycolate), 폴라크릴린칼륨(polacrylin potassium) 또는 크로스포비돈(cross-linked polyvinylpyrrolidone) 중에서 선택함이 바람직하고, 감미제로는 백당, 과당, 소르비톨(sorbitol) 또는 아스파탐(aspartame) 중에서 선택되고, 안정제로는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Ma-CMC: carboxymethylcellulose sodium), 베타-싸이크로덱스트린(beta-cyclodextrin), 백납(white bee's wax) 또는 산탄검(xanthan gum) 중에서 선택되며, 방부제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methyl p-hydroxy benzoate, methlparaben),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propyl p-hydroxy benzoate, propylparaben), 또는 소르빈산칼륨(potassium sorbate)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간 기능을 효율적으로 개선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 없으며, 음료, 파우더, 캅셀, 연질캅셀, 정제, 껌, 점착 타입 액제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치 또는 분무제와 같은 경피 투여형 제형으로 사용할 수 있고, 탕제, 환제, 정제, 산제, 과립제 등의 제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에는 상기 주요성분 이외에도 보조성분으로 비타민 B, C, E나 베타카로틴, Ca, Mg, Zn 등의 미네랄 함유 화합물이나 레시틴 등의 인지질 또는 말톨, 올리고당, 아미노산 등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중에서도 비타민 C, E나 베타카로틴, 말톨 등 중에서 2 내지 3 성분을 혼합하여 사용하면 생체 활성 효과를 보강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성분 이외에도 공지의 첨가제로서 미각을 돋구기 위하여 매실, 레몬향, 파인애플향 또는 허브향과 같은 천연향료나 천연과즙, 클로르필린(Chlorophyllin), 플라보노이드(Flovonoid) 등의 천연색소 및 감미 성분인 과당, 벌꿀, 당알코올, 설탕 등과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같은 산미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으로는 상기 헛개나무 열매, 인진호, 갈근, 진피, 창출, 감초 및 홍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차, 젤 리, 즙, 엑기스, 음료 등의 간 기능 개선를 목적으로 하는 민간요법제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가공된 본 발명의 간 기능 개선용 건강식품은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해독 작용이 우수할 뿐 아니라 복용이 용이하고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은 간 기능 개선을 목적으로 건강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헛개나무 열매, 인진호, 갈근, 진피, 창출, 감초 및 홍삼 추출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각각의 추출물을 그대로 참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는 본 발명의 간 기능 개선용 생약 추출물이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무제가 없으므로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혼합 생약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컬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하는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슈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0.01 내지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내지 0.03 g이다.
상기 외의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실험예와 제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실험예 및 제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6>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
헛개나무 열매, 인진호, 갈근, 진피, 창출, 감초, 홍삼(경동시장, 서울)을 각각 표 1과 같은 구성과 중량비가 되도록 중량을 측정한 후, 가온고압 한약추출기에 넣어 물 14 ℓ를 가하고 예열하였다. 100℃, 1 ~ 1.2 기압이 되면 2시간 30분 동안 가압 추출한 후 5 ~ 6 시간 동안 냉각하여 온도가 실온과 동일하게 되면 다시 예열하였다. 100℃, 1 ~ 1.2 기압이 되었을 때 예열을 멈추고 서서히 압력을 제거하면서 추출기에서 추출액을 밖으로 빼내었다. 추출액을 제거한 추출기에 다시 물 14 ℓ를 넣고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여 1차 추출액과 2차 추출액을 수득하고, 상기 추출액을 혼합하여 100 ㎖씩 포장하여 랫트(rat)에 공급할 때까지 냉장 보관하였다.
조성
헛개나무 열매 인진호 갈근 진피 창출 감초 홍삼
실시예 1 중량(g) 1500 300 150 150 150 150 186
중량부 10 2 1 1 1 1 1.24
실시예 2 중량(g) 1500 150 300 150 150 150 186
중량부 10 1 2 1 1 1 1.24
실시예 3 중량(g) 1500 150 150 300 150 150 186
중량부 10 1 1 2 1 1 1.24
실시예 4 중량(g) 1500 150 150 150 300 150 186
중량부 10 1 1 1 2 1 1.24
실시예 5 중량(g) 1500 150 150 150 150 300 186
중량부 10 1 1 1 1 2 1.24
실시예 6 중량(g) 1500 300 243 150 150 150 93
중량부 10 2 1.62 1 1 1 0.62
<실시예 7> 알코올을 이용한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
헛개나무 열매, 인진호, 갈근, 진피, 창출, 감초, 홍삼(경동시장, 서울)을 각각 표 1과 같은 구성과 중량비가 되도록 중량을 측정한 후 추출 자루에 넣고 100% 에탄올 10배에 침지하여 3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고 상온으로 식힌 후 여과지에 여과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용액이 완전히 증발할 때까지 감압 하에 50℃에서 농축기를 사용하여 농축함으로써, 결정체를 150 g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결정체를 물 1 ℓ에 용해한 후 100 ㎖씩 포장하여 랫트에 공급할 때까지 냉장 보관하였다.
< 비교예 1 내지 8> 단일성분만 포함한 조성물 제조
하기의 표 2와 같은 조성비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실시예 1 내지 7과 같은 방법으로 추출하여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간 기능 개선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양성 대조군으로는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여명808(그래미)을 사용하였고, 음성 대조군으로는 물을 사용하였다.
조성
헛개나무 열매 인진호 갈근 진피 창출 감초 홍삼
비교예 1 중량(g) 2586 0 0 0 0 0 0
중량부 1 0 0 0 0 0 0
비교예 2 중량(g) 0 2586 0 0 0 0 0
중량부 0 1 0 0 0 0 0
비교예 3 중량(g) 0 0 2586 0 0 0 0
중량부 0 0 1 0 0 0 0
비교예 4 중량(g) 0 0 0 2586 0 0 0
중량부 0 0 0 1 0 0 0
비교예 5 중량(g) 0 0 0 0 2586 0 0
중량부 0 0 0 0 1 0 0
비교예 6 중량(g) 0 0 0 0 0 2586 0
중량부 0 0 0 0 0 1 0
비교예 7 중량(g) 0 0 0 0 0 0 2586
중량부 0 0 0 0 0 0 1
비교예 8 중량(g) 1500 300 150 150 150 150 0
중량부 10 2 1 1 1 1 0
< 실험예 1> 급성 알코올 분해능 측정
본 발명자들은 실험 동물로 수컷 8주령 랫트(Sprague Dawley rat: 중앙동물, Korea)를 사용하였으며 물과 사료(Purina Inc., Korea)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낮과 밤의 주기는 각각 12 시간으로 온도 18 ~ 24℃, 습도 40 ~ 60%의 사육실 환경에서 2주간 적응시킨 후 실험하였다. 2주간 적응시킨 랫트는 실시예 1 내지 6, 비교예 1 내지 8의 조성물을 섭취시켰으며, 각 군마다 15 마리씩 실험하였다.
식이에 의한 알코올 흡수와 분해의 차이를 없애기 위하여, 랫트는 5 시간 금식시킨 후 각 군에 체중 1 kg 당 각 군에 해당하는 조성물 1 ㎖을 경구 투여하였다. 투여 1 시간 후 체중 1 kg 당 3 g의 알코올(진로소주, Korea)을 경구 투여하였다. 알코올 투여 후 각각 1, 3 및 5 시간 경과시 꼬리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3,000 x g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혈청 알코올 농도를 Quantichrom Ethanol 측정 Kit(Roche, USA)로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은 제조사의 프로토콜(protocol)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실시예 1 내지 7)은 알코올을 섭취한 당일에는 혈청 내 알코올 농도를 대조군(비교예 1 내지 8, 양성 대조군)보다 낮추지 못하였다(표 3 및 도 1a).
또한, 알코올 투여 후 1, 3, 5 시간에 채취한 혈청을 동량씩 혼합한 혼합 혈청의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 농도를 아세트알데히드 F-kit(Roche, USA)로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은 제조사의 프로토콜(protocol)을 사용하였다. 아세트알데히드는 숙취와 간 세포 독성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그 결과, 혈중 알코올 농도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실시예 1 내지 7)은 대조군(비교예 1 내지 8, 음성 대조군, 양성 대조군)보다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를 감소시키지 못했다(표 4 및 도 2).
< 실험예 2> 만성 알코올 실험
실험예 1에서 급성 알코올 분해능 측정을 한 랫트는 각각의 조성물 또는 대조군인 물이나 여명 808을 대신 공급하고, 매일 오후 3 ~ 4 시에 체중 1 kg 당 3 g의 알코올을 경구 투여하였다. 모든 랫트는 군에 관계없이 하루에 87±10 ㎖의 물이나 군에 따른 조성물을 물로 1:1로 희석하여 공급하였다. 조성물의 일일 공급량은 랫트의 대사율을 고려하여 사람의 일일 섭취량의 5배를 공급하였다. 식이는 고형 사료를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10일 동안 알코올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실시예 1 내지 7), 단일 성분의 조성물(비교예 1 내지 7), 상기 혼합 성분에서 홍삼을 제외한 조성물(비교예 8), 시판되고 있는 숙취제인 여명 808(양성 대조군) 또는 물(양성 대조군)을 공급하고 5 시간 금식시킨 후 두 번째 급성 알코올 분해능을 실험예 1과 같이 수행하였다.
실험 후 다시 식이,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실시예 1 내지 7), 단일 성분의 조성물(비교예 1 내지 7), 상기 혼합 성분에서 홍삼을 제외한 조성물(비교예 8), 시판되고 있는 숙취제인 여명 808(양성 대조군) 또는 물(음성 대조군)과 알코올을 정해진 규칙대로 20일 동안 추가로 공급하고 5시간 금식시킨 후 마지막으로 세 번째 급성 알코올 분해능을 실험예 1과 같이 수행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9일이 지나면서 첫째 날보다 혈청 내 알코올과 아세트알데히드의 농조 저하가 증가하였다(표 3 및 표 4). 이러한 경향은 시간(28일)이 지날수록 현저하게 나타났다(도 1b 및 도 1c).
상기 실험이 끝난 후 랫트를 케타민(ketamine: 유한양행, Korea)으로 마취시키고 심장 천자(heart puncture)로 혈액을 최대한 채취하고 간을 적출하여 액체 질소에 냉동하여 다음 실험에 사용할 때까지 -70℃에 보관하였다. 이후, 지방간의 유도 정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간의 형태(morphology)를 조사하였다.
본 발명자들이 간의 형태(morphology)를 조사한 결과, 간에 저장된 지방의 양이 음성 대조군의 경우 증가한 형태를 보였으나, 본 발명의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실시예 1 내지 6)의 경우 감소하였다(도 6).
본 발명자들은 채취한 혈액으로부터 간 기능 및 손상 정도를 조사할 수 있는 GOT(glutamate-oxaloacetate transminase), GPT(glutamate-pyruvate transminase), 및 γ-GTP(glutamyl transferase)를 각각 ASAN GOT 측정 Kit, ASAN GPT 측정 Kit 및 ASAN γ-GTP 측정 Kit(아산제약, Kore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은 제조사의 프로토콜(protocol)을 사용하였다. 또한 지방간의 유도 정도를 조사하기 위해서 간 조직에 저장된 중성지방 농도와 혈청 중성지방의 농도를 Cleantech TGs kit(아산제약, Korea)로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은 제조사의 프로토콜(protocol)을 사용하였다.
28일 동안 알코올과 본 발명의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과 비교예의 조성물을 랫트(rat)에 투여하여 GOT, GPT 및 γ-GTP의 농도 측정한 결과, 장기적인 알코올 섭취로 인하여 혈청 내 GOT, GPT 및 γ-GTP의 농도를 증가시켰으나(음성 대조군), 본 발명의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실시예 1 내지 7)을 섭취한 경우, 혈청 내 GOT, GPT 및 γ-GTP의 농도가 현저하게 감소되었다(표 5 및 도 3).
간과 혈청 내 중성 지방 함량 측정 결과, 본 발명의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실시예 1 내지 7)은 음성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간과 혈청 모두에서 중성 지방 함량을 감소시켰다(표 6 및 도 4).
혈청 내 알코올 농도(%)
1일 9일 28일
1 시간 3 시간 5 시간 1 시간 3 시간 5 시간 1 시간 3 시간 5 시간
실시예 1 0.3854 0.4556 0.4694 0.5149 0.5053 0.4013 0.4105 0.3406 0.2726
실시예 2 0.3892 0.4569 0.4710 0.5154 0.5097 0.4148 0.4279 0.3598 0.2847
실시예 3 0.3971 0.4623 0.4786 0.5274 0.5124 0.4175 0.4231 0.3495 0.3001
실시예 4 0.4015 0.4679 0.4652 0.5138 0.5146 0.4185 0.4336 0.3541 0.2914
실시예 5 0.3922 0.4742 0.4743 0.5289 0.5198 0.4262 0.4197 0.3519 0.2804
실시예 6 0.4089 0.4572 0.4821 0.5404 0.5214 0.4328 0.4258 0.3547 0.2984
실시예 7 0.3876 0.4591 0.4701 0.5152 0.5072 0.4101 0.4112 0.3419 0.2821
비교예 1 0.3211 0.3612 0.4214 0.4517 0.5247 0.4921 0.4952 0.5002 0.4871
비교예 2 0.3357 0.3827 0.4358 0.4462 0.5354 0.5182 0.4721 0.4915 0.4659
비교예 3 0.3458 0.3954 0.4579 0.4410 0.5471 0.4937 0.4971 0.4847 0.4752
비교예 4 0.3194 0.4255 0.4521 0.4872 0.5158 0.4872 0.4894 0.4625 0.4519
비교예 5 0.3651 0.3810 0.4457 0.4920 0.5419 0.4724 0.4721 0.4634 0.4578
비교예 6 0.3511 0.4321 0.4154 0.4728 0.5951 0.5017 0.4813 0.4759 0.4610
비교예 7 0.3154 0.3327 0.3415 0.4216 0.4910 0.5012 0.4710 0.4821 0.4924
비교예 8 0.2933 0.3449 0.3314 0.4797 0.5193 0.4013 0.4843 0.4785 0.3470
양성 대조군 0.2920 0.3574 0.3819 0.4653 0.4743 0.3596 0.4422 0.4490 0.3555
음성 대조군 0.3701 0.4560 0.4682 0.4893 0.6736 0.5310 0.5026 0.5617 0.4808
혈청 내 아세트알데히드 농도(μM)
1일 9일 28일
실시예 1 18.4 13.5 8.1
실시예 2 18.7 13.4 8.3
실시예 3 19.4 13.9 8.7
실시예 4 18.5 14.7 8.5
실시예 5 19.2 14.0 8.9
실시예 6 19.3 14.3 9.0
실시예 7 19.1 13.7 8.2
비교예 1 12.7 14.8 17.5
비교예 2 13.2 15.6 18.3
비교예 3 17.2 20.6 22.9
비교예 4 15.3 19.7 21.5
비교예 5 13.9 16.4 19.1
비교예 6 14.8 17.3 19.5
비교예 7 11.0 12.4 13.4
비교예 8 10.4 13.6 15.6
양성 대조군 11.3 12.8 11.4
음성 대조군 22.4 24.5 19.2
GOT , GPT 및 γ- GTP 측정( mU /㎖)
GOT GPT γ-GTP
실시예 1 114.9 35.5 29.8
실시예 2 115.8 37.1 30.4
실시예 3 115.1 36.4 29.9
실시예 4 119.4 35.9 30.8
실시예 5 127.7 37.5 31.4
실시예 6 126.2 38.0 32.7
실시예 7 115.2 35.9 30.1
비교예 1 138.9 50.7 48.7
비교예 2 137.6 49.3 49.2
비교예 3 139.2 53.7 50.2
비교예 4 140.5 51.4 49.9
비교예 5 135.8 50.1 48.5
비교예 6 142.7 52.9 48.6
비교예 7 141.9 53.2 50.9
비교예 8 134.1 48.3 45.6
양성 대조군 105.8 32.1 39.1
음성 대조군 148.2 56.4 51.1
중성지방 함량비
혈청
실시예 1 431.1 95.4
실시예 2 431.8 97.1
실시예 3 432.5 95.9
실시예 4 434.0 97.4
실시예 5 431.7 96.1
실시예 6 432.7 96.5
실시예 7 432.1 95.1
비교예 1 444.5 134.8
비교예 2 475.6 126.4
비교예 3 435.9 129.7
비교예 4 457.1 124.9
비교예 5 487.3 125.8
비교예 6 471.0 129.4
비교예 7 431.1 121.7
비교예 8 395.3 120.5
양성 대조군 409.2 115.8
음성 대조군 469.4 132.5
하기 본 발명의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을 위한 제제예를 예시한다.
< 제제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 산제의 제조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10 g
인진호 추출물 2 g
갈근 추출물 1 g
진피 추출물 1 g
창출 추출물 1 g
감초 추출물 1 g
홍삼 추출물 1.24 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 정제의 제조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100 mg
인진호 추출물 20 mg
갈근 추출물 10 mg
진피 추출물 10 mg
창출 추출물 10 mg
감초 추출물 10 mg
홍삼 추출물 12.4 mg
옥수수 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그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 제제예 2>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헛개나무 열매, 인진호, 갈근, 진피, 창출, 감초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들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1. 조리용 양념의 제조
조리용 양념 100 중량부에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8 ~ 12 중량부, 인진호 추출물 0.1 ~ 4 중량부, 갈근 추출물 0.1 ~ 3 중량부, 진피 추출물 0.1 ~ 3 중량부, 창출 추출물 0.1 ~ 3 중량부, 감초 추출물 0.1 ~ 3 중량부, 홍삼 0.01 ~ 3.24 중량부로 혼합하여 간기능 개선용 조리용 양념을 제조하였다.
2.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본 발명의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8 ~ 12 중량부, 인진호 추출물 0.1 ~ 4 중량부, 갈근 추출물 0.1 ~ 3 중량부, 진피 추출물 0.1 ~ 3 중량부, 창출 추출물 0.1 ~ 3 중량부, 감초 추출물 0.1 ~ 3 중량부, 홍삼 추출물 0.01 ~ 3.24 중량부를 스프 및 육즙 100 중량부에 첨가하여 간기능 개선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스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3.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의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8 ~ 12 중량부, 인진호 추출물 0.1 ~ 4 중량부, 갈근 추출물 0.1 ~ 3 중량부, 진피 추출물 0.1 ~ 3 중량부, 창출 추출물 0.1 ~ 3 중량부, 감초 추출물 0.1 ~ 3 중량부, 홍삼 추출물 0.1 ~ 3.24 중량부를 우유 100 중량부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4.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발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은콩, 검은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헛개나무 열매, 인진호, 갈근, 진피, 창출, 감초 및 홍삼 추출물을 진공 농축기에 감압, 농축하고 분무, 열풍 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본 발명의 추출물을 다음과 같은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은콩 8 중량부, 검은깨 7 중량부),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의 건조분말(10 중량부),
인진호 추출물의 건조분말(2 중량부),
갈근 추출물의 건조분말(1 중량부),
진피 추출물의 건조분말(1 중량부),
창출 추출물의 건조분말(1 중량부),
감초 추출물의 건조분말(1 중량부),
홍삼 추출물의 건조분말(1.24 중량부),
영지(0.5 중량부), 및
지황(0.5 중량부).
< 제제예 3> 음료의 제조
1. 탄산음료의 제조
설탕 5 ~ 10 중량부, 구연산 0.05 ~ 0.3 중량부, 카라멜 0.005 ~ 0.02 중량부, 비타민 C 0.1 ~ 1 중량부,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10 중량부, 인진호 추출물 2 중량부, 갈근 추출물 1 중량부, 진피 추출물 1 중량부, 창출 추출물 1 중량부, 감초 추출물 1 중량부, 홍삼 추출물 1.24 중량부의 첨가물을 혼합하고 여기에 79 ~ 94 중량부의 정제수를 섞어서 시럽을 만들고, 상기 시럽을 95 ~ 98℃에서 20 ~ 180초간 살균하여 냉각수와 1:4의 비율로 혼합한 다음 탄산가스를 0.5 ~ 0.82 중량부를 주입하여 탄산음료를 제조하였다.
2. 간기능 개선용 기능성 음료의 제조
비타민 C 0.1 중량부, 과당 5.8 중량부, 백설탕 3.8 중량부, 구연산 0.12 중량부, 사과산 0.03 중량부, 구연산나타륨 0.04 중량부 및 치자청색소 0.02 중량부에 본 발명의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10 중량부, 인진호 추출물 2 중량부, 갈근 추출물 1 중량부, 진피 추출물 1 중량부, 창출 추출물 1 중량부, 감초 추출물 1 중량부, 홍삼 추출물 1.24 중량부를 배합하여 계량된 물에 완전히 용해시켰다. 상기 용해된 음료를 총량이 1 중량부가 되도록 계량된 정제수로 조정하였다.
3. 건강 음료의 제조
액상과당 0.5 중량부, 올리고당 2 중량부, 설탕 2 중량부, 식염 0.5 중량부, 물 75 중량부과 같은 부재료와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10 중량부, 인진호 추출물 2 중량부, 갈근 추출물 1 중량부, 진피 추출물 1 중량부, 창출 추출물 1 중량부, 감초 추출물 1 중량부, 홍삼 추출물 1.24 중량부를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건강 음료를 제조하였다.
4. 야채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헛개나무 열매 10 g, 인진호 2 g, 갈근 1 g, 진피 1 g, 창출 1 g, 감초 1 g, 홍삼 1.24 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주스 1 ℓ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 주스를 제조하였다.
5. 과일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헛개나무 열매 10 g, 인진호 2 g, 갈근 1 g, 진피 1 g, 창출 1 g, 감초 1 g, 홍삼 1.24 g을 사과 또는 포도 주스 1 ℓ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과일 주스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헛개나무 열매, 인진호, 갈근, 진피, 창출, 감초, 및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 으로 포함하며 장기간의 알코올 섭취로 인한 혈청 내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를 감소시키며, GOT, GPT 및 γ-GTP의 농도를 감소시킨다. 또한 간 및 혈청 내에서의 중성 지방 함량을 감소시키므로 본 발명의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간 기능 개선제 및 간 기능 건강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9)

  1. 헛개나무 열매, 인진호, 갈근, 진피, 창출, 감초 및 홍삼을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한 간 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혼합 생약 추출물.
  2. 제 1항에 있어서, 알코올은 C1 내지 C3의 저급 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생약 추출물.
  3. 제 2항에 있어서, 저급 알코올은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생약 추출물.
  4. 제 1항에 있어서, 헛개나무 열매 3 ~ 30 중량부, 인진호 0.1 ~ 6 중량부, 갈근 0.1 ~ 3 중량부, 진피 0.1 ~ 3 중량부, 창출 0.1 ~ 3 중량부, 감초 0.1 ~ 3 중량부, 홍삼 0.1 ~ 3.8 중량부로 구성된 혼합 생약제로부터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생약 추출물.
  5. 제 1항에 있어서, 헛개나무 열매 8 ~ 20 중량부, 인진호 0.1 ~ 4 중량부, 갈근 0.1 ~ 2 중량부, 진피 0.1 ~ 2 중량부, 창출 0.1 ~ 2 중량부, 감초 0.1 ~ 2 중량부, 홍삼 0.8 ~ 2.5 중량부로 구성된 혼합 생약제로부터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생약 추출물.
  6. 제 1항에 있어서, 헛개나무 열매 10 중량부, 인진호 2 중량부, 갈근 1 중량부, 진피 1 중량부, 창출 1 중량부, 감초 1 중량부, 홍삼 1.24 중량부로 구성된 혼합 생약제로부터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생약 추출물.
  7. 제 1항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GOT(glutamate-oxaloacetate transminase), GPT(glutamate-pyruvate transminase), γ-GTP(glutamyl transferase)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9. 제 1항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건강식품.
KR1020060032424A 2006-04-10 2006-04-10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조성물 KR100771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2424A KR100771524B1 (ko) 2006-04-10 2006-04-10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2424A KR100771524B1 (ko) 2006-04-10 2006-04-10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1441A true KR20070101441A (ko) 2007-10-17
KR100771524B1 KR100771524B1 (ko) 2007-10-30

Family

ID=38816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2424A KR100771524B1 (ko) 2006-04-10 2006-04-10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152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0407A2 (en) * 2009-02-09 2010-08-12 Wonkwang University Center For Industry-Academy Cooperation A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puerariae radix showing immune enhancing activity and the use thereby
WO2016076607A3 (ko) * 2014-11-12 2016-07-07 씨제이제일제당(주) Compound k 성분이 강화된 홍삼농축액을 함유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 식품
KR101897005B1 (ko) * 2017-03-28 2018-09-10 주식회사 엠진바이오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를 이용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90047211A (ko) * 2017-10-27 2019-05-0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 생약 추출물 및 l-아스파르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CN111514184A (zh) * 2020-06-16 2020-08-11 上海中医药大学附属曙光医院 一种治疗肝内胆汁淤积性肝损伤的中药提取物的组合物及其应用
KR20200112188A (ko) * 2019-03-21 2020-10-05 주식회사 에이블 보리싹 추출물을 포함한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594B1 (ko) 2009-11-16 2011-08-04 남종현 간 기능 개선제 조성물
KR101919325B1 (ko) * 2016-11-25 2018-11-20 뉴트라팜주식회사 소나무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800B1 (ko) * 2004-09-13 2006-07-06 영농조합법인 금계식품 생약추출물이 함유된 간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용 조성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0407A2 (en) * 2009-02-09 2010-08-12 Wonkwang University Center For Industry-Academy Cooperation A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puerariae radix showing immune enhancing activity and the use thereby
WO2010090407A3 (en) * 2009-02-09 2010-11-25 Wonkwang University Center For Industry-Academy Cooperation A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puerariae radix showing immune enhancing activity and the use thereby
WO2016076607A3 (ko) * 2014-11-12 2016-07-07 씨제이제일제당(주) Compound k 성분이 강화된 홍삼농축액을 함유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 식품
KR101897005B1 (ko) * 2017-03-28 2018-09-10 주식회사 엠진바이오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를 이용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90047211A (ko) * 2017-10-27 2019-05-0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 생약 추출물 및 l-아스파르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200112188A (ko) * 2019-03-21 2020-10-05 주식회사 에이블 보리싹 추출물을 포함한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1514184A (zh) * 2020-06-16 2020-08-11 上海中医药大学附属曙光医院 一种治疗肝内胆汁淤积性肝损伤的中药提取物的组合物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1524B1 (ko) 2007-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1524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조성물
KR101346244B1 (ko) 생약 제제를 포함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EP2436388B1 (en) Composition for increasing the bioavailability of saponin
KR20130128755A (ko)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448542B1 (ko)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KR100771525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조성물
KR20110124442A (ko) 양성 체질의 생리 활성 증진용 조성물
CN108813501B (zh) 具有清热润肺止咳化痰平喘和调节人体机能的养生蜂蜜膏
KR20190033828A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18403B1 (ko)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지연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50034A (ko) 엉겅퀴, 민들레, 여주, 돼지감자, 양파, 꾸지뽕, 아로니아 및 생강을 포함하는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910898B1 (ko) 새콩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당뇨 합병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2014922B1 (ko) 감초 유래 글라블리딘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화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520417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갑상선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79096B1 (ko)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산전산후부종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1181347B1 (ko) 백선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65900B1 (ko) 복합생약추출물(occ-ⅰ) 또는 이의분말(occ-ⅱ)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20200126839A (ko) 숙취해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302047B1 (ko) 엉겅퀴, 민들레, 배, 아로니아 및 꿀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함유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JP6063499B2 (ja) 生地黄、枸杞子、沈香、茯苓、高麗人蔘と蜂蜜の混合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男性不妊予防および治療用薬学的組成物
KR101483121B1 (ko)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55104B1 (ko) 순무를 포함한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20120033443A (ko) 대황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피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75824B1 (ko) 당뇨 예방 및 개선용 복합 천연물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