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7732B1 - 조기성숙 가성 유방 발달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조기성숙 가성 유방 발달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7732B1
KR102217732B1 KR1020200117055A KR20200117055A KR102217732B1 KR 102217732 B1 KR102217732 B1 KR 102217732B1 KR 1020200117055 A KR1020200117055 A KR 1020200117055A KR 20200117055 A KR20200117055 A KR 20200117055A KR 102217732 B1 KR102217732 B1 KR 102217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mposition
present
pseud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7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휘훈
Original Assignee
설휘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휘훈 filed Critical 설휘훈
Priority to KR1020200117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77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7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8Araceae (Arum family), e.g. caladium, calla lily or skunk cabbage
    • A61K36/8888Pinell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61K36/076Po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7Gnetophyta, e.g. Ephedraceae (Mormon-te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4Cnidium (snowpars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4Atractyl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1Astragalus (milkvet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5Perilla (beefsteak 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4Lauraceae (Laurel family), e.g. cinnamon or sassaf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4Rubiaceae (Madder family)
    • A61K36/744Gard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4Alismataceae (Water-plantain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8Zingiber, e.g. garden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24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sex hormo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abetes (AREA)
  • Endocri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하, 백복령, 백작약, 일당귀, 계지 등을 포함하는 조기성숙 가성유방 발달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체에 무해한 천연 원료만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으로서, 상기 천연 원료의 유효성분들이 상호 작용하여 사용자의 조기성숙 예방 및 개선하고, 특히 가성유방 발달 증상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 조성물을 지속 복용하는 경우 내분비계와 생식 기관의 정상적인 균형 발달을 도모함으로써, 조기 성성숙 및 가성유방 발달 증상에 대해 예방 및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조기성숙 가성 유방 발달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THE DEVELOPMENT OF PREMATURE PSEUDO-BREAST}
본 발명은 반하, 백복령, 백작약, 일당귀, 계지 등을 포함하는 조기성숙 가성 유방 발달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춘기가 시작되면 여자는 초경의 시작과 함께 유방과 음모가 발달하고, 남자는 고환이 커지거나 음모와 음경이 발달하는데, 성조숙증이란 여자 어린이의 경우에는 8세 이전, 남자 어린이의 경우에는 9세 이전에 이와 같은 2차 성징들이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증세를 의미한다.
최근 국내에서는 성조숙증에 대한 문제가 크게 이슈화되고 있고, 성조숙증으로 진단받은 아이들이 매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과거 10년 전에 비하면 거의 10배가 넘는 수준이다.
의학적으로 성조숙증이란 성호르몬의 조기 분비로 인해 사춘기적 변화 시기가 평균치의 표준 편차보다 빨리 나타날 때를 말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여아는 8세 이전(초등학교2~3학년)에 젖망울이 잡히거나 이와 함께 외부 생식기 변화 및 음모가 나타나고 여드름이 나타날 때, 남아의 경우에는 9세 이전(초등학교 3~4학년)에 고환이 커지고 음모나 나타나며 여드름이 나타날 때 성조숙증을 의심한다.
여아는 가슴의 발달이나 초경과 같은 분명한 신체의 변화가 있어서 진단이 용이하나, 남아는 성조숙증의 진단이 상대적으로 더 어려우므로 더 늦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여아가 남아보다 4-8배 정도 더 많이 나타난다.
성조숙증의 문제는 또래에 비해 성장이 빠른 만큼 성장판이 일찍 닫혀 성인이 되었을 때 정상적인 사춘기를 거친 사람보다 최종적인 키가 작아질 확률이 높다는 것이다. 특히 월경을 시작한 이후에는 성장이 거의 멈추게 되어 보통 이 사이에 5~7cm정도 크고 성장의 완료기로 들어서게 된다. 이런 아이들의 경우 키 뿐만아니라 신체의 시계가 빨리 흘러가면서 일찍부터 성인병에 노출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성조숙증의 나타나는 가장 큰 원인은 2차 성징을 조절하는 호르몬을 들 수 있는데, 이러한 호르몬의 균형이 깨지는 이유로 영양과다로 인한 비만, 스트레스, 환경변화 등 여러 가지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 영양상태가 좋아 어른처럼 보이는 초등학교 1, 2학년 어린이 중에서 가슴이 부풀고 몸에 털이 많아지는 등의 제2차 성징(secondary sexual characteristics)이 빨리 나타나는 성조숙증을 가진 어린이들이 늘어나고 있다.
아이들의 성조숙증에는 몇 가지 요인들이 관련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 첫째는 유전적인 요인으로 만약 엄마가 이른 시기에 가슴이 발달했다면 후에 딸 역시 조기에 가슴이 발달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서구식 식습관, 비만, 스트레스 등이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많은 환경 화학물질의 역할에 대해서도 논쟁이 있었다. 예를 들어, 폐기물 소각 시 발생하는 dioxin과 플라스틱제품에 함유된 phthalate와 BPA가 호르몬 유사작용을 일으키고 있다. 이들 화합물은 체내에 축적 시 성호르몬과 같은 작용을 일으켜서 성성숙을 촉진시키며 특히, 6개월 이내 4㎝ 이상 급속한 성장은 비정상적인 경우로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 외에도, 최근에는 아이들에게 익숙한 TV, 컴퓨터 게임 등을 통해 즉, 정신과적, 사회적 변화요인으로 대중매체를 통한 성 노출이 뇌를 자극시켜 성호르몬(sex hormone) 분비를 촉진하는 것으로 보는 연구 경향도 존재한다.
게다가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인한 과도한 열량섭취는 비만을 초래하며, 비만아의 체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렙틴(leptin) 역시 성호르몬을 자극하게 된다.
현재 성호르몬분비의 억제에 이용되고 있는 물질은 GnRH 아고니스트 화합물이다. 이 방법은 지난 1981년 처방된 이래 부작용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성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유도제(GnRH agonist)를 사용해서 효과를 볼 수 있는 대상은 8세 이전에 젖가슴이 나오고 뼈 나이도 제 나이에 비해 앞서가며 성장속도도 연간 6-7 cm 이상 자라는 경우로 매우 제한적이다.
또한 특수한 호르몬 자극검사를 했을 때 황체형성호르몬(LH)과 난포자극호르몬(FSH) 농도가 매우 상승돼 있어야 한다. 최소 2년 이상 치료해야 하고 뼈 나이가 12세 정도 되면 치료를 중단한다. 이러한 진성 성조숙증 환자의 경우는 조기에 진단하여 만 6~7세에 치료를 시작했을 때 최종 키가 5-10 cm정도 증가하지만 만 9세 이후에는 효과가 없다.
조기 성성숙은 성인이 되었을 때 호르몬과 관련된 암, 대사증후군, 심혈관계 질환과 같은 여러 질병과 관련이 있고, 사망률을 높인다고 알려져서 건강 측면에서도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다수의 천연물질에 포함되어 있는 성호르몬 억제 및 조절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한약 추출물을 열수추출하여 농축액으로 제조함으로써, 종래의 호르몬 치료와 같은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고 신체의 성장에도 유효하며 내분비계와 생식 기관의 정상적인 균형발달을 도모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6938호
본 발명의 목적은 반하(Pinellia ternate), 생강(Zingiber officinale), 백복령(白茯, Poria cocos), 백출(Atractylodes macrocephala), 백작약(Paeonia obovata var.japonica), 일당귀(Ligusticum acutiloba),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 황기(Astragalus propinquus), 자소엽(Perillae Folium), 치자(Gardeniae Fructus), 택사(Alisma canaliculatum ALL. BR. et BOUCHE), 마황(Ephedra sinica), 백지(Angelica dahurica), 감초(Glycyrrhiza uralensis) 및 계지(Cinnamomi Ramulus)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기성숙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조기성숙 예방 및 개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조기성숙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특히 조기성숙에 의한 가성 유방 발달 증상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반하(Pinellia ternate), 생강(Zingiber officinale), 백복령(白茯, Poria cocos), 백출(Atractylodes macrocephala), 백작약(Paeonia obovata var.japonica), 일당귀(Ligusticum acutiloba),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 황기(Astragalus propinquus), 자소엽(Perillae Folium), 치자(Gardeniae Fructus), 택사(Alisma canaliculatum ALL. BR. et BOUCHE), 마황(Ephedra sinica), 백지(Angelica dahurica), 감초(Glycyrrhiza uralensis) 및 계지(Cinnamomi Ramulus)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기성숙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물은 반하(Pinellia ternate) 120 중량부, 생강(Zingiber officinale) 120 중량부, 백복령(白茯, Poria cocos) 120 중량부, 백출(Atractylodes macrocephala) 120 중량부, 백작약(Paeonia obovata var.japonica) 480 중량부, 일당귀(Ligusticum acutiloba) 120 중량부,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 120 중량부, 황기(Astragalus propinquus) 480 중량부, 자소엽(Perillae Folium) 120 중량부, 치자(Gardeniae Fructus) 120 중량부, 택사(Alisma canaliculatum ALL. BR. et BOUCHE) 120 중량부, 마황(Ephedra sinica) 180 중량부, 백지(Angelica dahurica) 120 중량부, 감초(Glycyrrhiza uralensis) 120 중량부 및 계지(Cinnamomi Ramulus) 240 중량부로 이루어진 한약재의 혼합물로부터 수득한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한약재의 혼합물 2700 중량부에 10650 중량부의 정제수를 첨가하여 순행식 무압력 약탕기에서 90 내지 130℃에서 1 내지 5시간동안 열수추출한 것일 수 있고, 가장 구체적으로는 110℃에서 2시간 30분동안 열수추출하여 수득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반하(Pinellia ternata)는 천남성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끼무릇이라고도 부른다. 반하뿌리 덩이줄기를 약재로 사용하며, 7월에서 8월에 채취하여 겉껍질을 제거하고 햇빛에 말린다. 가래와 기침을 삭히는 작용이 있으며 매핵기, 속이 더부룩할때, 담이 있어 가슴이 뛸때, 음식이 가슴에 걸려 내려가지 않을 때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반하의 효능은 따뜻하고 말리는 성질이 강해서 가래를 삭혀주고 기침을 멈추게 하며 불필요한 습기로 인해 생기는 담을 치료하는데 사용되나, 이를 성조숙증 특히 가성유방 발달의 예방 및 개선에 사용한다는 내용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 없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복령(茯, Wolfiporia extensa)”은 구멍장이버섯과에 속하며, 소나무를 벌채한 뒤 3∼10년이 지난 뒤 뿌리에서 기생하여 성장하는 균핵으로 형체가 일정하지 않다. 표면은 암갈색이고, 내부는 회백색의 육질 과립상이다.
껍질은 복령피라 하고, 균체가 소나무 뿌리를 내부에 싸고 자란 것은 복신(茯神), 내부의 색이 흰 것은 백복령, 붉은 것은 적복령이라 하여 모두 약으로 쓴다. 약성은 평범하며 맛이 달고 덤덤하다. 복령은 완만한 이뇨작용이 있어 소화기가 약하면서 전신에 부종이 있을 때에 효과가 뛰어나며, 신장염·방광염·요도염에도 효과가 있다. 또한 거담작용이 있어서 가래가 많이 분비되고 호흡이 곤란한 증상인 만성기관지염과 기관지확장증에도 거담, 진해하는 약물과 배합하여 치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백출(Atractylodis Rhizoma Alba)”은 국화과의 삽주 또는 백출의 뿌리줄기 또는 주피를 제거하여 말린 약재이다. 백출의 성분은 정유(2~3%: atractylon, 3-β-hydroxy-atractylon, atractylenolide Ⅰ~ Ⅲ,eudesma-4(14),7(11)-dien-8-one), Sesquiterpene glycoside (atractyloside A, B, 10-epi-atractyloside A), 다당체 (atractan A, B, C)와 기타(acetaldehyde, 2-furaldehyde, polyacetylene 화합물) 등이 알려져 있다.
주요 약리작용으로는 건위작용(atractylon이 CuCl2에 의한 간독성으로부터 간세포를 보호하며 궤양억제를 억제, 50% MeOH 추출물은 스트레스로 인한 위궤양의 발생을 예방), 이뇨·지한작용 (atractylenolide Ⅲ 등도 세뇨관의 Na+, K+-ATPase의 활성을 억제하지만, atractylon이 가장 강하게 선택적으로 억제, 전체의 뇨량 증가는 인정되지 않으나, EtOH 추출액의 이뇨작용은 다소 인정), 진정작용 (백출의 정유성분에 중추억제, 약간의 혈압강하, 적출심장의 운동억제작용이 있음), 혈당강하작용 (다당류(glycan)인 atractan A, B, C에는 혈당강하작용, 물 및 EtOH 추출물 모두 혈당을 상승시킨 후 하강시킴), 안태(安胎)작용 (백출의 정유성분이 위장관과 자궁의 운동 및 말초혈관에 대해서도 억제작용), 기타(면역중강작용 : 백출의 물 추출물이 현저한 면역증강작용, atractylon에 항미생물작용, 항염증작용음,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간세포보호작용 및 담즙분비 촉진작용) 등이 지금까지의 연구로 밝혀져 있다. 즉, 백출의 조기성숙 예방 및 개선 효과 등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된 바 없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백작약(芍藥, Paeonia lactiflora)”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한방에서는 뿌리를 약재로 사용한다. 성분은 배당체로서 파에오니플로린(paeoniflorin)과 알칼로이드인 파에오닌(paeonine)을 함유하고 탄닌·수지·안식향산도 있다. 약리적 작용으로는 흰쥐의 위장과 자궁의 평활근에 대하여 수축력을 약화시켰고, 토끼의 장관에는 진경(鎭痙) 효과를 나타내었다. 배당체 성분은 중추신경계를 억제한다. 이 밖에 항균작용이 있어서 황색포도상구균·이질균·용혈성연쇄상구균·폐렴쌍구균의 발육을 억제시킨다.
약성은 차고, 맛은 시고 쓰다. 위장염과 위장의 경련성 동통에 진통효과를 나타내고, 소화장애로 복통·설사·복명(腹鳴)이 있을 때에 유효하며, 이질로 복통과 후중증이 있을 때에도 효과가 빠르다. 부인의 월경불순과 자궁출혈에 보혈·진통·통경의 효력을 나타낸다. 만성간염에도 사용되고 간장 부위의 동통에도 쓰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일당귀(Ligusticum acutiloba)”는 왜당귀라고도 불리우고 학명도 Angelica acutiloba 외에 Ligusticum acutiloba라 해서 일본에서 나며, 우리나라에서도 다수 재배되어 약재로 거래되고 있다. 꽃은 순백(純白)하며 6-8월에 피고 복산형(複傘形) 화서이고 과기는 9-10월이다. 뿌리는 가을에 채취하여 양건시킨다.
뿌리물 추출액은 동물실험에 있어서 일과성의 혈압을 하강시키고 이뇨작용도 한다. 동양 의약적인 이용에 있어서는, 빈혈, 월경불순, 생리통, 요슬냉통, 신체동통, 강장(强將)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은 천궁 또는 중국천궁(Ligusticum chuanxiong Hort.)의 뿌리줄기로서 그대로 또는 끓는 물에 데쳐 쓴다.
천궁은 기를 돌리는 행기(行氣) 효능도 있어 기체(氣滯)를 겸한 어혈(瘀血)에 특히 좋으며, 위로는 두면부까지 올라가 각종 두통을 치료할 뿐 아니라 아래로는 자궁에 도달해 생리통, 근종 등 여성 질환에도 효과적이다. 또한, 거풍지통(祛風止痛)하는 효능이 있어 각종 관절통 등의 치료에도 두루 활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황기(Astragalus propinquus)”는 장미목 콩과의 식물로서, 효능은 한방에서는 강장, 지한(止汗), 이뇨(利尿), 소종(消腫) 효과가 있다고 하며, 황기는 독성이 거의 없어 기운을 보하는 처방에 반드시 들어가는 약재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자소엽(Perillae Folium)”은 차즈기(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acuta Kudo) 또는 주름소엽의(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crispa Decaisne) 잎 및 끝가지를 의미한다. 한방에서는 맛은 맵(辛)고, 성은 온(溫)하다고 하면서, 잎은 해표산한(海表散寒), 행기, 화위(화위)의 효능이 있고 풍한감모, 오한발열, 해수, 흉복창만, 오심구토의 치료에 응용한다. 해어제독(解魚蟹毒)의 효능과 안태(安胎)의 효능이 있다. 자소엽은 기를 내리고 귤피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기병의 처방에 많이 쓰인다. 또 표(表)의 기를 흩어지게 한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조기 성숙의 예방 및 개선과 관련된 내용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된 바 없다.
본 발명에서 상기 “치자(Gardeniae Fructus)”는 꼭두서니과에 속한 치자나무의 성숙한 과실을 건조한 것으로서, 한의학에서는 이 약의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고 한다. 심, 간, 폐, 위, 삼초경에 작용하고, 청열(淸熱), 사화(瀉火), 양혈(凉血), 열병(熱病), 허번(虛煩), 불면(不眠), 황달, 소갈(消渴), 결막염, 토혈(吐血), 비출혈(鼻出血), 혈뇨(血尿), 열독(熱毒), 창양(瘡瘍) 등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택사(Alisma canaliculatum ALL. BR. et BOUCHE)”는 택사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쇠태나물이라고도 한다. 정수성 수생식물로 원줄기가 없고 뿌리줄기가 짧아 덩이뿌리를 형성하며, 수염뿌리가 많다.
한방에서는 덩이뿌리를 말려 약재로 사용한다. 약성은 한(寒)하고 감(甘)하며, 이수(利水)·지사(止瀉)·지갈(止渴)의 효능이 있다. 소변불리(小便不利)·수종창만(水腫脹滿)·신장염·방광염·요도염·임신부종·각기·설사·번갈(煩渴)·당뇨·고혈압·지방·간 등의 증상에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마황(Ephedra sinica)”은 중국 북부와 몽골 등지에 분포하는 상록관목으로, 뿌리는 지한작용, 지상부는 발한작용을 한다. 따라서 두 부분을 따로 분리해 사용한다. 대개 마황이라 하면 지상부 줄기 부분이며, 뿌리는 마황근이라 한다. 발한작용 이외에 선폐작용을 하여 호흡기 질환에 다용한다. 단 소모성 질환에는 부적절하며, 유사하게 땀이 난다던가 기운이 없다던가 하는 상황에서는 사용하기를 꺼린다. 주 성분은 에페드린과 슈도에페드린으로서, 이는 필로폰과 관련이 있는 성분으로, 이 때문에 독성이 있다고 보도되는 가장 대표적인 한약재이다. 때문에 마황은 부작용으로 고혈압, 심계 항진 등이 있으며, 과용하거나 오용하면 사망 위험도 있어 의료 관계자 이외에는 사용이 금지되어 있다.
마황이 미국에서 보조식품으로서 금지된 이유는 주요 성분인 에페드린 때문이다. 다양한 부작용을 발생시키며 사망 위험성까지 있는 성분으로, 현재는 극히 제한된 경우, 즉 의사의 의료용 목적을 제외하고는 사용을 금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에서도 마황을 사용하여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제조·가공·수입 또는 조리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다(식품위생법 제93조 제2항 제1호). 다만 의료인인 의사 및 한의사에 의해 의학적 목적으로 적정 양을 사용할 수 있다.
주로 발한해표제 또는 기관지확장의 효과를 목적으로 사용할 뿐, 이를 이용한 조기성숙 예방 및 개선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된 바 없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백지(Angelica dahurica)”는 구릿대(Angelica dahurica) 또는 항백지(Angelica dahurica)의 뿌리를 말린 것을 의미하며, 한의학에서는 찬 기운에 의해 생긴 증상과 불필요한 수분을 제거하고[散風除習], 전신의 기운을 돌게 해서 통증을 가라앉히며[通竅止痛], 종기를 가라앉히고 농을 배출하는[消腫排膿] 등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감초(Glycyrrhiza uralensis)”는 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중국 북동부와 시베리아, 몽골, 중국 북부 등지에 분포한다. 뿌리는 건조시켜 한약재로 사용하는데, 그 맛이 달기 때문에 감초라고 한다. 모든 약물과 배합이 잘 되어 중화작용을 하는 역할을 하며, 다른 약의 작용을 순하게 하므로, 한방에서 다양한 용도로 쓴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계지(桂枝)”는 육계나무(肉桂, Cinnamomum cassia Presl)의 어린 가지를 의미하며, 손과 발의 말초혈관으로 혈액공급을 원활하게 해주는 효과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를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혼합물;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프리바이오틱스로서 펙틴, 프락토올리고당, 알라비노갈락탄, 탈지유, 글루코오스 및 락토오스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것과 혼합된 형태로서 상기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정제수 또는 30 내지 80%의 에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수용액일 수 있고, 가장 구체적으로는 정제수를 사용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 용매로 정제수를 사용하는 경우, 안정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체에 무해하기 때문에 식품이나 의약품의 조성물로 사용하기에 우수한 적합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안정성 확보를 위한 엄격한 공정 관리와 같은 비용 증가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경제적 효과 역시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물의 추출공정은 냉침, 온침, 가열, 환류 및 초음파 추출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방법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이를 적절히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추출 과정은 환류 추출법을 이용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냉침 추출법, 온침 추출법, 가압 추출법 또는 초음파 분쇄 추출법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법으로 제조한 추출물 즉, 조추출액에 분획용매를 가한 후에, 예를 들어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 순서로 가한 후에 층분리한헥산분획물, 클로로포름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및 물 분획물을 수득하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추출 또는 분획과정을 수행한 이후, 감압 여과 과정을 수행하거나 추가로 농축 및/또는 동결건조를 수행하여 농축하거나 용매를 제거할 수 있고, 상기 수득한 조성물은 사용 시까지 급속 냉동 냉장고(deep freezer)에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은 동물의 병리학적 세포의 발생 또는 세포의 손상, 소실의 정도의 감소를 의미한다. 예방은 완전할 수 있으며 또는 부분적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조기성숙증 및/또는 가성 유방 발달이 감소하는 현상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치료”는 조기성숙증 및/또는 가성 유방 발달의 하나 이상의 증상을 개선하거나, 증상의 진행을 저지하는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치료의 의미를 포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조기성숙 가성 유방 발달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적인 약학적 조성물의 조제에 사용되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광물유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제화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과 이의 분획물들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컨대,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또는 젤라틴 등을 혼합하여 조제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기성숙증 및/또는 가성 유방 발달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이 대상체에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료용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치료용 조성물이 1일 50 내지 150g 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과 투여횟수는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조기성숙 가성 유방 발달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식품이라 함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건강기능식품, 음료, 식품 첨가제 및 음료 첨가제를 모두 포함하는 의도이다.
본 발명의 식품은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식품 등이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서 식품에는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스넥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과실,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등), 천연조미료(예, 라면스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상기 식품, 건강기능식품, 음료, 식품 첨가제 및 음료 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건강기능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음료란 갈증을 해소하거나 맛을 즐기기 위하여 마시는 것의 총칭을 의미하며 건강기능음료를 포함하는 의도이다. 상기 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의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수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기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g일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주스 음료,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을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20 중량부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음료란 음료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음료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음료 군이나 음료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신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음료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반하(Pinellia ternate), 생강(Zingiber officinale), 백복령(白茯, Poria cocos), 백출(Atractylodes macrocephala), 백작약(Paeonia obovata var.japonica), 일당귀(Ligusticum acutiloba),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 황기(Astragalus propinquus), 자소엽(Perillae Folium), 치자(Gardeniae Fructus), 택사(Alisma canaliculatum ALL. BR. et BOUCHE), 마황(Ephedra sinica), 백지(Angelica dahurica), 감초(Glycyrrhiza uralensis) 및 계지(Cinnamomi Ramulus)의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기성숙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물은 반하(Pinellia ternate) 120 중량부, 생강(Zingiber officinale) 120 중량부, 백복령(白茯, Poria cocos) 120 중량부, 백출(Atractylodes macrocephala) 120 중량부, 백작약(Paeonia obovata var.japonica) 480 중량부, 일당귀(Ligusticum acutiloba) 120 중량부,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 120 중량부, 황기(Astragalus propinquus) 480 중량부, 자소엽(Perillae Folium) 120 중량부, 치자(Gardeniae Fructus) 120 중량부, 택사(Alisma canaliculatum ALL. BR. et BOUCHE) 120 중량부, 마황(Ephedra sinica) 180 중량부, 백지(Angelica dahurica) 120 중량부, 감초(Glycyrrhiza uralensis) 120 중량부 및 계지(Cinnamomi Ramulus) 240 중량부를 혼합하고, 10650 중량부의 정제수를 첨가하여 순행식 무압력 약탕기에서 90 내지 130℃에서 1 내지 5시간동안 열수추출한 것일 수 있고, 가장 구체적으로는 110℃에서 2시간 30분동안 열수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이를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하여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체에 무해한 천연 원료만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으로서, 상기 천연 원료의 유효성분들이 상호 작용하여 사용자의 조기성숙 예방 및 개선하고, 특히 가성 유방 발달 증상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 조성물을 지속 복용하는 경우 내분비계와 생식 기관의 정상적인 균형 발달을 도모함으로써, 조기 성성숙 및 가성 유방 발달 증상에 대해 예방 및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조기성숙 가성유방 발달 억제용 천연물 유래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의 조기성숙 가성유방 발달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반하, 백작약, 백복령 등을 포함하는 천연물 유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반하(Pinellia ternate) 120 중량부, 생강(Zingiber officinale) 120 중량부, 백복령(白茯, Poria cocos) 120 중량부, 백출(Atractylodes macrocephala) 120 중량부, 백작약(Paeonia obovata var.japonica) 480 중량부, 일당귀(Ligusticum acutiloba) 120 중량부,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 120 중량부, 황기(Astragalus propinquus) 480 중량부, 자소엽(Perillae Folium) 120 중량부, 치자(Gardeniae Fructus) 120 중량부, 택사(Alisma canaliculatum ALL. BR. et BOUCHE) 120 중량부, 마황(Ephedra sinica) 180 중량부, 백지(Angelica dahurica) 120 중량부, 감초(Glycyrrhiza uralensis) 120 중량부 및 계지(Cinnamomi Ramulus) 240 중량부를 정제수로 깨끗하게 세척하여 준비하였다.
준비가 완료된 한약재 2700 중량부에 10650 중량부의 정제수를 첨가하고, 순행식 무압력 약탕기에서 110℃에서 2시간 30분 동안 가열하여 열수 추출하여 본 발명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발효 한약재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천연물 유래 추출물에 다음과 같은 발효공정을 추가하여, 본 발명의 조기성숙 가성유방 발달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의 한약재 27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650 중량부의 정제수를 첨가하고, 추가로 프로바이오틱스 혼합물 85 중량부를 더 첨가한 후, 35 내지 42℃에서 13 내지 16시간동안 방치하여 발효시킨 후, 이를 열수 추출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프로바이오틱스 혼합물은 유산균 혼합물 및 프리바이오틱스가 3:2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고, 상기 유산균 혼합물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가 1:2:2: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하였고, 프리바이오틱스는 펙틴, 프락토올리고당, 알라비노갈락탄, 탈지유, 글루코오스 및 락토오스를 3:2:3:1: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20 내지 25°C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숙성시켜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1. 백작약을 제외한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의 제조방법 중 백작약을 포함하지 않고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본 발명 비교예 1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황기를 제외한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의 제조방법 중 황기를 포함하지 않고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본 발명 비교예 2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마황을 제외한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의 제조방법 중 마황을 포함하지 않고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본 발명 비교예 3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계지를 제외한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의 제조방법 중 계지를 포함하지 않고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본 발명 비교예 2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임상 효과 확인
본 발명자는 오랜 임상결과 상기한 천연 한약재를 배합해 추출한 생약성분이 조기성숙증을 가진 어린이에게, 특히 가성유방 발달 증상이 나타난 남녀어린이 모두에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이와 같은 발명에 이르렀다.
구체적으로, 조기성숙증을 가진 여자 어린이 80명 대상으로 일정 기간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을 복용하도록 하였다. 복용기간은 평균 2개월로, 각 어린이의 체중을 기준으로 하여 1회 섭취량을 50g 내지 100g이 되도록 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유방 발달의 정도, 초경 지연효과 및 예상되는 키와의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여자 어린이 대부분 초경이 지연되는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최초 조기성숙증이 의심되는 상황의 발달 정도와 비교할 때 9개월에서 2년까지 초경이 지연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가성유방 발달 증상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조성물을 꾸준히 섭취한지 1개월 이내에 현저한 감소세를 보였으며, 가성유방이 사라지거나, 2차 성징에 의한 진성유방이 발달하기까지 크기에 변화가 없는 등의 뚜렷한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본 발명 조성물의 동물실험 결과 확인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는 경우 성조숙증과 관련된 호르몬 수치의 변화여부 및 체장(몸길이)에 영향을 미치는지 마우스를 대상으로 동물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평균체중 110g의 BALB/C 5주령 마우스 암컷을 12마리 준비하여 각 4마리씩 3개 군으로 나누고, 상기 실시예 1, 2 및 물(대조군)을 투여하고 3주간 호르몬 수치의 변화 및 체장을 확인하였다.
이때, 체장(body length)은 미리 실험테이블 위에 줄자를 고정시킨 후 쥐를 에틸 에테르로 마취시킨 다음 코끝에서부터 꼬리를 제외한 부분 까지를 측정하였다.
또한, 본 실험예에서 확인한 성조숙증과 관련된 호르몬은 난포자극호르몬(FSH), 황체형성호르몬(LH) 및 에스트로겐으로,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 실험동물을 희생시킨 후, 수득한 혈청에 각 호르몬에 맞는 ELISA 키트를 사용함으로써 호르몬의 혈중 농도를 확인하였다.
3주간의 투여가 종료된 후 마우스의 평균 체장은 실시예 1을 투여한 그룹에서 17.53±0.45, 실시예 2를 투여한 그룹에서 18.29±0.97, 물만 투여한 대조군에서 16.85±0.48로 측정되어,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한 경우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특히 발효된 조성물인 실시예 2를 투여한 경우 더욱 우수한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난포자극호르몬(FSH)의 혈중 농도는 실시예 1, 2 및 대조군에서 순서대로 12.57±0.14 ng/㎖, 9.47±0.31 ng/㎖ 및 18.48±0.86 ng/㎖로 나타났고, 황체형성호르몬(LH)의 혈중 농도는 28.24±0.27 ng/㎖, 17.56±0.89 ng/㎖ 및 37.45±0.29 ng/㎖로 나타났으며, 에스트로겐은 305.78±0.31 pg/㎖, 289.46±0.41 pg/㎖ 및 486.78±0.31 pg/㎖로 나타나, 성조숙증과 관련된 모든 호르몬에 있어서 동일하게 실시예 2가 가장 우수한 효과를 보였으며, 실시예 1 및 2 모두 대조군에 비해 현저하게 혈중 호르몬 농도를 떨어트리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한 결과를 종합할 때,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기성숙증과 관련된 호르몬 대사의 조절에 관여함으로써 내분비계와 생식 기관의 정상적인 균형 발달을 도모하고, 이를 통해 조기성숙증 및 가성유방 발달의 예방 또는 개선에 현저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반하(Pinellia ternate) 120 중량부, 생강(Zingiber officinale) 120 중량부, 백복령(白茯, Poria cocos) 120 중량부, 백출(Atractylodes macrocephala) 120 중량부, 백작약(Paeonia obovata var.japonica) 480 중량부, 일당귀(Ligusticum acutiloba) 120 중량부,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 120 중량부, 황기(Astragalus propinquus) 480 중량부, 자소엽(Perillae Folium) 120 중량부, 치자(Gardeniae Fructus) 120 중량부, 택사(Alisma canaliculatum ALL. BR. et BOUCHE) 120 중량부, 마황(Ephedra sinica) 180 중량부, 백지(Angelica dahurica) 120 중량부, 감초(Glycyrrhiza uralensis) 120 중량부 및 계지(Cinnamomi Ramulus) 240 중량부로 이루어진 한약재의 혼합물로부터 수득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기성숙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된 것인, 조성물.
  4. 제1항 및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조기성숙 가성 유방 발달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 및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조기성숙 가성 유방 발달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200117055A 2020-09-11 2020-09-11 조기성숙 가성 유방 발달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217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055A KR102217732B1 (ko) 2020-09-11 2020-09-11 조기성숙 가성 유방 발달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055A KR102217732B1 (ko) 2020-09-11 2020-09-11 조기성숙 가성 유방 발달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7732B1 true KR102217732B1 (ko) 2021-02-19

Family

ID=74687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7055A KR102217732B1 (ko) 2020-09-11 2020-09-11 조기성숙 가성 유방 발달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77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3872A (ja) * 2004-06-07 2005-12-15 Kao Corp アロマターゼ活性化剤
KR20150084298A (ko) * 2014-01-13 2015-07-22 하성미 조기성숙 지연을 위한 한약 추출물 농축액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42520A (ko) * 2014-10-10 2016-04-20 박승찬 성조숙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60072932A (ko) * 2014-12-15 2016-06-24 한국 한의학 연구원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신생혈관 안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3872A (ja) * 2004-06-07 2005-12-15 Kao Corp アロマターゼ活性化剤
KR20150084298A (ko) * 2014-01-13 2015-07-22 하성미 조기성숙 지연을 위한 한약 추출물 농축액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42520A (ko) * 2014-10-10 2016-04-20 박승찬 성조숙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626938B1 (ko) 2014-10-10 2016-06-13 박승찬 성조숙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60072932A (ko) * 2014-12-15 2016-06-24 한국 한의학 연구원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신생혈관 안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4097B1 (ko)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0864455B1 (ko) 간경변, 세포 독성 개선 및 간손상 억제 활성을 갖는 혼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46244B1 (ko) 생약 제제를 포함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KR101328668B1 (ko) 비만억제 활성과 혈당강하 효능이 있는 꾸지뽕 및 의이인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N102552462A (zh) 一种泡腾制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3168883A (zh) 可增强免疫力、抗病原微生物、抗病毒的茶饮料颗粒剂及其制备方法
CN103555530A (zh) 百合保健药酒
KR101930277B1 (ko) 숙취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CN104958646A (zh) 一种润肠通便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KR102192573B1 (ko) 생리통 및 피부 트러블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CN107412665B (zh) 一种具有解酒、防治酒精性肝损伤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3355444B (zh) 一种健脾补气保健茶膏及制备方法
CN108813501A (zh) 具有清热润肺止咳化痰平喘和调节人体机能的养生蜂蜜膏
CN106994141B (zh) 一种治疗便秘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2349950B (zh) 一种食品、保健品或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20160000695A (ko) Dha 함유 기억력 강화 및 피로회복 증진용 한약재 조성물 수능환 및 그 제조방법
CN100577193C (zh) 一种醒酒保健品
TW202330006A (zh) 氣虛及/或血虛相關症狀之預防、改善或緩和用之組合物
CN104586977A (zh) 苦丁茶颗粒剂及其生产方法
KR102217732B1 (ko) 조기성숙 가성 유방 발달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783549B1 (ko) Dha 함유 피로회복 증진 보조식품용 조성물 수능단(수능원) 및 그 제조방법
CN108813500B (zh) 具有补中益气、养血安神和调节人体机能的养生蜂蜜膏
KR101479096B1 (ko)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산전산후부종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CN102485263B (zh) 一种治疗小儿久咳的药物组合物及制备方法
CN105560984B (zh) 一种益气健脾的中药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