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6938B1 - 성조숙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성조숙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6938B1
KR101626938B1 KR1020140136509A KR20140136509A KR101626938B1 KR 101626938 B1 KR101626938 B1 KR 101626938B1 KR 1020140136509 A KR1020140136509 A KR 1020140136509A KR 20140136509 A KR20140136509 A KR 20140136509A KR 101626938 B1 KR101626938 B1 KR 101626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eight
eif
present
extra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6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2520A (ko
Inventor
한찬규
성기승
이경원
박승만
박승찬
Original Assignee
박승찬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찬,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박승찬
Priority to KR1020140136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938B1/ko
Publication of KR20160042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2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93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61K36/8994Coix (Job's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6Curcuma, e.g. common turmeric, East Indian arrowroot or mango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or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율무, 봉출, 인진호, 강황, 진피, 저령, 연교, 곽향, 소엽, 지실, 산조인 및 창출 추출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성조숙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성조숙증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조성물은 성호르몬의 분비 및 생식기관의 발달을 억제하여 궁극적으로 조기 성성숙에 대해 예방 및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성조숙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Precocious Puberty}
본 발명은 성조숙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자료(2010년)에 따르면 한국인 남녀 평균키는 각각 174 cm, 160.5 cm로 2003년 이후 거의 정체상태에 머물고 있으며, 여성은 13세, 남성은 15세가 되면 성장속도가 느려지고 이후 평균 4-5 cm 정도 더 자라는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여성의 성장둔화 연령은 2003년 13세 내외에서 2010년 12세 내외로 빨라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보통 초경(Menarche) 이후에는 5-8 cm 밖에 크지 않기 때문에, 초경이 빠르면 최종 예측키도 작아질 수밖에 없고, 너무 어린 나이에 사춘기가 오는 경우 정신연령은 어리지만 신체만 성숙하게 되어 정서적인 문제와 성격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생식기가 완전하지 못해 극심한 생리통이나 생리불순, 심한 경우 조기폐경 등이 나타나기 때문에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정상적인 속도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필요하다.
조발월경은 10세 미만의 여아에 나타나며, 사춘기조발증(precocios puberty) 또는 성조숙증(sexual precocity)의 한 징후이다. 사춘기조발증의 증상은 음모의 발현(pubarche)과 유방의 발달(thelarche) 등이 있다. 사춘기조발증에는 배란을 수반한 진성(眞性) 성조숙증과 배란을 수반하지 않는 가성(假性) 성조숙증으로 분류된다. 조기에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며, 치료시기를 놓치면, 에스트로겐의 작용으로 골단선의 조기폐쇄가 일어나 소인증이 된다.
최근 영양상태가 좋아 어른처럼 보이는 초등학교 1, 2학년 어린이 중에서 가슴이 부풀고 몸에 털이 많아지는 등의 제2차 성징(secondary sexual characteristics)이 빨리 나타나는 성조숙증을 가진 어린이들이 늘어나고 있다. 아이들의 초경연령이 빨라지고 성조숙 증세를 보이는 경향은 성 호르몬과 관련이 있는데, 이는 아이들에게 익숙한 TV, 컴퓨터 게임 등을 통해 즉, 정신과적, 사회적 변화요인으로 대중매체를 통한 성 노출이 뇌를 자극시켜 성호르몬(sex hormone) 분비를 촉진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게다가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인한 과도한 열량섭취는 비만을 초래하며, 비만아의 체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렙틴(leptin) 역시 성호르몬을 자극하게 된다.
여성의 성장은 초경 이후 둔화된다는 연구결과로 볼 때 7년 전에 비해 초경연령이 1년 가까이 더 빨라졌다는 조사결과와 일치하고 있다. 즉, 사춘기가 빨리 시작되면 그만큼 성장판도 빨리 닫힌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키가 작은 아이를 둔 부모입장에서는 아직 아이의 키가 작은데 혹시나 초경을 일찍 시작하면 어쩌나 하는 걱정을 떨쳐 버릴 수 없다. 내 아이의 키가 평균 이상은 되었으면, 또한 단 1 cm라도 더 컸으면 하는 바람은 모든 부모들의 마음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초경을 지연시키고 키를 키우려면 콜레스테롤과 트랜스지방 함유량이 높은 음식과 무분별한 호르몬제의 사용, 과도한 스트레스 등은 피하고 매일 1시간 이상 유산소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인터넷, TV 등을 통한 자극은 최대한 피하고 환경호르몬으로 알려진 내분비계 장애물질(endocrine disruptors)에 가급적 노출시키지 않는 것도 도움이 된다.
생식기관(reproductive organ)의 형태와 기능이 어린상태를 벗어나 성숙되는 과정으로 성성숙의 개시를 춘기발동기(사춘기)라 한다. 이 시기에 시상하부-뇌하수체-생식선을 축으로 영위되는 번식기능의 일부가 명확히 인정되는 상태에 도달된다. 암컷에서는 난소의 급격한 발육과 난소내 배란될 수 있는 큰 난포를 형성하고 있으면서 초회발정(first estrus)이 나타나고, 수컷에서는 정소의 급격한 발육과 함께 정자형성기능이 발현되어 세정관내에 최초로 정자가 출현한다. 따라서 초회발정(암컷)과 최초 정자출현(수컷)이 사춘기의 지표가 된다.
성조숙증은 유방의 발달, 고환의 확대와 같은 제2차 성징이 너무 이르게 나타나는 현상으로, 이러한 기형(anomalies)은 어린아이들의 키 성장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를 유발시키는 요인이 된다. 성성숙은 하수체(hypophysis)로부터 분비되는 생식선자극호르몬(GTH)에 의해 일어나는 성호르몬의 분비에 의해 개시된다. 100여전에는 초경이 16-17세에 시작되었지만 현재는 평균 12세 정도에 시작된다. 이는 일부 영양상태의 개선에 따른 결과라고 볼 수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HIRAS) 자료에 의하면 2006년 6,400명이던 성조숙증 환자수가 2010년 28,000명으로 4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서 성조숙증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 또한 높아졌다. 우리나라에서는 여자어린이는 8세 전후, 남자어린이는 9세 전후 성적 발달(sexual development)이 시작될 때 성조숙증에 들어선 것으로 진단하고 있다.
성성숙이 성장과의 관계에 대해서 두 가지 성장급등(growth spurts)으로 설명하고 있다. 첫 번째는 출생 후 2-3세 시기로 매년 10 cm씩 자라고 이후에는 5 cm 정도 자란다. 두 번째는 성성숙 시기로 이 시기에 남자는 매년 10 cm, 여자는 8 cm 정도 자라게 되어, 성성숙기 동안 여자아이는 평균 20-25 cm, 남자아이는 25-30 cm 키가 자란다.
성조숙증에는 몇 가지 요인들이 관련되어 있다. 그 중에서 첫째는 유전이다. 만약 어떤 엄마가 젊은 시절 가슴이 발달했다면 후에 그 딸 역시 가슴이 발달될 수 있기 때문에 성조숙증은 때로 질병과 관련되어 있다. 물론 그렇게 발생될 확률은 희박함에도 불구하고 성조숙증을 겪은 몇몇 남자아이들은 뇌종양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많은 환경화학물질의 역할에 대해서도 논쟁이 있으나, 폐기물 소각시 발생하는 다이옥신과 플라스틱제품에 함유된 프탈레이트와 BPA가 호르몬유사작용을 일으키고 있다. 이들 화합물은 체내에 축적 시 성호르몬과 같은 작용을 일으켜서 성성숙을 촉진시킨다. 특히, 6개월 이내 4 cm이상 급속한 성장은 비정상적인 경우로 관심을 가져야 한다.
GnRH 아고니스트 화합물은 성호르몬분비의 억제에 이용되고 있다. 이 방법은 지난 1981년 처방된 이래 부작용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조숙증을 예방하기 위한 지침으로 과도한 지방과 탄수화물 섭취를 자제하고 또한 충분한 수면을 통해 멜라토닌 분비를 촉진시켜서 성호르몬 분비를 억제함으로서 성조숙증을 늦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춘기지연 약물은 성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유도제(GnRH agonist)로 이 약물을 사용해서 성장판이 빨리 닫히는 것을 막아 키를 더 크게 하는 대상은 8세 이전에 젖가슴이 나오고 뼈 나이도 제 나이에 비해 앞서가며 성장속도도 연간 6-7 cm 이상 자라는 경우로 매우 제한적이다. 또한 특수한 호르몬 자극검사를 했을 때 황체형성호르몬(LH)과 난포자극호르몬(FSH) 농도가 매우 상승돼 있어야 한다. 최소 2년 이상 치료해야 하고 뼈 나이가 12세 정도 되면 치료를 중단한다. 이러한 진성 성조숙증 환자의 경우는 조기에 진단하여 만 6~7세에 치료를 시작했을 때 최종 키가 5-10 cm정도 증가하지만 만 9세 이후에는 효과가 없다.
조기 성성숙은 성인이 되었을 때 호르몬과 관련된 암, 대사증후군, 심혈관계 질환과 같은 여러 질병과 관련이 있고, 사망률을 높인다고 알려져 서 건강 측면에서도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사춘기가 빨라지는 요인은 비만의 증가이지만, 이는 나라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전세계 모든 나라에서 소아청소년의 비만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미국이나 아시아 국가, 유럽의 일부 국가에서는 초경 나이가 빨라지는 반면, 영국, 벨기에, 크로아티아, 스웨덴에서는 오히려 늦어지는 현상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들 자료들이 2000년대 초반까지여서 2000년 이후로도 꾸준히 증가하는 비만 유병률에 맞춰 사춘기 시작 연령도 빨라지는지 좀 더 관찰이 필요하다.
미국에서 실시된 제3차 국가건강영양조사연구(Third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88-1994)에서 8-14세 여아 1501명과 남아 1520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과체중과 정상체중인 아이들을 비교시 조기 성성숙을 보이는 비율은 남아에서 22.6%(과체중) vs. 31.6%(정상), 여아에서 34.4% vs. 23.2%로 나타났다. 비만인 아이들과 정상인 아이들을 비교시 남아에서는 6.7%(비만) vs. 14.8%(정상), 여아에서는 15.6% vs. 8.1%로 나타나 여아의 경우는 과체중이나 비만일수록 조기 성성숙의 위험이 높고 남아의 경우는 반대의 결과를 보인다.
이를 종합하면 성별, 나라별, 인종별로 다르기는 하지만 비만과 조기 성성숙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여아는 각 연령별로 과체중(BMI 85- 94백분위수)이나 비만(BMI 95백분위수 이상)이 아닌지, 남아는 지방증 반등 현상이 만 6세 보다 너무 빠르지 않는지를 관찰을 해야 조기에 성 성숙이 생길 수 있는 위험성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성조숙증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는 천연물질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율무 및 인진호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이 혈중 성호르몬을 감소시킴으로써 조기 성성숙을 억제하여 성조숙증의 예방 또는 개선에 매우 유효하다는 것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성조숙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성조숙증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율무(Adlay), 봉출(Curcuma zedoaria), 인진호(Artemisia capillaris Thunb.), 강황(Curcuma longa), 진피(Citrus unshiu Markovich), 저령(Polyporus umbellatus Fries), 연교(Forsythia suspensa Vahl), 곽향(Agastache rugosa (Fisc.r et Mey.) Kuntze), 소엽(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지실(Poncirus trifoliata Rafinesqul), 산조인(Zizyphus jujuba Miller) 및 창출(Atractylodes lancea D.C)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성조숙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성조숙증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는 천연물질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고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율무 및 인진호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이 혈중 성호르몬을 감소시킴으로써 조기 성성숙을 억제하여 성조숙증의 예방 또는 개선에 매우 유효하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율무, 봉출, 인진호, 강황, 진피, 저령, 연교, 곽향, 소엽, 지실, 산조인 및 창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율무는 중국 원산의 귀화식물로서 약료작물로 재배된다. 종자를 의이인이라고 하며, 차 등으로 먹거나 이뇨·진통·강장작용이 있으므로 부종·신경통·류머티즘·방광결석 등에 약재로 쓴다. 생잎은 차 대용으로 쓰고 뿌리를 황달과 신경통에 쓴다. 줄기에 달린 잎은 사료로도 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봉출은 생강과에 속하며 지방에 따라 아출 또는 봉아출 이라고도 한다. 행기(行氣), 통혈(通血), 소어(消瘀), 개위(開胃), 화식(化食), 지통(止痛), 해독(解毒), 파혈(破血), 소적(消積)하는 약재로 봉출은 한방생약으로는 잘 쓰이지 않아 별로 알려지지 않은 약재이다. 봉출의 주된 유효성분은 시오넬성분으로 이것은 타액과 위액의 분비를 왕성하게 함과 동시에 살균과 방부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인진호는 국화과의 사철쑥의 지상부를 말린 약재를 말하며, 일본은 사철쑥의 두상화를 사용하고 중국은 사철쑥과 빈호(濱蒿, Artemisia scoparia Waldst. et Kit.)의 지상부를 사용한다. 더위지기(A. iwayomogi)는 우리나라에서만 한인진이라고 하여 사용하고 있다. 비록 쑥(蒿)의 한 종류이지만 겨울이 지나도 죽지 않고 그 줄기에서 다시 싹이 살아나기 때문에 인진(因陳)이라는 이름이 생겼으며 호(蒿)란 쑥을 의미한다. 약리작용으로 담즙분비촉진작용, 간기능보호 및 간세포재생작용, 지질분해작용, 관상동맥 확장작용, 혈압강하작용, 해열, 이뇨작용, 항미생물작용, 실험성 복수암 세포억제효과 등이 보고되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강황은 맵고 쓴맛을 내는 향신료로 지금 또는 울금이라고도 한다. 인도와 동남아, 중국 서남부지방에 걸쳐 서식하며. 46월에 꽃이 핀다. 향신료는 잎이나 꽃은 쓰지 않고 주로 뿌리줄기만을 쓰며, 맵고 쓴맛을 내어 카레라이스를 만드는 재료로 쓰인다. 뿌리줄기의 색깔은 연한 주황색을 띠며 톡쏘는 냄새가 날 때 가장 좋고, 대부분 요리에 쓰이지만 인도에서는 藥으로 쓰이기도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진피는 운향과의 귤(Citrus unshiu Markovich) 또는 동속 근연식물의 성숙한 과피를 말한다. 일본에서는 귤(Citrus unshiu Markovich)과 병감(柑, Citrus reticulata Blanco)을 진피로, 귤감(橘柑, Citrus tachibana(Makino) Tanaka)을 귤피(橘皮)로 사용하고 있으며, 중국에서는 병감(柑) 및 그 재배변종을 진피로 규정하고 있다. 진피귤나무의 열매 껍질을 약용한 것으로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다. 비위가 허약하여 일어나는 구토, 메스꺼움, 소화불량 등에 쓰인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저령은 잔나비걸상과의 버섯인 차연의 균핵으로 만든 약재(한국)이다. 저령이란 약의 생김새에서 온 말인데 검은색 덩어리가 마치 돼지똥과 비슷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령(零)이란 돼지똥처럼 덩어리가 조금씩 떨어지는 것을 말하며 말똥처럼 한번에 떨어지는 것은 통(通)이라 한다. 이 약은 약간 단맛이 돌며 밋밋하고 성질은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평평하다. 이뇨작용이 강하여 전신부종, 임질, 임신부종, 습성설사, 비위가 찬 증상에 쓴다. 약리작용은 이뇨 및 항암작용, 생쥐 망상내피계통에 탐식기능 증강작용, 항균작용이 보고되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연교는 물푸레나무과의 의성개나리(Forsythia viridissima Lindley) 또는 연교의 열매를 말한다. 연교개나리의 열매를 약용한 것으로 맛은 쓰고 성질은 조금 차다. 열을 내리게 하고 소변에 피가 섞이는 증상에 쓰이며, 이뇨·소염·해열작용이 있다. 연교는 열매가 연꽃(蓮)과 비슷하게 房을 형성하고 있고 여러 풀중에 길게 솟아나와 있어 얻은 이름이다. 혹자는 씨앗을 쪼개면 한조각 한조각이 깃털과 비슷하기 때문에 연교라고 부른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있으며 맛은 쓰고 성질은 약간 차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곽향은 배초향(Agastache rugosa (Fisc.r et Mey.) Kuntze)의 지상부를 사용해 만든 약재(한국)이다. 중국과 일본에서는 이 약을 사용하지 않는다. 잎이 콩잎을 닮아 '콩'이라는 뜻인 '곽(藿)'과 향이 난다는 뜻의 '향(香)'을 합해 '곽향'이라고 불리고, 토곽향(土藿香), 배초향(排草香)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 약은 특이한 향기가 있고 약성은 맵고 약간 따듯하다. 약리작용으로 피부 진균, 대장균, 이질균, 폐렴균, 용혈성연쇄상구균 억제, 위액분비 촉진작용 등이 있다. 전국의 산에서 자라며 방애잎, 중개풀, 방아풀이라하여 어린잎을 추어탕 등 고기비린내 제거용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소엽은 꿀풀과에 속하는 1년생 초본식물인 차즈기(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의 잎으로 만든 약재. 학명은 Perilla frutescens (L.) Britton var. purpurascens (Hayata) H. W. Li, 종자를 蘇子라고 하며 약효성분은 정유가 0.5% 가량 들어 있고, 그 중 페릴알데히드 55%, 쿠믹산, 페릴알콜 등이 함유되어 있다. 맛은 쓰고 약간 매우며 약성은 따뜻하다. 약효는 감기로 인하여 땀이 나지 않고 오한과 열이 있으면서 때론 기침과 천식을 일으키는 증상에 활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지실은 탱자나무의 열매를 가운데를 잘라서 건조한 것으로 국산과 외산으로 나누어지는데 큰 차이점이 없어서 혼합되어 있으면 구별하기 어려운 약재인데 겉표면의 색이 건조하면 국산이 외산에 비해서 밝으며 껍질안에 질은 국산이 외산보다는 얇다. 단면의 색은 국산이 흰색에 가까운 황색을 띠며 외산은 진한 편이다. 열매가 열리자마자 채취한 지실을 애지실이라고 부르며 크기가 작을수록 상품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산조인은 갈매나무과의 묏대추(Zizyphus jujuba Miller)의 씨로 만든 약재(한국)이다. 중국·일본에서는 묏대추가 아닌 산조인(Zizyphus jujuba var. spinosa)의 씨를 사용한다. 이 약은 약한 기름 냄새가 있고 맛은 달고 시며 성질은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평하다. 산조인은 신경과민, 불면증, 건망증, 식은땀 등에 사용한다. 또한 비위를 튼튼하게 하고 빈혈에 효과가 있다. 약리작용은 진정, 최면, 혈압강하, 진통, 체온강하작용, 항산화작용, 면역항진작용, 자궁흥분작용, 화상환부 부종 억제작용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난원형이며 바깥 면은 황갈색 또는 적갈색으로 매끄럽고 광택이 있다. 한쪽에는 제점, 다른 한쪽에는 합점이 있으며 봉선은 제점에서 변연에 따라 한 둘레로 있다. 씨앗 껍질은 약간 유연하고 회색의 내유 및 엷은 황색의 자엽을 싸고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창출은 삽주의 뿌리열매로 우리나라 각처의 산지의 햇볕이 잘 드는데서 잘 자라는데 한방에서는 위장을 튼튼하게 하고 비만예방효능이 알려져 있다. 섭취방법은 삽주의 어린순은 나물, 튀김 등에 이용하고 잎은 산채나물로 먹으며 뿌리는 한방에서 약용으로 쓰인다. 삽주차, 삽주주, 삽주나물 등이 있다. 궁합음식정보 는 창출은 맛이 맵고 써서 대추와 같이 다려 먹으면 매운맛을 완화시킬 수 있다. 효능은 열량이 낮아서 비만방지에 좋고, 신장보호, 소변배출 용이에 좋다. 창출의 성분으로는 정유와 아트락틸롤, 비타민 A, D 등으로 구성되었고, 한방에서는 위장과 비장을 튼튼하게 하고, 신장을 따뜻하게 하며, 피로와 갈증을 없애고 땀과 소변이 잘 나오게 하며, 몸속의 독과 통증을 없애는 효능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율무, 봉출, 인진호, 강황, 진피, 저령, 연교, 곽향, 소엽, 지실, 산조인 및 창출 추출물을 수득하는 데에는 다양한 추출용매가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극성 용매 또는 비극성 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극성 용매로서 적합한 것은, (i) 물, (ii) 알코올(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노말-부탄올, 1-펜탄올, 2-부톡시에탄올 또는 에틸렌글리콜), (iii) 아세트산, (iv) DMFO (dimethyl- formamide) 및 (v) DMSO(dimethyl sulfoxide)를 포함한다. 비극성 용매로서 적합한 것은, 아세톤, 아세토나이트릴,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플루오로알칸, 펜탄, 헥산, 2,2,4-트리메틸펜탄, 데칸, 사이클로헥산, 사이클로펜탄, 디이소부틸렌, 1-펜텐, 1-클로로부탄, 1-클로로펜탄, o-자일렌,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2-클로로프로판, 톨루엔, 1-클로로프로판, 클로로벤젠, 벤젠, 디에틸 에테르, 디에틸 설파이드,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어닐린, 디에틸아민, 에테르, 사염화탄소 및 THF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용매는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g) 부틸아세테이트, (h) 1,3-부틸렌글리콜, (i) 헥산 및 (j) 디에틸에테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추출물은 물,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의 조합을 율무, 봉출, 인진호, 강황, 진피, 저령, 연교, 곽향, 소엽, 지실, 산조인 및 창출에 처리하여 수득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율무, 봉출, 인진호, 강황, 진피, 저령, 연교, 곽향, 소엽, 지실, 산조인 및 창출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율무, 봉출, 인진호, 강황, 진피, 저령, 연교, 곽향, 소엽, 지실, 산조인 및 창출 추출물은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10-30 중량%: 2-12 중량%: 2-12 중량%: 2-12 중량%: 2-12 중량%: 2-12 중량%: 2-12 중량%: 2-12 중량%: 1-5 중량% 혼합비로 혼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율무, 봉출, 인진호, 강황, 진피, 저령, 연교, 곽향, 소엽, 지실, 산조인 및 창출 추출물은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12-22 중량%: 4-10 중량%: 4-10 중량%: 4-10 중량%: 4-10 중량%: 4-10 중량%: 4-10 중량%: 4-10 중량%: 1-3 중량% 혼합비로 혼합된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율무, 봉출, 인진호, 강황, 진피, 저령, 연교, 곽향, 소엽, 지실, 산조인 및 창출 추출물은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14-20 중량%: 5-9 중량%: 5-9 중량%: 5-9 중량%: 5-9 중량%: 5-9 중량%: 5-9 중량%: 5-9 중량%: 1-2 중량% 혼합비로 혼합된다.
본 발명의 추출물 조합은 인체 내에서 혈중 성호르몬을 감소시키며, 자궁 및 난소의 발달을 억제함으로써 조기 성성숙을 억제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성조숙증 및 2차 성징을 유발하는 혈중 황체형성호르몬, 에스트로겐 및 난포자극호르몬의 분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며, 생식기관인 자궁 및 난소의 발달을 억제한다. 이러한 효과를 통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성조숙증에 대하여 예방 및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성조숙증(precocious puberty)”은 평균치보다 2표준 편차 이상 2차 성징의 출현이 빠른 경우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여아에서 8세 이전 유방 발달, 9세 이전 음모 발달, 9.5세 이전 초경이 생기는 경우를 말하며, 남아에서는 9세 이전에 고환의 용적이 4 mL 이상 또는 직경이 2.5 cm 이상으로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성호르몬의 분비를 감소시키는 효능 및 생식기관 발달 억제 효과를 나타내며, 이러한 효능은 성조숙증의 예방 및 개선에 매우 유효하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여성 성조숙증에 대해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일반적인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1000 ㎎/kg 범위 내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율무(Adlay), 봉출(Curcuma zedoaria), 인진호(Artemisia capillaris Thunb.), 강황(Curcuma longa), 진피(Citrus unshiu Markovich), 저령(Polyporus umbellatus Fries), 연교(Forsythia suspensa Vahl), 곽향(Agastache rugosa (Fisc.r et Mey.) Kuntze), 소엽(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지실(Poncirus trifoliata Rafinesqul), 산조인(Zizyphus jujuba Miller) 및 창출(Atractylodes lancea D.C)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성조숙증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추출물 뿐 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 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 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 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추출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또는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ⅰ) 본 발명은 율무, 봉출, 인진호, 강황, 진피, 저령, 연교, 곽향, 소엽, 지실, 산조인 및 창출 추출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성조숙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성조숙증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ⅱ) 본 발명은 조성물은 성호르몬의 분비 및 생식기관의 발달을 억제하여 궁극적으로 조기 성성숙에 대해 예방 및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재료 및 방법
본 실험은 성호르몬을 자극하지 않는 약재로서 율무, 봉출, 인진호, 강황, 진피, 저령, 연교, 곽향, 소엽, 지실, 산조인 및 창출(총 12종)의 천연 한약재를 배합해 추출한 생약성분을 조기 성숙증을 가진 여자어린이 148명에게 적용했을 때 여성호르몬은 감소한 반면 성장호르몬은 증가시켜서 월 평균 키가 0.6 ㎝ 더 크는 임상결과에 근거하여 이러한 생약성분(EIF) 조성물을 어린 암컷 쥐에게 투여했을 때 초경의 지연과 성장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사춘기가 시작된 여자 어린이를 상정해서 성성숙이 개시된 것으로 판단되는 평균체중 130 g된 암컷흰쥐를 공시하여 생약성분(EIF) 조성물을 2주동안 급여하였다.
율무, 봉출, 인진호, 강황, 진피, 저령, 연교, 곽향, 소엽, 지실, 산조인 및 창출(총 12종)의 천연 한약재를 각각 104℃에서 4시간 열수추출한 다음 여과 후 재차 104℃에서 2시간 동안 열수추출한 상태에서 50-60℃에서 2-4시간동안 복합효소제(탄수화물 가수분해효소, 아라반가수분해효소, 셀룰라아제, 베타글루카나아제, 헤미셀룰라아제, 자일란분해효소)인 Viscozyme L (novozymes 社, 덴마크)을 처리하고, 95-100℃에서 30분 가열하여 효소를 실활(deactivation)시킨다. 여기에 덱스트린을 혼합, 용해하고 저온(감압상태)에서 농축한다(조건: 60℃/700 mmHg).
상기 혼합농축액을 살균(90℃/30분) 한 후 약 200-240℃의 열풍온도에서 분무건조(Spray dry)한 다음 불순물을 제거하고 냉각 후 포장하였다. 한편, 추출물에 상기 복합효소를 투입하고 50-60℃에서 2-4시간동안 교반하면서 각 효소가 반응과정에서 효소에 의해서 추출물중의 탄수화물, 아라반, 셀룰로오즈, 베타글루칸, 헤미셀룰로오즈, 자일란 등 분자량이 큰 복합다당류를 가수분해하여 분자량이 작은 상태로 만들어 주는 발효과정을 거치게 되고, 이후 멸균처리한 다음 건조 후 분말로 만들었다. EIF 조성물은 분말상태의 각 추출물을 표 1의 조성으로 혼합하여 한꺼번에 달여서 추출 제조하였다.
1. 실험동물과 식이
평균체중이 130 g된 암컷 어린 흰쥐를 공시하여 생약성분(EIF) 조성물(표 1)이 초경반응의 지연과 성장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성장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2주 동안 시험하였다. 실험처리군은 EIF 조성물과 대조군으로 하였다(표 2). 실험식이는 Harlan 2018S-diet(Teklad Global 18% Protein Rodent Diet)를 기본식이로 하였다. 실험조성물(EIF 조성물)의 첨가수준은 초등학교 6학년 여학생을 기준(체중 36 kg, 1일 3회 섭취, 1회 섭취량 100 mL, 총 섭취량 300 mL, 체중 대비 0.83%)으로 사료배합 및 시험결과의 원만한 도출을 위하여 3배 증량한 2.5%(w/w)를 기준으로 각각 2배(5%) 및 4배(10%)로 첨가하여 실험식이를 제조하였다. 추가 실험에서 A는 대조군, B는 2.5% EIF 조성물을 첨가하였다. 대조군은 실험기간동안(2주) EIF 조성물을 첨가하지 않은 Harlan 2018S-diet를 급여하였다. 공시동물은 각각의 처리군당 10마리씩 배치하였다. 실험식이의 일반성분은 표 3과 같다.
EIF 조성물의 세부 조성
소재 영문명(학명) 첨가수준(%)
율무[薏苡仁] Adlay 23
봉출[蓬朮] Curcuma zedoaria 7
인진호[茵蔯蒿] Artemisia capillaris Thunb. 7
강황[姜黃/薑黃] Curcuma longa] 7
진피[陳皮] Citrus unshiu Markovich 7
저령[猪] Polyporus umbellatus Fries 7
연교[連翹] Forsythia suspensa Vahl 7
곽향[藿香] Agastache rugosa (Fisc.r et Mey.) Kuntze 7
소엽[蘇葉]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7
지실[枳實] Poncirus trifoliata Rafinesqul 7
산조인[酸棗仁] Zizyphus jujuba Miller 7
창출[蒼朮] Atractylodes lancea D.C 7
합 계 - 100
EIF 조성물 실험설계
그룹 처리내용 소요량(g)
A EIF-조성물(H, 10%) + 어분 1% EIF 900 어분 90
B EIF-조성물(M, 5%) + 어분 1% EIF 450 어분 90
C EIF-조성물(L, 2.5%) + 어분 1% EIF 225 어분 90
D 대조군(일반식이군, Harlan-diet)3)
3)기본사료 : Harlan 2018S-diet (Teklad Global 18% Protein Rodent Diet)
실험사료의 일반조성
그룹 A
(10%)
B
(5%)
C
(2.5%)
D
(대조군)
열량(kcal/100 g) 360 369 373 310
수분(g/100 g) 11.21 9.18 8.67 10.25
지방(g/100 g) 5.14 5.62 5.87 6.20
단백질(g/100 g) 16.84 17.83 18.46 18.6
회분(g/100 g) 5.21 5.59 5.48 5.30
탄수화물(g/100 g) 61.60 61.78 61.52 44.2
Ca(mg/100 g) 901.89 992.59 980.85 1000
P(mg/100 g) 664.90 706.22 720.12 700
열량: 식품공전(2013)계산법, 수분: 상압가열건조법, 지방: 에테르추출법, 단백질: Kjeldahl법(질소계수:6.25), 회분: 회분시험법, 탄수화물: 식품공전(2013)계산법, Ca&P: ICP-AES측정법
2. 신체계측
2-1. 체장
해부전 미리 실험테이블위에 줄자를 고정시킨 후 흰쥐를 에틸에테르로 마취시킨 다음 코끝에서부터 꼬리끝 부분까지를 측정하였다.
2-2. 대퇴골
무게는 흰쥐의 오른쪽 대퇴부를 발골하여 근육을 제거하고 습중량을 측정하였다. 길이는 캘리퍼로 대전자(大轉子)와 내측과(medial condyle) 사이를 측정하였다.
2-3. 골밀도
실험동물을 희생시킨 후 대퇴골을 발골하여 골밀도측정기(pDEXA, Forearm: X-Ray, NORLAND, Bone Densitometer, 미국)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3. 조사항목과 분석방법
3-1. 체중, 식이섭취량 및 장기무게
체중과 식이섭취량은 7일 간격으로 조사하였고, 장기무게는 실험당일 아침에 쥐를 희생시켜 장기를 적출한 다음 간, 신장, 비장, 자궁 및 난소무게를 칭량하였다.
3-2. 혈중 호르몬과 골형성 지표의 분석의의
LH(luteinizing hormone, 황체형성호르몬)은 뇌하수체 전엽의 원위부에 있는 성선자극세포로부터 분비되는 성선자극호르몬의 일종으로 당단백질호르몬이다. 수컷의 정소내 간질세포(Leydig's cell)를 자극하여 안드로겐을 분비시키는 생리작용을 가지고 있어 간질세포자극호르몬(ICSH)이라고 하고, 암컷에서는 FSH와 공동작용으로 난포(ovarian follicle)를 완전히 발육시켜 다량의 에스트로겐을 분비시킨다.
에스트로겐은 암컷에서 발정행동을 유발하고, 발정에 수반하는 부생식기관의 발육과 기능을 촉진하는 물질을 총칭한다. 대표적 에스트로겐인 에스트라디올-17β는 가장 강력한 에스트로겐의 생리작용을 발현하고, 표적세포(target cell)의 에스트로겐 수용체(estrogen receptor)와도 강력한 친화력을 가진 호르몬으로, 주로 난포에서 분비되기 때문에 난포호르몬(follicular hormone)이라고도 한다.
FSH(follicle-stimulating hormone, 난포자극호르몬)는 뇌하수체 전엽의 염기호성세포가운데 성선자극세포로부터 분비되는 성선자극호르몬(GTH)의 일종으로 당단백질호르몬이다. FSH의 분비는 LH와 같이 시상하부에서 분비되는 성선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GnRH)에 의해서 조절되지만, FSH와 LH의 분비양상이 꼭 일치되는 형태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암컷에서 난소내에 있는 난포의 성장과 성숙을 자극하고, 수컷에서는 정소의 곡세정관내에 있는 배아세포(germinal cell)의 분화를 촉진하며, 정자형성과정중 제2차정모세포까지의 발생과정을 촉진한다. 그러나 이후의 정자형성의 최후단계는 안드로겐에 의해 지배된다.
성장호르몬(growth hormone)은 성장에 관여하는 여러 호르몬 중 출생 후 성장에 관여하는 호르몬은 22 kD의 분자량을 갖는 뇌하수체 전엽 호르몬인 성장 호르몬이다(전진경 等, 2000). 측정상 단점은 자극 검사없이 일반 혈청 검사로는 쉽게 측정할 수 없을 정도로 소량 분비된다. 분비양상이 박동성이어서 측정시간에 따라 다른 값을 보인다. 성장호르몬결핍 증상을 보이는 아동에서 실시한 호르몬 자극검사상 성장호르몬 값은 정상이었으나 자연 상황에서 24시간 분비되는 성장호르몬 총량은 정상치 보다 떨어진다(전진경 등, 2000). 보완책으로 성장호르몬의 말초조직에서 작용효과를 측정하는 대체적 방법인 IGF-1농도를 측정한다. IGF-I은 성장호르몬의 영향을 받아 인슐린의 표적조직에서 당질, 지질, 단백질의 합성을 자극하여 인슐린과 비슷한 작용, 즉 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관여함으로써 성장에 영향을 미친다(전진경 등, 2000). IGF-I의 작용은 결합 단백질과의 결합 후 일어나며 IGF-I은 6가지의 서로 다른 결합 단백을 가지고 있고 이중 IGFBP-3와 80% 정도가 결합한다. 즉, IGF-I은 성장호르몬 분비를 간접적으로 반영하며 in vitro, in vivo, 인체실험 모두에서 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관여함으로써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골격 성장과 발육의 생리과정에도 강력한 영향인자로 입증되었다. IGF-I은 체내에서 일정한 농도를 유지하므로 측정이 비교적 용이하며 내인성 성장호르몬 분비 평가에 유용한 진단적 지표이다. IGF-I의 성장호르몬 결핍증 진단에서 민감도는 75.9%, 특이도는 72%이다(Juul 등, 1997). IGF-I의 단일 측정보다는 신장, 영양상태, 성장속도, IGFBP-3 측정 등과 함께 사용하며 골격성장 판정시에는 골격 대사지표와 함께 측정한다.
오스테오칼신(BGP)은 골형성 바이오마커로 프로트프롬빈내에서 발견한 γ-카르복시글루탐산(Gla)을 포함하는 골격의 산성단백질이다. 골아세포와 치아모세포(odontoblast)에서만 생산된다. 골아세포에 의해 합성된 오스테오칼신은 인회석 결정과 함께 골세포에 침착되는데 혈장내에서도 관찰할 수 있다(정상치 6-7 ng/mL). 골격에서 오스테오칼신의 역할은 불명하나 혈장내 오스테오칼신 농도는 골아세포(osteoblast)의 활성을 시사하고 혈중 고농도의 오스테오칼신은 골밀도(BMD)의 증가와 상관관계가 매우 높다.
3-3. 생화학 지표 및 통계분석방법
실험동물을 희생시킨 후 혈액 중 생화학 지표를 측정하기 위해 채혈하여 혈청을 분리한 후 -60℃ 냉동고에 분석할 때까지 보관하였다. 혈청 중 생화학적 성분의 분석방법은 표 4와 같다. 실험결과의 통계분석은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던컨의 다중검정법(α=0.05)으로 처리군간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혈청 성분의 분석방법
종류 종류 시약
(키트)
분석기
(모델)
LH ELISA 설치류 LH
ELISA 테스트
Microplate Reader
(VERSA Max, USA)
에스트로겐 ELISA 에스트라디올 랫트/
마우스 ELISA
FSH ELISA 설치류 FSH
칼시토닌 CLIA Liason 칼시토닌 Ⅱ-Gen Liason XL
(Liason, USA)
오스테오칼신 ELISA 랫트 오스테오칼신
EIA 키트
Microplate Reader
(VERSA Max, USA)
에스트라디올 ELISA 에스트라디올 랫트/
마우스 ELISA
Microplate Reader
(VERSA Max, USA)
GH ELISA Octeia Rat/Mouse
IGF-1
Microplate Reader
(VERSA Max, USA)
3-4. 질개구일 측정
질개구는 폐쇄되었던 질이 열려서 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말하며 실험동물(흰쥐, 마우스)에서는 최초의 배란(ovulation)이 일어나는 시기에 질이 개구되는 경우가 많다. 기니픽에서는 성숙한 암컷에서도 발정기(estrus)에만 질이 개구되기 때문에 이를 발정발현의 지표로 삼는다. 본 발명에서는 실험 개시일부터 매일 아침 질 개구여부를 검사하여 개구일령을 기록하였다.
실험결과
1. 체중변화
율무와 인진 외 10종의 천연 한약재를 배합해 추출한 생약성분(EIF) 조성물이 어린 암컷 쥐의 장기무게에 미치는 영향은 표 5(1차 실험) 및 표 6(2차 실험)과 같다.
1차 실험에서 시험기간(2주) 동안 평균 일당 증체량은 4.60-4.77 g으로 실험처리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식이섭취량은 EIF 조성물 중 10% 처리군(A)과 식이대조군(D)이 비슷하였고, EIF 조성물 중 2.5% 처리군(C)이 통계적으로 가장 낮았다(p<0.05). 식이효율은 실험처리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표 5).
2차 실험에서 일당 증체량과 식이섭취량은 대조군(A)에 비해 EIF군(B)이 유의적인 차이가 없이 B군이 다소 높았다(표 6).
EIF조성물식이가 암컷쥐의 체중변화에 미치는 영향(1차)
Group 개시체중
(g)
종료체중
(g)
일당증체량(g) 식이섭취량(g/day) 식이효율
A 131.5±
6.29
196.1±
9.98ns
4.61±
0.38ns
17.67±
0.83a
0.261±
0.005ns
B 131.2±
5.68
195.9±
13.93
4.62±
0.69
17.43±
1.03ab
0.265±
0.022
C 131.5±
9.25
195.9±
11.72
4.60±
0.37
16.80±
1.14b
0.275±
0.013
D 131.4±
7.23
198.1±
12.15
4.77±
0.51
17.99±
1.23a
0.267±
0.014
측정값은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냄(n=10).
Significant at p<0.05 (실험군간에 95%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인 차이가 있음)
nsnot significant (실험처리군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음)
1)A, B, C: EIF 조성물 첨가군(10%, 5%, 2.5%), D: 기본식이(Harlan 2018S-diet)
EIF조성물식이가 암컷쥐의 체중변화에 미치는 영향(2차)
Group 개시체중
(g)
종료체중
(g)
일당증체량
(g/day)
식이섭취량
(g/day)
식이효율
(FER)
A 54.40±2.61 146.2±8.73 5.96±0.62 14.14±1.63 0.44±0.05
B 53.91±2.08 149.1±8.30 6.24±0.75 14.40±1.90 0.47±0.08
측정값은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냄(n=12).
nsnot significant (실험처리군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음)
A: 대조군 B: EIF 조성물 첨가군
2. 장기무게
율무와 인진 외 10종의 천연 한약재를 배합해 추출한 생약성분(EIF) 조성물이 어린 암컷 쥐의 장기무게에 미치는 영향은 표 7(1차 실험) 및 표 8(2차 실험)과 같다.
1차 실험에서 간무게는 EIF 조성물 중에서 5% 처리군(B)과 2.5% 처리군(C)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신장은 실험처리군중 EIF 조성물 중에서 10% 처리군(A)이 다른 세 처리군 보다 통계적으로 가장 높았고, 비장은 EIF 조성물 중에서 5% 처리군(B)과 2.5% 처리군(C)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자궁은 실험처리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난소무게는 식이대조군(D)과 비교해서 EIF 조성물 처리군(A, B, C)에서 모두 낮았는데, 특히 2.5% 처리군(C)과 D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표 7).
2차 실험에서 난소와 자궁무게는 대조군(0.057, 0.197 g)에 비해 EIF군(0.053, 0.177 g)이 유의적인 차이가 없이 각각 7%, 10% 낮았다. 다른 장기(간, 신장, 비장) 무게도 A군에 비해 B군이 다소 낮았다(표 8).
EIF 조성물 식이가 암컷 쥐의 장기무게에 미치는 영향(1차)(단위: g/100 g bw)
Group1) 신장 비장 자궁 난소
A 3.52±
0.35ab
0.49±
0.07a
0.25±
0.03ab
0.237± 0.070ns 0.058± 0.010ab
B 3.71±
0.44a
0.44±
0.03b
0.26±
0.05a
0.227± 0.072 0.056± 0.008ab
C 3.26±
0.18b
0.43±
0.04b
0.22±
0.03b
0.196±
0.064
0.050± 0.011b
D 3.36±
0.23b
0.43±
0.04b
0.24±
0.03ab
0.204± 0.077 0.064± 0.012a
측정값은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냄(n=10).
Significant at p<0.05 (실험군간에 95%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인 차이가 있음)
nsnot significant (실험처리군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음)
1)A, B, C: EIF조성물첨가군(10%, 5%, 2.5%), D: 기본식이(Harlan 2018S-diet)
EIF 조성물 식이가 암컷 쥐의 장기무게에 미치는 영향(2차)(단위: g/100g bw)
Group1) 신장 비장 자궁 난소
A 4.740±0.260 0.965±0.054 0.361±0.037 0.057±0.009 0.197±0.059
B 4.666±0.170 0.942±0.045 0.351±0.050 0.053±0.007 0.177±0.053
측정값은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냄(n=12).
nsnot significant (실험처리군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음)
A: 대조군 B: EIF 조성물 첨가군
3. 체장
율무와 인진 외 10종의 천연 한약재를 배합해 추출한 생약성분(EIF) 조성물이 어린 암컷 쥐의 체장에 미치는 영향은 표 9(1차 실험) 및 표 10(2차 실험)과 같다.
1차 실험에서 몸의 전체길이는 대조군(D)과 비교해서 EIF 조성물 첨가군(A, B, C)에서는 평균 0.55-0.60 cm 짧았다. 몸통길이는 EIF 조성물 중에서 10% 처리군(A)과 2.5% 처리군(C)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꼬리길이는 EIF 조성물 중에서 10% 처리군(A)과 식이대조군(D)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표 9).
2차 실험에서 몸통길이는 대조군(16.50 cm) 보다 EIF군(17.33 cm)이 유의 차가 없이 5% 더 길었다(표 10).
EIF 조성물 식이가 암컷 쥐의 체장(體長)에 미치는 영향(1차)(단위: cm)
그룹 전체길이 몸통길이 꼬리길이
A 35.80±1.09ns 19.55±0.83a 16.25±0.42b
B 35.80±0.98 19.20±0.42ab 16.60±0.74ab
C 35.85±1.20 18.90±0.52b 16.95±0.90a
D 36.40±1.05 19.30±0.54ab 17.10±0.74a
측정값은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냄(n=10).
Significant at p<0.05 (실험군간에 95%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인 차이가 있음)
nsnot significant (실험처리군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음)
1)A, B, C: EIF조성물첨가군(10%, 5%, 2.5%), D: 기본식이(Harlan 2018S-diet)
EIF 조성물 식이가 암컷 쥐의 체장에 미치는 영향(2차)
그룹 몸전체(cm) 몸통(cm)
A 30.88±0.80 16.50±0.74
B 31.33±0.83 17.33±0.78
측정값은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냄(n=12).
nsnot significant (실험처리군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음)
A: 대조군 B: EIF 조성물 첨가군
4. 대퇴골의 길이와 무게 및 골밀도
율무와 인진 외 10종의 천연 한약재를 배합해 추출한 생약성분(EIF) 조성물이 어린 암컷쥐의 대퇴골의 길이와 무게 및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은 표 11(1차 실험) 및 표 12(2차 실험)와 같다.
1차 실험에서 대퇴골길이는 EIF 조성물 첨가군이 식이대조군(D)과 비교해서 평균 0.14-0.17 cm 짧았고,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대퇴골무게는 EIF 조성물 중에서 2.5% 처리군(C)과 식이대조군(D)간에 차이가 없었다. 대퇴골의 좌우 골밀도는 EIF 조성물 중에서 2.5% 처리군(C)이 식이대조군(D)에 비해 각각 4.5%, 5.9% 낮았다(p<0.05)(표 11).
2차 실험에서 대조군과 EIF군의 대퇴골 무게, 길이 및 골밀도는 차이가 없었다(표 12).
EIF 조성물 식이가 암컷 쥐의 대퇴골의 길이와 무게 및 골밀도(BMD)에 미치는 영향(1차)
그룹 길이
(cm)
무게
(g)
골밀도(g/cm2)
왼쪽 오른쪽 평균
A 30.66±
0.67ns
0.63±
0.06ns
0.0824±
0.0069ab
0.0826±
0.0047ab
0.0823±
0.0053ab
B 30.64±
0.53
0.63±
0.03
0.0858±
0.0026a
0.0854±
0.0034a
0.0856±
0.0024a
C 30.67±
0.61
0.62±
0.05
0.0811±
0.0038b
0.0801±
0.0043b
0.0806±
0.0034b
D 30.81±
0.79
0.62±
0.05
0.0849±
0.0034ab
0.0851±
0.0042a
0.0850±
0.0033a
측정값은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냄(n=10).
Significant at p<0.05 (실험군간에 95%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인 차이가 있음)
nsnot significant (실험처리군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음)
1)A, B, C: EIF조성물첨가군(10%, 5%, 2.5%), D: 기본식이(Harlan 2018S-diet)
BMD: bone-mineral density
EIF 조성물 식이가 암컷 쥐의 체장, 대퇴골의 길이와 무게 및 골밀도(BMD)에 미치는 영향(2차)
그룹 몸전체(cm) 몸통(cm) 무게(g) 길이(cm) 골밀도(BMD)
A 30.88±0.80 16.50±0.74 0.47±0.03 26.61±0.75 0.062±.003
B 31.33±0.83 17.33±0.78 0.47±0.02 26.90±0.42 0.064±.002
측정값은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냄(n=12).
nsnot significant (실험처리군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음)
A: 대조군 B: EIF 조성물 첨가군
5. 혈중 호르몬농도
율무와 인진 외 10종의 천연 한약재를 배합해 추출한 생약성분(EIF) 조성물이 질개구일과 성호르몬 및 성장호르몬 농도에 미치는 영향은 표 13(1차 실험) 및 표 14(2차 실험)와 같다.
1차 실험에서 혈중 호르몬농도는 전체적으로 식이대조군(D)에 비해서 EIF 조성물 처리군(A, B, C)이 유의적인 차이가 없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암컷에서 FSH와 공동작용으로 난포(ovarian follicle)를 완전히 발육시켜 다량의 에스트로겐을 분비시키는 황체형성호르몬(LH)과 발정(estrus)에 수반하는 부생식기관의 발육과 기능을 촉진하는 난포호르몬인 에스트로겐 및 난소 내 난포의 성장과 성숙을 자극하는 난포자극호르몬(FSH) 농도는 EIF 조성물 중 5% 처리군(B)이 대조군(D) 보다 18-21%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FSH의 분비는 LH와 같이 시상하부에서 분비되는 성선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GnRH)에 의해 조절되며, FSH와 LH의 분비양상이 꼭 일치되지는 않는다. LH/FSH 비율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이 EIF 조성물 중 10% 처리군(A)이 다른 세 처리군 보다 다소 높았다(표 13).
EIF 조성물 식이가 암컷 쥐의 혈중 호르몬농도에 미치는 영향(1차)
그룹 LH
(ng/mL)
에스트로겐
(pg/mL)
FSH
(ng/mL)
LH/FSH
A 5.065±2.301ns 3.974±1.023ns 0.173±0.069ns 29.28±9.55ns
B 4.617±1.280 3.721±1.850 0.189±0.027 24.43±15.12
C 4.832±1.890 3.759±1.437 0.199±0.054 24.28±9.96
D 5.771±1.342 4.725±1.045 0.230±0.015 25.09±8.21
측정값은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냄(n=10).
Significant at p<0.05 (실험군간에 95%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인 차이가 있음)
nsnot significant (실험처리군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음)
1)A, B, C: EIF 조성물 첨가군(10%, 5%, 2.5%), D: 기본식이(Harlan 2018S-diet)
LH(luteinizing hormone): 황체형성호르몬,
FSH(follicle stimulating hormone): 난포자극호르몬
2차 실험에서 EIF조성물 급여 5일째(평균체중 78 g)부터 6일 동안 질개구일을 조사한 결과, 대조군과 EIF군에서 각각 3.42일, 3.83일로 나타나 B군이 0.41일 지연된 것으로 나타났다(이는 암컷쥐의 평균 발정기간 4일 전후로 봤을 때 약 10% 정도 지연되었음을 시사)(표 14). 황체형성호르몬(LH) 농도는 대조군과 EIF군에서 각각 2.75 ng/mL, 2.07 ng/mL로 나타나 EIF군이 약 25% 감소하였다.
EIF 조성물 식이가 암컷 쥐의 질개구일과 성호르몬 및 성장호르몬 농도에 미치는 영향(2차)
그룹 질개구일
(d)
LH
(ng/mL)
A 3.42±1.56 2.75±1.93
B 3.83±1.63 2.07±0.82
측정값은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냄(n=12).
nsnot significant (실험처리군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음)
A: 대조군 B: EIF 조성물 첨가군
미성숙 암컷 흰쥐에게 EIF조성물이 발정의 주기성(cyclicity)에 미치는 영향은 생후 32일부터 40일까지 9일간 질구검사(vaginal smear)를 통하여 발정개체수를 조사하였다(표 15).
성성숙에 도달한 암컷이 임신이 되지 않을 경우 그 동물종 특유의 주기성(cyclicity)를 가지고 발정현상이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된다. 한 발정기(estrus)의 개시로부터 다음 발정기의 개시까지를 발정주기(estrous cycle)라 한다. 포유동물의 발정주기는 난소의 상태와 기능적 변화에 따라 세종류의 기본형으로 구분이 된다. 즉, 성숙암컷의 난소에서 난포의 발육(development), 배란(ovulation), 황체(corpus luteum) 형성과 퇴행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완전발정주기(complete estrous cycle)로 대부분의 가축과 기니픽이 여기에 속한다. 다음은 난포발육, 배란 및 황체형성이 반복되는 점은 완전발정주기와 같지만 형성된 황체가 내분비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난포기(卵胞期)가 반복되면서 4-6일 간격으로 배란이 일어나는 불완전발정주기(incomplete estrous cycle)로 흰쥐, 생쥐, 햄스터가 이에 속한다. 난포발육과 폐쇄 및 퇴행이 반복되면서도 교미자극(mating stimulation) 이 가해지지 않으면 배란이 일어나지 않고 난소내 항상 약간의 성숙난포(mature follicle)이 존재하면서 지속적으로 발정이 지속되는 것으로 토끼가 이에 속한다. 동물의 발정주기를 편의상 발정전기(proestrus), 발정기(estrus), 발정후기(metestrus) 및 발정휴지기(diestrus)의 4단계로 구분하고, 단계별 진행과정은 단계(cycle) 마다 명확하게 구분되는 것은 아니고, 각 단계별 지속시간도 동물종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비임신 암컷에서는 난포의 발육과 배란 및 황체의 형성과 퇴행의 순으로 진행되면서 발정주기가 나타나기 때문에 발정주기를 난포가 발육하는 난포기(follicular phase)와 황체가 형성되어 기능을 발휘하는 황체기(luteal phase)로 나눌 수 있다.
생후 3주령에 이유시킨 암컷 흰쥐에게 하루 동안 적응시킨 다음 10일 동안 EIF조성물을 급여하면서 생후 32일부터 질구검사로 발정유무를 조사한 결과 발정기를 나타낸 개체수는 두 그룹에서 각각 7마리, 5마리로 나타났고, 생후 40일까지 9일 동안 질구검사로 발정기를 집계한 결과 대조군(A그룹)은 총 43회로 개체별 평균 3.58회 발정기를 보인 반면 EIF조성물군(B그룹)은 총 33회로 개체별 평균 2.75회 발정기를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미성숙 암컷 흰쥐에게 성장기 동안 EIF조성물 급여가 질개구(vaginal opening) 및 발정(estrus)의 지연을 시사하는 결과로 사료된다.
미성숙 암컷 흰쥐에게 EIF조성물이 발정의 주기성에 미치는 영향
Group 생후 일령(d) 9일간 발정수
32 33 34 35 36 37 38 39 40
A-1 E E E M M D P E P 4
-2 E E M P E E M D E 5
-3 E E E M E E D E P 6
-4 M D E E M D P E E 4
-5 M D E E E D P P E 4
-6 E D P D P E M D E 3
-7 P E M D P E M D E 3
-8 E D P P E D P P E 3
-9 P E M E M P E M D 3
-10 E D P E M P M P E 3
-11 D D P E M D E M P 2
-12 E D P D E E D D P 3
43 (3.58)
B-1 D D M E M D P E P 2
-2 E D P E M D P E M 3
-3 M D E E M D P E E 4
-4 E D P E P E D D P 3
-5 E D P E M D D P E 3
-6 P P E D M D P E P 2
-7 E M M P P E E D P 3
-8 D D P E M M D P E 2
-9 P P E P E M D P E 3
-10 M D E D P E E M P 3
-11 E M D E M P E D P 3
-12 P M M E D P M M E 2
33 (2.75)
주) P: proestrus(발정前期), E: estrus(發情期), M: metestrus(발정後期), D: diestrus(발정休止期)
결과요약
암컷흰쥐의 생식기관(난소, 자궁) 무게, 질개구일, LH 농도 등을 검토해 볼 때 EIF조성물 급여(14일)가 성장기 어린 암컷쥐의 체성장 등에 역효과없이 성선자극호르몬(GTH)인 황체형성호르몬의 분비억제를 통한 난소발육의 억제와 질개구의 지연 등 성성숙(puberty) 과정의 지연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문헌
1. Crofton PM et al., 1997. Clin Chem, 43(9): 1577-1581.
2. Crofton PM et al., 1996. Clin Endocrinol, (Oxf) 44(4): 385-394.
3. Johansen JS et al., 1998. J Clin Endocrinol Metab, 67(2): 273-278.
4. Juul A et al., 1997. J Clin Endocrinol Metab, 82: 1195-1201.
5. Kannisto S et al., 2002. Pediatr Res, 52(2): 258-262.
6. McCarthy AD et al., 2001. Acta Diabetol, 38(3): 113-122.
7. Ueno T et al., 1999. J Craniomaxillofac Surg, 27(5): 308-313.
8. 임강현. 2000. 한국응용약물학회 산학연심포지움, 1-22.
9. 전진경 et al., 2000. 대한소아내분비학회지, 5: 75-82.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율무(Adlay), 봉출(Curcuma zedoaria), 인진호(Artemisia capillaris Thunb.), 강황(Curcuma longa), 진피(Citrus unshiu Markovich), 저령(Polyporus umbellatus Fries), 연교(Forsythia suspensa Vahl), 곽향(Agastache rugosa (Fisc.r et Mey.) Kuntze), 소엽(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지실(Poncirus trifoliata Rafinesqul), 산조인(Zizyphus jujuba Miller) 및 창출(Atractylodes lancea D.C)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성조숙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혈중 황체형성호르몬(luteinizing hormone)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혈중 에스트로겐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혈중 난포자극호르몬(follicle-stimulating hormone)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생식기관의 발달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생식기관은 자궁 또는 난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의 조합을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서 율무, 봉출, 인진호, 강황, 진피, 저령, 연교, 곽향, 소엽, 지실, 산조인 및 창출 추출물의 혼합비는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23 중량%: 7 중량%: 7 중량%: 7 중량%: 7 중량%: 7 중량%: 7 중량%: 7 중량%: 7 중량%: 7 중량%: 7 중량%: 7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율무(Adlay), 봉출(Curcuma zedoaria), 인진호(Artemisia capillaris Thunb.), 강황(Curcuma longa), 진피(Citrus unshiu Markovich), 저령(Polyporus umbellatus Fries), 연교(Forsythia suspensa Vahl), 곽향(Agastache rugosa (Fisc.r et Mey.) Kuntze), 소엽(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지실(Poncirus trifoliata Rafinesqul), 산조인(Zizyphus jujuba Miller) 및 창출(Atractylodes lancea D.C)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성조숙증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20140136509A 2014-10-10 2014-10-10 성조숙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Active KR101626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509A KR101626938B1 (ko) 2014-10-10 2014-10-10 성조숙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509A KR101626938B1 (ko) 2014-10-10 2014-10-10 성조숙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520A KR20160042520A (ko) 2016-04-20
KR101626938B1 true KR101626938B1 (ko) 2016-06-13

Family

ID=55917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6509A Active KR101626938B1 (ko) 2014-10-10 2014-10-10 성조숙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69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442B1 (ko) * 2017-03-16 2018-01-26 박승찬 의이인 및 인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성조숙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17732B1 (ko) 2020-09-11 2021-02-19 설휘훈 조기성숙 가성 유방 발달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509576B1 (ko) 2022-12-21 2023-03-14 황만기 뼈 성장 촉진 조성물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59743B1 (ko) * 2023-12-21 2025-01-23 송창규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성조숙증 예방 또는 성장 촉진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3872A (ja) 2004-06-07 2005-12-15 Kao Corp アロマターゼ活性化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002B1 (ko) * 2005-03-25 2006-12-14 주식회사 대평 개나리 열매로부터 마타이레시놀 및 악티게닌의 분리 및정제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3872A (ja) 2004-06-07 2005-12-15 Kao Corp アロマターゼ活性化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442B1 (ko) * 2017-03-16 2018-01-26 박승찬 의이인 및 인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성조숙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0583163B2 (en) 2017-03-16 2020-03-10 Seung Chan Park Composition for prevention, alleviation or treatment of precocious puberty containing extract of coicis semen and artemisia capillaris as active ingredient
KR102217732B1 (ko) 2020-09-11 2021-02-19 설휘훈 조기성숙 가성 유방 발달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509576B1 (ko) 2022-12-21 2023-03-14 황만기 뼈 성장 촉진 조성물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520A (ko) 201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36603A (zh) 包含蓝靛果果实的提取物作为活性成分的预防或治疗甲状腺疾病的药物组合物
CN104351573A (zh) 一种治疗奶牛缺乳症的配合饲料及制备方法
KR101626938B1 (ko) 성조숙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CN113164541B (zh) 含有西洋接骨木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男性更年期综合症的预防用、治疗用或改善用组合物
CN113616709A (zh) 一种治疗男性不育症中药组合物及其制作工艺
KR102002298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26941B1 (ko) 골형성 촉진용 조성물 및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92715B1 (ko) 의이인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190003304A (ko)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4892856B2 (ja) 女性ホルモンバランス調整剤
US12029775B2 (en) Composition comprising pollen and/or pistil extracts, preparation process and associated uses
CN109730303A (zh) 一种消食健胃的鸡内金微晶粉冲剂及其制备方法
KR101432746B1 (ko) 야콘, 사상자 및 석창포의 혼합 추출물, 이를 함유하는 탈모 또는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및 탈모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017389A (ko) 만성 전립선염 및 하부요로증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00751B1 (ko) 녹용을 함유하는 여성 불임증 치료용 한약 조성물 제조 방법
CN114269364A (zh) 用于抑制睾酮和/或二氢睾酮降低的组合物
Lutfiani et al. Total Flavonoid and Antioxidant Activity of Food Bar Torbangun-Katuk on The Effectiveness of Breast Milk Production.
KR101585607B1 (ko) 생지황, 구기자, 침향, 복령, 인삼 및 꿀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불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2008531552A (ja) 熟地黄と五加皮の混合生薬材抽出物及び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骨粗鬆症予防及び治療用組成物
KR101460126B1 (ko) 민들레 추출물 또는 민들레 함유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갱년기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391691B1 (ko) 녹용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리활성이 증진된 공진단 조성물
KR20190136512A (ko) 마키베리 추출물, 당귀 추출물 및 시계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 증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089036A (ko) 불임증 개선을 위한 기능성 식품조성물
KR101456127B1 (ko) 골성장 촉진을 위한 조성물
JP6063499B2 (ja) 生地黄、枸杞子、沈香、茯苓、高麗人蔘と蜂蜜の混合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男性不妊予防および治療用薬学的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412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508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509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5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5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