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7389A - 만성 전립선염 및 하부요로증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만성 전립선염 및 하부요로증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7389A
KR20230017389A KR1020210098520A KR20210098520A KR20230017389A KR 20230017389 A KR20230017389 A KR 20230017389A KR 1020210098520 A KR1020210098520 A KR 1020210098520A KR 20210098520 A KR20210098520 A KR 20210098520A KR 20230017389 A KR20230017389 A KR 20230017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eight
present
parts
fenugree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연
Original Assignee
김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연 filed Critical 김우연
Priority to KR1020210098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7389A/ko
Publication of KR20230017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738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75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Oligosaccharides, i.e. having three to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9Arecaceae, Palmae or Palmaceae (Palm family), e.g. date or coconut palm or palmetto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0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urine or of the urinary tract, e.g. urine acidif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prosta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06Argin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8Oligosaccharides
    • A23V2250/284Oligosaccharides, non digesti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호로파, 소팔메토, 아르기닌, 비수리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특정비율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은 만성 전립선염 및 이로 인한 하부요로증상을 예방하면서도 전립선 크기의 증대를 억제시킴으로써 배뇨곤란 문제를 야기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남성 갱년기 증후군 환자의 피로감, 근력저하 및 운동능력 저하 현상의 정도를 완화하여 남성 갱년기 증후군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체내 성선자극 호르몬인 FSH (여포자극호르몬, Folicle stimulating hormone) 및 LH (황체형성호르몬, Luteinizing hormone)의 분비 증가시켜 정자의 분화 및 성숙을 유도하고 테스토스테론 분비를 촉진하여, 남성 갱년기 증후군으로 인한 정력 감소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인체 내 부신(副腎)에서 생성되는 생식 호르몬인 DHEA-s의 분비를 증가시켜, 남성 갱년기 증후군을 예방 또는 개선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남성 갱년기 증후군으로 인한 무기력감 및 배뇨활동을 개선하는 효과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만성 전립선염 및 이로 인한 하부요로증상을 예방하는 효과가 우수하면서 천연식품 재료를 유효성분으로 사용함으로써 인체 안전성이 우수하여 의약, 의약외품 및 식품에 매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만성 전립선염 및 하부요로증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hronic prostatitis and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본 발명은 호로파 (fenu greek) 및 소팔메토 (saw palmetto)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만성 전립선염 및 이로 인한 하부요로증상(Lower Urinary Tract Symptoms, LUTS)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호로파, 소팔메토, 아르기닌, 비수리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특정비율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전립선염 및 이로 인한 하부요로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2000년도에 이미 7%을 돌파하여 노령화 사회에 진입하게 되었고 현재 14%을 넘어서서 본격적인 노령사회가 시작되고 있다. 문제는 노령화 사회에서 노령사회로 넘어가는 기간이 기존의 선진 국가들이 80년에서 100년이 소요되었던 것에 비해 우리나라는 20년도 채 되지 않아 너무 급격하게 노인인구가 증가하게 된다는 사실이다. 노령사회가 되면 사회 정책적인 면에서도 많은 변화가 있겠지만 의료면에서도 많은 변화를 예측할 수가 있다. 비뇨기과적으로는 전립선 비대증이나 전립선암과 성기능장애 및 남성 갱년기 증상 같은 남성호르몬과 관련된 질환들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남성 갱년기(PADAM; Partial Androgen Deficiency in Aging Male)란 신체의 노화 현상에 따라 남성이 전반적인 신체적, 정신적 측면의 쇠퇴 현상을 겪게 되는 과정이며, 남성호르몬의 저하로 인한 영향으로 남성적 특징, 전반적인 생활 활력이나 기분이 서서히 저하되는 것을 의미한다. 남성 갱년기 증상으로는 신경과민, 정서 불안, 우울증, 현기증, 안면 홍조, 발한, 수면 장애, 활력 저하, 기억력 저하, 업무 능력 감소, 성욕 감퇴, 피부 노화, 골밀도 감소, 내장 지방의 증가 등이 있다.
전립선은 샘 조직과 섬유근조직으로 구성된 남성의 부속생식선으로 전립선에 관련한 질환으로는 전립선염, 전립선비대증 및 전립선암이 있고, 이 중 50세 이상의 남성에게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질환은 전립선비대증(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PH)이다. 전립선비대증은 남자 노인들의 삶의 질을 저해하는 대표적인 질환이다. 전립선비대증은 요도 주위에 위치한 전립선의 부피가 증가하여 요도를 압박하고 이로 인해 빈뇨, 절박뇨 등의 방광 저장 증상과 지연뇨, 단절뇨, 배뇨시 힘을 주어야 하는 현상 등 방광의 배출 장애를 나타내는 증상을 통칭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전립선비대증의 약물 치료제는 크게 알파차단제와 안드로겐억제제(5알파환원효소 억제제)로 분류된다. 알파차단제는 전립선요도의 압력과 긴장을 낮추어주는 약물로서 시중에서 판매되는 알파차단제로는 테라조신(terazosin), 독사조신(doxazosin), 탐스로신(tamsulosin), 알푸조신(alfuzosin) 등이 있다. 그러나 알파차단제는 전립선의 비대된 현상을 줄여주는 효과는 없으므로 일시적인 치료방법일 뿐이며, 어지럼증, 무기력증, 두통, 시야 장애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었다. 안드로겐억제제는 전립선의 비대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5알파 환원효소를 억제하여 전립선의 비대를 막아주는 약물이다. 5알파환원효소 억제제로서 시중에는 피나스테리드(finasteride)와 두타스테리드(dutasteride)가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약물은 복용 후 효과가 나타날 때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며, 성기능 관련 부작용이 있다. 전립선염 증후군(prostatitis syndrome)은 여러 가지 병태에 의한 전립선염을 포괄하는 것으로, 성인 남성에서 비교적 높은 빈도로 보이는 비뇨기과 질환이다. 일찌기 이 질환은 급성 세균성 전립선염(Acute bacterial prostatitis), 만성세균성 전립선염(Chronic bacterial prostatitis), 만성 비세균성 전립선염(Nonbacterial prostatitis) 및 전립선통(Prostatodynia)으로 분류되어 있었지만(Drach 외, 1978년) 현재는 1999년에 미국 국립 위생연구소(National Institute of Health; NIH)에 의해 새롭게 제창된 병형 분류가 널리 사용되도록 되고 있다(Krieger 외). 새로운 분류에 의하면 전립선염 증후군은 카테고리I(급성 세균성 전립선염; Acute bacterial prostatitis), 카테고리Ⅱ(만성 세균성 전립선염; Chronic bacterial prostatitis; CBP), 카테고리Ⅲ[만성 전립선염/만성 골반통 증후군(만성 골반 내 동통 증후군/전립선 관련 동통 증후군이라고 칭해지는 경우도 있다); Chronic prostatitis/chronic pelvic pain syndrome; CP/CPPS] 및 카테고리Ⅳ(무증후성 전립선염; Asymptomatic inflammatory prostatitis)의 4군으로 분류된다. 구분류와 신분류의 관계는 구분류의 급성 세균성 전립선염이 신분류의 카테고리Ⅰ에, 구분류의 만성 세균성 전립선염이 신분류의 카테고리Ⅱ에 각각 대응하고, 구분류의 급성 비세균성 전립선염과 전립선통이 신분류의 카테고리Ⅲ에 일괄되었다. 카테고리Ⅲ에는 또한 염증성인 것(카테고리ⅢA)과 비염증성인 것(카테고리ⅢB)이 있다. 신분류의 카테고리Ⅳ에 대응하는 구분류는 없고, 새롭게 만들어진 것이다.
본원에 있어서 단순히 「만성 전립선염」이라고 기재했을 때는 상기 신분류에 있어서의 카테고리Ⅱ(CBP)와 카테고리Ⅲ(CP/CPPS)을 포함하는 것이다. 양자 모두 증상은 공통되지만 빈도로서는 카테고리Ⅲ 쪽이 카테고리Ⅱ보다 압도적으로 많다고 되어 있다.
한편, 호로파 (트리고넬라 포에눔-그라에쿰(Trigonella foenum-graecum))는 일부 전통적인 인도 요리에서 사용되는 허브이다. 호로파 추출물, 특히 호로파 종자 추출물은 가능하게는 100종 초과의 식물화학물질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다양한 활성 화합물을 함유한다. 중요한 구성성분 중에서 푸로스타놀 사포닌 및 스테로이드성 사포닌이 있다. 예를 들어, 호로파는 프로토디오신, 슈도 프로토디오신, 그라실린, 프로토그라실린, 디오스게닌, 디오신 및 많은 다른 사포닌 및 사포게닌을 함유한다. 디오스게닌은 수많은 성 호르몬의 합성에 중요한 전구체이고, 에스트로겐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헌 [Aradhana A, et al., Indian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30(5):367-7 (1992)]). 다른 사포닌은 아직 특이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지 않았다. 호로파 추출물은 또한 콜린, 트리메틸아민 (개구리에서의 성 호르몬), 비타민 A, B2, B6, B12, D, 및 에센셜 오일을 함유할 수 있다 (문헌 [Blumenthal M, et al., Herbal Medicine: Expanded Commission E Monographs. Integrative Medicine Communications pp. 130-133 (2000)]). 이러한 호로파는 류마티즘성 관절염과 심장 질환과 관련된 염증을 줄여 줄 가능성이 있어 잎과 씨앗이 현재 광범위하게 연구되고 있다. 여성한테는 생리통 완화, 가슴 발육, 모유 생산, 성욕 증대에 도움이 되며, 남성한테는 호로파의 사포닌 성분이 남성 호르몬의 생산을 자극하고 성욕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남성 호르몬의 수치 증가는 전립선 질환이 있는 경우 전립선 크기를 증대시킴으로써 배뇨장애를 유발하거나 악화시키고 전립선암이 있는 경우 전립선 특이항원의 수치를 왜곡시킬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호로파와 관련된 특허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84352호는 여성 리비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호로파 추출물의 용도를 개시한 바 있으나, 남성갱년기 증후군에 효과를 나타내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직접적으로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전립선염 및 하부요로증상을 개선할 수 있는 예방 또는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계속 연구를 진행하던 중 호로파, 소팔메토, 아르기닌, 비수리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특정한 비율로 혼합시킨 혼합물이 만성 전립선염 및 이로 인한 하부요로증상을 예방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만성 전립선염 및 이로 인한 하부요로증상을 예방하면서도 전립선 크기의 증대를 억제시킴으로써 배뇨곤란 문제를 야기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남성 갱년기 증후군 환자의 피로감, 근력저하 및 운동능력 저하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만성 전립선염 및 이로 인한 하부요로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만성 전립선염 및 이로 인한 하부요로증상을 예방하면서도 전립선 크기의 증대를 억제시킴으로써 배뇨곤란 문제를 야기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남성 갱년기 증후군 환자의 피로감, 근력저하 및 운동능력 저하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만성 전립선염 및 이로 인한 하부요로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호로파, 소팔메토, 아르기닌, 비수리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전립선염 및 이로 인한 하부요로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성물은 호로파 250 내지 350 중량부, 소팔메토 100 내지 200 중량부, 아르기닌 250 내지 350 중량부, 비수리 50 내지 100 중량부 및 프락토올리고당 50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성물은 호로파 300 중량부, 소팔메토 160 중량부, 아르기닌 300 중량부, 비수리 60 중량부 및 프락토올리고당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약학적 조성물이 캡슐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호로파, 소팔메토, 아르기닌, 비수리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전립선염 및 이로 인한 하부요로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성물은 호로파 250 내지 350 중량부, 소팔메토 100 내지 200 중량부, 아르기닌 250 내지 350 중량부, 비수리 50 내지 100 중량부 및 프락토올리고당 50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성물은 호로파 300 중량부, 소팔메토 160 중량부, 아르기닌 300 중량부, 비수리 60 중량부 및 프락토올리고당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로파, 소팔메토, 아르기닌, 비수리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만성 전립선염 및 이로 인한 하부요로증상을 예방하면서도 전립선 크기의 증대를 억제시킴으로써 배뇨곤란 문제를 야기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남성 갱년기 증후군 환자의 피로감, 근력저하 및 운동능력 저하 현상의 정도를 완화하여 남성 갱년기 증후군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체내 성선자극 호르몬인 FSH (여포자극호르몬, Folicle stimulating hormone) 및 LH (황체형성호르몬, Luteinizing hormone)의 분비 증가시켜 정자의 분화 및 성숙을 유도하고 테스토스테론 분비를 촉진하여, 남성 갱년기 증후군으로 인한 정력 감소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인체 내 부신(副腎)에서 생성되는 생식 호르몬인 DHEA-s의 분비를 증가시켜, 남성 갱년기 증후군을 예방 또는 개선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남성 갱년기 증후군으로 인한 무기력감 및 배뇨활동을 개선하는 효과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만성 전립선염 및 이로 인한 하부요로증상을 예방하는 효과가 우수하면서 천연식품 재료를 유효성분으로 사용함으로써 인체 안전성이 우수하여 의약, 의약외품 및 식품에 매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호로파, 소팔메토, 아르기닌, 비수리 및 프락토올리고당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남성 갱년기 증후군이란 신체 노화에 따라 남성에게서 발생하는 다양한 생리학적 현상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남성 호르몬, 성장 호르몬 등 다양한 호르몬의 분비 감소에 의한 내인적인 요인과 고립감, 소외감, 박탈감 등 개인을 둘러싼 다양한 환경적인 영향에 따른 심리적인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나게 된다. 상기 갱년기 증후군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성선기능저하증, 전립선 비대증, 전립선염, 하부요로증상, 신경과민, 정서불안, 우울증, 안면홍조, 수면장애, 활력저하, 업무능력감소, 성욕감퇴, 발기부전, 정력감소, 체력저하, 운동능력감소, 체모감소 및 테스토스테론 저하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호로파, 소팔메토, 아르기닌, 비수리 및 프락토올리고당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전립선염 및 하부요로증상 예방,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만성 전립선염 및 하부요로증상 예방,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은 호로파 250 내지 350 중량부, 소팔메토 100 내지 200 중량부, 아르기닌 250 내지 350 중량부, 비수리 50 내지 100 중량부 및 프락토올리고당 50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만성 전립선염 및 하부요로증상 예방,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은 호로파 300 중량부, 소팔메토 160 중량부, 아르기닌 300 중량부, 비수리 60 중량부 및 프락토올리고당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혈중 테스토스테론 분비를 증가시켜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은 물론 기존 남성 갱년기 증후군 환자의 피로감, 근력저하 및 운동능력 저하 현상의 정도를 완화하여 남성 갱년기 증후군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체내 성선자극 호르몬인 FSH (여포자극호르몬, Folicle stimulating hormone) 및 LH (황체형성호르몬, Luteinizing hormone)의 분비 증가시켜 정자의 분화 및 성숙을 유도하고 테스토스테론 분비를 촉진하여, 남성 갱년기 증후군으로 인한 정력 감소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인체 내 부신(副腎)에서 생성되는 생식 호르몬인 DHEA-s의 분비를 증가시켜, 남성 갱년기 증후군을 예방 또는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남성 갱년기 증후군으로 인한 무기력감 및 배뇨활동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양성 전립선 비대증(Benign Prostate Hyperplasia; BPH)은 50대 이상의 남성에게 가장 흔한 질환이며, 하부요로증상을 수반함으로써 삶의 질을 떨어뜨린다. 전립선 비대증 발생의 가장 큰 유발인자로는 연령증가와 남성호르몬의 존재이다. 선천적으로 고환기능부전이 있거나 고환이 제거된 남자들은 전립선 비대증에 걸리지 않는 것으로 미루어, 그 유발인자로서 남성호르몬이 밀접하게 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외에도 인종과 환경, 식생활의 차이 등도 전립선 비대증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하부요로증상(Lower Urinary Tract Symptoms; LUTS)은 상피세포와 평활근으로 구성된 비대된 전립선으로 인한 폐쇄와 이에 대한 방광 평활근의 반응 및 알파 교감신경의 자극에 의한 평활근의 강력한 수축에 의해 유발된다. 하부요로증상은 소변의 저장 및 배출과정에 관련되어 나타나는 여러 가지 증상을 통칭하는 것으로, 저장장애증상으로는 빈뇨, 절박뇨, 절박요실금, 야간 빈뇨, 배뇨통 등이며 배출장애증상은 뇨주저, 복압배뇨, 요선약화, 잔뇨감, 요폐 등이 있다. 하부요로증상의 주요 원인은 전립선 비대증에 의한 요도 폐색으로서, 전립선 비대증에 의한 요도 폐색을 완화하면 하부요로증상의 완화로 이어진다고 생각되어 왔다.
본 발명에 의해 예방 또는 치료될 수 있는 하부요로증상의 예는 교감신경 항진, 평활근 수축, 배뇨근의 과활동성, 방광수축력 감소, 과민성 방광, 노화, 성호르몬 변화, 중추 신경변화, 방광의 신경 변화 및 약물복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립선염은 인간의 방광 아래에 위치한 호두 크기의 전립선인 전립선의 염증이다. 전립선은 정자와 함께 정액을 형성하는 유체를 분비한다. 상이한 유형의 전립선염이 있는데, 이중 하나는 만성 전립선염/만성 골반통 증후군(Chronic prostatitis /chronic pelvic pain syndrome (CP/CPPS))이다. 이것이 가장 통상적인 유형이다. 젊은 중년 남성은 CP/CPPS를 발병할 가능성이 보다 높지만 이것은 임의의 연령에서 발병할 수 있다. CP/CPPS는 전립선 분비, 뇨 또는 정액에서 백혈구의 존재 또는 부재에 기초하여 염증성 또는 비-염증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염증의 경우에, 전립선에 의해 분비되는 뇨, 정액 및 유체는 감염과 싸우는 세포를 함유하지만 이들 유체는 세균을 함유하지 않는다.
만성 전립선염/만성 골반통 증후군(CP/CPPS)은 50세 미만 연령의 남성에서 가장 통상적인 비뇨기과적인 장애이지만 그 원인은 설명되지 않고 있다. 이 질환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상당한 이환 상태를 유발하는, 고도로 만연된 남성의 병태이다. 이것은 입증될 수 있는 요로 또는 생식관 감염의 부재에서 생식기 또는 골반통을 특징으로 하고 비뇨 증상과 성기능 장애와 관련된다(참조: Luzzi GA, J Eur Acad Dermatol Venereol 2002, 16: 253). CP/CPPS는 전립선 증후군을 갖는 환자에서 약 95%에서 진단된다(참조: Brunner H et al, J Infect Dis 1983; 147:807; Pontari MA et al J Urol 2004; 172: 839).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호로파 (트리고넬라 포에눔-그라에쿰(Trigonella foenum-graecum))는 일부 전통적인 인도 요리에서 사용되는 허브이다. 호로파 추출물, 특히 호로파 종자 추출물은 가능하게는 100종 초과의 식물화학물질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다양한 활성 화합물을 함유한다. 중요한 구성성분 중에서 푸로스타놀 사포닌 및 스테로이드성 사포닌이 있다. 예를 들어, 호로파는 프로토디오신, 슈도 프로토디오신, 그라실린, 프로토그라실린, 디오스게닌, 디오신 및 많은 다른 사포닌 및 사포게닌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소팔메토(Saw Palmetto, 학명 Serenoa repens, 이명 Serenoaserrulata, Sabalserulata)는 비뇨생식기 질환 치료제로 널리 알려진 북미 아트란틱 해안을 따라 분포하며, 군락을 이루어 자라는 것이 보통인 진한 검붉은 열매를 가진 작은 야자수이다. 소팔메토 열매의 유효성분은 사포닌, 지방산, 피토스테롤, 정유, 레신, 탄닌 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열매를 섭취하거나, 적절한 형태로 가공하여 사용하고 있다. 가장 일반적으로는 추출을 통해 표준화된 원료로 가공하여 의약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아르기닌은 백색 결정 또는 결정성 분말이며, 약간 특이한 냄새와 쓴맛이 있다. 물에 잘 녹고, 에탄올에 불용하며 자연계에 존재하며 특히 어류 등의 정자 단백질 내에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는 천연형 아미노산이다. 아르기닌은 항동맥 경화성 작용, 항산화 작용, 면역조절기능, 상처치유, 신장질환예방 및 방광염치료 효과, 남성 발기부전 치료, 정자 생성촉진, 아연과 카르니틴 및 코엔자임 Q10과 병용하여 불임 치료, 성장호르몬 방출 촉진작용과 근육 보존, 체지방 감소작용 등 다양한 효능 및 역할을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비수리(야관문", 학명 Lespedeza cuneata)는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야관문, 삽엽초 등으로 불리우며, 전국의 산야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비수리 추출물은 아질산염 소거활성이 높았으며, 열수추출물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 인간 폐암 세포주에 대한 생육 저해활성을 보였다고 보고되었다(박혜미,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pp844-850, 2014년). 또한, 비수리는 면역세포의 증식을 촉진시켜 면역능을 조절할 수 있는 약재로 에탄올 추출물은 생쥐의 흉선세포, 비장세포 및 복강대식세포의 세포생존율을 증가시켰다고 보고되었다(은재순, 동의생리병리학회지 제25권 5호, 2011년).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프락토올리고당은 설탕에 1개 이상의 과당이 연쇄적으로 부가된 올리고당류이며, 그 결합양식은 설탕의 과당 잔기 부분에 있어서의 1번 탄소에 부가되는 과당의 2번 탄소가 결합해서 반복되는 것이다. 프락토올리고당의 종류로는 설탕 (수크로스)에 과당 1 내지 3분자가 β-(2>1)결합하여, 1-케스토스(Kestose, GF2), 니스토스(Nystose, GF3) 및 1-F-프락토퓨라노실니스토스(1-F-Fructosyl nystose, GF4) 등이 있다. 프락토올리고당은 바나나, 양파, 아스파라거스, 우엉, 마늘, 벌꿀, 치커리 뿌리 등과 같은 야채나 버섯, 과일류에 함유되어 있는 천연 물질로서 이미 섭취 역사가 오랜 물질이다. 프락토올리고당은 설탕으로부터 생성된 성분으로서 그 구조도 설탕과 유사하여 두 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이 유사하게 나타난다. 하지만, 프락토올리고당은 설탕과 달리 난소화성이므로 그 생리적인 특성은 매우 다르다. 특히, 프락토올리고당은 장내 유익균에 의해 대사되어 다양한 건강 기능성을 나타낸다는 것이 입증되어, 일본에서는 프락토올리고당 함유 제품을 장의 상태를 조절하는 식품과 미네랄의 흡수를 촉진시키는 식품으로 인정하여 특정 보건용 식품으로 분류한 바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호로파, 소팔메토 및 비수리는 각각 분말 또는 추출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분말"은 상기 호로파, 소팔메토 및 비수리를 그대로 건조하여 분말화하거나 또는 데친 다음 건조하여 분쇄하여 분말화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extract)"은 생약을 적절한 침출액으로 짜내고 침출액을 증발시켜 농축한 제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들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천연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일반적인 추출방법, 분리 및 정제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방법으로는 열탕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천연 추출물은 천연 식물을 그대로 분쇄하여 사용하거나, 열풍건조기 또는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여 분쇄한 후 추출용매, 예컨대 물, 탄소수 1~3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를 추출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추출 용매의 양은 천연 식물 건조 중량의 2 내지 20 중량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중량배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태양에 따르면, 천연 추출물은 천연 식물을 그대로 분쇄하여 사용하거나, 열풍건조기 또는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여 분쇄한 후 물 또는 물과 알콜 혼합물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2 내지 10일, 바람직하게는 7일 동안 추출한 다음, 여과지로 여과한 후 농축하여 물에 녹는 성분과 알콜에 녹는 성분 분리하여 물 용해성분과 알콜 용해성분을 5:4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각 천연 추출물을 각각 수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이란 호로파, 소팔메토, 아르기닌 및 비수리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호로파, 소팔메토, 아르기닌, 비수리 및 프락토올리고당의 혼합물은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0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이면 남성 갱년기 증후군와 관련된 만성 전립선염, 하부요로증상, 테스토스테론, 성선자극 호르몬인 FSH (여포자극호르몬, Folicle stimulating hormone) 및 LH (황체형성호르몬, Luteinizing hormone) 또는 생식 호르몬인 DHEA-s의 분비 촉진에 의한 피로감, 근력저하 및 운동능력 저하 현상의 정도를 완화시키는 효과가 미미하고, 상기 함량을 초과하더라도 효과가 사용량 대비 비례하지 않아 비경제적이다. 다만, 호로파, 소팔메토, 아르기닌 및 비수리는 천연물로서 과량 투여하여도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 포함되는 호로파, 소팔메토, 아르기닌 및 비수리의 양적 상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발생, 확산 및 재발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치료"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진행이 지연 또는 멈춰 증세를 호전시키거나, 남성 갱년기 증후군 증세를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대한의학협회 등에서 제시된 자료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이 효과가 있는 질환의 정확한 기준을 알고, 개선, 향상 및 치료된 정도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호로파, 소팔메토, 아르기닌, 비수리 및 프락토올리고당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학적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정제, 피복정, 캡슐제, 좌제,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주사 가능한 액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 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해당분야의 적절한 방법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이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목적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0.001-10g/㎏이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캡슐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캡슐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호로파, 소팔메토, 아르기닌, 비수리 및 프락토올리고당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정제, 캡슐제, 분말, 과립, 액상, 환,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또는 점적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 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 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차류, 음료류, 육류, 초코렛, 젤리,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식품은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스틱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슘,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 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유효성분을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 캡슐제는 통상의 경질 캅셀에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 캡슐제는 상기 추출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젤라틴과 같은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캡슐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제피제로 제피할 수 있으며, 또는 전분, 탈크와 같은 물질로 표면을 코팅할 수도 있다.
과립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에는 식품 조성물로서 발명에서 제시된 유효성분 이외에도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식품 조성물과 같이 여러 향미제 및 천연 탄수화물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해당 보조제에는 부형제, 감미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결합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첨가한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을 예를 들면, 초코렛류, 음료류, 식품류, 스낵류, 면류, 껌류, 사탕류 및 건강보조식품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식품 첨가물이 포함될 수 있으며, 식품 첨가물은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에 따라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로파, 소팔메토, 아르기닌, 비수리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만성 전립선염 및 이로 인한 하부요로증상을 예방하면서도 전립선 크기의 증대를 억제시킴으로써 배뇨곤란 문제를 야기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남성 갱년기 증후군 환자의 피로감, 근력저하 및 운동능력 저하 현상의 정도를 완화하여 남성 갱년기 증후군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체내 성선자극 호르몬인 FSH (여포자극호르몬, Folicle stimulating hormone) 및 LH (황체형성호르몬, Luteinizing hormone)의 분비 증가시켜 정자의 분화 및 성숙을 유도하고 테스토스테론 분비를 촉진하여, 남성 갱년기 증후군으로 인한 정력 감소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인체 내 부신(副腎)에서 생성되는 생식 호르몬인 DHEA-s의 분비를 증가시켜, 남성 갱년기 증후군을 예방 또는 개선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남성 갱년기 증후군으로 인한 무기력감 및 배뇨활동을 개선하는 효과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만성 전립선염 및 이로 인한 하부요로증상을 예방하는 효과가 우수하면서 천연식품 재료를 유효성분으로 사용함으로써 인체 안전성이 우수하여 의약, 의약외품 및 식품에 매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호로파, 소팔메토, 아르기닌, 비수리 및 프락토올리고당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제조
호로파 및 소팔메토를 각각 입수하여 세척한 다음 건조하여 분말화하였다.
한편, 비수리 분말 1㎏을 정제수에 넣고 100℃에서 1시간 동안 열추출하여 비수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어드벤텍 2호(Advantec No. 2, 110mm) 여과지로 감압 여과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한 후 냉각 콘덴서가 장착된 농축기를 사용하여 40℃에서 감압 농축하였다. 감압 농축된 추출물의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하여 정제수 0.5ℓ를 넣어 현탁시킨 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한 다음 분말화하여 비수리 추출물 분말을 획득하였다
호로파, 소팔메토, 아르기닌, 비수리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으로 혼합한 혼합물을 포함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소팔메토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호로파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아르기닌을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호로파 분말과 소팔메토 분말의 혼합비율을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소팔메토 분말 160mg - 160mg 160mg 300mg
호로파 분말 300mg 300mg - 300mg 160mg
아르기닌 300mg 300mg 300mg - 300mg
비수리 60mg 60mg 60mg 60mg 60mg
프락토올리고당 60mg 60mg 60mg 60mg 60mg
<시험예 1> 만성 전립선염 치료 효과
(1) 만성 세균성 전립선염 모델 확립
본 실험에서는 세균성 전립선염 모델을 위한 가장 적절한 세균 주입경로인 전립선요도를 통한 상행성 경로를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은 생후 6주 된 체중 250-350g의 Wistar 수컷 흰쥐를 일주일간의 적응기간을 거친 뒤 사용하였다. 108 CFU/ml의 E. coli를 요도에 주입하는 방법으로 만성 세균성 전립선염을 유발하였다. 전립선염의 병원균으로 알려진 E. coli Z17 (02:K1: H-)을 사용하고 이 병원균은 37℃의 배양기 내에서 배양액인 tryptic soy broth (TSB)와 함께 하룻밤 동안 배양한 후 주입 직전에 세균수가 1x108 CFU/ml이 되도록 TSB에서 재배양하여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을 ether로 마취 후 요도 주위를 70% alcohol로 소독 후 멸균된 polyethylene tube를 요도에 삽입하고 인슐린 주사기를 이용하여 전립선 요도에 E. coli Z17 (02:K1:H-) 현탁액 (1x108 CFU/ml) 0.2ml를 주입한 후 마취를 1시간 동안 유지하여 쥐의 움직임에 의한 소변의 배출이 없도록 하여 세균이 전립선 내로 침투할 충분한 시간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모델의 확인 검증을 위해 E. coli 주입 후 4주째 전립선 조직 검사와 소변을 채취하여 McConkey 배양검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전립선 조직의 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현미경학적으로 만성 세균성 전립선염은 염증세포의 침윤 및 간질 섬유화, 산소포의 폐쇄를 특징으로 한다. 각 표본에서 조직학적으로 만성 세균성 전립선염을 만족하며 세균균주 수가 조직 gm당 20 CFU 이상인 것을 만성 세균성 전립선염 모델로 선택하였다.
본 실험과 유사한 동물 실험 결과에 대한 논문들을 참고하였을 때 연구자들이 계획한 동물의 수가 통계학적으로 최소한의 수이다. 군 당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체 수는 (n=5-7) 이고, 각 군은 대조군을 포함하여 총 6개 군으로 분류하였으며, 전립선비대 및 과민성방광 유발에 대한 실패율 및 실험기간 중 발생할 수 있는 사망률 약 30% 등을 고려하였다. 군당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체 수는 (n=7) * 8군 = 56수 + 만성 세균성 전립선염 유발 실패 및 사망률 고려[80수(8군) * 30%(0.3) = 24]를 고려하여 80마리가 적절하다. 군별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으며 모든 동물실험은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의 연구윤리지침에 따라 진행하였다.
1) 정상군(normal): 만성 세균성 전립선염을 유발하지 않은 Wistar 수컷 흰쥐
2) 대조군(PBS): E. coli 현탁액 주입 후 4주째부터 4주일간 1일 2회씩 경구 위관을 이용하여 1cc의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pH 7.2)를 투여하였다.
3) 실시예 1(400mg) 투여군: E. coli 현탁액 주입 후 4주째부터 4주일간 1일 2회씩 경구 위관을 이용하여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증류수 1cc에 희석하여 투여한다.
4) Ciprofloxacin 투여군(Ciprofloxacin): E. coli 현탁액 주입 후 4주째부터 4주일간 1일 2회씩 경구 위관을 이용하여 Ciprofloxacin (Cycin, 일동제약, 서울, 한국) 2.5mg/kg을 증류수 1cc에 희석하여 투여하였다.
5) 비교예 1(400mg) 투여군: E. coli 현탁액 주입 후 4주째부터 4주일간 1일 2회씩 경구 위관을 이용하여 비교예 1의 조성물을 증류수 1cc에 희석하여 투여한다.
6) 비교예 2(400mg) 투여군: E. coli 현탁액 주입 후 4주째부터 4주일간 1일 2회씩 경구 위관을 이용하여 비교예 2의 조성물을 증류수 1cc에 희석하여 투여한다.
7) 비교예 3(400mg) 투여군: E. coli 현탁액 주입 후 4주째부터 4주일간 1일 2회씩 경구 위관을 이용하여 비교예 3의 조성물을 증류수 1cc에 희석하여 투여한다.
8) 비교예 4(400mg) 투여군: E. coli 현탁액 주입 후 4주째부터 4주일간 1일 2회씩 경구 위관을 이용하여 비교예 4의 조성물을 증류수 1cc에 희석하여 투여한다.
(2) 실험 평가
1) 조직의 표본과 검체 채취
4주 간의 치료를 마친 실험동물들은 ketamine (50mg/kg)과 xylazine (12mg/kg)을 이용하여 마취 후 전립선을 절제하고, 소변 추출은 방광 천자를 통해 검체를 채취하였다.
2) 병리 조직학 검사
각 군에서 얻은 전립선을 10% 중성 포르말린에서 고정 후 포매하여 얻은 절편을 hematoxin-eoxin 염색을 시행하여 만성 염증세포의 침윤, 산소포 변화, 간질 섬유화의 세 가지 기준으로 하여 만성 세균성 전립선염의 정도를 기술하였다. 각 항목당 정도에 따라 증거가 없으면 0점, 10% 미만에서 1점, 10-25%에서 2점, 25-50%에서 3점, 50-75%에서 4점, 75-100%에서 5점을 기록하여 전립선염의 정도를 기술하였다. 조직의 일부는 -30℃에 보관하여 protein determination에 사용하였다.
3) SOD (superoxidedismutase)
항산화 바이오 마커인 SOD (superoxide dismutase) 측정은 SOD assay ki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실험 방법 및 산출방법은 다음과 같다. 96 well plate에 혈청 20㎕를 sample과 blank2 well에 넣고 blank1, 3은 ddH2O 를 20㎕ 넣는다. kit에 포함된 WST working solution 200㎕를 모든 well에 첨가, Dilution buffer 20㎕ blank2, 3 첨가 Ezyme working solution을 sample, blank 1에 20㎕ 각각 첨가한 후 37℃에서 20분 반응 후 450nm 흡광도를 측정하고 kit 제조사의 계산법을 준용하여 농도를 계산하였다.
4) 항염증 효과 측정
실험 종료 후 심장의 천자를 통하여 채혈한 후 원심 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혈청은 ELISA system을 이용하여 TNF-α, IL-6, IL-8의 분비량 측정에 사용하였다. 분비성 사이토카인의 측정방법은 각각 측정하고자 하는 사이토카인에 대한 항체가 코팅된 plate에 biotinylated antibody 50 ㎕를 넣은 다음 세포배양 상층액을 50 ㎕ 넣은 후 실온에서 2시간 방치한 다음 세척하였다. 이어 streptavidine-HRP 용액 100 ㎕를 넣고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한 다음 3,3'-5,5' tetramethylbenzidine(TMB) substrate 용액 100 ㎕를 추가하여 반응시킨 후 정지용액을 넣고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표준곡선을 작성하여 해당하는 분비성 사이토카인의 농도를 산출하였다.
(3) 실험 결과
1) 병리 조직학 검사 결과
실시예 1의 조성물 투여군의 만성염증세포의 침윤 및 간질 섬유화의 감소가 ciprofloxacin과 유사한 수준으로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고, 또한 비교예 1 내지 4의 경우 ciprofloxacin의 만성염증세포의 침윤 및 간질 섬유화의 감소효과에 미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점수화하면 하기 표 2와 같다.
염증세포 침윤 섬유화 산소포 증가
Normal 0 0 5
PBS 5 5 0
실시예 1 0 1 5
Ciprofloxacin 2 3 3
비교예 1 3 3 1
비교예 2 3 3 3
비교예 3 3 2 3
비교예 4 3 3 2
2) SOD 측정 결과
하기 표 3에서 보듯이, 실시예 1의 조성물 투여군의 SOD 활성이 ciprofloxacin과 유사한 수준으로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SOD(㎍/ml)
Normal 89
PBS 20
실시예 1 85
Ciprofloxacin 83
비교예 1 32
비교예 2 43
비교예 3 37
비교예 4 46
3) 항염증 활성 측정 결과
하기 표 4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의 조성물 투여군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분비 억제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NF-α(㎍/ml) IL-6(㎍/ml) IL-8(㎍/ml)
Normal 33 10 20
PBS 100 52 63
실시예 1 35 12 19
Ciprofloxacin 34 11 21
비교예 1 66 46 43
비교예 2 63 43 51
비교예 3 68 47 45
비교예 4 64 42 41
<시험예 2> NIH-CPSI에 의한 만성 전립선염의 임상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만성 전립선염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서 하기와 같이 NIH-CPSI에 의한 임상 평가를 수행하였다.
신규로 전립선염 증후군의 카테고리Ⅲ(구분류의 만성 비세균성 전립선염)으로 진단된 환자 40명에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을 피검약으로서 연일 경구 투여했다(1회 2정, 1일 2회 투여). 기본적으로는 다른 약제는 병용하지 않았다. 투여 개시 전, 투여 후 2주간 및 6주간의 시점에서 환자에게 NIH-CPSI의 질문을 행했다. NIH-CPSI의 질문은 크게 3영역으로 분류되고, 통증ㅇ불쾌감에 관한 4항목(항목 1~4, 합계 스코어: 0~21점), 배뇨 증상(잔뇨감, 빈뇨)에 관한 2항목(항목 5~6, 합계 스코어: 0~10점), QOL 저하에 관한 3항목(항목 7~9, 합계 스코어: 0~12점)의 합계 9항목의 합계 스코어로 구성되어 있고, 스코어가 높을수록 증상이 심한 것을 의미한다. 각 영역의 합계 스코어 및 전 항목의 합계 스코어의 각각 평균치를 산출하고, 피검약 투여 전후의 값을 비교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의 임상 효과를 평가했다. 또한, 피검약 투여 전후의 스코어의 비교에 있어서 유의차의 검정은 대응이 있는 t검정을 사용했다. 상기 임상 평가의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투여 전 투여 6주 후
통증, 불쾌감 평균 스코어 9.5 4.2
투여전후 평균 스코어 차이 -5.3
배뇨 증상 평균 스코어 4.2 1.3
투여전후 평균 스코어 차이 -2.9
QOL 평균 스코어 7.4 4.1
투여전후 평균 스코어 차이 -3.3
상기 표 5로부터 알 수 있듯이, 만성 전립선염 환자에게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함으로써 NIH-CPSI의 전 항목의 합계 스코어가 유의하게 감소했다. 본 발명 약제는 NIH-CPSI의 통증ㅇ불쾌감, 배뇨 증상, QOL 저하의 3영역의 각각의 평균 스코어에 대해서도 모두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부터 만성 전립선염의 증상을 전반적으로 개선하여 만성 전립선염에 대해 유효한 치료제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랫드 전립선에 대한 이완작용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조성물 사용시 랫드 전립선 이완작용에 대한 영향을 비교 평가하고자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Sprague-Dawley 계통의 웅성 흰쥐(체중 300~400g)를 경추탈골로 치사시킨 후, 전립선을 적출하여 냉장보관된 Krebs-Henseleit 완충액에 옮겼다. 전립선 조직중에서 배측방엽(dorsolateral lobes)을 횡단면으로 잘라 약 2x10mm 크기의 전립선 조직 선(strip)을 분리하였다(4개 조직/마리). 분리된 조직을 95% O2, 5% CO2가 방출되는 Krebs-Henseleit 완충액(37℃)이 든 organ bath로 옮기고, strip의 양쪽 끝은 각각 organ bath의 바닥과 polygraph(Grass Instruments)에 연결된 force transducer에 고정하였다. 각 조직은 1시간 동안 0.2g의 기준장력하에서 안정화시켰다. 이 후 페닐에프린(phenylephrine) 1μM을 처리하여 전립선 조직의 수축을 유발하였고, 수축이 안정화되면 각 약물을 처리하여 이완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수축정도(%)
대조군 100
실시예 1 6.2ㅁ0.2
비교예 1 62.3ㅁ0.4
비교예 2 61.5ㅁ0.5
비교예 3 62.7ㅁ0.7
비교예 4 65.4ㅁ0.3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립선 이완작용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조성물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조성물은 전립선 평활근 이완작용의 획기적인 효과를 통하여 전립선 비대증 및 이와 관련된 하부요로증상의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4> 생체내 연구
하부요로증상이 있는 남성에게 이중 맹검 처리를 행하여 IPSS (국제 전립선 증상 점수)를 기준에서 처리 중에 및 처리 말기에 기록하는 12주 연구를 수행하였다. IPSS는 7개의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고, 각각 리커트 척도 (Likert scale)에서 0 내지 5의 가능한 응답을 갖는다. 이들 항목은 자극성 영역 (요급박, 빈뇨 및 야간뇨) 및 폐색성 영역 (잔뇨감, 요가 끊어짐, 세뇨 및 배뇨 시작시 곤란)이라는 2 개의 입증된 영역으로 분류된다. 또한, 각 환자들이 방광 일기 (bladder diary)를 작성하여 개별 증상들의 기준 발생률을 얻고, 이어서 이중 맹검 처리 후 이들 증상들의 발생 변화를 측정하였다. 각 환자들의 요급박, 주간 빈뇨 및 야간뇨 (자극성 증상)의 일일 평균 발생률을 상기 일기로부터 결정하였다. 평가는 9점 만점 평가로 수행하였다.
기준에서 자극성 LUTS를 갖는 환자에 대해, 이들 증상의 호전이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 투여 집단에서 확인되었다.
일일 요급박 배뇨 빈도 야간뇨 빈도 IPSS 자극성 영역
Normal 9 9 9 9
대조군 2 1 1 1
실시예 1 9 9 9 9
비교예 1 4 3 5 5
비교예 2 4 3 4 5
비교예 3 5 5 4 5
비교예 4 4 4 5 5
<시험예 5> 혈중 테스토스테론 분비 증가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in vivo 레벨에서의 남성호르몬 분비 증가 효과는 노령의 수컷 쥐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생후 6개월령 스프라그-다우리(Sparague-Dawley) 계통의 웅성 흰쥐를 1주일간 적응시킨 뒤, 실시예 1의 조성물 50mg/kg을 투여한 실험군과 비교예 1 내지 4의 조성물을 각각 투여한 비교군 1 내지 4, 및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으로 나누어 실험에 사용하였다. 동물실험실의 사육조건은 온도 23ㅁ1℃ 습도 45ㅁ5%, 명암은 12시간 주기로 자동 조명 조절하고, 물과 식이는 자유롭게 섭취시켰다.
각 그룹별로 다른 농도로 실시예 1의 조성물을 경구투여하였다. 실험군 및 비교군 1 내지 4에 그룹별로 조성물을 증류수에 녹여 매일 오전 같은 시간에 경구투여하였으며, 대조군은 동량의 증류수를 경구투여하였다.
4주(28일)간 경구투여하고 절식시킨 후 마지막 경구투여하고 혈액을 채취하였으며, 채취한 혈액은 4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혈청을 대상으로 Testosterone ELISA kit(ADI-900-065, ENZO Life Sciences, U.S.A)를 이용하여 테스토스테론 함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측정된 결과는 평균과 표준오차로 표기하고, 통계적 유의성 검증은 Student's t-test 분석법을 이용하여 p값이 0.05 미만(p<0.05)인 경우를 통계학적으로 유의하다고 보았다. 이는 하기 표 8 내지 표 12에서 동일하게 적용된다.
대조군 실험군 비교군 1 비교군 2 비교군 3 비교군 4
Testosterone (pg/ml) 300 1200 500 400 600 500
상기 표 8을 참고하면, 실험군이 비교군 1 내지 4 및 대조군에 비해 혈중 테스토스테론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만이 체내에서 테스토스테론 분비를 증가시키는데 있어서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6> SHBG 억제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SHBG(성호르몬 결합글로불린(sex hormone binding globulin)의 농도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시험예 5('테스토스테론 분비량 증가 효과 측정' 실험)에서 분리된 대조군, 실험군 및 비교군 1 내지 4의 혈청을 대상으로 SHBG kit(Cloud-Clone Corp, USA)를 이용하여 혈중 SHBG 함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기재하였다.
대조군 실험군 비교군 1 비교군 2 비교군 3 비교군 4
혈중 SHBG (ng/ml) 66 48 62 59 60 61
상기 표 9를 참고하면, 실험군이 비교군 1 내지 3 및 대조군에 비해 혈중 SHBG 함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로부터, 호로파 분말과 소팔메토 분말을 본 발명의 특정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이 체내에서 SHBG 농도를 월등하게 저하시킴으로써 테스토스테론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7> FSH 및 LH의 분비 증가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성선자극 호르몬의 증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시험예 5('테스토스테론 분비량 증가 효과 측정' 실험)에서 분리된 대조군, 실험군 및 비교군 1 내지 4의 혈청을 대상으로 혈중 FSH(여포자극호르몬, Folicle stimulating hormone) 및 LH(황체형성호르몬, Luteinizing hormone) 함량을 각각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0에 기재하였다.
대조군 실험군 비교군 1 비교군 2 비교군 3 비교군 4
혈중 LH (mIU/ml) 3.8 4.5 4.0 3.9 4.1 3.8
혈중 FSH (mIU/ml) 1.3 2.0 1.4 1.4 1.5 1.5
상기 표 10을 참고하면, 실험군이 비교군 1 내지 4 및 대조군에 비해 혈중 FSH 및 LH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체내 성선자극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켜 정자의 분화 및 성숙을 유도하고 테스토스테론 분비를 촉진하여, 남성 갱년기 증후군으로 인한 정력 감소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8> DHEA-s 분비 증가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조성물이 인체 내 부신(副腎)에서 생성되는 생식 호르몬인 DHEA-s(dehydroepiandrosterone-s) 분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시험예 5('테스토스테론 분비량 증가 효과 측정' 실험)에서 분리된 대조군, 실험군 및 비교군 1 내지 4의 혈청을 대상으로 DHEA-s kit(Fine Biological Technology, Hubei)를 이용하여 혈중 DHEA-s 함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1에 기재하였다.
대조군 실험군 비교군 1 비교군 2 비교군 3 비교군 4
혈중 DHEA-s (pg/ml) 1.3 9 2 3 4 3
상기 표 11을 참고하면, 실험군이 비교군 1 내지 4 및 대조군에 비해 혈중 DHEA-s 함량이 월등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시험예 9> 피로감, 근력저하 및 운동능력 개선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피로감, 근력저하 및 운동능력 개선 효과는 트레드밀(treadmill) 운동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대조군 및 실험군은 상기 시험예 5('테스토스테론 분비량 증가 효과 측정' 실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1의 조성물 및 비교군 1 내지 4의 조성물을 경구투여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트레드밀 운동장치의 회전롤 회전속도는 20rpm으로 하고, 각도는 지상과 20ㅀ의 각도로 전기자극판 쪽으로 기울게 하였다. 투여 마지막 날에 10분간 적응 훈련을 시켰으며, 24시간 후,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는 트레드밀 운동장치 위에 쥐들을 올려 달리도록 하고, 쥐들이 탈진하여 더 이상 달리지 못하는 한계시점까지를 운동시간으로 설정하여 호로파 분말과 소팔메토 분말 혼합물의 항피로 효과 활성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하기 표 12에 기재하였다.
대조군 실험군 비교군 1 비교군 2 비교군 3 비교군 4
Time (s) 5 12 6 7 7 6
상기 표 12를 참고하면, 실험군이 비교군 1 내지 4 및 대조군에 비해 트레드밀 운동시간이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남성 갱년기 증후군로 인한 피로감, 근력저하 및 운동능력 저하에 대한 개선 효과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10> 무기력감 및 배뇨활동 개선 효과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무기력감 및 배뇨활동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남성 갱년기 증후군 증세를 호소하는 50 내지 60대의 남성 50명에게 각각 실시예 1의 조성물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조성물 60일간, 매일 하루 3번 110㎖씩 점심식사 후 2시간 후에 복용하게 하였으며, 60일간의 복용 후, 무기력감 개선 효과, 피로감 개선 효과 및 배뇨활동 개선 효과를 5점 타점법(5점 : 아주 우수함, 4점 : 우수함, 3점 : 보통, 2점 : 나쁨, 1점 : 아주 나쁨)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비교를 위해 대조군으로 일반 영양제인 비타민 C를 복용하도록 하였다.
무기력감
개선 효과
피로감
개선 효과
배뇨활동
개선 효과
실시예 1 4.8 4.8 4.7
비교예 1 1.7 1.8 0.3
비교예 2 1.8 1.8 1.0
비교예 3 1.8 1.9 0.8
비교예 4 1.7 1.9 0.5
대조군 1.5 1.2 0.4
상기 표 13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남성 갱년기 증후군로 인한 무기력감 및 피로감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우수하였다. 또한, 배뇨활동을 개선시키는 효과로부터 전립선 크기의 증대를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제조예를 예시한다.
<제조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1> 주사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조성물: 300 mg
소듐 메타비설파이트: 3.0 mg
메틸파라벤: 0.8 mg
프로필파라벤: 0.1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상기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최종 부피가 2 ㎖이 되도록 제조하여, 앰플에 충전하고 멸균하여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1-2> 산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조성물 10 m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1-3>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조성물 0.1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 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1-4> 캡슐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조성물 0.1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 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1-5> 환의 제조
실시예 1의 조성물 1 mg
유당 1.5 g
글리세린 1 g
자일리톨 0.5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1 환 당 4 g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1-6> 과립의 제조
실시예 1의 조성물 0.15 mg
대두 추출물 50 mg
포도당 200 mg
전분 600 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 mg을 첨가하여 60℃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제조예 2> 건강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들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2-1>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조성물 0.5 내지 5.0 중량부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였다.
<2-2>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조성물 0.1 내지 5.0 중량부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2-3>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조성물 10 중량부를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2-4>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조성물 5 내지 10 중량부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2-5>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조성물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조성물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실시예 1의 조성물(3 중량부),
영지(0.5 중량부),
지황(0.5 중량부)
<제조예 3> 건강음료의 제조
<3-1> 건강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 올리고당(2%), 설탕(2%), 식염(0.5%), 물(75%)과 같은 부재료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조성물 0.5 g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제조하였다.
<3-2> 야채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조성물 0.5 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주스 1,000 mL에 가하여 야채 주스를 제조하였다.
<3-3> 과일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조성물 0.1 g을 사과 또는 포도 주스 1,000 mL에 가하여 과일 주스를 제조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호로파, 소팔메토, 아르기닌, 비수리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전립선염 및 이로 인한 하부요로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호로파 250 내지 350 중량부, 소팔메토 100 내지 200 중량부, 아르기닌 250 내지 350 중량부, 비수리 50 내지 100 중량부 및 프락토올리고당 50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전립선염 및 이로 인한 하부요로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호로파 300 중량부, 소팔메토 160 중량부, 아르기닌 300 중량부, 비수리 60 중량부 및 프락토올리고당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전립선염 및 이로 인한 하부요로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이 캡슐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전립선염 및 이로 인한 하부요로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호로파, 소팔메토, 아르기닌, 비수리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전립선염 및 이로 인한 하부요로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호로파 250 내지 350 중량부, 소팔메토 100 내지 200 중량부, 아르기닌 250 내지 350 중량부, 비수리 50 내지 100 중량부 및 프락토올리고당 50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전립선염 및 이로 인한 하부요로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호로파 300 중량부, 소팔메토 160 중량부, 아르기닌 300 중량부, 비수리 60 중량부 및 프락토올리고당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전립선염 및 이로 인한 하부요로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20210098520A 2021-07-27 2021-07-27 만성 전립선염 및 하부요로증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173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520A KR20230017389A (ko) 2021-07-27 2021-07-27 만성 전립선염 및 하부요로증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520A KR20230017389A (ko) 2021-07-27 2021-07-27 만성 전립선염 및 하부요로증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389A true KR20230017389A (ko) 2023-02-06

Family

ID=85223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520A KR20230017389A (ko) 2021-07-27 2021-07-27 만성 전립선염 및 하부요로증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73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1348B1 (ko) * 2023-12-20 2024-03-26 주식회사 상상바이오 발기 촉진 유지 및 전립선 건강 개선용 식품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1348B1 (ko) * 2023-12-20 2024-03-26 주식회사 상상바이오 발기 촉진 유지 및 전립선 건강 개선용 식품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0512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US10675316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climacteric disorder containing extracts of Dendropanax morbifera LEV. as active ingredient
KR20230017389A (ko) 만성 전립선염 및 하부요로증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141027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20190003304A (ko)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03657B1 (ko)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여성 항비만용 조성물
KR102170090B1 (ko)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남성 항비만용 조성물
KR20150051845A (ko)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KR101509796B1 (ko) 블루베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0413579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sthma comprising Pistacia weinmannifolia J. Poiss. ex Franch extract or fraction thereof
KR101460126B1 (ko) 민들레 추출물 또는 민들레 함유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갱년기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732483B1 (ko) 연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말초신경병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70476B1 (ko) 흑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풍 또는 고요산혈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56127B1 (ko) 골성장 촉진을 위한 조성물
KR101089314B1 (ko) 유포비아스테로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344189B1 (ko) 발효 또는 미발효된 금은화 및 진피 혼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18405B1 (ko) 정금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0888068B1 (ko)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101026523B1 (ko) 흑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중조절 및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첨가물
KR101811210B1 (ko) 마가목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 질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641415B1 (ko) 한속단, 황기, 산약, 가시오가피 및 당귀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길이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2167290B1 (ko) 멀꿀 추출물 및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전립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33003B1 (ko) 저실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기능 강화용 조성물
KR101801130B1 (ko)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호르몬 조절이상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170130082A (ko) 우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호르몬 조절이상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100141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20803

Effective date: 20230522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