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1348B1 - 발기 촉진 유지 및 전립선 건강 개선용 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발기 촉진 유지 및 전립선 건강 개선용 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1348B1
KR102651348B1 KR1020230187473A KR20230187473A KR102651348B1 KR 102651348 B1 KR102651348 B1 KR 102651348B1 KR 1020230187473 A KR1020230187473 A KR 1020230187473A KR 20230187473 A KR20230187473 A KR 20230187473A KR 102651348 B1 KR102651348 B1 KR 102651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xtract
temperature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87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균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상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상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상바이오
Priority to KR1020230187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13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3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30Physical treatment, e.g. electrical or magnetic means, wave energy or irradiation
    • A23L5/32Physical treatment, e.g. electrical or magnetic means, wave energy or irradiation using phonon wave energy, e.g. sound or ultrasonic w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06Argin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8Fungi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1Polysaccharide
    • A23V2250/5114Dextrins, maltodextr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4Vitamin B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흑염소진액추출분말 16-18 중량부, 장어진액추출분말 14-16 중량부, 과라나추출분말 3-5 중량부, 트리블러스추출분말 12-14 중량부, 호로파씨추출분말 16-18 중량부, L-아르지닌 14-16 중량부, 블랙마카분말 4-6 중량부, 니코틴산아미드 0.4-0.6 중량부, 판토텐산칼슘 0.4-0.6 중량부, 비타민B1염산염 0.4-0.6 중량부, 비타민B6염산염 0.4-0.6 중량부 및 덱스트린 11-13 중량부를 포함하는 발기 촉진 유지 및 전립선 건강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발기 촉진 유지 및 전립선 건강 개선용 식품 조성물{Food composition for maintaining erection and improving prostate health}
본 발명은 발기 촉진 유지 및 전립선 건강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적인 생활환경에서 과로, 음주, 스트레스, 환경오염 등은 생체리듬에 혼란을 주어, 고혈압, 당뇨, 비만 등의 성인병 빈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한창 왕성해야 할 20 내지 30대부터 기력 저하, 노화 및 성기능 부진 등의 현상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고, 40세 이상에서는 매우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남성 발기부전을 치료하기 위해 운동을 하거나, 약물에 의해 치료하지만 운동은 규칙적으로 수행해야 하지만, 주로 사회생활을 하면서 규칙적인 관리가 쉽지 않기 때문에 통상 약물치료에 의존한다.
남성의 성기능은 성적욕구, 음경의 발기, 사정 및 극치감으로 이루어지는 데, 이는 신경계, 내분비계 및 혈관계의 복합적인 생리반응에 의해 결정되며, 이중 하나라도 이상이 있으면 성기능 장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성기능 장애는 10여 년 전만 해도 대부분 심인성 원인으로 여겨졌지만, 현대 의학의 발달로 성기능 장애 환자의 약 50% 이상에서 혈관계, 신경계 및 내분비계 질환, 당뇨병, 고혈압, 약물복용 등의 다양한 원인에 의한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최근 포스포디에스테라제V(phosphodiesterase V) 억제제인 실데나필(sildenafil)이 성기능 장애 치료에서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으나, 이러한 치료법은 화학약품을 이용하여 일시적인 발기를 유발시키는 방법으로 가격이 높고 두통, 혈압증가, 심장 마비 등 부작용이 많다. 특히 심장병을 가중시켜 사망하는 경우가 적지 않게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인체의 본능적인 발기기능을 증강시키는 안전하고 유효한 성기능장애 치료제가 개발되어야 할 실정이며, 최근의 추세는 음경해면체 평활근에서 강한 이완작용을 나타내는 신호전달물질인 일산화질소 및 cGMP의 생성을 증가시켜 음경해면체의 발기를 증진시키는 성기능 개선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또한, 기존의 발기부전 의약품은 발기부전의 원인이 되는 혈액순환, 내분비 기능 등에 관련된 신체의 장애를 개선시키지 않고 일시적인 발기 유도에만 초점을 두고 개발되어 사용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내성이 생기거나 여러가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재 부작용 없는 발기부전 치료제를 천연물 및 생약에서 탐색하려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등록특허 10-103060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립선 건강 개선 및 발기 촉진 유지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천연원료에 함유된 플라보노이드 및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을 현격하게 증량하고, 채내흡수율을 향상시켜 전립선 건강 개선 및 발기 촉진 유지 개선 등의 작용 효과를 현저하게 향상시킨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흑염소진액추출분말 16-18 중량부, 장어진액추출분말 14-16 중량부, 과라나추출분말 3-5 중량부, 트리블러스추출분말 12-14 중량부, 호로파씨추출분말 16-18 중량부, L-아르지닌 14-16 중량부, 블랙마카분말 4-6 중량부, 니코틴산아미드 0.4-0.6 중량부, 판토텐산칼슘 0.4-0.6 중량부, 비타민B1염산염 0.4-0.6 중량부, 비타민B6염산염 0.4-0.6 중량부 및 덱스트린 11-13 중량부를 포함하는 발기 촉진 유지 및 전립선 건강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발기 촉진 유지 및 전립선 건강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아위버섯발효추출물, 현호색발효추출물 및 측백나무잎발효추출물이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복합 발효추출물 3-7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발효추출물은,
아위버섯, 현호색 및 측백나무잎을 세척하고,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는 단계; 동결건조한 아위버섯, 현호색 및 측백나무잎을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복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복합분말 48-52 중량부 및 인삼발효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바실러스 레펜스(Bacillus repen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30-34℃의 온도에서 5-7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88-92℃의 온도로 가열하고, 23-27℃의 온도로 식히는 단계; 식힌 후, β-글루코시다아제 0.3-0.7 중량부를 첨가하고, 32-36℃의 온도에서 10-14시간 동안 효소반응하는 단계; 효소반응 후, 정제수 48-52 중량부를 첨가하고, 98-10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인삼발효추출액은,
인삼 및 정제수를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3-7℃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침지 후,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를 첨가하고, 30-34℃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88-92℃의 온도로 가열하여 46-50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및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기 촉진 유지 및 전립선 건강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아위버섯발효추출물, 현호색발효추출물 및 측백나무잎발효추출물이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복합 발효추출물 및 비타민나무열매발효오일 및 잇꽃씨발효오일이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복합 발효오일을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 8-1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발효추출물은,
아위버섯, 현호색 및 측백나무잎을 세척하고,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는 단계; 동결건조한 아위버섯, 현호색 및 측백나무잎을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복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복합분말 48-52 중량부 및 인삼발효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바실러스 레펜스(Bacillus repen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30-34℃의 온도에서 5-7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88-92℃의 온도로 가열하고, 23-27℃의 온도로 식히는 단계; 식힌 후, β-글루코시다아제 0.3-0.7 중량부를 첨가하고, 32-36℃의 온도에서 10-14시간 동안 효소반응하는 단계; 효소반응 후, 정제수 48-52 중량부를 첨가하고, 98-10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인삼발효추출액은,
인삼 및 정제수를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3-7℃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침지 후,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를 첨가하고, 30-34℃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88-92℃의 온도로 가열하여 46-50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및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복합 발효오일은,
비타민나무열매 및 잇꽃씨를 세척하고, 118-122℃의 온도에서 8-12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 열처리한 비타민나무열매 및 잇꽃씨를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고, 분쇄하고,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분말 48-52 중량부 및 인삼발효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바실러스 레펜스(Bacillus repen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30-34℃의 온도에서 5-7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여과하여 고형분을 얻고, 상기 고형분 8-12 중량부 및 헥산 88-92 중량부를 혼합하고, 28-32℃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교반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고 감압농축한 후 원심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감압증류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복합 조성물은,
정제수 68-72 중량부 및 인지질 28-32 중량부를 혼합하고, 58-62℃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1차 초음파처리하는 단계;
1차 초음파처리 후, 상기 복합 발효오일 13-17 중량부를 첨가하고, 68-72℃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2차 초음파처리하는 단계; 및
2차 초음파처리 후, 상기 복합 발효추출물 28-32 중량부를 첨가하고, 53-57℃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3차 초음파처리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전립선 건강 개선 및 발기 촉진 유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에 포함된 성분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총 아미노산의 함량이 현격하게 증량되고, 채내흡수율이 향상되어 전립선 건강 개선 및 발기 촉진 유지 등의 작용 효과가 우수하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차, 2차,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본 발명은
흑염소진액추출분말 16-18 중량부, 장어진액추출분말 14-16 중량부, 과라나추출분말 3-5 중량부, 트리블러스추출분말 12-14 중량부, 호로파씨추출분말 16-18 중량부, L-아르지닌 14-16 중량부, 블랙마카분말 4-6 중량부, 니코틴산아미드 0.4-0.6 중량부, 판토텐산칼슘 0.4-0.6 중량부, 비타민B1염산염 0.4-0.6 중량부, 비타민B6염산염 0.4-0.6 중량부 및 덱스트린 11-13 중량부를 포함하는 발기 촉진 유지 및 전립선 건강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발기 촉진 유지 및 전립선 건강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흑염소진액추출분말은 흑염소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지방함량이 낮고 칼슘, 인, 철 등의 미네랄군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돼지고기, 소고기 등보다 많은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고 있다. 상기 흑염소진액추출분말은, 흑염소를 도축하여 내장을 제거한 지육을 절단하여 가공하고, 가공한 지육을 세척하고, 세척한 지육을 정제수에 담가 핏물을 제거하고, 핏물이 제거된 지육을 정제수에 침지하고, 118-122℃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가열하고, 정제수를 추가하고 138-142℃의 온도에서 8-10시간 동안 가열하고, 이를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고, 여과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상기 흑염소진액추출분말은 16-18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6.5-17.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장어진액추출분말은 장어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장어는 단백질 함량이 높고 칼로리도 높으면서 불포화 지방산이 많아 고혈압 등의 성인병 예방이나 허약 체질, 원기 회복 등에 최고의 식품으로 인정받기 때문에 스태미너 식품으로 특히 여름철 남성들에게 인기가 매우 높다. 상기 장어진액추출분말은, 장어의 내장을 제거한 원물을 절단하여 가공하고, 가공한 원물을 세척하고, 세척한 원물을 정제수에 침지하고, 118-122℃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가열하고, 정제수를 추가하고 138-142℃의 온도에서 8-10시간 동안 가열하고, 이를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고, 여과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상기 장어진액추출분말은 14-1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4.5-15.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과라나추출분말은 과라나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과라나는 커피 콩과 비슷한 크기의 열매로써 과라나의 씨앗은 커피 콩보다 2배 많은 농도의 카페인을 함유있어 식이 보충제로서 사용되며, 과라나의 높은 카페인 농도는 방어적 독소 작용을 하여, 다른 병원균으로부터 과라나 열매나 씨앗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과라나추출분말은 3-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5-4.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트리블러스추출분말은 트리블러스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트리블러스(Tribulus terrestris L.)는 뿌리와 잎에 사포닌 (Saponin)이 함유되어 있고 사포게닌(Sapogenin)에는 디오스게닌 (Diosgenin), 기토게닌 (Gitogenin), 클로로게닌 (Chlorogen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고혈압증에 좋고 해열, 이뇨 변비, 간장병, 토혈, 혈변, 생리 불순, 설사 등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트리블러스추출분말은 12-14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2.5-13.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호로파씨추출분말은 호로파씨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호로파는 성질이 따뜻하여 생식기가 허약하고 냉하여 아랫배와 옆구리가 창만한 것, 눈주위나 얼굴빛이 검푸른 것을 낫게 하는 효능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호로파씨추출분말은 16-18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6.5-17.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L-아르지닌(L-Arginine)은 조건부 필수 아미노산 중의 하나로 체내의 암모니아를 요소로 변환시킬 때 쓰이는 필수 요소이며, 혈관의 확장에 기여하는 일산화 질소를 체내에서 많들 때 기여하는 역할을 해 협심증이나 고혈압 증상의 치료에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 L-아르지닌은 14-1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4.5-15.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블랙마카분말은 블랙마카로부터 제조되는 분말로, 블랙마카는 발린, 리신, 아르지닌 등의 필수 아미노산 10종과 비타민 C, E, B 등의 비타민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데, 특히 아르지닌 성분의 경우 굴의 1.5배가 함유되어 있으며, 철분의 경우 더덕의 약 10배, 아연의 경우 부추의 약 11배, 칼슘의 경우에는 마늘의 약 26배가 함유되어 있다. 상기 블랙마카분말은 4-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5-5.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니코틴산아미드는 0.4-0.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45-0.5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판토텐산칼슘은 0.4-0.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45-0.5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비타민B1염산염은 0.4-0.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45-0.5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비타민B6염산염은 0.4-0.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45-0.5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기 촉진 유지 및 전립선 건강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아위버섯발효추출물, 현호색발효추출물 및 측백나무잎발효추출물이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복합 발효추출물 3-7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복합 발효추출물은,
아위버섯, 현호색 및 측백나무잎을 세척하고,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는 단계; 동결건조한 아위버섯, 현호색 및 측백나무잎을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복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복합분말 48-52 중량부 및 인삼발효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바실러스 레펜스(Bacillus repen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30-34℃의 온도에서 5-7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88-92℃의 온도로 가열하고, 23-27℃의 온도로 식히는 단계; 식힌 후, β-글루코시다아제 0.3-0.7 중량부를 첨가하고, 32-36℃의 온도에서 10-14시간 동안 효소반응하는 단계; 효소반응 후, 정제수 48-52 중량부를 첨가하고, 98-10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아위버섯(Pleurotus eryngii var. ferulea (Pf.)은 새송이의 변종으로 영어명칭은 페룰라 오이스터 머쉬룸(Ferula Oyster Mushroom)으로, 해석하면 아위나무 느타리버섯이다. 중국에서는 백령측이(白靈側耳)라고 부른다. 중국의 건조지대인 신강지방의 아위 나무에서 야생하는 것으로 생장온도는 8~20℃의 중온으로 우리나라의 봄, 가을 재배에 적합하다. 중국과 중앙아시아에서 자생하는 아위버섯은 막힌데를 풀어주고 기침과 염증을 해소시키고 위장 질환에 효험이 있는 약용식물로 알려져 있고 한의학 서적 등에 인체의 독소를 배출하고 기침을 멎게 하며 염증을 해소시키고 산부인과 계통 질환에도 효과가 있다고 소개된 고기능성 버섯이다.
현호색(Corydalis turtschaninovii BESS.)은 양귀비과(Papaveraceae)의 여러해살이풀로 전국의 산과 들에서 자라며, 일본, 만주, 아물, 우수리에 분포한다. 덩이줄기를 현호색(玄胡索)이라 하며, 활혈, 산어, 이기, 진통의 효능 및 심복통, 요슬통, 월경불순, 산후혈훈을 치료한다고 알려져 있다. 성분으로는 베르베린(Berberine), 코리달린(Corydaline), 디엘 테트라히드로콥티신(dl tetrahydrocoptisine) 등이 있다.
측백나무(Thuja orientalis)는 구과목 측백나무과 상록교목으로, 잎은 도란형 또는 난형이고 양면이 모두 녹색이거나 연한 황록색이다. 열매의 길이는 15∼20㎜으로 난형이고, 탈모방지, 발모촉진의 명약이라고 소개될 만큼 머리카락에 효과적이다. 수피 및 가지는 적갈색(대지) 또는 녹색(소지)이며, 수피는 회갈색으로 세로로 길게 갈라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아위버섯, 현호색 및 측백나무잎으로부터 추출한 복합 발효추출물을 발기 촉진 유지 및 전립선 건강 개선용 식품 조성물 적용하고자 하며, 특히, 상기 복합 발효추출물은 인삼발효추출액을 이용한 발효기술을 통해 플라보노이드 및 아미노산의 함량이 현격하게 증량시켜 추출하여 적용함으로써 기능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발효추출물은 필수 아미노산 성분을 증량시켜 추출한 것으로, 상기 필수 아미노산(essential amino acid, EAA)은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거나 합성되더라도 그 양이 매우 적어 생리기능을 달성하기에 충분하지 않아서 반드시 음식에서 섭취해야만 하는 아미노산을 말한다. 상기 필수 아미노산은 이소루신(isoleucine, I), 류신(leucine, L), 리신(lysine, K), 메티오닌(methionine, M),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F), 트레오닌(threonine, T), 트립토판(tryptophan, W), 발린(valine, V), 히스티딘(histidine, H) 및 아르지닌(arginine, R)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아미노산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인삼발효추출액은,
인삼 및 정제수를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3-7℃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침지 후,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를 첨가하고, 30-34℃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88-92℃의 온도로 가열하여 46-50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및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발기 촉진 유지 및 전립선 건강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아위버섯발효추출물, 현호색발효추출물 및 측백나무잎발효추출물이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복합 발효추출물 및 비타민나무열매발효오일 및 잇꽃씨발효오일이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복합 발효오일을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 8-1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1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복합 발효오일은,
비타민나무열매 및 잇꽃씨를 세척하고, 118-122℃의 온도에서 8-12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 열처리한 비타민나무열매 및 잇꽃씨를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고, 분쇄하고,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분말 48-52 중량부 및 인삼발효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바실러스 레펜스(Bacillus repen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30-34℃의 온도에서 5-7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여과하여 고형분을 얻고, 상기 고형분 8-12 중량부 및 헥산 88-92 중량부를 혼합하고, 28-32℃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교반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고 감압농축한 후 원심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감압증류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비타민나무(Hippophae rhamnoides L.)는 중국, 몽골 등이 원산지인 보리수나무과 Elaeagnaceae의 관목성 목본으로 유럽과 중앙아시아에서 폭넓게 자생하고 있으며, 척박한 토양에서 생육이 가능하고 질소고정 능력이 뛰어나서 토양 유실방지와 토양 개간 목적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비타민나무는 열매에는 비타민과 아미노산의 함량이 매우 높고, 면역, 항염, 항산화 등의 생리활성도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globulins, albumins과 같은 단백질과 linoleic acids, linolenic acids와 같은 지방산의 함량이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폴리페놀류, 토코페롤, 카로테노이드, 플라보노이드 등의 항산화성 생리활성물질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잇꽃(Carthamus Tinctorius)은 홍화라고도 불리는데, 붉은색 연지의 원재료로 사용하기도 한다. 홍화는 국화과에 속하는 일년생 풀인 잇꽃의 꽃으로 혈의 순환을 돕고 예로부터 여성에게 좋은 꽃으로 알려져 있는 꽃이다. 특히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홍화 씨에는 비타민 E가 풍부하여 항산화 효능이 있어서, 항노화 등의 다양한 작용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이외에도 플라보노이드, 글리코시드, 알칼로이드, 폴리아세틸린 글리코시드 및 기타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비타민나무열매 및 잇꽃씨로부터 추출한 복합 발효오일을 발기 촉진 유지 및 전립선 건강 개선용 식품 조성물 적용하고자 하며, 상기 복합 발효오일을 적용함으로써 더욱 우수한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조성물은,
정제수 68-72 중량부 및 인지질 28-32 중량부를 혼합하고, 58-62℃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1차 초음파처리하는 단계;
1차 초음파처리 후, 상기 복합 발효오일 13-17 중량부를 첨가하고, 68-72℃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2차 초음파처리하는 단계; 및
2차 초음파처리 후, 상기 복합 발효추출물 28-32 중량부를 첨가하고, 53-57℃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3차 초음파처리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상기 인지질은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이노시톨, 리소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산, 포스파티딜 세럼, 포스파티딜 글리세롤 및 포스파티딜 이노시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을 사용한다.
상기 복합 발효추출물과 상기 복합 발효오일을 이용하여 복합화한 복합 조성물을 발기 촉진 유지 및 전립선 건강 개선용 식품 조성물 적용하며, 상기 복합 조성물은 플라보노이드 및 아미노산의 함량이 현격하게 증량하여 추출한 복합 발효추출물과 복합화된 복합 발효오일을 포함하고, 유효성분의 흡수성이 우수하여 기능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복합 발효추출물의 제조-1
인삼 및 정제수를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5℃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침지한 후,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를 첨가하고, 32℃의 온도에서 3일 동안 발효하였다. 발효 후, 90℃의 온도로 가열하여 48시간 동안 끓이고,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어 인삼발효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아위버섯, 현호색 및 측백나무잎을 세척하고, 영하 50℃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고,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복합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복합분말 50 중량부 및 상기 인삼발효추출액 50 중량부를 혼합하고, 바실러스 레펜스(Bacillus repen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균주 1 중량부를 첨가한 후 32℃의 온도에서 6일 동안 발효하였다. 발효 후, 90℃의 온도로 가열하여 발효를 멈추고, 25℃의 온도로 식혔다. 식힌 후, β-글루코시다아제 0.5 중량부를 첨가하고, 34℃의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효소반응하고, 정제수 50 중량부를 추가하고, 100℃의 온도에서 6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복합 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복합 발효추출물의 제조-2
상기 제조예 1에서 인삼발효추출액을 사용하지 않고 정제수를 사용하며, 효소반응을 수행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복합 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복합 발효추출물의 제조-3
상기 제조예 1에서 효소반응을 수행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복합 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복합 발효오일의 제조
비타민나무열매 및 잇꽃씨를 세척하고, 120℃의 온도에서 10분 동안 열처리한 후, 영하 50℃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고, 분쇄하고,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분말 50 중량부 및 상기 인삼발효추출액 50 중량부를 혼합하고, 바실러스 레펜스(Bacillus repen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균주 1 중량부를 첨가한 후 32℃의 온도에서 6일 동안 발효하였다. 발효 후, 여과하여 고형분을 얻고, 상기 고형분 10 중량부 및 헥산 90 중량부를 혼합하고, 30℃의 온도에서 3일 동안 교반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고 감압농축한 후 원심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감압증류하여 복합 발효오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 복합 조성물의 제조
정제수 70 중량부 및 인지질로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30 중량부를 혼합하고, 60℃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1차 초음파처리하였다. 1차 초음파처리 후, 상기 제조예 4에서 제조한 복합 발효오일을 15 중량부 첨가하고, 70℃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2차 초음파처리하였다. 2차 초음파처리 후,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복합 발효추출물 30 중량부를 첨가하고, 55℃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3차 초음파처리하여 복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식품 조성물의 제조-1
흑염소진액추출분말 17 중량부, 장어진액추출분말 15중량부, 과라나추출분말 4 중량부, 트리블러스추출물분말 13 중량부, 호로파씨추출분말 17 중량부, L-아르지닌 15 중량부, 블랙마카분말 5 중량부, 니코틴산아미드 0.5 중량부, 판토텐산칼슘 0.5 중량부, 비타민B1염산염 0.5 중량부, 비타민B6염산염 0.5 중량부 및 덱스트린 12 중량부를 혼합하여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식품 조성물의 제조-2
상기 실시예 1의 식품 조성물에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복합 발효추출물을 5 중량부 추가하여 혼합함으로써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식품 조성물의 제조-3
상기 실시예 1의 식품 조성물에 상기 제조예 4에서 제조한 복합 조성물을 10 중량부 추가하여 혼합함으로써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성분 분석
상기 제조예 1-3에서 제조한 복합 발효추출물의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 분석 및 아미노산 분석기(Amino acid analyzer biochrom 30, Biochrom, UK)를 이용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 아미노산 함량 및 필수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mg/g)
총 아미노산 함량
(mg/g)
필수아미노산 함량
(mg/kg)
제조예 1 56.68 10485.60 3385.12
제조예 2 30.61 5058.86 1580.16
제조예 3 38.57 7123.35 2248.67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발효추출물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 아미노산 함량 및 필수아미노산 함량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항산화 기능성 분석
상기 제조예 1-3에서 제조한 복합 발효추출물을 시료로 하여 항산화력을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라디칼 소거 활성으로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Mensor 등의 방법을 참고하였다. 80㎕의 0.2mM DPPH 에탄올 용액을 각 시료에 20㎕ 가한 후 1분간 교반한 후 25℃ 인큐베이터에서 10분간 반응시켜 ELISA reader를 사용하여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하기 계산식 1에 따라 백분율로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계산식 1>
시료명 항산화효과 (DPPH소거 활성율,%)
제조예 1 55.8
제조예 2 48.9
제조예 3 51.2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의 수치가 높다는 것은 항산화 효과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표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발효추출물은 높은 DPPH 라디칼 소거활성 수치값이 측정되었으며, 우수한 항산화 기능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전립선 개선 기능성 분석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식품 조성물에 대하여 전립선 개선 기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임상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남성 50-60대 30명을 선별하여 평균연령이 동일하도록 10명씩 실험군 1, 실험군 2, 실험군 3으로 정하고, 실험군 1에는 실시예 1의 식품 조성물을, 실험군 2에는 실시예 2의 식품 조성물을, 실험군 3에는 실시예 3의 식품 조성물을 투여하였다. 실험은 1회 시료 3 g 분량을 아침, 저녁으로 1일 2회씩 6개월간 복용하게 하였다. 복용 후 매월 경과 시마다 PSA 지수를 측정하여 각 실험군별로 평균치를 구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혈중전립선 특이환원(Prostate Specific Antigen; PSA) 지수란 정상적으로 전립선에서 생성되는 물질로 전립선 암종 등과 같은 질환에서 혈중치가 상승하여 암을 진단할 때 사용하며, 본 실험예서는 PSA 지수가 증가하면 전립선 염증과 비대증 및 전립선암의 질환이 증가한다고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PSA 지수의 정상수치는 0-4 ng/ml로서, PSA 지수가 4 ng/ml 이상이면 전립선암의 가능성이 있으며, 또 전립선염, 전립선 비대증이 심한 경우, 배뇨 곤란이 심한 경우 등에도 PSA 지수의 수치는 높아진다.
기간 PSA 지수 (ng/ml)
실험군 1 실험군 2 실험군 3
섭취 전 24.06 23.87 24.10
1개월 20.57 17.49 17.31
2개월 16.42 12.68 12.30
3개월 13.23 7.23 6.10
4개월 10.57 5.30 4.78
5개월 8.57 3.21 2.89
6개월 6.88 1.02 0.87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을 적용하는 경우 PSA 지수가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발기 촉진 유지 개선 기능성 분석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식품 조성물에 대하여 성기능 개선 기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in vivo 상에서 발기 촉진 효과를 측정하였다. 이때 양성 대조군으로는 실데나필 시트레이트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실험동물로는 웅성의 SPF 뉴질랜드 알비노 래빗(체중 약 3.0-4.0 ㎏)을 시험 그룹당 각각 6마리씩 사용하였으며, 이들을 우리 속에서 동일한 조건으로 3일 이상 일정량의 통상적인 래빗용 고체 사료 및 물을 공급하여 사육하였다. 래빗은 48시간 이상 절식시킨 후 시험에 사용하였으며, 절식 시에는 물을 자유롭게 마실 수 있게 하였다.
상기와 같이 준비된 래빗에 상기 각 시료를 마리당 50 mg/kg 량으로 구강 내에 투여하였다. 한편, 양성 대조군인 실데나필 시트레이트는 20 mg/kg 량을 경구 투여하였다. 이와 같이 투여 후 발기 시작시간 및 지속시간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대조군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발기시작시간(분) 6.8 7.7 7.2 6.8
최대발기시간(분) 18.6 15.4 17.2 18.4
발기유지시간(분) 120.7 100.5 109.5 120.6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을 적용하는 경우 우수한 발기 성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3)

  1. 흑염소진액추출분말 16-18 중량부, 장어진액추출분말 14-16 중량부, 과라나추출분말 3-5 중량부, 트리블러스추출분말 12-14 중량부, 호로파씨추출분말 16-18 중량부, L-아르지닌 14-16 중량부, 블랙마카분말 4-6 중량부, 니코틴산아미드 0.4-0.6 중량부, 판토텐산칼슘 0.4-0.6 중량부, 비타민B1염산염 0.4-0.6 중량부, 비타민B6염산염 0.4-0.6 중량부, 복합 발효추출물 3-7 중량부 및 덱스트린 11-13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발효추출물은,
    아위버섯, 현호색 및 측백나무잎을 세척하고,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는 단계; 동결건조한 아위버섯, 현호색 및 측백나무잎을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복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복합분말 48-52 중량부 및 인삼발효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바실러스 레펜스(Bacillus repen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30-34℃의 온도에서 5-7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88-92℃의 온도로 가열하고, 23-27℃의 온도로 식히는 단계; 식힌 후, β-글루코시다아제 0.3-0.7 중량부를 첨가하고, 32-36℃의 온도에서 10-14시간 동안 효소반응하는 단계; 효소반응 후, 정제수 48-52 중량부를 첨가하고, 98-10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인삼발효추출액은,
    인삼 및 정제수를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3-7℃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침지 후,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를 첨가하고, 30-34℃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88-92℃의 온도로 가열하여 46-50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및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기 촉진 유지 및 전립선 건강 개선용 식품 조성물.
  2. 삭제
  3. 삭제
KR1020230187473A 2023-12-20 2023-12-20 발기 촉진 유지 및 전립선 건강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651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7473A KR102651348B1 (ko) 2023-12-20 2023-12-20 발기 촉진 유지 및 전립선 건강 개선용 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7473A KR102651348B1 (ko) 2023-12-20 2023-12-20 발기 촉진 유지 및 전립선 건강 개선용 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1348B1 true KR102651348B1 (ko) 2024-03-26

Family

ID=90472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87473A KR102651348B1 (ko) 2023-12-20 2023-12-20 발기 촉진 유지 및 전립선 건강 개선용 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134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608B1 (ko) 2007-05-11 2011-04-20 (주)아모레퍼시픽 인삼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남성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130005680A (ko) * 2011-07-07 2013-01-16 주식회사 한국지네틱팜 기능성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JP2017036271A (ja) * 2015-08-07 2017-02-16 国立大学法人 筑波大学 活動意欲向上剤
KR20230017389A (ko) * 2021-07-27 2023-02-06 김우연 만성 전립선염 및 하부요로증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608B1 (ko) 2007-05-11 2011-04-20 (주)아모레퍼시픽 인삼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남성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130005680A (ko) * 2011-07-07 2013-01-16 주식회사 한국지네틱팜 기능성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JP2017036271A (ja) * 2015-08-07 2017-02-16 国立大学法人 筑波大学 活動意欲向上剤
KR20230017389A (ko) * 2021-07-27 2023-02-06 김우연 만성 전립선염 및 하부요로증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에 게재된 ‘장어품은 흑염소진액’(2023.01.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0344B1 (ko) 혈당강하용 기능성 여주차의 제조방법
KR101541516B1 (ko) 누에와 뽕나무잎과 상지(桑枝)를 주원료로한 이온미네랄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KR20160087112A (ko) 꽃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116374A (ko) 혈당강하용 기능성 여주음료의 제조방법
KR100755983B1 (ko) 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51348B1 (ko) 발기 촉진 유지 및 전립선 건강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20150051597A (ko) 우엉추출물을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CN111280303A (zh) 一种护肤亮毛的天然犬粮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309486B1 (ko) 여주 및 뽕잎을 포함하는 당뇨병, 고혈압 예방 및 개선 작용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
CN110810693A (zh) 一种含有显齿蛇葡萄的饮料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7384680B (zh) 一种百香果龙眼果酒及其酿造方法
KR101028073B1 (ko) 혈액순환을 개선하여 신체 각 부위를 활성화 시키며 면역력을 증진시키는 작용 및 기전을 가진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150025545A (ko) 비타민나무 과즙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20070025342A (ko) 인슐린 분비 촉진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계란 및 그제조방법
Roy et al. Herbs Used In Peptic Ulcer: A Review.
KR102651344B1 (ko) 항염, 근육 증강, 관절 건강 및 연골 건강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651346B1 (ko) 식물성 멜라토닌 분비를 통한 스트레스 진정 및 수면 장애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50554B1 (ko)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53686B1 (ko) 디톡스 효과 및 해독 효과를 통한 붓기 완화용 식품 조성물
KR20200142768A (ko)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2653689B1 (ko) 방광염 및 요실금과 같은 방광의 배뇨기능을 개선하기 위한 식품 조성물
KR102601729B1 (ko) 남성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651338B1 (ko) 여성의 에스트로겐 정상화용 식품 조성물
KR102651337B1 (ko) 남성 호르몬 불균형 개선 및 혈행 이완 효과를 갖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여성형 유방 예방 또는 완화 가능한 식품 조성물
KR102651339B1 (ko) 유해활성산소를 제거함으로써 피지선 증식 억제를 통해 여드름 개선에 도움을 주는 식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