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1338B1 - 여성의 에스트로겐 정상화용 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여성의 에스트로겐 정상화용 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1338B1
KR102651338B1 KR1020230194347A KR20230194347A KR102651338B1 KR 102651338 B1 KR102651338 B1 KR 102651338B1 KR 1020230194347 A KR1020230194347 A KR 1020230194347A KR 20230194347 A KR20230194347 A KR 20230194347A KR 102651338 B1 KR102651338 B1 KR 102651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xtract
powde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94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균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상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상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상바이오
Priority to KR1020230194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13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3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30Physical treatment, e.g. electrical or magnetic means, wave energy or irradiation
    • A23L5/32Physical treatment, e.g. electrical or magnetic means, wave energy or irradiation using phonon wave energy, e.g. sound or ultrasonic w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8Fungi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1Polysaccharide
    • A23V2250/5114Dextrins, maltodextri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참당귀추출분말 4-6 중량부, 작약추출분말 4-6 중량부, 숙지황추출물 5-7 중량부, 강황추출물 8-10 중량부, 해안송 껍질추출물 19-21 중량부, 생강추출물 7-9 중량부, 대추추출분말 6-8 중량부, 민들레추출분말 5-7 중량부, 대두추출분말 4-6 중량부, 도라지추출분말 5-7 중량부, 천궁엑기스분말 6-8 중량부, 우엉농축분말 4-6 중량부, 유자과즙분말 5-7 중량부 및 덱스트린 4-6 중량부를 포함하는 여성의 에스트로겐 정상화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여성의 에스트로겐 정상화용 식품 조성물{Health food composition for women through normalization of estrogen}
본 발명은 여성의 에스트로겐 정상화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에스트로겐은 난소 내의 난포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서, 생식기를 발육시키고 그 기능을 나타내도록 하여 제 2차 성징을 발달시키며 자궁 발육·내막 증식, 젖샘 발육, 규칙적 월경 등을 촉진한다. 에스트로겐은 난소 이외에도 태반을 비롯하여 부신피질이나 정소로부터 소량 분비되는데, 에스트론, 에스트라디올 및 인체에서 볼 수 있는 에스트리올 등 3종류의 스테로이드가 알려져 있다.
에스트로겐의 주요 생리 작용은 유선, 자궁, 난소를 포함한 생식 조직의 성장, 분화 및 작용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에스트로겐은 자궁 내막, 자궁 근육, 질 및 요도 상피의 성장을 자극한다. 또한, 생식기의 혈관 흐름을 원활히 하고, 자궁선 분비를 증가시키며, 프로게스테론과 황체형성 호르몬 수용체의 발현을 유도한다. 에스트로겐은 여성 생식 기관과 제 2차 성징 발현 외에도, 골격 성장과 발달, 여성의 지방 분배, 지질 대사 등에 영향을 준다. 또한, 피부와 콜라겐 조직, 뉴런, 심혈관계 등에 작용한다.
여성의 경우 난소의 기능저하로 인해 에스트로겐 수준이 감소하게 되면, 체내 에스트로겐 수치 감소와 함께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는데, 대표적인 것으로 안면 홍조, 질 건조증이 있고, 수면 장애, 우울, 불안 등의 심리적 증상, 심혈관질환 및 골다공증 등의 만성질환 위험이 증가된다. 에스트로겐 수치가 감소하는 시기의 여성 50% 이상에서는 비뇨생식기 위축으로 인한 질 건조증, 가려움증 등의 증상을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에스트로겐 분비가 중단되는 시기의 여성 75%에서는 혈관운동 증상 중 특히 안면홍조를 대부분의 여성이 1-2년 내외로 경험하며, 10년 이상 증상이 지속되기도 한다. 또한, 점차 월경주기가 불규칙해지거나 출혈 양에도 변화가 오기 시작하며, 여러 가지 부정적인 신체적 변화를 경험하게 되고 에스트로겐의 분비가 중단되는 시기 이후부터는 골소실로 인한 골다공증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또한, 생리불순은 20-30 대에서 많이 나타나는 질환이며, 일반적으로 불규칙한 생리를 일컫는 용어이다. 과도한업무나 학업에서 오는 스트레스, 과로가 주된 원인으로, 비만과 지나친 다이어트로 호르몬의 균형이 깨지는 경우에도 발생하며, 더 나아가 불임 및 각종 부인병을 초래하기도 한다.
이러한 에스트로겐의 분비가 중단된 이후 문제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합성 에스트로겐을 포함한 호르몬 대체요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장기간의 추적연구에서 유방암, 정맥혈전색전증 뿐 아니라 관상동맥질환, 뇌졸중 등을 오히려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칼슘제제의 경우 필요 이상의 칼슘을 섭취할 경우 칼슘 배설의 증가로 인하여 요로결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요로결석의 병력이 있는 경우 주의를 요한다. 또한, 골 흡수 억제제로 사용하고 있는 대표적인 약물로 estrogen의 경우 관상동맥과 뇌졸중 등의 위험과 심혈관계에 대한 위험이 제기되고 있으며, Calcitonin의 경우 주사 혹은 비강분무를 하여야 한다는 점과 장기간 사용 시 내성이 생길 수 있으므로 몇 개월씩 휴식기간이 필요하다. 대표적인 치료제인 Bisphosphonate의 경우 위장관 증상으로 오심, 구토, 소화불량 등이 있을 수 있고 아미노-비스포스포네이트의 경우 식도염을 유발할 수 있어서 큰 컵으로 한 컵 이상의 맹물과 함께 복용하고 적어도 30분에서 1시간 이상 눕지 않도록 하는 것을 권장하는 등 복용에 주의를 요한다. 최근 개발되어 치료제로 널리 쓰이고 있는 Strontium의 경우 가장 흔한 부작용으로는 설사와 또한 일부 환자에서 정상 상한치의 2배가 넘는 creatinine kinase 수치가 관찰되고 있다. 따라서 여성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되는 에스트로겐의 감소 또는 중단으로 인한 증상을 완화시키고 만성질환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관리 방안의 제시가 필요시 되며, 이러한 합성호르몬 치료에 의한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천연물 유래의 에스트로겐의 감소 또는 중단으로 인한 장애 개선용 소재에 대한 개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등록특허 10-038204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스트로겐의 정상화에 도움을 줌으로써 생리불순, 여성발육, 질건강, 갱년기 등의 여성성에 도움을 주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천연원료에 함유된 플라보노이드 및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을 현격하게 증량하고, 채내흡수율을 향상시켜 에스트로겐 정상화 효과를 현저하게 향상시킨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참당귀추출분말 4-6 중량부, 작약추출분말 4-6 중량부, 숙지황추출물 5-7 중량부, 강황추출물 8-10 중량부, 해안송 껍질추출물 19-21 중량부, 생강추출물 7-9 중량부, 대추추출분말 6-8 중량부, 민들레추출분말 5-7 중량부, 대두추출분말 4-6 중량부, 도라지추출분말 5-7 중량부, 천궁엑기스분말 6-8 중량부, 우엉농축분말 4-6 중량부, 유자과즙분말 5-7 중량부 및 덱스트린 4-6 중량부를 포함하는 여성의 에스트로겐 정상화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흰목이버섯발효추출물, 달맞이꽃발효추출물 및 잣나무잎발효추출물이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복합 발효추출물 3-7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발효추출물은,
흰목이버섯, 달맞이꽃 및 잣나무잎을 세척하고,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는 단계; 동결건조한 흰목이버섯, 달맞이꽃 및 잣나무잎을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복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복합분말 48-52 중량부 및 인삼발효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바실러스 레펜스(Bacillus repen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30-34℃의 온도에서 5-7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88-92℃의 온도로 가열하고, 23-27℃의 온도로 식히는 단계; 식힌 후, β-글루코시다아제 0.3-0.7 중량부를 첨가하고, 32-36℃의 온도에서 10-14시간 동안 효소반응하는 단계; 효소반응 후, 정제수 48-52 중량부를 첨가하고, 98-10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인삼발효추출액은,
인삼 및 정제수를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3-7℃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침지 후,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를 첨가하고, 30-34℃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88-92℃의 온도로 가열하여 46-50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및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흰목이버섯발효추출물, 달맞이꽃발효추출물 및 잣나무잎발효추출물이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복합 발효추출물 및 비타민나무열매발효오일 및 잇꽃씨발효오일이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복합 발효오일을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 8-1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발효추출물은,
흰목이버섯, 달맞이꽃 및 잣나무잎을 세척하고,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는 단계; 동결건조한 흰목이버섯, 달맞이꽃 및 잣나무잎을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복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복합분말 48-52 중량부 및 인삼발효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바실러스 레펜스(Bacillus repen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30-34℃의 온도에서 5-7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88-92℃의 온도로 가열하고, 23-27℃의 온도로 식히는 단계; 식힌 후, β-글루코시다아제 0.3-0.7 중량부를 첨가하고, 32-36℃의 온도에서 10-14시간 동안 효소반응하는 단계; 효소반응 후, 정제수 48-52 중량부를 첨가하고, 98-10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인삼발효추출액은,
인삼 및 정제수를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3-7℃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침지 후,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를 첨가하고, 30-34℃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88-92℃의 온도로 가열하여 46-50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및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복합 발효오일은,
비타민나무열매 및 잇꽃씨를 세척하고, 118-122℃의 온도에서 8-12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 열처리한 비타민나무열매 및 잇꽃씨를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고, 분쇄하고,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분말 48-52 중량부 및 인삼발효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바실러스 레펜스(Bacillus repen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30-34℃의 온도에서 5-7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여과하여 고형분을 얻고, 상기 고형분 8-12 중량부 및 헥산 88-92 중량부를 혼합하고, 28-32℃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교반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고 감압농축한 후 원심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감압증류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복합 조성물은,
정제수 68-72 중량부 및 인지질 28-32 중량부를 혼합하고, 58-62℃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1차 초음파처리하는 단계;
1차 초음파처리 후, 상기 복합 발효오일 13-17 중량부를 첨가하고, 68-72℃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2차 초음파처리하는 단계; 및
2차 초음파처리 후, 상기 복합 발효추출물 28-32 중량부를 첨가하고, 53-57℃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3차 초음파처리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에스트로겐 정상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에 포함된 성분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총 아미노산의 함량이 현격하게 증량되고, 채내흡수율이 향상되어 에스트로겐 정상화 효과가 우수하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차, 2차,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본 발명은
참당귀추출분말 4-6 중량부, 작약추출분말 4-6 중량부, 숙지황추출물 5-7 중량부, 강황추출물 8-10 중량부, 해안송 껍질추출물 19-21 중량부, 생강추출물 7-9 중량부, 대추추출분말 6-8 중량부, 민들레추출분말 5-7 중량부, 대두추출분말 4-6 중량부, 도라지추출분말 5-7 중량부, 천궁엑기스분말 6-8 중량부, 우엉농축분말 4-6 중량부, 유자과즙분말 5-7 중량부 및 덱스트린 4-6 중량부를 포함하는 여성의 에스트로겐 정상화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여성의 에스트로겐 정상화용 식품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참당귀추출분말은 참당귀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참당귀는 미백효과, 자외선 차단효과,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등의 피부개선 효과가 나타난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데커신과 데커시놀안젤레이트는 중국 및 일본 당귀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성분이기에 해당 성분의 검출 및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상기 참당귀추출분말은 4-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5-5.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작약추출분말은 작약으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작약은 참작약 및 동속 근록식물의 뿌리로서 매우 중요한 생약 중 하나로서, 약용으로 쓰이는 작약은 페오니플로린, 아르비플로린, 안식향산, 탄닌 등의 성분이 있으며, 진통효과가 강하고, 복통, 신체수족의 동통 등에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작약추출분말은 4-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5-5.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숙지황추출물은 숙지황으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숙지황은 지황(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 var. purpurea Makino 또는 R. glutinosa Liboschitz)의 뿌리를 가공한 것으로, 혈액 결핍 및 이에 따른 간과 심장의 영양 부족의 치료를 위해 사용되고, 또한 간과 신장의 음을 강하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간과 심장의 영양 부족에 따라 등 통증, 어지럼증, 현기증, 이명, 청력감퇴, 주기적인 발열, 식은땀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숙지황은 충(중국어로는 jing, 영어로는 essence)을 보충하고, 뼈골을 채우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신장의 영양결핍에 따른 헛기침, 천명, 천식 등을 경감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숙지황추출물은 5-7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5-6.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강황추출물은 강황으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강황(Curcuma longa L.)의 주성분은 커큐민(curcumin), 디메톡시커큐민(demethoxycurcumin), 비스디메톡시커큐민(bisdemethoxycurcumin)과 같은 커큐미노이드(curcuminoid) 색소 성분과 ar-turmerone, curlone, α-turmerone, β-turmerone, bisacumol, zingiberene과 같은 휘발성 정유 성분 및 전분을 가지는 것을 알려져 있다. 상기 강황추출물은 8-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8.5-9.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해안송 껍질추출물은 피크노제놀이라고도 하며, 프랑스 남서부에 있는 보르도지방에 서식하는 해송(Pinus maritima) 껍질에서 추출한 물질이다. 보르도 대학 명예교수인 작 마스케리에 박사는 47년에 프랑스 해송껍질에서 폴리페놀의 일종인 OPC(Oligomeric Proantho Cyanidin)를 비롯하여 여러 종류의 기능성 성분을 발견, 추출하는데 성공했다. 피크노제놀의 주성분인 OPC는 소나무가 환경유독물질이나 기후상태에서 스스로를 지켜주는 항산화물질이다. 프랑스 해송은 비스케 해안의 모진 바람으로부터 스스로를 지키기 위해 강력한 항산화 물질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피크노제놀은 우수한 항산화작용(미국특허 제4,698,360호)과 혈관보호작용(미국특허 제5,720,956호)이 있는 소재로 인정받아 현재 미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건강식품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프랑스에서는 이미 68년에 혈관보호 약으로 승인을 받아 ‘플라반(Flavan)'이란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다. 상기 해안송 껍질추출물은 19-2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9.5-20.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생강추출물은 생강으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생강은 한방에서는 뿌리줄기 말린 것을 약재로 쓸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음식에서 잡내를 제거하거나, 특유의 향을 활용하기 위해 식재료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생강은 열을 내리고 소화불량을 완화하는데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항산화 효과, 주름 개선 효과 및 피부 탄력 효과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생강추출물은 7-9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5-8.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대추추출분말은 대추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대추(jujube, Zizyphus jujuba Mill.) 과실은 생식할 뿐 아니라 채취한 후 푹 말려 건과로서 과자, 요리 및 약용으로 쓰인다. 대추는 생활 속에서 가공하여 대추술, 대추차, 대추식초, 대추죽 등으로도 활용한다. 한방에서는 이뇨, 강장, 완화제(緩和劑)로 쓰인다. 상기 대추추출분말은 6-8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6.5-7.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민들레추출분말은 민들레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민들레(Taraxacumplatycarpum, 한방명: 포공영)는 국화과의 다년생초로 거의 세계 전 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민들레는 강인한 생명력을 지니고 있고, 손쉽게 구할 수 있기 때문에, 예로부터 잎과 뿌리 등을 식용으로 이용하였다. 또한, 민들레를 식용으로 이용하는 것 외에도, 한방에서는 개화 직전의 크고 곧은 뿌리를 말리고 달여서 위통제, 소화 촉진제 등으로서 이용하였다. 이외에도 민간요법에서는 민들레를 유종, 변비에 이용하였으며, 민들레의 흰즙은 사마귀 없애는 데 사용하였다. 상기 민들레추출분말은 5-7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5-6.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대두추출분말은 대두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대두(Glycine max Merr)의 생리활성 물질로는 콩단백질(protein), 올리고당(Oligosaccharide), 식이섬유(Dietary fiber), 이소플라본(Isoflavone), 사포닌(Saponin), 레시틴(Lecithin), 피틴탄(Phytic acid), 단백질분해효소 억제제(Trypsin inhibitor), 피니톨(Pinitol) 등이 보고되고 있다. 많은 수의 임상 연구들과 실험들에 의하여 이러한 성분들이 항암, 항산화, 항염증 및 중추신경계 억제 효과와 같은 신경보호효과와 같은 다양한 효능이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상기 대두추출분말은 4-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5-5.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도라지추출분말은 도라지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도라지(Platicodon grandiflorum A. DC.)는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높이는 40-100 cm 이며,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이다. 뿌리는 통통하고 줄기는 한 대 또는 여러 대가 뭉쳐난다. 7-8월에 흰색이나 하늘색 꽃이 피고 열매는 삭과(朔果)이다. 뿌리는 식용하거나 거담이나 진해의 약재로 쓴다. 도라지는 산이나 들에 저절로 나는데 재배하기도 하며,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도라지는 기침, 감기, 천식에 좋을 뿐 아니라 멜라닌 색소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를 희고 매끄럽게 만들어준다. 또한 노폐물을 배출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하며 항염작용으로 여드름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 상기 도라지추출분말은 5-7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5-6.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천궁엑기스분말은 천궁을 고온의 정제수에서 열수추출하고, 농축하여 농축액을 제조하고, 제조한 농축액을 동결건조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천궁은 진통, 진경작용과 평활근 이완작용이 있어서 장관의 경련이나 임신자궁의 수축경련을 억제시키고, 정유가 중추신경에 작용하여 대뇌의 활동을 억제함으로써 진정작용과 함께 카페인의 흥분작용에 길항작용을 한다. 상기 천궁엑기스분말은 6-8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6.5-7.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우엉(Arctium lappa)은 분류학적으로 쌍떡잎 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두해살이 식물로서, 원산지는 유럽이며, 시베리아, 만주, 한국 등에 널리 분포한다. 국내에서는 낙동강변을 중심으로 대량 재배되고 있으며, 특유의 향과 씹는 맛이 좋아 어린 순이나 잎을 삶아 먹거나 뿌리를 먹는 근채류이다. 통상 생으로 먹지 않고 소금에 절이거나, 식초에 데치거나, 또는 간장에 졸여 식용한다. 한방에서는 그 뿌리를 우방근, 열매를 우방자, 줄기를 악실경이라 부르며, 이눌린, 비타민 B1, 아세트산, 아르크티제닌, 베타-카로텐, 부티릭산, 커피산, 클로로겐산, 코스틱산, 이소바레익산, 로릭산, 리그닌, 미리스트산, 프로피오닉산, 시토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및 구리, 크롬, 망간, 인, 셀렌, 규소, 아연 등 다량의 미네랄을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우엉농축분말은 4-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5-5.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유좌과즙분말은 5-7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5-6.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흰목이버섯발효추출물, 달맞이꽃발효추출물 및 잣나무잎발효추출물이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복합 발효추출물 3-7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복합 발효추출물은,
흰목이버섯, 달맞이꽃 및 잣나무잎을 세척하고,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는 단계; 동결건조한 흰목이버섯, 달맞이꽃 및 잣나무잎을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복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복합분말 48-52 중량부 및 인삼발효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바실러스 레펜스(Bacillus repen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30-34℃의 온도에서 5-7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88-92℃의 온도로 가열하고, 23-27℃의 온도로 식히는 단계; 식힌 후, β-글루코시다아제 0.3-0.7 중량부를 첨가하고, 32-36℃의 온도에서 10-14시간 동안 효소반응하는 단계; 효소반응 후, 정제수 48-52 중량부를 첨가하고, 98-10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흰목이버섯(Tremella fuciformis Berk.)은 담자균문 흰목이과에 속하는 식물로 한국, 중국, 일본, 대만, 열대지방에 분포한다. 자체 중량의 500배에 이르는 수분을 함유할 수 흰목이버섯은 적은양으로도 포만감을 주어 다이어트에도 효과가 탁월하며 기미, 주근깨, 피부노화 개선에 좋은 콜라겐과 베타글루칸, 폴리사카라이드 등이 함유되어 있어 피부미용에도 좋다. 특히 칼슘의 흡수 효율을 높여주어 골다공증 예방에 큰 도움을 주는 비타민 D가 식품 중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칼슘을 비롯한 철분 등 무기질도 다량 함유되어 있다.
달맞이꽃(Oenothera odorata Jacq.)는 굵고 곧은 뿌리에서 1개 또는 여러 개의 줄기가 나와 곧게 서며 높이가 50∼90cm이다. 전체에 짧은 털이 난다. 잎은 어긋나고 줄 모양의 바소꼴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얕은 톱니가 나 있다. 주요성분으로 꽃에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함유하고 있음이 알려져 있다.
잣나무는 주요한 산림자원으로 여겨지고 있으나, 열매인 잣과 목재 이외에는 별도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잣나무잎은 잎 표면의 왁스 층이 두터울 뿐만 아니라, 떫은 맛이 강하여 거의 활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잣나무잎은 한방에서는 백엽(柏葉)이라 하는데, 0.25~0.41%의 정유, 350mg%의 플라보노이드, 260~360mg%의 아스코르빈산이 함유되어 있어, 소화기를 강화시켜 준다고 알려져 있다. 민간요법으로는 싱싱한 잣잎을 골라 물로 세척한 다음, 수분을 제거하고, 이를 차관에 넣고 물을 부어 은근하게 끓인 백엽차를 어린이의 설사 및 이질의 치료에 사용하여 왔다. 이처럼 민간요법으로 사용되는 백엽차의 기호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잣나무잎과 설탕을 용해시킨 액을 항아리에 첨가하여 서늘한 장소에서 숙성시켜 수득한 당액을 물로 희석하여 사용하기도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흰목이버섯, 달맞이꽃, 잣나무잎으로부터 추출한 복합 발효추출물을 여성의 에스트로겐 정상화용 식품 조성물에 적용하고자 하며, 특히, 상기 복합 발효추출물은 인삼발효추출액을 이용한 발효기술을 통해 플라보노이드 및 아미노산의 함량이 현격하게 증량시켜 추출하여 적용함으로써 기능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발효추출물은 필수 아미노산 성분을 증량시켜 추출한 것으로, 상기 필수 아미노산(essential amino acid, EAA)은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거나 합성되더라도 그 양이 매우 적어 생리기능을 달성하기에 충분하지 않아서 반드시 음식에서 섭취해야만 하는 아미노산을 말한다. 상기 필수 아미노산은 이소루신(isoleucine, I), 류신(leucine, L), 리신(lysine, K), 메티오닌(methionine, M),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F), 트레오닌(threonine, T), 트립토판(tryptophan, W), 발린(valine, V), 히스티딘(histidine, H) 및 아르지닌(arginine, R)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아미노산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인삼발효추출액은,
인삼 및 정제수를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3-7℃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침지 후,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를 첨가하고, 30-34℃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88-92℃의 온도로 가열하여 46-50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및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흰목이버섯발효추출물, 달맞이꽃발효추출물 및 잣나무잎발효추출물이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복합 발효추출물 및 비타민나무열매발효오일 및 잇꽃씨발효오일이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복합 발효오일을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 8-1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1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복합 발효오일은,
비타민나무열매 및 잇꽃씨를 세척하고, 118-122℃의 온도에서 8-12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 열처리한 비타민나무열매 및 잇꽃씨를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고, 분쇄하고,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분말 48-52 중량부 및 인삼발효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바실러스 레펜스(Bacillus repen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30-34℃의 온도에서 5-7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여과하여 고형분을 얻고, 상기 고형분 8-12 중량부 및 헥산 88-92 중량부를 혼합하고, 28-32℃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교반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고 감압농축한 후 원심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감압증류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비타민나무(Hippophae rhamnoides L.)는 중국, 몽골 등이 원산지인 보리수나무과 Elaeagnaceae의 관목성 목본으로 유럽과 중앙아시아에서 폭넓게 자생하고 있으며, 척박한 토양에서 생육이 가능하고 질소고정 능력이 뛰어나서 토양 유실방지와 토양 개간 목적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비타민나무는 열매에는 비타민과 아미노산의 함량이 매우 높고, 면역, 항염, 항산화 등의 생리활성도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globulins, albumins과 같은 단백질과 linoleic acids, linolenic acids와 같은 지방산의 함량이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폴리페놀류, 토코페롤, 카로테노이드, 플라보노이드 등의 항산화성 생리활성물질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잇꽃(Carthamus Tinctorius)은 홍화라고도 불리는데, 붉은색 연지의 원재료로 사용하기도 한다. 홍화는 국화과에 속하는 일년생 풀인 잇꽃의 꽃으로 혈의 순환을 돕고 예로부터 여성에게 좋은 꽃으로 알려져 있는 꽃이다. 특히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홍화 씨에는 비타민 E가 풍부하여 항산화 효능이 있어서, 항노화 등의 다양한 작용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이외에도 플라보노이드, 글리코시드, 알칼로이드, 폴리아세틸린 글리코시드 및 기타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비타민나무열매 및 잇꽃씨로부터 추출한 복합 발효오일을 여성의 에스트로겐 정상화용 식품 조성물에 적용하고자 하며, 상기 복합 발효오일을 적용함으로써 더욱 우수한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조성물은,
정제수 68-72 중량부 및 인지질 28-32 중량부를 혼합하고, 58-62℃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1차 초음파처리하는 단계;
1차 초음파처리 후, 상기 복합 발효오일 13-17 중량부를 첨가하고, 68-72℃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2차 초음파처리하는 단계; 및
2차 초음파처리 후, 상기 복합 발효추출물 28-32 중량부를 첨가하고, 53-57℃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3차 초음파처리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상기 인지질은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이노시톨, 리소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산, 포스파티딜 세럼, 포스파티딜 글리세롤 및 포스파티딜 이노시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을 사용한다.
상기 복합 발효추출물과 상기 복합 발효오일을 이용하여 복합화한 복합 조성물을 에스트로겐 정상화 식품 조성물에 적용하며, 상기 복합 조성물은 플라보노이드 및 아미노산의 함량이 현격하게 증량하여 추출한 복합 발효추출물과 복합화된 복합 발효오일을 포함하고, 유효성분의 흡수성이 우수하여 기능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복합 발효추출물의 제조-1
인삼 및 정제수를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5℃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침지한 후,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를 첨가하고, 32℃의 온도에서 3일 동안 발효하였다. 발효 후, 90℃의 온도로 가열하여 48시간 동안 끓이고,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어 인삼발효추출액을 제조하였다
흰목이버섯, 달맞이꽃 및 잣나무잎을 세척하고, 영하 50℃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고,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복합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복합분말 50 중량부 및 상기 인삼발효추출액 50 중량부를 혼합하고, 바실러스 레펜스(Bacillus repen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균주 1 중량부를 첨가한 후 32℃의 온도에서 6일 동안 발효하였다. 발효 후, 90℃의 온도로 가열하여 발효를 멈추고, 25℃의 온도로 식혔다. 식힌 후, β-글루코시다아제 0.5 중량부를 첨가하고, 34℃의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효소반응하고, 정제수 50 중량부를 추가하고, 100℃의 온도에서 6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복합 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복합 발효추출물의 제조-2
상기 제조예 1에서 인삼발효추출액을 사용하지 않고 정제수를 사용하며, 효소반응을 수행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복합 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복합 발효추출물의 제조-3
상기 제조예 1에서 효소반응을 수행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복합 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복합 발효오일의 제조
비타민나무열매 및 잇꽃씨를 세척하고, 120℃의 온도에서 10분 동안 열처리한 후, 영하 50℃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고, 분쇄하고,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분말 50 중량부 및 상기 인삼발효추출액 50 중량부를 혼합하고, 바실러스 레펜스(Bacillus repen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균주 1 중량부를 첨가한 후 32℃의 온도에서 6일 동안 발효하였다. 발효 후, 여과하여 고형분을 얻고, 상기 고형분 10 중량부 및 헥산 90 중량부를 혼합하고, 30℃의 온도에서 3일 동안 교반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고 감압농축한 후 원심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감압증류하여 복합 발효오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 복합 조성물의 제조
정제수 70 중량부 및 인지질로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30 중량부를 혼합하고, 60℃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1차 초음파처리하였다. 1차 초음파처리 후, 상기 제조예 4에서 제조한 복합 발효오일을 15 중량부 첨가하고, 70℃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2차 초음파처리하였다. 2차 초음파처리 후,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복합 발효추출물 30 중량부를 첨가하고, 55℃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3차 초음파처리하여 복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식품 조성물의 제조-1
참당귀추출분말 5 중량부, 작약추출분말 5 중량부, 숙지황추출물 6 중량부, 강황추출물 9 중량부, 해안송 껍질추출물 20 중량부, 생강추출물 8 중량부, 대추추출분말 7 중량부, 민들레추출분말 6 중량부, 대두추출분말 5 중량부, 도라지추출분말 6 중량부, 천궁엑기스분말 7 중량부, 우엉농축분말 5 중량부, 유자과즙분말 6 중량부 및 덱스트린 5 중량부를 혼합하여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식품 조성물의 제조-2
상기 실시예 1의 식품 조성물에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복합 발효추출물을 5 중량부 추가하여 혼합함으로써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식품 조성물의 제조-3
상기 실시예 1의 식품 조성물에 상기 제조예 4에서 제조한 복합 조성물을 10 중량부 추가하여 혼합함으로써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성분 분석
상기 제조예 1-3에서 제조한 복합 발효추출물의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 분석 및 아미노산 분석기(Amino acid analyzer biochrom 30, Biochrom, UK)를 이용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 아미노산 함량 및 필수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mg/g)
총 아미노산 함량
(mg/g)
필수아미노산 함량
(mg/kg)
제조예 1 52.35 14321.47 5013.57
제조예 2 26.37 7430.46 2236.41
제조예 3 40.17 11231.57 3841.37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발효추출물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 아미노산 함량 및 필수아미노산 함량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항산화 기능성 분석
상기 제조예 1-3에서 제조한 복합 발효추출물을 시료로 하여 항산화력을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라디칼 소거 활성으로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Mensor 등의 방법을 참고하였다. 80㎕의 0.2mM DPPH 에탄올 용액을 각 시료에 20㎕ 가한 후 1분간 교반한 후 25℃ 인큐베이터에서 10분간 반응시켜 ELISA reader를 사용하여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하기 계산식 1에 따라 백분율로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계산식 1>
시료명 항산화효과 (DPPH소거 활성율,%)
제조예 1 55.6
제조예 2 49.3
제조예 3 52.1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의 수치가 높다는 것은 항산화 효과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표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발효추출물은 높은 DPPH 라디칼 소거활성 수치값이 측정되었으며, 우수한 항산화 기능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에스트로겐 활성 증가 효과 분석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식품 조성물에 대하여 에스트로겐 정상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무-페놀 레드 DMEM에 5% 차콜-덱스트란 처리된 FBS (dextran-coated charcoal-stripped FBS, TCB, USA),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을 희석하여 만든 무-에스트로겐 (estrogen-free) 배양액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 24시간 전에, MCF-7 세포 플레이트를 무-에스트로겐 배양액으로 교체하여 배양한 후 해당 MCF-7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5×103 세포/웰 농도로 분주하여 5% CO2, 37℃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동안 전배양한 후 시료를 처리하였다. 시료의 최종 DMSO 농도는 0.1%가 되도록 처리하였고, 양성대조군은 에스트라디올을 사용하였다. 시료 처리 후 120시간 반응시킨 후에 MTT 시약을 이용하여 세포생존률을 측정하였다. 각각의 웰에 MTT 시약 30 ㎕을 처리하고, 5% CO2, 37℃ 인큐베이터에서 2시간 30분을 반응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하여 570 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다음 상대적 세포 증식율로 환산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료명 MCF-7 세포 증식율(%)
대조군 100
양성대조군(에스트라디올) 141.7
실시예 1 123.1
실시예 2 130.5
실시예 3 137.4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을 적용하는 경우 MCF-7 세포의 증식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에스트로겐 수용체를 활성화시킨 것에 기인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에스트로겐 정상화 효과 분석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식품 조성물에 대하여 에스트로겐 정상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물 모델로 난소 절제모델을 사용하였다. 생후 10주령의 260-280g 암컷 Sprague-Dawley Rat를 구입하여 1주간 순화과정을 거쳤다. 체중 및 체온을 동일한 시간에 측정하였으며 동물실험실의 환경조건은 온도 25±2℃, 상대습도 55±15%, 환기 횟수 10-20회/h, 조명시간 12시간 및 조도 150-300 Lux를 유지하였다. 이후, 4주간 대상물질을 경구투여하며 일반식이와 물을 이용해 사육하였다. 실험동물에서 폐경기를 유도하기 위해, 마취 후 난소절제술을 수행하였다. 마우스의 등쪽에서 난소 위치 부분을 양쪽으로 약 1 cm 씩 절개하여 내, 외피와 근육을 절제하고, 나팔관 끝 부분에 있는 난소를 제거하였다. 절개한 부위는 마우스 수술용 실과 바늘을 이용하여 봉합하였으며, 약 5일 간의 회복시간을 거쳤다.
쥐들을 6개의 군으로 나누었으며, 난소를 절제하지 않고 절개만 한 후 다시 봉합한 정상군과 난소를 절제한 군(대조군), 난소절제 후 17 β-에스트라디올(β-estradiol)을 투여한 양성대조군(에스트라디올), 난소절제 후 실시예 1의 조성물 100 mg/kg 투여군(실험군 1), 실시예 2의 조성물 100 mg/kg 투여군(실험군 2), 실시예 3의 조성물 100 mg/kg 투여군(실험군 3)으로 나누고, 주 5회 각 물질을 존데를 이용하여 일정한 시간에 4주동안 경구투여하였다. 실험동물의 체중과 체온은 주 1회 동일한 시간에 측정하였으며, 같은 시간에 질 상피세포를 채집하였다. 동물실험실의 환경조건은 온도, 습도가 일정하게 관리되고 12시간마다 점등과 소등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시스템을 사용하였다.
1. 에스트로겐 수용체 발현 증가 효과
동물 모델로부터 분리한 대퇴부 근육조직의 무게를 측정한 후 뉴클레오졸(Nucleozol)을 이용하여 RNA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RNA의 양은 나노드랍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remix ReverTra Ace qPCR RT master로 역전사하여 cDNA를 합성한 후, 각 유전자의 서열 특이적 프라이머와 SYBR Green을 사용하여 real-time PCR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GAPDH 유전자를 대조군으로 한 대상 유전자의 상대 정량법을 이용하여 각 mRNA의 발현량을 분석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mRNA 상대적 발현량
ER α ER β
정상군 1.00 1.00
대조군 0.69 0.52
양성대조군(에스트라디올) 0.96 1.57
실험군 1(실시예 1) 0.87 1.23
실험군 2(실시예 2) 0.92 1.38
실험군 3(실시예 3) 0.95 1.42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을 적용하는 경우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발현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악력 감소 개선 효과
동물 모델에 미치는 근력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동물모델의 근력(악력)은 Grip strength meter (animal grip strength system, San Diego, USA, MAI 125-01)를 이용하여 랫드의 앞발가락으로 bar를 잡게한 후 꼬리 기시부위를 잡고 몸체를 수평으로 유지하여 일정속도로 당겨 bar를 놓는 시점에 게이지에 나타나는 수치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시료명 악력(g)
정상군 701.36
대조군 548.51
양성대조군(에스트라디올) 673.61
실험군 1(실시예 1) 635.37
실험군 2(실시예 2) 668.58
실험군 3(실시예 3) 674.35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을 적용하는 경우 악력 감소가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3)

  1. 참당귀추출분말 4-6 중량부, 작약추출분말 4-6 중량부, 숙지황추출물 5-7 중량부, 강황추출물 8-10 중량부, 해안송 껍질추출물 19-21 중량부, 생강추출물 7-9 중량부, 대추추출분말 6-8 중량부, 민들레추출분말 5-7 중량부, 대두추출분말 4-6 중량부, 도라지추출분말 5-7 중량부, 천궁엑기스분말 6-8 중량부, 우엉농축분말 4-6 중량부, 유자과즙분말 5-7 중량부, 복합 발효추출물 3-7 중량부 및 덱스트린 4-6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발효추출물은,
    흰목이버섯, 달맞이꽃 및 잣나무잎을 세척하고,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는 단계; 동결건조한 흰목이버섯, 달맞이꽃 및 잣나무잎을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복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복합분말 48-52 중량부 및 인삼발효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바실러스 레펜스(Bacillus repen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30-34℃의 온도에서 5-7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88-92℃의 온도로 가열하고, 23-27℃의 온도로 식히는 단계; 식힌 후, β-글루코시다아제 0.3-0.7 중량부를 첨가하고, 32-36℃의 온도에서 10-14시간 동안 효소반응하는 단계; 효소반응 후, 정제수 48-52 중량부를 첨가하고, 98-10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인삼발효추출액은,
    인삼 및 정제수를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3-7℃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침지 후,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를 첨가하고, 30-34℃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88-92℃의 온도로 가열하여 46-50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및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의 에스트로겐 정상화용 식품 조성물.
  2. 삭제
  3. 삭제
KR1020230194347A 2023-12-28 2023-12-28 여성의 에스트로겐 정상화용 식품 조성물 KR102651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94347A KR102651338B1 (ko) 2023-12-28 2023-12-28 여성의 에스트로겐 정상화용 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94347A KR102651338B1 (ko) 2023-12-28 2023-12-28 여성의 에스트로겐 정상화용 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1338B1 true KR102651338B1 (ko) 2024-03-26

Family

ID=90472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94347A KR102651338B1 (ko) 2023-12-28 2023-12-28 여성의 에스트로겐 정상화용 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133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040B1 (en) 2002-08-06 2003-04-26 Naturalendo Tech Co Ltd Composition for stimulating estrogen secretion and regenerating female reproductive tissue cells
JP2008106023A (ja) * 2006-10-27 2008-05-08 Oriza Yuka Kk エストラジオール生成促進剤
KR20120136269A (ko) * 2011-06-08 2012-12-18 (주) 앤디 천연약초를 이용한 아로마 에센스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040B1 (en) 2002-08-06 2003-04-26 Naturalendo Tech Co Ltd Composition for stimulating estrogen secretion and regenerating female reproductive tissue cells
JP2008106023A (ja) * 2006-10-27 2008-05-08 Oriza Yuka Kk エストラジオール生成促進剤
KR20120136269A (ko) * 2011-06-08 2012-12-18 (주) 앤디 천연약초를 이용한 아로마 에센스 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에 게재된 ‘백하수오 여성갱년기영양제 백하수옥’(2022.07.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4532B1 (ko) 백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00059521A1 (en) Phytoestrogen supplements
KR101855821B1 (ko)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 및 혈액순환 증진을 위한 건강식품 조성물
KR101915031B1 (ko) 석류 과실과 칡뿌리 추출물을 이용한 여성 갱년기 개선용 기능성 더치커피의 제조방법
KR101515915B1 (ko) 갱년기 장애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식물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36090B1 (ko)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항산화 및 피부항염증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Rehman et al. Commercial importance, medicinal value and therapeutic potentials of chaff flower (achyranthes aspera)–a review
KR100747415B1 (ko)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추출혼합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Subba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n common plants with remarkable medicinal properties: Urtica dioica
KR102651338B1 (ko) 여성의 에스트로겐 정상화용 식품 조성물
KR101028073B1 (ko) 혈액순환을 개선하여 신체 각 부위를 활성화 시키며 면역력을 증진시키는 작용 및 기전을 가진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200107444A (ko)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Roy et al. Herbs Used In Peptic Ulcer: A Review.
Shukla et al. Extraction and wound healing potential of Nerium Indicum M, Artocarpus Heterophyllus Lam, Murraya Koenigii L, Punica Granatum L on albino rats using burn wound model
KR101375347B1 (ko) 홍삼약초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음료
KR102164421B1 (ko) 고소애를 포함하는 뼈 성장 및 근섬유 재생 효과를 갖는 한약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24186A (ko)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653689B1 (ko) 방광염 및 요실금과 같은 방광의 배뇨기능을 개선하기 위한 식품 조성물
KR102651339B1 (ko) 유해활성산소를 제거함으로써 피지선 증식 억제를 통해 여드름 개선에 도움을 주는 식품 조성물
KR20200140166A (ko) 옻이 함유된 잡화꿀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51348B1 (ko) 발기 촉진 유지 및 전립선 건강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520686B1 (ko) 천마를 주성분으로 하는 건강음료
KR102651335B1 (ko) 월경 곤란증 및 월경전 불쾌장애 완화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651344B1 (ko) 항염, 근육 증강, 관절 건강 및 연골 건강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501508B1 (ko) 생약 식물 추출물을 활용한 음료 또는 주류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