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1344B1 - 항염, 근육 증강, 관절 건강 및 연골 건강 개선용 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염, 근육 증강, 관절 건강 및 연골 건강 개선용 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1344B1
KR102651344B1 KR1020230187504A KR20230187504A KR102651344B1 KR 102651344 B1 KR102651344 B1 KR 102651344B1 KR 1020230187504 A KR1020230187504 A KR 1020230187504A KR 20230187504 A KR20230187504 A KR 20230187504A KR 102651344 B1 KR102651344 B1 KR 102651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xtract
powde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87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균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상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상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상바이오
Priority to KR1020230187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13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3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30Physical treatment, e.g. electrical or magnetic means, wave energy or irradiation
    • A23L5/32Physical treatment, e.g. electrical or magnetic means, wave energy or irradiation using phonon wave energy, e.g. sound or ultrasonic w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regeneration or building of ligaments o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04Alan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26Isoleuc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28Leuc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연골추출분말 1-3 중량부, 상어연골추출분말 5-7 중량부, 작약추출분말 4-6 중량부, 보스웰리아추출분말 3-5 중량부, 구절초추출분말 10-12 중량부, 버드나무껍질추출분말 1-3 중량부, 포도씨추출물 3-5 중량부, 호로파씨추출분말 1-3 중량부, 감초농축분말 4-6 중량부, 동결건조녹색입홍합분말 2-4 중량부, 마카분말 2-4 중량부, L-페닐알라닌 12-14 중량부, L-류신 7-9 중량부, L-이소루신 14-16 중량부, L-발린 11-13 중량부, 비타민B6염산염 0.8-1.2 중량부 및 덱스트린 3-5 중량부를 포함하는 항염, 근육 증강, 관절 건강 및 연골 건강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항염, 근육 증강, 관절 건강 및 연골 건강 개선용 식품 조성물{Food composition for anti-inflammatory, muscle building, joint health and cartilage health improvement}
본 발명은 항염, 근육 증강, 관절 건강 및 연골 건강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리 몸의 근육은 뼈에 붙어 뼈를 보호하고 체형을 바르게 유지시켜 주는 등의 여러 가지 기능을 한다. 또한, 근육은 칼슘 유입을 촉진시켜 골 밀도를 높여 주기도 한다. 그러나 신체는 노화하면서 구성성분의 변화로 인해 체지방과 체단백질의 재분포가 일어나며, 사람의 근육은 40세 이후부터 점진적으로 감소하며, 80세가 되면 최대 근육량의 50% 수준이 감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노년의 근육 감소는 전반적인 신체기능을 떨어뜨리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고, 노화가 진행될수록 근육과 지방의 함량, 골격 왜곡 등 체형이 변화되는 것을 인지하게 되는데, 노년기 근감소에 의한 비만 유병률은 전 세계적으로 30% 이상 수준에서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인슐린 분비 이상인 경우 세포에 에너지를 제대로 공급하지 못해 근육발달 장애를 일으킬 수 있어, 일반인보다 당뇨병 환자에게 근감소증이 증가한다.
근육의 감소는 관절염, 허리통증, 만성통증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며, 복부비만에 의한 요실금 증세도 악화시킬 수 있고, 골절에 의한 부상은 노년의 우울증을 증가시켜 사망에 이를 수도 있기 때문에 노년기의 근감소는 정신건강을 해칠 뿐만 아니라, 노인성 만성질환으로 연계되어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주요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은 질환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근력강화, 근육증강, 근육재생, 근감소 또는 근피로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는 신체 활동력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인체에서 관절은 두 개의 뼈가 연결된 부분으로 관절 연골로 둘러싸여 있다. 뼈는 칼슘과 인이 석회화된 단단한 조직으로 몸을 지탱하고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관절 연골이 손실되지 않고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여 관절을 부드럽게 움직이며, 정상적인 뼈의 분해와 재형성이 일어나는 것을 건강한 관절/뼈라고 할 수 있다.
인체의 뼈는 매일 조금씩 분해되고, 분해된 양만큼 새로운 뼈로 채워짐으로써 항상성을 유지하는 매우 역동적인 기관이다. 뼈를 분해하는 파골세포 (Osteoclast)와 뼈를 재생하는 조골세포(Osteoblast)는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RANKL(Receptor Activator of NF-κB Ligand)는 염증 전구 단백질이며 파골세포 표면 수용체 단백질이다. 뼈를 흡수하는 파골세포의 활성이 증가하게 되면, 뼈의 분해가 촉진, 뼈가 얇아지고 쉽게 부러지는 골다공증과 같은 질병이 일어나게 되며, 조골세포의 활성이 증가하게 되면, 골밀도의 증가로 뼈의 기형이나 골석화증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파골세포 분화와 활성의 증가는 치주염, 골다공증, 관절염 등과 같은 뼈의 파괴를 가져오게 된다.
그렇지만 현대인은 칼슘과 단백질의 부족, 호르몬의 불균형, 신체 활동량의 감소, 가공식품의 잦은 섭취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무리가 가해져 관절/뼈의 건강을 해칠 수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등록특허 10-257764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퇴화된 근육의 단백질 보충을 통해 손실된 근육 생성과 염증과 통증을 완화시켜주며, 관절과 연골 건강에 도움을 주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천연원료에 함유된 플라보노이드 및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을 현격하게 증량하고, 채내흡수율을 향상시켜 항염, 근육 증강, 관절 건강 기능성 및 연골 건강 기능성 등의 작용 효과를 현저하게 향상시킨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연골추출분말 1-3 중량부, 상어연골추출분말 5-7 중량부, 작약추출분말 4-6 중량부, 보스웰리아추출분말 3-5 중량부, 구절초추출분말 10-12 중량부, 버드나무껍질추출분말 1-3 중량부, 포도씨추출물 3-5 중량부, 호로파씨추출분말 1-3 중량부, 감초농축분말 4-6 중량부, 동결건조녹색입홍합분말 2-4 중량부, 마카분말 2-4 중량부, L-페닐알라닌 12-14 중량부, L-류신 7-9 중량부, L-이소류신 14-16 중량부, L-발린 11-13 중량부, 비타민B6염산염 0.8-1.2 중량부 및 덱스트린 3-5 중량부를 포함하는 항염, 근육 증강, 관절 건강 및 연골 건강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목이버섯발효추출물, 마조람발효추출물 및 하이페리쿰잎발효추출물이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복합 발효추출물 3-7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발효추출물은,
목이버섯, 마조람 및 하이페리쿰잎을 세척하고,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는 단계; 동결건조한 목이버섯, 마조람 및 하이페리쿰잎을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복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복합분말 48-52 중량부 및 인삼발효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바실러스 레펜스(Bacillus repen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30-34℃의 온도에서 5-7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88-92℃의 온도로 가열하고, 23-27℃의 온도로 식히는 단계; 식힌 후, β-글루코시다아제 0.3-0.7 중량부를 첨가하고, 32-36℃의 온도에서 10-14시간 동안 효소반응하는 단계; 효소반응 후, 정제수 48-52 중량부를 첨가하고, 98-10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인삼발효추출액은,
인삼 및 정제수를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3-7℃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침지 후,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를 첨가하고, 30-34℃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88-92℃의 온도로 가열하여 46-50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및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목이버섯발효추출물, 마조람발효추출물 및 하이페리쿰잎발효추출물이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복합 발효추출물 및 비타민나무열매발효오일 및 잇꽃씨발효오일이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복합 발효오일을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 8-1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발효추출물은,
목이버섯, 마조람 및 하이페리쿰잎을 세척하고,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는 단계; 동결건조한 목이버섯, 마조람 및 하이페리쿰잎을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복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복합분말 48-52 중량부 및 인삼발효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바실러스 레펜스(Bacillus repen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30-34℃의 온도에서 5-7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88-92℃의 온도로 가열하고, 23-27℃의 온도로 식히는 단계; 식힌 후, β-글루코시다아제 0.3-0.7 중량부를 첨가하고, 32-36℃의 온도에서 10-14시간 동안 효소반응하는 단계; 효소반응 후, 정제수 48-52 중량부를 첨가하고, 98-10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인삼발효추출액은,
인삼 및 정제수를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3-7℃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침지 후,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를 첨가하고, 30-34℃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88-92℃의 온도로 가열하여 46-50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및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복합 발효오일은,
비타민나무열매 및 잇꽃씨를 세척하고, 118-122℃의 온도에서 8-12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 열처리한 비타민나무열매 및 잇꽃씨를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고, 분쇄하고,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분말 48-52 중량부 및 인삼발효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바실러스 레펜스(Bacillus repen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30-34℃의 온도에서 5-7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여과하여 고형분을 얻고, 상기 고형분 8-12 중량부 및 헥산 88-92 중량부를 혼합하고, 28-32℃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교반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고 감압농축한 후 원심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감압증류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복합 조성물은,
정제수 68-72 중량부 및 인지질 28-32 중량부를 혼합하고, 58-62℃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1차 초음파처리하는 단계;
1차 초음파처리 후, 상기 복합 발효오일 13-17 중량부를 첨가하고, 68-72℃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2차 초음파처리하는 단계; 및
2차 초음파처리 후, 상기 복합 발효추출물 28-32 중량부를 첨가하고, 53-57℃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3차 초음파처리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퇴화된 근육의 단백질 보충을 통해 손실된 근육 생성과 염증과 통증을 완화시켜주며, 관절과 연골 건강에 도움을 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에 포함된 성분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총 아미노산의 함량이 현격하게 증량되고, 채내흡수율이 향상되어 항염, 근육 증강, 관절 건강 기능성 및 연골 건강 기능성 등의 작용 효과가 우수하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차, 2차,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본 발명은
소연골추출분말 1-3 중량부, 상어연골추출분말 5-7 중량부, 작약추출분말 4-6 중량부, 보스웰리아추출분말 3-5 중량부, 구절초추출분말 10-12 중량부, 버드나무껍질추출분말 1-3 중량부, 포도씨추출물 3-5 중량부, 호로파씨추출분말 1-3 중량부, 감초농축분말 4-6 중량부, 동결건조녹색입홍합분말 2-4 중량부, 마카분말 2-4 중량부, L-페닐알라닌 12-14 중량부, L-류신 7-9 중량부, L-이소류신 14-16 중량부, L-발린 11-13 중량부, 비타민B6염산염 0.8-1.2 중량부 및 덱스트린 3-5 중량부를 포함하는 항염, 근육 증강, 관절 건강 및 연골 건강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항염, 근육 증강, 관절 건강 및 연골 건강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소연골추출분말 또는 상어연골추출분말은 소연골 또는 상어연골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소연골 또는 상어연골 내에는 뮤코다당, 단백과 콘드로이친 황산을 함유하고 있다. 뮤코다당은 소, 돼지, 양, 사슴, 말, 토끼, 당나귀, 상어, 가금류, 오징어, 게, 어패류의 연골 조직에서 추출 후 효소분해 또는 농축 정제 건조의 과정을 거치는데 뮤코다당은 아미노당을 함유하는 총칭으로, 생체 내의 단백질과 결합하여 단백을 형성 하며 주로 결합조직에 존재함으로써, 연골에 섭취가 반영 되어 기능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된 바 있다. 상기 소연골추출분말 또는 상어연골추출분말은, 소연골 또는 상어연골을 세척하고, 128-132℃의 온도에서 34-38시간 동안 열풍건조하는 단계; 열풍건조한 소연골 또는 상어연골을 분쇄하고, 정제수 침지하되, 상기 소연골 또는 상어연골 100 중량부에 대하여 600-700 중량부의 정제수에 침지하는 단계; 침지 후, 단백질 분해효소를 1-5 중량부 첨가하여 단백질 가수분해 처리하는 단계; 및 단백질 가수분해 처리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고, 여과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상기 소연골추출분말은 1-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2.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상어연골추출분말은 5-7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5-6.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작약추출분말은 작약으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작약은 참작약 및 동속 근록식물의 뿌리로서 매우 중요한 생약 중 하나로서, 약용으로 쓰이는 작약은 페오니플로린, 아르비플로린, 안식향산, 탄닌 등의 성분이 있으며, 진통효과가 강하고, 복통, 신체수족의 동통 등에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작약추출분말은 4-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5-5.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보스웰리아추출분말은 보스웰리아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보스웰리아는 인도전통 아유르베다 의학서에 만성염증 및 관절염, 소염, 타박성, 호흡기 질환 및 설사 등에 사용하였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높은 소염 진통 효과로 진통 및 염증 치료에 지속적으로 사용되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보스웰리아추출분말은 3-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5-4.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구절초추출분말은 구절초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구절초(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Kitamura)는 국화과에 속하며 우리나라 전역에 야생하고 있으며 동속으로는 바위구절초, 산구절초, 포천구절초, 및 서홍 구절초 등이 있다. 민간에서는 주로 부인병의 냉증, 월경통, 월경불순 등에 치료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용되어져 왔다. 상기 구절초추출분말은 10-1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5-1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버드나무껍질추출분말은 버드나무껍질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버드나무는 버드나무과(Salicaceae) 버드나무속(Salix)에 속하는 관목 및 교목으로서 대부분 북온대지방이 원산지이며, 낙엽교목으로서 10-15㎝ 정도에 달하며, 가지는 아래로 처지고, 소가지는 갈색 또는 적갈색이고, 잎은 날카로운 톱니형으로, 끝이 길고 뾰족하고, 꽃은 3-4월에 피며 열매가 맺는 시기는 5월이며, 잎을 유엽(柳葉), 꽃을 유화(柳花), 과실을 유실(柳實), 속 질긴 껍질을 유백피(柳白皮)라 하여 약용으로 사용한다. 상기 버드나무껍질추출분말은 1-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2.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포도씨추출물은 포도씨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포도씨는 포도 중량의 약 3~5%를 차지하며 지방(9~12%), 단백질(8~12%) 및 헤미셀룰로오스(hemicellulose)와 같은 식이성섬유소(약 45%)를 다량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Ca, Mg 및 P과 같은 무기질의 함량이 높으며, 리놀레산과 같은 불포화지방산을 다량 함유하고 있을 뿐 아니라 식물성 스테롤, 토코페롤 및 항암, 항고혈압 및 항산화성 카테킨류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포도씨추출물은 3-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5-4.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호로파씨추출분말은 호로파씨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호로파는 성질이 따뜻하여 생식기가 허약하고 냉하여 아랫배와 옆구리가 창만한 것, 눈주위나 얼굴빛이 검푸른 것을 낫게 하는 효능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호로파씨추출분말은 1-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2.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감초농축분말은 감초로부터 제조되는 분말로, 감초(Glycyrrhiza glabra)는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본초로서 단맛 성분인 글리시리진(glycyrrhizia)을 함유하고 있어 거의 모든 한약에 사용되고 있으며, 감초의 주성분인 글리시리진은 사포닌 계통으로 알레르기 피부염, 만성간염, 근육이완, 이뇨작용을 하고 소화성 궤양을 억제하는 등 약리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감초에 함유되어 있는 미량성분인 리퀴리티게인(liquiritigenin), 리쿠리틴(liquiritin) 등의 플라보노이드(flavonoid)에 대하여는 항균 효과가 보고 되고 있다. 상기 감초농축분말은 4-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5-5.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동결건조녹색입홍합분말은 녹색입홍합을 동결건조하여 제조되는 분말로, 녹색입홍합은 껍질 색깔만 다른 것이 아니고, 홍합의 성분도 특이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노화를 막는 항산화 성분과 염증을 막는 항염증 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뉴질랜드 바다의 강한 자외선을 견뎌내는 플랑크톤을 먹고 살기 때문이라고 한다. 상기 동결건조녹색입홍합분말은 2-4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5-3.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마카는 비타민이나 미네랄 등의 성분을 시작으로 하고, 임신을 촉진하는 아르기닌 등을 풍부하게 포함하고 있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마카분말은 2-4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5-3.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L-페닐알라닌은 단백질을 가수분해하여 얻는 화합물에 존재하는 아미노산으로 C9H11NO2 화학구조를 가지며 콩과식물의 종자나 어린 눈 속에 유리 상태로 존재한다. L-페닐알라닌은 여러 가지 단백질 속에 약 2∼5% 함유되어 있다. 상기 L-페닐알라닌은 12-14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2.5-13.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L-류신, L-이소류신, L-발린은 분지쇄 아미노산에 속해 있으며, 소아의 성장발육 ACL 성인의 질소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아미노산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L-류신은 7-9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5-8.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L-이소류신은 14-1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4.5-15.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L-발린은 11-1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1.5-12.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비타민B6염산염은 0.8-1.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9-0.1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목이버섯발효추출물, 마조람발효추출물 및 하이페리쿰잎발효추출물이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복합 발효추출물 3-7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복합 발효추출물은,
목이버섯, 마조람 및 하이페리쿰잎을 세척하고,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는 단계; 동결건조한 목이버섯, 마조람 및 하이페리쿰잎을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복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복합분말 48-52 중량부 및 인삼발효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바실러스 레펜스(Bacillus repen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30-34℃의 온도에서 5-7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88-92℃의 온도로 가열하고, 23-27℃의 온도로 식히는 단계; 식힌 후, β-글루코시다아제 0.3-0.7 중량부를 첨가하고, 32-36℃의 온도에서 10-14시간 동안 효소반응하는 단계; 효소반응 후, 정제수 48-52 중량부를 첨가하고, 98-10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목이버섯(Auricularia auricula)은 담자균류 목이과의 버섯으로 활엽수 고목에서 자란다. 여름에서 가을까지 활엽수의 죽은 나무에 무리를 지어 자란다. 자실체는 지름 3~12㎝로 서로 달라붙어 불규칙한 덩어리로 되고 비를 맞으면 묵처럼 흐물흐물해진다. 건조하면 수축하여 단단한 연골질로 되고 물을 먹으면 다시 원형으로 된다. 주로 요리에 사용되며, 부드럽고 쫄깃쫄깃한 식감과 건은 색깔로 시각적인 측면으로 사용되었다.
마조람(Origanum majorana)은 사랑과 미의 여신 비너스가 바닷물에서 만들어 내어 태양빛을 듬뿍 받으라고 제일 높은 산에 심은 풀이라고 믿었으며 그 뛰어난 향기는 비너스의 손이 닿았기 때문이라고 전해진다. 아프로디테가 가장 소중히 여기던 허브가 마조람이라고 할 정도로 아름다움의 상징으로 표현되며 화장수, 목욕제로 사용되고 있고 피부의 정화, 진정 및 살균 작용을 갖는다.
하이페리쿰(Hypericum Androsaemum)은 보편적으로 'Tutsan'으로 알려져 있으며, 서유럽에서 생장한다. 하이페리쿰의 잎은 차로 만들어 약으로 사용하였으며 이뇨 효과 및 간세포 보호 작용으로 사용되었다. 허브의 성분으로는 플라보노이드, 페놀릭 에시트, 젠톤이 4주요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목이버섯, 마조람 및 하이페리쿰잎으로부터 추출한 복합 발효추출물을 항염, 근육 증강, 관절 건강 및 연골 건강 개선 식품 조성물에 적용하고자 하며, 특히, 상기 복합 발효추출물은 인삼발효추출액을 이용한 발효기술을 통해 플라보노이드 및 아미노산의 함량이 현격하게 증량시켜 추출하여 적용함으로써 기능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발효추출물은 필수 아미노산 성분을 증량시켜 추출한 것으로, 상기 필수 아미노산(essential amino acid, EAA)은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거나 합성되더라도 그 양이 매우 적어 생리기능을 달성하기에 충분하지 않아서 반드시 음식에서 섭취해야만 하는 아미노산을 말한다. 상기 필수 아미노산은 이소류신(isoleucine, I), 류신(leucine, L), 리신(lysine, K), 메티오닌(methionine, M),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F), 트레오닌(threonine, T), 트립토판(tryptophan, W), 발린(valine, V), 히스티딘(histidine, H) 및 아르지닌(arginine, R)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아미노산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인삼발효추출액은,
인삼 및 정제수를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3-7℃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침지 후,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를 첨가하고, 30-34℃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88-92℃의 온도로 가열하여 46-50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및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목이버섯발효추출물, 마조람발효추출물 및 하이페리쿰잎발효추출물이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복합 발효추출물 및 비타민나무열매발효오일 및 잇꽃씨발효오일이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복합 발효오일을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 8-1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1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복합 발효오일은,
비타민나무열매 및 잇꽃씨를 세척하고, 118-122℃의 온도에서 8-12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 열처리한 비타민나무열매 및 잇꽃씨를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고, 분쇄하고,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분말 48-52 중량부 및 인삼발효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바실러스 레펜스(Bacillus repen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30-34℃의 온도에서 5-7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여과하여 고형분을 얻고, 상기 고형분 8-12 중량부 및 헥산 88-92 중량부를 혼합하고, 28-32℃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교반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고 감압농축한 후 원심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감압증류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비타민나무(Hippophae rhamnoides L.)는 중국, 몽골 등이 원산지인 보리수나무과 Elaeagnaceae의 관목성 목본으로 유럽과 중앙아시아에서 폭넓게 자생하고 있으며, 척박한 토양에서 생육이 가능하고 질소고정 능력이 뛰어나서 토양 유실방지와 토양 개간 목적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비타민나무는 열매에는 비타민과 아미노산의 함량이 매우 높고, 면역, 항염, 항산화 등의 생리활성도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globulins, albumins과 같은 단백질과 linoleic acids, linolenic acids와 같은 지방산의 함량이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폴리페놀류, 토코페롤, 카로테노이드, 플라보노이드 등의 항산화성 생리활성물질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잇꽃(Carthamus Tinctorius)은 홍화라고도 불리는데, 붉은색 연지의 원재료로 사용하기도 한다. 홍화는 국화과에 속하는 일년생 풀인 잇꽃의 꽃으로 혈의 순환을 돕고 예로부터 여성에게 좋은 꽃으로 알려져 있는 꽃이다. 특히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홍화 씨에는 비타민 E가 풍부하여 항산화 효능이 있어서, 항노화 등의 다양한 작용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이외에도 플라보노이드, 글리코시드, 알칼로이드, 폴리아세틸린 글리코시드 및 기타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비타민나무열매 및 잇꽃씨로부터 추출한 복합 발효오일을 항염, 근육 증강, 관절 건강 및 연골 건강 개선 식품 조성물에 적용하고자 하며, 상기 복합 발효오일을 적용함으로써 더욱 우수한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조성물은,
정제수 68-72 중량부 및 인지질 28-32 중량부를 혼합하고, 58-62℃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1차 초음파처리하는 단계;
1차 초음파처리 후, 상기 복합 발효오일 13-17 중량부를 첨가하고, 68-72℃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2차 초음파처리하는 단계; 및
2차 초음파처리 후, 상기 복합 발효추출물 28-32 중량부를 첨가하고, 53-57℃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3차 초음파처리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상기 인지질은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이노시톨, 리소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산, 포스파티딜 세럼, 포스파티딜 글리세롤 및 포스파티딜 이노시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을 사용한다.
상기 복합 발효추출물과 상기 복합 발효오일을 이용하여 복합화한 복합 조성물을 항염, 근육 증강, 관절 건강 및 연골 건강 개선 식품 조성물에 적용하며, 상기 복합 조성물은 플라보노이드 및 아미노산의 함량이 현격하게 증량하여 추출한 복합 발효추출물과 복합화된 복합 발효오일을 포함하고, 유효성분의 흡수성이 우수하여 기능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복합 발효추출물의 제조-1
인삼 및 정제수를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5℃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침지한 후,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를 첨가하고, 32℃의 온도에서 3일 동안 발효하였다. 발효 후, 90℃의 온도로 가열하여 48시간 동안 끓이고,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어 인삼발효추출액을 제조하였다
목이버섯, 마조람 및 하이페리쿰잎을 세척하고, 영하 50℃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고,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복합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복합분말 50 중량부 및 상기 인삼발효추출액 50 중량부를 혼합하고, 바실러스 레펜스(Bacillus repen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균주 1 중량부를 첨가한 후 32℃의 온도에서 6일 동안 발효하였다. 발효 후, 90℃의 온도로 가열하여 발효를 멈추고, 25℃의 온도로 식혔다. 식힌 후, β-글루코시다아제 0.5 중량부를 첨가하고, 34℃의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효소반응하고, 정제수 50 중량부를 추가하고, 100℃의 온도에서 6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복합 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복합 발효추출물의 제조-2
상기 제조예 1에서 인삼발효추출액을 사용하지 않고 정제수를 사용하며, 효소반응을 수행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복합 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복합 발효추출물의 제조-3
상기 제조예 1에서 효소반응을 수행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복합 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복합 발효오일의 제조
비타민나무열매 및 잇꽃씨를 세척하고, 120℃의 온도에서 10분 동안 열처리한 후, 영하 50℃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고, 분쇄하고,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분말 50 중량부 및 상기 인삼발효추출액 50 중량부를 혼합하고, 바실러스 레펜스(Bacillus repen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균주 1 중량부를 첨가한 후 32℃의 온도에서 6일 동안 발효하였다. 발효 후, 여과하여 고형분을 얻고, 상기 고형분 10 중량부 및 헥산 90 중량부를 혼합하고, 30℃의 온도에서 3일 동안 교반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고 감압농축한 후 원심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감압증류하여 복합 발효오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 복합 조성물의 제조
정제수 70 중량부 및 인지질로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30 중량부를 혼합하고, 60℃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1차 초음파처리하였다. 1차 초음파처리 후, 상기 제조예 4에서 제조한 복합 발효오일을 15 중량부 첨가하고, 70℃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2차 초음파처리하였다. 2차 초음파처리 후,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복합 발효추출물 30 중량부를 첨가하고, 55℃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3차 초음파처리하여 복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식품 조성물의 제조-1
소연골추출분말 2 중량부, 상어연골추출분말 6 중량부, 작약추출분말 5 중량부, 보스웰리아추출분말 4 중량부, 구절초추출분말 11 중량부, 버드나무껍질추출분말 2 중량부, 포도씨추출물 4 중량부, 호로파씨추출분말 2 중량부, 감초농축분말 5 중량부, 동결건조녹색입홍합분말 3 중량부, 마카분말 3 중량부, L-페닐알라닌 13 중량부, L-류신 8 중량부, L-이소루신 15 중량부, L-발린 12 중량부, 비타민B6염산염 1 중량부 및 덱스트린 4 중량부를 혼합하여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식품 조성물의 제조-2
상기 실시예 1의 식품 조성물에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복합 발효추출물을 5 중량부 추가하여 혼합함으로써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식품 조성물의 제조-3
상기 실시예 1의 식품 조성물에 상기 제조예 4에서 제조한 복합 조성물을 10 중량부 추가하여 혼합함으로써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성분 분석
상기 제조예 1-3에서 제조한 복합 발효추출물의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 분석 및 아미노산 분석기(Amino acid analyzer biochrom 30, Biochrom, UK)를 이용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 아미노산 함량 및 필수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mg/g)
총 아미노산 함량
(mg/g)
필수아미노산 함량
(mg/kg)
제조예 1 45.68 15712.03 5383.85
제조예 2 18.61 7247.43 2200.17
제조예 3 26.57 12403.36 4068.37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발효추출물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 아미노산 함량 및 필수아미노산 함량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항산화 기능성 분석
상기 제조예 1-3에서 제조한 복합 발효추출물을 시료로 하여 항산화력을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라디칼 소거 활성으로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Mensor 등의 방법을 참고하였다. 80㎕의 0.2mM DPPH 에탄올 용액을 각 시료에 20㎕ 가한 후 1분간 교반한 후 25℃ 인큐베이터에서 10분간 반응시켜 ELISA reader를 사용하여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하기 계산식 1에 따라 백분율로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계산식 1>
시료명 항산화효과 (DPPH소거 활성율,%)
제조예 1 52.6
제조예 2 46.3
제조예 3 49.9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의 수치가 높다는 것은 항산화 효과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표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발효추출물은 높은 DPPH 라디칼 소거활성 수치값이 측정되었으며, 우수한 항산화 기능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항염 기능성 분석
상기 제조예 1-3에서 제조한 복합 발효추출물을 시료로 하여 염증 유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NO(Nitric Oxide) 생성 억제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일반적인 NO의 형성은 박테리아를 죽이거나 종양을 제거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염증상태에서 iNOS에 의해 생성된 NO는 혈관 투과성, 부종 등의 염증반응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염증매개체의 생합성을 촉진하여 염증을 심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aw 264.7 세포를 10% 륜가 첨가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5×105 cell/well로 조절한 후 24 well plate에 접종하고, 시료를 처리하고 30분 배양 후 LPS(Lipopolysaccharide, 1㎍/㎖)를 첨가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생성된 NO의 양은 NO 검출키트(iNtRON)를 이용한 측정값을 하기 계산식 2에 의해 산출하고 대조군은 LPS를 단독으로 처리한 실험군이다. NO 생성 억제율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계산식 2>
Figure 112023143416929-pat00002
시료명 NO 생성 억제율(%)
제조예 1 78
제조예 2 67
제조예 3 72
상기 표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발효추출물은 매우 높은 NO 생성 억제율을 나타내었으며, 우수한 항염 효과가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근육 증강 기능성 분석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식품 조성물에 대하여 근육 증강 기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동물실험을 수행하였다.
생후 6개월 수컷 마우스를 (주)오리엔트바이오에서 구입하여 1주일 동안 적응시킨 후 사용하였고, 사료와 음용수를 자유 급식하였다.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식품 조성물을 다음의 농도가 되도록 조제하여 매일 경구 투여하였다. 6개월령의 마우스 시험군은 대조군(무처리군), 실시예 1의 식품 조성물 투여군인 실험군 1, 실시예 2의 식품 조성물 투여군인 실험군 2, 실시예 3의 식품 조성물 투여군인 실험군 3으로 분류하였고, 각 조성물은 100 mg/kg으로 희석하여 투여하였다. 각각의 군별(마릿수 6)로 6주 동안 약물을 경구 투여하였고, 3주와 6주 시기에 근력평가를 위한 악력검사를 실시하였다. 악력검사(grip force test)는 교차 그물망에 매달리는 시간을 측정하여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대조군 실험군 1 실험군 2 실험군 3
악력 (gf) 189.6 225.3 279.7 301.6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을 적용하는 경우 악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에 따라 근육 증강 기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관절 및 연골 건강 기능성 분석-1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식품 조성물에 대하여 관절 및 연골 건강 기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동물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험예 4의 실험이 수행된 마우스의 다리 관절 말단부 관심영역 내 전체 조직부피에 대한 골 부피율(% bone volume; BV/TV), 골소주 수(trabecular number; Tbn), 골소주의 두께(trabecular thickness; TbTh), 골소주의 간격(trabecular separation; TbSp; 골소주 간의 평균 거리) 및 구조형태지수(structure model index; SMI; 골소주 구조의 지표)를 통계프로그램(Microcal OriginPro 80, Originlab, Northampton, MA, US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대조군 실험군 1 실험군 2 실험군 3
골 부피율(%) 10.43 12.15 15.80 17.87
골소주의 수(/mm) 0.31 0.38 0.43 0.46
골소주의 두께(mm) 0.58 0.58 0.59 0.59
골소주의 간격(mm) 2.15 1.70 1.64 1.60
구조형태지수 1.75 1.91 2.20 2.37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을 적용하는 경우 골 부피율이 향상되고, 골소주의 수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6> 관절 및 연골 건강 기능성 분석-2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식품 조성물에 대하여 관절 및 연골 건강 기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임상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관절 및 연골 통증을 나타내는 50대의 남성 30명, 여성 30명을 선별하여 남녀 10명씩 실험군 1, 실험군 2, 실험군 3으로 정하고, 실험군 1에는 실시예 1의 식품 조성물을, 실험군 2에는 실시예 2의 식품 조성물을, 실험군 3에는 실시예 3의 식품 조성물을 투여하였다. 실험은 1회 시료 10 g 분량을 아침, 저녁으로 1일 2회씩 6주간 복용하게 하였으며, 6주 뒤 통증 완화에 대한 효과가 있는지 평가하였다. 9점 척도법으로 평가하였으며, 9점은 매우좋음, 7점은 좋음, 5점은 보통, 3점은 나쁨, 1점은 매우 나쁨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실험군 1 실험군 2 실험군 3
관절 및 연골
건강 개선 효과
7.6 8.1 8.5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을 적용하는 경우 관절 및 연골 건강 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3)

  1. 소연골추출분말 1-3 중량부, 상어연골추출분말 5-7 중량부, 작약추출분말 4-6 중량부, 보스웰리아추출분말 3-5 중량부, 구절초추출분말 10-12 중량부, 버드나무껍질추출분말 1-3 중량부, 포도씨추출물 3-5 중량부, 호로파씨추출분말 1-3 중량부, 감초농축분말 4-6 중량부, 동결건조녹색입홍합분말 2-4 중량부, 마카분말 2-4 중량부, L-페닐알라닌 12-14 중량부, L-류신 7-9 중량부, L-이소루신 14-16 중량부, L-발린 11-13 중량부, 비타민B6염산염 0.8-1.2 중량부, 복합 발효추출물 3-7 중량부 및 덱스트린 3-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발효추출물은,
    목이버섯, 마조람 및 하이페리쿰잎을 세척하고,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는 단계; 동결건조한 목이버섯, 마조람 및 하이페리쿰잎을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복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복합분말 48-52 중량부 및 인삼발효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바실러스 레펜스(Bacillus repen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30-34℃의 온도에서 5-7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88-92℃의 온도로 가열하고, 23-27℃의 온도로 식히는 단계; 식힌 후, β-글루코시다아제 0.3-0.7 중량부를 첨가하고, 32-36℃의 온도에서 10-14시간 동안 효소반응하는 단계; 효소반응 후, 정제수 48-52 중량부를 첨가하고, 98-10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인삼발효추출액은,
    인삼 및 정제수를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3-7℃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침지 후,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를 첨가하고, 30-34℃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88-92℃의 온도로 가열하여 46-50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및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 근육 증강, 관절 건강 및 연골 건강 개선용 식품 조성물.
  2. 삭제
  3. 삭제
KR1020230187504A 2023-12-20 2023-12-20 항염, 근육 증강, 관절 건강 및 연골 건강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651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7504A KR102651344B1 (ko) 2023-12-20 2023-12-20 항염, 근육 증강, 관절 건강 및 연골 건강 개선용 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7504A KR102651344B1 (ko) 2023-12-20 2023-12-20 항염, 근육 증강, 관절 건강 및 연골 건강 개선용 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1344B1 true KR102651344B1 (ko) 2024-03-27

Family

ID=90480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87504A KR102651344B1 (ko) 2023-12-20 2023-12-20 항염, 근육 증강, 관절 건강 및 연골 건강 개선용 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134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6418A (ko) * 2020-02-06 2022-10-07 유니젠, 인크. 관절 건강을 개선하고 관절염을 치료하기 위한 알피니아 및 기타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577640B1 (ko) 2023-05-31 2023-09-12 이아름 바실러스 서틸리스 sb011 균주 또는 이를 이용한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력강화, 근육증강, 근육분화, 근육재생 또는 근감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6418A (ko) * 2020-02-06 2022-10-07 유니젠, 인크. 관절 건강을 개선하고 관절염을 치료하기 위한 알피니아 및 기타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577640B1 (ko) 2023-05-31 2023-09-12 이아름 바실러스 서틸리스 sb011 균주 또는 이를 이용한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력강화, 근육증강, 근육분화, 근육재생 또는 근감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에 게재된 ‘관절엔 관절이지’(2023.10.01.). *
네이버 블로그에 게재된 ‘상어연골 콘드로이친’(2022.11.15.). *
네이버 블로그에 게재된 ‘오리지널 2BO, 남자 활력 영양제, 보스웰리아 콘드로이친’(2022.01.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uhroo et al. Trends in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sericulture resources for diversification and value addition
Boshra et al. Papaya-an innovative raw material for food and pharmaceutical processing industry
KR20160087112A (ko) 꽃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53269B1 (ko) 불가사리 추출물 및 하이드롤라이즈드 콜라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효과,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및 보습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Jikah et al. Moringa oleifera: a valuable insight into recent advances in medicinal uses and pharmacological activities
KR100867514B1 (ko) 지초 비누의 제조방법
Tolekova et al. Antioxidant, pharmacological, medical properties and chemical content of Rosa L. extracts
KR102032298B1 (ko) 셀레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주름개선 및 두피 건강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14517A (ko) 미세침 분말 및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Singh et al. The portent plant with a purpose: Aloe vera
CN107625690A (zh) 滋润保湿油茶果润唇膏及其制备方法
KR102042798B1 (ko)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환의 제조방법
KR20200042657A (ko)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항산화 및 피부항염증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Sachan et al. In-Vitro & In-Vivo Efficacy Of Moringa Oleifera Plant Constituents In Urolithiasis As Antilithiatic Drug
KR101024429B1 (ko) 생약재를 포함하는 양계 사료용 조성물
KR20090066230A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수렴 작용을 갖는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13328B1 (ko) 미역귀를 이용한 미백 기능성 화장품 원료추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백 기능성 화장품
KR100747415B1 (ko)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추출혼합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2651344B1 (ko) 항염, 근육 증강, 관절 건강 및 연골 건강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376726B1 (ko) 건강기능성 펫푸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77074B1 (ko) 원형 그대로의 반려동물용 수산물 수제 간식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원형 그대로의 반려동물용 수산물 수제 간식
KR101028073B1 (ko) 혈액순환을 개선하여 신체 각 부위를 활성화 시키며 면역력을 증진시키는 작용 및 기전을 가진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Roy et al. Herbs Used In Peptic Ulcer: A Review.
KR102653686B1 (ko) 디톡스 효과 및 해독 효과를 통한 붓기 완화용 식품 조성물
KR102651348B1 (ko) 발기 촉진 유지 및 전립선 건강 개선용 식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