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6230A -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수렴 작용을 갖는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수렴 작용을 갖는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6230A
KR20090066230A KR1020080128033A KR20080128033A KR20090066230A KR 20090066230 A KR20090066230 A KR 20090066230A KR 1020080128033 A KR1020080128033 A KR 1020080128033A KR 20080128033 A KR20080128033 A KR 20080128033A KR 20090066230 A KR20090066230 A KR 20090066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weight
cosmetic composition
l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8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6438B1 (ko
Inventor
문영수
Original Assignee
문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영수 filed Critical 문영수
Publication of KR20090066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6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6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64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7Chrysanthemum, e.g. dais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수렴 작용을 갖는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국화, 죽엽, 죽여, 석류피, 생지황, 백작약, 적작약, 대두황권, 죽력, 계피 및 상백피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종래의 개발된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 및 피부노화방지 화장료와 달리, 피부 국소를 자극함으로써 피부 잔주름을 개선하고 피부탄력성을 회복시키며 질의 수렴작용을 갖는 효과가 있고, 이들 추출물을 개별적으로 사용할 때 보다 약물의 상호작용에 의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수렴 작용의 상승효과가 있으며, 특히 인체에 무해하고 피부에 부작용이 없는 장점이 있다.
피부 잔주름 개선, 피부 수렴 작용, 피부 탄력성, 혼합 식물추출물, 피부 국소 자극, 질 수렴작용, 부작용

Description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수렴 작용을 갖는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mixed herb extracts for alleviating skin wrinkle and exerting skin astri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수렴 작용을 갖는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 잔주름을 개선하고 피부탄력성을 회복시키며 질의 수렴작용의 특성을 가지는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피부 잔주름을 개선하고 피부탄력성을 회복시키며 질의 수렴작용의 특성을 갖되, 인체에 무해하고 부작용이 없는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피부는 체표를 덮은 조직으로서 물리적·화학적으로 외부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동시에 전신의 대사(代謝)에 필요한 생화학적 기능을 영위하는 생명유지에 불가결한 기관이다. 또한 피부는 자외선을 비롯한 외기의 영향을 계속 받지만, 나이를 먹음에 따라 신진대사가 점차 쇠퇴하기 때문에 과산화지질(過酸化脂質= 피부에 유해한 대표적 물질)의 축적에 의해 피부노화가 촉진되고 피부의 수축성과 탄력성을 잃고 만다.
일반적으로 체내에 있는 불포화지방산이 산화되어 체내에 과산화지질이 증가하면 피부의 탄력을 좌우하는 섬유가 취약해져 주름살(wrinkle)이 생기거나 색소침착 등의 피부노화현상이 발생하고 피부의 탄력성과 수축성이 약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부세포의 일반적인 노화현상은 노화색소의 침착(沈着), 소지방구(小脂肪球)의 축적, 세포의 실질감소, 핵의 위축 등으로 나타난다. 한편, 피부세포의 탄력성 및 수축성이 약화되어 주름살이 생기는 현상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나타나지만, 피부노화가 피부의 수축, 수렴작용을 저하시키는 것은 학설로 정립되어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수렴작용이라는 용어는 모공을 축소(수축)하여 피부에 긴장감을 주어 피부탄력을 부여하는 작용을 의미한다.
또한, 피부노화의 주요한 원인으로는 피부에 혈액순환이 나쁘거나 영양이 불충분한 것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는 진피 속의 탄력섬유·결합직섬유·근육섬유를 퇴화·위축시키고 수분이나 피하지방의 감소를 유발한다. 그리고, 유해산소인 활성산소에서의 프리라디칼의 생성, 콜라겐 부족 및 탄력섬유 분해효소인 엘라스타제의 활성증가 등이 피부의 탄력성과 수축성을 약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생리적으로 피부의 노화현상은 20대 후반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나이와 함께 점차 심해진다. 일반적으로 남성의 주름살은 여성의 주름살보다 깊고 크다. 일생 동안 운동 때문에 심하게 사용한 곳일수록 빨리 주름살이 생기고, 얼굴에 서는 표정의 움직임에서 많은 주름이 생기기 쉽다. 주름은 처음에는 가느다란 잔주름이 지지만 시간과 세월이 지나가면 차츰 크고 깊은 주름이 되어 미관상 보기가 좋지 않게 된다.
70∼80대까지 피부노화가 진행된 진피의 탄력섬유나 결합직섬유의 퇴화·변성·위축에 의한 주름살은 치유되기 힘들지만, 가느다란 잔주름이 깊은 주름이 되기 전에 피부 수축작용이 일어날 수 있도록 피부의 혈액 순환이 잘되게 하거나 피부 내외의 충분한 영양보충(콜라겐 보충 등) 그리고 프리라디칼 생성 억제 및 제거 로 피부의 잔주름은 어느 정도 개선이 가능하다.
주름 예방으로는 영양상태를 좋게 하고, 정신 및 신체의 과로를 피하는 것이 좋다. 입욕·세안 등에 의한 피부의 청결과 영양크림의 사용, 자신의 피부의 성질에 맞는 화장품의 선택, 적당한 마사지 등에 신경을 쓰는 것이 좋다. 노년기의 주름살은 백발과 마찬가지로 자연적인 생리현상이므로 지나치게 신경을 쓸 필요는 없지만, 특히 심할 때는 인위적으로 병원에서 귀 뒤쪽의 피부를 절제하여 얼굴의 피부에 진 주름을 펴는 성형수술을 실시하기도 한다.
주름살이 적은 젊을 때 수술하는 편이 지속적인 효과를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예후도 좋다고 하는 것을 볼 때 완전한 피부주름살 골이 패이기 전에 미리 예방하는 것은 피부의 노화를 지연시킬 수가 있다. 우리 피부세포 내에서는 수많은 과정을 통해 피부노화가 일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노화작용으로 결국 피부의 탄력성을 잃게 되어 피부가 늘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정상적으로 젊음을 가지려면 피부가 원하는 활동을 하고 피부의 탄력성을 계속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1990년대에 들어서는 안면경련, 안검경련, 뇌성마비 등 근육·신경질환 치료에 사용된 보톡스가 눈가 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이 알려지면서 미용 목적에도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보툴리누스 독소는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Clostridium botulinum)의 폴리펩티드 생성물로서, 보톡스를 근육에 주사하면 근육을 움직이게 하는 신경전달물질을 막아 근육마비를 일으키면서 근육의 위축을 가져옴으로써 안면 주름을 개선한다. 그러나, 약효가 영구적인 것이 아니므로 4~6개월마다 주사를 맞아야 하는 단점이 있고, 알부민을 사용하는 액상제제의 보톡스의 경우에는 환자에게 과민반응 또는 약물내성 등을 일으키는 부작용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인체에 무해하고 피부에 과민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각종 식물과 한방 생약의 추출물을 이용한 각종 기능성 화장품을 개발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중 어떤 생약 추출물은 피부에 탄력성을 주는 것이 확인된 것도 있다.
이와 같이 식물과 한방 생약의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수렴작용이나 피부 잔주름 개선제 등의 여러 가지 화장료가 나오고 있으나, 그 효능 면에서 소비자가 크게 만족할 만한 수준의 것은 드문 것이 현실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는 부작용이 없는 순한 천연물을 이용하여 피부 잔주름을 개선하고 피부탄력성을 회복시켜 주는 피부 잔주름 개선 및 피부 탄력성 회복 천연조성물 개발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 왔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3-0045437호에서는 수용성 활성성분인 대두추출물, 맥아추출물 및 효모추출물 0.02 내지 15.00중량%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친(HYDROGENATED LECITHINE) 0.01% 내지 5.00중량%를 포함하는 피부 탄력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35855호에서는 피부의 건조증상을 개선시키기 위해 손바닥선인장(Opuntia ficus-indica)의 전초나 열매성분을 함유시킨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4-0097589호에서는 석류피, 천화분, 회향, 천궁 및 백지의 혼합 생약으로 구성된 복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피부 잔주름 개선효과, 유해활성산소 라디칼(SUPEROXIDE RADICAL) 소거작용, 콜라겐 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ASE-1) 합성 억제작용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이밖에도,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64107호에서는 당귀, 천궁, 감초, 오미자 및 백작약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69361호에서는 절국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피부 미백효과, 주름개선효과, 자극완화 효과가 있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53761호에서는 노각나무 추출물이 피부조직재생 효과를 나타내어 주름 개선용 화장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28518호 및 제10-0439939호에서는 각각 대두황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기능성 화장품과, 화장료에 유근피를 함유시킨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식물 및 생약 추출물의 화장료 조성물이 영양보충, 보습효과, 활성산소제거,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세포증식 및 탄력섬유 분해효소인 엘라스타제의 활성 감소 등의 효과가 있다고 기술하고 있으 나, 피부외용제로서 주름개선 및 피부수렴 효과는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즉, 식물 및 생약 추출물의 특정 성분을 피부에 도포시 피부에 영양 보충이나 보습 등의 효과는 어느 정도 기대가 되지만, 콜라겐 합성, 세포증식 및 활성산소제거 등의 효과는 시험관 내 시험을 통해 세포 단위에서 수행되어 확인된 것으로서 직접 동물이나 사람의 피부에 적용하였을 때 확인된 피부 주름개선 및 피부수렴 효과는 기존의 보톡스 시술에 비하면 매우 미흡한 수준이었다. 따라서, 기존의 식물 및 생약 추출물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노화를 방지하기 위해 일정량 꾸준히 피부에 도포할 경우 피부의 보습을 유지하고 영양을 공급하는 수준의 효과는 기대할 수 있으나, 피부 주름개선 및 피부수렴 효과가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보톡스와 같은 약물은 피부 주름개선 및 피부수렴 효과는 우수하나 시술 후 부작용이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다양한 천연식물과 한방 생약을 연구한 결과 가장 효과적인 복합 식물추출물과 생약 추출물을 추출개발하고 이에 대한 효능을 시험한 결과, 본 발명의 추출물을 일반 외용 화장료에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피부탄력성과 피부수렴작용 면에서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수렴 작용을 갖는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 잔주름을 개선하고 피부탄력성을 회복시키며 질의 수렴작용의 특성을 가지는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피부 국소를 자극함으로써 피부 잔주름을 개선하고 피부탄력성을 회복시키며 질의 수렴작용의 특성을 갖되,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안전성이 검증된 전통 한방 생약과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여 인체에 무해하고 피부에 부작용이 없는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수렴 작용을 갖는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국화, 죽엽, 죽여, 석류피, 생지황, 백작약, 적작약, 대두황권, 죽력, 계피 및 상백피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건조된 중량을 기준으로 0.5~95 중량%의 국화 추출물, 0.5~95 중량%의 죽엽 추출물, 0.5~95 중량%의 죽여 추출물, 0.5~95 중량%의 석류피 추출물, 0.5~95 중량%의 생지황 추출물, 0.5~95 중량%의 백작약 추출물, 0.5~95 중량%의 적작약 추출물, 0.5~95 중량%의 대두황권 추출물, 0.5~95 중량%의 죽력 추출물, 0.5~95 중량%의 계피 추출물 및 0.5~95 중량%의 상백피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질의 수렴작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액상 추출물, 농축 액상 추출물, 동결건조 분말 및 분무건조 분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외용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물비누, 비누, 에센스, 젤, 액체세정료, 로션, 폼, 유연수, 화장수,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팩, 맛사지 크림, 에몰리언트(emollient)크림, 에몰리언트(emollient)로션, 화장수에센스, 수렴화장수(astringent), 여성용 질 수렴세정제, 수용성 리퀴드,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바디용로숀 수렴화장수,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트리트먼트, 스킨로션, 밀크로션, 영양로션, 영양에센스, 수중유(O/W)형 및 유중수(W/O)형의 제형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로 이용되는 일반적인 제형이면 모두 응용이 가능한 것임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며, 피부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되는 일반적인 성분인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콜, 중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항산화제, 비타민, 안료 및/또는 향료 등을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추출물들의 양은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특성이나 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상기 추출물들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5∼9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5∼60 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들은 건조된 원료를 가온 추출 또는 용매 추출하거나 추가로 감압 농축하여 액상으로 얻어지거나, 동결건조 또는 분무건조 후,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또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와 같은 추가적인 다양한 정제를 거쳐 고형분 및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들은 열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안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추출물들은 메탄올, 에탄올,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 추출용매로는 유효성분들을 추출해 낼 수 있는 용매라면 특정의 용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추출방법 역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통상 알려진 추출 방법이라면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수렴 작용을 갖는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국화 원료, 죽엽 원료, 죽여 원료, 석류피 원료, 생지황 원료, 백작약 원료, 적작약 원료, 대두황권 원료, 죽력 원료, 계피 원료 및 상백피 원료를 썰고 찧는 단계와, 상기 원료들에 정제수를 첨가한 후 추출기에 넣고 80℃∼90℃의 온도로 용출하는 단계와, 상기 용출된 원료들을 여과하되 원료들의 찌꺼기를 버리고 액체만 여과하는 단계와, 상기 여과된 액체에 저급알코올 첨가하고 15℃∼20℃의 온도가 유지되는 장소에서 침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액체에 대나무를 침전시켜 대나무에 상기 액체가 스며들게 하는 단계와, 상기 대나무에 스며들지 않은 액체를 별도로 분리하고, 상기 대나무에 열을 가하여 대나무에 스며들은 액체의 물방울을 추출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에 스며들지 않은 액체는 삼푸 또는 비누의 원료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에 열을 가하여 대나무에 스며들은 액체의 물방울을 추출여과하는 단계를 통해 수득된 대나무 추출물은 스킨 또는 로숀의 피부잔주름 개선제 및 질수렴제의 원료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추출여과된 액체를 한외 여과막 또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추가적으로 정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된 식물(생약)에 대한 일반적인 성상 및 약리효과 등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국화(菊花)는 그 생약명이 CHRYSANTHEMI FLOS이며, 엉거시과 국화속의 다년초 식물로 여러해살이 풀인 국화의 꽃을 말한다. 달면서 쓰고 약간 차며, 폐와 간에 작용하여 열을 내려주므로 두통, 어지럼증, 고혈압, 눈이 빨개지면서 아픈 것에 좋다. 우리나라 각지에서 자라며, 약이 되는 국화는 9-10월 산기슭이나 들판에서 자라는 노란 색의 둥근 꽃이삭의 들국화(산국)나 감국화를 이용한다. 꽃봉오리인 상태에서 캐어 사용하며 싹, 꽃잎, 뿌리를 다 약재로 쓸 수 있다.
(2) 죽엽(竹葉)은 그 생약명이 PHYLLOSTACHYS FOLIUM이며, 벼과에 속하는 다년생 상록교목인 솜대의 잎이다.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차갑다. 심장과 폐, 담, 위에 작용한다. 죽엽은 성질이 차고 써서 열을 잘 내려주는 효능이 있다. 심장과 폐, 위에 주로 작용하여 열병에 가슴이 답답하고 갈증나는 것, 심장의 열로 오줌이 잘 나오지 않고 붉은 것, 갈증이 나고 얼굴이 붉은 것, 입안과 혀에 염증이 생긴 것, 폐의 열로 기침하면서 피를 토하거나 코피나는 것 등을 다스린다. 또한, 열을 내려주는 효능 외에 수분이 부족하여 갈증이 나고 가슴이 답답한 증상에도 효과가 있다. 우리나라 중남부 지역에 분포하며, 일년 어느 때든 채취하여 쪄서 말린다.
(3) 죽여(竹茹)는 그 생약명이 BAMBUSAE CAULIS IN TAENIAM이며, 대과에 속하는 사철푸른 키나무인 참대 곧 왕대의 속껍질을 말린 것이다. 맛은 달고 성질은 약간 차가우며 폐와 위, 담(담낭)에 작용한다. 죽여는 대나무의 줄기로, 폐의 담으로 인한 기침, 가래, 숨참 등을 치료하고 위의 열로 인한 구토, 딸꾹질 등에 쓰이는 약이다. 또한, 중풍에 담이 성하여 혼미한 것을 치료하고, 혈의 열을 식히고 맑게 하는 효능이 있어 임신시 태동불안에도 쓰인다. 기타 어린이의 경련성 질병, 피 토하는 증상, 코피, 부정자궁출혈 등에도 쓰이다. 연중 채취가 가능하며 신선한 줄기를 취하여 외피를 제거한 다음 약간 녹색을 띠는 중간층을 가늘고 기다랗게 깎아 다발로 묶고 그늘에서 말린다. 담이 있을 때에는 주로 생것을 쓰고 구역질에는 생강즙을 볶아 쓴다.
(4) 석류피(石榴皮)는 그 생약명이 GRANATI PERICARPIUM이며, 석류과에 속하는 낙엽 소교목인 석류나무의 성숙한 과피이다. 맛은 시고 떫으며 성질은 따뜻하다. 위, 대장에 작용한다. 수렴하는 작용이 있어 오랜 설사와 이질에 효과가 있으며, 살충효과도 있다. 설사, 변혈, 탈항, 붕우, 대하 등에 효과가 있다. 한편, 석류의 뿌리 껍질의 경우도 석류피와 비슷한 효과가 있으나 살충효과가 더 강하다. 가을에 채취하여 석류의 껍질을 모아서 잡질을 제거한 후 잘 씻어서 햇볕에 말려서 사용한다.
(5) 생지황은 그 생약명이 REHMANNIAE RADIX이며, 현삼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이다. 열을 내려주는 작용이 있어 각종 발열성 질환, 토혈이나 코피, 목이 붓고 아플 때 등에 일정한 효과를 나타낸다. 약리실험결과 지혈촉진작용, 강심작용, 이뇨작용, 혈당량 강하작용 등이 있음이 밝혀졌다.
(6) 백작약(白芍藥)은 그 생약명이 PAEONIAE RADIX ALBA이며,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작약의 뿌리이다. 맛은 쓰고 시며 성질은 약간 차가우며, 간과 비장에 작용한다. 백작약은 간과 비장에 작용하여 간의 기운이 뭉친 것을 풀어주고 통증을 감소시켜 주는 작용이 있어 각종 통증과 함께 생리불순, 생리통, 식은 땀, 가슴, 옆구리와 배 아픈 증상, 팔다리의 경련과 통증 등에 효과를 나타낸다. 여름과 가을에 채취하여 껍질을 제거하여 삶은 후 말려서 사용한다. 약리실험 결과 진정작용과 진통작용, 진경작용, 해열작용, 항염작용, 항궤양작용, 혈압강하작용, 관상동맥 확장작용, 항균작용 등이 있음이 밝혀졌다.
(7) 적작약(赤芍藥)은 그 생약명이 PAEONIA RADIX RUBRA이며,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적작약과 천작약의 괴근이다. 맛은 쓰고 성질은 약간 차가우며 간에 작용한다. 적작약은 성미가 차고 주로 간장에 작용하여 혈의 열을 제거하고 어혈을 없애주는 약이다. 어혈로 인한 월경통, 옆구리 통증, 배에 덩어리 있으면서 아픈 것, 타박상 등을 다스리며, 기타 반진이나 혈열로 인한 코피나 피를 토하는 것도 다스린다. 우리나라 황해도와 중국의 내몽고, 사천, 동북 각지에서 주 로 생산된다. 봄, 가을에 채취하여 쪄서 말려서 사용한다. 약리실험결과 진정작용, 진통작용, 진경작용, 해열작용, 항암작용, 항궤양작용, 강혈압작용이 밝혀졌다.
(8) 대두황권(大豆黃卷)은 그 생약명이 GLYCINE SEMEN GERMINATUMO이며, 콩과에 속한 일년생 초본인 검정콩을 발아시켜 말린 것이다. 성질은 평하며 비장과 위에 작용하여 열이 나나 땀은 적은 증상, 가슴이 답답한 증상, 소변이 잘 안나오는 증상, 배에 물이 찬 증상을 다스린다.
(9) 죽력(竹瀝)은 Phyllostachys 속에 속하는 식물로서 담죽(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Stopf et Rendle)과 고죽(Phyllostachys retculata K. Koch)이 있다. 흔히 벼과의 솜대, 즉 담죽(淡竹)의 마디줄기를 태울 때 유출되는 즙액을 말한다. 무독하고 맛이 달고 쓰며 성질이 차다. 갑자기 치아가 아프거나 강화소담 및 중풍으로 인해 입이 다물어진 것을 고치는데 효능이 있고, 땀을 흘리면서 번민하는 것을 고치고 소갈반위를 치료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 계피(桂皮)는 녹나무과의 육계(Cinnamomum cassia Blume : 肉桂) 또는 동속 근연식물의 수피 또는 주피를 다소 제거한 수피를 말한다. 중국은 우리나라와 같으며 일본은 육계와 함께 옥계(Cinnamomum zeylanicumBlume: 玉桂)를 공정생약으로 수재하고 있다. 육계나무는 중국의 남부지방에서 자생하는 늘푸른큰키나무로 여름부터 가을 사이에 나무껍질을 채취하여 사용한다. 특이한 냄새가 있으며 약간 점액성이고 수렴성이며 맛은 맵고 달며 성질은 뜨겁다. 계피는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흉복부의 냉증을 제거하며 식욕을 증진시키고 소화를 촉진하며 사지마비 등에 사용한다. 위장의 경련성 통증을 억제하고 위장관의 운동을 촉진해 가스를 배출하고 흡 수를 좋게 하기도 한다. 장내의 이상발효를 억제하는 방부효과도 있다. 약리작용으로 개선균 억제작용, 백색염주균병 억제작용, 건위작용, 타액 및 위액 분비촉진작용 등이 보고되어 있다.
(11) 상백피(桑白皮)는 뽕나무과의 뽕나무(Morus alba L.) 또는 동속 식물의 뿌리껍질로 만든 약재이다(한국). 중국과 일본에서는 뽕나무만을 공정생약에 수재하였다. 특이한 냄새가 약간 있고 맛은 달고 성질은 차다. 상백피는 폐열로 인한 해수, 천식을 치료하며 이뇨 작용이 있다. 급성신우염, 허약성부종에 쓰이고 혈압강하 작용이 있으며 코피와 각혈에도 사용한다. 또한 유행성 간염 등에도 쓰인다.약리작용으로는 진해, 이뇨, 혈압강하, 진정, 진통, 해열, 진경, 항균작용 등이 보고되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종래의 개발된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 및 피부노화방지 화장료와 달리, 피부 국소를 자극함으로써 피부 잔주름을 개선하고 피부탄력성을 회복시키며 질의 수렴작용을 갖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안전성이 검증된 전통 한방 생약과 식물 혼합 추출물을 혼합 사용함으로써, 이들 추출물을 개별적으로 사용할 때 보다 약물의 상호작용에 의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수렴 작용의 상승효과가 있으며, 특히 인체에 무해하고 피부에 부작용이 없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발명에 인용된 참고문헌은 본 발명에 참고로서 통합된다.
본 발명의 혼합 식물추출물 제조실시예
우선,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혼합 식물추출물(이하,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이라 함)을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국화 원료, 죽엽 원료, 죽여 원료, 석류피 원료, 생지황 원료, 백작약 원료, 적작약 원료, 대두황권 원료, 죽력 원료, 계피 원료 및 상백피 원료를 건조하고, 건조된 중량을 기준으로 0.5~95 중량%의 국화 원료, 0.5~95 중량%의 죽엽 원료, 0.5~95 중량%의 죽여 원료, 0.5~95 중량%의 석류피 원료, 0.5~95 중량%의 생지황 원료, 0.5~95 중량%의 백작약 원료, 0.5~95 중량%의 적작약 원료, 0.5~95 중량%의 대두황권 원료, 0.5~95 중량%의 죽력 원료, 0.5~95 중량%의 계피 원료 및 0.5~95 중량%의 상백피 원료를 적당히 썰고 찧는다.
그리고 혼합된 원료 10kg에 정제수 40ℓ를 첨가한 후 추출기에 넣고 80℃∼90℃의 온도로 용출시킨다. 용출법으로는 열수 스팀 등의 가열을 통하여 유지를 용출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용출된 원료들을 여과하되 혼합된 원료들의 찌꺼기를 버리고 액체만을 여과하고, 여과된 액체에 저급알코올 첨가하여 약 15℃∼20℃의 온도가 유지되는 장소에서 대략 이틀간 침전시킨다. 본 제조실시예에서는 혼합된 원료들을 열수 추출하였으나, 메탄올, 에탄올,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용매를 사용한 용매추출법 역시 사용가능하다.
그리고 나서, 침전된 액체에 약 30센티 정도의 크기로 자른 대나무(대략 30℃에서 3일 동안 말린 것)를 넣고, 3∼4일 동안 방치하여 두면 혼합 원료들의 추출물의 액체가 대나무에 스며들어 가게 된다. 그리고, 대나무를 꺼낼 때, 대나무에 스며들지 않고 조금 남아 있는 탁한 액체는 별도로 분리하여 삼푸, 비누 등의 용도로 사용한다. 꺼낸 대나무는 한쪽 면에 대해 60°정도 기울이고 대나무 상부에 열을 가하면 대나무에 스며들은 액체의 물방울이 떨어지게 된다. 이 물을 모아서 추가로 여과하면 약 10∼15ℓ의 맑은 대나무 추출물을 수득하게 된다. 이 맑은 대나무 추출물은 스킨이나 로숀 화장료와 같은 피부잔주름 개선제나 질수렴제의 원료로 사용한다.
한편,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은 추가로 감압 농축될 수 있고, 동결건조 또는 분무건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은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또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와 같은 추가적인 다양한 정제를 거쳐 고형분 및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의 효능 시험예
시험예 1. 이마주름(forehead-wrinkles) 테스트(NL : Normal Light)
피부주름개선 및 피부수렴기능에 관한 효능은 이마주름(forehead-wrinkles) 테스트(NL : Normal Light)를 수행하여 확인하였다.
이마주름(forehead-wrinkles)이 있는 여성 50명을 상대로 2개월 동안 2일에 한번 꼴로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로 크림을 만들어 이마에 도포한 후 잔주름개선 및 피부수렴 작용을 테스트하였다. 잔주름개선에 대한 패널조사 결과가 표 1에 도시되어 있다.
[표 1]
Figure 112008086481111-PAT00001
상기 표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20대 여성부터 60대 여성까지 전 연령에 걸쳐 잔주름이 개선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은 피부주름개선 및 피부수렴작용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피부탄력(장력강도) 테스트
본 시험예에서는 5주령 수컷(웅성) 랫트(rat) 6마리를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을 도포하지 않은 시험군(대조군)과,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을 도포한 시험군(실 험군)으로 분류한 후, 피부수축의 질과 양을 잘 반영하는 피부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피부인장강도를 측정하는 피부장력강도 테스트는 피부수축 및 피부수렴작용을 객관적으로 나타내는 테스트이다.
우선, 대조군과 실험군의 6마리의 랫트에 10일간 평균 식사량의 10분의 1을 급이하고 6마리의 랫트(rat)의 배부분 털을 깍았다. 대조군의 3마리의 랫트(rat)는 배부분에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을 도포하지 않고 부틸렌글리콜만을 도포하였고, 실험군의 3마리의 랫트(rat)는 털을 깍은 배부분에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부틸렌글리콜에 1중량%로 혼합한 것)을 매일 1회 0.5㎖/㎠씩 7일간 도포하였다.
7일 후 실험에 이용된 6마리의 랫트를 도살하고 랫트의 피부를 적출하여 철창선에 직교하는 폭 1cm의 피부편을 개체마다 3표본씩 만든 후 장력측정기(rheometer)로 파열장력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인장강도(Tensil strength, g/cm)를 피부 탄력성 지표로 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한편, 표 2에서 인장강도의 증가율은 대조군의 인장강도를 100%로 하였을 때의 실험군의 상대적 강도를 나타낸다.
[표 2]
Figure 112008086481111-PAT00002
상기 표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을 도포한 쥐의 배부분의 피부의 인장강도가 증가한 것으로 보아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은 피부 탄력성을 개선하고 피부수렴작용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피부 세포조직의 수렴작용 관찰
시험예 2와 같이 시험을 수행하되, 실험군 랫트의 배부분 피부에는 10일간 본 발명의 추출물을 도포한 후 피부를 절개하여 세포조직을 현미경[Universal Fluorescence Microscope; 모델명 Axioskop 2 Plus MOT FL; Carl Zeiss (Germany)]으로 관찰하였다. 관찰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요약하였다.
[표 3]
Figure 112008086481111-PAT00003
상기 표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은 우수한 수축 및 수렴효과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고, 피부에 탁월한 미용효과를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4.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시험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의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상업적으로 구입한 인간의 섬유아세포에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을 처리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96 평판배양기(96 well plate, GENETIX사 제품 사용)에 우태아 혈청이 2.0%(검체량으로서 20㎕/assay well) 함유된 동물세포 배양배지(DMEMD=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와 인간 피부의 섬유아세포(fibroblast)(5000개 세포/웰)를 넣고, 80-90%까지 자랄 때까지 인큐베이터에 배양하였다. 실험군은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을 처리한 것이고, 각 웰(well)의 배지 총 중량에 대해 물 0.01 중량%를 처리한 것이 음성 대조군이며, 비타민C 0.005 중량%를 처리한 것이 양성대조군이다.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을 각 웰(well)의 배지 총 중량에 대해 각각 0.01 중량 % 및 0.001 중량%의 농도로 처리한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그리고, 세포배양액을 추출하여 콜라겐 단백질 측정기구(MK101.TAKARA BIO INC.Japanese)를 이용하여 콜라겐 합성량을 측정하였다.
우선, 1차 콜라겐 항체가 동일하게 도포된 96평판배양기(96-well plate)에 세포 배양액을 넣고 3시간 30분 동안 항원/항체 반응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측정시간 3시간 30분 경과후, 발색단이 결합된 2차 콜라겐 항체를 96평판배양기에 넣고 20분간 반응시켰다. 20분 후 발색 유발물질을 넣어 실온에서 발색시키고 반응정지액(1N 황산)을 넣어 발색을 중지시키면, 노란색으로 반응이 나오며 반응정지액(1N 황산) 반응에 따라 색도 달라진다. 노란색을 띤 96평판배양기를 흡광광도계(측정범 위:10∼640ng/ml)를 이용하여 450nm에서 측정(검출감도 10ng/ml)하였다. 이때,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세포배양액의 반응 흡광도를 음성대조군으로 하였다.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에 대한 결과는 아래의 표 4와 같다.
[표 4]
Figure 112008086481111-PAT00004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은 인간 피부의 섬유아세포에 대하여 우수한 콜라겐 생합성 능력이 있으며, 콜라겐 합성 능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비타민 C를 적용한 경우보다 적은 농도로 더 우수한 콜라겐 합성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5. 인간섬유아세포에 대한 세포활성 촉진 효과
인간섬유아세포에 대한 세포활성 촉진 효과를 MTT 에세이(assay)를 통해 측정하였다. MTT 에세이는 세포의 성장 정도를 알아볼 수 있는 방법으로, 세포활성을 촉진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는 아리신을 주요 성분으로 함유하는 마늘 추출물을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에도 세포활성 촉진 기능이 있는지 를 비교하였다.
신생아의 포피(foreskin)조직에서 얻은 섬유아세포를 웰당 4000개 세포의 농도로 96평판배양기에 분산시켜 3일간 배양하였다. 각 웰(well)의 배지 총 중량에 대해 물 0.01 중량%를 처리한 것이 음성 대조군이며, 마늘 추출물을 처리한 것이 양성대조군이다.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을 각 웰(well)의 배지 총 중량에 대해 0.001중량%, 0.005중량%, 0.01중량%, 0.015중량%, 0.020중량%, 0.030중량%의 농도로 처리한 후 72시간 배양하였다.
MTT 용액을 웰 당 100㎕씩 첨가한 후 4시간 후에 원심분리하여 MTT를 제거하고, 액시드 이소프로판올(acid-isopropanol)을 첨가한 후 사람의 체온과 같은 37.5℃를 1일간 유지하였다. 수불용성인 파란색의 포르마잔(formazan) 유도체로 환원되면서 용출되도록 인큐베이션한 후 5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음성대조군의 흡광도에 대한 상대적인 흡광도를 구해 세포증식 효과(%)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5]
Figure 112008086481111-PAT00005
상기 표 5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은 세포활성 촉진 원료로 알려진 마늘 추출물과 비슷한 우수한 세포증식 촉진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6. 보습 효과 측정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의 보습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가 도포된 피부를 대상으로 하여 수분 보유능 및 수분 증발량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시험예 6-1. 피부 전기 전도도 측정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를 30명의 시험자의 이마 좌측에 일 정량(0.02 g/16㎠)을 도포하고, 도포 전, 도포 1시간 후, 그리고 도포 2시간 후의 피부의 수분 함량을 측정하였다. 도포하지 않은 정상 피부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측정 기기는 피부의 수분 함량에 따른 피부의 전기 용량(전도도)을 측정하여 보습력을 측정하는 수분 함량측정기(corneometer CM820, Conrage +Khazaka사, 독일)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6과 같다.
[표 6]
Figure 112008086481111-PAT00006
시험예 6-2. 피부 수분 증발량 측정
또한, 얼굴의 이마 부위에 테입 스트리핑(tape stripping)을 실시하여 피부의 방어막을 약화시킨 후,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피실험자에게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를 도포한 후, 수분증발량기(TEWA meter, koln, 독일연방국)를 이용하여 12시간 마다 1분 간격으로 5회씩 수분 증발량을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7과 같다. 표 7에서 실시예는 테입 스트리핑의 실시와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의 도포가 이루어진 군이고, 비교 실시예 는 테입 스트리핑만 실시된 군이며, 대조군은 테입 스트리핑 실시 및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의 도포가 이루어지지 않은 군이다.
[표 7]
Figure 112008086481111-PAT00007
상기 표 6 및 표 7에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는 피부 전기 전도도가 높고, 적은 수분 증발량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는 우수한 보습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시험예 7. 피부첩포(primary irritation)의 피부자극성 시험
시험예 7-1. 인체에 대한 피부자극성 시험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 1.0 중량%,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 1.0 중량% 및 에탄올 10 중량%를 함유한 시료와,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 1.0 중량% 및 에탄올 10 중량%를 함유한 용액의 안전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인체첩보시험(Human patch test)을 통하여 인체에 대한 자극시험을 시행하였다.
건강한 성인 남녀 50명을 두 그룹(제1그룹-남자25명, 제2그룹-여자25명)으로 나누어 CTFA 가이드라인(The Cosmetic, Toilit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Washington, D.C., 20O36, 1991)에 따라 인체첩보시험을 실시하였다. 핀 쳄버(Finn Chamber)에 시료 및 용액 20ml를 적하시킨 후, 이것을 시험 부위인 인체의 등에 얹어 테이프로 고정시켰다. 그리고 나서 24시간 동안 첩포한 후, 첩포를 제거하고 다시 4시간 경과한 다음, 시험 부위의 피부 반응을 CTFA 가이드라인 상의 기준에 따라 판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표 8]
Figure 112008086481111-PAT00008
상기 표 8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은 피부 국소를 자극함으로써 피부 잔주름을 개선하고 피부탄력성을 회복시키는 기능을 갖지만, 피부에 홍반이나 기타 피부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는 안정한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7-2. 동물에 대한 피부자극성 시험
랫트의 털을 매끈히 면도한 후에 랫트의 피부에 포도상균을 2일 정도 배양한 후, 피부염을 일으키게 하고 피부 각질 세포에서의 세포 증식 효과를 시험하였다. 이때, 웅성 랫트 7마리 중 5마리에는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을 도포하고 2마리에는 도포하지 않았다. 세포 증식 효과에 대한 시험 결과는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표 9]
Figure 112008086481111-PAT00009
상기 표 9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을 처리한 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세포 증식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은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와 에탄올의 자극을 크게 완화시켜 주었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은 피부에 안전한 성분임을 알 수 있다.
시험예 8. 급성 독성 시험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이 화장품에 사용되는 원료로서의 1차 안정성을 검증하고자 급성 독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실에서 1주일 이상 관찰하여 건강한 것으로 확인된 5주령이 된 SPF SD계 랫트 암컷 6마리와 수컷 6마리를 삭모하고 피부에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을 직접 도포하였다. 그리고 10시간이 경과한 후, 세척 및 건조후 재도포하는 과정을 30일간 반복하면서 이들에게 고형사료와 광천수를 급이하면서 사육하였다.
1) 도포 당일 매시간 1회 관찰하고, 도포 다음날부터 일반상태의 변화, 중독증상, 운동성, 외관, 자율신경 및 사망동물의 유무를 주의 깊게 관찰하였다.
2) 도포 후 10일마다 체중을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3) 시험 종료시 생존 동물을 에테르 마취로 방혈 치사시켜 육안적으로 모든 장기를 검사하였다.
30일간의 시험결과에서 실험동물이 사망한 사례는 관찰되지 아니하였고, 도포즉시 운동량 감소의 소견이 관찰되었으나 즉시 회복되었으며, 체중의 변화도 없었다. 또한, 전부 생존한 동물의 부검에서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의 장기적인 피부 접촉에 의해 유발되었다고 판단되는 어떠한 육안적인 이상 소견도 관찰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제형화 과정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수렴 작용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의 몇가지 제형을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하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예는 본 발명의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수렴 작용을 갖는 혼합 식물추출물에 대한 화장료 제형화의 설명을 위해 예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특히 사용된 성분이나 용량 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적의 선택하여 조정가능한 것임을 미리 밝혀 둔다.
제형예 1. 수렴화장수(astringent)
하기 표 10의 조성에 따라 정제수에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이 포함된 1번∼8번의 원료를 섞어 용해시켜 수상을 만든다. 표 10의 9번∼11번의 원료들을 에탄올에 섞어 용해시켜 알코올상을 만든 후, 전술한 수상 혼합물에 알코올상 혼합물을 첨가하여 골고루 섞이도록 하여 수렴화장수(astringent)를 제조한다.
[표 10]
Figure 112008086481111-PAT00010
제형예 2. 에센스
하기 표 11의 조성에 따라 정제수에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이 포함된 1번∼10번의 원료를 섞어 용해시켜 수상을 만든다. 표 11의 12번∼14번의 원료들을 에탄올에 섞어 용해시켜 알코올상을 만든 후, 전술한 수상 혼합물에 알코올상 혼합물을 첨가하여 골고루 섞이도록 하여 에센스를 제조한다.
[표 11]
Figure 112008086481111-PAT00011
제형예 3. 화장수
하기 표 12의 조성에 따라 정제수에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이 포함된 1번∼9번의 원료를 섞어 용해시켜 수상을 만든다. 표 12의 10번, 12번∼15번의 원료들을 에탄올에 섞어 용해시켜 알코올상을 만든 후, 전술한 수상 혼합물에 알코올상 혼합물을 첨가하여 골고루 섞이도록 하여 화장수를 제조한다.
[표 12]
Figure 112008086481111-PAT00012
제형예 4. 에몰리언트(emollient) 로션
하기 표 13의 조성에 따라 정제수에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이 포함된 1번∼6번의 원료를 섞어 70℃로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수상을 만든다. 표 13의 7번∼14번의 원료를 섞어 70℃로 가열하여 용해시켜 유상을 만든 후, 상기 수상 혼합물에 유상 혼합물을 첨가하여 골고루 섞이도록 한 후, 20℃로 냉각하여 로션을 제조한다.
[표 13]
Figure 112008086481111-PAT00013
제형예 5. 에몰리언트(emollient) 크림
하기 표 14의 조성에 따라 정제수에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이 포함된 1번∼6번의 원료를 섞어 70℃로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수상을 만든다. 표 14의 7번∼15번의 원료를 섞어 70℃로 가열하여 용해시켜 유상을 만든 후, 상기 수상 혼합물에 유상 혼합물을 첨가하여 골고루 섞이도록 하여 유화한 후, 25℃로 냉각하여 크림을 제조한다.
[표 14]
Figure 112008086481111-PAT00014
제형예 6. 맛사지 크림
하기 표 15의 조성에 따라 정제수에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이 포함된 1번∼9번의 원료를 섞어 용해시켜 수상을 만든다. 표 15의 10번∼11번의 원료들을 에탄올에 섞어 용해시켜 알코올상을 만든 후, 전술한 수상 혼합물에 알코올상 혼합물을 첨가하여 골고루 섞이도록 하여 맛사지 크림을 제조한다.
[표 15]
Figure 112008086481111-PAT00015
제형예 7. 팩
하기 표 16의 조성에 따라 정제수에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이 포함된 1번∼5번의 원료를 섞어 용해시켜 수상을 만든다. 표 16의 7번∼8번의 원료들을 에탄올에 섞어 용해시켜 알코올상을 만든 후, 전술한 수상 혼합물에 알코올상 혼합물을 첨가 하여 골고루 섞이도록 하여 팩을 제조한다.
[표 16]
Figure 112008086481111-PAT00016
제형예 8. 물비누와 비누
하기 표 17의 조성에 따라 정제수에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이 포함된 1번∼5번의 원료를 섞어 용해시켜 수상을 만든다. 표 17의 6번의 원료를 에탄올에 섞어 용해시켜 알코올상을 만든 후, 전술한 수상 혼합물에 알코올상 혼합물을 첨가하여 골고루 섞이도록 하여 물비누와 비누를 제조한다.
[표 17]
Figure 112008086481111-PAT00017
제형예 9. 여성용 질수렴 세정제
하기 표 18의 1번~10번의 원료를 80℃까지 가온하여 완전용해한다. 완전용해된 1번~10번의 원료 혼합물을 냉각 혼합하고 45℃까지 진공냉각한 후, PD:150rpm으로 교반유지한다. 30℃에서 반제품 상태로 유지하고 당업계에 잘 알려진 완제품 제조지침에 따르거나 여성용 질수렴 세정제 전문 제조업체에 완제품의 제조를 의뢰하여 제조한다.
[표 18]
여성용 질수렴 세정제 제형예
1 글루콘산클로르핵시딘액 1 중량%
2 라우릴황산나트륨 0.05 중량%
3 부틸렌글라이콜 0.5 중량%
4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 0.1~50 중량%
5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0.03 중량%
6 파라옥시안식향산나트륨 0.02 중량%
7 구연산 0.1 중량%
8 알란토인 1 중량%
9 에칠신나메이트 0.05
10 정제수 나머지 잔량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화장품 제형예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가지 다양한 피부 화장료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수렴 작용을 갖는, 국화, 죽엽, 죽여, 석류피, 생지황, 백작약, 적작약, 대두황권, 죽력, 계피 및 상백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건조된 중량을 기준으로 0.5~95 중량%의 국화 추출물, 0.5~95 중량%의 죽엽 추출물, 0.5~95 중량%의 죽여 추출물, 0.5~95 중량%의 석류피 추출물, 0.5~95 중량%의 생지황 추출물, 0.5~95 중량%의 백작약 추출물, 0.5~95 중량%의 적작약 추출물, 0.5~95 중량%의 대두황권 추출물, 0.5~95 중량%의 죽력 추출물, 0.5~95 중량%의 계피 추출물 및 0.5~95 중량%의 상백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질의 수렴작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액상 추출물, 농축 액상 추출물, 동결건조 분말 및 분무건조 분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물비누, 비누, 에센스, 젤, 액체세정료, 로션, 폼, 유연수, 화장수,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팩, 맛사지 크림, 에몰리언트(emollient)크림, 에몰리언트(emollient)로션, 화장수에센스, 수렴화장수(astringent), 여성용 질 수렴세정제, 수용성 리퀴드,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바디용로숀 수렴화장수,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트리트먼트, 스킨로션, 밀크로션, 영양로션, 영양에센스, 수중유(O/W)형 및 유중수(W/O)형의 제형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5∼95 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국화 원료, 죽엽 원료, 죽여 원료, 석류피 원료, 생지황 원료, 백작약 원료, 적작약 원료, 대두황권 원료, 죽력 원료, 계피 원료 및 상백피 원료를 썰고 찧는 단계와,
    상기 원료들에 정제수를 첨가한 후 추출기에 넣고 80℃∼90℃의 온도로 용출하는 단계와,
    상기 용출된 원료들을 여과하되 원료들의 찌꺼기를 버리고 액체만 여과하는 단계와,
    상기 여과된 액체에 저급알코올 첨가하여 15℃∼20℃의 온도가 유지되는 장소에서 침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액체에 대나무를 침전시켜 대나무에 상기 액체가 스며들게 하는 단계와,
    상기 대나무에 스며들지 않은 액체를 별도로 분리하고, 상기 대나무에 열을 가하여 대나무에 스며들은 액체의 물방울을 추출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한외 여과막 또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추가적으로 정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80128033A 2007-12-18 2008-12-16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수렴 작용을 갖는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464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582 2007-12-18
KR20070133582 2007-1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6230A true KR20090066230A (ko) 2009-06-23
KR101046438B1 KR101046438B1 (ko) 2011-07-04

Family

ID=40994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8033A KR101046438B1 (ko) 2007-12-18 2008-12-16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수렴 작용을 갖는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643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82539A (zh) * 2010-11-15 2011-03-02 广州百花香料股份有限公司 一种竹汁香精
JP2016124858A (ja) * 2015-01-08 2016-07-11 医療環境テクノ株式会社 皮膚を修復し活性化するための医薬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5997830A (zh) * 2016-07-22 2016-10-12 杨凌三度蚯蚓科技有限公司 一种蚯蚓营养抗皱霜
KR20170079975A (ko) * 2015-12-31 2017-07-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아주골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200012532A (ko) 2018-07-27 2020-02-05 이은주 죽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포함하는 마스크 팩
CN111544323A (zh) * 2020-06-04 2020-08-18 辽宁众合商务服务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肌肤修复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594B1 (ko) * 2001-11-12 2005-03-10 정춘자 한방 및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용팩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82539A (zh) * 2010-11-15 2011-03-02 广州百花香料股份有限公司 一种竹汁香精
JP2016124858A (ja) * 2015-01-08 2016-07-11 医療環境テクノ株式会社 皮膚を修復し活性化するための医薬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70079975A (ko) * 2015-12-31 2017-07-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아주골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CN105997830A (zh) * 2016-07-22 2016-10-12 杨凌三度蚯蚓科技有限公司 一种蚯蚓营养抗皱霜
KR20200012532A (ko) 2018-07-27 2020-02-05 이은주 죽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포함하는 마스크 팩
CN111544323A (zh) * 2020-06-04 2020-08-18 辽宁众合商务服务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肌肤修复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6438B1 (ko) 2011-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3636B1 (ko) 천연물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60009330A (ko)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1744103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20052311A (ko) 한방 샴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51288B1 (ko) 시서스 및 대파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10134719A (ko)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046438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수렴 작용을 갖는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28564B1 (ko) 생숙조화(生熟調和) 발효식초로 산도를 조절한 지초비누의 제조방법
KR102113645B1 (ko) 미세침 분말 및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64108B1 (ko) 피부노화 방지 효과를 갖는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2004366B1 (ko) 중대가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47036B1 (ko) 항산화가 우수한 생약복합재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829891B1 (ko) 은목서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47612B1 (ko) 여드름 및 여드름양 발진 완화용 또는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145278A (ko) 피부 수렴 및 탄력 효과를 갖는 승마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및 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39532B1 (ko) 연잎, 지부자, 지골피 추출물로 구성되는 천연항균복합체를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5213279A (zh) 一种消除萎缩纹的身体乳及其制备方法
KR102051417B1 (ko) 튼살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02797B1 (ko) 연잎, 지부자, 지골피의 추출물과 피탄트리올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3671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1346173A (zh) 中药组合物、中药精油、中药护肤品和制备方法
KR102208482B1 (ko) 피부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40007026A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수렴 작용을 갖는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37422B1 (ko) 호호바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진정 및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