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3686B1 - 디톡스 효과 및 해독 효과를 통한 붓기 완화용 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디톡스 효과 및 해독 효과를 통한 붓기 완화용 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3686B1
KR102653686B1 KR1020230189601A KR20230189601A KR102653686B1 KR 102653686 B1 KR102653686 B1 KR 102653686B1 KR 1020230189601 A KR1020230189601 A KR 1020230189601A KR 20230189601 A KR20230189601 A KR 20230189601A KR 102653686 B1 KR102653686 B1 KR 102653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xtract
powde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89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균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상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상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상바이오
Priority to KR1020230189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36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3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36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30Physical treatment, e.g. electrical or magnetic means, wave energy or irradiation
    • A23L5/32Physical treatment, e.g. electrical or magnetic means, wave energy or irradiation using phonon wave energy, e.g. sound or ultrasonic w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51Concen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8Fungi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1Polysaccharide
    • A23V2250/5114Dextrins, maltodextr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4Proteins
    • A23V2250/55Peptide, protein hydrolysate

Abstract

본 발명은 호박추출분말 9-11 중량부, 치커리추출분말 9-11 중량부, 브로콜리추출분말 9-11 중량부, 화이트토마토추출분말 0.8-1.2 중량부, 양배추추출분말 9-11 중량부, 포도씨추출물 4-6 중량부, 퀘르세틴분말 4-6 중량부, 브로멜라인 19-21 중량부, 사과농축분말 9-11 중량부, 바나나분말 9-11 중량부 및 덱스트린 8-10 중량부를 포함하는 붓기 완화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디톡스 효과 및 해독 효과를 통한 붓기 완화용 식품 조성물{Food composition for alleviating swelling through detoxification and detoxification effects}
본 발명은 붓기 완화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디톡스 효과 및 해독 효과를 통해 붓기의 완화가 용이한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미세먼지, 황사를 비롯한 각종 유해물질뿐 아니라, 대사과정에서 생성되는 노폐물이나 활성산소, 염증유발물질 등의 "신체적 독소", 분노나 스트레스 등과 같은 "마음의 독소" 등이 현대인들을 위협하고 있다. 이들은 모두 현대의학에서도 대부분의 만성질환, 암 등의 주 원인으로 지목되는 것이다. 특히, 오늘날 대량으로 생산되는 농, 축산 시스템에서는 가축의 사료인 곡물의 대량 생산을 위해 다량의 제초제와 살충제가 사용되며, 사육과정에서 항생제와 성장촉진제 등이 투여되고, 가공과정에서는 각종 화학첨가물들이 섞여 들어가고 있다. 이런 오염된 화학물질들은 대개 지방친화적이어서 가축들의 지방조직에 축적된다. 그리고 이들을 먹은 우리 몸속의 지방 조직에 다시 축적된다. 인간이 화학첨가물들의 최종 정착지인 샘이다. 이들은 우리 몸속에서 만성적인 염증을 유발시키며 세포의 엔진에 해당되는 미토콘드리아를 손상시키고, 면역기능을 떨어뜨리며, 호르몬 체계를 교란시켜 각종 암이 유발되는데 기여한다. 암 발생률이 육류, 특히 붉은 고기와 가공육, 유제품 소비량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육류와 유제품 그 자체가 나쁘다기보다는 건강하지 않게 사육된 축산물을 섭취함으로써 체내에서 염증을 유발할 수 있는 각종 화학물질들을 농축된 형태로 섭취하는 것이 문제라는 것이다.
이처럼 건강을 위협하는 요소들이 늘어나다 보니, 건강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고, 최근에 몸 안의 독소를 빼는 이른바 "디톡스"라는 말이 유행하면서, 디톡스 다이어트, 디톡스 주스 등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였다. 디톡스(detox)는 detoxification의 약어로 몸 안의 독소를 없애는 것을 의미한다. 유해물질이 몸 안으로 과다하게 들어오는 것을 막고, 장이나 신장, 폐, 피부 등을 통한 노폐물의 배출을 촉진하는 것이다. 칼로리 제한에 의해 다이어트 효과가 있어 건강 다이어트 방법으로 많이 사용되며, 서양에서는 니라 드링크만 마시는 레몬 디톡스법이 알려져 있고, 한국에서는 장 청소와 단식이 대표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물만 마시거나 한가지 음식만 먹는 방법도 있으며, 유기농산물, 제철음식을 주로 하며 비타민과 미네랄을 충분히 섭취해야 하고 가공식품, 육류, 소금, 설탕을 멀리 하는 것이 원칙이다. 음식뿐만 아니라 유해물질로 가득찬 주거환경을 천연마감재로 바꾸고, 마음속의 스트레스를 불러일으키는 분노, 짜증 등을 다스리는 명상 등도 넓은 의미의 디톡스라 할 수 있다. 디톡스는 주로 균형 잡힌 식이요법을 통한 해독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즉, 유기농으로 재배된 제철 과일과 채소 등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다.
한편, 부종은 수분대사의 이상으로 체액분포에 이상이 생겨 세포 사이의 간질에 수분과 염분이 과다하게 축적된 상태를 말하며, 신장이나 심장의 기능부전, 혹은 간장질환이 있을 때 주로 나타나며, 단백질의 부족에 의해서도 나타날 수 있다. 즉, 폐장, 비장, 신장의 세 장기가 관여하는 기의 승강작용, 숙강작용, 증화작용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때 일어나는 질환으로 보는 것이다.
부종은 특별한 질병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기도 하나, 특별한 질병이 원인이 되지 않더라도 움직이지 않고 오랜 시간 앉아 있거나, 잘못된 식습관 등으로 인하여 혈액순환 및 대사활동이 원활하지 않은 이유로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디톡스 효과 및 해독 효과와 함께 부종을 완화시키기 위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9-014073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톡스 효과 및 해독 효과를 통해 독소를 빼주고, 붓기 부종 완화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천연원료에 함유된 플라보노이드 및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을 현격하게 증량하고, 채내흡수율을 향상시켜 디톡스 효과 및 해독 효과를 통해 독소를 빼주고, 붓기 부종 완화에 도움을 주는 등의 작용 효과를 현저하게 향상시킨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호박추출분말 9-11 중량부, 치커리추출분말 9-11 중량부, 브로콜리추출분말 9-11 중량부, 화이트토마토추출분말 0.8-1.2 중량부, 양배추추출분말 9-11 중량부, 포도씨추출물 4-6 중량부, 퀘르세틴분말 4-6 중량부, 브로멜라인 19-21 중량부, 사과농축분말 9-11 중량부, 바나나분말 9-11 중량부 및 덱스트린 8-10 중량부를 포함하는 붓기 완화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솔버섯발효추출물, 에델바이스발효추출물 및 신갈나무잎발효추출물이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복합 발효추출물 3-7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발효추출물은,
솔버섯, 에델바이스 및 신갈나무잎을 세척하고,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는 단계; 동결건조한 솔버섯, 에델바이스 및 신갈나무잎을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복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복합분말 48-52 중량부 및 인삼발효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바실러스 레펜스(Bacillus repen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30-34℃의 온도에서 5-7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88-92℃의 온도로 가열하고, 23-27℃의 온도로 식히는 단계; 식힌 후, β-글루코시다아제 0.3-0.7 중량부를 첨가하고, 32-36℃의 온도에서 10-14시간 동안 효소반응하는 단계; 효소반응 후, 정제수 48-52 중량부를 첨가하고, 98-10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인삼발효추출액은,
인삼 및 정제수를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3-7℃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침지 후,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를 첨가하고, 30-34℃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88-92℃의 온도로 가열하여 46-50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및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솔버섯발효추출물, 에델바이스발효추출물 및 신갈나무잎발효추출물이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복합 발효추출물 및 비타민나무열매발효오일 및 잇꽃씨발효오일이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복합 발효오일을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 8-1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발효추출물은,
솔버섯, 에델바이스 및 신갈나무잎을 세척하고,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는 단계; 동결건조한 솔버섯, 에델바이스 및 신갈나무잎을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복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복합분말 48-52 중량부 및 인삼발효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바실러스 레펜스(Bacillus repen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30-34℃의 온도에서 5-7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88-92℃의 온도로 가열하고, 23-27℃의 온도로 식히는 단계; 식힌 후, β-글루코시다아제 0.3-0.7 중량부를 첨가하고, 32-36℃의 온도에서 10-14시간 동안 효소반응하는 단계; 효소반응 후, 정제수 48-52 중량부를 첨가하고, 98-10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인삼발효추출액은,
인삼 및 정제수를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3-7℃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침지 후,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를 첨가하고, 30-34℃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88-92℃의 온도로 가열하여 46-50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및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복합 발효오일은,
비타민나무열매 및 잇꽃씨를 세척하고, 118-122℃의 온도에서 8-12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 열처리한 비타민나무열매 및 잇꽃씨를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고, 분쇄하고,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분말 48-52 중량부 및 인삼발효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바실러스 레펜스(Bacillus repen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30-34℃의 온도에서 5-7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여과하여 고형분을 얻고, 상기 고형분 8-12 중량부 및 헥산 88-92 중량부를 혼합하고, 28-32℃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교반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고 감압농축한 후 원심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감압증류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복합 조성물은,
정제수 68-72 중량부 및 인지질 28-32 중량부를 혼합하고, 58-62℃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1차 초음파처리하는 단계;
1차 초음파처리 후, 상기 복합 발효오일 13-17 중량부를 첨가하고, 68-72℃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2차 초음파처리하는 단계; 및
2차 초음파처리 후, 상기 복합 발효추출물 28-32 중량부를 첨가하고, 53-57℃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3차 초음파처리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디톡스 효과 및 해독 효과를 통해 독소를 빼주고, 붓기 부종 완화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에 포함된 성분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총 아미노산의 함량이 현격하게 증량되고, 채내흡수율이 향상되어 디톡스 효과 및 해독 효과를 통해 독소를 빼주고, 붓기 부종 완화에 도움을 주는 등의 작용 효과가 우수하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차, 2차,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본 발명은
호박추출분말 9-11 중량부, 치커리추출분말 9-11 중량부, 브로콜리추출분말 9-11 중량부, 화이트토마토추출분말 0.8-1.2 중량부, 양배추추출분말 9-11 중량부, 포도씨추출물 4-6 중량부, 퀘르세틴분말 4-6 중량부, 브로멜라인 19-21 중량부, 사과농축분말 9-11 중량부, 바나나분말 9-11 중량부 및 덱스트린 8-10 중량부를 포함하는 붓기 완화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붓기 완화용 식품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호박추출분말은 호박으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호박은 박과에 속하는 1년생 덩굴식물로써 열대 아메리카가 원산지이며, 크게 동양계 호박과 서양계 호박 및 페포호박으로 나눌 수 있다. 호박은 성숙함에 따라 당질과 비타민 A 등의 영양성분이 증가하여 식품적 가치가 높고, 황색을 나타내는 천연색소 등이 존재하는데 이런 천연색소는 여러가지 가공식품의 첨가물로 이용되고 있다. 이중에서도 특히 베타카로틴(β-carotene)은 비타민 A의 좋은 급원이며, 다양한 약리효과를 가지고 있다. 상기 호박추출분말은 9-1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5-10.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치커리추출분말은 치커리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치커리는 열량이 낮고 식이섬유가 풍부하면서도 칼륨과 칼슘 등의 각종 무기질, 비타민이 풍부하게 들어 있어 각종 성인병 예방 효능을 가지며 변비 예방과 다이어트에 효과적이고, 항산화 활성이 높은 대표적인 농산물 중 하나로 고혈압, 심장병 등 심혈관계 질환, 안질환, 당뇨병 등의 개선에 효과적이다. 치커리의 쓴맛을 내게 하는 성분인 인티빈은 위 점막을 보호하고 소화를 촉진하는 작용을 하여 위장관 개선에 효과적이며, 콜레스테롤의 재흡수를 방해하고 몸 밖으로 배출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있다. 상기 치커리추출분말은 9-1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5-10.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브로콜리추출분말은 브로콜리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브로콜리(broccoli)는 겨자과에 속하는 짙은 녹색채소로 '녹색 꽃양배추'라고도 불린다. 브로콜리는 샐러드, 스프, 스튜 등 서양음식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채소 중 하나다. 11월부터 4월까지가 제철이지만 요즘은 사철 구별 없이 먹을 수 있다. 브로콜리에는 비타민 C, 베타카로틴 등의 항산화 물질이 풍부하다. 베타카로틴은 비타민 A의 생성 전 단계 물질로 항산화 작용을 가지고 있는 미량 영양소이다. 상기 브로콜리추출분말은 9-1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5-10.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화이트토마토추출분말은 화이트토마토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화이트토마토는 중동지역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는 토마토로 자외선 차단과 미백에 도움을 주는 성분들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음이 알려져 있다. 상기 화이트토마토추출분말은 0.8-1.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9-1.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양배추추출분말은 양배추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양배추(Brassica oleracea var. gemmifera)는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겨자과의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 풀로서, 생장에 필요한 필수 아미노산인 라이신이 풍부하고, 다량의 비타민 C, 칼륨, 칼슘이 포함되어 위궤양 및 십이지장궤양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또한, 혈액을 맑게 하고 몸의 저항력을 높이며, 주근깨, 여드름, 기타 피부병 등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양배추추출분말은 9-1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5-10.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포도씨추출물은 포도씨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포도씨는 포도 중량의 약 3~5%를 차지하며 지방(9~12%), 단백질(8~12%) 및 헤미셀룰로오스(hemicellulose)와 같은 식이성섬유소(약 45%)를 다량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Ca, Mg 및 P과 같은 무기질의 함량이 높으며, 리놀레산과 같은 불포화지방산을 다량 함유하고 있을 뿐 아니라 식물성 스테롤, 토코페롤 및 항암, 항고혈압 및 항산화성 카테킨류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포도씨추출물은 4-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5-5.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퀘르세틴은 항산화 비타민인 비타민 C 및 MCT(medium chain triglycerides) 오일과 같은 기름류와 같이 섭취하였을 때 항산화능이 상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퀘르세틴분말은 4-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5-5.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브로멜라인(Bromelain)은 파인애플의 열매 및 줄기에 많이 들어있는 천연 단백질 분해효소로, 소화효소인 트립신(trypsin)과 펩신(pepsin)의 효과를 강화하여 소화를 돕고, 췌장액과 결합되어 소화불량에 사용된다. 브로멜라인은 소장에서 흡수되어 혈액을 따라 이동하면서 혈액 내 섬유소, 단백질, 불순물을 용해하여 혈액을 정화함과 동시에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여 심장병 예방 등에 효과적인 성분이다. 또한, 염증 완화 작용이 뛰어나 부작용 없이 관절염, 근육통, 인대 손상, 축농증 등 염증 관련 질환을 개선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브로멜라인은 19-2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9.5-20.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사과농축분말은 9-1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5-10.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바나나분말은 9-1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5-10.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솔버섯발효추출물, 에델바이스발효추출물 및 신갈나무잎발효추출물이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복합 발효추출물 3-7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복합 발효추출물은,
솔버섯, 에델바이스 및 신갈나무잎을 세척하고,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는 단계; 동결건조한 솔버섯, 에델바이스 및 신갈나무잎을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복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복합분말 48-52 중량부 및 인삼발효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바실러스 레펜스(Bacillus repen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30-34℃의 온도에서 5-7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88-92℃의 온도로 가열하고, 23-27℃의 온도로 식히는 단계; 식힌 후, β-글루코시다아제 0.3-0.7 중량부를 첨가하고, 32-36℃의 온도에서 10-14시간 동안 효소반응하는 단계; 효소반응 후, 정제수 48-52 중량부를 첨가하고, 98-10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솔버섯(Tricholomopsis rutilans)은 균모의 지름은 4~20 cm이며 종 모양에서 차차 편평하게 된다. 표면의 황색 바탕에는 어두운 적색의 미세한 인편이 덮여 있고 만지면 연한 가죽 같은 감촉을 느낄 수 있다. 주름살은 바른주름살 또는 홈이 패인 주름살로 황색이며 밀생한다. 주름살 가장자리에는 미세한 가루 같은 것이 있다. 자루의 길이는 6~20 cm, 굵기는 1~2.5cm이다. 자루 밑이 조금 가늘고 황색 바탕에 적갈색의 미세한 인편이 분포한다. 속은 살로 차 있다. 포자의 크기는 5.5~7×4~5.5 μm이고 짧은 타원형이며, 여름부터 가을까지 침엽수의 그루터기나 썩은 나무, 특히 소나무의 그루터기에 뭉쳐서 나며 부생생활을 한다. 또한 솔버섯은 콜레스테롤 수치를 떨어뜨리고 혈액순환을 좋게 하는 성분이 있어 동맥경화, 심장병, 당뇨병, 고지혈증 등에도 효과가 있으며, 혈관을 청소해 주는 성분인 Ergothioneine(항산화물질)이 풍부하여 혈관 내 혈전이 쌓이는 것을 방지해 줌으로써 혈관계 질환을 예방해 주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에델바이스(Leontopodium alpinum)는 국화과 우스유키소속에 속하며 유럽과 남아메리카의 고산지대가 원산지이다. 2~10개의 노란 꽃이 두상(頭狀)꽃차례를 이루며 바로 밑에 6~9장의 잎이 달린다. 창 모양의 잎은 부드러운 털로 덮여 하얗게 보이는데 별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다. 키가 5~30㎝이다. 많은 변종들이 있으며 이중 대부분은 관상용으로 쓰인다.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는 참나무과(Fagaceae)에 속하는 쌍떡잎식물 참나무목 참나무과의 낙엽교목으로 우리나라 전국 각지, 특히 북부의 산지대에 자생한다. 국외로는 중국, 사할린, 몽골 등지에도 분포한다. 돌참나무·물가리나무라고도 하며 주로 산지에서 자라고 높은 산에서는 순림을 만든다. 높이 약 30m, 지름 약 1 m에 이른다. 나무껍질은 검은빛을 띤 갈색이며 세로로 갈라지고 겨울눈은 달걀 모양이다. 전체적으로 털이 없으나 잡종성은 털이난다. 잎이 떡갈나무와 비슷하나 뒷면에 갈색 털이 없다는 점에서 다르다.
본 발명에서는 솔버섯, 에델바이스 및 신갈나무잎으로부터 추출한 복합 발효추출물을 붓기 완화용 식품 조성물에 적용하고자 하며, 특히, 상기 복합 발효추출물은 인삼발효추출액을 이용한 발효기술을 통해 플라보노이드 및 아미노산의 함량이 현격하게 증량시켜 추출하여 적용함으로써 기능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발효추출물은 필수 아미노산 성분을 증량시켜 추출한 것으로, 상기 필수 아미노산(essential amino acid, EAA)은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거나 합성되더라도 그 양이 매우 적어 생리기능을 달성하기에 충분하지 않아서 반드시 음식에서 섭취해야만 하는 아미노산을 말한다. 상기 필수 아미노산은 이소루신(isoleucine, I), 류신(leucine, L), 리신(lysine, K), 메티오닌(methionine, M),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F), 트레오닌(threonine, T), 트립토판(tryptophan, W), 발린(valine, V), 히스티딘(histidine, H) 및 아르지닌(arginine, R)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아미노산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인삼발효추출액은,
인삼 및 정제수를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3-7℃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침지 후,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를 첨가하고, 30-34℃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88-92℃의 온도로 가열하여 46-50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및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솔버섯발효추출물, 에델바이스발효추출물 및 신갈나무잎발효추출물이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복합 발효추출물 및 비타민나무열매발효오일 및 잇꽃씨발효오일이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복합 발효오일을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 8-1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1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복합 발효오일은,
비타민나무열매 및 잇꽃씨를 세척하고, 118-122℃의 온도에서 8-12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 열처리한 비타민나무열매 및 잇꽃씨를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고, 분쇄하고,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분말 48-52 중량부 및 인삼발효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바실러스 레펜스(Bacillus repen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30-34℃의 온도에서 5-7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여과하여 고형분을 얻고, 상기 고형분 8-12 중량부 및 헥산 88-92 중량부를 혼합하고, 28-32℃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교반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고 감압농축한 후 원심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감압증류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비타민나무(Hippophae rhamnoides L.)는 중국, 몽골 등이 원산지인 보리수나무과 Elaeagnaceae의 관목성 목본으로 유럽과 중앙아시아에서 폭넓게 자생하고 있으며, 척박한 토양에서 생육이 가능하고 질소고정 능력이 뛰어나서 토양 유실방지와 토양 개간 목적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비타민나무는 열매에는 비타민과 아미노산의 함량이 매우 높고, 면역, 항염, 항산화 등의 생리활성도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globulins, albumins과 같은 단백질과 linoleic acids, linolenic acids와 같은 지방산의 함량이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폴리페놀류, 토코페롤, 카로테노이드, 플라보노이드 등의 항산화성 생리활성물질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잇꽃(Carthamus Tinctorius)은 홍화라고도 불리는데, 붉은색 연지의 원재료로 사용하기도 한다. 홍화는 국화과에 속하는 일년생 풀인 잇꽃의 꽃으로 혈의 순환을 돕고 예로부터 여성에게 좋은 꽃으로 알려져 있는 꽃이다. 특히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홍화 씨에는 비타민 E가 풍부하여 항산화 효능이 있어서, 항노화 등의 다양한 작용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이외에도 플라보노이드, 글리코시드, 알칼로이드, 폴리아세틸린 글리코시드 및 기타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비타민나무열매 및 잇꽃씨로부터 추출한 복합 발효오일을 붓기 완화용 식품 조성물에 적용하고자 하며, 상기 복합 발효오일을 적용함으로써 더욱 우수한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조성물은,
정제수 68-72 중량부 및 인지질 28-32 중량부를 혼합하고, 58-62℃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1차 초음파처리하는 단계;
1차 초음파처리 후, 상기 복합 발효오일 13-17 중량부를 첨가하고, 68-72℃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2차 초음파처리하는 단계; 및
2차 초음파처리 후, 상기 복합 발효추출물 28-32 중량부를 첨가하고, 53-57℃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3차 초음파처리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상기 인지질은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이노시톨, 리소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산, 포스파티딜 세럼, 포스파티딜 글리세롤 및 포스파티딜 이노시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을 사용한다.
상기 복합 발효추출물과 상기 복합 발효오일을 이용하여 복합화한 복합 조성물을 붓기 완화용 식품 조성물에 적용하며, 상기 복합 조성물은 플라보노이드 및 아미노산의 함량이 현격하게 증량하여 추출한 복합 발효추출물과 복합화된 복합 발효오일을 포함하고, 유효성분의 흡수성이 우수하여 기능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복합 발효추출물의 제조-1
인삼 및 정제수를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5℃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침지한 후,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를 첨가하고, 32℃의 온도에서 3일 동안 발효하였다. 발효 후, 90℃의 온도로 가열하여 48시간 동안 끓이고,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어 인삼발효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솔버섯, 에델바이스 및 신갈나무잎을 세척하고, 영하 50℃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고,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복합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복합분말 50 중량부 및 상기 인삼발효추출액 50 중량부를 혼합하고, 바실러스 레펜스(Bacillus repen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균주 1 중량부를 첨가한 후 32℃의 온도에서 6일 동안 발효하였다. 발효 후, 90℃의 온도로 가열하여 발효를 멈추고, 25℃의 온도로 식혔다. 식힌 후, β-글루코시다아제 0.5 중량부를 첨가하고, 34℃의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효소반응하고, 정제수 50 중량부를 추가하고, 100℃의 온도에서 6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복합 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복합 발효추출물의 제조-2
상기 제조예 1에서 인삼발효추출액을 사용하지 않고 정제수를 사용하며, 효소반응을 수행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복합 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복합 발효추출물의 제조-3
상기 제조예 1에서 효소반응을 수행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복합 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복합 발효오일의 제조
비타민나무열매 및 잇꽃씨를 세척하고, 120℃의 온도에서 10분 동안 열처리한 후, 영하 50℃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고, 분쇄하고,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분말 50 중량부 및 상기 인삼발효추출액 50 중량부를 혼합하고, 바실러스 레펜스(Bacillus repen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균주 1 중량부를 첨가한 후 32℃의 온도에서 6일 동안 발효하였다. 발효 후, 여과하여 고형분을 얻고, 상기 고형분 10 중량부 및 헥산 90 중량부를 혼합하고, 30℃의 온도에서 3일 동안 교반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고 감압농축한 후 원심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감압증류하여 복합 발효오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 복합 조성물의 제조
정제수 70 중량부 및 인지질로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30 중량부를 혼합하고, 60℃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1차 초음파처리하였다. 1차 초음파처리 후, 상기 제조예 4에서 제조한 복합 발효오일을 15 중량부 첨가하고, 70℃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2차 초음파처리하였다. 2차 초음파처리 후,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복합 발효추출물 30 중량부를 첨가하고, 55℃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3차 초음파처리하여 복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식품 조성물의 제조-1
호박추출분말 10 중량부, 치커리추출분말 10 중량부, 브로콜리추출분말 10 중량부, 화이트토마토추출분말 1 중량부, 양배추추출분말 10 중량부, 포도씨추출물 5 중량부, 퀘르세틴분말 5 중량부, 브로멜라인 20 중량부, 사과농축분말 10 중량부, 바나나분말 10 중량부 및 덱스트린 9 중량부를 혼합하여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식품 조성물의 제조-2
상기 실시예 1의 식품 조성물에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복합 발효추출물을 5 중량부 추가하여 혼합함으로써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식품 조성물의 제조-3
상기 실시예 1의 식품 조성물에 상기 제조예 4에서 제조한 복합 조성물을 10 중량부 추가하여 혼합함으로써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성분 분석
상기 제조예 1-3에서 제조한 복합 발효추출물의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 분석 및 아미노산 분석기(Amino acid analyzer biochrom 30, Biochrom, UK)를 이용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 아미노산 함량 및 필수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mg/g)
총 아미노산 함량
(mg/g)
필수아미노산 함량
(mg/kg)
제조예 1 67.23 13128.47 4475.11
제조예 2 42.61 6078.77 2012.41
제조예 3 53.67 9543.63 3149.35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발효추출물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 아미노산 함량 및 필수아미노산 함량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항산화 기능성 분석
상기 제조예 1-3에서 제조한 복합 발효추출물을 시료로 하여 항산화력을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라디칼 소거 활성으로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Mensor 등의 방법을 참고하였다. 80㎕의 0.2mM DPPH 에탄올 용액을 각 시료에 20㎕ 가한 후 1분간 교반한 후 25℃ 인큐베이터에서 10분간 반응시켜 ELISA reader를 사용하여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하기 계산식 1에 따라 백분율로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계산식 1>
시료명 항산화효과 (DPPH소거 활성율,%)
제조예 1 56.8
제조예 2 50.1
제조예 3 53.7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의 수치가 높다는 것은 항산화 효과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표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발효추출물은 높은 DPPH 라디칼 소거활성 수치값이 측정되었으며, 우수한 항산화 기능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항염 기능성 분석
상기 제조예 1-3에서 제조한 복합 발효추출물을 시료로 하여 염증 유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NO(Nitric Oxide) 생성 억제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일반적인 NO의 형성은 박테리아를 죽이거나 종양을 제거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염증상태에서 iNOS에 의해 생성된 NO는 혈관 투과성, 부종 등의 염증반응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염증매개체의 생합성을 촉진하여 염증을 심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aw 264.7 세포를 10% 륜가 첨가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5×105 cell/well로 조절한 후 24 well plate에 접종하고, 시료를 처리하고 30분 배양 후 LPS(Lipopolysaccharide, 1㎍/㎖)를 첨가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생성된 NO의 양은 NO 검출키트(iNtRON)를 이용한 측정값을 하기 계산식 2에 의해 산출하고 대조군은 LPS를 단독으로 처리한 실험군이다. NO 생성 억제율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계산식 2>
Figure 112023144478478-pat00002
시료명 NO 생성 억제율(%)
제조예 1 79
제조예 2 67
제조예 3 73
상기 표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발효추출물은 매우 높은 NO 생성 억제율을 나타내었으며, 우수한 항염 효과가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디톡스 기능성 분석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식품 조성물에 대하여 디톡스 기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동물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고지방 식이로 내독소를 유발하고 이에 대한 경감 효과를 측정하였다. 생후 6주령 수컷 마우스를 (주)오리엔트바이오에서 구입하여 1주일 동안 적응시킨 후 사용하였고, 사료와 음용수를 자유 급식하여 1주일간 사육환경에 적응시킨 뒤, 난괴법(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에 의해 실험군을 나누었다. 즉, 실험군은 정상대조군(정상)과 비만 유발군으로 나누고, 비만 유발 그룹은 대조군(비만) 및 실험군 1-3(각각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식품 조성물 투여군)으로 나누어 사육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정상 식이는 AIN-76 diet를 기본으로 하였으며, 고지방 식이는 AIN-76 diet #101772(Dyets Inc., Bethlehm, PA, USA)를 사용하였다. 시험 사료는 매일 일정한 시간에 경구 투여하였다. 매주 사료 효율과 체중을 측정하였고, 8주간 실험 식이 투여 종료 후 12시간 공복하고 심장으로부터 채혈하여 혈청을 분리하고 분석전까지 -70℃에 보관하였다. 사육실 온도는 22±1℃, 습도는 50±10%를 유지하였다.
혈액의 생화학적 분석을 위한 혈청분석 항목은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GOT(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PT(glutamic-pyruvic transaminase), BUN(blood urea nitrogen)으로, 자동혈액분석기(ModulaAnalytics, Roche)로 분석하였으며, 내독소의 측청은 PierceLAL Chromogenic Endotoxin Quantitation Kit(Thermo Scientific., USA)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4에 나타내었다.
내독소 함량 (EU/ml)
정상군 0.145
대조군 0.408
실험군 1(실시예 1) 0.332
실험군 2(실시예 2) 0.258
실험군 3(실시예 3) 0.195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을 적용하는 경우 혈중 내독소 함량이 감소하여 디톡스 효과 및 해독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부종 완화 효과 분석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식품 조성물에 대하여 부종 완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동물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생후 6주령 수컷 마우스를 (주)오리엔트바이오에서 구입하여 1주일 동안 적응시킨 후 사용하였고, 사료와 음용수를 자유 급식하여 1주일간 사육환경에 적응시킨 뒤, 난괴법(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에 의해 실험군을 나누었다. 즉, 실험군은 정상대조군(정상)과 부종 유발군으로 나누고, 부종 유발 그룹은 대조군(부종) 및 실험군 1-3(각각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식품 조성물 투여군)으로 나누어 사육하였다. 마우스 발바닥의 용적을 체적변동 유량계(plethysmometer)로 측정한 후, 실험군 1-3에 각각의 식품 조성물을 투여한 후, 부종을 유발시키기 위해 수컷 마우스의 뒷발바닥에 염증 유발 물질인 1% 카라기닌 생리 식염수 0.1 ml를 피하 주사하였다. 부종 유발 후 1시간 간격으로 4회에 걸쳐 부종의 용적을 측정한 후 주사로 카라기닌 생리 식염수 투여 전 용적을 표준으로 하여 부종율을 각각 계산하였으며, 하기 계산식 3에 의해 계산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계산식 3>
부종율(%) = {(Vt-Vn)/Vn}×100
(Vt : 카라기닌 생리 식염수 주사 후 발바닥 용적, Vn : 카라기닌 생리 식염수 주사 전 발바닥 용적)
부종율 (%)
정상군 3.8
대조군 80.77
실험군 1(실시예 1) 42.57
실험군 2(실시예 2) 35.41
실험군 3(실시예 3) 22.56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을 적용하는 경우 부종율이 낮아 부종 완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3)

  1. 호박추출분말 9-11 중량부, 치커리추출분말 9-11 중량부, 브로콜리추출분말 9-11 중량부, 화이트토마토추출분말 0.8-1.2 중량부, 양배추추출분말 9-11 중량부, 포도씨추출물 4-6 중량부, 퀘르세틴분말 4-6 중량부, 브로멜라인 19-21 중량부, 사과농축분말 9-11 중량부, 바나나분말 9-11 중량부, 복합 발효추출물 3-7 중량부 및 덱스트린 8-1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발효추출물은,
    솔버섯, 에델바이스 및 신갈나무잎을 세척하고,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는 단계; 동결건조한 솔버섯, 에델바이스 및 신갈나무잎을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복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복합분말 48-52 중량부 및 인삼발효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바실러스 레펜스(Bacillus repen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30-34℃의 온도에서 5-7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88-92℃의 온도로 가열하고, 23-27℃의 온도로 식히는 단계; 식힌 후, β-글루코시다아제 0.3-0.7 중량부를 첨가하고, 32-36℃의 온도에서 10-14시간 동안 효소반응하는 단계; 효소반응 후, 정제수 48-52 중량부를 첨가하고, 98-10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인삼발효추출액은,
    인삼 및 정제수를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3-7℃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침지 후,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를 첨가하고, 30-34℃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88-92℃의 온도로 가열하여 46-50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및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붓기 완화용 식품 조성물.
  2. 삭제
  3. 삭제
KR1020230189601A 2023-12-22 2023-12-22 디톡스 효과 및 해독 효과를 통한 붓기 완화용 식품 조성물 KR102653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9601A KR102653686B1 (ko) 2023-12-22 2023-12-22 디톡스 효과 및 해독 효과를 통한 붓기 완화용 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9601A KR102653686B1 (ko) 2023-12-22 2023-12-22 디톡스 효과 및 해독 효과를 통한 붓기 완화용 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3686B1 true KR102653686B1 (ko) 2024-04-02

Family

ID=90714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89601A KR102653686B1 (ko) 2023-12-22 2023-12-22 디톡스 효과 및 해독 효과를 통한 붓기 완화용 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368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0737A (ko) 2018-06-12 2019-12-20 한채원 디톡스-다이어트 물질을 포함하는 식초 조성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0737A (ko) 2018-06-12 2019-12-20 한채원 디톡스-다이어트 물질을 포함하는 식초 조성물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에 게재된 ‘붓기관리는 브이라인 미모소환 붓기환으로’(2021.08.12.).* *
네이버 블로그에 게재된 ‘붓기빼는법, 깐깐한여니씨 퀘르세틴 보울라인C’(2022.05.27.).* *
네이버 블로그에 게재된 ‘혈액순환 관리, 다리 혈액순환|발란스핏 라인Q’(2022.10.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inha et al. Phytochemistry, ethnomedical uses and future prospects of Mahua (Madhuca longifolia) as a food: a review
KR101541516B1 (ko) 누에와 뽕나무잎과 상지(桑枝)를 주원료로한 이온미네랄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KR102136052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20120014712A (ko) 여주를 주원료로 한 혈당강하용 기능성 음료와 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87112A (ko) 꽃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12491B1 (ko) 혈당강하용 기능성 여주음료의 제조방법
Shubhashree et al. Therapeutic and nutritional values of Narikelodaka (tender coconut water)-A review
KR20220013451A (ko) 유산균 발효숙성 노니 및 코코넛 슈가를 포함하는 유산균 발효 노니 식초 및 유산균 발효숙성 노니의 제조방법
KR101632794B1 (ko) 흰점박이 꽃무지를 주재료로 하는 환의 제조방법
KR101122586B1 (ko) 전복 동결건조 육을 함유한 숙취해소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42657A (ko)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항산화 및 피부항염증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Nguyen Combining a Number of Medicinal Herbs in order to Treat Fatty Liver Disease
KR102653686B1 (ko) 디톡스 효과 및 해독 효과를 통한 붓기 완화용 식품 조성물
Alsarayrah et al. The health values of Phoenix dactylifera (dates): a review.
KR102238009B1 (ko) 노니가 함유된 홍삼 가공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02065B1 (ko) 항균식물 복합 발효액을 이용한 고추장 제조방법
KR101620939B1 (ko) 황칠나무와 배를 이용한 항비만 천연발효식초의 제조방법
KR10213605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2050554B1 (ko)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51344B1 (ko) 항염, 근육 증강, 관절 건강 및 연골 건강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1811227B1 (ko) 구기자, 복분자,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한 면역증진, 피로회복, 생리활성 및 해독작용을 위한 조성물
KR102651348B1 (ko) 발기 촉진 유지 및 전립선 건강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653689B1 (ko) 방광염 및 요실금과 같은 방광의 배뇨기능을 개선하기 위한 식품 조성물
KR20200142768A (ko)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2365198B1 (ko) 천마, 하수오 및 산양삼을 이용한 기능성 액상 건강식품의 제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