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5983B1 - 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5983B1
KR100755983B1 KR1020060096934A KR20060096934A KR100755983B1 KR 100755983 B1 KR100755983 B1 KR 100755983B1 KR 1020060096934 A KR1020060096934 A KR 1020060096934A KR 20060096934 A KR20060096934 A KR 20060096934A KR 100755983 B1 KR100755983 B1 KR 100755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extract
composition
bamboo
hou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6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운서
구자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이프투게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이프투게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이프투게더
Priority to KR1020060096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59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5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5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1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7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drying, e.g. sun-drying or wil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나무 추출물 및 임의로 산초, 대산근, 실백, 천마, 오두, 홍삼, 흑임자, 감초, 서목태, 솔잎, 백인자, 하수오, 및 음양곽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의 생약의 추출물 및/또는 온천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 촉진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은 모낭충의 살충, 비듬 방지,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에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COMPOSITION FOR STIMULATING HAIR GROWTH AND PREVENTING DEPILATION CONTAINING BAMBOO EXTRACT}
도 1a 내지 1d는 탈모증을 앓고 있는 64세 성인남성에게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한 경우의 발모 효과를 보여주는 사진으로, 1a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하기 전의 모습이고, 1b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90일 동안 적용한 후의 발모 상태이고, 1c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105일 동안 적용한 후의 발모 상태이고, 1d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130일 동안 사용한 후의 발모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2a 내지 2c는 원형탈모증을 앓고 있는 12세 소녀에게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한 경우의 발모 효과를 보여주는 사진으로, 2a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하기 전의 모습이고, 2b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30일 동안 사용한 후의 발모 상태이고, 2c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60일 동안 사용한 후의 발모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은 대나무 추출물 및 임의로 산초, 대산근, 실백, 천마, 오두, 홍삼, 흑임자, 감초, 서목태, 솔잎, 백인자, 하수오, 및 음양곽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의 생약의 추출물 및/또는 온천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 촉진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은 모낭충의 살충, 비듬 방지,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에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탈모의 원인으로 남성 호르몬의 영향, 과다한 스트레스, 자외선, 헤어 제품에 의한 피부자극 등이 이미 자세히 알려져 있으며, 이들 원인과 함께, 두피 모낭 속에 기생하고 있는 모낭충이 탈모를 일으킨다는 연구 결과가 지속적으로 얻어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지금까지의 연구에 따르면 탈모 모낭충이 일반인에게서 15% 정도 발견되는 반면, 탈모 환자에게서는 85% 정도 발견된다고 보고되어 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탈모증에 모낭충이 원인으로 작용한다고 결론지을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반론은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
발모제의 유형은 크게 모발의 혈액순환을 촉진하거나 영양을 공급하는 것, 신진대사를 촉진하는 것, 지방분을 줄여주거나, 환원효소를 억제하는 방법에 의한 것으로 나눌 수 있지만, 이들은 모두 큰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발모제로서 미국식품의약청(FDA)에서 인정한 약품은 미녹시딜과 프로페시아 뿐이다. 미녹시딜은 원래 혈압강화제로서 이약을 사용한 환자들에게 발모가 촉진되는 것이 확인되어 바르는 발모제로서 개발되었으나, 독자적으로는 효과가 불충분하여 트레티노인 등의 피부 자극제를 적용한 수 사용하여야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MSD사에서 개발한 프로페시아는 5-알파-환원효소의 작용을 저 해하는 DHT의 생성을 억제하여, 남성형 탈모를 예방하고 치료하는 효과를 갖는 경구용 탈모 치료제이나, 장기 복용 시 생식 능력 장애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
따라서, 부작용이 없고 인체에 무해하며, 탁월한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가 있는 발모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한 천연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사용하여, 부작용이 적고, 비듬 및 탈모 방지 효과가 우수하며, 모낭충에 대한 살충 효과가 우수하여, 발모 방지 및 양모를 촉진 효과가 우수하고, 그 효과가 지속적인 발모 방지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대나무 추출물 및 임의로 산초, 대산근, 실백, 천마, 오두, 홍삼, 흑임자, 감초, 서목태, 솔잎, 백인자, 하수오, 및 음양곽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의 생약의 추출물 및/또는 온천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 촉진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은 모낭충의 살충, 비듬 방지,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에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모낭충 살충, 혈류촉진, 항염 효과, 국소 자극 등의 복합적인 기능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듬, 탈모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로, 치료제 뿐 아니라, 샴푸, 에센스 등의 각종 모발 제품에 적용 가능하다.
우선, 본 발명은 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대나무 추출물은 오죽, 청죽 및 산죽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산초, 대산근, 실백, 천마, 오두, 홍삼, 흑임자, 감초, 서목태, 솔잎, 백인자, 하수오, 및 음양곽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의 생약의 추출물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생약 성분 중, 대나무는 외떡잎식물 벼목화본과 대나무아과(Bambusoide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상록 교목을 총칭하는 것이다. 대나무 액에는 200여종의 유효성분이 함유되어 있는데, 각종 유기물이 10~20% 정도 함유되어 있으며, 그 외에도 알콜류, 페놀류, 에스텔유, 알데히드류 등의 중성물이 함유되어 있다. 대나무액 성분 중에는 살충 및 살균 효과가 있고 백발, 탈모, 비듬, 가려움증에 대하여 우수한 효과를 갖는 성분이 있어서, 희석액으로 하여 악취 제거, 숙취 제거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어서, 일본 등에서는 음료수로도 사용되고 있으며, 그 용해력과 침투성이 우수하여, 다른 한방 재료와 혼합하여 당뇨병 등의 치료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 성분으로서의 대나무는 그 종류에 제한이 없으며 모든 종의 대나무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오죽(Phyllostachys nigra), 청죽 및 산죽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죽, 청죽 및 산죽의 하대부분을 추출한 각각의 추출액의 성분을 분석한 결 과는 다음과 같다:
- pH: 3.0±0.5
- 비중 (20℃에서): 1.014 내지 1.028
- 색상: 투명한 연한 황적갈색
- 유기 산량 (초산으로서): 2.5 내지 7.0%
- 수지: 탈류 1.0% 이하
본 발명에 있어서의 대나무 추출액은 대나무, 바람직하게는 오죽, 청죽 및 산죽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을 180 내지 400℃의 고온으로 약 18 내지 24시간동안 가열하여 발생하는 증기를 포집한 후, 냉각시켜 얻어진 용액 (이하 '대나무 추출물'이라 칭함)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 가능한 대나무 부위에는 제한이 없으며, 예컨대, 뿌리 가까운 부분인 하대, 왕골, 잎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특히 하대 부분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있어서, 고온에서 견딜 수 있는 내열 토기를 유약을 사용하지 않고 안쪽으로 황토를 바른 가마를 제작한 후, 참숯과 왕겨를 태우면서 가마의 내부온도(180 내지 400℃)를 유지시켜야 하며, 24 시 간정도 가열하여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온도제어를 위하여 찬물을 이용할 수 있으며, 찬물에 의하여 온도가 냉각되어 이슬점 이하가 되면 증기가 액화된다.
상기 산초 또는 산초나무(Zanthoxylum schinifolium)는 운향과(芸香科 Rutaceae)에 속하는 낙엽 관목이다. 산초 열매의 껍질을 천초라고 하며, 약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경우 열매가 익어 갈라질 무렵에 채취하여 사용한다. 산초열매 껍 질은 건위, 정장, 구충, 해독 등의 작용이 있어서, 소화 불량, 식체, 위하수, 위확장, 구토, 이질, 설사, 기침, 회충 구제 등에 사용된다. 또한, 산초열매 껍질에 함유된 매운 맛을 내는 성분인 산시올(sanshol)은 국소 마취 효과와 살충 효과를 동시에 나타내어 생선 독 등에 중독되었을 때는 해독제로서 이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가능한 산초의 부위에는 제한이 없으며, 예컨대, (산초열매 껍질, 뿌리, 줄기, 잎 등의 부위를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산초 열매 껍질 부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대산(Allium sativum)은 주로 마늘로 알려져 있는 외떡잎 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그 뿌리에는 알리신(Allisin), 알리인(Alliin)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알리신, 스코르진은 페니실린의 100:1정도의 살충력을 가지고 있다.마늘에는 곰팡이를 죽이고, 대장균, 포도상 구균 등에 대하여도 살충 효과가 있다는 것이 실험에 의하여 밝혀져 있다. 대산의 독특한 냄새는 황화아릴 때문이며, 비타민 B를 많이 함유하고 있다. 대산은 한방에서는 비위(脾胃)를 따뜻하게 하고 기(氣)를 돋구며 살충 및 소종(消腫)의 효능이 있어 소화불량, 위장의 냉통 (冷痛), 수종(水腫), 이질, 버짐으로 인한 탈모,ㅇ종기 등에 달여서 복용하거나 으깨어 환부에 붙인다. 대산의 알리신 성분은 신경 안정 작용을 하여 피로해 있을 때는 자극과 영양을 주어 피로회복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의 자극을 완화시키거나 활력을 높이는 효과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부위에는 제한이 없으며, 특히 뿌리부분 (대산근)이 바람직하고, 이 외에도 대산열매 (마늘), 대산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실백 (Pinus koraiensis)은 겉씨식물인 소나무과(Pinaceae)에 속하는 상록 교목인 잣나무의 열매이다. 잣이 지니고 있는 성분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우수한 자양 강장제의 역할을 하는 지방 성분으로, 잣에 함유된 지방은 올레린산과 리놀산, 리놀레인산 등 불포화 지방산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비만증, 고혈압, 신경쇠약, 관절염 등에 효과가 있으며, 흰 머리카락을 검게하는 효능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서목태는 콩과(Fabaceae)에 속하는 식물의 씨를 이르는 것으로, 서목태 1알은 단백질 40%, 탄수화물 35% (식이성 섬유 25%, 및 올리고당 10%), 지질 20%, 비타민 5%, 및 그 외에도 칼슘, 레시틴 이소플라본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서목태는 5-알파-환원효소의 활성을 저해하며, 독일의 KJ 맥 엘위박사와 연구진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서목태를 복용한 쥐에서 원형 탈모증상이 완화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흑임자(Sesamum indicum)는 검은깨라고도 불리며, 리놀레산, 리놀레인산, 등의 불포화 지방산, 필수 아미노산, 비타민 E, 칼슘, 비타민 B1 및 B2, 지질과 철분 등이 균형 있게 함유되어 있다. 지질성분은 혈관을 튼튼하게 해주고, 두피에 영향을 주어 머리카락이 빠지는 것을 막는 효과가 있다. 특히, 조기에 대머리가 된 경우에 효과가 좋으며, 머리가 하얗게 되는 것을 예방하는 하는 효과도 있다. 한방에서는 피가 폐해서 탈모가 오는 것으로 보아, 피를 보충해주는 흑임자가 탈모 방지 효과와 함께 머리카락을 검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고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천마(Gastrodia elata)는 난초과(蘭草科 Orchidaceae)에 속하는 반기생성 다년생초이다. 천마에 함유된 성분으로는 탄수화물 89.8%, 조단백질 6.2%로서, 타 작물에 비하여 단백질 함량이 높은 편이다. 또한 천마의 지방산은 주로 불포화 지방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칼슘의 함량이 1,265로 가장 높다. 이 외에도, 천마는 인, 칼슘, 나트륨, 마그네슘 등을 함유하여 인체의 생리 조절에 유효하며, 간, 신장, 폐, 대장을 튼튼하게 하고, 살결을 옥같이 곱게 하며, 머리카락을 까맣게 하고, 혈액을 깨끗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백자인(Thuja orientalis)는 측백나무과(側柏―科 Cupressaceae)에 속하는 상록 비늘잎 교목이다. 측백나무에는 무덤 속의 시신에 생기는 벌레를 죽이는 살충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측백엽 (側柏葉, 지엽)의 정유(精油) 성분에는 투젠(thujene), 투존(thujone), 펜촌(fenchone), 피넨(pinene), 카리오필렌(caryophyllene) 등이 있다. 또한, 아로마덴드린(aromadendrin), 퀘르세틴(quercetin), 미리세틴(myricetin), 히노키플라본(hinokiflavone), 아멘토플라본(amenthoflavone) 등의 플라보노이드류도 포함되어 있다. 신선한 측백엽에는 플라보노이드, 탄닌, 수지(樹脂), 비타민 C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근피에는 상처가 진무른 것을 치료하고, 모발을 자라게 하며, 지엽은 양혈(凉血), 지혈, 거풍습(祛風濕), 종독(腫毒) 등의 효능이 있다. 또한 비출혈(鼻出血), 혈뇨, 혈리(血痢), 장풍(腸風), 붕루(崩漏), 풍습비통(風濕痺痛), 세균성이질, 고혈압, 해소(咳嗽), 이하선염, 탕상 등의 치료 효과가 있다. 또한, 몸을 가볍게 하고, 기를 돋우며, 한서(寒暑)에 대한 내구력을 지니고, 새살을 나게 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백자인의 부위에는 제한이 없으며, 예컨대, 잎, 껍질, 열매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열매 부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수오(Pleuropterus multiflorus) 마디풀과(Polygon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이다. 하수오는 안트라퀴논(anthraquinone)을 함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수오는 질소 1.1%, 전분 45.2%, 조지방 3.1%, 광물질 4.5%, 레시틴 3.7% 옥시메틸안트라퀴논 화합물 1.78%, 수가용성 물질 총량 26.4% 등을 함유하고, 백수오는 회분 3.87 내지 4.69%. 산불용성 회분 0.91 내지 1.07% 등을 함유한다. 하수오는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강심리뇨등의 작용이 있어서, 빈혈증과 구병, 선종, 만성풍비, 신경쇠약, 궤양수감 등에 효과가 있고, 나력, 옹종, 치창, 학질, 심복통, 대하, 산후제병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백발을 검게 하는 자양강장제로도 쓰인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하수오의 부위에는 제한이 없으며, 예컨대, 뿌리, 잎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뿌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 외에도, 미나리아재비과의 덩이뿌리 식물로서, 부자라고도 불리는 오두(烏頭), 수삼을 쪄서 말린 홍삼, 감초 (Glycyrrhiza uralensis), 솔잎,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무과의 여러해살이풀인 삼지구엽초(Epimedium koreanum)의 식물체 전체를 이르는 음양곽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용 가능한 감초의 유용한 사용부위는 주로 뿌리이며, 황색으로 단맛이 있으며, 거의 약재로 사용된다. 뿌리에는 유효성분으로 기퀴리친, 글루쿠로닉산, 글리씰하이직산, 글리씰하이진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일반 약리작용으로 제독, 교미완하작용을 하는 외에도 특히 글리씰하이진은 진해작용과 거담작용을 한 다. 감초 성분 중 글리씰하이직산은 용혈작용, 즉 항알러지 작용, NK 세포 활성화 작용, 인테페론 유리를 촉진하여 항염작용을 한다. 또한 위산분비를 억제하고 위점막을 보호하는 항궤양 작용도 한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홍삼은 중추신경에 대해서 진정작용과 흥분작용이 있으며, 순환계에 작용하여 고혈압이나 동맥경화의 예방효과가 있다. 또한 조혈작용(造血作用)과 혈당치(血糖値)를 저하시켜 주고, 간을 보호하며, 내분비계에 작용하여 성행동(性行動)이나 생식효과에 간접적으로 유효하게 작용하며, 항염(抗炎) 및 항종양작용(抗腫瘍作用)이 있고, 방사선에 대한 방어효과, 피부를 보호하며 부드럽게 하는 작용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홍삼의 효과 중 중요한 것은 어댑토겐(adaptogen:適應素) 효과로서, 주위 환경으로부터 오는 각종 유해작용인 누병(淚病), 각종 스트레스 등에 대해 방어능력을 증가시켜 생체가 보다 쉽게 적응하도록 하는 능력이 있음이 과학적으로 입증되어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음양곽은 매자나무과(―科 Berberid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로서, 삼지구엽초(Epimedium koreanum)라고도 불리며, 경기도 이북지방에서 자라고, 키는 약 30㎝이다. 옆으로 기면서 자라는 1개의 뿌리줄기에서 여러 줄기가 나와 무리지어 자란다. 잎은 1~2개씩 어긋나는데 3개씩 2번 갈라져 있다. 전초에 알카로이드, 플라보노이드, 사포닌이 있으며, 지표성분은 플라보노이드인 이카린(icariin, C33H42O16)이며, 주로 잎과 줄기에 많이 들어 있다. 잎에는 휘발성 정유성분, 세릴 알코올(ceryl alcohol), 헨트리아콘탄(hentriacontane), 피토스테롤(phytosterol), 탄닌(tannin), 유지 등과,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 놀레산 등의 지방산이 함유되어 있다. 삼지구엽초는 온갖 균을 죽이는 작용도 있고 기침을 멎게 하고 가래를 삭이며 장운동을 억제하는 작용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음양곽 부위는 제한이 없으며, 예컨대, 뿌리와 잎을 사용할 수 있고, 특히, 뿌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초, 실백, 천마, 대산근, 오두 및 흑임자는 추출용매로서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 형태로 사용하며, 상기 유기용매로는 탄소수 1 내지 5의 저급 알코올,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중에서도, 인체 유해성, 나머지 재료들에 대한 용해성 및 건조 효율 등을 고려할 때, 65% 내지 95%의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생약 성분의 추출물은 상기 추출용매에 상기 생약 재료를 16 내지 24시간 동안 냉침 또는 90℃ 내지 100℃에 온침하고, 상기 생약 성분 중 2 가지 이상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연속적으로 8시간 내지 30 시간동안 혼합하여 추출 용액을 얻고, 이를 여과하여 추출액만 분리하고, 얻어진 여과액을 고액분리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고액분리는 2000 내지 5000 rpm, 바람직하게는 3600 rpm에서의 원심분리가 바람직하다.
상기 홍삼, 감초, 서목태 및 솔잎 또한 물 또는 유기용매에서 추출한 추출물의 형태로 사용하며, 상기 유기용매로는 탄소수 1 내지 5의 저급 알코올,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중에서도, 유기 인체의 유해성, 나머지 재료들에 대한 용해성 및 건조 효율 등을 고려할 때, 65% 내지 95%의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생약 성분의 추출물은 상기 추출용매에 상기 생약 재료를 16 내지 24시간 동안 냉침 또는 70℃ 내지 80℃에서 온침하고, 상기 생약 성분 중 2 가지 이상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연속 4시간 내지 24 시간동안 연속 혼합하여 얻어진 추출용액을 여과하여 추출액만 분리하고, 얻어진 여과액을 고액 분리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고액분리는 2000 내지 5000 rpm, 바람직하게는 3600 rpm에서의 원심분리가 바람직하다.
상기 백자인, 하수오 및 음양곽 또한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 형태로 사용하며, 상기 유기용매로는 탄소수 1 내지 5의 저급 알코올,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중에서도, 인체 유해성, 나머지 재료들에 대한 용해성 및 건조 효율 등을 고려할 때, 65% 내지 95%의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생약 성분의 추출물은 상기 추출용매에 상기 생약 재료를 16 내지 24시간 동안 냉침 또는 70℃ 내지 80℃에서 온침하고, 상기 생약 성분 중 2 가지 이상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12시간 내지 24 시간동안 연속 혼합하여 얻어진 추출용액을 여과하여 추출액만 분리하고, 얻어진 여과액을 고액 분리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고액분리는 2000 내지 5000 rpm, 바람직하게는 3600 rpm에서의 원심분리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대나무 추출물과 산초, 대산근, 실백, 천마, 오두, 홍삼, 흑임자, 감초, 서목태, 솔잎, 백인자, 하수오, 및 음양곽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의 생약의 추출물을 추가로 함유하는 경우, 대나무 추출물과 추가로 함유되는 각각의 추출물 간 중량비는 1:0.5 내지 2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1이다.
또한, 상기 대나무 추출물과 산초, 대산근, 실백, 천마, 오두, 홍삼, 흑임 자, 감초, 서목태, 솔잎, 백인자, 하수오, 및 음양곽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의 생약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대나무 추출물과 생약의 추출물은 혼합한 후, 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저급 알코올, 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70 내지 100 ℃에서 1 내지 10 시간 동안 더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의 생약 추출물에 더하여 온천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온천염은, 지하에 존재하는 25℃ 이상의 온수를 증발시켜 얻은 것으로,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미량 원소를 포함하고 있어서, 이를 사용하여 목욕시 피부에 잘 침투 및 흡수되어, 임파액과 혈관, 혈액조직의 모든 순환을 도와, 발모 촉진 및 탈모 방지의 치료 효과를 보다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생약 추출물 이외에 상기 생약 추출물 10 내지 99.8 중량부에 대하여 온천염을 0.1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부의 양으로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온천염의 함량이 상기 범위보다 적은 경우에는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상기 보다 많은 경우에는 두피에 자극을 줄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통상의 보습제, 점증제, 계면활성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의 첨가제를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45중량부의 양으로 방부제, 안정제 및 분산제, 자외선 흡수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통상의 보습제로서 사용되는 글리세린을 15% 내지 15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글리세린은 화장품, 식품 등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습제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글리 세린을 사용함으로써 두피가 건조해 지는 것을 방지하며, 조성물의 성분의 두피를 통한 흡수가 보다 빠르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은 소량의 정제수를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대나무 (바람직하게는 오죽 및/또는 청죽 및/또는 산죽) 증류액 또는 상기 대나무 추출물과 산초, 대산근, 실백, 천마, 오두, 홍삼, 흑임자, 감초, 서목태, 솔잎, 백인자, 하수오, 및 음양곽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의 생약 추출물의 혼합물 10 내지 99.8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0 중량부, 온천염 0.1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부, 및 정제수 0.2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보습제, 점증제 및 계면활성제 방부제, 안정제, 분산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의 첨가제를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45 중량부의 양으로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은 치료를 위한 약제 뿐 아니라, 통상의 삼푸, 헤어 에센스 등의 모발 제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적용되는 형태에 따라서 함유되는 유효성분의 함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삼푸 및 에센스 등의 모발 제품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품에 함유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함량은 10 내지 99.8 중량%의 범위에서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통상의 첨가제를 추가로포함할 수 있 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대나무, 바람직하게는 오죽, 청죽 및 산죽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을 180 내지 400 ℃의 고온으로 약 24 내지 48 시간동안 가열하여 발생하는 증기를 포집한 후 냉각시켜 대나무 추출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모 촉진 및 탈모 방지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은,
산초, 실백, 천마, 대산근, 오두 및 흑임자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의 생약 성분을 물 또는 유기용매에 16 내지 24시간 동안 냉침 또는 80 내지 90℃에 온침하, 2 종 이상의 생약 성분을 사용하는 경우 연속적으로 8 시간 내지 30 시간동안 혼합하여 추출 용액을 얻고, 이를 여과하여 추출액만 분리하고, 분리된 여과액을 고액분리하여 추출물을 얻는 단계;
홍삼, 감초, 서목태 및 솔잎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의 생약 성분을 물 또는 유기용매에 16 내지 24시간 동안 냉침 또는 80 내지 90℃에서 온침하고, 2 종 이상의 생약 성분을 사용하는 경우, 연속 4시간 내지 24 시간동안 연속혼합하여 얻어진 추출용액을 여과하여 추출액만 분리하고, 분리된 여과액을 고액분리하여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백자인, 하수오 및 음양곽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의 생약 성분을 물 또는 유기용매에 16 내지 24시간 동안 냉침 또는 70℃ 내지 80℃에서 온침하고, 2 종 이상의 생약 성분을 사용하는 경우, 12시간 내지 24 시간동안 연속 혼합하여 얻어진 추출용액을 여과하여 추출액만 분리하고, 분리된 여과액을 고액 분리하여 추출물을 얻는 단계로 이루어진 생약 성분의 추출물 제조 공정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공정과, 상기 하나 이상의 공정에서 제조된 추출물을 상기 대나무 추출물과 혼합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발모 촉진 및 탈모 방지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조 방법은 상기 방법으로 얻어진 대나무 추출물 및 추가적인 생약성분 추출물의 혼합물을 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저급 알코올, 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70 내지 100 ℃에서 1 내지 10 시간 동안 더 추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 및 추출 조건은 상기 한 바와 같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추출한 본 발명의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용 조성물은 추출액을 그대로 도포하거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첨가제 예컨대, 정제수, 에탄올, 다가알콜인 글리세린류, 고급지방산인 리놀렌산, 팔미틴산류, 지방산글린세리드, 유지인 올리브유, 스쿠알렌 및 유동파라핀, 계면활성제, 유화제, 가용화제 등과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피부침투 충전제나 통상의 발모제와도 혼합되어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외용제로 제형화하여 발모부위에 도포함으로서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모제 조성물은 작용이 지속적이고 장시간 사용시 부작용이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상기와 같이 얻어진 한 가지 이상의 생약 추출 물 10 내지 50 중량부에 온천염 0.1 내지 30 중량부를 추가로 첨가하는 단계 및/또는 통상의 보습제, 점증제, 계면활성제 방부제, 안정제, 분산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의 첨가제를 0.1 내지 45 중량부 양으로 추가로 첨가하는 단계 및 소량의 정제수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오죽의 혼합추출물 제조
오죽의 하대 부위 30 kg을 30 내지 50 cm 크기로 절단하여 300 ℃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하면서 발생하는 증기를 포집하고, 8℃로 냉각 시켜, 대나무 추출물 600㎖을 얻었다.
실시예 2. 산초, 실백, 천마, 대산근, 오두 및 흑임자의 혼합추출물 제조
산초의 열매껍질부위 20g, 실백 20 g, 천마 20 g, 대산근 20g, 오두 뿌리 20g, 및 흑임자 20g의 혼합물을 80% 에탄올 200 ㎖에 넣고, 80~90℃에서 24시간동안 침지시켰다. 얻어진 침지액을 필터(Miracloth)를 사용하여 여과하여 얻어진 여과액을 3600rpm에서 25분동안 원심분리하여, 상기 생약성분의 추출물 91.8g을 얻었다.
실시예 3. 홍삼, 감초, 서목태 및 솔잎의 혼합추출물 제조
홍삼 25g, 감초 25, 서목태 25 g 및 솔잎 25 g의 혼합물을 80% 에탄올 200) ㎖에 넣고, 70℃에서 24시간동안 침지시켰다. 얻어진 침지액을 필터(Miracloth)를 사용하여 여과하여 얻어진 여과액을 3600rpm에서 25분동안 원심분리하여, 상기 생약성분의 혼합추출물 81.6 g을 얻었다.
실시예 4. 백자인, 하수오 및 음양곽의 혼합추출물 제조
백자인 25g, 하수오 25g 및 음양곽 20 g의 혼합물을 80%의 에탄올 200ml에 넣고 90℃에서 24시간동안 침지시켰다. 얻어진 침지액을 필터(Miracloth)를 사용하여 여과하여 얻어진 여과액을 3600rpm에서 25분동안 원심분리하여, 상기 생약성분의 혼합추출물 57.05g을 얻었다.
실시예 5. 상기 생약 성분 추출물과 글리세린, 온천염, 및 정제수의 혼합
상시 실시예 1 내지 4에서 얻어진 추출물 각각 25g씩을 85% 에탄올 200ml에 침지하고 90℃에서 6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얻어진 혼합 추출물 총액 80g에 온천염 7g, 글리세린 11g, 및 정제수 등을 혼합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함량을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성분명 작용 함량(중량%)
A 글리세린 보습제 10.000
디글리세린 1.0000
Eveing Primrose Oil 방향제 0.0000005
B NK Polymer #224(CMC#1260) 점증제 0.3250
Carbopol 940 점증제 0.1100
멘톨 크리스탈 방향제 0.18500
C 실리카 380 충전제 0.02500
D 라우라마이드 DEA 계면활성제 0.8651
E 생약 추출물 모낭충살충, 비듬, 탈모방지, 양모, 발모촉진 80.000
F Alum 수렴제 0.0080
G Uvinul Ds-49 자외선흡수제 0.02500
H 메틸파라벤 방부제 0.2250
I T·E·A 안정제 0.0300
J 온천염 혈류 촉진 7.0000
k Di-water 정제수 0.202
실험예 :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발모 촉진 및 탈모 방지 효과 실험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중앙부위가 거의 탈모된 64세의 성인 남성과 원인 불명의 탈모증을 앓고 있는 12세의 여아에게 적용하여 발모 상태를 시험하였다.
상기 두 환자에게 각각 본 발명의 발모 조성물 약 5g을 1일 2회씩 3개월간 두피에 각각 골고루 도포한 후 두 환자에서의 발모상태를 각각 도 1a 내지 1d 및 2a 내지 2c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험 결과, 도포 후 30 일 경과시부터 모낭충이 제거되고, 새로운 모발이 자라기 시작하였다. 도포 후 3 개월 경과시에는 모발이 빠지지 않고 탈모된 전 부위에 새로운 모발이 자라는 결과를 볼 수 있었다. 특히, 12세의 어린이에게서는 도포 후 약 60일 경과시에는 거의 정상인과 유사한 발모상태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은 생약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함유하여 부작용이 없고 발모 촉진 및 양모 효과와 탈모 방지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하여, 탈모 치료제 뿐 아니라, 샴푸, 에센스 등의 각종 모발 제품에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

Claims (17)

  1. 대나무를 180 내지 400 ℃의 온도에서 24 내지 48 시간동안 가열하여 발생하는 증기를 포집한 후 냉각시켜 얻어진 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는 오죽, 청죽 및 산죽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의 것인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산초, 실백, 천마, 대산근, 오두, 및 흑임자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의 생약재료의 추출물;
    홍삼, 감초, 서목태, 및 솔잎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의 생약재료의 추출물; 및
    백자인, 하수오 및 음양곽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의 생약재료의 추출물
    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의 추출물을 추가로 함유하는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산초, 실백, 천마, 대산근, 오두 및 흑임자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의 생약 재료의 추출물은 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저급 알코올, 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유기용매에 상기 생약 재료를 16 내지 24시간 동안 냉침 또는 80℃ 내지 100℃에 온침하여 얻어진 것인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홍삼, 감초, 서목태 및 솔잎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의 생약 재료의 추출물은 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저급 알코올, 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유기용매에 상기 생약 재료를 16 내지 24시간 동안 냉침 또는 60℃ 내지 70℃에서 온침하여 얻어진 것인 조성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백자인, 하수오 및 음양곽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의 생약 재료의 추출물은 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저급 알코올, 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유기용매에 상기 생약 재료를 16 내지 24시간 동안 냉침 또는 70℃ 내지 80℃에서 온침하여 얻어진 것인 조성물.
  8. 삭제
  9.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 추출물 또는 대나무 추출물과 생약 재료의 추출물의 혼합물 10 내지 99.8 중량부에 대하여 온천염 0.1 내지 30 중량부를 추가로 함유하는 조성물.
  10.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습제, 점증제, 계면활성제, 방부제, 안정제 및 분산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의 첨가제를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45 중량부의 양으로 추가로 함유하는 조성물.
  11.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제품.
  12. 삭제
  13. 제9항에 따른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제품.
  14. 제10항에 따른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제품.
  15. 대나무를 180 내지 400 ℃의 고온으로 24 내지 48 시간동안 가열하여 발생하는 증기를 포집한 후 냉각시켜 대나무 추출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모 촉진 및 탈모 방지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산초, 실백, 천마, 대산근, 오두 및 흑임자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의 생약 성분을 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저급 알코올, 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유기용매에 16 내지 24시간 동안 냉침 또는 80 내지 90℃에 온침하여 추출물을 얻는 단계;
    홍삼, 감초, 서목태 및 솔잎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의 생약 성분을 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저급 알코올, 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유기용매에 16 내지 24시간 동안 냉침 또는 80 내지 90℃에서 온침하여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백자인, 하수오 및 음양곽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의 생약 성분을 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저급 알코올, 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유기용매에 16 내지 24시간 동안 냉침 또는 70℃ 내지 80℃에서 온침하여 추출물을 얻는 단계
    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성분의 추출물 제조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발모 촉진 및 탈모 방지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제조된 대나무 추출물과 한 가지 이상의 생약 성분의 추출물을 혼합한 후, 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저급 알코올, 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70 내지 100 ℃에서 1 내지 10 시간 동안 더 추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발모 촉진 및 탈모 방지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060096934A 2006-10-02 2006-10-02 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755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6934A KR100755983B1 (ko) 2006-10-02 2006-10-02 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6934A KR100755983B1 (ko) 2006-10-02 2006-10-02 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5983B1 true KR100755983B1 (ko) 2007-09-06

Family

ID=38736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6934A KR100755983B1 (ko) 2006-10-02 2006-10-02 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598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126B1 (ko) 2008-01-09 2010-07-13 홉킨스바이오연구센터(주)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111132B1 (ko) * 2009-01-06 2012-03-26 (주) 에이텍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
KR101502024B1 (ko) * 2008-01-14 2015-03-12 (주)아모레퍼시픽 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정발제 조성물
WO2020111621A1 (ko) * 2018-11-29 2020-06-04 (주)아모레퍼시픽 탈모 또는 피부 염증 억제용 조성물
KR20200113600A (ko) * 2019-03-26 2020-10-07 위샘결 탈모 및 두피 관리용 조성물
KR20210003055A (ko) * 2019-07-01 2021-01-11 이상욱 식물추출물과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육모용 조성물
KR102594811B1 (ko) 2023-08-09 2023-10-30 주식회사 에이치티오인터내셔널 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조성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4667A (en) * 1992-06-04 1996-02-27 Kabushiki Kaisha Hayahibara Topically applied hair restorer containing pine extract
KR20010030194A (ko) 1999-09-03 2001-04-16 송시훈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 조성물
KR20030017172A (ko) 2001-08-24 2003-03-03 조천호 천연식물 농축 조성물
KR20030036536A (ko) 2003-04-16 2003-05-09 송훈호 두피 및 모발의 개선효과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0539298B1 (ko) * 2004-08-16 2005-12-28 주식회사 태평양 인플라메이징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60015715A (ko) 2005-10-07 2006-02-20 가부시키가이샤 호오도 피부 보호 조성물
KR20060076261A (ko) 2006-06-07 2006-07-04 전양읍 발모촉진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4667A (en) * 1992-06-04 1996-02-27 Kabushiki Kaisha Hayahibara Topically applied hair restorer containing pine extract
KR20010030194A (ko) 1999-09-03 2001-04-16 송시훈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 조성물
KR20030017172A (ko) 2001-08-24 2003-03-03 조천호 천연식물 농축 조성물
KR20030036536A (ko) 2003-04-16 2003-05-09 송훈호 두피 및 모발의 개선효과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0539298B1 (ko) * 2004-08-16 2005-12-28 주식회사 태평양 인플라메이징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60015715A (ko) 2005-10-07 2006-02-20 가부시키가이샤 호오도 피부 보호 조성물
KR20060076261A (ko) 2006-06-07 2006-07-04 전양읍 발모촉진제 조성물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126B1 (ko) 2008-01-09 2010-07-13 홉킨스바이오연구센터(주)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502024B1 (ko) * 2008-01-14 2015-03-12 (주)아모레퍼시픽 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정발제 조성물
KR101111132B1 (ko) * 2009-01-06 2012-03-26 (주) 에이텍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
WO2020111621A1 (ko) * 2018-11-29 2020-06-04 (주)아모레퍼시픽 탈모 또는 피부 염증 억제용 조성물
KR20200064309A (ko) * 2018-11-29 2020-06-08 (주)아모레퍼시픽 탈모 또는 피부 염증 억제용 조성물
CN113164365A (zh) * 2018-11-29 2021-07-23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用于抑制脱发或皮肤炎症的组合物
KR102644611B1 (ko) * 2018-11-29 2024-03-07 (주)아모레퍼시픽 탈모 또는 피부 염증 억제용 조성물
KR20200113600A (ko) * 2019-03-26 2020-10-07 위샘결 탈모 및 두피 관리용 조성물
KR102307509B1 (ko) * 2019-03-26 2021-09-29 위샘결 탈모 및 두피 관리용 조성물
KR20210003055A (ko) * 2019-07-01 2021-01-11 이상욱 식물추출물과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육모용 조성물
KR102448581B1 (ko) * 2019-07-01 2022-09-28 이상욱 식물추출물과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육모용 조성물
KR102594811B1 (ko) 2023-08-09 2023-10-30 주식회사 에이치티오인터내셔널 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hare Indian herbal remedies: rational Western therapy, ayurvedic, and other traditional usage, Botany
KR100668878B1 (ko) 발모제 조성물, 발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발모제조성물, 발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umar et al. Recent trends in potential traditional Indian herbs Emblica officinalis and its medicinal importance
KR101544532B1 (ko) 백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93106B1 (ko) 발모용 조성물
KR100755983B1 (ko) 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9132662A (ja) グルタチオン産生促進剤
KR102142930B1 (ko) 밀크씨슬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JP2003192605A (ja) リパーゼ阻害剤
Gupta et al. Berberis Lycium multipotential medicinal application: An overview
KR101826737B1 (ko)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근육틱 및 우울증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89944B1 (ko) 항산화 미백 활성을 갖는 생약 혼합 추출물
KR20200042657A (ko)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항산화 및 피부항염증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KR100747415B1 (ko)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추출혼합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Bholane et al. A critical review on Karanja (Pongamia pinnata) & its medicinal properties
CN106620616A (zh) 一种防脱发、生发的药物组合物及其制剂
Peddapalli et al. Therapeutic potential of Piper betle: an amazing nature’s medicinal reservoir
KR20140020513A (ko) 탈모예방 및 발모효과가 우수한 헤어토닉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59445A (ko) 한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양이온/음이온 계면활성제 혼합베시클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또는 모발 성장용 조성물
KR101028073B1 (ko) 혈액순환을 개선하여 신체 각 부위를 활성화 시키며 면역력을 증진시키는 작용 및 기전을 가진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090123430A (ko)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음료 조성물
CN107926248A (zh) 提高布福娜果实抗衰老功效的施肥方法
CN112294708A (zh) 一种弱酸性洗发护发活性洗剂
KR101988207B1 (ko) 한약재추출액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한약재추출액
KR20110020691A (ko)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