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6941B1 - 골형성 촉진용 조성물 및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골형성 촉진용 조성물 및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6941B1
KR101626941B1 KR1020140136510A KR20140136510A KR101626941B1 KR 101626941 B1 KR101626941 B1 KR 101626941B1 KR 1020140136510 A KR1020140136510 A KR 1020140136510A KR 20140136510 A KR20140136510 A KR 20140136510A KR 101626941 B1 KR101626941 B1 KR 101626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eight
eif
present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6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2521A (ko
Inventor
한찬규
성기승
이경원
박승만
박승찬
Original Assignee
박승찬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찬,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박승찬
Priority to KR1020140136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941B1/ko
Publication of KR20160042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2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9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61K36/8994Coix (Job's tea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6Curcuma, e.g. common turmeric, East Indian arrowroot or mango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or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율무 및 인진호를 포함하는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형성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조성물은 골형성에 관련된 호르몬인 오스테오칼신의 분비를 증가시키며, ALP의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골형성 촉진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율무 및 인진호를 포함하는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혈장 중성지방 및 LDL-콜레스테롤의 감소를 유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고지혈증에 대하여 예방 및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골형성 촉진용 조성물 및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omoting Osteogenesis an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Hyperlipidemia}
본 발명은 골형성 촉진용 조성물 및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한국 성인남녀의 사망순위 1위는 심혈관계질환으로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는 심혈관질환의 가장 직접적인 원인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혈중 콜레스테롤농도가 200-240 mg/dL사이에 속하는 환자와 건강인의 경계에 속하는 준건강인의 비율이 높은 점을 고려할 때 이들 만성질병은 부작용이 적은 건강기능식품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혈중 지질농도를 평가한 결과에 의하면 식품섭취패턴의 변화와 함께 혈중 콜레스테롤(Total-cholesterol) 및 중성지방(Triglyceride) 농도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1970년 정상 성인의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농도는 각각 154, 87 mg/dL로 보고되었으나, 1993년에는 193, 131 mg/dL로 각각 25, 5%로 급증하였다.
항고지혈제제는 진행중인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목적으로서 부작용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제제는 단기적인 콜레스테롤수치의 강하는 우수한 반면 세포내 콜레스테롤 생합성이 차단되는 등의 문제점과 장기복용에 따른 체내 축적 혹은 호르몬균형 파괴등과 같은 부작용이 제기되고 있다. 한편, 저지방식이를 오랫동안 섭취해 온 한국인들은 서구인과 달리 고지혈 조절과 관련한 기능성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고지혈증(hyperlipidemia)이란 혈액중에 콜레스테롤 또는 중성지방의 농도가 증가한 상태를 의미하며, 그 자체로서 임상적 소견을 나타내는 질병상태는 아니나 죽상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 더 나아가 심근경색 및 뇌경색을 유발하는 제 1위험요인이 되고 있다. 대규모의 역학조사에서 특히 고콜레스테롤혈증(hypercholesterolemia)은 허혈성심질환 발생율과 밀접한 양의 상관관계가 알려져 있고, 이러한 상관성은 40세 이전에 혈청 콜레스테롤농도가 증가하는 경우 40세 이후에서 보다 허혈성 심질환 발생율과 더욱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천연 추출물 등을 이용한 특허는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콜레스테롤혈증 조성물(제10-0580576호), 고지혈증, 간기능 조절효과가 있는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제0388080호), 고지혈증 및 뇌졸중 회복 및 예방에 효과가 있는 천연 식물추출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천연차 및 이의 제조방법(제10-0795822호), 항지방화 및 항비만 활성을 갖는 박과 식물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정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제10-0587398호), 항고지혈증 조성물(제10-0516180호), 천연식물소재 추출물을 이용한 항혈전 및 고지혈증 억제조성물(제10-0319397호) 등이 있다.
현재까지 개발된 고콜레스테롤혈증(hypercholesterolemia) 치료제는 콜레스테롤 합성시 율속효소로 작용하는 HMG-CoA reductase를 저해함으로서 혈장 콜레스테롤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기대하에 1971년 미생물의 대사산물중에서 저해제 탐색연구가 시도되었다. 1976년 최초로 Mevastatin이 개발되었고(Endo 等, 1979), 1980년대에 진행된 Mevastatin의 사람과 동물에 대한 임상실험에서 LDL콜레스테롤농도의 유의적인 감소가 보고되었다(Tsujita 등, 1979; Yamamoto 등, 1980; Kuroda 등, 1989). 그러나 이러한 화합물들은 미생물의 대사산물이거나 화학적인 합성물질인 관계로 간 손상 및 근육병 등 인체에 많은 부작용을 초래하였다(Keys, 1980). 따라서 이들 물질들의 체내 작용기전에 수반하는 부작용 해소를 위하여 새로운 기능성 “식품소재”로부터 지질저하용 기능성물질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기능성 식품소재에 관한 개발연구동향을 보면 다양한 식물성소재(monoterpene류, polyphenol류, phytosterol류 화합물, monacolin K 등)뿐 아니라 동물성소재(키토산, 타우린, lecithin, squalene, fish oil 등)를 이용한 제품의 TC 및 TG 저하효과 등이 그동안 발표되었으나 구체적인 상품개발 사례는 제한적이다.
성장은 성숙에 수반되는 크기의 변화로서 복잡한 생물학적 현상이며, 소아의 성장은 신장의 증가 뿐 아니라 신체의 각 기관의 해부학적, 형태학적 크기와 기능이 증가하는 것, 즉 기능의 발달과 기관으로 분화됨을 포함한다(Crofton 등, 1997).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는 신장의 증가에 국한된다(임강현, 2003). 신장의 증가는 연골조직 합성, 골격길이 성장과 골격의 광범위한 모델링을 포함하는 골격대사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신장 증가는 소아의 건강상태, 영양, 호르몬, 유전적 배경을 나타내는 예민한 지표로 정상적인 성장은 소아가 건강해야만 일어날 수 있다(Johansen et al., 1998). 정상적인 성장과 골질량의 증가가 골격대사의 지표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 이미 알려져 있다(Kannisto et al., 2002).
성장에 기여하는 주인자는 골격 길이의 증가로서 뼈의 종적 증가는 연골내 골화에 의해 일어나며 뼈의 성장은 연골조직이 골조직으로 전환되어 일어난다. 연골내 골화과정은 주로 사지(四肢)의 장관골에서 일어나지만, 척추체(脊椎體)에서 특징적으로 일어나기도 한다. 뼈의 폭증가는 섬유성막에서 직접적으로 골격조직으로 발달한다(Stevens과 Williams, 1999). 이 기전에 의한 뼈의 두께의 증가는 골반과 견갑골의 평편한 부위와 턱의 몸체에서 일어난다. 사지의 장관골의 골간 또는 섬유성 골막의 성장으로 뼈가 두꺼워진다. 일반적으로 뼈의 길이는 연골, 혹은 연골내 골화과정에 의해서 증가하며, 뼈의 둘레의 증가는 골막 골화에 의해서 증가한다.
골연골판이 존재하는 한 골간과 골단의 성장이 계속되며 골간에서의 성장이 더 크다. 궁극적으로 조골세포들의 증식은 종식되며 골단판은 골화된다. 골간 및 골단의 뼈구조는 융합하고 성장은 멈추게 된다. 뼈가 관절의 일부를 형성하면 관절연골은 존속되며 관절연골은 더 이상의 뼈의 성장에는 관여하지 않는다. 아동에서 성장을 판정하는 가장 정확한 방법은 일정기간 동안 연속적으로 키를 측정하여 성장속도(height velocity)를 측정하는 것으로(Crofton et al., 1996) 이 경우 치료에 대한 성장속도반응은 1년 이상일 경우에만 믿을 수 있고 1년 미만 기간에서 성장속도 반응을 측정할 경우 신뢰할 만한 결과를 주지 못한다.
지난 50년동안 괄목할 만한 경제발전으로 우리사회의 영양 결핍문제는 어느 정도 해결되었으나 오히려 불규칙한 식사습관과 패스트푸드(fast food)의 과잉섭취 등으로 특히 청소년들의 성장에 필요한 칼슘, 철분 및 비타민 등의 섭취량이 권장량에 비해서 크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Choi와 Yoon, 2003; Kim, 1993). 그중에서도 특히, 칼슘은 한국인에게 부족한 영양소로서 2005년 국민영양조사결과(한국영양학회, 2005)를 2005년 11월에 개정된 한국인영양섭취기준(보건복지부, 2006)과 비교하였을 때 대부분은 해당 영양소의 권장섭취기준과 유사하였으나, 유독 칼슘섭취량은 권장섭취량의 76.4%로 매우 낮았다. 특히 13-19세 청소년의 칼슘섭취량은 권장섭취량의 55.4%에 불과해 심각하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칼슘의 체내 흡수율은 함께 섭취하는 식이성분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칼슘의 섭취량 증대와 함께 칼슘의 흡수율증진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뼈성장의 중요한 인자로 알려진 IGF-Ⅰ(insulin-likegrowth factor-Ⅰ)은 체내에서 일정한 농도를 유지하므로 내인성 성장호르몬 분비평가의 진단에 유용한 지표로 사용되고 있다(Juul et al., 1997). IGF-Ⅰ은 7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로 간과 뼈조직에서 활동한다. IGF-Ⅰ 유전자는 간세포 수용체와 성장호르몬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현이 촉진되고, 생성된 IGF-Ⅰ은 IGF-Ⅰ수용체와 결합하여 성장과 발육에 필요한 조절물질로 작용하여 성장 및 체세포 분화를 돕는다(Roith, 1997; Ueno et al., 1999). 실제 IGF-Ⅰ이 결핍된 환자에게 IGF-Ⅰ을 투여한 결과 체조성(體組成), 인슐린 민감성, 뼈무기질 밀도 및 길이성장 등이 개선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Woods, 2000).
성장과 관련된 천연물소재로는 흰쥐 성장판 BMP-2의 발현촉진과 뼈성장을 유도하는 구척 및 속단추출물(Leem과 Kim, 2001; Leem과 Jeon, 2001), 성장기 흰쥐의 뼈길이 성장 및 IGF-Ⅰ 분비촉진효과를 나타낸 가시오가피 추출물(Park et al., 2003; Yang et al., 2003), 흰쥐 뇌하수체세포의 성장호르몬유발을 촉진시키는 인동 추출물(Jung et al., 2003)등이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천연물유래 추출물들은 대부분 물과 알코올추출물로서 이들 추출물의 기능성 성분들은 극성이 높아 소장에서의 흡수가 원활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뼈성장에 필수적인 칼슘의 장내흡수에 영향을 미치는 성분으로는 비타민 D, 카제인 포스포펩타이드, 식이섬유, 퓌틴산, 옥살산, 지방 및 락토오스 등이 알려져 있다(Heaney et al., 1991; Kim et al., 2003; Loennerdal et al., 1989; Pingle과 Ramasastri, 1978; Yamanaka, 1991). 그밖에 최근 Bacillus subtilis (chungkookjang) 균에서 생산되는 폴리-γ-글루탐산(γ-PGA)가 Ca의 용해도 및 장내 흡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Park et al., 2005). 이러한 Ca의 장내 흡수증진 기능 외에 B. subtilis 균은 대두발효에 사용되는 균으로서 고분자의 전분, 단백질, 지질 등을 분해하여 저분자의 아미노산, 뉴클레오티드, 지방산, 비타민, 알카로이드 및 점성의 폴리머 등을 생산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칼슘은 인체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무기질로서 체내량의 99%가 뼈와 치아에 존재하여 뼈의 영양에 있어 매우 중요하며, 그밖에 근육수축과 이완, 규칙적 심장박동, 혈액응고, 신경의 흥분과 자극전달, 효소의 활성화, 여러 영양소의 대사 작용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기능을 조절한다(Einhorn et al., 1990). 칼슘대사는 연령, 호르몬, 영양상태, 신체 활동량 등 생리적, 영양적, 환경적, 유전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eaney, 1993).
칼슘의 체내 이용률은 성장기나 임신기, 수유기와 같이 체내 요구도가 높을 때 증가되며 체내 칼슘 흡수율은 식이요인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양질의 단백질, 비타민 D, 유당, 인 등은 칼슘 흡수를 촉진하나 곡류나 채소류에 많이 함유된 인산, 피틴산, 수산, 식이섬유 등은 흡수를 저해한다(Kitts와 Yuan, 1992). 뼈는 대사가 활발하게 일어나며 신체의 형태를 유지해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조직이다. 골대사는 골을 재생하는 조골세포와 골을 용해하는 파골세포가 균형을 유지하면서 작용하는데 성장기에는 조골세포의 활성이 크고 노년기에는 조골세포에 비해서 파골세포의 활성이 증가되어 골밀도가 급격히 감소한다. 따라서 성장기에 충분한 칼슘 섭취로 뼈를 강화하여 골밀도가 감소하는 40대 이후 뼈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Chung et al., 2001).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골형성을 촉진시키며, 고지혈증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는 천연물질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율무 및 인진호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이 골형성에 관여하는 호르몬의 분비를 증가시킴으로써 골형성을 촉진하며, 혈중 지질농도를 감소시켜 고지혈증에 대해 예방 및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골형성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율무(Adlay), 봉출(Curcuma zedoaria), 인진호(Artemisia capillaris Thunb.), 강황(Curcuma longa), 진피(Citrus unshiu Markovich), 저령(Polyporus umbellatus Fries), 연교(Forsythia suspensa Vahl), 곽향(Agastache rugosa (Fisc.r et Mey.) Kuntze), 소엽(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지실(Poncirus trifoliata Rafinesqul), 산조인(Zizyphus jujuba Miller) 및 창출(Atractylodes lancea D.C)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형성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골형성을 촉진시키며, 고지혈증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는 천연물질을 개발하고자 노력하고 그 결과, 율무 및 인진호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이 골형성에 관여하는 호르몬의 분비를 증가시킴으로써 골형성을 촉진하며, 혈중 지질농도를 감소시켜 고지혈증에 대해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갖는 것을 규명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율무, 봉출, 인진호, 강황, 진피, 저령, 연교, 곽향, 소엽, 지실, 산조인 및 창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율무는 중국 원산의 귀화식물로서 약료작물로 재배된다. 종자를 의이인이라고 하며, 차 등으로 먹거나 이뇨·진통·강장작용이 있으므로 부종·신경통·류머티즘·방광결석 등에 약재로 쓴다. 생잎은 차 대용으로 쓰고 뿌리를 황달과 신경통에 쓴다. 줄기에 달린 잎은 사료로도 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봉출은 생강과에 속하며 지방에 따라 아출 또는 봉아출 이라고도 한다. 행기(行氣), 통혈(通血), 소어(消瘀), 개위(開胃), 화식(化食), 지통(止痛), 해독(解毒), 파혈(破血), 소적(消積)하는 약재로 봉출은 한방생약으로는 잘 쓰이지 않아 별로 알려지지 않은 약재이다. 봉출의 주된 유효성분은 시오넬성분으로 이것은 타액과 위액의 분비를 왕성하게 함과 동시에 살균과 방부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인진호는 국화과의 사철쑥의 지상부를 말린 약재를 말하며, 일본은 사철쑥의 두상화를 사용하고 중국은 사철쑥과 빈호(濱蒿, Artemisia scoparia Waldst. et Kit.)의 지상부를 사용한다. 더위지기(A. iwayomogi)는 우리나라에서만 한인진이라고 하여 사용하고 있다. 비록 쑥(蒿)의 한 종류이지만 겨울이 지나도 죽지 않고 그 줄기에서 다시 싹이 살아나기 때문에 인진(因陳)이라는 이름이 생겼으며 호(蒿)란 쑥을 의미한다. 약리작용으로 담즙분비촉진작용, 간기능보호 및 간세포재생작용, 지질분해작용, 관상동맥 확장작용, 혈압강하작용, 해열, 이뇨작용, 항미생물작용, 실험성 복수암 세포억제효과 등이 보고되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강황은 맵고 쓴맛을 내는 향신료로 지금 또는 울금이라고도 한다. 인도와 동남아, 중국 서남부지방에 걸쳐 서식하며. 46월에 꽃이 핀다. 향신료는 잎이나 꽃은 쓰지 않고 주로 뿌리줄기만을 쓰며, 맵고 쓴맛을 내어 카레라이스를 만드는 재료로 쓰인다. 뿌리줄기의 색깔은 연한 주황색을 띠며 톡쏘는 냄새가 날 때 가장 좋고, 대부분 요리에 쓰이지만 인도에서는 藥으로 쓰이기도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진피는 운향과의 귤(Citrus unshiu Markovich) 또는 동속 근연식물의 성숙한 과피를 말한다. 일본에서는 귤(Citrus unshiu Markovich)과 병감(柑, Citrus reticulata Blanco)을 진피로, 귤감(橘柑, Citrus tachibana(Makino) Tanaka)을 귤피(橘皮)로 사용하고 있으며, 중국에서는 병감(柑) 및 그 재배변종을 진피로 규정하고 있다. 진피귤나무의 열매 껍질을 약용한 것으로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다. 비위가 허약하여 일어나는 구토, 메스꺼움, 소화불량 등에 쓰인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저령은 잔나비걸상과의 버섯인 차연의 균핵으로 만든 약재(한국)이다. 저령이란 약의 생김새에서 온 말인데 검은색 덩어리가 마치 돼지똥과 비슷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령(零)이란 돼지똥처럼 덩어리가 조금씩 떨어지는 것을 말하며 말똥처럼 한번에 떨어지는 것은 통(通)이라 한다. 이 약은 약간 단맛이 돌며 밋밋하고 성질은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평평하다. 이뇨작용이 강하여 전신부종, 임질, 임신부종, 습성설사, 비위가 찬 증상에 쓴다. 약리작용은 이뇨 및 항암작용, 생쥐 망상내피계통에 탐식기능 증강작용, 항균작용이 보고되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연교는 물푸레나무과의 의성개나리(Forsythia viridissima Lindley) 또는 연교의 열매를 말한다. 연교개나리의 열매를 약용한 것으로 맛은 쓰고 성질은 조금 차다. 열을 내리게 하고 소변에 피가 섞이는 증상에 쓰이며, 이뇨·소염·해열작용이 있다. 연교는 열매가 연꽃(蓮)과 비슷하게 房을 형성하고 있고 여러 풀중에 길게 솟아나와 있어 얻은 이름이다. 혹자는 씨앗을 쪼개면 한조각 한조각이 깃털과 비슷하기 때문에 연교라고 부른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있으며 맛은 쓰고 성질은 약간 차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곽향은 배초향(Agastache rugosa (Fisc.r et Mey.) Kuntze)의 지상부를 사용해 만든 약재(한국)이다. 중국과 일본에서는 이 약을 사용하지 않는다. 잎이 콩잎을 닮아 '콩'이라는 뜻인 '곽(藿)'과 향이 난다는 뜻의 '향(香)'을 합해 '곽향'이라고 불리고, 토곽향(土藿香), 배초향(排草香)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 약은 특이한 향기가 있고 약성은 맵고 약간 따듯하다. 약리작용으로 피부 진균, 대장균, 이질균, 폐렴균, 용혈성연쇄상구균 억제, 위액분비 촉진작용 등이 있다. 전국의 산에서 자라며 방애잎, 중개풀, 방아풀이라하여 어린잎을 추어탕 등 고기비린내 제거용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소엽은 꿀풀과에 속하는 1년생 초본식물인 차즈기(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의 잎으로 만든 약재. 학명은 Perilla frutescens (L.) Britton var. purpurascens (Hayata) H. W. Li, 종자를 蘇子라고 하며 약효성분은 정유가 0.5% 가량 들어 있고, 그 중 페릴알데히드 55%, 쿠믹산, 페릴알콜 등이 함유되어 있다. 맛은 쓰고 약간 매우며 약성은 따뜻하다. 약효는 감기로 인하여 땀이 나지 않고 오한과 열이 있으면서 때론 기침과 천식을 일으키는 증상에 활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지실은 탱자나무의 열매를 가운데를 잘라서 건조한 것으로 국산과 외산으로 나누어지는데 큰 차이점이 없어서 혼합되어 있으면 구별하기 어려운 약재인데 겉표면의 색이 건조하면 국산이 외산에 비해서 밝으며 껍질안에 질은 국산이 외산보다는 얇다. 단면의 색은 국산이 흰색에 가까운 황색을 띠며 외산은 진한 편이다. 열매가 열리자마자 채취한 지실을 애지실이라고 부르며 크기가 작을수록 상품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산조인은 갈매나무과의 묏대추(Zizyphus jujuba Miller)의 씨로 만든 약재(한국)이다. 중국·일본에서는 묏대추가 아닌 산조인(Zizyphus jujuba var. spinosa)의 씨를 사용한다. 이 약은 약한 기름 냄새가 있고 맛은 달고 시며 성질은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평하다. 산조인은 신경과민, 불면증, 건망증, 식은땀 등에 사용한다. 또한 비위를 튼튼하게 하고 빈혈에 효과가 있다. 약리작용은 진정, 최면, 혈압강하, 진통, 체온강하작용, 항산화작용, 면역항진작용, 자궁흥분작용, 화상환부 부종 억제작용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난원형이며 바깥 면은 황갈색 또는 적갈색으로 매끄럽고 광택이 있다. 한쪽에는 제점, 다른 한쪽에는 합점이 있으며 봉선은 제점에서 변연에 따라 한 둘레로 있다. 씨앗 껍질은 약간 유연하고 회색의 내유 및 엷은 황색의 자엽을 싸고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창출은 삽주의 뿌리열매로 우리나라 각처의 산지의 햇볕이 잘 드는데서 잘 자라는데 한방에서는 위장을 튼튼하게 하고 비만예방효능이 알려져 있다. 섭취방법은 삽주의 어린순은 나물, 튀김 등에 이용하고 잎은 산채나물로 먹으며 뿌리는 한방에서 약용으로 쓰인다. 삽주차, 삽주주, 삽주나물 등이 있다. 궁합음식정보 는 창출은 맛이 맵고 써서 대추와 같이 다려 먹으면 매운맛을 완화시킬 수 있다. 효능은 열량이 낮아서 비만방지에 좋고, 신장보호, 소변배출 용이에 좋다. 창출의 성분으로는 정유와 아트락틸롤, 비타민 A, D 등으로 구성되었고, 한방에서는 위장과 비장을 튼튼하게 하고, 신장을 따뜻하게 하며, 피로와 갈증을 없애고 땀과 소변이 잘 나오게 하며, 몸속의 독과 통증을 없애는 효능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율무, 봉출, 인진호, 강황, 진피, 저령, 연교, 곽향, 소엽, 지실, 산조인 및 창출 추출물을 수득하는 데에는 다양한 추출용매가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극성 용매 또는 비극성 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극성 용매로서 적합한 것은, (i) 물, (ii) 알코올(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노말-부탄올, 1-펜탄올, 2-부톡시에탄올 또는 에틸렌글리콜), (iii) 아세트산, (iv) DMFO(dimethyl-formamide) 및 (v) DMSO(dimethyl sulfoxide)를 포함한다. 비극성 용매로서 적합한 것은, 아세톤, 아세토나이트릴,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플루오로알칸, 펜탄, 헥산, 2,2,4-트리메틸펜탄, 데칸, 사이클로헥산, 사이클로펜탄, 디이소부틸렌, 1-펜텐, 1-클로로부탄, 1-클로로펜탄, o-자일렌,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2-클로로프로판, 톨루엔, 1-클로로프로판, 클로로벤젠, 벤젠, 디에틸 에테르, 디에틸 설파이드,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어닐린, 디에틸아민, 에테르, 사염화탄소 및 THF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용매는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g) 부틸아세테이트, (h) 1,3-부틸렌글리콜, (i) 헥산 및 (j) 디에틸에테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추출물은 물,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의 조합을 율무, 봉출, 인진호, 강황, 진피, 저령, 연교, 곽향, 소엽, 지실, 산조인 및 창출에 처리하여 수득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율무, 봉출, 인진호, 강황, 진피, 저령, 연교, 곽향, 소엽, 지실, 산조인 및 창출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율무, 봉출, 인진호, 강황, 진피, 저령, 연교, 곽향, 소엽, 지실, 산조인 및 창출 추출물은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10-30 중량%: 2-12 중량%: 2-12 중량%: 2-12 중량%: 2-12 중량%: 2-12 중량%: 2-12 중량%: 2-12 중량%: 1-5 중량% 혼합비로 혼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율무, 봉출, 인진호, 강황, 진피, 저령, 연교, 곽향, 소엽, 지실, 산조인 및 창출 추출물은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12-22 중량%: 4-10 중량%: 4-10 중량%: 4-10 중량%: 4-10 중량%: 4-10 중량%: 4-10 중량%: 4-10 중량%: 1-3 중량% 혼합비로 혼합된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율무, 봉출, 인진호, 강황, 진피, 저령, 연교, 곽향, 소엽, 지실, 산조인 및 창출 추출물은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14-20 중량%: 5-9 중량%: 5-9 중량%: 5-9 중량%: 5-9 중량%: 5-9 중량%: 5-9 중량%: 5-9 중량%: 1-2 중량% 혼합비로 혼합된다.
본 발명의 추출물 조합은 인체 내에서 골형성에 관련된 호르몬인 오스테오칼신의 분비를 증가시키며, ALP(alkaline phosphatse)의 활성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효과를 통해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골형성 촉진 효과를 나타낸다.
오스테오칼신(osteocalcin; OC)은 골아세포의 특이적 마커로 비콜라겐 뼈 기질 단백질의 약 15%를 구성하고 있다. α-카르복실글루탐산 단백질로 알려진 오스테오칼신은 작고(5.9 kDa), 비타민 K-의존적인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Ca2+)-결합 단백질로 골아세포와 치아의 상아아세포(odontoblasts)에서만 발현된다. 오스테오칼신의 조직 특이적 발현은 골형성에 대한 전반적인 세포 활성의 훌륭한 지표가 된다. 이 단백질의 17, 21 및 24에 위치한 3 α-카르복실글루탐산(Gla) 잔기들은 칼슘 결합을 담당한다. 골형성에서 OC의 정확한 기능은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피드백 메커니즘을 통해 골 리모델링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혈청 오스테오칼신 레벨은 골형성 속도와 연관이 있다.
ALP는 유골(osteoid) 형성과 무기질화(mineralization)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로 뼈 특이적 ALP는 골형성을 촉진하는 기능을 가진 오스테오칼신 막당단백질이며, 골아세포 활성도의 마커로 잘 알려져 있다. 특히 ALP는 피로인산염(석회화 위치에서 결정화 억제제) 뿐만 아니라 유기인산 에스테르(무기 인산염 농도 증가)를 분해한다. 혈청에서 전체 ALP는 다양한 조직(간, 뼈, 장, 비장, 신장, 태반)에서 유래한 여러 2합체 형(dimeric isoform)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건강한 성인에서는 혈청 ALP의 50%는 간에서, 나머지 50%는 뼈로부터 얻어진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일반적인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1000 ㎎/kg 범위 내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추출물 뿐 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 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 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 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추출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또는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율무(Adlay), 봉출(Curcuma zedoaria), 인진호(Artemisia capillaris Thunb.), 강황(Curcuma longa), 진피(Citrus unshiu Markovich), 저령(Polyporus umbellatus Fries), 연교(Forsythia suspensa Vahl), 곽향(Agastache rugosa (Fisc.r et Mey.) Kuntze), 소엽(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지실(Poncirus trifoliata Rafinesqul), 산조인(Zizyphus jujuba Miller) 및 창출(Atractylodes lancea D.C)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혈장 중성지방 및 LDL-콜레스테롤의 감소를 유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고지혈증에 대하여 예방 및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고지혈증”은 중성 지방과 콜레스테롤 등의 지방대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혈액 중에 지방량이 많아 유발되는 질환을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지혈증이란 혈액내의 중성지방, LDL 콜레스테롤, 인지질 및 유리 지방산 등의 지질 성분이 증가된 상태로 발생빈도가 높은 고콜레스테롤혈증 또는 고중성지방혈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상술한 골형성 촉진용 조성물과 유효성분을 공통으로 하기 때문에, 이 둘 사이의 공통된 내용은 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ⅰ) 본 발명은 율무 및 인진호를 포함하는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형성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ⅱ) 본 발명은 조성물은 골형성에 관련된 호르몬인 오스테오칼신의 분비를 증가시키며, ALP의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골형성 촉진 효과를 나타낸다.
(ⅲ) 본 발명은 율무 및 인진호를 포함하는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ⅳ)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혈장 중성지방 및 LDL-콜레스테롤의 감소를 유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고지혈증에 대하여 예방 및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재료 및 방법
본 실험은 성호르몬을 자극하지 않는 약재로서 율무, 봉출, 인진호, 강황, 진피, 저령, 연교, 곽향, 소엽, 지실, 산조인 및 창출(총 12종)의 천연 한약재를 배합해 추출한 생약성분을 조기 성숙증을 가진 여자어린이 148명에게 적용했을 때 여성호르몬은 감소한 반면 성장호르몬은 증가시켜서 월 평균 키가 0.6 ㎝ 더 크는 임상결과에 근거하여 이러한 생약성분(EIF) 조성물을 어린 암컷 쥐에게 투여했을 때 초경의 지연과 성장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사춘기가 시작된 여자 어린이를 상정해서 성성숙이 개시된 것으로 판단되는 평균체중 130 g된 암컷흰쥐를 공시하여 생약성분(EIF) 조성물을 2주동안 급여하였다.
율무, 봉출, 인진호, 강황, 진피, 저령, 연교, 곽향, 소엽, 지실, 산조인 및 창출(총 12종)의 천연 한약재를 각각 104℃에서 4시간 열수추출한 다음 여과 후 재차 104℃에서 2시간 동안 열수추출한 상태에서 50-60℃에서 2-4시간동안 복합효소제(탄수화물 가수분해효소, 아라반가수분해효소, 셀룰라아제, 베타글루카나아제, 헤미셀룰라아제, 자일란분해효소)인 Viscozyme L (novozymes 社, 덴마크)을 처리하고, 95-100℃에서 30분 가열하여 효소를 실활(deactivation)시킨다. 여기에 덱스트린을 혼합, 용해하고 저온(감압상태)에서 농축한다(조건: 60℃/700 mmHg).
상기 혼합농축액을 살균(90℃/30분) 한 후 약 200-240℃의 열풍온도에서 분무건조(Spray dry)한 다음 불순물을 제거하고 냉각 후 포장하였다. 한편, 추출물에 상기 복합효소를 투입하고 50-60℃에서 2-4시간동안 교반하면서 각 효소가 반응과정에서 효소에 의해서 추출물중의 탄수화물, 아라반, 셀룰로오즈, 베타글루칸, 헤미셀룰로오즈, 자일란 등 분자량이 큰 복합다당류를 가수분해하여 분자량이 작은 상태로 만들어 주는 발효과정을 거치게 되고, 이후 멸균처리한 다음 건조 후 분말로 만들었다. EIF 조성물은 분말상태의 각 추출물을 표 1의 조성으로 혼합하여 한꺼번에 달여서 추출 제조하였다.
1. 실험동물과 식이
평균체중이 130 g된 암컷 어린 흰쥐를 공시하여 생약성분(EIF) 조성물(표 1)이 초경반응의 지연과 성장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성장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2주 동안 시험하였다. 실험처리군은 EIF 조성물과 대조군으로 하였다(표 2). 실험식이는 Harlan 2018S-diet(Teklad Global 18% Protein Rodent Diet)를 기본식이로 하였다. 실험조성물(EIF 조성물)의 첨가수준은 초등학교 6학년 여학생을 기준(체중 36 kg, 1일 3회 섭취, 1회 섭취량 100 mL, 총 섭취량 300 mL, 체중 대비 0.83%)으로 사료배합 및 시험결과의 원만한 도출을 위하여 3배 증량한 2.5%(w/w)를 기준으로 각각 2배(5%) 및 4배(10%)로 첨가하여 실험식이를 제조하였다. 추가 실험에서 A는 대조군, B는 2.5% EIF 조성물을 첨가하였다. 대조군은 실험기간동안(2주) EIF 조성물을 첨가하지 않은 Harlan 2018S-diet를 급여하였다. 공시동물은 각각의 처리군당 10마리씩 배치하였다. 실험식이의 일반성분은 표 3과 같다.
EIF 조성물의 세부 조성
소재 영문명(학명) 첨가수준(%)
율무[薏苡仁] Adlay 23
봉출[蓬朮] Curcuma zedoaria 7
인진호[茵蔯蒿] Artemisia capillaris Thunb. 7
강황[姜黃/薑黃] Curcuma longa] 7
진피[陳皮] Citrus unshiu Markovich 7
저령[猪] Polyporus umbellatus Fries 7
연교[連翹] Forsythia suspensa Vahl 7
곽향[藿香] Agastache rugosa (Fisc.r et Mey.) Kuntze 7
소엽[蘇葉]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7
지실[枳實] Poncirus trifoliata Rafinesqul 7
산조인[酸棗仁] Zizyphus jujuba Miller 7
창출[蒼朮] Atractylodes lancea D.C 7
합 계 - 100
EIF 조성물 실험설계
그룹 처리내용 소요량(g)
A EIF-조성물(H, 10%) + 어분 1% EIF 900 어분 90
B EIF-조성물(M, 5%) + 어분 1% EIF 450 어분 90
C EIF-조성물(L, 2.5%) + 어분 1% EIF 225 어분 90
D 대조군(일반식이군, Harlan-diet)3)
3)기본사료 : Harlan 2018S-diet (Teklad Global 18% Protein Rodent Diet)
실험사료의 일반조성
그룹 A
(10%)
B
(5%)
C
(2.5%)
D
(대조군)
열량(kcal/100 g) 360 369 373 310
수분(g/100 g) 11.21 9.18 8.67 10.25
지방(g/100 g) 5.14 5.62 5.87 6.20
단백질(g/100 g) 16.84 17.83 18.46 18.6
회분(g/100 g) 5.21 5.59 5.48 5.30
탄수화물(g/100 g) 61.60 61.78 61.52 44.2
Ca(mg/100 g) 901.89 992.59 980.85 1000
P(mg/100 g) 664.90 706.22 720.12 700
열량: 식품공전(2013)계산법, 수분: 상압가열건조법, 지방: 에테르추출법, 단백질: Kjeldahl법(질소계수:6.25), 회분: 회분시험법, 탄수화물: 식품공전(2013)계산법, Ca&P: ICP-AES측정법
2. 신체계측
2-1. 체장
해부전 미리 실험테이블위에 줄자를 고정시킨 후 흰쥐를 에틸에테르로 마취시킨 다음 코끝에서부터 꼬리끝 부분까지를 측정하였다.
2-2. 대퇴골
무게는 흰쥐의 오른쪽 대퇴부를 발골하여 근육을 제거하고 습중량을 측정하였다. 길이는 캘리퍼로 대전자(大轉子)와 내측과(medial condyle) 사이를 측정하였다.
2-3. 골밀도
실험동물을 희생시킨 후 대퇴골을 발골하여 골밀도측정기(pDEXA, Forearm: X-Ray, NORLAND, Bone Densitometer, 미국)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3. 조사항목과 분석방법
3-1. 체중, 식이섭취량 및 장기무게
체중과 식이섭취량은 7일 간격으로 조사하였고, 장기무게는 실험당일 아침에 쥐를 희생시켜 장기를 적출한 다음 간, 신장, 비장, 자궁 및 난소무게를 칭량하였다.
3-2. 혈중 호르몬과 골형성 지표의 분석의의
LH(luteinizing hormone, 황체형성호르몬)은 뇌하수체 전엽의 원위부에 있는 성선자극세포로부터 분비되는 성선자극호르몬의 일종으로 당단백질호르몬이다. 수컷의 정소내 간질세포(Leydig's cell)를 자극하여 안드로겐을 분비시키는 생리작용을 가지고 있어 간질세포자극호르몬(ICSH)이라고 하고, 암컷에서는 FSH와 공동작용으로 난포(ovarian follicle)를 완전히 발육시켜 다량의 에스트로겐을 분비시킨다.
에스트로겐은 암컷에서 발정행동을 유발하고, 발정에 수반하는 부생식기관의 발육과 기능을 촉진하는 물질을 총칭한다. 대표적 에스트로겐인 에스트라디올-17β는 가장 강력한 에스트로겐의 생리작용을 발현하고, 표적세포(target cell)의 에스트로겐 수용체(estrogen receptor)와도 강력한 친화력을 가진 호르몬으로, 주로 난포에서 분비되기 때문에 난포호르몬(follicular hormone)이라고도 한다.
FSH(follicle-stimulating hormone, 난포자극호르몬)는 뇌하수체 전엽의 염기호성세포가운데 성선자극세포로부터 분비되는 성선자극호르몬(GTH)의 일종으로 당단백질호르몬이다. FSH의 분비는 LH와 같이 시상하부에서 분비되는 성선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GnRH)에 의해서 조절되지만, FSH와 LH의 분비양상이 꼭 일치되는 형태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암컷에서 난소내에 있는 난포의 성장과 성숙을 자극하고, 수컷에서는 정소의 곡세정관내에 있는 배아세포(germinal cell)의 분화를 촉진하며, 정자형성과정중 제2차정모세포까지의 발생과정을 촉진한다. 그러나 이후의 정자형성의 최후단계는 안드로겐에 의해 지배된다.
성장호르몬(growth hormone)은 성장에 관여하는 여러 호르몬 중 출생 후 성장에 관여하는 호르몬은 22 kD의 분자량을 갖는 뇌하수체 전엽 호르몬인 성장 호르몬이다(전진경 등, 2000). 측정상 단점은 자극 검사없이 일반 혈청 검사로는 쉽게 측정할 수 없을 정도로 소량 분비된다. 분비양상이 박동성이어서 측정시간에 따라 다른 값을 보인다. 성장호르몬결핍 증상을 보이는 아동에서 실시한 호르몬 자극검사상 성장호르몬 값은 정상이었으나 자연 상황에서 24시간 분비되는 성장호르몬 총량은 정상치 보다 떨어진다(전진경 등, 2000). 보완책으로 성장호르몬의 말초조직에서 작용효과를 측정하는 대체적 방법인 IGF-1농도를 측정한다. IGF-I은 성장호르몬의 영향을 받아 인슐린의 표적조직에서 당질, 지질, 단백질의 합성을 자극하여 인슐린과 비슷한 작용, 즉 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관여함으로써 성장에 영향을 미친다(전진경 등, 2000). IGF-I의 작용은 결합 단백질과의 결합 후 일어나며 IGF-I은 6가지의 서로 다른 결합 단백을 가지고 있고 이중 IGFBP-3와 80% 정도가 결합한다. 즉, IGF-I은 성장호르몬 분비를 간접적으로 반영하며 in vitro, in vivo, 인체실험 모두에서 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관여함으로써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골격 성장과 발육의 생리과정에도 강력한 영향인자로 입증되었다. IGF-I은 체내에서 일정한 농도를 유지하므로 측정이 비교적 용이하며 내인성 성장호르몬 분비 평가에 유용한 진단적 지표이다. IGF-I의 성장호르몬 결핍증 진단에서 민감도는 75.9%, 특이도는 72%이다(Juul 등, 1997). IGF-I의 단일 측정보다는 신장, 영양상태, 성장속도, IGFBP-3 측정 등과 함께 사용하며 골격성장 판정시에는 골격 대사지표와 함께 측정한다.
칼시토닌은 갑상선의 여포곁세포(parafollicular cells)에서 생성되는 32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선형의 폴리펩티드호르몬으로, 어류, 파충류, 조류, 포유류에서 발견된다. 1962년 Copp와 Cheney에 의해 칼시토닌의 정제가 이루어졌다. 다른 동물에 비해 사람에 있어서 칼시토닌의 중요성은 잘 연구되지 않았다. 정상적인 칼슘 이온농도를 유지하는 항상성 조절기작에 관여하지만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오스테오칼신(BGP)은 골형성 바이오마커로 프로트프롬빈내에서 발견한 γ-카르복시글루탐산(Gla)을 포함하는 골격의 산성단백질이다. 골아세포와 치아모세포(odontoblast)에서만 생산된다. 골아세포에 의해 합성된 오스테오칼신은 인회석 결정과 함께 골세포에 침착되는데 혈장내에서도 관찰할 수 있다(정상치 6-7 ng/mL). 골격에서 오스테오칼신의 역할은 불명하나 혈장내 오스테오칼신 농도는 골아세포(osteoblast)의 활성을 시사하고 혈중 고농도의 오스테오칼신은 골밀도(BMD)의 증가와 상관관계가 매우 높다.
ALP(alkaline phosphatase, 알칼리성 인산가수분해효소)은 골아세포에서 분비되는 골형성 바이오마커로 골형성지표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나 뼈 이외에도 간, 신장, 태반 등에서도 50% 이상 생성되고 있어 민감도와 특이성이 다소 낮다. 유기인산에스테르에서 무기인산을 방출하는 포스파타제효소로 최적 pH가 9로 알칼리성이다. 혈중 ALP 활성은 간이나 뼈 등의 질환에 의해 변화하기 때문에 임상검사의 대상이 된다. 알칼리포스파타제는 뼈에 가장 많고, 혈장에서도 발견된다. 혈장 ALP는 정상시 간장에서 배출되는데, 폐색성 황달일 때에는 이 효소활성이 혈장중에 증가한다. 그밖에 구루병, 부갑상샘기능항진증, 파제트병, 골아세포육종, 전이암 등일 때 증가한다. 6종의 아이소자임이 존재한다.
3-3. 생화학 지표 및 통계분석방법
실험동물을 희생시킨 후 혈액 중 생화학 지표를 측정하기 위해 채혈하여 혈청을 분리한 후 -60℃ 냉동고에 분석할 때까지 보관하였다. 혈청 중 생화학적 성분의 분석방법은 표 4와 같다. 실험결과의 통계분석은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던컨의 다중검정법(α=0.05)으로 처리군간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혈청 성분의 분석방법
종류 종류 시약
(키트)
분석기
(모델)
LH ELISA 설치류 LH
ELISA 테스트
Microplate Reader
(VERSA Max, USA)
에스트로겐 ELISA 에스트라디올 랫트/
마우스 ELISA
FSH ELISA 설치류 FSH
칼시토닌 CLIA Liason 칼시토닌 Ⅱ-Gen Liason XL
(Liason, USA)
오스테오칼신 ELISA 랫트 오스테오칼신
EIA 키트
Microplate Reader
(VERSA Max, USA)
ALP IFCC(colorimetry
with PNPP
ALP Modular analytics
(PE, Germany)
칼슘 비색법 CA2 Modular analytics
(P, Japan)
TC 효소적 방법 콜레스테롤 시약 ADVIA 1650
TG 리파아제, GK, GPD,
비색법
트리글리세리드 시약 ADVIA 1650
HDL 효소적 방법 다이렉트 HDL- 콜레스테롤 ADVIA 1650
LDL 제거 효소적 방법 HDL-
콜레스테롤
ADVIA 1650/2400
RBC(B) 전자 임피던스 Cell pack, Cell
sheath, Stroma-
tolyser-FB, Sulforlyser
SYSMEX
(XE 2100 D, Japan)
WBC(B) 유세포분석
Hct 전자 임피던스
Hb 시안화물 프리 Hb
분광 광도법
혈소판 전자 임피던스
실험결과
1. 체중변화
율무와 인진 외 10종의 천연 한약재를 배합해 추출한 생약성분(EIF) 조성물이 어린 암컷 쥐의 장기무게에 미치는 영향은 표 5(1차 실험) 및 표 6(2차 실험)과 같다.
1차 실험에서 시험기간(2주) 동안 평균 일당 증체량은 4.60-4.77 g으로 실험처리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식이섭취량은 EIF 조성물 중 10% 처리군(A)과 식이대조군(D)이 비슷하였고, EIF 조성물 중 2.5% 처리군(C)이 통계적으로 가장 낮았다(p<0.05). 식이효율은 실험처리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표 5).
2차 실험에서 일당 증체량과 식이섭취량은 대조군(A)에 비해 EIF군(B)이 유의적인 차이가 없이 B군이 다소 높았다(표 6).
EIF조성물식이가 암컷쥐의 체중변화에 미치는 영향(1차)
Group 개시체중
(g)
종료체중
(g)
일당증체량(g) 식이섭취량(g/day) 식이효율
A 131.5±
6.29
196.1±
9.98ns
4.61±
0.38ns
17.67±
0.83a
0.261±
0.005ns
B 131.2±
5.68
195.9±
13.93
4.62±
0.69
17.43±
1.03ab
0.265±
0.022
C 131.5±
9.25
195.9±
11.72
4.60±
0.37
16.80±
1.14b
0.275±
0.013
D 131.4±
7.23
198.1±
12.15
4.77±
0.51
17.99±
1.23a
0.267±
0.014
측정값은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냄(n=10).
Significant at p<0.05 (실험군간에 95%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인 차이가 있음)
nsnot significant (실험처리군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음)
1)A, B, C: EIF 조성물 첨가군(10%, 5%, 2.5%), D: 기본식이(Harlan 2018S-diet)
EIF조성물식이가 암컷쥐의 체중변화에 미치는 영향(2차)
Group 개시체중
(g)
종료체중
(g)
일당증체량
(g/day)
식이섭취량
(g/day)
식이효율
(FER)
A 54.40±2.61 146.2±8.73 5.96±0.62 14.14±1.63 0.44±0.05
B 53.91±2.08 149.1±8.30 6.24±0.75 14.40±1.90 0.47±0.08
측정값은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냄(n=12).
nsnot significant (실험처리군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음)
A: 대조군 B: EIF 조성물 첨가군
2. 장기무게
율무와 인진 외 10종의 천연 한약재를 배합해 추출한 생약성분(EIF) 조성물이 어린 암컷 쥐의 장기무게에 미치는 영향은 표 7(1차 실험) 및 표 8(2차 실험)과 같다.
1차 실험에서 간무게는 EIF 조성물 중에서 5% 처리군(B)과 2.5% 처리군(C)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신장은 실험처리군중 EIF 조성물 중에서 10% 처리군(A)이 다른 세 처리군 보다 통계적으로 가장 높았고, 비장은 EIF 조성물 중에서 5% 처리군(B)과 2.5% 처리군(C)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자궁은 실험처리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난소무게는 식이대조군(D)과 비교해서 EIF 조성물 처리군(A, B, C)에서 모두 낮았는데, 특히 2.5% 처리군(C)과 D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표 7).
2차 실험에서 난소와 자궁무게는 대조군(0.057, 0.197 g)에 비해 EIF군(0.053, 0.177 g)이 유의적인 차이가 없이 각각 7%, 10% 낮았다. 다른 장기(간, 신장, 비장) 무게도 A군에 비해 B군이 다소 낮았다(표 8).
EIF 조성물 식이가 암컷 쥐의 장기무게에 미치는 영향(1차)(단위: g/100g bw)
Group1) 신장 비장 자궁 난소
A 3.52±
0.35ab
0.49±
0.07a
0.25±
0.03ab
0.237± 0.070ns 0.058± 0.010ab
B 3.71±
0.44a
0.44±
0.03b
0.26±
0.05a
0.227± 0.072 0.056± 0.008ab
C 3.26±
0.18b
0.43±
0.04b
0.22±
0.03b
0.196±
0.064
0.050± 0.011b
D 3.36±
0.23b
0.43±
0.04b
0.24±
0.03ab
0.204± 0.077 0.064± 0.012a
측정값은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냄(n=10).
Significant at p<0.05 (실험군간에 95%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인 차이가 있음)
nsnot significant (실험처리군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음)
1)A, B, C: EIF조성물첨가군(10%, 5%, 2.5%), D: 기본식이(Harlan 2018S-diet)
EIF 조성물 식이가 암컷 쥐의 장기무게에 미치는 영향(2차)(단위: g/100g bw)
Group1) 신장 비장 자궁 난소
A 4.740±0.260 0.965±0.054 0.361±0.037 0.057±0.009 0.197±0.059
B 4.666±0.170 0.942±0.045 0.351±0.050 0.053±0.007 0.177±0.053
측정값은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냄(n=12).
nsnot significant (실험처리군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음)
A: 대조군 B: EIF 조성물 첨가군
3. 체장
율무와 인진 외 10종의 천연 한약재를 배합해 추출한 생약성분(EIF) 조성물이 어린 암컷 쥐의 체장에 미치는 영향은 표 9(1차 실험) 및 표 10(2차 실험)과 같다.
1차 실험에서 몸의 전체길이는 대조군(D)과 비교해서 EIF 조성물 첨가군(A, B, C)에서는 평균 0.55-0.60 cm 짧았다. 몸통길이는 EIF 조성물 중에서 10% 처리군(A)과 2.5% 처리군(C)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꼬리길이는 EIF 조성물 중에서 10% 처리군(A)과 식이대조군(D)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표 9).
2차 실험에서 몸통길이는 대조군(16.50 cm) 보다 EIF군(17.33 cm)이 유의 차가 없이 5% 더 길었다(표 10).
EIF 조성물 식이가 암컷 쥐의 체장(體長)에 미치는 영향(1차)(단위: cm)
그룹 전체길이 몸통길이 꼬리길이
A 35.80±1.09ns 19.55±0.83a 16.25±0.42b
B 35.80±0.98 19.20±0.42ab 16.60±0.74ab
C 35.85±1.20 18.90±0.52b 16.95±0.90a
D 36.40±1.05 19.30±0.54ab 17.10±0.74a
측정값은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냄(n=10).
Significant at p<0.05 (실험군간에 95%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인 차이가 있음)
nsnot significant (실험처리군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음)
1)A, B, C: EIF조성물첨가군(10%, 5%, 2.5%), D: 기본식이(Harlan 2018S-diet)
EIF 조성물 식이가 암컷 쥐의 체장에 미치는 영향(2차)
그룹 몸전체(cm) 몸통(cm)
A 30.88±0.80 16.50±0.74
B 31.33±0.83 17.33±0.78
측정값은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냄(n=12).
nsnot significant (실험처리군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음)
A: 대조군 B: EIF 조성물 첨가군
4. 대퇴골의 길이와 무게 및 골밀도
율무와 인진 외 10종의 천연 한약재를 배합해 추출한 생약성분(EIF) 조성물이 어린 암컷쥐의 대퇴골의 길이와 무게 및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은 표 11(1차 실험) 및 표 12(2차 실험)와 같다.
1차 실험에서 대퇴골길이는 EIF 조성물 첨가군이 식이대조군(D)과 비교해서 평균 0.14-0.17 cm 짧았고,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대퇴골무게는 EIF 조성물 중에서 2.5% 처리군(C)과 식이대조군(D)간에 차이가 없었다. 대퇴골의 좌우 골밀도는 EIF 조성물 중에서 2.5% 처리군(C)이 식이대조군(D)에 비해 각각 4.5%, 5.9% 낮았다(p<0.05)(표 11).
2차 실험에서 대조군과 EIF군의 대퇴골 무게, 길이 및 골밀도는 차이가 없었다(표 12).
EIF 조성물 식이가 암컷 쥐의 대퇴골의 길이와 무게 및 골밀도(BMD)에 미치는 영향(1차)
그룹 길이
(cm)
무게
(g)
골밀도(g/cm2)
왼쪽 오른쪽 평균
A 30.66±
0.67ns
0.63±
0.06ns
0.0824±
0.0069ab
0.0826±
0.0047ab
0.0823±
0.0053ab
B 30.64±
0.53
0.63±
0.03
0.0858±
0.0026a
0.0854±
0.0034a
0.0856±
0.0024a
C 30.67±
0.61
0.62±
0.05
0.0811±
0.0038b
0.0801±
0.0043b
0.0806±
0.0034b
D 30.81±
0.79
0.62±
0.05
0.0849±
0.0034ab
0.0851±
0.0042a
0.0850±
0.0033a
측정값은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냄(n=10).
Significant at p<0.05 (실험군간에 95%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인 차이가 있음)
nsnot significant (실험처리군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음)
1)A, B, C: EIF조성물첨가군(10%, 5%, 2.5%), D: 기본식이(Harlan 2018S-diet)
BMD: bone-mineral density
EIF 조성물 식이가 암컷 쥐의 체장, 대퇴골의 길이와 무게 및 골밀도(BMD)에 미치는 영향(2차)
그룹 몸전체(cm) 몸통(cm) 무게(g) 길이(cm) 골밀도(BMD)
A 30.88±0.80 16.50±0.74 0.47±0.03 26.61±0.75 0.062±.003
B 31.33±0.83 17.33±0.78 0.47±0.02 26.90±0.42 0.064±.002
측정값은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냄(n=12).
nsnot significant (실험처리군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음)
A: 대조군 B: EIF 조성물 첨가군
5. 혈중 호르몬농도
율무와 인진 외 10종의 천연 한약재를 배합해 추출한 생약성분(EIF) 조성물이 질개구일과 성호르몬 및 성장호르몬 농도에 미치는 영향은 표 13(1차 실험) 및 표 14(2차 실험)와 같다.
1차 실험에서 혈중 호르몬농도는 전체적으로 식이대조군(D)에 비해서 EIF 조성물 처리군(A, B, C)이 유의적인 차이가 없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암컷에서 FSH와 공동작용으로 난포(ovarian follicle)를 완전히 발육시켜 다량의 에스트로겐을 분비시키는 황체형성호르몬(LH)과 발정(estrus)에 수반하는 부생식기관의 발육과 기능을 촉진하는 난포호르몬인 에스트로겐 및 난소 내 난포의 성장과 성숙을 자극하는 난포자극호르몬(FSH) 농도는 EIF 조성물 중 5% 처리군(B)이 대조군(D) 보다 18-21%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FSH의 분비는 LH와 같이 시상하부에서 분비되는 성선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GnRH)에 의해 조절되며, FSH와 LH의 분비양상이 꼭 일치되지는 않는다. LH/FSH 비율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이 EIF 조성물 중 10% 처리군(A)이 다른 세 처리군 보다 다소 높았다(표 13).
2차 실험에서 EIF조성물 급여 5일째(평균체중 78 g)부터 6일 동안 질개구일을 조사한 결과 대조군과 EIF군에서 각각 3.42일, 3.83일로 나타나 B군이 0.41일 지연된 것으로 나타났다(이는 암컷쥐의 평균 발정기간 4일 전후로 봤을 때 약 10% 정도 지연되었음을 시사)(표 14).
황체형성호르몬(LH) 농도는 대조군과 EIF군에서 각각 2.75 ng/mL, 2.07 ng/mL로 나타나 EIF군이 약 25% 감소하였다.
EIF 조성물 식이가 암컷 쥐의 혈중 호르몬농도에 미치는 영향(1차)
그룹 LH
(ng/mL)
에스트로겐
(pg/mL)
FSH
(ng/mL)
LH/FSH
A 5.065±2.301ns 3.974±1.023ns 0.173±0.069ns 29.28±9.55ns
B 4.617±1.280 3.721±1.850 0.189±0.027 24.43±15.12
C 4.832±1.890 3.759±1.437 0.199±0.054 24.28±9.96
D 5.771±1.342 4.725±1.045 0.230±0.015 25.09±8.21
측정값은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냄(n=10).
Significant at p<0.05 (실험군간에 95%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인 차이가 있음)
nsnot significant (실험처리군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음)
1)A, B, C: EIF 조성물 첨가군(10%, 5%, 2.5%), D: 기본식이(Harlan 2018S-diet)
LH(luteinizing hormone): 황체형성호르몬,
FSH(follicle stimulating hormone): 난포자극호르몬
EIF 조성물 식이가 암컷 쥐의 질개구일과 성호르몬 및 성장호르몬 농도에 미치는 영향(2차)
그룹 질개구일
(d)
LH
(ng/mL)
A 3.42±1.56 2.75±1.93
B 3.83±1.63 2.07±0.82
측정값은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냄(n=12).
nsnot significant (실험처리군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음)
A: 대조군 B: EIF 조성물 첨가군
6. 혈중 칼슘과 골형성지표
율무와 인진 외 10종의 천연 한약재를 배합해 추출한 생약성분(EIF) 조성물이 어린 암컷 쥐의 혈중 칼슘과 골형성 지표에 미치는 영향은 표 10과 같다. 혈중 칼슘농도는 시험처리군에서 11.4-11.8 mg/dL의 범위로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정상적인 칼슘 이온농도를 유지하는 항상성 조절기작에 관여하는 칼시토닌 농도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이 EIF 조성물 중 10% 처리군(A)이 다소 높았다. 혈장 내 오스테오칼신은 골아세포의 활성을 시사하고, 골밀도(BMD)의 증가와 상관관계가 매우 높은 오스테오칼신 농도는 EIF 조성물 중에서 10% 처리군(A)이 2.5% 처리군(C)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p<0.05), C군이 대조군(D) 보다 6% 정도 낮았다. 골아세포에서 분비되는 골형성 바이오마커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ALP 활성은 EIF 조성물 중에서 10% 처리군(A)과 5% 처리군(B)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EIF 조성물 식이가 암컷 쥐의 칼슘과 골형성 지표에 미치는 영향
그룹 Ca
(mg/dL)
칼시토닌
(pg/mL)
오스테오칼신
(ng/mL)
ALP
(U/L)
A 11.8±0.28ns 1.41±0.43ns 75.55±12.29a 220.0±30.95a
B 11.4±0.25 1.20±0.18 67.10±14.82ab 184.3±17.84b
C 11.5±0.40 1.24±0.15 60.29±14.71b 192.9±36.50ab
D 11.6±0.39 1.26±0.30 64.32±13.34ab 199.4±33.74ab
측정값은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냄(n=10).
Significant at p<0.05 (실험군간에 95%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인 차이가 있음)
nsnot significant (실험처리군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음)
1)A, B, C: EIF 조성물 첨가군(10%, 5%, 2.5%), D: 기본식이(Harlan 2018S-diet)
ALP(alkaline phosphatase): 알칼리성 인산가수분해효소
7. 혈청 지질농도
율무와 인진 외 10종의 천연 한약재를 배합해 추출한 생약성분(EIF) 조성물이 어린 암컷쥐의 혈중 칼슘과 골형성지표에 미치는 영향은 표 16과 같다. 혈중 총콜레스테롤(TC)농도는 EIF 조성물 중 2.5% 처리군(C)이 대조군(D)과 차이가 없었다. 중성지방(TG)은 EIF 조성물 중 C군이 대조군(D)에 비해 15% 낮았다. 저밀도지단백(LDL)-콜레스테롤은 EIF 조성물 중 C군이 대조군(D)에 비해 15% 낮았다. 고밀도지단백(HDL)-콜레스테롤농도는 EIF 조성물 중 C군이 가장 낮았다.
EIF 조성물 식이가 암컷 쥐의 혈청 지질에 미치는 영향(단위: mg/dL)
Group 지질농도
TC TG LDL HDL
A 102.9±11.36ns 56.5±15.41ns 19.8±3.88ns 82.7±10.03ns
B 100.7±14.42 54.8±12.43 17.5±4.40 81.3±10.10
C 96.1±10.34 46.4±5.15 18.7±3.02 77.0±8.82
D 98.7±18.20 54.9±9.78 20.5±6.43 80.3±12.48
측정값은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냄(n=10).
nsnot significant (실험처리군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음)
1)A, B, C: EIF 조성물 첨가군(10%, 5%, 2.5%), D: 기본식이(Harlan 2018S-diet)
TC(total-cholesterol): 총콜레스테롤,
TG(triglyceride): 중성지방,
LDL(low-density lipoprotein colesterol):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HDL(high-density lipoprotein colesterol):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8. 혈구세포수(CBC)
율무와 인진 외 10종의 천연 한약재를 배합해 추출한 생약성분(EIF) 조성물이 어린 암컷쥐의 혈중 칼슘과 골형성지표에 미치는 영향은 표 17과 같다. 적혈구수(RBC)는 실험처리군간에 차이가 없이 비슷한 수준이었다. 백혈구수(WBC)는 식이대조군(D)과 EIF 조성물 처리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헤마토크릿치(Hct)는 실험처리군간에 차이가 없었고, EIF 조성물 중에서 2.5% 처리군(C)이 다소 높았다. 혈색소(Hb)함량은 실험처리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혈소판(platelet)은 실험 처리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이, EIF 조성물 중에서 10% 처리군(A)과 식이대조군(D)이 비슷한 수준이었다.
EIF 조성물 식이가 암컷 쥐의 혈구세포수에 미치는 영향
그룹 RBC(B)
(×106/㎕)
WBC(B)
(×103/㎕)
Hct
(%)
Hb
(g/dL)
혈소판
(×103/㎕)
A 6.39±
0.86ns
7.31±
1.16b
40.81±
5.85ns
13.99±
2.26ns
1243.3±
649.83ns
B 6.29±
0.85
6.37±
1.09b
40.08±
5.10
13.60±
1.20
945.90±
223.81
C 6.63±
0.58
6.20±
1.52b
42.47±
3.94
14.26±
1.53
1400.0±
182.84
D 6.34±
1.38
9.45±
2.44a
39.79±
8.91
14.21±
1.67
1248.8±
605.22
측정값은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냄(n=10).
Significant at p<0.05 (실험군간에 95%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인 차이가 있음)
nsnot significant (실험처리군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음)
1)A, B, C: EIF 조성물 첨가군(10%, 5%, 2.5%), D: 기본식이(Harlan 2018S-diet)
RBC(red blood cell, 적혈구), WBC(white blood cell, 백혈구), Hct(hematocrit, 헤마토크릿), Hb(hemoglobin, 혈색소), Platelet(혈소판)
참고문헌
1. Crofton PM et al., 1997. Clin Chem, 43(9): 1577-1581.
2. Crofton PM et al., 1996. Clin Endocrinol, (Oxf) 44(4): 385-394.
3. Johansen JS et al., 1998. J Clin Endocrinol Metab, 67(2): 273-278.
4. Juul A et al., 1997. J Clin Endocrinol Metab, 82: 1195-1201.
5. Kannisto S et al., 2002. Pediatr Res, 52(2): 258-262.
6. McCarthy AD et al., 2001. Acta Diabetol, 38(3): 113-122.
7. Ueno T et al., 1999. J Craniomaxillofac Surg, 27(5): 308-313.
8. 임강현. 2000. 한국응용약물학회 산학연심포지움, 1-22.
9. 전진경 et al., 2000. 대한소아내분비학회지, 5: 75-82.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율무(Adlay), 봉출(Curcuma zedoaria), 인진호(Artemisia capillaris Thunb.), 강황(Curcuma longa), 진피(Citrus unshiu Markovich), 저령(Polyporus umbellatus Fries), 연교(Forsythia suspensa Vahl), 곽향(Agastache rugosa (Fisc.r et Mey.) Kuntze), 소엽(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지실(Poncirus trifoliata Rafinesqul), 산조인(Zizyphus jujuba Miller) 및 창출(Atractylodes lancea D.C)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형성 촉진용 식품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혈중 오스테오칼신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ALP(alkaline phosphatase)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의 조합을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서 율무, 봉출, 인진호, 강황, 진피, 저령, 연교, 곽향, 소엽, 지실, 산조인 및 창출 추출물의 혼합비는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23 중량%: 7 중량%: 7 중량%: 7 중량%: 7 중량%: 7 중량%: 7 중량%: 7 중량%: 7 중량%: 7 중량%: 7 중량%: 7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율무(Adlay), 봉출(Curcuma zedoaria), 인진호(Artemisia capillaris Thunb.), 강황(Curcuma longa), 진피(Citrus unshiu Markovich), 저령(Polyporus umbellatus Fries), 연교(Forsythia suspensa Vahl), 곽향(Agastache rugosa (Fisc.r et Mey.) Kuntze), 소엽(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지실(Poncirus trifoliata Rafinesqul), 산조인(Zizyphus jujuba Miller) 및 창출(Atractylodes lancea D.C)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혈중 중성지방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혈중 LDL-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의 조합을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서 율무, 봉출, 인진호, 강황, 진피, 저령, 연교, 곽향, 소엽, 지실, 산조인 및 창출 추출물의 혼합비는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23 중량%: 7 중량%: 7 중량%: 7 중량%: 7 중량%: 7 중량%: 7 중량%: 7 중량%: 7 중량%: 7 중량%: 7 중량%: 7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40136510A 2014-10-10 2014-10-10 골형성 촉진용 조성물 및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26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510A KR101626941B1 (ko) 2014-10-10 2014-10-10 골형성 촉진용 조성물 및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510A KR101626941B1 (ko) 2014-10-10 2014-10-10 골형성 촉진용 조성물 및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521A KR20160042521A (ko) 2016-04-20
KR101626941B1 true KR101626941B1 (ko) 2016-06-03

Family

ID=55917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6510A KR101626941B1 (ko) 2014-10-10 2014-10-10 골형성 촉진용 조성물 및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69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442B1 (ko) 2017-03-16 2018-01-26 박승찬 의이인 및 인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성조숙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145896A (ko) 2019-06-19 2020-12-31 주식회사 오쎄인 시안화아크릴레이트의 점도 변화에 따른 물성변화를 통한 골대체용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및 그것의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780B1 (ko) * 2019-08-28 2021-09-0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비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대사성 질환으로 유발된 골소실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2427768B1 (ko) * 2020-06-11 2022-08-0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배초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3872A (ja) 2004-06-07 2005-12-15 Kao Corp アロマターゼ活性化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813B1 (ko) * 2001-10-10 2006-06-08 한국 한의학 연구원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건강식품
KR100658002B1 (ko) * 2005-03-25 2006-12-14 주식회사 대평 개나리 열매로부터 마타이레시놀 및 악티게닌의 분리 및정제방법
KR100682047B1 (ko) * 2005-03-30 2007-02-12 정두수 고지혈증 치료용 한약 추출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3872A (ja) 2004-06-07 2005-12-15 Kao Corp アロマターゼ活性化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442B1 (ko) 2017-03-16 2018-01-26 박승찬 의이인 및 인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성조숙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0583163B2 (en) 2017-03-16 2020-03-10 Seung Chan Park Composition for prevention, alleviation or treatment of precocious puberty containing extract of coicis semen and artemisia capillaris as active ingredient
KR20200145896A (ko) 2019-06-19 2020-12-31 주식회사 오쎄인 시안화아크릴레이트의 점도 변화에 따른 물성변화를 통한 골대체용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및 그것의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521A (ko) 201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174539A (ja) 紫色の馬鈴薯を使用した肥満患者用の健康機能食品
KR101626941B1 (ko) 골형성 촉진용 조성물 및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49440B1 (ko) 호장근과 계심을 함유하는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0703180B1 (ko)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질환의 예방 및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KR102002298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26938B1 (ko) 성조숙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2015512911A (ja) フジバカマ属の抽出物を含有する肥満及び骨代謝疾患の予防及び治療用組成物
KR101460126B1 (ko) 민들레 추출물 또는 민들레 함유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갱년기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Yadav et al. Trigonella foenum–graecum: a herbal plant review
KR100679290B1 (ko) Hgd­sj­201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07494938A (zh) 一种提高肉牛免疫力的中草药复合饲料及其制备方法
KR101421347B1 (ko) 항비만 활성을 나타내는 정유(essential oil) 분획물을 제조하는 제조방법 및 이 분획물을 포함하는 지방간 및 비만 예방 및 치료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1364690B1 (ko) 대나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2122408B1 (ko) 자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22123B1 (ko) 식욕억제제 조성물
KR101824217B1 (ko) 모로오렌지주스 및 와일드망고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20080082417A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모리 배양물을 함유하는 성장촉진용조성물
KR20200120549A (ko) 용쑥 및 서양민들레를 포함하는 체중 또는 체지방 감소용 경구용 조성물
KR100832520B1 (ko) 매생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조성물
KR0137897B1 (ko) 두충엽을 주원료로 함유한 건강식품 조성물
KR20110078237A (ko) 비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0539457B1 (ko) 괴각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및지방간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785082B1 (ko) 기능성 녹차 가공품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0450055B1 (ko) 두과 식물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질개선용 식품 조성물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식품
KR101966879B1 (ko) 백합 추출물 및 계혈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