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5082B1 - 기능성 녹차 가공품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기능성 녹차 가공품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85082B1 KR100785082B1 KR1020060051222A KR20060051222A KR100785082B1 KR 100785082 B1 KR100785082 B1 KR 100785082B1 KR 1020060051222 A KR1020060051222 A KR 1020060051222A KR 20060051222 A KR20060051222 A KR 20060051222A KR 100785082 B1 KR100785082 B1 KR 1007850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een tea
- weight
- gtp
- ovx
- group
- Prior art date
Links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5000009569 green tea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26
- 240000000019 Diospyros kaki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5000011508 Diospyros virginian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41001107116 Castanospermum austral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5000021279 black bean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37356 lipid metabol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5000012907 honey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5000013527 bean cur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40000007842 Glycine max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37182 bone dens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15872 dietary supplemen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108 freeze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025 steam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claims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06010003210 Arteriosclerosis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08000003432 Bone Disease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3405 prevent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0576 supplementary Effects 0.000 abstract 1
- HVYWMOMLDIMFJA-DPAQBDIFSA-N (3β)-Cholest-5-en-3-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74
- XKMLYUALXHKNFT-UUOKFMHZSA-N Guanosine-5'-triphosphate Chemical compound C1=2NC(N)=NC(=O)C=2N=CN1[C@@H]1O[C@H](COP(O)(=O)OP(O)(=O)OP(O)(O)=O)[C@@H](O)[C@H]1O XKMLYUALXHKNFT-UUOKFMHZSA-N 0.000 description 58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38
- 229940107161 Cholesterol Drugs 0.000 description 37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31
- 235000012000 cholest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9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22
- 150000003626 triacylglycer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2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22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1
- 150000002632 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7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6
- 210000000988 Bone and Bones Anatomy 0.000 description 15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4
- 229960005069 Calcium Drug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4
- 235000001465 calci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4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5000010755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4
- 210000002966 Serum Anatomy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1965 increased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3859 lipid per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102000000852 Tumor Necrosis Factor-alpha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8
- 108010001801 Tumor Necrosis Factor-alpha Proteins 0.000 description 8
- 235000005487 catech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29930016253 catech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PFTAWBLQPZVEMU-DZGCQCFKSA-N Catechin Chemical compound C1([C@H]2OC3=CC(O)=CC(O)=C3C[C@@H]2O)=CC=C(O)C(O)=C1 PFTAWBLQPZVEMU-DZGCQCFKSA-N 0.000 description 7
- 108010023302 HDL Cholesterol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210000003734 Kidney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378 dietary Effects 0.000 description 7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6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6
- 206010062060 Hyperlipida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108010007622 LDL Lipo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6
- 102000007330 LDL Lipoprote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6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2381 Plasma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956 as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29940079593 drugs Drug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925 fa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9197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11164 oss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30003231 vitamin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6
- VOXZDWNPVJITMN-ZBRFXRBCSA-N 17β-estradiol Chemical compound OC1=CC=C2[C@H]3CC[C@](C)([C@H](CC4)O)[C@@H]4[C@@H]3CCC2=C1 VOXZDWNPVJITMN-ZBRFXRBCSA-N 0.000 description 5
- 229960005309 Estradiol Drug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3608 Feces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08000001132 Osteopo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41000700159 Rattus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01000001320 atheroscle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737 colorimetric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634 feeding behavior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611 ovaria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3616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150000003722 vitamin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5
- 102000002260 Alkaline Phosphat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
- 108020004774 Alkaline Phosphat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4204 Blood Vessels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29940105657 CATALASE Drugs 0.000 description 4
- 229940100626 Catechin Drugs 0.000 description 4
- 229950001002 Cianidanol Drugs 0.000 description 4
- 102000016938 EC 1.11.1.6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
- 108010053835 EC 1.11.1.6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229940088598 Enzyme Drug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6826 Ex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102100013241 GSR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
- RWSXRVCMGQZWBV-WDSKDSINSA-N Glutathione Chemical compound OC(=O)[C@@H](N)CCC(=O)N[C@@H](CS)C(=O)NCC(O)=O RWSXRVCMGQZWBV-WDSKDSINSA-N 0.000 description 4
- 229960003180 Glutathione Drugs 0.000 description 4
- 108010024636 Glutathione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102000006587 Glutathione Peroxid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
- 108020004973 Glutathione Peroxid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108010063907 Glutathione Reduct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229940088597 Hormone Drugs 0.000 description 4
- 208000009576 Hypercholesterol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06010027304 Menopausal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101710026488 SOD2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1765 catechin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5000021271 drinki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29142 ex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76 function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402 health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5556 horm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0963 osteoblast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790 osteoblas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205 Muscles Anatomy 0.000 description 3
- 102000004067 Osteocalc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90000573 Osteocalcin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672 Ovary Anatomy 0.000 description 3
- 108009000578 Oxidative Stres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2000030951 Phosphotransfer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91000081 Phosphotransfer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29930003268 Vitamin C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789 adip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058 adul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913 calcium metabolism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XMOCLSLCDHWDHP-IUODEOHRSA-N epi-Gallocatechin Chemical compound C1([C@H]2OC3=CC(O)=CC(O)=C3C[C@H]2O)=CC(O)=C(O)C(O)=C1 XMOCLSLCDHWDHP-IUODEOHRSA-N 0.000 description 3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55 food flavor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245 menopau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36542 oxidative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271 res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1100000486 side effect Toxicity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2639 sodium chlor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519 tissues Anatomy 0.000 description 3
- 150000003700 vitamin C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786 weight ga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584 weight gai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WMBWREPUVVBILR-WIYYLYMNSA-N (-)-Epigallocatechin-3-o-gallate Chemical compound O([C@@H]1CC2=C(O)C=C(C=C2O[C@@H]1C=1C=C(O)C(O)=C(O)C=1)O)C(=O)C1=CC(O)=C(O)C(O)=C1 WMBWREPUVVBILR-WIYYLYMN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024 Ceanothus sanguine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06010008118 Cerebral infar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597 Diospyros kaki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BJHIKXHVCXFQLS-UYFOZJQFSA-N Fructose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O)CO BJHIKXHVCXFQLS-UYFOZJQFSA-N 0.000 description 2
- 108060003412 GRP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000015779 HDL Lipoprote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3553 Leptospermum scopari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102000017055 Lipoprotein lip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13563 Lipoprotein lip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459 Lycium barba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GUBGYTABKSRVRQ-YOLKTULGSA-N Maltose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O)O[C@H]1CO)[C@@H]1[C@H](O)[C@@H](O)[C@@H](O)[C@@H](CO)O1 GUBGYTABKSRVRQ-YOLKTULGSA-N 0.000 description 2
- TWRXJAOTZQYOKJ-UHFFFAOYSA-L MgCl2 Chemical compound [Mg+2].[Cl-].[Cl-] TWRXJAOTZQYOKJ-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29960000502 Poloxamer Drug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1685 Postmenopausal Osteopo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101710002423 SOD1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1710002416 SOD3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1710013084 SODCC1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XOAAWQZATWQOTB-UHFFFAOYSA-N Taurine Chemical compound NCCS(O)(=O)=O XOAAWQZATWQOT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6468 Thea sin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679 ab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508 accu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298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10 anti-inflammator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047 antioxidant nutr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150 biochemical 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153 chemical reaction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687 corn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85 corn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367 deionis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113 dietary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8823 dietary intak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821 effect on bon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308 embryonic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55 enzymatic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94 fatty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4665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2686 female pregnanc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06 food intak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203 fruit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54 hormonal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264 neutra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PVNIIMVLHYAWGP-UHFFFAOYSA-N nicotin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N=C1 PVNIIMVLHYAWG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01000008482 osteoarth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575 pathological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983 poloxa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35 pregnanc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829 reduced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882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XLOMVQKBTHCTTD-UHFFFAOYSA-N zinc monoxide Chemical compound [Zn]=O XLOMVQKBTHCTT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30013783 (-)-epicatech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355 (-)-epicatech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763 2-hydroxyethyl(trimethyl)az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577 Adipose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XJKJWTWGDGIQRH-BFIDDRIFSA-N Alginic acid Chemical compound O1[C@@H](C(O)=O)[C@@H](OC)[C@H](O)[C@H](O)[C@@H]1O[C@@H]1[C@@H](C(O)=O)O[C@@H](C)[C@@H](O)[C@H]1O XJKJWTWGDGIQRH-BFIDDRIFSA-N 0.000 description 1
- IAOZJIPTCAWIRG-QWRGUYRKSA-N Aspartame Chemical compound OC(=O)C[C@H](N)C(=O)N[C@H](C(=O)OC)CC1=CC=CC=C1 IAOZJIPTCAWIRG-QWRGUYRK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38 Aspartame Drugs 0.000 description 1
- 108010011485 Aspartam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39 Blood Level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563 Calcium Carbo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37769 Calcium Carbonate 100 MG Drug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6956 Calcium deficienc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YQEZLKZALYSWHR-UHFFFAOYSA-N Calypsol Chemical compound C=1C=CC=C(Cl)C=1C1(NC)CCCCC1=O YQEZLKZALYSWH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548 Camellia japon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467 Camellia japon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07269 Carcinogenic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787 Cardiovascula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67225 Cell Adhesion Molecul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6289 Cell Adhesion Molecul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61 Chitosa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178 Choline Chlor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SGMZJAMFUVOLNK-UHFFFAOYSA-M Choline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N+](C)(C)CCO SGMZJAMFUVOLNK-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43 Choline chlor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223760 Cinnamomum zeylan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310 Cinnamomum zeylan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69647 Citric Acid 1000 MG Drugs 0.000 description 1
- KNHUKKLJHYUCFP-UHFFFAOYSA-N Clofibrate Chemical compound CCOC(=O)C(C)(C)OC1=CC=C(Cl)C=C1 KNHUKKLJHYUCF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54173 Coleopt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61 Corn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40064701 Corticosteroid nasal preparations for topical us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334 Corticosteroids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858 Cyclo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27 Cytoki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95 Cytoki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FSIIMWSLSA-N D-Glucitol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FSIIMWSLSA-N 0.000 description 1
- WQZGKKKJIJFFOK-GASJEMHNSA-N D-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JGWLITMVSA-N D-gluc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JGWLITMVSA-N 0.000 description 1
- CZMRCDWAGMRECN-UGDNZRGBSA-N D-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70 DL Methion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FFEARJCKVFRZRR-UHFFFAOYSA-N DL-methionine Chemical compound CSCCC(N)C(O)=O FFEARJCKVFRZR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353 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5 Dextr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ZPWVASYFFYYZEW-UHFFFAOYSA-L Dipotassium phosphate Chemical compound [K+].[K+].OP([O-])([O-])=O ZPWVASYFFYYZEW-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06010058314 Dyspla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92913 Eben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889 Endothelial Cell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LSHVYAFMTMFKBA-TZIWHRDSSA-N Epicatechin gallate Chemical compound O([C@@H]1CC2=C(O)C=C(C=C2O[C@@H]1C=1C=C(O)C(O)=CC=1)O)C(=O)C1=CC(O)=C(O)C(O)=C1 LSHVYAFMTMFKBA-TZIWHRDS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08686 Eucommi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12 FEMA 4601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14144 Fol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918 Fraxinus excelsi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15 Fru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665 Gastrointestin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288 Glyco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3886 Glycoprote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LPLVUJXQOOQHMX-MYOOOWEVSA-N Glycyrrhizic acid Natural products O=C(O)[C@H]1[C@@H](O)[C@H](O)[C@@H](O[C@H]2[C@H](O)[C@@H](O)[C@H](O)[C@H](C(=O)O)O2)[C@@H](O[C@@H]2C(C)(C)[C@H]3[C@@](C)([C@H]4C(=O)C=C5[C@](C)([C@]4(C)CC3)CC[C@]3(C)[C@H]5C[C@](C(=O)O)(C)CC3)CC2)O1 LPLVUJXQOOQHMX-MYOOOWEV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8 Glycyrrhiz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VEXZGXHMUGYJMC-UHFFFAOYSA-N HCl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9851 Hepatotoxic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412 Hom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286 Hydroxymethylglutaryl CoA Reduct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895 Hydroxymethylglutaryl CoA Reduct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575 Hypertriglycerid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216 Infar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367 Inos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CDAISMWEOUEBRE-GPIVLXJGSA-N Inositol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O)[C@H](O)[C@@H]1O CDAISMWEOUEBRE-GPIVLXJGSA-N 0.000 description 1
- BAUYGSIQEAFULO-UHFFFAOYSA-L Iron(II) sulfate Chemical compound [Fe+2].[O-]S([O-])(=O)=O BAUYGSIQEAFU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108010028554 LDL Cholesterol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265 Leukocyte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041 Ligament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895 Lipoprote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1030 Lipo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ZLNQQNXFFQJAID-UHFFFAOYSA-L Magnes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Mg+2].[O-]C([O-])=O ZLNQQNXFFQJAID-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40 Metabol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125 Myocardial Infar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3067 Myocardial Isch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4296 Neuralg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SNICXCGAKADSCV-JTQLQIEISA-N Nicotine Chemical compound CN1CCC[C@H]1C1=CC=CN=C1 SNICXCGAKADSCV-JTQLQIEI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715 Nicot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589 Obes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8009000065 Osteoblast differentiatio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5368 Osteomalac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3982 Parathyroid hormon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445 Parathyroid hormo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928 Paspalum scrobiculat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675 Paspalum scrobicul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LCLHHZYHLXDRQG-ZNKJPWOQSA-N Pectic acid Chemical compound O[C@@H]1[C@@H](O)[C@@H](O)O[C@H](C(O)=O)[C@@H]1OC1[C@H](O)[C@@H](O)[C@@H](OC2[C@@H]([C@@H](O)[C@@H](O)[C@H](O2)C(O)=O)O)[C@@H](C(O)=O)O1 LCLHHZYHLXDRQG-ZNKJPWOQ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30 Pect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60 Perioste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40067631 Phospholipids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3488 Pill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4476 Poloxamer 407 Drugs 0.000 description 1
- QEEAPRPFLLJWCF-UHFFFAOYSA-K Potassium citrate Chemical compound [K+].[K+].[K+].[O-]C(=O)CC(O)(CC([O-])=O)C([O-])=O QEEAPRPFLLJWCF-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HELXLJCILKEWJH-SEAGSNCFSA-N Rebaudioside A Natural products O=C(O[C@H]1[C@@H](O)[C@@H](O)[C@H](O)[C@@H](CO)O1)[C@@]1(C)[C@@H]2[C@](C)([C@H]3[C@@]4(CC(=C)[C@@](O[C@H]5[C@H](O[C@H]6[C@H](O)[C@@H](O)[C@H](O)[C@@H](CO)O6)[C@@H](O[C@H]6[C@H](O)[C@@H](O)[C@H](O)[C@@H](CO)O6)[C@H](O)[C@@H](CO)O5)(C4)CC3)CC2)CCC1 HELXLJCILKEWJH-SEAGSNCF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39073 Rheumatoid arth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477 Riboflavin Drugs 0.000 description 1
- AUNGANRZJHBGPY-SCRDCRAPSA-N Riboflavin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N1C=2C=C(C)C(C)=CC=2N=C2C1=NC(=O)NC2=O AUNGANRZJHBGPY-SCRDCRAP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442 Ricke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CVHZOJJKTDOEJC-UHFFFAOYSA-N Saccharin Chemical compound C1=CC=C2C(=O)NS(=O)(=O)C2=C1 CVHZOJJKTDOEJ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81974 Sacchar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356 Skeleto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132 Stevia rebaudia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HELXLJCILKEWJH-NCGAPWICSA-N Stevioside A3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H]([C@@H]1O[C@H]1[C@@H]([C@@H](O)[C@H](O)[C@@H](CO)O1)O)O[C@]12C(=C)C[C@@]3(C1)CC[C@@H]1[C@@](C)(CCC[C@]1([C@@H]3CC2)C)C(=O)O[C@H]1[C@@H]([C@@H](O)[C@H](O)[C@@H](CO)O1)O)[C@@H]1O[C@H](CO)[C@@H](O)[C@H](O)[C@H]1O HELXLJCILKEWJH-NCGAPWIC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011 Strok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CZMRCDWAGMRECN-GDQSFJPYSA-N Sucrose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O)[C@H](CO)O1)[C@@]1(CO)[C@H](O)[C@@H](O)[C@@H](CO)O1 CZMRCDWAGMRECN-GDQSFJPYSA-N 0.000 description 1
- 102000019197 Superoxide Dismut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12715 Superoxide Dismut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080 Taur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280 Theobroma caca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FPKOPBFLPLFWAD-UHFFFAOYSA-N Trinitrotoluene Chemical compound CC1=CC=C([N+]([O-])=O)C([N+]([O-])=O)=C1[N+]([O-])=O FPKOPBFLPLFWA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2100019577 VCAM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9983 VITAMINS Drugs 0.000 description 1
- 108010000134 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1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451 Vitamin B1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779 Vitamin B12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471 Vitamin B2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33203 Vitamin B6 0.5 MG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6008 Vitamin D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316 Vitamin 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6009 Vitamin 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427 Vitamin 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1016 Vitamin IV solution additives Drugs 0.000 description 1
- HEBKCHPVOIAQTA-SCDXWVJYSA-N Xyl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O HEBKCHPVOIAQTA-SCDXWVJ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675 Xyl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NBIIXXVUZAFLBC-UHFFFAOYSA-K [O-]P([O-])([O-])=O Chemical compound [O-]P([O-])([O-])=O NBIIXXVUZAFLBC-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83 algi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3 algi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15 algin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126 algi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4 anaesthet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02 analges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4 anti-oxid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29 anticholesterem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708 antioxida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05 asparta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57 aspartam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YBJHBAHKTGYVGT-ZKWXMUAHSA-N biotin Chemical compound N1C(=O)N[C@@H]2[C@H](CCCCC(=O)O)SC[C@@H]21 YBJHBAHKTGYVGT-ZKWXMUAH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685 biot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958 biot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16 bio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21 but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FAPWYRCQGJNNSJ-UBKPKTQASA-L calcium D-pantothenic acid Chemical compound [Ca+2].OCC(C)(C)[C@@H](O)C(=O)NCCC([O-])=O.OCC(C)(C)[C@@H](O)C(=O)NCCC([O-])=O FAPWYRCQGJNNSJ-UBKPKTQASA-L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FUFJGUQYACFECW-UHFFFAOYSA-L calcium hydrogenphosphate Chemical compound [Ca+2].OP([O-])([O-])=O FUFJGUQYACFECW-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079 calcium pantothe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089 carbon di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71 carbonated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260 carcinogen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18 case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240 cas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4881 catalytic 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27 cell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51 chee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19 chocol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06 cholesterol absor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974 cholesterol intak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803 cinnam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214 clofibr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346 cobalamin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29940110456 cocoa butter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868 cocoa but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84 colloidal syste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0 col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20 corn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6 corticostero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59 degra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84 detox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25 dext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00 dicalcium phos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95079 dicalcium phosphate anhydrous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882 dietary compos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9 different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016 di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4 dys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686 eati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KCXVZYZYPLLWCC-UHFFFAOYSA-N edta Chemical compound OC(=O)CN(CC(O)=O)CCN(CC(O)=O)CC(O)=O KCXVZYZYPLLWC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01 egg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5 emulsify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511 endotheli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62 est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5 exerci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90 ferrous sul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891 ferrous sul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76 fibrot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OVBPIULPVIDEAO-LBPRGKRZSA-N folic acid Chemical compound C=1N=C2NC(N)=NC(=O)C2=NC=1CNC1=CC=C(C(=O)N[C@@H](CCC(O)=O)C(O)=O)C=C1 OVBPIULPVIDEAO-LBPRGKRZ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2 fol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24 fol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631 food intak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55 form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2146 gastrointestinal system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2406 genet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76 glycans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949 glycyrrhiz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10 glycyrrhiz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LPLVUJXQOOQHMX-QWBHMCJMSA-N glycyrrhizinic acid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O[C@@H]1O[C@@H]1C([C@H]2[C@]([C@@H]3[C@@]([C@@]4(CC[C@@]5(C)CC[C@@](C)(C[C@H]5C4=CC3=O)C(O)=O)C)(C)CC2)(C)CC1)(C)C)C(O)=O)[C@@H]1O[C@H](C(O)=O)[C@@H](O)[C@H](O)[C@H]1O LPLVUJXQOOQHMX-QWBHMCJM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76 he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238 heart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40 hepat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04 hepato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41 hydrogen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865 immune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039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018 immuno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57 inflammato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8709 inflammatory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56 ion exchang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303 ion-exchang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59 iron(II) 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16 isoflavo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30012948 isoflavone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696 isoflavon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299 ketam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095 magnesium 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6 magnesium 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21 magnes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629 magnesium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03 metabol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86 metabol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109 methion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89 micro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MEFBJEMVZONFCJ-UHFFFAOYSA-N molybdate Chemical compound [O-][Mo]([O-])(=O)=O MEFBJEMVZONFC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72 mono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07 myocardi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72 neutrali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015196 nicotin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512 nicoti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968 nicoti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64 nicoti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824 obes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113 octoxyn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74 oint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42 oligo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482 oligosaccharides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390 olive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06 oliv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43 one-way ANOVA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06 oophorectom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24 orga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85 organic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567 organic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72 osteoblast different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02 pH adjus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29 palatabil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99 parathyroid horm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319 parathyroid hormo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814 pec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77 pec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87 pect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50 pharmaco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2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904 phospho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66 physi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04 physiological salin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7 pil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378 plant stero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92 poloxamer 407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318 polygalacturo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442 polyphenol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24 polypheno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82 poly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17 polysaccha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804 polysaccharides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08 potassium ci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635 potassium citr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35 preserva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03 rebaudioside 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342 retinol acet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73 retinyl acet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0 retinyl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GNJRVVDBSJHIZ-QHLGVNSISA-N retin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C\C=C(/C)\C=C\C=C(/C)\C=C\C1=C(C)CCCC1(C)C QGNJRVVDBSJHIZ-QHLGVNSI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04 saccha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01 saccharin and its Na,K and Ca s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26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3 senso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00 sorb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56 sorb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55 soy sau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58 star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19 statis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431 stero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20 suc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163 suga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560 therapeutic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KYMBYSLLVAOCFI-UHFFFAOYSA-N thiamine Chemical compound CC1=C(CCO)SCN1CC1=CN=C(C)N=C1N KYMBYSLLVAOCF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95 thiam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62 thick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868 tissue accu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56 ton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3878 topical for treatment of hemorrhoids and anal fissures Corticosteroids Drug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31 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91 tripotassium ci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870 tripotassium cit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6 vitamin B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20 vitamin B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74 vitamin B1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91 vitamin B1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3 vitamin B12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5 vitamin B1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4 vitamin B2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6 vitamin B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6 vitamin 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0 vitamin 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710 vitamin 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5 vitamin 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9 vitamin 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712 vitamin E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8 vitamin 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2 vitamin 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266 weeks of ges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11 xyl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7 xyl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7 zinc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WQZGKKKJIJFFOK-VFUOTHLCSA-N β-D-gluc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 WQZGKKKJIJFFOK-VFUOTHLC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녹차잎, 두충, 감잎을 적정 온도 및 시간으로 가열, 추출 및 건조시키고, 분말화 된 검정콩과 혼합시키는 방법으로 녹차 가공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녹차 가공품은 골질환, 지질대사 관련 질환 및 동맥경화의 예방 및 개선에 유용한 건강보조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녹차 가공품, 골질환, 지질대사, 동맥경화
Description
도 1은 녹차 가공품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이고,
도 2는 녹차 가공품의 완성품을 나타낸 도이며,
도 3은 GTP가 난소절제 후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SEM으로 측정한 결
과를 나타낸 도이고,
도 4는 각 군에서의 혈청의 중성지방농도 변화를 나타낸 도이며,
도 5는 각 군에서의 혈청의 총 콜레스테롤 농도 변화를 나타낸 도이고,
도 6은 총 콜레스테롤 농도에 대한 HDL-C 농도비(%)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며,
도 7은 각 군의 지질과산화 정도를 TBARS의 생성량으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고,
도 8은 각 군의 TNF-α 농도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며,
도 9는 각 군의 간의 총 지방함량과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 농도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고,
도 10은 각 군의 간의 지질과산화 정도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녹차잎, 두충, 감잎 및 검정콩 등을 배합한, 골밀도 증진효과와 지질대사 개선 및 항 동맥경화 효과에 유용한 녹차 가공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고지혈증은 혈액 속의 지질성분이 보통이상으로 증가된 상태 (Kim JK, 임상지질학, pp241-270, 1995)를 말한다. 혈청지질의 주요 성분은 콜레스테롤, 중성지질, 인지질, 유리지방산 등의 지용성 물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지질 물질 중 어느 것이 주로 증가하느냐에 따라 고콜레스테롤혈증, 고중성지질혈증 등으로 불리운다.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의 혈청 내 증가가 고지혈증의 가장 일반적인 원인으로 취급되고 있는데 과다한 지방질의 축척으로 혈액순환장애 및 미세순환부전을 일으키고, 이로 인하여 죽상동맥경화증, 허혈성심질환, 뇌경색, 고혈압, 비만, 당뇨병 등을 초래할 수 있다 (Schoen FJ et al., Robbins pathologic basis of disease, 5th ed., pp473-484, 1994).
동맥경화의 원인으로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혈장 지질, 특히 혈장 콜레스테롤(cholesterol) 및 중성지질의 상승이 가장 중요한 위험 인자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콜레스테롤은 주로 간에서 생성되며, 지단백(lipoprotein)이라는 작고 둥근 입자형태로 혈액 중에 존재하게 되는데, 이 지단백이 콜레스테롤을 우리 몸 곳곳으 로 운반한다. 지단백에는 저밀도지단백 (low density lipo protein, LDL) 및 고밀도지단백 (high density lipoprotein, HDL) 두 종류가 있으며, 고밀도지단백은 다른 조직에서 간으로 콜레스테롤을 운반하기 때문에 고밀도지단백이 많으면 혈관 등에서 콜레스테롤이 제거되며, 반면 저밀도지단백은 간에서 주로 생성되어 인체의 다른 조직으로 콜레스테롤을 운반하므로 저밀도지단백이 많으면 혈관에 콜레스테롤이 많이 쌓여서 동맥경화가 촉진되며, 혈중 콜레스테롤의 약 70%는 나쁜 콜레스테롤인 저밀도지단백으로 존재한다.
실제적으로 콜레스테롤은 인체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시키는 데 필수적인 구성 성분이며, 세포를 만드는데 꼭 필요한 영양소이고, 부신피질 호르몬, 남성 호르몬, 여성 호르몬 등 여러 가지 호르몬의 재료가 되는 성분이며, 담즙을 만드는 재료가 된다. 또한 콜레스테롤은 생체막의 구성성분인 동시에 호르몬 합성의 출발물질로 쓰이는 등 인체에 반드시 필요한 영양소이다. 그러나, 콜레스테롤 과다 섭취시 혈관 내에 축적되어 심장계 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아직까지는 저콜레스테롤 식이요법 외에는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 없으며, 콜레스테롤 저하제 등의 약품 복용이 효과는 있으나, 콜레스테롤 합성효소의 작용억제에 따른 간 기능 장애와 같은 부작용을 유발하는 등의 이유로 인하여 사용이 극히 제한적이다.
인체 내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로는 키토산 (chitosan), 피토스테롤 (phytosterol), 이노시톨 (inositol), 펙틴 (pectin) 등이 있으나, 피토스테롤을 제외한 경우 그 효과나 대사 기작이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식물성 스테롤인 피토스테롤은 콜레스테롤과의 구조적 유사성으로 인하여, 인 체에 해로운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LDL-Cholesterol)과의 경쟁을 통하여 인체 내 콜레스테롤 흡수 대사를 저해하는 작용 기작이 이미 밝혀져 있고, 식품첨가물로서 미국식품의약국 (FDA)의 승인이 되어 있다.
혈장 콜레스테롤의 상승 원인으로서는 우선 유전적인 질환이 있는데, 이 경우, 위독한 환자에 대해서는 식사요법과 동시에 콜레스테롤 합성저해제, 니코몰 (Nicomol), 클로피브레이트 (Clofibrate), 이온교환수지, 단백동화 스테로이드 등의 약제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의 약제는 간독성, 위장장해, 발암성 등의 부작용이 있다.
혈장 콜레스테롤 상승의 또 하나의 큰 원인으로서, 근래 달걀, 버터, 육류 등을 대량으로 섭취하는 식생활에 의한 지방의 과잉 섭취를 들 수 있으며, 이것은 젊은 연령층에서도 현저히 나타나고 있다. 식사성의 고콜레스테롤혈증의 경우, 통상 위독한 고콜레스테롤혈증에는 이르지 않으나, 젊은 연령기부터 혈관에 서서히 콜레스테롤이 축적하여 성인에 이르러 동맥경화를 일으키는 것이 문제이며, 고-트리글리세리드 (triglyceride)혈증과 더불어, 심근경색이나 뇌경색을 초래할 위험성이 있다.
실험적 고지혈증의 병태 모델은 크게 외인성 모델과 내인성 모델로 나누어진다. 외인성 고지혈증 병태모델로는 고콜레스테롤식이 부하에 의한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발 모델, 즉 비타민D, 콜레스테롤, 올리브유, 옥수수유 등의 투여에 의한 고지혈증 모델이 있고, 내인성 고지혈증 모델로는 과당 (fructose) 투여 및 트리톤 WR-1339 (Triton WR-1339) 투여에 의한 모델 등이 있다 (Ham IH et al., Kor. J. Herbology, 20, pp45-52, 2005). 그중 폴록사머 407 (Poloxamer 407) 는 마취제의 유화제 (Lee HH et al., Korean J. Anesthesiol, 40, pp515-521, 2001), 난용성 약물 용해제 (Choi JY et al., J. Kor . Pharm . Sci., 18, pp240-241, 1988), 피부연고제 (Gill HJ et al., J. Kor . Pharm . Sci., 24, ppS27-S32, 1994 ; Kim KK et al., J. Kor . Pharm . Sci., 28, pp15-23, 1998) 등으로 사용되어지고 있으나, 인체 내 투여시 지질이 증가하며 특히 중성지질이 증가됨으로써 고지혈증을 유발한다. 흰쥐에게 복강으로 폴록사머를 투여하였을 때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농도가 증가된다고 알려져 있다 (Johnston WK et al., Biochemical Pharmacology, 46, pp1037-1042, 1993 ; Zjumira et al ., J. Parenteral Sci . & Tech ., 46, pp192-200, 1992). 폴록사머 주입 후 최소 24시간 동안 지방세포 (adipocyte)에서 유리지방산이 생성되며 (Nash VJ et al., Pharmacotherapy, 16, pp10-15, 1996), 리포단백리파제 (lipoprotein lipase, LPL)의 작용을 방해하는 중성지질의 분해속도를 감소시키고 (Stellato C. et al., Br . J. Anaesth., 67, pp751-758, 1991),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이 증가되는데 이는 간에서의 3-히드록시-3-메틸글루타릴 CoA 환원효소(3-hydroxy-3-methylglutaryl CoA reductase)의 활성을 자극시키기 때문이다 (Wout GZ et al., J. Parenter . Sci . Technol., 46(6), pp192-200, 1992).
녹차는 차나무(Camellia sinensis)의 잎으로 학명은 tea plant 또는 tea tree 라고 하며 발효시키지 않은 찻잎을 사용해서 만든 차로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으로 선호현상이 두드러져 소비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으로 녹차에 대한 여러 기능성이 과학적으로 규명됨에 따라 기능성 식품으로 그 가치가 재평가되고 있다.
녹차의 폴리페놀류는 카테킨으로 알려져 있으며 주요 카테킨 성분으로 (-)-epicatechin(EC),(-)-epicatechin-3-gallate, (-)-epigallocatechin(EGC), (-)-epigallocatechin-3- gallate(EGCG) 등이 보고 되었고,(Zhao Wenhua, Chen Junshi. J. Clin. Nutr. 10(2), pp.138~142, 2001.)
녹차의 제조방법에 따라 생리활성성분의 함량이 크게 변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녹차에는 말린 잎을 기준으로 카테킨 함량이 30~42% 함유 되어 있다. 녹차의 카테킨 성분이 암, 당뇨, 동맥경화 등 각종 질병을 예방하고 다이어트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마시는 녹차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녹차를 마실 경우 카테킨이 충분히 우러나오지 않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마시는’녹차로는 충분한 양의 카테킨이 섭취되지 못하므로 생리적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카테킨의 섭취를 위해서는 ‘먹는’녹차, 즉 녹차 잎 전체를 이용한 기능성 제품의 개발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녹차를 마실 여유가 없거나 다양한 식품 섭취가 제한되어 있는 현대인들을 위한 휴대용 녹차제품 개발은 국민 건강증진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두충나무는 장미목 두충과(Eucommiaceae)에 속하는 식물로 한방에서는 나무껍질은 보약·강장제로 쓰고, 민간에서는 잎을 달여서 신경통·고혈압에 사용하며 차로도 복용하며 여러 종류의 건강식품으로 개발되고 있다. 두충잎은 항염증, 진정, 진통, 혈압강하작용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Kim ManBae et al., J. Korean . Soc . Food . Sci . Nutr . 27(5) pp.914~919, 1998).
또한 시엽과(Diospyros kaki Thunb; Ebenaceae)에 속하는 감나무잎(Diospyros kaki folium)은 예로부터 민간에서 차의 원료로 이용되어 왔고, 비타민 C, B군과 K 등이 많이 들어 있으며 특히, 비타민 C와 칼슘 함량이 녹차 잎에 비해 3~4배 정도 높아 혈압강하, 면역력 증강 및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잎차는‘동의보감’등에도 나와 있는 전통차로서 성인병 예방과 스트레스 해소, 니코틴 해독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ark JiYoon, et al., J. Korean Soc . Food . Sci . Nutr . 29(3) pp.537~542, 2000.)
특히, 폐경기 여성은 호르몬 불균형과 칼슘 결핍 및 체내 산화적 스트레스 증가로 골다공증을 비롯한 여러 질병의 위험에 처해 있으므로 이러한 질환의 예방을 위해서는 운동과 식사요법 그리고 폐경기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미량기능성 성분의 섭취가 필요하다. 두충은 칼슘이 풍부하며 검정콩, 감잎, 녹차 등은 이소플라본, 비타민 C, 카테킨 등이 풍부하여 여성호르몬과 칼슘 흡수 저하 등으로 인한 폐경기 증후를 개선하고 산화적 스트레스를 억제할 수 있는 훌륭한 소재이므로 이들을 최적의 방법으로 가공하고 배합하여 갱년기증상 완화를 위한 건강기능성 식품으로 개발하여 폐경기여성의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갱년기 여성을 위한 녹차 잎 함유 건강기능성 제품으로 녹차 잎, 녹차가루, 두충, 감잎 및 검정콩 등을 배합한 녹차가공품의 폐경기 증후 개선 및 골다공증 예방 효과 및 난소절제 흰쥐에게 녹차가공품을 섭취시켜 골밀도 증진 효과와 지질대사 및 항 동맥경화 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골질환, 지질대사 관련 질환 및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녹차가공품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녹차 잎, 두충, 감잎을 적정 온도 및 시간으로 가열, 추출 및 건조시키고, 여기에 분말화된 검정콩과 혼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녹차 가공품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녹차가공품은 하기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녹차잎, 두충 및 감잎을 각각 90 내지 110℃에서 1 내지 10 시간,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시간 가열하여 열수 추출 및 동결 건조하는 제 1단계; 검정콩을 30분 간 찐 후 건조시켜 분쇄하여 분말화 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1단계의 건조시킨 추출물, 녹차가루 및 제 2단계에서 수득된 검정콩가루를 혼합한 후 찹쌀풀과 꿀을 첨가하여 갠 후 녹차가공품을 제조하는 제 3단계의 공정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녹차 가공품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 시 사용되는 녹차가공품 각 조성의 바람직한 조성비는 녹차잎 10 내지 50%, 녹차가루 10 내지 30%, 두충잎 10 내지 30%, 감잎 10 내지 30%, 검정콩 10 내지 40%, 찹쌀풀 1 내지 10%, 꿀 1 내지 10% 중량비, 보다 바람직하게는 녹차잎 30 내지 40%, 녹차가루 10 내지 20%, 두충잎 10 내지 20%, 감잎 10 내지 20%, 검정콩 10 내지 30%, 찹쌀풀 1 내지 5%, 꿀 1 내지 5% 중량비, 가장 바람직하게는 녹차잎 33 내지 36%, 녹차가루 13 내지 16%, 두충잎 13 내지 16%, 감잎 13 내지 16%, 검정콩 15 내지 19%, 찹쌀풀 1 내지 3%, 꿀 1 내지 3% 중량비이다.
본 발명의 녹차가공품은 녹차가공품 자체 또는 분말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골질환은 골다공증, 류마티스 관절염, 골관절염, 퇴행성 관절염, 디스크, 골연화증, 구루병, 섬유성 골이형성증 등의 질환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질대사 관련 질환은 심장병, 심근경색, 뇌졸중, 당뇨, 고지혈증 등의 질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녹차가공품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사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골밀도 증진, 지질대사 개선 및 항동맥경화 효과를 갖는 상기 제조방법으로 얻은 녹차가공품 또는 그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골밀도 증진, 지질대사 및 항 동맥경화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5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 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 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단당류,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이당류,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다당류,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녹차가공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가공품은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제형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제형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 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제형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녹차가공품의 제조
경남하동 소재 화개제다(花開製茶)로부터 유기농 녹차잎을 공급받아 두충, 감잎과 검정콩의 적정 첨가비율 결정하여 전 임상실험 및 관능검사를 통하여 효능을 발휘하면서 제품의 기호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농도로 결정하였다. 제품의 형식은 기호성 증진 및 건강성 이미지를 부여하기 위한 첨가제 선정 및 배합 비율 결정에 참고하여 제품개발에 이용하였다.
녹차잎 35g, 두충 15g, 감잎 15g은 각각 100± 5℃에서 5시간 가열하여 열수 추출 후 추출물을 동결 건조하였으며 검정콩은 30분 간 찐 후 건조시켜 분쇄하여 분말화 하였다. 건조시킨 추출물과 녹차가루 및 검정콩가루를 혼합한 후 찹쌀풀과 꿀을 첨가하여 갠 후 환 제조기를 사용하여 녹차가공품(이하 GTP라 명명함)을 조제하였다(도 1 및 도 2 참조).
참조예
1. 실험동물의 준비 및
실험식이의
준비
10주령의 스프라그 다울리계 (Sprague-Dawley) 암컷 흰쥐에게 2주간의 적응기를 거친 후 평균 체중 247.3± 2.4g인 실험동물을 완전임의배치로 한 군당 10마리씩 4군으로 나누어 스테인리스 스틸 (stainless steel) 사육장에서 사육하였다. 사육실의 온도는 20~25℃, 상대습도 60~70%로 유지하였으며 명암은 12시간 간격으로 점등 및 소등하였다. 난소 절제 후 2주간 배합사료를 급여한 후 Sham-대조군(이하 Sham-C)과 OVX-대조군(이하 OVX-C)은 동맥경화 식이를, OVX 실험군은 동맥경화 식이에 GTP 5%(이하 OVX-GⅠ)와 20%(이하 OVX-GⅡ)로 함유한 실험 식이를 조제하여 6주간 급여하였다. 식이 조제시 GTP의 일반성분 분석(표 1)을 통해 칼슘 함량은 20% GTP 수준의 칼슘 함량으로 탄산칼슘으로 동일한 양으로 조정하였다.
식이조성은 표 2와 같은 조성으로 혼합한 후 분말의 형태로 급여하였으며 식이제조에 사용한 비타민 혼합물(AIN-76A), 미네랄 혼합물(Ca free), 알파 셀룰로오스(α-cellulose), 카제인 (vitamin free), 디엘-메씨오닌(DL-methionine), 콜레스테롤 (cholesterol), 콜린 클로라이드 (choline chloride) 등은 아이씨엔 바이오케미칼 (ICN Biochemical,ICN Aurora, ohio, USA) 제품을 사용하였다. 옥수수 전분(두산), 옥수수유(제일제당), 코코아 버터(선인) 제품을 사용하였다. 실험 식이와 탈이온수는 자유섭취방법(ad libitum)으로 급여하였으며 사육에 필요한 모든 기구는 0.4% EDTA로 씻은 후 탈 이온수로 헹구어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의 식이섭취량과 체중은 각각 1주일에 3회와 1회씩 정기적으로 측정하였다.
실험 종료 전 실험동물을 하룻밤 절식시킨 후 드라이 아이스로 마취시킨 후 희생하였다. 채취된 혈액은 3,000rpm에서 20분 간 원심분리 하여 분리된 혈청을 -20℃에서 냉동 보관하였다. 혈액 채취 후 즉시 간장과 신장 및 좌우 대퇴골을 적출하였다. 간장 및 신장조직은 부착되어 있는 지방이나 근육을 깨끗이 제거한 후 생리식염수(0.9% NaCl)로 세척하여 혈액을 제거한 다음 여과지로 물기를 제거하고 무게를 측정하였다. 대퇴골은 적출하여 골격에 붙어있는 근육, 인대, 지방 등을 제거하여 무게를 측정하여 -70℃에서 보관하며 실험에 사용하였다. 변은 실험종료 전 대사장에서 적응시킨 후 24시간 동안 채취하여 80± 5℃에서 3시간 건조시켜 분말로 만들었다.
참조예
2. 통계분석
실험 결과는 SPSS PC+ package를 이용하여 각 실험군의 평균± 표준오차(mean± S.E.)로 표시하였고 one-way ANOVA를 사용하여 비교하였으며 던칸 다중 범위 시험법(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의해 각 실험군 간의 유의성을 p<0.05수준에서 검정하였다.
실험예
1. 녹차가공품(
GTP
)의 골밀도 증진 효과
1-1.체중변화와
식이효율
상기의 참조예 1에서 얻은 실험군의 체중증가와 식이효율은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다. 실험군의 체중증가량과 식이섭취량 및 식이효율은 각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OVX군이 Sham-대조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난소 절제로 유발된 체중 증가 현상은 여러 연구에서 보고되었다. 조골세포(osteoblast)와 지방세포는 같은 배아세포에서 분화되며 에스트로겐은 같은 배아세포에서 조골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는 반면에 지방세포의 분화는 억제시킨다는 보고에 근거할 때 난소 제거 후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한 체중증가는 지방조직 축적에서 기인된 것으로 사료된다.
1-2. 간장과 신장의 무게
상기의 참조예 1에서 얻은 실험동물의 각 군 간의 간장과 신장의 무게는 표 4와 같다. 간장의 무게는 각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OVX-대조군에 비해 GTP를 첨가한 군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체중 100g 당 간장의 무게는 OVX-대조군에 비해 OVX-GI과 GII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신장의 무게는 각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 GTP을 첨가한 식이를 섭취한 군에서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체중 100g 당 신장의 무게는 GTP 20%를 첨가한 식이를 섭취한 OVX-GII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Sham-대조군과 비슷한 경향을 보여 GTP가 신장의 무게를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예
2. 골밀도 증진효과 및 칼슘대사에 미치는 영향
GTP의 골밀도 증진효과 및 칼슘대사에 미치는 영향과 항 동맥경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난소가 성숙하여 임신 가능한 10주령의 스프라그 다울리계 (Sprague-Dawley) 암컷 흰쥐를 완전임의배치로 한 군당 10마리씩 4군으로 나누어 스테인리스 스틸 (stainless steel) 사육장에서 사육하였다. 난소를 절제하기 위해 케타민(YUHAN)과 럼푼(바이엘코리아)을 체중 100g당 0.11㎕과 0.05㎕을 사용하여 마취시킨 후 양쪽 난소를 절제한 후(ovariectomy: OVX) 2주간 배합사료를 급여하여 회복기를 거친 후 실험 식이를 급여하여 녹차가공품의 골밀도 증진 효과를 확인하였다. Sham 대조군은 실험군과 동일한 스트레스를 주기 위해 난소를 절제하지 않고 개복수술만 실시한 후 실험하였다.
2
-1.대퇴골의 무게와 길이 및 골밀도
대퇴골은 70± 5℃에서 건조시킨 후 무게를 측정하였다. 550~600℃에서 5~6시간 회화시킨 후 회분함량을 측정하였으며 HCl과 HNO3를 이용하여 분해한 후 Ca과 P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대퇴골의 골밀도는 아르키메데스의 원리로, 골 길이는 캘리퍼(calif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대퇴골의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이하 SEM, S-4300 SE, HITACHI, Japan)에 의한 관찰은 5kv,× 30배 비율로 조정하여 골밀도를 측정하였다.
상기의 참조예 1 에서 얻은 실험군에서의 대퇴골의 무게는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다. 체중 100g 당 대퇴골의 습윤 무게는 GTP를 첨가한 군에서 OVX-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체중 100g 당 건조시킨 대퇴골의 무게는 OVX-대조군에 비해 GTP를 첨가한 군에서는 다소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들로 미루어 볼 때 GTP가 대퇴골의 무게에 유리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표 6에서 보듯이 대퇴골의 부피는 각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대퇴골의 길이는 각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GTP 5% 첨가한 식이를 섭취한 OVX-GI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Sham-대조군과 비교시 상대적으로 다소 높은 수치를 보였다. 대퇴골의 골밀도는 각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GTP을 첨가한 식이를 제공받은 모든 군에서 골밀도가 상대적으로 현저하게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OVX-GI을 섭취한 군에서 가장 높은 골밀도를 보여 GTP가 골밀도에 유리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GTP 5% 첨가한 식이를 섭취한 OVX-GI이 대퇴골의 무게와 길이 및 골밀도에 유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2
-2. 대퇴골의 회분과
Ca
함량
상기의 참조예 1에서 얻은 실험군에서의 대퇴골의 회분과 Ca 및 P의 함량은 표 7과 같다. 대퇴골의 회분함량은 각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OVX-대조군에 비해 GTP 20%를 첨가한 군에서는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체중 100g 당 회분함량은 GTP 20% 첨가한 OVX-GII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대퇴골의 칼슘 함량은 각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GTP 첨가한 군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고 체중 100g 당 대퇴골의 칼슘 함량은 GTP 20%를 첨가한 군에서 다소 높은 칼슘 함량을 보였으나 Sham-대조군에 비해 다소 낮은 수준이었다. 대퇴골의 Ca/P는 각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OVX군에서는 다소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미루어 볼 때 GTP가 대퇴골의 회분과 칼슘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2
-3. 혈액 속의 칼슘 대사 관련 지표
혈액의 칼슘 함량은 자동분석기(Hitachi U-2000)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인 농도는 인산 몰리브덴산을 이용한 비색법으로 분석하였다. 혈액 중의 뼈 형성 생화학적 지표인 알칼리 인산효소는 카인드 킹(Kind King)의 비색법을 토대로 다이치 (Daichi)시약을 이용한 비색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오스티오칼신은 랫드 오스티오칼신 EIA 키트(Biomedical Technologies Inc., Stoughton, MA 02072,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에스트라디올 농도는 에스트라디올 EIA 키트(Cayman Chemical Company, Ann Arbor, MI 48108, US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상기의 참조예 1에서 얻은 실험군에서의 혈장의 칼슘과 인의 농도 및 Ca/P는 표 8에서 보는 바와 같다. 칼슘과 인의 농도 및 Ca/P는 각 실험군 간에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장의 칼슘 농도는 OVX-GII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으나 칼슘/인의 비는 OVX-GI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혈청 인의 농도는 각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칼슘/인은 각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OVX-GII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Sham-대조군에 비해 다소 높은 수준을 보였다.
골격 형성의 생화학적 지표인 알칼린 인산화효소의 활성은 표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군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Sham-대조군에 비해 난소 절제군에서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GTP를 첨가한 식이를 섭취한 군에서는 다소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알칼리 인산효소는 부갑상선 호르몬의 주요 효소에 속하며 조골세포에서 분비되는 당단백질로 임상에서 가장 흔히 이용되는 골 형성 지표이며 알칼린 인산화효소는 조골세포에서 골 생성시 생성되는 단백질로 골 신생이 활발하게 진행될 때 혈중 농도가 훨씬 증가되며 골 생성 작용의 지표가 된다. 혈중 알칼리 인산효소 농도는 폐경 후 골다공증 환자에게서 높게 관찰된다는 보고가 나타났다. 에스트라디올의 농도는 각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GTP를 첨가한 식이를 제공한 군에서 OVX-대조군에 비해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GTP의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GTP가 에스트라디올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오스티오칼신은 조골세포에서 생성된 것 중 약 30%가 혈 중으로 방출되므로 골 형성의 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 생화학 지표로 사용되고 있으며 오스티오칼신은 폐경 후 증가하며 페경 후 골 소실율을 잘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 알려져 있다. 각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GTP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OVX-GII에서는 Sham-대조군에 비해 다소 증가되는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알칼린 인산화효소 활성이 증가될수록 오스티오칼신의 농도도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폐경기에 알칼린 인산화효소나 오스티오칼신의 농도가 높은 것은 골 교체율이 빠른 것을 나타내며 OVX군이 Sham-대조군에 비해 골 교체율이 빠르며, OVX군에서의 골 교체율은 OVX-대조군이 GTP를 첨가한 군보다 빠르게 일어나는 것을 보여준다.
2
-4. 대퇴골의 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한 관찰
상기의 참조예 1에서 얻은 실험군에서의 GTP가 난소절제 후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SEM으로 측정한 결과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다. 골다공증에 있어서 골의 손실은 수질량을 증가시키고 피질을 얇게 하나 골막에서 골 형성은 느린 비율로 계속 진행되므로 골의 직경은 감소하지 않고 골막표면은 매끄러운 구조를 유지한다. OVX군의 SEM의 측정결과를 보면 OVX-대조군에 비해 GTP를 첨가한 식이를 섭취한 OVX-GI과 OVX-GII가 골다공증의 치유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실험예
3. 녹차 가공품의 항산화 및
항 동맥경화
효과
3
-1. 혈청의 지질농도 및 지질과산화 정도
분리된 혈청을 -20℃에서 냉동 보관하면서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 에이치디엘-콜레스테롤(이하 HDL-C) 농도 변화를 효소법에 의한 비색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엘디엘-콜레스테롤(이하 LDL-C) 농도 변화는 프리드발트(Friedwald) 공식(Friedwald W. Chin . Chem . 18, pp.499, 1972) 으로 계산하였고 프라가 등의 방법( Fraga CG, pp.155-161, 1988.) 을 이용하여 TBARS 농도를 분석하여 지질과산화 정도를 확인하였다. 실험군의 항 동맥경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혈청의 TNF-α수준은 Rat TNF-α kit (R&D Syastems, INC., RTA00, USA)를 사용하여 면역분석법(immunoassay)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① 중성지방 농도
혈청의 중성지방농도 변화는 도 4에서 보여지듯이 각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GTP를 첨가한 식이를 섭취한 군에서 중성지방의 농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GTP 20%를 첨가한 OVX-GII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특히 GTP 20% 첨가한 군에서는 Sham-대조군에 비해 더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GTP가 중성지방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② 콜레스테롤 농도
혈청의 총 콜레스테롤 농도 변화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OVX군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GTP 20% 첨가하여 제공한 군에서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HDL-C 농도는 GTP를 첨가한 식이를 섭취한 군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GTP 20%를 첨가한 식이를 섭취한 OVX-GII에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다. GTP를 첨가한 군에서 Sham-대조군에 비해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엘디엘-콜레스테롤 (이하 LDL-C) 농도는 OVX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GTP 20% 첨가한 식이를 섭취한 OVX-GII에서 가장 낮은 수준으로 Sham-대조군보다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다. 실험군의 총 콜레스테롤 농도에 대한 HDL-C 농도비(%)를 비교한 결과는 도 6과 같으며 각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GTP를 첨가한 식이를 섭취한 군에서 HDL-C의 농도가 현저하게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GTP 20%를 첨가한 식이를 섭취한 OVX-GII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GTP의 첨가가 HDL-C의 농도를 증가시켜 항동맥경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③ 지질과산화 정도
GTP를 섭취한 실험군의 지질과산화 정도를 TBARS의 생성량으로 분석한 결과 각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OVX-대조군에 비해 GTP 첨가한 식이를 섭취한 군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생성량을 보였다. 특히 GTP 20%를 첨가한 OVX-GII에서 TBARS의 생성이 지질과산화가 낮은 수준으로 Sham-대조군에 비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도 7).
④ TNF-α 농도
염증반응의 초기에는 혈액 속을 순환하던 백혈구가 내피 표면으로 부착하여 혈관 속으로 침투하게 되며 TNF-α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내피세포의 세포 부착 분자인 VCAM-1과 ICAM의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켜 동맥경화를 유발하게 된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험군의 TNF-α 농도는 각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GTP를 첨가한 식이를 섭취한 군에서 TNF-α의 농도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GTP 20%를 첨가한 식이를 섭취한 OVX-GII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OVX-GII에서의 TNF-α의 농도는 Sham-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다소 증가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3
-2. 간의 지질농도
간의 지질농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총 지방함량과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지질과산화 정도는 TBARS 값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총 지방함량은 수정한 폴치 방법 ( Folch I., J. Biochem , 191, pp.833, 1951)으로 지방을 추출하여 비중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비색법으로 분석하였다. 중성지방 및 콜레스테롤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간의 지방추출용액을 0.1ml을 취하여 욕조 상에서 용매를 모두 날린 후 0.2ml의 에탄올을 가하여 0.5% triton-X 100을 0.5ml 가한 후 반응시약을 넣어 37℃에서 5분간 발색시킨 후 증류수를 가하여 총 부피가 3ml이 되도록 하여 측정하였다.
간의 무게는 표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GTP를 첨가한 군에서 체중 100g 당 간의 무게가 높았다. 간의 총 지방함량은 각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GTP를 첨가한 식이를 섭취한 군에서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OVX-GII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간의 중성지방 농도는 도 9에서 보듯이 각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 GTP를 첨가한 식이를 섭취한 OVX-GI과 OVX-GII에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GTP 20%를 첨가한 OVX-GII에서 Sham-대조군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수준을 보였다. 간의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GTP를 첨가한 식이를 섭취한 군에서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GTP의 첨가가 총 지방함량과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 농도를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간의 지질과산화 정도는 TBARS의 생성량으로 확인하였으며 TBARS의 생성량은 각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GTP를 첨가한 식이를 섭취한 OVX-GI과 OVX-GII에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ham-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다. GTP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지질과산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보였다(도 10).
3
-3. 간의
글루타치온
함량 및 항산화
효소계
활성
간의 항산화 효소계 평가지표로는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이하 SOD). 글루타치온 환원효소, 글루타치온 과산화효소, 카탈라아제 등의 항산화 효소계 활성과 글루타치온 함량을 분석하여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효과를 비교하였다. SOD 활성은 마르크룬트 등의 방법 ( Marklund S, Marklund G. Eur . J. Biochem . 47, pp.469-474, 1974)에 의한 피로가롤의 자동산화로 측정하였다. 글루타치온 과산화효소는 인저 등의 방법으로 (Inger C, Bengt M. Methods in enzymology. 1985, 113 : 484-490) 글루타치온 환원효소는 로렌스와 버크(Lawrence RA, Burk RF. Biochem . Biophys . Res . Commun . 71, pp.952-958, 1976)의 방법으로, 카탈라아제의 활성은 아베이의 방법 ( Aebi HE. Catalase. In Method of Enzymatic Analysis, ed. Bergmeyer, H. U., Verlag Chemie, Weinheim, p273-286, 1983 )으로, 글루타치온 함량은 티에츠의 방법( Tietze F. Anal . Biochem . 27, pp.502-522,1969 )으로 측정하였다.
항산화 영양소인 글루타치온의 함량은 표 11에서 보여지듯이 각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 GTP를 첨가한 식이를 섭취한 군에서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GTP 20% 첨가한 OVX-GII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간의 항산화 효소계 활성 측정으로는 카탈라아제, 글루타치온 환원효소(Glutathione reductase), 글루타치온 과산화효소 (Glutathione peroxidase), Cu, Zn-SOD와 Mn-SOD 활성을 측정하였다. 카탈라아제(Catalase) 활성은 GTP를 첨가한 모든 군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GTP 20% 첨가한 OVX-GII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글루타치온 환원효소 (Glutathione reductase) 활성은 각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GTP 20% 첨가한 OVX-GII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글루타치온 과산화효소 (Glutathione peroxidase)활성은 GTP를 첨가한 모든 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이었으며 Sham-대조군에 비해 OVX군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Cu,Zn-SOD 활성은 각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GTP 첨가군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고 Mn-SOD 활성은 Sham-대조군에 비해 OVX-대조군에 비해 높은 수준이었으며 GTP를 첨가한 식이를 섭취한 모든 군에서는 Sham-대조군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미루어 볼 때 GTP가 항산화 영양소 및 항산화 효소계의 활성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항염증 및 항 동맥경화에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3
-4. 변의 지질농도
변은 건조시킨 후 분말화하여 수정한 삭스래 (Soxhlet) 방법( 한국식품영양과학회편.식품영양실험핸드북-식품편-,서울,효일출판사,pp.124-126,2000)으로 지방을 추출하여 총 지방함량은 비중법으로,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간의 지질농도 측정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GTP를 첨가한 식이를 섭취한 실험군의 1일 변의 배설량, 총 지질 농도와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표 12에서 보는 바와 같다. 1일 변의 배설량은 실험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GTP를 첨가한 식이를 섭취한 군에서 높은 배설량을 보였다. 변 중의 총 지질과 중성지방 농도는 각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GTP 20%를 첨가한 식이를 섭취한 OVX-GII에서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변 중의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각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 GTP를 첨가한 모든 군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GTP 20%를 첨가한 OVX-GII에서는 Sham-대조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미루어 볼 때 GTP 첨가가 변의 총 지질과 중성지방 및 콜레스테롤 배설을 증가시켜 혈청과 간의 총 지질 농도와 중성 지방 및 총콜레스테롤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GTP의 섭취가 체내 총 지질 농도를 감소시키고 간의 항산화 효소계를 활성화시켜 항산화 및 항 동맥경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제예
1. 건강식품의 제조
실시예 1의 녹차가공품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2.
건강음료의
제조
실시예 1의 녹차가공품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이 발명을 지원한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고유번호>
S0507110-J1550599-10012021
<부처명>
중소기업청
<연구사업명>
산학연공동기술개발사업
<연구과제명>
폐경기 증후 개선 및 골밀도 증진효과가 있는 녹차가공품 개발
<주관기관>
인제대학교
<연구기간>
2005. 7. 1. ~ 2006. 4. 30.
본 발명은 녹차잎, 두충, 감잎을 적정 온도 및 시간으로 가열, 추출 및 건조시키고, 분말화된 검정콩과 혼합시킨 후 녹차 가공품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녹차 가공품은 골질환, 지질대사 관련 질환 및 동맥경화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건강보조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4)
- 녹차잎, 두충 및 감잎을 각각 90 내지 110℃에서 3 내지 7시간 가열하여 열수 추출 및 동결 건조하는 제 1단계; 검정콩을 30분간 찐 후 건조시켜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1단계의 건조시킨 추출물, 녹차가루 및 제 2단계에서 수득된 검정콩가루를 혼합한 후 찹쌀풀과 꿀을 첨가하여 갠 후 녹차가공품을 제조하는 제 3단계의 공정을 포함하는 녹차 가공품을 제조하는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녹차가공품의 혼합비율은 녹차잎 10 내지 50%, 녹차가루 10 내지 30%, 두충 10 내지 30%, 감잎 10 내지 30%, 검정콩 10 내지 40%, 찹쌀풀 1 내지 10%, 꿀 1 내지 10% 중량비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 골밀도 증진, 지질대사 개선 및 항동맥경화 효과를 갖는 제 1항에 기재된 방법으로 수득된 녹차 가공품 또는 그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한 건강보조식품.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51222A KR100785082B1 (ko) | 2006-06-08 | 2006-06-08 | 기능성 녹차 가공품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51222A KR100785082B1 (ko) | 2006-06-08 | 2006-06-08 | 기능성 녹차 가공품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85082B1 true KR100785082B1 (ko) | 2007-12-12 |
Family
ID=39140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51222A KR100785082B1 (ko) | 2006-06-08 | 2006-06-08 | 기능성 녹차 가공품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8508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93851B1 (ko) | 2012-03-12 | 2012-10-23 | 강산농원영농조합법인 | 천연 녹차 효모를 이용한 일회용 다이어트 식사 대용물의 제조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41076A (ko) * | 2001-11-17 | 2003-05-23 | 안성현 | 녹차잎, 동규자잎, 두충잎, 솔잎, 감잎, 뽕잎 등 음용차의원료로 사용하는 나뭇잎을 이용한 잼 |
KR20040046850A (ko) * | 2002-11-28 | 2004-06-05 | 전라남도 | 차환 제조 방법 |
KR20050080501A (ko) * | 2004-02-10 | 2005-08-17 | 김봉태 | 고혈압, 비만, 당뇨병환자를 위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
-
2006
- 2006-06-08 KR KR1020060051222A patent/KR10078508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41076A (ko) * | 2001-11-17 | 2003-05-23 | 안성현 | 녹차잎, 동규자잎, 두충잎, 솔잎, 감잎, 뽕잎 등 음용차의원료로 사용하는 나뭇잎을 이용한 잼 |
KR20040046850A (ko) * | 2002-11-28 | 2004-06-05 | 전라남도 | 차환 제조 방법 |
KR20050080501A (ko) * | 2004-02-10 | 2005-08-17 | 김봉태 | 고혈압, 비만, 당뇨병환자를 위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93851B1 (ko) | 2012-03-12 | 2012-10-23 | 강산농원영농조합법인 | 천연 녹차 효모를 이용한 일회용 다이어트 식사 대용물의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301987B2 (en) | Anti-adipogenic compositions containing Piper betle and Dolichos biflorus | |
US20120156185A1 (en) | Nutritional compositions comprising citrus fibers | |
KR101626941B1 (ko) | 골형성 촉진용 조성물 및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20190003304A (ko) |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0814949B1 (ko) | 민들레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질대사 장애 및 당뇨합병증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KR100973195B1 (ko) |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 |
KR100785082B1 (ko) | 기능성 녹차 가공품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 |
KR20160033063A (ko) | 거품세포 형성 억제 및 혈관 병변형성 억제 활성을 가지는 상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
KR20060018937A (ko) | 선학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지질대사 개선 및당뇨병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 |
KR101071044B1 (ko) | 황기, 복령 및 적소두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KR100679290B1 (ko) | Hgdsj201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KR100851586B1 (ko) | 락토바실러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 | |
KR101373493B1 (ko) | 톳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KR100672902B1 (ko) | 헛개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콜레스테롤 저하제 조성물 | |
KR101791574B1 (ko) | 흑미 호분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
JP4626081B2 (ja) | 膵臓リパーゼ阻害剤 | |
KR20130127088A (ko) | 택사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지혈증 또는 동맥경화증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 |
KR20190003305A (ko) | 벼메뚜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20120016960A (ko) | 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KR20110078237A (ko) | 비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 |
KR20110125958A (ko) | 유효성분으로 백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용 조성물 | |
KR101182046B1 (ko) | 오징어젓 또는 오징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KR100832520B1 (ko) | 매생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조성물 | |
KR100450055B1 (ko) | 두과 식물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질개선용 식품 조성물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식품 | |
KR101693573B1 (ko) |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있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