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440B1 - 호장근과 계심을 함유하는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호장근과 계심을 함유하는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440B1
KR102049440B1 KR1020180012047A KR20180012047A KR102049440B1 KR 102049440 B1 KR102049440 B1 KR 102049440B1 KR 1020180012047 A KR1020180012047 A KR 1020180012047A KR 20180012047 A KR20180012047 A KR 20180012047A KR 102049440 B1 KR102049440 B1 KR 102049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preventing
menopausal symptoms
geu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2831A (ko
Inventor
김효정
김선건
소재현
이화동
강혜령
Original Assignee
한약진흥재단
주식회사 노브메타파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약진흥재단, 주식회사 노브메타파마 filed Critical 한약진흥재단
Priority to KR1020180012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440B1/ko
Publication of KR20190092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2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4Lauraceae (Laurel family), e.g. cinnamon or sassaf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12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climacter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Abstract

본 발명은 호장근과 계심을 1:2~2: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치료제 및 건강식품에 관한 것으로, 여성호르몬 유사활성 유도효과, 체중감소, 혈중 에스트로겐 증가 및 오스테오칼신 감소, 난관무게 증가 효과 등으로 확인된 여성갱년기 증상 개선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Description

호장근과 계심을 함유하는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woman climacterium symptoms comprising extract of Polygonum cuspidatum Sieb. et Zucc. and Cinnamomum cassia Blume}
본 발명은 호장근과 계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갱년기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산업화로 인하여 경제적 수준이 향상되고 의학이 발달함으로써 인간의 수명이 연장되어 노령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노령인구의 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여성의 경우 40대 이후 서서히 시작되는 갱년기 증상으로 인해 신체적 및 정신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전체 여성의 약 20%가 겪는 갱년기는 노화 현상의 하나로 40세부터 서서히 시작되는데 평균수명이 연장됨으로써 여성일생의 1/3 이상을 차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여성갱년기란 내분비 증후군의 일종으로, 난소기능의 전반적이고 점진적인 노화로 인한 여성호르몬, 즉 에스트로겐(estrogen)의 감소로 인해 생리적 기능 및 성기능이 감소 내지 소실되는 과도기를 말한다. 에스트로겐은 여성의 자궁, 질, 골격근 및 심혈관계에서 이화작용 및 활성작용과 같은 필수적인 조절효과를 나타내는데(Couse and Korach, 1999; Korach et al., 1995), 적절한 배란, 난자의 수정, 임신뿐 아니라, 뼈 구조와 콜레스테롤 조절에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난소의 기능 평가에도 적용된다.
갱년기의 증상으로는 안면홍조, 빈맥, 발한 또는 두통과 같은 혈관성 변화에 의한 증상, 근육통, 관절통 및 요통과 같은 근골격계 변화에 의한 증상, 빈뇨 또는 요실금, 자궁과 질의 위축과 같은 비뇨생식기 변화에 의한 증상, 기억력 감퇴, 우울증, 집중력 감퇴 및 현기증과 같은 뇌신경계 변화에 의한 증상, 시력감퇴 및 피부와 모발의 변화와 같은 일반적인 증상들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여성의 생명 및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화가 폐경 전후 여성의 80%에서 발생하고 장기간에 걸쳐 진행됨으로써 여성의 건강에 치명적인 질환, 즉 골다공증이나 심혈관계질환 등의 발생 위험성을 높이고 있다는 점이 주목받고 있다(Turner et al., 1994; Versi et al., 2001).
따라서 중년 여성들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 및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갱년기 증상을 개선할 수 있는 치료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갱년기 증상을 개선할 수 있는 치료법의 예로는 호르몬 대체요법이나 비스테로이드계 제제 등의 약물을 사용한 약물요법이 있다. 그러나, 비스테로이드계 제제 등 약물의 대부분은 두통, 체중증가 등의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에스트로겐 등의 호르몬을 사용한 대체요법의 경우 체내에 인위적인 호르몬 투여로 인한 거부반응과 자궁출혈, 뇌졸중, 심장발작, 유방암 및 자궁암의 발생 위험이 증가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waran L., et al., Obstetrics & Gynecology, 91, 678-684, 1998).
따라서, 여성호르몬과 유사하면서도 여성호르몬의 투여로 인한 부작용의 발생 위험이 낮은 후보물질 발굴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마디풀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인 호장근(虎杖根) (Polygonum cuspidatum Sieb. et Zucc. = Reynoutria japonica Hou.)은 호장 및 동속 근연식물의 뿌리 또는 근경(根莖)을 말하는 것으로, 고장, 산장, 반장, 산통순, 반장근, 오부답, 산간, 반근, 웅황연, 토지유라고도 불린다. 호장근은 한국, 일본, 타이완, 중국 등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전국 산야의 계곡에서 자란다. 호장근은 높이가 1m 이상이며 근경은 지하에서 옆으로 뻗고 목질이고 황갈색이며 마디가 분명하다. 줄기는 곧게 자라고 원계형으로 속이 비어 있다. 표면에는 털이 없고 적색 혹은 자색의 반점이 많이 나 있다. 이러한 뿌리, 근경과 잎 부위가 예로부터 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호장근은 완화, 이뇨, 통경, 진해진정제로 알려져 있으며, 항균작용 및 항바이러스작용의 약리작용이 있다.
녹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인 계심(桂心)(Cinnamomum cassia Blume)은 육계 또는 기타 동속 근연식물의 줄기껍질로서 주피와 1차 피층을 제거한 것이다. 긴 널빤지모양 또는 원통모양이고 길이는 10~20cm이며, 두께는 고르지 않다. 바깥 면과 안쪽 면은 모두 적갈색이고 질은 잘 꺾어진다. 꺾인 면은 적갈색이고 기름이 풍부하다. 특유한 방향이 있고 맛은 맵고 달다. 계심의 약리작용은 강심제로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심장쇠약에 좋고 흥분, 건위정장, 온중보양, 온통경맥, 양위, 체온조절, 허약체질 개선, 구풍(驅風)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25566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683344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794836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5-0026517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6-0058212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7-0086120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8-0006477호
본 발명은 생약재인 호장근과 계심을 사용하여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여성갱년기 증상 저해효능이 우수한 여성갱년기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호장근과 계심을 1:2~2: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에서, 상기 호장근과 계심은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에서, 상기 추출물은,
호장근과 계심 혼합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50~250배(부피)의 추출용매를 가하고 50~70℃에서 22~26시간 침지시킨 후 추출액을 얻고, 얻어진 추출액을 여과, 감압농축 및 건조시켜 얻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에서, 상기 용매는 70% 에탄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치료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호장근과 계심을 사용한 여성갱년기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여성호르몬 유사활성 유도효과, 체중감소, 혈중 에스트로겐 증가 및 오스테오칼신 감소, 난관무게 증가 효과 등으로 확인된 여성갱년기 증상 개선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특히, 호장근과 계심을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에 비하여 효과가 매우 우수하며, 현재 갱년기 개선용 한약재로 상용화되어 있는 백수오에 비해서도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개선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한약 기반의 효과가 우수한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치료제, 건강식품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이스트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의 에스트로겐-유사 활성 유도능을 실험한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추출용매에 따른 에스트로겐-유사 활성 유도능을 실험한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호장근과 계심의 혼합비율에 따른 에스트로겐-유사 활성 유도능을 실험한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에스트로겐 및 항에스트로겐 활성을 실험한 결과이다.
도 5는 난소절제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여성갱년기 증상 개선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6은 난소절제 동물모델에서 백수오의 여성갱년기 증상 개선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본 발명의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호장근과 계심을 1:2~2: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호장근과 계심은 1:2~2: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추출시 용매로는 물 또는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용매로는 70%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70%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하면 다른 추출용매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더 많은 유효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호장근과 계심을 혼합하여 추출한 추출물은 호장근 및 계심 각각을 추출한 추출물이 가진 성분을 모두 함유하면서 추가적으로 다른 성분들도 함유한다.
호장근과 계심 혼합물의 추출에는 통상적인 추출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추출방법의 예는 다음과 같다.
호장근과 계심 혼합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50~250배(부피)의 추출용매를 가하고 50~70℃에서 22~26시간 침지시킨 후 실온에서 추출액을 수득한다. 이 과정은 2~3회 반복할 수 있다. 추출액을 여과한 후 감압농축 및 건조시켜 호장근과 계심의 혼합추출물을 얻는다.
본 발명의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여성호르몬 유사활성 유도효과, 체중감소, 혈중 에스트로겐 증가 및 오스테오칼신 감소, 난관무게 증가 효과 등으로 확인된 바와 같이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개선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특히 호장근과 계심을 각각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효과가 매우 우수하며, 현재 여성갱년기 개선용 한약재로 상용화되어 있는 백수오에 비해서도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한약 기반의 효과가 우수한 여성갱년기 증상의 예방 및 치료제나 건강식품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치료제는 약제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치료제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등의 공지된 제형으로 제제화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치료제 중 본 발명의 조성물은 0.1 내지 99.9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은 여러 가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건강식품"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보조식품, 기능성 식품을 모두 포함하며, 관련 법률의 정의에 국한되지 않고 소비자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건강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이면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식품은, 약제나 식품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양한 식품 또는 음료 등에 첨가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료, 분말음료, 고형물, 츄잉검, 차, 비타민 복합제, 식품 첨가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 중 본 발명의 조성물은 0.1 내지 99.9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이러한 조건에 따른 투여량 조절은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용 또는 건강식품으로 사용하는 경우 체중 60kg인 성인을 기준으로 1일 100∼1,000mg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성갱년기 증상 치료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1일 500∼5,000mg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호장근과 계심의 혼합추출물의 제조
(주)휴먼허브(http://www.humanherb.co.kr/)에서 구입한 호장근 100g과 계심 100g에 70% 에탄올 20ℓ를 가하고, 60℃에서 24시간 침지시킨 후 실온에서 추출액을 수득하였다. 다시 70% 에탄올 20ℓ를 가하고 추출하는 과정을 2회 더 반복하여 추출액을 수집하였다.
상기 각 추출액을 여과한 여과물을 감압 회전농축기(Vaccuum rotary evaporator; 일본 Nihon Seiko사, VR-205c)에서 용매를 증발시켜 감압 농축하고 건조시켜 호장근과 계심의 혼합추출물 41.8g(수율: 20.9%)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호장근과 계심의 혼합추출물의 제조
호장근 66.7g과 계심 133.3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호장근과 계심의 1:2 혼합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3>
호장근과 계심의 혼합추출물의 제조
호장근 133.3g과 계심 66.7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호장근과 계심의 2:1 혼합추출물을 얻었다.
< 실시예 4>
호장근과 계심의 혼합추출물의 제조
호장근 100g과 계심 100g을 혼합하고, 추출용매로 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호장근과 계심의 1:1 혼합추출물을 얻었다.
< 실험예 1>
이스트를 이용한 에스트로겐-유사 활성 유도능 실험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의 에스트로겐-유사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시료로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호장근과 계심의 혼합추출물(Mix)을 사용하였고, 비교를 위하여 갱년기 개선용 한약재로 상용화되어 있는 백수오(CW), β-에스트라디올(β-estradiol, E2)을 사용하였다. 대조군에는 DMSO(C)를 사용하였다.
실험대상으로는 인간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재조합 이스트(yeast) 균주를 사용하였으며, 재조합 이스트 균주를 이용하여 글리세올린 화합물에 대한 에스트로겐-유사 활성을 측정하였다.
인간 에스트로겐 수용체를 가지고 있는 재조합 이스트 균주인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ER+LYS 8127(Saccharomyces cerevisiae ER+LYS 8127) 균주를 30℃ 온도가 유지되는 배양기에서 300rpm으로 교반하면서 배양하였다.
이때 배지로는 YNB(yeast nitrogen base 6.74g/ℓ, 덱스트로스(dextrose) 20g/ℓ, L-라이신(L-lysine) 36mg/ℓ 및 L-히스티딘(L-histidine) 24mg/ℓ로 구성된 배지를 사용하였다.
2일 동안 배양한 후 이스트 균주들의 OD600nm에서 흡광도가 1.0~2.0에 도달하도록 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이스트로부터 에스트로겐 수용체를 생산하기 위하여 50μM의 CuSO4가 첨가된 배지를 OD600nm에서 흡광도가 0.03이 되도록 희석하였다.
50㎖ 코니칼 튜브에 상기 희석된 이스트 5㎖ 및 각 시료를 첨가하였다. 호장근과 계심 혼합추출물(Mix)과 백수오(CW)는 25㎍/㎖, β-에스트라디올(E2)는 0.01㎍/㎖의 농도도 사용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백수오(CW)를 25㎍/㎖, 50㎍/㎖, 100㎍/㎖, 200㎍/㎖ 및 400㎍/㎖의 농도로 사용하여 동일하게 실험하였다.
각 시료를 첨가한 후 30℃ 온도가 유지되는 배양기에서 300rpm으로 교반하면서 배양하였다.
각 시료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배양한 이스트를 OD600nm에서 흡광도가 0.25가 되도록 희석하여 96-웰 플레이트에 100㎕씩 첨가하였다.
첨가 후 각각의 배지 색깔을 측정하기 위해 OD5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β-갈락토시다제(β-Galactosidase)의 활성은 2mg/㎖의 O-니트로페닐-β-D-갈락토피라노시드(ONPG), 0.1% SDS(sodium dodecyl sulfate), 50mM β-머캅토에탄올 및 25U/㎖의 자이몰라제(zymolyase)가 첨가된 버퍼(60mM Na2HPO4, 40mM NaH2PO4, 10mM KCl, 1mM MgSO4, pH 7.0)를 첨가하여 유도하였다. 유도 후 20분간 상온에서 배양한 다음 OD4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OD420nm-OD590nm 값을 산출하여 음성대조군으로 나머지 값을 나누었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호장근과 계심 혼합추출물 (Mix)는 DMSO로 처리된 대조군(C)에 비해 2.48배 증가된 에스트로겐-유사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에 반해 백수오 추출물(CW)은 미미한 에스트로겐-유사 활성을 나타내어, 고농도(200㎍/㎖ 및 400㎍/㎖) 처리시 각각 대조군 대비 각각 1.5배와 2.0배의 에스트로겐-유사 활성을 나타내는데 그쳤다.
< 실험예 2>
추출용매에 따른 에스트로겐-유사 활성 유도능 실험
호장근과 계심 혼합추출물 제조시 사용한 추출용매에 따른 에스트로겐-유사 활성 유도능을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시료로는 실시예 1의 호장근과 계심의 70% 에탄올 추출물과 실시예 4의 호장근과 계심의 물 추출물을 사용하였으며, 각각 2.5㎍/㎖, 5㎍/㎖ 및 10㎍/㎖의 농도를 사용하여 농도별로 유도능을 비교하였다. 대조군에는 DMSO(C)를 사용하였다.
실험대상과 방법은 상기 실험예 1에서와 동일하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호장근과 계심의 에탄올 추출물은 2.5㎍/㎖, 5㎍/㎖ 및 10㎍/㎖에서 모두 대조군 대비 3.5배 이상 증가된 에스트로겐-유사 활성을 나타내었다. 호장근과 계심의 물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에 비하여 에스트로겐-유사 활성의 유도능이 낮았지만, 2.5㎍/㎖, 5㎍/㎖ 및 10㎍/㎖ 농도에서 각각 1.48배, 2.16배 및 2.78배 에스트로겐-유사 활성을 유도하여 에스트로겐-유사 활성 유도능이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물 추출물 10㎍/㎖를 처리한 경우 에스트로겐-유사 활성수준은 동일농도의 70%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와 비교해 약 80%에 해당하는 에스트로겐-유사 활성 유도수준을 나타내었다.
물 추출물 10㎍/㎖를 처리한 경우 에스트로겐-유사
< 실험예 3>
호장근과 계심의 혼합비율에 따른 에스트로겐-유사 활성 유도능 비교실험
호장근과 계심의 혼합비율에 따른 에스트로겐-유사 활성 유도능을 다음과 같이 비교하였다.
시료로는 실시예 1 내지 3의 호장근과 계심을 1:1, 1:2 및 2: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하였으며, 각 혼합비율의 시료를 2.5㎍/㎖, 5㎍/㎖ 및 10㎍/㎖의 농도로 사용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β-에스트라디올(E2)을 사용하였고, 대조군에는 DMSO(C)를 사용하였다.
실험대상과 방법은 상기 실험예 1에서와 동일하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호장근과 계심을 1:1, 1:2 및 2: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한 혼합추출물은 2.5~10㎍/㎖의 농도에서 농도의존적으로 증가된 에스트로겐-유사 활성을 나타내었다. 동일농도인 10㎍/㎖를 비교하였을 때 1:1 혼합추출물이 1:2 또는 2:1 혼합추출물에 비하여 다소 높은 에스트로겐-유사 활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2 혼합추출물 대비 17% 증가, 2:1 혼합추출물 대비 22% 증가).
< 실험예 4>
에스트로겐 및 항에스트로겐 활성 평가
본 발명의 호장근과 계심 혼합추출물의 에스트로겐-유사 활성을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시료로는 실시예 1의 호장근과 계심 혼합추출물을 12.5㎍/㎖, 25㎍/㎖ 및 50㎍/㎖ 농도로 사용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β-에스트라디올(E2) 0.01㎍/㎖를 사용하였다.
에스트로겐-유사 활성을 측정하기 위한 실험대상으로는 에스트로겐 유사물질 검증용 세포주인 MCF-7 세포주를 사용하였다. MCF-7 세포는 에스트로겐에 의해 세포의 증식이 촉진되고, 반대로 에스트로겐 길항제(antagonist)를 투여하면 세포의 증식이 억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에스트로겐 수용체(Estrogen Receptor, ER)를 가지고 있는 MCF-7 세포를 24-웰 플레이트에 2×104 세포수/웰로 10% 차콜 스트립트-FBS가 포함된 DMEM 배지와 함께 분주하여 37℃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상기 배지를 제거하고 0.01~500㎍/㎖ 농도 범위의 글리세올린 화합물이 포함된 배지로 교체하였다. 2일 동안 배양한 후 세포증식 정도를 MTT 어세이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호장근과 계심 혼합추출물은 12.5㎍/㎖, 25㎍/㎖, 50㎍/㎖의 농도에서 대조구보다 각각 1.21배, 1.48배 및 1.65배 증가된 에스트로겐 활성을 나타내었다. 반면, β-에스트라디올(E2) 단독 투여에 의해 유도된 에스트로겐 활성은 호장근과 계심 혼합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호장근과 계심 혼합추출물이 에스트로겐 부족시에서는 에스트로겐 작용체로서 작용하고, 생리적 수준 또는 그 이상 수준의 에스트로겐 존재시에는 효과적으로 그 작용을 차단함을 확인한 것으로, 호장근과 계심 혼합추출물이 여성호르몬 대체 요법시 야기되는 것으로 알려진 부작용의 우려없이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한 각종 갱년기 증상을 완화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 실험예 5>
난소절제 동물 모델에서의 여성갱년기증상 개선 효능 평가
실험은 생후 7주령의 SD 암컷 랫트를 구입하여 일정한 온도(23±1℃)와 습도 (50%±5)하에서 1주간 적응시킨 후 인체 폐경을 모방한 갱년기 증상 유발 모델을 만들기 위해 마취 하에서 양쪽 난소절제수술(OVX)을 실시하였다.
대조군(sham)에는 난소는 그대로 둔 채 모의수술만 실시한 후 7일간의 회복기를 두었다.
난소절제군은 모의수술군(Sham), 난소절제군(OVX)), β-에스트라디올 투여군(E2), 호장근과 계심 혼합추출물 투여군(Mix), 호장근 추출물 투여군(PC), 계심 추출물 투여군(CC), 백수오 추출물군(CW)으로 나누어 구성하고, 각 추출물은 랫트 체중 kg당 200mg의 농도로 4주간 경구투여하였다.
시험기간 동안 고형사료와 물은 자유로이 섭취하게 하고, 사육환경은 온도 23±0.5℃, 상대습도 50±5%, 12시간 간격으로 명-암(light-dark) 사이클로 자동 유지시켰다.
실험기간 종료 후 12시간 절식시키고, 희생 전 체중을 측정하고, 실험동물의 마취는 럼푼과 졸레틴을 2:3의 비율로 혼합한 마취제를 사용하였다.
실험동물로부터 혈액을 채취한 후 원심분리(1,000g, 15min, 4℃)하고, 분석 전까지 -80℃의 초저온냉동고에서 보관하였다. 오스테오칼신(osteocalcin: bone turnover 지표) 및 에스트로겐의 혈중 함량분석은 진단 kit (로슈)를 사용하여 electrochemilumino immunoassay 법으로 측정하였다.
호장근과 계심 혼합추출물 섭취 후 여성갱년기 대표증상인 안면홍조의 지표로서 랫트의 꼬리피부온도를 측정하였다. 랫트를 고정대에 고정하고 안정시킨 후 적외선 온도측정기(Pioneer electronic & research)를 이용하여 총 3회 측정하여 그 평균값으로 꼬리피부온도를 측정하였다.
난관조직의 형태학적 변화는 각 실험동물의 난관을 절제하여 무게 및 형태를 관찰하였다.
모의수술군(Sham), 난소절제군(OVX)), β-에스트라디올 투여군(E2), 호장근과 계심 혼합추출물 투여군(Mix), 호장근 추출물 투여군(PC) 및 계심 추출물 투여군(CC)을 비교한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고, 모의수술군(Sham), 난소절제군(OVX)), β-에스트라디올 투여군(E2) 및 백수오 추출물군(CW)을 비교한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5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호장근과 계심 혼합추출물의 투여는 난소절제 후 야기되는 체중증가를 저해하고, 혈중 에스트로겐 농도 수준을 증가시키며, 골지표인 오스테오칼신의 혈중농도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호장근과 계심 혼합추출물의 개선효과는 난소절제를 하지 않은 군과 거의 동일한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E2 투여군의 개선 수준과도 유사하였다.
안면홍조의 지표인 꼬리피부온도에서도, 호장근과 계심 혼합추출물이 정상수준의 체온으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난관 조직의 형태학적 변화상에서, 난소절제군(0.12±0.04g)은 난소절제되지 않은 정상군(0.40±0.1g)에 비해 69% 감소된 난관 무게 및 난관 축소가 관찰되었으며, 본 발명의 호장근과 계심 혼합추출물 투여군(0.46±0.03g)에서는 난소절제되지 않은 정상군 및 에스트라디올 투여군(0.42±0.1g)과 동일한 수준의 난관무게 및 난관의 형태가 확인되었다.
또한, 호장근과 계심 혼합추출물이 나타내는 혈중여성갱년기 지표 및 난관형태 개선능은 호장근 추출물 및 계심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할 때에 비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도 6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시판 여성갱년기증상 개선용 한약재추출물인 백수오 투여군은 체온을 제외한 평가항목들(체중, 혈중 에스트로겐 및 오스테오칼신 농도, 난관무게)에서 뚜렷한 개선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 실험예 6>
난소절제 동물 모델에서의 혈장 지질 개선효능 평가
시료로는 상기 실험예 5에서 실험이 종료된 각 군의 혈액을 채취하여 사용하였다.
혈액은 채취한 후 원심분리(1,000g, 15min, 4℃)하고, 분석 전까지 80℃의 초저온냉동고에서 보관하였다.
혈액시료는 항응고제가 첨가된 튜브에 넣고, 3,000rpm으로 4℃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혈액분석용 키트(아산제약)를 이용하여 총 콜레스테롤(total-cholesterol, TC), LDL(low density lipoprotein), GOT(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Tissue Sham OVX OVX
+E2
OVX
+Mix
(200mg/kg)
OVX
+PC
(200mg/kg)
OVX
+CC
(200mg/kg)
Total-cholesterol
(IU/L)
77.0±11.3 90.8±8.5 25.6±19.1 40.8±16.5 81.0±17.1 89.3±7.7
LDL-cholesterol
(IU/L)
12.8±1.7 19.7±3.3 3.0±2.6 7.2±3.4 15.8±3.3 13.7±3.8
GOT(IU/L) 54.6±4.3 46.0±8.1 46.0±11.5 48.2±5.4 54.7±6.8 50.2±6.1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혈중 TC 농도는 난소가 절제되지 않은 군과 달리, 난소가 절제된 군에서 18% 증가되었으나, 호장근과 계심 혼합추출물을 투여한 경우 난소가 절제된 군에 비해 약 55%의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호장근 추출물을 투여하였을 때 11% 개선되었고, 계심 추출물을 투여하였을 때 1.7% 개선된 것과 비교해 볼 때 월등히 우수하다.
또한, 혈중 LDL 농도는 난소를 적출한 경우 54%가 증가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호장근과 계심 혼합추출물 투여군은 난소를 절제한 경우에 비해 63.5% 감소시키는 개선효능을 나타내었고, E2 투여군(84.8% 감소)과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7>
난소절제 동물 모델에서의 혈장 지질 개선효능 평가
실험예 6의 난소절제 동물 모델에서 간조직과 신장조직의 무게 및 복부지방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Serum lipid profiles Sham OVX OVX
+E2
OVX
+Mix
(200mg/kg)
OVX
+PC
(200mg/kg)
OVX
+CC
(200mg/kg)
Liver weight(g) 5.9±0.5 6.6±1.1 6.5±0.5 6.3±0.6 6.3±0.1 6.7±0.8
Kidney weight(g) 1.6±0.1 1.6±0.2 1.5±0.1 1.5±0.2 1.6±0.1 1.6±0.04
Abdominal fat(g) 3.7±0.5 4.5±0.8 2.6±0.6 3.3±0.8 4.0±0.7 5.4±0.7
상기 표 2의 결과에서와 같이, 간조직과 신장조직의 무게에서는 추출물군간의 차이가 뚜렷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복부지방량에서는 투여군별로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난소 절제군은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정상군에 비해 복부지방량이 22% 증가하지만, E2 및 호장근과 계심 혼합추출물 투여군에서는 난소절제군 대비 복부지방이 증가되지 않고 각각 43%와 27% 로 지방축적 개선능이 확인되었다. 반면, 호장근 추출물(11% 지방형성 개선)은 복부지방 감소효능은 보였으나, 호장근과 계심 혼합추출물보다 낮은 개선능을 나타내었다.

Claims (6)

  1. 호장근과 계심을 1:2~2:1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추출용매로 물 또는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장근과 계심은 1:1의 혼합하여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호장근과 계심 혼합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50~250배(부피)의 추출용매를 가하고 50~70℃에서 22~26시간 침지시킨 후 추출액을 얻고, 얻어진 추출액을 여과, 감압농축 및 건조시켜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70%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치료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
KR1020180012047A 2018-01-31 2018-01-31 호장근과 계심을 함유하는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049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047A KR102049440B1 (ko) 2018-01-31 2018-01-31 호장근과 계심을 함유하는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047A KR102049440B1 (ko) 2018-01-31 2018-01-31 호장근과 계심을 함유하는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831A KR20190092831A (ko) 2019-08-08
KR102049440B1 true KR102049440B1 (ko) 2019-11-27

Family

ID=67613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047A KR102049440B1 (ko) 2018-01-31 2018-01-31 호장근과 계심을 함유하는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4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5674B1 (ko) 2022-11-04 2023-07-18 주식회사 한미양행 갈색거저리 유충 및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89579B1 (ko) 2022-08-23 2023-10-17 ㈜바이오션 말 태반을 이용한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3629B1 (ko) 2020-05-06 2023-09-06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갯끈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갱년기증후군 완화용 조성물
KR20220105361A (ko) 2021-01-20 2022-07-27 (주)뷰티나인 바이텍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9187A (ja) 2007-11-21 2010-03-18 Kracie Seiyaku Kk アロマターゼ阻害剤
CN105288537A (zh) 2015-09-30 2016-02-03 叶宗耀 一种治疗女性更年期综合症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822834B1 (ko) 2016-07-20 2018-01-29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갱년기 증상 완화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566B1 (ko) 2011-08-11 2013-01-23 유상기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1486857B1 (ko) * 2013-06-11 2015-01-28 (주)뉴메드 지황 및 갈근의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26517A (ko) 2013-09-03 2015-03-11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호장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골다공증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683344B1 (ko) 2014-10-27 2016-12-07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카르노식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60058212A (ko) 2014-10-31 2016-05-25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흑삼 농축액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
WO2016084956A1 (ja) 2014-11-28 2016-06-02 森永乳業株式会社 性ホルモンのバランスの乱れに起因する症状の予防又は改善剤
KR102448542B1 (ko) * 2015-06-09 2022-09-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KR101794836B1 (ko) 2016-04-12 2017-11-07 유한회사한풍제약 당귀, 천궁 및 육계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 증상의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170140592A (ko) * 2016-06-13 2017-12-21 주식회사 바이오포트코리아 하니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887157B1 (ko) 2018-01-08 2018-08-10 (주)아모레퍼시픽 제주조릿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9187A (ja) 2007-11-21 2010-03-18 Kracie Seiyaku Kk アロマターゼ阻害剤
CN105288537A (zh) 2015-09-30 2016-02-03 叶宗耀 一种治疗女性更年期综合症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822834B1 (ko) 2016-07-20 2018-01-29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갱년기 증상 완화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Letters, 11(14), pp1839-1842(2001년)
Phytotherapy Research, 20(11), pp 952-960(2006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9579B1 (ko) 2022-08-23 2023-10-17 ㈜바이오션 말 태반을 이용한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
KR102555674B1 (ko) 2022-11-04 2023-07-18 주식회사 한미양행 갈색거저리 유충 및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831A (ko) 2019-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9440B1 (ko) 호장근과 계심을 함유하는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0645385B1 (ko)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101360231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20038611A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10624942B2 (en) Composition for amelioration of peri- and post-menopausal symptoms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1855821B1 (ko)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 및 혈액순환 증진을 위한 건강식품 조성물
KR102127712B1 (ko) 괴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703180B1 (ko)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질환의 예방 및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KR101626941B1 (ko) 골형성 촉진용 조성물 및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00295B1 (ko) 간세포 보호 효과 및 골 밀도 증가 효과를 갖는 쿠메스테롤 함유 발아발효콩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EP1583547B1 (en) Anti-obesity ingredients from medicinal plants and their composition
KR101160088B1 (ko) 알코올성 지방간과 고지혈증 억제 및 숙취 억제 조성물
KR101193540B1 (ko) 황기,계지 및 황백의 혼합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및 골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60232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391691B1 (ko) 녹용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리활성이 증진된 공진단 조성물
JP6655189B2 (ja) ブドウ種子抽出物、バレリアン抽出物及びベニバナ種子抽出物を含有する女性更年期症状予防及び改善用食品組成物
KR101735239B1 (ko) 당귀사역가오수유생강탕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0679290B1 (ko) Hgd­sj­201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50047579A (ko) 혼합생약재를 이용한 골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제 조성물
KR20130127088A (ko) 택사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지혈증 또는 동맥경화증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338119B1 (ko) 식물성 천연 복합성분 조성물
KR20190116003A (ko)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52335B1 (ko) 돌콩을 포함하는 여성갱년기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302734B1 (ko) 호장근 및 계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손실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55820B1 (ko) 간 기능 개선 및 스태미나 증진을 위한 건강식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