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2734B1 - 호장근 및 계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손실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호장근 및 계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손실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2734B1
KR102302734B1 KR1020190092757A KR20190092757A KR102302734B1 KR 102302734 B1 KR102302734 B1 KR 102302734B1 KR 1020190092757 A KR1020190092757 A KR 1020190092757A KR 20190092757 A KR20190092757 A KR 20190092757A KR 102302734 B1 KR102302734 B1 KR 102302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bone
hojanggeun
bone loss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4541A (ko
Inventor
정회윤
이도현
이헌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노브메타파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노브메타파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노브메타파마
Priority to KR1020190092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2734B1/ko
Priority to PCT/KR2020/009914 priority patent/WO2021020857A1/ko
Publication of KR20210014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4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61K36/704Polygonum, e.g. knot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4Lauraceae (Laurel family), e.g. cinnamon or sassaf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장근 및 계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손실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골세포의 분화 또는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골 손실을 억제하는 골 손실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또는 골 손실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호장근 및 계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손실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POLYGONUM CUSPIDATUM SIEB. et ZUCC. AND CINNAMOMUM CASSIA BLUME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OF BONE LOSS RELATED DISEASE}
본 발명은 호장근 및 계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손실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골세포의 분화 또는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골 손실을 억제하는 골 손실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또는 골 손실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뼈의 발생, 성장 및 대사과정에는 뼈의 형성(bone modeling)과 재형성(remodeling) 과정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뼈의 형성은 태생기부터 시작하여 이후 골격이 성숙되어 성장이 끝나는 청장년기까지 지속되어 20대에서 30대 초반까지 최대 골량을 형성하게 된다. 이후 약 30년 동안은 뼈를 제거하고 다시 이를 보충하는 골재형성 과정을 반복하게 되는데 이때는 골형성과 골흡수가 서로 짝을 이루어 균형을 유지하게 된다. 이 시기가 지난 후에는 골 흡수에 따른 골소실을 골형성이 충분히 따라갈 수 없어 결국 연 0.3 ~ 0.5 % 정도의 골량 감소를 겪게 되며, 특히 여성의 경우에는 폐경 초기에 연 2 ~ 3 %의 상당한 골손실을 겪게 된다.
골 조직은 연골과 골격계를 구성하며 기계적 기능으로 지지와 근 부착의 역할을 하고, 생체기관 및 골수를 보호하는 기능을 하며, 칼슘과 인 이온의 항상성 유지를 위해 이들을 보존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골 조직은 교원질, 당단백질과 같은 세포 기질과 조골세포(골아세포; osteoblast), 파골세포 및 골세포 등 여러 종류의 세포들로 이루어진다.
또한, 골조직은 조골세포에 의해 형성되고 파골세포에 의해 파괴 흡수가 끊임없이 반복되는 동적인 조직으로, 골다공증은 조골세포와 파골세포의 평형이 무너져 골 흡수가 골 형성보다 항진됨으로서 유발되는 질병으로, 골조직의 석회가 감소되어 뼈의 치밀질이 엷어지고 그로 인해 골수강이 넓어지게 되며, 증세가 진전됨에 따라 뼈가 약해지기 때문에 작은 충격에도 골절되기 쉽다.
골다공증은 그 증세 자체보다는 골의 약화에 따라 용이하게 초래되는 각종 골절, 특히 대퇴골 골절 또는 척추골절 등이 장기간 활동을 제한하여 건강한 생활 을 영위할 수 없고, 결과적으로 노인층 사망의 15%에 대한 원인제공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골량은 유전적 요인, 영양 섭취, 호르몬의 변화, 운동 및 생활 습관의 차이 등 여러 가지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골다공증의 원인으로는 노령, 운동 부족, 저체중, 흡연, 저칼슘 식이, 폐경, 난소 절제 등이 알려져 있다. 특히 여성의 경우 30세 이후부터 골 감소가 지속적으로 진행되며, 폐경기에 이르면 호르몬 변화에 의해 골 감소가 급격히 진행된다.
이와 같이 골다공증은 정도에 차이는 있으나 노년층, 특히 폐경기 이후의 여성에게 있어서는 피할 수 없는 증상으로, 선진국에서는 인구가 노령화됨에 따라 골다공증 및 그 치료제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골질환 치료와 관련되어 약 1300억 달러의 시장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앞으로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세계적인 각 연구 기관과 제약회사에서는 골질환 치료제 개발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고 현재 골흡수 억제제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1세대 골다공증 치료제로 사용된 칼슘 보충제는 그 효과가 미미하다는 것이 보고되었으며, 에스트로겐이나 칼시토닌을 이용한 호르몬 요법은 안정성 면에서 안전하지 못하다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Jang JS. Osteoporotic fracture-Medical treatment. Journal of the Korean Fracture Society. 2010;23(3):326-340). 특히, 호르몬 요법의 경우 골밀도를 증가시키기는 하나 유방암, 심근경색, 정맥혈전증 등의 부작용이 보고된 바 있다 (Rossouw JE et al. Postmenopausal hormone therapy an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by age and years since menopause. JAMA. 2007;297:1465-1477).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비스포스포네이트 계열의 골흡수 억제제는 잘못된 투여시 상기도에 병소가 발견되기도 한다 (Jang JS. Osteoporotic fracture-Medical treatment. Journal of the Korean Fracture Society. 2010;23(3):326-340). 골다공증은 약물의 장기 투여가 필수적인 질환이므로 안정성과 효능이 확보된 신물질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골 흡수에 따른 골 소실을 골 형성이 충분히 따라갈 수 없어, 붕괴된 골 흡수와 골 형성의 균형을 맞춰주기 위해 골 흡수 억제 기전의 약물이 많이 연구되어 왔다. 주요 기전으로는 골 흡수를 야기하는 파골세포의 분화를 억제시키거나 분화된 파골세포의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기전이 이용된다. 파골세포는 골수의 조혈모세포로부터 분화하며 골 흡수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TRAP (Tartate-resistant actid phosphatase)과 Cath K (Cathepsin K)의 발현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파골 유전자의 발현을 돕는 c-fos, NFATc1 등의 전사조절인자들의 발현증가가 동반되고, 세포 외부로부터 파골세포 분화 신호를 받는 RANK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 κB) 유전자의 발현도 증가하게 된다. 이들 유전자는 파골세포 분화가 진행될수록 증가하는 특징이 있어 파골세포 분화의 지표로 사용되기도 한다.
한편, 마디풀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인 호장근(虎杖根) (Polygonum cuspidatum Sieb. et Zucc. = Reynoutria japonica Hou.)은 호장 및 동속 근연식물의 뿌리 또는 근경(根莖)을 말하는 것으로, 고장, 산장, 반장, 산통순, 반장근, 오부답, 산간, 반근, 웅황연, 토지유라고도 불린다. 호장근은 한국, 일본, 타이완, 중국 등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전국 산야의 계곡에서 자란다. 호장근은 높이가 1m 이상이며 근경은 지하에서 옆으로 뻗고 목질이고 황갈색이며 마디가 분명하다. 줄기는 곧게 자라고 원계형으로 속이 비어 있다. 표면에는 털이 없고 적색 혹은 자색의 반점이 많이 나 있다. 이러한 뿌리, 근경과 잎 부위가 예로부터 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호장근은 완화, 이뇨, 통경, 진해진정제로 알려져 있으며, 항균작용 및 항바이러스작용의 약리작용이 있다.
녹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인 계심(桂心)(Cinnamomum cassia Blume)은 육계 또는 기타 동속 근연식물의 줄기껍질로서 주피와 1차 피층을 제거한 것이다. 긴 널빤지모양 또는 원통모양이고 길이는 10~20cm이며, 두께는 고르지 않다. 바깥 면과 안쪽 면은 모두 적갈색이고 질은 잘 꺾어진다. 꺾인 면은 적갈색이 고 기름이 풍부하다. 특유한 방향이 있고 맛은 맵고 달다. 계심의 약리작용은 강심제로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심장쇠약에 좋고 흥분, 건위정장, 온중보양, 온통경맥, 양위, 체온조절, 허약체질 개선, 구풍(驅風)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호장근과 계심의 복합 추출물이 각각의 단독 추출물보다 현저하게 우수한 파골세포 분화 억제 상승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47359호
본 발명의 목적은 호장근 및 계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손실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호장근 및 계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손실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호장근 및 계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손실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호장근 및 계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손실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호장근 및 계심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호장근 및 계심 추출물은 1:12 내지 12: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골 손실 질환은 파골세포의 골 흡수에 의해 유발되는 것인 골 손실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골 손실 질환은 골다공증, 골연화증, 구루병, 골감소증, 섬유성 골염, 무형성 골질환, 골형성 부전증, 골위축, 파제트(paget's disease), 치주염(periodontitis),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대사성 골질환 및 암세포의 골전이에 의해 유발되는 뼈의 손상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호장근 및 계심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파골세포 분화 또는 활성 억제에 대한 상승효과를 나타내며 종래에 공지된 약물들과 달리 인체에 안전하므로, 파골세포 활성의 과도한 증가에 따라 발생하는 다양한 골 손실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및 식품 조성물 등에 응용될 수 있다.
도 1은 호장근 단일 추출물, 계심 단일 추출물 및 이들을 다양한 중량비 (1:1, 1:2, 1:5, 1:10, 2:1, 10:1)로 혼합한 복합 추출물 처리에 따른 파골세포 분화 억제 효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호장근 단일 추출물, 계심 단일 추출물 및 이들의 복합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파골세포 분화 억제 효능을 보여주는 것으로, 도 2(A)는 TRAP 염색된 파골세포의 현미경 사진이고, 도 2(B)는 파골세포 분화 억제 효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호장근 단일 추출물, 계심 단일 추출물, 및 이들의 복합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분화된 파골세포의 주요 마커의 발현 수준을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TRAP의 발현 수준을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카텝신 K의 발현 수준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호장근과 계심의 복합 추출물 처리 농도에 따른 분화된 파골세포의 주요 마커의 발현 수준을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TRAP의 발현 수준을 나타낸 것이고, 도 4(B)는 카텝신 K의 발현 수준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호장근과 계심의 복합 추출물 처리 농도에 따른 분화된 파골세포의 주요 마커의 발현 수준을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RANK의 발현 수준을 나타낸 것이고, 도 5(B)는 c-fos의 발현 수준을 나타낸 것이며, 도 5(C)는 NFATc1의 발현 수준을 나타낸 것이다.
도 6(A)는 호장근과 계심의 복합 추출물 처리에 따른 대퇴골의 골밀도의 변화를 분석하여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B)는 골 체적비의 변화, 도 6(C)는 해면골소주의 두께 (trabecular thickness, Tb.Th), 도 6(D)는 해면골소주의 수(trabecular number, Tb.N), 6(E)는 해면골소주 공간(trabecular spacing, Tb.Sp)을 수치화하여 분석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구 노령화에 따라 골다공증 질환의 환자가 증가하고 있고, 골질환 치료와 관련된 시장의 규모가 점점 커지고 있으나, 종래의 골다공증 치료제는 효능 및 안전성에서 많은 문제가 보고되고 있어 효능 및 안전성이 확보된 신물질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호장근과 계심의 복합 추출물이 각각의 단독 추출물보다 현저하게 우수한 파골세포 분화 억제 상승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고 호장근과 계심의 복합 추출물을 이용하여 골 손실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문제의 해결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발명의 호장근 및 계심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파골세포 분화 억제 효능에 대한 상승효과를 나타내어 골 손실 질환의 치료에 효과적이며, 종래에 공지된 약물들과 달리 인체에 안전하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호장근 및 계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손실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호장근 및 계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손실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호장근과 계심은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자연에서 직접 채취 또는 재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골 손실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갖는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는 한, 호장근은 다양한 부위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뿌리, 지상부, 줄기, 잎, 꽃, 열매의 몸통, 열매의 껍질뿐만 아니라 식물 조직 배양물로부터 추출 가능하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실시예에서는 호장근과 계심을 각각 특정 중량비로 혼합한 뒤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호장근과 계심은 이물질 제거를 위해 세척 및 건조 후 사용될 수 있으며, 추출 효율을 높이기 위해 분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호장근과 계심의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침지 추출법, 정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열수 추출법 및 환류 추출법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추출용매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용매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물, C1~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 메탄올 또는 에탄올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일 수 있다. 또한, 추출용매는 호장근과 계심의 중량의 1~20배 첨가하여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추출시간은 0.5~48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1~36시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추출 횟수는 1회 내지 10회 반복하여 추출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에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여과, 농축 및 동결 건조 등의 단계를 추가적으로 거쳐 분말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농축은 감압농축일 수 있고, 감압농축은 진공 감압 농축기 또는 진공 회전 증발기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추출물(extract)"이란, 목적하는 물질을 다양한 용매에 침지한 다음, 상온, 저온 또는 가온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한 액상성분, 상기 액상성분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고형분 등의 결과물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결과물에 더하여, 상기 결과물의 희석액, 이들의 농축액, 이들의 조정제물, 정제물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포괄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호장근 추출물과 계심 추출물은 가장 우수한 상승효과를 유도하기 위해 최적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12 내지 12:1,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2:1,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9 내지 11: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호장근 추출물과 계심 추출물을 상기 범위를 벗어난 중량비로 혼합하는 경우, 복합 상승효과가 감소하여 최적의 활성을 나타낼 수 없으므로, 상기 중량비 범위 내에서 호장근과 계심을 혼합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용어 “골 손실”은 파골세포와 조골세포의 불균형에 의하여 초래되는 뼈가 손실되는 증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골 손실 질환”은 상기 증상과 관련된 질환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파골세포의 활성이 지나치게 높아져 뼈가 손실되어 골밀도가 낮아지거나, 조골세포의 활성이 저하되어 뼈의 생성이 원활하게 일어나지 않아 초래되는 질환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골 손실 질환의 구체적인 예로는, 골다공증, 골연화증, 구루병, 골감소증, 섬유성 골염, 무형성 골질환, 골형성 부전증, 골위축, 파제트(paget's disease), 치주염(periodontitis),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대사성 골질환 및 암세포의 골전이에 의해 유발되는 뼈의 손상 등이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호장근 및 계심 추추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파골세포의 분화 또는 활성을 억제하여 골 흡수를 억제함으로써 골 손실 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호장근 및 계심 추추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성숙한 파골세포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성숙한 파골세포는 RANKL(receptor activator of NFκB ligand)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파골세포" 는 골조직의 파괴, 흡수 기능을 수행하는 세포를 의미한다. 파골세포는 지름이 20 내지 100 ㎛인 거대세포로, 2 내지 20 개 가량의 핵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파골세포는 대식세포에서 분화한 것으로, 파골세포의 형성은 상호 협력한 대식세포-콜로니 자극 인자(M-CSF), NF-κB 리간드의 수용체 활성자(RANKL) 및 상기 활성자의 공동 자극 인자에 의해 유도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 "골 흡수"는 골 조직에서 칼슘이 빠져나가 뼈에 구멍이 나고 부서지기 쉽게 되는 과정을 의미하며, 그 과정에서는 골기질과 골미네랄이 동시에 골에서 제거된다. 골의 성장이나 개조 시에 생기는 생리적인 현상이지만, 염증이나 암세포의 골전이에 의해서도 골흡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골 파괴 억제 활성은 파골세포의 분화 또는 골 흡수를 저해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호장근과 계심의 복합 추출물은 각각의 단일 추출물보다 파골세포의 분화를 현저하게 억제하며, 도 3 내지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분화된 파골세포의 주요 마커인 TRAP 및 카텝신 K 유전자의 발현 억제와 파골세포 분화를 진행시키는 c-fos, RANK 및 NFATc1 유전자의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골 손실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있어서, 용어 “예방”은 질병 또는 병증의 발병을 억제하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파골세포의 골 흡수를 억제하여, 골 손실 질환의 발병 시기를 지연시키거나, 발병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골 손실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있어서, 용어 “개선”은 질병 또는 병증 상태를 호전 또는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파골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작용을 통해서 골다공증의 증상 또는 치조골 손실과 같은 골 손실 질환의 증상을 호전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골 손실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있어서, 용어 “치료”는 질병 또는 병증의 진행을 지연, 중단 또는 역전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파골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작용을 통해서 치조골 또는 뼈 등의 손실을 중단, 경감, 완화 또는 없애거나, 역전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용어 "상승 효과(synergy effect)"는 각 성분이 병용(조합) 투여될 때 발생되는 효과가, 단일 성분으로서 단독으로 투여될 때 발생되는 효과의 합보다 더 큰 것을 말한다[Chou and Talalay, Adv. Enzyme. Regul., 22:27-55, 1984]. 본 발명의 호장근 및 계심의 복합 추출물은 이들 각각의 단일 추출물 보다 골 손실 질환에 대한 예방, 개선 또는 치료효과를 상승시킨다.
용어 "병용 투여(administered in combination)"는 추출물 또는 성분이 환자에게 함께 투여되는 것을 의미한다. 각 추출물 또는 성분이 함께 투여된다는 것은 원하는 치료 효과를 얻기 위해서, 각 성분을 동일한 시간에 또는 임의의 순서로 또는 상이한 시간에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용어 "환자"는 인간, 소, 개, 기니아 피그, 토끼, 닭, 곤충 등을 포함하여 치료가 요구되는 임의의 단일 개체를 의미한다. 또한, 임의의 질병 임상 소견을 보이지 않는 임상 연구 시험에 참여한 임의의 대상 또는 역학 연구에 참여한 대상 또는 대조군으로 사용된 대상이 대상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 어떠한 방법으로도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적인 투여방법으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 내 투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 투여용 또는 비경구 투여용 제제로 제형화할 수 있다. 제형화할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완충제(예를 들어, 식염수 또는 PBS), 카보하이드레이트(예를 들어, 글루코스, 만노스, 수크로스, 또는 덱스트란 등), 항산화제, 정균제, 킬레이트화제(예를 들어, EDTA 또는 글루타치온),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아쥬반트(예를 들어,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현탁제, 농후제, 습윤제, 붕해제 또는 계면활성제,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액제, 겔제, 시럽제, 슬러리제, 현탁액 또는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감자 전분 등 포함),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덱스트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예컨대, 활성성분을 고체 부형제와 배합한 다음 이를 분쇄하고 적합한 보조제를 첨가한 후 과립 혼합물로 가공함으로써 정제 또는 당의정제를 수득할 수 있다.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또는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또는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가교결합 폴리비닐피롤리돈, 한천,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등을 붕해제로 첨가할 수 있으며,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적으로 투여하는 경우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적합한 비경구용 담체와 함께 주사제, 경피 투여제 및 비강 흡입제의 형태로 당 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형화 될 수 있다. 상기 주사제의 경우에는 반드시 멸균되어야 하며 박테리아 및 진균과 같은 미생물의 오염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주사제의 경우 적합한 담체의 예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물, 에탄올, 폴리올(예를 들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이들의 혼합물 및/또는 식물유를 포함하는 용매 또는 분산매질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합한 담체로는 행크스 용액, 링거 용액,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또는 주사용 멸균수, 10% 에탄올, 40% 프로필렌 글리콜 및 5% 덱스트로즈와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주사제를 미생물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페놀, 소르빈산, 티메로살 등과 같은 다양한 항균제 및 항진균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제는 대부분의 경우 당 또는 나트륨 클로라이드와 같은 등장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피 투여제의 경우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외용액제, 파스타제, 리니멘트제, 에어롤제 등의 형태가 포함된다. 상기에서 '경피 투여'는 약학적 조성물을 국소적으로 피부에 투여하여 약학적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한 양의 활성성분이 피부 내로 전달되는 것을 의미한다.
흡입 투여제의 경우,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화합물은 적합한 추진제, 예를 들면,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또는 다른 적합한 기체를 사용하여, 가압 팩 또는 연무기로부터 에어로졸 스프레이 형태로 편리하게 전달 할 수 있다. 가압 에어로졸의 경우, 투약 단위는 계량된 양을 전달하는 밸브를 제공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입기 또는 취입기에 사용되는 젤라틴 캡슐 및 카트리지는 화합물, 및 락토오스 또는 전분과 같은 적합한 분말 기제의 분말 혼합물을 함유하도록 제형화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형은 모든 제약 화학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처방서인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5th Edition, 1975.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ennsylvania 18042, Chapter 87: Blaug, Seymour)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호장근과 계심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량으로 포함할 때 바람직한 골 손실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서, 용어 “유효량”은 음성 대조군에 비해 그 이상의 반응을 나타내는 양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골 손실 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호장근과 계심의 복합 추출물은 0.01 내지 99.9% 포함될 수 있으며, 잔량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가 차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호장근과 계심의 복합 추출물의 유효량은 조성물이 제품화되는 형태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총 유효량은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으로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질환의 정도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장근과 계심의 복합 추출물을 기준으로 하루에 체중 1 kg당 바람직하게 0.001 내지 100 mg, 더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mg의 양으로 투여되도록 1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호장근과 계심의 복합 추출물의 용량은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 및 치료 횟수뿐만 아니라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상태, 성별, 질환의 중증도, 식이 및 배설율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환자에 대한 유효 투여량이 결정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당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호장근과 계심의 복합 추출물을 골 손실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을 위한 특정한 용도에 따른 적절한 유효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이는 한 그 제형, 투여 경로 및 투여 방법에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골 손실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또는 생물학적 반응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골 손실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또한 호장근과 계심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외용제의 제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골 손실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의약외품 일 수 있다.
상기 외용제는 피부 또는 구강 내에 직접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골 손실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외용제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유화제,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활성제, 친유성 활성제 또는 지질 소낭 등 피부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외용제로 제공될 경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액제, 연고, 패취, 겔, 크림 또는 분무제 등의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외약외품은 치약, 양치액 및 마우스 스프레이를 포함하는 구강관리 제품, 연고제, 마스크, 습포제, 첩부제 및 경피흡수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호장근과 계심의 복합 추출물을 처리하는 경우 파골세포의 분화가 억제되었는바, 상기 유효성분을 구강관리 제품에 적용하는 경우, 파골세포의 분화를 억제하여 치조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에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골 손실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구강 관리용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의약외품 조성물로 사용하는 경우, 호장근과 계심의 복합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 및 의약외품에 대하여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내용이 준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건강기능식품”은 “기능성 식품”및 “건강 식품”의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은 특정보건용 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와 동일한 용어로,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의료효과가 높은 식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건강 식품(health food)”은 일반식품에 비해 적극적인 건강유지나 증진 효과를 가지는 식품을 의미하고, 건강보조식품(health supplement food)는 건강 보조 목적의 식품을 의미한다. 경우에 따라, 기능성식품, 건강식품, 건강보조식품의 용어는 호용된다. 상기 식품은 골 손실 질환의 개선 또는 회복에 유용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성 식품의 구체적인 예로,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농산물, 축산물 또는 수산물의 특성을 살려 변형시키는 동시에 저장성을 좋게 한 가공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또한, 영양 보조제 (nutritional supplement), 식품 첨가제 (food additives) 및 사료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인간 또는 가축을 비록한 동물을 취식 대상으로 한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일반 식품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아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 햄, 소시지 콘비이프 등), 빵류 및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이트,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 버터, 치이즈 등), 식용식물 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호장근과 계심의 복합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영양보조제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캡슐, 타블렛, 환 등에 호장근과 계심의 복합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건강기능식품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상기 호장근과 계심의 복합 추출물을 차, 쥬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건강음료)할 수 있도록 액상화,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장근과 계심의 복합 추출물을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말 또는 농축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장근과 계심의 복합 추출물과 골 손실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건강음료 조성물로 이용되는 경우, 상기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수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일 수 있다. 감미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0.01 ~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 이다.
호장근과 계심의 복합 추출물은 골 손실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함유될 수 있는데, 그 양은 상기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얻기에 유효한 양으로, 예를 들어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호장근과 계심의 복합 추출물과 함께 골 손실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다른 활성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펙트산의 염, 알긴산, 알긴산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또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식품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또는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이하에서 기술하는 특정 실시예 및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 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조예 1]
호장근 계심의 단일 추출물 제조
1-1. 호장근 단일 추출물의 제조
(주)휴먼허브(http://www.humanherb.co.kr/)에서 구입한 호장근 100g에 70% 에탄올 10ℓ를 가하고, 60℃에서 24시간 침지시킨 후 실온에서 추출액을 수득하였다. 다시 70% 에탄올 10ℓ를 가하고 추출하는 과정을 2회 더 반복하여 추출액을 수집하였다.
1-2. 계심 추출물의 제조
(주)휴먼허브(http://www.humanherb.co.kr/)에서 구입한 계심 100g에 70% 에탄올 10ℓ를 가하고, 60℃에서 24시간 침지시킨 후 실온에서 추출액을 수득하였다. 다시 70% 에탄올 10ℓ를 가하고 추출하는 과정을 2회 더 반복하여 추출액을 수집하였다.
[제조예 2]
호장근과 계심의 복합 추출물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호장근 추출물과 계심 추출물을 표 1에 나타난 중량비로 각각 혼합한 복합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호장근:계심의 혼합 중량비
제조예 2-1 1:1
제조예 2-2 1:2
제조예 2-3 1:5
제조예 2-4 1:10
제조예 2-5 2:1
제조예 2-6 5:1
제조예 2-7 10:1
[준비예 1]
세포 및 재료의 준비
골수 유래 일차 대식세포 (primary bone marrow macrophage) 배양을 위해 6~8주령의 수컷 C57BL/6 생쥐를 코아텍 사에서 구입하였다. 세포 배양에 사용한 MEM-α 배지는 Welgene 사에서 구입하였고 FBS는 하이클론 Hyclone 사에서, 적혈구 제거를 위해서는 Sigma-Aldrich 사의 적혈구 (RBC) 용해 버퍼를 구입하였다. M-CSF, RNAKL 단백질은 R&D Systems 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파골세포 분화 정도 측정인 TRAP 염색을 위해 필요한 타르타르산, 아세트산나트륨, 나프톨 AS-MX 포스페이트 (Naphtol AS-MX phosphate), N,N’-디메틸포름아미드, 패스트 레드 바이올렛 (Fast red violet)은 Sigma-Aldrich 사에서 구입하였다.
RNA 추출을 위해 MACHEREY-NAGEL 사의 NucleoZOL을 구입하였고, cDNA 합성과 실시간 PCR 분석을 위해서는 Bio-Rad 사의 iScript cDNA 합성 키트와 iQ SYBR Green Supermix 제품을 구입하였다.
[준비예 2]
프라이머 합성
실시간 PCR을 위한 프라이머는 표 2와 같은 염기 서열로 Bioneer 사에서 합성하여 사용하였다.
유전자 이름 정방향 프라이머
(5'→3')
서열번호 역방향 프라이머
(5'→3')
서열번호
TRAP gaccacaacctgcagta 1 agggatccatgaagttg 2
Cathepsin K ccatctctgtgtccatc 3 ggtcacaattttcatca 4
c- fos gttccctgagcatgttgg 5 gcctagatgatgccggaaa 6
RANK gcttcttctcagatgtc 7 gtgcttctagctttcca 8
NFATc1 ctttccccgacatcata 9 gctcgtatggaccagaa 10
β-actin gggaaggtgacagcattg 11 atgaagtattaaggcggaagatt 12
호장근 단일, 계심 단일 및 이의 복합 추출물 처리에 따른 파골세포 분화유도 억제 효과 확인
1-1. 생쥐 골수 유래 일차 대식세포 추출 및 배양
생쥐의 대퇴골과 경골을 분리한 후 MEM-α를 10ml 주사기(23G 바늘)로 주입하여 골수를 빼낸다. 18G 바늘로 바꾸어 골수를 균일하게 푼 뒤 100um 스트레이너 (Strainer)를 통과시켜 걸러낸다. 1,500 rpm, 5분 원심분리하고 세포를 풀어 RBC 용해 버퍼 5ml을 넣고 1.5분 반응시킨다. MEM-α 15ml을 넣고 1,500 rpm, 5분 원심분리한다. 이 과정을 한번 더 반복하고, MEM-α 10ml만으로 두 번 더 진행한다. 세포를 30ng/ml의 M-CSF를 넣은 MEM-α 배지에 풀어 100mm 페트리 디쉬에서 3일간 배양한다 (37℃, 5% CO2).
1-2. 파골세포 분화유도 및 호장근 단일, 계심 단일 및 이의 복합 추출물 처리
3일간 배양한 골수 유래 일차 대식세포를 트립신으로 떼어낸 후 96 웰 플레이트에 웰 당 2x104 개의 세포가 들어가도록 넣는다. 이때 MEM-α 배지에는 10ng/ml 농도의 M-CSF를 첨가하고, 분화 유도를 위해서는 20ng/ml 농도의 RANKL을 추가로 첨가한다.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호장근 단일 추출물 및 계심 단일 추출물은 각각 20 ㎍/ml 농도로 처리하였고, 제조예 2에서 각 단일 추출물을 다양한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된 복합 추출물 (호장근:계심의 혼합 중량비가 각각 1:1, 1:2, 1:5, 1:10, 2:1 및 10:1임)을 각각 40 ㎍/ml 농도로 처리한 후 (최종 DMSO 농도는 0.2%), 37℃, 5% CO2 조건에서 5일간 배양하며 48시간마다 배지를 새롭게 교체하며 추출물도 새롭게 처리한다.
1-3. TRAP 염색
분화 5일째에 96 웰 플레이트의 배지를 제거하고 4% PFA를 넣어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고정한다. 고정 후에는 4% PFA를 제거하고 준비한 TRAP 염색 용액을 넣어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염색이 완료되면 증류수로 1회 씻어내고 상온에서 건조시킨다. DMSO로 염색된 염료를 녹여내고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혼합 중량비에 따른 TRAP 활성(파골세포 분화 정도)을 비교한다.
실험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러 혼합 비율 중 호장근과 계심의 1:1 비율 혼합이 파골세포 분화 억제에 가장 좋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양한 중량비로 혼합된 복합 추출물의 상승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도 1의 그래프를 수치화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또한, 각 복합 추출물에 대한 TRAP 활성 억제율(%) 예측값을 콜비 (Colby)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고 이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콜비 공식]
E = (A + B) - (A × B / 100)
상기 식에서, A는 활성성분 A의 약효이고, B는 활성성분 B의 약효이며, E는 예측치로 성분 A와 성분 B (A+B)가 혼합되었을 경우의 예측되는 약효이다.
호장근: 계심의 혼합 중량비 TRAP 활성% TRAP 활성 억제율% (실측치) TRAP 활성 억제율% (예측값)
1:1 호장근 1 63% 37% -
계심 1 92% 8% -
혼합 1:1 30% 70% 42%
1:2 호장근 1 87% 13% -
계심 2 92% 8% -
혼합 1:2 56% 44% 20%
1:5 호장근 1 97% 3% -
계심 5 100% 0% -
혼합 1:5 86% 14% 3%
1:10 호장근 1 92% 8% -
계심 10 100% 0% -
혼합 1:10 92% 8% 8%
2:1 호장근 2 78% 22% -
계심 1 91% 9% -
혼합 2:1 66% 34% 29%
10:1 호장근 10 78% 22% -
계심 1 95% 5% -
혼합 10:1 71% 29% 25.9%
그 결과, 모든 복합 추출물 처리군에서 실측치가 예측값과 동일하거나, 실측치가 예측값을 뛰어넘는 우수한 TRAP 활성 억제 효능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중량비 범위로 혼합된 복합 추출물은 각각의 단일 추출물과 비교하여 현저히 우수한 파골세포 분화 억제 효능을 갖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호장근 단일, 계심 단일 및 이의 복합 추출물 처리에 따른 파골세포 분화유도 억제 효과 확인
2-1. 파골세포 분화유도 및 호장근 단일, 계심 단일 및 이의 복합 추출물 처리
상기 실시예 1-1에서 3일간 배양한 골수유래 일차 대식세포를 트립신으로 떼어낸 후 96 웰 플레이트에 웰 당 2x104 개의 세포가 들어가도록 넣는다. 이때 MEM-α 배지에는 10ng/ml 농도의 M-CSF를 첨가하고, 분화 유도를 위해서는 20ng/ml 농도의 RANKL을 추가로 첨가한다. 호장근 단일, 계심 단일 및 이들의 1:1 복합 추출물은 각각 20, 20 및 40 ㎍/ml 농도로 처리 후 (최종 DMSO 농도는 0.1%), 37℃, 5% CO2 조건에서 5일간 배양하며 48시간마다 배지를 새롭게 교체하며 추출물도 새롭게 처리한다.
2-3. TRAP 염색
TRAP 염색 용액은 0.1M 아세트산나트륨 (pH5.0)과 0.5M 타르타르산나트륨을 9:1의 비율로 섞어 타르타르산염 (Tartarate) 용액을 만들고, 타르타르산염 용액 10ml 당 나프톨 AS-MX 포스페이트 1mg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 100ul에 녹여 첨가하였다. 여기에 패스트 레드 바이올렛 (Fast red violet)을 5~6mg 넣어 충분히 녹인 후 0.45㎛ 주사기 필터로 여과하여 준비하였다.
분화 5일째에 96-웰 플레이트의 배지를 제거하고 4% PFA를 넣어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고정한다. 고정 후에는 4% PFA를 제거하고 준비한 TRAP 염색 용액을 넣어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염색이 완료되면 증류수로 1회 씻어내고 상온에서 건조시킨다. 현미경으로 촬영 후 각 웰에 나타나는 분화된 파골세포인 MNC (Multi-nucleated cell)의 숫자를 세어 분화 정도를 분석한다. 이때, MNC의 기준은 핵이 3개 이상인 것으로 한다.
실험 결과, 도 2(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에 비하여 호장근 단일, 계심 단일 또는 이들의 1:1 복합 추출물의 처리에 의해 분홍색으로 염색된 파골세포가 현저히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웰 전체에 나타나는 파골세포 수를 세어 보았을 때에도 현저한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고, 도 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합 추출물은 단일 추출물들에 비해 파골세포의 분화를 더욱 현저하게 억제시킨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복합에 의한 상승효과로 볼 수 있으며, 호장근과 계심의 복합 추출물이 단일 추출물들에 비해 파골세포 분화를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효능을 나타내는 근거가 된다.
복합 추출물 처리군의 현저한 상승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미분화 대조군의 웰 당 MNC의 수를 100% 기준으로 하여, 각 군의 파골세포 분화 억제율(%)을 계산하여 표 4에 나타내었고, 단일 추출물 처리군의 파골세포 분화 억제율 실측치를 앞서 언급한 콜비 (Colby) 공식에 대입하여 계산된 복합 추출물의 파골세포 분화 억제율 예측값 또한 표 4에 나타내었다.
미분화 대조군 호장근 단일 추출물 계심 단일 추출물 호장근과 계심의 1:1 복합 추출물
웰 당 MNC 수 (개) 185 20 60 4
분화 억제율% (실측치) - 89.2% 67.6% 97.8%
분화 억제율% (예측값) - - - 96.5%
그 결과, 복합 추출물 처리군에서 실측치가 예측값을 뛰어넘는 우수한 파골세포 분화 억제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호장근 단일, 계심 단일 및 이의 복합 추출물 처리에 따른 분화된 파골세포의 주요 마커 유전자의 발현 수준 확인
3-1. 파골세포 분화유도 및 호장근 단일, 계심 단일 및 이의 복합 추출물 처리
3일간 배양한 골수유래 일차 대식세포를 트립신으로 떼어낸 후 12-웰 플레이트에 웰 당 5x105 개의 세포가 들어가도록 넣는다. 이때 MEM-α 배지에는 30ng/ml 농도의 M-CSF를 첨가하고, 분화 유도를 위해서는 20ng/ml 농도의 RANKL을 추가로 첨가한다. 호장근 단일, 계심 단일, 및 이들의 1:1 복합 추출물은 각각 20, 20 및 40 ㎍/ml 농도로 처리 후 (최종 DMSO 농도는 0.1%) 37℃, 5% CO2 조건에서 5일간 배양하며 48시간마다 배지를 새롭게 교체하며 추출물도 새롭게 처리한다.
3-2. RNA 추출 및 유전자 발현 분석
12 웰 플레이트의 세포의 배지를 제거하고 PBS로 1회 세척한 후 NucleoZOL을 이용하여 세포를 바로 녹여낸다. 제조사의 총 RNA 분리 (Total RNA isolation) 프로토콜에 따라 RNA를 추출하고, 1㎍의 RNA를 iScript cDNA 합성 키트를 이용하여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으로 cDNA를 합성한다. 합성한 cDNA는 각 유전자에 해당하는 표 2의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iQ SYBR Green Supermix로 실시간 PCR을 진행하여 분석한다. 각 유전자 발현 값은 하우스키핑 유전자인 β-액틴 발현 값으로 나누어 보정한다.
실험 결과, 도 3(A) 및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화된 파골세포의 주요 마커인 TRAP과 카텝신 K 유전자의 발현이 호장근 단일, 계심 단일, 및 이들의 1:1 복합 추출물의 처리에 의해 유의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단일 추출물들에 비해 복합 추출물에 의한 유전자 발현 감소가 더욱 현저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상승효과에 의해 호장근과 계심의 복합 추출물은 각각의 단일 추출물들에 비해 파골세포 분화를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합 추출물 처리군의 현저한 상승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RANKL만 처리한 대조군의 TRAP 발현 수준을 100% 기준으로 하여, 각 군의 TRAP 발현 억제율(%)을 계산하여 표 5에 나타내었고, 단일 추출물 처리군의 TRAP 발현 억제율 실측치를 앞서 언급한 콜비 (Colby) 공식에 대입하여 계산된 복합 추출물의 TRAP 발현 억제율 예측값 또한 표 5에 나타내었다.
RANKL 처리 대조군 호장근 단일 추출물 계심 단일 추출물 호장근과 계심의 1:1 복합 추출물
TRAP 발현 수준 5502 3371 3809 1359
TRAP 발현 억제율% (실측치) - 38.7% 30.8% 75.3%
TRAP 발현 억제율% (예측값) - - - 57.6%
그 결과, 복합 추출물 처리군에서 실측치가 예측값을 뛰어넘는 우수한 TRAP 발현 억제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찬가지로, RANKL만 처리한 대조군의 카텝신 K 발현 수준을 100% 기준으로 하여, 각 군의 카텝신 K 발현 억제율(%)을 계산하여 표 6에 나타내었고, 단일 추출물 처리군의 카텝신 K 발현 억제율 실측치를 앞서 언급한 콜비 (Colby) 공식에 대입하여 계산된 복합 추출물의 카텝신 K 발현 억제율 예측값 또한 표 5에 나타내었다.
RANKL 처리 대조군 호장근 단일 추출물 계심 단일 추출물 호장근과 계심의 1:1 복합 추출물
카텝신 K 발현 수준 2284 1016 1055 316
카텝신 K 발현 억제율% (실측치) - 55.5% 53.8% 86.2%
카텝신 K 발현 억제율% (예측값) - - - 79.4%
그 결과, 복합 추출물 처리군에서 실측치가 예측값을 뛰어넘는 우수한 카텝신 K 발현 억제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호장근과 계심의 복합 추출물 처리 농도에 따른 분화된 파골세포의 주요 마커 유전자 및 분화 진행 유전자의 발현 수준 확인
4-1. 파골세포 분화유도 및 호장근과 계심의 복합 추출물 처리
3일간 배양한 골수유래 일차 대식세포를 트립신으로 떼어낸 후 12-웰 플레이트에 웰 당 5x105 개의 세포가 들어가도록 넣는다. 이때 MEM-α 배지에는 30ng/ml 농도의 M-CSF를 첨가하고, 분화 유도를 위해서는 20ng/ml 농도의 RANKL을 추가로 첨가한다. 호장근과 계심의 1:1 복합 추출물은 0, 10, 20, 및 50 ㎍/ml 농도로 각각 처리 후 (최종 DMSO 농도는 0.1%) 37℃, 5% CO2 조건에서 3일간 배양하며 48시간째에 배지를 새롭게 교체한다.
4-2. RNA 추출 및 유전자 발현 분석
상기 실시예 3-2와 동일한 방법으로 TRAP 및 카텝신 K, c-fos, RANK 및 NFATc1 유전자 발현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도 4(A) 및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화된 파골세포의 주요 마커인 TRAP과 카텝신 K 유전자의 발현이 호장근과 계심의 복합 추출물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5(A), 5(B), 및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골세포 분화를 진행시키는 c-fos, RANK, NFATc1 유전자들의 발현도 호장근과 계심의 복합 추출물에 의해 현저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 의해 호장근과 계심의 복합 추출물이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파골세포 분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효능을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호장근과 계심의 복합 추출물이 뼈 건강과 골다공증의 치료에 적용될 수 있는 근거로 볼 수 있다.
난소절제 동물모델에서 장근과 계심의 복합 추출물 투여에 따른 골다공증 개선 효과 측정
5-1. 실험동물의 설계 및 실험 물질 처리 조성
호장근과 계심의 복합 추출물 투여에 따른 난소절제 동물모델의 골다공증 개선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7주령의 SD 암컷 쥐(코아텍, 평택, 한국)를 구입하여 일정한 조건(온도: 22±2℃, 상대습도: 55±10%, 일주기: 12시간)으로 케이지에서 물과 먹이를 자유 공급하여 1주일간 순화를 거쳐 실험에 사용하였다. 이후 난소 절제 수술을 진행하였으며 9주령이 되었을 때에 CT로 골밀도를 측정한 후 개체간의 차이가 없도록 4개의 군으로 나누었으며, 제1 군은 인산완충식염수를 투여한 모의수술군 (Sham)으로 설정하였고 (도 6에서 대조군), 제2 군은 인산완충식염수를 투여한 난소절제를 수행한 수술군으로 설정하였으며 (도 6에서 수술군), 제3 군은 에스트로겐을 0.5 ㎎/㎏의 농도로 4주간 매일 경구투여한 난소절제 수술군의 양성대조군으로 설정하였고 (도 6에서 수술군+에스트로겐), 제4 군은 호장근 및 계심의 1:1 복합 추출물을 200 ㎎/㎏의 농도로 오전, 오후 매일 2번, 4주간 경구투여한 난소절제 수술군으로 설정하였다 (도 6에서 수술군 + 복합 추출물).
5-2. Micro CT 측정
양성대조군인 에스트로겐 또는 실험군인 복합 추추물의 투여를 4주간 진행한 후, 난소절제 동물모델의 골다공증 개선 효과를 Micro C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난소절제 동물의 골밀도는 micro-CT (QuantumFX, Perkin Elmer, Massachusetts, USA)를 이용하여 대퇴골 성장판 2 mm 앞쪽 3 mm 범위를 골 CT 촬영을 실시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골 체적비 (bone volume fraction, BV/TV, %)를 측정하였고, 해면골소주의 두께 (trabecular thickness, Tb.Th), 수(trabecular number, Tb.N) 및 공간(trabecular spacing, Tb.Sp)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호장근과 계심의 복합 추출물을 200 mg/kg 투여한 군이 난소 절제군 (수술군) 보다 현저하게 대퇴골의 골밀도가 증가한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양성대조군 (에스트로겐)보다 효과가 좋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합추출물 200 mg/kg을 투여한 군은 양성대조군인 에스트로겐보다 골체적비 (BV/TV)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도 6(C), 6(D) 및 6(E)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면골소주 두께와 수는 모의수술군 (대조군)에 비해 난소 절제군 (수술군)이 현저하게 낮았고, 해면골소주 공간은 높았다. 그러나, 복합 추출물을 200 mg/kg 용량으로 4주간 투여한 복합 추출물 실험군에서는 폐경에 의해 발생되는 해면골소주 두께 및 해면골소주 수의 감소와 해면골소주 공간의 증가가 모두 유의적으로 억제되었다.
상기 실험결과는 난소절제 수술군, 모의수술군 (대조군), 복합 추출물 투여군 및 에스트로겐 투여군 간의 t 검정(t-test)으로 비교 검증을 실시하여 그 유의성을 검증하였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p<0.005, ***p<0.0005).
따라서, 복합 추출물의 투여가 골밀도 및 골체적비를 증가시키고, 해면골소주의 두께 및 수를 증가시키며, 해면골소주의 공간이 줄어들게 한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복합 추출물에 대한 골다공증 치료 효과를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SEQUENCE LISTING <110> NovMetaPharma Co., Ltd. <120>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POLYGONUM CUSPIDATUM SIEB. et ZUCC. AND CINNAMOMUM CASSIA BLUME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OF BONE LOSS RELATED DISEASE <130> 1066109 <160> 12 <170> PatentIn version 3.2 <210> 1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TRAP forward primer <400> 1 gaccacaacc tgcagta 17 <210> 2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TRAP reverse primer <400> 2 agggatccat gaagttg 17 <210> 3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Cathepsin K forward primer <400> 3 ccatctctgt gtccatc 17 <210> 4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Cathepsin K reverse primer <400> 4 ggtcacaatt ttcatca 17 <210> 5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c-fos forward primer <400> 5 gttccctgag catgttgg 18 <210> 6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c-fos reverse primer <400> 6 gcctagatga tgccggaaa 19 <210> 7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ANK forward primer <400> 7 gcttcttctc agatgtc 17 <210> 8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RANK reverse primer <400> 8 gtgcttctag ctttcca 17 <210> 9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NFATc1 forward primer <400> 9 ctttccccga catcata 17 <210> 10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NFATc1 reverse primer <400> 10 gctcgtatgg accagaa 17 <210> 11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β-actin forward primer <400> 11 gggaaggtga cagcattg 18 <210> 12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β-actin reverse primer <400> 12 atgaagtatt aaggcggaag att 23

Claims (10)

  1. 호장근 및 계심 추출물을 1:1 내지 1:2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또는 골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장근 및 계심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한 것인 골 손실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 손실 질환은 파골세포의 골 흡수에 의해 유발되는 것인 골 손실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삭제
  6. 호장근 및 계심 추출물을 1:1 내지 1:2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또는 골감소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호장근 및 계심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한 것인 골 손실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골 손실 질환은 파골세포의 골 흡수에 의해 유발되는 것인 골 손실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 삭제
KR1020190092757A 2019-07-30 2019-07-30 호장근 및 계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손실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02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757A KR102302734B1 (ko) 2019-07-30 2019-07-30 호장근 및 계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손실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CT/KR2020/009914 WO2021020857A1 (ko) 2019-07-30 2020-07-28 골 손실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호장근 및 계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757A KR102302734B1 (ko) 2019-07-30 2019-07-30 호장근 및 계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손실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541A KR20210014541A (ko) 2021-02-09
KR102302734B1 true KR102302734B1 (ko) 2021-09-15

Family

ID=74228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757A KR102302734B1 (ko) 2019-07-30 2019-07-30 호장근 및 계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손실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02734B1 (ko)
WO (1) WO202102085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9858A (ko) * 2011-11-29 2013-06-07 주식회사 진생사이언스 육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육 성장 촉진용 또는 골다공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30059860A (ko) * 2011-11-29 2013-06-07 주식회사 진생사이언스 육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형성 증가 효과를 가지는 식품첨가물
KR20130059859A (ko) * 2011-11-29 2013-06-07 주식회사 진생사이언스 골형성 증가 효과를 가지는 육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KR20150026517A (ko) * 2013-09-03 2015-03-11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호장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골다공증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040763B1 (ko) 2017-10-27 2019-11-05 한약진흥재단 호장근과 계심을 함유하는 항혈전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大韓本草學會誌 제29권 제2호 (2014.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20857A1 (ko) 2021-02-04
KR20210014541A (ko) 202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4985B1 (ko) 지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줄기세포로부터 근육세포로의 분화 촉진용 조성물, 근력 약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운동수행 능력 향상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1733261B1 (ko) 지방 분해 촉진 조성물
KR101252639B1 (ko) 쌍화탕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98688B1 (ko)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위축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20003693A (ko)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US11622984B2 (en) Composition comprising aster sphathulifolius maxim extract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muscular diseases or for improving muscular functions
KR20120001283A (ko) 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99961B1 (ko) 방풍통성산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80046543A (ko) 연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
KR101913828B1 (ko) 지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줄기세포로부터 근육세포로의 분화 촉진용 조성물, 근력 약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운동수행 능력 향상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302734B1 (ko) 호장근 및 계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손실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42176B1 (ko) 성장촉진 조성물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23487B1 (ko) 오미자, 황금 및 해동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109926A (ko) 좁은잎천선과 잎 추출물을 이용한 관절염 개선용 조성물
KR102217264B1 (ko) 코디움 속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11036A (ko)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54194B1 (ko) 칠면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305555B1 (ko) 신이 활성 화합물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57165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35294B1 (ko) 산화적 뇌손상 및 뇌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06795B1 (ko) 호장근 및 계심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64690B1 (ko) 대나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1695299B1 (ko) 필발 추출물, 이소플라본을 함유하는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025572B1 (ko) 고욤나무 잎 및 포도송이 줄기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