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2834B1 - 갱년기 증상 완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갱년기 증상 완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2834B1
KR101822834B1 KR1020160091736A KR20160091736A KR101822834B1 KR 101822834 B1 KR101822834 B1 KR 101822834B1 KR 1020160091736 A KR1020160091736 A KR 1020160091736A KR 20160091736 A KR20160091736 A KR 20160091736A KR 101822834 B1 KR101822834 B1 KR 101822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weight
cinnamon
parts
soybe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1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영
Original Assignee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1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28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2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28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피, 구기자, 대두, 갈근 및 회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 완화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계피, 구기자, 대두, 갈근 및 회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을 완화 및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은 여성 갱년기 증상에 기존 방법 대비 현저히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호르몬 대체 요법에 따른 부작용 또한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새로운 기능성 식품 등으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갱년기 증상 완화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menopausal symptom}
본 발명은 계피, 구기자, 대두, 갈근 및 회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 완화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 나라의 2005년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구성비는 9.1%에 달하며, 2019년에는 전체 인구의 14%를 넘게 되어 고령화 사회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여성의 평균 수명은 2002년에 80.4세로 갱년기 이후 30년 정도에 해당하며, 이 기간 동안 여성의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 또한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갱년기는 내분비 증후군의 일종으로, 난소의 노화로 인한 여성 호르몬의 감소로 인해 생리적 기능 및 성기능 감소/소실되는 과정에 해당하는데, 보통 폐경을 전후로2-10년을 걸쳐 나타난다. 갱년기 기간 중이나 폐경 후 많은 여성들은 열성홍조(hot flash), 우울증(depression), 조울증(mood swings), 수면 장애(sleeping disorder), 질 건조증(vaginal dryness) 및 관절 통증(joint pain) 등 여러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의 가장 큰 원인은 에스트로겐의 부족에 따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J. Agric. Food Chem., 2001, 49, pp. 2472-9). 상기 증상의 해소를 위해 주로 사용되는 방법은 에스트로겐 대체요법(estrogen replacement therapy)이다. 그러나, 갱년기 증상을 보이는 여성의 35 내지 40% 정도 만이 이 방법을 사용하지만, 이마저도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기피하고 있다(Ann. Intern. Med., 1999, 130, pp. 545-553). 가장 큰 이유는 인위적인 호르몬 투여를 기반으로 하는 에스트로겐 요법 자체에 대한 거부감과 부작용 때문다. 특히 자궁출혈, 뇌졸증, 심장발작, 유방암 및 자궁암 발생 위험의 증가 가능성에 대한 많은 연구 결과가 보고되었다(Obstel. Gynecol., 1988, 91, pp. 678-684; New Engl. J. Med., 1995. 332, pp. 1589-1593).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자연적인 방법으로 에스트로겐 요법을 대체하고자 하는 것과 같이, 부작용이 적고, 암 발생 빈도를 낮추는 것과 같은 새로운 방법의 개발이 절실한 상황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0419121.
Am. J. Clin. Nutr., 1998, 68, pp. 1333-1346. J. Clin. Endocrinol. Metab., 1998, 83, pp. 297-303.
상기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에서는 식물 소재인 계피, 구기자, 대두, 갈근 및 회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을 완화 및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은 계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구기자 150-200 중량부, 대두 200-250 중량부, 갈근 350-450 중량부 및 회향 50-100 중량부의 배합비로 혼합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 완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a) 계피, 구기자, 대두, 갈근 및 회향 각각을 물로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단계; (b)상기 각 추출물을 원심분리한 후, 여액을 농축, 건조하여 계피, 구기자, 대두, 갈근 및 회향 각각의 분말을 얻는 단계; (c) 상기(b)에서 얻은 계피, 구기자 및 갈근 분말에 물을 혼합한 후 가열하는 단계; (d) (c) 단계에서 얻은 용액에 상기(b)에서 얻은 대두 및 회향 분말을 더 추가하고 가열하여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e) 상기(d)에서 얻은 추출물을 농축, 건조하여 혼합 분말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 완화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계피, 구기자, 대두, 갈근 및 회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을 완화 및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은 여성 갱년기 증상에 기존 방법 대비 현저히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호르몬 대체 요법에 따른 부작용 또한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새로운 기능성 식품 등으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은 계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구기자 150-200 중량부, 대두 200-250 중량부, 갈근 350-450 중량부 및 회향 50-100 중량부의 배합비로 혼합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 완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계피(cinnamon, cortex)는 녹과나무과(Lauraceae)의 수피 또는 수피를 일부 제거한 것이다. 계피는 혈액순환 개선 작용, 위궤양 형성 억제 작용, 항종약 작용 등의 약리 효과가 있다.
구기자(Lycium fructus)는 구기자 나무 또는 동속 식물의 열매를 지칭한다. 구기자는 간세포 보호 작용, 혈압 강화 작용, 시력 개선, 어지러움증 개선, 고지혈증, 발기부전 등에 약리 효과가 있다.
대두(soybean)는 콩(Glycine max Merrill)의 씨이다. 전통 식품으로 발효 식품 뿐만 아니라 두유, 두부 등의 가공 식품 또는 콩나물 등의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대두는 단백질과 불포화 지방산을 다량 포함하고 있으며, 식이섬유, 올리고당, 이소플라본 및 사포닌 등의 생리활성 물질을 보유하고 있다.
갈근(Puerariae radix)은 칡(Puerariae lobata)의 주피를 제거한 뿌리로, 해열진경 작용, 순환기 개선 작용 및 혈당 강하 작용 등의 약리 효과가 있다.
회향(Foeniculi fructus)은 미나리 과의 열매로 건위, 진경 작용, 항균 작용, 이뇨 작용, 배설 작용 등의 약리 효과가 있다.
식물체 내에 존재하는 식물성 에스트로겐의 주요 형태로는 이소플라본(isoflavone), 쿠메스탄(coumestan) 및 리그난(lignan)을 들 수 있다. 이 중 이소플라본은 1,000여 가지 종류가 있으며, 대표적으로 제니스탄(genistein)과 다이드제인(daidzein)이 가장 널리 알려져 있고, 에스트로겐 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제한되지는 않으나 계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구기자 150-200 중량부, 대두 200-250 중량부, 갈근 350-450 중량부 및 회향 50-100 중량부의 배합비, 바람직하게는 계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구기자 200 중량부, 대두 200 중량부, 갈근 400 중량부 및 회향 100 중량부의 배합비, 가장 바람직하게는 계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구기자 150 중량부, 대두 250 중량부, 갈근 400 중량부 및 회향 100 중량부의 배합비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갱년기 증상은 제한되지는 않으나 열성홍조(hot flash), 우울증(depression), 조울증상(mood swings), 수면장애(sleeping disorder), 질건조증(vaginal dryness) 및 관절통증(joint pa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a) 계피, 구기자, 대두, 갈근 및 회향 각각을 물로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단계; (b)상기 각 추출물을 원심분리한 후, 여액을 농축, 건조하여 계피, 구기자, 대두, 갈근 및 회향 각각의 분말을 얻는 단계; (c) 상기(b)에서 얻은 계피, 구기자 및 갈근 분말에 물을 혼합한 후 가열하는 단계; (d) (c) 단계에서 얻은 용액에 상기(b)에서 얻은 대두 및 회향 분말을 더 추가하고 가열하여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e) 상기(d)에서 얻은 추출물을 농축, 건조하여 혼합 분말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 완화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c) 단계에서, 제한되지는 않으나 계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구기자 150-200 중량부 및 갈근 350-450 중량부의 배합비로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d) 단계에서, 제한되지는 않으나 상기(c) 단계의 계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대두 200-250 중량부 및 회향 50-100 중량부의 배합비로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a)단계에서, 제한되지는 않으나 70-90℃의 열수를 사용하여 1 내지 10시간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c)단계에서, 제한되지는 않으나 70-90℃의 열수를 사용하여 1 내지 10시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혼합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경구적으로 섭취하며, 섭취하기 용이하도록 혼합 생약추출물의 유효량에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통상적인 희석제, 활탁제, 결합제, 붕해제, 감미제, 안정제,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의 첨가제 중1 이상을 선택하여, 통상적인 약제학적 제형 즉 액제, 현탁제, 캡슐제, 정제, 껌, 환제, 과립제, 산제, 정제의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갱년기 증상의 개선이 기대되는 생약 추출물의 유효량은 성인(60kg 체중)에 대해 1일 0.5g 내지 4.0g이고 바람직하게는 1일 1.5g 내지 3.0g 이며 각종 기능성 식품에 첨가되는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은 총 중량의 5 내지 45 중량%가 적당하며 바람직하기로는 총 중량의 20 내지 35 중량%가 좋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혼합 생약 추출물의 제조
1)계피, 구기자, 갈근, 대두 및 회향의 생약 분말 제조
계피 1000g, 구기자 1000g, 갈근 1000g, 대두 1000g 및 회향 1000g에 각 중량의 10배량의 정제수를 각각 가하고 80℃에서 6시간 가열하여 추출하였다.
이후, 상온에서 5000 rpm으로 20분간 원심분리 하고, 60℃에서 감압 농축하여 수분함량이 40%인 각각의 엑기스를 제조하였다.
각각의 엑기스에 30 ℃물을 가하여 용해시킨 후 분무건조기에 투입하여 건조하였다.
이 때 분무건조기의 내부온도는 185 ℃, 외부온도는 95 ℃가 되도록 하였고, 100 mesh의 필터에 통과시켜 통과 비율이 95% 이상인 분말을 선별하여 각각의 생약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로부터 계피(35.4g, 3.54%), 구기자(246.9g, 24.6%), 갈근(133g, 13.3%), 대두(200g, 20.0%), 회향(82.9g, 8.29%)을 수득하였다.
2)혼합 생약 제조
상기1)에서 제조된 각각의 생약 분말 중 계피(100 mg), 구기자(150 mg) 및 갈근(400 mg)을 계량하여 혼합하고, 혼합된 총 중량에 10 배량의 정제수를 가하고 80 ℃에서 2시간 가열하였다. 이후 상기 1)에서 제조된 대두(250 mg) 및 회향(100 mg)을 더 첨가하고 80 ℃에서 6시간 가열하여 추출하였다.
이후, 상기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60 ℃에서 감압 농축하여 수분함량이 40%인 엑기스를 제조하고, 30 ℃ 물을 가하여 용해시킨 후 분무건조기에 투입하여 건조하는 과정을 통해 혼합 생약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계피 생약 분말의 제조를 위해 실시예 1의 1)단계 공정에서 식물로 계피만을 사용하고 2) 혼합 생약 제조에서 계피 100 mg을 계량하여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계피 1000g에 중량의 10배량의 정제수를 가하고 80 ℃에서 6시간 가열하여 추출하였다.
이후, 상온에서 5000 rpm으로 20분간 원심분리 하고, 60 ℃에서 감압 농축하여 수분함량이 40%인 엑기스를 제조하였다.
상기 엑기스에 30 ℃물을 가하여 용해시킨 후 분무건조기에 투입하여 건조하였다.
이 때 분무건조기의 내부온도는 185 ℃, 외부온도는 95 ℃가 되도록 하였고, 100 mesh의 필터에 통과시켜 통과 비율이 95% 이상인 분말을 선별하여 계피 생약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계피 생약 분말의 제조를 위해 실시예 1의 1)단계 공정에서 식물로 계피만을 사용하고 2)단계 공정에서 계피 1000 mg을 계량하여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3]
비교예 1에서 계피 대신 구기자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하게 하여 구기자 생약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비교예 2에서 계피 대신 구기자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하게 하여 구기자 생약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비교예 1에서 계피 대신 대두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하게 하여 대두 생약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비교예 2에서 계피 대신 대두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하게 하여 대두 생약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7]
비교예 1에서 계피 대신 갈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하게 하여 갈근 생약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8]
비교예 2에서 계피 대신 갈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하게 하여 갈근 생약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9]
비교예 1에서 계피 대신 회향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하게 하여 회향 생약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0]
비교예 1에서 계피 대신 회향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하게 하여 회향 생약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1]
상기 실시예 1의 2) 혼합 생약 제조에서 계피(100 mg), 구기자(100 mg) 및 갈근(450 mg) 을 계량하여 처리하고, 대두(250 mg) 및 회향(100 mg) 을 더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12]
상기 실시예 1의 2) 혼합 생약 제조에서 계피(100 mg), 구기자(200 mg) 및 갈근(450 mg) 을 계량하여 처리하고, 대두(150 mg) 및 회향(100 mg) 을 더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13]
상기 실시예 1의 2) 혼합 생약 제조에서 계피(100 mg), 구기자(200 mg) 및 갈근(300 mg) 을 계량하여 처리하고, 대두(250 mg) 및 회향(150 mg) 을 더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14]
상기 실시예 1의 2) 혼합 생약 제조에서 계피(100 mg), 구기자(150 mg) 및 갈근(350 mg) 을 계량하여 처리하고, 대두(300 mg) 및 회향(100 mg) 을 더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15]
비교예 1에서 식물 소재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대신 증류수를 최종 생약 분말 대신 사용하였다.
[시험예 1] 혈액 중의 17β-estradiol 농도 측정
생후 51주된 흰쥐(Sprague Dawley, DBL, 한국) 128 마리를 16개의 군으로 나누고,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15의 생약 분말 또는 증류수를 생쥐 무게에 따라 20 mg/kg(개체무게)의 비율로 1일 3회씩 3일간 물에 섞어 경구 투여하였다.
경구 투여하기 전과 3일 경과 후 각 군의 모든 쥐에 대하여 혈액 샘플을 채취하고, 혈액 중의 17β-estradiol 농도를 아래의 방법을 통해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계산하였다.
투여 시작 8주 후 각 군의 흰쥐를 부검하기 전 하룻밤 절식 후 후대 정맥에서 채혈하여 이를 15 분간 실온에서 정치하여 응고시킨 후 3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혈청은-70 ℃로 보관하였다가 1470 Wizard γ Counter(Perkin Elmer Life Science)를 사용하여 검사하였다. 흰쥐의 혈중 에스트로겐 17β-estradiol 농도는 EIA (enzyme immunoassay) 키트(DSL,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 결과를 표 1에 도시하였다.
[표 1]
Figure 112016070192617-pat00001
상기 결과로부터, 본원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미성숙한 쥐와 성숙한 쥐에 모두 투여한 결과, 두 종류의 쥐 실험군 모두에게서 17β-estradiol 농도가 대조군에 비하여 최소 80% 내지 450% 정도 증가하는 놀라운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특히 6개월 된 성숙한 암컷 흰쥐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투여하였을 때 17β-estradiol 농도가 예측하기 어려운 정도로 투여 전에 비해 8배의 농도까지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대조군에 비해 2.5-4.5배 정도 증가한 것으로, 이는 생약 혼합 분말의 상승 효과(synergy effect)로 볼 수 있으며, 특히 성숙한 암컷에 대한 효과가 큰 것으로부터, 갱년기 증상에 대한 완화 또는 개선 효과가 현저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관능 평가에 따른 갱년기 증상 완화 효과 평가
본 발명의 혼합 생약 분말의 갱년기 증상 완화 또는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갱년기 증상을 나타내는 45세 전후의 여성 40명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혼합 생약 분말 1.5 g에 유당 1.5 g, 꿀 1.5 g 및 글리세린 0.3 g를 혼합하여 환제 형태로 제형화하여 분배하고, 1일 2회(2정씩/매회) 1달 동안 아침 및 저녁 식사 후에 복용하도록 하여 주요 갱년기 증상인 ㉠열성홍조 ㉡우울함 ㉢수면장애 ㉣관절통증 ㉤피로함의 5가지 항목에 대하여 각각의 개선여부를 3점 만점으로 계산(효과 없음 0점, 효과 약간 있음 1점, 효과 있음 2점, 효과 높음 3점)하여 각각 10일, 20일 및 30일 경과시 마다 효과를 평가하여 평균치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표 2]
Figure 112016070192617-pat00002
상기로부터, 혼합 생약 분말을 한 달간 복용하도록 하였을 때, 대부분의 갱년기 증상이 현저히 완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우울함 증상의 경우, 복용 10일후부터 빠른 개선 효과가 나타나 한달 경과 시 다른 증상 대비 현저한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형예 1] 환제
실시예 1의 혼합 생약 분말 1.5 g
유당 1.5 g
꿀 1.5 g
글리세린 0.3 g
상기 함량 및 조성비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통하여 환제형 기능성 식품으로 제조하였다.
[제형예 2] 정제
실시예 1의 혼합 생약 분말 100 mg
옥수수 전분 100 mg
꿀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 함량 및 조성비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통하여 정제형 기능성 식품으로 제조하였다.
[제형예 3] 산제
실시예 1의 혼합 생약 분말 100 mg
유당 100 mg
탈 10 mg
상기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형 기능성 식품으로 제조하였다.
[제형예 4] 캡슐제
실시예 1의 혼합 생약 분말 100 mg
옥수수 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통상의 캡슐 제조 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진하여 캡슐제형 기능성 식품으로 제조하였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a) 계피, 구기자, 대두, 갈근 및 회향 각각을 물로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단계;
    (b) 상기 각 추출물을 원심분리한 후, 여액을 농축, 건조하여 계피, 구기자, 대두, 갈근 및 회향 각각의 분말을 얻는 단계;
    (c) 상기 (b)에서 얻은 계피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구기자 분말 150-200 중량부 및 갈근 분말 350-450 중량부의 배합비로 혼합하고, 물을 혼합한 후 가열하는 단계;
    (d) (c) 단계에서 얻은 용액에 상기(c) 단계의 계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b)에서 얻은 대두 분말 200-250 중량부 및 회향 분말 50-100 중량부의 배합비로 더 추가하고 가열하여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e) 상기 (d)에서 얻은 추출물을 농축, 건조하여 혼합 분말을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 완화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갱년기 증상은 열성홍조(hot flash), 우울증(depression), 조울증상(mood swings), 수면장애(sleeping disorder), 질건조증(vaginal dryness) 및 관절통증(joint pa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70-90℃의 열수를 사용하여 1 내지 10시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70-90℃의 열수를 사용하여 1 내지 10시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8. 제3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갱년기 증상 완화용 기능성 식품.
KR1020160091736A 2016-07-20 2016-07-20 갱년기 증상 완화용 조성물 KR101822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736A KR101822834B1 (ko) 2016-07-20 2016-07-20 갱년기 증상 완화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736A KR101822834B1 (ko) 2016-07-20 2016-07-20 갱년기 증상 완화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2834B1 true KR101822834B1 (ko) 2018-01-29

Family

ID=61028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1736A KR101822834B1 (ko) 2016-07-20 2016-07-20 갱년기 증상 완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28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2831A (ko) * 2018-01-31 2019-08-08 주식회사 노브메타파마 호장근과 계심을 함유하는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GB2623163A (en) * 2022-08-08 2024-04-10 Huntgreenliving Llc Dba Nnabi Oral composition for perimenopaus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8450A (ja) * 2004-04-15 2005-10-27 Taisho Pharmaceut Co Ltd 更年期症候群の予防又は治療剤組成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8450A (ja) * 2004-04-15 2005-10-27 Taisho Pharmaceut Co Ltd 更年期症候群の予防又は治療剤組成物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약이야기, 구기자-갱년기 증상 개선에 number one. 네이버 블로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2831A (ko) * 2018-01-31 2019-08-08 주식회사 노브메타파마 호장근과 계심을 함유하는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049440B1 (ko) 2018-01-31 2019-11-27 한약진흥재단 호장근과 계심을 함유하는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GB2623163A (en) * 2022-08-08 2024-04-10 Huntgreenliving Llc Dba Nnabi Oral composition for perimenopau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7432B1 (ko) 녹용 발효물과 효모 가수분해물을 함유한 생리불순 및 생리통 개선 한약 조성물 제조 방법
KR100968109B1 (ko) 칼슘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한 천연 원료의 숙취 해소용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93531B1 (ko) 백출, 상심자, 구기자, 용안육, 우슬, 두충 및 천문동의 조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증후군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US20110027305A1 (en)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Herbal Combination Thereof for Preventing and Treating Diabetes Mellitus
KR101855821B1 (ko)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 및 혈액순환 증진을 위한 건강식품 조성물
KR101563577B1 (ko) 갱년기 여성의 에스트로겐 저하증의 개선 및 예방용 기능성 조성물
JP2002534354A (ja) 薬草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製造するii型真性糖尿病に対する薬剤
KR101751211B1 (ko) 남성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성기능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22834B1 (ko) 갱년기 증상 완화용 조성물
KR100891914B1 (ko) 식물생약제 조성물의 추출액으로된 다이어트용 기능성식품의 제법
KR101841387B1 (ko) 뜰보리수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KR100831621B1 (ko) 혈당 강하용 식품 조성물
EP1583547B1 (en) Anti-obesity ingredients from medicinal plants and their composition
KR101600751B1 (ko) 녹용을 함유하는 여성 불임증 치료용 한약 조성물 제조 방법
KR100486365B1 (ko) 여성 갱년기 증후군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0673266B1 (ko) 성장촉진제
KR101910898B1 (ko) 새콩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당뇨 합병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0850503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성기능 개선용조성물
KR20020004686A (ko) 비만조절용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CN103623109B (zh) 一种治疗缺血性脑血管病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040010176A (ko) 여성 갱년기 증상의 개선 기능을 갖는 생약조성물을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KR100522176B1 (ko) 남성 성기능 개선 조성물
CN112869160A (zh) 一种含叶酸的祛斑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70024689A (ko) 한방재를 이용한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식품조성물
KR100545407B1 (ko) 고지혈증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