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6365B1 - 여성 갱년기 증후군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여성 갱년기 증후군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6365B1
KR100486365B1 KR10-2001-0056446A KR20010056446A KR100486365B1 KR 100486365 B1 KR100486365 B1 KR 100486365B1 KR 20010056446 A KR20010056446 A KR 20010056446A KR 100486365 B1 KR100486365 B1 KR 100486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vitamin
weight
peon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6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3297A (ko
Inventor
김선영
김완기
이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평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to KR10-2001-0056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6365B1/ko
Publication of KR20030023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3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6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6365B1/ko

Links

Landscapes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성갱년기 증후군 개선효과를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활성성분으로 이소플라본을 함유한 대두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여 부작용이 없으면서 여성 갱년기 증후군에 대한 개선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여성 갱년기 증후군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Composition having improvement effect of the menopausal disorders}
본 발명은 여성갱년기 증후군 개선효과를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활성성분으로 이소플라본을 함유한 대두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여 부작용이 없으면서 여성 갱년기 증후군에 대한 개선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40~50대 여성의 갱년기 증후군은 난소의 노화로 인한 에스트로겐 즉, 여성호르몬의 분비 감소에 기인하며 폐경을 전후로 약 2~10년에 걸쳐 나타나는 것으로, 증상으로는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증상이 있다.
(1) 혈관성 변화에 의한 증상: 안면홍조, 빈맥, 발한, 두통
(2) 근골격계 변화에 의한 증상: 근육통, 관절통, 요통
(3) 비뇨생식기 변화에 의한 증상: 빈뇨, 뇨실금
(4) 뇌신경계 변화에 의한 증상: 기억력 감퇴, 우울증, 집중력 감퇴, 현기증
(5) 일반적 변화에 의한 증상: 시력 감퇴, 피부 및 모발의 변화
위의 증상들은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폐경 전후 여성의 약 80%가 경험하고 있다고 한다. 무엇보다도 주목할 만한 사실은 갱년기를 거치면서 여성의 생명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화가 장기간에 걸쳐 발생하는데 그것은 골다공증과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 위험성 증가이다. 이러한 갱년기 증상들을 고려해 볼 때 갱년기 증후군이 중년 여성들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 및 삶의 질적인 면에서 지대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종래 이러한 갱년기 장애 치료를 위하여, 호르몬 대체요법, 비스테로이드계 제제 및 골다공증 치료를 위한 약물 치료법 등이 개발되었고, 이중에서 지금까지 가장 효과적으로 알려진 방법은 호르몬 대체요법이다.
그러나, 끊임없이 제기되는 암 발생에 관한 논쟁, 두통, 체중 증가 등의 부작용과 인위적인 호르몬 투여에 대한 반감 및 월경 재개 등으로 많은 국내 여성들이 호르몬 요법에 대해 거부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해 볼 때 치료의 필요성은 느끼나 통원 치료나 투약에는 소극적인 여성의 수는 상당할 것으로 추측된다. 98년 기준, 우리나라 여성의 평균수명이 78세임을 고려해 볼 때 약 생애의 1/3 이상이 폐경후의 삶이며 대략 4백 50만 여성이 폐경기 여성이다.
따라서, 일반 갱년기 여성들을 대상으로 하는 갱년기 증상 개선목적의 안전하고 복용이 편리한 갱년기 치료용 성분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갱년기 증후군 치료에 높은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을 찾고자 연구를 거듭한 결과, 이소플라본을 함유하는 대두 추출물과 홍삼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복용하는 경우 부작용 없이 갱년기 증후군에 대하여 탁월한 개선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조성물에 당귀·작약·감초 추출물 또는 비타민을 더 첨가시킨 경우 갱년기 증후군에 대한 개선효과가 더욱 상승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작용이 없으면서 여성 갱년기 증상에 대한 개선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이소플라본을 함유하는 대두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활성성분으로 이소플라본을 10~70% 함유하는 대두 추출물 10~80중량부와 사포닌을 50~150㎎ 함유하는 홍삼 추출물 5~80중량부를 함유하며, 대두추출물 및 홍삼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당귀ㆍ작약ㆍ감초 추출물 10~50중량부 또는 비타민 1~20중량부를 더 함유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갱년기 증상을 완화하기 위하여, 활성성분으로 이소플라본을 함유하는 대두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으로, 이하에서 각각의 활성성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대두 추출물은 이소플라본 함량이 10~70% 함유되도록 개발되어 건강보조식품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소재이다. 대두의 이소플라본 유도체들은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구조와 효능을 가져 식물성 에스트로겐(phytoestrogens)으로 알려져 있으며, 안면홍조를 비롯한 여성갱년기 증후군 개선효과(Albertazzi et al., Obstet Gynecol 91 (1): 6-11,1998, Anderson et al., Public Health Nutr 2(4): 489-504, 1999), 골다공증 개선효과(Scheiber et al., Menopause 6 (3): 233-241, 1999), 콜레스테롤치 저하 효과(Potter et al., Am J Clin Nutr 68(6 suppl): 1375S-1379S, 1998), 항암작용(Messina et al., Nutr Cancer 21(2): 113-131, 1994)등 여러 가지 다양한 생리학적 활성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러한 이소플라본 유도체의 함량이 10~70%인 대두 추출물을 분말 형태로 10~80중량부의 양으로 함유한다.
홍삼(Red Ginseng)은 수삼을 장기간 저장할 목적으로 껍질을 벗기지 않은 채, 증기로 쪄서 인삼의 전분을 호화시켜 건조한 담황갈색 또는 담적갈색의 인삼으로, 항암, 항당뇨, 항스트레스, 노화억제, 뇌기능 강화, 간기능 보호, 위장기능강화, 빈혈회복 효과, 피로 회복, 혈액순환 개선, 면역기능 증진, 소염 작용 등이 알려져 있는데(김낙두 외, 고려인삼학회지 20 (4) 416-430, 1996, 정노팔 외, 고려인삼학회지 20(4) 431-471, 1996),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러한 홍삼에 20~80%의 에탄올을 부가하여 추출 여과한 것을 감압 농축한 홍삼 추출물을 함유한다. 이때, 홍삼추출물은 사포닌 함량이 50~150㎎/g인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홍삼 추출물의 사용량은 5~80중량부이다.
한편,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보혈강장, 진통 작용을 목적으로 부인과질환(냉증, 빈혈, 혈행 장애, 정신증상 등)에 주로 쓰이는 약재로, 서양에서는 갱년기 장애, 특히 안면홍조 개선제로 단독 사용하기도 하는 생약재인 당귀; 진정 작용, 진통작용, 진경 작용, 해열 작용, 항염증 작용, 항궤양 작용, 혈압낮춤 작용, 관상혈관 확장 작용을 나타내는 생약재인 작약; 및 항염증 작용, 항궤양 작용, 항알러지 작용, 항바이러스 작용 등이 알려져 있고, 그것의 주성분인 글라이시리진이 간장에서 스테로이드 대사에 영향을 미쳐 혈중 테스토스테론치를 낮추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생약재인 감초를 0.5~1.5:0.5~1.5:0.5~1.5의 비율로 혼합한 후, 열수 추출, 여과, 감압 농축, 건조하여 제조한 당귀·작약·감초 추출물을 더 함유하여 더욱 상승된 갱년기 증상 개선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이 조성물에서 당귀·작약·감초 추출물은 상기 대두추출물 및 홍삼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50중량부의 양으로, 바람직하게는 10~30중량부의 양으로 함유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타민을 상기 대두추출물 및 홍삼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20중량부의 양으로 더 함유하여 상승된 갱년기 증상 개선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비타민으로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5, 비타민 C 및 비타민 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다. 여기서 사용된 비타민 B1은 정상적인 식욕과 신경계의 작용에 관여하며, 모든 세포내 작용과 에너지 대사에 필수적 효소인 티아민 파이로포스페이트의 성분으로 정상적인 성장 및 발달, 생식, 건강한 피부와 모발, 혈액생성, 면역작용에 필수이며, 기억력을 비롯한 대뇌활동에 관여하는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의 생성에 필요한 물질로 알려져 있다.
비타민 B2는 체내 에너지 대사와 세포 호흡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조효소 FAD와 FMN의 구성성분으로 정상적인 생식, 성장과 피부, 모발을 포함하는 체세포의 발달에 필수이며 신경발달과 대뇌 신경전달물질의 대사에 필요한 물질로 알려져 있다.
비타민 B5는 섭취한 음식으로부터 에너지를 생성하는데 필수이며 지방과 탄수화물의 대사에 필요한 조효소(coenzyme) A의 생성에 관여하고, 또한 세포막 형성 및 아세틸콜린과 같은 신경전달물질의 생성에 필요하므로 정상적인 신경계 작용을 위해서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비타민 C는 수용성 항산화제로서 발암물질인 니트로사민(nitrosamine)의 생성을 억제하며, 정상적인 뼈, 치아, 콜라겐, 혈관 생성에 필수적이고, 항체 생성과 백혈구 기능 등 면역력을 증강시키며, 철의 흡수를 증가시키고 적혈구의 생성에 관여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비타민 E는 지용성 항산화제로 세포막을 보호하고, 지단백질, 지질, 비타민 A 등이 산화되는 것을 막아주는데, 비타민 E를 많이 섭취하면 심장질환, 암 발생이 적은것으로 역학조사되었으며, 노화로 인한 기억력 상실에도 효과적인 물질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한 성분들 이외에 당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적의하게 선정한 후, 정제, 캡슐제, 연질캡슐제, 환제, 과립제, 드링크제 등으로 제형화하여 건강식품, 의약품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대두 추출물
한국 공개특허 제 1990-13878호와 한국 공개특허 제 2001-27341호를 참조로하여 제조하였다. 즉, 대두 10㎏에 물 30ℓ를 가한 후, 상온에서 침지하고, 믹서로 분쇄한 다음, 200메쉬 여과망으로 여과하여 대두유액을 얻었다. 이것을 93~95℃에서 30분간 가열한 다음, 85℃로 냉각하여 글루코노델타락톤, 염화마그네슘 및 황산칼슘을 첨가하여 단백질을 응고 침전시키고 상등액을 분리하였다. 상등액에 퍼라이트를 5% 첨가하여 여과하고, 이 여액을 RO Membrane(De Danske Sukkerfabrikker 회사의 CA865PP)을 이용하여 온도 5∼30℃의 조건으로 통과시켜 단백질 응고 침전에 사용된 염화마그네슘 등의 무기염류 및 단당류들을 제거하여 200㎖의 정제된 농축액을 얻었다. 이를 동결건조하여 약 30%의 이소플라본을 함유하고 있는 대두 추출물을 얻었다.
<참고예 2> 홍삼 추출물
6년근 원료수삼을 증삼가온시켜 제조한 홍삼 1kg을 60메쉬로 균일하게 분쇄한 후, 5배의 70% 주정을 가하여 70℃에서 5시간동안 감압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여과포로 여과한 후 여액을 원심분리시켜 침전물을 제거시킨 다음, 상징액을 50~60℃에서 감압농축하여 약 300g의 추출액을 얻었다. 이것을 홍삼 추출물로 사용하였다. 주정의 농도와 추출방법에 따라 홍삼추출물의 사포닌 함량이 달라지는데 본 발명에서는 사포닌 함량이 70mg/g에 이르는 홍삼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참고예 3> 당귀·작약·감초 추출물
당귀, 작약, 감초 각각 1㎏을 혼합한 후, 물 24㎏을 가한 다음, 환류냉각기를 달고 3시간 동안 가열 추출하였다. 실온에서 자연 냉각시키고, 여과하여, 상층액을 모은 다음, 40~50℃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건조하여 약 1㎏의 분말을 얻었으며, 이를 당귀·작약·감초 추출물로 사용하였다.
<비교 참고예 1> 당귀 추출물
당귀 1㎏에 물 8㎏을 가한 다음, 환류냉각기를 달고 3시간 동안 가열 추출하였다. 실온에서 자연 냉각시키고, 여과하여, 상층액을 모은 다음, 40~50℃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건조하여 약 300g의 분말을 얻었으며, 이를 당귀추출물로 사용하였다.
<비교 참고예 2> 작약 추출물
작약 1㎏에 물 8㎏을 가한 다음, 환류냉각기를 달고 3시간 동안 가열 추출하였다. 실온에서 자연 냉각시키고, 여과하여, 상층액을 모은 다음, 40~50℃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건조하여 약 300g의 분말을 얻었으며, 이를 작약추출물로 사용하였다.
<비교 참고예 3> 감초 추출물
감초 1㎏에 물 8㎏을 가한 다음, 환류냉각기를 달고 3시간 동안 가열 추출하였다. 실온에서 자연 냉각시키고, 여과하여, 상층액을 모은 다음, 40~50℃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건조하여 약 300g의 분말을 얻었으며, 이를 감초추출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1~7 및 비교예 1~4> 연질캅셀
상기 참고예 1~3 및 비교 참고예 1~3에서 제조한 대두 추출물, 홍삼 추출물, 당귀·작약·감초 추출물, 당귀 추출물, 작약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과 비타민을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1캡슐당 400㎎씩 충진하여 연질캅셀을 제조하였다.
대두추출물 홍삼추출물 생약재추출물* 당귀추출물 작약추출물 감초추출물 인삼추출물 비타민 대두유 팜유 팜경화유 황납 레시틴
B1 B2 B5 C E
비교예 1 200 - - - - - - - - - - - 180 2 8 4 6
2 - 200 - - - - - - - - - - 180 2 8 4 6
3 100 - - - - 100 - - - - - 180 2 8 4 6
4 140 - - 20 20 20 - - - - - - 180 2 8 4 6
실시예 1 120 80 - - - - - - - - - - 180 2 8 4 6
2 100 40 60 - - - - - - - - 180 2 8 4 6
3 100 60 - - - - - 5 5 10 10 10 180 2 8 4 6
4 40 20 24 - - - - 2 2 4 4 4 260 12 10 8 10
5 40 20 24 - - - - - - - 10 10 260 12 10 8 10
6 40 20 25 - - - - 5 5 5 - - 260 12 10 8 10
7 40 20 30 - - - - 12 - - - - 260 12 10 8 10
*: 생약재 추출물은 참고예 3의 당귀·작약·감초 추출물을 의미함.
<실험예 1>
폐경을 전후로 갱년기 증후군 증상을 보이는 평균연령 50세의 여성 60명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다섯군으로 나누어 비교예 1~4 및 실시예 1~7의 연질캅셀을 1회 2캅셀, 1일 2회씩, 4주간 복용하고, 주요갱년기 증상인 안면홍조, 어깨결림, 피로도, 피부건조, 우울함의 각 항목의 개선여부를 5점 척도(0점은 효과가 없음을, 5점은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로 표시하여 평균수치를 구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갱년기 증상 지수(한달 후) 갱년기 증상 지수(두달 후)
비교예 1 2.0 2.2
비교예 2 1.8 2.1
비교예 3 1.7 1.6
비교예 4 2.3 2.5
실시예 1 2.8 3.0
실시예 2 3.5 3.6
실시예 3 3.2 3.1
실시예 4 3.8 4.2
실시예 5 3.6 3.9
실시예 6 3.7 3.8
실시예 7 3.6 3.9
상기 표 2로부터, 대두와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1의 조성물이 대두 추출물만을 함유하는 비교예 1, 홍삼 추출물만을 함유하는 비교예 2 및 대두 추출물과 인삼추출물을 함유하는 비교예 3의 조성물보다 갱년기 증상 완화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본 발명의 조성물이 에스트로겐의 분비능이 저하되는 폐경후 여성들에게서의 에스트로겐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미성숙 흰쥐를 동물모델로 선정하여 실험하였다. 생후 21일된 미성숙 Sprague-Dawley 암컷 흰쥐를 군당 6마리로 나누어 비교예 1~4 및 실시예 1~7의 조성물을 쥐무게에 비례하여(200㎎/㎏ body wt) 3일간 경구 투여한 후 EIA (Enzyme Immuno Assay)를 이용하여 혈액중 17β-에스트라디올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17β-에스트라디올의 농도(pg/㎖)
대조군 113.42
비교예 1 163.21
비교예 2 120.31
비교예 3 150.41
비교예 4 158.58
실시예 1 198.45
실시예 2 200.47
실시예 3 183.25
실시예 4 247.30
실시예 5 230.89
실시예 6 225.41
실시예 7 231.45
상기 표 3으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라디올의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에스트라디올의 분비 감소에 기인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8> 정제
대두 추출물 100㎎, 홍삼 추출물 40㎎, 당귀·작약·감초 추출물 50㎎, 비타민 B1 2㎎, 비타민 B2 2㎎, 비타민 B5 2㎎, 비타민 C 2mg, 비타민 E 2㎎, 포도당 200㎎, 전분 196㎎,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4㎎을 혼합하고 30% 에탄올을 40mg을 첨가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섭씨 60℃에서 건조하고, 타정기를 이용하여 정제로 타정하였다. 내용물의 최종중량은 400㎎으로 한다.
<실시예 9> 과립제
대두 추출물 100㎎, 홍삼 추출물 40㎎, 당귀·작약·감초 추출물 50㎎, 비타민 B1 2㎎, 비타민 B2 2㎎, 비타민 B5 2㎎, 비타민 C 2mg, 비타민 E 2㎎, 포도당 400㎎, 전분 400㎎을 혼합하고 30% 에탄올을 100mg을 첨가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내용물의 최종중량은 1g으로 한다.
<실시예 10> 드링크제
대두 추출물 100㎎, 홍삼 추출물 40㎎, 당귀·작약·감초 추출물 50㎎, 비타민 B1 2㎎, 비타민 B2 2㎎, 비타민 B5 2㎎, 비타민 C 2mg, 비타민 E 2㎎, 포도당 10g, 구연산 2g, 정제수 188g을 혼합하고 병에 충진하였다. 내용물의 최종중량은 200㎖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성 갱년기 증후군에 대한 개선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로, 이를 정제, 캡슐제, 환제, 과립제, 드링크제 등으로제형화하여 건강 식품, 의약품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5)

  1.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활성성분으로 이소플라본을 10~70% 함유하는 대두 추출물 10~80중량부와 사포닌을 50~150㎎ 함유하는 홍삼 추출물 5~80중량부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상기 대두추출물 및 홍삼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당귀ㆍ작약ㆍ감초 추출물 10~50중량부 및 비타민 1~20중량부를 함유하는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조성물로서,
    상기 당귀ㆍ작약ㆍ감초 추출물은 당귀, 작약 및 감초를 0.5~1.5:0.5~1.5:0.5~1.5의 비율로 혼합한 후, 열수 추출한 추출물이고,
    상기 비타민은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5, 비타민 C 및 비타민 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제형이 정제, 캡슐제, 연질캡슐제, 환제, 과립제 또는 드링크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조성물.
KR10-2001-0056446A 2001-09-13 2001-09-13 여성 갱년기 증후군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0486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6446A KR100486365B1 (ko) 2001-09-13 2001-09-13 여성 갱년기 증후군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6446A KR100486365B1 (ko) 2001-09-13 2001-09-13 여성 갱년기 증후군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3297A KR20030023297A (ko) 2003-03-19
KR100486365B1 true KR100486365B1 (ko) 2005-04-29

Family

ID=27723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6446A KR100486365B1 (ko) 2001-09-13 2001-09-13 여성 갱년기 증후군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63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566B1 (ko) 2011-08-11 2013-01-23 유상기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WO2017057915A1 (ko) * 2015-09-30 2017-04-06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단풍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2986A (ko) * 2002-05-31 2003-12-06 강상모 아이소플라본의 부작용을 제거 또는 완화하는 조성물
KR102634766B1 (ko) 2015-09-30 2024-02-08 (주)아모레퍼시픽 단풍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조성물
CN105343640A (zh) * 2015-12-11 2016-02-24 董娟 用于治疗更年期综合征的中药组合物
CN108653608A (zh) * 2018-07-20 2018-10-16 毕文卿 一种治疗围绝经期综合征的腹灸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2022011234A (ja) * 2020-06-30 2022-01-17 小林製薬株式会社 女性ホルモン様活性増強剤
JP2022011235A (ja) * 2020-06-30 2022-01-17 小林製薬株式会社 就寝時の自律神経調整剤
KR102643687B1 (ko) 2020-11-20 2024-03-0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토끼풀 추출물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여 혈액순환을 증진하고 이명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9459A (en) * 1995-02-15 1996-10-29 Bio-Virus Research Incorporate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he management of premenstrual syndrome and alleviation of menopausal disorders
WO1999009999A1 (en) * 1997-08-28 1999-03-04 University Of Washington Specific saccharid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and other amyloidoses
JP2002080474A (ja) * 2000-09-04 2002-03-19 Honen Corp 風味の良好な高純度大豆イソフラボンおよびそれを用いた食品
JP6448237B2 (ja) * 2014-07-10 2019-01-09 矢崎総業株式会社 筐体防水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9459A (en) * 1995-02-15 1996-10-29 Bio-Virus Research Incorporate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he management of premenstrual syndrome and alleviation of menopausal disorders
WO1999009999A1 (en) * 1997-08-28 1999-03-04 University Of Washington Specific saccharid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and other amyloidoses
JP2002080474A (ja) * 2000-09-04 2002-03-19 Honen Corp 風味の良好な高純度大豆イソフラボンおよびそれを用いた食品
JP6448237B2 (ja) * 2014-07-10 2019-01-09 矢崎総業株式会社 筐体防水構造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MUZZ.CO.KR/INSAMHONGSAM.HWP,1996년 중앙일보 기사발췌부 *
Proceeding of ''97 Korean-Japan Ginseng Symposium, p. 108-20 (1997 *
대한폐경학회, 18호, 2001년 여름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566B1 (ko) 2011-08-11 2013-01-23 유상기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WO2017057915A1 (ko) * 2015-09-30 2017-04-06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단풍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3297A (ko) 2003-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11561B (zh) 黄连温胆汤现代中药口服制剂及其生产方法
CN104799146A (zh) 一种改善亚健康的功能性营养食品组合及其制备方法
KR100980819B1 (ko)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CN102048224B (zh) 一种祛黄褐斑美容养颜红枣保健饮料及其生产工艺
US20180092956A1 (en) Composition for amelioration of peri- and post- menopausal symptoms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CN105695258A (zh) 一种含荔枝核皂苷的女性保健酒
JP5023253B2 (ja) 疲労感、倦怠感の予防及び治療用組成物
KR100486365B1 (ko) 여성 갱년기 증후군 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CN105031517A (zh) 一种降三高的铁皮石斛保健茶及其制备方法
CN113768004A (zh) 一种含陈皮的白茶调味茶及其制备方法
CN1109554C (zh) 一种治疗过敏性紫癜病的药
MXPA06007498A (es) Composicion que comprende un extracto acuoso de hojas de vid roja y un agente que mejora la circulacion sanguinea para el tratamiento de insuficiencias venosas cronicas.
KR100601390B1 (ko) 혼합 생약재를 이용한 비만 억제용 조성물
CN107998240A (zh) 一种提神醒脑缓解疲劳清咽保健含片的配方及其制备方法
CN111135235A (zh) 一种预防和缓解急性酒精中毒或醉酒的组合物
KR100419121B1 (ko) 여성 갱년기 증상의 개선 기능을 갖는 생약조성물을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KR101822834B1 (ko) 갱년기 증상 완화용 조성물
KR100679290B1 (ko) Hgd­sj­201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511364B1 (ko) 복합 생약재를 이용한 비만 및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CN110959721A (zh) 一种食凉茶固体饮料
CN109289017A (zh) 用于清理血管和血液的组合物及制备方法
CN103110675A (zh) 改善营养性贫血软胶囊及其制备方法
KR102338119B1 (ko) 식물성 천연 복합성분 조성물
KR20110119292A (ko) 광천수를 이용하여 추출한 민들레 추출물을 함유하는 차 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민들레 추출물을 함유하는 차 음료
CN110897093A (zh) 一种具有改善卵巢功能的组合物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