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1387B1 - 뜰보리수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뜰보리수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1387B1
KR101841387B1 KR1020170044267A KR20170044267A KR101841387B1 KR 101841387 B1 KR101841387 B1 KR 101841387B1 KR 1020170044267 A KR1020170044267 A KR 1020170044267A KR 20170044267 A KR20170044267 A KR 20170044267A KR 101841387 B1 KR101841387 B1 KR 101841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revent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le menopausal
amelio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4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철웅
정명아
오교녀
강후원
이규옥
김영욱
배동혁
반상오
김재용
박성윤
임소정
오둘리
김유진
홍지애
최은진
조아라
최학준
성락선
이현미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Priority to KR1020170044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1387B1/ko
Priority to PCT/KR2017/015199 priority patent/WO201818655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1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1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뜰보리수나무(Elaeagnus multiflora Thunb.)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뜰보리수 추출물은 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부터 가용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 갱년기 질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우리나라 천연자원인 뜰보리수나무를 자원으로 이용하고,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독성이나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뜰보리수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A composition comprising the complex extract of Elaeagnus multiflora Thunb. for preventing or treating Andropause Symptoms}
본 발명은 뜰보리수나무 (Elaeagnus multiflora Thunb.)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체내 테스토스테론의 분비를 증가시켜 남성 갱년기 장애 개선 또는 남성갱년기 질환에 대한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갱년기란 성 호르몬의 감소로 여러 증상이 나타나는 기간을 의미한다. 폐경기가 도래한 여성은 여성 호르몬이 급격히 감소하면서 여러 가지 신체 변화가 일어나므로 통상 여성에 한정되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남성에서도 노화에 따른 체내 남성 호르몬의 점진적 감소로 인해 내분기계의 변화가 초래되는 것이 보고되면서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개념이 대두되고 있다. 2004년 국제남성노화학회(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Sutudy of the Aging Male)에서 ‘후기발현 남성 성선기능저하증(late-onset hypogonadism, LOH)’, ‘가령성 테스토스테론결핍증후군(age-associated testosterone deficiency syndrome, TDS)’으로 명명였다.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은 주로 남성의 고환에서 생산되며 남성의 신체 건강, 정신 상태 등을 조절하고 남성다움과 성생활에 주도적인 역할을 한다. 그러나 30대 전후부터 해마다 약 1%씩 감소하여 50~70대 남성의 약 30~50%에서 남성호르몬이 정상치보다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남성호르몬 감소 정도는 개인차가 크게 나타나는데, 주로 음주나 흡연, 비만, 잘못된 생활습관, 스트레스, 고혈압, 당뇨, 만성 질환 등이 남성 갱년기의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스테로이드, 위장약(cimetidine), 이뇨제(spinloactone), 무좀약(ketocanazole) 등의 약물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남성 갱년기 장애(Andropause)는 연령의 증가와 관련된 임상적 및 생화학적 증후군으로 전형적인 증상 및 혈청 테스토스테론 수준의 결핍으로 정의되고 있으며, 여러 신체기관의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 동반되는 증상으로는 원인을 알 수 없는 무기력감, 만성 피로, 집중력 저하, 우울증, 불면증, 자신감 상실, 복부 비만, 체모의 감소, 근력 저하, 관절통, 피부노화, 안면홍조, 심계항진, 발한, 골다공증, 체중 및 근육량의 감소 등의 예를 들 수 있다.
치료를 위해서는 폐경기 여성에 에스트로겐 대체요법을 사용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남성 호르몬 대체요법의 사용 가능성이 주장되고 있다. 한 연구에 따르면, 남성 갱년기 환자들을 테스토스테론 제형으로 치료하는 경우 상당한 개선 효과가 얻어지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남성 호르몬의 투여는 간, 지질 상태, 심혈관 및 전립선 질환 등에 역효과를 미칠 수 있다는 위험성 또한 보고되어 있다. 또한 선종 및 선암종에 비추어, 남성 갱년기에 기인하는 증상들을 갖는 환자의 약 30%는 남성 호르몬 대체 요법을 받을 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호르몬 대체 요법의 단점을 제공하지 않는 노화에 의한 또는 화학적이나 외과적 거세에 의해 유발된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신규 치료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뜰보리수(Elaeagnus multriflora Thunb.)는 정원에 심어 그 열매를 따먹는 정도의 정원수 정도로 알려져 있으나, 전통적으로 한방에서는 열매와 잎, 줄기, 뿌리 모두 약으로 사용하여 왔다. 뜰보리수나무는 우리나라 각지에 자생하는 Elaeagnus 속 식물로, 야앵도(野櫻桃) 또는 사월자(四月子)라고 불리며, 생약명으로 목반하(木半夏)로 알려져 있다. 흔히 집보리수나무, 참당보리수나무라고도 불리며, 어린 가지는 적갈색 비늘털로 덮여 있다. 외형은 보리수나무처럼 생겼으나, 열매가 커서 재배하기 때문에 뜰보리수나무라 불리며, 약으로 쓸 때는 주로 탕으로 하여 사용한다.
잎은 어긋나며 길이 3~10cm의 긴 타원형으로서 양 끝이 좁아 날카롭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앞면에는 어릴 때 비늘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뒷면에는 백색 비늘털과 갈색 비늘털이 섞여 있는 것이 특징이다. 꽃은 4~5월에 연한 황색으로 피는데 1~2개씩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꽃에 흰색과 갈색의 비늘털이 있다. 꽃받침통은 밑 부분이 급히 좁아져서 씨방을 둘러싸고 끝이 4개로 갈라지고, 4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으며, 7월에 길이가 1.5cm 정도 되는 긴 타원형의 핵과가 달려 밑으로 처져 빨갛게 익는다. 수관은 낙엽떨기형태이고 높이 2~3m까지 자란다.
보리수나무(Elaeagnus umbellata Thunberg)와 외형적으로 유사하지만, 보리수나무는 잔가지에 흰 비늘털이 많고, 열매는 길이 1cm 미만으로 작아 뜰보리수나무와 구별된다. 뜰보리수나무는 <익생양술대전>에 따르면 주로 순환계 질병을 다스리며, 종독, 타박상, 풍비, 풍습, 행기, 행혈에 좋은 효과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기침, 가래, 천식, 타박상, 치질, 혈액순환개선, 설사를 멎게 하는데 이용해 왔다. 특히 뜰보리수나무 열매는 오장을 보익하고 번열과 소갈을 없애며, 소화불량, 골수염, 부종, 생리불순, 치질, 허리 삔 것을 낫게 하며, 아무리 오래되고 잘 낫지 않는 천식도 치유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고, 가래를 삭이고 피나는 것을 멎게 하며, 풍을 없애고 습을 내보내며, 음식을 체한 것을 내려가게 하고 인후통을 낫게 한다. 또한 기침, 피를 토하는 데, 가래, 객혈, 장출혈, 월경과다, 류머티즘, 황달에 좋은 효력이 있다.
최근 전통적으로 알려진 이러한 뜰보리수나무와 같은 천연물의 효능을 연구하여 부작용이 거의 없고 질병의 예방과 회복에 도움이 되는 물질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뜰보리수나무에 대한 영양학적 가치나 생리활성 기능성에 대한 관련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714568호에는 파극천, 토사자 및/또는 양파 생약 추출물은 정상 및 항암제약물투여 군에서 혈중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수준을 현격하게 증가시키고, 남성호르몬생성과 관련된 StAR 단백질 표현을 현저하게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여 남성 갱년기 장애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보조식품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장애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699152호에는 혈중 테스토스테론의 함량을 증가시키고 산화적 스트레스를 억제하며 근지구력과 운동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남성 갱년기 증상을 개선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호로파 및 흑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국내 공개특허번호 제10-2015-0038906호에는 홍삼, 산약, 구기자, 산수유, 울금과 같은 생약의 추출물을 포함하며,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여러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는 조성물로, 발기능의 유의미한 향상, IIEF 테스트의 전반적 향상, AMS, ADAM, 음경도플러 시험을 통해 남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내지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며, 남성 호르몬의 큰 변화없이도 이러한 기능 개성이 이루어짐으로써 호르몬 대체요법으로 충분히 활용될 수 있는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후기 발현 남성 성선기능저하증 내지 남성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688116호에는 여주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체내 테스토스테론 분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은 본 발명의 뜰보리수나무(Elaeagnus multiflora Thunb.)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테스토스테론의 분비를 증가시키고, 노령의 쥐에서 근력을 강화시키며, 정자수를 증가시키고, 체중증가를 억제하면서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독성 및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과는 그 구성 및 효과에서 차이를 보인다.
본 발명은 우리나라 천연자원인 뜰보리수나무잎 또는 열매 추출물을 이용하여 독성 및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뜰보리수나무(Elaeagnus multiflora Thunb.) 잎 또는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뜰보리수나무 잎 또는 열매 추출물은 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부터 가용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 갱년기 질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에는 뜰보리수나무 추출물이 0.01 내지 10 g/day의 양으로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고, 또는 뜰보리수나무 추출물이 0.01내지 100중량%의 양으로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뜰보리수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을 통하여 우리나라 천연자원인 뜰보리수나무를 자원으로 이용하고,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독성이나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뜰보리수나무 잎 추출물이 TM3 세포에서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뜰보리수나무 열매 추출물이 TM3 세포에서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뜰보리수나무 잎 추출물이 TM3 세포에서 테스토스테론 분비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뜰보리수나무 열매 추출물이 TM3 세포에서 테스토스테론 분비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뜰보리수나무 잎 추출물이 노령의 수컷 쥐에서 체내 테스토스테론 분비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쥐의 근력을 측정하기 위해 이용한 로타로드 (rotarod) 운동기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뜰보리수나무 잎 추출물이 노령의 수컷 쥐에서 근력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쥐의 피로도를 측정하기 위해 이용한 트레드밀(treadmill) 운동기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뜰보리수나무 잎 추출물이 노령의 수컷 쥐에서 피로도를 경감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뜰보리수나무 잎 추출물이 노령의 수컷 쥐에서 정자수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뜰보리수나무 (Elaeagnus multiflora Thunb.) 잎 또는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1. 뜰보리수나무잎 및 열매 추출물 제조
1.1 뜰보리수나무 열수추출물의 제조
뜰보리수나무잎 및 열매 추출물은 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분이 제거된 뜰보리수나무의 잎 100g을 증류수로 수세한 다음, 증류수 1L를 첨가하고, 환류 추출기에서 3시간 동안 100℃로 가열, 추출하였다. 여과지(와트만 41번)을 이용하여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및 농축하였다. 여과 후 남은 잔사에 다시 동량의 증류수를 사용하여 동일과정으로 1회 더 추출, 여과 및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된 열수추출물을 동결건조기(freeze dryer)를 이용하여 -50℃에서 48시간 동안 동결 건조시켰다. 이상의 방법으로 상기 열수추출물을 추출용매에 따라, 뜰보리수 잎 열수 추출물 16.8g (16.8%)를 수득하여 하기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이하 “EM" 이라 명명함).
뜰보리수나무 열매 추출물은 건조된 뜰보리수 열매 100g에 증류수 1L를 첨가하고, 환류 추출기에서 3시간동안 100℃로 가열, 추출하였다. 여과지(와트만 41번)을 이용하여 여과하고 감압 및 농축하였다. 여과 후 남은 잔사에 다시 동량의 증류수를 사용하여 동일과정으로 1회더 추출, 여과 및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된 열수추출물을 동결건조기(freeze dryer)를 이용하여 -50℃에서 48시간 동안 동결건조 시켰다. 이상의 방법으로 상기 열수추출물을 추출용매에 따라, 뜰보리수 열매 열수 추출물 12.4g (12.4%)를 수득하여 하기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이하 “EMF”라 명명함).
1.2 뜰보리수나무의 극성용매, 비극성용매 가용 분획물의 제조
상기 단계의 뜰보리수나무 열수 추출물은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획하였다.
1.2.1 헥산 가용성 분획분리
뜰보리수나무 추출물 12.4g을 5L의 증류수에 완전히 용해시킨 후에 분획 여두에 넣고 헥산 5L를 첨가하여 헥산 불용성층(수층)과 헥산가용성층을 분리하였다. 다시 헥산 불용성층(수층)을 대상으로 동일한 공정을 3번 반복하여 헥산 불용성 분획 및 가용성 분획을 수집하였다.
1.2.2 클로로포름 가용성 분획분리
핵산불용성 분획(수층)에 클로로포름 5L를 가하여 섞은 후에 클로로포름가용성 분획 및 불용성 분획을 분리하였고, 클로로포름 불용성층(수층)을 대상으로 동일한 공정을 3번 반복하여 클로로포름 불용성 분획 및 가용성 분획을 수집하였다.
1.2.3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분리
클로로포름 불용성 분획(수층)에 에틸아세테이트 5L를 가하여 섞은 후에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 및 불용성 분획을 분리하였고, 에틸아세테이트 불용성층(수층)을 대상으로 동일한 공정을 3번 반복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불용성 분획 및 가용성 분획을 수집하였다.
1.2.4. 부탄올 가용성 분획분리
에틸아세테이트 불용성 분획(수층)에 부탄올 5L를 가하여 섞은 후에 부탄올 가용성 분획 및 불용성 분획을 분리하였고, 부탄올 불용성층을 대상으로 동일한 공정을 3번 반복하여 부탄올 불용성 분획 및 가용성 분획을 수집하였다.
1.2.5 물층 분획분리
뜰보리수나무 추출물 12.5g을 5L의 증류수에 완전히 용해시킨 후에 분획여두에 넣고 상기 헥산 가용성층, 클로로포름 가용성층,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층 그리고 부탄올 가용성층을 분획 분리 후 농축하여 남아있는 유기용매를 제거하고 물 분획을 수집하였다.
이와 같은 뜰보리수나무 열수 추출 및 분획물 수득과정을 통해 제조된 보리수나무 열수추출물 12.5g에서 헥산 가용성 분획, 클로로포름 가용성 분획,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 및 부탁올 가용성 분획을 감압 농축한 후에 동결 건조함으로써 얻어진 분획물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2. 뜰보리수나무잎 및 열매 추출물의 세포독성 측정
본 발명의 뜰보리수나무 잎, 열매 추출물의 효과를 확인하기에 앞서,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효과를 낼 수 있는 적합한 농도를 결정하기 위해 세포 독성 검사를 수행하였다. 뜰보리수나무 잎 추출물의 세포 독성은 쥐의 고환세포에서 유래한 Leydig 세포인 TM3 세포주를 대상으로 측정하였다. TM3 세포는 DMEM에 10% FBS 및 1% penicillin/streptomycin을 첨가한 배지에서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TM3 세포를 96-well plate에 1×104 cells/well 농도로 넣고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뜰보리수나무 잎 또는 열매 추출물을 10, 50, 100 및 200 μg/mL 농도로 각 well에 처리하고 2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MTT 용액을 첨가하고 3시간이 지난 후 상층액을 제거하고 DMSO를 well당 100 μL씩 첨가한 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40 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1과 도 2에 도시하였다. 참고로, 도 1 내지 도 5, 도 7,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한 모든 측정된 결과는 평균과 표준오차로 표기하고, 통계적 유의성 검증은 Student's t-test 분석법을 이용하여 p값이 0.05 미만 (p<0.05)인 경우를 통계학적으로 유의하다고 보았다.
도 1을 참고하면, 뜰보리수나무 잎 추출물을 농도별로 (10, 50, 100 and 200 μg/mL) 처리하였을 때 세포 생존율이 대조군 (Control)에 비해 97%, 96%, 96%, 95%로 TM3 세포에 대해 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도 2를 참고하면, 뜰보리수나무 열매 추출물을 농도별로 (10, 50, 100 and 200 μg/mL) 처리하였을 때 세포 생존율이 대조군 (Control)에 비해 98%, 96%, 93%, 93%로 TM3 세포에 대해 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3. TM3 세포의 테스토스테론 분비 증가 효과 측정
TM3 세포를 24-well plate에 2×105 cells/well 농도로 넣고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뜰보리수나무 잎 및 열매 추출물 (EM) 을 10, 50 및 100 μg/mL농도가 되도록 혼합하여 각 well에 처리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상층액을 취한 후 Testosterone ELISA kit (ADI-900-065, ENZO Life Sciences, U.S.A)를 이용하여 테스토스테론 함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3과 도 4에 도시하였다.
도 3을 참고하면, 뜰보리수나무 잎 추출물을 농도별(10, 50, 100 and 200 μg/mL)로 처리하였을 때 대조군 (Control)에 비해 각각 15 pg/mL (130%), 17 pg/mL (148%), 18 pg/mL (150%) and 18 pg/mL (153%)로 테스토스테론 함량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도 4를 참고하면, 뜰보리수나무 열매 추출물을 농도별로 (10, 50, 100 and 200 μg/mL)로 처리하였을 때 대조군 (Control) 에 비해 각각 11 pg/mL (133%), 13 pg/mL (166%), 14 pg/mL (181%) and 16 pg/mL (186%)로 테스토스테론 함량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4. 체중증가량 측정
노령 수컷 쥐를 4주간 경구투여 후 뜰보리수나무 잎 추출물 (EM)이 체중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여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Groups Body weight
Initial Final Gains(g/day)
Control 557.4±13.6 589.4±20.4 32.0±6.9
EM 50 556.1±17.2 572.3±20.7 16.3±3.9
EM 100 555.7±14.4 560.0±13.5 4.3±9.8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험기간동안 뜰보리수나무 잎 추출물 (EM)을 투여한 실험군(50 and 100 mg/mL)의 체중증가량은 16g, 4g으로 대조군 (32g)에 비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5. 장기무게 측정
노령 수컷 쥐를 4주간 경구투여 후 뜰보리수나무 잎 추출물이 장기무게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Groups Testes(g) Epididymis(g) Seminal vesicle(g) Ventral prostate(g) Liver(g) Kidney(g) Spleen(g)
Control 4.28±0.10 1.42±0.14 1.55±0.19 0.80±0.07 15.82±0.59 3.74±0.08 0.92±0.05
EM 50 4.02±0.17 1.58±0.11 2.13±0.27 1.30±0.26 14.87±1.01 3.56±0.18 0.96±0.06
EM 100 4.23±0.08 1.53±0.02 2.41±0.31 1.55±0.13 14.08±0.91 3.57±0.07 0.94±0.06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환, 부고환, 정낭, 전립선, 간, 비장, 신장의 장기무게 변화를 측정한 결과, 뜰보리수나무 잎 추출물 투여로 인한 유의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6. 체내 테스토스테론 분비 증가 효과 측정
in vivo 레벨에서의 테스토스테론 분비 증가 효과는 노령 수컷 쥐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생후 6개월령의 SD rat를 1주일간 적응시킨 뒤, 뜰보리수나무 잎 추출물 (EM)을 투여한 실험군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으로 나누어 실험에 사용하였다. 동물실험실의 사육조건은 온도 23±1℃, 습도 45±5%, 명암은 12시간 주기로 자동 조명 조절하고, 물과 식이는 자유롭게 섭취시켰다. 실험군은 뜰보리수나무 잎 추출물을 50, 100 mg/mL 농도로 증류수에 녹여 매일 오전 같은 시간에 경구투여 하였으며, 대조군은 동량의 증류수를 경구투여 하였다. 4주 동안 경구 투여하였으며, 마지막 경구 투여 후 혈액을 채취한 후 4000 rpm에서 15분간 원심 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혈청을 대상으로 Testosterone ELISA kit (ADI-900-065, ENZO Life Sciences, U.S.A)를 이용하여 테스토스테론 함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5에 도시하였다.
도 5를 참고하면, 뜰보리수나무 잎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 (50 and 100 mg/mL)에서는 대조군 (Control)에 비해 혈청내 테스토스테론 분비가 각각 211%, 287%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7. 근력 강화 효과 측정
뜰보리수나무 추출물의 근력 강화 효과는 도 6에 도시한 회전가능한 원통형의 로타로드 (rotarod)를 이용하여 노령 수컷 쥐에게 운동을 시켜 근력상태를 평가하여 측정하였다. 사용한 쥐의 월령, 사육조건 및 뜰보리수나무 잎 추출물의 투여 조건은 상기 체내 테스토스테론 분비 증가 효과 측정 실험과 동일하게 하고, 투여 마지막날에 회전속도 20 rpm의 로타로드 원통 위에서 쥐들을 강제로 걷게 하여 로타로드에 적응시켰다. 24시간 후,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는 원통위에 다시 쥐들을 올려 걷게 하고, 쥐들이 원통위에서 균형을 잃고 떨어지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도 7에 도시하였다.
도 7을 참고하면, 로타로드 운동을 통해 근력상태를 평가한 결과, 뜰보리수나무 잎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 (50 and 100 mg/mL)의 로타로드 운동시간이 대조군 (Control)의 로타로드 운동시간 (29초)에 비해 각각 154초, 270초로 증가하여 근력 강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8. 피로도 개선 효과 측정
뜰보리수나무 추출물의 피로도 개선 효과는 도 8에 도시한 전기 혐오자극을 이용한 트레드밀(treadmill) 운동장치를 노령 수컷 쥐에게 적용하여 측정하였다. 트레드밀의 각도는 지상과 20°의 각도로 전기자극판 쪽으로 기울게 하였다. 사용한 쥐의 월령, 사육조건 및 뜰보리수나무 잎 추출물 (EM)의 투여 조건은 상기 체내 테스토스테론 분비 증가 효과 측정 실험과 동일하게 하고, 투여 마지막날에 10분간 적응 훈련을 시켰다. 24 시간후, 지구력운동 수행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9 m/min에서 3분간 운동을 시작하게 한 후, 매 3분마다 3 m/min의 속도로 운동 강도를 증가시켜 나가면서 탈진 시까지의 운동 지속시간을 특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도 9에 도시하였다.
도 9를 참고하면, 트레드밀 운동을 통해 운동지속시간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9분)에 비해 뜰보리수나무 잎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 (50 and 100 mg/mL)의 운동지속시간은 각각 10분, 11분으로 증가하였으며 유의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7. 정자수 측정
노령 수컷 쥐를 4주간 경구투여 후 부고환의 미부를 잘라 1ml의 saline과 혼합하고 10 μL를 hemacytometer에 놓고 정자를 계수하고 희석배율을 곱해 부고환에 존재하는 총정자수를 계산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도 10에 도시하였다.
도 10을 참고하면, 뜰보리수나무 잎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 (50 and 100 mg/mL)의 총 정자수는 대조군에 비해 각각 139%, 152%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뜰보리수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은 TM3세포와 노령쥐에서 테스토스테론의 분비를 증가시키고, 노령의 쥐에서 근력을 강화시키며, 정자수를 증가시키고, 체중증가를 억제하면서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독성 및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뜰보리수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은 독성 및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등으로 이용될 수 있어 인류건강과 질병치료에 도움이 되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6)

  1. 뜰보리수나무(Elaeagnus multiflora Thunb.)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뜰보리수나무 추출물은 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부터 가용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 갱년기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테스토스테론 저하를 동반하여 정자수 및 활동성 감소, 내장지방 증가, 근육량 감소, 근력감소, 골밀도 감소, 동맥경화 증가 및 경동맥혈관 두께 증가, 인슐린 저항성 증가, 지적활동, 인지능력, 공간 지남력의 감소, 피로, 우울, 성급함을 수분하는 기분변화, 수면장애, 체모의 감소 및 피부변화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약학 조성물은 뜰보리수나무 추출물이 0.01 내지 10 g/day의 양으로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약학 조성물은 뜰보리수나무 추출물이 0.01 내지 100중량%의 양으로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6. 뜰보리수나무(Elaeagnus multiflora Thunb.)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
KR1020170044267A 2017-04-05 2017-04-05 뜰보리수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KR101841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267A KR101841387B1 (ko) 2017-04-05 2017-04-05 뜰보리수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PCT/KR2017/015199 WO2018186557A1 (ko) 2017-04-05 2017-12-21 뜰보리수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267A KR101841387B1 (ko) 2017-04-05 2017-04-05 뜰보리수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1387B1 true KR101841387B1 (ko) 2018-03-23

Family

ID=61912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4267A KR101841387B1 (ko) 2017-04-05 2017-04-05 뜰보리수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41387B1 (ko)
WO (1) WO201818655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260A (ko) * 2018-06-29 2020-01-0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토종보리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22065601A1 (ko) * 2020-09-24 2022-03-31 재단법인 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뜰보리수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20126092A (ko) 2021-03-08 2022-09-15 수원대학교산학협력단 석창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013B1 (ko) 2014-04-02 2014-09-23 문용술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125B1 (ko) * 2013-02-05 2014-11-11 주식회사 바이오그랜드 루이보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남성 노화 및 갱년기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576610B1 (ko) * 2014-10-31 2015-12-11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비타민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70005632A (ko) * 2015-07-06 2017-01-16 김은정 뜰보리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013B1 (ko) 2014-04-02 2014-09-23 문용술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F. Nejatbakhsh et al,?⇒?Review of local herbal compounds found in the Iranian traditional medicine known to optimise male fertility’, Andrology, 2016.9.29., Vol.49, 850-859*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260A (ko) * 2018-06-29 2020-01-0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토종보리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110040B1 (ko) 2018-06-29 2020-05-1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토종보리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22065601A1 (ko) * 2020-09-24 2022-03-31 재단법인 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뜰보리수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EP4218782A4 (en) * 2020-09-24 2024-04-10 Jeonnam Bioindustry Found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BENIGN PROSTATE HYPERPLASIA WITH FRUIT EXTRACTS OF ELAEAGNUS MULTRFLORA THUNB. ACTIVE INGREDIENT AS ACTIVE INGREDIENT
KR20220126092A (ko) 2021-03-08 2022-09-15 수원대학교산학협력단 석창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34174A (ko) 2021-03-08 2024-03-13 수원대학교산학협력단 석창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86557A1 (ko) 2018-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borisade et al. Phytochemical and proximate analysis of some medicinal leaves
KR102136052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20100042337A (ko) 류머티스관절염 치료제 생약제 조성물 및 그 치료제 제조방법
KR101841387B1 (ko) 뜰보리수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KR101855821B1 (ko)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 및 혈액순환 증진을 위한 건강식품 조성물
CN104012731A (zh) 一种百香果叶复合茶及其制作方法
KR100682047B1 (ko) 고지혈증 치료용 한약 추출물
JP4961715B2 (ja) 老臭改善用経口組成物
KR101822834B1 (ko) 갱년기 증상 완화용 조성물
KR101028073B1 (ko) 혈액순환을 개선하여 신체 각 부위를 활성화 시키며 면역력을 증진시키는 작용 및 기전을 가진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609643B1 (ko) 피부염 치료용 생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3133217A1 (ja) 糖取り込み促進剤
Roy et al. Herbs Used In Peptic Ulcer: A Review.
KR101855820B1 (ko) 간 기능 개선 및 스태미나 증진을 위한 건강식품 조성물
Kaviya et al. Physiochemical analysis and phytochemical screening of ivy gourd, Coccinia grandis (L.) Voigt leaves
KR20200142768A (ko)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oyama Bioactive foods and herbs in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
JP2015137264A (ja) 筋肉増強剤
KR102466832B1 (ko) 뇌신경 보호 효과 및 혈류개선 효과를 갖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2011981B1 (ko) 칡, 꾸지뽕, 벌사상자 및 노박덩굴을 함유하는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식품
CN107535654A (zh) 一种降脂护嗓保肝茶及其制备方法
KR102193317B1 (ko) 비만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Thoudam et al. Chapter-3 A Review Study on Nutraceutical and Nutritional Efficacy of Crassocephalum crepidioides
Kumar et al. AN AYURVEDIC REVIEW ON PLANTS USED IN THE TREATMENT OF SKIN DISEASES
KR20100102366A (ko) 혈당강하 및 통증완화용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