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2652A - 꾸지뽕 열매 추출물 및 굼벵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꾸지뽕 열매 추출물 및 굼벵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2652A
KR20220142652A KR1020210048948A KR20210048948A KR20220142652A KR 20220142652 A KR20220142652 A KR 20220142652A KR 1020210048948 A KR1020210048948 A KR 1020210048948A KR 20210048948 A KR20210048948 A KR 20210048948A KR 20220142652 A KR20220142652 A KR 20220142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ammatory
composition
fruit extract
pharmaceutical composition
slu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8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천수
나대승
김진범
유영춘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생명의나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생명의나무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생명의나무
Priority to KR1020210048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2652A/ko
Publication of KR20220142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26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꾸지뽕(Cudrania tricuspidata) 열매 추출물 및 굼벵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에 의하여 천연재료로 인체에 무해하고 비릿한 맛과 이취를 제거하여 섭취가 용이하면서 항염증,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의 효과가 우수하다.

Description

꾸지뽕 열매 추출물 및 굼벵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Composition for anti-inflammatory comprising Cudrania tricuspidata fruit and white grub as an effe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꾸지뽕 열매 추출물 및 굼벵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식품 조성물 및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염증이란 중이염(中耳炎) 또는 늑막염(肋膜炎) 등과 같이 끝 자가 염(炎)으로 되는 것 외에, 전염성 질환(결핵 또는 매독 등) 등 많은 것에서 볼 수 있는 병의 총칭으로서, 일상의 대부분의 병이 이것에 속한다. 이러한 염증은 어떤 자극에 대한 생체조직의 방어반응의 하나로, 생체 조직의 손상에 대한 국소적인 방어보호 반응으로 혈액성분이 혈관벽을 통하여 조직으로 빠져 나오는 현상이다. 이 과정에 관여하는 화학물질은 히스타민(Histamine), 류코트리엔(Leukotriene), 킨니스(Kinis) 및 프로스타글랜딘(Prostaglandin)이다. 히스타민은 혈액과 림프액이 손상된 부위에 더 많이 오도록 작용하고, 킨니스는 근육의 수축을 완화하여 모세혈관의 혈액운반을 원활하게 하며, 통증이 느껴지도록 한다. 또한, 프로스타글랜딘은 백혈구가 세포내로 유입되었을 경우 합성되어 통증과 열을 발생시키게 된다.
최근 사회적 스트레스의 증가와 환경오염 및 식문화의 급격한 변화 및 고령화에 의한 노령인구의 증가 등에 의해 염증을 유발할 만한 요인들이 증가되고 있고, 이로 인해 알러지, 천식, 염증성 장질환 또는 관절염 등 염증 관련 질환의 발생도 크게 증가하는 추세이다. 염증은 많은 질병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므로 염증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진 소재를 탐색하여 기능성 식품과 의약소재로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항염증용 바이오 소재는 수입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관절염은 유효한 치료제가 없이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 항류마티스 조절제, 스테로이드 제제와 진통제가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관절부위의 통증이나 경직감을 완화시킬 수는 있으나 질병의 진행을 억제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 복용할 경우 위장관계나 심혈관계 등에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므로 인체에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항염증 효과가 뛰어난 천연 항염증 바이오 소재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51928호 한국등록특허 제10-132866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재료로 인체에 무해하고 비릿한 맛과 이취를 제거하여 섭취가 용이하면서 염증 억제, 위염과 같은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는 꾸지뽕(Cudrania tricuspidata) 열매 추출물 및 굼벵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천연재료로 인체에 무해하고 비릿한 맛과 이취를 제거하여 섭취가 용이하면서 염증 억제, 위염과 같은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있는 꾸지뽕(Cudrania tricuspidata) 열매 추출물 및 굼벵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따르면,
꾸지뽕(Cudrania tricuspidata) 열매 추출물 및 굼벵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식품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꾸지뽕 열매 추출물은 물, 탄소수 1-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의해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굼벵이는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유충의 건조 분말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꾸지뽕 열매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굼벵이 5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측며에 따르면,
꾸지뽕(Cudrania tricuspidata) 열매 추출물 및 굼벵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염증성 질환은 위염, 장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패혈증, 알레르기, 피부염, 아토피,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크론병, 대장염, 통풍, 강직성 척추염, 루푸스, 섬유근통 (fibromyalgia),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쇼그렌 증후군 및 다발성 경화증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NO(nitric oxide), TNF-α(tumor necrosis factor-alpha) 및 IL-6(interleukin 6)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생성 억제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iNO(inducible nitrous oxide) 및 COX-2(cyclooxygenase-2)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효소 발현 억제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MAPK(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의 활성 억제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꾸지뽕(Cudrania tricuspidata) 열매 추출물 및 굼벵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식품 조성물은 천연재료로 인체에 무해하고 비릿한 맛과 이취를 제거하여 섭취가 용이하면서 염증 억제, 위염과 같은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꾸지뽕(Cudrania tricuspidata) 열매 추출물 및 굼벵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천연재료로 인체에 무해하고 비릿한 맛과 이취를 제거하여 섭취가 용이하면서 염증 억제, 위염과 같은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우수하다.
도 1은 실험예 1에 따른 세포독성 분석 결과이다.
도 2는 실험예 2에 따른 NO 생성 억제능 측정 결과이다.
도 3은 실험예 2에 따른 TNF-α 생성 억제능 측정 결과이다.
도 4는 실험예 2에 따른 IL-6 생성 억제능 측정 결과이다.
도 5는 실험예 3에 따른 iNOS 및 COX-2 효소 발현 억제능 분석 결과이다.
도 6은 실험예 4에 따른 MAPK 활성 억제능 분석 결과이다.
도 7은 실험예 5의 폐혈증 모델에서 생존율 연장 효과 분석 결과이다.
도 8은 실험예 6에 따른 TNF-a 농도 측정 결과이다.
도 9는 실험예 6에 따른 IL-6 농도 측정 결과이다.
도 10은 실험예 6에 따른 IL-1b 농도 측정 결과이다.
도 11은 실험예 7에 따른 위염 억제 효과 분석 사진이다.
도 12는 실험예 7에 따른 위염 억제 효과 분석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꾸지뽕(Cudrania tricuspidata) 열매 추출물 및 굼벵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꾸지뽕 열매 추출물을 추출하는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에틸렌글리콜, 에틸에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이다. 상기 저급알코올로는 20 내지 80%의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또는 프로판올을 들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로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80 내지 100℃의 열수에서 1 내지 10시간 동안 추출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꾸지뽕 열매 추출물을 언급하면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얻은 조추출물뿐만 아니라 꾸지뽕 열매 추출물의 가공물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꾸지뽕 열매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꾸지뽕 열매 추출물은 광의로는 꾸지뽕 열매를 동물에게 투여할 수 있도록 제형화된 꾸지뽕 열매 가공물, 예컨대, 꾸지뽕 열매 분말도 포함하는 의미를 갖는다. 비록 본 발명에서 꾸지뽕 열매로 실험을 진행하긴 하였으나, 꾸지뽕 열매 가공물과 같은 형태로도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예상 가능할 것이다.
상기 굼벵이는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유충의 건조 분말일 수 있다.
상기 건조 분말은 굼벵이를 60 내지 80℃의 열풍에 건조시킨 후 분말화한 것일 수 있으나 분말화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꾸지뽕 열매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굼벵이 5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굼벵이 함량이 5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 효능이 저하될 수 있고,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비린 맛과 이취가 증가할 수 있고,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 효능도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염증성 질환은 위염, 장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패혈증, 알레르기, 피부염, 아토피,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크론병, 대장염, 통풍, 강직성 척추염, 루푸스, 섬유근통 (fibromyalgia),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쇼그렌 증후군, 다발성 경화증 등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은 NO(nitric oxide), TNF-α(tumor necrosis factor-alpha) 및 IL-6(interleukin 6)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생성 억제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은 iNO(inducible nitrous oxide) 및 COX-2(cyclooxygenase-2)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효소 발현 억제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은 MAPK(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의 활성 억제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이란 꾸지뽕 열매 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복합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서 꾸지뽕 열매 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복합물은 예를 들어, 0.001 mg/kg 이상, 바람직하게는 0.1 mg/k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mg/kg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0 mg/kg 포함된다. 꾸지뽕 열매 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복합물은 천연물로서 과량 투여하여도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 포함되는 꾸지뽕 열매 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복합물의 양적 상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기 유효 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 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학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정제, 피복정, 캡슐제, 좌제,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주사 가능한 액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 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 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0.001-10 g/㎏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꾸지뽕(Cudrania tricuspidata) 열매 추출물 및 굼벵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염증용 식품 조성물에서 꾸지뽕 열매 추출물, 굼벵이, 조성비, 용도 및 기능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약학 조성물과 같으므로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약학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알코올 음료류, 과자류, 다이어트바, 유제품, 육류, 초코렛,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꾸지뽕 열매 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복합물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와 음료류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꾸지뽕 열매 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복합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및 각종 식물 추출액, 홍삼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꾸지뽕(Cudrania tricuspidata) 열매 추출물 및 굼벵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건강기능식품이란, 꾸지뽕 열매 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복합물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이와 같은 건강기능식품에 있어서의 꾸지뽕 열매 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복합물의 첨가량은, 대상인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따라 달라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 없지만, 식품 본래의 맛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하면 되며, 대상 식품에 대하여 통상 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20 중량%의 범위이다. 또한, 환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캡슐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의 경우에는 통상 0.1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5 내지 80 중량%의 범위에서 첨가하면 된다.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환제, 정제, 캡슐제 또는 음료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항염증,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 또는 식품의 제조를 위한 꾸지뽕(Cudrania tricuspidata) 열매 추출물 및 굼벵이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유동물에게 유효량의 꾸지뽕(Cudrania tricuspidata) 열매 추출물 및 굼벵이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항염증,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포유동물"은 치료, 관찰 또는 실험의 대상인 포유동물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말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유효량"은 연구자, 수의사, 의사 또는 기타 임상의에 의해 생각되는 조직계, 동물 또는 인간에서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유효 성분 또는 약학 조성물의 양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해당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의 완화를 유도하는 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에 대한 유효량 및 투여횟수는 원하는 효과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투여될 최적의 투여량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으며,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 방법에 있어서, 성인의 경우, 꾸지뽕 열매 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복합물을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시, 0.001 g/kg 내지 10 g/kg의 용량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치료방법에서 꾸지뽕(Cudrania tricuspidata) 열매 추출물 및 굼벵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경구, 직장,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흉골내, 경피, 국소,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꾸지뽕 열매 열수추출물 및 굼벵이 복합물
꾸지뽕 열매를 분쇄한 후, 90℃의 열수에서 5시간 처리하여 추출한 후 여과를 거쳐 상등액을 취하고 스프레이 드라이(spray-dry)로 건조하여 꾸지뽕 열매 열수추출물 분말을 수득하였다.
또한,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유충을 70℃로 열풍건조하여 굼벵이 분말을 수득하였으며, 꾸지뽕 열매 열수추출물 분말과 굼벵이 분말을 95: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꾸지뽕 열매 열수추출물과 굼벵이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굼벵이 분말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수득한 굼벵이 분말을 단독으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2: 꾸지뽕 열매 열수추출물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수득한 꾸지뽕 열매 열수추출물 분말을 단독으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실험예 1: 세포독성 분석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는 한국세포주은행(Korea Cell Line Bank, KCLB)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으며, 10%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함유된 DMEM(Dulbecco Modified Eagle Medium)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항온기에서 배양하였고, 세포가 80~90% 정도의 밀도가 되었을 때 계대배양을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RAW 264.7 세포를 1×104 cells/웰로 96 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여 8시간 동안 배양하여 안정화한 후, 실시예 1의 꾸지뽕 열매 추출물+굼벵이 복합물을 12.5, 25, 50 및 100㎍/㎖로 각 웰에 넣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제거하고 5mg/㎖의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를 각 웰에 넣고 2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DMSO(dimethyl sulfoxide)를 100㎕씩 분주하여 각 웰에 생성된 결정체를 모두 용해시키고,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ELx 800-PC, BioTek, USA)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하기 식을 통해 세포생존율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식]
세포생존율(%)=[시료처리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 X 100
이에 따르면, 실시예 1의 꾸지뽕 열매 추출물+굼벵이 복합물은 100㎍/㎖ 농도까지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고 안정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NO, TNF-α 및 IL-6 생성 억제능 측정
LPS(lipopolysaccharide)로 염증이 유도된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에서의 실시예 1의 꾸지뽕 열매 추출물+굼벵이 복합물, 비교예 1의 굼벵이 분말, 비교예 2의 꾸지뽕 열매 추출물에 대한 항염 활성을 분석하였다.
NO(nitric oxide), TNF-α(tumor necrosis factor-alpha) 및 IL-6(interleukin 6)는 대식세포가 분비하는 물질로, NO가 과도하게 분비되면 급성 및 만성 염증 반응을 야기하며,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및 IL-6는 LPS 등에 의해 분비량이 증가하여 염증성 면역질환을 일으킨다.
RAW 264.7 세포를 5×104 cells/웰로 48 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여 8시간 동안 배양하여 안정화한 후, 실시예 1의 꾸지뽕 열매 추출물+굼벵이 복합물을 50㎍/㎖와 100㎍/㎖ 농도인 것, 비교예 1의 굼벵이 분말 100㎍/㎖, 비교예 1의 꾸지뽕 열매 추출물 100㎍/㎖ 농도로 각각 12시간 동안 전처리한 다음 LPS(100ng/㎖)를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생성된 NO의 양은 그리스 시약(Griess Reagent)을 이용하여 세포배양액 중에 존재하는 NO2의 형태로 측정하였다. 세포배양 상등액에 그리스 시약 50㎍를 처리하고 15분간 반응시킨 다음, 54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배양 상등액 내의 TNF-α및 IL-6의 분비량은 ELISA 키트(BD Bioscience, USA)를 이용하여 정량하였고, NO 생성 억제능 측정 결과를 도 2, TNF-α 생성 억제능 측정 결과를 도 3, IL-6 생성 억제능 측정 결과를 도 4에 각각 나타내었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꾸지뽕 열매 추출물+굼벵이 복합물 처리군은 50㎍/㎖의 농도에서도 100㎍/㎖ 농도인 비교예 1의 굼벵이 단독 처리군, 비교예 2의 꾸지뽕 열매 추출물 단독 처리군에 비하여 대체로 높은 항염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TNF-α및 IL-6에서는 유의적으로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고, 실시예 1의 꾸지뽕 열매 추출물+굼벵이 복합물 100㎍/㎖의 처리군은 NO, TNF-α및 IL-6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농도를 나타내어 NO, TNF-α및 IL-6 생성 억제능이 단독 성분에 비하여 항염 활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iNOS 및 COX-2 효소 발현 억제능 분석
iNO(inducible nitrous oxide)는 염증반응의 자극에 의해 유도되는 NO 생합성 효소로서, 이 효소의 발현량을 조사하여 NO 분비 억제에 관한 작용기전을 해석할 수 있다. 또한, COX-2(cyclooxygenase-2)는 염증성 매개인자의 하나인 PGE2를 생성하는 효소로서 역시 LPS자극에 의해 세포 내 발현량이 증가하게 된다.
RAW 264.7 세포를 5Х105 cells/웰로 6 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여 8시간 동안 배양하여 안정화한 후, 실시예 1의 꾸지뽕 열매 추출물+굼벵이 복합물 50㎍/㎖와 100㎍/㎖ 농도로 12시간 동안 전처리한 다음 LPS(100ng/㎖)를 처리하여 6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다음으로, 세포를 RIPA 버퍼로 추출하고, 단백질을 BCA법에 의해 정량한 후, 20 ㎍의 단백질을 이용하여 웨스턴 블롯(Western blot)을 통해 iNOS 및 COX-2 염증유도 관련 세포 내 효소의 발현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꾸지뽕 열매 추출물+굼벵이 복합물의 전처리에 의해 염증유도와 관련된 세포 내 효소인 iNOS 및 COX-2의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MAPK 활성 억제능 분석
항염증 활성 관련 작용기전을 해석하기 위하여, RAW 264.7 세포에서 LPS자극을 통한 염증유도 시 염증매개인자 생성을 유도하는 신호전달체계에서 MAPK의 활성화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MAPK는 ERK, JNK 및 p38 등의 세포 내 전사인자가 LPS 자극에 의해 인산화되는 과정으로, 이에 대한 억제활성은 곧 염증억제 활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조성물을 12시간 전에 전처리한 RAW 264.7세포에 LPS를 100 ng/㎖의 농도로 자극하여 MAPK의 활성화를 유도에 대한 조성물의 억제효과를 관찰하였다. 세포 내 단백질은 LPS처리 15분 후에 RIPA buffer를 통해 추출하였으며, 웨스턴 블롯(Western blot)을 통해 ERK, JNK 및 p38 분자의 인산화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꾸지뽕 열매 추출물+굼벵이 복합물 처리에 의해 ERK 및 JNK 분자의 인산화가 유의하게 억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조성물이 이들 분자의 인산화를 차단하여 염증반응을 억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험예 5: 폐혈증 모델에서 생존율 연장 효과 분석
실시예 1의 꾸지뽕 열매 추출물+굼벵이 복합물과 비교예 1의 굼벵이 분말의 항염증 작용을 in vivo 수준에서 조사하기 위하여, LPS투여에 의한 마우스 패혈증 모델을 이용하였다. LPS를 100 mg/kg으로 Balb/c 마우스에 정맥 내 투여할 경우 패혈증에 의해 전례가 사망하게 된다. 이때, 실시예 1의 복합물과 비교예 1의 굼벵이 분말을 LPS 투여 5일전부터 각각 5 mg/mouse로 1일1회 경구투여하여,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이에 따르면, 실시예 1의 꾸지뽕 열매 추출물+굼벵이 복합물이 비교예 1의 굼벵이 분말에 비하여 치명적인 폐혈증의 억제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6: 폐혈증 모델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억제능 분석
패혈증 모델에서 항패혈증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예 1의 복합물과 비교예 1의 굼벵이 분말을 LPS 투여 5일전부터 각각 5 mg/mouse로 1일1회 경구투여하여, LPS 투여 12시간 후의 마우스 혈청 중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농도를 정량하였고, TNF-a 농도를 도 8, IL-6 농도를 도 9, IL-1b 농도를 도 10에 각각 나타내었다.
이에 따르면, 그 결과 LPS투여 12시간 후의 마우스 혈청에서 패혈증에 의한 사이토카인 폭풍(cytokine storm)의 원인이 되는 TNF-a, IL-6 및 IL-1b 가 실시예 1과 비교예 1 모두 유의하게 억제되었으나 실시예 1의 복합물 투여군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억제능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7: 위염 억제 효과 분석
실시예 1의 꾸지뽕 열매 추출물+굼벵이 복합물에 의한 염증성 질환 억제 효과를 급성위염 모델에서 관찰하였다. 3주령의 수컷 ICR mouse(Taconic)에 EtOH/HCl 로 유도된 위염(gastritis) 실험모델을 이용하여 효과를 검토하였다. 실시예 1의 복합물은 급성 위염 유도 전에 5일간 5 mg/mouse로 1일 1회 경구투여하였다. 조성물 투여 2시간 후에 150 mM HCl/EtOH를 200 ㎍ 경구투여 하여 위염을 유발한 후, 해부하여 위를 적출하고 5% 포르말린을 넣어 팽창시킨 후 고정이 되면 위를 펼쳐 염증이 나타난 부위를 Image J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정상군(a), 위염유도군(b), 복합물 투여군(c)의 사진을 도 11에 나타내었고, 각 실험군에서 관찰된 혈반(blood spot)의 크기를 비교한 결과를 도 12에 나타내었다.
이에 따르면, 실시예 1의 꾸지뽕 열매 추출물+굼벵이 복합물 투여군에서 위염에 대한 유의한 억제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의 꾸지뽕 열매 추출물+굼벵이 복합물은 LPS 자극 염증세포에서 ERK와 JNK의 인산화 억제를 통해 염증을 억제하며, 마우스 패혈증 모델에서도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며 치명적인 패혈증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급성위염 모델에서도 EtOH/HCl에 의한 급성위염을 유의하게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기에 본 발명의 분말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실시예 1의 굼벵이 분말 30 mg
실시예 1의 꾸지뽕 열매 추출물 분말 50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의 굼벵이 분말 20 mg
실시예 1의 꾸지뽕 열매 추출물 분말 30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실시예 1의 굼벵이 분말 12 mg
제조예 2의 꾸지뽕 열매 추출물 20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실시예 1의 굼벵이 분말 32 mg
제조예 2의 꾸지뽕 열매 추출물 60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 당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실시예 1의 굼벵이 분말 400 mg
제조예 2의 꾸지뽕 열매 추출물 7.5 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g으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과립제의 제조
실시예 1의 굼벵이 분말 100 mg
제조예 2의 꾸지뽕 열매 추출물 1,9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과립제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과립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기능성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의 굼벵이 분말 100 mg
제조예 2의 꾸지뽕 열매 추출물 1,900 mg
구연산 1,000 mg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mL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 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꾸지뽕(Cudrania tricuspidata) 열매 추출물 및 굼벵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꾸지뽕 열매 추출물은 물, 탄소수 1-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의해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식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굼벵이는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유충의 건조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식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꾸지뽕 열매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굼벵이 5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식품 조성물.
  5. 꾸지뽕(Cudrania tricuspidata) 열매 추출물 및 굼벵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질환은 위염, 장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패혈증, 알레르기, 피부염, 아토피,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크론병, 대장염, 통풍, 강직성 척추염, 루푸스, 섬유근통 (fibromyalgia),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쇼그렌 증후군 및 다발성 경화증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NO(nitric oxide), TNF-α(tumor necrosis factor-alpha) 및 IL-6(interleukin 6)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생성 억제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iNO(inducible nitrous oxide) 및 COX-2(cyclooxygenase-2)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효소 발현 억제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MAPK(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의 활성 억제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210048948A 2021-04-15 2021-04-15 꾸지뽕 열매 추출물 및 굼벵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2201426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948A KR20220142652A (ko) 2021-04-15 2021-04-15 꾸지뽕 열매 추출물 및 굼벵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948A KR20220142652A (ko) 2021-04-15 2021-04-15 꾸지뽕 열매 추출물 및 굼벵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652A true KR20220142652A (ko) 2022-10-24

Family

ID=83805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948A KR20220142652A (ko) 2021-04-15 2021-04-15 꾸지뽕 열매 추출물 및 굼벵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265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1928A (ko) 2010-11-15 2012-05-23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염증 활성을 갖는 도토리 추출물 및 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리적 조성물
KR101328668B1 (ko) 2010-09-10 2013-11-14 한국식품연구원 비만억제 활성과 혈당강하 효능이 있는 꾸지뽕 및 의이인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668B1 (ko) 2010-09-10 2013-11-14 한국식품연구원 비만억제 활성과 혈당강하 효능이 있는 꾸지뽕 및 의이인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20051928A (ko) 2010-11-15 2012-05-23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염증 활성을 갖는 도토리 추출물 및 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리적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5500B1 (ko) 강활 및 방풍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50643B1 (ko) 선복화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37389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식품 및 약학 조성물
KR20140067826A (ko) 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131821A (ko) 사우치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슐린 저항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97109B1 (ko) Ppar 작용 조절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70279B1 (ko) 안트라퀴논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140095167A (ko) 호노키올 및 마그놀올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지방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47121B1 (ko) 모과 미숙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크산틴 산화효소 저해용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KR101604347B1 (ko) 피스타시아 웨인마니폴리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20142652A (ko) 꾸지뽕 열매 추출물 및 굼벵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207239B1 (ko) 천문동 추출물로부터 제조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999872B1 (ko) 홍경천 추출물, 홍경천 분획물, 이로부터 분리한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 이의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80118413A (ko)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부탄올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01548B1 (ko) 대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49624B1 (ko) 바이플라보노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지질불균형에 의한 대사성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54891B1 (ko) 해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섬유화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0590726B1 (ko) 목질진흙버섯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페린신 에이를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20180118412A (ko)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26091A (ko) 가는잎산들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51883B1 (ko) 왕겨 추출물의 수면 장애, 불안 또는 우울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신규 용도
KR20170092975A (ko) 김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150619A (ko) 호노키올 및 마그놀올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지방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13406B1 (ko) 메틸 벤조에이트 유도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954890B1 (ko) 해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