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1807B1 - 비만 억제용 한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비만 억제용 한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41807B1 KR100641807B1 KR1020040039234A KR20040039234A KR100641807B1 KR 100641807 B1 KR100641807 B1 KR 100641807B1 KR 1020040039234 A KR1020040039234 A KR 1020040039234A KR 20040039234 A KR20040039234 A KR 20040039234A KR 100641807 B1 KR100641807 B1 KR 1006418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obesity
- parts
- feed
- fa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61K36/815—Lycium (desert-thor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61K36/076—Pori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6—Carthamus (distaff thistl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4—Dioscoreaceae (Yam family)
- A61K36/8945—Dioscorea, e.g. yam, Chinese yam or water ya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61K36/8994—Coix (Job's tea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abet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Obes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만 억제용 한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한약 조성물 12~17 중량부의 구기자, 12~17 중량부의 숙지황, 10~38 중량부의 의이인, 9~14 중량부의 홍화, 5~7 중량부의 복령, 9~14 중량부의 당귀, 5~7 중량부의 연자, 5~7 중량부의 산약 및 5~7 중량부의 지각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치명적인 부작용없이 체지방 및 혈중 지방을 감소시킴으로써 과체중, 비만, 비만에 의해 유래되는 여러 질병에 효과가 있는 비만 억제 또는 치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비만, 심장 질환
Description
도 1은 비만 억제 사료를 섭취한 쥐의 cholesterol 수치를 정상사료를 섭취한 쥐 및 비만 유발 고지방 사료를 섭취한 쥐와 비교한 그래프이고,
도 2는 비만 억제 사료를 섭취한 쥐의 LDL-cholesterol 수치를 정상사료를 섭취한 쥐 및 비만 유발 고지방 사료를 섭취한 쥐와 비교한 그래프이고,
도 3은 비만 억제 사료를 섭취한 쥐의 total lipids 수치를 정상사료를 섭취한 쥐 및 비만 유발 고지방 사료를 섭취한 쥐와 비교한 그래프이고,
도 4는 비만 억제 사료를 섭취한 쥐의 triglycerides 수치를 정상사료를 섭취한 쥐 및 비만 유발 고지방 사료를 섭취한 쥐와 비교한 그래프이고,
도 5는 비만 억제 사료를 섭취한 쥐의 free fatty acid 수치를 정상사료를 섭취한 쥐 및 비만 유발 고지방 사료를 섭취한 쥐와 비교한 그래프이고,
도 6은 비만 억제 사료를 섭취한 쥐의 phospholipids 수치를 정상사료를 섭취한 쥐 및 비만 유발 고지방 사료를 섭취한 쥐와 비교한 그래프이고,
도 7은 비만 억제 사료를 섭취한 쥐의 SGOT 수치를 정상사료를 섭취한 쥐 및 비만사료를 섭취한 쥐와 비교한 그래프이고,
도 8은 비만 억제 사료를 섭취한 쥐의 SGPT 수치를 정상사료를 섭취한 쥐 및 비만사료를 섭취한 쥐와 비교한 그래프이고,
도 9는 비만 억제 사료를 섭취한 쥐의 creatinine 수치를 정상사료를 섭취한 쥐 및 비만사료를 섭취한 쥐와 비교한 그래프이고,
도 10은 비만 억제 사료를 섭취한 쥐의 BUN 수치를 정상사료를 섭취한 쥐 및 비만사료를 섭취한 쥐와 비교한 그래프이다.
(각 도면에서 보여지는 값은 평균값±표준오차(Mean±SEM)를 나타냄,
* p<0.05, ** p<0.01, *** p<0.005, **** p<0.001: 고지방 사료군(C) 및 정상 사료군(N)과 비교했을 때의 통계학적 유의성이 있는 차이를 나타냄.)
* 도면의 부호의 설명
N : 정상사료군
C : 비만 유발 고지방 사료군
C+P : 비만 억제 사료군(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첨가한 고지방 사료군)
본 발명은 비만 억제용 한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기자, 숙지황, 의이인, 홍화, 복령, 당귀, 연자, 산약 및 지각을 포함하는 비만 억제용 한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만이란 신체에 체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된 상태를 말한다. 과잉체중의 상태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대사장애로 인해 체내에 지방이 과잉 축적된 상태를 의미한 다. 즉, 칼로리 섭취가 신체활동과 성장에 필요한 에너지보다 초과되어 중성지방의 형태로 지방조직에 과잉 축적되어 비만을 유발하는 것이다.
비만은 그 자체만으로도 용모손상(disfigurement), 불편감(discomfort), 비능률(disability)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고지혈증, 고 콜레스테롤, 고혈압, 동맥경화, 심근경색 등의 심장혈관계질환, 신장장애, 제2형 인슐린 비 의존형 당뇨병, 폐질환 등의 질병(disease)을 유발하며 이 들 질병이 죽음(death)까지 이어지는 소위 5D현상을 초래한다. 선진국에서는 전체 성인 중 30%가 비만이며 특히 젊은 연령군(25~34세)의 비만 남성 사망률은 정상군에 비해서 12배 가량이나 높고 그 주요한 사인은 심장혈관계질환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비만을 치료하기 위하여 식이요법, 운동요법, 행동수정요법, 수술요법, 약물요법 등이 연구되고 있다. 한편 비만의 약물치료제로는 지방축적 억제제(식욕억제제, 음식의 흡수나 지방산 생성을 억제하는 제재)와 지방이용 자극제(열생성 혹은 지방분해제)가 있으며 최근 임상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제재는 플루옥세틴, 올리스타트, 시부트라민 등이 있다. 플루옥세틴(상품명-프로작)은 항우울제로 사용되고 있는 선택적인 세로토닌 재섭취 억제제로, 일시적인 체중감소효과가 있을 뿐인데다가 무기력, 발한, 기면등의 부작용을 수반한다. 올리스타트(상품명-제니칼)는 소장의 지방분해효소의 작용을 억제하여 지방흡수를 30%정도 감소시키지만 지방변을 보고 장기간 투여시 지용성 비타민의 보충이 필요하다. 시부트라민(상품명-리덕틸)은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재흡수를 억제하는 이중작용을 나타내지만 세로토닌의 증가는 교감신경계를 활성화시켜서 갈색지방조직에서 발열반응을 증가시키며 혈압상승, 구강건조, 변비, 불면증 등의 부작용을 수반한다.
상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만은 생명을 치명적으로 위협하는 주요요인인 반면, 이러한 비만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면서도 상기와 같은 부작용이 없는 치료제재는 현재까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안전하고도 효과적인 항비만 제재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만 및 비만에 수반되는 증상의 억제 및 치료 효과가 뛰어나고 부작용이 없는 비만 억제용 한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한약 조성물 12~17 중량부의 구기자, 12~17 중량부의 숙지황, 10~38 중량부의 의이인, 9~14 중량부의 홍화, 5~7 중량부의 복령, 9~14 중량부의 당귀, 5~7 중량부의 연자, 5~7 중량부의 산약 및 5~7 중량부의 지각을 포함하는 비만 억제용 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다른 측면에서, 구기자, 숙지황, 의이인, 홍화, 복령, 당귀, 연자, 산약 및 지각을 포함하는 한약 조성물을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분말을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고,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여 여액을 얻는 단계; 상기 여액을 농축하는 단계; 및 상기 농축액을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억제용 한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추출은 열수 추출로서, 80 ~ 100℃에서 1 ~ 3시간 동 안 이뤄진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의이인(薏苡仁)은 칼로리가 낮고 이뇨작용을 돕는 등 여러 가지 기능이 있어 주로 당뇨병 환자들이 다이어트 식품으로 애용하며 식욕을 감소시키는 약리작용이 있다.
홍화(紅花)는 허혈성 심장질환 및 뇌질환을 완화, 치료하며 혈소판 응집 반응을 억제함으로써 혈액내 혈전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복령(茯笭)은 이뇨작용, 혈당 강하 작용, 용혈 억제 작용, 심장의 수축력 증가 작용 및 면역 증강 작용 등의 약리 작용을 가진다.
당귀(當歸)는 보혈, 구어혈, 조경, 진정 작용이 있으며 혈액내 응혈을 감소시킴으로써 혈액 순환을 활발하게 하는 약리 작용을 가지고 있다.
연자(蓮子)는 연근의 열매이며 좋은 단백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자양강장, 신체 허약, 설사병으로 인한 신체 회복 등에 사용된다. 한편 고지방 식이에 의해 유도된 비만쥐의 혈액 내 지방을 감소시키고 혈소판 응집 반응을 억제함으로써 혈액내 혈전을 억제하는 약리 작용을 가진다.
또한 구기자(枸杞子)는 콜레스테롤의 침착 제거 외에도 간장에 축척되어 있는 지방을 분해시키며 혈액내의 혈당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숙지황(熟地黃)은 식욕을 감소시키고 지방세포에서 지방분해를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산약(山藥)은 혈당을 저하시키며 소화기 계통에 작용하여 신장관의 손상을 회복시키고 혈관의 염증, 손상된 간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으며, 지각(枳殼)은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한편 구기자가 본 한약 조성물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12 중량부보다 낮은 경우 혈액내 지방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할 수 있으며, 17 중량부보다 많이 첨가할 경우 혈액내의 지방, 특히 콜레스테롤이 급격하게 감소되어 근 무력증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지방세포에서 지방분해를 유도하는 숙지황은 본 발명의 한약 조성물에서 12 중량부보다 높은 비율로 첨가할 때 지방분해가 효과적이지만, 17 중량부보다 많이 첨가하면 과도한 지방분해로 인해 항비만과는 반대의 현상인 혈중 지방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
의이인은 본 한약 조성물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10~38 중량부이어야 효과적인 이뇨 역할을 하면서 이뇨제의 일반적인 부작용인 통풍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복령이 5~7 중량부의 비율로 첨가되는 이유도 의이인과 유사하다.
홍화는 본 발명의 한약 조성물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9 중량부보다 낮으면 비만유래 심혈관 질환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이지 않고 14 중량부보다 많이 첨가되면 출혈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어 9~14 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당귀는 비만으로 인한 혈액 순환 장애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기존 혈액내 지방 및 혈전 억제 등에 작용하는 약물에서 나타나는 근무력증, 출혈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한약 조성물의 9~14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자가 본 한약 조성물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5 중량부보다 낮으면 혈전, 동 맥 경화증을 완화시키는데 효과적이지 못하며 7 중량부보다 많이 첨가되면 근무력증, 출혈 등이 나타날 우려가 있다.
산약 또한 5~7 중량부로 첨가하는 것이 신장관을 회복하여 혈관의 염증을 제거하고 간손상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이며 면역 저하 등을 방지한다.
본 한약 조성물 중 지각은 5~7 중량부로 첨가될 경우 적절한 혈압을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다.
이하, 본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우선 본 한약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한약재를 분쇄기로 분말이 될 때까지 분쇄한 후 표1의 비율로 분쇄한 분말을 취하여 이를 증류수가 담긴 플라스크에 넣고 100℃에서 1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였다. 그 후 거즈로 여과한 여액을 감압 여과기로 농축 한 후 동결건조하였다.
한편 본 발명이 비만 억제 효과가 있는지 동물실험을 하기 위하여 사료 100 g당 본 조성물이 총 2.2 g 포함되도록 사료를 조제하였다.
<표 1>
약재 명 | 비율 (%, w/w) |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각 구성성분이 차지하는 비율 (%, w/w) |
구기자 | 15 | 0.33 |
숙지황 | 15 | 0.33 |
의이인 | 22.7 | 0.50 |
홍화 | 11.8 | 0.26 |
복령 | 5.9 | 0.13 |
당귀 | 11.9 | 0.26 |
연자 | 5.9 | 0.13 |
산약 | 5.9 | 0.13 |
지각 | 5.9 | 0.13 |
합계 | 100 | 2.2%/100% 고지방사료 |
[실험례 1] 고지방 사료 조제 및 이를 이용한 비만 유발실험
생후 85일에서 95일 된 몸무게 19~250 g 스프래그-다우리(Sprague-Dawley)종 수컷 랫트를 습도,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병원균이 없는 사육실에서 2주동안 물과 사료를 마음껏 주고 적응 시킨 후 쥐 8마리씩을 다음의 세 그룹으로 나누었다.
①정상사료군-일반적인 쥐 사료 (샘타코 주식회사, 지방 함량은 5 %, N이라고 표시),
②비만유발 고지방 사료군-전체 지방 함량 20 % 사료(한국퓨리나 주식회사, 20 %의 지방은 우지, C라고 표시),
③비만 억제 사료군-비만유발 고지방 사료 +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C+P라고 표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성분 및 함유량, 제조된 사료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상기 <표 1>과 같다. 정상사료군을 제외하고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서 나머지 두 사료를 조제하였다. 먼저 20 %의 지방으로 이루어진 퓨리나 사료를 Grinder로 간 다음 소량의 물을 넣거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과 소량의 물을 넣은 후 쥐 사료의 일반적 모양으로 반죽한다. 그 후, 상온에서 24시간동안 hood 내에서 건조시킨다.
사료를 투여하기 전 세 그룹으로 나눈 쥐들을 24시간 동안 절식시켰다. 그리고 나서 6주 동안 상기 정상사료, 비만유발 고지방 사료, 비만 억제 사료를 투여하였다. 쥐의 몸무게는 1주 마다 측정하였다. 그 결과, <표 2>에서 보는 것처럼 1주부터 6주 동안 고지방 사료군은 정상사료군에 비해 몸무게가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이와는 반대로 비만 억제 사료군을 투여한 쥐는 고지방으로 유도된 몸무게 증가가 유의성 있게 감소되었다.
또한 하기 <표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비만의 또 다른 지표인 신장 지방의 무게를 각각의 그룹에서 측정한 결과, 고지방 사료군은 정상사료군에 비해 26 %의 지방이 증가했으나 비만 억제 사료군은 이 증가된 지방을 28%나 감소 시켰다. 이들 결과는 고지방사료가 몸무게와 지방의 증가, 즉 비만을 유발하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고지방사료에 의해 유발된 비만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표2>
체중(g) | 정상사료군(n=8) | 고지방사료군(n=8) | 고지방사료군+본발명에 따른 조성물(n=8) |
시작 | 289.667±2.965 | 297±2.455 | 288±2.489 |
1주 | 316.9±3.19a | 333.1±4.48 | 309.3±4.55b |
2주 | 358.4±4.27c | 388.4±6.34 | 356.6±4.27b |
3주 | 382.1±4.35c | 418.1±6.43 | 382.9±4.96c |
4주 | 406.4±4.71c | 441.3±8.1 | 406.3±2.95c |
5주 | 415.3±4.64d | 455±8.5 | 422.9±1.54c |
6주 | 434.3±5.22c | 478±10.22 | 438.3±2.56c |
신장지방무게(g) | 1.913±0.0205 | 2.599±0.278 | 1.875±0.170 |
상기 값은 평균값±표준오차(Mean±SEM)이다.
ap<0.05, bp<0.01, cp<0.005, dp<0.001:고지방사료군과 비교했을 때의 통계학적 유의성이 있는 차이를 나타낸다.
[실험례 2] 비만이 유도된 동물모델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한비만 억제 실험
상기 [실험례 1]과 같이 6주간 세 그룹으로 나누어 각기 상이한 사료를 투여한 후 각 쥐들 심장에서 혈액을 채취하였다. 채취된 혈액에서 serum을 분리한 후 일반적인 kit에 의해 비만의 지표를 나타내는 cholesterol, LDL-cholesterol, triglycerides, free fatty acid, phospholipids, total lipids의 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 [도 2] 및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고지방 사료군에서의 cholesterol, LDL-cholesterol, total lipids의 수치가 정상사료군과 비교했을때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여 비만이 유발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이와는 반대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투여한 비만 억제 사료군은 이 들 증가된 수치 들을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시킴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 되어 있는 바와 같이, 비만 억제 사료군은 고지방사료군과 비교 했을때 증가된 triglycerides, free fatty acid, phospholipids를 각각 22%, 27%, 10% 감소 시켰다. 이는 고지방 사료에 의해 비만이 야기되고 야기된 비만에 의해 cholesterol, LDL-cholesterol, triglycerides, free fatty acid, phospholipids, total lipids의 수치가 증가되었음을 보여주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이러한 수치를 감소시켜 줌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실험들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비만 억제 및 비만과 관련한 고지혈증, 동맥경화 등의 치료제로 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유리지방산, 인지질, 중성지방을 상당한 정도 감소시켰다. 이러한 전체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의 감소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콜레스테롤 생합성의 가장 중요한 조절효소인 HMG-CoA reductase의 활성을 억제하거나, LDL-콜레스테롤의 여러 조직으로의 효과적인 분배, 이동을 촉진함으로써 생긴다고 추측되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의한 유리지방산, 인지질, 중성지방, 전체 지방의 감소는, 위와 장관에서 지방을 단순한 형태로 분해해서 지방흡수를 용이하도록 돕는 lipase inhibitor처럼 위와 장관에서 음식물로 섭취된 지방흡수를 억제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실험례 3]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간독성 및 신장독성에 관한 실험.
L-alanine aminotransferase (ALT or SGPT) 와 L-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or SGOT)는 간독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알려져 있으며 그것들의 유의한 증가는 간기능의 저하, 독성을 의미하며 대부분 지방간이 있는 비만인 들에게서 많이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효소들의 활성억제는 비만 억제의 표지로 볼 수 있으며 간독성이 없음을 판단하는데 중요하다.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SGPT의 경우 정상사료군, 고지방사료군, 비만 억제 사료군 모두에서 유의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이에 의해 고지방이 이 들 효소의 활성 증가를 유발하지 않음을 알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인체에 유해한 간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첨가된 사료군의 경우 SGOT의 활성을 유의성 있게 감소시킴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간독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간보호 효능도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른 한편, creatinine과 BUN의 증가는 신장의 손상과 독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되어 왔다.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정상사료군, 고지방사료군, 비만 억제 사료군 모두에서 creatinine의 유의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고지방이 creatinine을 증가시키지 않음을 알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신장 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BUN은 정상사료군에 비해 비만 억제 사료군에서 유의성 있게 감소됨을 보였다. 이에 의해 고지방이 BUN을 증가되지 않음을 알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아무런 신장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실험례 4]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체중감소에 대한 독성 실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정상적인 식이를 했을때도 체중을 감소시키는 독성을 나타내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정상사료군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첨가한 사료를 [실시예 1]과 같이 제조하여 6주동안 투여한 후 정상사료군과의 체중을 비교하였다. <표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1주 후에는 비록 정상사료군과 비교했을때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첨가군의 체중감소가 나타났으나 (이는 아마도 약에 대한 적응에서 비롯됐을 것으로 사료됨) 그 이후로는 체중변화가 감지 되지 않아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자체는 정상인에게는 체중감소라는 부작용 혹은 독성을 나타내지 아니하고 오직 고지방에 의한 비만인에게만 효과적인 것임을 알 수 있다.
<표 3>
체중 | 정상식이군(n=7) | 정상식이군+항비만조성물 첨가군(n=7) |
시작 | 197.4±1.20 | 199.4±0.75 |
1주 | 284.9±4.45a | 248.6±2.31 |
2주 | 347.4±6.97 | 350.6±5.52 |
3주 | 376.1±9.83 | 388.4±8.44 |
4주 | 404.1±11.83 | 418.5±9.51 |
5주 | 413.9±15.17 | 430.9±12.45 |
6주 | 423.1±10.89 | 455.8±12.72 |
상기 값은 평균값±표준오차(Mean±SEM)이다.
ap<0.05:정상사료군과 비교했을 때 통계학적 유의성이 있는 차이를 나타낸다.
[실험례 5] 고지방사료군과 비만 억제 사료군에 대한 섭취 차이 확인 실험
비만 억제 사료군의 체중 감소가 조성물의 실질적인 비만 감소에 기인한 것인지, 아니면 조성물의 냄새 혹은 맛으로 인해 사료 섭취를 덜 하는 것인지 알아보기 위해 사료섭취 그룹을 고지방사료군, 비만억제 사료군으로 나누어 실험 종료일 전 5일동안 사료섭취량을 확인해 보았다. 그 결과 <표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두 그룹 간에 전혀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어 비만 억제 효과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가진 약효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표4>
사료섭취량(g/kg/일) | 고지방사료군(n=8) | 고지방사료+항비만 조성물첨가군(n=8) |
1일 | 49.4±1.072 | 45±3.453 |
2일 | 51.4±2.052 | 52.2±3.227 |
3일 | 51.4±1.764 | 50.4±3.035 |
4일 | 52±1.447 | 50.4±2.792 |
5일 | 51.2±1.757 | 53.5±2.656 |
상기 값은 평균값±표준오차(Mean±SEM)이다.
다른 한편, 본연구는 종래의 비만치료제가 일반적으로 갖고 있는 독성인 정상식이에서의 체중감소, 신장독성의 지표인 혈액내 BUN, creatinine 과 간독성의 지표인 혈액내 SGOT, SGPT를 측정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투여에 따른 정상식이에서의 체중감소, 신장독성, 간독성을 측정한 결과 아무런 독성이 없음이 밝혀졌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맛이나 냄새 등에 의한 비약리학적인 요인, 즉, 음식물 거부에 의한 비만 억제 효과가 아님을 사료 섭취량 측정을 통해 알아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치명적인 부작용없이 체지방 및 혈중 지방을 감소시킴으로써 과체중, 비만, 비만에 의해 유래되는 여러 질병에 효과가 있는 비만 억제 또는 치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 한약 조성물 12~17 중량부의 구기자, 12~17 중량부의 숙지황, 10~38 중량부의 의이인, 9~14 중량부의 홍화, 5~7 중량부의 복령, 9~14 중량부의 당귀, 5~7 중량부의 연자, 5~7 중량부의 산약 및 5~7 중량부의 지각을 포함하는 비만 억제용 한약 조성물.
- 구기자, 숙지황, 의이인, 홍화, 복령, 당귀, 연자, 산약 및 지각을 포함하는 한약 조성물을 분쇄하는 단계;상기 분쇄된 분말을 물로서 열수 추출을 하고,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여 여액을 얻는 단계;상기 여액을 농축하는 단계; 및상기 농축액을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억제용 한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열수 추출은, 80 ~ 100℃에서 1 ~ 3시간 동안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억제용 한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39234A KR100641807B1 (ko) | 2004-05-31 | 2004-05-31 | 비만 억제용 한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PCT/KR2005/001626 WO2005115427A1 (en) | 2004-05-31 | 2005-05-31 | Herbal medicine composition for suppression of obesit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39234A KR100641807B1 (ko) | 2004-05-31 | 2004-05-31 | 비만 억제용 한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14040A KR20050114040A (ko) | 2005-12-05 |
KR100641807B1 true KR100641807B1 (ko) | 2006-11-02 |
Family
ID=35450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39234A KR100641807B1 (ko) | 2004-05-31 | 2004-05-31 | 비만 억제용 한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0641807B1 (ko) |
WO (1) | WO2005115427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562988A (zh) * | 2016-11-11 | 2017-04-19 | 华南理工大学 | 一种代代花萼多糖在制备减肥药物中的应用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747917B2 (en) | 2010-09-10 | 2014-06-10 |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 Composition comprising Cudrania tricuspidata and Coix lachryma-jobi for suppressing obesity or lowering blood sugar, and use thereof |
KR101330687B1 (ko) * | 2011-09-21 | 2013-11-18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한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KR101412221B1 (ko) * | 2012-08-14 | 2014-06-27 | (주)바이오뉴트리젠 | 구기자잎 추출 분말과 베타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
CN103239551A (zh) * | 2013-01-16 | 2013-08-14 | 济南康众医药科技开发有限公司 | 预防和治疗肥胖的冻干地黄 |
WO2019083225A1 (ko) * | 2017-10-23 | 2019-05-02 | 이영구 | 한방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2198802B1 (ko) * | 2018-12-07 | 2021-01-06 | 주식회사 우리엘바이오 | 항비만 바이오 한방 혼합 추출물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비만 바이오 한방 혼합 추출물 |
CN110250526A (zh) * | 2019-07-05 | 2019-09-20 | 青海瑞湖生物资源开发有限公司 | 一种具有辅助降血脂功能的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
CN111436604A (zh) * | 2020-05-29 | 2020-07-24 | 山西振东五和健康科技股份有限公司 | 用于强心和预防心血管疾病的组合物、产品及其制备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32671B1 (ko) * | 1997-07-25 | 2000-02-01 | 김이현 | 부인과 질환 및 여성비만 치료를 위한 조성물의 제조방법 |
FR2786097B1 (fr) * | 1998-11-23 | 2003-08-15 | Sederma Sa | Compositions amincissantes, a usage cosmetique ou dermopharmaceutique, contenant un extrait de dioscorea opposita |
KR100302024B1 (ko) * | 1998-12-04 | 2001-10-29 | 마대규 | 혈중콜레스테롤저하용홍화씨추출물및그제조방법 |
JP2002138045A (ja) * | 2000-10-30 | 2002-05-14 | Ichimaru Pharcos Co Ltd | 前駆脂肪細胞分化誘導剤 |
JP2002275078A (ja) * | 2001-01-11 | 2002-09-25 | Kanebo Ltd | 脂肪分解促進剤 |
JP3615510B2 (ja) * | 2001-03-27 | 2005-02-02 | 日華化学株式会社 | リパーゼ活性賦活剤、痩身用皮膚外用剤及び痩身用浴用剤 |
KR100443055B1 (ko) * | 2001-06-14 | 2004-08-04 | 한국 한의학 연구원 | 비만억제용 숙지황 조성물 |
JP2003113100A (ja) * | 2001-10-01 | 2003-04-18 | Pola Chem Ind Inc | 熱産生タンパク質発現促進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組成物 |
KR100516180B1 (ko) * | 2001-12-24 | 2005-10-20 | 주식회사 닥터즈메디코아 | 항고지혈증 조성물 |
KR20030075067A (ko) * | 2002-03-15 | 2003-09-22 | 조명하 | 진피 복합제를 이용한 비만 치료제 조성물 추출방법 |
-
2004
- 2004-05-31 KR KR1020040039234A patent/KR10064180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5
- 2005-05-31 WO PCT/KR2005/001626 patent/WO2005115427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562988A (zh) * | 2016-11-11 | 2017-04-19 | 华南理工大学 | 一种代代花萼多糖在制备减肥药物中的应用 |
CN106562988B (zh) * | 2016-11-11 | 2020-02-18 | 华南理工大学 | 一种代代花萼多糖在制备减肥药物中的应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14040A (ko) | 2005-12-05 |
WO2005115427A1 (en) | 2005-12-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708726B1 (en) | Formulation for treating obesity and associated metabolic syndrome | |
US6541046B2 (en) | Herbal composi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body weight and composition | |
WO2009040824A2 (en) | Anti-adipogenic compositions containing piper betel and dolichos bifloras | |
WO2005115427A1 (en) | Herbal medicine composition for suppression of obesit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CN112791160A (zh) | 一种降尿酸抗炎镇痛药食两用中药组合及其制备方法 | |
KR20180101460A (ko) | 근육의 보호에서 시스탄케 투불로사 추출물 및 이소악테오사이드의 용도 | |
JP2527924B2 (ja) | 宿酔症状の予防及び治療用生薬剤組成物並びにその製造方法 | |
EP1583547B1 (en) | Anti-obesity ingredients from medicinal plants and their composition | |
KR100786122B1 (ko) |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 |
CN107412713A (zh) | 治疗自体免疫性与免疫相关性疾病的中成药、医疗食品及制备方法 | |
KR101511364B1 (ko) | 복합 생약재를 이용한 비만 및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 |
CN110051817A (zh) | 一种降低尿酸的中药组合及其应用 | |
CN108570116A (zh) | 黄绿卷毛菇多糖及制备方法和在防治糖尿病中的医用用途 | |
KR100679290B1 (ko) | Hgdsj201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KR100815277B1 (ko) | 홍삼 산성다당체 및 구기자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고지혈증제 | |
JP2011012021A (ja) | 血糖コントロール用組成物 | |
JP2001261569A (ja) | 抗肥満症剤 | |
KR101796924B1 (ko) |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 |
CN111529576A (zh) | 一种治疗脂肪肝的中药组合物 | |
CN100344308C (zh) | 一种抗衰老及免疫调节的药用组合物 | |
KR980008056A (ko) | 항스트레스 조성물 | |
CN112384235A (zh) | 包含天然混合提取物的用于预防或治疗肥胖症的组合物 | |
CN106668611B (zh) | 一种促进棕色脂肪组织生成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 |
KR100758364B1 (ko) |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
CN105193993A (zh) | 一种具有降血脂功效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用途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828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