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8364B1 -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8364B1
KR100758364B1 KR1020060138263A KR20060138263A KR100758364B1 KR 100758364 B1 KR100758364 B1 KR 100758364B1 KR 1020060138263 A KR1020060138263 A KR 1020060138263A KR 20060138263 A KR20060138263 A KR 20060138263A KR 100758364 B1 KR100758364 B1 KR 100758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extract
water extract
herbal
herbal medic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8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연
황성완
이은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에스아이
황성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에스아이, 황성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에스아이
Priority to KR1020060138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83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8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8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9Convolvulaceae (Morning-glory family), e.g. bind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0Cornaceae (Dogwood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or deco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은 cGMP 농도를 증가시키고, 일반 흰쥐에서 nNOS 및 eNOS 발현, SOD/Mn 및 SOD/Cu 발현, 및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의 농도를 증가시키며, 고지혈증 유발된 흰쥐에서 혈중 총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HDL-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며, 신경계 및 혈관계 NOS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최대해면체 내압을 증가시킴으로, 단순히 음경의 발기만을 유지시켜주는 치료 효과뿐만 아니라, 신체의 NO의 생체이용성을 높이면서 고지혈증이 수반된 모든 병태생리를 조절하여 자연적인 발기능의 유지를 가능하게 해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은 단순한 발기부전뿐만 아니라 고지혈증에 기인한 발기부전의 예방 또는 치료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mpotence}
도 1은 본 발명의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cGMP 농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단독 생약재 열수 추출물 및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의 흰쥐의 음경조직에서의 신경계 NO 합성효소(nNOS) 및 혈관계 NO 합성효소 (eNOS) 발현 정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흰쥐의 음경조직에서의 신경계 NO 합성효소(nNOS) 및 혈관계 NO 합성효소(eNOS) 발현 정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흰쥐의 음경조직에서의 SOD(superoxide dismutase)/Mn 및 SOD/Cu 단백질 발현 정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흰쥐의 혈청에서의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의 농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단독 생약재 열수 추출물 및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의 고지혈증 유발된 흰쥐에서의 혈중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 테롤 수치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고지혈증 유발된 흰쥐에서의 혈중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수치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 및 단독 생약재 열수 추출물의 고지혈증 유발된 흰쥐에서의 음경조직 내 단백질 NOS 발현 정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고지혈증 유발된 흰쥐에서의 음경조직 내 단백질 NOS 발현 정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고지혈증 유발된 흰쥐에서의 음경해면체 최대내압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식생활의 다양화 및 서구화로 고 칼로리 음식, 동물성 식품의 섭취가 증가됨에 따라 비만, 뇌졸중, 동맥경화, 고혈압, 당뇨병 등의 각종 생활 습관병이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률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04 발기부전 치료제의 시장동향 분석, 85).
심혈관계 질환 중 고지혈증(hyperlipidemia)은 혈장 내에 콜레스테롤이나 중 성지질(triglyceride)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소장에서 중성지질의 흡수와 유미지립(chylomicron)의 분비 증가, 간장에서의 중성지방의 합성 증가, 초저밀도 지질단백질(very low density lipoprotein) 및 저밀도 지질단백질(low density lipoprotein)의 합성 및 분비 증가, 고밀도 지질단백질(high density lipoprotein)의 합성 감소, 및 리파아제(lipase)의 활성 감소로 인한 말초조직에서의 중성지방의 제거 감소에 기인하는 것이다(Hayek T, Jiang X, Walsh A, Rutin E, Breslow JL, Tall AR. 1995. Decreased early atherosclerotic lesions in hypertriglyceridemic mice expressing cholesteryl ester transgene. J Clin Invest 96: 2071-2074).
음경은 하나의 작은 심장이라고 표현될 정도로 생체 내의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생리 기전이 심장과 비슷하다. 따라서, 심혈관계 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 인자는 발기부전의 결정적 원인이 된다. 음경발기는 동맥혈의 유입이 증가하고 정맥혈의 유출이 제한되면서 일어나는 반응으로, 신경계와 혈관계 및 내분비계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하거나, 산화질소(Nitric oxide, NO)-cGMP(cyclic guanosine monophosphate) 또는 c-AMP(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작용에 의한 음경해면체와 해면소동맥 평활근의 이완에 의하여 일어나는 생리적인 현상이다(Hayek T, Jiang X, Walsh A, Rutin E, Breslow JL, Tall AR. 1995. Decreased early atherosclerotic lesions in hypertrigly ceridemic mice expressing cholesteryl ester transgene. J Clin Invest 96: 2071-2074).
현재, 서구화된 식생활 및 다양화로 인하여 고지방, 고탄소화물 등의 음식섭 취가 증가함에 따라 혈장 내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질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되어서 일어나는 병태 생리가 많이 보고되고 있고, 이는 혈관 벽을 따라 지질이 두껍게 쌓여 혈행(blood circulation) 및 혈의 투과성의 약화로 인한 혈관성 발기부전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심혈관계 질환에 좋은 음식이나 약물은 음경에도 좋게 나타날 정도로 밀접한 관계가 있다.
현재까지 발기부전을 유발하는 여러 병태 생리가 알려져 있으나, 이 중 혈관성 병태 생리가 발기부전의 발생에 있어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50세 이상의 연령층에서 나타나는 발기부전의 약 절반 정도는 혈관계 질환에 의하여 유발된다. 혈관성 발기부전증 환자에게서 가장 흔히 발견되는 지질대사 장애는 고콜레스테롤혈증 또는 고중성지방 혈증이 동반된 고콜레스테롤혈증이라고 보고될 정도로 이 둘은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다(Juenemann KP, Aufenanger J, Konrad T, Pill J, Berle B, Persson-Juenemann C. 1991. The effect of impaired lipid metabolism on the smooth muscle cells of rabbits. Urol Res. 19: 24-28).
고지혈증은 심혈관계 질환이나 혈관성 발기부전증의 주 위험인자로 음경해면체 평활근의 내피세포 의존인자(Endothelium Derived-Relaxation Factor, EDRF)의 장애와 평활근 세포 자체의 변형으로 발기부전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화질소(NO)는 혈관확장 작용, 항응고 작용, 항산화 작용, 항염증 작용 등의 역할을 통해서 혈관의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Parmer, R. M., Ferrige A. G., Monacada, S.(1987) Nitric oxide release accounts for the biological activity of endothelium derived relaxing factor. Nature. 327 : 524-526). 따라서, 혈관내피에서 NO를 생산하는 NOS(nitric oxide synthase)의 감소, 유리 라디칼의 증가로 생산된 NO의 불활성화 등이 발생하면 NO의 생리적 활성의 감소가 일어나고 내피 의존적 혈관이완 작용이 손실되며, 그 결과로 죽상동맥경화가 발생하고 이후 혈관의 내강이 좁아지게 됨으로써 발기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Noma A. Nak ayama KN, Kota M, Okabe H. 1978.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serum cholesterol in high and low density lipoprotein with use of heparin, Ca2+ and an anion exchange resin. Clin Chem 24: 150 4-1508). 이는 백서에서 NOS 억제제인 L-NAMN를 2주만 투여해도 죽상경화의 초기변화를 유도할 수 있으며, 4~8주를 투여한 경우 죽상경화에 의한 합병증(뇌졸중 및 심근경색)을 유도할 수 있었다는 연구결과만 고찰하여도 NO와 죽상동맥경화의 병태 생리가 밀접한 관계가 있다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Ikeg aski, Hattori T, Yamaguchi T, et el. Involvement of Rho-kinase in vascular remodeling caused by longterm inhibition of nitric oxide synthase in rat. Eur J Pharmacol 2001;427: 69-75).
또한, 고지혈증에 주요 인자인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이 혈관성 발기부전에서 중요한 예측 인자가 될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안 등은 고콜레스테롤혈증이 내피세포 의존인자 중 하나인 산화질소 생성체계에 장애를 일으키며, 산화 LDL이 고지혈증으로 인한 기질성 발기부전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발표하였다(Ahn TY, Azadzoi KM, Saenz de Tejada I. 1992. Effects of oxidatively modified low density lipoprotein on corpus cavernisum smooth muscle tone. Int J Impotence Res 4, Suppl 2: 52). 다른 연구에서는 고지혈증 환자 중 혈중 총콜레스테롤이 높거나 HDL-콜레스테롤이 낮은 경우 발기부전의 위험도가 높게 나타난다고 보고하고 있다(Kwon KB, Kim BR, Hwang IJ, Kim E K, Kim G H, Ko KH, Choi YS, Zhang GG, Rho SI, Han DW, Cha S, Park DY, Ryu DG. 2004. Effect of Gamimajeonojahwan extract on the sexual function in male rats.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18: 1410-1417). 따라서, 혈청지질 분획 및 아포 단백의 증가 및 감소, 또는 이들의 구성비율의 변화가 음경발기에 관여하는 혈관의 폐색과 내피세포에 손상을 주어 발기장애를 유발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현재, 경구용 발기부전 치료제로는 cGMP(cyclic guanosine monophosphate)와 경쟁적 반응 물질로 작용하는 합성 유도체로서, PDE-5(phosphodiesterase-5) 단일경로만을 차단하여 음경해면체 내 cGMP 농도를 증가시킨다. 이는 필요 시 복용법으로 일회성, 강제적인 발기를 유발하는 것에만 초점이 맞춰진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상기 약물은 흥분성 신경계 활성없이 즉, 노화 및 내분비계 질환, 및 기타 심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nNOS 유전자 발현이 감소하거나 억제되면 음경해면체 평활근 내 cGMP 농도를 증가시킬 수 없으므로 PDE-5 효소 활성이 억제되거나 음경발기에 효과가 없다. 또한, 심근경색, 심부전, 혈압강하, 뇌경색, 안면홍조, 시력감퇴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지만 전 세계적으로 발기부전 치료제에 대한 절실한 요구로 아직까지 번번히 사용되고 있다.
고지혈증 치료제로는 피루브산 유도체, 니코틴산 유도체, 스타틴 계열 유도체 등의 의약품들이 자주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장기간 복용이 요구되는 합성 의약품으로 소화불량, 근육통, 횡문근 변성, 광과민성 등 부작용이 유발될 수 있어 장기간 복용에 신중을 기해야 하므로 부작용 감소를 통한 약제의 안전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편, 현재 상용되고 있는 경구용 발기부전 치료제의 고지혈증 환자에 대한 연구보고는 근본적인 치료를 통한 병태 생리를 교정하여 자연적인 발기를 회복시키는 것이 아닌, 고지혈증 환자에서의 발기 정도와 부작용에 대한 보고 정도에 그치고 있다. 또한 현재 상용되고 있는 경구용 발기부전 치료제는 필요시에 복용하는 일회성 및 강제성 발기에 효과적일 뿐 자연적인 발기 회복을 유지시켜주지는 못하고 있다.
따라서, 고지혈증의 개별적 병태 생리를 교정하여 자연적인 발기를 회복시키며, 필요 시 복용법이 아닌 만성적인 투여법으로도 발기능을 유지시킬 수 있는 부작용이 거의 없는 약제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이 없으면서 만성적인 투여로도 발기능을 유지시킬 수 있는 발기부전 치료에 효과적인 약제에 대해 연구하던 중, 복분자 열수 추출물, 산수유 열수 추출물 및 토사자 열수 추출물을 특정 비율로 배합한 조성물이 cGMP 농도를 증가시키고, 일반 흰쥐에서 nNOS 및 eNOS 발현, SOD/Mn 및 SOD/Cu 발현, 및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의 농도를 증가시키며, 고지혈증 유발된 흰쥐에서 혈중 총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HDL-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 며, 신경계 및 혈관계 NOS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최대해면체 내압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복분자 열수 추출물 10~80 중량%, 산수유 열수 추출물 10~70 중량% 및 토사자 열수 추출물 10~70 중량%를 포함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조성물의 구성성분인 생약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복분자는 장미과에 속한 낙엽관목인 익지 않은 복분자 딸기의 열매를 건조한 것으로, 맛이 시고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간장과 신장을 보호하는데 그 효능이 있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복분자는 성질이 평하고, 맛은 달고 시며, 독이 없고, 남자의 음기를 굳세고 길게 하며, 간을 도우며, 눈을 맑게 하며, 신장의 기운을 가득하게 하여 몸을 가볍게 하고, 머리털이 희어지지 않게 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최근 연구에서 신장기능, 불임증, 음위증, 유정몽설, 강장제, 혈액 등을 맑게 해주며 간을 보하고 눈을 맑게 하는 효능이 증명되었으며, 복분자 딸기의 덜 익은 열매의 가수분해성 탄닌으로서 1종의 갈로탄닌(gallotannin)과 3종의 엘라기탄닌(ellagitannin)을 분리하였으며, 이화학적 성상과 스펙트럼 데이터를 토대로 갈릭산, 2,3-(S)-HHDP-D-글루코피라노즈, 산귄(sanguiin) H-4 및 산귄 H-6를 보고하였다. 복분자의 경우 효소적 지질과 산화에 대해서도 강한 억제 활성을 나타내 며, 그 성분으로는 갈릭산 등의 페놀성 화합물이 확인되었다. 페놀성 화합물은 식품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2차 대사 산물의 하나로서 다양한 구조와 분자량을 가지며, 이들은 페놀성 히드록실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단백질 등의 거대분자들과 결합하는 성질을 가지며, 항산화 효과, 항균성, 아질산염 소거능 등의 생리활성 기능도 가진다.
산수유는 층층나무과에 속한 낙엽소교목인 산수유 열매의 육질을 건조한 것으로, 맛이 시고,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정혈이 훼손되고 신장에 양의 기능이 부족한 증상에 사용된다. 또한 고혈압과 혈당 강하작용, 소염항균작용을 하며, 간장과 신장을 보호하는데 그 효능이 있다. 산수유 추출물에는 우루솔산(ursolic acid), 주석산, 사과산 외에 4개의 글루코사이드(glucosid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우루솔산은 항당뇨병 활성이 있는 지용성 물질이며, 4개의 글루코사이드는 모로니사이드(morroniside), 로가닌(loganin), 스웨로사이드(sweroside) 및 메틸모로니사이드(methylmorroniside)이다 (Lee YC, Kim YE, Lee BY, Kim CJ. Chemical Compositions of Corni Fructus and Separating Properties of Its Flesh by dry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1992; 24: 447-50). 또한 산수유의 올레아놀산 3-O-모노 데스모사이드(oleanolic acid 3-O-mono desmosides)는 포도당의 흡수를 억제하는 기능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atsuda H, Murakami T, Shimada H, Matsumura N, yoshikawa M, Yamahara J. Inhibitory mechanisms of oleanolic acid 3-O-mono desmosides on glucose absorption in rats, Biological and Pharmaceutical Bulletin 1997; 20: 717-9).
토사자는 메꽃과에 속한 1년생 기생초본인 실새삼 및 등속식물의 씨를 건조한 것으로, 맛이 맵고 달며 평이한 성질을 지니고 있어 항암, 강심, 혈압강하작용 및 혈당강하, 신장과 비장을 보호하는데 그 효능이 있다. 동의보감에서는 "정력을 증강시키고 기운을 북돋우며, 요통과 무릎이 시린 증상에 효과가 좋고 달여서 수시로 마시면, 당뇨병에 효과가 있다"라고 전하고, 신농본초경에 "여러 가지 부족증을 보충해주며 기력을 더해주고 건실하게 한다. 오래 복용하면 눈이 밝아지고 장수할 수 있다"라고 전해진다. 또한,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활성을 저해하여 기억력을 높이고, 여러 가지 항산화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Lue SY, Park YG, Kang BS. Studies on the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s Effects of Cuscutae Semen. Kor J Herbology 2003; 18: 289-99.).
본 발명에 따른 생약재 추출물은 당해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알려진 생약재 추출방법, 예를 들어 물,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의한 추출, 중탕이나 상온에 의한 추출법 등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먼저 산수유, 구기자, 복분자, 토사자, 오미자, 산사, 쇄양, 육종용, 구자, 사상자, 희첨 등 11종의 생약재를 깨끗이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건조시킨 다음, 곱게 분쇄한다. 상기 분쇄된 생약재 각각을 증류수에 넣고 환류 하에 가열하여 추출한 후 여과한다. 여과액은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여과액의 1/10배 부피까지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분말 형태의 단독 생약재 열수 추출물을 얻는다.
상기 11종의 단독 생약재 열수 추출물의 cGMP 농도를 측정한 결과, 복분자 열수 추출물, 산수유 열수 추출물 및 토사자 열수 추출물에서 cGMP 활성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난다. 이들 중 cGMP 활성이 우수한 3종의 생약재 열수 추출물을 선별하여 복분자 열수 추출물 10~80 중량%, 산수유 열수 추출물 10~70 중량% 및 토사자 열수 추출물 10~70 중량%로 혼합하여 cGMP 농도를 측정한 결과, 복분자 열수 추출물 50 중량%, 산수유 열수 추출물 30 중량% 및 토사자 열수 추출물 20 중량%로 혼합되었을 때 cGMP 농도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은 사람의 음경발기 기전과 동일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흰쥐의 동물실험에서 음경발기 기전에 직접 관여하는 2가지 대표적 효소(흥분성 신경계와 혈관계 NO 생성 효소)의 발현 및 활성 조절 효과를 가지고 세포 내 2차 신호전달 물질로 알려진 cGMP 농도의 증가를 촉진시키며, 또한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을 증가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50, 100, 200, 300 ㎎/㎏)을 고지혈증 유발된 실험동물에 8주간 경구투여한 후, 혈중 콜레스테롤, HDL-C 및 LDL-C 등을 측정하여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용량별로 측정하였으며, 음경발기 촉진 및 지속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웨스턴 블롯팅으로 NOS 단백질 발현 정도를 관찰하고, 최대해면체 내압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을 투여한 모든 군에서 고지방 식이군보다 혈중 총콜레스테롤과 LDL-C의 수치가 낮아졌고, HDL-C의 수치가 높아졌으며, eNOS 및 nNOS 단백질 발현이 증가되었고, 최대해면체 내압에 도달하는 평균시간이 단축되었으며, 최대해면체 내압 (ICP)의 수치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은 단순히 음경의 발기만을 유지시켜주는 치료 효과뿐만 아니라, 신체의 NO의 생체이용성을 높이면서 고지혈증이 수반된 모든 병태생리를 조절하여 자연적인 발기능의 유지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단순한 발기부전뿐만 아니라 고지혈증에 기인한 발기부전의 예방 또는 치료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과 함께 발기부전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갖는 공지의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당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 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상기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의 일일 투여량은 약 1~500 ㎎/㎏, 바람직하게는 약 50~300 ㎎/㎏이며, 하루 일회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발기부전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호르몬 치료, 약물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생약재 열수 추출물의 제조
1. 단독 생약재 열수 추출물
산수유, 구기자, 복분자, 토사자, 오미자, 산사, 쇄양, 육종용, 구자, 사상자, 희첨 등 11종의 생약재를 깨끗이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건조시킨 다음, 핸드믹서(hand mixer)로 곱게 분쇄하였다. 상기 분쇄된 생약재 각각 10 g을 100㎖의 증류수에 넣고 90℃에서 2시간 동안 환류 하에 가열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여과액은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여과액의 1/10배 부피까지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분말 형태의 단독 생약재 열수 추출물을 얻었다.
하기 실험예 1에 따라 11종의 단독 생약재 열수 추출물의 cGMP 농도를 측정한 결과, 복분자 열수 추출물, 산수유 열수 추출물 및 토사자 열수 추출물에서 cGMP 활성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표 1).
2.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
상기 단독 생약재 열수 추출물 중 cGMP 활성이 우수한 복분자 열수 추출물, 산수유 열수 추출물 및 토사자 열수 추출물을 선별하여 이들 생약재 열수 추출물을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였다.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의 조성비와 cGMP 농도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 본 발명에 따른 생약재 열수 추출물의 cGMP 농도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생약재 열수 추출물의 cGMP 농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1-1. 생약재 열수 추출물의 cGMP 농도 측정
GMP T 평활근 세포 (Smooth muscle cell) 수를 세어 100 ㎜ 또는 60 ㎜ 접시로 옮겨 접종한 후 70 내지 80 % 정도 배양한 후, 24시간 동안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11종의 단독 생약재 열수 추출물로 처리하였다. 배지와 세포를 분리하여 배지는 cGMP 정량의 시험시료에 사용하였다. 표준물질(500, 100, 20, 4, 0.8, 0 pmol/㎖)과 시험시료를 준비한 후 표준물질과 시험시료를 각각 배양배지에 담긴 e-튜브에 200 ㎕씩 담았다. Goat anti-rabbit IgG microplate에 표준물질과 시험시료를 100 ㎕씩 가하고, 각 웰(well)에 cGMP 컨쥬게이트(50 ㎕)와 cGMP 항체 용액(50 ㎕)을 가한 후, horizontal orbital microplate shaker에서 2시간 동안 실온에서 반응시켰다. 이 플레이트의 용액을 버리고 세척완충용액으로 세척한 후, 200 ㎕ pNPP(p-nitrophenyl phosphate) 기질을 가한 후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50 ㎕의 반응 정지용액을 가한 후 ELISA 판독기로 흡광도(405 ㎚)를 측정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는 증류수를 사용하였고, 양성 대조군으로는 실데나필 50 μM을 사용하였다.
11종의 단독 생약재 열수 추출물의 cGMP 농도는 표 1에 나타내었으며, 이들 중 cGMP 활성이 우수한 3종의 생약재를 선별하여 적절한 비율로 혼합한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의 cGMP 농도는 표 2에 나타내었다.
명명 생약재 cGMP (pmole/㎎)
KH 100 산수유 3.59
KH 101 구기자 2.32
KH 102 복분자 5.71
KH 103 토사자 3.47
KH 104 오미자 1.43
KH 105 산사 0.86
KH 106 쇄양 1.89
KH 107 육종용 1.56
KH 108 구자 0.69
KH 109 사상자 1.23
KH 110 희첨 0.83
음성 대조군(증류수) 0.75
명명 조성비(%) cGMP (pmole/㎎)
복분자 산수유 토사자
KH 200 100 100 - 3.21
KH 201 100 - 100 4.03
KH 202 - 100 100 3.76
KH 203 10 20 70 3.57
KH 205 20 30 50 2.59
KH 206 30 40 30 5.36
KH 207 40 50 10 5.23
KH 208 50 40 10 6.77
KH 209 60 30 10 4.35
KH 211 70 20 10 7.62
KH 212 80 10 10 7.45
KH 300 10 70 20 5.12
KH 301 10 60 30 5.46
KH 302 10 50 40 5.31
KH 303 10 60 40 5.46
KH 304 20 40 40 5.44
KH 305 50 30 20 9.38
KH 306 50 10 40 5.42
KH 307 50 20 30 8.74
양성 대조군 실데나필 (50 μM) 10.35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11종의 단독 생약재 열수 추출물의 cGMP 농도를 측정한 결과, 복분자 열수 추출물, 산수유 열수 추출물 및 토사자 열수 추출물에서 cGMP 활성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cGMP 활성이 우수한 복분자 열수 추출물 10~80 중량%, 산수유 열수 추출물 10~70 중량% 및 토사자 열수 추출물 10~70 중량%을 혼합하였을 때 cGMP 활성이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이 중에서 특히 복분자 열수 추출물 50 중량%, 산수유 열수 추출물 30 중량% 및 토사자 열수 추출물 20 중량%로 포함될 때 cGMP 활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1-2. 본 발명의 생약재 열수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cGMP 농도 측정
상기 1-1에서 cGMP 활성이 가장 우수한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을 농도별 (25, 50, 100 ㎍/㎖)로 처리하였을 때 세포 내에서의 cGMP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1-1의 방법과 동일하게 실험을 수행하였다.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 및 양성 대조군에서 cGMP 농도가 증가하였으며, 이 중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 25 ㎍/㎖을 처리한 군에서 cGMP 농도가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이는 본 발명의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이 세포 내 cGMP의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흥분성 신경계 및 혈관계 NO 생성효소의 발현을 증가시키거나 PDE-5 발현을 억제시켜 음경해면체 평활근 세포의 이완을 촉진시키거나 수축을 억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실험예 2 :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의 발기부전에 관련된 합성효소의 단백질 발현 및 남성 호르몬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생약재 열수 추출물의 발기부전에 관련된 합성효소의 단백질 발현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2-1. 단독 생약재 열수 추출물 및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의 흰쥐의 음경조직에서의 신경계 NO 합성효소( nNOS ) 및 혈관계 NO 합성효소( eNOS ) 발현 정도
실험동물로 16주령의 360g의 흰쥐를 (주) 샘타코 바이오(오산, 한국)에서 제공받아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복분자 열수 추출물, 산수유 열수 추출물, 토사자 열수 추출물 및 이들의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KH 305)을 10일간 100 ㎎/㎏ 농도로 흰쥐의 음경조직에 경구투여하여 신경계 NO 합성효소(nNOS) 및 혈관계 NO 합성효소(eNOS) 발현 정도를 웨스턴 블롯팅으로 확인하였다.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이 단독 생약재 열수 추출물보다 신경계 NO 합성효소(nNOS) 및 혈관계 합성효소(eNOS) 발현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2-2. 본 발명의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흰쥐의 음경조직에서의 신경계 NO 합성효소( nNOS ) 및 혈관계 NO 합성효소( eNOS ) 발현 정도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KH 305)을 10일간 농도별로(50, 100, 200, 300 ㎎/㎏) 흰쥐의 음경조직에 경구투여하여 신경계 NO 합성효소(nNOS) 및 혈관계 NO 합성효소(eNOS) 발현 정도를 웨스턴 블롯팅으로 확인하였다.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은 음성 대조군 및 양성 대조군에 비해 신경계 NO 합성효소(nNOS) 및 혈관계 NO 합성효소(eNOS) 발현을 증가시켰다. 특히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 50 ㎎/㎏ 투여군에서 eNOS 및 nNOS 발현이 가장 뚜렷하였다.
2-3. 본 발명의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흰쥐의 음경조직에서의 SOD ( superoxide dismutase )/ Mn SOD / Cu 단백질 발현 정도
과도한 NO는 유리 라디칼인 superoxide anion과 반응하여 독성중간 물질인 peroxynitrite를 형성한다. 일부 NO의 반응으로 생긴 peroxynitrite로 세포 내 SOD/Cu, 사립체 안의 SOD/Mn를 조절함으로써, 세포 내 단백질 변성 및 세포 내 신호전달 장애를 예방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KH 305)을 10일간 농도별로(50, 100, 200, 300 ㎎/㎏) 흰쥐의 음경조직에 경구투여하여 SOD와 약물과의 단백질 발현 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은 음성 대조군 및 양성 대조군에 비해 SOD/Mn 및 SOD/Cu 단백질 발현 정도를 증가시켰다. 특히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을 200 ㎎/㎏ 이상 투여하였을 때 SOD/Mn 및 SOD/Cu 단백질 발현 정도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2-4. 본 발명의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흰쥐의 혈청에서의 테스토스테론( testosterone )의 농도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KH 305)을 10일 동안 농도별로(50, 100, 200, 300 ㎎/㎏) 흰쥐의 혈장 내에 경구투여하여 혈장 내 테스토스테론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은 음성 대조군 및 양성 대조군에 비해 혈장 내 테스토스테론의 농도가 증가하였으며,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생약재 추출물은 일반 흰쥐의 음경조직에서 nNOS 및 eNOS 발현을 증가시키고, SOD/Mn 및 SOD/Cu 발현을 증가시키며, 테스토스테론의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음경발기를 촉진시키고 발기부전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 고지혈증 유발된 흰쥐에서 본 발명의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의 혈중 총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측정
본 발명의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의 고지혈증 유발된 흰쥐에서의 혈중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수치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3-1. 식이성 고지혈증 유도 및 시료의 투여
실험동물로 16주령의 360g의 흰쥐 48마리를 (주) 샘타코 바이오(오산, 한국)에서 제공받았으며, 8마리씩 6개 그룹으로 나누었다. 1개의 군은 정상군(normal)으로 하여 일반식이 사료를 공급하였으며, 5개의 실험군에는 1.5% 콜레스테롤, 0.25% 콜린산(cholic acid) 및 25% 우지(lard)를 첨가하여 조제한 고지방 식이를 4주 동안 자유 공급하여 식이성 고지혈증을 유도하였다.
정상군에는 1㎖의 증류수를 투여하였고, 실험군 중 하나의 군에는 1㎖의 증류수를 투여하였고, 나머지 4개의 군에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50, 100, 200, 300 ㎎/㎏)을 1㎖의 증류수에 녹여 주사 존데(needle zonde)를 이용하여 8주간 하루에 한 번씩 경구투여 하였다.
1) 정상군,
2) 고지방 식이군,
3) 고지방 식이군 +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 50㎎/㎏,
4) 고지방 식이군 +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 100 ㎎/㎏,
5) 고지방 식이군 +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 200 ㎎/㎏,
6) 고지방 식이군 +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 300 ㎎/㎏,
3-2. 단독 생약재 열수 추출물과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을 투여한 고지혈증 유발된 흰쥐에서의 혈중 총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측정
상기 고지방 식이로 사육된 흰쥐에서 고지혈증이 유도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안와정맥에서 채혈하였고, 실험이 완료된 후에는 흰쥐의 복부 대동맥으로부터 혈액을 채혈하였다. 채혈 시 12시간 동안 금식시키고 37℃에서 2시간 응고시킨 후 혈청을 15000rpm으로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사용하였다. 콜레스테롤 측정은 Richmon의 효소법, 고밀도 지질 콜레스테롤(HDL-C) 측정은 Noma 등의 효소법에 의한 시판 Kit(아산 제약, Korea)를 사용하였으며, UV 흡광도는 500㎚에서 측정하였다. 저밀도 지질 콜레스테롤(LDL-C)은 Fridewald formula에 따라 다음 식으로 계산하였다.
저밀도 지질 콜레스테롤(LDL-C) = 총콜레스테롤 - [고밀도 지질 콜레스테롤(HDL-C) - (중성지방/5)]
결과는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은 단독 생약재 열수 추출물보다 고지혈증 관련 지표인 총콜레스테롤 및 LDL-C의 수치가 더 감소하였고, HDL-C의 수치가 더 증가하였다.
3-3. 본 발명의 복합 생약재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고지혈증 유발된 흰쥐에 서의 혈중 총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측정
고지방 식이군에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을 농도별(50, 100, 200, 300 mg/kg)로 8주간 경구투여한 후, 혈중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 수치를 각 군간 비교하였다.
결과는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지방식이를 30일 동안 섭취시켰을 때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는 고지방식이 5개의 군과 음성대조군과의 유의한 차이를 보여 고콜레스테롤혈증이 유발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을 농도별(50, 100, 200, 300 mg/kg)로 8주째 경구투여한 후,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 투여군은 고지방 식이군보다 총콜레스테롤 및 LDL-C의 수치가 감소하였고, HDL-C의 수치가 증가하였다. 그 중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 50 mg/kg 투여군의 총콜레스테롤이 86.7±28.5 mg/dL 이고, 고지방 식이군의 총콜레스테롤은 154.9±44.6 mg/dL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 50 mg/kg 투여군이 고지방 식이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감소를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 200 mg/kg 투여군의 HDL-C이 38.1±6.3 mg/dL 이고, 고지방 식이군의 HDL-C은 15.8±9.6 mg/dL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 200 mg/kg 투여군이 고지방 식이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실험예 4 : 고지혈증 유발된 흰쥐에서 본 발명의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음경조직 내 단백질 NOS 발현 정도
본 발명의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고지혈증 유발된 흰쥐에서의 음경조직 내 단백질 NOS 발현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4-1. 조직 채취 및 효소원 제조
사육기간 종료 후 에테르로 채워진 데시케이터로 흰쥐를 마취시킨 후, 하복부를 절개하여 복부 대동맥으로부터 혈액을 채혈하고 희생시킨 다음, 음경과 고환을 적출하였다. 적출한 조직은 0.9% 생리식염수로 혈액을 씻고 여과지로 염용액을 제거한 뒤 무게를 측정한 다음, 즉시 액체 질소에서 급속 동결하였다. 한편 채혈된 혈액은 헤파린 처리된 튜브로 즉시 옮겨 담고, 2500 rpm (4℃)에서 15분간 원심 분리하여 혈장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혈장과 장기는 사용 전까지 -70℃에서 보관하였다. 조직 내 효소원 제조는 200 nM Hepes, 320 mM sucrose, 1 mM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1 mM dithiothreitol (DTT), 10 g/㎖ leupeptin, 2 g/㎖ aprotinin, 1 g/㎖ pepstatin, 10 g/㎖ trypsin inhibitor, 1 mM phenylmethylsulfonylfluoride (PMSF) 용액에서 균질화 시킨 후 원심분리하여 (4℃, 10000 rpm, 15분간) 상층액을 단백질 정량 후 -70℃에 보관하였다.
4-2. 웨스턴 블롯팅( Western blotting )
소혈청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BSA)을 사용한 브래드포드(Bradford) 방법을 이용하여 정량한 단백질 30g을 95℃에서 5분간 변성시킨 후, 12% 불연속 SDS-PAGE(discontinuous sodium dodecylsulfate) - 폴리아크릴아미드겔 (polyacrylamide gel)에서 전기영동 하였다. 전기영동된 단백질은 25 volt에서 2시간 30분 동안 0.2 m 폴리-비닐리덴디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difluoride, PVDF, Amershambioscience, USA) 막에 이동시켰다. 전기영동된 막은 억제 완충액 (blocking buffer; 5% 탈지분유 in TBS-T buffer)으로 30분간 실온에서 반응하여 차단하였다. eNOS(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 nNOS(neuronal nitric oxide synthase) (BD Biosciences, USA) 각 항체들을 2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TTBS(Tris-Tween buffered saline)를 사용하여 10분 간격으로 3회 세척하였다. 2차 항체 anti-mouse IgG-HRP, anti-goat IgG-HRP (1:2,000 희석) (Zymed Laboratories, USA)를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세척단계를 거쳐 다시 한번 TTBS로 5분간 6회 세척하였다. 발색제인 ECL(enhanced chemiluminescence) 용액으로 2분간 반응하고 필름에 감광하여 나타난 밴드(band)의 두께를 비교하여 단백질 발현 유무 및 그 차이를 확인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비아그라의 주성분인 실데나필 1㎎/㎏을 고지방 식이군에 투여하여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 및 단독 생약재 열수 추출물의 고지혈증 유발된 흰쥐에서의 음경조직 내 단백질 NOS 발현 정도는 도 8에 나타내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고지혈증 유발된 흰쥐에서의 음경조직 내 단백질 NOS 발현 정도는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이 투여된 고지혈증 유발된 흰쥐에서의 음경조직 내 단백질 NOS 발현이 단독 생약재 열수 추출물 투여군보다 더 우수하게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을 투여한 고지혈증 유발된 흰쥐에서의 음경조직 내 단백질 NOS 발현이 양성대조군(실데나필)에 비해 더 우수하게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이는 실데나필이 NOS 효소 발현 증가 기전이 아니라 cGMP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발기를 유지시키는 약물이므로 당연한 결과로 생각하며, 이러한 결과는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의 다기전으로 설명될 수 있다. 고지혈증 및 고콜레스테롤증은 내피세포 의존인자(EDRF) 중 하나인 산화질소 생성체계에 장애를 일으키며 발기부전을 일으키는데,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은 eNOS와 nNOS 단백질 발현 정도를 증가시킴으로써 혈관성 발기부전의 개선에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판단된다.
실험예 5 : 고지혈증 유발된 흰쥐에서 본 발명의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음경해면체 최대내압 측정
본 발명의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고지혈증 유발된 흰쥐에서의 음경해면체 최대내압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졸레틸(Zoletil) 0.2 ㎖를 고지혈증 유발된 흰쥐의 복강 내에 주사하여 전신마취를 유도한 후 기관절개를 통해 기도관(PE 240 polyethylene tube)을 삽입하여 기도를 확보하였다. 우측 경동맥에 폴리에틸렌관(PE-50 polyethylene tube)을 삽입한 후, 하복부부터 귀두표피까지 정중앙으로 피부를 절개하여 복강과 음경해면체까지의 피하조직들을 노출시킨 다음 우측 음경해면체에 23G 바늘을 삽입하여 폴리에틸렌관을 통해 압력변환기와 생리기록기에 연결하여 전신혈압과 음경해면체 내압을 동시에 측정하였다. 전산 데이터 처리시스템으로 iwory를 사용하였으며, 모든 관들은 250 U/㎖의 헤파린 처리를 하여 사용하였다. 노출된 하복부에서 방광과 전립선을 조심스럽게 박리한 다음, 우측 전립선의 후외부에 위치한 골반신경총과 해면체 신경을 확인하여 전기자극을 위해 갈고리 모양의 바늘전극을 걸었다. 10V, 2.4 mA 전기자극 후 해면체 내압과 전신혈압을 동시에 측정하였다. 실험군을 비교하는 주요 발기능의 지표로는 최대해면체 내압(intracavernosal pressure, ICP), 및 최대해면체 내압 / 평균동맥혈압(ICP/mean arterial pressure, ICP/MAP) 이었다. 해면체 신경자극을 마친 후 혈액을 3cc 채혈하고 음경과 고환을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하고, 액체 질소에 보관하였다.
결과는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 투여군의 최대해면체 내압에 도달하는 평균시간은 고지방 식이군에 비해 유의하게 단축되어 정상군과 차이가 없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 투여군은 고지방 식이군에 비해 최대해면체 내압(ICP)의 증가를 보였으며, 그 중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 300 mg/kg을 투여한 군에서 가장 유의성이 있었다. 최대해면체 내압 / 평균동맥혈압(ICP/MAP) 또한 정상군 >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 300 mg/kg 투여군 >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 50 mg/kg 투여군의 순으로 뚜렷한 증가를 보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이 실제로 음경 내에서 작용하며 발기능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직접적인 증거를 제시할 수 있었다.
하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제제예를 예시한다.
제제예 1 : 산제의 제조
실시예 1의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 2g
유당 1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의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 100㎎
옥수수전분 100㎎
유 당 1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 캡슐제의 제조
실시예 1의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 100㎎
옥수수전분 100㎎
유 당 1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은 cGMP 농도를 증가시키고, 일반 흰쥐에서 nNOS 및 eNOS 발현, SOD/Mn 및 SOD/Cu 발현, 및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의 농도를 증가시키며, 고지혈증 유발된 흰쥐에서 혈중 총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HDL-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며, 신경계 및 혈관계 NOS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최대해면체 내압을 증가시킴으로, 단순히 음경의 발기만을 유지시켜주는 치료 효과뿐만 아니라, 신체의 NO의 생체이용성을 높이면서 고지 혈증이 수반된 모든 병태생리를 조절하여 자연적인 발기능의 유지를 가능하게 해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생약재 열수 추출물은 단순한 발기부전뿐만 아니라 고지혈증에 기인한 발기부전의 예방 또는 치료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

  1. 복분자 열수 추출물 50~80 중량%, 산수유 열수 추출물 10~40 중량% 및 토사자 열수 추출물 10~30 중량%를 포함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기부전은 고지혈증에 기인한 발기부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060138263A 2006-12-29 2006-12-29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0758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8263A KR100758364B1 (ko) 2006-12-29 2006-12-29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8263A KR100758364B1 (ko) 2006-12-29 2006-12-29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8364B1 true KR100758364B1 (ko) 2007-09-14

Family

ID=38737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8263A KR100758364B1 (ko) 2006-12-29 2006-12-29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83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2984A2 (ko) * 2011-09-23 2013-03-28 씨제이제일제당(주) 복합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발기부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684B1 (en) * 2002-09-04 2002-12-16 Korea Medical Science Inst Composition containing plant extract for promoting and maintaining erection
KR100466580B1 (ko) * 2004-05-20 2005-01-15 알앤엘생명과학주식회사 복분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방지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684B1 (en) * 2002-09-04 2002-12-16 Korea Medical Science Inst Composition containing plant extract for promoting and maintaining erection
KR100466580B1 (ko) * 2004-05-20 2005-01-15 알앤엘생명과학주식회사 복분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방지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2984A2 (ko) * 2011-09-23 2013-03-28 씨제이제일제당(주) 복합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발기부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WO2013042984A3 (ko) * 2011-09-23 2013-06-13 씨제이제일제당(주) 복합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발기부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30447B2 (ja) 緑茶抽出物を含有する組成物
US20060159773A1 (en) Herbal compositions containing hoodia
JP2020172523A (ja) ユウリコマ・ロンギフォリア抽出物並びに免疫系の増強及び/又は刺激におけるその使用
KR100686951B1 (ko) 항산화 작용을 가지는 남성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조성물
US7135199B2 (en) Alcohol-fermented food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of obesity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CN117599140A (zh) 一种降血糖、降血压、降血脂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与应用
KR100516180B1 (ko) 항고지혈증 조성물
KR20100129571A (ko) 정자수 증가와 환경호르몬 예방효과를 갖는 성기능 개선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성기능 개선용 식품
KR100786122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511364B1 (ko) 복합 생약재를 이용한 비만 및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CN103977390B (zh) 一种生姜洋葱药酒组合物的制备方法及其用途
KR101160088B1 (ko) 알코올성 지방간과 고지혈증 억제 및 숙취 억제 조성물
KR20140101520A (ko) 남성 성기능 개선 및 불임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758364B1 (ko)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040108512A (ko)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발기부전 치료용 조성물
RU2408383C1 (ru) Композиция с противоопухолевой и адаптогенной активностью (варианты) и лекарственный препарат на ее основе (варианты)
KR101614431B1 (ko) 남성 성기능 개선 및 불임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679290B1 (ko) Hgd­sj­201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761938B1 (ko) 고지혈증 및/또는 고혈압에 기인한 발기부전 예방 또는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13115534A1 (ko) 다발성 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95459B1 (ko)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100496622B1 (ko) 비만 억제를 위한 알콜 발효 식품 또는 약학적 조성물 및그의 제조방법
JP2000342228A (ja) ヤーコン・桑葉配合茶
CN112384235A (zh) 包含天然混合提取物的用于预防或治疗肥胖症的组合物
CN109394885A (zh) 一种抗非酒精性脂肪肝的中药制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