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6580B1 - 복분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방지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복분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방지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6580B1
KR100466580B1 KR1020040035875A KR20040035875A KR100466580B1 KR 100466580 B1 KR100466580 B1 KR 100466580B1 KR 1020040035875 A KR1020040035875 A KR 1020040035875A KR 20040035875 A KR20040035875 A KR 20040035875A KR 100466580 B1 KR100466580 B1 KR 100466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composition
bokbunja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5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정찬
강경선
이종은
박형근
이항영
최미경
Original Assignee
알앤엘생명과학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앤엘생명과학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알앤엘생명과학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5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65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6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65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만 방지 또는 치료 효과를 갖는 복분자(Rubus coreanusMiquel, Rubi Fructus) 함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복분자 함유 조성물은 탄수화물 및 지방분해효소를 억제하므로 비만 방지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복분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방지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COMPRISING AN EXTRACT OF RUBUS COREANUS MIQUEL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복분자(Rubus coreanusMiquel, Rubi Fruct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방지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의 경제가 발전하고 국민의 식생활이 서구화되는 경향을 갖게 됨에 따라서 일상생활의 활동량과 운동량이 부족하게 되는 반면에 섭취 열량은 과다해지면서 비만증 발생이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과체중을 포함한 비만증 환자가 전체 국민의 약 10 내지 20%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며, 이로 인해 비만증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예로부터 비만증은 만병의 근원이라 하였는데,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관절염, 뇌졸중, 지방간 및 심장병 등 성인병의 원인이 된다고 밝혀져 있어서(Vague J., Am. J. Clin. Nutr., 4, 20-34, 1954; G. B. Hue, Korean J. Nutr., 23(5), 333-336, 1990) 비만증을 하나의 증상으로 간과하기보다는 예방과 철저한 치료가 이루어져야 하는 질병으로 여기고 있다. 특히 고혈압,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 및 고지혈증 환자는 비만의 정도가 심할수록 병의 상태가 심각해짐을 볼 수 있고, 비만증 환자의 체중이 감소하면 이러한 병의 상태가 호전되었음이 보고된 바 있다(Hubert H. B. 등, Circulation, 67, 968-977, 1983; Van Itallie T. B., Ann. Intern. Med., 103, 983-988, 1985).
비만증은 일반적으로 신체의 에너지 요구량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섭취하여 체지방이 축적되어서 체중이 증가하는 상태로서, 각종 호르몬과 기타 조절 작용에 의해 지방세포 내 과도한 지방이 축적된 병태를 말한다. 비만증에서 볼 수 있는 가장 유의적인 변화는 지방세포의 수와 크기의 증가인데, 현재까지도 지방세포가 어떤 기전으로 비만이나 체중과다에 관여하는지는 확실히 밝혀지지 않은 현실이다.
이러한 비만증을 방지하고 체중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섭취 열량을 줄이고운동을 통한 소비 열량을 늘려 체내에 피하지방이 축적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에 열량이 적으면서 공복감을 없애주는 식이섬유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식이섬유는 고분자의 난소화성 성분으로, 체내에서 소화관의 운동을 촉진하며, 동맥경화나 비만 및 체중감소에도 효과가 있다고 보고 되고 있다. 이외에도 천궁의 열수 추출액, 누에고치, 구기자 및 고추장과 같은 다양한 식품을 이용하여 비만 치료 효과를 달성하려는 연구가 있어 왔다.
한편, 복분자(Rubus coreanusMiquel, Rubi Fructus)는 여름에 과실이 미숙할 때 채취하여 끓는물에 약간 익힌 다음 양건한 것으로, 한방에서는 신장기능, 불임증, 음위증, 유정몽설 및 강정제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복분자의 비만 방지 또는 치료 효과는 보고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비만 방지 또는 치료 효과가 있는 약물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하던 중, 안전하고 독성이 없으며 다양한 약리 작용을 하는 복분자(Rubus coreanusMiquel, Rubi Fructus)가 탄수화물 및 지방분해효소를 저해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분자(Rubus coreanusMiquel, Rubi Fructus) 추출물, 차가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방지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음성대조군, 아카보스(Acarbose), 차가버섯 및 복분자 추출물의 탄수화물 분해효소 저해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음성대조군, 오를리스타트(상품명: Xenical), 차가버섯 및 복분자 추출물의 지방 분해효소 저해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 제조예 1에 따른 복분자 추출물의 엑기스가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래트의 무게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 제조예 2에 따른 복분자 추출물의 다이어트 음료를 섭취한 사람의 시간에 따른 허리 및 복부 둘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복분자 추출물, 차가버섯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비만 방지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만 방지 또는 개선 효과를 위한 유효성분으로서 복분자 추출물 및 차가버섯 추출물을 포함한다. 복분자 추출물은 30 내지 50 메쉬로 분쇄한 복분자를 3 내지 6배 중량비의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48 내지 72 시간 동안 초음파 분쇄기를 이용하여 추출하거나 4 내지 7 시간 동안 환류추출한 후, 필요에 따라 0.1 내지 10㎛ 필터로 여과한 후 60 내지 80℃ 온도에서 24 내지 60 시간 동안 5 내지 10배 감압농축하여 30℃ 이하로 냉각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사용가능한 추출물의 품질은 20 내지 50 브릭스(brix)이다. 이 때 유기용매로는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필 알콜과 같은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50% 이상 수용액, 또는 주정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주정 또는 70% 에탄올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탄수화물 및 지방분해효소를 저해함으로써 탄수화물과 지방의 장관내 흡수를 막아 비만 방지 및 치료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리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다른 생약재 또는 그의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추출 방법에 따라 생약재의 추출물을 제조한 후 약학 조성물에 가하거나 복분자와 생약재를 혼합한 후 상기 방법으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조성물에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추가될 수 있는 생약재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임의의 생약재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수화물 및 지방 분해효소를 억제하는 차가버섯, 성장호르몬 분비를 촉진하는 오가피 및 인진쑥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배합하여사용할 수 있다.
복분자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50 내지 8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전체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20 중량%의 차가버섯, 5 내지 20 중량%의 오가피 및 3 내지 15 중량%의 인진쑥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제형으로 비만 방지 및 치료를 위한 약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복분자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기능성 코팅 곡류, 껌, 차, 비타민 복합제, 엑기스 등과 같은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복분자 추출물 자체는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 또는 화합물은 비만 방지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 또는 화합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를 기준으로 0.02 내지 1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고, 기능성 코팅 곡류는 곡류 100g를 기준으로 상기 추출물을 1 내지 3g의 양으로 곡류에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는 액체성분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를 기준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곡류로는 백미, 현미, 보리, 조, 수수, 찹쌀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추출물을 곡류 100g당 1 내지 3g의 양으로 곡류에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30 내지 60℃에서 30분 내지 2시간 건조함으로써 비만 방지 또는 치료 효과를 갖는 기능성 코팅 곡류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이용하여 죽, 밥, 떡 및 즉석밥 등 다양한 곡류 가공품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쥬스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탄수화물 분해효소 저해 추출물의 제조
복분자 및 차가버섯(구입처: 신현대한의원, 서울) 각 200 내지 250g를 30 내지 50 메쉬로 분쇄한 후, 2ℓ의 증류수와 함께 80 내지 100℃ 온도로 최종 부피가 1ℓ가 되도록 중탕하여 추출하였으며 이 시료를 30℃ 이하로 냉각하여 사용하였다.
기질로서 2mM의 p-니트로페닐-α-D-글루코피라노사이드 0.27㎖(시그마, 미국)에 조효소 α-글루코시다아제 0.03㎖를 함유하는 20mM 인산완충용액(pH 7.0) 0.2㎖, 및 복분자 및 차가버섯 추출물을 각 0.1㎖씩 가하여, 37℃ 항온조(비전과학, 한국)에서 30분간 배양한 후, 1M 글라이신-수산화나트륨(pH 9.0) 0.5㎖로 반응을 정지시켰다. 반응 혼합액을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 0.2㎖를 취한 후, 96 웰 플레이트(눈크(Nunc), 덴마크)에 넣어 ELISA Reader(선라이즈(SUNRISE) TECAN, U.S.A.)를 이용하여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음성대조군은 기질에 α-글루코시다아제를 처리 후 저해물질로서 증류수를 처치한 군이고, 양성대조군은 기질에 α-글루코시다아제를 처리한 후 α-글루코시다아제를 저해하는 약물인 아카보스(Acarbose; 종근당 바이오)를 처치한 군이다. 저해율은 음성대조군의 흡광도를 저해율 0%로 정할 때 저해물질로서 다른 물질을 처치한 실험군들의 흡광도를 상대적으로 계산하였다.
음성대조군, 양성대조군(아카보스), 차가버섯 및 복분자의 탄수화물 분해효소 저해 정도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가버섯 및 복분자 모두 현재 약물로 사용되고있는 약물인 양성대조군에 비하여 우수한 탄수화물 분해효소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지방 분해효소 저해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분자 및 차가버섯 추출물을 제조한 후, 기질로서 올리브유(백설, 한국)에 지방분해효소로서 돼지 췌장 리파제(시그마, 미국), 및 복분자 및 차가버섯 추출물을 각 0.1㎖씩 가한 후, 생성된 지방산을 페놀프탈레인 지시약을 사용하여 1N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정량하였다. 음성대조군은 기질에 돼지 췌장 리파제를 처리한 후 저해물질로서 증류수를 처치한 군이고, 양성대조군은 리파제 저해제로 사용되는 오를리스타트(Orlistat, 상품명: 제니칼(Xenical))를 처치한 군이다. 음성대조군, 양성대조군(오를리스타트), 차가버섯 및 복분자의 지방 분해효소 저해 정도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가버섯 및 복분자 모두 현재 약물로 사용되고 있는 약물인 양성대조군에 비하여 우수한 지방 분해효소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제조예 1: 복분자 추출물의 엑기스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분자, 차가버섯, 오가피 및 인진쑥 추출물을 각각 제조한 후, 복분자 추출물 70 중량%, 차가버섯 추출물 10 중량%, 오가피 추출물 10 중량% 및 인진쑥 추출물 10 중량%를 혼합하여 엑기스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복분자 추출물의 다이어트 음료의 제조
전체 중량 기준으로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엑기스 3.1 중량%, 설탕 5 내지 10 중량%, 구연산 0.05 내지 0.3 중량%, 캬라멜 0.005 내지 0.02 중량% 및 비타민C 0.01 내지 1 중량%의 첨가물을 혼합하고, 여기에 86 내지 95 중량%의 정제수를 균질하게 섞은 후, 순간살균을 하여 이를 유리병, 페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다이어트 음료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 기능성 코팅 곡류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수득한 복분자 조성물의 엑기스를 이용하여 백미 100g당 1.5g의 양으로 백미를 코팅하였다. 코팅은 혼합기(입수처: (주)RNL 생명과학) 또는 코팅기(입수처: 창이엔지)를 이용하며, 혼합기를 사용할 경우는 침지 혼합 후 50 내지 55℃에서 2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코팅기를 사용할 경우는 코팅 조성물을 분사하여 건조하면서 코팅 건조하였다.
실시예 3: 복분자 추출물 엑기스의 비만 방지 및 치료 효과
체중 200g 내외의 3주령 SPF 스프라그-다울리 래트(Sprague Dawley rat, 샘타코 바이오 코리아 주식회사) 수컷을 7일간 온도 23±1℃, 상대습도 55±15% 및 조도 300~500 Lux에서 12시간 간격으로 명암이 조절되는 동물 사육실에서 순화(실험 동물용 고형사료(삼양사) 및 물은 자유롭게 섭취시킴)시킨 후, 발육이 정상이고 건강한 래트를 10마리씩 3군에 배정하였다. 시험은 4주령부터 시작했는데, 음성대조군은 일반 사료만을 섭취시켰고, 양성대조군은 일반사료에 20% 라드를 혼합하여 제조한 사료로 고지방 식이를 섭취시켰으며, 시험군은 양성대조군과 같은 고지방 식이에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엑기스를 3 중량% 첨가하여 섭취시켰다. 20주 동안 각 군의 무게, 음수량 및 사료 섭취량을 매주 측정하였으며, 시험 종료 후에 래트 혈중의 총콜레스테롤양 및 총트리글리세라이드양을 측정하였다.
각 군 사이의 유의성은 분산분석(ANOVA)을 구한 후, 던칸 멀티플 레인지 테스트(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2, 그리고 도 3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은 복분자 추출물 엑기스의 래트 무게 증가에 대한 영향을, 하기 표 2는 복분자 추출물 엑기스의 총콜레스테롤양 및 총트리글리세라이드양에 대한 영향을 나타낸다.
일반사료(일반 식이) 사료+20% 라드(고지방 식이) 사료+20% 라드+엑기스(고지방 식이+제조예 1)
1주 (g) 135.5±3.37 129.63±5.67 127.58±2.8
20주 (g) 617.1±30.60b 647.7±34.15a 604.6±36.62b
체중 증가율 455.42%b 500.05%a 473.90%b
(a 및 b: 통계적 유의성)
일반사료(일반 식이) 사료+20% 라드(고지방 식이) 사료+20% 라드+엑기스(고지방 식이+제조예 1)
총콜레스테롤 31.3±3.20b 38.8±4.02a 24.8±3.81c
총트리글리세라이드 65.0±25.37b 93.3±14.31a 60.00±19.00c
(a, b 및 c: 통계적 유의성)
도 3을 살펴보면, 고지방 식이군에 본 발명 제조예 1의 엑기스를 함께 섭취시킨 군의 경우 일반 식이군과 유사하거나 다소 낮은 체중 증가율을 보였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엑기스의 섭취가 비만이 유도된 래트의 무게 감소에 효과적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상기 표 1에서, 고지방 식이군에 본 발명에 따른 엑기스를 같이 섭취시킨 군은 고지방 식이군에 비하여, 최종 체중 및 체중 증가율에 있어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주었다. 또한, 상기 표 2를 살펴보면, 고지방 식이군에 본 발명에 따른 엑기스를 같이 섭취시킨 군은 고지방 식이군 뿐만 아니라 일반 식이군에 비하여도 혈중 총콜레스테롤 및 총트리글리세라이드의 양에 있어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준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복분자 추출물의 엑기스는 혈중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양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복분자 추출물 함유 다이어트 음료 및 기능성 코팅 곡류의 비만 방지 및 치료 효과
평균 체중 62 내지 65kg의 20대 여성 60명에게 75일간 제조예 2에서 제조한 다이어트 음료 1일 1병(300㎖)을 하루 2 내지 3회에 나누어, 식사할 때 함께 먹게 하였다. 또한 평균 체중 62 내지 65kg의 20대 여성 30명에게 30일간 실시예 5에서 제조한 코팅쌀 60g을 하루 1 내지 2회에 나누어 먹도록 하였다.
상기 다이어트 음료의 섭취 전과 후의 체중을 측정한 결과, 섭취전 평균 62kg이던 체중이 75일 동안 다이어트 음료 섭취 후, 58.54kg으로 5.65% 감소하였다. 또한, 다이어트 음료 섭취 전과 후의 허리 및 복부 둘레를 15일 간격으로 측정하여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를 참조하면, 허리 둘레의 경우 평균 3.8cm, 4% 감소하였으며, 복부 둘레의 경우 평균 4.9cm, 6%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코팅 곡류의 섭취 전과 후의 체중, 및 허리 및 복부 둘레를 측정한 결과, 체중은 3.46kg, 허리 둘레는 약 3.8cm, 복부 둘레는 약 4.9cm 감소하였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복분자 추출물 함유 다이어트 음료 및 기능성 코팅 곡류는 체중, 및 허리 및 복부 둘레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복분자 함유 조성물은 탄수화물 및 지방분해효소를 억제함으로써 탄수화물과 지방의 장관내 흡수를 막아 비만 방지 및 치료에 유용하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복분자 추출물, 차가버섯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비만 방지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8. 제7항의 조성물로 코팅된, 비만 방지 또는 개선용 기능성 코팅 곡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곡류가 백미, 현미, 보리, 조, 수수 또는 찹쌀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코팅 곡류.
  10. 제7항에 있어서,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상기 복분자 추출물을 50~80중량%, 차가버섯 추출물을 5~20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11. 제7항에 있어서,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5~20중량%의 오가피 추출물 및/또는 3~15중량%의 인진쑥 추출물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KR1020040035875A 2004-05-20 2004-05-20 복분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방지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466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5875A KR100466580B1 (ko) 2004-05-20 2004-05-20 복분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방지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5875A KR100466580B1 (ko) 2004-05-20 2004-05-20 복분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방지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6580B1 true KR100466580B1 (ko) 2005-01-15

Family

ID=37224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5875A KR100466580B1 (ko) 2004-05-20 2004-05-20 복분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방지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658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364B1 (ko) * 2006-12-29 2007-09-14 주식회사 케이엠에스아이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0787123B1 (ko) 2006-10-10 2007-12-21 박세준 발효조성물제조방법
US8257960B2 (en) 2005-10-22 2012-09-04 Se-Joon Park Saccharomyces microorganisms having odor control activity and uses thereof
KR102007465B1 (ko) 2018-02-08 2019-08-05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퀘르시트린과 스피레오시드 그리고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57960B2 (en) 2005-10-22 2012-09-04 Se-Joon Park Saccharomyces microorganisms having odor control activity and uses thereof
KR100787123B1 (ko) 2006-10-10 2007-12-21 박세준 발효조성물제조방법
KR100758364B1 (ko) * 2006-12-29 2007-09-14 주식회사 케이엠에스아이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07465B1 (ko) 2018-02-08 2019-08-05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퀘르시트린과 스피레오시드 그리고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6241B1 (ko) 한천을 이용한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
KR101738912B1 (ko) 비만억제 및 다이어트 조성물
EP0930019A2 (en) Composition for treating obesity and foods and drinks containing the same
KR101184666B1 (ko) 양성 체질의 생리 활성 증진용 조성물
JP2006045212A (ja) 特定のキナ酸誘導体を含有する経口用組成物
CN108477609A (zh) 一种牛蒡减肥代餐棒及其制备方法
KR101578070B1 (ko) 발모 촉진, 탈모 완화 및 개선, 혈당 조절, 위장 장애 증상 완화 및 개선용 건강보조식품
CN111280280A (zh) 一种低糖减肥咖啡及制备方法
CN103168815A (zh) 一种银杏苦荞饼干及其制作方法
RU2411756C2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зернового продукта для каши быстрого приготовления и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аши быстрого приготовления
JP2009247254A (ja) 健康飲料
KR101782134B1 (ko) 카르시니아캄보지아 추출물을 함유한 건강보조식품
KR102112599B1 (ko) 석류 및 유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0466580B1 (ko) 복분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방지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09796B1 (ko) 블루베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1163795A (ja) α−グルコシダーゼ阻害剤
KR20190053108A (ko)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남성 항비만용 조성물
KR20090019964A (ko) 치아 종자를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1622767B1 (ko) 식이섬유를 이용한 갈비 양념 소스의 제조방법
KR20090081062A (ko) 당뇨병 예방 치료 및 내장 기능 치료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JP4865955B2 (ja) α−グルコシダーゼ阻害剤及び食品又は飼料の製造方法並びに添加剤の製造方法
KR101894491B1 (ko) 지각 초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또는 인지 기능 개선용 조성물
US7556832B2 (en) Process and formula for treating irritable bowel syndrome
EP2155220B1 (en) Compositions comprising Herba Ephedrae and Thallus Laminariae seu Eckloniae for use in supressing obesity
KR20200120549A (ko) 용쑥 및 서양민들레를 포함하는 체중 또는 체지방 감소용 경구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