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3055B1 - 비만억제용 숙지황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만억제용 숙지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3055B1
KR100443055B1 KR10-2001-0033492A KR20010033492A KR100443055B1 KR 100443055 B1 KR100443055 B1 KR 100443055B1 KR 20010033492 A KR20010033492 A KR 20010033492A KR 100443055 B1 KR100443055 B1 KR 100443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obesity
composition
fat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3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5512A (ko
Inventor
성현제
윤유식
박윤신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01-0033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3055B1/ko
Publication of KR20020095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5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3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30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숙지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숙지황 추출물은 영양과잉에 의한 비만을 예방하는데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만억제용 숙지황 조성물{Compositions containing Rehmannia glutinosa extracts for prevention of obesity}
본 발명은 비만증의 조절을 위한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국민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에너지 함량이 높은 가공식품을 많이 섭취하고 운동량이 적어지면서 비만증이 국민건강을 위협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비만증은 거북하고 아름답지 않은 외모로 보는 이에게 좋지 않은 이미지를 주고 활동에도 불편을 줄 뿐 아니라, 비만인은 정상인에 비하여 당뇨병, 동맥경화증, 고혈압증, 심장병, 간장병, 담석증, 통풍, 신장병 등의 발생률과 수술시 위험성이 높아 대체로 단명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비만증은 중년을 넘어선 사람에게는 생명에 관한문제이며, 젊은 여성에게는 미용 상의 이유로 심각하게 고려되고 있다.
최근에 비만증과 같은 성인병의 예방 및 치료법으로서 적절한 운동과 더불어 오랜 세월 동안 안전성과 효능이 검증된 여러 식품소재의 이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비만인을 위한 건강식품으로 식이섬유, 생약제 및 여러 식품소재를 함유하는 제품들이 개발되어 있으나, 그 효능이 미미하고 식사량을 줄이고 이 제품들을 섭취할 경우 여러 영양소의 부족으로 인한 부작용으로 정상적인 생활이 어렵고, 복용을 중단하면 빠르게 다시 비만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만증 및 이와 관련된 질환을 효율적으로 예방 및 억제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숙지황 열수추출물의 췌장 리파제 저해활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SD 쥐의 부고환지방조직세포 사진으로서,
2A는 고지방식이를 7주간 투여한 쥐의 부고환지방조직세포 사진,
2B는 고지방식이+숙지황 열수 추출물을 7주간 투여한 쥐의 부고환지방조직세포 사진,
2C는 고지방식이+페닐알라닌을 7주간 투여한 쥐의 부고환지방조직세포 사진.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숙지황(Rehmannia glutinosa)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숙지황(Rehmannia glutinosa)은 숙지황은 보혈, 강장, 해열 효능이 있고, 빈혈에 좋으며 흰머리를 검게하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숙지황의 효능을 반복 실험하던 중, 숙지황이 췌장 리파제 저해 활성, 체중 감소 효과, 혈중 지질 농도 감소 효능, 지방 조직을 감소시키는 효능 및 지방 세포 크기를 감소시키는 효능이 있음을 발견하게 되었다.
숙지황의 추출은 일반적으로 열수 추출이 경제적이고 무해하나, 알코올 등기타의 용매를 사용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의 숙지황 추출물은 비만 억제에 효과가 있는 다른 생약 성분이나 식품등 통상의 의약 또는 식품 부재료와 함께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숙지황 추출물 또는 본 발명의 숙지황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분말화하거나, 캡슐, 정제, 과립, 분말, 음료, 죽 등의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험방법
실시예 1 한약재 추출
숙지황 (Rehmannia glutinosa) 500g에 5배량의 증류수를 가하여 2시간씩 2회에 걸쳐 열수추출한 후 추출액은 동결건조하여 84.25g의 분말을 얻었다 (추출수율 16.85%). 이 분말을 증류수에 현탁시켜 본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실험동물의 체중 변화
실험동물은 대한실험동물센터에서 구입하여 1주간 적응시킨 후 7주령이 된 웅성 SD 쥐를 실험동물로 하였다.
총 7주간의 실험기간동안 정상사료를 섭취하는 군과 고지방사료를 섭취하는 군으로 구분하였다. 각 군내에서는 숙지황 열수추출물 (150 mg/쥐/일)과 양성대조군인 페닐프로판올아민(PPA) (20 mg/쥐/일)을 경구투여하는 군으로 세분하였다. 모든 사료의 조성은 AIN-93M을 기초로 제조하였으며, 고지방사료는 라아드를 총량의 30% 가 되도록 첨가하였다(표 1).
표 1. 실험식이 조성
성분 대조군(%) 고지방식(%)
카제인 16 15
설탕 10 10
옥수수 전분 59 31
라아드(80% 함유) - 37
옥수수 유 5 -
셀룰로즈 5 2
비타민 혼합물 1 1
미네랄 혼합물 3.5 3.5
콜린 바이타르타레이트 0.2 0.2
DL-메티오닌 0.3 0.3
7주간의 투여후 동물의 무게를 재고 부검을 수행하였다.
SD 쥐의 체중변화를 표 2에 게시하였다.
표 2. 기간별 SD 쥐의 체중변화
체중(g)
고지방 612.49±56.37a
고지방+숙지황 573.54±50.77b
고지방+페닐프로판올아민 577.54±56.88b
a, b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 (p<0.05)
실시예 3. 췌장 췌장 리파제 저해활성
리파제 활성저해능은 트리올레인 유화액을 기질로하여 췌장 리파제를 가하여 분리·방출되는 올레인산 농도로 산출하였다.
결과를 도 1에 도시하였다.
실시예 4. 혈중 지질농도 측정
각 기간별로 SD rat의 미정맥에서 채혈하여 혈장을 분리한 뒤 혈중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질, 유리지방산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분석시 사용한 시약은 효소법의 원리를 이용한 분석용 키트(아산 제약)를 사용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3에 게시하였다.
표 3. 혈중 지질농도 변화
총 콜레스테롤 (mg/dl) 중성지질 (mg/dl) 유리지방산(uEq/L)
고지방 224.77±72.09a 70.67±18.78a 943.33±100.26a
고지방+숙지황 125.48±38.43b 60.67±23.21b 736.25±175.53b
고지방+페닐프로판올아민 168.69±77.17b 61.01±13.99b 640.63±103.43ab
a, b, c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 (p<0.05)
실시예 5. 부고환지방조직의 지방세포 크기
실험종료일에 SD 쥐를 부검하여 부고환주위에 분포하는 백색지방조직을 분리하였으며, 분리 후 무게를 재고 즉시 드라이아이스에 동결하여 -70 ℃에 보존하였다가 동결절편을 제조하여 실험시료로 하였다.
동결절편은 메이어의 헤마톡실린(Mayer's Hematoxylin) 염색법으로 지방세포를 염색하여 지방세포의 크기를 관찰하였다.
현미경 사진을 도 2에 게시하였다.
모든 자료는 SPSS 통계처리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SD 로 나타내었으며, 군간의 비교는 95 %의 신뢰도 구간에서 ANOVA를 실시하였고, 사후분석으로는 Duncun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발명의 숙지황 추출물은 고지방 식이에 의해 유도된 체중 증가, 혈중 지질 증가, 지방조직 (피하지방 및 내장지방) 증가 및 지방세포 크기 증가를 의미있게 억제함으로써 영양 과잉에 의한 비만의 예방 및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5)

  1. 숙지황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양과잉에 의한 비만억제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숙지황 추출물은 열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양과잉에 의한 비만억제용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캡슐, 정제, 과립, 분말, 음료, 또는 죽의 형태로 제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숙지황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파제 활성 저해제.
  5. 숙지황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방 식이에 의한 혈중 지질농도 증가 억제제.
KR10-2001-0033492A 2001-06-14 2001-06-14 비만억제용 숙지황 조성물 KR100443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3492A KR100443055B1 (ko) 2001-06-14 2001-06-14 비만억제용 숙지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3492A KR100443055B1 (ko) 2001-06-14 2001-06-14 비만억제용 숙지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5512A KR20020095512A (ko) 2002-12-27
KR100443055B1 true KR100443055B1 (ko) 2004-08-04

Family

ID=27709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3492A KR100443055B1 (ko) 2001-06-14 2001-06-14 비만억제용 숙지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30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1807B1 (ko) * 2004-05-31 2006-11-02 퓨리메드 주식회사 비만 억제용 한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12981B1 (ko) * 2006-10-02 2008-03-1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장기 안정성이 우수한 숙지황 성분 미세캡슐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lanta Med. 53(2), 128-31 (198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5512A (ko) 200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Świeca et al. Wheat bread enriched with green coffee–In vitro bioaccessibility and bioavailability of phenolics and antioxidant activity
Rodriguez et al. Choleretic activity and biliary elimination of lipids and bile acids induced by an artichoke leaf extract in rats
KR101780079B1 (ko) 모발 관리용 스테비아 추출물 또는 스테비올
EP2629744A1 (fr) Produit de traitement de la cellulite, du vieillissement cutané et de prevention des processus inflammatoires.
US20110060039A1 (en) Composition
JP2002512197A (ja) 炎症および関節炎に関連する症状を緩和軽減するための天然抗炎症薬としてのバラの実処方物
JP2008174539A (ja) 紫色の馬鈴薯を使用した肥満患者用の健康機能食品
JP4002654B2 (ja) 血中脂質改善剤、サイクリックampホスホジエステラーゼ阻害剤、及び肥満の予防・解消剤、並びに飲食品及び皮膚外用剤
FR3095761A1 (fr) Composition nutraceutique pour induire une perte de poids et réduire la graisse abdominale
Parmar et al. Coconut (Cocos nucifera)
Shittu et al. Hypoglycaemia and improved testicular parameters in Sesamum radiatum treated normo-glycaemic adult male Sprague Dawley rats
KR20190003304A (ko)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443055B1 (ko) 비만억제용 숙지황 조성물
JP4325908B2 (ja) 脂肪分解促進剤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皮膚外用剤および飲食物
Adsul et al. Pumpkin (Cucurbita pepo) seed
Hassan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tigernut tubers o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R20180000136A (ko) 오신채를 유효성분로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남성 갱년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0416650B1 (ko) 둥굴레 추출물과 그를 함유한 혈장 지질 및 혈당 강하용조성물
KR20020095513A (ko) 비만억제용 길경 조성물
Rahimi et al. Comparison of almond and buckwheat oils on blood biochemical and liver function in rats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KR100672902B1 (ko) 헛개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콜레스테롤 저하제 조성물
Mitrofanov et al. Drone Brood: Food and Apitherapeutic Agent
El Gindy Chemical, technological and biochemical studies of purslane leaves
KR100450055B1 (ko) 두과 식물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질개선용 식품 조성물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식품
JP2002255839A (ja) 抗肥満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