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9913A - 헛개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를 위한조성물 - Google Patents

헛개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를 위한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9913A
KR20050079913A KR1020050037407A KR20050037407A KR20050079913A KR 20050079913 A KR20050079913 A KR 20050079913A KR 1020050037407 A KR1020050037407 A KR 1020050037407A KR 20050037407 A KR20050037407 A KR 20050037407A KR 20050079913 A KR20050079913 A KR 20050079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esity
extract
treatment
energy
di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7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디케스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디케스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디케스팅
Priority to KR1020050037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9913A/ko
Publication of KR20050079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991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7Extraction at elevated pressure or temperature, e.g. pressurized solvent extraction [PS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r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Abstract

본 발명은 헛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헛개나무 줄기 추출물은 체내의 전체적인 에너지 대사 효율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동일한 양을 섭취하더라도 체내에 흡수되는 에너지의 양을 효과적으로 낮추어 주어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헛개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Hovenia dulcis extract for treatment of obesity}
본 발명은 헛개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만이란 과다한 체지방을 가진 상태를 의미한다. 남자는 체지방이 체중의 25%, 여자는 체중의 30% 이상일 때, 임상적으로는 BMI(Body Mass Index:체질량지수)가 30.1 이상인 경우, 현재체중이 이상체중을 20% 초과하는 경우로 정의된다. 비만의 원인으로는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에너지 대사의 이상 등이 있다. 비만의 종류에는 원인에 따라서, 단순 비만과 증후성 비만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단순 비만은 과식과 운동 부족이 그 원인이며, 증후성 비만은 내분비, 시상하부성, 유전, 전두엽 및 대사성 등으로 발생한다.
비만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될 수 있으나 비만으로 인한 체중변화는 단순한 모델로 이해할 수 있다. 즉 체중이 변화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불균형이 있어야 한다. 인체의 에너지 요구량은 인체가 소모하는 에너지를 측정함으로써 알 수 있다. 에너지 소모량은 몇 가지 요소로 나뉘어 질 수 있는데, 기초대사량, 식품이용을 위한 에너지소모량, 활동대사량 등으로 구분된다.
인간은 식물이나 다른 동물을 식품의 형태로 섭취함으로써 화학에너지를 얻는데, 현대인에 있어서 식품의 섭취방법과 형태가 산업의 발달에 따라 육류를 많이 섭취하는 식단, 패스트 푸드 위주의 간식, 고지방함유의 가공식품들의 범람 속에 인체가 필요이상의 에너지를 섭취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개인이 신체가 필요한 이상의 에너지를 섭취한다면 그 여분은 체지방과 조직의 합성 및 열손실의 정도로서 설명되어질 수 있다. 반대로 소모한 에너지보다 적은 양의 에너지를 섭취했다면 그 차이만큼을 그의 체조직을 분해시켜 에너지로 사용하게 된다. 에너지 섭취의 증가 또는 에너지 소비의 감소는 체중을 증가시켜 비만에 이르게 한다.
질병중의 하나인 비만증 [肥滿症, obesity]은 지방조직의 대사장애에 의하여 지방의 연소가 불충분하게 되어 신체의 여러 곳에 지방의 이상침착이 일어나서 생기는 증세이다. 지방과다증이라고도 한다. 비만으로 인한 질병에는 관상동맥질환, 당뇨병, 고중성지방혈증, 고혈압 등의 여러 성인병들과 함께 현대 문명의 병으로 인식되고 있다.
비만증을 치료하기 위해 또는 비만으로 인한 성인병을 예방하기 위해 식이조절과 다이어트등 식습관 조절을 잘 하더라도, 인체는 요요현상이라는 복병을 만나는 일이 쉽게 일어난다. 체중 감량 후에 다시 체중 증가가 일어나는 현상을 체중재순환 또는 요요다이어트 현상이라고도 한다.
일정 기간 절식하면 체내 근육량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기초대사량이 낮아진다. 기초대사량이 낮아지면 식사량이 다이어트 이전과 같거나 그 이하가 되더라도 낮아진 기초대사량만큼의 잉여 에너지가 생긴다. 이 잉여 에너지가 가장 축적되기 쉬운 형태인 지방으로 체내에 남게 되어 체중 증가의 원인이 된다. 또한 다이어트 초기에는 체내의 수분 손실 때문에 체중 감량이 일어나지만 일정 기간이 지나면 단백질과 탄수화물이 다량의 수분을 함께 저장하기 때문에 체중이 빠른 속도로 증가한다.
우리 몸은 환경 변화에 대하여 항상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려고 하는 성질이 있다. 이 때문에 다이어트로 급격하게 체중이 줄어든 경우 우리 몸은 이것을 회복하려고 작용하게 된다.
종래에는 비만 예방제제 또는 다이어트 보조제 등은 식욕억제제나 당 또는 포도당 흡수 저해제등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약제나 보조제 등을 중단할 경우 또 다시 요요현상이 일어나기도 하며, 충분한 에너지를 섭취하지 못해 신체가 여러 가지 부작용에 시달리기도 하였다.
한편, 헛개나무는 갈매나무과에 속하는 넓은 잎 큰나무로서 호깨나무 또는 허리깨나무라고 불리워지는 것으로, 간장의 기능을 좋게 하고, 간에 쌓인 독을 풀어주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음주 후 나타나는 두통, 어지럼증, 구취, 소갈 등의 숙취 증상을 해소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근래에, 헛개나무 추출물의 효능들이 알려지면서 헛개나무 추출물들의 알콜분해 효능이나, 간 기능 활성과 보호작용에 대한 효과 및 작용에 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항암작용이나 항미생물 활성에 대해서도 보고된 바 있으나, 아직까지 헛개나무 추출물이 체내의 에너지 대사효율과 관련하여 비만치료제 및 예방제제로서는 아직 연구 보고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체내의 에너지 대사효율에 관련함으로써 비만 치료 및 예방에 유효한 헛개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헛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헛개나무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헛개나무 줄기로 부터 정제수,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및 아세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으나, 높은 온도의 열수를 이용하여 열수 추출물을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헛개나무 줄기의 열수 추출물은 농축 또는 분말화 하여 환자의 체중, 비만 정도에 따라 복용시간 및 기간을 달리하여 정기적으로 복용할 수 있으며, 또한, 비만 치료 및 예방을 목적으로 각종 식품류, 음료수, 면류, 비타민 복합체, 건강보조식품류 등에 첨가되어 섭취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자 하나,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1) 열수 추출물의 제조 및 시료의 준비
헛개나무 줄기 시료 무게의 20배의 물을 가하여 100℃의 1시간 20분간 추출, rotary evaporator를 이용, 감압 여과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의 추출시간은 도1의 그래프에서 나타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얻은 것으로, 추출시간과 추출정도를 고려하여 가장 효율적인 시간을 고려한 것이다.
2) 체내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에 미치는 헛개나무 추출물의 영향
i. 실험동물 및 사육 조건
생후 7주된 SD(Sprague-Dawley, 210~230g)종 웅성 흰쥐를 1주일간의 순화 사육과정을 거친 후 체중에 따라 각 실험군당 3~4마리씩 8군으로 나누어 배정하였으며 7주 동안 사육하였다. 각 군에 나타난 식이 조건의 차이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동물 사육실의 온도는 22±0.5℃와 습도 55±5%, 채광은 12시간 명암조절(명주기: 07:00~19:00)을 유지하였다. 물은 자유로이 먹을 수 있도록 하였고 사료는 이틀에 한 번 일정한 시간에 공급하며 섭취량을 측정하였고, 체중은 일주일에 2회 측정하였다.
ii. 헛개나무 추출물의 투여 및 실험군
본 실험에서는 상기와 같이 얻은 헛개나무 열수 추출물를 고형분 함량을 계산하여 시료로 사용하였으며, 이 때 원료 헛개나무에 대한 전체 추출물의 고형분 함량의 비는 5.9%였다. 고형분 함량은 열수추출액 5㎖을 항량을 구한 칭량병에 취하여 105℃의 건조기에서 항량이 될 때까지 건조시킨 후 중량을 측정하여 %(w/v)로 나타낸 것이다.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험군은 크게 정상식이군(C), 고지방식이군(H)으로 구분하였으며 각각의 군에 대하여 헛개나무 물 추출물을 농도별(0.5 g/kg body weight, 1.5 g/kg body weight, 3.0 g/kg body weight)로 제조하여 이틀에 한 번 경구투여 하였다. 정상식이군(C)과 고지방식이군(H) 중 시료를 투여하지 않은 군에는 0.9% 식염수(saline)를 같은 방법으로 투여하였다.
실험동물의 성장단계를 고려하여 AIN-93G 사료를 기본으로 하고 고지방식이군(H)은 체내 지질대사의 활성화에 유리한 조건을 만들어주기 위하여 지방 24.4% 수준의 고지방식이를 제조하여 7주간 자유급여 하였다.
정상군(C) 사료는 20% protein, 10% sucrose 와 7.0% fat을 포함하며, 고지방식이군(H)은 20% protein, 41.6% sucrose, 24.4% fat, 12% cholesterol, 2.5% cholat를 포함한다.
<표 1> 실험군의 지정과 헛개나무 추출물의 복용량
iii.식이효율(Food Efficiency Ratio, FER)의 측정
사육이 끝난 실험동물의 에너지 섭취량과 체중 증가량을 측정하였다. 정상식이군(C)과 고지방식이군(H) 중 시료를 투여하지 않은 군에는 실험기간 동안의 에너지 섭취량과 체중증가량 모두 정상식이군(C)보다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고지방식이군(HF)에서 높았다.
이에 대한 식이효율(Food efficiency ratio, FER)은 전체 증가량을 같은 기간 동안의 에너지 섭취량으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 2 >
Group Body weight gain (g/7weeks) Energy intake (Kcal) Food efficiency ratio
C 121.60±10.56 3025.3 0.151
CD I 95.10±22.06 2997.5 0.119
CD II 112.60±0.81 2944.5 0.144
CD III 102.30±24.88 3084.4 0.125
H 146.70±6.75 3735.5 0.184
HD I 120.10±3.29 3337.1 0.168
HD II 126.60±5.72 3346.0 0.177
HD III 112.00±2.14 3112.1 0.168
표 < 2 >에서 알 수 있듯이,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고지방식이 대조군(H)에서 정상군(C)보다 에너지 섭취량과 체중 증가량이 높았으며, 고지방식이로 인하여 증가된 에너지 섭취량은 헛개나무 줄기 추출물을 함께 섭취하는 경우 유의적(p<0.05)으로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3.0 g/kg body weight의 농도로 헛개나무 줄기 추출물을 투여한 HD III군에서는 에너지 섭취량 및 식이효율이 거의 정상군(C)과 유사한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정상군(CD)의 경우도 헛개나무 줄기 추출물을 함께 섭취하는 경우에는 에너지 섭취량과 식이 효율이 크게 감소함을 알 수 있어, 다이어트 보조제로서의 작용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iv. 혈액 점도의 측정
사육이 끝난 실험동물을 체혈 후 혈액 점도를 cone and plate 점도계(35 mm diameter, 2angle)(Haake RS150, 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얻어진 데이터는 RheoWin software version 2.84(Haake, Germany)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Power Law equation(τ= Kγn + C) 에 따라 점조도 지수(K, consitency index), 유동성 지수(n, flow behavior index) 및 항복력(C, yield stress)을 구하여 그 결과를 표 <3> 에 나타내었다.
표 < 3 >
Group yield stress(Pa) consistency index flow behavior index
C 0.08267±0.051 0.08549±0.017 0.45313±0.084
CD I 0.30677±0.271 0.05624±0.012 0.65987±0.049
CD II 0.11300±0.014 0.07281±0.026 0.54685±0.085
CD III 0.11722±0.062 0.07157±0.037 0.56113±0.130
H 0.09359±0.084 0.08848±0.056 0.45638±0.121
HD I 0.12611±0.105 0.07205±0.061 0.59040±0.294
HD II 0.02181±0.023 0.12070±0.009 0.55497±0.020
HD III 0.11142±0.055 0.05822±0.037 0.54407±0.167
상기 측정된 유동성지수(flow behavior index)를 살펴보면, 헛개나무 줄기 추출물을 함께 섭취하는 경우에 혈류의 흐름 속도가 유의적으로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v. GOT 및 GPT의 측정
헛개나무 추출물의 만성독성에 대한 설계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 7주 동안 실시한 동물실험 결과를 독성여부 판정의 근거로 하였는데, 일반사료 섭취군(C)에 헛개나무 줄기의 물 추출물을 각각 0.5, 1.5, 3 g/kg body wight 농도로 투여한 CD I, CD II, CD III군의 혈청의 GOT, GPT 효소 활성 등을 비교하여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 4 >
group GOT GPT
C 52.53±4.76 18.47±2.42
CD I 50.36±6.03 18.23±1.03
CD II 53.10±2.50 22.57±0.87
CD III 44.62±1.72 21.32±0.97
GOT, GPT 의 결과는 헛개나무 시료 투여시의 간독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척도로서, 일반식이에 헛개나무 줄기 추출물을 농도별로 투여하였을 때의 GOT, GPT 결과를 비교해 보았을 때, 시료 투여군의 간독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헛개나무 줄기 추출물은 향후 다양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에 사용되더라도 일정 농도 내에서는 안전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지방식이로 비만증을 유도시킨 실험쥐에게 헛개나무 줄기의 추출물을 투여함으로써 에너지 섭취량 및 식이효율을 유의적으로 낮추어, 체중증가량을 감소시킴으로써 비만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를 줄 수 있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헛개나무 줄기 추출물은 혈액의 흐름, 즉 혈액의 기능을 좋게 하여 보다 더 인체의 대사를 효율적으로 진행함은 물론 전체적인 에너지 흡수 효율에도 영향을 미침으로써 동일한 양을 섭취하더라도 체내에 흡수되는 에너지의 양을 효과적으로 낮추어 주어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헛개나무 줄기의 열수 추출을 위한 효율적인 시간을 구하는 방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3)

  1. 헛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2. 헛개나무 줄기의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열수 추출시 100℃에서 1시간 20분 동안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050037407A 2005-05-04 2005-05-04 헛개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를 위한조성물 KR200500799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407A KR20050079913A (ko) 2005-05-04 2005-05-04 헛개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를 위한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407A KR20050079913A (ko) 2005-05-04 2005-05-04 헛개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를 위한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913A true KR20050079913A (ko) 2005-08-11

Family

ID=37266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7407A KR20050079913A (ko) 2005-05-04 2005-05-04 헛개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를 위한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991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47917B2 (en) 2010-09-10 2014-06-10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Composition comprising Cudrania tricuspidata and Coix lachryma-jobi for suppressing obesity or lowering blood sugar, and use thereof
KR20160115635A (ko) 2015-03-27 2016-10-06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헛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190053107A (ko) * 2017-11-09 2019-05-17 유의순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여성 항비만용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47917B2 (en) 2010-09-10 2014-06-10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Composition comprising Cudrania tricuspidata and Coix lachryma-jobi for suppressing obesity or lowering blood sugar, and use thereof
KR20160115635A (ko) 2015-03-27 2016-10-06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헛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190053107A (ko) * 2017-11-09 2019-05-17 유의순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여성 항비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06860A (zh) 预防和治疗糖尿病的组合物、其制备方法及应用
KR20100127420A (ko) 사포닌의 생체 이용률 증진 조성물
US11266668B2 (en) Dietary supplement for glycemia control and diabetes prevention
KR20130041636A (ko) 마카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피로, 염증성 장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US10757961B2 (en) Dietary supplement for glycemia control and diabetes prevention
KR20050079913A (ko) 헛개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를 위한조성물
Mahmoud et al. Germination of Glycine max seeds potentiates its antidiabetic effect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Eldamaty Effect of adding nettle leaves (Uritca dioica l.) powder on basal diet to lower diabetesin rats
Basharat et al. Beneficial effects of okra in diabetes mellitus
KR101436213B1 (ko) 긴잎모시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08808B1 (ko) 벌나무 및 후박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62003B1 (ko) 사방오리나무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46521B1 (ko) 복합생약추출물(oca-ⅰ) 또는 이의분말(oca-ⅱ)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20210079828A (ko) 개똥쑥 추출물, 후박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비만 및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Mendoza-Meneses et al. Antidiabetic herbal biomolecules
CN110404029B (zh) 一种具有降血糖功效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50031373A (ko)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101293032B1 (ko) 다시마 및 부티르산 나트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KR102291168B1 (ko) 부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TWI824608B (zh) 台灣藜殼萃取物用以改善代謝性疾病及調控腸道菌相之用途
KR102490378B1 (ko) 돌외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운동수행능력 향상용 조성물
KR101278801B1 (ko) 구절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05553B1 (ko) 녹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당뇨 발효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00999B1 (ko) 친환경적으로 재배된 당유자 통밀감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Al-Baaj et al. Evaluation of the Anti-Inflammatory of Leucaena leucocephala Extracts in Experimental Ra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