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5553B1 - 녹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당뇨 발효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녹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당뇨 발효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5553B1
KR101305553B1 KR1020110102632A KR20110102632A KR101305553B1 KR 101305553 B1 KR101305553 B1 KR 101305553B1 KR 1020110102632 A KR1020110102632 A KR 1020110102632A KR 20110102632 A KR20110102632 A KR 20110102632A KR 101305553 B1 KR101305553 B1 KR 101305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tea
diabetic
fermentation
fermented
diabe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2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8012A (ko
Inventor
임성일
이소영
박소림
이성훈
남영도
최신양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02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5553B1/ko
Publication of KR20130038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8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50Fermented pulses or legumes; Fermentation of pulses or legumes based on the addition of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발효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자세하게는 녹차에 청국장 분말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항 당뇨 발효 식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항당뇨 발효 식품은 섭취 시 체중, 혈당, 당화혈 색소 및 혈중 지질의 수치를 낮추어 항당뇨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녹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당뇨 발효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ANTI DIABETIC FERMENTED FOOD COMPRISING FERMENTED GREEN TEA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녹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발효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경제발전이 가속화되고 식생활 문화가 점점 서구화 및 간편화되면서, 이와 관련한 대사성 증후군 발병률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데, 대표적인 질환 중 하나가 당뇨병이다. 대한당뇨병학회와 심평원에서 실시한 한국인 당뇨병 역학조사 결과에 따르면 2005년 국내 당뇨병으로 고통받는 환자는 270만명(전체 인구의 7.7%)이며, 2020년에는 455만명(전체 인구의 8.97%), 2030년에는 545만명(전체 인구의 10.85%) 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매년 전체 환자의 10%에 달하는 신규환자가 발생하는 등 당뇨병에 대한 국가차원의 예방관리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당뇨병은 발병 원인에 따라 제 1형 당뇨와 제 2형 당뇨로 구분되는데, 전체 당뇨병의 90%에 해당하는 제 2형 당뇨병은 근육, 간, 지방조직에서 다양한 요인에 의해 인슐린 작용이 저하되어 췌장의 베타세포가 인슐린 저항성을 극복할 수 있을 만큼 인슐린을 분비하지 못하여 혈중 포도당 농도가 높게 지속될 때 유발된다. 당뇨병에 걸리게 되면 당의 이용률이 낮아지고 소변으로 당을 잃게 되기 때문에 에너지원으로 사용되어야 할 당을 세포가 이용하지 못하여 충분한 에너지를 생산할 수 없게되며, 결국 체내의 단백질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게 되면서 피로를 느끼고 체중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신장 기능의 저하, 동맥경화, 망막 출혈로 인한 시력 저하, 족부 궤양, 말초신경병증 등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하게 되는데, 2007년 당뇨병 합병증인 말초순환장애 및 당뇨병성 망막증 환자의 경우 전년 대비 각각 60% 및 36%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당뇨병은 그 자체의 발병률이 점차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수반되는 합병증 발병률이 높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의료비용(건강보험 총진료비의 5분의 1이 당뇨병 환자 총진료비) 및 인력손실 등 막대한 사회적 손실이 발생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당뇨병을 근원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약물을 개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의 당뇨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으로 인슐린이나 경구 혈당 강하제의 투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경제적 부담과 더불어 부작용의 위험도 수반하고 있기 때문에 근래에 와서는 천연식물 등의 약리물질을 이용한 식이 요법 및 자연 요법이 시도되고 있다. 당뇨병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천연물로서는 뜸부기 추출물(대한민국 특허 제464815호), 잔나비걸상버섯으로부터 분리한 아플아나산 유도체 화합물(대한민국 특허 제457690호), 헛개나무의 추출물(대한민국 특허 제417287호), 참당귀에서 분리한 다당류(국제공개 제2001-60386호), 반추동물의 담즙(미국특허 제6451355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한편, 녹차는 항암 효과, 항산화 작용 및 혈당 상승치 억제 등의 효과가 알려져 있는데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청국장 분말을 녹차에 첨가하여 녹차를 고체발효시킬 경우 좀 더 효과적인 항당뇨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녹차에 청국장 분말을 접종하여 제조된 녹차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 당뇨 관련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녹차에 청국장 분말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항 당뇨 발효 식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구체예의 청국장 분말은 총 중량비에 대하여 0.1 내지 5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발효시키는 단계는 20 내지 30℃의 온도에서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발효시키는 단계 이전에 75 내지 90℃의 온도에서 전발효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발효시키는 단계 이후에 75 내지 90℃의 온도에서 후발효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발효시키는 단계 이전에 75 내지 90℃의 온도에서 전발효 시키고, 발효시키는 단계 이후에 75 내지 90℃의 온도에서 후발효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발효시키는 단계는 상대습도 55 내지 65% 조건하에서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발효시키는 단계는 30 내지 45일 동안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당뇨는 제 2형 당뇨임을 특징으로 한다.
일 구체예에서, 녹차에 청국장 분말을 접종시킨 녹차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 당뇨 발효 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구체예의 청국장 분말은 총 중량비에 대하여 0.1 내지 5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당뇨는 제 2형 당뇨임을 특징으로 한다.
일 구체예에서, 녹차에 청국장 분말을 접종시킨 녹차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 당뇨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서, 녹차에 청국장 분말을 접종시킨 녹차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 당뇨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청국장 분말"은 콩을 불리고 찐 다음, 고온(40℃)에서 발효하여 바실러스(Bacillus)속 균이 증식하면서 끈끈한 점성물질이 생긴 발효식품을 건조 후, 분쇄시킨 것을 말한다. 상기 청국장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와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세균이 주요 미생물로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유전적으로 제 2형 당뇨를 유발한 KKAy/TaJcl에 녹차발효물을 0.4% 첨가한 사료를 식이로 공급하며 사료 및 음용수 섭취량, 혈당, 당화혈색소, 인슐린 함량, 혈중지질농도를 분석하여 항당뇨 활성을 검증하였다. 특히, 당화혈 색소 값인 HbA1c(Hemoglobin A1c)는 적혈구 생존기간인 약 3개월 동안에 일어나는 당화 반응의 변화에 따른 것이므로 약 3개월간의 혈당조절 상태를 나타내며 정상인 내지 비당뇨인은 7% 이하 당뇨병 환자의 경우 10% 이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뿐만 아니라 당뇨병 진행을 나타내는 의미 있는 지표로 HbA1c가 2% 증가할 때 마다 당뇨 합병증의 하나인 망막병증의 발병 위험이 2배 정도 증가하며 β세포의 기능이 약화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당화혈 색소 측정을 항당뇨 활성의 주요 지표로 삼았다.
본 발명에 의한 녹차 발효 식품은 섭취 시 체중, 혈당, 당화혈 색소 및 혈중 지질의 수치를 낮추어 항당뇨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식이에 따른 마우스의 혈당 변화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2는 식이(녹차 발효물)에 따른 마우스의 당화혈 색소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식이(미강 발효물)에 따른 마우스의 당화혈 색소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식이에 따른 마우스의 혈중 글루코스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식이에 따른 마우스의 인슐린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식이에 따른 마우스의 Homeostasis assessment-IR를 계측한 그래프이다.
도 7은 식이에 따른 마우스의 Quicki를 계측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녹차 발효물의 제조
녹차(한국, 서울, 일신상회)분말에 청국장분말(빈맥스코리아, 무안)을 1% 비율로 첨가하고 총 중량의 40%에 해당하는 수분을 공급한 후 82.5±2.5℃에서 4시간 동안 1차 발효하였다. 이후 온도 25℃, 습도 60% 조건에서 40일 동안 본 발효를 진행하였다. 82.5±2.5℃에서 2시간 1차 건조한 후, 87.5±2.5℃에서 2시간 열풍 건조하여 수분 3% 이하의 최종 제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항당뇨 동물실험
2-1. 실험동물의 식이
제 2형 당뇨모델인 KKAy-TaJcl(5주령, 수컷)를 G-BIO에서 구입하여 1주일간 순화시킨 후, 체중에 따라 난괴법에 의해 7 마리씩 4 군으로 분류하였다. 대조군은 AIN-93G FORMULA 일반사료를 공급하였으며, 양성대조군, 원료 및 녹차발효물 첨가군은 일반사료에 각 시료를 0.4% 첨가한 사료를 제조하여 식이로 공급하였다. 이때 양성대조군으로는 시판되고 있는 항당뇨 관련 건강기능식품인 바나바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사육실 온도는 23±2℃, 습도는 50±5%, 명암주기는 12시간 간격으로 설정하고 물과 사료를 자율 급식시켰다.
2-2. 식이 효율
매 10일마다 일정한 시간에 체중을 측정하였으며, 식이섭취량 및 수분 섭취량을 급여량과 잔여량의 차이로 측정하였으며 식이효율(feed efficiency ratio:FER)은 체중 증가량을 식이 섭취량을 나누어 계산하였다.
체중변화 및 식이효율(FER)은 모든 실험구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음용수 섭취량의 경우 모든 실험구가 대조군에 비해 낮은 음용수 섭취량을 보였는데, 특히 발효녹차 섭취군의 경우 음용수 섭취량이 시판 항당뇨 관련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한 양성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나지 않을 정도로 감소하여 당뇨의 기본 증상 중 하나인 다음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됨을 알 수 있었다.
  초기체중(g) 최종체중(g) 체중변화량
(g/day)
섭취량
(g/day)
식이효율(%)
 
음용수 섭취량
(mL/day)
대조군 27.29±1.32 45.58±2.35 0.20±0.02 7.11±0.26b 2.53±0.24 22.28±2.61a
양성대조군1 ) 26.61±1.51 42.49±9.16 0.20±0.01 6.57±0.27c 2.94±0.25 16.54±3.50b
녹차2 ) 26.19±0.79 44.97±2.46 0.21±0.02 7.56±0.26a 2.78±0.33 20.22±2.90ab
녹차 발효물3) 26.31±0.61 44.35±2.51 0.20±0.02 7.17±0.17b 2.72±0.25 19.59±1.15b
1)시판되고 있는 항당뇨 관련 건강기능식품인 바나바 추출물을 일반사료에 0.4% 첨가한 사료를 제조하여 식이로 공급
2)녹차를 일반사료에 0.4% 첨가한 사료를 제조하여 식이로 공급
3)녹차 발효물을 일반사료에 0.4% 첨가한 사료를 제조하여 식이로 공급
2-3. 혈당변화 측정
혈당은 공복시간 없이 매 10일 마다 90일 동안 일정한 시간에 꼬리정맥으로부터 전혈을 채취하여 혈당스트립(ACCU-CHEK Sensor, Roche, Basel, Switzerland)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녹차 및 녹차발효물을 0.4% 첨가한 사료를 90일간 식이한 KKAy-TaJcl 마우스의 혈당변화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식이 공급 첫날 혈당은 모든 실험구에서 250-270 mg/dL 수준으로 각 군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실험 20일 이후 혈당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대조군의 경우 20일차부터 혈당이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30일 이후에는 400 mg/dL 이상의 고혈당이 유지되었으나, 양성대조군의 경우 90일간의 실험 기간동안 260-300 mg/dL 수준으로 혈당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녹차 발효물 섭취군은 30일 까지 혈당이 380 mg/dL 정도로 증가한 후 50일까지 이 수준을 유지하다 60일부터는 시판 항당뇨 관련 건강기능식품인 양성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혈당이 감소되어 항당뇨 관련 건강기능식품으로의 개발 가능성을 보였다. 녹차 섭취군도 50일차 까지는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혈당이 증가하다 60일부터 혈당이 감소하는 패턴을 보였으나 발효녹차 섭취군 보다는 혈당조절 능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고체발효를 통해 녹차의 항당뇨 활성이 증진된 것으로 생각된다.
2-4. 당화혈 색소값 측정
실험식이 종료 후 16시간 절식 시킨 KKAy/TaJcl의 안와 정맥을 통해 전혈을 4 uL 채혈하여 easy A1c cartridge에 주입한 후 easy A1c analyzer(한국, 서울, 아산제약)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녹차 섭취군은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의 당화혈 색소값을 보여 혈당 조절 능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녹차 발효물 섭취군의 당화혈 색소 값은 8.08±0.95%로 9.72±0.95%인 대조군 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측정되었으며, 8.96±0.83인 양성 대조군 보다도 낮은 수치를 보여 녹차 발효물 섭취를 통해 장기간 혈당조절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도 2).
발효녹차의 혈당조절 능력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녹차 대신 미강(한국, 서울, 일신상회) 및 미강에 실시예 1의 청국장 분말을 첨가하여 배양한 미강 발효물을 섭취한 마우스의 당화혈 색소값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미강 발효물을 섭취한 마우스의 당화혈 색소값이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되어 혈당조절능력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도 3). 즉, 모든 원료가 청국장 분말로 발효한다고 항당뇨 활성이 나타나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2-5. 혈중 인슐린 및 글루코스 함량 측정
16시간 절식 시킨 후 마우스의 안와 정맥을 통해 채혈한 혈액을 3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다. 이를 SHIBAYAGI 사의 mouse insulin ELISA kit (TMB type)를 이용하여 혈청 인슐린 레벨을 측정하였다.
또한, 혈청을 분리한 후, 상등액 5 uL를 취해 tinder 시약 1 ml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18분 방치한 후 5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글루코스 표준곡선을 이용하여 혈중 포도당 농도를 산출하였다.
실험결과 혈중 글루코스 농도는 양성대조군, 녹차 및 녹차발효물 섭취군 모두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측정된 반면, 혈청 인슐린 함량은 대조군이 236.33 uU/mL로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녹차섭취군, 양성대조군 및 녹차발효물 섭취군은 대조군 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함량을 보였다. 일반적으로 혈당은 인슐린에 의해 조절되기 때문에 인슐린 분비가 많으면 혈당이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인슐린 저항성이 생기게 되면 인슐린 분비량이 많아져도 혈당은 잘 떨어지지 않아 정상보다 높은 농도의 인슐린이 분비되게 되는데 이를 고인슐린혈증 상태라고 한다. 대조군의 경우 인슐린 함량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혈중 글루코스 농도가 높은 고인슐린혈증 상태였는데, 나머지 실험군들은 대조군에 비해 고인슐린혈증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녹차발효물 섭취군의 경우 인슐린 농도는 146.67 uU/mL로 대조군에 비해 38% 가량 낮게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글루코스 농도는 147 mg/dL로 대조군보다 약 40% 감소하여 고인슐린혈증 개선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도 3 및 도 4).
2-6. HOMA - IR QUICKI index
공복 혈당과 인슐린 농도를 통해 인슐린 저항성 및 민감성 지표인 HOMA(Homeostasis assessment-IR), Quicki를 계측하였다. HOMA-IR은 인슐린 저항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그 값이 클수록 인슐린 저항성이 높음을 의미하며, Quicki는 인슐린 민감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그 수치가 클수록 인슐린 민감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양성 대조군, 녹차섭취군 및 녹차발효물 섭취군 모두 대조군 보다 HOMA-IR은 낮고 Quicki는 높아 인슐린 저항성은 감소하고 민감성은 증가하였는데, 특히 녹차 발효물 섭취군에서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로 미루어 보아 녹차 발효물은 인슐린 민감성을 향상시켜 인슐린 저항성을 낮춤으로써 혈당강하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생각된다(도 5 및 도 6).
2-7. 혈중 지질 농도 측정
16시간 절식시킨 후 마우스의 안와 정맥을 통해 채혈한 혈액을 3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혈청을 분리하여 지질함량을 측정하였다.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는 Triglycerides reagents(Bayer, USA),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은 Cholesterol reagent(Bayer, USA), HDL- 콜레스테롤 (HDL-cholesterol)은 Direct HDL-Cholesterol (Bayer, USA), LDL- 콜레스테롤 (LDL-cholesterol)은 LDL-Cholesterol(Bayer, USA) Kit를 사용하여 ADVIA 1650(Bayer, USA) 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당뇨병에서 가장 빈번하게 관찰되는 지질대사이상은 혈중 트리글리세라이드와 콜레스테롤의 증가 그리고 HDL- 콜레스테롤의 감소를 들 수 있는데, 이러한 지질대사이상은 당뇨병 환자의 주된 사망요인이 되는 죽상경화성 질환 발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실험결과 대조군의 중성지방은 235.60±46.73 mg/dL로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양성 대조군도 221.5±31.05 mg/dL로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의 중성지방 수치를 보였으나, 녹차 및 녹차발효물 섭취군은 각각 166.60±12.69 mg/dL 및 184.67±16.82 mg/dL로 대조군에 비해 중성지방이 22-30% 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 콜레스테롤과 LDL- 콜레스테롤은 실험구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HDL- 콜레스테롤은 녹차와 녹차발효물 섭취군이 대조군에 비해 높게 검출되어 녹차 및 녹차발효물 섭취가 당뇨로 인해 발생하는 이상지질대사 개선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표 2).
총 콜레스테롤(mg/dL) HDL-
콜레스테롤(mg/dL)
LDL-
콜레스테롤(mg/dL)
트리글리세라이드
(mg/dL)
대조군 141.25±16.69 116.00±6.12b 9.60±2.06 235.60±46.73a
양성대조군 144.80±12.54 119.33±9.48b 9.75±3.90 221.50±31.05a
녹차 144.40±8.52 120.00±5.82ab 9.67±1.70 166.60±12.69b
녹차발효물 145.33±3.86 136.33±5.25a 9.00±1.00 184.67±16.82ab
결론적으로 제 2형 당뇨질환모델인 KKAy-TaJcl를 이용하여 녹차와 녹차발효물의 항당뇨활성을 측정한 결과, 녹차는 미약한 항당뇨 활성을 보인 반면 녹차발효물은 뛰어난 항당뇨활성을 보였다. 녹차발효물을 섭취한 KKAy-TaJcl는 90일간의 사육기간 동안 혈당이 당뇨 대조군인 대조군보다 낮게 유지되었으며, 60일 이후에는 시판 항당뇨관련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한 군인 양성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되었을 뿐만 아니라 당화혈색소값도 8.08% 정도로 대조군 및 양성 대조군 보다 낮게 나타났다. 공복인슐린 및 혈당측정 결과로 미루어 보아 녹차발효물의 항당뇨활성은 인슐린 저항성 감소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녹차 발효물은 혈중 트리글리세라이드 수치를 낮추고 HDL-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이는 등 당뇨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지질대사이상 개선에도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녹차발효물은 항당뇨 관련 건강기능식품으로의 상업적 이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 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0.01 내지 500 mg/㎏의 양,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 m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또한 그 추출물의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지금까지 예시적인 실시 태양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기술하여 왔지만,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다양한 변화를 실시할 수 있으며 그의 요소들을 등가물로 대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본질적인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많은 변형을 실시하여 특정 상황 및 재료를 본 발명의 교시내용에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계획된 최상의 양식으로서 개시된 특정 실시 태양으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실시 태양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4)

  1. 녹차에 청국장 분말을 접종하여 75 내지 90℃의 온도에서 1차 발효시키는 단계;
    20 내지 30℃의 온도에서 2차 발효시키는 단계; 및
    75 내지 90℃의 온도에서 3차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당뇨 발효 식품을 제조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청국장 분말은 총 중량비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당뇨 발효 식품을 제조하는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발효시키는 단계는 상대습도 55 내지 65% 조건하에서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당뇨 발효 식품을 제조하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발효시키는 단계는 30 내지 45일 동안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당뇨 발효 식품을 제조하는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당뇨는 제 2형 당뇨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 당뇨 발효 식품을 제조하는 방법.
  10. 제 1항에 의해 제조된 녹차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 당뇨 발효 식품.
  11. 제 10항에 있어서,
    청국장 분말은 총 중량비에 대하여 0.1 내지 5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당뇨 발효 식품.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당뇨는 제 2형 당뇨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 당뇨 발효 식품.
  13. 제 1항에 의해 제조된 녹차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 당뇨 식품 조성물.
  14. 제 1항에 의해 제조된 녹차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 당뇨 약학 조성물.
KR1020110102632A 2011-10-07 2011-10-07 녹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당뇨 발효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05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632A KR101305553B1 (ko) 2011-10-07 2011-10-07 녹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당뇨 발효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632A KR101305553B1 (ko) 2011-10-07 2011-10-07 녹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당뇨 발효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012A KR20130038012A (ko) 2013-04-17
KR101305553B1 true KR101305553B1 (ko) 2013-09-06

Family

ID=48438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2632A KR101305553B1 (ko) 2011-10-07 2011-10-07 녹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당뇨 발효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55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0378A (ko) * 2014-03-21 2015-10-02 (주)아모레퍼시픽 후발효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2926A (ko) * 2003-10-02 2005-04-08 김정인 혈당 강하 효과를 갖는 청국장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한조성물
KR20060103570A (ko) * 2005-03-28 2006-10-04 이문환 우린 녹차잎 청국장
KR20100124519A (ko) * 2009-05-19 2010-11-29 (주)아모레퍼시픽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2926A (ko) * 2003-10-02 2005-04-08 김정인 혈당 강하 효과를 갖는 청국장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한조성물
KR20060103570A (ko) * 2005-03-28 2006-10-04 이문환 우린 녹차잎 청국장
KR20100124519A (ko) * 2009-05-19 2010-11-29 (주)아모레퍼시픽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0378A (ko) * 2014-03-21 2015-10-02 (주)아모레퍼시픽 후발효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323969B1 (ko) 2014-03-21 2021-11-09 (주)아모레퍼시픽 후발효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012A (ko) 2013-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hmed et al. Antihyperglycemic and antidyslipidemic activity of aqueous extract of Dioscorea bulbifera tubers
KR101083458B1 (ko) 혈당조절 및 인슐린 저항성 개선 효능을 갖는 기능성 흑마늘 환의 제조방법
KR20160007728A (ko) 마늘껍질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당뇨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1282055B1 (ko) 노니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당뇨 발효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Patel Opuntia cladodes (nopal): Emerging functional food and dietary supplement
KR101305553B1 (ko) 녹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당뇨 발효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88794A (ko) 새송이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 2형 당뇨병에 의한 지질대사 장애 및 당뇨합병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20021389A (ko) 수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289018B1 (ko) 육계를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JP2016531566A (ja) 米のキャラクタリゼーション
JP2007520548A (ja) 糖尿病性合併症の予防及び治療用組成物
KR102178199B1 (ko) 옻나무 및 두충으로 구성된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192586B1 (ko) 아위버섯의 추출물 또는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1722584B1 (ko) 부추의 유산균발효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당뇨 조성물
KR101071511B1 (ko) 마늘 당절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당강하 또는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50079913A (ko) 헛개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를 위한조성물
KR20210078693A (ko)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효능을 갖는 조성물
CN109966283A (zh) 脱脂肉桂多酚提取物在制备防治糖尿病肾病产品中的应用
CN110404029B (zh) 一种具有降血糖功效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Wei et al. The Anti-Hyperglycaemia Effects of Functional Bread Containing Sericin and Mulberry Bark Powder from Sericulture Waste
KR101222779B1 (ko) 식용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0473529B1 (ko) 순기산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26881B1 (ko) 기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0981014B1 (ko) 아가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당강하 또는 당뇨병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20180002313A (ko) 항당뇨 및 항염증 활성을 갖는 꾸지뽕 추출물 함유 발효발아현미 조성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