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8693A -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효능을 갖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효능을 갖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8693A
KR20210078693A KR1020190170386A KR20190170386A KR20210078693A KR 20210078693 A KR20210078693 A KR 20210078693A KR 1020190170386 A KR1020190170386 A KR 1020190170386A KR 20190170386 A KR20190170386 A KR 20190170386A KR 20210078693 A KR20210078693 A KR 20210078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ormwood
liver function
composition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0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석
박기문
김선희
박찬영
박수진
호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균바이오텍
주식회사 지앤피바이오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균바이오텍, 주식회사 지앤피바이오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균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190170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8693A/ko
Publication of KR20210078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86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기능 개선효능을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똥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간기능을 개선시킬 수 있으므로 식품 조성물, 나아가 건강기능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사료 조성물, 동물용 악학 조성물로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효능을 갖는 조성물{A composition for improving liver function comprising Artemisia Annua extract}
본 발명은 개똥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간기능 개선효능을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간은 지방대사와 영양성분의 처리, 에너지원의 공급 등 다양한 생체기능 조절을 담당하고 있는 조직으로서, 간에 바이러스 감염이나 암이 발생하여 간기능이 저하될 경우 심혈관계는 물론 영양대사에 있어서도 중대한 이상이 생겨 생체기능에 지장을 초래한다.
최근 환경오염, 식생활 패턴의 변화, 비만 및 사회생활 속에서의 심리적 스트레스 증가 등이 원인이 되어 심혈관계 질환과 대사성 질환과 같은 이른 바 성인병 환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간(liver) 관련 질환인 지방간, 간경화, 간경변, 간암 혹은 간염 등에 걸리는 환자도 갈수록 증가하는 추세이다.
간기능 저하의 원인 중 하나로서 간 조직에서 산화작용이 극심하게 발생할 경우 간세포(hepatocyte)의 기능이 감소하여 생체기능에 총체적인 저하가 일어나게 된다. 예로서 알코올을 대량으로 섭취할 경우, 알코올 분해능이 저하되어 숙취에 걸리게 되며, 간기능 저하로 인해 바이러스 감염과 같은 미생물 감염에 취약하게 되어 감염에 걸리기 쉽게 되며, 또한 간기능이 약화되면 혈중 콜레스테롤의 수치가 증가하여 고지혈증 등을 유발하게 된다.
특히 성인에서 노인으로 갈수록 신체의 기능이 전반적으로 저하된 상태여서, 간의 기능이 저하될 경우 각종 감염증은 물론 심장병, 고지혈, 고혈압과 같은 심혈관계 질환 혹은 당뇨와 같은 대사성 질환에 걸리기 쉬우므로 간기능 개선은 성인의 건강유지에 대단히 중요하다.
한편, 개똥쑥(Artemisia annua L.)은 국화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으로 열대 아시아를 원산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한방에서는 개똥쑥의 지상부를 해열제, 지혈제, 피부병 치료제, 살충제 등으로 사용하고 있다.
특히 개똥쑥의 주요 성분인 아르테미시닌(artemisinin)과 그 유도체는 중국과 인도에서 열성 질환과 말라리아 치료제로 오래전부터 널리 사용되어 왔고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효과를 갖고 있다. 현재 개똥쑥은 항암효과, 피로회복, 면역력강화 및 항당뇨 효과 등 다양한 약리효과로 인해 전국의 농가에서 재배되고 있고, 상용화된 다양한 제품들이 판매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95984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7555호
본 발명의 목적은 개똥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간기능 개선효능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똥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똥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똥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똥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용 동물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간기능 개선효능을 갖는 조성물은 개똥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똥쑥 추출물은 꽃이 진 후의 개똥쑥을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으며, 상기 꽃이 진 후의 개똥쑥을 가을 개똥쑥이라 한다.
상기 개똥쑥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그들의 혼합 용매에 의한 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간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은 개똥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간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개똥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간기능 개선용 사료 조성물은 개똥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간기능 개선용 동물용 약학 조성물은 개똥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개똥쑥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가을 개똥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간기능을 개선할 수 있으므로, 식품 조성물, 나아가 건강기능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사료 조성물, 동물용 악학 조성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의 농도별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의 농도별 세포독성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로 전처리된 HepG2 세포를 t-BHP로 처리하여 배양한 후의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로 전처리된 HepG2 세포를 t-BHP로 처리하여 배양한 후의 SOD 효소 활성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로 전처리된 HepG2 세포를 t-BHP로 처리하여 배양한 후의 AST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로 전처리된 HepG2 세포를 t-BHP로 처리하여 배양한 후의 ALT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을 투여 시 마우스의 생존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을 투입한 군의 혈청에서 측정한 AST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을 투입한 군의 혈청에서 측정한 ALT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을 투입한 군의 간조직을 촬영한 사진이다.
본 발명은 개똥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간기능 개선효능을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개똥쑥은 채취시기에 따라 개화기인 6 내지 8월 전에 수확되는 봄 개똥쑥, 개화기인 6 내지 8월에 수확되는 여름 개똥쑥 및 꽃이 진 후 전초의 색이 황색 또는 갈색을 띠는 가을 개똥쑥으로 나뉘어지며, 본 발명에서는 꽃이 진 후에 채취한 가을 개똥쑥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사람 유래 간암세포 및 마우스에 각각 개똥쑥 추출물을 전처리한 후 간손상을 유발하는 약물을 처리한 결과, 아스파테이트 아미노전이효소(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alanine-aminotransferase, ALT)의 수치를 감소시킴으로써 간기능 개선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개똥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에 효과가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개똥쑥(Artemisia Annua L.) 추출물은 꽃이 진 후에 채취한 가을 개똥쑥의 추출물로서, 봄 개똥쑥 추출물, 여름 개똥쑥 추출물, 쑥(Artemisia princeps) 추출물,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추출물, 참쑥(Artemisia dubia) 추출물, 황해쑥(Artemisia argyi) 추출물 등의 다른 쑥(Artemisia)속 식물들의 추출물에 비해 간기능 개선에 효과적이다.
상기 가을 개똥쑥 추출물은 가을 개똥쑥의 잎, 줄기 또는 이를 포함하는 전초의 추출물일 수 있으나, 간기능 개선에 대한 효능은 가을 개똥쑥 잎 추출물에서 뛰어나다.
상기 개똥쑥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그들의 혼합 용매에 의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물은 식품 제조에 적합할 경우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지하수, 정제수, 증류수, 탈이온수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은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들 들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또는 노말-부탄올 등이 이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다.
상기 혼합 용매는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인 경우 5 내지 95 중량% 에탄올 수용액, 10 내지 90 중량% 에탄올 수용액, 20 내지 80 중량% 에탄올 수용액, 30 내지 70 중량% 에탄올 수용액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물 추출물의 제조는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가을 개똥쑥을 10 내지 100 ℃의 물로 2 내지 60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알코올 추출물,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 용매의 추출물의 제조는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가을 개똥쑥을 30 내지 70 중량%의 에탄올 수용액으로 20 내지 100 ℃에서 2 내지 48 시간 추출하여 제조한다.
상기 가을 개똥쑥의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그들의 혼합 용매에 의한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그들의 혼합 용매에 의한 추출물을 유기용매로 재분획한 분획물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헥산,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디에틸에테르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기용매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헥산 또는 에틸아세테이트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기 용매를 이용하여 가을 개똥쑥에 포함된 성분을 추출한 추출물, 이들로부터 분획한 분획물, 이들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추가적으로 농축한 농축물, 이를 정제 또는 분리한 정제물도 포함하고, 상기 추출물, 분획물, 농축물 또는 정제물을 건조한 건조물 또는 그를 분쇄한 분말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상기 정제물의 제조를 위해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키거나, 또는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부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을 개똥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가을 개똥쑥 추출물 이외에, 식품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식품의 기준 및 규격('식품공전')에 기재된 식품으로 사용가능한 식품 원료, 식품첨가물 공전에 기재된 식품첨가물을 포함한다.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기 탄수화물은 단당류,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이당류, 예를 들어 말토스, 설탕, 유당 등; 올리고당 또는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물엿, 사이클로덱스트린 등; 당알코올, 예를 들어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을 개똥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 가을 개똥쑥 추출물은 간기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함량이면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0.1 내지 99 중량%, 0.5 내지 95 중량%, 1 내지 90 중량%, 2 내지 80 중량%, 3 내지 70 중량%, 4 내지 60 중량%, 5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인 가을 개똥쑥 추출물은 섭취자의 상태, 체중, 질병의 유무나 정도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들 들어 1일 투여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000 mg,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00 mg,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0 mg,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0 mg,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0 mg일 수 있고, 투여 횟수는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1일 3회 내지 1주일에 1회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조절할 수 있다.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환제, 엑스제, 젤리 제형, 티백 제형 또는 음료 제형일 수 있다.
또한 일반 식품에 간기능 개선의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가을 개똥쑥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으며, 첨가가 가능한 식품은,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식품위생법 제7조에 따른 식품의 기준 및 규격('식품공전')에 예시된 과자류, 빵 또는 떡류, 코코아가공품류 또는 초콜릿류, 식육 또는 알가공품, 어육가공품, 두부류 또는 묵류, 면류, 다류, 커피, 음료류, 특수용도식품, 장류, 조미식품, 드레싱류, 김치류, 젓갈류, 절임식품, 조림식품, 주류, 건포류, 기타 식품류 등에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축산물위생관리법 제4조에 따른 축산물의 가공기준 및 성분규격('축산물공전')에 예시된 유가공품, 식육가공품 및 포장육, 알가공품에 첨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을 개똥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은 단독으로 "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법적 기준에 따라 제조(가공을 포함)한 식품(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3조 제1호)을 말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국가마다 용어나 범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미국의 '식이 보충제(Dietary Supplement)', 유럽의 '식품 보충제(Food Supplemnet)', 일본의 '보건기능식품' 또는 '특정보건용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 중국의 '보건식품'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은 식품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첨가물로서의 적합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첨가물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따른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에는 상기 가을 개똥쑥 추출물과 함께 "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 사용되는 '기능성 원료'로 고시된 원료 또는 개별인정된 원료로서, 도라지추출물, 밀크씨슬 추출물, 발효울금, 복분자 추출물, 브로콜리스프라우트분말, 표고버섯 균사체추출물, 표고버섯균사체, 유산균발효 마늘추출물 등의 간 건강과 관련된 건강기능식품 소재를 복합하여 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을 개똥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사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가을 개똥쑥 추출물 이외에, 식품의 기준 및 규격('식품공전')에 기재된 식품으로 사용가능한 식품 원료, 식품첨가물 공전에 기재된 식품첨가물을 사용할 수 있고, 식품으로 사용가능한 식품 원료 또는 식품첨가물이 아니더라도 '사료 등의 기준 및 규격' 별표 1의 단미사료의 범위에 해당하는 원료, 별표 2의 보조사료의 범위에 해당하는 원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 조성물'은 '사료 등의 기준 및 규격'에 따른 보조사료 중 추출제일 수 있고, 상기 보조사료를 포함하는 배합사료일 수 있다.
상기 가을 개똥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 가을 개똥쑥 추출물은 간기능 예방 또는 개선을 나타내는 함량이면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0.1 내지 99 중량%, 0.5 내지 95 중량%, 1 내지 90 중량%, 2 내지 80 중량%, 3 내지 70 중량%, 4 내지 60 중량%, 5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사료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인 가을 개똥쑥 추출물은 섭취 동물의 상태, 체중, 질병의 유무나 정도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들 들어 1일 투여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000 mg,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00 mg,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0 mg,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0 mg,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0 mg일 수 있고, 투여 횟수는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1일 3회 내지 1주일에 1회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조절할 수 있다.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을 개똥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을 개똥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예방 또는 치료용을 위한 동물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인간, 또는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게 상기 조성물을 투여하는 간기능 개선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간기능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또는 동물용 의약 제조를 위한 가을 개똥쑥 추출물의 신규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 '의약',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은 유효성분으로 가을 개똥쑥 추출물 이외에, 약학 조성물 등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세포 또는 조직 내로의 화합물의 부가를 용이하게 하는 화합물이다. 상기 '희석제'는 대상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형태를 안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화합물을 용해시키게 되는 물에서 희석되는 화합물이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유당, 포도당, 설탕,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 의약,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의 사용량은 환자 또는 치료대상 동물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치료대상 개체의 상태, 치료 대상 질환의 특정한 카테고리 또는 종류, 투여 경로, 사용되는 치료제의 속성에 의존적일 것이다.
상기 약학 조성물, 의약,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은 체내에서 활성성분의 흡수도, 배설속도, 환자 또는 치료대상 동물의 연령 및 체중, 성별 및 상태, 치료할 질병의 중증정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나, 일반적으로 1일 0.1 내지 1,000 mg/kg,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0 mg/kg,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0 mg/kg,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형화 된 단위 투여형 제제는 필요에 따라 일정시간 간격으로 수회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 의약,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은 개별적으로 개선제로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학조성물, 의약,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트로키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 제형으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형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트로키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 설탕 또는 유당,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간기능의 개선방법은 인간, 또는 인간을 제외한 동물, 특히 포유동물에게 상기 조성물을 투여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간기능이 저하된 치료대상 개체에게 상기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이다.
상기 치료를 위한 투여량, 투여 방법 및 투여 횟수는 상기 약학 조성물, 의약,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의 투여량, 투여 방법 및 투여 횟수를 참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봄 개똥쑥 추출물
5월에 수확한 봄 개똥쑥을 세척하여 건조한 후 상기 건조된 봄 개똥쑥에 중량 대비 20배수의 정제수를 투입하여 80 ℃의 조건에서 4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후 50~60 mesh로 1차 여과한 다음 10 μm 카트리지 필터를 이용해 2차 여과한 후 상기 여과된 여과물을 60 ℃ 미만의 조건에서 고형분 함량이 20ㅁ5%가 될 때까지 감압 농축하여 봄 개똥쑥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여름 개똥쑥 추출물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봄 개똥쑥 대신 7월에 수확한 여름 개똥쑥을 사용하여 여름 개똥쑥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가을 개똥쑥 추출물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봄 개똥쑥 대신 10월에 수확한 가을 개똥쑥을 사용하여 여름 개똥쑥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시험예 Ⅰ> in vitro 효능 평가
시험예 1.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항산화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DPPH법을 이용하였다. DPPH를 이용한 소거활성은 시료의 항산화활성 측정에 많이 활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며, DPPH는 항산화물질과 반응하여 음이온 라디칼이 소거되면서 보라색에서 노란색으로 탈색되는 원리로 항산화활성을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50% ethanol(EtOH)에 녹인 실시예 1 내지 3의 각 개똥쑥 추출물과 0.1 mM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Sigma, USA) 용액을 1:1의 중량비로 96 well plate에 혼합하여 실온에서 30분 동안 암반응시킨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수학식 1]
라디칼 소거활성(%)={1-(Abs(test)-Abs(color))/Abs(control)}X100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의 농도별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개똥쑥 추출물은 250 ㎍/㎖에서 대조군인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과 유사한 항산화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3의 가을 개똥쑥 추출물은 실시예 1 및 2에 비하여 모든 농도에서 높은 항산화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분 IC50(㎍/ml)
아스코르브산 1.36
실시예 1 70.86
실시예 2 69.45
실시예 3 30.84
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50%의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는 농도인 IC50에서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추출물은 각각 70.86, 69.45, 30.84 ㎍/mL의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3은 실시예 1 및 2에 비하여 현저히 낮은 값을 나타내어 우수한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세포독성 측정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HepG2 세포를 96 well plate에 2 X 10⁴ cells/well이 되도록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계절별 개똥쑥 추출물을 농도 125, 250 ㎍/ml로 처리하고 24시간 배양한 후, 0.5 mg/ml Thiazolyl blue tetrazolium bromide (MTT; AppliChem, Germany)를 넣었다. Incubator에 3시간 배양한 뒤 DMSO로 생성된 formazan을 용해시키고,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의 농도별 세포독성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개똥쑥 추출물은 250 ㎍/ml의 농도까지 세포 생존율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세포 보호효과 측정
t-BHP(tert-butylhydroperoxide, Sigma, USA)는 급성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세포 손상을 일으키는 organic hydroperoxide 중 하나이며, t-BHP로 유도된 HepG2 세포(사람 유래 간암세포)의 산화적 손상에 계절별 개똥쑥 추출물의 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HepG2 세포를 96 well plate에 2 X 10⁴ cells/well이 되도록 분주하고 37 ℃, 5% CO2 조건으로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실시예 1 내지 3의 개똥쑥 추출물을 농도 250 μg/ml로 전처리하고 3시간 후에 t-BHP 0.8 mM 처리한 다음 3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MTT assay로 세포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로 전처리된 HepG2 세포를 t-BHP로 처리하여 배양한 후의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즉,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의 세포 보호효과를 알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t-BHP만을 처리한 군은 세포 생존율이 44%로 감소하였는데, 실시예 1 내지 3의 개똥쑥 추출물로 전처리 시 세포 생존율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가을 개똥쑥 추출물인 실시예 3은 실시예 1 및 2의 개똥쑥 추출물에 비하여 세포 생존율이 76%로 가장 높은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실시예 3의 가을 개똥쑥 추출물이 가장 우수하게 t-BHP에 의한 세포 손상을 저해함으로서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험예 4. SOD 활성 측정_항산화 측정
HepG2 세포에 실시예 1 내지 3의 개똥쑥 추출물을 처리한 후 항산화 기능을 가지는 SOD 효소 활성을 측정하여 그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HepG2 세포를 100 mm dish에 9 X 106 cells가 될 때까지 37 ℃, 5% CO2 조건으로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의 개똥쑥 추출물을 250 ㎍/ml의 농도로 전처리하고 3시간 후에 t-BHP 0.8 mM를 처리하여 3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세포를 수확하여 SOD assay kit (Dojindo, USA)를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Superoxide Dismutase(SOD) 효소 활성분석을 측정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로 전처리된 HepG2 세포를 t-BHP로 처리하여 배양한 후의 SOD 효소 활성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t-BHP만을 처리한 군은 대조군(control)에 비해 SOD 효소활성이 감소한 반면, 실시예 1 내지 3의 개똥쑥 추출물로 전처리한 군은 t-BHP만을 처리한 군에 비하여 SOD 효소 활성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가을 개똥쑥 추출물인 실시예 3으로 전처리한 군은 실시예 1 및 2의 추출물로 전처리한 군에 비하여 SOD 효소 활성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5. AST, ALT 측정_간기능 측정
대표적인 간기능 지표인 AST(Aspartate Transaminase) 및 ALT(Alanine Transaminase)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HepG2 세포를 100 mm dish에 9 X 106 cells가 될 때까지 37 ℃, 5% CO2 조건으로 incubator에서 배양한 후 실시예 1 내지 3의 개똥쑥 추출물을 250 ㎍/ml의 농도로 전처리하고 3시간 후에 t-BHP 0.8 mM를 처리하여 3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상등액을 수거하여 Aspartate Transaminase Assay kit(BioAssay Systems, USA), Alanine Transaminase Assay kit(BioAssay Systems, USA)를 이용해 AST, ALT를 측정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로 전처리된 HepG2 세포를 t-BHP로 처리하여 배양한 후의 AST를 측정한 그래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로 전처리된 HepG2 세포를 t-BHP로 처리하여 배양한 후의 ALT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AST는 t-BHP 처리군에서 증가된 반면, 실시예 1 내지 3의 개똥쑥 추출물로 전처리한 군은 t-BHP 처리군에 비하여 그 수치가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가을 개똥쑥 추출물인 실시예 3으로 전처리한 군은 실시예 1 및 2의 추출물로 전처리한 군에 비하여 AST 수치가 낮을 뿐만 아니라 정상세포 수준의 AST 수치를 보여 가장 우수한 간기능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ALT 역시 t-BHP 처리군에서 증가된 반면, 실시예 1 내지 3의 개똥쑥 추출물로 전처리한 군은 t-BHP 처리군에 비하여 그 수치가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가을 개똥쑥 추출물인 실시예 3으로 전처리한 군은 실시예 1 및 2의 추출물로 전처리한 군에 비하여 ALT 수치가 낮을 뿐만 아니라 정상세포 수준의 ALT 수치를 보여 가장 우수한 간기능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시험예 Ⅱ> in vivo 효능 평가
시험방법
C57BL/6 마우스를 이용하여 실시예 1 내지 3의 각 개똥쑥 추출물을 14일간 1일 1회 경구투여하고, 마지막 경구투여 1시간 뒤에 lipopolysaccharide(LPS, 4 ug/kg)과 D-galactosamine(D-GalN, 400 mg/kg)의 복강주사를 통해 간손상을 일으켜 혈중 간지표와 간조직을 평가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C57BL/6 마우스는 간손상 모델연구에 있어 시험물질의 항산화적 활성과 간기능 지표물질의 변화 검색에 널리 사용되는 실험동물로서 비교할만한 기초자료가 풍부하고 시험결과의 해석 및 평가에 용이할 수 있기에 선정되었다. 시험을 실시하는데 적합하고 건강한 동물을 선별하기 위하여 항온, 항습이 유지되는 동물 사육실에서 1주간의 순화기간을 두며 순화기간동안 polycarbonate cage에 3마리씩 사육하였으며, 개체식별은 tail marking법을 사용하고, 검역 및 순화기간 중에는 적색 유성펜으로 표식하고 케이지당 3수 사육밀도로 관리하며, 군분리 및 8주 투여기간동안 검정색 유성펜으로 표식하여 케이지당 3수 또는 2수 사육밀도로 수용하여 관리하였다. 검역상 이상이 없는 동물만을 대상으로 순화 종료 후 체중을 기준으로 Z배열법에 따라 분리하며, 군 분리 완료 후 각각의 사육상자에 개체 식별카드(시험명, 시험군, 개체번호, 성별, 시험개시일 등 기재)를 부착하였다. 시험물질 투여는 군분리 익일부터 개시하였다.
구분 시험물질 Dose
(mg/kg)
Liver damage 투여량
(mL/kg)
투여
빈도
투여
기간
N 수
G1 Vehicle control (VC) vehicle - 10 QD 2주 10
G2 LPS/D-GalN vehicle LPS/D-GalN 10
G3 실시예 1의 개똥쑥 추출물 100 LPS/D-GalN 10
G4 실시예 2의 개똥쑥 추출물 100 LPS/D-GalN 10
G5 실시예 3의 개똥쑥 추출물 100 LPS/D-GalN 10
시험물질 또는 대조물질을 각각 100 mg의 용량으로 체중 kg당 10 ml 투여량으로 14일간 1일 1회 일정시간에 투여하고, 마지막 경구투여(14일차) 1시간 후에 간손상을 유발하기 위하여 G2군~G5군 개체를 대상으로 PBS에 조제된 LPS(4ug/kg; Escherichia coli055:B5, L6529, 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와 D-GalN(400 mg/kg; G0500, 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을 복강 주사하였다. 음성 대조군(VC군)은 동량의 vehicle만을 경구투여하였다. 모든 동물에 대하여 LPS/D-GalN 투여하고 6시간 경과 후에 isoflurane 흡입마취 하에 개복하여 복대정맥에서 혈액을 최대한 채혈하였다.
시험예 7. 간손상 마우스의 생존률 측정
7주령 C57BL/6 마우스에 실시예 1 내지 3의 개똥쑥 추출물을 각각 100 mg/kg/day로 2주간 경구투여한 후 LPS/D-GalN(4 μg/kg, 400 mg/kg)를 복강투여한 후 6시간 동안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을 투여 시 마우스의 생존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G2군은 30%의 생존률을 보인 반면, 실시예 1 내지 3의 개똥쑥 추출물을 투여한 군은 LPS/D-GalN를 투여한 후 6시간 동안 각각 60%, 90% 및 90%의 높은 생존률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8. AST, ALT 측정_간기능 측정
상기 채취된 혈액을 0.6 mL SST tube (Microtainer, BD, USA) 넣어 완전히 굳힌 다음 5,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혈청을 취하였다. 혈액생화학분석기(Accute TBA-40FR, Toshiba Medical System Co., Japan)를 이용하여 AST(GOT, Glutamate Oxaloacetate Transaminase), ALT(GPT,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를 측정하였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을 투입한 군의 혈청에서 측정한 AST 그래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을 투입한 군의 혈청에서 측정한 ALT 그래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청 내 AST 분석 결과 LPS/D-GalN만 투여한 유발군에 비해 실시예 1 내지 3의 개똥쑥 추출물 투여군은 AST의 상승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중 실시예 3의 가을 개똥쑥 추출물은 다른 군에 비하여 AST 수치가 낮으므로 가장 우수한 간기능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ALT 역시 LPS/D-GalN만 투여한 유발군에 비해 실시예 1 내지 3의 개똥쑥 추출물 투여군이 ALT의 상승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그 중 실시예 3의 가을 개똥쑥 추출물은 다른 군에 비하여 ALT 수치가 가장 낮으므로 우수한 간기능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시험예 9. 간조직을 이용하여 AST, ALT 측정_간기능 측정
모든 시험 개체에 대하여 간을 적출하여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0.9% saline으로 세척하였다. 채취된 간조직은 10% neutral buffered formalin액에 고정한 후 삭정, 탈수 및 파라핀 포매 등의 일반적인 조직처리 과정을 거쳐 Paraffin Block을 제작하여 4μm로 박절한 후, hematoxylin & eosin (H&E)으로 염색을 실시하였다. 제작된 조직슬라이드는 봉입과정을 거친 후 광학현미경(OlympusMVX10 microscope, equipped with a DC71camera, Center Valley, PA. Olympus, Japan) 하에 조직학적 평가를 실시였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을 투입한 군의 간조직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 조직학적 평가 결과 LPS/D-GalN만 투여한 유발군의 간조직은 심한 울혈과 함께 간세포는 팽윤되고 변성과 공포현상을 보였으며, 중심정맥 주변으로 세포괴사가 관찰되었고 동모양 혈관의 구조가 소실된 손상성 변화가 매우 뚜렷이 확인되었으나, 실시예 1 내지 3의 개똥쑥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는 이와 같은 간 조직 손상이 뚜렷하게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중 실시예 3의 가을 개똥쑥 추출물을 투여한 군이 가장 정상세포와 유사한 것을 확인하였다.
아래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실시예 3의 추출물 분말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3의 추출물 분말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캡슐제의 제조
실시예 3의 추출물 분말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과립제의 제조
실시예 3의 추출물 분말 1,0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건강기능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기능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5: 음료 제형의 제조
실시예 3의 추출물 분말 1,000 mg
구연산 1,000 mg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mL
통상의 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 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제제예 6: 사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3의 추출물 분말 0.1 kg, 옥수수 25.5 kg, 소맥 15.04 kg, 소맥분 8.15 kg, 미강 7.4 kg, 대두박 18 kg, 옥구르텐 1kg, 닭부산물 14 kg, 동물성유지 9 kg, 가공염 0.3 kg, 인산제삼칼슘 0.3 kg, 석회석 1 kg, 염화콜린 0.01 kg, 비타민 0.05 kg, 미네랄 0.05 kg 및 소화효소제 0.1 kg을 혼합하여 동물(개, 애완견)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Claims (8)

  1. 개똥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효능을 갖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똥쑥 추출물은 꽃이 진 후의 개똥쑥을 추출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효능을 갖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똥쑥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그들의 혼합 용매에 의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효능을 갖는 조성물.
  4. 개똥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
  5. 개똥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7. 개똥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용 사료 조성물.
  8. 개똥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용 동물용 약학 조성물.
KR1020190170386A 2019-12-19 2019-12-19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효능을 갖는 조성물 KR202100786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386A KR20210078693A (ko) 2019-12-19 2019-12-19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효능을 갖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386A KR20210078693A (ko) 2019-12-19 2019-12-19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효능을 갖는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693A true KR20210078693A (ko) 2021-06-29

Family

ID=76626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386A KR20210078693A (ko) 2019-12-19 2019-12-19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효능을 갖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869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2662A (ko) 2021-08-31 2023-03-07 주식회사 에치와이 계지 및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555B1 (ko) 2008-12-24 2011-04-06 김수학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보호 및간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59845B1 (ko) 2017-07-12 2019-03-19 유한회사 파이토뉴트리메디 민들레 추출물 및 레몬밤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555B1 (ko) 2008-12-24 2011-04-06 김수학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보호 및간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59845B1 (ko) 2017-07-12 2019-03-19 유한회사 파이토뉴트리메디 민들레 추출물 및 레몬밤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2662A (ko) 2021-08-31 2023-03-07 주식회사 에치와이 계지 및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2840B1 (ko) 굼벵이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KR101406138B1 (ko) 황칠나무로부터 분리한 덴드로파녹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19839B1 (ko) 귀뚜라미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EP1718167A1 (en) Composition comprising hovenia dulcis thunb. extract, lindera obtusiloba blume extract, or herbal mixture extract thereof
KR20210078693A (ko)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효능을 갖는 조성물
KR101692889B1 (ko) 두메닥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12675B1 (ko) 개똥쑥 추출물, 후박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비만 및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481114B1 (ko) 바나바, 호로파 및 여주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혈당강하용 약학적 조성물
KR20220067467A (ko)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 손상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70155B1 (ko) 용쑥 및 서양민들레를 포함하는 체중 또는 체지방 감소용 경구용 조성물
KR102414431B1 (ko) 엉겅퀴, 민들레, 여주, 돼지감자, 양파, 꾸지뽕, 아로니아 및 생강을 포함하는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808808B1 (ko) 벌나무 및 후박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80098883A (ko) 땅콩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및 체지방 감소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
KR101399398B1 (ko) 액상발효법을 이용한 산마늘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산마늘 발효물을 포함하는 당뇨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85676B1 (ko) 구멍갈파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10297B1 (ko) 얼레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 증상 또는 스트레스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64067A (ko) 초피 및 흑호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25261B1 (ko)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 분해 효능과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50072659A (ko) 청미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KR101949557B1 (ko) 땅두릅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증강용조성물
KR20150064521A (ko) 죽염 및 쥐눈이콩을 포함하는 발효조성물
KR101958975B1 (ko) 해조류 복합추출물 및 식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06612A (ko)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당조절,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37014A (ko) 숙성새싹삼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450143B1 (ko) 타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