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840B1 - 굼벵이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굼벵이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840B1
KR101852840B1 KR1020180000039A KR20180000039A KR101852840B1 KR 101852840 B1 KR101852840 B1 KR 101852840B1 KR 1020180000039 A KR1020180000039 A KR 1020180000039A KR 20180000039 A KR20180000039 A KR 20180000039A KR 101852840 B1 KR101852840 B1 KR 101852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ed
enzyme
powder
extract
larv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명수
이종철
김민수
김성태
한상진
안은지
서해진
강지희
임철승
이현정
이정연
김수희
유재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미양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미양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미양행
Priority to KR1020180000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8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굼벵이 효소처리물,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 인진쑥 추출물, 민들레 추출물 및 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간 보호용 조성물이 포함된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은 알코올성 간염, 알코올성 지방간과 같은 간손상과 관련된 각종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또는 이들 질환의 예방과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굼벵이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Hepatoprotective composition comprising enzyme treated larva}
본 발명은 굼벵이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간은 당질, 단백질, 지방을 대사하는 중심기관이며, 체내에 들어온 외부물질을 산화, 환원, 가수분해 및 포합반응을 통해 체내로 배설하는 기능을 담당하지만, 간질환의 초기단계에서 통증이나 자각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고 상당히 진행되어야 발견되는 '침묵의 장기'이다.
간질환의 원인은 다양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병인학적으로 바이러스에 기인된 간질환, 약물중독에 기인한 간질환 및 담도기능부전에 의한 간질환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간질환은 간세포파괴에 의한 해독능력 저하와 담즙분비 억제에 의한 독성물질 배설장애, 비타민 B2, B3 및 C의 흡수억제 및 축적저하에 의한 전신 권태감, 소양감, 식욕부진 및 피로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우리나라의 경우 20세 이상 성인 남자의 음주율은 83.3%로 매우 높고 여성의 음주율 또한 54.9%로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이며, 잘못된 음주 문화로 인하여 과음에 심각하게 노출되어 있다. 알코올의 과다 섭취로 인한 폐해는 간질환을 비롯하여 각종 질환의 병인이 됨은 물론 개인, 가정, 사회의 정서와 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국가적으로 막대한 경제, 사회적 손실을 야기하고 있다.
또한, 국립암센터 통계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간염 바이러스 보균자의 60~70%가 B 형 간염보균자이며, 특히 간암 환자의 75%가 B형 간염보균자이고, 전체인구의 5~10%가 만성 B형 간염바이러스 보균자라는 통계도 있으며, B형 C형 간염바이러스 및 다양한 간의 만성질환은 세계적으로 가장 빈도가 높은 악성종양인 간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원발성 담도성 간경변, 진행 중인 괴사후성 간경변, 간염, 간암을 치료하는 약물로 penicillamine, azathioprine, colchicine, cyclosporine, interferon 등이 추천되고 있지만 낮은 효과와 높은 부작용 및 이를 보완하기 위한 이들 약의 병용투여는 효과 증대 뿐 만 아니라 부작용도 증가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로부터 간 기능 개선용 기능성 원료 개발연구가 필요하다.
천연물로부터 인간의 질병을 예방, 치료할 수 있는 신물질의 탐색은 과거부터 많은 과학자들의 연구대상이 되어왔다. 이와 같은 천연자원의 개발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의약품의 50% 이상이 천연물로부터 유래되었으며 미국 FDA로부터 승인된 의약품이 120종으로 시장규모는 약 10조 달러에 이르고 있다. 항 간독성 활성을 갖는 천연물의 탐색 및 개발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실제 치료제로 사용 중이거나 임상시험을 거친 예는 소수에 불과하다. 간 건강에 도움을 주는 개별인정형 기능성 원료로는 밀크씨슬 추출물, 브로콜리 스프라우트 분말,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 복분자 추출 분말, 도라지 추출물 등이 있고 알코올성 손상으로부터 간 보호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원료는 헛개나무과병 추출물과 유산균 발효 다시마 추출물이 있다(식품의약품안전처, 2017).
한편, 최근 기능성 식품과 관련하여 천연원료의 기능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지구상에 다수 종을 차지하고 있는 곤충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는데, 예로부터 곤충은 한약재로 자주 이용되어 왔으며 주로 굼벵이, 누에, 매미허물, 동충하초 또는 지네 등 약 30 여종이 유용한 곤충자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곤충은 단백질 함량이 육류에 비해 평균 2배 이상 높으며 무기질, 필수 및 비필수 아미노산, 비타민 등이 풍부하며 지방이 대부분 불포화 지방으로 이루어져 있다. 곤충이 함유하고 있는 영양성분이 인체에 쉽게 흡수될 수 있어 축산물에서 얻어지는 단백질 대체식품으로 대두되고 있다.
굼벵이는 딱정벌레 유충으로 풍뎅이과와 사슴벌레과를 중심으로 한 곤충류의 유충이 이에 속한다. 매미의 유충뿐만 아니라 다른 곤충의 유충에도 굼벵이와 동일한 약효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굼벵이라는 용어는 풍뎅이 또는 딱정벌레류 곤충의 유충을 통칭하는 말로 사용되고 있으며, 시중에 통용되는 굼벵이 역시 같은 곤충들의 유충이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근래에 일반적으로'굼벵이'라 지칭하는 것은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의 유충 또는 장수풍뎅이(Allomyrina dichotoma)의 유충이다.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은 몸길이가 17~24mm로 약간 편평하며, 광택 있는 검정 구릿빛을 띠고 황백색 무늬가 흩어져 있다. 장수풍뎅이 유충은 회색이나 회갈색을 띤다. 아울러 흰점박이꽃무지의 유충은 약으로 많이 쓰이며, '동의보감'에는 사람의 간에서 비롯되는 질병 즉, 간암, 간경화, 간염, 누적된 피로 해소 등을 포함하여 시력 감퇴, 백내장, 악성종기, 구내염, 파상풍, 중풍 등의 성인병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있다고 적혀있다.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는 딱정벌레목 거저리과 곤충의 일종이다. 갈색거저리는 한국을 비롯한 전 세계에 분포되어 있다. 갈색거저리 유충의 영양성분으로는 건조 중량기준으로 단백질 45~57%, 지방 25~34%, 탄수화물 8~11 %가 함유되어 전 세계적으로 미래식량자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갈색거저리 유충에 대한 약리효능이 한의서에 기록된 것은 없지만 최근에 들어서 갈색거저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인진쑥(Artemisia iwayomogi KITAMURA)은 더위지기, 부덕쑥, 애기바위쑥이라고도 하며, 한자로는 인진이라 하고 전초를 백호라 하며 약용한다. 늦가을에 채취하며, 지상부분은 sieversin, artabsin, artabsin, absinthin을 함유한다. 건조식물은 alkaloid 0.12-0.2%, pyrocatechol tannin 0.499%, flavonoid 0.831%, lactone류 및 미량의 furocoumarins을 함유한다. 이밖에 rutin, isoquercetin을 함유한다. 이담효과가 있으며, 오장사기, 풍한습비를 치료하고 보중익기의 효능이 있다. 정신불안정으로 소식하기 때문에 항상 공복감을 갖는 증상, 풍한습비, 황달을 치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민들레(Taraxacum platycarpum Dahlst. ; Taraxacum mongolicum Hand.-Mazz)는 금잠초, 지정, 포공영, 포공초, 안질방이라고도 하며 앉은뱅이라는 별명도 있다. 잎 또는 줄기에는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회분, 무기질, 비타민 등이 골고루 함유되어 있다. 어린순은 나물이나 국거리로 쓴다. 한방에서는 뿌리와 꽃피기 전의 전초를 해열, 소염, 이뇨, 건위의 효능이 있다고 하여, 감모발열, 인후염, 기관지염, 임파선염, 안질, 유선염, 간염, 담낭염, 소화불량, 소변불리, 변비의 치료제로 이용한다.
엉겅퀴(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Regel) Kitam)는 한방에서 대계라고 하여 예로부터 뿌리를 한약재로 이용해 왔다. 동의보감에는 혈기를 식히고 어혈을 풀어주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엉겅퀴 추출물은 간장약의 성분으로 사용되는데, 간장 질환에 우수한 실리마린(silymarin)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간세포 보호 및 지방대사를 촉진하고 담즙 분비 촉진 및 RNA 생합성, 간세포 재생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엉겅퀴 뿌리가 건위, 강장, 소염, 해독, 이뇨, 지혈, 신경통 등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본 발명자들은 각종 곤충과 식물이 갖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연구하던 중, 상기 굼벵이의 효소처리물과 인진쑥, 민들레 및 엉겅퀴의 추출물이 간 보호 효능이 뛰어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8717호 (발명의 명칭 : 간세포 보호작용을 갖는 민들레 복합식물 발효추출 조성물, 출원인 : 주식회사 네츄로바이오, 등록일 : 2014년09월01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73120호 (발명의 명칭 : 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성상세포 활성 억제용 조성물, 출원인 : 임실생약영농조합법인, 등록일 : 2014년03월05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02046호 (발명의 명칭 : 장수풍뎅이 유충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보호 및 항암용 조성물, 출원인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외 1인, 등록일 : 2017년01월25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2400호 (발명의 명칭 : 흰점박이꽃무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출원인 : 대한민국, 등록일 : 2014년04월01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21907호 (발명의 명칭 : 꽃무지 굼벵이 환 및 그 제조방법, 출원인 : 박은원, 공개일 : 2010년11월19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68710호 (발명의 명칭 : 장수풍뎅이 유충 및 장수 풍뎅이 유충을 기주로한 장수풍뎅이 동충하초를 포함하는 외부 물질이나 바 이러스감염에 의해 발생되는 간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출원인 : 까치마을영농조합법인, 공개일 : 2004년08월02일)
본 발명의 목적은 굼벵이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굼벵이 효소처리물,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 인진쑥 추출물, 민들레 추출물 및 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에는 굼벵이 효소처리물 30~60 중량%,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 20~50 중량%, 인진쑥 추출물 5~10 중량%, 민들레 추출물 5~10 중량% 및 엉겅퀴 추출물 5~30 중량%가 함유될 수 있다.
상기 굼벵이는 흰점박이꽃무지 또는 장수풍뎅이의 유충일 수 있다.
상기 굼벵이 효소처리물 또는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은 원료시료인 굼벵이 또는 갈색거저리 유충에 플라보자임(Flavozyme), 알칼라아제(Alcalase) 또는 프로테아제(Protease)에서 선택되는 효소를 처리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간 보호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간 보호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알코올성 간질환은 알코올성 간염 또는 알코올성 지방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굼벵이 효소처리물,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 인진쑥 추출물, 민들레 추출물 및 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굼벵이 효소처리물의 원료가 되는 굼벵이는 흰점박이꽃무지 또는 장수풍뎅이의 유충일 수 있는데, 이 때 흰점박이꽃무지 또는 장수풍뎅이의 유충이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같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흰점박이꽃무지 또는 장수풍뎅이의 각 유충이 같이 혼합될 때, 1:0.5~2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는 굼벵이 효소처리물 30~60 중량%,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 20~50 중량%, 인진쑥 추출물 5~10 중량%, 민들레 추출물 5~10 중량% 및 엉겅퀴 추출물 5~30 중량%가 함유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조성물 내 굼벵이 효소처리물이 30 중량% 미만이거나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이 20 중량% 미만이면 이들이 갖는 유용성 성분의 함량이 낮아져 간 보호 효능이 낮아질 수 있고, 굼벵이 효소처리물이 60 중량%를 초과하거나 갈색저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이 50 중량%를 초과하여도 다른 성분들의 함량이 줄어들어 간 보호 효능에서의 각 성분의 혼합에 따른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기 어려울 수 있다. 인진쑥 추출물, 민들레 추출물, 엉겅퀴 추출물이 5 중량% 미만이면, 추출물의 활성이 잘 나타나지 않아 간 보호 효능이 낮아질 수 있고, 인진쑥 추출물과 민들레 추출물이 10 중량%를 초과하거나 앙겅퀴 추출물이 30 중량%를 초과하면 조성물 내 쓴 맛이 강해져 맛이 좋지 않을 수 있고, 굼벵이 효소처리물과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의 비중이 낮아져 조성물이 갖는 간 보호 효능이 낮아질 수 있다.
상기 굼벵이 효소처리물 또는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은 원료시료인 굼벵이 또는 갈색거저리 유충에 플라보자임(Flavozyme), 알칼라아제(Alcalase) 또는 프로테아제(Protease)에서 선택되는 효소를 처리한 것일 수 있는데, 상기 프로테아제는 프로테아제 N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효소로서 알칼라아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굼벵이 효소처리물 또는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은 원료시료인 굼벵이 또는 갈색거저리 유충 100 중량부 기준 200~400 중량부의 정제수를 첨가한 후 100~150℃에서 0.5~2시간 동안 가열하고 40~60℃로 식힌 후, 원료시료인 굼벵이 또는 갈색거저리 유충 100 중량부 기준으로 효소를 0.1~10 중량부 첨가하여 40~60℃에서 5~10시간 동안 효소처리된 것을 90~100℃에서 20~60분간 열처리하여 효소를 실활시킨 뒤 기름 성분을 분별깔대기로 층분리하여 제거하고 여과하여 얻은 액상을 분무건조한 것일 수 있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원료시료인 굼벵이 또는 갈색거저리 유충 100 중량부 기준 300 중량부의 정제수를 첨가한 후 100~15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고 40~60℃로 식힌 후, 원료시료인 굼벵이 또는 갈색거저리 유충 100 중량부 기준으로 알칼라아제를 0.1~10 중량부 첨가하여 40~60℃에서 5~10시간 동안 효소처리된 것을 90~100℃에서 20~60분간 열처리하여 효소를 실활시킨 뒤 기름 성분을 제거하고 여과하여 얻은 액상을 분무건조한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효소처리시, 굼벵이나 유충 100 중량부 기준으로 정제수가 200 중량부 미만이면 이후의 효소처리 과정에서 효소가 과활성화 되어 단백분해된 조성물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으며, 정제수가 40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역시 이후의 효소처리시 효소활성이 약해 단백분해가 잘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가열 조건은 살균과정 및 유충을 익히는 조건을 동시에 수행하는 역할을 하는데, 가열 온도가 100℃ 미만이면 살균 작용이 잘 일어나지 않을 수 있고, 가열 온도가 150℃를 초과하게 되면 단백질의 성상에 변화가 나타나 단백분해된 조성물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열 조건이 0.5시간 미만이어도 살균이 잘 안 될 수 있으며, 가열 시간이 2시간을 초과하게 되면 단백질의 성상에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
효소 처리온도가 40℃ 미만이면 효소활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60℃를 초과하게 되면 효소가 실활되어 작용하지 않을 수 있다.
굼벵이 또는 갈색거저리 유충 100 중량부 기준으로 효소를 0.1미만으로 첨가하게 되면 효소활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하게 되는 것은 효소 사용에 대한 비용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고 효소의 작용이 과하게 되어 최종 단백분해된 산물의 물성이 더 나빠질 수 있다.
이 때 원료시료인 굼벵이나 갈색거저리 유충은 금식하여 배설물을 완전하게 배출시킨 것을 사용하되, 생 것 상태로 정제수로 세척 후 정제수를 첨가한 뒤 가열하는 것이 좋고, 가열 과정이 충분히 수행된 후에는 이를 식힌 후 굼벵이 또는 갈색거저리 유충을 분쇄하고 효소처리하여 가수분해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간 보호용 조성물은 g-GT(gamma- glutamyl phosphatase), GPT(glutamate-pyruvate transminase), GOT(glutamte- oxaloacetlate transminase), AP(alkaline phosphatase), TBIL(total bilirubin) 및 DBIL (direct-bilirubin)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간손상 지표인자를 저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인진쑥, 민들레 또는 엉겅퀴의 각 추출물은 원료시료인 인진쑥, 민들레 또는 엉겅퀴를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을 용매로 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C1~C4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및 이소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 때 용매로서 바람직하게는 물을 사용하는 것이 더 좋다.
상기 용매는 원료시료인 인진쑥, 민들레 또는 엉겅퀴 사용 중량 기준 1~40배 부피 또는 중량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40배 부피 또는 중량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진쑥, 민들레 또는 엉겅퀴 추출물의 추출조건은 20~100℃에서 1분~48시간일 수 있다. 상기 과정은 1~4번까지 반복할 수 있다.
또한, 당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으로서 상기 인진쑥, 민들레 또는 엉겅퀴의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 추출물을 물에 녹인 후에 n-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톤,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및 n-부탄올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가적으로 분획하여 분획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추출용 기기로는 통상의 추출기기, 초음파분쇄추출기 또는 분획기를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열풍건조, 감압건조 또는 동결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상법에 따라, 유기용매(알코올, 에테르, 아세톤 등)에 의한 추출, 헥산과 물의 분배, 칼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방법 등, 식물체 성분의 분리 추출에 이용되는 공지의 방법을 단독 또는 적합하게 조합한 방법을 이용하여 분획 또는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는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엘에이취-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LH-20 column chromatography), 이온교환수지 크로마토그래피(ion exchange resin chromatography), 중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medium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 thin layer chromatography), 실리카겔 진공 액체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vacuum liquid chromatography) 및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굼벵이 효소처리물,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 인진쑥 추출물, 민들레 추출물 및 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간 보호용 조성물은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0.001~30 중량%로 하여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치료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1㎎/㎏/일 내지 대략 2000㎎/㎏/일의 범위이다. 더 바람직한 투여량은 1㎎/㎏/일 내지 500㎎/㎏/일이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간 보호용 조성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굼벵이 효소처리물,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 인진쑥 추출물, 민들레 추출물 및 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간 보호용 조성물은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에 0.001~30 중량%로 하여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드링크제, 육류, 소세지, 빵, 캔디류, 스넥류, 면류, 아이스크림, 유제품, 스프, 이온음료, 음료수, 알코올 음료, 껌, 차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다.
본 발명은 굼벵이 효소처리물,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 인진쑥 추출물, 민들레 추출물 및 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간 보호용 조성물이 포함된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은 알코올성 간염, 알코올성 지방간과 같은 간손상과 관련된 각종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또는 이들 질환의 예방과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1의 분말 또는 비교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을 알코올과 함께 투여한 실험동물의 체중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1의 분말 또는 비교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을 알코올과 함께 투여한 실험동물의 alkaline phosphatase(AP)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1의 분말 또는 비교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을 알코올과 함께 투여한 실험동물의 gamma-glutamyl phosphatase (g-GT)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1의 분말 또는 비교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을 알코올과 함께 투여한 실험동물의 total bilirubin(TBIL)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1의 분말 또는 비교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을 알코올과 함께 투여한 실험동물의 direct-bilirubin (DBIL)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도록,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1. 각 분말 혼합물 제조>
실시예 1-1. 굼벵이 효소처리물과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의 제조
전문 사육농가에서 3령의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장수풍뎅이 3령의 유충 및 8령의 갈색거저리유충을 각각 구입하여 3일간 금식시켜 배설물을 완전히 배출시킨 생것 상태의 각각의 유충을 흐르는 물로 3회 수세하였다.
이 후, 각각의 유충을 증숙기에 넣은 다음 이에 3배 중량의 정제수를 첨가하여 압력 1.1~1.5kgf/cm2 및 온도 110℃~150℃의 가압고온 조건에서 90분간 가열한 다음, 습식분쇄기(LSI, NEYZSCH, Srlb Bavaria, Germany)를 이용하여 bead size 0.4 mm, rotor speed 3,000 rpm의 조건으로 이 액상을 분쇄하여 각각의 유충에 대해 분쇄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각각의 유충 분쇄물에 Alcalase(Subtilisin Carlsberg, Novozymes)를 각 유충 중량을 100 중량부로 할 때 기준으로 1 중량부로 첨가하여 40℃에서 5시간 동안 가수분해하는 과정을 수행하였다. 이렇게 가수분해된 각각의 유충의 분해물을 당도가 20~30 브릭스(Brix)가 되도록 농축한 후 분무건조기의 흡입구 온도를 170℃ 배출구 온도를 75℃로 하고, 분무건조기의 분무압력은 1.5kgf/㎠ 이상, 디스크의 회전속도를 7,000~10,000 rpm로 설정하여 건조함으로 각각 분말을 제조하였고, 이렇게 제조된 분말을 굼벵이 효소처리물(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효소처리물, 장수풍뎅이 유충의 효소처리물),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이라 하였다.
실시예 1-2. 인진쑥 추출물, 민들레 추출물 및 엉겅취 추출물의 제조
인진쑥, 민들레 및 엉겅퀴를 경동시장(서울, 제기동)에서 각각 구입하여 추출원료로 사용하였다. 인진쑥, 민들레 및 엉겅퀴의 추출원료에 각각 상기 추출원료 10배 중량의 증류수를 넣고 90℃에서 12시간 추출 후 여과하여 얻은 액상을 분무건조함으로써 각 추출물을 분말상태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혼합물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각 분말 시료를 하기의 표 1과 같이 혼합하여 혼합 분말을 제조하였다.
조건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효소처리물 분말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장수풍뎅이 유충 효소처리물 분말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갈색거저리유충
효소처리물 분말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인진쑥 추출물 분말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민들레 추출물 분말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엉겅퀴 추출물 분말
실시예 2-1 40 0 30 5 5 20
실시예 2-2 30 0 25 10 5 30
실시예 2-3 60 0 20 5 10 5
실시예 2-4 30 0 50 5 5 10
실시예 2-5 0 40 30 5 5 20
<비교예 1. 효소처리를 수행하지 않은 굼벵이 분말과 갈색거저리 유충 분말의 제조>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장수풍뎅이 유충 및 갈색거저리유충을 분말화하되, 각 유충을 가열하고 습식분쇄한 후의 효소처리 과정은 수행하지 않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분말, 장수풍뎅이 유충 분말 및 갈색거저리 유충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비교대상 혼합물 제조>
조건 비교예 1-1에서 제조한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분말 비교예 1-1에서 제조한
장수풍뎅이 유충
분말
비교예 1-1에서 제조한 갈색거저리
유충 분말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효소분해물
분말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갈색거저리유충
효소분해물
분말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인진쑥 추출물
분말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민들레 추출물
분말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엉겅퀴
추출물
분말
비교예 2-1 40 0 30 0 0 5 5 20
비교예 2-2 0 0 0 0 70 5 5 20
비교예 2-3 0 0 0 70 0 5 5 20
비교예 2-4 0 0 0 60 40 0 0 0
비교예 2-5 0 0 0 0 0 20 20 60
비교예 2-6 0 0 0 40 10 0 0 50
비교예 2-7 0 40 30 0 0 5 5 20
<실험예 1. 알코올 투여 동물 모델 유도 및 물질 투여>
실험동물은 체중 165~180g 범위의 Sprague-Dawley 의 수컷 흰쥐(SD rat)를 (주)대한바이오링크(음성, 한국)에서 구입하였다. 사육환경은 온도 20ㅁ2℃, 습도 55ㅁ1%(RH), 명암주기 12시간 간격으로 유지하여 1주일 간 순환시켰다. 사료는 실험동물용 고형사료 (PMI Nutrition International)를 매일 일정한 시간에 일정량을 주었고, 물은 멸균수를 물병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실시예 2와 비교예 2의 시험물질 투여를 위한 비교군은 사료를 과립화하여 투여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동물용 고형사료(PMI Nutrition International)를 롤밀로 70mesh 입자크기로 분쇄한 다음 역회전식 과립기로 3.0kg/cm2의 경도를 가지는 과립으로 제조 후 건조하였다. 실시예 2와 비교예 2의 분말 조성물도 분쇄된 사료와 마찬가지로 과립으로 제조한 다음 건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일반사료 과립, 실시예 2와 비교예 2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을 실험동물(각 군당 8마리)에게 무제한 급여하였다. 이 때, 에탄올 급여는 25(v/v)% 에탄올 수용액을 5mL/kg, bw/day의 수준으로 stomach tube를 통하여 6주간 매일 경구투여 하였다. 즉, 8주간의 사육기간 중 1주간은 새로운 혼합분말 사료에 적응기간을 두기 위하여 에탄올을 투여하지 않았으며, 이 후 6주간 투여한 후 마지막 1주는 투여하지 않았다. 시험 처리는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Label 투여군
정상식이 일반사료 과립 투여군 (정상식이 대조군)
알코올 투여 25%(v/v) 에탄올 수용액 및 일반사료 과립 투여군
(알코올 투여 양성대조군)
실시예 2-1 과립 25%(v/v) 에탄올 수용액 및 실시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군
실시예 2-2 과립 25%(v/v) 에탄올 수용액 및 실시예 2-2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군
실시예 2-3 과립 25%(v/v) 에탄올 수용액 및 실시예 2-3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군
실시예 2-4 과립 25%(v/v) 에탄올 수용액 및 실시예 2-4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군
실시예 2-5 과립 25%(v/v) 에탄올 수용액 및 실시예 2-5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군
비교예 2-1 과립 25%(v/v) 에탄올 수용액 및 비교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군
비교예 2-2 과립 25%(v/v) 에탄올 수용액 및 비교예 2-2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군
비교예 2-3 과립 25%(v/v) 에탄올 수용액 및 비교예 2-3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군
비교예 2-4 과립 25%(v/v) 에탄올 수용액 및 비교예 2-4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군
비교예 2-5 과립 25%(v/v) 에탄올 수용액 및 비교예 2-5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군
비교예 2-6 과립 25%(v/v) 에탄올 수용액 및 비교예 2-6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군
비교예 2-7 과립 25%(v/v) 에탄올 수용액 및 비교예 2-7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군
<실험예 2. 체중 변화 확인>
실험예 1의 모든 동물에 대하여 1일 1회 증상관찰을 실시하였다. 체중은 매주 1회 일정한 시간에 동물용 체중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는데, 시험기간 동안 폐사한 동물은 없었으며, 특이적인 임상증상을 나타낸 동물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에 대한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으며,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군 결과 중 대표적으로 실시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군, 비교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군 결과를 제시하였다.
도 1을 참고하면, 체중은 시험기간 동안 전체적으로 상승하였으나 정상식이군에 비해서 다른 식이군에서는 상승폭이 둔화되었으며 그 중 알코올+발효굼벵이식이군에서 둔화정도가 적은 경향을 나타낸다.
<실험예 3. 혈액 생화학적 분석결과>
시험이 종료된 후 실험예 1 조건의 모든 동물의 복부동맥으로부터 채혈된 혈액을 상온에 30분 정치시킨 후 3,000rpm 으로 4℃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한 다음 혈청효소를 혈청자동분석기(Dri-ch em 2000, Fujifilm, Tokyo, Japane)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혈청효소의 종류는 간 손상과 관련된 glutamate-pyruvate(GPT), glutamate-oxaloacetlate (GOT), g-GT(gamma-phosphatase), alkaline phosphatase(AP), total bilirubin(TBIL) 및 direct-bilirubin(DBIL)로 총 6가지를 측정하였다.
간질환의 진단에 사용되는 효소로는 GOT, GPT, g-GT 및 ALP 검사가 많이 이용된다. 이들 효소 활성치의 증가는 세포장애 정도와 비교적 상관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다른 혈중 효소에 비하여 민감하게 변동한다. 혈액 내 GOT 및 GPT 수치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Label 투여군 GOT (U/L) GPT (U/L)
정상식이 일반사료 과립 투여군 (정상식이 대조군) 76.6 ± 4.3 50.5 ± 3.6
알코올 투여 25%(v/v) 에탄올 수용액 및 일반사료 과립 투여군 (알코올 투여 양성대조군) 115.8 ± 6.4 86.4 ± 5.9
실시예 2-1 과립 25%(v/v) 에탄올 수용액 및 실시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군 85.6 ± 5.8 63.5 ± 5.0
실시예 2-2 과립 25%(v/v) 에탄올 수용액 및 실시예 2-2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군 82.0 ± 3.7 62.7 ± 5.8
실시예 2-3 과립 25%(v/v) 에탄올 수용액 및 실시예 2-3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군 82.3 ± 4.5 65.8 ± 2.6
실시예 2-4 과립 25%(v/v) 에탄올 수용액 및 실시예 2-4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군 79.2 ± 1.1 59.2 ± 6.3
실시예 2-5 과립 25%(v/v) 에탄올 수용액 및 실시예 2-5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군 86.9 ± 5.0 62.8 ± 3.2
비교예 2-1 과립 25%(v/v) 에탄올 수용액 및 비교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군 98.2 ± 5.8 72.9 ± 4.9
비교예 2-2 과립 25%(v/v) 에탄올 수용액 및 비교예 2-2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군 98.2 ± 3.6 73.7 ± 1.0
비교예 2-3 과립 25%(v/v) 에탄올 수용액 및 비교예 2-3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군 104.4 ± 1.3 77.2 ± 4.2
비교예 2-4 과립 25%(v/v) 에탄올 수용액 및 비교예 2-4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군 100.5 ± 2.4 79.4 ± 2.5
비교예 2-5 과립 25%(v/v) 에탄올 수용액 및 비교예 2-5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군 99.2 ± 3.8 80.7 ± 3.1
비교예 2-6 과립 25%(v/v) 에탄올 수용액 및 비교예 2-6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군 99.1 ± 1.4 81.2 ± 4.7
비교예 2-7 과립 25%(v/v) 에탄올 수용액 및 비교예 2-7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군 101.5 ± 2.2 74.1 ± 1.4
GOT의 경우, 알코올과 함께 일반사료 과립을 투여한 군은 115.8U/L인데 비해, 알코올과 함께 비교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을 투여한 군은 98.2U/L, 알코올과 함께 실시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을 투여한 군은 85.6U/L이었다.
GPT에서는 알코올과 함께 일반사료 과립을 투여한 군은 86.4U/L, 알코올과 함께 비교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을 투여한 군은 72.9U/L, 알코올과 함께 실시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을 투여한 군이 63.5U/L를 보였다. 이 외 다른 비교예 2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을 투여한 군은 비교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을 투여한 군과, 실시예 2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을 투여한 군은 실시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을 투여한 군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이러한 유사한 결과는 GOT 및 GPT 수치 뿐만 아니라 다른 간손상과 관련된 수치에서도 같은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의 결과부터는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군 결과 중 대표적으로 실시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군, 비교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군 결과를 제시하였다.
Alkaline phosphatase(AP) 활성을 분석한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AP의 경우 알코올과 함께 일반사료 과립을 투여한 군에 비해 알코올과 함께 비교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을 투여한 군에서 14.8%, 알코올과 함께 실시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을 투여한 군에서 33.3% 개선되었다. AP 수치는 간세포의 손상/회복 사이클이 올라갈수록 상승하는 수치로 GPT 억제를 뒷받침하는 지표로써, 알코올과 함께 실시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을 투여한 군에서 효과적인 억제능이 있는 것이 확인되기에, 이 본 발명 조성물이 GOT나 billirubin 수치를 억제하는 활성을 뒷받침하는 지표가 된다고 할 수 있다.
gamma-glutamyl phosphatase(g-GT)가 고도로 증가 되어 있다면 만성 담즙울체일 것이고 담도성 간경변증이나 경화성 담관염을 추정 진달 할 수 있는데 g-GT의 활성을 분석한 결과를 도3에 나타내었다. g-GT는 알코올과 함께 일반사료 과립을 투여한 군에 비해 알코올과 함께 비교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을 투여한 군에서 9.7%, 알코올과 함께 실시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을 투여한 군에서 19.4% 개선되었다.
Total bilirubin(TBIL)이 혈중에 증가하는 경우에는 간에서 담도로 배설이 되지 않는 폐쇄성 황달로 볼 수 있는데 TBIL활성을 분석한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TBIL은 알코올과 함께 일반사료 과립을 투여한 군에 비해 알코올과 함께 비교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을 투여한 군에서 28%, 알코올과 함께 실시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을 투여한 군에서 37.5% 개선되었다. TBIL이 혈중에 증가하는 경우는 간에서 담도로 배설이 되지 않는 폐쇄성 황달로 볼 수 있기에 이러한 결과 역시 본 발명의 조성물이 간 보호 활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Direct-bilirubin (DBIL)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간에서의 포함이 되지 않는 간 실질성 질환을 의심할 수 있는데 DBIL활성을 분석한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DBIL은 알코올과 함께 일반사료 과립을 투여한 군에 비해 알코올과 함께 비교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을 투여한 군에서 20%, 알코올과 함께 실시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을 투여한 군에서 60% 개선되었다.
<실험예 4. 조직학적 분석결과>
실험예 1 조건의 모든 동물의 간 조직의 우엽을 절취한 다음 균질화하여 조직 내의 산화환원 기능에 관여하는 환원형 글루타치온(GSH)과 산화형 글루타치온(GSSG)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GSH 측정은 enzymatic recycling method 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Griffith, 1980).
간에 4배 용량의 1.15 % KCl을 가하여 약 1 분 정도 polytron (ULTRA-TURRAX T-25, IKA-Labortechnik, Germany) 로 분쇄한 후, 분쇄액에 2mM EDTA가 함유된 1 M HClO4 를 1:1 의 부피비로 가해 혼합한 후, 시료를 15,000 rpm 에서 10 분간 원심 분리한 후 상등액을 취하여 분석시까지 -70℃ 이하의 deep freezer 에 보관하였다.
분석을 위해 상등액에 phosphate 완충액 (phophate 0.125 M, EDTA 6.3 mM, pH 7.5) 을 사용하여 GSH 농도가 표준 검량선 농도 범위 내에 들도록 시료를 희석한 후 total GSH 정량을 위한 검체로 사용하였다. 1.5 ml tube 에 0.3 mM NADPH 용액 700 ㎕, 6 mM DTNB (5,5-dithio-bis-2-nitrobenzoic acid) 용액 100 ㎕, 검체 또는 GSH 표준액 200μl을 가하여 잘 섞은 후 35℃ 에서 4 분간 방치하였다. 여기에 GSH 측정을 위해 12.5 units/ml 농도의 GSH reductase 를 60 ㎕ 첨가하였다. 잘 섞은 후 UV/VIS spectrophotometer (model V-530, Jasco, Tokyo, Japan)를 이용하여 412 nm 에서 약 40 초간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여 linear 한 30 초간의 기울기 변화를 구하고 표준 검량선 으로부터 GSH 의 농도를 환산하였다.
한편, GSSG 측정은 GSH 측정 시와 동일한 시료에 GSH를 제거하기 위해 2-vinyl pyridine 을 가하고 상온에서 10 분간 잘 섞어주었다. 40 units/ml 농도의 GSH reductase 를 사용하여 GSH 측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정량하였다. GSSG는 두 분자의 GSH 로 환산하여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Label 투여군 Total GSH
(μmol)
Reduced GSH
(μmol)
GSSG/
Total GSH
정상식이 일반사료 과립 투여군
(정상식이 대조군)
4.72 ± 0.38 3.93 ± 0.29 1.75
알코올 투여 25%(v/v) 에탄올 수용액 및 일반사료 과립 투여군 (알코올 투여 양성대조군) 4.08 ± 0.42 3.27 ± 0.31 1.98
실시예 2-1
과립
25%(v/v) 에탄올 수용액 및 실시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군 4.68 ± 0.43 3.85 ± 0.35 1.74
비교예 2-1
과립
25%(v/v) 에탄올 수용액 및 비교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군 4.46 ± 0.41 3.68 ± 0.29 1.80
표 5를 참고하면, 간 조직 내의 total GSH 및 GSSG의 함량은 일반사료 과립만 투여한 군(정상식이군)에 비해 알코올과 함께 일반사료 과립을 투여한 군에서 저하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알코올과 함께 비교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을 투여한 군에 비해, 알코올과 함께 실시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을 투여한 군이 정상식이군에 근접하는 회복세를 보였다.
한편, GSSG/total GSH의 비율은 간조직 세포내 산화환원반응에 따른 해독작용의 지표로서, GSSG/total GSH의 알코올과 함께 실시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을 투여한 군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이 생체 내에서 산화환원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GSSG의 양은 줄이고 GSH의 양은 증가시켜 항산화력을 증진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7. 염증 및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 효과 확인>
실험예 1 조건의 모든 동물의 혈액에서 염증 cytokine인 TNF-α와 IL-1β를 측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는 표 6에 나타내었다. 각 실험은 R&D systems에서 제공하는 kit(TNF-α[RTA00], IL-1β[RLB00])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이 과정을 간단히 설명하자면, 혈액 중에 존재하는 각 cytokine와 결합할 수 있는 antibody가 pre-coating된 96 well plate에 본 실험에서 얻은 혈청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2차 항체를 반응시키고, 그 후 결합된 양을 알 수 있는 substrate solution을 처리하여 540 nm 또는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Label 투여군 TNF-α(pg/㎖) IL-1β (pg/㎖)
정상식이 일반사료 과립 투여군 (정상식이 대조군) 6.2 ± 0.2 127.3 ± 2.5
알코올 투여 25%(v/v) 에탄올 수용액 및 일반사료 과립 투여군 (알코올 투여 양성대조군) 16.8 ± 1.5 182.4 ± 4.1
실시예 2-1 과립 25%(v/v) 에탄올 수용액 및 실시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군 7.8 ± 0.4 134.5 ± 1.2
비교예 2-1 과립 25%(v/v) 에탄올 수용액 및 비교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군 14.2 ± 0.7 171.8 ± 2.7
표 6을 참고하면, 알코올 단독 투여 동물에서는 TNF-α와 IL-1β의 발현이 모두 증가되어 있으나, 실시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군에서는 이들 사이토카인과 마커의 발현이 정상식이군에 가깝게 현저하게 감소되어 알코올 섭취로 인한 염증물질의 생성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비교예 2-1의 분말로 제조한 과립 투여군에서는 이러한 염증물질 감소효과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조성물이 간 보호 효능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을 통해 알코올로 인해 유도되는 간염이나 지방간 등의 각종 알코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나 건강기능식품으로의 이용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제제예 1. 약학적 제제>
제제예 1-1. 정제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1의 분말 혼합물 200g을 락토오스 175.9g, 감자전분 180g 및 콜로이드성 규산 32g과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10% 젤라틴 용액을 첨가시킨 후, 분쇄해서 14 메쉬체를 통과시켰다. 이것을 건조시키고 여기에 감자전분 160g, 활석 50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g을 첨가해서 얻은 혼합물을 정제로 만들었다.
<제제예 2. 식품 제조>
제제예 2-1. 조리용 양념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2-1의 분말 혼합물을 조리용 양념에 1 중량%로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조리용 양념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2.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2-1의 분말 혼합물을 밀가루에 0.1 중량%로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3.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2-1의 분말 혼합물을 스프 및 육즙에 0.1 중량%로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4.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2-1의 분말 혼합물을 우유에 0.1 중량%로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5. 야채주스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2-1의 분말 혼합물 0.5g을 토마토주스 또는 당근주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주스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6. 과일주스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2-1의 분말 혼합물 0.1g을 사과주스 또는 포도주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과일주스를 제조하였다.

Claims (7)

  1. 굼벵이 효소처리물,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 인진쑥 추출물, 민들레 추출물 및 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보호용 건강기능식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굼벵이는 흰점박이꽃무지 또는 장수풍뎅이의 유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보호용 건강기능식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굼벵이 효소처리물 또는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은 원료시료인 굼벵이 또는 갈색거저리 유충에 플라보자임, 알칼라아제 또는 프로테아제에서 선택되는 효소가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보호용 건강기능식품.
  4. 굼벵이 효소처리물,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 인진쑥 추출물, 민들레 추출물 및 엉겅퀴 추출물이 함유된 간 보호 효능이 있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성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성 간질환은 알코올성 간염 또는 알코올성 지방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성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6. 굼벵이 효소처리물,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 인진쑥 추출물, 민들레 추출물 및 엉겅퀴 추출물이 함유된 간 보호 효능이 있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성 간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성 간질환은 알코올성 간염 또는 알코올성 지방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성 간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180000039A 2018-01-02 2018-01-02 굼벵이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KR101852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039A KR101852840B1 (ko) 2018-01-02 2018-01-02 굼벵이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039A KR101852840B1 (ko) 2018-01-02 2018-01-02 굼벵이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2840B1 true KR101852840B1 (ko) 2018-04-27

Family

ID=62081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039A KR101852840B1 (ko) 2018-01-02 2018-01-02 굼벵이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2840B1 (ko)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3576A (ko) * 2018-08-24 2020-03-05 재단법인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발효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WO2020091484A1 (ko) * 2018-10-31 2020-05-07 씨제이제일제당 (주) 장수풍뎅이 유충 추출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56832A (ko) 2018-11-15 2020-05-25 (주)화인에프티 굼벵이의 가수분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당뇨 조성물.
KR102120323B1 (ko) 2019-11-25 2020-06-10 주식회사 한미양행 식용곤충 효소처리물 및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또는 간보호용 조성물
KR20200081936A (ko) * 2018-12-28 2020-07-08 (주)자연과 효소 폴리감마글루탐산 함량이 증진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감마글루탐산 함량이 증진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
KR20200120465A (ko) 2019-04-11 2020-10-21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숙취해소에 뛰어나며 알코올에 의한 간 손상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00779A (ko) 2019-06-25 2021-01-06 김성호 굼벵이 효소처리액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47077A (ko) * 2019-10-21 2021-04-29 김수완 굼벵이 분말 제조방법 및 복용방법
KR20210064829A (ko) * 2019-11-26 2021-06-03 (주)화인에프티 굼벵이의 효소반응 산물을 포함하는 간독성 완화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간독성 완화용 조성물
KR20210129458A (ko) 2020-04-20 2021-10-28 강용의 단백질 함량이 개선된 굼벵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WO2021215885A1 (ko) * 2020-04-23 2021-10-28 씨제이제일제당 (주) 풍뎅이 유충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배변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210129467A (ko) 2020-04-20 2021-10-28 강용의 단백질 함량이 개선된 굼벵이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KR20210129464A (ko) 2020-04-20 2021-10-28 강용의 단백질 함량이 개선된 굼벵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129473A (ko) 2020-04-20 2021-10-28 강용의 단백질 함량이 개선된 굼벵이의 제조 방법
KR20220012532A (ko) 2020-07-23 2022-02-04 에이치엠오건강드림영농조합법인 혈당 강하 및 당뇨병 예방 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된 건강식품 조성물 및 이를 위한 굼벵이 사육방법
KR20220059692A (ko) 2020-11-03 2022-05-10 ㈜농업회사법인 힘쎈 피로회복능이 있는 굼벵이 환의 제조방법
KR20220091654A (ko) 2020-12-23 2022-07-01 건양퍼멘테이션 주식회사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
EP4140320A4 (en) * 2020-04-23 2024-05-22 Cj Cheiljedang Corp COMPOSITION TO IMPROVE INTESTINAL MOVEMENT WITH EXTRACT OF ALLOMYRINA DICHOTOMA LARVA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120B1 (ko) 2012-03-22 2014-03-13 임실생약영농조합법인 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성상세포 활성 억제용 조성물
KR101438717B1 (ko) 2013-01-18 2014-09-05 주식회사 네츄로바이오 간세포 보호작용을 갖는 민들레 복합식물 발효추출 조성물
KR101702046B1 (ko) 2015-06-23 2017-02-0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장수풍뎅이 유충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보호 및 항암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120B1 (ko) 2012-03-22 2014-03-13 임실생약영농조합법인 엉겅퀴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성상세포 활성 억제용 조성물
KR101438717B1 (ko) 2013-01-18 2014-09-05 주식회사 네츄로바이오 간세포 보호작용을 갖는 민들레 복합식물 발효추출 조성물
KR101702046B1 (ko) 2015-06-23 2017-02-0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장수풍뎅이 유충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보호 및 항암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경기도 농업기술원 홈페이지, ‘갈색거저리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기능성분 정보제공’ (2015.03.18.)

Cited B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079B1 (ko) * 2018-08-24 2020-04-08 재단법인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발효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200023576A (ko) * 2018-08-24 2020-03-05 재단법인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발효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WO2020091484A1 (ko) * 2018-10-31 2020-05-07 씨제이제일제당 (주) 장수풍뎅이 유충 추출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56832A (ko) 2018-11-15 2020-05-25 (주)화인에프티 굼벵이의 가수분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당뇨 조성물.
KR102253265B1 (ko) * 2018-12-28 2021-05-18 (주)자연과 효소 폴리감마글루탐산 함량이 증진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감마글루탐산 함량이 증진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
KR20200081936A (ko) * 2018-12-28 2020-07-08 (주)자연과 효소 폴리감마글루탐산 함량이 증진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감마글루탐산 함량이 증진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
KR20200120465A (ko) 2019-04-11 2020-10-21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숙취해소에 뛰어나며 알코올에 의한 간 손상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00779A (ko) 2019-06-25 2021-01-06 김성호 굼벵이 효소처리액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47077A (ko) * 2019-10-21 2021-04-29 김수완 굼벵이 분말 제조방법 및 복용방법
KR102413828B1 (ko) * 2019-10-21 2022-06-28 주식회사 수완 굼벵이 분말 제조방법
KR102120323B1 (ko) 2019-11-25 2020-06-10 주식회사 한미양행 식용곤충 효소처리물 및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또는 간보호용 조성물
KR102347294B1 (ko) 2019-11-26 2022-01-06 (주)화인에프티 굼벵이의 효소반응 산물을 포함하는 간독성 완화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간독성 완화용 조성물
KR20210064829A (ko) * 2019-11-26 2021-06-03 (주)화인에프티 굼벵이의 효소반응 산물을 포함하는 간독성 완화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간독성 완화용 조성물
KR20210129458A (ko) 2020-04-20 2021-10-28 강용의 단백질 함량이 개선된 굼벵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20210129467A (ko) 2020-04-20 2021-10-28 강용의 단백질 함량이 개선된 굼벵이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KR20210129464A (ko) 2020-04-20 2021-10-28 강용의 단백질 함량이 개선된 굼벵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129473A (ko) 2020-04-20 2021-10-28 강용의 단백질 함량이 개선된 굼벵이의 제조 방법
WO2021215885A1 (ko) * 2020-04-23 2021-10-28 씨제이제일제당 (주) 풍뎅이 유충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배변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407946B1 (ko) * 2020-04-23 2022-06-13 씨제이제일제당 (주) 풍뎅이 유충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배변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210131108A (ko) * 2020-04-23 2021-11-02 씨제이제일제당 (주) 풍뎅이 유충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배변 기능 개선용 조성물
CN115460935A (zh) * 2020-04-23 2022-12-09 Cj第一制糖株式会社 用于改善肠运动功能的包含甲虫幼虫或其提取物作为活性成分的组合物
EP4140319A4 (en) * 2020-04-23 2024-05-22 Cj Cheiljedang Corp COMPOSITION WITH BEE LARVAE OR EXTRACT THEREOF AS ACTIVE INGREDIENT TO IMPROVE INTESTINAL MOVEMENT FUNCTION
EP4140320A4 (en) * 2020-04-23 2024-05-22 Cj Cheiljedang Corp COMPOSITION TO IMPROVE INTESTINAL MOVEMENT WITH EXTRACT OF ALLOMYRINA DICHOTOMA LARVA
KR20220012532A (ko) 2020-07-23 2022-02-04 에이치엠오건강드림영농조합법인 혈당 강하 및 당뇨병 예방 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된 건강식품 조성물 및 이를 위한 굼벵이 사육방법
KR20220059692A (ko) 2020-11-03 2022-05-10 ㈜농업회사법인 힘쎈 피로회복능이 있는 굼벵이 환의 제조방법
KR20220091654A (ko) 2020-12-23 2022-07-01 건양퍼멘테이션 주식회사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2840B1 (ko) 굼벵이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Kreft Buckwheat phenolic metabolites in health and disease
KR101988959B1 (ko) 굼벵이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스트레스 완화용 또는 항피로용 조성물
KR101959986B1 (ko) 갈색거저리 또는 번데기를 이용하여 배양된 동충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919839B1 (ko) 귀뚜라미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0848515B1 (ko) 버섯 균사체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화장품
KR101718323B1 (ko) 발효옻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 궤양, 위암 및 위점막 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50122B1 (ko) 서양종꿀벌의 수번데기를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0838705B1 (ko) 버섯 균사체 배양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 용도
KR101408101B1 (ko) 헛개나무 추출물을 첨가한 표고버섯 균사체 흑미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식품
KR101768612B1 (ko)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차의 제조방법
KR102501955B1 (ko) 동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KR102481102B1 (ko) 불가사리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483928B1 (ko) 녹용 및 당귀를 포함하는 피로 개선 증진용 조성물
KR102472951B1 (ko) 좁은잎천선과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KR20220067467A (ko)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 손상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62893B1 (ko) 갈색거저리 또는 번데기를 이용하여 배양된 동충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871318B1 (ko) 밤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210078693A (ko)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효능을 갖는 조성물
KR20150085215A (ko) 흑마늘 및 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724587B1 (ko) 간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0679818A (zh) 一种多功能荠荠菜水提物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KR100406773B1 (ko) 우렁쉥이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20130096587A (ko) 액상발효법을 이용한 산마늘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산마늘 발효물을 포함하는 당뇨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70679B1 (ko) 고상발효법을 이용한 산마늘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산마늘 발효물을 포함하는 당뇨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