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1936A - 폴리감마글루탐산 함량이 증진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감마글루탐산 함량이 증진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 - Google Patents

폴리감마글루탐산 함량이 증진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감마글루탐산 함량이 증진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1936A
KR20200081936A KR1020180171975A KR20180171975A KR20200081936A KR 20200081936 A KR20200081936 A KR 20200081936A KR 1020180171975 A KR1020180171975 A KR 1020180171975A KR 20180171975 A KR20180171975 A KR 20180171975A KR 20200081936 A KR20200081936 A KR 20200081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larva
white
fermentation
ferm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1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3265B1 (ko
Inventor
김정욱
조영수
안희영
박규림
Original Assignee
(주)자연과 효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자연과 효소 filed Critical (주)자연과 효소
Priority to KR1020180171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265B1/ko
Publication of KR20200081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1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11/09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50Fermented pulses or legumes; Fermentation of pulses or legumes based on the addition of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1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pressure variation, shock, acceleration or shear stress or cavit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5/00Food or foodstuff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5/00 – A23L33/00;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감마글루탐산 함량이 증진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감마글루탐산 함량이 증진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에 관한 것으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분말에 비해 폴리감마글루탐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ALT, AST 및 ALP의 감소 효과도 우수하며 천연물로부터 얻어진 물질을 이용하기 때문에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므로, 간기능 개선을 위한 기능성 식품 및 제약 산업에서 매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폴리감마글루탐산 함량이 증진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감마글루탐산 함량이 증진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Method for producing powder of fermented Protaetia brevitarsis larva with increased poly gamma glutamic acid and powder of fermented Protaetia brevitarsis larva with increased poly gamma glutamic acid produced by the same method}
본 발명은 폴리감마글루탐산 함량이 증진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감마글루탐산 함량이 증진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에 관한 것이다.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는 민간 및 동의보감(東醫寶鑑) 등의 전통 한방의서에서 '제조' 또는 '굼벵이'라는 속명으로 불리어지고 있는 딱정벌레목(Coleoptera), 풍뎅이과(Scarabaeidae), 꽃무지아과(Cetoniinae)에 속하는 크기 17~24㎝의 식식성(phytophagous) 곤충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 일본 및 시베리아 동부 지역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흰점박이꽃무지는 3령의 성숙유충 상태로 월동하며, 성충은 주간에 활동하고 복숭아, 배 등의 성숙한 과일이나 옥수수, 상수리 나무 등의 즙액을 먹이로 하며, 항상 군집성이다. 또한, 이들의 유충은 퇴비나 건초더미 등의 유기물이 풍부한 부식성 토양 속에서 서식한다.
흰점박이꽃무지는 오래전부터 간질환 등의 치료를 위한 한방 약재로서 이용되어 왔다. 또한, 최근에 유용한 생체 활성물질의 탐색 및 개발을 위한 곤충자원으로 크게 주목을 받고 있으며, 항생물질의 생산, 생쥐(mouse)를 이용한 실험에서 알코올 과량섭취에 의해 손상된 간지질대사의 회복작용 등이 알려져 있으며 혈전용해성 효소에 대한 연구와 집쥐(rat)에서 사염화탄소의 투여에 의해 유도된 간독성에 대한 간보호효과를 나타내는 등 유용성이 확인된 바 있다.
한편, 폴리감마글루탐산(poly gamma glutamic acid; PGA)은 D,L-글루탐산이 감마-글루타밀(γ-glutamyl)과 결합된 중합체로서 점액성 물질이다. 폴리감마글루탐산은 볏짚을 이용한 한국의 전통 콩발효 식품인 청국장, 일본의 전통 콩발효 식품인 낫또, 네팔의 전통 콩발효 식품인 키네마 등에서 분리된 바실러스 속 균주로부터 생산된다. 바실러스 속 균주로부터 생산되는 폴리감마글루탐산은 식용, 수용성, 음이온성, 생분해성 고분자물질로 흡습제, 보습제 및 화장품의 원료 물질로 이용이 가능하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667403호에 '폴리감마글루탐산을 함유하는 식품 안정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0475406호에는 '폴리감마글루탐산을 함유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폴리감마글루탐산 함량이 증진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감마글루탐산 함량이 증진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에 대해서는 기재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대두에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를 혼합하여 대두 발효물을 제조한 후 상기 대두 발효물을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분말과 혼합하고 수분 유지를 위해 멸균수를 첨가하여 고상발효시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을 제조한 다음 상기 발효물을 건조시키고 분쇄하여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을 아미노산 자동분석기를 이용하여 정량분석을 수행한 결과 발효되지 않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분말에 비해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에서 폴리감마글루탐산의 함량이 약 38%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알코올성 지방간 동물모델에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을 급이한 경우 비알코올성 지방간 유발군 및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분말을 급이한 군에 비해 혈청 내 ALT, AST 및 ALP 함량이 감소하는 것을 통해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이 간기능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1) 대두가 포함된 멸균수에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균주를 접종하고 배양하여 대두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1) 단계의 대두 발효물을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유충 분말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 후, 상기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고상발효시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2) 단계의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을 고압멸균한 후 건조하고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감마글루탐산(poly gamma glutamic acid) 함량이 증진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감마글루탐산 함량이 증진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은 다량의 폴리감마글루탐산을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ALT(alanine aminotransferase),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또는 ALP(lactate dehydrogenase)의 농도를 감소시켜 간기능 개선 효과가 우수하므로, 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의약품 조성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 제조공정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2는 발효되지 않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분말과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 내 폴리감마글루탐산의 함량을 분석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대두가 포함된 멸균수에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 ubtilis) 균주를 접종하고 배양하여 대두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1) 단계의 대두 발효물을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유충 분말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 후, 상기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고상발효시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2) 단계의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을 고압멸균한 후 건조하고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감마글루탐산(poly gamma glutamic acid) 함량이 증진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폴리감마글루탐산 함량이 증진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의 제조방법은 더욱 구체적으로는,
(1) 대두가 3~7%(w/v) 포함된 멸균수에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를 접종하고 배양하여 대두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1) 단계의 대두 발효물을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분말에 분말 중량 대비 5~15%(v/w) 첨가하여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 후, 상기 혼합물에 혼합물 중량 대비 물을 50~60% 첨가하고 28~32℃에서 70~74시간 동안 고상발효시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2) 단계의 흰점박이꽃무지 발효물을 115~125℃에서 30~50분 동안 고압멸균한 후 건조하고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더욱 구체적으로는,
(1) 대두가 5%(w/v) 포함된 멸균수에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를 접종하고 배양하여 대두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1) 단계의 대두 발효물을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분말에 분말 중량 대비 10%(v/w) 첨가하여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 후, 상기 혼합물에 혼합물 중량 대비 물을 50~60% 첨가하고 30℃에서 72시간 동안 고상발효시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2) 단계의 흰점박이꽃무지 발효물을 121℃에서 30~50분 동안 고압멸균한 후 건조하고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감마글루탐산 함량이 증진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을 제공한다.
상기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은 발효되지 않은 흰점박이꽃무지 분말에 비해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분말 내 폴리감마글루탐산 함량이 약 35~40% 증가되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PGA 함량이 증가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에 의한 발효과정을 통해 혈청 내 ALT(alanine aminotransferase),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및 ALP(alkaline phosphatase) 함량의 감소 효과가 우수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므로, 간기능 개선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기 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발포정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숙취를 예방하거나 해소하기 위해 섭취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숙성새싹삼 추출물의 발효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의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는 범위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음료는 탄산음료, 기능성이온음료, 쥬스(예를 들어, 사과, 배,포도, 알로에, 감귤, 복숭아, 당근, 토마토쥬스 등), 식혜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천연 탄수화물 또는 향미제를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디사카라이드(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예컨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 또는 당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예컨대,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와 합성 향미제(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료 및 방법
1. 흰점박이꽃무지 발효물의 분말 제조
대두(soybean) 5%(w/v)를 포함하는 멸균수에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KACC 91157)를 접종하고 30℃, 100rpm으로 24시간 배양하여 대두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분말은 121℃에서 15~30분 동안 고압멸균기로 멸균하고 자연냉각시킨 후, 상기 자연 냉각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분말 1kg에 상기 대두 발효물을 분말 중량 대비 10%(v/w) 첨가하여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에 혼합물 중량 대비 멸균수를 50~60% 첨가하여 30℃에서 72시간 동안 고상발효시킨 다음 121℃에서 30~50분 동안 고압멸균하여 발효를 종료시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을 드라이 오븐으로 건조시키고 분쇄하여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을 제조하였다(도 1).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 표면에 끈끈한 점질물인 폴리감마글루탐산이 생성된 것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2. 실험동물
SD(Sprague-Dawley) 랫트(6주령, 수컷)는 평균 체중이 동일하도록 난괴법(randomized block design)을 이용하여 각 실험군당 6~8마리씩 분류하였으며, 온도 22±2℃, 습도 50±5% 및 명암주기 12시간으로 조절된 동물 사육실에서 사육하였다. 1주일 동안 시판 고형사료를 급여하면서 환경에 적응시켰다.
3. 실험 동물의 혈청 분석
상기 랫트에 조제식이(표 1)를 10일 동안 급여하여 정상 동물모델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 동물모델을 유도하였고, 지방간 유발 식이를 급이한 랫트에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분말 또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을 혼합하여 급이하였다(표 2). 실험 최종일에 랫트를 12시간 동안 절식시킨 다음 디에틸에테르(diethyl ether)로 마취시켜 해부하였다. 개복 후 복부 대동맥에서 혈액을 채취하였고, 실온에서 약 30분간 방치시킨 후 3,000 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수득하였다. 혈청 내 ALT(alanine aminotransferase),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및 ALP(alkaline phosphatase)의 함량은 의료 전문 수탁 검사기관인 (주)동남의화학연구소에서 분석하였다.
조제식이 구성표
성분 정상식이(%) 지방간 유도 식이(%)
카세인(casein) 20.0 20.0
옥수수 전분(corn starch) 15.0 14.0
옥수수 오일(corn oil) 10.0 10.0
셀룰로오스(cellulose) 5.0 5.0
미네랄 혼합물(mineral mixture) 4.0 4.0
비타민 혼합물(vitamin mixture) 1.0 1.0
L-메티오닌(L-methionine) 0.3 0.3
수크로오스(sucrose) 44.5 44.5
콜린(choline) 0.2 0.2
오로트산(orotic acid) - 1.0
합계 100 100
실험 시료 투여량
실험군 성분
N 정상 식이
OA 정상 식이 + 지방간 유도 식이
OA+NPb 지방간 유도 식이 + NPb 100 mg/kg of b.w./day
OA+FPb 지방간 유도 식이 + FPb 100 mg/kg of b.w./day
N; 정상군.
OA; 비알코올성 지방간 유발군.
OA+NPb;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유발시키고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분말을 급이한 실험군.
OA+FPb;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유발시키고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을 급이한 실험군.
실시예 1.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의 폴리감마글루탐산 함량에 대한 정량적 분석
상기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 표면에 생긴 점질물을 통해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의 지표물질로 폴리감마글루탐산을 설정한 후 이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아미노산 자동분석기를 이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식약처에 고시된 폴리감마글루탐산 시험방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발효되지 않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분말에서 폴리감마글루탐산의 함량은 47.17mg/g이었고,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의 폴리감마글루탐산 함량은 발효 1일차에 50.31mg/g, 발효 2일차에 64.74mg/g, 발효 3일차에 65.50mg/g인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의 발효 2일차부터 폴리감마글루탐산의 함량이 증가되었으며, 발효 3일차에는 발효 전에 비해 약 38%로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도 2).
상기 결과를 통해, 단백질 분해효소를 생성하는 특성을 가진 바실러스 서브틸리스가 50% 이상의 단백질이 함유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기질로 하여 발효 2일째에 증식하다가 3일째에 안정기에 드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실시예 2.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의 간기능 개선 효과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유발된 랫트에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의 간기능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마우스 혈청 내 ALT, AST 및 ALP 함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상군(N)에 비해 비알코올성 지방간 유발군(OA)에서 ALT, AST 및 ALP 함량이 모두 증가하였고, 비알코올성 지방간 유발군에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분말 또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을 함께 급이한 군에서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유발군에 비해 ALT, AST 및 ALP 함량이 모두 감소하였다. 특히,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을 급이한 군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분말을 급이한 군보다 ALT, AST 및 ALP 함량이 더 감소하여 정상군과 유사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분말을 발효시키면 간기능 개선 효과가 더욱 증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표 3).
혈청 내 ALT, AST 및 ALP 함량 측정
ALT(U/L) AST(U/L) ALP(g/dL)
N 33.4 120.2 157.0
OA 41.0 134.7 193.0
OA+NPb 36.9 110.2 172.0
OA+FPb 34.9 99.1 156.7

Claims (5)

  1. (1) 대두가 포함된 물에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균주를 접종하고 배양하여 대두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1) 단계의 대두 발효물을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유충 분말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 후, 상기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고상발효시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2) 단계의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을 고압멸균한 후 건조하고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감마글루탐산(poly gamma glutamic acid) 함량이 증진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1) 대두가 3~7%(w/v) 포함된 물에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를 접종하고 배양하여 대두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1) 단계의 대두 발효물을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분말에 분말 중량 대비 5~15%(v/w) 첨가하여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 후, 상기 혼합물에 혼합물 중량 대비 물을 50~60% 첨가하고 28~32℃에서 70~74시간 동안 고상발효시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2) 단계의 흰점박이꽃무지 발효물을 115~125℃에서 30~50분 동안 고압멸균한 후 건조하고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감마글루탐산 함량이 증진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감마글루탐산 함량이 증진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
  4. 제3항의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은 ALT(alanine aminotransferase),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및 ALP(alkaline phosphatase)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180171975A 2018-12-28 2018-12-28 폴리감마글루탐산 함량이 증진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감마글루탐산 함량이 증진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 KR102253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975A KR102253265B1 (ko) 2018-12-28 2018-12-28 폴리감마글루탐산 함량이 증진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감마글루탐산 함량이 증진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975A KR102253265B1 (ko) 2018-12-28 2018-12-28 폴리감마글루탐산 함량이 증진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감마글루탐산 함량이 증진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936A true KR20200081936A (ko) 2020-07-08
KR102253265B1 KR102253265B1 (ko) 2021-05-18

Family

ID=71600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1975A KR102253265B1 (ko) 2018-12-28 2018-12-28 폴리감마글루탐산 함량이 증진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감마글루탐산 함량이 증진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2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187B1 (ko) * 2001-06-26 2004-01-07 대한민국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 및 이의 용도
KR20110079396A (ko) * 2010-01-01 2011-07-07 박귀조 콩국수를 만드는 방법
KR101651603B1 (ko) * 2015-12-11 2016-08-26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이루다21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분말을 함유하는 된장의 제조방법
KR101852840B1 (ko) * 2018-01-02 2018-04-27 주식회사 한미양행 굼벵이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187B1 (ko) * 2001-06-26 2004-01-07 대한민국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 및 이의 용도
KR20110079396A (ko) * 2010-01-01 2011-07-07 박귀조 콩국수를 만드는 방법
KR101651603B1 (ko) * 2015-12-11 2016-08-26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이루다21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분말을 함유하는 된장의 제조방법
KR101852840B1 (ko) * 2018-01-02 2018-04-27 주식회사 한미양행 굼벵이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3265B1 (ko) 202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63631B2 (ja) 無辛味品種トウガラシの発酵組成物及びその利用
KR20060128117A (ko) 발효녹용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70017142A (ko) 항산화활성 및 미백효과가 있는 기능성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31805A (ko) 천마와 굼벵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JP2022010229A (ja) コラゲナーゼ阻害剤
TWI430754B (zh) 高γ-胺基丁酸含有物之製造方法
JP2004073050A (ja) 発酵処理植物の製造方法及び乳酸発酵処理物
KR20220025680A (ko) 유산균을 이용한 유용성분 함량이 증가된 도라지 발효 포스트바이오틱스의 제조방법
JP2019034896A (ja) 経口組成物
KR101732456B1 (ko) 3단복합 발효원액 및 그 제조방법
KR102253265B1 (ko) 폴리감마글루탐산 함량이 증진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감마글루탐산 함량이 증진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발효물의 분말
KR102423025B1 (ko) 단백질 분해능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idcc 3201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1302652B1 (ko)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물질 및 맥주효모를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050063362A (ko) 천년초 추출액을 이용한 식품 조성물
KR20160143100A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모리를 이용한 고상 배양물의 제조방법
KR20230040252A (ko) 단백질 분해능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idcc 3451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CN101888783A (zh) 具有促进生长作用的酵母水解物以及内含该酵母水解物的功能性食品
JP2006265142A (ja) 体脂肪の蓄積抑制または低減剤
KR20180062420A (ko) 발효삼채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560046B1 (ko) 비타민 캔디
KR102173591B1 (ko) 효소처리 로얄젤리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기능 증진용 약학적 조성물
KR102458980B1 (ko) 저분자 효소처리 홍삼 또는 인삼 다당체 추출물 및 이의 프리바이오틱스 및 프로바이오틱스 용도
KR101852032B1 (ko) 도라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 예방 효능의 도라지 함유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0063709A (ko) 기능성 선식분말식품
KR20220087625A (ko) 생물전환된 쌍별귀뚜라미 발효물을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