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1654A -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1654A
KR20220091654A KR1020200182037A KR20200182037A KR20220091654A KR 20220091654 A KR20220091654 A KR 20220091654A KR 1020200182037 A KR1020200182037 A KR 1020200182037A KR 20200182037 A KR20200182037 A KR 20200182037A KR 20220091654 A KR20220091654 A KR 20220091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xtract
hours
red ginse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2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춘
양윤정
Original Assignee
건양퍼멘테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양퍼멘테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건양퍼멘테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2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1654A/ko
Publication of KR20220091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16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23L27/33Artificial sweetening agents containing sugars o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4Freeze-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5/00Food or foodstuff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5/00 – A23L33/00;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흑삼추출물 93~95중량% 및 굼벵이 분말 5~7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며, 굼벵이의 비릿한 맛과 이취를 제거하여 섭취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며, 알콜에 의해 유도되는 간독성에 대한 우수한 억제효과를 나타내며, 항산화 활성은 물론 높은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Food Composition having Inhibiting Activity of Alcoholic Hepatotoxicity comprising Black Ginseng Extract and Grub}
본 발명은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알콜에 의해 유도되는 간독성에 대한 우수한 억제효과를 나타내며, 항산화 활성은 물론 높은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생체의 기능은 산화작용과 항산화 작용의 균형에 의해 유지되며. 각종 장기의 세포는 물론, 피부 세포와 혈관의 내피세포 등도 이 산화작용의 영향을 받아 활성화되거나, 기능저하 혹은 노화작용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면역작용을 비롯하여 암의 발생과 암세포에 대한 항암활성 및 미생물 감염에 대한 생체 방어 작용도 산화/항산화 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최근 환경오염과 식생활 패턴의 변화와 비만 및 사회생활 속에서 심리적 스트레스의 증가 등이 원인이 되어 심혈관계 질환과 대사성 질환과 같은 이른바 성인병이라 불리우는 질병에 걸리는 환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간(liver) 관련 질환인 지방간, 간경화, 간경변, 간암 혹은 간염 등에 걸리는 환자도 갈수록 증가하는 추세이다.
간은 지방의 대사와 영양성분의 처리, 에너지원의 공급 등 생체에 있어 실로 다양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조직으로, 간에 바이러스 감염이나 암이 발생하여 간 기능이 저하될 경우 심혈관계는 물론 영양대사에 있어 중대한 이상이 생겨 생체기능에 지장을 초래한다
하지만, 국내·외에서 간기능과 관련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에도 여전히 획기적인 방안이 소개되지 않고 있으며, 그 이유들 중에는 개발된 후보물질 자체가 간조직 등에 세포독성을 나타내고, 특히 in vitro 및 in vivo 결과 간 차이가 크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관련분야 연구에서는 간기능 조절용 약제보다 부작용이 없는 천연소재를 기능성 식품 제형으로 개발하는 기술이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나, 지금까지 국외에서 보고된 약 10여 종의 활성성분 및 물질들은 모두 간독성 및 부작용이 심하며 용도가 의문시되고 있다.
간의 기능이 저하되는 원인의 하나로서 간조직에서 산화작용이 극심하게 발생할 경우 간세포(hepatocyte)의 기능이 감소하여 생체기능에 총체적인 저하가 일어나게 된다. 예로서 알코올을 대량으로 섭취할 경우, 알코올에 대한 분해능이 저하되어 숙취에 걸리게 되며, 간기능 저하로 인해 바이러스 감염과 같은 미생물 감염에 취약하게 되어 감염에 걸리기 쉽게 되며, 또한 간기능이 약화되면 혈중 콜레스테롤의 수치가 증가하여 고지혈증 등을 유발하게 된다.
특히 성인에 있어서 신체의 기능이 전반적으로 저하된 상태여서 간의 기능이 저하될 경우, 각종 감염증은 물론 심장병, 고지혈, 고혈압과 같은 심혈관계 질환 혹은 당뇨와 같은 대사성 질환에 걸리기 쉬우므로 간기능 개선은 성인의 건강유지에 대단히 중요하므로 부작용이 없는 천연소재를 활용한 간기능 개선식품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852840호(2018.04.27.)에는 굼벵이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굼벵이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은 간손상과 관련된 각종 질환의 개선에 효과가 있지만, 굼벵이의 비릿한 맛과 이취로 인해 섭취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KR 10-1852840 B1 2018.04.27.
본 발명의 목적은 굼벵이의 비릿한 맛과 이취를 제거하여 섭취가 용이한,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알콜에 의해 유도되는 간독성에 대한 우수한 억제효과를 나타내며, 항산화 활성은 물론 높은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흑삼추출물 93~95중량% 및 굼벵이 분말 5~7중량%를 포함하는,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 분말을 혼합한 혼합물 100중량부에 숙성홍삼분말 1~5중량부 및 발효홍삼분말 1~5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되, 상기 숙성홍삼분말은 수삼을 95~100℃에서 1~2시간 동안 증숙하고, 상기 증숙한 수삼을 35~40℃에서 60~62일 동안 숙성시켜 홍삼을 수득하고, 상기 홍삼을 1~3℃에서 60~62일 동안 숙성시키고, 상기 숙성된 홍삼 1중량부에 알칼리수 8~10중량부를 가하고 95~100℃에서 4~5시간 동안 가열하여 홍삼추출액을 수득하고, 상기 홍삼추출액을 1~3℃에서 2~3일 동안 숙성하고, 상기 숙성된 홍삼추출액 100중량부에 덱스트린 10~20중량부 및 말토덱스트린 1~5중량부를 가하고 동결건조한 후 분말화한 것이며, 상기 발효홍삼분말은 수삼을 95~100℃에서 1~2시간 동안 증숙하고, 상기 증숙한 수삼을 35~40℃에서 60~62일 동안 숙성시켜 홍삼을 수득하고, 상기 홍삼을 1~3℃에서 60~62일 동안 숙성시키고, 상기 숙성된 홍삼 1중량부에 지장수 8~10중량부를 가하고 95~100℃에서 4~5시간 동안 가열하여 홍삼추출액을 수득하고, 상기 홍삼추출액을 1~3℃에서 2~3일 동안 숙성하고, 상기 숙성된 홍삼추출액을 감압농축하고, 상기 홍삼농축물 100중량부에 김치 유산균 1~5중량부를 접총하고 20~25℃에서 12~14시간 동안 발효시켜 홍삼발효물을 수득하고, 상기 홍삼발효물을 40~45℃에서 30~40시간 동안 열풍건조한 것이며, 상기 지장수는 물 100중량부에 황토 10~20중량부를 가하고 20~25℃에서 12~14시간 동안 방치한 후에 상등액을 사용한다.
상기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혼합한 혼합물 100중량부에 해동피추출액 1~5중량부, 깻잎추출액 1~5중량부, 녹차추출액 1~5중량부, 타트체리추출액 1~5중량부 및 스테비아 추출발효물 1~5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되, 상기 해동피추출액은 물 100중량부에 해동피 10~20중량부를 가한 후 상온에서 5시간 동안 환류추출한 다음, 진공여과에 의해 상충액을 사용하며, 상기 깻잎추출액은 깻잎 100중량부에 물 500~600중량부를 넣고 95~100℃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한 것을 사용하며, 상기 녹차추출액은 녹차 잎 100중량부에 물 800~900중량부를 넣고 80~85℃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한 것을 사용하며, 상기 타트체리 추출액은 타트체리에 압력을 가하여 추출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스테비아 추출발효물은 스테비아 100중량부에 혼합액 500~600중량부 및 프탁토올리고당 10~20중량부를 넣고 60~65℃에서 1~2시간 동안 추출한, 스테비아 추출액 100중량부에 복합합성균 1~5중량부를 첨가하고 25~30℃에서 46~48시간 동안 발효시킨 발효액을 동결건조한 것을 사용하되, 상기 혼합액은 광천수 60~70중량%, 함초 15~25중량%, 가시오가피 10~20중량% 및 둥굴레 1~5중량%를 40~45℃에서 10~12시간 동안 침지한 상등액을 사용하며, 상기 복합합성균은 홍국균 40~50중량%, 고초균 20~30중량%, 효모 10~20중량% 및 누룩균 5~15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은 굼벵이의 비릿한 맛과 이취를 제거하여 섭취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은 알콜에 의해 유도되는 간독성에 대한 우수한 억제효과를 나타내며, 항산화 활성은 물론 높은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의 알콜성 간독성 억제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의 혈중 LDH 감소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알콜 유도 체중감소에 대한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의 억제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알콜 유도 간 중량 감소에 대한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의 회복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의 간조직 내 항산화 효소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의 항산화 활성 비교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의 항염증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간기능은 간세포의 항산화 작용을 높여줌으로 상당 부분 개선할 수 있으며, 항산화 물질은 flavonoid계의 물질을 다량으로 포함하는 식물체 추출물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즉 항산화 물질을 다량으로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간기능 개선 식품 조성물을 개발할 경우 성인병 예방에 도움이 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은,
흑삼추출물 93~95중량% 및 굼벵이 분말 5~7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소취 효과가 있는 흑삼추출물을 이용하여 굼벵이 분말의 비릿한 맛과 이취를 제거하여 섭취가 용이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흑삼추출물에 굼벵이 분말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므로써 알콜에 의해 유도되는 간독성에 대한 우수한 억제효과를 나타내며, 항산화 활성은 물론 높은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은, 흑삼추출물을 93~95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흑삼추출물이 93중량% 미만 포함되면 항산화 활성이 미흡해지는 문제가 있고, 95중량% 초과 포함되면 굼벵이의 함유량이 너무 적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은, 굼벵이 분말을 5~7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굼벵이 분말이 5중량% 미만 포함되면 간독성 억제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7중량% 초과 포함되면 굼벵이 분말의 비릿한 맛과 이취가 나는 문제가 있다.
상기 흑삼추출물은 흑삼을 열수추출한 흑삼추출액을 64~65Brix로 농축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흑삼은 수회 증숙 및 건조과정을 거쳐 인삼이 검은 색으로 변한 삼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수회 증식 및 건조과정을 거치면서 기본적으로 존재하는 인삼사포닌이 소실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가공된 인삼에만 존재하는 인삼사포닌의 함량이 증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흑삼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는 성분인 진세노사이드를 다량 함유하고 있다.
상기 굼벵이는 식용으로 인정된 곤충으로, 단백질 함량이 높으며, 이전부터 간기능 개선에 높은 활성을 지니는 것으로 알려진 소재이다.
상기 굼벵이 분말은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유충을 분말화 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유충을 분말화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은 굼벵이의 비릿한 맛과 이취를 제거하여 섭취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은 알콜에 의해 유도되는 간독성에 대한 우수한 억제효과를 나타내며, 항산화 활성은 물론 높은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은,
상기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 분말을 혼합한 혼합물 100중량부에 숙성홍삼분말 1~5중량부 및 발효홍삼분말 1~5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에 숙성홍삼분말 및 발효홍삼분말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므로써 굼벵이의 비릿한 맛과 이취를 더욱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숙성홍삼분말은 수삼을 95~100℃에서 1~2시간 동안 증숙하고, 상기 증숙한 수삼을 35~40℃에서 60~62일 동안 숙성시켜 홍삼을 수득하고, 상기 홍삼을 1~3℃에서 60~62일 동안 숙성시키고, 상기 숙성된 홍삼 1중량부에 알칼리수 8~10중량부를 가하고 95~100℃에서 4~5시간 동안 가열하여 홍삼추출액을 수득하고, 상기 홍삼추출액을 1~3℃에서 2~3일 동안 숙성하고, 상기 숙성된 홍삼추출액 100중량부에 덱스트린 10~20중량부 및 말토덱스트린 1~5중량부를 가하고 동결건조한 후 분말화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효홍삼분말은 수삼을 95~100℃에서 1~2시간 동안 증숙하고, 상기 증숙한 수삼을 35~40℃에서 60~62일 동안 숙성시켜 홍삼을 수득하고, 상기 홍삼을 1~3℃에서 60~62일 동안 숙성시키고, 상기 숙성된 홍삼 1중량부에 지장수 8~10중량부를 가하고 95~100℃에서 4~5시간 동안 가열하여 홍삼추출액을 수득하고, 상기 홍삼추출액을 1~3℃에서 2~3일 동안 숙성하고, 상기 숙성된 홍삼추출액을 감압농축하고, 상기 홍삼농축물 100중량부에 김치 유산균 1~5중량부를 접총하고 20~25℃에서 12~14시간 동안 발효시켜 홍삼발효물을 수득하고, 상기 홍삼발효물을 40~45℃에서 30~40시간 동안 열풍건조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장수는 물 100중량부에 황토 10~20중량부를 가하고 20~25℃에서 12~14시간 동안 방치한 후에 상등액을 사용한다. 상기 지장수에는 각종 미네랄과 유익한 미생물이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은,
상기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혼합한 혼합물 100중량부에 해동피추출액 1~5중량부, 깻잎추출액 1~5중량부, 녹차추출액 1~5중량부, 타트체리추출액 1~5중량부 및 스테비아 추출발효물 1~5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에 해동피추출액, 깻잎추출액, 녹차추출액, 타트체리추출액 및 스테비아 추출발효물을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므로써 굼벵이의 비릿한 맛과 이취를 더욱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해동피추출액은 물 100중량부에 해동피 10~20중량부를 가한 후 상온에서 5시간 동안 환류추출한 다음, 진공여과에 의해 상충액을 사용한다.
상기 해동피의 학명은 Kalopanax pictus Nakai로 두릅나무과 (Araliaceae)에 속하는 고목으로서, 엄나무 (Kalopanax pictus Nakai) 및 그 동속식물인 당음나무 (Kalopanax pictus Nakai var. chinensis Nakai), 털음나무 (Kalopanax pictus Nakai var. magnificus Nakai), 가는 잎 음나무 (Kalopanax pictus Nakai var. maximowiczii Nakai)의 수피이다. 해동피의 구성성분으로는 13 내지 30%의 탄닌 성분, 글루코스, 칼로톡신(Kalotoxin), 칼로사포닌 (Kalosaponin), 리리오덴드린 (Liriodendrin), 헤더라제닌 (Hederagenin), 아라비노즈(Arabinose), 벤조산 (Benzoic acid), 아미노산 (Amino acid), 디-만니톨 (d-Mannitol) 및 폴리아세틸렌계 화합물들이 알려져 있으며, 주성분으로는 사포닌, phenolic 배당체 등 성분이 알려져 있다. 해동피는 민간에서 신경통, 관절염, 요통, 창 및 설사, 치통, 당뇨, 강장 등에 널리 사용하고 있다.
상기 깻잎추출액은 깻잎 100중량부에 물 500~600중량부를 넣고 95~100℃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한 것을 사용한다.
들깨(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는 광대나무과에 속하는 1 년생 초본과 식물로 한국, 중국, 인도 등 동남아시아에서 광범위하게 재배되고 있다. 들깨는 통상 기름을 짜내기 위하여 재배되는 작물인데, 생육하는 동안에 잎을 수확하여 식용으로 하는 것이 바로 깻잎이다. 깻잎을 식용으로 먹는 나라는 우리나라가 거의 유일하며, 페릴라알데히드, 리모넨, 페릴케톤 등과 같은 방향성 정유 성분이 들어 있어 독특한 향이 입맛을 돋우어 주므로 쌈 채소로 주로 이용되며, 향긋한 나물 반찬이나 장아찌, 깻잎 김치 등의 밑반찬으로 먹기도 하고, 무침이나 탕 등에 향신료처럼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 녹차추출액은 녹차 잎 100중량부에 물 800~900중량부를 넣고 80~85℃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녹차는 기원전부터 기호식품인 차로서 음용되어져 왔다. 최근에는 녹차에 함유된 여러 성분들의 약효가 밝혀져 건강식품으로서 각광받고 있다. 그중 녹차의 엽록소 성분이 건강기능성을 갖는 물질로 각광을 받으면서 섭취 및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엽록소가 갖는 대표적인 활성으로는 생리활성으로는 조혈작용, 효소활성 유지, 해독작용, 탈취작용, 섬유소제공, 소염작용, 신진대사 촉진 등이 있다. 이외에도 체질을 개선시키며, 노화, 암, 유전자 돌연변이, 위장병, 여드름, 기미, 주근깨, 얼룩점, 빈혈, 만성 피로, 심장질환, 고혈압, 중풍, 간염 및 간경화 등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타트체리 추출액은 타트체리에 압력을 가하여 추출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타트체리(tart cherry)는 유럽서부에서 터키에 걸친 지역을 원산으로 하는 체리의 한 종류로 신맛이 강하며, 약 100년 전부터 의약과 식물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기존에 타트체리는 만성염증을 감소시키는 효능을 가지고 있고, 항산화 물질인 안토시아닌이 풍부하여 노화방지 및 항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멜라토닌의 함량이 높아 생체리듬 조절 및 수면 유도 기능이 있어 불면증 완화에 효과적이며, 식이섬유의 함량이 높아 콜레스테롤 배출, 변비 개선 효과, 고혈압과 심혈관계 질환 예방에 도움을 준다.
상기 스테비아 추출발효물은 스테비아 100중량부에 혼합액 500~600중량부 및 프탁토올리고당 10~20중량부를 넣고 60~65℃에서 1~2시간 동안 추출한, 스테비아 추출액 100중량부에 복합합성균 1~5중량부를 첨가하고 25~30℃에서 46~48시간 동안 발효시킨 발효액을 동결건조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스테비아(Stevia rebaudiana)는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의 다년생 숙근초로, 하천이나 습지대 주변에서 자란다. 뿌리는 원뿌리의 발달이 분명하지 않고 많은 곁뿌리와 막뿌리가 있다. 생육 후기에는 굵은 뿌리가 발달해서 저장 기능이 생긴다. 뿌리 가까이 있는 숨은눈에서 새가지가 자라 해마다 새로운 줄기를 이룬다. 줄기는 곧게 서며 월동 중 줄기의 기능이 없어진다. 스테비아는 설탕의 수백배의 단맛을 내면서도 칼로리가 없는 허브 식물로서,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식물이다. 잎에는 무게의 6~7% 정도 감미물질인 스테비오시드(stevioside)가 함유되어 있으며, 차를 만들어 마시거나 껌 대용으로 하며 청량음료의 감미료로 사용된다. 또한 스테비아에서 추출한 스테비오사이드는 인체 소화기관에 흡수되지 않아 혈액 속의 당 농도에도 영향을 주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이 물질은 인체에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고 소화기관을 그대로 통과해 배출된다. 따라서 다양한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는 설탕, 사카린, 아스파탐과 같은 인공감미료의 대체 감미료로서 최근 관심이 주목되고 있다.
상기 혼합액은 광천수 60~70중량%, 함초 15~25중량%, 가시오가피 10~20중량% 및 둥굴레 1~5중량%를 40~45℃에서 10~12시간 동안 침지한 상등액을 사용한다.
상기 혼합액은 상기 굼벵이의 비릿한 맛과 이취를 더욱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광천수는 칼슘·마그네슘·칼륨 등의 광물질이 미량 함유되어 있는 물로 미네랄워터라고도 하며, 땅 속에서 솟아나는 샘물로서 가스상 또는 고형물질을 대량으로 함유하고 있다. 천원에서 25℃ 이상을 온천, 이하를 냉천이라 하는데, 광천수는 보통 후자를 가리킨다.
상기 함초(Salicornia Herbacea L.)는 명아주과(Chenopodaceae)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으로 우리나라 남해안과 서해안 백령도 제주도 울릉도와 같은 섬 지방의 바닷물이 닿는 해안이나 갯벌등 염습지대에서 자생하는 대표적인 염생식물 중 하나이며, 민간에서는 마디가 튀어나온 풀이라고 하여 퉁퉁마디라고 불워지고 있고, 갯벌 식물인 함초는 다량의 염분을 체내에 축적하고 있으며 섬유질뿐만 아니라 마그네슘, 칼슘. 철 그리고 칼륨등의 천연 미네랄과 비타민을 다량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발린(Valnine), 류신(Leucine), 프로린(Proline) 등 필수아미노산과 다당체가 함유되어 있어, 민간에서는 봄철 몸이 나른하고 밥맛이 없을 때 함초 나물을 먹으면 눈이 맑아지고 밥맛이 좋아지며, 황해도 지방에서는 소화불량 위장병, 간염, 신장병 등 약용으로도 쓰여졌다고 전해져 오고 있다.
상기 가시오가피는 두릅나무과 오갈피속에 속하며 일명 시베리아인삼으로 더 잘 알려져 있고, 자생지는 극동아시아 북위 40∼50˚지역, 러시아 우수리강, 중국 흑룡강성 유역, 일본 북해도, 우리 나라의 고산지대(1,100m이상)이다. 오갈피 속과 구별되는 가장 큰 형태적 차이는 줄기에 0.5∼0.8㎝되는 가늘고 긴 바늘모양의 가시가 지면을 향하여 밀생하고 있는데, 2년지 이상에서는 가시가 탈락되기도 한다. 꽃은 6월에 피며 수술은 장화사형과 단화사형이 있고 과실은 9월경에 흑색으로 익는다. 근피와 수피에서 유효성분으로 엘 루데로사이드 B, E등이 추출되었으며, 근육강화, 지구력 향상, 피로회복, 강장, 강정, 신경통, 중풍, 당뇨병, 고혈압, 저혈압, 건망증, 불면증, 및 류마티스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인정되어 건강음료 및 약제원료로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가시오가피는 많은 종류의 오가피 배당체와 비타민, 미네랄이 풍부하여 범 적응원이 있는 약재로 주목받고 있다. 가시오가피의 유효성분은 리그닌 배당체인 아칸토사이드(Acanthoside B, D)가 있고 면역성을 높혀주는 수용성 다당체가 분리되었다. 잎에는 치사노 사이드(Chiisanoside)가 있어 약리적 기능을 갖고 있으며 뿌리에서는 오가피 배당체뿐만 아니라 지링긴(Sylingin), 쿠마린 배당체 등이 분리되어 있다. 이들 성분들은 생체의 기능에 대해서 다각적으로 활성을 부여하기 때문에 범적응적인 활성(Adaptogenic activity)이 있어 양생효과, 질병예방, 자가면역적인 질환 등에 대해서 그 효과가 광범위하다.
상기 둥굴레는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이러한 식물의 뿌리를 말려 차로 끓여 먹는 방식으로 현재 이용하고 있으며, 둥굴레 뿌리가 가진 숭늉과 같은 특이한 고유의 향미 및 기능성 유효 성분을 통한 신진대사 촉진, 항산화, 심신안정 및 혈당수치 조절 등의 효과들로 인해 많은 사람에게 많이 소비되고 있다.
상기 프락토올리고당은 설탕을 기질로 하여 과당 전이효소를 사용하여 설탕에 과당이 1 내지 3개 결합된 성분의 혼합물을 말한다. 프락토올리고당은 장내 유익균 증식 및 유해균 억제에 도움을 주고, 배변활동 원활에 도움을 주는 정장작용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복합합성균은 홍국균 40~50중량%, 고초균 20~30중량%, 효모 10~20중량% 및 누룩균 5~15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홍국균은 자낭균문 모나스커스(Monascus)속에 속하는 붉은색의 사상균으로서, 쌀 등과 같은 곡류를 발효시키는 과정에서 각종 유익한 대사산물로 진한 빨간색의 색소 및 모나콜린 K 등을 생산한다. 이 균은 중국을 중심으로 동아시아의 여러 지역에서 천연의 식품 착색제나 가공품 및 소화 촉진과 혈류 개선의 소재로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홍국균이 생성하는 2차 대사산물인 메비놀린은 콜레스테롤 생합성효소인 HMG-CoA(3-hydroxy-methyl-3-glutaryl-coenzyme) 환원효소를 강력하게 저해하여 혈중지질 농도를 감소시키고 콜레스테롤 합성을 억제하거나 항진균, 혈당상승의 억제, 혈압조절, 항비만, 항암 등과 같은 각종 기능성을 가진다. 또한, 홍국균은 적색계 색소(rubropuntain, monascorubin)와 황색계 색소(monascin, ankaflavin), 자색계 색소(rubropunctamine, monascorubramine) 등을 생성하며, 이와 같은 색소물질은 항균 및 항암효과가 있다.
상기 홍국균은 모나스커스 필로서스(Monascus pilosus), 모나스커스 러버(Monascus ruber), 모나스커스 퍼프레우스(Monascus purpureus), 모나스커스 카올리앙(Monascus kaoliang), 모나스커스 바리케리(Monascus barykery) 및 모나스커스 안카(Monascus ank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초균은 바실러스 섭틸리스(B. subtilis), 바실러스 리크네포르미스(B. lichneformis),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 megaterium),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B. amyloliquefaciens), 바실러스 낫토(B. natto), 바실러스 안스라시스(B.antharcis), 바실러스렌투스(B.lentus), 바실러스 퍼미러스(B.pumilus), 바실러스 더링지엔시스(B.thuringiensis), 바실러스 알베이(B.alvei), 바실러스 아조토픽산스(B.azotofixans), 바실러스 매세란스(B.macerans), 바실러스 포리믹사(B.polymyxa), 바실러스 파필리에(B.popilliae), 바실러스 코아글란스(B.coagulans), 바실러스 스테아로더모필러스(B.stearothermophilus), 바실러스 파스퇴리(B.pasteurii), 바실러스 패리커스(B.sphaericus) 및 바실러스 패스티디오서스(B.fastidiosu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루시(Saccharomyces rouxii),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에(Saccharomyces cereviciae), 사카로마이세스 오비폴미스(Saccharomyces oviformis) 및 사카로마이세스 스테이네리(Saccharomyces steiner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누룩균은 아스퍼질러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및 아스퍼질러스 소제(Aspergillus soja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세척한 수삼을 100℃에서 3시간 동안 증숙한 후 열풍건조기로 60℃에서 3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상기 증숙 및 건조하는 과정을 총 9회 반복하여 흑삼을 제조하였다. 정제수 100중량부에 상기 흑삼 10중량부를 가한 후 80℃에서 48시간 동안 추출하고 여과한 다음 60℃에서 농축하여 65brix의 흑삼추출물을 제조하였다.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유충을 85℃에서 30분 동안 가열한 후 분쇄기로 분쇄하여 굼벵이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흑삼추출물 95중량% 및 상기 굼벵이 분말 5중량%를 혼합하고 3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의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의 알콜성 간독성 억제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실험을 실시하였다.
1) 세포독성 시험: RAW 264.7세포에 각 시료를 여러 농도로 희석하여 24시간 배양 후, MTT법에 의해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
2) 마우스 알콜성 간질환 모델: 5주령의 수컷 Balb/c 마우스에 25% ethanol을 5g/kg의 투여량으로 1일 1회 총 7일간 경구투여하여 알콜성 간질환을 유발하였다.
3) 시료의 투여: 양성대조군을 비롯하여 두 종류의 공시시료는, 에탄올 투여개시 5일전부터 각각 1mg, 3mg 혹은 5mg/mouse의 양으로 1일 1회 총 5일간 경구투여하였다.
4) 생화학적 분석: 에탄올 투여 종료 후 1일째의 혈청시료를 이용하여 혈중 GTP(ALT), GOT(AST) 및 LDH를 정량하고, 에탄올 투여 종료 후 1일째의 간 조직을 lysis하여 간 조직 중의 SOD 및 catalase를 정량하였다.
5) 시료의 안전성(in vivo 테스트): 마우스의 체중 측정과 혈청학적 분석을 통한 간독성 테스트를 통해 시료에 의한 독성유도 유무를 판정하였다.
6) 통계학적 유의성은 에탄올만을 처리한 그룹에 대해 Student's two tailed t-test를 통해 검토하였다.
도 1은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의 알콜성 간독성 억제효과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혈청 중의 GOT 및 GPT를 정량하여 시료의 간질환 억제활성을 판정한 결과, 에탄올 투여에 의해 상승한 혈중 GOT/GPT의 수치가 모든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의 간독성 억제효과는 농도의존적인 것으로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의 혈중 LDH 감소효과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질환 발생 시 간세포의 손상에 의해 간세포 내에 있던 LDH효소의 혈중 농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알콜 투여에 의해 유도된 간질환에서 혈중 LDH 농도 상승에 대한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의 억제효과를 관찰한 결과, 에탄올 투여에 의한 LDH 혈중농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알콜 유도 체중감소에 대한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의 억제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의 투여군에서 알콜 투여에 의한 체중감소가 회복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4는 알콜 유도 간 중량 감소에 대한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의 회복효과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알콜성 간질환에 의해 유도되는 체중과 간 중량의 감소에 대해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이 조성물 투여군에서 알콜 투여에 의해 감소한 간 중량이 회복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5는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의 간조직 내 항산화 효소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간조직 내 항산화 효소인 SOD와 catalase의 발현을 측정한 결과,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 투여는 항산화 억제효소인 SOD와 catalase 효소의 발현을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catalase는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 3mg/mouse의 투여량부터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실험예 2]
실시예 1의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의 항산화 활성측정 시험을 실시하였다.
각 시료의 항산화 활성은 1.1-Diphenyl-2-picrylhydrazyl을 이용한 DPPH법을 이용하여 측정함. 양성대조군으로는 50 ug/ml 농도의 BHT를 처리하였다.
도 6은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의 항산화 활성 비교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DPPH법에 의해 각 시료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이며 농도의존적으로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실시예 1의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의 항염증 활성을 측정하였다.
항염증 실험은 RAW 264.7 대식세포에 LPS(100 ng/ml)로 자극하여 염증을 유발시키는 모델을 이용함. 공시시료를 여러 농도로 LPS 자극 12시간 전에 처리하고, LPS 자극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세포배양액 중의 염증성 인자(NO, TNF-a, IL-6)를 ELISA에 의해 정량하였다.
도 7은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의 항염증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농도인 500 ug/ml의 농도까지 염증억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염증세포로부터 분비되는 염증매개인자인 NO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a와 IL-6의 생성억제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의 처리는 모든 염증관련 인자의 생성에 대해 높은 억제활성을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 분말을 혼합한 혼합물 100중량부에 숙성홍삼분말 5중량부 및 발효홍삼분말 5중량부를 혼합하였다.
상기 숙성홍삼분말은 수삼을 100℃에서 2시간 동안 증숙하고, 상기 증숙한 수삼을 40℃에서 60일 동안 숙성시켜 홍삼을 수득하고, 상기 홍삼을 3℃에서 60일 동안 숙성시키고, 상기 숙성된 홍삼 1중량부에 알칼리수 10중량부를 가하고 10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홍삼추출액을 수득하고, 상기 홍삼추출액을 3℃에서 3일 동안 숙성하고, 상기 숙성된 홍삼추출액 100중량부에 덱스트린 10중량부 및 말토덱스트린 1중량부를 가하고 동결건조한 후 분말화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발효홍삼분말은 수삼을 100℃에서 2시간 동안 증숙하고, 상기 증숙한 수삼을 40℃에서 60일 동안 숙성시켜 홍삼을 수득하고, 상기 홍삼을 3℃에서 60일 동안 숙성시키고, 상기 숙성된 홍삼 1중량부에 지장수 10중량부를 가하고 10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홍삼추출액을 수득하고, 상기 홍삼추출액을 3℃에서 3일 동안 숙성하고, 상기 숙성된 홍삼추출액을 감압농축하고, 상기 홍삼농축물 100중량부에 김치 유산균 5중량부를 접총하고 25℃에서 12시간 동안 발효시켜 홍삼발효물을 수득하고, 상기 홍삼발효물을 45℃에서 30시간 동안 열풍건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지장수는 물 100중량부에 황토 20중량부를 가하고 25℃에서 12시간 동안 방치한 후에 상등액을 사용하였다. 상기 김치 유산균은 루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Leuconostoc mensenteroid)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 분말을 혼합한 혼합물 100중량부에 해동피추출액 5중량부, 깻잎추출액 5중량부, 녹차추출액 5중량부, 타트체리추출액 5중량부 및 스테비아 추출발효물 5중량부를 혼합하였다.
상기 해동피추출액은 물 100중량부에 해동피 20중량부를 가한 후 상온에서 5시간 동안 환류추출한 다음, 진공여과에 의해 상충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깻잎추출액은 깻잎 100중량부에 물 600중량부를 넣고 95℃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녹차추출액은 녹차 잎 100중량부에 물 900중량부를 넣고 85℃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타트체리 추출액은 타트체리에 압력을 가하여 추출하였다. 상기 스테비아 추출발효물은 스테비아 100중량부에 혼합액 600중량부 및 프탁토올리고당 10중량부를 넣고 60℃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한, 스테비아 추출액 100중량부에 복합합성균 5중량부를 첨가하고 25℃에서 48시간 동안 발효시킨 발효액을 동결건조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액은 광천수 60중량%, 함초 20중량%, 가시오가피 15중량% 및 둥굴레 5중량%를 45℃에서 12시간 동안 침지한 상등액을 사용하였다. 상기 복합합성균은 홍국균 50중량%, 고초균 25중량%, 효모 15중량% 및 누룩균 10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홍국균은 모나스커스 필로서스(Monascus pilosus)를 사용하였고, 상기 고초균은 바실러스 섭틸리스(B. subtilis)를 사용하였고, 상기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루시(Saccharomyces rouxii)를 사용하였고, 상기 누룩균은 아스퍼질러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 분말을 혼합한 혼합물 100중량부에 숙성홍삼분말 5중량부, 발효홍삼분말 5중량부, 해동피추출액 5중량부, 깻잎추출액 5중량부, 녹차추출액 5중량부, 타트체리추출액 5중량부 및 스테비아 추출발효물 5중량부를 혼합하였다. 상기 숙성홍삼분말 및 발효홍삼분말은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제조하였고, 상기 해동피추출액, 깻잎추출액, 녹차추출액, 타트체리추출액 및 스테비아 추출발효물은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전문 사육농가에서 3령의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및 8령의 갈색거저리유충을 각각 구입하여 3일간 금식시켜 배설물을 완전히 배출시킨 생것 상태의 각각의 유충을 흐르는 물로 3회 수세하였다. 이 후, 각각의 유충을 증숙기에 넣은 다음 이에 3배 중량의 정제수를 첨가하여 압력 1.1~1.5kgf/cm2 및 온도 110℃~150℃의 가압고온 조건에서 90분간 가열한 다음, 습식분쇄기를 이용하여 bead size 0.4 mm, rotor speed 3,000 rpm의 조건으로 이 액상을 분쇄하여 각각의 유충에 대해 분쇄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각각의 유충 분쇄물에 Alcalase를 각 유충 중량을 100 중량부로 할 때 기준으로 1 중량부로 첨가하여 40℃에서 5시간 동안 가수분해하는 과정을 수행하였다. 이렇게 가수분해된 각각의 유충의 분해물을 당도가 20~30 브릭스가 되도록 농축한 후 분무건조기의 흡입구 온도를 170℃ 배출구 온도를 75℃로 하고, 분무건조기의 분무압력은 1.5kgf/㎠ 이상, 디스크의 회전속도를 7,000~10,000 rpm로 설정하여 건조함으로 각각 분말을 제조하였고, 이렇게 제조된 분말을 굼벵이 효소처리물,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이라 하였다.
인진쑥, 민들레 및 엉겅퀴를 경동시장에서 각각 구입하여 추출원료로 사용하였다. 인진쑥, 민들레 및 엉겅퀴의 추출원료에 각각 상기 추출원료 10배 중량의 증류수를 넣고 90℃에서 12시간 추출 후 여과하여 얻은 액상을 분무건조함으로써 각 추출물을 분말상태로 제조하였다.
상기 굼벵이 효소처리물 40중량%,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처리물 30중량%, 인진쑥 추출물 분말 5중량%, 인들레 추출물 분말 5중량% 및 엉겅퀴 추출물 분말 20중량%를 혼합하여 간 보호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4]
상기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과 비교예 1에서 제조된 간 보호용 조성물에 대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비교하였다. 관능검사는 기능성식품을 주로 섭취하는 대상자를 고려하여 남녀 성별 구분없이 50~70대 성인 및 노인을 대상으로 총 40명을 선발하였으며, 색상, 향, 맛, 식감, 전체적기호도 항목을 5점 척도법으로 평가하였으며 각각의 값을 평균하여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은 매우 양호한 정도를 5로 하고, 약간 양호한 정도를 4, 보통의 정도를 3, 열약한 정도는 2, 아주 열악한 정도는 1로 정하였다.
색상 식감 전체적기호도
실시예 1 4.2±0.4 4.3±0.2 4.4±0.2 4.1±0.3 4.3±0.4
실시예 2 4.3±0.4 4.4±0.3 4.5±0.3 4.2±0.4 4.4±0.5
실시예 3 4.4±0.3 4.5±0.2 4.6±0.2 4.3±0.3 4.5±0.3
실시예 4 4.4±0.3 4.6±0.2 4.7±0.3 4.3±0.3 4.6±0.2
비교예 1 3.5±0.5 3.3±0.5 3.4±0.6 3.6±0.5 3.5±0.6
표 1의 결과에서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은 비교예 1에서 제조된 간 보호용 조성물에 비하여 색상, 향, 맛, 식감 및 전체적 기호도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4)

  1. 흑삼추출물 93~95중량% 및 굼벵이 분말 5~7중량%를 포함하는,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 분말을 혼합한 혼합물 100중량부에 숙성홍삼분말 1~5중량부 및 발효홍삼분말 1~5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되,
    상기 숙성홍삼분말은 수삼을 95~100℃에서 1~2시간 동안 증숙하고, 상기 증숙한 수삼을 35~40℃에서 60~62일 동안 숙성시켜 홍삼을 수득하고, 상기 홍삼을 1~3℃에서 60~62일 동안 숙성시키고, 상기 숙성된 홍삼 1중량부에 알칼리수 8~10중량부를 가하고 95~100℃에서 4~5시간 동안 가열하여 홍삼추출액을 수득하고, 상기 홍삼추출액을 1~3℃에서 2~3일 동안 숙성하고, 상기 숙성된 홍삼추출액 100중량부에 덱스트린 10~20중량부 및 말토덱스트린 1~5중량부를 가하고 동결건조한 후 분말화한 것이며,
    상기 발효홍삼분말은 수삼을 95~100℃에서 1~2시간 동안 증숙하고, 상기 증숙한 수삼을 35~40℃에서 60~62일 동안 숙성시켜 홍삼을 수득하고, 상기 홍삼을 1~3℃에서 60~62일 동안 숙성시키고, 상기 숙성된 홍삼 1중량부에 지장수 8~10중량부를 가하고 95~100℃에서 4~5시간 동안 가열하여 홍삼추출액을 수득하고, 상기 홍삼추출액을 1~3℃에서 2~3일 동안 숙성하고, 상기 숙성된 홍삼추출액을 감압농축하고, 상기 홍삼농축물 100중량부에 김치 유산균 1~5중량부를 접총하고 20~25℃에서 12~14시간 동안 발효시켜 홍삼발효물을 수득하고, 상기 홍삼발효물을 40~45℃에서 30~40시간 동안 열풍건조한 것이며,
    상기 지장수는 물 100중량부에 황토 10~20중량부를 가하고 20~25℃에서 12~14시간 동안 방치한 후에 상등액을 사용하는,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혼합한 혼합물 100중량부에 해동피추출액 1~5중량부, 깻잎추출액 1~5중량부, 녹차추출액 1~5중량부, 타트체리추출액 1~5중량부 및 스테비아 추출발효물 1~5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되,
    상기 해동피추출액은 물 100중량부에 해동피 10~20중량부를 가한 후 상온에서 5시간 동안 환류추출한 다음, 진공여과에 의해 상충액을 사용하며,
    상기 깻잎추출액은 깻잎 100중량부에 물 500~600중량부를 넣고 95~100℃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한 것을 사용하며,
    상기 녹차추출액은 녹차 잎 100중량부에 물 800~900중량부를 넣고 80~85℃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한 것을 사용하며,
    상기 타트체리 추출액은 타트체리에 압력을 가하여 추출한 것을 사용하는,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비아 추출발효물은 스테비아 100중량부에 혼합액 500~600중량부 및 프탁토올리고당 10~20중량부를 넣고 60~65℃에서 1~2시간 동안 추출한, 스테비아 추출액 100중량부에 복합합성균 1~5중량부를 첨가하고 25~30℃에서 46~48시간 동안 발효시킨 발효액을 동결건조한 것을 사용하되,
    상기 혼합액은 광천수 60~70중량%, 함초 15~25중량%, 가시오가피 10~20중량% 및 둥굴레 1~5중량%를 40~45℃에서 10~12시간 동안 침지한 상등액을 사용하며,
    상기 복합합성균은 홍국균 40~50중량%, 고초균 20~30중량%, 효모 10~20중량% 및 누룩균 5~15중량%를 포함하는,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
KR1020200182037A 2020-12-23 2020-12-23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 KR202200916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037A KR20220091654A (ko) 2020-12-23 2020-12-23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037A KR20220091654A (ko) 2020-12-23 2020-12-23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1654A true KR20220091654A (ko) 2022-07-01

Family

ID=82397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2037A KR20220091654A (ko) 2020-12-23 2020-12-23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165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840B1 (ko) 2018-01-02 2018-04-27 주식회사 한미양행 굼벵이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840B1 (ko) 2018-01-02 2018-04-27 주식회사 한미양행 굼벵이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132662A (ja) グルタチオン産生促進剤
KR101339706B1 (ko) 홍삼 포접화합물, 면역 농축물 및 유산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증강 복합 조성물
KR101430591B1 (ko) 발효 화장품
JP7471393B2 (ja) 呼吸器疾患の予防、改善又は効果がある茶組成物及びこれを含む薬学組成物
KR20200004942A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1425466B1 (ko) 발효 청미래덩굴 잎,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1980887B1 (ko) 하늘타리 추출물 및 박주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55292A (ko) 효모 및 천연효소를 이용한 발효삼채 제조 및 갈증해소용 혼합음료 제조방법
WO2022225323A1 (ko) 생약재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KR20170100845A (ko) 밀리타리스 동충하초를 이용한 대장암세포 생장 억제 및 면역력 증강 효과를 갖는 식품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79890B1 (ko) 염지제를 이용한 삼계탕의 제조방법
KR101723402B1 (ko)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배양액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당뇨, 당뇨합병증 또는 당뇨로 인한 질환을 예방,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14941B1 (ko) 맨드라미꽃 물추출물의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49711B1 (ko) 콩과 식물 배양근의 효소 처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220091654A (ko)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간독성 억제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
KR101375347B1 (ko) 홍삼약초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음료
KR20220091656A (ko) 흑삼추출물 및 굼벵이를 포함하는 혈당조절 및 항염증 효과를 갖는 식품 조성물
KR101413283B1 (ko) 면역력 증강을 위한 면역증강복합물을 이용한 인삼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인삼 조성물
KR102089045B1 (ko) 발효곡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68831B1 (ko) 산양삼청의 제조방법
KR20100116919A (ko) 산더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고지혈증 또는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28554B1 (ko) 진피발효생성방법 및 이에 의한 진피발효생성물
KR102393857B1 (ko) 흑삼추출물 및 콜라겐을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이너뷰티 조성물
KR102492196B1 (ko) 산양삼을 이용한 삼계탕의 제조방법
KR102211759B1 (ko) 카카오닙스를 포함하는 건강 증진용 환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