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9936A - 저장 장치, 보관 랙 및 특히 저장 장치용 하역 기계 - Google Patents

저장 장치, 보관 랙 및 특히 저장 장치용 하역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9936A
KR20110129936A KR1020117023126A KR20117023126A KR20110129936A KR 20110129936 A KR20110129936 A KR 20110129936A KR 1020117023126 A KR1020117023126 A KR 1020117023126A KR 20117023126 A KR20117023126 A KR 20117023126A KR 20110129936 A KR20110129936 A KR 20110129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loading machine
unloading
lifting device
storage
storage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3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5752B1 (ko
Inventor
안탈 좀보리
Original Assignee
안탈 좀보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탈 좀보리 filed Critical 안탈 좀보리
Publication of KR20110129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9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2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separate article supports or holders movable in a closed circuit to facilitate insertion or removal of articles the articles be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둥 상에 위치된 선반(14)을 갖춘 보관 랙과, 상기 보관 랙의 지정된 선반으로 이동할 수 있는 하역 기계, 및 상기 선반(14)에 상품을 저장하거나 선반(14)으로부터 상품을 회수하고 지정된 위치로 상품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품 또는 저장 장치(30)를 위치시킬 수 있는 하역 장치를 포함하는 저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동형 리프팅 장치(240)는 상기 보관 랙(10)과 결합되며 상기 하역 기계(10)가 예정된 경로로 이동할 수 있는 로코모티브(locomotive) 하역 기계로서 형성되며, 상기 하역 장치(130)는 상기 하역 기계(100) 상에 위치되며, 상기 하역 기계(100)에는 능동형 리프팅 장치(200)가 배열되며, 상기 능동형 리프팅 장치는 상기 수동형 리프팅 장치(240)와 결합할 수 있고 상기 수동형 리프팅 장치(240)와 협력하여 상기 하역 기계(100)를 지정된 선반으로 이동시킨다.

Description

저장 장치, 보관 랙 및 특히 저장 장치용 하역 기계 {ARRANGEMENT FOR STORAGE, WAREHOUSE RACK AND HANDLING MACHINE PARTICULARLY FOR SUCH ARRANGEMENT}
본 발명은 저장 장치뿐만 아니라, 보관 랙 및 특히 그와 같은 저장 장치를 위한 하역 기계에 관한 것이다.
현재, 다양한 형태의 장치들이 저장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그러한 장치는 보관 랙으로 형성된 선반(shelf) 시스템, 및 그러한 선반 시스템으로 그리고 선반 시스템으로부터 상품들을 패킹하는 기계를 포함한다. 가장 간단한 형태에 따르면, 선반 시스템은 기둥 상에 선반들을 포함하는데, 상기 기둥과 선반들이 격실을 형성한다. 상품들은 보관 랙들 사이의 복도들 내에서 작동하는 하역 기계에 의해 박스 또는 팰릿(pallet) 내의 선반 상에 패킹된다.
수작업과는 별도로, 가장 간단한 경우는 하역 기계가 포크리프트 트럭인 경우인데, 상기 트럭에 의해 작업자는 리프트-포크(lift-fork)를 소정 격실 정면의 소정 높이로 승강시키며 상품이 들어 있는 박스나 팰릿을 격실로부터 들어올린 후에 리프트-포크를 하강시켜 상품들을 소정의 위치로 보내는데 사용된다. 게다가, 자동 저장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으며, 이러한 시스템에서 컴퓨터 제어가능한 하역 기계가 보관 랙의 정면에 설치되며 그 기계는 측면뿐만 아니라 상방향 및 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서, 제어에 의해 결정된 상품을 소정의 격실로부터 승강시키거나 소정의 격실 내에 위치시키며, 상품들을 꺼내는 경우에 꺼낸 상품을 지정된 위치에 내려놓는다.
공지된 시스템의 결점은 하역 기계가 서로 우회할 수 없기 때문에 단지 하나의 하역 기계가 단지 하나의 보관 랙의 정면에서 과도한 작업을 수행한다는 점인데, 몇몇 예외는 별도로 하고 서로 대향되게 서있는 보관 랙들 사이에서 두 개의 하역 기계가 동시에 작업하는 것은 이들 사이의 거리가 보통 비좁기 때문에 불가능하다.
공지된 시스템의 다른 결점은 보관 랙의 높이가 높을수록 적절한 하역 기계를 만드는 것이 어려우며, 또한 보다 큰 보관 랙에서의 신속한 서비스를 위해 하역 기계가 보다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작동하도록 설계되어야 하는데,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의 격실로 또는 소정의 격실로부터 소정의 위치로 상품들을 하역하는 평균 시간이 너무도 길어서, 보관 랙에서 많은 상품들을 빈번하게 처리할 수 없다는 점이다.
전술한 이유로, 서로의 작동에 가능한 한 적게 간섭될 수 있는 방식으로 하나의 랙을 다중 하역 기계에 의해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하역 기계로 발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역 기계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달성되는 경우에, 평균 서비스 시간은 고가로 하역 기계의 작동 속도를 증가시킴이 없이도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역 기계의 설계가 실질적으로 보관 랙의 높이와 무관하며 심지어 랙의 높이가 높은 경우에도 실질적으로 더욱 고가의 하역 기계가 필요하지 않은 장치로 발전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설정된 상기 목적은 보통의 해결책과 동일하게, 선반을 포함하는 보관 랙, 상기 보관 랙의 소정의 선반으로 이동가능한 하역 기계, 및 상품을 위치시킬 수 있는 하역 장치 또는 선반에 상품을 놓거나 선반으로부터 상품을 꺼내고 상품을 소정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이러한 공지의 장치는 보관 랙이 수동형 리프팅 장치와 조합되고 하역 기계가 바람직하게 예정 경로를 따라 이동하고 보관 랙들 사이의 통로들 내로 이동할 수 있는 로코모티브(locomotive) 하역 기계로서 설계되는 방식으로 개선되었다. 하역 기계는 그와 같은 기관차 하역 기계 위에 놓인다. 능동형 리프팅 장치는 하역 기계 상에 배열되며, 능동형 리프팅 장치는 수동형 리프팅 장치에 연결될 수 있으며 하역 기계를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수동형 리프팅 장치와 협력한다. 물론, 하역 기계에는 자체 공지된, 센서, 자동 항법 및 조정 장치, 제어기, 프로그램 또는 원격 제어되는 로코모티브 장치 내에 보통 제공되는 데이터 전송 및 데이터 처리 장치가 장착되며 본 발명에 기초하여 전문가들에 의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보관 랙과 조합된 리프팅 장치는 톱니바퀴, 톱니 벨트, 체인, (와이어)케이블, 또는 포지티브 커플링(결합) 또는 마찰 연결을 설정하는 어떤 다른 분리가능한 동력 전달 연결수단일 수 있다. 따라서, 리프팅 장치와 협력 연결될 수 있는 하역 기계의 능동형 리프팅 장치는 마찰, 예를 들어 고무 롤러, 톱니 휠, 체인 휠, 로프 드럼, 무한 체인 또는 상기 수동형 리프팅 장치와 결합하는 다른 형상체에 의해 연결된 휠일 수 있다. 적합한 구동 기구가 하역 기계 내의 능동형 리프팅 장치에 연결된다. 능동형 리프팅 장치 및 수동형 리프팅 장치는 하역 기계의 들어올려진 위치에서 서로 분리되지 않는 방식으로 연결된다.
능동형 리프팅 장치의 동력 공급원은 편리하게 전기이며, 다양한 가능한 형태 중의 하나에 있어서 하역 기계는 기둥 상에 배열된 전기 도체 장치에 바람직하게 전기 접속가능하여 충전될 수 있는 배터리이며, 구동 기구는 여기로부터 직접적으로 기둥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하역 기계는 바람직하게 두 개의 대향하는 보관 랙들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수동형 및 능동형 리프팅 장치는 커플링 기구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커플링 기구의 임무는 수동형 및 능동형 리프팅 장치들이 서로 연결된 이후에 이들 사이의 안전한 연결을 설정 및 유지하는 것인데, 이는 미끄럼이나 분리됨이 없이 짐을 적재한 하역 기계의 중량을 지탱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하역 기계 상의 커플링 기구의 수는 능동형 리프팅 장치의 수에 대응하는데, 예를 들어 두 개의 커플링 기구가 제공되며, 각각의 커플링 기구는 기둥과 결합된 하나의 수동형 리프팅 장치와 협력 연결될 수 있다. 커플링 기구는 별도의 또는 공통의 작동 기구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작동 중에, 컴퓨터 제어 유닛으로부터 주어진 명령에 따라 바닥 레벨에서 이동하는 하역 기계는 기둥들 사이의 각각의 간극에서 지정된 선반 또는 격실의 정면에서 정지하며 선반의 어느 한쪽에 있는 기둥에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선반 양측에 있는 기둥에 연결된 수동형 리프팅 장치에 연결된다. 그 후 자체 동력원이나 기둥 상의 전기 도체로부터 얻은 전력을 사용하여, 그곳에 놓인 하역 장치를 사용하여 상품을 놓거나 꺼내는 소정의 격실로 상승된다. 상품을 놓은 후에는 추가의 지시를 받을 때까지 그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지시를 받은 대로, 꺼낸 임의의 상품을 소정의 위치로 보내고 필요에 따라 이들 상품을 내려 놓는다. 하역 장치는 로봇 아암이나 그와 같은 설비에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공지의 장치일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하역 기계는 작동에 필요한 시스템, 예를 들어 검출, 제어, 데이터 전송, 동력 트레인 시스템이 장착된 실질적으로 로코모티브 로봇(locomotive robot)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에, 하역 기계 상의 하역 장치는 적절한 힘을 가함으로써 상품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장치와 결합할 수 있는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 장치는 연자성 부품이 장착된 예를 들어 케이스 또는 팰릿과 같은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전자석은 하역 기계의 상부에 있는 상품을 선반으로 밀어 넣거나 전자석을 선회시킴으로써 선반으로부터 하역 기계의 상부로 저장 장치를 당기는 푸슁-풀링 기구(pushing-pulling mechanism) 상에 놓여 질 수 있다. 푸슁 및 풀링을 촉진시키기 위해, 롤러 또는 볼에 대한 미끄럼 표면이 하역 기계의 상부에 형성됨으로써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추가의 목적들, 추가의 특징들, 및 장점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상이한 하역 상태의 하역 기계를 갖춘 두 개의 대향하는 보관 랙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2는 보관 랙의 색션과 함께 도 1의 F 위치에 있는 하역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C 위치에 있는 하역 장치의 능동형 리프팅 장치의 개략적인 수평 단면도이며,
도 4는 기둥을 따라 연장하는 캐리지에 연결된 로프로서 형성된 수동형 리프팅 기계, 및 수동형 리프팅 기계에 연결될 수 있는 능동형 리프팅 장치를 지지하는 하역 기계를 갖춘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캐리지의 평면도이며,
도 6은 체인으로서 형성된 수동형 리프팅 장치를 갖춘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7은 보관 랙들 사이의 통로 방향으로 도 6에 따른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수동형 및 능동형 리프팅 장치의 연결을 위해 구성된 도 7에 따른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9도의 a 내지 c는 수동형 리프팅 장치를 구성하는 체인에 도 8에 따른 능동형 리프팅 장치를 연결하는 단계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0은 적절히 설계된 형태로 제공된 보관 랙 기둥의 정면에 무한 체인으로 형성된 능동형 리프팅 장치가 장착된 하역 기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1은 수동형 리프팅 장치가 제공된 기둥과 무한 체인을 포함하는 능동형 리프팅 장치 사이의 연결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12는 기둥들 사이의 중간에 걸린 로프로서 형성된 수동형 리프팅 장치에 연결될 수 있는 로프 드럼을 포함하는 능동형 리프팅 장치를 갖춘, 엘리베이터 케이지와 유사하게 설계된 본 발명에 따른 하역 기계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13은 보관 랙의 기둥들 사이의 위치에 있는 도 12에 따른 하역 기계의 평면도이며,
도 14는 도 12에 따른 하역 기계의 능동형 리프팅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15는 능동형 리프팅 장치로서 결합 구동 기어를 갖추고 수동형 리프팅 장치로서 치형 바아를 갖춘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부분 평면도이며,
도 16은 상부에 놓인 하역 장치를 갖춘,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하역 기계의 윤곽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7은 도 16에 따른 리프팅 장치의 작동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18은 측면 방향으로 도 16에 따른 리프팅 장치의 작동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19는 돌출 레일로서 형성된 수동형 리프팅 장치에 연결되기 이전의 위치에 그리고 두 개의 대향하는 보관 랙들 사이의 통로 내에 도시된, 다양한 하역 상태로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장치의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하역 기계를 도시하는 측면도로서, 상기 도면에서 보관 랙의 단지 하부분만이 보이며, 대응하는 하역 기계는 서로를 향해 압박될 수 있고 마찰에 의해 레일과 결합하는 롤러를 가지며,
도 20은 높은 레벨에 위치되어 도 19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며 수동형 리프팅 장치에 연결되었을 때의 위치에 있는 다른 하역 장치를 도시하는 도 19에 따른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동일 또한 유사한 방식으로 형성되며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되었다. 도면에 도시된 예들은 당업자들이 본 발명의 원리 및 범주를 이해하고 해석하며 본 발명을 실제로 실시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저장 장치를 도시하여, 여기서 보관 랙(10)은 서로 대향되게 위치되어 있으며 이들 사이에는 이송에 적합한 통로(20)가 제공되어 있다. 보관 랙(10)은 직립 기둥(12) 상에 놓인 선반(14)을 포함하며, 그와 같은 기둥(12)은 선반(20)으로부터 접근 가능하다. 통로(20)를 지향하며 통로와 평행한 기둥(12)의 표면에 기둥(12)은 슬립이 없는 연결, 예를 들어 치형 바아를 설정하는데 적합한 표면 형상으로서 형성되는 수동형 리프팅 장치(240)를 가진다. 차량으로서 이동하는 로코모티브 하역 기계(100)는 공지된 가이드 수단에 의해 통로(20)를 따라 인도될 수 있다. 그와 같은 가이드 수단은 예를 들어, 통로 상의 광학적으로 검출가능한 패턴, 광 빔, 무선 주파수 위치선정 시스템, 근접 검출기가 장착된 조정 기구, 가이드 레일 또는 어떤 다른 가이드 트랙일 수 있다. 이들의 목적은 하역 기계(100)에 들러붙거나 도중에 보관 랙(10)에 부딪힘이 없이 하역 기계(100)를 보관 랙(10)의 소정의 위치에 충분한 정밀도로 안내하는 것이다.
저장 장치(30), 예를 들어 박스, 컨테이너, 팰릿이 하역 기계(100)의 상부에 놓일 수 있으며 하역 장치(130)도 여기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저장 장치(30)가 하역 기계(100)의 상부에 놓이거나 하역 기계(100)의 상부로부터 소정의 위치로 저장 장치(30)을 위치시킬 수 있다.
하역 기계(100)는 도 1의 a 위치에 도시된 보관 랙(10)들 사이의 통로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 하역 장치(100)가 두 개의 특정 기둥(12) 사이의 중앙에 있는 소정의 위치, 예를 들어 b 위치에 도달하면, 하역 장치는 정지하며 능동형 리프팅 장치(200)에 의해 상부에 놓이며, 도 1의 c 위치에 도시된 대로 보관 랙(10)의 기둥 상의 수동형 리프팅 장치에 연결된다. 그 후 하역 기계(100)는 수동형 리프팅 장치(240) 및 능동형 리프팅 장치(200)에 의해 각각의 기둥(12)을 따라 소정의 높이로 리프트되며, 도 1의 d 위치에 도시된 소정의 선반(14)에서 필요한 하역 작동을 수행한다.
수동형 리프팅 장치(240)와 능동형 리프팅 장치(200) 사이의 연결은 이들의 연결 위치에서 하역 기계가 바람직하게 심지어 결함 시에도 수동형 리프팅 장치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방식으로 형성되는데, 그렇지 않으면 하역 기계가 보관 랙들 사이의 통로로 떨어져 심각한 손상을 입을 수 있다. 그러므로, 이들의 연결 위치에서 능동형 리프팅 장치(200) 및 수동형 리프팅 장치(240)는 예를 들어, 정전에 의한 우발적인 분리에 대해서도 보호된다.
이러한 예에서 전자석으로서 형성되며 측면으로 이동가능한 하역 장치(130)가 사용될 수 있다. (저장 장치(30) 내외측에 놓이는)하역 작동을 완료한 후에, 다른 하역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위치로 지향될 때까지 하역 기계(100)는 도 1의 e로 표시한 위치에 머무를 수 있다. 이 경우에 하역 기계(100)는 반대 방향으로 능동형 리프팅 장치(200)의 작동에 의해 각각의 기둥(12)을 따라 통로(20)의 레벨로 하강하며, 이는 도 1의 e 위치로 도시되어 있다. 계속해서 하역 기계의 리프팅 장치(200)는 보관 랙(10)에 배열된 수동형 리프팅 장치(240)로부터 분리되며 도 1의 f 위치에 도시된 준비 상태에서 이동 상태로 통로(20)에 재 위치된다. 도 2는 또한 하역 장치가 소정의 통로 상에 위치되며 지시받은 대로 소정의 선반으로부터 얻은 저장 장치를 운반하는 동일한 위치를 도시한다.
도 2는 하역 기계(100)를 도 3은 하역 기계(100)의 능동형 리프팅 장치(200)의 간단한 형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들이다. 하역 기계(100)의 중앙선에는 모터(218)에 연결된 스크류 드라이브로서 형성된 구동 기구(214)에 의해 구동되는 승강 샤프트(220), 및 승강 샤프트(220)의 양 단부에 배열되는 톱니바퀴(222)가 제공된다. 이들 두 개의 톱니바퀴(222)는 수동형 리프팅 장치(240)를 구성하며 각각의 기둥(12)에 배열되는 치형 바아(224)에 톱니바퀴들이 동시에 연결될 수 있는 그러한 거리에 위치된다. 하역 기계(100)에는 톱니바퀴(222)가 치형 바아(224)에 연결된 이후에 축선을 따라 지지 롤러가 외측으로 이동하여 치형 바아(224)가 장착된 기둥(12)의 배면에 지지되는 승강 샤프트에 평행한 축선 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는 지지 롤러(110)가 제공된다. 이는 결합된 이후에 가이드 롤러가 기둥의 측면에 지지되는 동안 톱니바퀴가 치형 바아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한다. 도면에 도시된 형태는 대칭 장치이므로, 구동 축 상의 톱니바퀴는 통로의 양측에 있는 보관 랙에, 보다 구체적으로 기둥에 배열된 치형 바아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므로, 결합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동 축에 평행한 축선 주위에서 회전되고 톱니바퀴를 지지하는 것과 대향하는 측에서 배면으로부터 기둥에 대해 기대여 있다.
리프팅 장치에 연결될 수 있고 리프팅 장치와 협력하여 하역 기계를 리프팅할 수 있는 추가의 구성 요소, 예를 들어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커플링 기구가 하역 기계 상에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부재는 서로로부터 수동형 및 능동형 리프팅 장치의 분리, 보관 랙의 각각의 기둥으로부터 하역 기계의 인출, 캔틸레버와 같은 기둥에 연결되는 하역 기계의 편향, 및 과도한 응력 또는 장력의 전개를 방지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해결책은 유사한 목적을 만족시키며, 승강 샤프트(200) 상에 배열되는 톱니바퀴(222)의 평면 상하에 두 개의 지지 롤러(110)가 제공된다. 물론, 숙련자들은 본 발명으로부터 이탈함이 없이 이와 같은 여러 해결책을 발전시킬 수 있다.
하역 기계(100)의 동력원은 본 발명에서 특정되지 않았으나, 그 해결책은 또한,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일상적인 업무이며, 본 발명의 필수적인 구성요소를 구성하지 않는다. 전력은 절연 레일 및 그와 접촉하는 전류 컬렉터를 통해 하역 기계(100)로 간단히 공급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수동형 리프팅 장치(240)가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하역 기계(100)의 동력원을 위한 다른 해결책은 전기 커넥터가 배열될 수 있는 보관 랙(10)의 지정 위치에서 안전하게 배치될 수 있는, 하역 기계(100)가 현재 사용되지 않는 도킹 스테이션을 설정하는 것이며, 이는 보관 랙을 서빙하는 하역 기계(100)에 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커넥터는 하역 기계(100)의 적절한 상대 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다. 그와 같은 커플링 기구는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여러 커플링 기구와 커넥터가 숙련자들에게 폭넓게 공지되어 있으며 상세히 설명되지 않았다.
전기 커넥터의 높이는 연결된 위치에서 하역 기계(100)의 바닥이 그 아래에 있는 다른 하역 기계(100)의 운동을 방해하지 않는 높이에 있는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장치의 작동이 방해받지 않는 동안 배터리 충전이 수행될 수 있다. 다른 하역 기계(100)가 이러한 특정 도킹 스테이션을 통과해야 한다면, 이렇게 연결된 하역 기계(100)는 인접 기둥에 의해 도킹 스테이션으로 이동시키거나, 불충분하다면 보다 높은 레벨로 일시적으로 상승시킴으로써 그로부터 제거되어야 한다.
도 4는 보관 랙의 기둥에 고정된 방식으로 지지 기둥(40)이 보관 랙의 정면에 배열되는 해결책을 도시하며, 이 때 각각의 지지 기둥(40)에는 회전 자유롭게 가이드되는 캐리지(242)가 제공된다. 도 5는 지지 기둥(40)에 연결되는 캐리지(242)의 평면도이며, 도면에서 캐리지(242)가 로프 드럼(244)을 포함하고 있음을 명확히 볼 수 있으며, 지지 기둥(40)의 상부에 고정된 와이어 케이블(246)이 로프 드럼에 부착된다. 로프 드럼(242) 상에 와이어 케이블(246)을 감는 것은 지지 기둥(40)에서 캐리지(242)를 승강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캐리지(242)는 지지 롤러(100)에 의해 지지 기둥(40) 상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캐리지(242) 상에는 또한, 하역 기계(100) 상에 배열되는 홀딩 래치(222)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리세스(244)가 제공된다. 홀딩 래치(222)는 리세스(224)와 협동함으로써 래치가 회전하는 경우에 홀딩 래치(222)가 리세스(224)와 결합하여 하역 기계(100)의 홀딩 래치(222)가 해제되지 않을 때까지 제거될 수 없다. 로프 드럼(244)은 수동형 리프팅 장치(240)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이는 몇몇 커플링 부재에 의해 하역 기계(100) 상의 능동형 리프팅 장치(200)에 연결될 수 있다. 능동형 리프팅 장치(200)는 샤프트(220)에 장착되는 예를 들어, 구동 축(218)일 수 있으며, 로프 드럼(244)의 내측에는 이러한 구동 축(218) 위로 미끄럼할 수 있는 개구가 제공되며, 키이 경로(220)에 끼워 맞춰지며 내측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키이(247)가 제공된다.
작동 중에 하역 장치(100)는 측면 방향으로부터 지지 기둥(40) 상의 캐리지(242)로 접근하며 그의 홀딩 래치(222)가 캐리지 상에 형성된 리세스(224) 내에 결합된다. 래칭이 작동된 이후에, 하역 기계(100)는 로프 드럼의 구멍 내에 결합되는 구동 축(218)으로 돌출하며, 저속 회전 중에 키이(247)는 키이 경로(220)에 결합한다. 구동 축(218)의 추가 회전의 결과로써, 와이어 케이블(246)은 로프 드럼(244) 상에 감기며, 그에 연결된 하역 기계(100)와 함께 캐리지(242)는 지지 기둥(40)을 따라 소정의 높이로 상승됨으로써 지시된 하역 작동을 완료한다.
도 6, 도 7, 도 8 및 도 9a 내지 도 9c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에, 와이어 케이블(246)은 체인(252)으로 대체된다. 체인(252)은 미끄럼 자유로운 방식으로 하역 기계(100) 상에 배열된 체인 휠(254)과 결합할 수 있는 수동형 리프팅 장치(240)를 구성한다. 체인(252)의 하단부는 가요성 있게 변형된다. 체인이 하역 기계(100) 상의 체인 휠(254)에 위치되면, 가요성 있게 변형된 하단부는 체인 휠(254)의 통과로 인해 체인(252)의 하단부가 더 짧아지기 때문에 스트링에 대해 당겨진다. 도시된 경우에, 하역 기계(100)는 동시에 4 개의 체인(252)에 연결되어서 거기에는 4 개의 체인 휠(254)이 있게 되며, 회전 측면에서 서로 포지티브한 커플링이 이루어지므로, 하역 기계(100)는 승강 중에 기울어지지 않고 본래 위치를 유지한다. 물론, 어떤 불안정성 또는 흔들림을 감소시키기 위해, 롤러 또는 다른 도시 않은 가이딩/지지/댐핑 부재가 하역 기계(100) 상에 놓일 수 있다.
도 8은 (과장된 치수를 갖는)더욱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며, 여기서 체인(252)은 체인(252)이 능동형 리프팅 장치(200)를 구성하는 체인 휠(254)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작동이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되어 있다.
도 9a는 경로(20)의 두 개의 반대 측에 있는 원-원(one-one) 체인을 도시하며, 하역 기계(100)의 각각의 체인 휠(254)은 이들 체인과 반대쪽에 위치된다. 게다가, 스위블 아암(swivel arm) 상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저어널 연결된 아이들 롤러(256)가 하역 기계(100) 상에 배열된다. 도 9b는 스위블 아암(264)이 화살표(26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도시하며, 아이들 롤러(256)가 체인(252)에 도달한 후에 그 체인을 각각의 체인 휠(254) 상으로 밀린다. 도 9c는 도 8에 도시된 위치에 대응하는 완전히 밀린 상태이며, 여기서 체인(252)은 대략 180도의 원호를 따라 구동 체인 휠(254)에 연결된다. 아암(254)은 슬릿(260)이 하역 기계(100)의 정면 단부 상에 배열되는 수직 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슬릿(260)에 의해 안내된다.
도 10 및 도 11은 능동형 리프팅 장치(200)가 선반(14)을 지향하는 하역 기계(100)의 측 상에 수직으로 구동가능한 방식으로 배열되는 무한 체인(228)에 의해 구성된다. 무한 체인(228)은 예를 들어 도시되지 않은 롤러에 의해 여러 지점에서 지지될 수 있다. 무한 체인(228)은 보관 랙(10)의 기둥(12)에 부착되며 상기 경로를 지향하는 표면 상에 상승(climbing) 수단(266)에 의해 장착되는 예를 들어, 지지 기둥(44)의 상승 수단(266)에 끼워 맞춰진다. 무한 체인(228)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다중 롤러 체인 또는 다중 체인일 수 있다.
작동 과정에서, 경로에 비해 측면으로 이동하는 하역 기계(100)는 무한 체인(228)이 지지 기둥(44)의 상승 수단(266)과 결합하는 동안 각각의 지지 기둥(44)으로 접근한다. 그러는 동안 또는 계속해서, 하역 기계(100) 상에 배열된 커플링 기구(50)는 지지 기둥(44)의 (상승 수단(266)이 배열된 정면 표면에 비해)후방 표면으로 아암(152) 상에서 회전할 수 있는 롤러(110)를 압박함으로써, 능동형 리프팅 장치(200)를 구성하는 무한 체인(228)과 지지 기둥(44) 상의 상승 수단(266) 사이의 연결의 분리를 방지한다.
도 11은 숄더에 형성된 지지 롤러(111)가 측면 및 배면으로부터 지지 칼럼에 대해 기울어지고 전체 하역 기계(100)를 안내하는 커플링 위치를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 하역 기계(100)는 적절한 강도로 형성된 하나의 지지 기둥(44)에 연결되며, 하역 기계(100)는 양 측면에서 선반을 서비스할 수 있다. 이러한 비대칭 하중이 유발될 수 있기 때문에 하역 기계(100)의 가이드 및 지지 부재와 지지 기둥(44)은 적절한 강도를 가져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2는 승강 케이지와 유사한 해결책인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적용가능한 하역 기계(1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이러한 케이지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모서리들에 배열되는 기둥(12)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며, 기둥(12)에 위치된 (도시 않은)가이드 수단에서 또는 기둥(12)을 따라 상방향으로 롤을 미끄럼시키기 위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가이드 부재, 롤러, 슬라이드를 사용한다. 케이지의 각각 4 개의 모서리에는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플랫폼(180)이 안내되는 원-원 가이드 기둥이 제공되며, 상기 플랫폼(180)은 가이드 슬리브(192)와 결합된다. 플랫폼(180)의 중앙에는 이후에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될 능동형 리프팅 장치(200)를 구성하는 기구가 제공되며, 이러한 기구는 로프(246)로서 형성되는 수동형 리프팅 장치(24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3은 4 개의 기둥(12)들 가운데 위치에 있는 하역 기계(100)의 평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로프(246)가 기둥(12)에 의해 한정된 직사각형의 중앙에 위치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하역 기계(100)는 하역 기계(100)가 기둥(12)들 사이의 간극에 위치된 이후에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를 따라 하역 기계(100)로부터 외측으로 밀릴 수 있는 숄더를 갖춘 롤러(110)에 의해 기둥(12)에 놓여짐을 볼 수 있다.
작동 중에, 하역 기계(100)는 도 13에 도시된 화살표(277)를 따라 기둥들 사이의 간극으로 접근하며, 플랫폼(180)의 상부에는 수동형 리프팅 장치(240)로 중앙에 걸려 있는 로프(264)를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184)가 제공된다.
도 14는 능동형 리프팅 장치(200)와 수동형 리프팅 장치(240)의 커플링 및 협동을 도시한다. 능동형 리프팅 장치는 로프 드럼(270)이 스크류 드라이브(284)를 통해 모터(286)에 구동 연결되는 플랫폼(180) 상에 배열되는 로프 드럼(270)을 포함한다. 로프 드럼(270)은 양 단부에 원-원 에지(272)를 가지며, 스크류 드라이브(284)의 반대쪽 에지(272)에 경사진 슬릿(274)이 제공되며, 이는 실질적으로 나선 형태를 따라 연장하는 인출 장치(276)에 연결된다. 각각의 에지(272)와 인출 장치(276) 사이의 거리는 로프(246)의 상대 위치의 우발적인 변경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는 어떠한 위치 차이를 수용하며, 로프 드럼(270)의 회전 중에 로프(246)의 단부에 위치되는 커플링 부재(280)를 붙잡기에 충분하다. 커플링 부재(280)는 로프(246)의 단부에 고정되는 바람직하게, 볼이다. 상기 볼의 직경은 경사진 슬릿(274)을 통과할 수 없으나 로프 드럼(270)의 회전 중에 에지(272) 외측을 잡기에 충분히 크며, 그 결과로써 로프 드럼(246)의 추가 회전 중에 협동하는 경사진 슬릿(274)과 인출 장치(276)는 로드 드럼(270)의 주변 표면 상으로 로프(246)을 안내하며, 이때 로프(246)는 추가 회전 과정에서 감기게 된다. 바람직하다면, 특히 보관 랙(10)이 높고 그에 따라 로프(246)가 길다면, 로프 배열 기구는 로프 드럼(270)과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로프 배열 기구는 로프(246)를 로프 드럼(270)의 표면에 배열시킨다. 그와 같은 로프 배열 기구는 당업자들에게 잘 공지되어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필요하지 않다.
스크류 드라이브(284)는 단지 모터(286)가 작동 중일 때만 로프 드럼(270)의 회전을 허용하는 그러한 드라이브 기구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스크류 드라이브(284)가 커다란 마찰에 의해 배열되거나 모터(286)(예를 들어, 릴럭턴스(reluctance) 모터가 그와 같은 모터임)동력원 없이 회전시키는 것이 어려운 방식으로 형성된다.
로프 드럼(270)의 회전에 의해 하역 기계(100)는 하역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소정 높이로 상승될 수 있으며 반대 방향으로 모터(286)의 작동에 의해 이러한 높은 레벨로부터 하강될 수 있다. 로프 드럼(270)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고 로프(246)가 로프 드럼(270)으로부터 풀릴 때, 경사 슬릿(274) 및 인출 장치(276)는 볼(280)을 해제함으로써, 로프(246)가 로프 드럼(270)으로부터 분리된다. 분리 과정에서, 볼(280)과 함께 로프(246)는 요동하는 상태가 될 수 있는데, 이는 기둥(12)에 부착된 두 개의 대향되게 위치된 댐핑 부재(62)에 의해 상쇄될 수 있다. 댐핑 부재(62)는 하역 기계(100)의 상방향 이동 과정에서 구부러지거나 하역 기계(100)와 함께 상승된다. 하역 기계(100)가 경로(20) 상으로 하강된 때인 지면 레벨에 도달한 이후에, 플랫폼(180)은 가이드 기둥(194) 상으로 하강되나 댐핑 부재(162)는 그와 같은 하강을 따르지 않을 수 있으며 이전의 레벨에서 기둥(12)에 유지될 것이다. 계속해서, 하역 기계(100)는 능동형 리프팅 장치(200)와 댐핑 부재(62)로부터 분리되며 이들 아래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면은 하역 기계의 일부, 즉 (하역 장치가 없는)경로의 한 쪽에 있는 단지 보관 랙(10)의 근접 섹션만의 일부만을 도시한다. 기둥(12) 상에 비대칭 C-형상으로 형성된 직립 치형 바아(288)가 제공된다. 치형 바아(288)의 중앙 부분은 보관 랙(10)의 기둥(12)(또는 특히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보관 랙에 부착된 기둥)에 고정된다. 경로(20)에 평행한 더욱 돌출하는 부분에는 톱니바퀴(236)에 연결될 수 있는 수직 치형부(282)가 제공된다. C-형상의 대향 측부는 경로(20)에 수직한 방향으로 치형부(282)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된 가이드 레일(284)을 구성한다. 가이드 레일(284)은 경사진 방식으로 내측으로 접혀지는데, 이는 경로(20)의 방향으로 보았을 때 경사져 있으며 중앙 부분에 대해 예각으로 폐쇄됨을 의미한다.
하역 기계(100)는 외측으로 밀릴 수 있는 4 개의 톱니바퀴(236)를 가진다. 이들의 회전 축선은 경로(20)에 수직하다. 외측으로 밀릴 수 있는 4 개의 톱니바퀴(236)는 보관 랙(10)의 기둥(12)들 사이의 간극과 동일한 거리에 위치된 두 개의 휠 쌍을 구성한다. 톱니바퀴(236)는 바람직하게, 연장된 위치에 있다면 스프링에 대해 뒤로 밀릴 수 있다. 톱니바퀴(236)의 단부에 지지 롤러(238)가 연결되는데, 이 롤러는 자유롭게 움직이는 롤러이다. 톱니바퀴(236)는 톱니바퀴(236)가 치형부(282)와 가이드 레일(284) 사이에서 미끄럼함으로써 지지 롤러(238)가 동시에 틈새를 두고 가이드 레일(284)에 대해 기울어지는 방식으로 치형부(28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에서 톱니바퀴(236)는 치형 측면 경로(282)로부터 제거될 수 없으며, 이러한 커플링은 C-형상부(288)로부터 톱니바퀴(236)를 당길 때만 분리될 수 있다. 이동 방향을 따라 치형 바아(288) 이전에 배열되는 가이드 부재(286)가 제공되며, 이 가이드 부재(286)는 실질적으로 가이드 레일(284)과 접촉한다.
도 15에 따른 실시예는 4 개의 수동형 리프팅 장치(240)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며, 이들 각각은 수직 치형 바아(288)가 직사각형의 하나의 모서리에 위치될 때 작동한다.
도 15는 장치의 평면도이며, 화살표(289)는 하역 기계(100)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다. 도면의 좌측에서 하역 기계(100)의 톱니바퀴(236)가 당겨져 하역 기계(100)는 경로(20)를 따르는 치형 바아(24)를 따라 톱니바퀴(236) 상에서 롤링한다. 하역 기계(100)는 치형 바아(24) 상의 보관 랙(10)의 각각의 기둥(12)으로 접근한다.
도면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하역 기계(100)가 서비스될 기둥들 사이의 간극으로 접근할 때, 톱니바퀴(236)가 밀린다. 톱니바퀴들이 밀리지 않으면, 하역 기계(100)는 기둥(12)에 부착된 치형 바아(288)를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다. 톱니바퀴가 밀리게 되면, 자유롭게 움직이는 지지 롤러(238)가 가이드 부재(286)에 대해 기울어진다. 도 15의 우측에서, 톱니바퀴(236)는 연장된 위치에 있다. 톱니바퀴(236)는 기울어지는 과정에서 가이드 부재(286)를 따라 미끄럼한 후에 이러한 위치를 취할 수 있으며, 이때 가이드 부재(286)는 가능한 한 톱니바퀴(236)가 밀리지 않게 하나, 수평 바아(24)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위치에 이들을 제한한다. 그 결과, 톱니바퀴(236)는 치형 바아(24)와 결합하도록 기울어진 위치로 치형부(282)에 접근하며, 적절하게 설치되면 치형부(282)와의 결합은 정확할 것이다. 치형부(282)와 적절히 결합하면, 톱니바퀴(236)는 외측으로의 푸싱력의 영향으로 외측으로 스냅되며 가이드 레일(284)에 대해 기울어진다. 그러는 동안 지지 롤러(238)는 다음 가이드 레일(284)을 조절하며 톱니바퀴(236)와 치형부(282)의 뒤이은 분리를 방지한다 톱니바퀴(236)가 수직 치형 바아(288)와 결합된 이후에, 지지 롤러(238)는 경사진 가이드 롤러(284)를 통과하며 치형부(282)와 가이드 레일(284) 사이의 채널로 점프한다. 점프 인(jumping in) 이전에, 톱니바퀴(236)는 이미 수평 치형 바아(24)와 수직 치형 바아(288)와 결합하는데, 이는 그와 같은 이중 커플링의 실현을 위한 정확한 위치에의 설치를 필요로 한다. 채널로의 점프시, 톱니바퀴(236)는 수직 치형 바아와의 결합에 의해 수평 치형 바아(24)로부터 분리되며 회전 중에 하역 기계(100)를 들어올린다. 톱니바퀴(236)는 톱니바퀴(236)가 뒤로 밀릴 때까지 수직 치형 바아(288)와의 연결을 유지한다. 이들 부분들은 능동형 리프팅 장치(200)와 수동형 리프팅 장치(240)를 서로 연결하는 커플링 기구를 함께 구성하며, 그 커플링 기구의 작동 기구는 톱니바퀴(236)를 밀어 축방향으로 미끄럼가능한 커플링을 미끄럼시키는 (여기서 도시 않은)기구, 예를 들어 전자석이다. 분리는 톱니바퀴(236)가 연장 위치로부터 뒤로 밀리는 경우에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해결책은 4 개의 수직 치형 바아(288)와의 커플링에는 적용될 수 없다. 하나 또는 두 개의 치형 바아(288)와의 연결을 위해서는 적절한 클램핑 및 지지 장치, 즉 롤러가 보충되어야 한다. 이러한 설명에 근거한 그와 같은 해결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들에는 일반적인 사항이다.
수평 치형 바아(24)는 보관 랙을 따라 연속이고 불연속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불연속적인 배열의 경우에 하역 기계(100)는 톱니바퀴(236)가 자유롭게 움직이는 동안에 휠 상에서 롤링할 수 있다. 수평 치형 바아(24)는 가이드가 요구되는 각각의 기둥의 그와 같은 측면에 놓이고 경사지거나 위로부터 오목한 가능하다면,가이드 섹션으로서 기둥(12) 근처에만 설치된다. 이 경우에 톱니바퀴(236)는 수직 치형 바아와 결합할 때까지 톱니바퀴(236)는 자유롭게 움직인다. 커플링 이후에, 자유로운 주행 상태로부터 구동 상태로 전환된다.
도 16은 매우 간단한 하역 장치(130)가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하역 기계(1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하역 장치(130)는 하역 기계(100)의 상부에 놓이며 보관 랙의 선반 쪽으로 측면으로 그리고 뒤로 이동가능한 하역 트레이(132)를 포함한다. 하역 트레이(132)는 적어도, 선반(14)에 놓이거나 놓일 저장 장치(30)가 하역 트레이(132)와 선반(14) 사이의 간극을 통해 자유롭게 미끄럼할 수 있을 정도로 측면으로 이동될 수 있어야 한다. 필요하다면, 하역 트레이(132)는 미끄럼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낮아진 레벨로 조절될 수 있으나 어떠한 틈새 없이 실제로 각각의 선반(14)의 에지에 대해 기울어질 수 있다. 위로부터 보았다면, 하역 트레이(132)의 상부가 H-형상의 배열이며, H-형상의 아암(134)을 연결하는 크로스 부재(136)는 아암(134)이 크로스 부재(136)를 가이드하는 동안 편리하게는 양 방향으로 선반으로부터 멀리 그리고 선반 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동에 필요한 선형 구동 기구, 예를 들어 크로스 부재(136) 상에 위치되는 구동 너트와 결합되는 구동 치형 스핀들이 H-형상의 아암(134) 내에 배열될 수 있다. 크로스 부재(136)의 중앙에, 하역 과정에서 하역될 저장 장치(30) 상에 배열되는 강자성 부품(여기서 도시 않음)과 협동하는 커플링 부재(138)를 구성하는 전자석이 제공된다. 전자석 및 강자성 부품은 커플링된 위치에서 전자석이 저장 장치(30)를 당기는 동안 유발되는 마찰력을 극복할 수 있는 치수를 가진다. 당연히, 이는 선반(14)의 표면이 청정하게 유지되고 부식으로부터 보호될 것을 요구한다. 하역 트레이(132)의 표면은 편리하게 저마찰 재료로 형성 또는 코팅된다.
도 17 및 도 18은 두 단계의 하역 작동을 도시하는 개선된 하역 장치(130)를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하역 기계(100)가 단일 기둥(12) 상에 배열된 수동형 리프팅 장치(240)에 연결되고 그러한 기둥(12)의 두 측면에 선반(14)을 서비스할 수 있는 장치에 특히 적용될 수 있다. 도 17에서 하역 트레이는 측면으로부터 보관 랙(10)으로 접근한다. 계속해서, 경로(20)의 방향인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하역 트레이(132)가 각각의 높이에서 두 개의 인접 선반(14) 중의 하나를 향해 이동한다. 다음에, 하역 작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비대칭 위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19는 수동형 리프팅 장치(240)가 마찰레일(224)로 구성되는 반면에, 능동형 리프팅 장치가 수동형 리프팅 장치에 연결될 수 있는 마찰 휠(204)로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마찰 레일(224)은 수직으로 직립한 보관 랙(10)의 선반(14)에 수직한 특정 평면을 가지며 예를 들어, 아연 코팅된 강철로 제조될 수 있다. 두 개의 보관 랙(10) 사이의 거리는 항상 동일하며, 그 거리는 하역 기계(100)의 통과를 위해 아주 충분한 거리이다. 본 경우에 보관 랙(10)들 사이에서 하역 기계(100)가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모든 보관 랙(10)의 바닥에 제한 벽(18)이 부착되며, 그 제한 벽(18)은 작은 간격을 두고 보관 랙들 사이로 하역 기계(100)를 안내한다. 마찰 휠(204)은 연장 및 수축될 수 있는 방식으로 하역 기계(100)의 측면에 배열된다. 이들의 회전 축선은 선반(14)의 에지에 수직하며 실질적으로 마찰 레일(224)의 평면에 평행하다. 마찰 휠(204)은 자유 단부를 가지며, 연장된 위치에서 자유 단부들 사이의 거리는 마찰 레일(224)들 사이의 간극보다 크다. 각각의 마찰 휠(204)은 도시되지 않은 구동 기구에 연결된다.
하역 기계(100)의 정면에는 장착 프레임(160)이 제공되며, 양 측면에서 상기 장착 프레임(160)에 (측면으로 연장가능한 방식으로)연결되는 캐리지가 제공된다. 마찰 휠(204)은 상기 캐리지(160)로부터 측면 방향으로 돌출한다. 마찰 휠(204)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각각의 마찰 휠(204) 곁에 지지 롤러(206)가 제공된다. 각각의 마찰 휠(204) 및 각각의 지지 롤러(206)의 회전 축선은 서로에 대해 압박될 수 있는데, 이는 도 20의 좌측 편에 도시된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마찰 휠(204)의 표면은 높은 마찰력의 고무로 제조된다. 연장 및 압박된 상태에서 마찰 휠(204)은 완전히 부하를 받은 상태에서도 하역 기계(100)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는 힘에 의해 마찰 레일(244)에 대해 밀리거나 마찰 휠(204)에 의해 가해진 구동력의 결과로써 마찰 레일(244)을 따라 이를 상승시킨다. 서로에 대해 마찰 휠(204)과 지지 롤러(206)를 압박하는 (도시 않은)기구와 함께 상기 캐리지는 커플링 기구(50)를 구성한다.
하역 기계(100)는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낸 큰 화살표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들의 이동은 하역 기계(100)의 바닥에 위치되고 제어된 구동 기구에 연결되는 휠(112)에 의해 보장된다. 보관 랙(10)들 사이에서 상기 휠(112)은 동일한 구동력을 수용하지만, 이들이 보관 랙들 사이에서 빠져나오면 하역 기계(100)는 휠(112)의 적절하게 차등화된 구동력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두 개의 구동 휠(112)이 항상 바닥과 접촉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하역 기계(100)는 제 3 휠(114)을 가지거나, 이러한 제 3 휠(114)이 서로 가깝게 배열된 두 개의 휠로 대체된다. 그러한 제 3 휠(114)의 회전 축선은 수평이지만, 자체 회전 축선의 방향은 휠(112)의 차등 구동력에 의해 한정된 통로를 따를 수 있는 휠(112)의 축선에 비해서 선회될 수 있다.
보관 랙(10)들 사이로 이동하는 하역 기계(100)가 이를 따라 상승하는 마찰 레일(244)에 도달할 때, (센서에 의해 제어되는)하역 기계(100)는 캐리지(164)를 연장시킴으로써 마찰 휠(204)과 지지 롤러(206)가 각각의 마찰 레일(244) 위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마찰 휠(204)과 지지 롤러(206)의 위치를 조절한다. 계속해서, 커플링 기구(50)는 서로를 향해 마찰 휠(204)과 지지 롤러(206)를 압박함으로써, 이들이 각각의 마찰 레일(244)에 대해 압박된다. 그 후, 마찰 레일(204)의 드라이브를 회전시킴으로써 하역 기계(100)는 각각의 마찰 레일(244)을 따라 상승될 수 있다.
하역 기계(100)의 상부에는 가이드 부재(104)가 제공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104)는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며 이동 방향에 수직하다. 가이드 부재(104)는 하역 기계(100)에 의해 이송된 저장 장치(30)를 적절한 위치로 가이드한다. 저장 장치(30)를 선반(14)으로 그리고 선반으로부터 미끄럼 및 당기기 위해 형성된 하역 장치(130)는 슬릿(142) 내에서 수직 핀(144)이 미끄럼할 수 있는 상부 표면에 직선 슬릿(142)을 가지며 이동 방향에 수직하게 미끄럼할 수 있는 세장형 중공형 부재이다.
바닥에서 선반(14)에 놓인 저장 장치의 에지는 선반에 놓이지는 않으나 선반(14) 위에 조금 걸리게 된다. 상방향으로 상승하는 과정에서 하역 장치(130)는 적절한 시간에 핀(14)을 밀며, 핀(144)은 저장 장치(30) 상에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성형된 구멍이나 저장 장치(30)의 에지 아래로부터 결합한다. 그 후 하역 장치(130)는 핀(144) 및 핀과 함께 저장 장치(30)를 당긴다. 핀(144)이 구멍(142)의 다른 단부까지 슬릿(142)을 따라 더 이동하며, 그러는 동안 핀은 하역 기계(100)의 상부 표면 상으로 완전히 저장 장치(30)를 당긴다.
어떠한 고장으로 인해 마찰 휠(204)과 마찰 레일(244) 사이의 마찰이 불충분해지면, 하역 기계(100)는 엘리베이터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브레이킹 장치에 의해 흘러내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안전한 작동을 위해 여러 다른 보충 부재들이 사용될 수 있다. 실제로, 위치 신호 발송 및 위치 검출이 특히 중요하다. 근접 신호 발송 및 검출의 목적을 위해 RFID 시스템으로 약칭되는 무선 주파수 확인 시스템이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의 변형예에서 수동형 RFID 태그를 적용한 것이 예를 들어, 보관 랙의 모든 선반에 그리고 모든 저장 장치에 RFID 태그가 놓이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하역 기계는 바닥 선반의 태그 정보를 판독하며 이들 실제 위치를 정의하는 중앙 위치로 보낸다. 유사하게, 또는 그 대신에, 바 코드도 하역 기계에 위치된 바아 코드 판독기와 결부되어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2)

  1. 기둥 상에 위치된 선반(14)을 갖춘 보관 랙과, 상기 보관 랙의 지정된 선반으로 이동할 수 있는 하역 기계, 및 상기 선반(14)에 상품을 저장하거나 선반(14)으로부터 상품을 회수하고 지정된 위치로 상품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품 또는 저장 장치(30)를 위치시킬 수 있는 하역 장치를 포함하는 저장 장치에 있어서,
    수동형 리프팅 장치(240)가 상기 보관 랙(10)과 결합되며 상기 하역 기계(10)가 예정된 경로로 이동할 수 있는 로코모티브(locomotive) 하역 기계로서 형성되며, 상기 하역 장치(130)가 상기 하역 기계(100) 상에 위치되며, 상기 하역 기계(100)에는 능동형 리프팅 장치(200)가 배열되며, 상기 능동형 리프팅 장치는 상기 수동형 리프팅 장치(240)와 결합할 수 있고 상기 수동형 리프팅 장치(240)와 협력하여 상기 하역 기계(100)를 지정된 선반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 장치를 포함하는 저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형 리프팅 장치(200)는 무한 체인(228), 톱니바퀴(236), 체인 휠(254), 및 마찰 휠(204) 중의 하나 이상이며, 상기 수동형 리프팅 장치(240)는 상기 능동형 리프팅 장치(200)와 결합될 수 있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 장치를 포함하는 저장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형 리프팅 장치(200)는 로프 드럼(270)이며, 상기 수동형 리프팅 장치(240)는 상기 로프 드럼(270)에 연결될 수 있는 로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 장치를 포함하는 저장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드럼(244)은 상기 보관 랙(10)의 기둥(12)을 따라 또는 상기 보관 랙(10)의 기둥(12)에 부착된 지지 기둥(40)을 따라 상방향 및 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캐리지(242) 상에 배열되며, 상기 캐리지는 상기 하역 기계(1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로프 드럼(244)에는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구동 부재(247)가 제공되며, 상기 하역 기계(100)에는 상기 로프 드럼(244)의 구동 부재(247)와 연결될 수 있는 키이-경로(220)가 제공된 구동 축(218)이 제공되며, 상기 구동 축(218)은 상기 로프 드럼(244)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 장치를 포함하는 저장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246)의 단부에는 커플링 장치(280), 바람직하게 볼이 제공되며, 상기 하역 기계(100) 상에서 상방향 및 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인출 장치(276)가 제공되며, 상기 인출 장치(276)는 상기 커플링 장치(280)와 협력하여 상기 로프 드럼(270) 상의 로프(246)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 장치를 포함하는 저장 장치.
  6. 기둥(12) 및 상기 기둥(12)에 배열된 선반(14)을 포함하며 저장 장치(30)를 수용할 수 있는, 특히 제 1 항에 따른 저장 장치용 보관 랙(10)에 있어서,
    상기 보관 랙(10)에는 수동형 리프팅 장치(240)가 고정되며, 상기 수동형 리프팅 장치(240)는 상기 보관 랙을 서비스하는 하역 기계(100) 상에 배열된 능동형 리프팅 장치(200)와 협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장치용 보관 랙.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형 리프팅 장치(240)는 무한 체인(228), 톱니바퀴(236), 체인 휠(254), 마찰 휠(204) 중의 하나 이상으로서 형성되는 능동형 리프팅 장치(2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장치용 보관 랙.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형 리프팅 장치(240)는 로프 드럼(270)으로서 형성되는 능동형 리프팅 장치(200)에 결합될 수 있는 로프(24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장치용 보관 랙.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 랙을 서비스하는 하역 기계(1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기 커넥터가 제공되며, 상기 전기 커넥터는 상기 하역 기계(100)의 대응하는 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 위치에 있을 하역 기계(100)는 아래에 있는 다른 하역 기계(100)의 통과를 방해하지 않는 높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장치용 보관 랙.
  10. 저장 장치의 지정된 선반으로 이동가능한 하역 장치(130)를 포함하는, 특히 제 1 항에 따른 저장 장치용 하역 기계(100)에 있어서,
    상기 하역 기계(100)는 상기 보관 랙(10)에 따른 경로(20)를 따라 로코모티브 방식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하역 장치(130)는 로코모티브 하역 기계(100) 상에 배열되며, 상기 하역 기계(100) 상에는 능동형 리프팅 장치(200)가 제공되며, 상기 능동형 리프팅 장치(200)는 상기 보관 랙(10)에 부착된 수동형 리프팅 장치(240)에 결합될 수 있는 방식으로 형성되며, 상기 능동형 리프팅 장치(200)는 상기 수동형 리프팅 장치(240)와 협력하여 지정된 선반으로 상기 하역 기계(100)를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장치용 하역 기계(100).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 랙(10)에 고정되는 다음의 구성들, 즉 상승 수단(266), 치형부(282), 체인(252), 마찰 휠(204) 중의 하나 이상으로서 형성되는 수동형 리프팅 장치(240)에 결합될 수 있는 능동형 리프팅 장치(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장치용 하역 기계(100).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형 리프팅 장치(200)는 상기 보관 랙(10)에 부착되는 로프(246)에 결합될 수 있는 로프 드럼(2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장치용 하역 기계(100).
KR1020117023126A 2009-03-02 2010-03-02 저장 장치, 보관 랙 및 특히 저장 장치용 하역 기계 KR1013957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HU0900128A HU229022B1 (hu) 2009-03-02 2009-03-02 Tárolóberendezés raktározáshoz
HUP0900128 2009-03-02
PCT/HU2010/000024 WO2010100513A2 (en) 2009-03-02 2010-03-02 Arrangement for storage, warehouse rack and handling machine particularly for such arrang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936A true KR20110129936A (ko) 2011-12-02
KR101395752B1 KR101395752B1 (ko) 2014-05-16

Family

ID=89988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3126A KR101395752B1 (ko) 2009-03-02 2010-03-02 저장 장치, 보관 랙 및 특히 저장 장치용 하역 기계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US (1) US9181030B2 (ko)
EP (1) EP2403780B1 (ko)
JP (1) JP5770110B2 (ko)
KR (1) KR101395752B1 (ko)
CN (1) CN102341323B (ko)
AU (1) AU2010220185B2 (ko)
BR (1) BRPI1009223B1 (ko)
CA (1) CA2753607C (ko)
DK (1) DK2403780T3 (ko)
EA (1) EA022632B1 (ko)
ES (1) ES2472915T3 (ko)
GE (1) GEP20156407B (ko)
HK (1) HK1163039A1 (ko)
HR (1) HRP20140508T1 (ko)
HU (1) HU229022B1 (ko)
IL (1) IL214801A (ko)
MX (1) MX2011009219A (ko)
PL (1) PL2403780T3 (ko)
PT (1) PT2403780E (ko)
SG (1) SG173907A1 (ko)
SI (1) SI2403780T1 (ko)
UA (1) UA106487C2 (ko)
WO (1) WO2010100513A2 (ko)
ZA (1) ZA20110661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7691A (ko) * 2017-10-12 2020-07-21 엑소텍 창고의 선반들에 저장되는 대상물을 저장하고 그리고 수송하기 위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31427B2 (ja) * 2011-08-31 2014-03-05 アマゾン ドット コム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自動倉庫システム
US9139363B2 (en) 2013-03-15 2015-09-22 John Lert Automated system for transporting payloads
BR102013022724B1 (pt) * 2013-09-05 2021-08-31 Carmine Alexandre Cifelli Equipamento e método para a movimentação de contêineres
NO338156B1 (no) 2014-02-19 2016-08-01 Jakob Hatteland Logistics As Avkjølt lagringssystem
HU230618B1 (hu) * 2014-04-07 2017-04-28 Antal Zombori Raktári árukezelő rendszer és rakodó-berendezés raktári árukezelő rendszerhez
GB2543979A (en) * 2014-07-12 2017-05-03 Bionichive Ltd Automatic Warehouse System
WO2016109498A1 (en) * 2014-12-29 2016-07-07 Robert Bosch Gmbh Robotic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US11203486B2 (en) 2015-06-02 2021-12-21 Alert Innovation Inc. Order fulfillment system
EP3303188B1 (en) * 2015-06-02 2023-11-29 Alert Innovation Inc.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US11142398B2 (en) 2015-06-02 2021-10-12 Alert Innovation Inc. Order fulfillment system
US10496680B2 (en) * 2015-08-17 2019-12-03 Mellanox Technologies Tlv Ltd. High-performance bloom filter array
FR3042182B1 (fr) 2015-10-13 2020-09-18 Exotec Solutions Systeme de preparation de commandes
FI127967B (en) * 2015-11-13 2019-06-14 Konecranes Global Oy Shelf system comprising moving shelves
AU2017261797B2 (en) * 2016-05-11 2023-04-06 Walmart Apollo, Llc Order fulfillment system
RU170820U1 (ru) * 2016-08-30 2017-05-11 Николай Михайлович Зудинов Шасс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кладск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CN110574055A (zh) 2016-11-17 2019-12-13 阿勒特创新股份有限公司 自动化服务零售系统和方法
WO2018102444A1 (en) 2016-11-29 2018-06-07 Alert Innovation Inc. Automated retail supply chain an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WO2018132500A1 (en) 2017-01-10 2018-07-19 Alert Innovation Inc. Automated store with interchangeable automated mobile robots
CN106698260B (zh) * 2017-01-26 2022-08-23 山东省玛丽亚农业机械有限公司 仓储入库提升装置
US11315072B2 (en) 2017-02-24 2022-04-26 Alert Innovation Inc. Invento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EP3609814B1 (fr) 2017-04-12 2020-12-30 Exotec Solutions Système de préparation de commandes
RU180974U1 (ru) * 2017-05-24 2018-07-02 Артем Николаевич Петриченко Роботизиров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PL424198A1 (pl) * 2018-01-04 2019-07-15 Ppuh Zrembud W Cieszynie Spółka Z Ograniczoną Odpowiedzialnością System linowy do przesuwu regałów magazynowych
DE102018109584A1 (de) * 2018-04-20 2019-10-24 Eisenmann Se Förderanlage mit einem Förderwagen
WO2020011355A1 (en) * 2018-07-11 2020-01-16 O.W. Machinebouw B.V. A storage system, a storage container and a push chain
CN109383966B (zh) * 2018-08-02 2021-03-16 杭州慧盈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仓储系统及其控制方法
CN110356754A (zh) * 2018-11-06 2019-10-22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货物拣选系统及方法
CN109625745B (zh) * 2019-01-30 2021-07-20 宏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货物仓储系统及方法
CN110116878B (zh) * 2019-05-22 2020-11-20 深圳市南方众悦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仓储物流搬运系统
CN110304387B (zh) * 2019-07-08 2024-03-19 昆船智能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可多向运动的一站式搬运设备及其搬运方法
FR3103368B1 (fr) * 2019-11-26 2022-07-29 Exotec Solutions Procédé de calage de chemin de grimpe
FR3116053A1 (fr) 2020-09-18 2022-05-13 Exotec Système de préparation de commandes ou de stockage tampon
FR3121435A1 (fr) 2020-09-18 2022-10-07 Exotec Système de préparation de commandes ou de stockage tampon
EP3992116A1 (en) * 2020-10-27 2022-05-04 Stow International N.V. An automated small parts shuttle racking system
EP3992115A1 (en) * 2020-10-27 2022-05-04 Stow International N.V. A shuttle for propelling horizontally and vertically in a racking system
US20220380120A1 (en) * 2021-05-26 2022-12-01 Rebound International, LLC Wall Panel for an Automated Inventory Module
FR3125516B1 (fr) 2021-07-21 2023-07-14 Exotec Système de préparation de commandes ou de stockage tampon
FR3125515B1 (fr) 2021-07-21 2023-07-21 Exotec Chariot de preparation de commandes equipe d’un moteur unique d’entrainement des roues motrices
KR102339966B1 (ko) 2021-08-10 2021-12-17 (주)코윈테크 공보빈 보관용 자동 매거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52693A (en) * 1933-07-04 1936-09-01 Bredtschneider Kurt Lock for the release of erosive fluids under pressure
US2052690A (en) * 1934-08-03 1936-09-01 John T Austin Elevator
US3779403A (en) * 1968-03-29 1973-12-18 Kaiser Ind Corp Container storage and handling apparatus
US3608750A (en) * 1969-03-03 1971-09-28 Kaiser Ind Inc Storage means and load-handling equipment therefor
US3840131A (en) * 1972-12-11 1974-10-08 Supreme Equip & Syst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US4018306A (en) * 1974-05-13 1977-04-19 Lyons Merlyn E Emergency building access apparatus
JPS5831808B2 (ja) * 1977-11-09 1983-07-08 株式会社東芝 閉鎖配電盤
US4529066A (en) * 1982-04-28 1985-07-16 Harnischfeger Corporation Safety brake for mast-type crane
US4523887A (en) * 1983-04-06 1985-06-18 Harnischfeger Corporation Stacker crane for narrow aisles
WO1985002879A1 (en) * 1983-12-23 1985-07-04 Hans Bircher Supporting device for scaffolding
SU1382766A1 (ru) * 1986-07-09 1988-03-23 Электрогорский Опытно-Экспериментальный Завод Механизированный стеллаж
JPS6371006A (ja) * 1986-09-12 1988-03-31 Koyo Autom Mach Co Ltd 自動倉庫
US5056625A (en) * 1989-09-22 1991-10-15 Harnischfeger Engineers, Inc. Low profile base for a storage and retrieval machine
US5020957A (en) * 1989-12-21 1991-06-04 Eaton-Kenway, Inc. Mast to base connection for a storage and retrieval machine
JPH03264500A (ja) * 1990-03-14 1991-11-25 Toshiba Corp 被吊持機器の吊り上げ装置
US5149241A (en) * 1991-02-11 1992-09-22 Eaton-Kenway, Inc. Dual mast apparatus for storage and retrieval vehicles
US5170863A (en) * 1991-07-15 1992-12-15 Harnischfeger Engineers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control of a storage and retrieval machine
DE59306673D1 (de) * 1993-03-18 1997-07-10 Inventio Ag Vertikal-/Horizontal-Personenfördersystem
JP2808069B2 (ja) * 1993-06-29 1998-10-08 東芝機器株式会社 吊上げ装置
JPH10218311A (ja) * 1997-02-05 1998-08-18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自動倉庫
JPH11150992A (ja) * 1997-11-14 1999-06-02 Sony Corp ステッピングモータの駆動方法及び駆動装置
JP2000169083A (ja) * 1998-12-04 2000-06-20 Bill Daiko:Kk 壁面作業ロボット
ITMO20020076A1 (it) 2002-03-29 2003-09-29 Ronflette Sa Magazzino automatico
DE10304580B4 (de) * 2003-02-05 2005-04-28 Eisenmann Kg Maschbau Regalbediengerät
JP2004284702A (ja) * 2003-03-20 2004-10-14 Daifuku Co Ltd 物品搬送装置
JP2004284704A (ja) * 2003-03-20 2004-10-14 Daifuku Co Ltd 物品搬送装置
US7101139B1 (en) * 2003-05-06 2006-09-05 Benedict Charles E Automated material handling system with motorized transfer vehicles
US7931431B2 (en) * 2003-05-06 2011-04-26 Bec Companies, Inc. Automated material handling system with load transfer vehicles
US7381022B1 (en) * 2004-12-18 2008-06-03 Rodney Joe King Automated 3-dimensional multitasking, stocking, storage, and distribution system
JP2006248746A (ja) * 2005-03-14 2006-09-21 Power Kogyo:Kk 物品棚の高所移動装置
JP4967318B2 (ja) * 2005-11-18 2012-07-04 ムラテックオートメーション株式会社 ストッカ
JP3982562B1 (ja) * 2006-09-28 2007-09-26 株式会社Ihi スタッカクレー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7691A (ko) * 2017-10-12 2020-07-21 엑소텍 창고의 선반들에 저장되는 대상물을 저장하고 그리고 수송하기 위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2403780T3 (pl) 2014-11-28
EP2403780B1 (en) 2014-04-23
US9181030B2 (en) 2015-11-10
MX2011009219A (es) 2011-11-04
HU229022B1 (hu) 2013-07-29
EA022632B1 (ru) 2016-02-29
AU2010220185A1 (en) 2011-09-22
CA2753607C (en) 2014-12-02
ZA201106614B (en) 2012-04-25
BRPI1009223A2 (pt) 2016-03-15
JP5770110B2 (ja) 2015-08-26
HUP0900128A2 (en) 2010-09-28
CN102341323B (zh) 2014-12-31
PT2403780E (pt) 2014-06-25
HK1163039A1 (en) 2012-09-07
CA2753607A1 (en) 2010-09-10
WO2010100513A2 (en) 2010-09-10
AU2010220185B2 (en) 2013-01-24
DK2403780T3 (da) 2014-06-30
JP2012519123A (ja) 2012-08-23
BRPI1009223B1 (pt) 2019-01-15
IL214801A0 (en) 2011-11-30
ES2472915T3 (es) 2014-07-03
UA106487C2 (uk) 2014-09-10
EP2403780A2 (en) 2012-01-11
WO2010100513A3 (en) 2010-11-04
HRP20140508T1 (hr) 2014-08-01
IL214801A (en) 2015-08-31
HU0900128D0 (en) 2009-04-28
US20120027546A1 (en) 2012-02-02
EA201190150A1 (ru) 2012-04-30
GEP20156407B (en) 2015-12-10
KR101395752B1 (ko) 2014-05-16
SI2403780T1 (sl) 2014-08-29
SG173907A1 (en) 2011-09-29
CN102341323A (zh) 201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29936A (ko) 저장 장치, 보관 랙 및 특히 저장 장치용 하역 기계
KR101983828B1 (ko) 물류 자동화 창고
KR101259966B1 (ko) 물품 수납 설비
KR0163352B1 (ko) 원통형 물체의 수송용 운반대
KR101350252B1 (ko) 물품 수납 설비
US7011487B2 (en) Apparatus for transport and delivery of articles
US7661920B2 (en) System and a method for manipulating a cassette used in storage by means of a transfer device
JP2008081302A (ja) スタッカクレーン
JP2010215209A (ja) ドア搬送設備
JP2011079613A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
JP5348493B2 (ja) 昇降式の物品搬送装置
KR101419354B1 (ko) 반송 시스템 및 그 대차승강장치
JPH09156714A (ja) 自動倉庫
JP5471261B2 (ja) 昇降式の物品搬送装置
JP2947014B2 (ja) 吊下搬送装置
JP2007076919A (ja) 移載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備える保管設備
JPH11324383A (ja) 格納装置
JP6098369B2 (ja) 自動倉庫
JP2005219834A (ja) 自動倉庫における荷の移載装置
JP2000272710A (ja) 倉庫設備における入出庫台車装置
JPH0725417A (ja) 吊下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