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9704A - 미립자-폴리로탁산 함유 도료, 미립자-폴리로탁산 함유 도막 및 도장 물품 - Google Patents

미립자-폴리로탁산 함유 도료, 미립자-폴리로탁산 함유 도막 및 도장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9704A
KR20110119704A KR1020117018852A KR20117018852A KR20110119704A KR 20110119704 A KR20110119704 A KR 20110119704A KR 1020117018852 A KR1020117018852 A KR 1020117018852A KR 20117018852 A KR20117018852 A KR 20117018852A KR 20110119704 A KR20110119704 A KR 20110119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rotaxane
coating film
cyclodextrin
microparticle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8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7891B1 (ko
Inventor
다쯔야 스즈끼
겐따로오 와따나베
데쯔로오 기꾸가와
마사히꼬 야마나까
장밍 자오
유끼 하야시
유끼 아마모또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아도반스토 소후토 마테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아도반스토 소후토 마테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19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9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4/00Coating starting from inorganic powder
    • C23C24/08Coating starting from inorganic powder by application of heat or pressure and hea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06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 C08B37/0009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alpha-D-Glucans, e.g. polydextrose, alternan, glycogen; (alpha-1,4)(alpha-1,6)-D-Glucans; (alpha-1,3)(alpha-1,4)-D-Glucans, e.g. isolichenan or nigeran; (alpha-1,4)-D-Glucans; (alpha-1,3)-D-Glucans, e.g. pseudonigeran;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12Cyclodextrin [CD], e.g. cycle with 6 units (alpha), with 7 units (beta) and with 8 units (gamma), large-ring cyclodextrin or cycloamylose with 9 units or more;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83/00Macromolecular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2/00 - C08G81/00
    • C08G83/007Polyrotaxanes; Polycaten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saccharides or on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9D101/00 or C09D103/00
    • C09D105/16Cyclodextrin;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1/02Polyalk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09D5/160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characterised by the anti-fouling agent
    • C09D5/1637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7Particle size smaller than 100 n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8Particle size between 100-1000 nm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6/00Coat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C23C2/00 - C23C24/00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6/00Coat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C23C2/00 - C23C24/00
    • C23C26/02Coat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C23C2/00 - C23C24/00 applying molten material to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30/00Coating with metallic material characterised only by the composition of the metallic material, i.e. not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proc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2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60Efficient propulsion technologies, e.g. for aircraf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ano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Abstract

우수한 내흠집성 및 내약품성을 실현시킬 수 있는 미립자-폴리로탁산 함유 도료, 미립자-폴리로탁산 함유 도막 및 도장 물품을 제공한다. 미립자-폴리로탁산 함유 도료는, 용제계 도료에, 카프로락톤에 의한 수식기인 (-CO(CH2)5OH)기를 구비한 수식 폴리로탁산과, 평균 입자 직경 380㎚ 미만의 미립자를 함유하는 것이다. 미립자-폴리로탁산 함유 도막은, 상기 미립자-폴리로탁산 함유 도료로 이루어지는 층이며, 피도물 상에 형성시킨 것이다. 도장 물품은, 상기 미립자-폴리로탁산 함유 도막과, 피도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미립자-폴리로탁산 함유 도료, 미립자-폴리로탁산 함유 도막 및 도장 물품{MICROPARTICLE/POLYROTAXANE-CONTAINING COATING, MICROPARTICLE/POLYROTAXANE-CONTAINING COATING FILM AND COATED ARTICLE}
본 발명은, 미립자-폴리로탁산(이하,「PR」이라고 약기하는 경우가 있음) 함유 도료, 미립자-PR 함유 도막 및 도장 물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로탁산과 소정의 평균 입자 직경의 미립자를 함유하는 미립자-PR 함유 도료, 미립자-PR 함유 도막 및 도장 물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차체의 경량화나 디자인 자유도의 확대 등을 목적으로 하여, 그 외판 부재의 일부가 금속 부재로부터 플라스틱 부재로 대체되고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 부재에는 통상, 도장이 실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펜더 부재나 백 도어 부재 등은, 경질 플라스틱제이며, 예를 들어 시트 몰딩 컴파운드(SMC)나 폴리머 얼로이 등이 적용되어 있다. 이러한 경질 플라스틱 부재에는, 프라이머 도장 후, 금속 부재와 동일한 중도(中塗) 도장과 상도(上塗) 도장이 실시되어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범퍼 부재나 사이드실 스포일러 부재 등은, 내굴곡성이나 내충격성이 요구되므로, 연질 플라스틱제이며,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이나 우레탄 등이 적용되어 있다. 이러한 연질 플라스틱 부재에는, 프라이머 도장 후, 연질의 상도 도료에 의한 도장이 실시되어 있다.
최근에는, 내흠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환동겔인 폴리로탁산을 사용하여 내흠집성을 향상시킨 도료용 재료도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7-99989호 공보
그러나 환동겔인 폴리로탁산을 사용한 도료에 있어서는 도막으로서의 가일층의 성능 향상이 요망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더욱 예의 검토한 결과, 환동겔인 폴리로탁산을 사용한 도료에 있어서 겔 사이에 약품이 들어가 도막이 팽윤할 우려가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 새로운 과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우수한 내흠집성 및 내약품성을 실현시킬 수 있는 미립자-PR 함유 도료, 미립자-PR 함유 도막 및 도장 물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용제계 도료를 기초로, 다음 (1) 및 (2)의 요건을 만족시키는 미립자-PR 함유 도료를 제작하고, 이들을 적용하는 것 등에 의해,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는 것에 이르렀다.
(1) 카프로락톤에 의한 수식기인 (-CO(CH2)5OH)기를 구비한 수식 폴리로탁산을 함유하는 것인 것.
(2) 평균 입자 직경 380㎚ 미만의 미립자를 함유하는 것인 것.
즉, 본 발명의 미립자-PR 함유 도료는, 용제계 도료에, 카프로락톤에 의한 수식기인 (-CO(CH2)5OH)기를 구비한 수식 폴리로탁산과, 평균 입자 직경 380㎚ 미만의 미립자를 함유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식 폴리로탁산은, 환상 분자, 이 환상 분자를 꼬치 형상으로 포접하는 직쇄상 분자 및 이 직쇄상 분자의 양 말단에 배치되고 상기 환상 분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봉쇄기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미립자-PR 함유 도막은, 상기 본 발명의 미립자-PR 함유 도료로 이루어지는 층이며, 피도물 상에 형성시킨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도장 물품은, 상기 본 발명의 미립자-PR 함유 도막과, 피도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1) 및 (2)의 요건을 만족시키는 미립자-PR 함유 도료를 제작하고, 이들을 적용하는 것 등으로 하였으므로, 우수한 내흠집성 및 내약품성을 실현시킬 수 있는 미립자-PR 함유 도료, 미립자-PR 함유 도막 및 도장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미립자-PR 함유 도막의 일례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하는 폴리로탁산의 일례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도막의 일 실시 형태이며, 미립자-PR 함유 도막을 클리어 도막층에 적용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도막의 일 실시 형태이며, 미립자-PR 함유 도막을 에나멜 도막층에 적용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미립자-PR 함유 도료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 함유량이나 농도 등에 대한「%」는, 특기하지 않는 한, 질량 백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립자-PR 함유 도료는, 용제계 도료에, 카프로락톤에 의한 수식기인 (-CO(CH2)5OH)기를 구비한 수식 폴리로탁산과, 평균 입자 직경 380㎚ 미만의 미립자를 함유하는 것이다. 또한, 이 수식 폴리로탁산은, 환상 분자, 이 환상 분자를 꼬치 형상으로 포접하는 직쇄상 분자 및 이 직쇄상 분자의 양 말단에 배치되고, 그 환상 분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봉쇄기를 갖는다. 이러한 미립자-PR 함유 도료는, 우수한 내흠집성 및 내약품성을 실현시킬 수 있어, 이들의 성능을 필요로 하는 도료로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카프로락톤에 의한 수식기인 (-CO(CH2)5OH)기를 구비한 수식 폴리로탁산을 사용함으로써, 앞서 특허 문헌 1로서 언급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7-99989호 공보나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7-91938호 공보에도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아세트산에틸, 톨루엔 등의 유기 용매에의 용해성이 발현되어, 도료에의 적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미립자를 함유시킴으로써 도막 내의 상기 수식 폴리로탁산 주위의 약품 침입 경로를 폐색하게 되어 약품의 침입을 저감하고, 팽윤을 억제하는 차폐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상기 미립자에 있어서, 그 평균 입자 직경은 380㎚ 미만의 미립자인 것을 필요로 하지만, 1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 내지 5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미립자의 평균 입자 직경이 380㎚ 미만인 경우에는, 이 미립자에 의한 가시광의 반사, 굴절 등에 의해 도장면의 색조 변화를 발생하는 일 없이 차폐 효과를 발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평균 입자 직경」이라 함은, 코울터 카운터(coulter counter)법에 의해 측정된 것이라 정의된다.
또한, 미립자-PR 함유 도료에 있어서의 상기 미립자의 함유량은, 1 내지 3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2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내지 15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범위에 있음으로써 도막 본래의 연성(延性)을 구비하여 내충격성 등의 기계 특성을 유지하면서, 충분히 약품의 침입을 저감하여 내약품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수식 폴리로탁산의 함유량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내흠집성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립자로서는, 우수한 내흠집성 및 내약품성을 갖고, 미립자-PR 함유 도료로 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미립자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카나 알루미나,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제올라이트, 세피올라이트, 탈크, 탄산칼슘, 클레이, 카올린, 금, 은, 백금 등의 미립자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경화제와 반응하는 수산기 등의 반응기를 갖도록, 이들을 처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들을 폴리실록산 등에 의해 처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 중에서도, 실리카나 알루미나는, 표면 개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도료에의 분산성이 우수하다고 하는 관점에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카프로락톤에 의한 수식기인 (-CO(CH2)5OH)기를 구비한 수식 폴리로탁산에 있어서의 폴리로탁산의 기본 골격은 환상 분자, 이 환상 분자를 꼬치 형상으로 포접하는 직쇄상 분자 및 이 직쇄상 분자의 양 말단에 배치되고, 그 환상 분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봉쇄기를 갖는 것이다.
여기서, 환상 분자로서는, 환상 구조를 갖고, 직쇄상 분자에 포접되어 활차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환상 구조」라 함은, 반드시 폐환 형상일 필요는 없다. 즉, 환상 분자는, 예를 들어「C」자 형상과 같이, 실질적으로 환상 구조를 갖는 것이면 충분하다. 또한, 환상 분자는, 반응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수식기 등의 도입을 행하기 쉬워진다. 이러한 반응기로서는, 예를 들어 수산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에폭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티올기, 알데히드기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반응기로서는, 후술하는 봉쇄기를 형성할(블록화 반응) 때에, 이 봉쇄기와 반응하지 않는 기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반응기는, 수산기, 에폭시기, 아미노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수산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환상 분자로서는, 시클로덱스트린, 크라운에테르류, 벤조크라운류, 디벤조크라운류, 디시클로헥사노크라운류, 이들의 유도체 또는 변성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시클로덱스트린 및 시클로덱스트린 유도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여기서, 시클로덱스트린 및 시클로덱스트린 유도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시클로덱스트린은, α형, β형, γ형, δ형, ε형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또한, 시클로덱스트린 유도체로서도 α형, β형, γ형, δ형, ε형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또한, 시클로덱스트린 유도체라 함은, 예를 들어 아미노체, 토실체, 메틸체, 프로필체, 모노아세틸체, 트리아세틸체, 벤조일체, 술포닐체, 모노클로로트리아지닐체 등의 화학 수식체를 의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시클로덱스트린 및 시클로덱스트린 유도체의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α-시클로덱스트린(글루코스수=6개), β-시클로덱스트린(글루코스수=7개), γ-시클로덱스트린(글루코스수=8개) 등의 시클로덱스트린 ; 디메틸시클로덱스트린, 글루코실시클로덱스트린, 2-히드록시프로필-α-시클로덱스트린, 2,6-디-O-메틸-α-시클로덱스트린, 6-O-α-말토실-α-시클로덱스트린, 6-O-α-D-글루코실-α-시클로덱스트린모노, 헥사키스(2,3,6-트리-O-아세틸)-α-시클로덱스트린, 헥사키스(2,3,6-트리-O-메틸)-α-시클로덱스트린, 헥사키스(6-O-토실)-α-시클로덱스트린, 헥사키스(6-아미노-6-데옥시)-α-시클로덱스트린, 헥사키스(2,3-아세틸-6-브로모-6-데옥시)-α-시클로덱스트린, 헥사키스(2,3,6-트리-O-옥틸)-α-시클로덱스트린, 모노(2-O-포스포릴)-α-시클로덱스트린, 모노[2,(3)-O-(카르복실메틸)]-α-시클로덱스트린, 옥타키스(6-O-t-부틸디메틸실릴)-α-시클로덱스트린, 숙시닐-α-시클로덱스트린, 글루크로닐글루코실-β-시클로덱스트린, 헵타키스(2,6-디-O-메틸)-β-시클로덱스트린, 헵타키스(2,6-디-O-에틸)-β-시클로덱스트린, 헵타키스(6-O-술포)-β-시클로덱스트린, 헵타키스(2,3-디-O-아세틸-6-O-술포)-β-시클로덱스트린, 헵타키스(2,3-디-O-메틸-6-O-술포)-β-시클로덱스트린, 헵타키스(2,3,6-트리-O-아세틸)-β-시클로덱스트린, 헵타키스(2,3,6-트리-O-벤조일)-β-시클로덱스트린, 헵타키스(2,3,6-트리-O-메틸)-β-시클로덱스트린, 헵타키스(3-O-아세틸-2,6-디-O-메틸)-β-시클로덱스트린, 헵타키스(2,3-O-아세틸-6-브로모-6-데옥시)-β-시클로덱스트린, 2-히드록시에틸-β-시클로덱스트린, 히드록시프로필-β-시클로덱스트린, 2-히드록시프로필-β-시클로덱스트린, (2-히드록시-3-N,N,N-트리메틸아미노)프로필-β-시클로덱스트린, 6-O-α-말토실-β-시클로덱스트린, 메틸-β-시클로덱스트린, 헥사키스(6-아미노-6-데옥시)-β-시클로덱스트린, 비스(6-아지드-6-데옥시)-β-시클로덱스트린, 모노(2-O-포스포릴)-β-시클로덱스트린, 헥사키스[6-데옥시-6-(1-이미다졸릴)]-β-시클로덱스트린, 모노아세틸-β-시클로덱스트린, 트리아세틸-β-시클로덱스트린, 모노클로로트리아지닐-β-시클로덱스트린, 6-O-α-D-글루코실-β-시클로덱스트린, 6-O-α-D-말토실-β-시클로덱스트린, 숙시닐-β-시클로덱스트린, 숙시닐-(2-히드록시프로필)-β-시클로덱스트린, 2-카르복시메틸-β-시클로덱스트린, 2-카르복시에틸-β-시클로덱스트린, 부틸-β-시클로덱스트린, 술포프로필-β-시클로덱스트린, 6-모노데옥시-6-모노아미노-β-시클로덱스트린, 실릴[(6-O-t-부틸디메틸)2,3-디-O-아세틸]-β-시클로덱스트린, 2-히드록시에틸-γ-시클로덱스트린, 2-히드록시프로필-γ-시클로덱스트린, 부틸-γ-시클로덱스트린, 3A-아미노-3A-데옥시-(2AS,3AS)-γ-시클로덱스트린, 모노-2-O-(p-톨루엔술포닐)-γ-시클로덱스트린, 모노-6-O-(p-톨루엔술포닐)-γ-시클로덱스트린, 모노-6-O-메시틸렌술포닐-γ-시클로덱스트린, 옥타키스(2,3,6-트리-O-메틸)-γ-시클로덱스트린, 옥타키스(2,6-디-O-페닐)-γ-시클로덱스트린, 옥타키스(6-O-t-부틸디메틸실릴)-γ-시클로덱스트린, 옥타키스(2,3,6-트리-O-아세틸)-γ-시클로덱스트린 등의 시클로덱스트린 유도체를 들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시클로덱스트린 등의 환상 분자는, 그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환상 분자 중에서는, α-시클로덱스트린, β-시클로덱스트린, γ-시클로덱스트린 및 이들의 유도체가 바람직하고, 피포접성의 관점에서는, α-시클로덱스트린 및 이들의 유도체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직쇄상 분자로서는, 상술한 우수한 내흠집성 및 내약품성을 갖는 미립자-PR 함유 도료에 포함되는 폴리로탁산으로 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직쇄상 분자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알킬류, 폴리에스테르류, 폴리에테르류, 폴리아미드류, 폴리아크릴류, 벤젠환을 갖는 직쇄상 분자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함유되어 있어도 되고, 2종 이상이 혼합되어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폴리알킬류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이소프렌, 폴리부타디엔 등을 들 수 있지만, 폴리에스테르류, 폴리아미드류, 벤젠환을 갖는 직쇄상 분자, 폴리아크릴류도 통상 사용되는 일반적인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테르류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글리콜을 들 수 있고, 환상 분자의 포접성이 우수하다고 하는 관점에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고, 물이나 수계 용제에의 용해성의 관점에서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봉쇄기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직쇄상 분자의 양 말단에 배치되고, 환상 분자가 직쇄상 분자에 의해 꼬치 형상으로 관통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기이면, 어떠한 기라도 좋다. 이러한 기로서는,「부피」를 갖는 기 또는 「이온성」을 갖는 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여기서, 「기」라 함은, 분자기 및 고분자기를 포함하는 다양한 기를 의미한다.
「부피」를 갖는 기로서는, 구형의 기나 측벽 형상의 기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이온성」을 갖는 기의 이온성과, 환상 분자가 갖는 이온성이 서로 영향을 미치게 하여, 예를 들어 서로 반발함으로써, 환상 분자가 직쇄상 분자에 꼬치로 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봉쇄기의 구체예로서는, 2,4-디니트로페닐기, 3,5-디니트로페닐기 등의 디니트로페닐기류, 시클로덱스트린류, 아다만탄기류, 트리틸기류, 플루오레세인류, 피렌류, 이들의 유도체 또는 변성체를 들 수 있다.
여기서, 카프로락톤에 의한 수식기인 (-CO(CH2)5OH)기를 구비한 수식 폴리로탁산은, 더욱 구체적으로는 환상 분자가 시클로덱스트린이고, 당해 시클로덱스트린의 수산기의 일부 또는 전부가 수식기로 수식되고, 그 수식기가 카프로락톤에 의한 수식기인 (-CO(CH2)5OH)기를 갖는 폴리로탁산이다. 또한 더욱 구체적으로는, 카프로락톤에 의한 수식기인 (-CO(CH2)5OH)기를 구비한 수식 폴리로탁산은, 환상 분자가 시클로덱스트린이고, 당해 시클로덱스트린의 수산기의 일부 또는 전부가 수식기로 수식되고, 그 수식기가, -O-C3H6-O-기와 결합된, 카프로락톤에 의한 수식기인 (-CO(CH2)5OH)기를 갖는 폴리로탁산이다. -O-C3H6-O-기와 결합된, 카프로락톤에 의한 수식기인 (-CO(CH2)5OH)기를 갖는 폴리로탁산은, 예를 들어 시클로덱스트린의 수산기에 프로필렌옥사이드를 작용시킨 후, 얻어진 히드록실프로필화 폴리로탁산을 카프로락톤으로 처리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이러한 수식 폴리로탁산을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아세트산에틸, 톨루엔 등의 유기 용매에의 용해성이 발현되어 도료에의 적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폴리로탁산이 갖는 활차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도료를 사용한 도막은 내흠집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미립자-PR 함유 도료에 있어서의 용제계 도료로서는, 예를 들어 용매와, 수지 성분, 경화제, 첨가제, 안료 및 광휘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것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용매와, 수지 성분과, 경화제, 첨가제, 안료 및 광휘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것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용매는 카프로락톤에 의한 수식기인 (-CO(CH2)5OH)기를 구비한 수식 폴리로탁산을 용해시킬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아세트산에틸이나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 디에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톨루엔 등의 방향족류와 같은 유기 용제 등을 적절하게 사용하면 된다. 이들 용매와 혼합함으로써 우수한 내흠집성 및 내약품성이 요구되는 물품의 표면을 피복하는 도료로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계 수지나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ABS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함유되어 있어도 되고, 2종 이상이 혼합되어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주쇄 또는 측쇄에 수산기, 아미노기, 카르복실기, 에폭시기, 비닐기, 티올기 또는 광가교기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관한 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가교기로서는, 계피산, 쿠마린, 칼콘, 안트라센, 스티릴피리딘, 스티릴피리디늄염, 스티릴퀴놀린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2종 이상의 수지 성분을 혼합 사용해도 되지만, 이 경우, 적어도 1종의 수지 성분이 환상 분자를 통해 폴리로탁산과 결합되어 있는 것이 좋다. 또한, 이러한 수지 성분은, 호모폴리머라도 코폴리머라도 좋다. 코폴리머의 경우, 2종 이상의 모노머로 구성되는 것이라도 좋고, 블록 코폴리머, 교호 코폴리머, 랜덤 코폴리머 또는 그래프트 코폴리머 중 어느 것이라도 좋다.
구체예로서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메타)아크릴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아민, 폴리에틸렌이민, 카제인, 젤라틴, 전분 및 이들의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다른 올레핀계 단량체와의 공중합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스티렌이나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 수지 등의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 수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및 이들의 유도체 또는 변성체, 폴리이소부틸렌, 폴리테트라히드로푸란, 폴리아닐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수지), 나일론(등록 상표) 등의 폴리아미드류, 폴리이미드류, 폴리이소프렌, 폴리부타디엔 등의 폴리디엔류, 폴리디메틸실록산 등의 폴리실록산류, 폴리술폰류, 폴리이민류, 폴리무수아세트산류, 폴리요소류, 폴리술피드류, 폴리포스파젠류, 폴리케톤류, 폴리페닐렌류, 폴리할로올레핀류 및 이들의 유도체를 들 수 있다. 유도체로서는, 상술한 수산기, 아미노기, 카르복실기, 에폭시기, 비닐기, 티올기 또는 광가교기 및 이들의 조합에 관한 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은 물론이다.
상기 경화제의 구체예로서는, 멜라민 수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염화시아눌, 트리메소일클로라이드, 테레프탈로일클로라이드, 에피클로로하이드린, 디브로모벤젠, 글루타르알데히드, 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이소시안산톨리렌, 디비닐술폰, 1,1'-카르보닐디이미다졸, 알콕시실란류 등을 들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이들을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구체예로서는, 분산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화제, 표면 조정제, 포핑 방지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안료의 구체예로서는, 아조계 안료, 프탈로시아닌계 안료, 페릴렌계 안료 등의 유기계 착색 안료나, 카본 블랙, 이산화티탄, 벵갈라 등의 무기계 착색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휘제의 구체예로서는, 알루미늄 안료, 마이카 안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미립자-PR 함유 도료에 있어서의 상기 수식 폴리로탁산의 함유량은, 1 내지 9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5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내지 40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범위에 있음으로써,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활차 효과에 의해 미립자-PR 함유 도료의 내흠집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고, 또한 도막의 평활성을 확보할 수 있어 도막의 외관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식 폴리로탁산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본 재료를 사용한 도막은 연성이 향상되지만, 한편 강성(Young률)은 저하되는 경향에 있다.
이상 설명한 미립자-PR 함유 도료는, 우수한 내흠집성 및 내약품성이 요구되는 물품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고, 그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미립자-PR 함유 도료로부터 미립자-PR 함유 도막을 제조하는 데 있어서는, 예를 들어 브러시 도포법, 분사법, 정전 도장법, 전착 도장법, 분체 도장법, 스패터법, 또한 인몰드 코팅법 등을 이용하여 도장하고, 가열 건조 등을 실시하여 성막시키면 된다. 또한, 미립자-PR 함유 도료는, 상술한 용매 등을 적절하게 조제함으로써, 각종 용제계 도료나 분체 도료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미립자-PR 함유 도료는, 상술한 반응기나 경화제를 적절하게 조제함으로써, 상온 건형 도료나 베이킹형 도료, 자외선 경화형 도료, 전자선 경화형 도료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미립자-PR 함유 도막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립자-PR 함유 도막은, 상술한 본 발명의 미립자-PR 함유 도료로 이루어지는 층이며, 피도물 상에 형성시킨 도막이다. 우수한 내흠집성 및 내약품성이 요구되는 물품의 표면을 피복하는 도막으로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미립자-PR 함유 도막의 일례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미립자-PR 함유 도막(1)은, 수식된 폴리로탁산(10)과, 미립자(20)와, 폴리로탁산(10) 이외의 다른 수지(30, 30')를 갖는다. 또한, 수식된 폴리로탁산(10)은, 환상 분자(12)와, 직쇄상 분자(14)와, 직쇄상 분자(14)의 양 말단에 배치된 봉쇄기(16)를 갖고, 직쇄상 분자(14)는 환상 분자(12)의 개구부를 관통하여 환상 분자(12)를 포접하고 있다. 그리고 이 수식된 폴리로탁산(10)은, 환상 분자(12)를 통해 가교점(18)에 의해 다른 수지(30) 및 다른 수지(30')를 결합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미립자-PR 함유 도막(1)에 대해, 도 1의 (A)의 화살표 X-X' 방향의 변형 응력이 부하되면, 미립자-PR 함유 도막(1)은, 도 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형되어 이 응력을 흡수할 수 있다. 즉, 도 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환상 분자(12)는 활차 효과에 의해 직쇄상 분자(14)를 따라 이동 가능하므로, 상기 응력을 그 내부에서 흡수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미립자-PR 함유 도막은, 도시한 바와 같은 활차 효과를 갖는 것이며, 종래의 경질 클리어 등에 비해 우수한 신축성이나 점탄성, 기계적 강도를 가져, 내흠집성이 우수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미립자-PR 함유 도막은,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미립자가 분산되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상술한 활차 효과를 저해하는 일이 없으므로, 우수한 내흠집성 및 내약품성을 갖는 것이다. 또한, 우수한 내오염성, 평활성을 유지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하는 폴리로탁산의 일례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에 있어서, 수식된 폴리로탁산(10)은, 직쇄상 분자(14)와, 환상 분자(12)와, 직쇄상 분자(14)의 양 말단에 배치된 봉쇄기(16)를 갖고, 직쇄상 분자(14)는 환상 분자(12)의 개구부를 관통하여 환상 분자(12)를 포접하고 있다. 그리고 환상 분자(12)는 카프로락톤에 의한 수식기인 (-CO(CH2)5OH)기(12a)를 갖고 있다.
또한, 미립자-PR 함유 도막은, 예를 들어 투명 클리어 도막이나 불투명 클리어 도막, 에나멜 도막, 베이스 코트 도막, 하도(下塗) 도막 등에 적용할 수 있다.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투명 클리어 도막이나 불투명 클리어 도막으로서 적용하는 경우에는, 그 막 두께를 20 내지 4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에나멜 도막으로서 적용하는 경우에는, 그 막 두께를 20 내지 4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베이스 코트 도막으로서 적용하는 경우에는, 그 막 두께를 10 내지 2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도 도막으로서 적용하는 경우에는, 그 막 두께를 20 내지 4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의 막 두께로 하면, 내오염성, 내약품성, 내흠집성, 내충격성 등의 효과·품질을 장기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투명 클리어 도막에는, 상술한 성분 외에,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러한 첨가제로서는, 분산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화제, 표면 조정제, 포핑 방지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불투명 클리어 도막이나 에나멜 도막, 베이스 코트 도막, 하도 도막에는, 안료가 통상 포함되어 있다. 또한, 불투명 클리어 도막의 경우에는, 그 함유량이 통상 5% 이하이다. 불투명 클리어 도막으로 하기 위해서는, 또한 수지 비즈 등의 윤택 제거제를 첨가하면 좋다. 에나멜 도막, 베이스 코트 도막, 하도 도막에 포함되는 안료로서는, 아조계 안료, 프탈로시아닌계 안료, 페닐렌계 안료 등의 유기계 착색 안료나, 카본 블랙, 이산화티탄, 벵갈라 등의 무기계 착색 안료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료를 사용한 적층 도막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적층 도막은, 상술한 본 발명의 미립자-PR 함유 도막으로 이루어지는 층을 1층 이상 구비하는 것이며, 우수한 내흠집성 및 내약품성이 요구되는 물품의 표면을 피복하는 적층 도막으로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적층 도막에 있어서는, 내흠집성을 고려하면 미립자-PR 함유 도막으로 이루어지는 층을 최표층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적층 도막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도막의 일 실시 형태이며, 미립자-PR 함유 도막을 클리어 도막층에 적용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적층 도막(40)은, 하도 도막층(41)과, 컬러 베이스 도막층(42)과, 미립자-PR 함유 도막을 적용한 클리어 도막층(43)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하도 도막층의 컬러 베이스층과 반대측에는 피도물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도막의 다른 실시 형태이며, 미립자-PR 함유 도막을 에나멜 도막층에 적용한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적층 도막(40')은, 하도 도막층(41)과, 미립자-PR 함유 도막을 적용한 에나멜 도막층(44)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하도 도막층의 에나멜 도막층과 반대측에는 도시하지 않은 피도물이 있다.
이와 같이 미립자-PR 함유 도막을 최표층에 적용하면, 우수한 내흠집성 및 내약품성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미립자-PR 함유 도막을 상기 하도 도막층(41) 및/또는 컬러 베이스 도막층(42)에 적용해도 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자동차 등이 주행할 때에 튀어오르는 돌 등에 의한 입력(칩핑 입력)을 적층 도막(40)이나 적층 도막(40')이 받은 경우에 만일 클리어 도막층(43)이나 에나멜 도막층(44)이 파손되어도 하도 도막층(41), 컬러 베이스 도막층(42)에 의해 도막 전체층까지 파손이 확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도장 물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장 물품은, 상술한 본 발명의 미립자-폴리로탁산 함유 도막과 피도물을 구비하고, 물품에 미립자-폴리로탁산 함유 도막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우수한 내흠집성 및 내약품성을 갖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적층 도막을 구비하고, 물품에 적층 도막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라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피도물의 재질로서는, 대표적으로는 철, 알루미늄, 구리 등의 각종 금속재,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각종 유기재, 석영, 세라믹스(탄화칼슘 외) 등의 각종 무기재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도물의 구체예로서는, 내흠집성이 요구되는 자동차의 보디, 도금, 증착, 스퍼터링 등의 처리가 실시된 알루미늄 휠, 도어 미러나, 옥내·옥외에 있어서의 수지 제품, 계단, 바닥, 가구 등의 목공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도장 물품으로서는, 자동차, 오토바이, 자전거, 철도, 그 밖의 수송 기계, 건설 기계, 휴대 전화, 전자 제품, 광학 기기, 가구, 건재, 악기, 가방, 스포츠 용품, 레저 용품, 주방 용품, 애완동물 용품, 문구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실시예)
1. 폴리로탁산의 준비
폴리로탁산을 국제 공개 제2005/052026호 및 국제 공개 제2005/080469호에 기재되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조제하였다. 이하에 그 예를 나타낸다.
(1) PEG의 TEMPO 산화에 의한 PEG-카르본산의 조제
폴리에틸렌글리콜(PEG)(중량 평균 분자량 35000) 10g, TEMPO(2,2,6,6-테트라메틸-1-피페리디닐옥시라디칼) 100mg, 취화 나트륨 1g을 물 100mL에 용해시켰다. 시판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 수용액(유효 염소 농도 5%) 5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10분간 교반하였다. 남은 차아염소산 나트륨을 분해시키기 위해, 에탄올을 최대 5mL까지의 범위에서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시켰다. 50mL의 염화메틸렌을 사용한 추출을 3회 반복하여 무기염 이외의 성분을 추출한 후, 증발기에서 염화메틸렌을 증류 제거하고, 250mL의 온(溫)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나서 냉동고(-4℃) 중에 밤새 두어, PEG-카르본산만을 추출시키고, 회수하여, 건조시켰다.
(2) PEG-카르본산과 α-CD를 사용한 포접 착체의 조제
상기 조제한 PEG-카르본산 3g 및 α-시클로덱스트린(α-CD) 12g을 각각 따로따로 준비한 70℃의 온수 50mL에 용해시켜, 양쪽을 혼합하고, 잘 흔들어 섞은 후, 냉장고(4℃) 중에 밤새 정치하였다. 크림상으로 석출된 포접 착체를 동결 건조시켜, 회수하였다.
실온에서 디메틸포름아미드(DMF) 50ml에 아다만탄아민 0.13g을 용해하고, 상기 얻어진 포접 착체에 첨가한 후, 빠르게 잘 흔들어 섞었다. 계속해서 BOP 시약[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민)포스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0.38g을 DMF에 용해한 것을 첨가하고, 마찬가지로 잘 흔들어 섞었다. 또한 다음에 이소프로필에틸아민 0.14ml을 DMF에 용해한 것을 첨가하고, 마찬가지로 잘 흔들어 섞었다. 슬러리상으로 된 시료를 냉장고(4℃) 중에 밤새 정치하였다. 밤새 정치한 후, DMF/메탄올 혼합 용매(체적비 1/1) 50mL을 첨가하고, 혼합하고, 원심 분리하여, 상징액을 버렸다. 상기한 DMF/메탄올 혼합 용액에 의한 세정을 2회 반복한 후, 다시 메탄올 100mL을 사용한 세정을 동일한 원심 분리에 의해 2회 반복하였다. 얻어진 침전을 진공 건조로 건조시킨 후, 50mL의 DMSO에 용해시켜, 얻어진 투명한 용액을 700mL의 수중에 적하하여 폴리로탁산을 석출시켰다. 석출된 폴리로탁산을 원심 분리에 의해 회수하여, 진공 건조 또는 동결 건조시켰다. 상기한 DMSO에 용해, 수중에서 석출, 회수, 건조의 사이클을 2회 반복하여, 최종적으로 정제 폴리로탁산을 얻었다. 또한 α-CD의 포접량은 0.25이다.
(3) 히드록실프로필화 폴리로탁산의 조제
상기 조제한 폴리로탁산 500mg을 1mol/L의 NaOH 수용액 50mL에 용해하고, 프로필렌옥사이드 3.83g(66mmol)을 첨가하고, 아르곤 분위기하,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1mol/L의 HCl 수용액으로 중화하고, 투석 튜브에서 투석한 후, 동결 건조시키고, 회수하여, 히드록실프로필화 폴리로탁산을 얻었다. 얻어진 히드록실프로필화 폴리로탁산은, 1H-NMR 및 GPC에서 동정(同定)하여, 원하는 폴리로탁산인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히드록시프로필기에 의한 수식도는 0.5였다.
(4) 수식 폴리로탁산의 조제
상기 조제한 히드록실프로필화 폴리로탁산 500mg에, 모레큘라시브에서 건조시킨 ε-카프로락톤 2.3g을 첨가하고, 80℃에서 30분간 교반하여, 침투시켰다. 계속해서, 2-에틸헥산산주석 0.2mL을 첨가하고, 100℃에서 1 내지 8시간 반응시켜,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종료시켰다. 반응 종료 후, 시료를 50mL의 톨루엔에 용해시키고, 교반한 헥산 450mL 중에 적하하여, 수식 폴리로탁산을 석출시켰다. 석출된 수식 폴리로탁산을 원심 분리에 의해 회수하고, 진공 건조 또는 동결 건조시켜, 본 예에서 사용하는 수식 폴리로탁산을 얻었다.
2. 미립자-폴리로탁산 함유 도료의 제작
상기 조제한 수식 폴리로탁산을 톨루엔으로 농도가 10%로 되도록 용해하였다. 다음에, 아크릴·멜라민 경화형 클리어 도료[니혼유시(日本油脂) 가부시끼가이샤제, 제품명 : 벨코트 No.6200GN1]에, 용해한 수식 폴리로탁산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그런 연후에, 상기 도료에 실리카제의 미립자[닛산가가꾸고교(日産化學工業) 가부시끼가이샤제, 제품명 : 스노텍스 XS, 평균 입자 직경 : 5nm]를 교반하면서 더 첨가하여, 본 예의 미립자-PR 함유 도료를 얻었다. 또한, 미립자-PR 함유 도료는, 미립자-PR 함유 도막을 형성하였을 때에, 도막 중의 미립자의 함유량이 15%, 수식 폴리로탁산의 함유량이 1%로 되도록 조제하였다.
3. 적층 도막의 형성
인산 아연 처리한 두께 0.8mm, 70mm×150mm의 달 강판에, 양이온 전착 도료(니혼페인트사제, 제품명 : 파워톱 U600M)를, 건조 막 두께가 20㎛로 되도록 전착 도장한 후, 160℃에서 30분간 베이킹하였다. 다음에, 하도 도료(BASF 코팅스 재팬 가부시끼가이샤제, 제품명 : 하이에피코 No.500, 그레이)를, 건조 막 두께가 30㎛로 되도록 도장한 후, 140℃에서 30분간 베이킹하였다. 다음에, 메탈릭 도료(BASF 코팅스 재팬 가부시끼가이샤제, 제품명 : 벨코트 6010)를, 건조 막 두께가 10㎛로 되도록 도장하고, 웨트 온 웨트에서 상기 조제한 미립자-PR 함유 도료를, 건조 막 두께가 30㎛로 되도록 도장한 후, 140℃에서 30분간 베이킹하여, 본 예의 적층 도막을 얻었다. 얻어진 미립자-폴리로탁산 함유 도막의 사양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내지 7, 비교예 1, 2)
미립자-폴리로탁산 함유 도료의 제작에 있어서, 사용하는 미립자의 평균 입자 직경, 미립자-PR 함유 도막을 형성하였을 때의 도막 중의 미립자의 함유량 및 수식 폴리로탁산의 함유량이 표 1에 나타내는 사양으로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여, 각 예의 적층 도막을 얻었다. 또한, 실시예 2, 실시예 4 내지 7에서는 실리카제의 미립자(빅케미·재팬 가부시끼가이샤제, 제품명 : NANOBYK-3650, 평균 입자 직경 : 25nm), 실시예 3에서는 실리카제의 미립자(닛산가가꾸고교 가부시끼가이샤제, 제품명 : MP-2040, 평균 입자 직경 : 200nm), 비교예 2에서는 실리카제의 미립자(닛산가가꾸고교 가부시끼가이샤제, 제품명 : MP-4540M, 평균 입자 직경 : 450nm)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8)
미립자-폴리로탁산 함유 도료의 제작에 있어서, 알루미나제의 미립자(빅케미·재팬 가부시끼가이샤제, 제품명 : NANOBYK-3610, 평균 입자 직경 : 25nm)를 사용하여, 미립자-PR 함유 도막을 형성하였을 때의 도막 중의 수식 폴리로탁산의 함유량이 표 1에 나타내는 사양으로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여, 본 예의 적층 도막을 얻었다.
또한, 각 예의 미립자-폴리로탁산 함유 도막의 사양을 표 1에 병기한다.
Figure pct00001
[성능 평가]
상기 각 예의 적층 도막에 대해, 이하의 (1) 내지 (3)에 대해 평가를 행하였다.
(1) 불투명성 평가
베이킹 후의 미립자-폴리로탁산 함유 도막의 불투명성을 육안에 의해 평가하였다. 또한, 표 1 중의 불투명성의 평가에 있어서, 「○」는 불투명이 전혀 없는 것, 「△」는 신경이 쓰일 만큼은 아니지만 불투명이 거의 없는 것, 「×」는 백탁되어 있어 색감의 변화가 있는 것을 나타낸다.
(2) 내흠집성 평가
마모 시험기의 미끄럼 이동자에 더스트넬(마찰천)을 양면 테이프로 붙이고, 0.22g/㎠의 하중하에서, 미립자-폴리로탁산 함유 도막상을 50회 왕복시켜, 흠집의 유무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1에 병기한다. 또한, 표 1 중의 내흠집성의 평가에 있어서, 「◎」는 흠집이 없는 것, 「○」는 거의 흠집이 없는 것, 「△」는 약간 흠집이 있는 것, 「×」는 눈에 띌 만큼 많은 흠집이 있는 것을 나타낸다.
(3) 내약품성 평가
가솔린 시험(무납 레귤러 가솔린을 적하하고, 건조시킨 후, 도포면을 천으로 닦아냄)에 의한 도막의 연화·팽윤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1에 병기한다. 또한, 표 1 중의 내약품성의 평가에 대해, 「◎」는 도막이 변화되어 있지 않은 것, 「○」는 도막이 약간 연화되어 있는 것, 「△」는 도막이 연화되어 있는 것, 「×」는 도막이 연화되어, 팽윤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표 1의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실시예 1 내지 8은, 내흠집성 및 내약품성에 대해, 우수한 성능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범위 밖인 비교예 1, 2는, 내흠집성 및 내약품성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성능이 떨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중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가교 밀도나 파단 강도에 대해서도 크게 변화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Claims (7)

  1. 용제계 도료에, 카프로락톤에 의한 수식기인 (-CO(CH2)5OH)기를 구비한 수식 폴리로탁산과, 평균 입자 직경 380㎚ 미만의 미립자를 함유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폴리로탁산 함유 도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가, 실리카 및/또는 알루미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폴리로탁산 함유 도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식 폴리로탁산은, 환상 분자, 이 환상 분자를 꼬치 형상으로 포접하는 직쇄상 분자 및 이 직쇄상 분자의 양 말단에 배치되고 상기 환상 분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봉쇄기를 갖는 폴리로탁산이며, 상기 환상 분자가 시클로덱스트린이고, 당해 시클로덱스트린의 수산기의 일부 또는 전부가 수식기로 수식되고, 그 수식기가 카프로락톤에 의한 수식기인 (-CO(CH2)5OH)기를 갖는 폴리로탁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폴리로탁산 함유 도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식 폴리로탁산은, 환상 분자, 이 환상 분자를 꼬치 형상으로 포접하는 직쇄상 분자 및 이 직쇄상 분자의 양 말단에 배치되고 상기 환상 분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봉쇄기를 갖는 폴리로탁산이며, 상기 환상 분자가 시클로덱스트린이고, 당해 시클로덱스트린의 수산기의 일부 또는 전부가 수식기로 수식되고, 그 수식기가, -O-C3H6-O-기와 결합된 카프로락톤에 의한 수식기인 (-CO(CH2)5OH)기를 갖는 폴리로탁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폴리로탁산 함유 도료.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미립자-폴리로탁산 함유 도료로 이루어지는 층을, 피도물 상에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폴리로탁산 함유 도막.
  6. 제5항에 있어서, 투명 클리어 도막, 불투명 클리어 도막, 에나멜 도막, 베이스 코트 도막 또는 하도 도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자-폴리로탁산 함유 도막.
  7. 제5항 또는 제6항에 기재된 미립자-폴리로탁산 함유 도막과, 피도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물품.
KR1020117018852A 2009-02-16 2010-02-09 미립자-폴리로탁산 함유 도료, 미립자-폴리로탁산 함유 도막 및 도장 물품 KR1017478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32814 2009-02-16
JP2009032814 2009-02-16
JPJP-P-2009-292044 2009-12-24
JP2009292044A JP5907646B2 (ja) 2009-02-16 2009-12-24 微粒子−ポリロタキサン含有塗料、微粒子−ポリロタキサン含有塗膜及び塗装物品
PCT/JP2010/051867 WO2010092948A1 (ja) 2009-02-16 2010-02-09 微粒子-ポリロタキサン含有塗料、微粒子-ポリロタキサン含有塗膜及び塗装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704A true KR20110119704A (ko) 2011-11-02
KR101747891B1 KR101747891B1 (ko) 2017-06-16

Family

ID=42561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8852A KR101747891B1 (ko) 2009-02-16 2010-02-09 미립자-폴리로탁산 함유 도료, 미립자-폴리로탁산 함유 도막 및 도장 물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57139B2 (ko)
EP (1) EP2397527B1 (ko)
JP (1) JP5907646B2 (ko)
KR (1) KR101747891B1 (ko)
CN (1) CN102317384B (ko)
WO (1) WO2010092948A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325B1 (ko) * 2012-05-25 2013-08-09 주식회사 엘지화학 하드 코팅 필름
WO2013176527A1 (ko) * 2012-05-25 2013-11-28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로타세인 화합물, 광경화성 코팅 조성물 및 코팅 필름
WO2014030844A1 (ko) * 2012-08-23 2014-0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하드코팅 필름
US9567479B2 (en) 2012-08-23 2017-02-14 Lg Chem, Ltd. Hard coating film
US9765234B2 (en) 2012-08-23 2017-09-19 Lg Chem, Ltd. Laminated hard coating film
US9777186B2 (en) 2012-08-23 2017-10-03 Lg Chem, Ltd. Hard coating film
US9783698B2 (en) 2012-08-23 2017-10-10 Lg Chem, Ltd. Hard coating film
US9850397B2 (en) 2013-03-15 2017-12-26 Lg Chem, Ltd. Plastic film
KR20180019172A (ko) * 2015-06-17 2018-02-23 유니버시타트 데스 사를란데스 폴리로탁산의 제조 방법 및 폴리로탁산
US9902868B2 (en) 2012-08-23 2018-02-27 Lg Chem, Ltd. Hard coating film
US9909026B2 (en) 2012-08-23 2018-03-06 Lg Chem, Ltd. Hard coating film
KR20220088212A (ko) * 2020-12-18 2022-06-27 주식회사 포스코 항균성 및 방충성을 가지는 고분자 복합수지 코팅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코팅된 강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50796B2 (ja) * 2008-03-06 2013-07-31 株式会社不二製作所 ゲル状研磨材の製造方法及びゲル状研磨材
JP5277223B2 (ja) 2010-09-17 2013-08-28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経路探索装置
WO2013099842A1 (ja) * 2011-12-26 2013-07-04 アドバンスト・ソフト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修飾化ポリロタキサン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修飾化ポリロタキサンを有して形成される材料
JP6258228B2 (ja) 2013-01-21 2018-01-10 住友精化株式会社 軟質材料用組成物及び軟質材料
JP6455993B2 (ja) * 2013-03-27 2019-01-23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偏光子保護フィルム用樹脂組成物、偏光子保護フィルム、これを含む偏光板および偏光板の製造方法
US10253140B2 (en) 2013-10-31 2019-04-09 Sumitomo Seika Chemicals Co., Ltd. Polyrotaxane-containing composition
JP6472217B2 (ja) * 2014-11-14 2019-02-2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
JP2016204434A (ja) * 2015-04-17 2016-12-08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製造用ポリオール組成物および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JPWO2017039019A1 (ja) * 2015-09-03 2018-07-05 株式会社トクヤマ プライマー組成物及びフォトクロミック積層体
CN109843986B (zh) * 2016-10-17 2022-08-16 株式会社Asm 包含具有聚轮烷而形成的交联体的球状粉体及其制造方法
EP3572202B1 (en) * 2017-01-18 2021-08-11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Molded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DE102018107702A1 (de) 2018-03-29 2019-10-02 Leibniz-Institut Für Neue Materialien Gemeinnützige Gmbh Nanostrukturierte Kompositmaterialien mit selbstheilenden Eigenschaften
KR102087093B1 (ko) * 2018-04-25 2020-03-11 주식회사 케이씨씨 도료 조성물
JP7185523B2 (ja) * 2018-12-28 2022-12-07 旭化成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CN113801250B (zh) * 2021-08-27 2022-12-20 北京汇聚和新材料有限公司 一种利用β-环糊精制备水性涂料助剂的方法
CN115093494B (zh) * 2022-06-17 2023-01-31 天津大学 一种光控制超分子微马达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5867A (ja) * 1996-07-30 1998-02-17 Nippon Paint Co Ltd 熱硬化性樹脂組成物
JP4291415B2 (ja) * 1997-02-25 2009-07-08 バイエル・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有機−無機ハイブリッド材料
JP4293655B2 (ja) * 1998-11-02 2009-07-08 関西ペイント株式会社 塗料組成物およびその塗装法
US6096464A (en) * 2000-01-27 2000-08-01 Xerox Corporation Photoreceptor including rotaxanes
JP2002285073A (ja) * 2001-03-26 2002-10-03 Nippon Paint Co Ltd 熱硬化性クリヤー塗料組成物、複層塗膜形成方法および塗装物
JP3988111B2 (ja) * 2001-05-07 2007-10-1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アクリルウレタン塗料組成物
JP2003286443A (ja) * 2002-03-28 2003-10-10 Kansai Paint Co Ltd 熱硬化型艶消し粉体水分散液塗料組成物
JP4461252B2 (ja) 2003-11-28 2010-05-12 国立大学法人 東京大学 ポリロタキサン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57287B1 (ko) 2004-01-08 2012-06-15 도꾜 다이가꾸 가교 폴리로탁산을 갖는 화합물 및 그의 제조 방법
JP4521875B2 (ja) 2005-08-31 2010-08-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疎水性修飾ポリロタキサン
JP2007099990A (ja) * 2005-10-06 2007-04-19 Nissan Motor Co Ltd 硬化型溶剤系下塗り塗料用材料、これを用いた塗料及び塗膜
JP2007099991A (ja) * 2005-10-06 2007-04-19 Nissan Motor Co Ltd 硬化型溶剤系ソフトフィール塗料用材料、これを用いた塗料及び塗膜
JP4376848B2 (ja) 2005-10-06 2009-12-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硬化型溶剤系クリア塗料
US8007911B2 (en) 2005-10-06 2011-08-30 Nissan Motor Co., Ltd. Material for room temperature curable solvent-borne overcoating material,coating material using same and coating film
DK1942163T3 (da) * 2005-10-06 2012-01-09 Nissan Motor Materiale til hærdeligt, opløsningsmiddelbaseret topcoatingmateriale, og coatingmateriale og coatingfilm, som omfatter førnævnte eller er dannet deraf
JP2007099988A (ja) * 2005-10-06 2007-04-19 Nissan Motor Co Ltd 硬化型溶剤系上塗り塗料用材料、これを用いた塗料及び塗膜
JP4376849B2 (ja) 2005-10-06 2009-12-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常温乾燥型溶剤系クリア塗料及び塗膜並びにポリロタキサン
JP4420889B2 (ja) * 2005-10-13 2010-02-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体に形成された焼付け乾燥型溶剤系ストーンガードコート
JP4379737B2 (ja) * 2005-10-13 2009-12-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メタリック塗膜の下地形成塗料及び塗膜
JP4420887B2 (ja) * 2005-10-13 2010-02-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体に形成された硬化型溶剤系ストーンガードコート
JP4671118B2 (ja) * 2005-10-13 2011-04-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補修積層塗膜及び補修積層塗膜の作製方法
DE102006054289A1 (de) * 2006-11-17 2008-05-21 Bayer Materialscience Ag Nanopartikelmodifizierte Polyisocyanate
WO2008062605A1 (en) * 2006-11-21 2008-05-29 Nittetsu Mining Co., Ltd Resin composition, anti-reflection coating material, anti-dazzling coating material, anti-reflection coating, anti-reflection film, anti-dazzling film, corrosion protective coating, corrosion protective coating material, coating material, and coating film
JP2008200922A (ja) * 2007-02-19 2008-09-04 Grandex Co Ltd コーティング膜及びコーティング塗料
JP2008310286A (ja) * 2007-05-14 2008-12-25 Fujifilm Corp ポリロタキサンを含有する光学フィルム、反射防止フィルム、反射防止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板、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5194563B2 (ja) * 2007-05-28 2013-05-08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耐擦傷性コーティング組成物、及び被覆物品
JP5026172B2 (ja) * 2007-07-06 2012-09-12 日揮触媒化成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膜付基材およびハードコート膜形成用塗布液
JP2009215351A (ja) 2008-03-07 2009-09-24 Nissan Motor Co Ltd 塗膜補修用ワックス、塗膜の補修方法及び補修塗膜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325B1 (ko) * 2012-05-25 2013-08-09 주식회사 엘지화학 하드 코팅 필름
WO2013176528A1 (ko) * 2012-05-25 2013-11-28 주식회사 엘지화학 하드 코팅 필름
WO2013176527A1 (ko) * 2012-05-25 2013-11-28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로타세인 화합물, 광경화성 코팅 조성물 및 코팅 필름
US9884969B2 (en) 2012-05-25 2018-02-06 Lg Chem, Ltd. Poly-rotaxane compound, photocurable coating composition, and coating film
US8927098B2 (en) 2012-05-25 2015-01-06 Lg Chem, Ltd. Hard coating film
US9783698B2 (en) 2012-08-23 2017-10-10 Lg Chem, Ltd. Hard coating film
US9765234B2 (en) 2012-08-23 2017-09-19 Lg Chem, Ltd. Laminated hard coating film
US9777186B2 (en) 2012-08-23 2017-10-03 Lg Chem, Ltd. Hard coating film
US9567479B2 (en) 2012-08-23 2017-02-14 Lg Chem, Ltd. Hard coating film
WO2014030844A1 (ko) * 2012-08-23 2014-0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하드코팅 필름
US9902868B2 (en) 2012-08-23 2018-02-27 Lg Chem, Ltd. Hard coating film
US9909026B2 (en) 2012-08-23 2018-03-06 Lg Chem, Ltd. Hard coating film
US10000655B2 (en) 2012-08-23 2018-06-19 Lg Chem, Ltd. Hard coating composition
US10087340B2 (en) 2012-08-23 2018-10-02 Lg Chem, Ltd. Hard coating film
US10280330B2 (en) 2012-08-23 2019-05-07 Lg Chem, Ltd. Hard coating film
US9850397B2 (en) 2013-03-15 2017-12-26 Lg Chem, Ltd. Plastic film
KR20180019172A (ko) * 2015-06-17 2018-02-23 유니버시타트 데스 사를란데스 폴리로탁산의 제조 방법 및 폴리로탁산
KR20220088212A (ko) * 2020-12-18 2022-06-27 주식회사 포스코 항균성 및 방충성을 가지는 고분자 복합수지 코팅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코팅된 강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97527B1 (en) 2020-12-09
JP5907646B2 (ja) 2016-04-26
EP2397527A4 (en) 2016-05-18
WO2010092948A1 (ja) 2010-08-19
CN102317384A (zh) 2012-01-11
CN102317384B (zh) 2013-12-25
JP2010209315A (ja) 2010-09-24
US8957139B2 (en) 2015-02-17
KR101747891B1 (ko) 2017-06-16
EP2397527A1 (en) 2011-12-21
US20110319527A1 (en) 2011-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9704A (ko) 미립자-폴리로탁산 함유 도료, 미립자-폴리로탁산 함유 도막 및 도장 물품
KR101031144B1 (ko) 경화형 용제계 상도 도료용 재료, 이것을 이용한 도료 및도막
JP4376848B2 (ja) 硬化型溶剤系クリア塗料
JP5817087B2 (ja) 修飾ポリロタキサ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溶液、溶剤系塗料、溶剤系塗膜
KR101029644B1 (ko) 상온 건조형 용제계 상도 도료용 재료, 이것을 이용한 도료및 도막
JP2007099988A (ja) 硬化型溶剤系上塗り塗料用材料、これを用いた塗料及び塗膜
JP4420887B2 (ja) 車体に形成された硬化型溶剤系ストーンガードコート
JP4420883B2 (ja) 積層塗膜
JP4376846B2 (ja) 焼付け硬化型水系クリヤー塗料
JP5854342B2 (ja) 微粒子−ポリロタキサン含有塗料、微粒子−ポリロタキサン含有塗膜及び塗装物品
KR20080047595A (ko) 경화형 수계 상도 도료용 재료 및 이것을 이용한 도료
JP5444531B2 (ja) 硬化型溶剤系塗料
JP2011144338A (ja) 水系塗料およびこれを用いた水系塗膜
JP2010043261A (ja) 硬化型溶剤系クリア塗膜
JP4379734B2 (ja) 焼付け硬化型水系ソフトフィール塗料
JP4424505B2 (ja) 車体に形成された硬化型水系ストーンガードコート
JP4420884B2 (ja) 積層塗膜
KR20080047592A (ko) 상온 건조형 수계 상도 도료용 재료 및 이것을 이용한 도료
JP2010042415A (ja) 焼付け硬化型水系エナメル塗膜
JP4420888B2 (ja) 車体に形成された焼付け乾燥型水系ストーンガードコート
JP4379735B2 (ja) ポリロタキサン含有塗膜補修用ワックス
JP4420886B2 (ja) 積層塗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