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3737A - 상승 레일 연장부를 갖는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셔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상승 레일 연장부를 갖는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셔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3737A
KR20100123737A KR1020107021201A KR20107021201A KR20100123737A KR 20100123737 A KR20100123737 A KR 20100123737A KR 1020107021201 A KR1020107021201 A KR 1020107021201A KR 20107021201 A KR20107021201 A KR 20107021201A KR 20100123737 A KR20100123737 A KR 20100123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lift
lifting
concrete
formwork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1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5811B1 (ko
Inventor
아서 슈뵈러
Original Assignee
페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페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00123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3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5Extraordinary methods of construction, e.g. lift-slab, jack-block
    • E04B1/3505Extraordinary methods of construction, e.g. lift-slab, jack-block characterised by the in situ moulding of large parts of a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빌딩 섹터 내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10)에 있어서, 상승 레일(18)이 상승 슈(24, 26, 34, 36) 내에서 가이드되고, 상기 상승 레일은 비계 유닛 내로 통합된다. 상기 비계 유닛은 또한 작업 플랫폼(12) 및 마감 플랫폼(16)을 포함하며, 이들은 또한 상기 상승 레일(18)에 부착되어 있다. 상승 레일 연장부(20, 22)가 상기 상승 레일(18)의 자유 단부 상에 장착될 수 있고 이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상승 레일 연장부(20, 22)의 길이는 상기 상승 레일(18)보다 짧다.

Description

상승 레일 연장부를 갖는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셔터링 시스템 {TRACK-GUIDED SELF-CLIMBING SHUTTERING SYSTEM WITH CLIMBING RAIL EXTENSION PIECES}
본 발명은 비계 유닛 내로 통합되고 상승 슈 내에서 가이드되는 상승 레일을 갖는 빌딩 섹터 내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으로서, 상기 상승 슈들이 경화 콘크리트 섹션 및 콘크리트 섹션들에 각각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상승 레일이 상기 상승 슈 내에서 이동가능하고 가이드되고 유지되는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은 국제 특허 출원 WO 2007/000139 A1, WO 2007/00136 A1, WO 2007/000134 A1 및 WO 2007/000137 A1을 통하여 공지되어 있다.
공지의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에서는, 적어도 두 개의 플로어 또는 콘크리트 섹션이 폼워크 시스템과 함께 건설되어야 자가 상승 폼워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상승 레일이 다양한 콘크리트 섹션들에 부착되는 상승 슈 내에서 가이드, 유지 및 이동되기 때문이다.
상기 상승 슈를 하나의 콘크리트 섹션으로부터 다른 콘크리트 섹션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상승 절차에 필요한 개별적인 작업 공정들을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 수행할 수 있도록 대면적 비계 유닛이 부가적으로 요구된다.
공지된 바에 따르면, 예컨대, WO 2007/000139 A에서는, 상승 레일의 길이로 인하여, 상승 레일의 하부 자유 단부가 제1 콘크리트 섹션이 설치되는 그라운드 또는 제1 콘크리트 섹션 아래 건설되어 있을 수 있는 플로어 천장과 충돌하지 않도록,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 사용시 충분한 구조적 높이에 도달하여야 한다. 보통,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처음에 두 개의 플로어가 완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승 레일의 길이는 각각 건설될 상기 플로어들 및 콘크리트 섹션들의 높이 및 더 높은 콘크리트 섹션의 경우 요구되는 마감 플랫폼의 존재에 의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상승 레일의 길이는 건설될 콘크리트 섹션의 높이보다 훨씬 크다.
WO 2007/000139 A1, WO 2007/00136 A1, WO 2007/000134 A1 및 WO 2007/000137 A1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의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을 광범위한 응용 분야에 사용가능하도록 단순화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의 내용들에 의하여 달성된다. 종속 청구항들은 본 발명의 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승 레일 보다 짧은 길이의 상승 레일 연장부가 상기 상승 레일의 자유 단부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상승 레일의 실시예에 따르면, 안전성 위험 증가를 초래하지 않고 더 짧은 상승 레일을 이용하여 상승 절차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안전한 자가 상승 절차를 위해서는,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배열되는 적어도 두 개의 평행한 상승 레일이 서로의 상부에 배열되는 적어도 두 개의 상승 슈 내에 각각 항상 유지되어야 하며, 상승 절차 동안, 상기 상승 레일은 이들에 부착되어 있는 상승 레일 연장부를 경유하여 추가의 제3 상승 슈 쌍 내로 이동하고, 다른 것의 상부에 배열되는 상기 3 쌍의 상승 슈 중 제1 쌍이 제거될 때까지 거기서 유지되어, 예컨대 상기 쌍을 상기 제3 상승 슈 위의 제4 상승 슈로서 다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승 절차를 위하여, 상기 해당 상승 레일은 건설될 플로어 높이보다 상당히 큰 최소 길이를 가져야 한다. 상승 레일 연장부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상승 레일을 그 전체 길이가 건설될 콘크리트 섹션 위로 돌출되지 않을 정도로 단축시킬 수 있다; 즉, 상승 레일은 실질적으로 상기 상승 레일이 상승 슈를 경유하여 부착되어 있는 경화된 콘크리트 섹션의 높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다.
이는 본 발명에 따라 단축된 상승 레일 및 상승 레일 쌍이 각각 제1 플로어 또는 제1 콘크리트 섹션의 완성 후에 이미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2 콘크리트 섹션의 완성 후의 상승 절차를 위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상승 레일 연장부가 상승 레일의 자유 상부 단부에 견고하게 연결되어, 상승 레일의 상승 절차 동안 상기 상승 레일이 가장 최근에 건설되고 경화된 콘크리트 섹션에 부착되어 있는 상승 슈 내로 도입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상승 레일(들)은 아래 배열되는 두 개의 상승 슈 내에 여전히 유지되어, 충분한 안전성을 제공하면서 상승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새로운 콘크리팅 절차를 위하여, 상승 레일 연장부는, 상승 레일이 서로의 상부에 부착되는 한 쌍의 상승 슈 내에서 유지 가이드될 경우, 상승 레일의 상부 단부로부터 다시 제거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콘크리팅 절차 동안 그 상승 레일이 콘크리트 섹션 또는 완성된 플로어 위로 돌출되지 않는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상승 레일들은 본질적으로 콘크리팅될 섹션의 높이에 상응하며 각각 건설될 콘크리트 섹션의 높이보다 더 짧은 길이를 가진다.
유리하게, 적어도 상승 레일의 하부 자유 단부 상에, 상승 레일보다 짧은 길이의 상승 레일 연장부가 탈착가능하고/하거나 피보팅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은 제1 콘크리트 섹션의 완성 후에 이미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상승 레일 연장부가 처음에 상승 레일의 하부 자유 단부로부터 탈착되거나 이에 피보팅되는 방식으로 부착된다. 상기 상승 레일은 본질적으로 콘크리트 섹션의 높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짧게 선택된다. 그렇다면, 상기 상승 레일의 하부 자유 단부는 제1 콘크리트 섹션이 건설되는 그라운드 또는 상기 제1 콘크리트 섹션 아래에 건설될 플로어 천장과 더 이상 충돌하지 않는다. 충분한 플로어 높이에 도달하면, 상기 상승 레일 연장부는 탈착가능하게 및/또는 피보팅가능하게 상승 레일의 하부 자유 단부에 부착되어, 예컨대 그 위에 마감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상승 레일 연장부는 건설될 콘크리트 섹션의 높이보다 짧다. 한편으로는, 원하는 처리능력이 따라서 얻어지며,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상승 레일 연장부의 길이를 통하여, 각각의 상승 절차에서 연장된 상승 레일이 다음 상승 슈에 안전하게 도달하고 거기서 유지될 수 있음을 보증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상승 레일 연장부의 길이는 바람직하게 서로의 상부에 직접적으로 배열되는 두 개의 상승 슈 사이의 거리의 절반과 동등하거나 이보다 크다.
상기 상승 레일 연장부가 잠금핀에 의하여 상승 레일의 자유 단부에 연결되면, 간단한 구조적 수단으로 상기 상승 레일의 자유 단부와 상승 레일 연장부 사이를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동시에, 각각의 완성된 상승 절차 후에 상승 레일 연장부가 상기 상승 레일로부터 다시 제거되므로, 이러한 유형의 연결은 신속하고 단순히 다시 탈착가능하여, 외부 폼워크 및/또는 내부 폼워크를 새로운 콘크리트 섹션이 건설되는 위치로 가져올 수 있다.
각각의 상승 레일 연장부가 두 개의 잠금핀에 의하여 상승 레일의 자유 단부로 연결되는 것이 유리하다. 한편, 단지 하나의 잠금핀이 사용된다면 연접이 가능하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잠금핀이 상승 레일을 상승 레일 연장부에 연결하는데에 사용된다면 상기 상승 레일과 상승 레일 연장부 사이의 견고한 연결이 달성된다.
상기 상승 레일 및 상승 레일 연장부가 지지핀 및 경우에 따라 스페이서, 연결 핀에 의하여 서로 이격되어 결합되는 두 개의 프로파일 레일로 이루어진다면,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의 단순화된 구조를 얻을 수 있다. 이는 상승 레일 연장부가 이러한 방식으로 고안된 상승 레일에 단순히 커플링될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상승 레일 내에 예상되는 배열을 일련의 지지핀들에 의하여 상승 레일 연장부 내에 방해없이 계속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상기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은 작업 플랫폼과 마감 플랫폼이 형성되는 비계 유닛을 가진다. 상기 상승 레일은 상기 비계 유닛 내로 통합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단축된 상승 레일과 함께, 상기 비계 유닛은 하나의 작업 플랫폼과 하나의 마감 플랫폼을 갖는 것으로 충분하다.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중간 플랫폼이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전체 레일 가이드 방식의 시스템을 상당히 단순화시킨다.
유리하게, 이동가능한 외부 또는 내부 폼워크가 상기 작업 플랫폼 상에 ㅈ된장착된다. 필요하다면, 상기 외부 또는 내부 폼워크는 상기 작업 플랫폼 상에서, 한편으로는 상승 슈가 작업 플랫폼 상에 경화된 콘크리트 섹션에 가장 용이하게 부착되거나 이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외부 또는 내부 폼워크가 추가의 콘크리트 섹션이 건설될 수 있는 작업 플랫폼 상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승 실린더가 상기 상승 슈 상에 장착되어, 이들 상승 실린더의 도움으로 전체 비계 유닛을 완성된 콘크리트 섹션 상에서 상향 또는 필요하다면 심지어 하향으로 밀 수 있다. 상승 절차가 완성되면, 상승 실린더는 상승 슈로부터 제거되고 더 높거나 낮은 위치의 상승 슈 상에 다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장착된 상승 실린더는 각각 상승 실린더의 자유 단부 상에 형성되는 캐치를 경유하여 상승 레일 및 상승 레일 연장부 각각의 지지핀 내로 맞물릴 수 있다. 상승 실린더가 밖으로 이동하면, 상승 레일 연장부를 갖는 상승 레일이 전체 비계 유닛과 함께 이동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마감 플랫폼의 구성 성분이 상승 레일 연장부의 하부 자유 단부 상에 제공되며, 이는 다른 반대 단부과 함께 연접식으로 상승 레일의 하부 자유 단부와 연결된다. 이는 마감 플랫폼이 제1 콘크리트 섹션 상에서도 비계 유닛 상으로 장착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상기 상승 절차가 제1 콘크리트 섹션 상에서 개시되면, 마감 플랫폼이 여전히 제1 콘크리트 섹션이 건설된 베이스 상에 정지되며, 상승 절차가 진행됨에 따라 상기 마감 플랫폼 구성 요소가 부착된 상승 레일 연장부가 완성된 제1 콘크리트 섹션으로 피보팅되고 마감 플랫폼이 정렬된다.
첨부 도면에 대한 기재로부터 추가적인 이점을 이해할 수 있다. 동등하게,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인용된 특징들 및 추가적으로 기재되는 특징들 각각을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완전한 열거가 아닌 예로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고 도면의 실시예에 근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지의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을 광범위한 응용 분야에 사용가능하도록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안전성 위험 증가를 초래하지 않고 더 짧은 상승 레일을 이용하여 상승 절차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섹션의 측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는 작업 플랫폼 상에 외부 폼워크를 포함하는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성 요소에 대한 확대 측면도이다.
도 3은 상승 레일 및 상승 레일 연장부 및 이들의 조합 방식에 대한 3차원도이다.
도 4는 상승 레일 연장부의 3차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상승 레일 연장부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작업 플랫폼 상에 내부 폼워크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르는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상승 순서 a) 내지 e)로 구분된 상승 절차의 순서를 도시한다.
도 7은 외부 폼워크를 포함하는 작업 플랫폼 및 마감 플랫폼을 갖는 비계 유닛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는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상승 절차의 순서를 상승 순서 a) 내지 d)로 도시한다.
도면에서, 상기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은 매우 개략적인 방식으로 도시되며, 개별적인 특징들은 일정한 비율인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도 1에서, (10)은 외부 폼워크(13)가 설치되는 작업 플랫폼(12)을 비계 유닛 상에 갖는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을 나타낸다. 상기 외부 폼워크(13)는 화살표(14)의 방향으로 작업 플랫폼(12)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마감 플랫폼(16) 또한 상기 비계 유닛 내로 통합되고, 작업 플랫폼(12)과 마찬가지로 상승 레일(18)에 부착된다.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10)의 측면도만이 도시되며, 도시되는 상승 레일(18)에 평행하게 상승 레일(18)로부터 이격되어 이어지는 추가의 상승 레일(18)은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비계 유닛이 상승 레일(18)에 의하여 결합된다(종래 기술).
상기 상승 레일(18)의 상부 자유 단부 상에 제1 상승 레일 연장부(20)가 장착되고, 상승 레일(18)의 하부 자유 단부 상에 제2 상승 레일 연장부(22)가 부착된다. 상기 상승 레일(18)은 상승 슈들(24, 26) 내에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수용된다. 상기 상승 슈(26) 상에 상승 실린더(28)가 장착되며, 상기 상승 실린더의 자유 단부 상에 캐치(30)를 가지고, 상기 캐치는 제1 상승 레일 연장부(20)의 지지핀(32) 아래 맞물린다. 지지핀들(32)이 상기 제1 상승 레일 연장부(20)를 따라, 제2 상승레일 연장부(22)를 따라, 및 상승 레일(18)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된다. 상기 상승 슈들(24, 26) 또한, 지지핀(32) 아래 맞물리며 상기 상승 레일(18) 및 상승 레일 연장부(20) 각각을 제 위치에 수용할 수 있는 공지의 캐치를 가진다. 전체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이, 상승 레일(18) 또는 상승 레일 연장부(20)의 상응하는 지지핀(32)이 걸리는 캐치에 의하여 상승 슈들(24, 26) 내에 수용된다.
상승 슈들(34, 36)이 앵커 지점(38)을 경유하여 콘크리트 섹션에 부착된다. 도면에서, 제1 콘크리트 섹션(40), 제2 콘크리트 섹션(42) 및 제3 콘크리트 섹션(44)이 도시된다. 이들 콘크리트 섹션들(40, 42, 44)은 경화되고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10)의 부하를 견딜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섹션내에, 앵커 지점(38)이 제공되며, 이를 경유하여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10)을 위한 상승 슈가 부착된다. 도면에서, 천장 부분(45, 46, 47) 또한 도시되며, 이는 각각의 콘크리트 섹션들을 한쪽으로 제한한다. 콘크리트 섹션들(40, 42, 44) 각각을 생산하기 위해서, 도시되는 외부 폼워크(13)에 상응하는 내부 폼워크가 설치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상기 천장 섹션들(45, 46, 47)은 공지의 천장 폼워크 시스템에 의하여 생산된다(도시하지 않음).
도 2는 도 1의 제2 콘크리트 섹션(42) 및 제3 콘크리트 섹션(44)의 세부적인 확대 측면도이다. 천장 섹션(46)이 도시된다. 상승 슈들(26, 34)이 제2 및 제3 콘크리트 섹션들(42, 44)의 앵커 지점(38) 내에 부착된다. 공지의 방식으로, 상기 상승 슈(26) 상에 상승 실린더(28)가 장착되며, 이는 캐치(30)에 의하여 제1 상승 레일 연장부(20)의 지지핀(32) 아래 맞물린다. 제1 상승 레일 연장부(20)를 따라, 또한 상승 레일(18)을 따라, 지지핀들(32)이 제공되며, 이들은 모두 상승 슈들(26, 34) 내에 캐치에 의하여 배열될 수 있다.
연결부(48)에 의하여, 제1 상승 레일 연장부(20)가 상승 레일(18)의 자유 단부 내로 밀려지며, 잠금핀(50)에 의하여 제1 상승 레일 연장부(20)가 상승 레일(18)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상기 상승 레일(18)은 또한 작업 플랫폼(12)을 포함하며, 상기 작업 플랫폼 상에 외부 폼워크(13)가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부착된다.
도 3은 상기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10) 내에 사용되는 상승 레일(18) 및 제1 상승 레일 연장부(20)의 3차원도이다. 상기 상승 레일(18)은 두 개의 U-프로파일들로 이루어진다. 지지핀(32)이 상기 U-프로파일들을 결합시킨다. 상기 지지핀(32)의 길이는 두 개의 U-프로파일 사이의 거리에 의하여 결정된다. 상기 지지핀(32)은 상승 레일(18) 전체 길이에 걸쳐 소정의 간격으로 U-프로파일에 연결된다.
연결부(48)를 경유하여, 제1 상승 레일 연장부(20)가 상승 레일(18)의 자유 단부 내로 밀려지며 그 곳에서 잠금핀(50)과 함께 상승 레일(18)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상기 잠금핀(50)은 스프링 핀(51)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지지핀(32)의 맞은 편에, 연결핀(52)이 서로 마주보는 U-프로파일들을 연결한다. 상기 연결핀들(52)은 지지핀들(32)에 상응할 수 있으며, 지지핀(32)에 의하여 정의되는 바와 같은 U-프로파일들 서로 간의 동일한 간격을 보증한다.
도 4는 제1 상승 레일 연장부(20)의 추가적인 3차원도이다. 연결부(48)를 경유하여 이는 상승 레일에 연결되고, 잠금핀(50)을 경유하여 제1 상승 레일 연장부(20)가 상승 레일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상기 잠금핀(50)은 스프링 핀(51)으로 고정된다. 도면에 도시되는 지지핀들(32)은 상승 슈 및 상승 실린더 상의 각각의 캐치들에 의하여 아래로부터 맞물려질 수 있다.
도 5는 제1 상승 레일 연장부(20)의 정면도이다. 지지 볼트(32)가 보이며, 잠금 볼트(50)는 연결부(48)에 삽입되고 스프링 핀(51)으로 고정되어 있다.
도 6은 상기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상승 절차의 순서에 대한 매우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면 섹션 a)에서, 두 개의 콘크리트 섹션들(40, 42)이 도시된다. 제1 콘크리트 섹션(40)이 공지의 벽 폼워크를 이용하여 생산되었으며, 상기 제1 콘크리트 섹션(40)이 경화된 후, 상승 슈들(24, 26)이 상기 제1 콘크리트 섹션(40) 상에 장착된다. 그 다음, 상기 상승 레일(18)이 상승 슈들(24, 26) 내에 삽입된다. 이 과정에서, 상승 슈들(24, 26)이 상승 레일(18), 및, 작업 플랫폼(12) 상에서 내부 폼워크(13')를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지지하는 이와 연결되는 비계 유닛을 지지한다. 이러한 내부 폼워크(13')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섹션(42)이 콘크리팅되며, 콘크리트 섹션(42)의 경화 후, 내부 폼워크(13')가 도시되는 위치로 이동하고 상승 슈(34, 36)가 장착된다. 제1 상승 레일 연장부(20)가 또한 상승 레일(18) 상에 장착되고 상승 레일(18)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상승 실린더(28)가 상승 슈(26) 상에 장착되며, 상기 실린더(28)가 안으로 이동하면 그의 캐치를 이용하여 제1 상승 레일 연장부(20)의 지지 핀과 맞물린다.
이제, 상승 절차가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을 이용하여 개시되고(도면 섹션 b)) 상승 실린더(28)가 밖으로 이동하면, 몇 번의 실린더 스트로크 후에, 제1 상승 레일 연장부(20)의 자유 단부가 상승 슈(34) 내로 이동하여 상승 슈(34)의 캐치가 제1 상승 레일 연장부(20)의 지지핀을 지지하고 맞물릴 수 있게 된다. 대안적으로, 상승 실린더(28)가 새로운 상승 슈에 대하여 안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상승 슈들(24, 26)이 상승 절차 동안에 전체 비계 유닛을 지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체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의 무게는 상승 슈 쌍(24 또는 26 또는 34)의 캐치만에 의하여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승 레일(18)의 안전한 가이딩은 항상 서로에 대하여 위에 수직 배열되는 두 개의 상승 슈 쌍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그 다음, 상승 실린더(28)가 안으로 이동하고, 상승 실린더(28)의 캐치가 다시 제1 상승 레일 연장부(20) 또는 상승 레일(18)의 지지핀을 맞물릴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새로운 위치로 다시 배치될 수 있다. 상승 실린더(28)가 다시 밖으로 이동하면, 전체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이 추가로 위로 상승한다. 추가의 상승 레일 연장부(20')가 상승 레일(18)의 하부 자유 단부에 장착될 수 있을 만큼 상승 레일(18)이 위로 상승하면, 상기 상승 레일 연장부(20')는 예컨대 고정 핀에 의하여 상승 레일(18)에 부착되어 상승 레일(18)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도면 섹션 c)의 상승 위치에서,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은 상승 슈들(26, 34) 내에 상승 레일(18)을 경유하여 지지되고, 상승 레일 연장 부(20, 20')의 단부는 여전히 상승 슈들(24, 26) 내에 있다.
도면 섹션 d)에서, 상승 순서가 진행되고,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은 제3 콘크리트 섹션이 건설될 수 있는 위치에 있다. 상승 슈들(34, 36)의 캐치가 상승 레일(18)의 지지핀 아래에 맞물려, 상승 레일(18)이 상승 슈들(34, 36)을 경유하여 지지된다. 제1 상승 레일 연장부(20)가 상승 레일(18)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상승 레일 연장부(20') 또한 더 이상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을 가이드하거나 고정시킬 것이 요구되지 않는다. 상승 실린더(28) 또한 상승 슈(26)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상승 슈(26)는 또한 제1 콘크리트 섹션(40)으로부터 볼트가 풀려진다.
섹션 e)에서, 제3 콘크리트 섹션이 제2 콘크리트 섹션(42) 위에 건설될 수 있도록 내부 폼워크(13')가 콘크리트 섹션(42)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동시에, 천장 폼워크(53) 및 천장 지주(54)에 의하여 천장 섹션(45)을 콘크리팅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에 도시되는 상승 순서에 있어서,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이 외부 폼워크를 위하여 동시에 사용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는 명확성을 위하여 도시하지 않는다.
도 7은 작업 플랫폼(12) 및 외부 폼워크에 의하여 수행되는 a) 내지 d)의 네 순서의 상승 순서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되는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은 외부 폼워크로서 사용되어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콘크리트 섹션을 건설할 수 있다.
도면 섹션 a)에서 제1 콘크리트 섹션(40)이 공지의 벽 폼워크 구성 요소를 이용하여 콘크리팅된 후,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은 상승 슈들(24, 26)에 의하여 경화된 제1 콘크리트 섹션(40)에 고정된다. 제2 콘크리트 섹션(42) 또한 외부 폼워크(13)를 이용하여 생산된다. 도 7의 섹션 a)에서, 외부 폼워크(13)는 경화된 제2 콘크리트 섹션(42)으로부터 이미 멀리 이동되어 있으며, 상승 슈들(34, 36)은 경화된 제2 콘크리트 섹션에 이미 부착되어 있다. 제1 상승 레일 연장부(20)가 상승 레일(18)의 상부 자유 단부에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승 레일(18)의 하부 자유 단부 상에 제2 상승 레일 연장부(22)가 상승 레일(18)에 연접식으로 연결된다. 제2 상승 레일 연장부(22)는 마감 플랫폼 구성 요소를 수반한다. 상승 실린더(28)가 상승 슈(26) 상에 장착되고 상승 절차가 상승 실린더(28)를 경유하여 개시되면, 전체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이 콘크리트 섹션(40, 42)을 따라 상향 이동하고 마감 플랫폼이 중력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셋업된다. 작업 플랫폼(12) 및 마감 플랫폼(16)을 경유하여,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의 모든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도면 섹션 c) 및 d)에서,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이 외부 폼워크(13)가 제3 콘크리트 섹션을 위한 위치로 배치될 때까지 추가로 상향 이동한다. 작업 플랫폼(12)을 경유하여 제1 상승 레일 연장부(20)가 제거될 수 있고, 마감 플랫폼(16)을 경유하여 상승 슈(24) 및 상승 슈(26)가 분리가능한 슈들이면 필요에 따라 분해될 수 있다.
빌딩 섹터 내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10)에서, 상승 레일(18)이 상승 슈들(24, 26, 34, 36) 내에서 가이드되고, 상승 레일이 비계 유닛 내에 통합된다. 상기 비계 유닛은 또한 상승 레일(18)에 부착되는 작업 플랫폼(12) 및 마감 플랫폼(16)을 포함한다. 상승 레일 연장부(20, 22)가 상승 레일(18)의 자유 단부 상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이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상승 레일 연장부(20, 22)의 길이는 상승 레일(18)보다 짧다.
10: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
12: 작업 플랫폼 16:마감 플랫폼
13:외부 폼워크 13': 내부 폼워크
18: 상승 레일
20: 제1 상승 레일 연장부 22: 제2 상승 레일 연장부
24, 26, 34, 36: 상승 슈
28: 상승 실린더 30: 캐치
32: 지지핀 38: 앵커 지점
40: 제1 콘크리트 섹션 42: 제2 콘크리트 섹션
44: 제3 콘크리트 섹션 45, 46, 47: 천장 섹션
48: 연결부 50: 잠금핀
51: 스프링 핀 52: 연결핀
53: 천장 폼워크 54: 천장 지주

Claims (11)

  1. 비계 유닛 내에 통합되며 상승 슈(24, 26, 34, 36) 내에서 가이드되는 상승 레일(18)을 갖는 빌딩 섹터 내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10)을 갖는 콘크리트 섹션(40, 42, 44)으로서,
    상기 상승 슈(24, 26, 34, 36)는 경화된 콘크리트 섹션(40, 42, 44)에 부착되고, 상기 상승 레일(18)은 상기 상승 슈(24, 26, 34, 36) 내에서 이동가능하고 가이드되고 유지되며, 상기 연장 레일(18)의 자유 단부 상에 상승 레일 연장부(20, 20', 22)가 상기 상승 레일(18)보다 짧은 길이로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상승 레일(18)은 실질적으로 상기 콘크리트 섹션(40, 42, 44)의 높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섹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승 레일(18)의 적어도 하부 자유 단부 상에, 상기 상승 레일(18)보다 짧은 길이의 상승 레일 연장부(20', 22)가 탈착가능하고/하거나 피보팅 방식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10)을 갖는 콘크리트 섹션(40, 42, 44).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상승 레일 연장부(20, 20', 22)는 건설될 콘크리트 섹션(40, 42, 44)의 높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10)을 갖는 콘크리트 섹션(40, 42, 44).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 레일 연장부(20, 20', 22)의 길이가 서로의 상부에 직접 배열되는 두 개의 상승 슈(24, 25, 34, 36) 사이의 거리의 반과 동등하거나 그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10)을 갖는 콘크리트 섹션(40, 42, 44).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 레일 연장부(20, 20', 22)는 잠금핀(50)에 의하여 상기 상승 레일(18)의 자유 단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10)을 갖는 콘크리트 섹션(40, 42, 44).
  6. 청구항 5에 있어서, 각각의 상승 레일 연장부(20, 20', 22)는 두 개의 잠금핀(50)에 의하여 상승 레일(18)의 자유 단부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10)을 갖는 콘크리트 섹션(40, 42, 44).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 레일(18) 및 상승 레일 연장부(20, 20', 22)는 지지핀(32) 및 경우에 따라, 스페이서, 연결핀(52)에 의하여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결합되는 두 개의 프로파일 레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10)을 갖는 콘크리트 섹션(40, 42, 44).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계 유닛은 작업 플랫폼(12) 및 마감 플랫폼(1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10)을 갖는 콘크리트 섹션(40, 42, 44).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작업 플랫폼(12) 상에, 상기 작업 플랫폼(12) 상에서 이동가능한 외부 및 내부 폼워크(13; 13')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10)을 갖는 콘크리트 섹션(40, 42, 44).
  10.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승 실린더(28)가 상기 상승 슈(24, 26, 34, 36)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10)을 갖는 콘크리트 섹션(40, 42, 44).
  11.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 레일(18)의 하부 단부와 연접식으로 연결되는 상기 상승 레일 연장부(22)의 하부 자유 단부에, 마감 플랫폼(16)의 구성 요소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10)을 갖는 콘크리트 섹션(40, 42, 44).

KR1020107021201A 2008-03-25 2009-03-21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을 갖는 콘크리트 섹션 KR1012258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15682A DE102008015682A1 (de) 2008-03-25 2008-03-25 Schienengeführtes Selbstkletterschalungssystem mit Kletterschienen-Verlängerungsstücken
DE102008015682.5 2008-03-25
PCT/DE2009/000380 WO2009117986A1 (de) 2008-03-25 2009-03-21 Schienengeführtes selbstkletterschalungssystem mit kletterschienen-verlängerunqsstück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737A true KR20100123737A (ko) 2010-11-24
KR101225811B1 KR101225811B1 (ko) 2013-01-23

Family

ID=40933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1201A KR101225811B1 (ko) 2008-03-25 2009-03-21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을 갖는 콘크리트 섹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20110171336A1 (ko)
EP (2) EP2279310B1 (ko)
JP (1) JP5335889B2 (ko)
KR (1) KR101225811B1 (ko)
CN (2) CN102016199A (ko)
AU (1) AU2009229528B2 (ko)
CA (1) CA2718609C (ko)
DE (1) DE102008015682A1 (ko)
ES (2) ES2447867T3 (ko)
HK (1) HK1147536A1 (ko)
RU (1) RU2459058C2 (ko)
WO (1) WO200911798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493B1 (ko) * 2011-04-18 2011-07-21 명보산공 주식회사 수직 거푸집 지지용 거푸집지지 조립체를 설치하기 위한 매립 콘 장치, 이를 이용한 거푸집지지 조립체의 설치구조, 및 이를 이용한 수직 콘크리트 부재의 시공방법
KR101312400B1 (ko) * 2012-02-08 2013-09-27 현대알루미늄(주) 거푸집 고정수단이 구비된 안전작업발판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64996B2 (en) * 2008-01-22 2013-06-18 Dayton Superior Corporation Jump form system
DE102008021202A1 (de) * 2008-04-28 2009-10-29 Marcus Sundermann Schalung und Schalungsverfahren des Betonbaus
EP2365159B1 (en) * 2010-03-05 2013-01-30 ULMA C y E, S. COOP. Self-climbing perimetric protection system for construction works in buildings
KR20130061127A (ko) * 2010-04-14 2013-06-10 파우에스엘 인터나치오날 아게 조절 가능한 거푸집 클라이머
CN102134914B (zh) * 2011-02-17 2012-05-23 三一重工股份有限公司 建筑机械爬升装置及其自爬升方法、导向座和布料杆
US8714306B2 (en) 2011-03-29 2014-05-06 ULMA CyE, S. Coop. Perimetric protection system for buildings undergoing construction
US20130263549A1 (en) * 2012-04-04 2013-10-10 Helmark Steel, Inc. Safety screen system for steel erection work
JP5990427B2 (ja) * 2012-08-02 2016-09-14 鹿島建設株式会社 昇降式型枠の耐風補強方法
FI10031U1 (fi) * 2012-09-10 2013-03-26 Pohjolan Design Talo Oy Seinäteline
ES2589585T3 (es) * 2013-04-09 2016-11-15 Meva Schalungs-Systeme Gmbh Sujeción para un patín de guía de un sistema trepante para encofrados de hormigón
CN103342269B (zh) * 2013-07-11 2016-03-30 中建三局建设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超高层施工电梯的附着机构及顶升方法
ES2621479T3 (es) * 2013-11-12 2017-07-04 Ulma C Y E, S. Coop. Sistema autotrepante para andamios en obras de construcción de edificios
US9963889B2 (en) * 2013-12-17 2018-05-08 Shenzhen Techen Technology Co., Ltd Sealed and integrated climbing scaffold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101604994B1 (ko) 2014-01-10 2016-03-21 주식회사 엔텍이엔지 추락방지 장치
CN103711308B (zh) * 2014-01-17 2016-05-04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工具式钢柱支撑钢平台爬升系统及其使用方法
CN103806645B (zh) * 2014-02-18 2016-01-06 中国建筑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良好抗风防火性能的轻型智能液压爬模装置
US9422732B2 (en) 2014-04-28 2016-08-23 Ted Gower Slidable barriers
CN103967263B (zh) * 2014-05-23 2016-04-20 北京市建筑工程研究院有限责任公司 液压自动爬升卸料平台
CN105298114A (zh) * 2015-02-11 2016-02-03 中建四局第三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铝合金模板与爬架配合施工方法
CN106150059B (zh) * 2015-03-23 2019-05-24 深圳市特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爬楼机器人
US10465401B2 (en) * 2015-04-15 2019-11-05 Ronald A. Bullock Construction safety net support apparatus
DE102016205956A1 (de) * 2016-04-08 2017-10-12 Peri Gmbh Selbstklettersystem, Selbstklettereinheit sowie Verfahren zum Umsetzen einer solchen Selbstklettereinheit an einem Betonbaukörper
CN106185549A (zh) * 2016-09-22 2016-12-07 中建八局第四建设有限公司 一种施工电梯的附墙装置
DE102016125549A1 (de) * 2016-12-23 2018-06-28 Tries Gmbh & Co. Kg Klettervorrichtung mit einer Kletterschiene
WO2018223144A1 (en) * 2017-06-02 2018-12-06 Zitting James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ng vertical slip forming in concrete construction
ES2695626B2 (es) 2017-06-30 2020-05-19 Hws Concrete Towers S L Dispositivo auto-trepante por superficies de hormigón verticales y cuasi-verticales y procedimiento de operación.
CN107762143A (zh) * 2017-09-27 2018-03-06 中国建筑股份有限公司海拓工程分公司 用于改善剪力墙钢筋施工空间的爬模系统
EP3470602A1 (en) * 2017-10-10 2019-04-17 DOKA GmbH Formwork and method for erection of a concrete structure
DE102018202097A1 (de) * 2018-02-12 2019-08-14 Peri Gmbh Klettersystem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Klettersystems
DE102018117727A1 (de) 2018-07-23 2020-01-23 Peri Gmbh Hubantrieb für ein schienengeführtes klettersystem
IT201800008150A1 (it) 2018-08-22 2020-02-22 Faresin Formwork Spa Dispositivo di supporto e guida di una trave di cassaforma rampicante e tale trave
IT201800008149A1 (it) * 2018-08-22 2020-02-22 Faresin Formwork Spa Trave di cassaforma rampicante, atta alla connessione con un dispositivo di supporto e guida della stessa trave
CN109252656B (zh) * 2018-09-20 2021-07-16 南通四建集团有限公司 高层建筑爬升模板及组装、灌注和提升方法
DE102018123405A1 (de) 2018-09-24 2020-03-26 Peri Gmbh Klettereinrichtung für ein schalungsgerüst
CN109797967A (zh) * 2019-03-20 2019-05-24 杭州昂创科技有限公司 高大模板对称悬挂爬升式三角桁架支撑体系的施工方法
DE102019203959A1 (de) 2019-03-22 2020-09-24 Hünnebeck GmbH Tragwerksystem für die Herstellung von Bauwerken
DE102019115346A1 (de) * 2019-06-06 2020-12-10 Peri Gmbh Anordnung von einer kletterschiene und einer kletterhubschiene für ein schienengeführtes klettersystem
CN110388048A (zh) * 2019-07-16 2019-10-29 中交一公局第二工程有限公司 一种液压爬模装置
ES2804038B2 (es) 2019-07-30 2021-11-18 Hws Concrete Towers S L Anclaje para estructura autotrepante
US11655641B2 (en) * 2019-12-29 2023-05-23 The Third Construction Co., Ltd Of China Construction Third Engneering Bureau Construction building equipme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DE102020214454A1 (de) 2020-11-17 2022-05-19 Doka Gmbh Klettergerüst
DE102020214455A1 (de) 2020-11-17 2022-05-19 Doka Gmbh Klettergerüst
EP4108850A1 (en) 2021-06-25 2022-12-28 Premform Limited Climbing system for multi-level building construction
DE102021130381A1 (de) * 2021-11-19 2023-05-25 Werner Badorrek Mobile Plattform für Fassade
DE102022214177A1 (de) 2022-07-20 2024-01-25 Hünnebeck GmbH Kletterschuh, Klinkenvorrichtung, Befestigungsteil und Verfahren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18374A (en) * 1936-02-19 1938-05-24 Doyle Conrad Walton Concrete form
US3071837A (en) * 1959-10-02 1963-01-08 Blaw Knox Co Concrete forms
US3472477A (en) * 1967-01-16 1969-10-14 Paul Juhl Support bracket for concrete forms
FR2298662A1 (fr) 1975-01-27 1976-08-20 St Amand Outinord Coffrage auto-relevable
US4040774A (en) * 1976-04-29 1977-08-09 Research-Cottrel, Inc. Apparatus for constructing concrete walls
US4140466A (en) * 1977-05-31 1979-02-20 Snow Harold A Apparatus for forming walls
JPS54108430A (en) * 1978-02-14 1979-08-25 Morooka Tatsuo Method of constructing concrete structure and flask device used for said method
DE2814930C2 (de) * 1978-04-06 1986-07-03 Peri-Werk Artur Schwörer GmbH & Co KG, 7912 Weißenhorn Klettergerüst
SU850846A1 (ru) * 1979-10-22 1981-07-30 Mezhevoj Genij N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 вертикальнойКОНСТРуКции из МОНОлиТНОгО жЕлЕзО-бЕТОНА
DE2947210C2 (de) * 1979-11-23 1986-05-15 Industrie-Gleitbaugesellschaft Ahl & Co mbH, 5000 Köln Gerät zum Heben gleitender Formen an Stahlstangen zur Herstellung von Betonbauwerken u.dgl.
DE3006491C2 (de) * 1980-02-21 1983-01-05 Streif AG, 5461 Vettelschoß Versetzbares, an einem Bauwerk verankertes Gerüst
FR2487410A1 (fr) * 1980-07-24 1982-01-29 Bouygues Sa Coffrage grimpant pour la coulee de parois en beton
US4397441A (en) * 1981-07-23 1983-08-09 Anthes Equipment Ltd. Wall form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JPS59136844A (ja) 1983-01-26 1984-08-06 Nec Corp デ−タ入力装置
JPS59136844U (ja) * 1983-03-01 1984-09-12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スリツプフオ−ム装置
US4562989A (en) * 1984-10-02 1986-01-07 Peabody Continental-Heine Co. Apparatus for construction of concrete walls
US4611784A (en) * 1985-01-10 1986-09-16 Harsco Corporation Safety lock for jump scaffolding
ATA165386A (de) * 1986-06-17 1992-10-15 Rund Stahl Bau Gmbh & Co Schalung
CN1037184A (zh) 1988-04-29 1989-11-15 吕琼茹 整装整拆提升钢模
DE3844977C2 (de) * 1988-12-14 1997-10-23 Peri Werk Schwoerer Kg Artur Kletterschalungs-Verschiebebühne und Verfahren zu deren Betrieb
DE3842092A1 (de) * 1988-12-14 1990-06-21 Peri Werk Schwoerer Kg Artur Schalungsvorrichtung
FR2644498B1 (fr) * 1989-03-16 1991-07-05 Gen Ind Entreprise Procede de montage de planchers dans une coque dont la paroi de beton est erigee par une installation de coffrage autogrimpant continu; installation de coffrage autogrimpant continu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JP3020186B2 (ja) * 1992-01-16 2000-03-15 大成建設株式会社 ダム型わくの移設作業装置
AT397404B (de) * 1992-06-12 1994-04-25 Rund Stahl Bau Gmbh & Co Einrichtung zum errichten von bauwerkswänden
DE4302197A1 (de) * 1993-01-27 1994-07-28 Peri Gmbh Kletter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lettergerüst
JP2874539B2 (ja) * 1993-12-10 1999-03-24 株式会社大林組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及びこの方法に用いられる堰板
JPH08144514A (ja) * 1994-11-17 1996-06-04 Hory Corp 昇降機能を備えた足場付型枠装置及び足場付型枠装置を利用したコンクリート壁等の構築方法
DE19639038C1 (de) * 1996-09-23 1998-06-04 Doka Ind Gmbh Kletterschalungssystem und Verfahren zum sukzessiven Betonieren von hohen vertikalen Wänden
CN2303893Y (zh) * 1997-08-07 1999-01-13 桂向东 多功能滑车升降模架
US6557817B2 (en) * 2000-01-18 2003-05-06 Wilian Holding Company Wall climbing form hoist
AU2002951070A0 (en) * 2002-08-29 2002-09-12 Formula One Self Driving Screens Pty Ltd A lifting or transporting means using a reciprocating jack
CN2653044Y (zh) * 2003-09-02 2004-11-03 江都市庆华机械制造厂 筑墙升模装置
CN2660028Y (zh) * 2003-09-18 2004-12-01 山东省路桥集团有限公司 液压自升爬模
DE60331375D1 (de) * 2003-11-27 2010-04-01 Ulma C Y E S Coop Verspannungssystem für verschalungen, gerüste oder sich bewegende lasten im allgemeinen
KR100475544B1 (ko) * 2004-08-04 2005-03-14 주식회사 용주 고층건물의 콘크리트벽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승강시스템
DE102005030336A1 (de) 2005-06-29 2007-01-04 Peri Gmbh Schienengeführtes Klettersystem
DE102005030332A1 (de) 2005-06-29 2007-01-04 Peri Gmbh Angelenkter Kletterschuh einer Kletterschalung
DE102005030335A1 (de) 2005-06-29 2007-01-04 Peri Gmbh Kletterzylinder einer Selbstkletterschalung
DE102005030333C5 (de) 2005-06-29 2017-09-28 Peri Gmbh Teilbarer Kletterschuh einer Kletterschalung
CN100351484C (zh) * 2005-11-07 2007-11-28 中建一局建设发展公司 可升降液压爬升模板及其施工方法
KR200423750Y1 (ko) * 2006-05-19 2006-08-11 금강공업 주식회사 가설대 승강장치
DE102006026201B4 (de) 2006-06-06 2008-04-10 Doka Industrie Gmbh Selbstklettersystem
CN100387796C (zh) * 2006-08-28 2008-05-14 杨秋利 自动液压爬升模板
DE102007018853A1 (de) 2007-04-20 2008-10-30 Doka Industrie Gmbh Selbstkletter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493B1 (ko) * 2011-04-18 2011-07-21 명보산공 주식회사 수직 거푸집 지지용 거푸집지지 조립체를 설치하기 위한 매립 콘 장치, 이를 이용한 거푸집지지 조립체의 설치구조, 및 이를 이용한 수직 콘크리트 부재의 시공방법
KR101312400B1 (ko) * 2012-02-08 2013-09-27 현대알루미늄(주) 거푸집 고정수단이 구비된 안전작업발판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515602A (ja) 2011-05-19
CN103556816A (zh) 2014-02-05
CA2718609A1 (en) 2009-10-01
CN103556816B (zh) 2016-06-22
WO2009117986A8 (de) 2009-12-17
EP2279310B1 (de) 2013-12-04
AU2009229528B2 (en) 2011-07-14
WO2009117986A1 (de) 2009-10-01
JP5335889B2 (ja) 2013-11-06
EP2279310A1 (de) 2011-02-02
RU2010143426A (ru) 2012-04-27
US20130318888A1 (en) 2013-12-05
CN102016199A (zh) 2011-04-13
CA2718609C (en) 2013-06-04
US8673189B2 (en) 2014-03-18
US20110171336A1 (en) 2011-07-14
RU2459058C2 (ru) 2012-08-20
ES2447867T3 (es) 2014-03-13
ES2599427T3 (es) 2017-02-01
DE102008015682A1 (de) 2009-10-08
HK1147536A1 (en) 2011-08-12
KR101225811B1 (ko) 2013-01-23
EP2725166B1 (de) 2016-09-14
AU2009229528A1 (en) 2009-10-01
EP2725166A1 (de) 201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5811B1 (ko)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을 갖는 콘크리트 섹션
KR20180130537A (ko) 자체-인양 시스템, 자체-인양 유닛 및 이러한 자체-인양 유닛을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 상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CN102661039A (zh) 筒架支撑式动力内置整体顶升钢平台模架体系及施工方法
CN109457951B (zh) 收分剪力墙模架系统及其施工方法
JP2010048060A (ja) 構造物の構築方法
KR102059552B1 (ko) 장대교량 주탑용 철근 선시공 작업대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방법
KR101889064B1 (ko) 장대교량의 주탑 시공방법
US9683338B2 (en) Form traveller for the construction of engineering works
CN106150525A (zh) 一种岩锚梁施工台车及其施工方法
CN106522541B (zh) 一种钢平台的模板吊点承重梁及模板系统的吊装方法
KR102387167B1 (ko) 갱폼 클라이밍 시스템
ITBO990704A1 (it) Sistema per costruire viadotti .
KR101140884B1 (ko) 건축물의 벽체 시공용 거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10105489A (ko) 슬래브 개구부를 통해 상승하는 테이블폼을 이용한 고층 건축물 축조 공법
FI64434B (fi) Anordning foer gjutning av betongvaeggar
ITPR20120022A1 (it) Testa di sostegno per la realizzazione di una sovrastruttura
CN206111212U (zh) 一种岩锚梁施工台车
CN103821360A (zh) 高空大跨度悬挑模架施工方法
CN105019657A (zh) 建筑建造系统
CN202108241U (zh) 球形储罐组装用移动挂架
CN109469083B (zh) 基础梁钢筋笼装配系统及其施工方法
CN114412152A (zh) 高层集群项目大跨度悬挑结构施工工字钢脚手架的工法
KR102585356B1 (ko) 임베드플레이트 시공이 용이한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시스템 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초고층 엘리베이터용 임베드플레이트 시공방법
CN103821335A (zh) 高空大跨度悬挑模架
JP3985212B2 (ja) 移動用足場およびケーソン構築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