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4994B1 - 추락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추락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4994B1
KR101604994B1 KR1020140003593A KR20140003593A KR101604994B1 KR 101604994 B1 KR101604994 B1 KR 101604994B1 KR 1020140003593 A KR1020140003593 A KR 1020140003593A KR 20140003593 A KR20140003593 A KR 20140003593A KR 101604994 B1 KR101604994 B1 KR 101604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hole
engaged
coupled
fall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3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3719A (ko
Inventor
박태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텍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텍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텍이엔지
Priority to KR1020140003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4994B1/ko
Publication of KR20150083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8Devices for preventing persons from falling
    • E06C7/181Additional gripping devices, e.g. handrails
    • E06C7/182Additional gripping devices, e.g. handrails situated at the top of the ladder

Abstract

추락방지 장치의 일 실시예는, 작업자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사다리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부재; 상기 제1부재의 상부에 가장자리 부위가 결합하고, 상기 제1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부재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작업자가 상기 사다리를 통해 이동하는 통로를 개폐하는 제2부재; 일측은 상기 제1부재와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제2부재와 결합하는 제3부재; 및 중앙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사다리에 결합하며, 상기 관통홀에 상기 제1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제1부재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제4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추락방지 장치{Fall Protection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간단하고, 조작이 쉬우면서 작업자가 작업장소에서 추락하는 사고를 줄일 수 있는 추락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화학플랜트, 발전소 기타 대규모 생산설비에는 연통, 화학반응탑 등 거대한 장치들이 구비된다. 이러한 거대장치들에는 보수 등을 위해서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사다리가 설치되고, 작업자가 작업을 하는 작업장소에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가이드레일 등이 설치된다.
이러한 작업장소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등의 안전장치는 작업장소의 측부에 설치되고, 작업자가 작업장소로 들어가거나 나오는 위치 즉, 사다리가 상하방향으로 설치되고, 사다리의 상부에 위치하는 작업장소와 사다리가 연결되는 통로에는 일반적으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가 설치되는 경우가 드물다.
또한, 이러한 통로에 안전장치가 설치되는 경우에도, 이러한 추락방지를 위한 안전장치는 일측이 힌지결합하여 작업자가 안전장치를 상하방향으로 밀거나 당겨 개폐할 수 있는 판형의 여닫이 문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여닫이 형의 안전장치는 작업자가 통로를 통해 작업장소로 들어갈 경우, 작업자가 한 손으로 사다리의 일부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여닫이 형의 안전장치를 상방으로 밀어서 열게 된다.
이 경우 여닫이 형의 안전장치는 상당한 하중을 가지고 있으므로, 작업자는 안전장치의 하중을 이겨낼 정도의 힘을 안전장치에 가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한 손으로 사다리의 일부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안전장치를 여는 순간, 작업자의 자세는 매우 불안정하여 작업자가 추락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작업장소를 빠져나가기 위해 여닫이 형의 안전장치를 열고, 사다리와 연결되는 통로를 통해 사다리로 내려가는 경우, 여닫이 형의 안전장치를 당겨서 연 후 사다리로 내려가서 안전장치를 다시 닫는 경우에도 작업자는 한 손으로 사다리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안전장치를 잡아당겨야 하므로 작업자의 자세는 매우 불안정하여 작업자가 추락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견고하고, 조작이 쉬우면서 작업자가 작업장소에서 추락하는 사고를 줄일 수 있는 추락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추락방지 장치의 일 실시예는, 작업자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사다리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부재; 상기 제1부재의 상부에 가장자리 부위가 결합하고, 상기 제1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부재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작업자가 상기 사다리를 통해 이동하는 통로를 개폐하는 제2부재; 일측은 상기 제1부재와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제2부재와 결합하는 제3부재; 및 중앙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사다리에 결합하며, 상기 관통홀에 상기 제1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제1부재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제4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제1부재와 결합하는 부위에서 상기 제1부재를 향하여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부재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삽입홈은, 상기 삽입부의 중앙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부재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상기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부재의 단부가 삽입되는 돌출부; 및 상기 제2부재와 고정적으로 결합하는 고정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제2부재의 외형을 형성하는 가장자리부; 및 다수로 구비되고, 양측이 상기 가장자리부의 내부에 결합하며, 각각 서로 간격을 두고 정렬하는 안전바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가장자리부는, 적어도 일부가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추락방지 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상기 제1부재 사이에는 베어링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부재는, 상기 사다리로부터 돌출형성되는 회전결합부와 결합하고, 상기 회전결합부 상에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일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추락방지 장치는, 제작이 용이하고, 견고한 구조를 가지고, 작업자가 안전하게 사다리를 통해 이동하는 통로를 개폐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상기 통로를 통해 추락하여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추락방지 장치는, 상하방향이 아닌 수평방향으로 움직여 작업장소와 사다리가 연결되는 통로를 개폐할 수 있으므로, 추락방지 장치의 하중으로 인한 작업자의 불안정한 자세를 유발하지 않고, 따라서, 작업자의 불안정한 자세로 인한 작업자의 추락사고 발생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타낸 추락방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 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타낸 추락방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 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추락방지 장치는 작업자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사다리(10)의 상부와 작업장소가 연결되는 부위에 설치되고, 제1부재(100), 제2부재(200), 제3부재(300) 및 제4부재(400)를 포함한다.
제1부재(100)는 사다리(1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제1부재(100)는 하부에서 사다리(10)로부터 돌출형성되는 회전결합부(11)와 하부에서 결합하고, 회전결합부(11) 상에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회전결합부(11)는 일측이 사다리(10)와 고정적으로 결합하고, 상면은 제1부재(100)의 하단면과 접촉하여 제1부재(100)를 포함하는 추락방지 장치의 전체 하중을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제2부재(200)는 제1부재(100)의 상부에 가장자리 부위가 결합하고, 제1부재(100)가 회전함에 따라 제1부재(100)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작업자가 사다리(10)를 통해 이동하는 통로(20)를 개폐하는 역할을 하고, 삽입부(210), 가장자리부(220) 및 안전바(230)를 포함한다.
작업자는 사다리(10)를 통해 추락방지 장치의 하부로 접근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장소에 이르는 통로(20)가 제2부재(200)에 의해 폐쇄된 상태의 추락방지 장치를 회전시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부재(200)를 개방하여 확보되는 통로(20)를 통해 작업장소에 도착한다.
작업자는 추락방지 장치를 상하방향이 아닌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통로(20)를 폐쇄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 작업자는 추락방지 장치의 하중에 비해 현저히 작은 힘으로 통로(20)를 폐쇄하거나 개방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추락방지 장치에 무리한 힘을 가할 필요가 없고, 추락방지 장치의 개폐시 안정적 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작업장소 또는 그 부근에서 추락하는 안전사고의 발생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작업장소에 도착한 작업자는 추락방지 장치를 회전시켜 다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부재(200)에 의해 통로(20)를 폐쇄하여 작업자가 작업 중 통로(20)를 통해 추락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삽입부(210)는 제1부재(100)와 결합하는 부위에서 제1부재(100)를 향하여 돌출형성되고, 제1부재(100)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211)이 형성되며, 돌출부(212) 및 고정결합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212)는 제1부재(100)를 향하여 돌출형성되고, 중앙부에 삽입홈(211)이 형성되어 제1부재(100)의 단부가 삽입되어 제1부재(100)와 제2부재(200)가 결합하는 부위이다. 고정결합부(213)는 돌출부(212)와 제2부재(200) 사이에 배치되고, 상면이 제2부재(200)에 고정적으로 결합하고, 하면이 돌출부(212)와 고정적으로 결합한다.
제2부재(200)는 주로 두께가 얇은 가장자리부(220)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로 구비되는 안전바(230)로 형성되므로, 삽입부(210)를 제2부재(200)에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고정결합부(213)는 상하면의 면적이 비교적 넓은 강판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가장자리부(220)는 제2부재(200)의 외형을 형성하고, 길이가 긴 강판의 양단을 고정적으로 결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가장자리부(220)의 형상은 통로(20)의 형상. 제작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적어도 일부가 원형, 타원형, 다각형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안전바(230)는 다수로 구비되고, 양측이 가장자리부(220)의 내부에 결합하며, 각각 서로 간격을 두고 정렬한다. 안전바(230)는 통로(20)를 폐쇄하여 작업자의 작업중 부주의 등으로 인한 추락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안전바(230)의 개수와 간격은 제2부재(200)의 하중, 추락방지에 기여하는 효과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가장자리부(220)와 안전바(230)에 의해 형성되는 제2부재(200)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통로(20)를 폐쇄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제2부재(200)는 어떠한 형상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
제3부재(300)는 일측은 제1부재(100)와 결합하고, 타측은 제2부재(200)와 결합하며, 수직방향과 비교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제1부재(100)와 제2부재(200)에 결합하여 제1부재(10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부재(200)가 아래로 처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3부재(300)는 작업자가 작업장소에서 제2부재(200)를 밟는 등의 경우가 발생할 때 작업자의 하중을 제2부재(200)가 지탱하여 제2부재(200)가 아래로 처져 작업자가 추락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3부재(300)는 작업자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적당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제4부재(400)는 중앙부에 관통홀(410)이 형성되고, 사다리(10)에 결합하며, 관통홀(410)에 제1부재(100)가 삽입되고, 제1부재(100)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추락방지 장치가 사다리(10)에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제4부재(400)는 사다리(10)와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것이 적절하다.
제1부재(100)가 제4부재(400)의 내부에서 원활히 회전할 수 있도록, 관통홀(410)의 직경은 제1부재(10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필요가 있다. 다만, 관통홀(410)의 직경과 제1부재(100)의 외경의 차이가 크면 제1부재(100)의 흔들림이 심해질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관통홀(410)의 직경과 제1부재(100)의 외경의 차이를 적절히 선정한다.
한편, 추락방지 장치는 베어링(500)이 구비될 수 있다. 베어링(500)은 관통홀(410)과 관통홀(410)에 삽입되는 제1부재(100) 사이에 구비되어 제1부재(10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베어링(500)은 제1부재(10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저널베어링, 볼베어링 기타 다양한 종류의 베어링을 사용할 수 있다.
추락방지 장치를 구성하는 제1부재(100), 안전바(230), 제3부재(300) 및 제4부재(400)는, 추락방지 장치의 하중을 줄일 수 있고, 견고하며,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재료, 예를 들어 중공이 있는 봉형 강재 등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적절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내용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10: 사다리 11: 회전결합부
20: 통로 100: 제1부재
200: 제2부재 210: 삽입부
211: 삽입홈 212: 돌출부
213: 고정결합부 220: 가장자리부
230: 안전바 300: 제3부재
400: 제4부재 410: 관통홀
500: 베어링

Claims (8)

  1. 작업자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사다리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부재;
    상기 제1부재의 상부에 가장자리 부위가 결합하고, 상기 제1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부재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작업자가 상기 사다리를 통해 이동하는 통로를 개폐하는 제2부재;
    일측은 상기 제1부재와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제2부재와 결합하는 제3부재; 및
    중앙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사다리에 결합하며, 상기 관통홀에 상기 제1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제1부재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제4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부재는 상기 제 1 부재와 결합하는 부위에서 상기 제 1 부재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부재의 상부는 상기 삽입홈과 결합되고, 상기 제 1 부재의 하부는 사다리로부터 돌출형성되는 회전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 1 부재는 상기 삽입홈과 회전결합부를 연결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사다리 이동 통로용 추락방지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삽입부의 중앙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부재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이동 통로용 추락방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부재의 단부가 삽입되는 돌출부; 및
    상기 제2부재와 고정적으로 결합하는 고정결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이동 통로용 추락방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제2부재의 외형을 형성하는 가장자리부; 및
    다수로 구비되고, 양측이 상기 가장자리부의 내부에 결합하며, 각각 서로 간격을 두고 정렬하는 안전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이동 통로용 추락방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부는,
    적어도 일부가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상기 제1부재 사이에는 베어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이동 통로용 추락방지 장치.
  8. 삭제
KR1020140003593A 2014-01-10 2014-01-10 추락방지 장치 KR101604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593A KR101604994B1 (ko) 2014-01-10 2014-01-10 추락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593A KR101604994B1 (ko) 2014-01-10 2014-01-10 추락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719A KR20150083719A (ko) 2015-07-20
KR101604994B1 true KR101604994B1 (ko) 2016-03-21

Family

ID=53873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3593A KR101604994B1 (ko) 2014-01-10 2014-01-10 추락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499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148Y1 (ko) 2005-10-20 2006-01-25 황재모 고소작업용 사다리의 안전장치
KR200411552Y1 (ko) 2006-01-03 2006-03-15 장귀재 출입문 힌지
KR101225811B1 (ko) 2008-03-25 2013-01-23 페리 게엠베하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을 갖는 콘크리트 섹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148Y1 (ko) 2005-10-20 2006-01-25 황재모 고소작업용 사다리의 안전장치
KR200411552Y1 (ko) 2006-01-03 2006-03-15 장귀재 출입문 힌지
KR101225811B1 (ko) 2008-03-25 2013-01-23 페리 게엠베하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을 갖는 콘크리트 섹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719A (ko) 201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1093Y1 (ko) 캡을 구비하는 a-캐리어
KR101240784B1 (ko) 리프트 장치
KR101604994B1 (ko) 추락방지 장치
KR101934763B1 (ko) 케이블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KR101279802B1 (ko) 천장 크레인용 집전장치
KR101873394B1 (ko) 건축용 클라이밍 시스템의 고정슈
KR200477570Y1 (ko) 내풍압 셔터용 윈드락
KR100875439B1 (ko) 슬래브통 통키 역방향 회전 제어장치
KR20150002894U (ko) 케이블 풀림기
KR102058942B1 (ko) 작업자 추락 방지용 안전도어
CN110872060B (zh) 设备吊装移动机构和移动收纳装置
JP5935165B2 (ja) マンホール用梯子
JP5639951B2 (ja) 安全柵構築装置
KR20140116286A (ko) 사다리용 안전 출입문
KR20150004041U (ko) 흔들림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곤돌라
CN117101039A (zh) 高空作业锁扣及高空作业锁扣的使用方法
JP6646966B2 (ja) 足場における隙間埋め板装置
CN113775168B (zh) 吊篮安装结构
CN204344001U (zh) 防光杆断脱装置
DE102020117977B3 (de) Aushubvorrichtung
KR20170043288A (ko) 자동 닫힘 덮개를 포함하는 고소 작업대 구조물
KR102045901B1 (ko) 고소 작업용 안전장치
CN202672688U (zh) 移动作业平台安全停启装置
JP6132757B2 (ja) 乗客コンベア装置
KR100856138B1 (ko) 곤도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