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5901B1 - 고소 작업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고소 작업용 안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45901B1 KR102045901B1 KR1020180079339A KR20180079339A KR102045901B1 KR 102045901 B1 KR102045901 B1 KR 102045901B1 KR 1020180079339 A KR1020180079339 A KR 1020180079339A KR 20180079339 A KR20180079339 A KR 20180079339A KR 102045901 B1 KR102045901 B1 KR 1020459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aerial work
- locking
- worker
- safety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 구조물의 건설 현장이나 조명탑, 전봇대, 굴뚝 등과 같이 지상으로부터 높은 위치에서 각종 작업을 함에 있어서 작업자가 부주의로 인해 뜻하지 않게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고소 작업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소 작업 위치를 향해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고소 작업용 구조물에 결합이 가능한 바디와, 이 바디에 대응하는 높이로 이루어져 바디를 상대로 이격 공간을 형성하면서 결합되는 지주와, 이 지주에서 바디와 대향하는 부위에 높이 방향을 따라 상하 간격을 두고서 복수 개가 구비되되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지주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가짐과 아울러 바디와 간극을 둔 상태로 고정부에 힌지축으로 결합되어 아래로부터 위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향 회전이 가능하면서 위로부터 아래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서는 걸림턱에 걸림 작용되는 회전부를 가진 걸림지지구와, 바디와 회전부 사이의 간극보다 큰 두께로 이루어져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벨트에 연결됨과 아울러 회전부와 지주에 고리형으로 걸리게 되어 작업자가 고소 작업용 구조물에서 상향 이동시에는 회전부를 상향 회전시키면서 복수 개의 걸림지지구에 차례로 고리형으로 걸리면서 이동하되 고정부의 걸림턱에 대한 회전부의 걸림 작용에 의해 하향 이동은 방지되는 고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소 작업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고층 구조물의 건설 현장이나 조명탑, 전봇대, 굴뚝 등과 같이 지상으로부터 높은 위치에서 각종 작업을 함에 있어서 작업자가 부주의로 인해 뜻하지 않게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고소 작업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구조물의 건설 현장이나 산업현장에서 시설물을 유지 보수하기 위한 작업은 작업자의 안전을 최우선시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고층건물의 외벽, 조명탑, 전봇대, 굴뚝, 탱크 등은 지상으로부터 높은 위치에서 작업을 요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작업 도중에 부주의로 인해 추락하는 경우에는 사망하거나 중상을 입는 중대한 인명사고로 이어지므로 반드시 안전장비를 착용하여야 함은 물론 추락에 대비한 안전망 등의 시설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산업안전규칙을 철저하게 준수하지 않거나 무시함으로 인해 작업자의 추락 및 사망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고소 작업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 중의 하나가 고소 작업용 사다리이다. 이것은 높은 작업 위치까지 작업자가 쉽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으나, 작업자가 오르내릴 때 안전 로프가 사다리에 잘 지지되어야만 한다.
이와 관련하여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 1은 작업자가 사다리를 오를 때 추락의 염려없이 신속하게 올라갈 수 있도록 하는 고소 작업용 사다리를 개시하고 있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좌우 양쪽 지지대의 어느 한쪽에 이동통로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동통로의 양측에 활동홈과 걸림턱이 연속적으로 번갈아 형성되고, 각 활동홈의 내하부에는 하강방지구가 축핀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이동통로의 내측에는 이동자가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이동자가 하강방지구를 밑에서 위로 밀고 올라갈 때는 축핀을 중심으로 양측 하강방지구가 회전하지만, 위에서 아래로 이동자가 내려올 때는 걸림턱에 평행하게 걸려있는 하강방지구에 이동자가 걸리기 때문에 밑으로 내려가지 못하며, 만일 작업자가 추락할 경우 이러한 작동에 의하여 작업자의 추락이 저지된다. 그런데 특허문헌 1에도 기재된 바와 같이, 이동자가 결합 설치된 지지대의 전면에는 이동자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면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적절한 덮개가 설치되어야 한다.
위와 같이 특허문헌 1의 사다리에 나타난 안전장치는 하강방지구가 좌우 한 쌍씩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전체 하강방지구의 개수가 다량으로 요구되고, 이동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가 용접 또는 체결구 등에 의해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구성이 매우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제작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가격이 비싸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특허문헌 1 이외에 고소 작업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에 대한 문헌으로는, 추락에 따른 제동시 걸림쇠와 레일간의 접촉면적의 증가로 현저한 제동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특허문헌 2의 추락방지장치와, 작업자가 추락하는 경우 착용한 안전와이어의 하강을 감속수단에 의해 강제로 제동시키는 특허문헌 3의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 등도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구성이 매우 간소하면서 제작 비용도 저렴함은 물론 고소 작업시 작업자의 추락 사고를 미연에 충분히 방지할 수 있는 고소 작업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작업용 안전장치는, 고소 작업 위치를 향해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고소 작업용 구조물에 결합이 가능한 바디와, 이 바디에 대응하는 높이로 이루어져 바디를 상대로 이격 공간을 형성하면서 결합되는 지주와, 이 지주에서 바디와 대향하는 부위에 높이 방향을 따라 상하 간격을 두고서 복수 개가 구비되되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지주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가짐과 아울러 바디와 간극을 둔 상태로 고정부에 힌지축으로 결합되어 아래로부터 위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향 회전이 가능하면서 위로부터 아래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서는 걸림턱에 걸림 작용되는 회전부를 가진 걸림지지구와, 바디와 회전부 사이의 간극보다 큰 두께로 이루어져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벨트에 연결됨과 아울러 회전부와 지주에 고리형으로 걸리게 되어 작업자가 고소 작업용 구조물에서 상향 이동시에는 회전부를 상향 회전시키면서 복수 개의 걸림지지구에 차례로 고리형으로 걸리면서 이동하되 고정부의 걸림턱에 대한 회전부의 걸림 작용에 의해 하향 이동은 방지되는 고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걸림지지구의 고정부가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기 위한 삽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는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바디를 향하는 선단 부분이 삽입홈 안에 위치하는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고소 작업용 구조물에 밀착되는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주는 바디와 대향하는 상태로 바디의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연결봉에 의해 일체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걸림지지구의 고정부와 회전부는 수평상태로부터 상향 경사진 각도로 지주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걸림지지구의 회전부에는 고정구가 바디 쪽으로 밀려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고소 작업용 안전장치는 구성 요소의 수량이 적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함은 물론 제작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장치는 고소 작업용 구조물에 결합하여 사용하거나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소 작업용 안전장치는 고소 작업시 작업자의 추락 사고를 미연에 충분히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산업 안전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를 고소 작업용 구조물에 결합된 상태로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의 (a),(b)는 각각 도 1의 안전장치를 구성하는 걸림지지구의 작동 전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와 도 3(b)는 각각 도 1의 걸림지지구가 삽입된 지주의 단면 구조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작업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안전벨트에 연결된 고정구가 도 1의 걸림지지구와 지주에 걸려 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a),(b)는 각각 도 1의 안전장치를 구성하는 걸림지지구의 작동 전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와 도 3(b)는 각각 도 1의 걸림지지구가 삽입된 지주의 단면 구조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작업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안전벨트에 연결된 고정구가 도 1의 걸림지지구와 지주에 걸려 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를 고소 작업용 구조물에 결합된 상태로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의 (a),(b)는 각각 도 1의 안전장치를 구성하는 걸림지지구의 작동 전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a)와 도 3(b)는 각각 도 1의 걸림지지구가 삽입된 지주의 단면 구조를 예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작업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안전벨트에 연결된 고정구가 도 1의 걸림지지구와 지주에 걸려 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시된 고소 작업용 안전장치는 고소 작업 위치를 향해 높이 방향(즉,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바디(10)를 갖는다. 이 바디(10)는 고강도 알루미늄합금(예를 들면 두랄루민)으로 이루어지거나, 고소 작업용 구조물(100)에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쉽게 결합이 될 수 있는 구조용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고소 작업용 안전장치는 하나의 사다리 기능을 하는 독립적인 물건으로서 운반 및 사용될 수도 있지만,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고소 작업용 구조물(100 : 전봇대, 조명탑, 고가사다리, 철주 등)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장치가 고소 작업용 구조물(100)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에는, 바디(10) 부분이 용접이나 클램프 결합 또는 그 밖에 다양한 수단에 의해 결합이 될 수 있다. 고소 작업용 구조물(100)의 표면이 둥근 원형의 단면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 바디(10)가 고소 작업용 구조물(100)에 밀착이 될 수 있도록 바디(10) 역시 둥근 원호 형태의 판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고소 작업용 구조물(100)이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다수의 스텝볼트(110)들이 좌우측에 층층이 구비된 전봇대나 조명탑일 경우, 바디(10)는 좌우측 스텝볼트(110)들 사이의 정중앙에 결합되지 않고, 어느 일측에 치우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고소 작업용 구조물(100)에 본 발명의 안전장치를 구성하는 바디(10) 등의 주요 구성물로 인해 작업자가 위아래로 이동할 때 걸리적거리는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바디(10)에는 바디(10)에 대응하는 높이로 이루어진 지주(20)가 결합이 된다. 즉, 지주(20)는 하나의 기다란 환봉이나 각봉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바디(10)를 상대로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이격 공간을 형성하면서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바디(10)에 결합된다. 지주(20) 역시 바디(10)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a는 지주(20)의 단면 구조가 환봉인 형태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때 지주(20)에는 후술하는 걸림지지구(40)가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삽입홈(20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3b는 지주(20')가 중공의 원형관으로 이루어진 예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때도 지주(20)의 내부에는 걸림지지구(40)가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삽입홈(20'a)이 형성된다.
한편,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지주(20)는 바디(10)와 대향하는 상태로 바디(10)의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용접 등의 수단에 의해 결합이 되는 연결봉(30)에 의해 일체화될 수 있다. 이렇게 연결봉(30)에 의한 결합은 바디(10)와 지주(20)를 대략 삼각형태로 연결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바디(10)와 지주(20)가 최소한의 부재를 사용하여 결합이 되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중량을 가볍게 하고 구조를 간단하게 하면서 제조원가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주(20)에는 걸림지지구(40)들이 설치된다. 걸림지지구(40)들은 지주(20)에서 바디(10)와 대향하는 부위에 높이 방향을 따라 상하 간격을 두고서 복수 개가 구비된다. 즉, 바디(10)와 지주(20) 사이의 이격 공간에 걸림지지구(40)들이 층층이 배열이 되는 것이다.
이들 각각의 걸림지지구(40)는 고정부(41)와 회전부(42)를 가진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고정부(41)는 일자형으로 형성되면서도 걸림턱(41a)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고정부(41)는 지주(20)의 삽입홈(20a)에 바디(10)와 대향하도록 용접 등의 수단에 의해 고정이 되어 유동됨이 없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부(42)는 바디(10)와 간극을 둔 상태로 고정부(41)의 일단부측에 힌지축(43)으로 결합이 된다. 이에 따라, 회전부(42)에서 고정부(41)에 힌지축(43)으로 결합된 일단부의 반대 부위인 타단부는 자유단이 되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회전부(42)는 아래로부터 위로 작용하는 힘(즉, 위로 밀어올리는 힘)에 의해서는 힌지축(43)을 중심으로 자유단이 상향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반면, 위로부터 아래로 작용하는 힘(즉, 아래로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서는 고정부(41)의 걸림턱(41a)에 걸림 작용이 되어 더 이상의 회전이 정지된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 걸림지지구(40)의 고정부(41)와 회전부(42)는 각각 도 2의 (b)그림에 보인 바와 같이 가상의 수평선(ℓ)으로부터 상향 경사진 각도(θ, 예를 들면 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회전부(42)의 자유단이 작은 힘으로도 고정부(41)를 상대로 쉽게 상향 회전할 수 있게 되는 데에 유리하다. 이러한 고정부(41)와 회전부(42)를 포함한 걸림지지구(40)는 작업자 및 착용물의 하중뿐만 아니라 추락시의 중력가속도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고강도 소재(예를 들면, 두랄루민과 같은 고강도 알루미늄합금)로 이루어진다.
특히, 걸림지지구(40)의 고정부(41)는 지주(20)의 삽입홈(20a)에 삽입된 상태에서 바디(10)를 향하는 선단 부분이 삽입홈(20a) 안에 위치하는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작업자(M)가 고소 작업을 위해 위쪽으로 이동할 때 고정구(50)가 걸림지지구(40)의 고정부(41)에 걸려서 이동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고정구(50)는 걸림지지구(40)의 고정부(41)와 접촉하지 않고 회전부(42)에만 접촉하게 되어야만, 작업자(M)의 상향 이동시 고정구(50)가 걸림지지구(40)의 회전부(42)를 상향 회전시키면서 이동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또, 걸림지지구(40)의 회전부(42)에는 고정구(50)가 바디(10) 쪽으로 밀려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돌기(42a)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작업자(M)가 고소 작업 위치에서 불의에 의해 추락하는 경우, 작업자(M)의 체중 및 중력 가속도에 의해 작용하는 하중이 커짐에 따라 고정구(50)가 걸림지지구(40)의 회전부(42)와 바디(10) 사이의 간극을 뚫고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작업자(M) 측에 마련되는 수단으로서 고정구(50)가 구비된다. 이 고정구(50)는 바디(10)와 걸림지지구(40)의 회전부(42) 사이의 간극을 통해 이탈되지 않도록 바디(10)와 회전부(42) 사이의 간극 보다 큰 두께로 이루어지며, 작업자(M)가 착용하는 안전벨트(B)에 연결된다. 고정구(50)는 D형이나 O형 등과 같은 형태의 스냅링크(snaplink)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나선 조작에 의해 개방하거나 폐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수조작에 의해 도 4의 그림과 같이 걸림지지구(40)의 회전부(42) 및 지주(20)에 고리형으로 걸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M)가 안전벨트(B)를 착용함과 아울러 안전벨트(B)에 고정구(50)를 연결하고 고정구(50)를 걸림지지구(40)의 회전부(42) 및 지주(20)에 고리형으로 건 상태에서, 고소 작업용 구조물에서 상향 이동시에는 고정구(50)가 걸림지지구(40)의 회전부(42)를 상향 회전시키면서 지주(20)를 따라 아래에서 위쪽으로 연속 배치된 걸림지지구(40)에 차례로 고리형으로 걸리면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반면, 걸림지지구(40)의 고정부(41)에 구비된 걸림턱(41a)으로 인해 회전부(42)가 걸림 작용되기 때문에 고정구(50)의 하향 이동은 방지된다.
도 4는 작업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안전벨트에 연결된 고정구가 도 1의 걸림지지구와 지주에 걸려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작업자가 고소 작업용 구조물에 올라가 작업을 하고자 할 경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안전벨트(B)를 착용함과 아울러 안전벨트(B)에는 고정구(50)를 연결한다. 그리고, 고정구(50)를 스냅링크 조작에 의해 지주(20)의 하측 위치에 있는 걸림지지구(40)의 회전부(42) 및 지주(20)에 고리형으로 건다.
이어서, 작업자는 고소 작업용 구조물을 타고 올라가는데, 이때 고정구(50)는 작업자가 위로 올라감에 따라 지주(20)에 걸린 상태에서 하측의 걸림지지구(40)로부터 그 상측의 걸림지지구(40)로 계속해서 고리형으로 걸리면서 이동하게 된다. 즉, 걸림지지구(40)의 회전부(42)는 고정부(41)에 대해 힌지축(43)을 중심으로 상향 회전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자(M)가 고소 작업용 구조물의 위쪽으로 계속해서 이동함에 따라 고정구(50)도 걸림지지구(40)들의 회전부(42)를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밀어올려 회전시키면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만일에 작업자가 부주의 등으로 인해 추락을 하게 되는 상황이 닥치게 되면, 작업자(M)의 하중 및 중력가속도에 의해 고정구(50) 역시 상측의 걸림지지구(40)에서 그 하측의 걸림지지구(40)를 향해 아래쪽으로 하중을 가하게 되지만, 고정구(40)가 걸려있는 걸림지지구(40)의 회전부(42)가 고정부(41)의 걸림턱(41a)에 걸림 작용이 되기 때문에, 회전부(42)가 회전을 하지 못하게 되어 고정구(40)가 걸림지지구(40)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구(40)와 연결된 안전벨트(B)를 착용하고 있는 작업자(M)는 추락을 하지 않고 지주(20)에 매달리게 되어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고소 작업용 안전장치가 조명탑이나 철주 등과 같은 고조 작업용 구조물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안전장치를 겸하는 하나의 독립적인 사다리로 사용될 수도 있다.
10 : 바디 20,20' : 지주
30 : 연결봉 40 : 걸림지지구
41 : 고정부 41a : 걸림턱
42 : 회전부 42a : 돌기
43 : 힌지축 50 : 고정구
100 : 고소 작업용 구조물 110 : 스텝볼트
B : 안전벨트 M : 작업자
30 : 연결봉 40 : 걸림지지구
41 : 고정부 41a : 걸림턱
42 : 회전부 42a : 돌기
43 : 힌지축 50 : 고정구
100 : 고소 작업용 구조물 110 : 스텝볼트
B : 안전벨트 M : 작업자
Claims (5)
- 고소 작업 위치를 향해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고소 작업용 구조물에 결합이 가능한 바디;
상기 바디에 대응하는 높이로 이루어져 상기 바디를 상대로 이격 공간을 형성하면서 결합되는 지주;
상기 지주에서 상기 바디와 대향하는 부위에 높이 방향을 따라 상하 간격을 두고서 복수 개가 구비되되,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상기 지주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바디와 간극을 둔 상태로 상기 고정부에 힌지축으로 결합되어 아래로부터 위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향 회전이 가능하면서 위로부터 아래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서는 상기 걸림턱에 걸림 작용되는 회전부를 가지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회전부는 수평상태로부터 상향 경사진 각도로 상기 지주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부에는 고정구가 상기 바디 쪽으로 밀려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돌기가 형성된 걸림지지구;
상기 바디와 상기 회전부 사이의 간극보다 큰 두께로 이루어져,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벨트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회전부와 상기 지주에 고리형으로 걸리게 되어, 작업자가 상기 고소 작업용 구조물에서 상향 이동시에는 상기 회전부를 상향 회전시키면서 복수 개의 상기 걸림지지구에 차례로 고리형으로 걸리면서 이동하되, 상기 고정부의 걸림턱에 대한 상기 회전부의 걸림 작용에 의해 하향 이동은 방지되는 고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고소 작업용 안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상기 걸림지지구의 고정부가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기 위한 삽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를 향하는 선단 부분이 상기 삽입홈 안에 위치하는 길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용 안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고소 작업용 구조물에 밀착되는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주는 상기 바디와 대향하는 상태로 상기 바디의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연결봉에 의해 일체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용 안전장치.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9339A KR102045901B1 (ko) | 2018-07-09 | 2018-07-09 | 고소 작업용 안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9339A KR102045901B1 (ko) | 2018-07-09 | 2018-07-09 | 고소 작업용 안전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45901B1 true KR102045901B1 (ko) | 2019-12-04 |
Family
ID=69004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79339A KR102045901B1 (ko) | 2018-07-09 | 2018-07-09 | 고소 작업용 안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45901B1 (ko)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57610U (ko) | 1997-02-06 | 1998-10-15 | 이성부 | 고소작업용 안전사다리 |
JP2000084100A (ja) * | 1998-09-16 | 2000-03-28 |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 梯子の安全装置 |
KR20060128279A (ko) | 2005-06-10 | 2006-12-14 | 주식회사 케이씨텍 | 추락방지장치 |
KR20140072687A (ko) | 2012-12-05 | 2014-06-13 | 주식회사 서흥이엔지 |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 |
KR20150001389U (ko) * | 2013-09-30 | 2015-04-09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사다리 구조체 |
KR20160146061A (ko) * | 2015-06-11 | 2016-12-21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추락방지용 구조물 |
JP6210822B2 (ja) * | 2013-10-01 | 2017-10-11 | アルインコ株式会社 | 先行手摺における安全装置 |
-
2018
- 2018-07-09 KR KR1020180079339A patent/KR10204590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57610U (ko) | 1997-02-06 | 1998-10-15 | 이성부 | 고소작업용 안전사다리 |
JP2000084100A (ja) * | 1998-09-16 | 2000-03-28 |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 梯子の安全装置 |
KR20060128279A (ko) | 2005-06-10 | 2006-12-14 | 주식회사 케이씨텍 | 추락방지장치 |
KR20140072687A (ko) | 2012-12-05 | 2014-06-13 | 주식회사 서흥이엔지 |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 |
KR20150001389U (ko) * | 2013-09-30 | 2015-04-09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사다리 구조체 |
JP6210822B2 (ja) * | 2013-10-01 | 2017-10-11 | アルインコ株式会社 | 先行手摺における安全装置 |
KR20160146061A (ko) * | 2015-06-11 | 2016-12-21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추락방지용 구조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617747B2 (en) | Folding guard rail method and apparatus | |
US9528285B2 (en) | Safety barrier netting system with rigid panel net supports and stopper mechanisms | |
EP3015623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y of a shoring tower | |
CN105350763B (zh) | 一种烟囱航标漆导轨式施工吊篮及施工方法 | |
CN106103328A (zh) | 临时电梯装置 | |
US20210196995A1 (en) | Suspension cable wall anchoring device | |
KR101111164B1 (ko) | 낙하방지부를 구비하는 갱폼 | |
US20120241255A1 (en) | Maintenance platform | |
KR100777937B1 (ko) | 외벽마감공사용 가이드 브라켓 | |
CN106422107A (zh) | 防坠落安全保护装置 | |
JP6592553B1 (ja) | 橋梁構造物における橋梁内部への移動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横移動用梯子 | |
CN204081436U (zh) | 一种爬架及模板一体化体系 | |
KR102387743B1 (ko) | 탱크용 고소작업 사다리 추락방지장치 | |
KR102045901B1 (ko) | 고소 작업용 안전장치 | |
RU2555951C2 (ru) | Спасатель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 |
CN112392284B (zh) | 一种自动预警预制装配式建筑防护网 | |
CN110821385B (zh) | 一种适于检修用的锁闭式安全型人行爬梯 | |
CN209040528U (zh) | 一种花伞立柱用u型施工平台 | |
CN206273949U (zh) | 一种外挂活动操作平台 | |
CN211286565U (zh) | 一种爬架 | |
JP2021185882A (ja) | 高所作業方法及び高所作業用部材 | |
JP2019208626A (ja) | 足場用落下防止具 | |
ITUA20164382A1 (it) | Dispositivo di sicurezza anticaduta perfezionato | |
CN217999033U (zh) | 一种用于建筑施工时固定工人安全绳索的装置 | |
CN220167447U (zh) | 一种便携式的高空安全作业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