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2054A - 가공성이 개선된 난연제 조성물, 난연성 합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품 - Google Patents

가공성이 개선된 난연제 조성물, 난연성 합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2054A
KR20100072054A KR1020107009212A KR20107009212A KR20100072054A KR 20100072054 A KR20100072054 A KR 20100072054A KR 1020107009212 A KR1020107009212 A KR 1020107009212A KR 20107009212 A KR20107009212 A KR 20107009212A KR 20100072054 A KR20100072054 A KR 20100072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synthetic resin
flame retardant
mass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9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6850B1 (ko
Inventor
아키히로 야마키
타카요시 카네다
토모유키 하타나카
히사시 무라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Publication of KR20100072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2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6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68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0Fireproofing materials
    • C09K21/06Organic materials
    • C09K21/12Organic materials containing phosphoru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6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4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62Six-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C08K5/34928Sal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Fireproofing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난연제 조성물은, 인산피페라진, 피로인산피페라진, 폴리인산피페라진 또는 이들의 피페라진염의 2 이상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피페라진과 무기 인화합물의 염((A)성분) 1~99질량부와, 인산멜라민, 피로인산멜라민, 폴리인산멜라민 또는 이들의 멜라민염의 2 이상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멜라민과 무기 인화합물의 염((B)성분) 99~1질량부(단, 상기 (A)성분과 (B)성분의 합계는 100질량부)로 이루어지는 난연제 조성물에, 실리콘 오일((C)성분) 0.01~10질량부, 및 고급 지방족 카르본산의 모노 아미드화합물 및/또는 고급 지방족 카르본산과 1가~3가의 알코올화합물을 반응시켜 이루어지는 모노 에스테르화합물((D)성분) 0.01~20질량부를 배합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가공성이 개선된 난연제 조성물, 난연성 합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품{FLAME RETARDANT COMPOSITION HAVING IMPROVED PROCESSABILITY, FLAME-RETARDANT SYNTHE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OF THE FLAME-RETARDANT SYNTHETIC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피페라진 및 멜라민의 (폴리/피로)인산염화합물, 실리콘 오일, 및 고급 지방족 카르본산의 모노 아미드화합물 및/또는 고급 지방족 카르본산이 1가~3가의 알코올을 반응시켜 이루어지는 모노 에스테르화합물을 필수 성분으로 하는 난연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구조를 가지는 인산에스테르화합물에 실리콘 오일과 특정 아미드화합물 및/또는 특정 에스테르화합물을 배합함으로써, 가공시의 다이 빌드업(die buildup) 발생을 억제한, 뛰어난 가공성 안정성 및 난연성을 가지는 난연제 조성물 및 상기 난연제 조성물을 사용한 난연성 합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합성 수지는 뛰어난 화학적, 기계적 특성에 의해 건재(建材), 자동차 부품, 포장용 자재, 농업용 자재, 가전제품의 하우징재, 완구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합성 수지는 가연성 물질이며, 용도에 따라서는 난연화가 불가결했다. 그리고, 난연화 방법으로서는 할로겐계 난연제, 적린(赤燐)이나 폴리인산암모늄 등의 폴리인산계 난연제로 이루어지는 무기 인계 난연제, 트리아릴인산에스테르화합물로 대표되는 유기 인계 난연제, 금속 수산화물이나 난연 조제인 산화안티몬, 멜라민화합물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이 중, 할로겐계 난연제는 난연화 효과는 뛰어나지만, 연소시에 할로겐화 수소가스나 다이옥신류 등의 유해 물질을 발생하기 때문에, 할로겐계 난연제를 사용하지 않는 난연화 방법이 요망되고 있었다. 또한 수산화마그네슘 등의 금속 수산화물은 다량으로 배합하지 않으면 난연성이 얻어지지 않기 때문에, 수지의 가공성이나 성형품의 물성을 저하시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인계 난연제에서는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난연화가 뛰어난 인산에스테르화합물이나 폴리올레핀의 난연화가 뛰어난 무기 인계 난연제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수지에 대하여, 폴리인산암모늄, 다가 수산기 함유 화합물, 트리아진환 함유 화합물 및 금속 수산화물을 배합한 난연성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2 및 3에는, 수지에 대하여 멜라민폴리포스페이트 및 (펜타~트리펜타)에리스리톨을 배합한 난연성 합성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4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멜라민피로포스페이트 및 방향족 포스페이트·올리고머를 함유하는 난연성 합성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5 및 6에는, PBT 등의 폴리머의 난연화에 멜라민피로포스페이트 및 다른 인화합물이 유효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7에는 멜라민, 무수 인산 및 피페라진 수화물로부터 얻어지는 난연제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의 난연화 효과는 아직 불충분하여, 적은 배합량으로 뛰어난 난연성을 부여하는 난연제가 요망되고 있었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8에는, 수지에 대하여, 멜라민피로포스페이트, 피로인산피페라진 및 이산화규소를 배합한 난연성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난연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는, 난연 효과는 향상했지만 가공 안정성(다이 빌드업)에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9~12에는, 합성 수지에 대하여 특정 구조를 가지는 인산에스테르화합물을 배합시킴으로써, 뛰어난 가공 안정성이 나타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화합물을 난연제와 조합했을 때의 가공 안정성에 대해서는 아무런 기재도 없었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13에는, 특정 인산에스테르화합물을 배합시킴으로써 가공 안정성(다이 빌드업)이 개량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는데, 단시간의 안정성은 매우 뛰어나지만 장시간의 연속 안정성은 뒤떨어지는 것이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8-176343호 미국 특허공보 3936416호 미국 특허공보 4010137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11-152402호 미국 특허공보 4278591호 미국 특허공보 5618865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10-183124호 USP4599375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54-34355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6-248120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10-60181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0-160033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4-238568호
다이 빌드업이라 불리우는 다량의 석출물은, 이것을 제거하는 작업에 의해 생산성이 저하하거나, 성형품에 부착되어 외관 불량이나 색상의 저하, 또한 기계적 강도의 저하 등 다양한 문제를 일으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공 안정성(다이 빌드업 발생 억제) 및 난연성이 뛰어난 난연제 조성물 및 난연성 합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 등은, 상기의 여러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피페라진 및 멜라민의 (폴리/피로)인산염화합물, 실리콘 오일, 및 고급 지방족 모노 카르본산의 모노 아미드화합물 및/또는 고급 지방족 카르본산의 모노 에스테르화합물을 필수 성분으로 하는 난연제 조성물이, 다이 빌드업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가공성 및 난연성이 뛰어난 것을 찾아내어 본 발명에 도달하였다.
즉, 본 발명은, 인산피페라진, 피로인산피페라진, 폴리인산피페라진 또는 이들 피페라진염의 2 이상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피페라진과 무기 인화합물의 염((A)성분) 1~99질량부와, 인산멜라민, 피로인산멜라민, 폴리인산멜라민 또는 이들 멜라민염의 2 이상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멜라민과 무기 인화합물의 염((B)성분) 99~1질량부(단, 상기 (A)성분과 (B)성분의 합계는 100질량부)로 이루어지는 난연제 조성물에, 실리콘 오일((C)성분) 0.01~10질량부, 및 고급 지방족 카르본산의 모노 아미드화합물 및/또는 고급 지방족 카르본산과 1가~3가의 알코올화합물을 반응시켜 이루어지는 모노 에스테르화합물((D)성분) 0.01~20질량부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난연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합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상기 난연제 조성물 3~100질량부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난연성 합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난연성 합성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난연성 합성 수지 조성물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공 안정성(다이 빌드업 발생 억제) 및 난연성이 뛰어난 난연제 조성물 및 난연성 합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난연제 조성물 및 난연성 합성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의 (A)성분인 피페라진과 무기 인화합물의 염은, 인산피페라진, 피로인산피페라진, 및 폴리인산피페라진으로부터 선택되고, 이들은 단독으로도 혼합물로 사용되어도 된다.
피페라진과 무기 인화합물의 배합비((A)성분의 조성비)는, 난연화 효과가 발현하는 범위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피페라진의 질소원자와 무기 인화합물의 인원자의 몰비가 1:5~5:1이 바람직하고, 1:2~2:1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B)성분인 멜라민과 무기 인화합물의 염은, 인산멜라민, 피로인산멜라민, 및 폴리인산멜라민으로부터 선택되고, 이들은 단독으로도 혼합물로 사용되어도 된다.
멜라민과 무기 인화합물의 배합비((B)성분의 조성비)는, 난연화 효과가 발현하는 범위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멜라민의 질소원자와 무기 인화합물의 인원자의 몰비가 1:5~5:1이 바람직하고, 1:3~3:1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A)성분과 (B)성분의 질량비는 1:99~99:1이고, 10:90~90:10이 바람직하며, 30:70~70:30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C)성분인 실리콘 오일은, 바람직하게는 25℃에서의 점도가 5000㎟/s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s이하의 것이 수지에의 분산성 등의 작업성이 좋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C)성분의 배합량은, 상기 (A)성분과 (B)성분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10질량부이고, 0.1~5질량부가 바람직하며, 0.5~3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리콘 오일의 구조는 메틸실록산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메틸실록산 구조의 실리콘 오일에는, 디메틸폴리실록산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과, 디메틸폴리실록산 구조와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구조의 양자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과,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구조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 오일은 에폭시 변성, 카르복실 변성, 카르비놀 변성 및/또는 아미노 변성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리콘 오일의 첨가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난연제 분말과 실리콘 오일을 100~150℃로 가열하면서 교반함으로써 2차 응집이 억제된, 난연화 효과가 뛰어나고, 가공성에의 악영향이 억제된 난연제 조성물이 얻어진다. 다른 첨가 처리방법으로서, 분무 건조하여 첨가·혼합, 혼합 조립(造粒), 코팅, 분산, 혼합반죽 등의 처리를 100~150℃로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리콘 오일은, 디메틸폴리실록산 구조인 것으로서는 KF-96(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점도 3000㎟/s) 등을 들 수 있고, 메틸하이드로젠 구조가 100%인 것으로서는 KF-99(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점도 20㎟/s) 등을 들 수 있으며, 일부가 메틸하이드로젠 구조인 것으로서는 HMS-151(Gelest사 제품: 점도 25~35㎟/s), HMS-071(Gelest사 제품: 점도 25~35㎟/s), HMS-301(Gelest사 제품: 점도 25~35㎟/s), DMS-H21(Gelest사 제품: 점도 100㎟/s)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에폭시 변성의 것으로서는 X-22-2000(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점도 190), KF-102(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점도 4000㎟/s) 등을 들 수 있고, 카르비놀 변성의 것으로서는 X-22-4015(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점도 130㎟/s) 등을 들 수 있으며, 카르복실 변성의 것으로서는 X-22-3071(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점도 2000㎟/s) 등을 들 수 있고, 아미노 변성의 것으로서는 KF-393(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점도 20㎟/s)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D)성분인 고급 지방족 카르본산의 모노 아미드화합물(d-1) 및/또는 고급 지방족 카르본산과 1가~3가의 알코올화합물을 반응시켜 이루어지는 모노 에스테르화합물(d-2)을 제공하는 고급 지방족 카르본산은, 탄소 원자수 12 이상의 포화 지방산 또는 불포화 지방산이다. 포화 지방산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라우린산(도데칸산), 이소데칸산, 트리데실산, 미리스틴산(테트라데칸산), 펜타데실산, 팔미트산(헥사데칸산), 마가린산(헵타데칸산), 스테아린산(옥타데칸산), 이소스테아린산, 튜버쿨로스테아린산(tuberculostearic acid)(노나데칸산),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아라키딘산(이코산산), 베헨산(도코산산), 리그노세린산(테트라도코산산), 세로틴산(cerotic acid)(헥사도코산산), 몬탄산(옥타도코산산), 멜리신산(melissic acid)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라우린산,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베헨산,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및 몬탄산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불포화 지방산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미리스톨레인산(myristolenic acid)(테트라데센산), 팔미톨레인산(헥사데센산), 올레인산(cis-9-옥타데센산), 엘라이딘산(trans-9-옥타데센산), 리시놀산(옥타데카디엔산), 박센산(vaccenic acid)(cis-11-옥타데센산), 리놀산(옥타데카디엔산), 리놀렌산(9,11,13-옥타데카트리엔산), 엘레스테아린산(eleostearic acid)(9,11,13-옥타데카트리엔산), 가돌레인산(gadoleic acid)(이코산산), 에루카산(erucic acid)(도코산산), 네르본산(nervonic acid)(테트라도코산산) 등을 들 수 있고, 내열성 면에서 모노 불포화 지방산 및 디불포화 지방산이 바람직하며, 특히 올레인산 및 에루카산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급 지방산 모노 아미드화합물(d-1)을 제공하는 아민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암모니아; 메틸아민, 디메틸아민, 에틸아민, 디에틸아민, (이소)프로필아민, 디(이소)프로필아민, 부틸아민, 헥실아민, 옥틸아민, 데실아민, 도데실아민, 트리데실아민, 세틸아민, 야자(coco)알킬아민, 대두유 유래 알킬아민, 우지(牛脂) 유래 알킬아민, 올레일아민, 스테아릴아민 등의 알킬아민류; 모노에탄올아민, N-메틸모노에탄올아민, N-에틸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N-메틸디에탄올아민, N-에틸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아미노에틸에탄올아민, N,N,N',N'-테트라키스(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 N,N,N',N'-테트라키스(2-히드록시프로필)에틸렌디아민 등의 알칸올아민류 또는 이들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N-부틸디에탄올아민, N-헥실디에탄올아민, N-옥틸디에탄올아민, N-데실디에탄올아민, N-야자알킬디에탄올아민, N-대두유 유래 알킬디에탄올아민, N-우지 유래 알킬디에탄올아민, N-올레일디에탄올아민, N-스테아릴디에탄올아민, N,N-디부틸모노에탄올아민, N,N-디헥실모노에탄올아민, N,N-디옥틸모노에탄올아민, N,N-디데실모노에탄올아민, N,N-비스(야자알킬)모노에탄올아민, N,N-비스(대두유 유래 알킬)모노에탄올아민, N,N-비스(우지 유래 알킬)모노에탄올아민, N-디올레일모노에탄올아민, N-디스테아릴모노에탄올아민 등의 N1-장쇄 알킬알칸올아민류 또는 이들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암모니아에 의한 산아미드화합물이 본 발명의 효과가 높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D)성분의 고급 지방산 모노 에스테르화합물(d-2)을 공급하는 1가~3가의 알코올화합물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tert-부탄올, n-펜탄올, 이소펜탄올, tert-펜탄올, n-헥산올, tert-헥산올, n-헵탄올, 이소헵탄올, tert-헵탄올, n-옥탄올, 2-에틸헥산올, tert-옥탄올, n-노닐알코올, 이소노닐알코올, tert-노닐알코올, n-데칸올, 이소데칸올, 라우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팔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1가의 알코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2-부탄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3-메틸-1,3-부탄디올), 1,2-헥산디올, 1,6-헥산디올, 3-메틸-1,5-펜탄디올, 1,2-옥탄디올, 옥탄디올(2-에틸-1,3-헥산디올),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 1,2-데칸디올, 1,2-도데칸디올, 1,2-테트라데칸디올, 1,2-헥사데칸디올, 1,2-옥타데칸디올, 1,12-옥타데칸디올, 1,2-시클로헥산디올, 1,4-시클로헥산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수소화비스페놀A, 소르바이드(sorbide), 메틸디에탄올아민 등의 2가 알코올; 글리세린, 1,2,3-부탄트리올, 1,2,4-부탄트리올, 2-메틸-1,2,3-프로판트리올, 1,2,3-펜탄트리올, 1,2,4-펜탄트리올, 1,3,5-펜탄트리올, 2,3,4-펜탄트리올, 2-메틸-2,3,4-부탄트리올, 트리메틸올에탄, 2,3,4-헥산트리올, 2-에틸-1,2,3-부탄트리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프로필-3,4,5-헵탄트리올, 펜타메틸글리세린(2,4-디메틸-2,3,4-펜탄트리올),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등의 3가 알코올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이 가격 및 작업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D)성분 중에서도 라우린산,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베헨산, 몬탄산, 올레인산 및 에루카산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고급 지방산의 모노 아미드화합물 또는 모노 에스테르화합물이 바람직하고, 특히 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몬탄산히드록시에틸에스테르, 몬탄산히드록시부틸에스테르 및 에루카산아미드 등의 화합물이 본 발명의 효과(다이 빌드업 발생 억제)가 뛰어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D)성분의 배합량은, 상기 (A)성분과 (B)성분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10질량부이고, 0.05~10질량부가 바람직하며, 0.1~5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E)성분인 금속 산화물은,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산화규소, 산화지르코늄, 산화바나듐 및 산화몰리브덴, 및 그 표면 처리품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난연 조제로서의 효과 면에서,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마그네슘 및 산화규소가 바람직하다. 이들의 금속 산화물로서 산화아연 1종(미츠이 킨조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부분 피막형 산화아연(미츠이 킨조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나노파인 50(평균 입자지름 0.02㎛의 초미립자 산화아연: 사카이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나노파인 K(평균 입자지름 0.02㎛의 규산아연 피막한 초미립자 산화아연: 사카이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TIPAQUE R-680(산화티탄: 이시하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쿄와 마그 150(산화마그네슘: 쿄와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등의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E)성분의 배합량은 (A)성분과 (B)성분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1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1~5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원 발명의 난연제 조성물을 난연화하는 합성 수지에 배합하는 타이밍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미리 상기 (A)~(E)성분 중에서 2종 이상을 원팩(single pack)으로 하여 합성 수지에 배합하는 방법, 또는 각각의 성분을 합성 수지에 대하여 배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원팩화하는 경우는, 난연제 성분은, 분쇄하고 나서 혼합하는 방법, 또는 혼합하고 나서 분쇄하는 방법의 어느 쪽이어도 상관없지만, 최종적으로 난연제 조성물로서 사용할 시에 평균 입자지름은 50㎛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이하의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난연제 조성물에는, 다른 난연제, 난연 조제를 배합해도 되고, 또한 페놀계 산화 방지제, 인계 산화 방지제, 유황계 산화 방지제 등의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힌더드아민화합물 등의 내후성 향상제(weather-resistance improvers); 조핵제(造核劑;nucleating agents), 중금속 불활성화제, 금속 비누, 하이드로탈사이트류, 충전제, 대전 방지제, 활제, 안료, 항균제, 곰팡이 방지제, 쥐약 등의 수지 배합제를 배합해도 된다.
상기 다른 난연제로서는 할로겐계 난연제, 인산에스테르계 난연제, 폴리인산암모늄,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등의 금속 수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난연 조제에는 무기계 난연 조제와 유기계 난연 조제가 있고, 무기계 난연 조제로서는, 예를 들면 수산화마그네슘, 하이드로탈사이트, 탤크 등의 무기 화합물, 및 그 표면 처리품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무기계 난연 조제로서는 DHT-4A(하이드로탈사이트: 쿄와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알카마이저 4(아연 변성 하이드로탈사이트: 쿄와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키스마 5A(수산화마그네슘: 쿄와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등의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기계 난연 조제로서는, 예를 들면 멜라민시아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각 난연 조제는 단독으로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난연 조제의 첨가에 의해 난연제의 배합량을 저감할 수 있거나, 난연제 단독으로는 얻어지지 않는 난연성이 얻어지므로, 난연제를 배합하는 수지의 종류나 용도에 따라 적당히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 대표되는 드립 방지제(anti-drip agents)는 난연화 효과가 뛰어나므로 바람직하다. 난연 조제의 입자지름, 융점, 점도 등은 난연화 효과나 분체 특성이 뛰어난 것이 되도록 선택된다.
상기 페놀계 산화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2,6-디제3부틸-p-크레졸, 2,6-디페닐-4-옥타데실옥시페놀, 디스테아릴(3,5-디제3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1,6-헥사메틸렌비스[(3,5-디제3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아미드], 4,4'-티오비스(6-제3부틸-m-크레졸), 2,2'-메틸렌비스(4-메틸-6-제3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4-에틸-6-제3부틸페놀), 4,4'-부틸리덴비스(6-제3부틸-m-크레졸), 2,2'-에틸리덴비스(4,6-디제3부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4-제2부틸-6-제3부틸페놀), 1,1,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제3부틸페닐)부탄, 1,3,5-트리스(2,6-디메틸-3-히드록시-4-제3부틸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3,5-트리스(3,5-디제3부틸-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3,5-트리스(3,5-디제3부틸-4-히드록시벤질)-2,4,6-트리메틸벤젠, 2-제3부틸-4-메틸-6-(2-아크릴로일옥시-3-제3부틸-5-메틸벤질)페놀, 스테아릴(3,5-디제3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테트라키스[3-(3,5-디제3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메틸]메탄, 티오디에틸렌글리콜비스[(3,5-디제3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1,6-헥사메틸렌비스[(3,5-디제3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비스[3,3-비스(4-히드록시-3-제3부틸페닐)부티릭애시드]글리콜에스테르, 비스[2-제3부틸-4-메틸-6-(2-히드록시-3-제3부틸-5-메틸벤질)페닐]테레프탈레이트, 1,3,5-트리스[(3,5-디제3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3,9-비스[1,1-디메틸-2-{(3-제3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닐옥시}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3-제3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등을 들 수 있고, 난연화되는 합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0.001~1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5질량부가 사용된다.
상기 인계 산화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2-제3부틸-4-(3-제3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티오)-5-메틸페닐]포스파이트, 트리데실포스파이트, 옥틸디페닐포스파이트, 디(데실)모노페닐포스파이트, 디(트리데실)펜타에리스리톨디포스파이트, 디(노닐페닐)펜타에리스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제3부틸페닐)펜타에리스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2,6-디제3부틸-4-메틸페닐)펜타에리스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2,4,6-트리제3부틸페닐)펜타에리스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쿠밀페닐)펜타에리스리톨디포스파이트, 테트라(트리데실)이소프로필리덴디페놀디포스파이트, 테트라(트리데실)-4,4'-n-부틸리덴비스(2-제3부틸-5-메틸페놀)디포스파이트, 헥사(트리데실)-1,1,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제3부틸페닐)부탄트리포스파이트, 테트라키스(2,4-디제3부틸페닐)비페닐렌디포스포나이트, 9,10-디하이드로-9-옥사-10-포스파페난트렌-10-옥사이드, 2,2'-메틸렌비스(4,6-제3부틸페닐)-2-에틸헥실포스파이트, 2,2'-메틸렌비스(4,6-제3부틸페닐)-옥타데실포스파이트, 2,2'-에틸리덴비스(4,6-디제3부틸페닐)플루오로포스파이트, 트리스(2-[(2,4,8,10-테트라키스제3부틸디벤조[d,f][1,3,2]디옥사포스페핀-6-일)옥시]에틸)아민, 2-에틸-2-부틸프로필렌글리콜과 2,4,6-트리제3부틸페놀의 포스파이트 등을 들 수 있고, 난연화되는 합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0.001~1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5질량부가 사용된다.
상기 유황계 산화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티오디프로피온산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온산디미리스틸, 티오디프로피온산디스테아릴 등의 디알킬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류 및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β-알킬메르캅토프로피온산에스테르류를 들 수 있고, 난연화되는 합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0.001~1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5질량부가 사용된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면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옥톡시벤조페논, 5,5'-메틸렌비스(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등의 2-히드록시벤조페논류;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제3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제3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제3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쿠밀페닐)벤조트리아졸, 2,2'-메틸렌비스(4-제3옥틸-6-(벤조트리아졸릴)페놀), 2-(2'-히드록시-3'-제3부틸-5'-카르복시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의 2-(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류; 페닐살리실레이트, 레조르시놀모노벤조에이트, 2,4-디제3부틸페닐-3,5-디제3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2,4-디제3아밀페닐-3,5-디제3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헥사데실-3,5-디제3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등의 벤조에이트류; 2-에틸-2'-에톡시옥사닐리드, 2-에톡시-4'-도데실옥사닐리드 등의 치환 옥사닐리드류; 에틸-α-시아노-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 메틸-2-시아노-3-메틸-3-(p-메톡시페닐)아크릴레이트 등의 시아노아크릴레이트류; 2-(2-히드록시-4-옥톡시페닐)-4,6-비스(2,4-디제3부틸페닐)-s-트리아진, 2-(2-히드록시-4-메톡시페닐)-4,6-디페닐-s-트리아진, 2-(2-히드록시-4-프로폭시-5-메틸페닐)-4,6-비스(2,4-디제3부틸페닐)-s-트리아진 등의 트리아릴트리아진류를 들 수 있고, 난연화되는 합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0.001~1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5질량부가 사용된다.
상기 힌더드아민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1-옥시-2,2,6,6-테트라메틸-4-히드록시피페리딘,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스테아레이트,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스테아레이트,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벤조에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테트라키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디(트리데실)-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디(트리데실)-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비스(1,2,2,4,4-펜타메틸-4-피페리딜)-2-부틸-2-(3,5-디제3부틸-4-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malonate), 1-(2-히드록시에틸)-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놀/숙신산디에틸 중축합물, 1,6-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아미노)헥산/2, 4-디클로로-6-모르폴리노-s-트리아진 중축합물, 1,6-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아미노)헥산/2,4-디클로로-6-제3옥틸아미노-s-트리아진 중축합물, 1,5,8,12-테트라키스[2,4-비스(N-부틸-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아미노)-s-트리아진-6-일]-1,5,8,12-테트라아자도데칸, 1,5,8,12-테트라키스[2,4-비스(N-부틸-N-(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아미노)-s-트리아진-6-일]-1,5,8-12-테트라아자도데칸, 1,6,11-트리스[2,4-비스(N-부틸-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아미노)-s-트리아진-6-일]아미노운데칸, 1,6,11-트리스[2,4-비스(N-부틸-N-(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아미노)-s-트리아진-6-일]아미노운데칸 등의 힌더드아민화합물을 들 수 있고, 난연화되는 합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0.001~1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5질량부가 사용된다.
상기 조핵제로서는, 예를 들면 p-t-부틸안식향산알루미늄, 안식향산나트륨 등의 안식향산류의 금속염, 비스(2,4-디-t-부틸페닐)인산에스테르나트륨, 메틸렌비스(2,4-디-t-부틸페닐)인산에스테르나트륨, 비스[메틸렌비스(2,4-디-t-부틸페닐)인산에스테르]히드록시알루미늄 등의 방향족 인산에스테르 금속염 및 방향족 인산에스테르 금속염과 알칼리 금속 화합물의 혼합물, 디벤질리덴소르비톨, 비스(메틸벤질리덴)소르비톨, 비스(디메틸벤질리덴소르비톨) 등의 디벤질리덴소르비톨류, 아미노산 금속염, 로진산(rosin acid) 금속염 등을 들 수 있고, 난연화되는 합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0.001~1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5질량부가 사용된다.
상기 중금속 불활성화제로서는 살리실아미드-1,2,4-트리아졸-3-일, 비스살리실산히드라지드, 도데칸디오일비스(2-(2-히드록시벤조일)히드라지드), 비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히드라지드 등을 들 수 있고, 난연화되는 합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0.001~1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5질량부가 사용된다.
상기 하이드로탈사이트류로서는 천연물이어도 합성품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마그네슘과 알루미늄의 염기성 복합 탄산염 및 마그네슘의 일부 또는 전부가 알칼리 금속으로 치환된 것, 탄산 음이온의 일부 또는 전부가 과염소산 음이온 등의 다른 음이온으로 치환된 것을 들 수 있고, 난연화되는 합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0.001~2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10질량부가 사용된다.
상기 충전제로서는, 예를 들면 탤크, 실리카, 탄산칼슘, 마이카, 유리섬유, 카본섬유, 질화붕소, 티탄산칼륨 등의 무기물 위스커, 카본나노튜브, 풀러렌(fullerene) 등의 나노 미립자 등의 공지의 수지용 충전제, 강화재가 사용되고, 표면 처리의 유무나 입자지름, 형상은 적당히 선택된다.
본 발명의 난연제에 의해 난연화되는 합성 수지로서는 폴리프로필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부텐-1, 폴리-3-메틸펜텐 등의 α-올레핀 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및 이들의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염소화폴리에틸렌, 염소화폴리프로필렌, 폴리불화비닐리덴, 염화고무,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염화비닐-에틸렌 공중합체, 염화비닐-염화비닐리덴 공중합체, 염화비닐-염화비닐리덴-아세트산비닐 삼원 공중합체, 염화비닐-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염화비닐-말레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염화비닐-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공중합체 등의 할로겐 함유 수지, 석유수지, 쿠마론수지, 폴리스티렌, 폴리아세트산비닐, 아크릴수지, 스티렌 및/또는 α-메틸스티렌과 다른 단량체(예를 들면, 무수 말레산, 페닐말레이미드, 메타크릴산메틸, 부타디엔, 아크릴로니트릴 등)의 공중합체(예를 들면, AS(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수지,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수지, MBS(메타크릴산메틸-부타디엔-스티렌)수지, 내열 ABS수지 등),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부티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테트라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직쇄 폴리에스테르, 폴리락트산 등의 생분해성 플라스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카프로락탐 및 폴리헥사메틸렌아디파미드 등의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분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세탈,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우레탄, 섬유소계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 및 이들의 블렌드물 혹은 페놀수지, 우레아수지(urea resin),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들 수 있다. 또한 이소프렌고무, 부타디엔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 고무 등의 엘라스토머여도 된다. 이들 수지는, 단독 혹은 2 이상의 상기 합성 수지의 조성물이어도 된다. 이들 수지 중에서도, 폴리올레핀 또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고, 상기 폴리올레핀 중에서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난연제 조성물을 상기 합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3~10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0~90질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25~80질량부 배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난연성 합성 수지 조성물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난연제 조성물은, 배합하는 합성 수지의 밀도, 연화점, 용매에의 불용분의 비율, 입체 규칙성의 정도, 촉매 잔사의 유무, 원료가 되는 올레핀 등의 종류나 배합 비율, 중합 촉매의 종류(예를 들면 지글러 촉매(Ziegler catalyst), 메탈로센 촉매 등) 등에 의해, 본 발명의 효과, 즉 다이 빌드업의 억제, 및 난연제 합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의 정도에 차이는 있지만, 어느 것에 있어서도 유효하다.
본 발명의 난연제 조성물에 의해 난연화되는 합성 수지는, 필요에 따라 페놀계 산화 방지제, 인계 산화 방지제, 티오에테르계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힌더드아민계 광안정제 등에 의해 안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핵제, 대전 방지제, 금속 비누, 하이드로탈사이트, 충전제, 안료, 활제, 발포제 등을 첨가해도 된다. 이들 수지 배합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상기의 난연제 조성물에 배합할 수 있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난연성 합성 수지 조성물을 성형함으로써, 본 발명의 난연성 합성 수지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성형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압출 가공, 캘린더 가공, 사출 성형, 롤, 압축 성형, 블로우 성형 등을 들 수 있고, 수지판, 시트, 필름, 이형품 등 다양한 형상의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난연성 합성 수지 조성물 및 난연성 합성 수지 성형품은, 전기·전자·통신, 농림수산, 광업, 건설, 식품, 섬유, 의류, 의료, 석탄, 석유, 고무, 피혁, 자동차, 정밀기기, 목재, 가구, 인쇄, 악기 등 폭넓은 산업분야에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난연성 합성 수지 조성물 및 난연성 합성 수지 성형품은, 프린터, 컴퓨터, 워드 프로세서, 키보드, PDA(소형 정보 단말기), 전화기, 복사기, 팩시밀리, ECR(전자식 금전 등록기), 전자 계산기, 전자수첩, 카드, 홀더, 문구 등의 사무, OA 기기, 세탁기, 냉장고, 청소기, 전자 레인지, 조명기구, 게임기, 다리미, 코타츠(foot warmer) 등의 가전기기, TV, VTR, 비디오 카메라, 라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미니 디스크, CD 플레이어, 스피커,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AV 기기, 커넥터, 릴레이(relay), 콘덴서, 스위치, 프린트 기판, 코일 보빈(coil bobbin), 반도체 봉지재료, LED 봉지재료, 전선, 케이블, 트랜스, 편향 요크(deflection yokes), 분전반(distribution switchboard), 시계 등의 전기·전자부품 및 통신기기 등의 용도에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난연성 합성 수지 조성물 및 난연성 합성 수지 성형품은, 좌석(스터핑(stuffing), 표지 등), 벨트, 천장 피복(ceiling cladding), 컨버터블 탑(convertible tops), 암레스트, 도어 트림(door trims), 리어 패키지 트레이(rear package trays), 카페트(carpets), 매트(mats), 선 바이저(sun visors), 휠 커버(wheel covers), 매트리스 커버, 에어백, 절연재, 스트랩, 스트랩 벨트, 전선 피복재, 전기 절연재, 도료, 코팅재, 오버레이재(overlay materials), 바닥재, 코너월(corner walls), 카페트, 벽지, 벽장재, 외장재, 내장재, 지붕재, 방음판, 단열판, 창재(窓材) 등의 자동차, 차량, 선박, 항공기 및 건축용 재료나, 의류, 커튼, 시트, 합판, 합섬판(合纖板), 융단, 현관 매트, 시트, 양동이, 호스, 용기, 안경, 가방, 케이스, 고글, 스키판, 라켓, 텐트, 악기 등의 생활 용품, 스포츠 용품 등의 각종 용도에 사용된다.
<실시예>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나타낸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 등에 의해 하등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난연제 조성물의 조제]
피로인산피페라진(피페라진의 질소원자:피로인산의 인원자=1:1)((A)성분) 50질량부와 피로인산멜라민(멜라민의 질소원자:피로인산의 인원자=3:1)((B)성분) 50질량부를 제트밀(가부시키가이샤 세이신 키교 제품: Co-JET System α-mkⅢ)에 넣고, 실온에서 노즐 압력 0.8mPa, 공급 속도 500g/시간으로 분쇄하여 난연제 분말을 얻었다. 얻어진 난연제 분말에, 디메틸실리콘 오일((C)성분; 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제품명 KF-96) 1.2질량부와 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D)성분) 0.7질량부를 첨가하고, FM 믹서(미츠이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FM 20C/I)를 사용하여 120℃에 있어서 2800rpm으로 10분간 교반하여 본 발명의 난연제 조성물의 분말을 얻었다.
[난연성 합성 수지 조성물의 제작]
저밀도 폴리에틸렌(일본 폴리에틸렌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PES-120, 멜트 플로우 인덱스=1.7g/10분) 37.0질량부 및 에틸렌-아세트산비닐수지(토소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울트라센 635) 20.0질량부에, 상기에서 얻어진 난연제 조성물 43.0질량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폴리플론 FA-500) 0.2질량부, 테트라키스(3-(3,5-디제3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메틸)메탄 0.1질량부, 트리스(2,4-디제3부틸페닐)포스파이트 0.1질량부를 첨가하고, 플라스토밀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스크류 회전수 75rpm, 190℃, 토출량 20㎏/hr로 압출하여 본 발명의 난연성 합성 수지 조성물을 제작하였다. 제작시에 발생한 다이 빌드업을 채취하여 다이 빌드업 평가(㎎/10분)를 행하였다.
또한 압출로 얻어진 펠릿(pellet)상의 난연성 합성 수지 조성물을 또한 250℃로 사출 성형하여 UL-94에 근거하여 난연성을 평가하였다. 평가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8]
피로인산피페라진((A)성분) 50질량부와 피로인산멜라민((B)성분) 50질량부를 고정하고, (C)성분 및 (D)성분을 하기 [표 1]과 같이 배합량을 바꾼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난연제 조성물의 조제 및 난연성 합성 수지 조성물의 제작 및 그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함께 나타낸다.
[비교예 1~9]
(D)성분 대신에 (D)성분 이외의 고급 지방산을 사용하여, 피로인산피페라진((A)성분) 50질량부와 피로인산멜라민((B)성분) 50질량부를 고정하고, 하기 [표 2]와 같이 (C)성분 및 고급 지방산을 배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난연제 조성물의 조제 및 난연성 합성 수지 조성물의 제작 및 그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함께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C)성분]
화합물 C-1: 디메틸실리콘 오일: 점도 3000㎟/s(신에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상품명 KF-96)
[(D)성분]
화합물 D-1: 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리켄 비타민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상품명 S-100)
화합물 D-2: 에루카산아미드(cognis 제품, 상품명 LOXAMID E)
화합물 D-3: 몬탄산에스테르(Clariant 제품, 몬탄산과 에틸렌글리콜 및 부틸렌글리콜의 에스테르화합물, 상품명 Licowax E)
Figure pct00002
[고급 지방산 화합물]
화합물 E-1: 에틸렌비스스테아릴아미드(카오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상품명 kao-wax EB-FF)
화합물 E-2: 글리세린모노·디스테아레이트(리켄 비타민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S-100)
화합물 E-3: 디글리세린모노·디스테아레이트(리켄 비타민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상품명 S-200)
화합물 E-4: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리켄 비타민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상품명 S-300W)
화합물 E-5: 소르비탄팔미테이트(리켄 비타민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상품명 P-300)
화합물 E-6: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마그네슘(에이신 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상품명 EMS-6P)
상기 [표 1] 및 [표 2]로부터 명백하듯이, 비교예에서의 비스아미드, 디에스테르 및 다가(4가) 알코올의 에스테르화합물 등에서는, 다이 빌드업 억제의 효과는 발현되지 않고, 본 발명에서의 특정 고급 지방산 모노 아미드화합물 및 모노 에스테르화합물과 실리콘 오일을 병용하는 것에 의해서만, 다이 빌드업의 발생이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 고급 지방산 화합물과 실리콘 오일의 병용에 의해, 다이 빌드업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고 가공 안정성이 뛰어나면서, 난연성이 뛰어난 난연성 합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합성 수지에 대하여, 특정 인산염화합물, 실리콘 오일 및 특정 고급 지방족 카르본산의 모노 아미드화합물 및/또는 고급 지방족 카르본산과 1가~3가의 알코올화합물을 반응시켜 이루어지는 모노 에스테르화합물을 배합함으로써, 가공시에서의 다이 빌드업의 발생을 억제하고 장시간의 가공 안정이 뛰어나며, 또한 연소시에 유해한 가스를 발생하는 할로겐계 난연제를 사용하지 않고, 소량의 난연제로 뛰어난 난연성을 가지는 난연제 조성물 및 난연성 합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인산피페라진, 피로인산피페라진, 폴리인산피페라진 또는 이들의 피페라진염의 2 이상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피페라진과 무기 인화합물의 염((A)성분) 1~99질량부와, 인산멜라민, 피로인산멜라민, 폴리인산멜라민 또는 이들의 멜라민염의 2 이상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멜라민과 무기 인화합물의 염((B)성분) 99~1질량부(단, 상기 (A)성분과 (B)성분의 합계는 100질량부)로 이루어지는 난연제 조성물에, 실리콘 오일((C)성분) 0.01~10질량부, 및 고급 지방족 카르본산의 모노 아미드화합물 및/또는 고급 지방족 카르본산과 1가~3가의 알코올화합물을 반응시켜 이루어지는 모노 에스테르화합물((D)성분) 0.01~20질량부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성분이, 에루카산아미드, 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및 몬탄산에스테르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제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또한 금속 산화물(E)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제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산화물(E)가, 산화아연(ZnO2), 산화티탄(TiO2), 산화마그네슘(MgO) 및 산화규소(SiO2)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제 조성물.
  5. 합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난연제 조성물 3~100질량부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합성 수지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수지가, 폴리올레핀 및/또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합성 수지 조성물.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이, 폴리프로필렌 및/또는 폴리에틸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합성 수지 조성물.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난연성 합성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합성 수지 조성물 성형품.
KR1020107009212A 2007-11-14 2008-10-24 가공성이 개선된 난연제 조성물, 난연성 합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품 KR1015668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96073A JP5414168B2 (ja) 2007-11-14 2007-11-14 加工性の改善された難燃剤組成物、難燃性合成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JPJP-P-2007-296073 2007-1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2054A true KR20100072054A (ko) 2010-06-29
KR101566850B1 KR101566850B1 (ko) 2015-11-06

Family

ID=40638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9212A KR101566850B1 (ko) 2007-11-14 2008-10-24 가공성이 개선된 난연제 조성물, 난연성 합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249286A1 (ko)
EP (1) EP2210914B1 (ko)
JP (1) JP5414168B2 (ko)
KR (1) KR101566850B1 (ko)
CN (2) CN101827885A (ko)
WO (1) WO2009063732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93781A3 (ko) * 2011-01-06 2012-11-29 주식회사 두본 피페라진계 금속염 배합물을 포함한 난연성 폴리올레핀 수지
KR20140100931A (ko) * 2011-12-06 2014-08-18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난연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KR20150097588A (ko) * 2012-12-17 2015-08-26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난연제 조성물 및 난연성 합성 수지 조성물
KR20160045627A (ko) * 2013-08-21 2016-04-27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난연제 조성물 및 난연성 합성 수지 조성물
KR20170115485A (ko) * 2015-02-05 2017-10-17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난연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44742B2 (ja) 2008-08-01 2013-11-20 株式会社Adeka 難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CN102762653B (zh) 2009-12-31 2015-11-25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用于电线和电缆应用的无卤素阻燃热塑性组合物
JP5148648B2 (ja) * 2010-03-19 2013-02-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難燃性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成形品
EP2524945B1 (en) 2010-09-28 2013-11-13 Toray Industries, Inc.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item formed from same
WO2012067685A1 (en) * 2010-11-16 2012-05-24 Lubrizol Advanced Materials, Inc. Non halogen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polyurethane
CN103562349A (zh) * 2011-05-25 2014-02-05 堺化学工业株式会社 阻燃剂以及阻燃性树脂组合物
CN102532779B (zh) * 2011-12-26 2014-06-18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无卤阻燃弹性体组合物
CN102796342B (zh) * 2012-07-24 2014-05-14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无卤阻燃弹性体组合物
JP5243653B1 (ja) * 2012-09-26 2013-07-24 株式会社フジクラ 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成形体
WO2014080821A1 (ja) * 2012-11-21 2014-05-30 堺化学工業株式会社 難燃剤及び難燃性樹脂組成物
CN103437182B (zh) * 2013-09-02 2015-06-24 苏州市轩德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改进的织物用防火阻燃剂
CN104561397B (zh) * 2013-10-18 2017-12-19 罗门哈斯公司 不含铬的皮革再鞣制
JP5848789B2 (ja) * 2014-02-14 2016-01-27 株式会社フジクラ 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成形体
JP5860910B2 (ja) * 2014-02-14 2016-02-16 株式会社フジクラ 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成形体
CN104119610A (zh) * 2014-07-04 2014-10-29 广东聚石化学股份有限公司 一种v0级无卤阻燃增强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1732786A (zh) 2014-07-31 2020-10-02 帝人株式会社 阻燃性树脂组合物以及来自它的成型品
JP6448370B2 (ja) * 2015-01-08 2019-01-09 株式会社Adeka 難燃剤組成物及び難燃性合成樹脂組成物
CN107207806B (zh) * 2015-02-06 2020-07-28 株式会社艾迪科 阻燃性聚丙烯组合物
WO2016125612A1 (ja) * 2015-02-06 2016-08-11 株式会社Adeka 難燃剤組成物及び難燃性合成樹脂組成物
CN104927238A (zh) * 2015-06-16 2015-09-23 安徽天元电缆有限公司 一种抗裂光缆用电缆料及其制备方法
JP6482405B2 (ja) * 2015-06-23 2019-03-13 株式会社Adeka 難燃性合成樹脂組成物
JP6557542B2 (ja) * 2015-08-04 2019-08-07 株式会社Adeka 難燃性樹脂組成物
KR20180124843A (ko) * 2016-03-14 2018-11-21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난연성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조성물
WO2017179289A1 (ja) * 2016-04-13 2017-10-19 株式会社Adeka 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WO2018020840A1 (ja) * 2016-07-29 2018-02-01 株式会社Adeka 難燃剤組成物及び難燃性合成樹脂組成物
CN108070143B (zh) * 2016-11-16 2020-06-23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玻纤增强无卤阻燃聚丙烯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7286563B (zh) * 2017-07-06 2020-01-03 上海化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abs电器开关外罩的膨胀型阻燃剂及其制备与应用
JP7109437B2 (ja) * 2017-07-07 2022-07-29 株式会社Adeka 難燃剤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難燃性樹脂組成物
WO2019049668A1 (ja) * 2017-09-07 2019-03-14 株式会社Adeka 組成物及び難燃性樹脂組成物
EP3683288B1 (en) * 2017-09-12 2023-06-07 Adeka Corporation Composition and flame retardant resin composition
JP7090484B2 (ja) * 2017-11-06 2022-06-24 株式会社フジクラ 難燃性樹脂組成物、これを用いた成形体、絶縁電線、ケーブル及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
US11566180B2 (en) * 2017-11-10 2023-01-31 Adeka Corporation Composition and flame-retardant resin composition
CN111433326B (zh) * 2017-12-14 2021-11-26 株式会社艾迪科 组合物及阻燃性树脂组合物
KR102060324B1 (ko) 2018-04-26 2019-12-30 정대기 다결정 실리콘 절연체와 그의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애자,전력기기 및 부싱
KR102061478B1 (ko) 2018-04-26 2020-01-02 정대기 다결정 실리콘 성형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55569B1 (ko) * 2018-04-26 2019-12-13 (주) 이우티이씨 다결정 실리콘 절연체를 포함하는 애자 및 피뢰기
KR102133574B1 (ko) * 2018-05-29 2020-07-13 정대기 다결정 실리콘 절연체를 포함하는 케이블용 피복재
CN112292426B (zh) * 2018-06-13 2023-06-23 株式会社Adeka 聚磷酸胺盐组合物、聚磷酸胺盐阻燃剂组合物、含有其的阻燃性合成树脂组合物及其成型体
CN110483898B (zh) * 2019-09-29 2022-07-19 上海化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高流动性耐析出无卤阻燃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21167096A1 (ja) 2020-02-21 2021-08-26 Psジャパン株式会社 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難燃性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並びにパッチアンテナ
TWI821808B (zh) 2020-11-30 2023-11-11 日商Ps Japan股份有限公司 苯乙烯系樹脂組成物及其成形體
WO2022224809A1 (ja) * 2021-04-23 2022-10-27 株式会社Adeka 難燃剤組成物、難燃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CN113529199B (zh) * 2021-08-10 2023-06-20 瑞安市博安防刺穿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阻燃性的纳米SiO2-超分子量聚乙烯防穿刺纤维的合成方法
CN114644838B (zh) * 2022-01-11 2023-04-11 山东玥能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制备黑磷-哌嗪类化合物复合材料的方法
CN114702786A (zh) * 2022-03-31 2022-07-05 冯艺龙 一种改性耐热环氧树脂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0137A (en) * 1973-07-24 1977-03-01 Phillips Petroleum Company Phosphorus-containing flame retardant for synthetic resins
US3936416A (en) * 1973-07-24 1976-02-03 Phillips Petroleum Company Nonburning, nondripping, char-forming, polypropylene composition
US4278591A (en) * 1979-12-20 1981-07-14 American Cyanamid Company Flame retardant poly(butylene terephthalate) composition
IT1201097B (it) * 1983-05-18 1989-01-27 Montedison Spa Composizioni polimeriche resistenti alla fiamma
TW408154B (en) * 1995-11-17 2000-10-11 Chisso Corlporation Nonflammable polyolefin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for use in skins of automotive internal trim and the laminated thin sheet using the same
US5618865A (en) * 1995-12-22 1997-04-0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ire resistant resin compositions
CN1267500C (zh) * 2001-05-15 2006-08-02 帝人化成株式会社 阻燃性树脂组合物及由其形成的成形品
WO2004000973A1 (ja) * 2002-06-24 2003-12-31 Asahi Denka Co., Ltd. 難燃剤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含有した難燃性樹脂組成物
JP4204342B2 (ja) * 2003-02-07 2009-01-07 株式会社Adeka 難燃性合成樹脂組成物
WO2005080494A1 (ja) * 2004-02-24 2005-09-01 Adeka Corporation 流動性の改善された難燃剤組成物、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DE102004013389A1 (de) 2004-03-17 2005-10-06 Basf Ag Cer-Verbindungen als Initiatoren für die thermische Härtung
JP5152955B2 (ja) * 2007-02-27 2013-02-27 株式会社Adeka 難燃性樹脂組成物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93781A3 (ko) * 2011-01-06 2012-11-29 주식회사 두본 피페라진계 금속염 배합물을 포함한 난연성 폴리올레핀 수지
US9221961B2 (en) 2011-01-06 2015-12-29 Doobon Inc. Flame-retardant polyolefin resin containing piperazine-based metal salt blend
KR20140100931A (ko) * 2011-12-06 2014-08-18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난연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KR20150097588A (ko) * 2012-12-17 2015-08-26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난연제 조성물 및 난연성 합성 수지 조성물
KR20160045627A (ko) * 2013-08-21 2016-04-27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난연제 조성물 및 난연성 합성 수지 조성물
KR20170115485A (ko) * 2015-02-05 2017-10-17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난연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672492A (zh) 2015-06-03
WO2009063732A1 (ja) 2009-05-22
EP2210914B1 (en) 2016-08-31
JP5414168B2 (ja) 2014-02-12
KR101566850B1 (ko) 2015-11-06
CN101827885A (zh) 2010-09-08
JP2009120717A (ja) 2009-06-04
US20100249286A1 (en) 2010-09-30
EP2210914A1 (en) 2010-07-28
EP2210914A4 (en) 2014-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72054A (ko) 가공성이 개선된 난연제 조성물, 난연성 합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품
JP5191125B2 (ja) シリコーンオイル被覆難燃剤、該難燃剤を用いた難燃性合成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EP2933311B1 (en) Flame retardant composition and flame-retardant synthetic resin composition
JP7158384B2 (ja) 組成物及び難燃性樹脂組成物
WO2022131284A1 (ja) 難燃剤組成物、難燃性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JP4204342B2 (ja) 難燃性合成樹脂組成物
CN108602995B (zh) 阻燃性聚烯烃系树脂组合物
JPWO2019093204A1 (ja) 組成物及び難燃性樹脂組成物
US11674037B2 (en) Composition, and flame-retardant resin composition
US20210246373A1 (en) Polyphosphate amine salt composition, flame retardant polyphosphate amine salt composition, flame retardant synthetic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same, and molded body thereof
US20210246374A1 (en) Phosphate amine salt composition, phosphate amine salt flame retardant composition, flame retardant synthetic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same, and molded article of flame retardant synthetic resin composition
JPWO2019054155A1 (ja) 組成物及び難燃性樹脂組成物
CN109689759B (zh) 阻燃的透明聚碳酸酯组合物
JP2000327854A (ja) 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WO2023112812A1 (ja) 難燃剤組成物、難燃性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EP4083168A1 (en) Flame retardant composition and flame-retarda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said flame retardant composition
WO2021020020A1 (ja) 添加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