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6477A - 열가소성 공중합 수지 및 그의 광학 성형체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공중합 수지 및 그의 광학 성형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6477A
KR20100066477A KR1020107004771A KR20107004771A KR20100066477A KR 20100066477 A KR20100066477 A KR 20100066477A KR 1020107004771 A KR1020107004771 A KR 1020107004771A KR 20107004771 A KR20107004771 A KR 20107004771A KR 20100066477 A KR20100066477 A KR 20100066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parts
film
copolymer resin
thermoplastic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4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케이타 오하시
테츠오 노구치
코이치 오자와
Original Assignee
덴키 가가쿠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덴키 가가쿠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덴키 가가쿠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66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647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4Methyl esters, e.g.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30Introducing nitrogen atoms or nitrogen-containing groups
    • C08F8/32Introducing nitrogen atoms or nitrogen-containing groups by reaction with 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2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2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212/06Hydrocarbons
    • C08F212/08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04Anhydrides, e.g. cyclic anhydrides
    • C08F222/06Maleic anhyd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36Amides or imides
    • C08F222/40Imides, e.g. cyclic imides
    • C08F222/402Alkyl substituted im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성, 내열성, 필름 성형성, 필름 강도 및 위상차 발현성이 양호하고, 광탄성 복굴절이 낮은 열가소성 공중합 수지 및 이 수지를 사용한 음의 배향 복굴절성을 나타내는 연신 필름을 제공한다. 하기에 나타내는 (A), (B), (C)의 조성으로 각각의 단량체 단위를 함유하고,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만 내지 50만이며, 유리 전이 온도가 110℃ 내지 150℃, ASTM D1003에 기초하여 측정된 2 mm 두께의 전체 광선 투과율이 85% 이상, 광탄성계수가 -10×10-12 내지 10×10-12 ㎡/N인 열가소성 공중합 수지를 제공한다.
(A)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 15 내지 80 질량%
(B)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 15 내지 80 질량%
(C) 불포화 디카르복실산이미드 유도체 및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 중 적어도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단위 5 내지 30 질량%

Description

열가소성 공중합 수지 및 그의 광학 성형체 {THERMOPLASTIC COPOLYMER RESIN AND MOLDED BODY THEREOF FOR OPTICAL USE}
본 발명은 열가소성 공중합 수지 및 상기 열가소성 공중합 수지로부터 얻어지는 광학 성형체, 특히 음의 배향 복굴절성을 나타내는 연신 필름에 관한 것이다.
투명 수지는 가전 제품의 부품이나, 식품 용기, 잡화 등 여러 용도에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브라운관형 텔레비젼 모니터 대신에 박형 액정 표시 소자나,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의 위상차 필름, 편광막 보호 필름, 반사 방지 필름, 확산판, 도광판 등의 광학 부품으로서 경량성이나 생산성, 비용의 측면에서 많이 이용되는 상황에 있다.
광학 용도에는 메타크릴 수지가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메타크릴 수지는 투명성 등의 광학 특성이 양호한 반면, 내열성이 낮다는 등의 과제가 있어 한정된 용도에만 사용되어 왔다. 예를 들면, 광학 필름 용도로는 메타크릴 수지가 상기 결점으로 인해 채용되지 않고, 그 대신에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이하 "TAC")의 필름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TAC 필름의 제조 방법은 용액 캐스팅법 때문에 생산성이 나빠 생산 비용이 높다는 과제가 있어, 광학 특성, 내열성 및 필름 성형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의 출현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외부로부터의 응력에 대하여 복굴절이 발생하지 않는, 광탄성 복굴절이 낮은 광학 필름도 요망되고 있다.
광학 필름 중 하나인 위상차 필름 용도로는 폴리카르보네이트나 비정질성의 환상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양의 배향 복굴절성을 갖는 필름만이 사용되어 왔지만, 양과 음의 배향 복굴절성을 갖는 필름을 모두 이용함으로써, 공정의 간략화나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하거나 또는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기 때문에, 음의 배향 복굴절성을 나타내는 광학 필름의 출현이 기대되고 있다.
또한, 양의 배향 복굴절성을 갖는 폴리카르보네이트나 비정질성의 환상 폴리올레핀은 유리 전이 온도가 높기 때문에, 음의 배향 복굴절성을 나타내고 또한 동등 온도 조건으로 성형 가공할 수 있는 내열성이 높은 광학 성형체용 열가소성 수지의 출현이 기대되고 있다.
한편, 음의 배향 복굴절성을 나타내는 광학 필름으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것이 알려져 있지만, 색상이나 비용의 문제로 실용화에는 이르지 않고 있다.
특허문헌1:일본특허공개제2004-315788호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성, 내열성, 필름 성형성, 필름 강도, 위상차 발현성이 양호하고, 광탄성 복굴절이 낮은 열가소성 공중합 수지 및 그의 광학 성형체, 특히 음의 배향 복굴절성을 나타내는 연신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를 요지로 하는 것이다.
1. 하기에 나타내는 (A), (B), (C)의 조성으로 각각의 단량체 단위를 함유하고,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만 내지 50만이며, 유리 전이 온도가 110℃ 내지 150℃, ASTM D1003에 기초하여 측정된 2 mm 두께의 전체 광선 투과율이 85% 이상, 광탄성계수가 -10×10-12 내지 10×10-12 ㎡/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공중합 수지.
(A)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 15 내지 80 질량%
(B)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 15 내지 80 질량%
(C) 불포화 디카르복실산이미드 유도체 및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 중 적어도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단위 5 내지 30 질량%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A) 방향족 비닐 단량체가 스티렌인 열가소성 공중합 수지.
3.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B)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가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인 열가소성 공중합 수지.
4.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C) 불포화 디카르복실산이미드 유도체 단량체가 N-페닐말레이미드 및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중 적어도 하나인 열가소성 공중합 수지.
5.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C)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가 말레산 무수물인 열가소성 공중합 수지.
6.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만 내지 35만인 열가소성 공중합 수지.
7.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열가소성 공중합 수지를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광학용 성형체.
8. 상기 7에 있어서, 광학용 성형체가 두께 10 내지 300 ㎛의 필름인 광학용 성형체.
9. 상기 8에 있어서, 필름이 용융 압출 필름인 광학용 성형체.
10. 상기 8 또는 9에 있어서, 필름이 연신 처리하여 얻어지는 연신 필름인 광학용 성형체.
11. 상기 10에 있어서, 필름이 위상차 필름인 광학용 성형체.
본 발명의 열가소성 공중합 수지는 투명성, 내열성, 필름 성형성, 필름 강도 및 위상차 발현성이 양호하고, 광탄성 복굴절이 낮기 때문에, 투명한 내열 필름으로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열가소성 공중합 수지를 포함하는 광학용 성형체는 광학 용도에 유용하고, 특히 음의 배향 복굴절성을 나타내는 연신 필름으로서 위상차 필름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ο-메틸스티렌, m-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t-부틸스티렌, 클로로스티렌 등의 스티렌 단량체 단위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스티렌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티렌계 단량체 단위는 단독으로 이용하거나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계 단량체 단위로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2-메틸헥실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옥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또한,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계 단량체는 단독으로 이용하거나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계 단량체는 아크릴산에스테르 및/또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를 의미한다.
불포화 디카르복실산이미드 유도체 단위로는 N-메틸말레이미드, N-부틸말레이미드,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등의 N-알킬말레이미드, N-페닐말레이미드, N-클로로페닐말레이미드, N-메틸페닐말레이미드, N-메톡시페닐말레이미드, N-트리브로모페닐말레이미드 등의 N-아릴말레이미드 등의 말레이미드계 단량체 단위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N-페닐말레이미드 또는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가 바람직하다. 또한, 불포화 디카르복실산말레이미드계 단량체 단위는 단독으로 이용하거나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 단위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말레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또는 아코니트산의 무수물을 들 수 있다. 이들 단량체는 1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그 중에서도 말레산 무수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공중합 수지에 함유되는 각각의 단량체 단위의 비율은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 15 내지 80 질량%,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계 단량체 단위 15 내지 80 질량% 및 불포화 디카르복실산이미드 유도체 및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 중 적어도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단위 5 내지 30 질량%이다. 그 중에서도,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 25 내지 70 질량%,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계 단량체 단위 25 내지 70 질량%, 불포화 디카르복실산이미드 유도체 및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 중 적어도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단위 10 내지 20 질량%이다.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가 15 질량% 미만이면 위상차 발현성이 불충분해지고, 80 질량%를 초과하면 광탄성 복굴절이 지나치게 커진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계 단량체 단위가 15 질량% 미만이면 광탄성 복굴절이 지나치게 커지고, 80 질량%를 초과하면 위상차 발현성이 불충분해진다. 불포화 디카르복실산이미드 유도체 및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 중 적어도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단위가 5 질량% 미만이면 내열성이 불충분해지고, 30 질량%를 초과하면 필름 강도가 불충분해진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공중합 수지에서는, 필요에 따라서 상기한 단량체 단위에 추가로, 이들 단량체 단위를 형성하는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비닐 단량체의 단위를 공중합 수지 중, 바람직하게는 10 질량%를 상한으로서 공중합할 수도 있다. 그의 비닐 단량체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안화비닐류;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등의 비닐카르복실산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비닐 단량체는 단독으로 이용하거나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공중합 수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중합 개시제로는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아조비스시클로헥산카르보니트릴, 아조비스메틸프로피오니트릴, 아조비스메틸부티로니트릴 등의 공지된 아조 화합물이나, 벤조일퍼옥시드,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1,1-비스(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모노카르보네이트,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디-t-부틸퍼옥시드, 디쿠밀퍼옥시드, 에틸-3,3-디-(t-부틸퍼옥시)부티레이트 등의 공지된 유기 과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합 개시제는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지만, 종래의 스티렌계 수지의 제조에서 상용되고 있는 것, 예를 들면 10 시간 반감기 온도가 70 내지 120℃인 유기 과산화물이나 아조 화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단량체군 100 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5 질량부이다. 0.01부 미만이면 충분한 중합 속도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0.5 질량부 이상이면 충분한 분자량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단량체군이란,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불포화 디카르복실산이미드 유도체 및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 중 적어도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및 필요에 따라서 사용되는 상기 비닐 단량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공중합 수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연쇄 이동제로는 n-도데실메르캅탄, t-도데실메르캅탄이나 2,4-디페닐-4-메틸-1-펜텐 등의 공지된 것을 들 수 있다. 연쇄 이동제의 사용량은 단량체군 100 질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1 질량부가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량이 0.01 질량부 미만이면 분자량 조정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고, 0.1부 질량 이상이면 충분한 분자량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공중합 수지는 공지된 수법으로 제조된다. 예를 들면, 방향족 비닐 단량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불포화 디카르복실산이미드 유도체 및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 중 적어도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및 필요에 따라서 이들과 공중합 가능한 비닐 단량체를 공중합시키는 방법이나, 방향족 비닐 단량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 및 필요에 따라서 이들과 공중합 가능한 비닐 단량체를 공중합시킨 후, 암모니아 및/또는 1급 아민을 반응시켜 산 무수물기를 이미드기로 변환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중합의 방식은 공지된 수법을 채용할 수 있지만, 괴상 중합 또는 용액 중합이 바람직하다. 현탁 중합이나 유화 중합으로 얻어진 공중합체를 이용하면, 투명성이 낮아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용액 중합에 의해 본 발명의 열가소성 공중합 수지를 제조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용제는, 비중합성의 것이 사용된다. 용제의 사용량은 단량체군 100 질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50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20 내지 130 질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5 질량부 미만이면, 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중합체 혼합물이 고점도가 되고, 취급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150 질량부 이상이면 충분한 분자량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상기 중합체 혼합물의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4000 내지 40000 cps,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0 내지 30000 cps이다.
상기 중합시에 사용되는 용제로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아세토페논 등의 케톤류; 테트라히드로푸란, 1,4-디옥산 등의 에테르류; 벤젠, 톨루엔, 크실렌, 클로로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N-메틸-2-피롤리돈 등이 있다. 특히, 휘발성 등의 취급 용이성 등으로부터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공중합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하, Mw라고도 함)은 20만 내지 50만, 바람직하게는 20만 내지 35만이다. Mw가 20만 미만이면 필름 성형성, 필름 강도가 떨어지게 된다. 또한, Mw가 50만을 초과하면 필름의 성형이 곤란해져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서 Mw는 GPC로 측정되는 폴리스티렌 환산의 Mw이고, 하기의 측정 조건으로 측정된다.
장치명: SYSTEM-21 쇼덱스(Shodex)(쇼와 덴꼬사 제조)
칼럼: PL gel MIXED-B를 3개 직렬
온도: 40℃
검출: 시차 굴절률
용매: 테트라히드로푸란
농도: 2 질량%
검량선: 표준 폴리스티렌(PS)(PL사 제조)을 이용하여 제작하고, Mw는 폴리스티렌 환산값으로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공중합 수지의 Mw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중합 개시제, 연쇄 이동제 및 용제의 종류, 첨가량, 중합 온도 등을 조절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중합 온도는 70 내지 110℃가 바람직하고, 75 내지 95℃가 더욱 바람직하다. 70℃ 미만이면 중합액의 점도가 높아져 중합 반응의 제어가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고, 110℃ 이상이면 충분한 분자량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공중합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이하, Tg라고도 함)는 11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115 내지 140℃, 더욱 바람직하게는 118 내지 138℃이다. Tg가 110℃ 미만이면, 내열성이 낮아져 수송, 가공 등을 거쳐 물성이 변화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Tg가 150℃를 초과하면 필름 성형성, 필름 강도가 저하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유리 전이 온도는 DSC에서 측정되는 것이고, 하기의 측정 조건으로 측정된다.
장치명: 세이코 인스트루먼츠(주)사 제조 Robot DSC6200
승온 속도: 10℃/분
본 발명의 열가소성 공중합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의 조절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의 종류 및 조성에 의해서 조절할 수 있다.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의 종류에 대해서는, 원하는 유리 전이 온도가 얻어지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지만, 방향족 비닐 단량체로서 스티렌,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로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불포화 디카르복실산이미드 유도체 단량체로서 N-페닐말레이미드 및/또는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로서 말레산 무수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공중합 수지는, ASTM D1003에 기초하여 측정된 2 mm 두께의 전체 광선 투과율이 85% 이상, 바람직하게는 88%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전체 광선 투과율이 85% 미만이면 광학 부품에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전체 광선 투과율은 사출 성형기(도시바 기카이사 제조 IS-50 EPN)를 이용하여 실린더 온도 230℃, 금형 온도 40℃에서 성형된 두께 2 mm의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측정된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공중합 수지에 높은 투명성을 가지게 하는 방법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중합 중에 일관되게 조성이 균일한 공중합체를 얻음으로써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액 중합법으로 공중합 수지를 얻는 경우는, 공중합시키는 단량체의 각각에 대하여 중합 개시시에 일괄해서 투입하는 분량과, 중합 개시 후에 연속적으로 첨가하는 분량의 비를 조절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공중합 수지의 광탄성 복굴절을 나타내는 지표인 광탄성계수는, 필름에 인장 응력을 가한 상태에서, 위상차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필름의 리타데이션(단위: nm)을 측정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하중 f가 가해진 상태에서의 리타데이션을 Re(f), 시험편폭을 w로 하면 광탄성계수 C는 C=dRe(f)/df×w가 되기 때문에, 시험편에 가한 하중에 대한 리타데이션값의 기울기를 구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위상차 측정 장치는 오우지 게이소꾸사 제조 KOBRA-WR을 사용하고, 응력은 이마다사 제조, 디지털 포스 게이지 Z2S-DPU-50N으로 가하였다. 상기한 방법에 의해서 구해지는 광탄성계수는 -10×10-12 내지 10×10-12 ㎡/N의 범위 내이다. 광탄성계수가 이 범위 밖이면, 응력의 발생에 의해서 복굴절의 값이 변화되기 때문에, 광학용 성형체로는 바람직하지 않다. 광탄성계수는 바람직하게는 -7×10-12 내지 7×10-12 ㎡/N의 범위 내이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공중합 수지의 광탄성계수의 조절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공중합 수지의 종류, 조성비 등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단량체의 종류에 의해서, 공중합 수지의 광탄성계수로서 양의 기여를 하는 것과 음의 기여를 하는 것이 있기 때문에, 이들 조성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광탄성계수를 상쇄하여 그의 절대값을 작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탄성계수에 양의 기여를 하는 스티렌, N-페닐말레이미드와, 음의 기여를 하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이용하여 광탄성계수를 상쇄하여 그의 절대값을 작게 할 수 있다.
상기한 광탄성계수의 조절 방법을 조합함으로써,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만 내지 50만이며, 유리 전이 온도가 110℃ 내지 150℃, ASTM D1003에 기초하여 측정된 2 mm 두께의 전체 광선 투과율이 85% 이상, 광탄성계수가 -10×10-12 내지 10×10-12 ㎡/N을 갖는 열가소성 공중합 수지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공중합 수지는 JIS K7210에 기초하여, 온도 200℃, 하중 49 N로 측정한 공중합 수지의 멜트매스플로우레이트(melt mass-flow rate)(이하, MFR이라고도 함)로서,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 g/10 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5 g/10 분을 갖는다. MFR이 0.1 g/10 분 미만이나 3 g/10 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필름 성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MFR은 도요 세이끼 세이사꾸쇼사 제조 멜트인덱사(F-F01)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공중합 수지에는 필요에 따라서, 힌더드페놀(hindered phenol)계 화합물, 락톤계 화합물, 인계 화합물, 황계 화합물 등의 내열 안정제,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등의 내광 안정제, 윤활제나 가소제, 착색제, 대전 방지제, 광유 등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그의 첨가량은 공중합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1 질량부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공중합 수지는 사출 성형체, 시트, 필름 등의 공지된 성형체로 사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두께 10 내지 300 ㎛의 필름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 10 내지 300 ㎛의 필름을 성형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필름 압출기를 이용하여 용융 압출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공중합 수지의 필름은 위상차 필름, 반사 방지 필름, 액정 보호 필름 등 공지된 광학 필름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은 공지된 수법으로 연신하여 배향시킬 수 있다. 연신 배향된 본 발명의 열가소성 공중합 수지의 필름은 음의 배향 복굴절이 발생하기 때문에, 위상차 필름 용도에 가장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설명하지만, 이들은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해석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교반기를 구비한 용적 약 25 ℓ의 오토클레이브 중에 스티렌 74 질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6 질량부, 말레산 무수물 2 질량부, 2,4-디페닐-4-메틸-1-펜텐 0.025 질량부, 메틸에틸케톤 9 질량부를 투입하고, 계 내를 질소 가스로 치환한 후, 온도를 85℃로 승온하고, 말레산 무수물 8 질량부와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0.064 질량부를 메틸에틸케톤 70 질량부에 용해시킨 용액을 31 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첨가하였다. 첨가 후, 120℃에서 2 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점조한 반응액에 아닐린 8.9 질량부, 트리에틸아민 0.2 질량부를 가하여 140℃에서 7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벤트가 장착된 2축 압출기에 공급하고, 탈휘하여 공중합 수지를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체 수지를 C-13NMR에 의해 분석한 바, 스티렌 단위 65 질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위 19 질량%, N-페닐말레이미드 단위 15 질량%, 말레산 무수물 단위 1 질량%이고, Mw는 280,000이었다.
이 공중합체 수지를 T 다이를 부착한 필름 압출 성형기를 이용하여, 실린더 온도 240℃, 다이 온도 240℃에서, 두께 100 ㎛의 필름을 압출, 롤에 권취하였다. 얻어진 필름을 텐터 횡연신기를 이용하고, (Tg+20℃)의 온도에서 1.8배로 1축 연신하고, 연신된 광학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연신 필름의 측정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교반기를 구비한 용적 약 25 ℓ의 오토클레이브 중에 스티렌 60 질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0 질량부, 말레산 무수물 2 질량부, 2,4-디페닐-4-메틸-1-펜텐 0.025 질량부, 메틸에틸케톤 9 질량부를 투입하고, 계 내를 질소 가스로 치환한 후, 온도를 85℃로 승온하고, 말레산 무수물 8 질량부와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0.064 질량부를 메틸에틸케톤 105 질량부에 용해시킨 용액을 31 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첨가하였다. 첨가 후, 120℃에서 2 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점조한 반응액에 아닐린 8.9 질량부, 트리에틸아민 0.2 질량부를 가하여 140℃에서 7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벤트가 장착된 2축 압출기에 공급하고, 탈휘하여 공중합 수지를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 수지를 C-13NMR에 의해 분석한 바, 스티렌 단위 56 질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위 28 질량%, N-페닐말레이미드 단위 15 질량%, 말레산 무수물 단위 1 질량%이고, Mw는 250,000이었다. 이 공중합 수지로부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미연신 필름 및 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들 필름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교반기를 구비한 용적 약 25 ℓ의 오토클레이브 중에 스티렌 30 질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45 질량부, 말레산 무수물 3 질량부, 2,4-디페닐-4-메틸-1-펜텐 0.025 질량부, 메틸에틸케톤 9 질량부를 투입하고, 계 내를 질소 가스로 치환한 후, 온도를 85℃로 승온하고, 스티렌 10 질량%, 말레산 무수물 7 질량부와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0.064 질량부를 메틸에틸케톤 105 질량부에 용해시킨 용액을 31 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첨가하였다. 첨가 후, 120℃에서 2 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점조한 반응액에 아닐린 8.9 질량부, 트리에틸아민 0.2 질량부를 가하여 140℃에서 7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벤트가 장착된 2축 압출기에 공급하고, 탈휘하여 공중합 수지를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 수지를 C-13NMR에 의해 분석한 바, 스티렌 단위 42 질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위 42 질량%, N-페닐말레이미드 단위 15 질량%, 말레산 무수물 단위 1 질량%이고, Mw는 260,000이었다. 이 공중합 수지로부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미연신 필름 및 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들 필름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교반기를 구비한 용적 약 25 ℓ의 오토클레이브 중에 스티렌 10 질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60 질량부, 말레산 무수물 4 질량부, 2,4-디페닐-4-메틸-1-펜텐 0.025 질량부, 메틸에틸케톤 9 질량부를 투입하고, 계 내를 질소 가스로 치환한 후, 온도를 85℃로 승온하고, 스티렌 20 질량부, 말레산 무수물 6 질량부와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0.064 질량부를 메틸에틸케톤 105 질량부에 용해시킨 용액을 31 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첨가하였다. 첨가 후, 120℃에서 2 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점조한 반응액에 아닐린 8.9 질량부, 트리에틸아민 0.2 질량부를 가하여 140℃에서 7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벤트가 장착된 2축 압출기에 공급하고, 탈휘하여 공중합 수지를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 수지를 C-13NMR에 의해 분석한 바, 스티렌 단위 28 질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위 56 질량%, N-페닐말레이미드 단위 15 질량%, 말레산 무수물 단위 1 질량%이고, Mw는 240,000이었다. 이 공중합 수지로부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미연신 필름 및 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들 필름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교반기를 구비한 용적 약 25 ℓ의 오토클레이브 중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 70 질량부, 말레산 무수물 7 질량부, 2,4-디페닐-4-메틸-1-펜텐 0.025 질량부, 메틸에틸케톤 9 질량부를 투입하고, 계 내를 질소 가스로 치환한 후, 온도를 85℃로 승온하고, 스티렌 15 질량부, 말레산 무수물 10 질량부와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0.064 질량부를 메틸에틸케톤 140 질량부에 용해시킨 용액을 31 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첨가하였다. 첨가 후, 120℃에서 2 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점조한 반응액에 아닐린 8.9 질량부, 트리에틸아민 0.2 질량부를 가하여 140℃에서 7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벤트가 장착된 2축 압출기에 공급하고, 탈휘하여 공중합 수지를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 수지를 C-13NMR에 의해 분석한 바, 스티렌 단위 19 질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위 65 질량%, N-페닐말레이미드 단위 15 질량%, 말레산 무수물 단위 1 질량%이고, Mw는 210,000이었다. 이 공중합 수지로부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미연신 필름 및 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들 필름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교반기를 구비한 용적 약 25 ℓ의 오토클레이브 중에 스티렌 25 질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45 질량부, 말레산 무수물 5 질량부, 2,4-디페닐-4-메틸-1-펜텐 0.025 질량부, 메틸에틸케톤 9 질량부를 투입하고, 계 내를 질소 가스로 치환한 후, 온도를 85℃로 승온하고, 스티렌 10 질량%, 말레산 무수물 10 질량부와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0.064 질량부를 메틸에틸케톤 105 질량부에 용해시킨 용액을 31 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첨가하였다. 첨가 후, 120℃에서 2 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점조한 반응액에 아닐린 13.4 질량부, 트리에틸아민 0.2 질량부를 가하여 140℃에서 7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벤트가 장착된 2축 압출기에 공급하고, 탈휘하여 공중합 수지를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 수지를 C-13NMR에 의해 분석한 바, 스티렌 단위 36 질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위 41 질량%, N-페닐말레이미드 단위 22 질량%, 말레산 무수물 단위 1 질량%이고, Mw는 260,000이었다. 이 공중합 수지로부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미연신 필름 및 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들 필름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교반기를 구비한 용적 약 25 ℓ의 오토클레이브 중에 스티렌 35 질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50 질량부, 말레산 무수물 1 질량부, 2,4-디페닐-4-메틸-1-펜텐 0.025 질량부, 메틸에틸케톤 9 질량부를 투입하고, 계 내를 질소 가스로 치환한 후, 온도를 85℃로 승온하고, 스티렌 10 질량부, 말레산 무수물 4 질량부와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0.064 질량부를 메틸에틸케톤 105 질량부에 용해시킨 용액을 31 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첨가하였다. 첨가 후, 120℃에서 2 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점조한 반응액에 아닐린 4.5 질량부, 트리에틸아민 0.2 질량부를 가하여 140℃에서 7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벤트가 장착된 2축 압출기에 공급하고, 탈휘하여 공중합 수지를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 수지를 C-13NMR에 의해 분석한 바, 스티렌 단위 44 질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위 48 질량%, N-페닐말레이미드 단위 8 질량%이고, Mw는 260,000이었다. 이 공중합 수지로부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미연신 필름 및 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들 필름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교반기를 구비한 용적 약 25 ℓ의 오토클레이브 중에 스티렌 30 질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45 질량부, 말레산 무수물 3 질량부, 2,4-디페닐-4-메틸-1-펜텐 0.025 질량부, 메틸에틸케톤 9 질량부를 투입하고, 계 내를 질소 가스로 치환한 후, 온도를 85℃로 승온하고, 스티렌 10 질량%, 말레산 무수물 7 질량부와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0.064 질량부를 메틸에틸케톤 105 질량부에 용해시킨 용액을 47 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첨가하였다. 첨가 후, 120℃에서 3 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점조한 반응액에 아닐린 8.9 질량부, 트리에틸아민 0.2 질량부를 가하여 140℃에서 7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벤트가 장착된 2축 압출기에 공급하고, 탈휘하여 공중합 수지를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 수지를 C-13NMR에 의해 분석한 바, 스티렌 단위 42 질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위 42 질량%, N-페닐말레이미드 단위 15 질량%, 말레산 무수물 단위 1 질량%이고, Mw는 380,000이었다. 이 공중합 수지로부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미연신 필름 및 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들 필름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교반기를 구비한 용적 약 25 ℓ의 오토클레이브 중에 스티렌 30 질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45 질량부, 말레산 무수물 3 질량부, 2,4-디페닐-4-메틸-1-펜텐 0.025 질량부, 메틸에틸케톤 9 질량부를 투입하고, 계 내를 질소 가스로 치환한 후, 온도를 85℃로 승온하고, 스티렌 10 질량%, 말레산 무수물 7 질량부와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0.064 질량부를 메틸에틸케톤 105 질량부에 용해시킨 용액을 31 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첨가하였다. 첨가 후, 120℃에서 2 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반응액을 벤트가 장착된 2축 압출기에 공급하고, 탈휘하여 공중합 수지를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 수지를 C-13NMR에 의해 분석한 바, 스티렌 단위 45 질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위 45 질량%, 말레산 무수물 단위 10 질량%이고, Mw는 260,000이었다. 이 공중합 수지로부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미연신 필름 및 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들 필름의 측정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교반기를 구비한 용적 약 25 ℓ의 오토클레이브 중에 스티렌 60 질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0 질량부, 말레산 무수물 2 질량부, 2,4-디페닐-4-메틸-1-펜텐 0.025 질량부, 메틸에틸케톤 9 질량부를 투입하고, 계 내를 질소 가스로 치환한 후, 온도를 85℃로 승온하고, 말레산 무수물 8 질량부와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0.064 질량부를 메틸에틸케톤 105 질량부에 용해시킨 용액을 31 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첨가하였다. 첨가 후, 120℃에서 2 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점조한 반응액에 시클로헥실아민 8.9 질량부, 트리에틸아민 0.2 질량부를 가하여 140℃에서 7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벤트가 장착된 2축 압출기에 공급하고, 탈휘하여 공중합 수지를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 수지를 C-13NMR에 의해 분석한 바, 스티렌 단위 56 질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위 28 질량%,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단위 15 질량%, 말레산 무수물 단위 1 질량%이고, Mw는 250,000이었다. 이 공중합 수지로부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미연신 필름 및 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들 필름의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교반기를 구비한 용적 약 25 ℓ의 오토클레이브 중에 스티렌 30 질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45 질량부, 말레산 무수물 3 질량부, 2,4-디페닐-4-메틸-1-펜텐 0.025 질량부, 메틸에틸케톤 9 질량부를 투입하고, 계 내를 질소 가스로 치환한 후, 온도를 85℃로 승온하고, 스티렌 10 질량%, 말레산 무수물 7 질량부와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0.064 질량부를 메틸에틸케톤 105 질량부에 용해시킨 용액을 31 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첨가하였다. 첨가 후, 120℃에서 2 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점조한 반응액에 시클로헥실아민 8.9 질량부, 트리에틸아민 0.2 질량부를 가하여 140℃에서 7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벤트가 장착된 2축 압출기에 공급하고, 탈휘하여 공중합 수지를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 수지를 C-13NMR에 의해 분석한 바, 스티렌 단위 42 질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위 42 질량%,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단위 15 질량%, 말레산 무수물 단위 1 질량%이고, Mw는 260,000이었다. 이 수지로부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미연신 필름 및 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들 필름의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교반기를 구비한 용적 약 25 ℓ의 오토클레이브 중에 스티렌 50 질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50 질량부, 2,4-디페닐-4-메틸-1-펜텐 0.025 질량부,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0.064 질량부, 메틸에틸케톤 114 질량부를 투입하고, 계 내를 질소 가스로 치환한 후, 온도를 85℃로 승온하고, 31 시간에 걸쳐 교반한 후, 120℃에서 2 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반응액을 벤트가 장착된 2축 압출기에 공급하고, 탈휘하여 공중합 수지를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 수지를 C-13NMR에 의해 분석한 바, 스티렌 단위 51 질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위 49 질량%, Mw는 260,000이었다. 이 공중합 수지로부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미연신 필름 및 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들 필름의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교반기를 구비한 용적 약 25 ℓ의 오토클레이브 중에 스티렌 90 질량부, 말레산 무수물 0.5 질량부, 2,4-디페닐-4-메틸-1-펜텐 0.025 질량부, 메틸에틸케톤 9 질량부를 투입하고, 계 내를 질소 가스로 치환한 후, 온도를 85℃로 승온하고, 말레산 무수물 8.5 질량부와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0.064 질량부를 메틸에틸케톤 105 질량부에 용해시킨 용액을 31 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첨가하였다. 첨가 후, 120℃에서 2 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점조한 반응액에 아닐린 8.9 질량부, 트리에틸아민 0.2 질량부를 가하여 140℃에서 7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벤트가 장착된 2축 압출기에 공급하고, 탈휘하여 공중합 수지를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 수지를 C-13NMR에 의해 분석한 바, 스티렌 단위 84 질량%, N-페닐말레이미드 단위 15 질량%, 말레산 무수물 단위 1 질량%이고, Mw는 260,000이었다. 이 공중합 수지로부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미연신 필름 및 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들 필름의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교반기를 구비한 용적 약 25 ℓ의 오토클레이브 중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 80 질량부, 말레산 무수물 10 질량부, 2,4-디페닐-4-메틸-1-펜텐 0.025 질량부, 메틸에틸케톤 9 질량부를 투입하고, 계 내를 질소 가스로 치환한 후, 온도를 85℃로 승온하고, 스티렌 10 질량%과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0.064 질량부를 메틸에틸케톤 105 질량부에 용해시킨 용액을 31 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첨가하였다. 첨가 후, 120℃에서 2 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점조한 반응액에 아닐린 8.9 질량부, 트리에틸아민 0.2 질량부를 가하여 140℃에서 7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벤트가 장착된 2축 압출기에 공급하고, 탈휘하여 공중합 수지를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 수지를 C-13NMR에 의해 분석한 바, 스티렌 단위 9 질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위 75 질량%, N-페닐말레이미드 단위 15 질량%, 말레산 무수물 단위 1 질량%이고, Mw는 260,000이었다. 이 수지로부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미연신 필름 및 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들 필름의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교반기를 구비한 용적 약 25 ℓ의 오토클레이브 중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5 질량부, 말레산 무수물 5 질량부, 2,4-디페닐-4-메틸-1-펜텐 0.025 질량부, 메틸에틸케톤 9 질량부를 투입하고, 계 내를 질소 가스로 치환한 후, 온도를 85℃로 승온하고, 스티렌 35 질량%, 말레산 무수물 25 질량부와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0.064 질량부를 메틸에틸케톤 105 질량부에 용해시킨 용액을 31 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첨가하였다. 첨가 후, 120℃에서 2 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점조한 반응액에 아닐린 8.9 질량부, 트리에틸아민 0.2 질량부를 가하여 140℃에서 7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벤트가 장착된 2축 압출기에 공급하고, 탈휘하여 공중합 수지를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 수지를 C-13NMR에 의해 분석한 바, 스티렌 단위 29 질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위 29 질량%, N-페닐말레이미드 단위 41 질량%, 말레산 무수물 단위 1 질량%이고, Mw는 270,000이었다. 이 공중합 수지는 무르기 때문에 필름 성형성이 나빠, 롤에 권취할 수 없었지만, 필름편을 얻을 수 있었다. 얻어진 필름편의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5]
교반기를 구비한 용적 약 25 ℓ의 오토클레이브 중에 스티렌 25 질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45 질량부, 말레산 무수물 2 질량부, 2,4-디페닐-4-메틸-1-펜텐 0.025 질량부, 메틸에틸케톤 9 질량부를 투입하고, 계 내를 질소 가스로 치환한 후, 온도를 85℃로 승온하고, 스티렌 20 질량%, 말레산 무수물 8 질량부와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0.2 질량부를 메틸에틸케톤 105 질량부에 용해시킨 용액을 7 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첨가하였다. 첨가 후, 120℃에서 1 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점조한 반응액에 아닐린 8.9 질량부, 트리에틸아민 0.2 질량부를 가하여 140℃에서 7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벤트가 장착된 2축 압출기에 공급하고, 탈휘하여 공중합 수지를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 수지를 C-13NMR에 의해 분석한 바, 스티렌 단위 42 질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위 42 질량%, N-페닐말레이미드 단위 15 질량%, 말레산 무수물 단위 1 질량%이고, Mw는 160,000이었다. 이 공중합 수지는 무르기 때문에 필름 성형성이 나빠, 롤에 권취할 수 없었지만, 필름편을 얻을 수 있었다. 얻어진 필름편의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또한, 평가는 하기의 방법에 의하였다.
(1) 필름 성형성:
미연신 필름의 압출 성형성을 하기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우수", "양호"를 합격으로 하였다.
우수: 이상 없이 롤에 권취할 수 있었던 것.
양호: 롤에 권취할 수 있었지만, 슬릿에서 단부에 깨짐 발생 등의 불량이 있는 것.
불가: 절단 등으로 롤에 권취할 수 없었던 것.
(2) 필름 강도:
미연신 필름의 강도를, 내굴곡 강도의 측정을 이하의 조건으로 행하여, 하기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우수", "양호"를 합격으로 하였다.
측정 조건:
측정기: MIT-D FOLDING ENDURANCE TESTER(도요 세이끼사 제조)
하중(장력): 500 g 중
절곡 속도: 175회/분
절곡 각도: 좌우 각각 45도
절곡 장치 선단 반경: 0.38 mm
시험편폭: 15 mm
절곡 방향: 필름 압출 방향
강도 기준:
우수: 절곡 횟수 100회 이상
양호: 절곡 횟수 10회 이상 100회 미만
열화: 절곡 횟수 10회 미만
(3) 필름의 투명성:
ASTM D1003에 기초하여, 헤이즈미터(닛본 덴쇼꾸 고교사 제조 NDH-1001DP형)를 이용하여 미연신 필름의 헤이즈(단위:%)를 측정하였다. 3% 이하를 합격으로 하였다.
(4) 필름 외관:
미연신 필름의 외관을 육안으로 하기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우수", "양호"를 합격으로 하였다.
우수: 이상 없음
양호: 약간 황색빛이 있는 것
열화: 황색빛이 강한 것, 또한 투명성에 얼룩이 있는 것
(5) 위상차 발현성:
위상차 측정 장치(오우지 게이소꾸사 제조 KOBRA-WR)를 이용하여 연신 필름의 리타데이션(단위: nm)을 측정하고, 절대값이 120 nm 이상을 합격으로 하였다. 또한, 위상차 현미경으로 관찰함으로써, 배향 복굴절의 부호는, 실시예와 비교예 중 모든 샘플에서 음인 것을 확인하였다.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의 공중합 수지는 투명성(전체 광선 투과율), 내열성, 필름 성형성, 필름 강도 및 위상차 발현성이 양호하고, 광탄성 복굴절이 낮으며, 광학 성형체, 특히 광학 필름에 최적이다.
또한, 실시예의 공중합 수지로부터 얻어지는 필름은, 연신 배향에 의한 위상차 발현성이 양호하고, 또한 음의 배향 복굴절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위상차 필름에 최적이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열가소성 공중합 수지를 포함하는 광학용 성형체는 광학 용도에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특히 위상차 필름, 편광막 보호 필름, 시야각 향상 필름, 편광 필름이나 반사 방지 필름 등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2007년 9월 4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7-229043호의 명세서, 특허 청구의 범위, 도면 및 요약서의 전체 내용을 여기에 인용하고, 본 발명의 명세서의 개시로서 도입하는 것이다.

Claims (11)

  1. 하기에 나타내는 (A), (B), (C)의 조성으로 각각의 단량체 단위를 함유하고,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만 내지 50만이며, 유리 전이 온도가 110℃ 내지 150℃, ASTM D1003에 기초하여 측정된 2 mm 두께의 전체 광선 투과율이 85% 이상, 광탄성계수가 -10×10-12 내지 10×10-12 ㎡/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공중합 수지.
    (A)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 15 내지 80 질량%
    (B)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단위 15 내지 80 질량%
    (C) 불포화 디카르복실산이미드 유도체 및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 중 적어도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단위 5 내지 30 질량%
  2. 제1항에 있어서, (A) 방향족 비닐 단량체가 스티렌인 열가소성 공중합 수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B)(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가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인 열가소성 공중합 수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 불포화 디카르복실산이미드 유도체 단량체가 N-페닐말레이미드 및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중 적어도 하나인 열가소성 공중합 수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단량체가 말레산 무수물인 열가소성 공중합 수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만 내지 35만인 열가소성 공중합 수지.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열가소성 공중합 수지를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광학용 성형체.
  8. 제7항에 있어서, 광학용 성형체가 두께 10 내지 300 ㎛의 필름인 광학용 성형체.
  9. 제8항에 있어서, 필름이 용융 압출 필름인 광학용 성형체.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필름이 연신 처리하여 얻어지는 연신 필름인 광학용 성형체.
  11. 제10항에 있어서, 필름이 위상차 필름인 광학용 성형체.
KR1020107004771A 2007-09-04 2008-09-02 열가소성 공중합 수지 및 그의 광학 성형체 KR201000664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29043 2007-09-04
JP2007229043 2007-09-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477A true KR20100066477A (ko) 2010-06-17

Family

ID=40428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4771A KR20100066477A (ko) 2007-09-04 2008-09-02 열가소성 공중합 수지 및 그의 광학 성형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09031544A1 (ko)
KR (1) KR20100066477A (ko)
CN (1) CN101796086A (ko)
TW (1) TW200930733A (ko)
WO (1) WO2009031544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57791A1 (ko) * 2013-03-28 2014-10-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역파장 분산성을 갖는 광학필름
KR101494545B1 (ko) * 2013-03-28 2015-02-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역파장 분산성을 갖는 광학필름
KR20150037919A (ko) * 2012-07-30 2015-04-08 덴키 가가쿠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메타크릴 수지 내열성 향상용의 공중합체
KR20150074099A (ko) * 2012-10-22 2015-07-01 덴키 가가쿠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방향족 비닐-시안화비닐계 수지 내열성 향상용의 공중합체
KR20180136314A (ko) * 2017-06-14 2018-12-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광학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12277B2 (ja) * 2010-04-22 2016-04-27 株式会社日本触媒 光学フィルム、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965745B2 (ja) * 2011-07-01 2016-08-10 旭化成株式会社 光学等方性偏光膜保護フィルム及び偏光板
EP2727961B8 (en) * 2011-07-01 2016-10-19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Acrylic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thereof
JP5919611B2 (ja) * 2011-07-01 2016-05-18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低い光弾性係数を有する位相差板
JP5535167B2 (ja) * 2011-10-04 2014-07-02 学校法人慶應義塾 光学フィルム及びそれ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
JP5965612B2 (ja) * 2011-11-01 2016-08-10 旭化成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5965621B2 (ja) * 2011-11-24 2016-08-10 旭化成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5600843B2 (ja) * 2012-01-18 2014-10-08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光学フィルム用樹脂組成物、それを含む偏光子保護フィルム及び液晶表示装置
US8623960B2 (en) 2012-01-20 2014-01-07 Lg Chem, Ltd. Resin composition for optical film, and polarizer protective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CN104541188B (zh) * 2012-07-30 2018-04-10 电化株式会社 光学补偿薄膜用共聚物
CN103570857B (zh) * 2012-08-02 2019-04-30 电气化学工业株式会社 马来酰亚胺系共聚物
JP6058420B2 (ja) * 2013-02-20 2017-01-11 デンカ株式会社 導光板
JP6166058B2 (ja) * 2013-02-20 2017-07-19 デンカ株式会社 導光板
KR102148213B1 (ko) 2013-09-03 2020-08-26 덴카 주식회사 광학 필름용 공중합체
WO2015178437A1 (ja) * 2014-05-22 2015-11-26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透明耐擦傷性板用共重合体、透明耐擦傷性板用積層体
WO2016006589A1 (ja) * 2014-07-09 2016-01-14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合成樹脂積層体
CN106574015B (zh) 2014-08-11 2019-04-26 电化株式会社 适于提高甲基丙烯酸类树脂的耐热性的共聚物
CN105384865B (zh) * 2014-09-02 2019-02-19 小池康博 光学树脂材料、该光学树脂材料的制造方法、含该材料的光学树脂构件及含该构件的偏振片
CN108290983A (zh) 2015-11-30 2018-07-17 电化株式会社 透明的高耐热性苯乙烯系共聚物
WO2017119245A1 (ja) * 2016-01-05 2017-07-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6655528B2 (ja) * 2016-01-05 2020-02-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2309889B1 (ko) * 2016-07-06 2021-10-08 덴카 주식회사 편광자 보호 필름용 수지 조성물, 편광자 보호 필름
JP2020126229A (ja) * 2019-02-01 2020-08-20 小池 康博 光学ポリマー材料、光学フィルム、表示装置、光学ポリマー材料の製造方法およ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95588A1 (ja) * 2005-03-09 2006-09-14 Kaneka Corporation イミド樹脂およびこれを用いる光学用樹脂組成物
WO2007061041A1 (ja) * 2005-11-28 2007-05-31 Asahi Kasei Chemicals Corporation 光学フィルム
JP2007224221A (ja) * 2006-02-27 2007-09-06 Denki Kagaku Kogyo Kk 光学用成形体
JP4863744B2 (ja) * 2006-03-27 2012-01-25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光学用成形体
JP2008050536A (ja) * 2006-08-28 2008-03-06 Denki Kagaku Kogyo Kk 樹脂組成物と光学成形体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7919A (ko) * 2012-07-30 2015-04-08 덴키 가가쿠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메타크릴 수지 내열성 향상용의 공중합체
KR20150074099A (ko) * 2012-10-22 2015-07-01 덴키 가가쿠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방향족 비닐-시안화비닐계 수지 내열성 향상용의 공중합체
WO2014157791A1 (ko) * 2013-03-28 2014-10-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역파장 분산성을 갖는 광학필름
KR101494545B1 (ko) * 2013-03-28 2015-02-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역파장 분산성을 갖는 광학필름
US9088009B2 (en) 2013-03-28 2015-07-21 Lg Chem, Ltd. Resin composition, optical film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180136314A (ko) * 2017-06-14 2018-12-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광학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96086A (zh) 2010-08-04
TW200930733A (en) 2009-07-16
WO2009031544A1 (ja) 2009-03-12
JPWO2009031544A1 (ja) 2010-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66477A (ko) 열가소성 공중합 수지 및 그의 광학 성형체
US9873787B2 (en) Copolymer for improving methacrylic resin heat resistance
EP2578609A1 (en) Acrylic thermoplastic resin and molded object thereof
US20080266493A1 (en) Resin composition for optical material
US9365713B2 (en) Copolymer for improving heat resistance of aromatic vinyl-vinyl cyanide resin
JP6568687B2 (ja) 光学補償フィルム用共重合体
JP5196519B2 (ja) 機械的性質及び熱的性質に優れる光学フィルム
KR20140013081A (ko) 아크릴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체
JP6587620B2 (ja) メタクリル樹脂の耐熱性向上に適した共重合体
JP2008094912A (ja) 樹脂組成物と光学成形体
JP6646445B2 (ja) 光学フィルム用共重合体
JP2013107933A (ja) 光学用成形体用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光学用成形体
JP5965612B2 (ja) 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04589B1 (ko) 투명성, 인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JP2011169921A (ja) 光学成形体用樹脂組成物及びその光学成形体
JPWO2018003154A1 (ja) 広視野角高コントラスト光学補償フィルム
JP2008242426A (ja) 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9049583A (ja) 位相差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9049584A (ja) 多層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85197A (ko) 광학 필름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