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9865A - Aids 또는 알츠하이머 병의 치료를 위한 치료제로서의 베타-멜라노트로핀의 용도 - Google Patents

Aids 또는 알츠하이머 병의 치료를 위한 치료제로서의 베타-멜라노트로핀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9865A
KR20100059865A KR1020107005661A KR20107005661A KR20100059865A KR 20100059865 A KR20100059865 A KR 20100059865A KR 1020107005661 A KR1020107005661 A KR 1020107005661A KR 20107005661 A KR20107005661 A KR 20107005661A KR 20100059865 A KR20100059865 A KR 20100059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drome
disease
diseases
glu
l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5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리안 베펙
파비오 카발리
베라 카발리
게랄트 바허
Original Assignee
몬도바이오테크 래보래토리즈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몬도바이오테크 래보래토리즈 아게 filed Critical 몬도바이오테크 래보래토리즈 아게
Publication of KR20100059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986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12Cyclic peptides, e.g. bacitracins; Polymyxins; Gramicidins S, C; Tyrocidins A, B or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61K38/09Luteinising hormone-releasing hormone [LHRH], i.e.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Related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2Nasal agents, e.g. deconges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06Antiabortive agents; Labour repres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08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gonadal disorders or for enhancing fertility, e.g. inducers of ovulation or of spermatogen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4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non-specific disorders of the connective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61P21/02Muscle relaxants, e.g. for tetanus or cr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4Centrally acting analgesics, e.g. opi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8Antiepileptics; Anticonvul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4Antidepres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06Antiglaucoma agents or m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2Nutrients, e.g. vitamins,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61P31/06Antibacterial agents for tubercul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6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influenza or rhino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8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HIV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20Antivirals for DNA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20Antivirals for DNA viruses
    • A61P31/22Antivirals for DNA viruses for herpes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4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metasta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thyroid hormones, e.g. T3, T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6Antiana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575Hormones
    • C07K14/58Atrial natriuretic factor complex; Atriopeptin; Atrial natriuretic peptide [ANP]; Cardionatrin; Cardiodilati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6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Virology (AREA)
  • Onc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Endocri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Diabetes (AREA)
  • Neuro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Obesity (AREA)
  • Zo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 자가면역질환, 섬유성 질환, 염증성 질환, 신경 변성 질환, 감염성 질환, 폐질환, 심장 혈관 질환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치료제로서의 펩티드 화합물 Ala-Glu-Lys-Lys-Asp-Glu-Gly-Pro-Tyr-Arg-Met-Glu-His-Phe-Arg-Trp-Gly-Ser-Pro-Pro-Lys-Asp-OH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임의로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항동해제 (cryoprotectant), 동결건조보호제 (lyoprotectant), 부형제 및/또는 희석제와 함께, 펩티드 Ala-Glu-Lys-Lys-Asp-Glu-Gly-Pro-Tyr-Arg-Met-Glu-His-Phe-Arg-Trp-Gly-Ser-Pro-Pro-Lys-Asp-OH를 함유하는, 바람직하게는 동결건조물 또는 액상 완충액 또는 인공 모유 제제 또는 모유 대용품 형태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AIDS 또는 알츠하이머 병의 치료를 위한 치료제로서의 베타-멜라노트로핀의 용도{USE OF BETA-MELANOTROPIN AS A THERAPEUTIC AGENT, EG FOR THE TREATMENT OF AIDS OR ALZHEIMER}
본 발명은 암, 자가면역질환, 섬유성 질환, 염증성 질환, 신경 변성 질환, 감염성 질환, 폐질환, 심장 혈관 질환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치료제로서의 펩티드 화합물 Ala-Glu-Lys-Lys-Asp-Glu-Gly-Pro-Tyr-Arg-Met-Glu-His-Phe-Arg-Trp-Gly-Ser-Pro-Pro-Lys-Asp-OH (베타 MSH)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효과적인 치료 화합물의 동정은 생물학적 검정에 있어서의 화합물의 활성에 기초할 수 있다. 질환 원인 메카니즘을 모방하는 생물학적 검정은 후보 (candidate) 펩티드의 치료 활성을 테스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수의 질환의 원인 메카니즘은 생물학적 경로의 과활동성이다. 생물학적 경로의 활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펩티드는 생물학적 경로의 과활동성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효과적일 수 있다. 유사하게는, 다수의 질환의 원인 메카니즘은 생체 분자의 과잉 생성이다. 생체 분자의 생성을 감소시키거나 과잉 생성된 생체 분자의 활성을 차단할 수 있는 펩티드는 생체 분자의 과잉 생성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효과적일 수 있다.
반대로, 다수의 질환의 원인 메카니즘은 생물학적 경로의 저활동성이다. 생물학적 경로의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펩티드는 생물학적 경로의 저활동성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효과적일 수 있다. 유사하게도, 다수의 질환의 원인 메카니즘은 생체 분자의 생성 부족이다. 생체 분자의 생성을 증가시키거나 저생성된 생체 분자의 생물학적 활성을 모방할 수 있는 펩티드는 생체 분자의 생성 부족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효과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암, 자가면역질환, 섬유성 질환, 염증성 질환, 신경 변성 질환, 감염성 질환, 폐질환, 심장 혈관 질환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독립항의 교시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유리한 특징, 측면 및 세부 사항은 본 출원서의 종속항,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명백하다.
본 발명은 펩티드 Ala-Glu-Lys-Lys-Asp-Glu-Gly-Pro-Tyr-Arg-Met-Glu-His-Phe-Arg-Trp-Gly-Ser-Pro-Pro-Lys-Asp-OH (베타 MSH)의 용도, 즉, 암, 자가면역질환, 섬유성 질환, 염증성 질환, 신경 변성 질환, 감염성 질환, 폐질환, 심장 혈관 질환 및 대사성 질환의 약물 요법의 치료제 및 예방 및/또는 치료용 치료제로서의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펩티드를 함유하는 동결건조물 또는 액상 완충액 또는 인공 모유 제제 형태의 약제학적 제제도 개시되어 있다. 펩티드는 AIDS, 알츠하이머 병,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허혈 신장애, 파킨슨병, 색소성 망막염, 간질, 재생불량빈혈, 골수형성이상 증후군, CD4+ T-세포 림프구 감소증(lymphocytopenia), G6PD 결핍증, 심근경색증, 뇌졸중, 다낭신(polycystic kidney), 급성 간부전, 급성 세뇨관 괴사, 불임, 폐렴 연쇄상 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 유도 상피 세포사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유도 세포사 및 이하에 기재된 다른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특히 유용하다.
암, 종양, 증식성 질환, 악성 종양 및 이들의 전이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암"은 또한 종양, 증식성 질환, 악성 종양 및 이들의 전이를 말한다. 암질환의 예로는 선암, 맥락막 흑색종, 급성 백혈병, 청신경초종, 팽대부암종, 항문암종, 성상세포종, 기저세포암종, 췌장암, 유건종, 방광암, 기관지암종, 비소세포폐암 (NSCLC), 유방암, 버킷 림프종, 자궁체부암종, CUP 증후군 (원발불명암), 결장직장암, 소장암, 소장 종양, 난소암, 자궁내막암종, 상의세포종, 상피성 암형, 유잉 종양, 위장 종양, 위암, 담낭암, 담낭암종, 자궁암, 자궁경부암, 자궁경부 종양, 교아세포종, 부인과 종양, 이비인후과 종양, 혈액 종양, 유모세포 백혈병, 요도암, 피부암, 피부 고환암, 뇌종양 (신경교종), 뇌전이, 고환암, 뇌하수체 선종, 카르시노이드, 카포시 육종, 후두암, 배세포 종양, 골육종, 결장직장암종, 두경부 종양 (이비인후 부위의 종양), 결장암종, 두개인두종, 구강암 (구강 부분 및 입술의 암), 중추신경계 암, 간암, 간 전이, 백혈병, 안검 종양, 폐암, 림프절암 (호지킨/비호지킨), 림프종, 위암, 악성 흑색종, 악성 종양, 위장관 악성 종양, 유방암종, 직장암, 수모세포종, 흑색종, 수막종, 호지킨병, 균상 식육종, 비강암, 신경섬유초종, 신경모세포종, 신장암, 신세포암종, 비호지킨 림프종, 희돌기교세포종, 식도암종, 골용해성 암종 및 골형성성 암종, 골육종, 난소암종, 췌장암종, 음경암, 형질 세포종, 두경부 편평상피세포암종 (SCCHN), 전립선암, 인두암, 직장암종, 망막모세포종, 질암, 갑상선암종, 슈네베르거병 (Schneeberger disease), 식도암종, 극세포암, T세포 림프종 (균상 식육종), 흉선종, 관암종, 안종양, 요도암, 비뇨기계 종양, 요로상피암종, 외음부암, 쥐젖, 연부 조직 종양, 연부 조직 육종, 윌름 종양, 자궁경부암종 및 설암이 있다.
본 발명의 펩티드를 암, 증식성 질환, 종양 및 이들의 전이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있어서의 활성 치료제로서의 이의 효과에 관해 실시예 1 내지 7, 9 내지 18에 기재된 검정법을 이용하여 테스트하였다.
감염성 질환
고등 척추동물의 면역계는 각종 질환의 병원체인 미생물, 예컨대 박테리아, 진균류 및 바이러스를 포함하여, 척추동물체에 들어갈 수 있는 각종 항원에 대한 방어 최전선을 나타낸다.
광범위한 면역화 프로그램에도 불구하고, 바이러스 감염, 예컨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HIV"), 단순포진 바이러스 ("HSV", 1형 또는 2형), 인유두종 바이러스 ("HPV", 16형 또는 18형), 인간 거대세포 바이러스 ("HCMV") 또는 인간 B형 또는 C형 간염 바이러스 ("HBV", B형; "HCV", C형) 감염은 전세계적인 질병률 및 사망률의 심각한 원인이며, 노화 또는 다른 임상 상태와 관련된 면역 결핍에 걸린 사람의 질병과 사망의 주요 원인이다. 화합물, 예컨대 아만타딘 및 리만타딘을 사용한 항바이러스 화학요법이 임상 감염 (즉, 인플루엔자 감염)의 증상 지속기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약제 내성 변이체의 주요 부작용 및 발생이 기술되어 있다. 특정한 바이러스 단백질, 예컨대 인플루엔자 뉴라미니다아제를 표적으로 하도록 디자인된 새로운 계열의 항바이러스제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표적 단백질을 변이시키는 바이러스의 능력은 특정한 바이러스 폴리펩티드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분자를 이용한 효과적인 치료에 방해가 된다. 따라서,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새로운 치료 전략이 필요하다.
게다가, 세균 감염, 특히 다제 내성 박테리아로 인한 세균 감염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새로운 요법이 필요하다. 현재, 세균 감염은 각종 항생제로 치료된다. 항생제가 각종 세균 감염의 치료에 효과적이거나 효과적일 수 있지만, 항생제의 유효성 및 안전성에 대하여 다수의 제약이 따른다. 예를 들면, 일부 개인들은 특정한 항생제에 대하여 알레르기 반응을 나타내며, 다른 개인들은 심각한 부작용으로 고통받는다. 또한, 세균 감염 치료를 위해 항생제를 연속 사용하면, 박테리아의 항생제 내성 균주 생성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회감염을 포함한 감염성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펩티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감염성 질환의 예로는 AIDS, 다방포충증 (AHD, 포충증), 아메바증 (이질 아메바 (Entamoeba histolytica) 감염), 안지오스트론길루스 (Angiostrongylus) 감염, 아니사키스증, 탄저병, 바베시아증 (바베시아 감염), 발란티듐 감염 (발란티듐증), 바일리스아스카리스 (Baylisascaris) 감염 (미국너구리 회충), 빌하르츠 주혈흡충증 (주혈흡충증), 블라스토시스티스 호미니스 감염 (Blastocystis hominis infection) (블라스토마이세스증), 보렐리아증, 보툴리누스 중독증, 브레이너드 (Brainerd) 설사, 브루셀라증, 소해면상뇌증 (BSE), 칸디다증, 카필라리아증 (카필라리아 감염), 만성 피로 증후군 (CFS), 샤가스병 (아메리카 트리파노소마증), 수두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 폐렴 클라미디아 감염, 콜레라, 크로이츠펠트-야콥병 (CJD), 간흡충증 (간흡충 감염), 피부유충이행증 (CLM) (구충 감염), 콕시디오이데스 진균증, 결막염, 콕사키 바이러스 A16 (수족구병), 크립토콕쿠스증, 크립토스포리듐 감염 (크립토스포리듐증), 빨간집모기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벡터), 원포자충증 (사이클로스포라 감염), 낭미충증 (신경낭미충증),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감염, 뎅기 / 뎅기열, 개조충 감염 (개, 고양이 벼룩 촌충), 에볼라 바이러스 출혈열, 뇌염, 대장 아메바 감염, 동형아메바 감염, 작은아메바 감염, 이질 아메바 감염 (아메바증), 폴레키아메바 감염, 요충증 (요충 감염), 장 바이러스 감염 (비폴리오),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감염, 대장균 감염, 식품 매개 (foodborne) 감염, 족구병, 진균성 피부염, 위장염, A군 연쇄구균 감염증, B군 연쇄구균 감염증, 한센병 (leprosy), 한타바이러스 폐 증후군, 머릿니 감염 (이감염증),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감염, 혈액 질환, 헨드라 바이러스 감염, 간염 (HCV, HBV), 대상 포진 (띠헤르페스), HIV 감염, 인간 에를리히증, 인간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인플루엔자, 이소스포라증 (이소스포라 감염), 라사열, 리슈마니아증, 칼라아자르 (칼라아자르, 리슈마니아 감염), 이 (몸이, 머릿니, 사면발이), 라임병, 말라리아, 마르부르크 출혈열, 홍역, 수막염, 모기 매개 질환, 조형 결핵균 복합체 (MAC) 감염, 네글레리아 감염, 원내 감염, 비병원성 장아메바 감염, 회선사상충증 (강변 실명증), 오피스토르키스 감염증 (오피스토르키스 감염), 파르보바이러스 감염, 페스트, 주폐포자충 폐렴 (PCP), 급성 회백수염, Q열, 광견병,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RSV) 감염, 류마티스 열, 리프트 계곡 열, 강변 실명증 (회선사상충증), 로타바이러스 감염, 회충 감염, 살모넬라증,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 옴, 시겔라증, 띠헤르페스, 수면병, 천연두, 연쇄구균 감염, 촌충 감염 (조충 감염), 파상풍, 독소성 쇼크 증후군, 결핵, 궤양 (소화성 궤양 질환), 계곡 열, 장염비브리오균 감염, 패혈증비브리오균 감염, 바이러스성 출혈열, 쥐젖, 수인성 감염성 질환,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감염 (웨스트 나일 뇌염), 백일해, 황열병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프리온병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펩티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프리온은 핵산 게놈을 갖고 있지 않는 감염체이다. 단백질이 단독으로 감염체로 작용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프리온은 "핵산을 변성시키는 방법에 의해 불활성화에 저항하는 작은 단백질성 감염 입자"로서 정의되어 있다. 단백질 단독으로 감염성 질환을 전염시킬수 있다는 발견은 과학계에 있어서 상당한 놀라움이었다. 프리온병은 피질 및 소뇌에 큰 공포를 갖는 뇌의 사후 외관 때문에, 종종 "전염성 해면상 뇌증"으로 불리운다. 대개는 대부분의 포유동물 종이 이들 질환을 발병시킨다. 프리온병은 인간 및 동물의 신경변성 장애 그룹이며, 프리온병은 산발성, 유전성 또는 감염성 장애로 나타날 수 있다. 외인성 감염에 의해 감염된 프리온병의 예로는 소의 소해면상뇌염 (BSE) 및 BSE로 인한 새로 분류된 변종 크로이츠펠트-야콥병 (vCJD), 및 동물의 스크라피가 있다. 인간 프리온병의 예로는 쿠루, 산발성 크로이츠펠트-야콥병 (sCJD), 가족성 CJD (fCJD), 의원성 CJD (iCJD), 게르스트만-슈트로이슬러-샤잉커 (GSS) 병, 치명적 가족성 불면증 (FFI), 및 특히 새로 분류된 변종 CJD (nvCJD 또는 vCJD)을 들 수 있다.
용어 "프리온"은 전염성 해면상 뇌증의 근거가 되는 병원체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프리온은 바이러스 및 비로이드와는 상이한 새로운 감염 입자인 것으로 제안되어 있다. 이는 대부분의 불활성화 방법, 예컨대 열, 방사선 및 프로테아제에 저항하는 1개의 독특한 단백질로만 구성되어 있다. 후자의 특성에 의해, 프리온 단백질의 "프로테아제 내성 이소형"이라는 용어가 산출되었다. 프로테아제 내성 이소형은 정상 프리온 단백질의 비정상 형태로의 전환을 서서히 촉매하는 것으로 제안되어 왔다.
프리온과의 관계에 있어서의 용어 "이소형"은 매우 상이한 3차 구조를 갖는 분자로 접힐 수 있는 완전히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2개의 단백질을 의미한다. 프리온 단백질의 정상 세포 이소형 (PrPc)은 고 α-헬릭스 함량 및 저 β-시트 함량을 가지며, 프로테아제 소화에 민감하다. 질환을 일으키는 비정상 이소형 (PrPSc)은 더 낮은 α-헬릭스 함량 및 훨씬 더 높은 β-시트 함량을 가지며, 프로테아제 소화에 대하여 훨씬 더 내성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프리온병"은 전염성 해면상 뇌증을 말한다. 프리온병의 예로는 스크라피 (양, 염소), 전염성 밍크 뇌증 (TME; 밍크), 만성 소모성 질병 (CWD; 뮬사슴, 사슴, 엘크), 소해면상뇌증 (BSE; 젖소, 축우), 크로이츠펠트-야콥병 (CJD), 변종 CJD (vCJD), 산발성 크로이츠펠트-야콥병 (sCJD), 가족성 CJD (fCJD), 의원성 CJD (iCJD, 게르스트만-슈트로이슬러-샤잉커병 (GSS), 치명적 가족성 불면증 (FFI), 및 쿠루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BSE, vCJD, 및 CJD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티드를 감염성 질환 및 장애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있어서의 활성 치료제로서의 이의 효과에 대하여 실시예 1 내지 7에 기재된 검정법을 이용하여 테스트하였다.
자가면역질환
자가면역질환은 조직 손상이 체성분에 대한 체액성 및/또는 세포성 면역 반응 또는 넓은 의미로는 자기에 대한 면역 반응과 관련되어 있는 질환 또는 장애 그룹을 말한다. 병적 면역 반응은 전신 또는 기관 특이성을 나타낼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자기에 대한 면역 반응은 뉴런, 신장, 간장, 췌장, 갑상선, 부신 및 난소를 보호하는 관절, 피부, 미엘린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실제로는, 자가면역질환의 리스트는 80개 이상의 장애로 구성되어 있다. 수개의 자가면역질환, 예컨대 피부 패치가 색소 침착을 잃게 되는 백반증은 단지 성가실 뿐이다. 대부분의 다른 것들은 몸을 쇠약하게 하며, 종종 시간에 따라 증상이 진행되어, 결국은 치명적이 된다.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SLE)는 예를 들면, 환자의 10 내지 15%가 진단한 지 10년 이내에 사망하는 만성 질환으로, 전체는 아니지만, 다수의 자가면역질환에서, 성비는 여성에 치우쳐 있다. 예를 들면, SLE에 있어서는 여성/남성 환자 비는 9:1이다. 어느 한 경우, 면역계가 갑상선을 침범하는 하시모토병의 경우에는, 비는 50:1이다.
면역 복합체 형성이 자가면역질환의 병인 및 진행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예전부터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관절염에 걸린 환자의 염증은 항원, 항체 및 보체 면역 복합체의 복합체의 백혈구에 의한 식작용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전부터 고려되어 왔다 그러나, 이제는 관절 (관절염), 신장 (사구체신염), 및 혈관 (혈관염)의 면역 복합체로 인한 염증이 자가면역질환의 질병률의 주된 원인인 것으로 인지되고 있다. 면역 복합체 형성 증가는 자기에 대한 항체 또는 소위 자가항체의 존재와 서로 관련이 있으며, 후자의 존재는 또한 면역 복합체의 부분 또는 항원에 결합되어 있지 않은 부분 (유리 항체)으로서 조직 염증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일부의 자가면역질환에 있어서, 유리 자가항체의 존재는 질환 병상의 원인과 깊게 관련이 있다. 이는 예를 들면, SLE (항DNA 항체), 면역성 혈소판 감소증 (혈소판에 대한 항체 반응)에서 분명하게 증명되었으며, 그만큼은 아니더라도 류마티스성 관절염 (IgG 반응성 류마티스 인자)에서 증명되었다. 면역 복합체 및 유리 자가항체의 중요한 역할도 또한 특정한 자가면역질환의 성공적 치료가 특정한 면역흡착법에 의해 면역 복합체 및 유리 항체를 제거함으로써 달성된 사실에 의해 증명된다. 예를 들면, 면역 복합체 및 항체가 면역친화성 칼럼을 통해 환자의 혈액을 통과시킴으로써 제거되는 아페레시스 (apheresis) 과정의 사용은 면역성 혈소판 감소증 (ITP)에 관해서는 1987년에, 류마티스성 관절염에 관해서는 1999년에 미국 FDA에 의해 승인되었다. 그러나, 현재는 자가면역질환의 치료 방법에 있어서 약물 투여에 의해 면역 복합체 및 자가항체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승인된 방법은 없다.
자가면역질환의 병인 및 진행의 또 하나의 양상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역할이다. 통상은, 염증성 사이토카인, 예컨대 종양괴사인자 α (TNFα) 및 인터루킨-1 (IL-1)은 감염 및 세포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에 있어서 보호 역할을 한다. 그러나, TNFα 및 IL-1의 만성적이고/이거나 과도한 생성으로 인한 병리학적 결과는 다수의 자가면역질환, 예컨대 류마티스성 관절염, 크론병, 염증성 장질환 및 건선의 진행의 근거가 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다른 염증성 사이토카인으로는 인터루킨-6, 인터루킨-8, 인터루킨-17 및 과립구 대식세포 집락 자극인자를 들 수 있다.
천연 CD4+CD25+ 조절 T 세포 (Tregs)는 자가항원에 대한 말초 내성 (periphery tolerance)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흥미롭게도, 이들은 또한 알레르겐 및 이식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조절한다. 동물 모델에 있어서의 최근 연구로부터, CD4+CD25+ Tregs의 입양 전달이 알레르기성 질환 및 자가면역질환을 예방하거나 심지어는 치료할 수 있으며, 이식 내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환자 특이적 CD4+CD25+ Tregs를 이용하는 입양 세포 요법은 알레르기, 자가면역질환 및 이식거부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용 개별 맞춤형 (individualized) 약물 요법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약제를 사용한 생체 내에서의 항원 특이적 CD4+CD25+ Tregs를 활성화하여 증식시키는 전략은 약제 개발에 대한 신규한 접근법이 될 수 있다.
조직에로의 혈관외 유출을 촉진시키는 백혈구와 혈관 내피의 상호작용은 체내의 방어 기구의 주요 과정을 나타낸다. 자가면역 장애와 같은 만성 질환에서 염증 조직에로의 백혈구의 과잉 보충은 백혈구 혈관외 유출 메카니즘을 방해하지 않음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혈류에서 혈관외 조직으로의 백혈구의 트래피킹 (trafficking)의 분자 기반을 설명하는데 있어서의 현저한 진전이 이루어져, 치료법에 대한 새로운 전략이 가능해졌다. 백혈구 롤링, 강력 접착 및 내피벽을 통한 이행의 다단계 과정은 백혈구 및 내피세포에 대한 접착 수용체 및 케모카인의 동적 상호작용에 의해 촉진된다. 각종 동물 모델을 이용한 전임상 시험에 있어서, 셀렉틴 및 인테그린 패밀리의 접착 수용체의 차단으로, 궤양성 대장염, 자가면역성 뇌척수염 또는 접촉과민증의 모델에 있어서의 염증 과정이 향상된 것을 입증하는 기대할 만한 결과가 얻어졌다. 항체에 의한 접착 수용체의 표적화 이외에도, 접착 수용체 리간드의 에피토프를 모방하는 소분자가 개발되어, 동물 모델에서 성공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동물 모델과 비교하여, 셀렉틴 또는 백혈구 기능 관련 항원 1 (LFA-1) 인테그린에 대한 항체를 이용한 제한된 반응이 임상 연구에 의해 밝혀졌다. 그러나, 알파 4-인테그린 서브유닛에 대한 인간화 항체의 이용으로, 건선, 다발성 경화증 및 염증성 장질환과 같은 자가면역질환에서 상당한 효능이 입증되었다.
안구의 자가면역질환의 예로는 특발성 시신경염, 교감성 안염 (ophthalmia sympathica), 전부 포도막염 및 다른 포도막염 형태, 망막 변성, 및 무렌 궤양이 있다.
피부의 자가면역질환의 예로는 수포성 유천포창, 만성 두드러기 (자가면역성 아형), 포진상 피부염 (두링병 (morbus Duhring)), 후천성 수포성 표피박리증 (EBA), 후천성 맥관부종, 임신 포진, 저보체혈증 담마진성 혈관염 증후군 (HUVS), 선상 IgA 피부병, 및 천포창이 있다.
자가면역성 혈액 질환의 예로는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자가면역성 호중구감소증, 에반스 증후군, 인히비터 헤모필리아 (inhibitor hemophilia),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ITP) 및 악성 빈혈이 있다.
부인과의 자가면역질환의 예로는 습관 유산 및 불임증이 있다.
심장의 자가면역질환의 예로는 선천성 심장차단, 특발성 확장형 심근증, 주산기 심근증, 심장절개술후 증후군 및 심근경색후 증후군 (드레슬러 증후군)이 있다.
이비인후과의 자가면역질환의 예로는 만성 감각신경성 난청 및 메니에르병이 있다.
결장의 자가면역질환의 예로는 자가면역성 장병증, 궤양성 대장염, 불확정 대장염, 크론병 및 글루텐 과민성 장병증이 있다.
자가면역성 내분비적 자가면역 장애의 예로는 1형 자가면역성 다분비선 증후군, 2형 자가면역성 다분비선 증후군, 1형 당뇨병 (IDDM), 하시모토 갑상선염, 인슐린 자가면역증후군 (IAS), 특발성 요붕증, 특발성 부갑상선 기능저하증, 특발성 애디슨병 및 그레이브스-바세도우씨병이 있다.
간장의 자가면역질환의 예로는 자가면역성 간염 (제 1 형, 제 2 형 및 제 3 형 AIH),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증 (PBC) 및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이 있다.
폐의 자가면역질환의 예로는 구드패스츄어 증후군이 있다.
위의 자가면역질환의 예로는 만성 위축성 (A형) 위염이 있다.
신경계 자가면역 장애의 예로는 길랑-바레 증후군, IgM 감마글로불린병증과 관련된 신경병증, 람베르트-이튼 증후군, 밀러-피셔 증후군, 다발성 경화증, 다초점성 운동신경병증, 중증 근무력증, 신경학적 부종양성 증후군, 라스무센 뇌염 및 강직인간 증후군이 있다.
신장의 자가면역질환의 예로는 항세뇨관 기저막 신염, 구드패스츄어 증후군/항사구체 기저막 신염, IgA 신병증, 간질성 신염 및 막증식성 사구체신염이 있다.
자가면역반응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추가의 질환으로는 베체트병, 만성 피로 면역기능 장애 증후군 (CFIDS), 코간 증후군 I, 자궁내막증, HELLP 증후군, 베크테레프 증후군 (Bechterew's Disease), 류마티스성 다발성 근육통, 건선, 사르코이드증 및 백반증이 있다.
지난 10년간, 전신성 자가면역질환의 치료를 위해 새로운 생물요법이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새로운 치료법의 타겟은 모든 면역 반응 단계이다. 이들 새로운 요법은 B 림프구 (BL) 억제제, 예컨대 항 CD20 단클론항체, B 림프구 자극인자 (BLyS) 길항제 및 병원성 항체 분비 LB의 관용원; 항원 제시 세포와, 단클론 항CD40 리간드 항체 또는 CTLA4-Ig (아바테세프트 (abatecept))와 같은 T 림프구 (TL) 사이의 부자극 억제제; 자가반응성 T세포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TL 길항제; 사이토카인 길항제; 면역 담당 세포의 표적 기관에로의 트래피킹을 억제하는 케모카인 및 접착 길항제이다. 이러한 새로운 요법은 보다 충분한 자가면역반응의 이해에 기초한다.
본 발명의 펩티드를 자가면역질환 및 장애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있어서의 활성 치료제로서의 이의 효과에 대하여 실시예 14 내지 15에 기재된 검정법을 이용하여 테스트하였다.
섬유성 질환
섬유증 또는 섬유증 관련 장애는 간장, 표피, 내피, 근육, 건, 연골, 심장, 췌장, 폐, 자궁, 신경계, 고환, 난소, 부신, 동맥, 정맥, 결장, 소장, 담도 또는 위에 영향을 미친다. 추가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섬유증 또는 섬유증 관련 장애는 간질성 폐섬유증이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섬유증 또는 섬유증 관련 장애는 주혈흡충에 의한 감염의 결과이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섬유증 또는 섬유증 관련 장애는 부상 치유의 결과이다.
섬유증은 일반적으로 교질성 결합조직의 병적 또는 과잉 축적을 특징으로 한다. 섬유성 질환 및 장애로는 교원병, 간질성 폐질환, 인간 섬유성 폐질환 (예를 들면, 폐색성 세기관지염, 특발성 폐섬유증, 원인이 분명한 폐섬유증, 폐질환의 종양 간질, 폐를 침범하는 전신성 경화증, 헤르만스키-푸들라크 증후군, 탄광부 진폐증, 석면증, 규폐증, 만성 폐고혈압증, AIDS 관련 폐고혈압증, 사르코이드증 등), 섬유성 혈관 질환, 세뇨관 간질성 및 사구체 섬유증, 심근 섬유증, 동맥경화증,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정맥류, 관상동맥 경색증, 뇌경색, 심근 섬유증, 근골격 섬유증, 수술후 유착, 인간 신장 질환 (예를 들면, 신염 증후군, 알포트 증후군, HIV 관련 신병증, 다낭성 신질환, 파브리병, 당뇨병성 신병증, 만성 사구체신염, 전신성 루푸스와 관련된 신염 등), 피부 켈로이드 형성, 진행성 전신성 경화증 (PSS),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 (PSC), 간장 섬유증, 간경화증, 신장 섬유증, 폐섬유증, 낭포성 섬유증, 만성 이식편대 숙주병, 경피증 (국소 및 전신), 그레이브스 안병증, 당뇨병성 망막증, 녹내장, 페이로니병, 음경 섬유증, 방광경을 이용한 테스트 후의 요도 협착증, 수술 후의 내부 부착물 (inner accretion after surgery), 흉터형성, 골수섬유증, 특발성 후복막 섬유증, 원인이 분명한 복막 섬유증, 약물 유발성 맥각 중독증, 양성 또는 악성 암에 수반되는 섬유증, 미생물 감염 (예를 들면, 바이러스, 세균, 기생충, 진균 등)에 수반되는 섬유증, 알츠하이머 병, 염증성 장질환에 수반되는 섬유증 (크론병 및 현미경적 대장염의 협착 형성 포함), 화학적 상해 또는 환경 장해 (예를 들면, 암 화학요법, 살충제, 방사선 요법/암 방사선 요법)에 의해 유발되는 섬유증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섬유증과 관련된 질환으로는 루푸스, 이식편대 숙주병, 경피증, 전신성 경화증, 경피증과 유사한 장애, 사인 (sine) 경피증, 석회증, 레이노 식도 기능 부전, 수지경화증, 모세혈관 확장증, 과민성 폐렴, 교원 혈관성 질환, 천식, 폐동맥 고혈압증, 사구체신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 심근 경색 후의 섬유증, 뇌졸중 또는 신경변성질환 후의 중추신경계 섬유증 (예를 들면, 알츠하이머 병), 증식 유리체 망막병증 (PVR) 및 관절염, 규폐증, 석면에 의한 폐섬유증, 급성 폐손상 및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세균성 폐렴에 의해 유도, 외상에 의해 유도, 바이러스성 폐렴에 의해 유도, 결핵, 인공호흡기에 의해 유도, 비폐 패혈증에 의해 유도 및 흡인에 의해 유도된 것을 포함)을 들 수 있다.
섬유성 질환에 있어서의 활성화 근섬유아세포 수의 증가:
근섬유아세포의 출현 및 소실은 각각 활성 섬유증의 개시 및 이의 소산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근섬유아세포는 섬유성 조직, 예를 들면, 폐 조직에서 많은 병리학적 변화를 구현하는 다수의 표현형 특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특성은 섬유증, 예를 들면, 폐섬유증의 병인에 있어서 근섬유아세포의 중요한 역할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근섬유아세포의 존속은 진행성 질환을 예고할 수 있으며, 반대로 이의 소실은 소산 지표일 수 있다. 이는 또한 근섬유아세포를 타겟으로 하는 장래의 치료 전략이 유망할 것임을 시사한다.
환자는 통상 활성화 섬유아세포 수가 증가된 활성 섬유증의 증거를 나타내며, 섬유아세포 중 다수는 근섬유아세포의 표현형 특성을 갖는다. 이들 부위에서, 세포외 기질의 침착은 정상 폐포 구조의 소실로 인해 그 양이 명백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동물 모델 연구에 의해, 근섬유아세포가 활성 섬유 부위에서의 I형 콜라겐 유전자 발현의 1차 공급원임을 알 수 있다. 시험관 내 연구는 특정한 사이토카인의 영향하에서 섬유아세포로부터 이들 세포의 분화를 보여주는 반면, 일산화질소 매개 아폽토시스에 대한 이들의 감수성을 나타낸다. 근섬유아세포 분화의 촉진 이외에도, 형질전환성장인자-β1 (TGF-β1)은 아폽토시스를 예방한다. 따라서, 이러한 공지의 섬유 형성 사이토카인은 근섬유아세포의 출현 및 아폽토시스 자극에 대한 이의 생존 모두에 중요하다. 이는 각종 조직에 있어서의 섬유증의 다양한 모델에서의 이러한 사이토카인의 결정적인 중요성과 일치한다. 이러한 성질을 고려할 때, 근섬유아세포의 존속 또는 장기 생존은 폐손상의 특정한 형태가 어떻게 진행성 질환을 유발하여, 종말기 질환으로 끝나는지를 이해하는 열쇠가 될 수 있다.
폐섬유증이 다양한 병인을 갖고 있지만, 이러한 과정, 즉, 정상 폐조직 구조를 삭제하는 세포외 기질의 이상 침착에 특징적인 공통 특징이 있다. 이러한 기질의 중요한 세포 공급원은 섬유증의 활동기에 많은 섬유성 병변을 차지하는 간엽 세포 집단이다. 이러한 집단은 다수의 주요한 표현형에 대하여 불균일하다. 이들 표현형 중 하나는 근섬유아세포로, 이는 α-평활근 액틴에서 이의 발현 및 선의의 (bona fide) 평활근 세포와 섬유아세포 사이의 중간체인 특징에 의해 공통적으로 식별된다. 창상 치유 및 조직 수복/섬유증의 부위에서의 근섬유아세포의 데 노보 (de novo) 출현은 활성 섬유증의 활동기와 관련이 있으며, 창상 수축에 관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활성 세포외 기질의 침착을 행하는 부위에서의 근섬유아세포의 국소화는 섬유성 병변의 발생에 있어서의 이들 세포의 중요한 역할을 제시한다.
섬유성 질환에 있어서의 TGF-β1 패밀리 레벨 증가:
단백질의 형질전환성장인자-β1 (TGF-β1) 패밀리는 지금까지 조사된 사이토카인의 세포외 기질 침착에 대한 가장 강력한 자극 효과를 갖는다. 폐섬유증의 동물 모델에 있어서, TGF-β1 유전자 발현 증가는 콜라겐 유전자 발현 증가 및 단백질 침착 증가와 시간적으로 공간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TGF-β1 항체는 뮤린 블레오마이신에 의해 유발된 폐섬유증에 있어서 콜라겐 침착을 감소시키며, 인간 섬유성 폐 조직은 TGF-β1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 증가를 나타낸다. 여러 증거로부터, TGF-β가 폐섬유증의 중심적 조절 인자인 것으로 나타난다. TGF-β를 과잉발현하는 여러 동물 모델은 광범위한 진행성 섬유증 및 제한된 염증을 보이는데, 이는 TGF-β가 폐섬유증의 진행에 중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치료 노력은 예를 들면, 항 TGF-β1 항체, 또는 TGF-β1 조절제, 예컨대 피르페니돈에 의한 TGF-β 활성의 억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피르페니돈은 생체 내에서의 TGF-β1 유전자 발현을 억제시켜, TGF-β1 매개 콜라겐 합성을 억제시키며, 환자의 IPF의 진행을 지연시키는 것으로 나타난다. 다른 신규하고 유망한 항섬유화제로는 렐락신 (콜라겐의 TGF-β 매개 과잉발현을 억제시키고, 콜라게나아제를 증가시킴), 수라민 (성장 인자를 억제시킴), 프로스타글란딘 E2 (콜라겐 생성을 억제시킴) 및 로바스타틴 (섬유아세포 아폽토시스의 유도에 의해 육아 조직의 형성을 저해함)을 들 수 있다.
TGF-β의 레벨 증가와 관련된 폐를 침범하는 질환으로는 미숙아 만성 폐질환, 특발성 폐섬유증, 급속 진행성 폐섬유증, 거대세포 간질성 폐렴, 폐이식술 후의 급성 거부 반응, 폐이식술 후의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폐렴, 폐색성 세기관지염, 석면증, 탄광부 진폐증, 규폐증, 조직구 증식증, 사르코이드증, 호산구성 육아종, 경피증,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림프관평활근종증, 폐선암종에 있어서의 중추성 (central) 섬유증, 낭포성 섬유증, 만성 폐쇄성 폐질환, 및 천식을 들 수 있다.
섬유성 질환에 있어서의 TNF-α 레벨 증가:
간질성 섬유증에 있어서의 종양괴사인자-α (TNF-α)의 중요한 역할은 이러한 사이토카인을 과잉발현하거나 사이토카인의 결핍을 나타내는 트랜스제닉 마우스를 이용하여 입증하였다. TNF-α를 과잉발현하도록 형질 전환된 (transgenically modified) 마우스는 폐섬유증을 발병시킨다. 대조적으로, TNF-α를 갖지 않는 마우스는 블레오마이신에 의해 유발된 섬유증에 대하여 현저한 저항성을 나타낸다. TNF-α는 시험관 내에서의 섬유아세포 복제 및 콜라겐 합성을 촉진할 수 있으며, 폐의 TNF-α 유전자 발현은 마우스에로의 블레오마이신의 투여 후에 상승한다. 가용성 TNF-α 수용체는 뮤린 모델에 있어서의 폐섬유증을 감소시키며, 트랜스제닉 마우스의 폐의 TNF-α의 과잉발현은 폐섬유증을 특징으로 한다. CFA 또는 석면증에 걸린 환자에 있어서, 기관지 폐포 세척액 유래 대식세포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증가된 양의 TNF-α를 방출한다.
TNF-α 증가로 인해, 예를 들면, 내부 기관의 섬유증, 피부 또는 진피 섬유증 및 안구 섬유증을 포함한 조직을 침범하는 섬유증 또는 섬유증 관련 증상이 유도될 수 있다. 내부 기관 (예를 들면, 간장, 폐, 신장, 심장 혈관, 위장관)의 섬유증은 장애, 예컨대 폐섬유증, 특발성 섬유증, 자가면역성 섬유증, 골수섬유증, 간경화증, 정맥 폐색성 질환, 메산지움 증식성 사구체신염, 반월상 사구체신염, 당뇨병성 신병증, 신장 간질성 섬유증, 사이클로스포린을 복용하는 환자의 신장 섬유증, 동종이식 거부반응 또는 HTV 관련 신증에서 발병한다. 다른 섬유증 관련 장애로는 전신성 경화증, 호산구증가 근육통 증후군, 및 섬유증 관련 CNS 장애, 예컨대 안구내 섬유증을 들 수 있다. 피부 섬유증으로는 예를 들면, 경피증, 반상 경피증, 켈로이드, 비후성 반흔, 가족성 피부 교원종 및 콜라겐형 결합조직모반을 들 수 있다. 안구 섬유증으로는 증상, 예컨대 당뇨병성 망막증, 수술후 흉터형성 (예를 들면, 녹내장 여과 수술후 및 내사시 (사시) 수술후), 및 증식 유리체 망막병증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치료될 수 있는 추가의 섬유성 증상은 예를 들면, 류마티스성 관절염, 장기 관절통 및 퇴화된 관절과 관련된 질환; 진행성 전신성 경화증, 다발성 근염, 피부근염, 호산구성 근막염, 반상 경피증, 레이노 증후군, 및 비폴립에 기인할 수 있다.
섬유성 질환에 있어서의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 레벨 증가:
간질성 폐섬유증 (IPF)에 걸린 환자의 폐에서 관찰된 이상 세포외 기질 (ECM) 리모델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 (MMP)와 메탈로프로테이나제 조직 저해제 (TIMP) 사이의 불균형에 기인한다. 정상 폐 섬유아세포는 시험관 내에서 MMP-9을 생성하지 않는데 반해, IPF 폐의 섬유아세포는 MMP-9을 강하게 발현한다. 또한, IPF 환자의 섬유아세포는 모든 TIMP의 증가된 레벨을 발현한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TIMP는 일부의 세포 집단의 아폽토시스에 관여할 수 있다. 특발성 폐섬유증의 미치료 환자로부터 얻은 폐포 대식세포의 인비트로 연구로부터, 건강인에게서 수집된 대식세포와 비교하여, MMP-9 분비가 현저하게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블레오마이신에 의해 유발된 폐섬유증의 동물 모델에 있어서, MMP는 기관지 폐포 세척 (BAL) 액에서 상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는, MMP의 합성 저해제, 바티마스타트는 블레오마이신에 의해 유발된 폐섬유증을 상당히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이러한 폐섬유성 질환의 발병에 있어서 MMP의 중요성을 다시금 나타낸다. 다수의 연구에 따르면, MMP의 작용은 성장 인자 및 사이토카인의 방출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전섬유화 인자 (profibrotic factor)는 이들의 활성화 또는 세포외 기질로부터의 방출을 위하여 단백질 분해 처리를 필요로 하며, 이들의 활성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담체 단백질을 필요로 한다. 실제로는, 폐섬유증의 병인에 관여하는 다수의 주요 인자, 예컨대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IGF), TGF-β1 및 TNF-α의 단백질 분해 활성 처리는 MMP의 작용을 통해 일어남으로써, 활성화되거나 저해성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으로부터 유리된다. 예를 들면, 생체 내에서의 IGF는 6개의 고친화성 IGF 결합 단백질 (IGFBP 1 내지 6)에 의해 격리되어, IGF 수용체와 상호작용하는 이들의 능력이 저지된다. 성인 및 소아 IPF 및 간질성 폐질환을 조사하는 연구에 따르면, IPF 외에도, IGFBP-3 및 IFPB-2 레벨도 IPF BAL 액에서 증가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최근에, MMP는 IGF 결합 단백질의 분해를 조절하여, 표적 세포의 IGF 작용에 영향을 주도록 복합 리간드를 유리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젤라틴분해효소, MMP-9 및 MMP-2가 잠재성 TGF-β 복합체의 단백질 분해 활성화에 관여할 수 있음이 관찰되었다. 또한, MMP 저해제, 바티마스타트는 BAL 액 중에서의 MMP-9 활성을 감소시키며, 이는 TGF-β 및 TNF-α의 감소량과 관련되어 있다.
폐섬유증은 유발 인자를 갖는 숙주에 대한 폐의 급성 염증 반응의 흔한 결과일 수 있다. 섬유성 변화로 인한 만성 폐 손상은 특정할 수 있는 염증 사례 또는 잠행성 미지의 사례에 기인할 수 있다. 염증 과정은 여러 종류의 염증 세포, 예컨대 호중구 및 대식세포의 침윤,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의 분비 및 매트릭스 리모델링 프로테이나제의 분비를 포함할 수 있다.
섬유성 질환에 있어서의 CCL18 레벨 증가:
인간 폐포 대식세포 (AM)에 의한 시스테인-시스테인 (CC) 케모카인 리간드 18 (CCL18), 즉, 선택적 활성화 마커의 발현 및 조절은 폐섬유증 환자에게서 증가되며, 폐기능 검사 파라미터와 역의 상관관계가 있다. 따라서, CCL18은 폐섬유증에 관한 이상적인 진단 마커이다.
본 발명의 펩티드를 섬유성 질환 및 장애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있어서의 활성 치료제로서의 이의 효과에 대하여 실시예 14 내지 15에 기재된 검정법을 이용하여 테스트하였다.
염증성 질환
염증은 각종 손상, 예컨대 인체에 대한 감염, 외상, 및 알레르기의 최종 공통 경로이다. 염증 세포의 동원, 전구염증성 세포의 생성 및 전구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과 함께, 면역계의 활성화를 특징으로 한다. 대부분의 염증성 질환 및 장애는 단핵세포/대식세포, 과립구, 형질세포, 림프구 및 혈소판을 포함한 염증 세포의 이상 축적을 특징으로 한다. 조직 내피세포 및 섬유아세포와 함께, 이들 염증 세포는 지질, 성장 인자, 사이토카인 및 국소 조직 손상을 일으키는 파괴 효소의 복합 어레이를 방출한다.
염증 반응의 한 형태는 숙주 방어의 주요 성분인 다형핵 호중구 (PMN)에 의한 염증 조직 침윤을 특징으로 하는 호중구성 염증이다. 세포외 박테리아에 의한 조직 감염은 이러한 염증 반응의 원형을 나타낸다. 다른 한편으로는, 각종 비감염성 질환은 호중구의 혈관외 동원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그룹의 염증성 질환으로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 성인 호흡곤란 증후군, 일부 유형의 면역복합체형 폐포염, 낭포성 섬유증, 기관지염, 기관지확장증, 폐기종, 사구체신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통풍성 관절염, 궤양성 대장염, 특정 피부병, 예컨대 건선 및 혈관염을 들 수 있다. 이들 증상에 있어서, 호중구는 지속적인 경우, 결과적으로 일어나는 장기 기능 부전과 함께, 정상 조직 구조의 비가역적 파괴를 유도할 수 있는 조직 손상의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조직 손상은 주로 호중구의 활성화에 뒤따르는 프로테이나제의 방출 및 산소종의 생성 증가로 인한 것이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 (COPD)은 완전히 가역적이지 않은 기류 제한의 점진적 발병으로 평하고 있다. 대부분의 COPD 환자는 세가지 병상, 즉, 기관지염, 폐기종 및 점액 전색을 나타낸다. 이러한 질환은 강제 폐활량 (FVC)의 상대적인 보존과 함께, 서서히 진행되는 1초 동안의 강제 호기량 (FEV1)의 비가역적인 감소를 특징으로 한다. 천식 및 COPD에 있어서, 현저하나 구별되는 기도 리모델링이 일어난다. 대부분의 기류 폐쇄는 두가지의 주된 원인, 즉, 폐포 파괴 (폐기종) 및 작은 기도 폐쇄 (만성 폐쇄성 기관지염)로 인한 것이다. COPD는 주로 심한 점액 세포의 과형성을 특징으로 한다. 환자의 폐의 호중구 침윤은 COPD의 주요 특징이다. TNF-α와 같은 전구염증성 사이토카인, 특히 인터루킨-8 (IL-8)과 같은 케모카인 및 성장 조절 종양 유전자-α (GRO-α)의 레벨 상승은 이러한 질환의 병인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혈소판의 트롬복산 합성도 COPD 환자에게서 강화된다. 대부분의 조직 손상은 호중구의 활성화에 뒤따르는 메탈로프로테이나제의 방출 및 산소종의 생성 증가로 인한 것이다.
TNF-α는 항상성 및 병태생리학적 상태에 중요한 다수의 생물 활성을 갖고 있다. TNF-α의 주요 공급원은 단핵세포-대식세포, T-림프구 및 비만세포이다. 항 TNF-α 항체 (cA2)가 류마티스성 관절염 (RA)을 앓고 있는 환자의 치료에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에 의해, RA에 대한 유망한 강력한 약제로서의 새로운 TNF-α 저해제를 발견하고자 하는 관심이 증대되었다. 류마티스성 관절염은 관절의 비가역적인 병적 변화를 특징으로 하는 자가면역성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 RA 이외에도, TNF-α 길항제는 다수의 다른 병상 및 질환, 예컨대 척추염, 골관절염, 통풍 및 다른 관절염 증상, 패혈증, 패혈성 쇼크, 독소성 쇼크 증후군,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 피부염, 건선, 사구체신염, 홍반성 루푸스, 경피증, 천식, 악액질, 만성 폐쇄성 폐질환, 울혈성 심부전, 인슐린 저항성, 폐섬유증, 다발성 경화증,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바이러스 감염 및 AIDS에도 사용가능하다.
용어 "면역염증성 장애"는 자가면역질환, 증식성 피부 질환, 및 염증성 피부 질환을 포함한 각종 증상을 포함한다. 면역염증성 장애는 염증 과정에 의한 건강한 조직의 파괴, 면역계 조절이상, 및 바람직하지 못한 세포 증식을 초래한다. 면역염증성 장애의 예로는 심상성 여드름;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애디슨병;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성 안구내 염증성 질환, 항호중구 세포질 항체 (ANCA) 관련 소혈관 혈관염; 강직성 척추염; 관절염, 천식;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아토피성 피부염; 자가면역성 간염;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자가면역성 간염; 베체트병; 벨 마비; 수포성 유천포창; 뇌허혈; 만성 폐쇄성 폐질환; 간경변; 코간 증후군; 접촉 피부염; COPD; 크론병; 쿠싱 증후군; 피부근염; 당뇨병; 원판상 홍반성 루푸스; 호산구성 근막염; 결절성 홍반; 박탈성 피부염; 섬유근육통; 초점성 사구체경화증; 초점성 분절성 사구체경화증; 거대세포 동맥염; 통풍; 통풍성 관절염; 이식편대 숙주병; 손 습진; 헤노호-쉔라인 자반증; 임신성 포진; 다모증; 특발성 각막공막염; 특발성 폐섬유증;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면역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염증성 장질환 또는 위장 장애, 염증성 피부 질환; 편평 태선; 루푸스 신염; 림프종성 기관기관지염; 황반부종; 다발성 경화증; 중증 근무력증; 근육염; 비특이성 섬유화성 폐질환; 골관절염; 췌장염; 임신성 유천포창; 심상성 천포창; 치주염; 결절성 다발성 동맥염; 류마티스성 다발성 근육통; 음낭 소양증; 소양증/염증, 건선; 건선성 관절염; 폐 히스토플라스마증; 류마티스성 관절염; 재발성 다발성 연골염; 사르코이드증에 의한 장미증; 경피증에 의한 장미증; 스위트 증후군에 의한 장미증;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에 의한 장미증; 두드러기에 의한 장미증; 대상포진 관련 통증에 의한 장미증; 사르코이드증; 경피증; 분절성 사구체경화증; 패혈성 쇼크 증후군; 어깨 건염 또는 점액낭염; 쇼그렌 증후군; 스틸병; 뇌졸중에 의한 뇌세포사; 스위트병 (Sweet's disease);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전신성 경화증; 다카야스 동맥염; 측두동맥염; 독성 표피 괴사융해증; 이식 거부 및 이식 거부 관련 증후군; 결핵; 제 1 형 당뇨병; 궤양성 대장염; 포도막염; 혈관염; 및 베게너 육아종증이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비피부 (non-dermal) 염증성 장애"는 예를 들면, 류마티스성 관절염, 염증성 장질환, 천식, 및 만성 폐쇄성 폐질환을 포함한다. "피부 염증성 장애" 또는 "염증성 피부 질환"은 건선, 적상 건선, 역위 건선, 농포성 건선, 건선성 홍피증, 급성 발열성 호중구성 피부병, 습진, 건성 습진, 발한 장애성 습진, 수포성 손,발바닥 습진, 심상성 여드름,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 피부염,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 피부근염, 박탈성 피부염, 손 습진, 한포, 장미증, 사르코이드증에 의한 장미증, 경피증에 의한 장미증, 스위트 증후군에 의한 장미증,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에 의한 장미증, 두드러기에 의한 장미증, 대상포진 관련 통증에 의한 장미증, 스위트병, 호중구성 한선염, 무균성 농포증, 약진, 지루성 피부염, 장미색 비강진, 피부 기쿠치병, 임신 소양성 두드러기성 구진과 반점,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및 독성 표피 괴사융해증, 타투 (tattoo) 반응, 웰스 증후군 (호산구성 봉와직염), 반응성 관절염 (라이터 증후군), 장 관련 피부병-관절염 증후군, 류마티스성 호중구성 피부병, 호중구성 에크린 한선염, 손등의 호중구성 피부병, 국한성 형질세포 귀두염, 귀두포피염, 베체트병, 중심원심성 윤상 홍반, 지속성 이색성 홍반, 다형 홍반, 환상 육아종, 손 피부염, 광택 태선, 편평 태선, 경화위축성 태선, 만성 단순 태선, 극상 태선, 화폐상 피부염, 괴저성 농피증, 사르코이드증, 각질하 농포성 피부증, 두드러기, 및 일과성 극세포해리성 피부병 중에서 선택되는 염증성 장애를 의미한다.
"증식성 피부 질환"은 표피 또는 진피에서의 세포 분열의 가속화를 특징으로 하는 양성 또는 악성 질환을 의미한다. 증식성 피부 질환의 예로는 건선, 아토피성 피부염, 비특이성 피부염, 1차 자극성 접촉 피부염,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 피부의 기저세포암종 및 편평상피세포암종, 층판상 어린선, 표피박리성 과각화증, 전암성 각화증, 여드름, 및 지루성 피부염이 있다.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가에 의해 인지되는 바와 같이, 특정한 질환, 장애 또는 증상은 증식성 피부 질환 및 염증성 피부 질환으로 규정될 수 있다. 이러한 질환의 예로는 건선이 있다.
특정한 질병과 관련된 염증의 증상과 징후로는:
ㆍ 류마티스성 관절염:- 통증, 종창, 환부 관절 (involved joint)의 발열 및 압통; 전신 경직 및 조조 경직;
ㆍ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췌도염; 이러한 증상은 망막증, 신경장애, 신장병증; 관상동맥질환, 말초혈관질환, 및 뇌혈관질환을 포함한 염증성 요소를 갖는 각종 합병증을 유도할 수 있음;
ㆍ 자가면역성 갑상선염:- 쇠약, 변비, 숨가쁨, 얼굴, 손 및 발 부음, 말초 부종, 서맥;
ㆍ 다발성 경화증:- 경직, 시력 저하, 현기증, 사지 쇠약, 감각이상;
ㆍ 포도망막염:- 야간 시력 저하, 주변 시야 상실;
ㆍ 홍반성 루푸스:- 관절통, 발진, 감광성, 열, 근육통, 손발 부음, 요검사 이상 (혈뇨, 원주 뇨, 단백뇨), 사구체신염, 인지기능장애, 혈관내 혈전, 심막염;
ㆍ 경피증:- 레이노병; 손, 팔, 다리 및 얼굴의 종창; 피부 비후; 손가락 및 무릎의 통증, 부종 및 경직, 위장 장애, 구속성 폐질환; 심막염; 신부전;
ㆍ 염증성 요소를 갖는 다른 관절염 증상, 예컨대 류마토이드척추염, 골관절염, 패혈성 관절염 및 다발성 관절염:- 열, 통증, 종창, 압통;
ㆍ 다른 염증성 뇌장애, 예컨대 수막염, 알츠하이머 병, AIDS 치매 뇌염:- 광선공포증, 인지기능장애, 기억 상실;
ㆍ 다른 염증성 안구 염증, 예컨대 망막염:- 시력 저하;
ㆍ 염증성 피부 장애, 예컨대 습진, 다른 피부염 (예를 들면, 아토피, 접촉), 건선, 자외선 (태양 광선 및 유사 자외선 광원)에 의한 화상:- 홍반, 통증, 스케일링, 종창, 압통;
ㆍ 염증성 장질환, 예컨대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통증, 설사, 변비, 직장 출혈, 열, 관절염;
ㆍ 천식:- 숨가쁨, 쌕쌕거림;
ㆍ 다른 알레르기 장애, 예컨대 알레르기성 비염:- 재채기, 가려움, 콧물
ㆍ 급성 외상과 관련된 증상, 예컨대 뇌손상 후의 뇌졸중 - 감각 상실, 운동 상실, 인지 장애;
ㆍ 심근 허혈로 인한 심장 조직 손상:- 통증 숨가쁨;
ㆍ 예컨대, 성인 호흡곤란 증후군에서 발생하는 폐 손상:- 숨가쁨, 과호흡, 산화 감소, 폐 침윤;
ㆍ 염증 동반 감염증, 예컨대 패혈증, 패혈성 쇼크, 독소성 쇼크 증후군:- 열, 호흡부전, 빈맥, 저혈압, 백혈구증가증;
ㆍ 특정 기관 또는 조직과 관련된 다른 염증성 증상, 예컨대:
(i) 신염 (예를 들면, 사구체신염):-소변감소증, 요검사 이상;
(ii) 염증을 일으킨 충수:- 열, 통증, 압통, 백혈구증가증;
(iii) 통풍:- 환부 관절의 통증, 압통, 종창 및 홍반, 혈청 및/또는 요중 요산 상승;
(iv) 염증성 담낭:- 복통 및 압통, 열, 구역질, 백혈구증가증;
(v) 울혈성 심부전:- 숨가쁨, 수포음, 말초 부종;
(vi) 2형 당뇨병:- 심장 혈관 질환, 안질환, 신장병, 및 말초혈관질환을 포함하는 말단 기관 합병증;
(vii) 폐 (pulmonary) 섬유증:- 과호흡, 숨가쁨, 산화 감소;
(viii) 혈관 질환, 예컨대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및 재협착:- 통증, 감각 상실, 맥박 감소, 기능 상실; 및
(ix) 이식거부에 이르는 동종면역:- 통증, 압통, 열을 들 수 있다.
아폽토시스
아폽토시스 또는 세포예정사는 충분한 세포 손상 후 발생하는 메카니즘으로 정의된다. 이는 형태학 및 생화학에서의 세포 괴사와는 특징적으로 다르다.
아폽토시스로 핵이 응축되고 세포가 수축된다. 아폽토시스 세포에서는 아폽토시스 DNAses에 의한 DNA의 분해 제어로 인한 염색체 단편화를 볼 수 있다. 세포질 기포형성 및 아폽토시스체가 또한 아폽토시스 동안 보여진다. 아폽토시스의 최종 결과는 주변 조직에 염증이 없는 세포사이다.
결함있는 아폽토시스 과정은 생물학적 현상으로서의 그의 중요성 외에도, 광범위한 종류의 질병에 연루된다. 과도한 아폽토시스는 AIDS, 알츠하이머 병,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허혈 신장애, 파킨슨병, 색소성 망막염, 간질, 재생불량빈혈, 골수형성이상 증후군, CD4+ T-세포 림프구 감소증(lymphocytopenia), G6PD 결핍증, 심근경색증, 뇌졸중, 다낭신(polycystic kidney), 급성 간부전, 급성 세뇨관 괴사, 불임, 폐렴 연쇄상 구균( Streptococcus pneumoniae ) 유도 상피 세포사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유도 세포사에서 T-세포 고갈을 일으키는 반면, 불충분한 양은 제어되지 않는 세포 증식, 예컨대 암을 일으킨다.
아폽토시스는 조직 발생의 불가결한 요소이다. 기관 또는 조직의 발생은 종종 특정 세포의 광범위한 분열 및 분화가 선행된 뒤 결과의 매스가 아폽토시스에 의해 합당한 형태로 "제거"된다. 상처에 의해 일어나는 세포사와는 달리, 아폽토시스는 세포 수축 및 단편화로 이어진다. 이는 세포가 효율적으로 식작용을 하도록 하고 잠재적으로 해로운 세포내 물질을 주변 조직으로 방출하는 일 없이 그들의 성분을 재생되도록 해준다.
아폽토시스의 과정은 다양한 범위의 세포 신호에 의해 조절되고, 이는 세포외적으로 또는 세포내적으로 유래될 수 있다. 세포외 신호는 호르몬, 성장 인자, 일산화질소 또는 사이토카인을 포함할 수 있고, 따라서 반응 수행을 위해 원형질막을 가로지르거나 변환되어야 한다. 이들 신호는 양성적으로 또는 음성적으로 아폽토시스를 유도할 수 있다; 이 문맥에서는 분자에 의한 아폽토시스의 결합 및 후속 개시가 양성이라 불리고, 분자에 의한 아폽토시스의 활성 억제가 음성으로 불린다.
세포내 아폽토시스 신호 전달은 스트레스에 반응하여 세포에 의해 개시되는 반응이고, 궁극적으로 세포 자살을 초래한다. 글루코코티코이드, 열, 조사선, 영양 결핍, 바이러스 감염 및 저산소증에 의한 핵 수용체의 결합은 손상된 세포에 의한 세포내 아폽토시스 신호의 방출을 이끌 수 있는 모든 요인이다. 세포사의 실제 과정이 효소에 의해 수행되기 전에, 아폽토시스 신호는 조절 단백질에 의해 실제 사멸 경로에 연결되어야 한다. 이 단계에서 아폽토시스 신호는 세포사를 절정에 이르게 하거나, 또는 중단시켜 세포를 더 이상 사멸시킬 필요가 없도록 한다. 다수 단백질이 포함되지만, 조절을 달성하기 위한 두개의 주요 방법이 확인되었다; 미토콘드리아 기능성을 표적으로 하거나, 신호를 어댑터 단백질(adapter protein)을 통해 아폽토시스 메카니즘으로 직접적으로 변환시킴. 모든 준비 과정은 에너지와 기능성 세포 기구를 필요로 한다.
미토콘드리아는 다세포 삶에 필수이다. 이들이 없다면, 세포는 호기적 호흡을 할 수 없어서 급속히 사멸할 것이다 - 일부 아폽토시스 경로로 이용된 사실. 미토콘드리아를 표적으로 하는 아폽토시스 단백질은 상이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친다; 이들은 막공의 형성을 통하여 미토콘드리아 팽창을 유도할 수 있거나, 미토콘드리아 막의 투과성을 증진시킬 수 있고 아폽토시스 작동체(effector)의 누출을 초래할 수 있다. 일산화질소 (NO)는 미토콘드리아의 막전위를 없애는 것을 도와 아폽토시스를 유도할 수 있고 이로써 이를 더욱 투과성이 되도록 한다. SMAC (카스파아제의 제 2 미토콘드리아-유도 활성자)로 알려진 미토콘드리아 단백질은 시토졸로 방출된 다음 투과성이 증가한다. SMAC는 아폽토시스 단백질의 억제자(IAP)에 결합하고 그들을 비활성화시켜, IAP가 아폽토시스 과정을 저지하는 것을 막음으로써 아폽토시스가 계속 진행되게 한다. IAP는 또한 일반적으로 카스파아제라 불리는 시스테인 프로테아제 그룹의 활성을 억제하고, 이는 세포의 분해를 수행하며, 이에 따라 실제 분해 효소가 미토콘드리아의 투과성에 의해 간접적으로 조절되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
많은 경로 및 신호가 아폽토시스를 유도하지만, 이 과정에서 세포사를 야기하는 메카니즘은 단 하나이다; 적절한 자극이 세포에 수용되고 필요한 조절이 발휘된 후에, 세포는 활성화된 단백질 가수분해 카스파아제에 의해 세포 소기관의 조직적인 분해를 겪게 될 것이다. 아폽토시스를 겪은 세포는 현미경으로 관찰될 수 있는 특징적인 형태학을 나타낸다: 카스파아제에 의한 단백질성 세포골격의 붕괴로 인한 세포 수축 및 원형화(rounding). 세포질은 조밀하게 보이고, 소기관은 밀집되어 보인다. 크로마틴은 아폽토시스의 특성으로서, 핵농축(pyknosis)으로 알려진 과정에서 핵막(nuclear envelope)에 대해 밀집 패치로 응축된다. 핵붕괴로 언급되는 과정에서 핵막은 불연속성으로 되고 그 내부의 DNA는 단편화된다. 핵은 DNA 분해로 인해 수개의 분리된 크로마틴체 또는 뉴클레오솜 단위로 파괴된다. 세포 막은 불규칙한 아체를 보인다. 세포는 아폽토시스체라 불리는 수개의 소낭으로 분열된 다음, 식작용이 일어난다.
아폽토시스는 세포가 복구를 넘어서 손상되거나, 바이러스로 감염되거나, 기아와 같은 스트레스 상태를 겪을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이온화 조사선 또는 독성 화학물질로부터의 DNA 손상은 또한 종양-억제 유전자 p53의 작용을 통해 아폽토시스를 유도할 수 있다. 아폽토시스 "결정"은 세포 자체, 주변 조직 또는 면역계의 부분인 세포로부터 일어날 수 있다. 이 경우, 아폽토시스는 손상된 세포를 제거하여 유기체로부터 추가의 영양분이 짜내지는 것을 막거나, 바이러스 감염이 퍼지는 것을 막는 기능을 한다.
아폽토시스는 또한 암을 예방하는데 역할을 담당한다; 세포가 돌연변이 또는 생화학적 억제로 인해 아폽토시스를 겪을 수 없으면, 분할을 계속하여 종양으로 발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필로마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은 바이러스 유전자가 아폽토시스 경로의 중요한 구성원인 세포의 p53 단백질을 방해한다. 세포의 아폽토시스능에서의 이러한 방해는 자궁경부암의 발생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건강한 유기체에서, 세포의 수는 세포사 및 분할을 통해서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된다. 세포는 병에 걸렸거나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 대체되어야 하나; 증식은 세포사로 보상되어야 한다. 이러한 균형 과정은 살아있는 유기체가 특정 한계 내에서 그들의 내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항상성의 일부분이다.
항상성은 조직에서 유사분열 (세포 분열)의 비율이 세포사에 의해 균형이 이루어지면 달성된다. 만약 이 평형이 깨진다면, 둘 중 하나는 잠재적으로 치명적인 장애를 일으킨다: 세포는 그들이 사멸하는 것보다 더 빨리 분열되고, 효과적으로 종양을 발생시킨다. 세포는 그들이 사멸하는 것보다 더 느리게 분열하고, 이는 세포 상실의 장애를 초래한다. 유기체의 생명 진행 과정인 많은 상이한 종류의 세포 신호 전달을 포함하는 기관은 굳건하게 제어된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복잡한 일련의 제어 과정을 조정해야 한다. 이들 제어에 있어서 어떤 하나의 손상은 질병 상태로 이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전달 경로의 조절 이상은 몇가지 형태의 암과 관련이 있다.
본 발명의 펩티드를 염증성 질환 및 장애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있어서의 활성 치료제로서의 이의 효과에 관해 실시예 1 내지 7, 9 내지 18에 기재된 검정법을 이용하여 테스트하였다.
신경 변성 질환
본 발명은 또한 일반적으로 신경학 및 정신 의학 분야, 및 포유동물 중추신경계의 세포를 손상 또는 상해로부터 보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중추신경계 (CNS) 또는 말초신경계 (PNS)에 대한 각종 상해 또는 외상은 중증도의 장기 신경학적 및/또는 정신과적 증상 및 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이것이 일으킬 수 있는 한 형태는 중추신경계 (CNS)의 뉴런 또는 다른 세포의 진행성 사멸, 즉, 신경변성 또는 신경퇴행이다.
예를 들면, 알츠하이머 병, 다발성 경화증, 뇌혈관 장애 (CVAs)/뇌졸중, 외상성 뇌손상, 척수 손상, 시신경 변성, 예를 들면, 허혈성 시신경장애 또는 망막 변성 및 다른 중추신경계 장애의 결과로서의 신경퇴행은 이의 고 발생률 및 장기 후유증의 빈도로 인하여 거대한 의료 및 공중 위생 문제가 된다. 동물 실험 및 임상 시험으로부터, 아미노산계 전달물질 (특히, 글루타메이트), 산화성 스트레스 및 염증 반응이 이들 증상에 있어서의 세포사의 큰 원인이 됨을 알 수 있다. 손상 또는 허혈성 상해 시에, 손상된 뉴런은 주위 뉴런에 대하여 흥분독성을 나타내는 대량의 신경전달물질 글루타메이트를 방출한다. 글루타메이트는 포유동물 신경계의 흥분성 시냅스 전달물질인 음전하를 띤 아미노산이다. 글루타메이트의 농도가 신경말단에서 밀리몰 범위에 이를 수 있더라도, 이의 세포외 농도는 신경독성을 예방하도록 저 레벨로 유지된다. 고 농도로 존재하는 경우에, 글루타메이트가 뉴런에 대하여 독성을 나타낼 수 있다는데 주목해야 한다. 용어 "흥분독성"은 글루타메이트 (및 다른 이러한 흥분성 아미노산)가 고 용량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뉴런에 대하여 가질 수 있는 세포독성을 나타내는데 사용되어 왔다.
망막을 포함한 중추신경계 (CNS) 또는 말초신경계 (PNS)에 대한 어떠한 손상 또는 상해를 입은 환자는 신경 보호 방법으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신경계 손상은 예를 들면, 급성 손상, 저산소 허혈, 또는 신경 세포사 또는 절충 상태 (compromise)을 초래하는 이의 조합 증상을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 급성 신경변성 질환에서와 같이, 신경계에 대한 급격한 충격 또는 급성 손상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급성 손상으로는 외상성 뇌손상 (TBI), 예컨대 폐쇄성, 둔기 또는 관통성 뇌외상, 국소성 뇌외상, 미만성 뇌손상, 척수 손상, 두개내 또는 척추내 병변 (척수의 타박상, 관통, 전단, 압박 또는 열상 병변 또는 편타성 진탕 영아 증후군 (whiplash shaken infant syndrome)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음)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산소 또는 혈액 공급 결핍은 일반적으로 뇌혈관 부전, 뇌허혈 또는 뇌경색 (색전성 폐색 및 혈전증에 기인하는 뇌허혈 또는 뇌경색 포함), 망막 허혈 (당뇨병 또는 다른 것에 의해), 녹내장, 망막 변성, 다발성 경화증, 중독성 및 허혈성 시신경장애, 재관류 후의 급성 허혈, 주산기 저산소성 허혈성 손상, 임의의 형태의 심장 마비 또는 뇌내 출혈 (경막외, 경막하, 지주막하 또는 뇌내 출혈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음)을 들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 저산소증 및/또는 허혈에서와 같이 급성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신경계의 조직에 대한 외상 또는 손상은 또한 보다 심한 만성 및 진행성 신경변성 장애, 예컨대 알츠하이머 병, 피크병, 미만성 루이소체병, 진행성 핵상마비 (스틸-리처드슨 증후군), 다발계통 변성 (샤이-드래거 증후군), 신경변성과 관련된 만성 간질 증상, 운동 뉴런 질환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다발성 경화증, 퇴행성 운동실조, 피질 기저핵 변성, ALS-파킨슨-치매 복합증 (ALS-Parkinson's-dementia complex of Guam), 아급성 경화성 전뇌염, 헌팅턴 병, 파킨슨 병, 시누클레인성 병태 (synucleinopathies; 다계통 위축증 포함), 원발성 진행성 실어증, 선조체 흑질 변성증, 마카도-조셉병 또는 척수소뇌성 실조증 3형 및 올리브교 소뇌변성, 구마비 및 가성구 마비, 척수성 및 구척수성 근위축증 (케네디 병), 원발성 측삭경화증, 가족성 연축성 대마비, 베르드니그-호프만 병, 쿠겔베르그-벨란더 병, 테이삭스 병 (Tay-Sach's disease), 샌드호프 병, 가족성 연축성 질환, 볼파르트-쿠겔베르그-벨란더 병, 연축성 대부전마비, 진행성 다초점 백색질뇌증, 가족성 자율신경장애 (라일리-데이 증후군) 또는 프리온병 (크로이츠펠트-야콥병, 게르스트만-슈트로이슬러-샤잉커 병, 쿠루병 또는 치명적 가족성 불면증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음)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 장기간에 걸친 진행성 신경 세포사 또는 절충 상태와 관련된 질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신경계에 대한 외상 및 진행성 손상은 양극성 장애 또는 분열정동성 장애 또는 정신분열병의 진행성 악화 형태, 충동조절장애, 강박 장애 (OCD), 측두엽 간질에 있어서의 행동 변화 및 인격 장애를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 각종 정신 장애에서 일어날 수 있다.
바람직한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각종 정신 장애에서 신경계에 대한 외상 및 진행성 손상을 포함한 장애에 있어서의 신경보호작용을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장애는 분열정동성 장애, 정신분열병, 충동조절장애, 강박 장애 (OCD) 및 인격 장애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다.
또한, 외상 및 손상은 연령 관련 치매, 혈관성 치매, 미만성 백질 질환 (빈스방거병), 내분비성 또는 대사성 원인의 치매, 두부 외상 및 미만성 뇌손상의 치매, 권투선수 치매 또는 전두엽 치매 (피크병을 들 수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음)와 관련된 신경변성 장애를 들 수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 명백한 광범위한 기억 상실과 관련된 질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뉴런 손상과 관련된 다른 장애로는 망막을 포함한 신경계의 화학적, 독성, 감염성 및 방사선 손상, 태아 발육기의 손상, 출산시의 미숙, 무산소성 허혈, 간장약, 혈당, 요독, 전해질 및 내분비성 원인의 손상, 정신의학적 원인 (정신병리, 우울증 또는 불안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음)의 손상, 말초 질환 및 신경총병증 (신경총마비 포함)에 의한 손상, 또는 신경병증 (다초점성, 감각성, 운동, 운동 감각성, 자율, 감각 자율 또는 탈수초성 신경병증 (길랑-바레 증후군 또는 만성 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성 신경병증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음) 중에서 선택되는 신경병증 포함), 또는 감염증, 염증, 면역 장애, 약물 남용, 약물 치료, 독소, 외상 (압박, 압궤, 열상 또는 분절 외상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음), 대사 장애 (내분비성 또는 종양수반성 장애를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음), 샤르코-마리-투스병 (1a형, 1b형, 2형, 4a형 또는 1-X 연관형 (linked)을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음), 프리드라이히 운동실조, 이염성 백질이영양증, 레프섬 병, 부신척수 신경병증, 모세혈관 확장성 운동실조, 데제린-소타스병 (A형 또는 B형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음), 람베르트-이튼 증후군 또는 뇌신경 장애에 기인하는 신경병증)에 의한 손상과 관련된 장애를 들 수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징후로는 인지장애가 있다. 용어 "인지장애"는 불안장애, 섬망, 치매, 기억상실 장애, 해리장애, 섭식장애, 기분장애, 정신분열병, 정신병적 장애, 성 및 정신성적 주체성 장애, 수면장애, 신체형 장애, 급성 스트레스 장애, 강박 장애, 공황 장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특정 공포증, 사회 공포증, 물질 금단 섬망, 알츠하이머 병, 크로이츠펠트-야콥병, 두부 외상, 헌팅턴 병, HIV 질환, 파킨슨 병, 피크병, 학습장애, 운동 능력 장애, 발달성 협응장애, 의사소통장애, 음성학적 장애, 전반적 발달장애, 아스퍼거 장애, 자폐 장애, 소아기 붕괴성 장애, 레트 장애, 전반적 발달장애,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품행 장애, 반항성 도전 장애, 이식증, 반추 장애, 틱장애, 만성 운동성 또는 음성 틱장애, 뚜렛 장애, 배설 장애, 유분증, 유뇨증, 선택적 함구증, 분리불안장애, 해리성 기억상실증, 이인성 장애, 해리성 둔주, 해리성 정체성 장애, 신경성 식욕부진증, 신경성 대식증, 양극성 장애, 정신분열형 장애, 분열정동성 장애, 망상성 장애, 정신병적 장애, 공유 정신병적 장애, 망상, 환각, 물질 유도성 정신병적 장애, 절정감 장애, 성교 통증 장애, 성교 통증, 질경련, 성기능 장애, 성도착증, 수면이상, 호흡관련 수면장애, 일주기 율동 수면장애, 과다수면증, 불면증, 기면증, 수면이상, 사건수면, 악몽 장애, 야경증, 몽유병, 사건수면, 신체추형장애, 전환 장애, 침울증, 통증 장애, 신체화 장애, 알콜 관련 장애, 암페타민 관련 장애, 카페인 관련 장애, 대마초 관련 장애, 코카인 관련 장애, 환각제 관련 장애, 흡입제 관련 장애, 니코틴 관련 장애, 아편양제제 관련 장애, 펜사이클리딘 관련 장애, 남용, 지속적 기억상실 장애, 중독, 금단을 말한다.
용어 "양극성 및 임상적 장애"는 적응 장애, 불안장애, 섬망, 치매, 기억상실 장애 및 다른 인지장애, 유아기, 예를 들면 아동기 또는 청소년기에 흔히 처음으로 진단되는 장애, 해리장애 (예를 들면, 해리성 기억상실증, 이인성 장애, 해리성 둔주 및 해리성 정체성 장애), 섭식장애, 인위성 장애, 충동조절장애, 전신 병상으로 인한 정신장애, 기분장애, 임상적 관심의 초점이 될 수 있는 기타 증상, 인격 장애, 정신분열병 및 다른 정신병적 장애, 성 및 정신성적 주체성 장애, 수면장애, 신체형 장애, 물질 관련 장애, 전신 불안장애 (예를 들면, 급성 스트레스 장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공황 장애, 공포증, 광장공포증, 강박 장애, 스트레스, 급성 스트레스 장애, 불안신경증, 신경질, 공포증,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PTSD), 남용, 강박 장애 (OCD), 조울정신병, 특정 공포증, 사회 공포증, 불안 특성을 갖는 적응 장애를 말한다.
유아기, 아동기 또는 청소년기에 흔히 처음으로 진단되는 장애의 예로는 정신지체, 학습장애, 산술장애, 읽기장애, 쓰기 표현 장애, 운동 능력 장애, 발달성 협응장애, 의사소통장애, 표현성 언어장애, 음성학적 장애, 수용성/표현성 혼합언어장애, 말더듬기, 전반적 발달장애, 아스퍼거 장애, 자폐 장애, 소아기 붕괴성 장애, 레트 장애, 전반적 발달장애,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품행 장애, 반항성 도전 장애, 유아기 또는 초기 소아기의 섭식 장애, 이식증, 반추 장애, 틱장애, 만성 운동성 또는 음성 틱장애, 뚜렛 증후군, 배설 장애, 유분증, 유뇨증, 선택적 함구증, 분리불안장애, 유아기 또는 초기 소아기의 반응성 애착장애, 상동증적 운동장애가 있다.
물질 관련 장애의 예로는 알콜 관련 장애, 암페타민 관련 장애, 카페인 관련 장애, 대마초 관련 장애, 코카인 관련 장애, 환각제 관련 장애, 흡입제 관련 장애, 니코틴 관련 장애, 아편양제제 관련 장애, 정신병적 장애, 정신병적 장애, 펜사이클리딘 관련 장애, 남용, 지속적 기억상실 장애, 불안장애, 지속성 치매, 의존증, 중독, 중독 섬망, 기분장애, 정신병적 장애, 금단, 금단 섬망, 성기능 장애, 수면장애가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신경보호작용"은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의 중추신경계 또는 말초신경계에 있어서의 신경 세포, 축삭 또는 이들의 지지 세포의 기능 장애, 변성 또는 사멸의 중증도를 억제, 예방, 개선 또는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 있어서의 신경 변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흥분독성의 예방 또는 화합물 (예를 들면, 흥분성 아미노산, 예컨대 글루타메이트; 독소; 또는 아폽토시스의 즉시 또는 지연 유도를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 즉시 또는 지연 세포독성 부작용을 나타내는 예방 또는 치료 화합물)의 세포독성을 개선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신경보호제에 의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는 환자의 현 임상 증상 또는 예후가 신경계 장애 또는 정신 장애의 발병, 확대, 악화 또는 치료에 대한 저항 증가를 예방하도록 신경보호작용을 부여하는 것이 효과적인 장애, 또는 상기 증후군 또는 장애를 현재 앓고 있거나 발병할 수 있는 환자를 나타낼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치료하는" 또는 "치료"는 객관적 또는 주관적 파라미터를 포함한 손상, 병변 또는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에 있어서의 성공 징후, 예컨대 경감; 완화; 증후의 감소 또는 환자가 손상, 병변 또는 증상에 대하여 더욱 내성을 갖게 되는 것; 변성 또는 감퇴 속도의 둔화; 최종 변성점을 덜 쇠약화하는 것; 또는 대상의 육체적 또는 정신적 건강을 증진시키는 것을 말한다. 증상의 치료 또는 개선은 신체 검사, 신경학적 검사, 및/또는 정신 감정의 결과를 포함한 객관적 또는 주관적 파라미터에 기초를 둘 수 있다.
일부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신경보호 방법을 제공한다. 특정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러한 방법은 신경계 세포에 대한 명백한 손상 또는 상해의 임상 징후 또는 임상 증상을 나타내지 않으나, 신경계의 손상 또는 외상 또는 일부의 공지된 생물학적 또는 유전적 소인 또는 하나 이상의 이들 장애의 검증된 바이오마커의 발견으로 인해, 신경 손상의 발현에 대한 고 리스크 그룹에 속할 수 있는 환자에게 본 발명의 펩티드의 치료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일부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방법 및 조성물은 신경 손상을 발증할 위험성이 있지만, 임상적 증거를 발현하지 않은 대상의 신경보호작용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환자는 단순히 신경 손상을 발증할 위험성을 평균보다 높게 나타내는 대상 또는 이들의 가족의 인자, 병력, 신체검사 또는 체력검사를 확인함으로써 측정된 "위험성이 보다 높은"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용가능한 수단에 의해 환자가 "위험성이 보다 높은" 상태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환자가 본 발명의 방법으로 치료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방법 및 펩티드에 의해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대상은 신경 손상에 대한 위험 인자를 측정하기 위해 용인된 스크리닝 방법을 이용하여 확인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리닝 방법은 예를 들면, 폐쇄성 또는 관통성 두부 외상, 중추신경계 세균 또는 바이러스 감염증, 뇌졸중, 뇌종양, 뇌부종, 낭미충증, 포르피린증, 대사성 뇌병증을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 뇌혈관질환, 진정수면제 또는 알콜 금단을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 약물 금단, 분만시의 산소 결핍 또는 임의의 종류의 분만 외상을 포함한 주산기력 이상, 뇌성 마비, 학습 장애, 과잉 행동, 소아의 열성 경련 병력, 경련중첩증 병력, 간질 가족력 또는 발작 관련 장애, 루푸스를 포함한 뇌의 염증성 질환, 코카인 중독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직접 또는 태반 통과에 의한 약물 중독, 부모 혈족, 및 향정신제를 포함한 신경계에 대하여 독성을 나타내는 약제에 의한 치료를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 위험 인자를 측정하는 통상적인 워크업을 포함한다.
임상 징후 또는 임상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 환자에 있어서 신경보호제에 의한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환자에 대한 검사는 각종 "대리 마커" 또는 "바이오마커"를 기초로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대리 마커" 및 "바이오마커"는 교호적으로 사용되며, 신경 손상의 현존 또는 차후의 발병과 확실하게 상관 관계를 나타낼 수 있는 해부학적, 생화학적, 구조적, 전기적, 유전적 또는 화학적 지표 또는 마커를 말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뇌영상 기법, 예컨대 컴퓨터 단층촬영법 (CT), 자기공명영상법 (MRI) 또는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법 (PET)을 이용하여, 대상이 신경 손상의 위험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대한 적절한 바이오마커는 해마 경화증, 해마 위축증 또는 해마 용적 감소 또는 명백한 측두엽 경화증 (MTS) 또는 유사한 관련 해부학적 병변의 MRI, CT 또는 다른 영상법에 의한 검사; 환자의 혈액, 혈청 또는 조직에서의 분자종, 예컨대 단백질 또는 다른 생화학적 바이오마커, 예를 들면, 모양체 신경영양인자 (CNTF)의 레벨 상승 또는 신경세포 분해산물의 혈청 레벨 상승의 검출; 또는 환자가 신경보호제를 사용한 치료를 필요로 한다는 대리 마커 또는 바이오마커에 의한 기타 증거를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검출 기법을 이용하는 더욱 많은 이러한 바이오마커가 장차 개발될 것으로 예기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후자 용어로서, 신경 손상의 현존 또는 가능한 차후 발현에 대한 이러한 마커 또는 지표가 본 발명의 화합물 및 방법을 이용한 치료의 필요성을 결정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신경 손상을 보유하거나 발현할 위험성이 있을 수 있다는 검사는 또한 예를 들면, 상세한 병력, 신체 검사, 및 일련의 관련 혈액 검사를 포함하는 의학적 평가를 포함할 것이다. 또한 뇌파도 (EEG), CT, MRI 또는 PET 스캔을 포함할 수 있다. 신경 손상 또는 상해의 발병 위험성 증가에 대한 검사는 또한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링 또는 프로테옴 기법을 포함한 유전자 검사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신경보호제로 안정화되거나 개선될 수 있는 정신 장애, 예를 들면, 양극성 장애, 분열정동성 장애, 정신분열병, 충동조절장애 등에 관해서는, 상기 테스트는 또한 환자가 장기간에 걸쳐서 받을 수 있는 다른 치료와 관련하여 장기간에 걸친 환자 증상, 예컨대 기분장애 증상 및 정신병 증상 경과의 상세한 병력, 예를 들면 라이프 챠트 및 현재 상태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및 다른 특수화 및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임상의는 본 발명의 방법 및 제제를 이용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펩티드는 단독으로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화합물 또는 치료제, 예를 들면 다른 신경보호제 또는 항간질제, 항경련제와 동반 투여될 것이다. 이들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환자의 뉴런 손상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펩티드의 유효량을, 신경보호작용을 부여하거나 발작 또는 간질 발생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능력 또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신경보호 효과를 증대시키는 능력을 갖는 하나 이상의 다른 화합물 또는 치료제의 유효량과 병용하여,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화합물, 치료제 또는 공지된 약물과 본 발명의 펩티드의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병용 투여"는 공지된 약물과 펩티드가 치료 효과를 가지게 될 때의 약물과 하나 이상의 화합물의 투여를 의미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러한 치료 효과는 상승작용을 나타낼 것이다. 이러한 동반 투여는 본 발명의 펩티드의 투여에 대하여, 약물의 수반 (즉, 동시에), 사전, 또는 후속 투여를 포함할 수 있다.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가는 특정한 약물 및 본 발명의 펩티드의 투여에 관한 적절한 타이밍, 시퀀스 및 용량을 결정하는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화합물 또는 치료제는 하나 이상의 하기 특성을 갖는 화합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항산화 활성; NMDA 수용체 길항 활성, 내인성 GABA 저해 증대; NO 신타아제 저해 활성; 철 결합능, 예를 들면, 철 킬레이트제; 칼슘 결합능, 예를 들면, Ca (II) 킬레이트제; 아연 결합능, 예를 들면, Zn (II) 킬레이트제; 환자의 CNS에서 나트륨 또는 칼슘 이온 채널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거나, 칼륨 또는 염화물 이온 채널을 개방하는 능력.
본 발명의 펩티드를 신경 변성 질환 및 장애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있어서의 활성 치료제로서의 이의 효과에 대하여 실시예 1 내지 7, 9 내지 18에 기재된 검정법을 이용하여 테스트하였다.
심장 혈관 질환
심장질환(heart disease)은 많은 상이한 심장 상태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이다. 예를 들어, 가장 일반적인 심장질환인 관상동맥질환(coronary artery disease)은 심장에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의 수축 또는 협착이 특징적이며, 심근 일부가 죽는 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을 유발할 수 있다. 심부전(heart failure)은 신체에 적절한 양의 혈액을 펌프하는 심장의 무능력에서 기인하는 상태이다. 심부전은 돌연히 또는 갑자기 심장 활동이 멈추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전형적으로 수년에 걸쳐 천천히 진행하여 심장이 효과적으로 혈액을 펌프하는 능력을 점차 잃는 것이다. 심부전의 위험 요소에는 관상동맥질환(coronary heart disease), 고혈압(hypertension), 판막성 심질환(valvular heart disease), 심근병증(cardiomyopathy), 심근의 질환(disease of the heart muscle), 비만(obesity), 당뇨병(diabetes) 및/또는 심부전의 가족력이 포함된다.
심혈관 질환 및 장애의 예에는 다음이 있다: 동맥류(aneurysm), 안정협심증(stable angina), 불안정협심증(unstable angina), 협심증(angina pectoris), 혈관신경부종(angioneurotic edema), 대동맥판막협착증(aortic valve stenosis), 대동맥류(aortic aneurysm), 부정맥(arrhythmia), 부정맥 유발성 우심실 이형증(arrhythmogenic right ventricular dysplasia), 동맥경화증(arteriosclerosis), 뇌동정맥기형(arteriovenous malformations),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베체트 증후군 (Behcet syndrome), 서맥(bradycardia), 심장 압전(cardiac tamponade), 심비대(cardiomegaly), 울혈성 심근증(congestive cardiomyopathy), 비후형 심근증(hypertrophic cardiomyopathy), 제한성 심근증(restrictive cardiomyopathy), 경동맥 협착(carotid stenosis), 뇌출혈(cerebral hemorrhage), 처크-스트라우스 증후군(Churg-Strauss syndrome), 당뇨병(diabetes), 에브스타인 이상(Ebstein's Anomaly), 아이젠멘거 복합(Eisenmenger complex), 콜레스테롤 색전증(cholesterol embolism), 세균성 심내막염(bacterial endocarditis), 섬유근 형성이상증(fibromuscular dysplasia), 선천성 심장 결함(congenital heart defects), 심장 질환(heart diseases), 울혈성 심부전(congestive heart failure), 심장 판막 질환(heart valve diseases), 심장 발작(heart attack), 경막외 혈종 (epidural hematoma), 혈종(hematoma), 경막하(subdural), 힙펠-린도우병(Hippel-Lindau disease), 충혈(hyperemia), 고혈압(hypertension), 폐고혈압(pulmonary hypertension), 심장 비대(cardiac hypertrophy), 좌심실비대(left ventricular hypertrophy), 우심실비대(right ventricular hypertrophy), 좌심형성부전증후군(hypoplastic left heart syndrome), 저혈압(hypotension), 간헐성 파행(intermittent claudication), 허혈성 심질환(ischemic heart disease), 클리펠-트레노우네이-베버 증후군(Klippel-Trenaunay-Weber syndrome), 외측연수증후군(lateral medullary syndrome), QT 간격연장증후군(long QT syndrome), 승모판탈출증(mitral valve prolapse), 모야모야병(moyamoya disease), 피부점막림프절증후군(mucocutaneous lymph node syndrome), 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 심근 허혈(myocardial ischemia), 심근염(myocarditis), 심막염(pericarditis), 말초혈관질환(peripheral vascular disease), 정맥염(phlebitis), 결절성 다발동맥염(polyarteritis nodosa), 폐동맥판폐쇄증(pulmonary atresia), 레이노병(Raynaud disease), 스네돈 증후군(Sneddon syndrome), 상대정맥증후군(superior vena cava syndrome), 증후군 엑스(syndrome X), 빈맥(tachycardia), 다카야스 동맥염(Takayasu's arteritis), 유전성 출혈 혈관확장(hereditary hemorrhagic telangiectasia), 모세혈관확장증(telangiectasis), 측두동맥염(temporal arteritis), 팔로사징(tetralogy of Fallot), 폐쇄혈전혈관염(thromboangiitis obliterans), 혈전증(thrombosis), 혈전색전증(thromboembolism), 삼첨판폐쇄증(tricuspid atresia), 정맥류(varicose veins), 혈관 질환(vascular disease), 혈관염(vasculitis), 혈관경축(vasospasm), 심실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 윌리암스증후군(Williams syndrome), 말초혈관질환(peripheral vascular disease), 정맥류(varicose veins) 및 다리궤양(leg ulcers), 심부 정맥 혈전증(deep vein thrombosis), 월프-파킨슨-화이트 증후군(Wolff-Parkinson-White syndrome).
혈관 질환은 종종 혈관계의 감소된 관류나 혈관의 물리적 또는 생화학적 손상의 결과이다.
말초혈관질환(peripheral vascular disease, PVD)은 종종 사지 혈관의 협착이 나타나는 혈관 질환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장애에는 두 가지 주요 형태로서, 혈관의 결함이 관련된 것이 아니라 저온, 스트레스 또는 흡연과 같은 자극소(stimuli)로부터 발생하는 기능적 질환, 및 죽상경화병변(atherosclerotic lesion), 국소적 염증 또는 외상성 손상과 같은 맥관계의 구조적 결함으로부터 발생하는 기질적 질환이 있다. 이것은 혈관의 폐색, 이상 혈류 및 궁극적으로 조직 허혈을 유도할 수 있다.
PVD의 임상적으로 더욱 중요한 형태의 하나는 말초동맥질환(peripheral artery disease, PAD)이다. PAD는 종종 혈관성형술(angioplasty) 및 스텐트(stent)의 이식 또는 동맥우회로수술에 의해서 치료된다. 임상적 증상은 폐색혈관의 위치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혈액을 장(intestine)으로 공급하는 동맥의 협착은 소화 및 흡수 과정에서 발생하는 산소 수요의 증가에 대한 폐색 혈관의 무능력에서 기인하는 하복부에서의 심각한 식후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심각한 형태에서 허혈은 장괴사를 유발할 수 있다 유사하게, 다리, 일반적으로 종아리에서 PAD는 활동과 함께 변하는 간헐적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장애는 간헐성 파행(intermittent claudication, IC)으로 알려져 있고, 휴식, 허혈성 궤양 및 심지어 절단 중에도 지속통으로 진행할 수 있다.
말초혈관질환(peripheral vascular disease)은 또한 신허혈(renal ischemia) 및 신부전(kidney dysfunction)을 유도할 수 있는 신동맥의 죽상경화성 협착증(atherosclerotic stenosis)에서 명백하게 나타난다.
혈관 질환 및 그의 합병증이 매우 일반적인 질환의 하나는 당뇨병(diabetes mellitus)이다. 당뇨병은 다양한 생리학적 및 해부학적 불규칙을 유발하는데,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포도당의 정상적 사용에 대한 신체의 무능력으로 인한 고혈당증이다. 만성 당뇨병은 아테롬성 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 대형 및 중형 혈관이 관련된 이상(대혈관합병증, macroangiopathy) 및 세동맥 및 모세혈관과 같은 소혈관이 관련된 이상(미세혈관합병증, microangiopathy)을 포함하는 혈관계의 합병증을 유도할 수 있다
당뇨병 환자는 손상된 신경기능(신경병증, neuropathy) 및/또는 허혈을 포함하는 질환의 만성적 장기 합병증의 결과로서 하나 이상의 족부 궤양 발생 위험이 높다. 국소 조직 허혈은 당뇨병성 족부 궤양의 핵심적인 기여 요소이다.
대혈관질환 이외에, 당뇨병 환자는 적어도 두 가지 추가적인 방식으로 그들의 피부 관류에 더욱 위협을 받는다. 첫째,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과정에 의해 해로운 영향을 받는 비-도관동맥(non-conduit artery)의 연루 및 둘째, 아마도 더욱 중요하게, 미세순환 조절 메카니즘의 결함(소혈관질환, small vessel disease)이다. 일반적으로, 신체 부분이 어떤 형태의 외상을 겪을 때, 그 신체 부분은 신체 치유 메카니즘의 일부로써 혈류의 증가를 경험할 것이다. 많은 당뇨병의 경우에서와 같이, 소혈관질환 및 허혈이 모두 존재할 때, 이러한 자연적인 혈류 증가반응은 상당히 감소된다. 이러한 사실은 혈류의 레벨이 낮은 동안 미세순환계에서 혈전(blood clot)을 형성(혈전증, thrombosis)하는 당뇨병의 경향과 함께, 궤양 발병기전에서 중요한 요소인 것으로 여겨진다.
신경병증(neuropathy)은 신경계의 기능부전을 유도하는 질환 과정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용어이고, 당뇨병의 주요 합병증의 하나이며, 그것의 대증요법 또는 신경 기능의 점차적인 저하 예방을 위한 잘 확립된 치료법이 없다.
당뇨병에 의한 모세혈관의 비후 및 누출은 우선 눈(망막병증, retinopathy) 및 신장(신장병증, nephropathy)에 영향을 미친다. 당뇨병에 의한 모세혈관의 비후 및 누출은 또한 피부 장애 및 신경계의 장애(신경병증, neuropathy)와 관련된다.
당뇨병과 관련된 안질환에는 비증식성 당뇨병성 망막병증(non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증식성 당뇨병성 망막병증(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당뇨황반병증(diabetic maculopathy), 녹내장(glaucoma), 백내장(cataract) 등이 있다.
다른 질환들은 당뇨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지 않았다 하더라도 그것이 말초혈관계에 미치는 생리적 영향은 유사하다. 그러한 질환에는 레이노증후군(Raynaud syndrome), 크레스트증후군(CREST syndrome), 자가면역질환, 예컨대 홍반(erythematosis), 류마티스질환(rheumatoid disease) 등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말초혈관질환"은 말초 및 자율 신경병증을 포함하는 모든 말초혈관질환을 포함한다. "말초혈관질환"의 예는 하기를 포함하는 만성 동맥폐쇄와 같은 말초동맥질환을 포함한다; 동맥경화증(arteriosclerosis), 폐쇄동맥경화증(arteriosclerosis obliterans) 및 폐쇄혈전혈관염(thromboangiitis obliterans) (버거병, Buerger's disease), 대혈관합병증(macroangiopathy), 미세혈관합병증(microangiopathy), 당뇨병(diabetes meiiitus), 혈전정맥염(thrombophlebitis), 정맥혈전병(phlebemphraxis), 레이노병(Raynaud's disease), 레이노증후군(Raynaud's syndrome), 크레스트증후군(CREST syndrome), 진동에 의한 보건위험(health hazard due to vibration), 수덱증후군(Sudeck's syndrome), 간헐성 파행(intermittent claudication), 사지의 냉감각(cold sense in extremities),사지의 비정상적 감각(abnormal sensation in extremities), 저온에 대한 민감성(sensitivity to the cold), 메니에르병(Meniere's disease), 메니에르 증후군(Meniere's syndrome), 마비(numbness), 감각의 결여(lack of sensation), 무감각(anesthesia), 휴식통(resting pain), 작열통(causalgia) (작열통, burning pain), 말초순환기능의 장애(disturbance of peripheral circulation function), 신경기능의 장애(disturbance of nerve function), 운동기능의 장애(disturbance of motor function), 운동마비(motor paralysis), 당뇨병성 말초순환장애(diabetic peripheral circulation disorder), 요추 척주관 협착증(lumbar spinal canal stenosis), 당뇨병성 신경병증(diabetic neuropathy), 충격(shock), 홍반(erythematosis), 류마티스 질환(rheumatoid disease) 및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와 같은 자가면역질환(autoimmune disease), 자율 신경병증(autonomic neuropathy), 당뇨병성 자율 신경병증(diabetic autonomic neuropathy), 자율 불균형(autonomic imbalance), 기립성 저혈압(orthostatic hypotension), 발기부전(erectile dysfunction), 여성의 성기능 장애(female sexual dysfunction), 역행사정(retrograde ejaculation), 방광병증(cystopathy), 신경원성 방광(neurogenic bladder), 질윤활의 결함(defective vaginal lubrication), 운동불내성(exercise intolerance), 심장제신경(cardiac denervation), 열불내성(heat intolerance), 미각성 다한증(gustatory sweating), 당뇨병 합병증(diabetic complication), 고혈당증(hyperglycemia), 저혈당불감증(hypoglycemia unawareness), 저혈당 무반응(hypoglycemia unresponsiveness); 녹내장(glaucoma), 신생혈관 녹내장(neovascular glaucoma), 백내장(cataract), 망막병증(retinopathy), 당뇨병성 망막병증(diabetic retinopathy), 당뇨병성 황반병증(diabetic maculopathy), 망막동맥의 폐쇄(occlusion of retinal artery),망막중심동맥의 폐색(obstruction of central artery of retina), 망막정맥의 폐쇄(occlusion of retinal vein), 황반부종(macular edema), 노년기 황반변성(aged macular degeneration), 노년기 원반황반변성(aged disciform macular degeneration), 낭포황반부종(cystoid macular edema), 눈꺼풀부종(palpebral edema), 망막부종(retinal edema), 맥락망막병증(chorioretinopathy), 신생혈관황반병증(neovascular maculopathy), 포도막염(uveitis), 홍채염(iritis), 망막혈관염(retinal vasculitis), 안내염(endophthalmitis), 전체안구염(panophthalmitis), 전이성안염(metastatic ophthalmia), 맥락막염(choroiditis), 망막색소상피염(retinal pigment epithelitis), 결막염(conjunctivitis), 섬모체염(cyclitis), 공막염(scleritis), 상공막염(episcleritis), 시신경염(optic neuritis), 구후시신경염(retrobulbar optic neuritis), 각막염(keratitis), 눈꺼풀염(blepharitis), 삼출성망막박리(exudative retinal detachment), 각막궤양(corneal ulcer), 결막궤양(conjunctival ulcer), 만성각막염(chronic nummular keratitis), 타이거슨 각막염(Thygeson keratitis), 진행성 무렌 궤양(progressive Mooren's ulcer), 피부의 손상(damage of skin), 족부궤양(foot ulcer)을 포함하는 피부궤양(skin ulcer), 당뇨병성 궤양(diabetic ulcer), 화상궤양(burn ulcer), 하퇴궤양(lower leg ulcer), 수술후궤양(postoperative ulcer), 외상성궤양(traumatic ulcer), 대상포진후궤양(ulcer after herpes zoster), 방사선궤양(radiation ulcer), 약제성 궤양(drug induced ulcer), 동상(frostbite)(한랭손상, cold injury), 동창(chilblain), 괴저(gangrene) 및 급성괴저(sudden gangrene), 협심증(angina pectoris)/변종혈관염(variant angiitis), 관상동맥경화증(coronary arteriosclerosis)(만성허혈성심질환(chronic ischemic heart disease), 무증상허혈성심질환(asymptomatic ischemic heart disease), 동맥경화성 심혈관질환(arteri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 심부전(heart failure), 울혈성 심부전(congestive heart failure) 및 무통성 허혈성 심질환(painless ischemic heart disease), 폐부종(pulmonary edema), 고혈압(hypertension), 폐고혈압(pulmonary hypertension); 문맥고혈압(portal hypertension), 당뇨병성 신장병증(diabetic nephropathy), 욕창(decubitus), 신부전(renal failure).
본 발명의 펩티드를 심장 혈관 질환 및 장애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있어서의 활성 치료제로서의 이의 효과에 관해 실시예 1 내지 7, 9 내지 18에 기재된 검정법을 이용하여 테스트하였다.
희귀 질병(Rare or Orphan diseases)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하나 이상의 하기 희귀질병을 겪는 환자에서 심장 혈관 질환(heart and vascular disease), 자가면역질환(autoimmune disease), 섬유성 질환(fibrotic disease), 염증성 질환(inflammatory disease), 신경 변성 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 또는 감염성 질환(infectious disease)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치료제로서 펩티드의 사용을 제시한다:
ABCD 증후군(ABCD syndrome), AAE, ABSD, ACPS III, ACRP 증후군(ACRP syndrome), ACS, ACTH 결핍(ACTH deficiency), 단독성 ACTH 저항 (isolated ACTH resistance), ADANE, ADCA, ADCME, ADEM, ADLTE, ADULT 증후군(ADULT syndrome), AEC 증후군(AEC syndrome), AGM2, AHDS, 에이즈 소모 증후군(AIDS wasting syndrome), ALS, ALSG, AMME 증후군(AMME syndrome), ANOTHER 증후군(ANOTHER syndrome), AOA1, AOS, APC, 자가면역 다발성내분비장애(Autoimmune polyendocrinopathy) - 칸디다증(candidiasis) - 외배엽 퇴행위축 증후군(ectodermal dystrophy syndrome), 아푸도마(APUDoma), AR-CMT, ARC 증후군(ARC syndrome), ARCA, AREDYLD 증후군(AREDYLD syndrome), ASD, ASPED, ASPWSCR 복제(ASPWSCR duplication), ATLD, ATR16, ATRUS 증후군(ATRUS syndrome), ATS-MR, AVED 아게네스 증후군(AVED Aagenaes syndrome), 아라스코그 유사 증후군(Aarskog like syndrome), 아라스코그-오세-판데 증후군(Aarskog-Ose-Pande syndrome), 아라스코그-스콧 증후군(Aarskog-Scott syndrome), 아즈 증후군(Aase syndrome), 아즈-스미스 증후군(Aase-Smith syndrome), 복부대동맥류(Abdominal aortic aneurysm), 이상 좌폐동맥(Aberrant left pulmonary artery), 무베타지단백혈증(Abetalipoproteinemia), 무안검 대구증 증후군(Ablepharon macrostomia syndrome), 아브루쪼-에릭슨 증후군(Abruzzo-Erickson syndrome), 아칼바리아(Acalvaria), 아캄포멜릭 굴지형성이상(Acampomelic campomelic dysplasia), 아칸도아메바 각막염(Acanthamoeba keratitis), 유극적혈구성 장애(Acanthocytic disorder), 유극적혈구증(Acanthocytosis), 흑색극세포증(Acanthosis nigricans), 무카탈라제증(Acatalasemia), 선천성철분대사이상증(Aceruloplasminemia), 이완불능증(Achalasia), 아샤르 티르즈 증후군(Achard Thiers syndrome), 무수족증(Acheiropodia), 연골무형성증(Achondroplasia), 색맹(Achromatopsia), 아시트레틴 태아병증(Acitretin embryofetopathy), 애커먼 증후군(Ackerman syndrome), 청신경종(Acoustic neurinoma), 후천성 전신 지방이영양증(Acquired generalized lipodystrophy), 후천성 저프로트롬빈혈증(Acquired hypoprothrombinemia), 후천성 어린선(Acquired ichthyosis), 후천성 특발성 철아구성빈혈(Acquired idiopathic sideroblastic anaemia), 후천성 지방위축성 당뇨병(Acquired lipoatrophic diabetes), 후천성 프로트롬빈결핍증(Acquired prothrombin deficiency), 장성말단피부염 아연결핍형(Acrodermatitis enteropathica zinc deficiency type), 말단뼈발생이상(Acrodysostosis), 말단형성부전(Acrodysplasia), 사지안면골형성부전증(Acrofacial dysostosis), 선단각피증(Acrokeratoderma), 선단각화 유탄력섬유증(Acrokeratoelastoidosis), 선단흑피증(Acromelanosis), 전완하퇴말단 왜소증(Acromesomelic dwarfism), 말단왜소 이형성증(Acromicric dysplasia), 말단골융해증 우성형(Acroosteolysis dominant type), 신장 말단 결함(Acrorenal defect) - 외배엽 이형성증(ectodermal dysplasia) - 당뇨병(diabetes), 신장 말단 증후군(Acrorenal syndrome), 파종상 표재성 광선 한공각화증(Actinic porokeratosis disseminated superficial), 광선 한공각화증(Actinic porokeratosis),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 급성 호염기구성 백혈병(Acute basophilic leukaemia), 급성 적백혈병(Acute erythroblastic leukaemia), 급성 발열성 호중구성 피부병(Acute febrile neutrophilic dermatosis), 급성 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성 신경병증(Acute inflammatory demyelinating polyradiculoneuropathy, AIDP), 급성 간질성 폐렴(Acute interstitial pneumonia), 계열모호 급성백혈병(Acute leukaemia of ambiguous lineage), 계열미정 급성백혈병(Acute leukaemia of indeterminate lineage), 급성간기능부전(Acute liver failure), 급성림프구성 백혈병(Acute lymphoblastic leukaemia), 급성수질병변(Acute medullary lesions), 급성 거핵구성 백혈병(Acute megacaryoblastic leukaemia), 급성 단핵구성 백혈병(Acute monoblastic leukaemia), 급성 운동 및 감각 축삭 신경병증(Acute motor and sensory axonal neuropathy, AMSAN), 급성 운동 축삭 신경병증 (Acute motor axonal neuropathy, AMAN), 급성 골수아세포 백혈병(Acute myeloblasts leukaemia), 골수섬유화(myelofibrosis)를 동반한 급성골수이형성증(Acute myelodysplasia), 급성 골수섬유증(Acute myelofibrosis), 다운증후군(Down syndrome)에서 급성 골수성백혈병(Acute myeloid leukaemia), 급성 골수단핵구성백혈병(Acute myelomonocytic leukaemia), 급성 골수경화증(Acute myelosclerosis), 급성 비림프성 백혈병(Acute non lymphoblastic leukaemia), 골수섬유화(myelofibrosis)를 동반한 급성범골수증식증(Acute panmyelosis), 급성말초동맥폐색증(Acute peripheral arterial occlusion), 급성 전골수구성 백혈병 (Acute promyelocytic leukaemia), 급성 세뇨관 사이질성 신염 및 포도막염 증후군 (Acute tubulointerstitial nephritis and uveitis syndrome), 편측성 무지증 (Adactylia unilateral), 에나멜상피종 (Adamantinoma), 아담스 낸스 증후군 (Adams nance syndrome), 아담스-올리버 증후군 (Adams-Oliver syndrome), 애디슨 병 (Addison's disease), 아데닌 포스포리보실트랜스퍼라제 결핍 (Adenine phosphoribosyltransferase deficiency), 아데노신 디아미나제 결핍 (Adenosine deaminase deficiency), 아데노실코바라민 결핍 (Adenosylcobalamin deficiency), 면역저하 환자에 대한 아데노바이러스 감염 (Adenovirus infection in immunocompromised patients), 아데닐로숙시나제 결핍 (Adenylosuccinase deficiency), 유착성 거미막염 (Adhesive arachnoiditis), 애디 증후군 (Adie syndrome), 부신샘종 (Adrenal adenoma), 부신 과다형성 (Adrenal hyperplasia), 부신 우연종 (Adrenal incidentaloma), 부신 부전 (Adrenal insufficiency), 부신 피질 선암종 (Adrenocortical carcinoma), 부신백색질형성장애증 (Adrenoleukodystrophy), 부신척수 신경병증 (Adrenomyeloneuropathy), 부신성 근이영양증 (Adrenomyodystrophy), 성인형 스틸병 (Adult Onset Still's disease), 성인 T-세포 백혈병/림프종 (Adult T-cell leukaemia/lymphoma), 성인형 특발성 호중구감소증 (Adult idiopathic neutropenia), 성인형 신경 세로이드 리포푸스신증 (Adult neuronal ceroid lipofuscinosis (커프스 병, Kufs disease (CLN4)), 성인형 척수근육위축 (Adult spinal muscular atrophy), 무섬유소원혈증 (Afibrinogenemia), 아프리카 진드기 티푸스 (African tick typhus), 아프리카 트리파노소마증 (African trypanosomiasis), 무감마글로불린혈증 (Agammaglobulinemia), 연령관련황반변성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안-러만-사기에 증후군 (Ahn-Lerman-Sagie syndrome), 아우마다 텔 카스틸로 증후군 (Ahumada-Del Castillo syndrome), 에이카르디 증후군 (Aicardi syndrome), 에이카르디-고우티에레스 증후군 (Aicardi-Goutieres syndrome),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 (AIDS), 아카바 하야사카 증후군 (Akaba hayasaka syndrome), 액송 증후군 (Akesson syndrome), 알라질 증후군 (Alagille syndrome), 알라닌-글리옥실레이트 아미노트랜스퍼라제 결핍 (Alanine-glyoxylate aminotransferase deficiency (고옥살산뇨증 타입 1, hyperoxaluria type 1)), 알베르스-쉔베르크병 (Albers-Schonberg disease), 울브라이트 선천성 골이영양증 (Albright hereditary osteodystophy), 알콕 증후군 (Alcock syndrome), 알돌라제 A 결핍 (Aldolase A deficiency), 알도스테론 신타아제 결핍 (Aldosterone synthase deficiency), 알드레드 증후군 (Aldred syndrome), 알렉산더 병 (Alexander disease), 동통성 발육 이상 (Algodystrophy), 알캅톤뇨증 (Alkaptonuria), 알킬글리세론 포스페이트 신타아제 결핍 (Alkylglycerone phosphate synthase deficiency), 알란-헌든-더들리 증후군 (Allan-Herndon-Dudley syndrome), 알레르기성 기관지 폐 아스페르길루스증 (Allergic bronchopulmonary aspergillosis), 알그루브 증후군 (Allgrove syndrome), 탈모 (Alopecia), 알퍼스 증후군 (Alpers syndrome), 알퍼스-후텐로처 증후군 (Alpers-Huttenlocher syndrome), 알파-지중해빈혈 (Alpha-thalassemia), 알포트 증후군 (Alport syndrome), 알스트룀 증후군 (Alstrom syndrome), 교대성 편마비 (Alternating hemiplegia), 폐포성 포충증 (Alveolar echinococcosis), 알베스 도스 산토스 카스텔로 증후군 (Alves dos santos castello syndrome), 알츠하이머 병 (Alzheimer disease), 흑암시 - 다모증 (Amaurosis - hypertrichosis), 암브라스 증후군 (Ambras syndrome), 거대핵세포증가증 (Amegacaryocytosis), 무지증 (Amelia), 아미뇨산증 (Aminoaciduria), 이질 아메바에 의한 아메바증 (Amoebiasis due to Entamoeba histolytica), 암폴라 증후군 (Ampola syndrome), 아밀로이드 심근병증 (Amyloid cardiopathy), 아밀로이드 신경병증 (Amyloid nephropathy), 아밀로이드 다발신경병증 (Amyloid polyneuropathy), 아밀로이드증 (Amyloidosis), 아밀로펙틴증 (Amylopectinosis), 정외 선천성 근무형성증 (Amyoplasia congenita),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근위축 지방조직 이상 (Amyotrophy fat tissue anomaly), 빈혈 (Anemia), 아나우제틱 이형성 (Anauxetic dysplasia), 구충증 (Ancylostomiasis), 안더만 증후군 (Andermann syndrome), 앤더슨 병 (Andersen disease), 동맥류성 지주막하 출혈 (Aneurysmal subarachnoid haemorrhage), 앵겔만 증후군 (Angelman syndrome), 혈관-골비후성 증후군 (Angio-osteohypertrophic syndrome), 혈관미성숙 괴사 척수증 (Angiodysgenetic necrotizing myelopathy), 혈관 부종(Angioedema), 혈관여포양 신경절 비대증 (Angiofollicular ganglionic hyperplasia), 혈관각화종 (Angiokeratoma), 혈관종 및 혈관 기형 (Angioma and vascular malformation), 앤지오마토시스 시스테믹 시스틱 세이프 증후군 (Angiomatosis systemic cystic seip syndrome), 혈관신경성 부종 (Angioneurotic oedema), 주혈선충증 (Angiostrongyliasis), 분선충증 (Anguillulosis), 무홍채증 (Aniridia), 고래회충유충증 (Anisakiasis), 강직성 척추염 (Ankylosing spondylarthritis), 십이지장충증 (Ankylostomiasis), 윤상 대동맥 확장증 (Annuloaortic ectasia), 무치아증 (Anodontia), 손발톱 결여증 (Anonychia), 무안구증 - 심장 및 폐 이상 (Anophthalmia - heart and pulmonary anomalies), 무고환증 (Anorchidia), 신경성식욕부진 (Anorexia nervosa), 무이증 (Anotia), 산전 엡스테인-바 바이러스 감염 (Antenatal Epstein-Barr virus infection), 전각 세포 질환 (Anterior horn cell disease), 항-인지질 증후군 (Anti-phospholipid syndrome), 안티놀로 니에토 보레고 증후군 (Antinolo nieto borrego syndrome), 항플라스민 결핍 (Antiplasmin deficiency), 항트롬빈 결핍 (Antithrombin deficiency), 앤틀리-빅슬러 증후군 (Antley-Bixler syndrome), 안얀-예보아 증후군 (Anyane-Yeboa syndrome), 대동맥축착 (Aorta coarctation), 대동맥 형성저하증 (Aorta hypoplasia), 대동맥-폐동맥 누공 (Aorta-pulmonary artery fistula), TGF베타 수용체 이상으로 기인한 대동맥류 증후군 (Aortic aneurysm syndrome due to TGFbeta receptors anomalies), 대동맥 기형 (Aortic malformation), 대동맥판막 폐쇄증 (Aortic valve atresia), 대동맥판막 형성 장애 (Aortic valve dysplasia), 대동맥판막 협착증 (Aortic valve stenosis), APECED 증후군 (APECED syndrome), 에이퍼트 증후군 (Apert syndrome), 언어상실증 (Aphasia), 심첨 풍선확장 증후군 (Apical ballooning syndrome), 선천성 피부무형성증 (Aplasia cutis), 재생불량빈혈 (Aplastic anaemia), 영아무호흡증 (Apnea of infancy, (AOI)), 미숙아 무호흡증 (Apnea of prematurity, (AOP)), Apo A-I 결핍 (Apo A-I deficiency), 아포리포단백질 AI 아밀로이드증 (Apolipoprotein AI amyloidosis), 사과껍질 증후군 (Apple peel syndrome), 행위상실증 (Apraxia), 아르보바이러스 열병 (Arbovirus fever), 아레나 증후군 (Arena syndrome), 황반의 윤문상 위축증 (Areolar atrophy of the macula), 은중독 (Argyria), 은친화 입자병 (Argyrophilic grain disease), 무비증 후비공폐쇄 소안구증 (Arhinia choanal atresia microphthalmia), 알클리스-그래함 증후군 (Arkless-Graham syndrome), 암필드 증후군 (Armfield syndrome), 아른트-고트론 병 (Arndt-Gottron disease), 아놀드-키아리 기형 (Arnold-Chiari malformation), 아로마타아제 결핍 (Aromatase deficiency), 무비증 (Arrhinia), 부정맥야기성 우심실이형성 (Arrhythmogenic right ventricular dysplasia), 동맥 석회화 (Arterial calcification), 동맥관 이상 (Arterial duct anomalies), 두개강내동맥폐쇄성 질환 (Arterial occlusive disease), 동맥 꼬임 (Arterial tortuosity), 맥-간 이형성증 (Arteriohepatic dysplasia), 청소년성 관절염 (Arthritis juvenile), 관절굽음증 (Arthrogryposis), 유전적 진행성 관절안병증 (Arthroophtalmopathy), 관절증 (Arthropathy), 아트스 증후군 (Arts syndrome), 석면증 (Asbestosis), 애셔 증후군 (Ascher syndrome), 무균성 농양 증후군 (Aseptic abscesses syndrome), 무균성 골염 (Aseptic osteitis), 아셔만 증후군 (Asherman's syndrome), 아스파틸글루코스아미니다제 결핍 (Aspartylglucosaminidase deficiency), 아스퍼거 증후군 (Asperger syndrome), 아스페길루스증 (Aspergillosis), 신생아의 질식성 흉곽 이상 (Asphyxiating thoracic dystrophy of the newborn), 애슐리-켄달 이상 (Astley-Kendall dysplasia), 별아교세포종 (Astrocytoma), 조화운동불능 (Ataxia), 무종뇌증 (Atelencephaly), 어텔로스테오제네시스 (Atelosteogenesis),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Atherosclerosis), 앳킨-플라이츠 증후군 (Atkin-Flaitz syndrome), 무트랜스페린증 (Atransferrinemia), 폐쇄증 (Atresia), 심방 심근병증 (Atrial cardiomyopathy), 심방 점액종 (Atrial myxoma), 심방 사이막 결손 (Atrial septal defect), 무모증 (Atrichia), 심실중격-팔로사징후 (Atrioventricular canal complete - fallot tetralogy), 어트로피아 아에라타 (Atrophia aerata), 충식성 피부위축 (Atrophoderma vermiculata), 비전형적 기태 증후군 (Atypical Mole syndrome), 비전형적 베르너 증후군 (Atypical Werner syndrome), 아우그톤 슬로안 밀라드 증후군 (Aughton sloan milad syndrome), 아우그톤-허프나글 증후군 (Aughton-Hufnagle syndrome), 아우셈스 비테볼 포스트 헤네캄 증후군 (Ausems wittebol post hennekam syndrome), 자폐증 (Autism),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Autoimmune haemolytic anemia), 자가면역성 림프세포 증식 증후군 (Autoimmune lymphoproliferative syndrome), 자가면역성 췌장염 (Autoimmune pancreatitits), 악센필드-리에거 증후군 (Axenfeld-Rieger syndrome), 아야지 증후군 (Ayazi syndrome), B-세포 만성 림프구 백혈병 (B-cell chronic lymphocytic leukaemia), 성인형 양성 가족성 근견련성 간질 (BAFME), BBB 증후군, X-연관 (X-linked), BCD, BEEC, BES, BIDS 증후군, BOD 증후군, BOFS, BOR 증후군, BOS 증후군, BPD, BRESEK 증후군, BRESHECK 증후군, BRIC, BS, BSCL, BTHS, BTK-결핍, 바베스열원충증 (Babesiosis), 박테리아성 독성-쇼크 증후군 (Bacterial toxic-shock syndrome), 바헤무카 브라운 증후군 (Bahemuka brown syndrome), 베어드 증후군 (Baird syndrome), 대장섬모충증 (Balantidiasis), 발라드 증후군 (Ballard syndrome), 벨러-제롤드 증후군 (Baller-Gerold syndrome), 풍선확장 심근병증 (Ballooning cardiomyopathy), 발로 병 (Balo diseases), 뱀포트 증후군 (Bamforth syndrome), 뱅스타드 증후군 (Bangstad syndrome), 반티 증후군 (Banti syndrome), 바나얀-릴리-루발카바 증후군 (Bannayan-Riley-Ruvalcaba syndrome), 타입 A4 단지증 (Barachydactyly type A4), 바레이처 번 픽센 증후군 (Baraitser burn fixen syndrome), 바레이처-브렛-피에소빅츠 증후군 (Baraitser-Brett-Piesowicz syndrome), 바라캣 증후군 (Barakat syndrome), 바버-세이 증후군 (Barber-Say syndrome), 바르뎃-비에들 증후군 (Bardet-Biedl syndrome), 무표지 림프구 증후군 (Bare lymphocyte syndrome), 바니코트 바레이처 증후군 (Barnicoat baraitser syndrome), 발라퀘르-시몬즈 증후군 (Barraquer-Simons syndrome), 바렛 증후군 (Barrett eosophagus), 바트 증후군 (Barth syndrome), 바르토넬라증 (Bartonellosis), 바트소카스-파파스 증후군 (Bartsocas-Papas syndrome), 바터 증후군 (Bartter syndrome), 바산 (Basan syndrome), 바센-콜른자이그 병 (Bassen-Kornzweig disease) 바소에 증후군 (Bassoe syndrome), 바타글리아 네리 증후군 (Bataglia neri syndrome), 바텐 병 (Batten disease), 바우만 증후군 (Baughman syndrome), 바젝스 증후군 (Bazex syndrome), 바젝스-듀프레-클리스ㅌ롤 증후군 (Bazex-Dupre-Christol syndrome), 바조포울로 키르카니도우 증후군 (Bazopoulou kyrkanidou syndrome), Bd 증후군 (Bd syndrome), 빌스 증후군 (Beals syndrome), 빌스-헤츠 증후군 (Beals-Hecht syndrome), 빈 증후군 (Bean syndrome), 베아르 스티븐슨 증후군 (Beare stevenson syndrome), 베크테레프 증후군 (Bechterew syndrome), 베크위트-위드만 증후군 (Beckwith-Wiedemann syndrome), 비머-에르트브루겐 증후군 (Beemer-Ertbruggen syndrome), 베체트 병 (Behcet disease), 베르 증후군 (Behr syndrome), 베렌스-바우만-보겔 증후군 (Behrens-Baumann-Vogel syndrome), 특발성 안면신경 마비 (Bell's palsy), 벨리니-치우멜로-리몰디 증후군 (Bellini-Chiumello-Rimoldi syndrome), 베날리그 라세테 증후군 (Benallegue Lacete syndrome), 베젤 (Bejel), 벤크제 증후군 (Bencze syndrome), 베니온-파터손 증후군 (Bennion-Patterson syndrome), 벤슨 증후군 (Benson's syndrome), 베라디넬리-세잎 증후군 (Beradinelli-Seip syndrome), 베르돈 증후군 (Berdon syndrome), 버거 병 (Berger disease), 버크 타바츠닉 증후군 (Berk tabatznik syndrome), 베를린 브레이키쥐 증후군 (Berlin breakage syndrome), 버나드-소울리어 (Bernard-soulier syndrome), 베릴륨 중독증 (Berylliosis), 베스니어-보에크-샤우만 병 (유육종증, Besnier-Boeck-Schaumann disease), 베셀-하겐 병 (Bessel-Hagen disease), 난황형 황반 영양장애 (Best disease), 베타 지중해성 빈혈 (Beta thalassemia), 베들렘 근병증 (Bethlem myopathy), 비켈-판코니 당원 축적증 (Bickel-Fanconi glycogenosis), 비커스-아담스 증후군 (Bickers-Adams syndrome), 비커스태프 뇌간 뇌염 (Bickerstaff's brainstem encephalitis), 이판성 대동맥판 (Bicuspid aortic valve), 비에몬드 증후군 (Biemond syndrome), 비에르머 병 (Biermer disease), 비에티 결정각막이영양증 (Bietti's crystalline dystrophy), 담즙산 합성 결핍증 (Bile acid synthesis defect), 담관암 (Bile duct cancer), 담도폐쇄증 (Biliary atresia), 담관 염증성 질환 (Biliary inflammatory disease), 양계통성 급성 백혈병 (Bilineal acute leukaemia), 빌라드-토우타인-마헤우트 증후군 (Billard-Toutain-Maheut syndrome), 바인더 증후군 (Binder syndrome), 빈더발드-울머-뮬러 증후군 (Bindewald-Ulmer-Muller syndrome), 빈스방거 병 (Binswanger disease), 빌트-호그-두베 증후군 (Birt-Hogg-Dube syndrome), 빅슬러 크리스챤 골린 증후군 (Bixler christian gorlin syndrome), 비욘스타드 증후군 (Bjornstad syndrome), 블랙판-다이아몬드 빈혈 (Blackfan-Diamond anaemia), 블라이크만 증후군 (Blaichman syndrome), 블레이크 낭종 (Blake's pouch cyst), 블라우 증후군 (Blau syndrome), 검열축소 (Blepharophimosis), 안검하수증 (Blepharoptosis), 안검경련증 (Blepharospasm), 블레텐 베닉 호킨스 증후군 (Blethen wenick hawkins syndrome), 블로취-슐츠버거 증후군 (Bloch-Sulzberger syndrome), 블룸 증후군 (Bloom syndrome), 블로운트 증후군 (Blount disease), 파란 기저귀 증후군 (Blue Diaper syndrome), 보어링 증후군 (Bohring syndrome), 보어링-오피츠 증후군 (Bohring-Opitz syndrome), 보이치스 증후군 (Boichis syndrome), 결손 뼈 미네랄화를 동반하는 골질환 (Bone disease with defective bone mineralisation), 골밀도 증가를 동반하는 골질환 (Bone disease with increased bone density), 골수 기능부진 (Bone marrow failure), 보노-뷰몬트 증후군 (Bonneau-Beaumont syndrome), 보네만-메이넥크-리히 증후군 (Bonnemann-Meinecke-Reich syndrome), 보넷-디차우메-블란크 증후군 (Bonnet-Dechaume-Blanc syndrome), 책 증후군 (Book syndrome), 부메랑 장애 (Boomerang dysplasia), 부트 하워드 딜링 증후군 (Booth haworth dilling syndrome), 보르제손-포스만-레만 증후군 (Borjeson-Forssman-Lehmann syndrome), 보크 증후군 (Bork syndrome), 보름홀른 눈병 (Bornholm eye disease), 보슬레이 사리-알로라이니 증후군 (Bosley-Salih-Alorainy syndrome), 보스마 헨킨 크리스티안센 증후군 (Bosma henkin christiansen syndrome), 보트니아 망막 위축 (Bothnia retinal dystrophy), 보우셔-네우하우저 증후군 (Boucher-Neuhauser syndrome), 보어네빌 증후군 (Bourneville syndrome), 부우토뉴스 열 (Boutonneuse fever), 부게스 반빅 증후군 (Bouwes Bavinck syndrome), 보벤 증후군 (Bowen syndrome), 보야드지에브-잡스 증후군 (Boyadjiev-Jabs syndrome), 보일란 듀 증후군 (Boylan dew syndrome), 브라흐만-드 랑게 증후군 (Brachman-de Lange syndrome), 단지증 - 동맥성 고혈압 (Brachydactyly - arterial hypertension), 지중절단소증 II 및 V (Brachymesophalangy II and V), 브라키올미아 (Brachyolmia), 브래독 캐리 증후군 (Braddck carey syndrome), 브래디오프시아 (Bradyopsia), 뇌 염증성 질환 (Brain inflammatory disease), 뇌 손상 (Brain injury), 뇌 경화 (Brain sclerosis), 브라우어 증후군 (Brauer syndrome), 브라운 베이어 증후군 (Braun bayer syndrome), 브라운 틴스처트 (Braun-Tinschert), 유방암 (Breast cancer), 브릴-진써 병 (Brill-Zinsser disease), 파골병 (Brittle bone disease), 브로디 근병증 (Brody myopathy), 기관지 유암종 (Bronchial carcinoid tumour), 기관지확장증 (Bronchiectasis), 폐쇄세기관지기질화폐렴 (Bronchiolitis obliterans organizing pneumonia), 폐쇄성 폐질환을 동반한 세기관지염 (Bronchiolitis obliterans with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기관지낭 (Bronchogenic cyst), 기관지폐형성이상 (Bronchopulmonary dysplasia), 브론스피겔 젤닉 증후군 (Bronspiegel-Zelnick syndrome), 브룩-스피글러 증후군 (Brooke-Spiegler syndrome), 브라운-비아레또-반 라에레 증후군 (Brown-Vialetto-van Laere syndrome), 브루스 윈십 증후군 (Bruce winship syndrome), 브루셀라증 (Brucellosis), 브룩 증후군 (Bruck syndrome), 브루가다 증후군 (Brugada syndrome), 브루너-윈터 증후군 (Brunner-Winter syndrome), 브루젤 증후군 (Brunzell syndrome), 브루인 쉘턴스 증후군 (Bruyn scheltens syndrome), 버클리 증후군 (Buckley syndrome), 버드-키아리 증후군 (Budd-Chiari syndrome), 버거 병 (Buerger's disease), 불-닉슨 증후군 (Bull-Nixon syndrome), 불독 증후군 (Bulldog syndrome), 폭식 (Bulimia), 물집전신홍반루프스 (Bullous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분틱스 로만스 마틴 증후군 (Buntinx lormans martin syndrome), 버키트 림프종 (Burkitt lymphoma), 번-맥케오운 증후군 (Burn-McKeown syndrome), 구강 작열감 증후군 (Burning Mouth syndrome), 버쉬크-피셔-브라우어 증후군 (Buschke-Fischer-Brauer syndrome), 버쉬크-올렌도르프 증후군 (Buschke-Ollendorff syndrome), 부티엔즈-프린즈 증후군 (Buttiens-Fryns syndrome), C 증후군 (C syndrome), CACD, CACH 증후군 (CACH syndrome), CADASIL, CAMAK 증후군 (CAMAK syndrome), CAMFAK 증후군 (CAMFAK syndrome), CAMOS 증후군 (CAMOS syndrome), CANOMAD 증후군 (CANOMAD syndrome), CAP 증후군 (CAP syndrome), CAPOS 증후군 (CAPOS syndrome), CAPS (크리피오린 관련 주기적 증후군, cryopyrin associated periodoc syndrome), CAR 증후군 (CAR syndrome), CATCH 22, CATSHL 증후군 (CATSHL syndrome), CAVC, CCFDN, CCGE 증후군 (CCGE syndrome), CDA 타입 1 (CDA type 1), CDG 증후군 (CDG syndrome), CDGIIc, CDP, CDPD, CEDIK 증후군 (CEDNIK syndrome), CFC 증후군 (CFC syndrome), CHAND 증후군 (CHAND syndrome), CREST 증후군 (CREST syndrome), CRMO, CRV, CSD, CSID, CSWSS 증후군 (CSWSS syndrome), CVID, 카키-리치 병 (Cacchi-Ricci disease), 밀크 커피 반점 증후군 (Cafe au lait spots syndrome), 카페이 병 (Caffey disease), Cahmr 증후군 (Cahmr syndrome), 석회증 (Calcinosis), 칼데론 곤잘레스 칸투 증후군 (Calderon gonzalez cantu syndrome), 칼파인병증 (Calpainopathy), 카메라 리투아니아 코헨 증후군 (Camera lituania cohen syndrome), 캄포멜리아 커밍 타입 (Campomelia Cumming type), 수지 만곡증 (Camptodactyly), 카무라티-엥겔만병 (Camurati engelmann disease), 카날레-스미스 증후군 (Canale-Smith syndrome), 카나반 병 (Canavan disease), 칸디다 증 (Candidiasis), 칸탈라메사 발디니 암브로시 증후군 (Cantalamessa baldini ambrosi syndrome), 안각 (Canthus), 탄수화물 대사 장애 (Carbohydrate metabolism disorder), 카디오제니탈 증후군 (Cardiogenital syndrome), 심근병증 (Cardiomyopathy), 심장골격 근육병증 (Cardioskeletal myopathy), 캐리 파인만 지터 증후군 (Carey fineman ziter syndrome), 카네발 캐눈 멘도자 증후군 (Carnevale canun mendoza syndrome), 카네발-에르난데즈-델 카스틸로 증후군 (Carnevale-Hernandez-del Castillo syndrome), 카네발 크라제브스카-피스체토 증후군 (Carnevale-Krajewska-Fischetto syndrome), 카니 복합 증후군 (Carney complex), 카니-스트라타키스 증후군 (Carney-Stratakis syndrome), 카르노시나제 결핍 (Carnosinase deficiency), 카르소신혈증 (Carnosinemia), 카롤리병 (Caroli's disease), 손저림 증후군 (Carpal Tunnel syndrome), 목수 증후군 (Carpenter syndrome), 카펜터-와지리 증후군 (Carpenter-Waziri syndrome), 캐링턴 병 (Carrington's disease), 카리온 병 (Carrion disease), 카바잘증후군 (Carvajal syndrome), 카사마시마-몰턴-낸스 증후군 (Casamassima-Morton-Nance syndrome), 카시아 스토코 도스 산토스 증후군 (Cassia Stocco dos Santos syndrome), 캐슬만 병 (Castleman disease), 카스트로 가고 폼보 노보 증후군 (Castro gago pombo novo syndrome), 카탈라제 결핍 (Catalase deficiency), 백내장 (Cataract), 캐틀-만즈케 증후군 (Catel-Manzke syndrome), 케일러 증후군 (Cayler syndrome), 만성소화장애증 (Celiac disease), 복장틈새증 (Celosomia), 세라니 렌즈 합지증 (Cenani lenz syndactylism), 중심성신경세포종 (Central neurocytoma), 첨두합지증 (Cephalopolysyndactyly), 세라미다제 결핍 (Ceramidase deficiency), 소뇌 저형성증 (Cerebellar hypoplasia), 뇌동정맥루 (Cerebral arteriovenous shunt), 아밀로이드증성 뇌출혈 (Cerebral hemorrhage with amyloidosis), 대뇌망막 혈관병증 (Cerebroretinal vasculopathy), Cfc 증후군 (Cfc syndrome), 샤가스 병 (Chagas disease), 중성지방 축적증 (Chanarin disease), 챤들러 증후군 (Chandler syndrome), 창-데이비슨-칼슨 증후군 (Chang-Davidson-Carlson syndrome), 다원성 심방 빈맥 (Chaotic atrial tachycardia), 샤르 더글라스 던간 증후군 (Char douglas dungan syndrome), 샤르 증후군 (Char syndrome), CHARGE 증후군 (Charge syndrome), 샬레보익스 병 (Charlevoix disease), 찰리 m 증후군 (Charlie m syndrome), 세디아크-히가시 유사 증후군 (Chediak-Higashi like syndrome), 샘입술염 (Cheilitis glandularis), 셈케 올리버 말렉 증후군 (Chemke oliver mallek syndrome), 화학감수체종 (Chemodectoma), 앵두반점 근경련 증후군 (Cherry-red-spot myoclonus syndrome), 가족섬유형성이상증 (Cherubism), 키아리 프롬멜 증후군 (Chiari Frommel syndrome), 키타얏하즈 샤힌 증후군 (Chitayat haj chahine syndrome), 키타얏 무어 델 비지오 증후군 (Chitayat moore del bigio syndrome), 키타얏-뮈니어-호지킨슨 증후군 (Chitayat-Meunier-Hodgkinson syndrome), 치티 홀 웹 증후군 (Chitty hall webb syndrome), 치티-홀-바라이처 증후군 (Chitty-Hall-Baraitser syndrome), 콜레라 (Cholera), 쓸개즙정체 (Cholestasis), 콜레스테릴 에스테르 저장 질환 (Cholesteryl ester storage disease), 콜린 아세틸트란스퍼라제 결핍 (Choline acetyltransferase (ChAT) deficiency), 연골석회화증 (Chondrocalcinosis), 연골형성 장애 (Chondrodysplasia), 연골발생 장애 (Chondrodystrophy), 척삭종(Chordoma), 가시세포증가무도병 (Choreoacanthocytosis), 맥락망막위축 (Chorioretinal atrophy), 분리종 (Choristoma), 맥락막이영양 (Choroidal dystrophy), 맥락막경화 (Choroidal sclerosis), 범맥락막위축 (Choroideremia), 크리스트-지멘스-투어라인 증후군 (Christ-Siemens-Touraine syndrome), 크리스챤 증후군 (Christian syndrome), 크리스챤-로젠버그 증후군 (Christian-Rosenberg syndrome), 크리스찬슨 증후군 (Christianson syndrome), 크리스찬슨-푸리에 증후군 (Christianson-Fourie syndrome), 크리스마스 트리 증후군 (Christmas tree syndrome), 색소진균증 (Chromomycosis), 만성 호산구성 폐렴 (Chronic eosinophilic pneumonia), 만성 피로 증후군 (Chronic fatigue syndrome), 만성 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신경병증 (Chronic inflammatory demyelinating polyneuropathy), 만성 골수증식성 질환 (Chronic myeloproliferative disease), 만성호중구성백혈병 (Chronic neutrophilic leukaemia), 진통제 투여를 요하는 만성 통증 (Chronic pain requiring intraspinal analgesia), 유아 만성 폐렴 (Chronic pneumonitis of infancy), 만성 골수염 (Chronic osteomyelitis), 만성 척수성 근위축증 (Chronic spinal muscular atrophy), 처들리-로즈딜스키 증후군 (Chudley rozdilsky syndrome), 처들리-로리-호아르 증후군 (Chudley-Lowry-Hoar syndrome), 처그-스트라우스 증후군 (Churg-Strauss syndrome), 유미립자 정체 질환 (Chylomicron retention disease),섬모 이질 (Ciliary dysentery), 섬모 이상운동증-기관지확장증 (Ciliary dyskinesia-bronchiectasis), 칠러스-베이그턴 증후군 (Cilliers-Beighton syndrome), 심장기능장애 관련 간경화 (Cirrhosis associated cardiac dysfunction), 간경변성 심근병증 (Cirrhotic cardiomyopathy), 클락슨 병 (Clarkson disease), 전형적 호지킨 병 (Classical Hodgkin disease), 전형적인 호모시스틴뇨증 (Classical homocystinuria), 클라우드-버나드-호너 증후군 (Claude-Bernard-Horner syndrome), 클레이톤스미스-도나이 증후군 (ClaytonSmith-Donnai syndrome), 클레이도 리조멜릭 증후군 (Cleido rhizomelic syndrome), 쇄골두개골이골증 (Cleidocranial dysostosis), 두개 안면 이골증 (Cleidocranial dysplasia), 크라우스턴 증후군 (Clouston syndrome), 응고 장애 (Coagulation disorder), 대동맥 축착 (Coarctation of aorta), 코아츠 병 (Coats disease), 콥 증후군 (Cobb syndrome), 코카인 중독 (Cocaine poisoning), 코케인 증후군 (Cockayne syndrome), CODAS 증후군 (Codas syndrome), 셀리악 병 (Coeliac disease), 코엔자임 Q 시토크롬 c 리덕타제 결핍 (Coenzyme Q cytochromec reductase deficiency), 코핀 증후군 (Coffin syndrome), 코핀-로리 증후군 (Coffin-Lowry syndrome), 코핀-시리스 증후군 (Coffin-Siris syndrome), 코간 증후군 (Cogan syndrome), 코간-리스 증후군 (Cogan-reese syndrome), 코헨 헤이든 증후군 (Cohen hayden syndrome), 코헨 락우드 와이보니 증후군 (Cohen lockood wyborney syndrome), 코헨 증후군 (Cohen syndrome), 콜 카펜터 증후군 (Cole carpenter syndrome), 대장염 (Colitis), 콜라겐 이상 (Collagen anomaly), 콜린스 포프 증후군 (Collins pope syndrome), 콜린스 사카티 증후군 (Collins sakati syndrome), 결손 (Coloboma), 결장암 (Colon cancer), 결장 폐쇄 (Colonic atresia), 콜로라도 진드기 뇌염 (Colorado tick encephalitis), 복합형 뇌하수체호르몬결핍 (Combined pituitary hormone deficiencies), 보체 결핍 (Complement component deficiency), 선천적 람베르트-이튼-유사 증후군 (Congenital Lambert-Eaton-like syndrome), 선천성 렙틴 결핍 (Congenital leptin deficiency), 선천성 엽성폐기종 (Congenital lobar emphysema), 결막 질환 (Conjunctival disease), 결막 혈관 장애 (Conjunctival vascular anomaly), 콘 증후군 (Conn syndrome), 교원병 (Connective tissue disease), 콘라디-휘너만-하플 증후군 (Conradi-Hunermann-Happle syndrome), 수축성 기관지염 (Constrictive bronchiolitis), 쿡 증후군 (Cooks syndrome), 쿠울리 빈혈 (Cooley anaemia), 쿠퍼-잽스 증후군 (Cooper-Jabs syndrome), 코미어 러스틴 뮤니치 증후군 (Cormier rustin munnich syndrome), 각막 이영양증 (Corneal dystrophy), 코넬리아 드 랑게 증후군 (Cornelia de Lange syndrome), 코르네오더마토오세서스 증후군 (Corneodermatoosseous syndrome), 코네오고니오디스제네시스 (Corneogoniodysgenesis), 심장혈관루 (Coronaro-cardiac fistula), 관상동맥 기형 (Coronary arterial malformations), 관상동맥류 (Coronary artery aneurysm), 심장 정맥굴 타입 ASD (Coronary sinus type ASD), 코타다 쿠세프 마츠모토 증후군 (Cortada koussef matsumoto syndrome), 코스테프 시신경 위축 증후군 (Costeff optic atrophy syndrome), 코스테프 증후군 (Costeff syndrome), 코스텔로 증후군 (Costello syndrome), 코트 카찬토니 증후군 (Cote katsantoni syndrome), 커즌-월브라움-체게라 증후군 (Cousin-Walbraum-Cegarra syndrome), 카우촉 증후군 (Cowchock syndrome), 카우촉-와프너-컬츠 증후군 (Cowchock-Wapner-Kurtz syndrome), 카우덴증후군 (Cowden syndrome), 코옥소아리큘라 증후군 (Coxoauricular syndrome), 크레이머-니더델만 증후군 (Cramer-Niederdellmann syndrome), 크랜달 증후군 (Crandall syndrome), 크랜-하이스 증후군 (Crane heise syndrome), 두개 기형 (Cranial malformation), 두개인두종 (Craniopharyngioma), 두개척추파열 (Craniorachischisis), 협두증 (Craniostenosis), 두개유합증 (Craniosynostosis), 두개종뇌강 이형성 (Craniotelencephalic dysplasia), 두개관 증후군 (Craniotubular syndrome), 크레아틴 결핍 (Creatine deficiency), 포복병 (Creeping disease), 크로이츠펠트-야콥병 (Creutzfeldt-Jakob disease), 묘성 증후군 (Cri du chat syndrome), 크리글러 나이잘 증후군 (Crigler-Najjar syndrome), 크리미아-콩고 출혈열 (Crimean-Congo haemorragic fever (CCHF)), 크리스포니 증후군 (Crisponi syndrome), 십자형 심장 (Criss-cross heart), 크리스윅-스케펜스 증후군 (Criswick-Schepens syndrome), 크론 병 (Crohn disease), 크롬 증후군 (Crome syndrome), 크론카이트 카나다 증후군 (Cronkhite canada syndrome), 크로스 증후군 (Cross syndrome), 크루종 병 (Crouzon disease), 크로우·후카세 증후군 (Crow-Fukase syndrome), 혼합 한성글로불린혈증 (Cryoglobulinaemia mixed), 크립토콕쿠스증 (Cryptococcosis), 특발성 기질화 폐렴 (Cryptogenic organizing pneumonia), 안구잠복증 (Cryptophthalmia), 크립토스포리디움증 (Cryptosporidiosis), 쿨러-존스 증후군 (Culler-Jones syndrome), 큐라리노 세동이(Currarino triad), 커리-홀 증후군(Curry-Hall syndrome), 커리-존스 증후군(Curry-Jones syndrome), 쿠싱 질환(Cushing disease), 피부 수막 척수 혈관종증 (Cutaneomeningospinal angiomatosis), 피부홍반성루푸스(Cutaneous lupus erythematosus), 피부 비만세포종(Cutaneous mastocytoma), 피부 비만세포증(Cutaneous mastocytosis), 피부 감광성 대장염(Cutaneous photosensitivity colitis), 피부 혈관염(Cutaneous vasculitis), 피부 구더기증(Cutaneuous myiasis), 이완피부증(Cutis laxa), 커틀러 배스 롬쉬 증후근(Cutler bass romshe syndrome), 원포자충증(Cyclosporosis), 시스타티오닌뇨증(Cystathioninuria), 낭성섬유증(Cystic fibrosis), 폐와 신장의 낭성 과오종(Cystic hamartoma of lung and kidney), 낭성림프관종(Cystic lymphangioma), 낭성 신장 질환(Cystic renal disease), 시스틴증(Cystinosis), 시스틴뇨증(Cystinuria), 시토크롬 c 옥시다아제 결핍(Cytochrome c oxydase deficiency), 손상된 세포 매개성 면역 위험이 있는 환자에서의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CMV) 질환(Cytomegalovirus(CMV) disease in patients with impaired cell mediated immunity deemed at risk), 혈구감소증(Cytopenia), 차이젤 브루저 증후군(Czeizel brooser syndrome), 차이젤 로손치 증후군(Czeizel losonci syndrome), D 에르꼴레 증후군(D ercole syndrome), D-2-하이드록시글루타르산 뇨증(D-2-hydroxyglutaricaciduria), D-글리세르산 디하이드로게나아제 결핍(D-glycerate dehydrogenase deficiency (hyperoxaluria type 2)), D-글리세르산 키나아제 결핍(D-glycerate kinase deficiency), D-글리세릭애시데미아(D-glycericacidemia), DCMA 증후군(DCMA syndrome), DCMD, DEND 증후군(DEND syndrome), DI-CMT, DIDMOAD 증후군(DIDMOAD syndrome (Diabetes Insipidus - Diabetes Mellitus - Optic Atrophy - Deafness)), DIS, DK 바다표범발증 증후군(DK phocomelia syndrome), DKC, DOOR 증후군(DOOR syndrome), DORV, DTDP1, DYT6, 다 실바 증후군(Da silva syndrome), 눈물주머니염증 뼈얼룩증(Dacryocystitis osteopoikilosis), 댄틀-타운센드-시겔 증후군(Daentl-Townsend-Siegel syndrome), 달버그-보러-뉴커머 증후군(Dahlberg-Borer-Newcomer syndrome), 다이시 하드만 라몬트 증후군(Daish hardman lamont syndrome), 댄싱 아이 증후군(Dancing Eye syndrome), 댄디 워커 기형(Dandy walker malformation), 데인만 다비 맨서 증후군(Daneman davy mancer syndrome), 다농 질환(Danon disease), 다리에 질환(Darier disease), 다리에-고트론 질환(Darier-Gottron disease), 데이븐포트 돈랜 증후군(Davenport donlan syndrome), 다비드 증후군(David syndrome), 데이비스 질환(Davies disease), 다비스 라페르 증후군(Davis lafer syndrome), 데 바시 증후군(De Barsy syndrome), 데 하우워-레로이-아드리앤슨 증후군(De Hauwere-Leroy-Adriaenssens syndrome), 데 산티스-카키오네 증후군 (De Santis-Cacchione syndrome), 데 스멧-파브리-프린스 증후군(De Smet-Fabry-Fryns syndrome), 데 바알 질환(De Vaal disease), 데 라 채펠 형성이상(De la Chapelle dysplasia), 데 모지르 증후군(De morsier syndrome), 난청-소장 게실증-신경병증(Deafness-small bowel diverticulosis-neuropathy), 딜 바렛 딜론 증후군(Deal barratt dillon syndrome), 데고스 질환(Degos disease), 데제린-소타스 증후군(Dejerine-Sottas syndrome), 데카반-아리마 증후군(Dekaban-Arima syndrome), 장기이식 후 지연성 이식 기능(Delayed graft function after organ transplantation), 델레만-오르투이스 증후군(Delleman-Oorthuys syndrome), 대사질환과 연관된 치매(Dementia associated with a metabolic disease), 신경변성질환과 연관된 치매(Dementia associated with a neurodegenerative disease), 감염질환과 연관된 치매(Dementia associated with an infectious disease), 간부전 및 신부전과 연관된 치매(Dementia associated with hepatic and renal failure), 모낭진드기증(Demodicidosis), 수지상세포 육종(Dendritic cell sarcoma), 수지상세포 종양(Dendritic cell tumor), 뎅기(Dengue), 데니스 코헨 증후군(Dennis cohen syndrome), 데니스 페어허스트 무어 증후군(Dennis fairhurst moore syndrome), 덴즈(델타) 그라뉼 질환(Dense(delta) granule disease), 덴트병(Dent disease), 상아질이형성증(Dentin dysplasia), 데니스-드래쉬 증후군(Denys-Drash syndrome), 데르 칼로우스티안-자루디-쿠리 증후군(Der Kaloustian-Jarudi-Khoury syndrome), 데르 칼로우스티안 매킨토시 실버 증후군(Der kaloustian mcintosh silver syndrome), 더컴병(Dercum's disease), 융기성 피부섬유육종(Dermatofibrosarcoma protuberans), 피부 알레르기 질환(Dermatologic allergic disease), 스테븐스 존슨 타입 피부구내염(Dermatostomatitis Stevens Johnson type), 데스부쿼스 증후군(Desbuquois syndrome), 데스미노파씨(Desminopathy), 데스모이드 질환(Desmoid disease), 데스모스테로로시스(Desmosterolosis), 데빅병(Devic's disease), 드브린트 레구스 프린스 증후군(Devriendt legius fryns syndrome), 드브린트 반덴베르그 프린스 증후군(Devriendt vandenberghe fryns syndrome), 디조지 증후군(DiGeorge syndrome), 당뇨병(Diabetes), 투석 관련 관절병증(Dialysis-related arthropathy), 투명척추뼈발생이상(Diaphanospondylodysostosis), 횡격막성 아게네시아(Diaphragmatic agenesia), 횡격막성 척수근육위축증(Diaphragmatic spinal muscular atrophy), 미만성 폐포 출혈(Diffuse alveolar haemorrhage),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Diffuse large B cell lymphoma), 미만성 평활근종증 - 알포트 증후군 X-연관된(Diffuse leiomyomatosis - Alport syndrome X-linked), 미만성 신생아 혈관종증(Diffuse neonatal haemangiomatosis), 디하이드로피리미딘뇨증( Dihydropyrimidinuria), 운동실조를 갖는 확장형심근증(Dilated cardiomyopathy with ataxia), 딩크소이-살리-파텔 증후군(Dincsoy-Salih-Patel syndrome), 디오 쉬어러 바이스코프 증후군(Dinno shearer weisskopf syndrome), 디오메디 베르나르디 프라시디 증후군(Diomedi bernardi placidi syndrome), 디오니시-비씨-사베타-감바라라 증후군(Dionisi-Vici-Sabetta-Gambarara syndrome), 디프테리아(Diphtheria), 두얼굴증(Diprosopia), 원판상 홍반성 루푸스(Discoid lupus erythematosus), 분리성 섬유근성 대동맥하협착(Discrete fibromuscular subaortic stenosis), 이열첩모-선천성 심내결손증-말초혈관 이상(Distichiasis-congenital heart defects-peripheral vascular anomalies), 디스토마토시스( Distomatosis), 도브로우 증후군(Dobrow syndrome), 도나트-란트슈타이너 증후군(Donath-Landsteiner syndrome), 돈나이-바로우 증후군(Donnai-Barrow syndrome), 도노휴 증후군(Donohue syndrome), 두즈 증후군(Doose syndrome), 도르프만-카나린 질환(Dorfman-chanarin disease), 도우링-데고스 질환(Dowling-Degos disease), 도우링-데고스-기타무라 질환(Dowling-Degos-Kitamura disease), 다운 증후군(Down syndrome), 도인 벌집모양 망막이영양증(Doyne honeycomb retinal dystrophy (DHRD)), 드라크만 바인브래트 시타르쯔 증후군(Drachtman weinblatt sitarz syndrome), 드래쉬 증후군(Drash syndrome), 드라벳 증후군(Dravet syndrome), 드루몬드 증후군(Drummond syndrome), 듀 판 증후군(Du Pan syndrome), 듀안 증후군(Duane syndrome), 듀빈-존슨 증후군(Dubin-Johnson syndrome), 두보위쯔 증후군(Dubowitz syndrome), 뒤링 브로크 질환(Duhring brocq disease), 듀커-바이스-시버 증후군(Duker-Weiss-Siber syndrome), 더니간 증후군(Dunnigan syndrome), 듀퐁 셀리어 초칠론 증후군(Dupont sellier chochillon syndrome), 다이그브-멜키올-클라우젠 질환(Dyggve-Melchior-Clausen disease), 다이크스-마르케스-하퍼 증후군(Dykes-Markes-Harper syndrome), 연골뼈형성이상(Dyschondrosteosis), 전신 색소이상증(Dyschromatosis universalis), 디스펄린병증(Dysferlinopathy), 이상섬유소원혈증(Dysfibrinogenemia), 이상각화증(Dyskeratosis), 연결조직 병발을 갖는 이형 증후군(Dysmorphic syndrome with connective tissue involvement), 이상골경화증(Dysosteosclerosis), 뼈발생이상(Dysostosis), 기형성 삼키기곤란(Dysphagia lusoria), 형성이상(Dysplasia), 이상프로트롬빈혈증(Dysprothrombinemia), 이상분절 형성이상 녹내장(Dyssegmental dysplasia glaucoma), 이상척추골내연골종증(Dysspondyloenchondromatosis), 발작질환을 갖는 디스토니-유사 증후군(Dystoni-like syndrome with paroxysmal disease), 근육긴장이상(Dystonia), EBD, EBJ, EBS, ECP 증후군(ECP syndrome), EDS III, EEC 증후군(EEC syndrome), EEM 증후군(EEM syndrome), EGE, ENT, ERA, ESS1, 이글-바렛 증후군(Eagle-Barret syndrome), 일스병(Eales disease), 에볼라 바이러스 질환(Ebola virus disease), 무딘톱날적혈구 장애(Echinocytic disorder), 외배엽형성이상(Ectodermal dysplasia), 팔다리없음증(Ectromelia), 눈꺼풀겉말림(Ectropion), 습진-저혈소판증-면역결핍 증후군(Eczema-thrombocytopenia-immunodeficiency syndrome), 에딘버르그 기형 증후군(Edinburgh malformation syndrome), 에드워드 증후군(Edward syndrome), 에드워드스-패턴-딜리 증후군(Edwards-Patton-Dilly syndrome), 앨러스-단로스 증후군(Ehlers-Danlos syndrome), 에르리히증(Ehrlichiosis), 에이켄 증후군(Eiken syndrome), 아이젠맹거 증후군(Eisenmenger syndrome), 사행상 관통성 탄력섬유증(Elastosis perforans serpiginosa), 엘레할데 증후군(Elejalde syndrome), 엘리어트 루드만 티비 증후군(Elliott ludman teebi syndrome), 타원적혈구증(Elliptocytosis), 엘리스 반 크레벨드 증후군(Ellis Van Creveld syndrome), 엘리스 예일 윈터 증후군(Ellis yale winter syndrome), 엘슁 증후군(Elsching syndrome), 임마누엘 증후군(Emanuel syndrome), 에머리-드라이퍼스 근육퇴행위축(Emery-Dreifuss muscular dystrophy), 에머리-넬슨 증후군(Emery-Nelson syndrome), 공터키안 증후군 (Empty Sella syndrome), 뇌염(Encephalitis), 뇌척수염(Encephalomyelitis), 뇌병증(Encephalopathy), 골내연골종증(Enchondromatosis), 자궁내막증(Endometriosis), 엔도더리티스(Endotheliitis), 엥 스트롬 증후군(Eng strom syndrome), 엥겔 선천성 근육무력증(Engel congenital myasthenia), 엥겔하드 야찌브 증후군(Engelhard yatziv syndrome), 에놀라아제 결핍(Enolase deficiency), 엔테릭 안엔도크리노시스(Enteric anendocrinosis), 장병증(Enteropathy), 엔테로바이러스 산전 감염(Enterovirus antenatal infection), 눈꺼풀속말림(Entropion), 물어서 생기는 중독(Envenomization), 호산구성 심내막염(Eosinophilic endocarditis), 호산구성 폐렴(Eosinophilic pneumonia), 뇌실막세포종(Ependymoma), 물집표피박리증(Epidermolysis bullosa), 간질(Epilepsy), 골단형성이상(Epiphyseal dysplasia), 발작적 운동실조증(Episodic ataxia), 요도상열(Epispadias), 상피성 난소암(Epithelial ovarian cancer), 상피종(Epithelioma),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감염(Epstein-Barr virus infection), 에드하임 질환(Erdheim disease), 에드하임-체스터 질환(Erdheim-Chester disease), 에로넨-소머-구스타프손 증후군(Eronen-Somer-Gustafsson syndrome), 홍반(Erythema), 홍통증(Erythermalgia), 적혈모구감소증(Erythroblastopenia), 적혈구증가증(Erythrocytosis), 홍색피부증(Erythroderma), 홍반각피증(Erythrokeratoderma), 홍색사지통증(Erythromelalgia), 에셔 허트 증후군(Escher hirt syndrome), 에스코바르 증후군(Escobar syndrome), 식도 샘암종(Esophageal adenocarcinoma), 식도폐쇄증(Esophageal atresia), 본태 한랭글로불린혈증(Essential cryoglobulinaemia), 본태성홍채위축(Essential iris atrophy), 본태성 뼈용해(Essential osteolysis), 감각신경모세포종(Esthesioneuroblastoma), 에스트로겐 수용체 결핍(Estrogen receptor deficiency), 에스트로겐 저항성 증후군(Estrogen resistance syndrome), 에반스 증후군(Evans syndrome), 유잉 육종(Ewing sarcoma), 엑스너 증후군(Exner syndrome), 외골증(Exostoses), 삼출망막병증(Exsudative retinopathy), 피부외 비만세포종(Extracutaneous mastocytoma), 외인성 알레르기성 폐포염 (Extrinsic allergic alveolitis), 안구 질환(Eye disease), F 증후군(F syndrome), FAP, FAS 결핍(FAS deficiency), FCS 증후군(FCS syndrome), FCU, FENIB, FEOM, FFDD type I, FG 증후군(FG syndrome), FLOTCH 증후군(FLOTCH syndrome), FOP, FOSMN 증후군(FOSMN syndrome), FPS/AML 증후군(FPS/AML syndrome), FRAXA 증후군(FRAXA syndrome), FRAXE 증후군(FRAXE syndrome), FRAXF 증후군(FRAXF syndrome), FSH 저항(FSH resistance), 파브리병(Fabry disease), 인자 VII 결핍(Factor VII deficiency), 인자 VIII 결핍(Factor VIII deficiency), 인자 X 결핍(Factor X deficiency), 인자 XI 결핍(Factor XI deficiency), 인자 XII 결핍(Factor XII deficiency), 인자 XIII 결핍(Factor XIII deficiency), 인자 II, VII, IX 및 X 복합 결핍(Factors II,VII,IX and X, combined deficiency), 파르 증후군(Fahr syndrome), 팔로 콤플렉스(Fallot complex), 가족성 LCAT 결핍(Familial LCAT deficiency), 판코니 빈혈(Fanconi anaemia), 판코니 비늘증 형태이상(Fanconi ichthyosis dysmorphism), 판코니 증후군(Fanconi syndrome), 판코니-비켈 질환( Fanconi-Bickel disease), 파라-크루팍코바 증후군(Fara-Chlupackova syndrome), 파버 지방육아종증(Farber lipogranulomatosis), 파머 폐 질환(Farmer's lung disease), 치명성 유아 COX 결핍(Fatal infantile COX deficiency), 폴크-엡스타인-존스 증후군(Faulk-Epstein-Jones syndrome), 잠두중독증(Favism), 파지오-론데 질환(Fazio-Londe disease), 페히트너 증후군(Fechtner syndrome), 파이겐바움-베르게론-리차드슨 증후군(Feigenbaum-Bergeron-Richardson syndrome), 파인골드 증후군(Feingold syndrome), 펠티 증후군(Felty syndrome), 펜톤 윌킨슨 토세라노 증후군(Fenton wilkinson toselano syndrome), 페르리니-라그노-칼조라리 증후군(Ferlini-Ragno-Calzolari syndrome), 페른호프-블랙스톤-오클리 증후군(Fernhoff-Blackston-Oakley syndrome), 태아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증후군(Fetal cytomegalovirus syndrome), 태아 부종(Fetal edema), 태아 좌심실 동맥류(Fetal left ventricular aneurysm), 피브리노겐 장애(Fibrinogen disorder), 피브로콘드로제네시스(Fibrochondrogenesis), 선천골화섬유형성이상(Fibrodysplasia ossificans progressiva), 섬유종증(Fibromatosis), 동맥 섬유근 형성이상증(Fibromuscular dysplasia of arteries), 섬유근육통(Fibromyalgia), 섬유결합소 사구체병증(Fibronectin glomerulopathy), 섬유육종(Fibrosarcoma), 섬유성 세로칸염(Fibrosing mediastinitis), 외안근의 섬유화(Fibrosis of extraocular muscles), 피징거-레로이-라이터 증후군(Fiessinger-Leroy-Reiter's syndrome), 피구에라 증후군(Figuera syndrome), 필라민 기형(Filamin anomaly), 필라리아증(Filariasis), 필리피 증후군(Filippi syndrome), 파인-루빈스키 증후군(Fine-Lubinsky syndrome), 핀레이-마르케스 증후군(Finlay-Markes syndrome), 피누케인 컬츠 스캇 증후군(Finucane kurtz scott syndrome), 피츠 휴 커티스 증후군(Fitz Hugh Curtis syndrome), 피츠시몬스-길버트 증후군(Fitzsimmons-Guilbert syndrome), 피츠시몬스-맥라클란-길버트 증후군(Fitzsimmons-McLachlan-Gilbert syndrome), 피츠시몬스-왈슨-멜러 증후군(Fitzsimmons-Walson-Mellor syndrome), 고정 대동맥하협착(Fixed subaortic stenosis), 프레겔 질환(Flegel disease), 프로팅-하버 증후군(Floating-Harbor syndrome), 개화성 백악-골 이형증(Florid cemento-osseous dysplasia), 플린 에어드 증후군(Flynn aird syndrome), 푸아 샤바니 마리 증후군(Foix chavany marie syndrome), 푸아-알라쥬아닌 증후군(Foix-Alajouanine syndrome), 모낭피부위축증-기저세포암종(Follicular atrophoderma-basal cell carcinoma), 소포 수지상세포 육종(Follicular dendritic cell sarcoma), 소포 이상각화종(Follicular dyskeratoma), 모낭성 비늘증(Follicular ichthyosis), 소포림프종(Follicular lymphoma), 퐁텐-패리아욱스-블랑카에르 증후군(Fontaine-Farriaux-Blanckaert syndrome), 포르브스 병(Forbes disease), 포네-로빈슨-파스코 증후군(Forney-Robinson-Pascoe syndrome), 포룬쿠로이드 구더기증(Forunculoid myiasis), 파운턴 증후군(Fountain syndrome), 파울러-크리스마스-채플 증후군(Fowler-Christmas-Chapple syndrome), 폭스 포다이스 병(Fox Fordyce disease), Fra-X 증후군(Fra-X syndrome), 유약 X 증후군(Fragile X syndrome), 프라고소 시드 가르시아 에르난데스 증후군(Fragoso cid garcia hernandez syndrome), 프란셰티-클라인 증후군(Franceschetti-Klein syndrome), 프랑소아 디스세파릭 증후군(Francois dyscephalic syndrome), 프랑소아 증후군(Francois syndrome), 프라넥 보커 케일런 증후군(Franek bocker kahlen syndrome), 프랭크-터 하 증후군(Frank-Ter Haar syndrome), 프랭크린병(Franklin disease), 프레이저 유사 증후군(Fraser like syndrome), 프레이저 증후군(Fraser syndrome), 프레지어 증후군(Frasier syndrome), 프리만-쉘던 증후군(Freeman-Sheldon syndrome), 프라이베르그 병(Freiberg's disease), 프레이리 마이아 핀헤이로 오피츠 증후군(Freire maia pinheiro opitz syndrome), 프레이 증후군(Frey’s syndrome), 후리아스 증후군(Frias syndrome), 프라이드 증후군(Fried syndrome), 프라이드-골드버그-먼델 증후군(Fried-Goldberg-Mundel syndrome), 프리드먼 굿맨 증후군(Friedman goodman syndrome), 프리이드라이히 운동실조(Friedreich ataxia), 프뢰리히 증후군(Froelich’s syndrome), 프로스터-후흐 증후근(Froster-Huch syndrome), 프로스터-이스케니우스-워터슨 증후군(Froster-Iskenius-Waterson syndrome), 과당뇨증(Fructosuria), 프리드맨-코헨-카르몬 증후군(Frydman-Cohen-Karmon syndrome), 프린스 대두증(Fryns macrocephaly), 프린스-아프티모스 증후군(Fryns-Aftimos syndrome), 프린스-호프켄스-파브리 증후군(Fryns-Hofkens-Fabry syndrome, 푸어만-리거-드 수자 증후군(Fuhrmann-Rieger-de Sousa syndrome), 후쿠다 미야노메 나카타 증후군(Fukuda miyanomae nakata syndrome), 후쿠하라 증후군( Fukuhara syndrome), 후쿠아-베르코비츠 증후군(Fuqua-Berkovitz syndrome), 펄롱 증후군(Furlong syndrome), 후루카와 타카기 나카오 증후군(Furukawa takagi nakao syndrome), G 증후군(G syndrome), G6PD 결핍(G6PD deficiency), GABA 대사 질환(GABA metabolism disease), GAMT 결핍(GAMT deficiency), GAPO 증후군(GAPO syndrome), GIST, GM1 강글리오시드증(GM1 gangliosidosis), GOSHS, GRACILE 증후군(GRACILE syndrome), GRF 종양(GRF Tumour), GSD, GTN, GVH, 가이스벡크 증후군( Gaisbock syndrome), 갈락토키나아제 결핍(Galactokinase deficiency), 갈락토오스혈증(Galactosemia), 갈락토시알리도시스(Galactosialidosis), 갤러웨이 증후군(Galloway syndrome), 갤러웨이-모왓 증후군(Galloway-Mowat syndrome), 감보르그 닐센 증후군(Gamborg nielsen syndrome), 게임-프리드먼-파라다이스 증후군 (Game-Friedman-Paradice syndrome), 감스토르프 발작적 아디나미(Gamstorp episodic adynamy), 신경절신경종(Ganglioglioma), 가르시아 토레스 과르네리 증후군(Garcia torres guarner syndrome), 가르시아-루리 증후군(Garcia-Lurie syndrome), 가드너 실렌고 바흐텔 증후군(Gardner silengo wachtel syndrome), 가드너-모리슨-애보트 증후군(Gardner-Morrison-Abbott syndrome), 가렛 트립 증후군(Garret tripp syndrome), 위암(Gastric cancer), 배벽갈림증(Gastroschisis), 고쉐병(Gaucher disease), 고쉐-유사 병(Gaucher-like disease), 긴 스탠포드 데이비슨 증후군(Geen sandford davison syndrome), 겔리노병(Gelineau disease), 게미나니 증후군(Gemignani syndrome), 겜스 증후군(Gemss syndrome), 진스 증후군( Genes syndrome), 지노콘드로마토시스(Genochondromatosis), 게르보데 결함( Gerbode defect), 게르하르트 증후군(Gerhardt syndrome), 게르만 증후군(German syndrome), 게르쇼니바루치-레이보 증후군(Gershonibaruch-Leibo syndrome), 게르스트만-슈트로이슬러-샤잉커 증후군(Gerstmann-Straussler-Scheinker syndrome), 고살 증후군(Ghosal syndrome), 기아노티 크로스티 증후군(Gianotti Crosti syndrome), 거세포동맥염(Giant cell arteritis), 거대 혈소판 증후군(Giant platelet syndrome), 길버트 증후군(Gilbert syndrome), 질 드 라 뚜렛 증후군(Gilles de la Tourette syndrome), 길레스피 증후군(Gillespie syndrome), 기텔만 증후군(Gitelman syndrome), 글란쯔만 혈소판무력증(Glanzmann thrombasthenia), 글래스 본 질환(Glass bone disease), 글래스-채프만-호클리 증후군(Glass-Chapman-Hockley syndrome), 녹내장(Glaucoma), 아교모세포종(Glioblastoma), 사구체 질환(Glomerular disease), 사구체신염(Glomerulonephritis), 피브로넥틴 축적을 갖는 사구체병증(Glomerulopathy with fibronectin deposits (GFND)), 그루미 증후군(Gloomy syndrome), 글루카곤종(Glucagonoma),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저항(Glucocorticoid resistance), 글리코겐 축적 질환( Glycogen storage disease), Gms 증후군(Gms syndrome), 갑상샘종-난청 증후군(Goiter-deafness syndrome), 고라비-로젠 증후군(Golabi-Rosen syndrome), 골드버그 증후군(Goldberg syndrome), 골드버그-맥스웰 증후군(Goldberg-Maxwell syndrome), 골드버그-시프린첸 거대대장증 증후군(Goldberg-Shprintzen megacolon syndrome), 골드블랫 빌조엔 증후군(Goldblatt viljoen syndrome), 골드블랫 월리스 증후군(Goldblatt wallis syndrome), 골덴하르 증후군(Goldenhar syndrome), 골드만-파브레 증후군(Goldmann-Favre syndrome), 골드스타인 헛 증후군(Goldstein hutt syndrome), 골드스톤 증후군(Goldston syndrome), 골럽 증후군(Gollop syndrome), 골럽 볼프강 컴플렉스(Gollop wolfgang complex), 골츠 증후군(Goltz syndrome), 골츠-골린 증후군(Goltz-Gorlin syndrome), 곰보 증후군(Gombo syndrome), 곤잘레스 델 엔젤 증후군(Gonzales del angel syndrome), 굿맨 증후군( Goodman syndrome), 굿패스츄어 증후군(Goodpasture syndrome), 구센스-드브린트 증후군(Goossens-Devriendt syndrome), 고든 증후군(Gordon syndrom), 고함 증후군(Gorham syndrome), 고함-스타우트 질환(Gorham-Stout disease), 골린 증후군(Gorlin syndrome), 골린-초우드리-모스 증후군(Gorlin-Chaudhry-Moss syndrome), 폐 이식 후 이식편거부(Graft rejection after lung transplantation), 이식편대숙주 질환(Graft versus host disease), 그라함 보일 트락셀 증후군( Graham boyle troxell syndrome), 그라함-콕스 증후군(Graham-Cox syndrome), 그랜드-케인-풀링 증후군(Grand-Kaine-Fulling syndrome), 그랜지 폐색성 동맥 증후군(Grange occlusive arterial syndrome), 그랜트 증후군(Grant syndrome), 과립세포 육종(Granulocytic sarcoma), 육아종 알레르기성 혈관염(Granulomatous allergic angiitis), 육아종 염증성 관절염, 피부염 및 포도막염(Granulomatous inflammatory arthritis, dermatitis, and uveitis), 육아종 유방염(Granulomatous mastitis), 그레이브스병(Graves’ disease), 그레이 플레이트릿 증후군(Gray platelet syndrome), 그린버그 형성이상(Greenberg dysplasia), 그레이그 증후군(Greig syndrome), 그라이터 질환(Greither's disease), 그리세리 질환(Griscelli disease), 그릭스 블랑켄십 피터슨 증후군(Grix blankenship peterson syndrome), 그롤 허쇼위츠 증후군(Groll hirschowitz syndrome), 그론브라드-스트랜드버그-뚜렌느 증후군(Gronblad-Strandberg-Touraine syndrome), 그로스 증후군(Grosse syndrome), 그로버병(Grover’s disease), 성장호르몬 결핍( Growth hormone deficiency), 그루벤 드 콕 보그라프 증후군(Grubben de cock borghgraef syndrome), 그래스베크-이머스룬트 질환(Grasbeck-Imerslund disease), 괌 질환(Guam disease), 구아니디노아세테이트 메틸트랜스퍼라아제 결핍( Guanidinoacetate methyltransferase deficiency), 귀바우트-바인젤 증후군(Guibaud-Vainsel syndrome), 귈레인 바레 증후군(Guillain-Barre syndrome), 구이자-바스케스-루엔가스 증후군(Guizar-Vasquez-Luengas syndrome), 구이자-바스케스-산체스-만자노 증후군(GuizarVazquez-Sanchez-Manzano syndrome), 구날 세버 바사란 증후군(Gunal seber basaran syndrome), 구리어리-삼미토-벨루시 증후군(Gurrieri-Sammito-Bellussi syndrome), 거셔 증후군(Gusher syndrome), 음양모세포종(Gynandroblastoma), 귄터병(Gunther disease), HAD 결핍(HAD deficiency), HAE, HAIRAN 증후군(HAIRAN syndrome), HANAC 증후군(HANAC syndrome), HARD 증후군(HARD syndrome (Hydrocephalus-agyria-retinal dysplasia)), HCDD, HCL, HDL 대사 장애(HDL metabolism disorder), HEM, HEP, HERNS 증후군(HERNS syndrome), HHE 증후군(HHE syndrome), HHT, HHV-8, HID 증후군(HID syndrome), HIGM1, HIT, HMSN 5, HMSNP, HNPCC, HNSCC, HPA-1 결핍(HPA-1 deficiency), HPE, HSAN 1, HSD 결핍(HSD deficiency), HSV 뇌염(HSV encephalitis), HSV 각막염(HSV keratitis), HUS, HVR, 하스-로빈슨 증후군(Haas-Robinson syndrome), 하다드 증후군(Haddad syndrome), 혈액학적 암(Haematologic cancers), 혈색소침착증(Haemochromatosis), 헤모글로빈 이상(Haemoglobin disorders), 용혈(Haemolysis), 용혈성 빈혈(Haemolytic anaemia), 용혈 요독 증후군(Haemolytic uremic syndrome), 출혈열(Haemorrhagic fever), 경산부출혈 혈소판 이상증(Haemorrhagiparous thrombocytic dystrophy), 하게만 인자 결핍(Hageman factor deficiency), 하게모저 바인스테인 브레스닉 증후군(Hagemoser weinstein bresnick syndrome, 헤일리-헤일리병(Hailey-Hailey disease), 하임-먼크 증후군(Haim-Munk syndrome), 유모세포 백혈병(Hairy cell leukaemia), 하이두-체니 증후군(Hajdu-Cheney syndrome), 할-베르그-루돌프 증후군(Hal-Berg-Rudolph syndrome), 할랄 증후군(Halal syndrome), 할랄-세튼-왕 증후군(Halal-Setton-Wang syndrome), 할러만 스트라이프 유사 증후군(Hallermann streiff like syndrome), 할러만-스트라이프-프랑소와 증후군(Hallermann-Streiff-Francois syndrome), 할러포르텐-스파츠 병(Hallervorden-Spatz disease), 하마니시 우에다 츠지 증후군(Hamanishi ueba tsuji syndrome), 하마노 츠카모토 증후군(Hamano tsukamoto syndrome), 하만-리치 증후군(Hamman-Rich syndrome), 한하르트 증후군(Hanhart syndrome), 수족구 증후군(Hand Foot Mouth syndrome), 한트-슐러-크리스티안 질환(Hand-Shuller-Christian disease), 하노트 증후군(Hanot syndrome), 한타바이러스 폐 증후군(Hantavirus pulmonary syndrome), 하프네스 보만 스케이 증후군(Hapnes boman skeie syndrome), 행복한 강아지 증후군(Happy puppet syndrome), 하보얀 증후군(Harboyan syndrome), 하드캐슬 증후군(Hardcastle syndrome), 하딩 운동실조(Harding ataxia), 해로드 증후군(Harrod syndrome), 해로드-킬 증후군(Harrod-Keele syndrome), 하아트눕 장애(Hartnup disorder), 하츠필드 빅슬러 데미어 증후군(Hartsfield bixler demyer syndrome), 하시모토 갑상샘종(Hashimoto struma), 하시모토-프리츠커 증후군(Hashimoto-Pritzker syndrome), 하스페스라프-프린스-뭐레나르 증후군(Haspeslagh-Fryns-Muelenaere syndrome), 호퀸신뇨증(Hawkinsinuria), 헤이 웰스 증후군(Hay wells syndrome), 심장 차단 진행(Heart block progressive), 심장-손 증후군(Heart-hand syndrome), 중쇄 침착 질환(Heavy chain deposition disease), Hec 증후군(Hec syndrome), 헤흐트 스코트 증후군(Hecht scott syndrome), 헥켄리베리 증후군(Heckenlively syndrome), 하이드 증후군(Heide syndrome), 하임러 증후군(Heimler syndrome), 하이너 증후군(우유 과민(Heiner syndrome(cow's milk hypersensitivity)), 헬머호르스트 히톤 크로쎈 증후군(Helmerhorst heaton crossen syndrome), 혈관종-혈소판감소 증후군(Hemangioma-thrombocytopenia syndrome), 혈관주위세포종(Hemangiopericytoma), 조혈 형성저하증(Hematopoietic hypoplasia), 주간맹(Hemeralopia), 헤미 3 증후군(Hemi 3 syndrome), 반경련-반마비-간질 증후군(Hemiconvulsion-Hemiplegia-Epilepsy syndrome), 반얼굴 과다형성 사시(Hemifacial hyperplasia strabismus), 반비대 창자 망 각막 혼탁(Hemihypertrophy intestinal web corneal opacity), 반쪽다리증(반쪽팔증, Hemimelia), 반쪽몸통증(Hemitruncus), 혈색소침착증(Hemochromatosis), 헤모글로빈 C 병, 헤모글로빈 E 병, 헤모글로빈 H 병, 용혈 빈혈(Hemolytic anaemia), 혈우병(Hemophilia), 경산부출혈 혈소판 이상증(Hemorrhagiparous thrombocytic dystrophy), 헨네캄 코스 드 지스트 증후군(Hennekam koss de geest syndrome), 헨네캄 증후군(Hennekam syndrome), 헨네캄-비머 증후군(Hennekam-Beemer syndrome), 헤노흐-쉔라인 자색반(Henoch-Schoenlein purpura), 간 낭포성 과오종(Hepatic cystic hamartoma), 간섬유증(Hepatic fibrosis), 간암(Hepatic cancer), 간 정맥폐색 병(Hepatic venoocclusive disease), 간 이식 후의 B형 간염의 재감염, 간염, 간모세포종(Hepatoblastoma), 간세포성 샘종(Hepatocellular adenoma), 간세포성 암종(Hepatocellular carcinoma), 간적혈구성 포르피린증(Hepatoerythropoeitic porphyria), 간문맥 경화증(Hepatoportal sclerosis), 유전성 코프로포르피린증(Hereditary coproporphyria), 유전성 내피병증 - 망막병증 - 신장병증 - 뇌졸중(Hereditary endotheliopathy - retinopathy - nephropathy - stroke), 유전성 타입 I 림프부종(Hereditary lymphoedema type I), 유전성 운동 및 감각 신경병증(Hereditary motor and sensory neuropathy), 유전성 혈관 망막병증(Hereditary vascular retinopathie) - 레이노드 현상(Raynaud phenomenon) - 편두통, 헤르만스키-푸들라크 증후군(Hermansky-Pudlak syndrome), 훼르난데즈 프라고소 증후군(Hernandez fragoso syndrome), 훼르난데즈-아귀레 네그레트 증후군(Hernandez-Aguirre Negrete syndrome),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 헤르만 오피츠 관절굽음증 증후군(Herrmann opitz arthrogryposis syndrome), 허스 병(Hers disease), 허쉬-포드러쉬-바이스콥프 증후군(Hersh-Podruch-Weisskopf syndrome), 헤르바 병(Herva disease), 내장위치이상(Heterotaxia), 이형 OSMED(Heterozygous OSMED), 힐릭 증후군(Hillig syndrome), 힌만 증후군(Hinman syndrome), 힌슨-펩피스 병(Hinson-Pepys disease), 히포 증후군(Hipo syndrome), 히라야마 병(Hirayama disease), 히르쉬스푸룽 병(Hirschsprung disease), 다모증(Hirsutism), 히스 번들 빈맥(His bundle tachycardia), 히스티딘 대사 이상(Histidine metabolism disorder), 히스티딘뇨증 콩팥요세관 결손(Histidinuria renal tubular defect), 조직구 및 수상세포 종양(Histiocytic and dendritic cell tumour), 조직구 육종(Histiocytic sarcoma), 조직구 심근병증(Histiocytoid cardiomyopathy), X 조직구증 (Histiocytosis X), 히스토플라스마증(Histoplasmosis), 히트너 히르쉬 크레흐 증후군(Hittner hirsch kreh syndrome), Hmc 증후군(Hmc syndrome), 호지킨 림프종(Hodgkin lymphoma), 홉프너 드레이어 레이머즈 증후군(Hoepffner dreyer reimers syndrome), 호프만 증후군(Hoffman's syndrome), 홈즈 베나세라프 증후군(Holmes benacerraf syndrome), 홈즈 콜린스 증후군(Holmes collins syndrome), 홈즈-강 증후군(Holmes-Gang syndrome), 무형무심체(Holoacardius amorphus), 통앞뇌증(Holoprosencephaly), 홀트-오람 증후군(Holt-Oram syndrome), 홀츠그레브 와그너 레더 증후군(Holzgreve wagner rehder syndrome), 호모카노시노시스(Homocarnosinosis), 호모시스틴뇨증(Homocystinuria), 호모겐티신산 산화효소 결핍증(Homogentisic acid oxydase deficiency), 훈 홀 증후군(Hoon hall syndrome), 호르너 증후군(Horner syndrome), 홀톤 병(Horton disease), 휼스턴 아이런톤 템플 증후군(Haulston ironton temple syndrome), 집 알레르기성 폐포염(House allergic alveolitis), 하워드 영 증후군(Howard young syndrome), 하월-에반스 증후군(Howell-Evans syndrome), 호에랄-레이다슨 증후군(Hoyeraal-Hreidarsson syndrome), 상완요골 유합(Humeroradial synostosis), 상완요척골 유합(Humeroradioulnar synostosis), 상완척수 뼈발생이상(Humerospinal dysostosis), 헌터 카펜터 맥도날드 증후군(Hunter carpenter mc donald syndrome), 헌터 쥬렌카 톰슨 증후군(Hunter jurenka thompson syndrome), 헌터 증후군(Hunter syndrome), 헌터-루드-호프만 증후군(Hunter-Rudd-Hoffmann syndrome), 헌터-톰슨-리드 증후군(Hunter-Thompson-Reed syndrome), 헌팅턴병(Huntington disease), 후리즈 증후군(Huriez syndrome), 헐러 증후군(Hurler syndrome), 헐러-샤이에 증후군(Hurler-Scheie syndrome), 허친슨-길포드 증후군(Hutchinson-Gilford syndrome), 허터로쓰 스프랭거 증후군(Hutteroth spranger syndrome), 유리질막병(Hyaline membrane disease), 히알루로니다아제 결핍증(Hyaluronidase deficiency), 포충증(Hydatidosis), 하이드-포스터-맥카티-베리 증후군(Hyde-Forster-Mccarthy-Berry syndrome), 주머니림프관종(Hygroma cysticum), 고알도스테론증(Hyperaldosteronism), 과아르기닌혈증(Hyperargininemia), 고빌리루빈혈증(Hyperbilirubinemia), 특발성 고칼슘뇨증(Hypercalciuria idiopathic), 고콜레스테롤혈증(Hypercholesterolemia), 과킬로마이크론혈증(Hyperchylomicronemia), 고코르티솔증(Hypercortisolism), 놀람병( Hyperexplexia), 과글라이신혈증(Hyperglycinemia), 고이미도디펩티드뇨증(Hyperimidodipeptiduria), 고인슐린증(Hyperinsulinism), 각화과다증(Hyperkeratosis), 고지혈증(Hyperlipidaemia), 고지방단백혈증(Hyperlipoproteinemia), 과라이신혈증(Hyperlysinemia), 과메티오닌혈증(Hypermethioninemia), 고오르니틴혈증(Hyperornithinemia), 뼈과다증(Hyperostosis), 고옥살산뇨증(Hyperoxaluria), 부갑상샘항진증(Hyperparathyroidism), 과다지골증 추형 기관지연화증(Hyperphalangism dysmorphy bronchomalacia), 고페닐알라닌혈증성 배아병증(Hyperphenylalaninemic embryopathy), 고피페콜린산혈증(Hyperpipecolatemia), 과민성 폐렴(Hypersensitivity pneumonitis), 양안과다격리증(Hypertelorism), 고열(Hyperthermia), 갑상샘항진증(Hyperthyroidism), 털과다증(Hypertrichosis), 비후성 신경병증(Hypertrophic neuropathy), 비후성 또는 사마귀모양 홍반성 루푸스(Hypertrophic or verrucous lupus erythematosus), 비후성 대동맥하 협착(Hypertrophic subaortic stenosis), 저베타지방단백혈증(Hypobetalipoproteinemia), 저베타지방단백혈증(Hypobetalipoproteinemia), 연골 발육부전(Hypochondroplasia), 하이포컴플리멘태믹 백혈구파쇄성 혈관염(Hypocomplementaemic leucocytoclasic vasculitis), 치아발육부전증(Hypodontia), 저섬유소원혈증(Hypofibrinogenemia), 저칼륨혈성 알카리증(Hypokalemic alkalosis), 각화저하증(Hypokeratosis), 수초형성부전증(Hypomyelination), 부갑상샘저하증(Hypoparathyroidism), 뇌하수체부전증(Hypopituitarism), 좌심형성부전증후군(Hypoplastic left heart syndrome), 우심형성부전증후군(Hypoplastic right heart syndrome), 요도밑열림증(Hypospadias), 시상하부 과오아종 증후군(Hypothalamic hamartoblastoma syndrome), 갑상선저하증(Hypothyroidism), 털감소증(Hypotrichosis), 하이포잔틴 구아닌 포스포리보실트랜스퍼라제 완전 결핍증(Hypoxanthine guanine phosphoribosyltransferase (HPRT) complete deficiency), I-세포병(I-cell disease), IBIDS 증후군(IBIDS syndrome), ICCA 증후군(ICCA syndrome), ICE 증후군(ICE syndrome), ICF 증후군(ICF syndrome), ICOS 결핍증(ICOS deficiency), IDI, IED, IFAP 증후군(IFAP syndrome), IGDA, IGF-1 결핍증(IGF-1 deficiency), IGHD, IMAGe 증후군(IMAGe syndrome), INAD, INCL, IOMID 증후군(IOMID syndrome), IOSCA, IPEX, IPSID, IRAK4 결핍증(IRAK4 deficiency), ISOD, ITP, IVC 협착(IVC stenosis), 비늘증(Ichthyosis), 아이다호 증후군(Idaho syndrome), 특발성 근육긴장이상 DYT1(Idiopathic dystonia DYT1), 특발성 육아종 유방염(Idiopathic granulomatous mastitis), 특발성 과호산구 증후군(Idiopathic hypereosinophilic syndrome), 특발성 영아 동맥 석회화(Idiopathic infantile arterial calcification), BCG 또는 비정형 미코박테리아에 의해 야기된 특발성 감염(Idiopathic infection caused by BCG or atypical mycobacteria), 특발성 간질성 폐렴(Idiopathic interstitial pneumonia), 특발성 소아 골다공증(Idiopathic juvenile osteoporosis), 특발성 골수섬유증(Idiopathic myelofibrosis), 특발성 폐쇄성 동맥병증(Idiopathic obliterative arteriopathy), 특발성 기립 저혈압( Idiopathic orthostatic hypotension), 특발성 폐섬유증(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특발성 혈소판감소 자색반(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 이쉬마-코에다-이나가키 증후군(Ieshima-Koeda-lnagaki syndrome), 엉덩뼈 증후군(Ilium syndrome), 일라이나 아모아쉬 그레고리 증후군(Ilyina amoashy grygory syndrome), 이마이주미 쿠로키 증후군(Imaizumi kuroki syndrome), 면역 혈소판감소증(Immune thrombocytopaenia), 면역결핍증(Immunodeficiency), 면역증식성 소장병(Immunoproliferative small intestinal disease), 영아 호흡곤란 증후군(Infan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인슐린-저항 증후군(Insulin-resistance syndrome), 인슐린종(Insulinoma), 수지상세포 육종(Interdigitating dendritic cell sarcoma), 중간 DEND 증후군(Intermediate DEND syndrome), 중간 척수근육위축증(Intermediate spinal muscular atrophy), 속목동맥 무발생증(Internal carotid agenesis), 간질성 방광염(Interstitial cystitis), 관절염을 수반한 간질성 육아종 피부염(Interstitial granulomatous dermatitis with arthritis), 간질성 폐렴(Interstitial pneumonia), 심실간 사이막 동맥류(Interventricular septum aneurysm), 창자 다발폐쇄증(Intestinal atresia multiple), 창자 상피 형성이상(Intestinal epithelial dysplasia), 이차 저칼슘혈증을 수반한 창자 저마그네슘혈증(Intestinal hypomagnesemia with secondary hypocalcemia), 창자 지방이상증(Intestinal lipodystrophy), 창자 지방탐식 육아종증(Intestinal lipophagic granulomatosis), 창자 림프관확장증(Intestinal lymphangiectasia), 창자 거짓폐쇄(Intestinal pseudoobstruction), 뇌내출혈(Intracerebral haemorrhage), 두개내 동맥류(Intracranial aneurysms), 두개내 동정맥기형(Intracranial arteriovenous malformation), 역 마르쿠스-건 현상(Inverse Marcus-Gunn phenomenon), 홍채각막 내피 증후군(Iridocorneal endothelial syndrome), 홍채앞방각발생장애(Iridogoniodysgenesis), 아이런-반 증후군(Irons-Bhan syndrome), 과민성 대장 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 아이작 증후군(Isaac's syndrome), 아이작 머튼 증후군(Isaacs mertens syndrome), 허혈성 뇌손상(lschaemic brain injury), 고형 기관 이식 과정과 관련된 허혈/관류 손상(Ischemia/perfusion injury associated with solid organ transplantation procedure), 궁둥척추 형성이상(Ischio-vertebral dysplasia), 이소-키쿠치 증후군(Iso-Kikuchi syndrome), 이소스포라증(Isosporiasis), 이소트레티노인 증후군(Isotretinoin syndrome), 이소트레티노인-유사 증후군(Isotretinoin-like syndrome), 이소발레르산혈증(Isovaleric acidemia), 아이틴 증후군(Itin syndrome), 이토 멜라닌저하증(Ito hypomelanosis), 무비증후군(Ivemark syndrome), JAE, JWS, 잭슨-바 증후군(Jackson-Barr syndrome), 잭슨-바이스 증후군(Jackson-Weiss syndrome), 야콥 증후군(Jacobs syndrome), 야콥슨 증후군(Jacobsen syndrome), 쟈페 캄파나찌 증후군(Jaffe campanacci syndrome), 쟈페-리히텐슈타인 병(Jaffe-Lichtenstein disease), 자겔 홈그렌 호퍼 증후군(Jagell holmgren hofer syndrome), 자릴리 증후군(Jalili syndrome), 잰카 증후군(Jancar syndrome), 일본 뇌염(Japanese encephalitis), 자코-레빈 증후군(Jarcho-Levin syndrome), 턱-눈짓 증후군(Jaw-Winking syndrome), 젠슨 증후군(Jensen syndrome), 제콰이어-코즐로브스키 증후군(Jequier-Kozlowski syndrome), 저벨 및 랭지-넬슨 증후군(Jervell and Lange-Nielsen syndrome), 쥐느 증후군(Jeune syndrome), 잡 증후군(Job syndrome), 요한슨-블리자드 증후군(Johanson-Blizzard syndrome), 죤슨 증후군(Johnson syndrome), 죤슨-맥밀린 증후군(Johnson-McMillin syndrome), 죤슨-먼순 증후군(Johnson-Munson syndrome), 죤스톤-아론-쉘리 증후군(Johnston-Aarons-Schelley syndrome), 죤스 증후군(Jones syndrome), 요젠슨 렌즈 증후군(Jorgenson lenz syndrome), 쥬버트 증후군(Joubert syndrome), 쥬버트-볼트샤우저 증후군(Joubert-Boltshauser syndrome), 쥬베르그 헤이워드 증후군(Juberg hayward syndrome), 쥬베르그-마시디 증후군(Juberg-Marsidi syndrome), 저지 미시 롸이트 증후군(Judge misch wright syndrome), 메인의 점핑 프렌치맨(Jumping Frenchman of Maine), 정 울프 백 스탈 증후군(Jung wolff back stahl syndrome), 소아 만성 골수단핵구 백혈병(Juvenile chronic myelomonocytic leukaemia), 소아 위장관 폴립증(Juvenile gastrointestinal polyposis), 소아 녹내장(Juvenile glaucoma), 소아 혈색소침착증(Juvenile hemochromatosis), 연소성 유리질 섬유종증(Juvenile hyaline fibromatosis), 소아 특발성 관절염(Juvenile idiopathic arthritis), 소아 황반변성(Juvenile macular degeneration), 소아 골수단핵구 백혈병(Juvenile myelomonocytic leukaemia), 소아 폴립증 증후군(Juvenile polyposis syndrome (JPS)), 소아 측두 동맥염(Juvenile temporal arteritis), KBG 증후군(KBG syndrome), KBG-유사 증후군(KBG-like syndrome), 키드 증후군(KID syndrome), 카부키 증후군(Kabuki syndrome), 카이저 증후군(Kaeser syndrome), 칼러병(Kahler's disease), 칼러 개리티 스턴 증후군(Kaler garrity stern syndrome), 칼린 증후군(Kallin syndrome), 칼만 증후군(Kallmann syndrome), 칼라나라만 증후군(Kalyanaraman syndrome), 칸자키병(Kanzaki disease), 카플란-플로슈-피치 증후군(Kaplan-Plauchu-Fitch syndrome), 카플로비츠-보덜터 증후군(Kaplowitz-Bodurtha syndrome), 카포시 육종(Kaposi's sarcoma), 카포시형 혈관내피종(Kaposiform hemangioendothelioma), 카퍼-토리엘로 증후군(Kapur-Toriello syndrome), 카란디카-마리아-캄블 증후군(Karandikar-Maria-Kamble syndrome), 카르쉬 뉘게바우어 증후군(Karsch neugebauer syndrome), 카르타제너 증후군(Kartagener syndrome), 카사바흐-메리트 증후군(Kasabach-Merritt syndrome), 카샤니-스트롬-어틀리 증후군(Kashani-Strom-Utley syndrome), 카즈니카 칼슨 코페지 증후군(Kasznica carlson coppedge syndrome), 카산토니 파파다쿠 라고야니 증후군(Katsantoni papadakou lagoyanni syndrome), 카우프만-맥쿠식 증후군(Kaufman-Mckusick syndrome), 카와사키병(Kawasaki disease), 카와시마 증후군(Kawashima syndrome), 카와시마-츠지 증후군(Kawashima-Tsuji syndrome), 컨스-세이레 증후군(Kearns-Sayre syndrome), 켈리-시그밀러 증후군(Kelley-Seegmiller syndrome), 켈리-커슨-와이어트 증후군(Kelly-Kirson-Wyatt syndrome), 케네디병(Kennedy disease), 케네디-티비 증후군(Kennedy-Teebi syndrome), 켄너네치 증후군(Kennerknecht syndrome), 케니 증후군(Kenny syndrome), 케니-캐피 증후군(Kenny-Caffey syndrome), 케냐 진드기물림 열병(Kenya tick-bite fever), 유전적 안질환과 관련된 각질화 이상(Keratinisation disorder associated with genetic eye disease), 각막염(Keratitis), 각질가시세포종(Keratoacanthoma), 원추각막(Keratoconus), 각질피부증(Keratoderma), 각화증(Keratosis), 백선 종창(Kerion celsi), 컬시 증후군(Kersey syndrome), 케톤산증(Ketoacidosis), 키토산뇨증(Ketoaciduria), 케톤분해 이상(Ketolysis disorder), 쿠텔 증후군(Keutel syndrome), KGB 증후군(KGB syndrome), 칼리파-그라함 증후군(Khalifa-Graham syndrome), 키엔보크 병(Kienbock disease), 키쿠치 병(Kikuchi disease), 키쿠치-후지모토 병(Kikuchi-Fujimoto disease), 키무라 병(Kimura disease), 킹-덴보로 증후군(King-Denborough syndrome), 킹스본 증후군(Kinsbourne syndrome), 클라스킨 종양(Klatskin tumour), 클라인-바덴버그 증후군(Klein-Waardenburg syndrome), 클라인-레빈 증후군(Kleine-Levin syndrome), 클라이너 홈즈 증후군(Kleiner holmes syndrome), 클라인펠터 증후군(Klinefelter syndrome), 클리펠-페일 기형(Klippel-Feil malformation), 클리펠-트레노네이 증후군(Klippel-Trenaunay syndrome), 클뤼버-부시 증후군(Kluver-Bucy syndrome), 나스트 형성이상(Kniest dysplasia), 노블로치 레이어 증후군(Knobloch layer syndrome), 코커-데브레-스멜라인 증후군(Kocher-Debre-Semelaigne syndrome), 쾰러병(Kohler's disease), 쾨헬슈트트-톤즈 증후군(Kohlschutter-Tonz syndrome), 코크병(Kok disease), 코마 증후군(Komar syndrome), 코닉스마크 녹스 허슬 증후군(Konigsmark knox hussels syndrome), 코피스크 바르지크 크롤 증후군(Kopysc barczyk krol syndrome), 코즈노우 증후군(Kosenow syndrome), 코스트만 증후군(Kostmann syndrome), Kosztolanyi 증후군(Kosztolanyi syndrome), 코제프 니콜스 증후군(Koussef nichols syndrome), 코제프 증후군(Kousseff syndrome), 코왈스키 증후군(Kowarski syndrome), 코즐로브스키 브라운 하드윅 증후군(Kozlowski brown hardwick syndrome), 코즐로브스키 마센 증후군(Kozlowski massen syndrome), 코즐로브스키 아우브리어 증후군(Kozlowski ouvrier syndrome), 코즐로브스키 츠루타 증후군(Kozlowski tsuruta syndrome), 코즐로브스키-크라예브스카 증후군(Kozlowski-Krajewska syndrome), 크라베병(Krabbe disease), 크라스노우-콰지 증후군(Krasnow-Qazi syndrome), 크라우스 헤르만 홈즈 증후군(Krauss herman holmes syndrome), 쿠도 타무라 퓨즈 증후군(Kudo tamura fuse syndrome), 쿠겔베르그-벨란더 병(Kugelberg-Welander disease), 쿠바-레빅 증후군(Kumar-Levick syndrome), 쿤즈 라임 증후군(Kunze riehm syndrome), 쿠르크쥔스키-카스펄슨 증후군(Kurczynski-Casperson syndrome), 쿠스코큄병(Kuskokwim disease), 쿠즈니엑키 증후군(Kuzniecky syndrome), 키누레니네이스 결핍증(Kynureninase deficiency), 키포멜성 형성이상(Kyphomelic dysplasia), 척추후만증 단지증성 시각신경위축증(Kyphosis brachyphalangy optic atrophy), 쿠스마울-마이어 병(Kussmaul-Maier disease), L1 증후군(L1 syndrome), L-2-하이드록시글루타르산뇨증(L-2-hydroxyglutaricaciduria), LADD 증후군, LBSL, LBWC 증후군, LCAD, LCAT 결핍증, LCCS, LCDD, LCH, LCHAD 결핍증, LDD, LEOPARD 증후군, LGMD, LHCDD, LIG4 증후군, LMS, LORD, LP1, 라밴드 증후군(Laband syndrome), 라쉬빅츠 시블리 증후군(Lachiewicz sibley syndrome), 락트산 디하이드로제나제 결핍증(Lactate dehydrogenase deficiency), 락트산 산증(Lactic acidosis), 프로락틴분비세포 선종(Lactotroph adenoma), 라다 조나나 라메르 증후군(Ladda zonana ramer syndrome), 라포라 병(Lafora disease), 레잉 말단 근육병증(Laing distal myopathy), 시옷봉합 뼈융합(Lambdoid synostosis), 램버트 증후군(Lambert syndrome), 램버트-이튼 근육무력 증후군(Lambert-Eaton myasthenic syndrome), 층판 비늘증(Lamellar ichthyosis), 판상증(Laminopathy), 랜다우-클리프너 증후군(Landau-Kleffner syndrome (LKS)), 랜딩병(Landing disease), 랜도지-드저린 근육병(Landouzy-Dejerine myopathy), 랑거-기디온 증후군(Langer-Giedion syndrome), 랑거한스 세포 육아종증(Langerhans cell granulomatosis), 랑거한스 세포 조직구증(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랑거한스 세포 육종(Langerhans cell sarcoma), 배벽갈림증(Laparoschisis), 라플레인 폰테인 라가드레 증후군(Laplane fontaine lagardere syndrome), 라론 증후군(Laron syndrome), 라르센 증후군(Larsen syndrome), 라르센-유사 증후군(Larsen-like syndrome), 후두 외전근 마비(Laryngeal abductor paralysis), 후두-손발톱-피부 증후군(Laryngo onycho cutaneous syndrome), 후두-기관-식도 갈림 폐 형성저하증(Laryngo-tracheo-esophageal cleft pulmonary hypoplasia), 라사열(Lassa fever), 라슈흐-그라함-리틀 증후군(Lassueur-Graham-Little syndrome), 아동형 신경세포 지방갈색소증(Late infantile neuronal ceroid lipofuscinosis), 미성숙 영아의 후기발병 패혈증(Late onset sepsis in premature infants), 콜레스테롤 생합성 부족(Lathosterolosis), 로브리-페찌 증후군(Laubry-pezzi syndrome), 로누와-벤소드 선 지방종증(Launois-Bensaude adenolipomatosis), 로렌스-문 증후군(Laurence-Moon syndrome), 로린-샌드로 증후군(Laurin-Sandrow syndrome), 로렌스 증후군(Lawrence syndrome), 로렌스-세입 증후군(Lawrence-Seip syndrome), 락소바-옵티즈 증후군(Laxova-Opitz syndrome), 르 미러 증후군(Le Merrer syndrome), 르 마렉 브라크 피카우드 증후군(Le marec bracq picaud syndrome), 리오-다 실바 증후군(Leao-da Silva syndrome), 리어만 증후군(Learman syndrome), 레버 '플러스' 병(Leber 'plus' disease), 레버 선천 흑암시(Leber congenital amaurosis), 레버 좁쌀 동맥류(Leber miliary aneurysm), 왼콩팥정맥 포착 증후군(Left renal vein entrapment syndrome), 좌심실 고 잔기둥형성(Left ventricular hypertrabeculation), 좌심실 비치밀화증(Left ventricular noncompaction), 레그-칼베-페르테스 병(Legg-Calve-Perthes disease), 레기오넬라증(Legionellosis), 레기오넬라증(Legionnaires' disease), 리히트만-우드-론 증후군(Leichtman-Wood-Rohn syndrome), 라이퍼 라이 바이스 증후군(Leifer lai buyse syndrome), 라이 병(Leigh disease), 라이너 병(Leiner disease), 식도 백내장 혈뇨의 평활근종증(Leiomyomatosis of esophagus cataract hematuria), 평활근종증(Leiomyomatosis), 평활근육종(Leiomyosarcoma), 레이팔라 카이틸라 증후군(Leipala kaitila syndrome), 리슈만편모충증(Leishmaniasis), 레이스티-홀리스터-리모인 증후군(Leisti-Hollister-Rimoin syndrome), 르미레 증후군(Lemierre syndrome), 르네그레 병(Lenegre disease), 렌녹스-가스타우트 증후군(Lennox-Gastaut syndrome), 레프리코니즘(Leprechaunism), 나병(Leprosy), 렙토스피라병(Leptospirosis), 레리 과잉뼈증(Leri pleonosteosis), 레리-웨일 증후군(Leri-Weill syndrome), 레쉬-니한 증후군(Lesch-Nyhan syndrome), 척수전각세포 질환을 수반한 치사 관절굽음증(Lethal arthrogryposis with anterior horn cell disease (LAAHD)), 치사 연골형성장애 모어맨 타입(Lethal chondrodysplasia moerman type), 치사 선천성 구축 증후군(Lethal congenital contracture syndrome), 치사 골경화성 뼈 형성이상(Lethal osteosclerotic bone dysplasia), 레테러-시웨 병(Letterer-Siwe disease), 류신증가증(Leucinosis), 백혈병(Leukaemia), 백혈구 부착 결핍증(Leukocyte adhesion deficiency (LAD)), 백색질장애(Leukodystrophy), 백색질뇌증(Leukoencephalopathy), 전체 백색손발톱증(Leukonychia totalis), 류코트리엔 C4(LTC4) 합성효소 결핍증(Leukotriene C4 (LTC4) synthase deficiency), 레빅 스테파노빅 니콜릭 증후군(Levic stefanovic nikolic syndrome), 레빈-크리칠리 증후군(Levine-Critchley syndrome), 왼심장증(Levocardia), 레비-홀리스터 증후군(Levy-Hollister syndrome), 레비-예보아 증후군(Levy-Yeboa syndrome), 루이스-파샤얀 증후군(Lewis-Pashayan syndrome), 루이스-섬너 증후군(Lewis-Sumner syndrome), 루이소체 치매(Lewy body dementia), 레이디히 세포 형성저하증(Leydig cell hypoplasia), 레미트-두크로스 병(Lhermitte-Duclos disease), 리-프라우메니 증후군(Li-Fraumeni syndrome), 태선(Lichen), 리히텐슈타인 증후군(Lichstenstein syndrome), 리들 증후군(Liddle syndrome), 린제이-번 증후군(Lindsay-Burn syndrome), 선형 과오종 증후군(Linear hamartoma syndrome), 증식성 위벽염(Linitis plastica), 구순 혈공증 증후군(Lip-pit syndrome), 지질축적병(Lipid storage disease), 지방이상증(Lipodystrophy), 지방이상증-HIV 연관(Lipodystrophy-HIV related), 지방성 부종(Lipoedema), 지질성 단백증(Lipoid proteinosis), 지방종증(Lipomatosis), 지질단백 대사병(Lipoprotein metabolism disease), 지방육종(Liposarcoma), 리스커-가르시아-라모스 증후군(Lisker-Garcia-Ramos syndrome), 뇌이랑없음증(Lissencephaly), 리스테리아증(Listeriosis), 리틀 증후군(Little syndrome), 뇌 엽 위축증(Lobar atrophy of brain), 롭스타인 병(Lobstein disease), 두가락증(Lobster-claw deformity), 국소 캐슬만병(Localized Castleman disease), 국소 피부경화증(Localized scleroderma), 록-인 증후군(Locked-in syndrome), 뢰플러 심내막염(Loeffler's endocarditis), 로이즈-디에츠 증후군(Loeys-Dietz syndrome), 로프레도 센나모 세시오 증후군(Loffredo cennamo cecio syndrome), 로직 증후군(Logic syndrome), 로아사상충증(Loiasis), 롱 QT 증후군(Long QT syndrome), 롱만-톨미 증후군(Longman-Tolmie syndrome), 느슨한 성장기 증후군(Loose anagen syndrome), 로페즈 골린 증후군(Lopes gorlin syndrome), 로페즈 마르퀴스 드 파리아 증후군(Lopes marques de faria syndrome), 로페즈-훼르난데즈 증후군(Lopez-Hernandez syndrome), 루-게릭 병(Lou-Gehrig disease), 루이스-바 증후군(Louis-Bar syndrome), 로우 콘 코헨 증후군(Lowe kohn cohen syndrome), 로우 안뇌신 증후군(Lowe oculocerebrorenal syndrome), 로우 증후군(Lowe syndrome), 저 중배엽 결손(Lower mesodermal defects), 로운-가농-레빈 증후군(Lown-Ganong-Levine syndrome), 로리 증후군(Lowry syndrome), 로리-맥린 증후군(Lowry-MacLean syndrome), 로리-용 증후군(Lowry-Yong syndrome), 루바니-AI 살레-티비 증후군(Lubani-AI Saleh-Teebi syndrome), 루빈스키 증후군(Lubinsky syndrome), 럽스-아레나 증후군(Lubs-Arena Syndrome), 루시 드리스콜 증후군(Lucey driscoll syndrome), 럭키 겔레터 증후군(Lucky gelehrter syndrome), 루잔-프린스 증후군(Lujan-Fryns syndrome), 반달뼈연화증(Lunatomalacia), 룬드버그 증후군(Lundberg syndrome), 폐 무발생 심장 결손 엄지 이상(Lung agenesis heart defect thumb anomalies), 소세포 폐암(Lung cancer small cell), 폐섬유증(Lung fibrosis), 홍반성 루푸스(Lupus erythematosus), 루리 클레스키 증후군(Lurie kletsky syndrome), 조화운동불능을 수반한 황체형성호르몬 분비 호르몬 결핍증(Luteinizing hormone releasing hormone deficiency with ataxia), 러츠-리흐너-랜돌트 증후군(Lutz-Richner-Landolt syndrome), 라이엘 증후군(Lyell syndrome), 라임 보렐리오시스(Lyme borreliosis), 라임 병(Lyme disease), 림프관평활근종증(Lymphangioleiomyomatosis), 림프관종(Lymphangioma), 림프사상충증(Lymphatic filariasis), 림프기형(Lymphatic malformation), 림프부종(Lymphedema), 림프구 아폽토시스 이상(Lymphocyte apoptosis anomaly), 림프구-고갈 클래식컬 호지킨 림프종(Lymphocyte-depleted classical hodgkin lymphoma), 림프구-풍부 클래식컬 호지킨 림프종(Lymphocyte-rich classical hodgkin lymphoma), 림프구성 대장염(Lymphocytic colitis), 림프구 간질성 폐렴(Lymphoid interstitial pneumonia), 림프종모양 육아종증(Lymphomatoid granulomatosis), 일차 면역 질환과 관련된 림프증식성 질환(Lymphoproliferative disease associated with primary immune disease), 린치 리 멀데이 증후군(Lynch lee murday syndrome), 린치 증후군(Lynch syndrome), 린스타다스 증후군(Lyngstadaas syndrome), 리소좀질환(Lysosomal disease), 라이티코-보딕 병(Lytico-bodig disease), M-CMTC, M/SCHAD, MAD, MADSAM, MAE, MALT 림프종(lymphoma), MASA 증후군, MCA, MCAD 결핍증, MCOPS1, MDC1A, MEB (근육-안구-뇌) 증후군, MEHMO 증후군, MELAS, MEN 1, MEN 2, MERRF 증후군, MGA 타입 I, MHBD 결핍증, MIDD, MIRAS, MMEP 증후군, MMND, MNGIE 증후군, MOBA 증후군, MOCOD, MODY 증후군, MORM 증후군, MPPH 증후군, MPS, MRGH, MRKH 증후군, MRXS7, MSA, MTHFR 결핍증, MVA 증후군, MYH9, 맥 더피 증후군(Mac Duffie's syndrome), 맥 더못 윈터 증후군(Mac dermot winter syndrome), 마카리오 메나 증후군(Maccario mena syndrome), 맥더못-패튼-윌리암스 증후군(Macdermot-Patton-Williams syndrome), 마카도-조셉 병(Machado-Joseph disease), 마시아스 플로레스 가르시아 크루즈 리베라 증후군(Macias flores garcia cruz rivera syndrome), 맥케이 쉑 카르 증후군(Mackay shek carr syndrome), 큰혀증(Macroglossia), 대식세포 또는 조직구 종양(Macrophage or histiocytic tumour), 대식세포 활성화 증후군(Macrophagic activation syndrome), 대식세포 근막염(Macrophagic myofasciitis), 백혈구 포함물을 수반한 마크로혈소판감소증(Macrothrombocytopenia with leukocyte inclusions), 반상 아밀로이드(Macular amyloidosis), 황반 이영양증(Macular dystrophy), 황반부종(Macular edema), 마델룽 병(Madelung's disease), 마드라스 운동 신경 세포 질환(Madras motor neuron disease), 마푸치 증후군(Maffucci syndrome), 마지드 증후군(Majeed syndrome), 마제스키 오즈투르크 증후군(Majewxki ozturk syndrome), 기도 허탈(Major airway collapse), 멜레다 병(Meleda disease), 연화판증(Malakoplakia), 연반증(Malakoplasia), 말라리아(Malaria),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악성 생식세포 종양(Malignant germ cell tumor), 악성 초고열(Malignant hyperpyrexia), 악성 이상고열(Malignant hyperthermia), 악성 간엽 종양(Malignant mesenchymal tumor), 악성 발작성 심실빈맥(Malignant paroxysmal ventricular tachycardia), 말로리 바이스 증후군(Mallory Weiss syndrome), 말로우프 증후군(Malouf syndrome), 말타아제-글루코아밀라아제 결핍(Maltase-glucoamylase deficiency), 조울증(Maniac-depressive disorders), 마누브리에 증후군(Manouvrier syndrome), 만소넬라증(Mansonellosis), 외투 세포 림프종(Mantle cell lymphoma), 단풍 당뇨증(Maple syrup urine disease), 마라시 골린 증후군(Marashi gorlin syndrome), 골 화석증(Marble brain disease), 마르부르그 병(Marburg disease), 발작 야간 혈색뇨증(Marchiafava-Micheli disease), 마르쿠스-건 증후군(Marcus-Gunn syndrome), 마르덴 워커 유사 증후군(Marden walker like syndrome), 마르판 증후군(Marfan syndrome), 마르가리타 아일랜드 외배엽 이형성(Margarita island ectodermal dysplasia), 마린-아맷 증후군(Marin-Amat syndrome), 마리네스코-쇄그렌 증후군(Marinesco-Sjogren syndrome), 마리온 메이어스 증후군(Marion mayers syndrome), 마르켈-비쿨라-물리켄 증후군(Markel-Vikkula-Mulliken syndrome), 말레스 그린버그 페르사우드 증후군(Marles greenberg persaud syndrome), 마로토 코헨 솔랄 보나벤투라 증후군(Maroteaux cohen solal bonaventure syndrome), 마로토 레 메레르 벤사헬 증후군(Maroteaux le merrer bensahel syndrome), 마로토 스타네스쿠 커즌 증후군(Maroteaux stanescu cousin syndrome), 마로토-라미 증후군(Maroteaux-Lamy syndrome), 마로토-말라뮤트 증후군(Maroteaux-Malamut syndrome), 마르스덴 니한 사카티 증후군(Marsden nyhan sakati syndrome), 마샬 증후군(Marshall syndrome), 마샬-스미스 증후군(Marshall-Smith syndrome), 마르티네즈 모나스테리오 핀헤이로 증후군(Martinez monasterio pinheiro syndrome), 마르티네즈-프리아스 신드롬(Martinez-Frias syndrome), 마르트솔프 증후군(Martsolf syndrome), 마사 시저 세울레만스 증후군(Massa casaer ceulemans syndrome), 비만세포 백혈병(Mast cell leukaemia), 비만세포 육종(Mast cell sarcoma), 비만세포증(Mastocytosis), 매스트로이아코보 데 로사 사타 증후군(Mastroiacovo de rosa satta syndrome), 매튜 데 브로카 보니 증후군(Mathieu de broca bony syndrome), 매트소카스 리아리코스 지아니카 증후군(Matsoukas liarikos giannika syndrome), 매튜-우드 증후군(Matthew-Wood syndrome), 성숙 B-세포종(Mature B-cell tumour), 성숙 T-세포종 및 NK-세포종(Mature T-cell and NK-cell tumour), 메이-헤글린 혈소판감소증(May-Hegglin thrombocytopenia), 메이어-로키탄스키-퀴스터-하우저 증후군(Mayer-Rokitansky-Kuster-Hauser syndrome), 마자브라우드 증후군(Mazabraud syndrome), 맥아들 병(McArdle disease), 맥카베 병(McCabe's disease), 맥쿤-알브라이트 증후군(McCune-Albright syndrome), 맥도나우 증후군(McDonough syndrome), 맥도월 증후군(McDowall syndrome), 맥그라스 증후군(McGrath syndrome), 맥쿠식-카우프만 증후군(McKusick-Kaufman syndrome), 맥레오 증후군(McLeod syndrome), 맥퍼슨-할 증후군(McPherson-Hall syndrome), 맥칼리스터 크레인 증후군(Mcalister crane syndrome), 맥칼럼 마카담 존스톤 증후군(Mccallum macadam johnston syndrome), 맥길리브레이 증후군(Mcgillivray syndrome), 맥클레인-데카반 증후군(Mclain-Dekaban syndrome), 맥퍼슨 클레멘스 증후군(Mcpherson clemens syndrome), 메캄 빈 쿨러 증후군(Meacham winn culler syndrome), 메도우 증후군(Meadows' syndrome), 멕켈 유사 증후군(Meckel like syndrome), 멕켈 증후군(Meckel syndrome), 멕켈-그루버 증후군(Meckel-Gruber syndrome), 태변 흡인 증후군(Meconium aspiration syndrome), 메데이라 데니스 도나이 증후군(Medeira dennis donnai syndrome), 종격(흉선) 거대 b-세포 림프종(Mediastinal (thymic) large b-cell lymphoma), 경화증 동반 종격 확산 거대세포 림프종(Mediastinal diffuse large-cell lymphoma with sclerosis), 종격종 섬유증(Mediastinal fibrosis), 메드라노 롤단 증후군(Medrano roldan syndrome), 수질 질환(Medullar disease), 속질 낭종 신장 질환(Medullary cystic kidney disease), 수모세포종(Medulloblastoma), 거대신배증(Megacalycosis), 거대십이지장증 및/또는 거대방광증(Megaduodenum and/or megacystis), 거대적모구성 빈혈(Megaloblastic anaemia), 메가르반-로이슬렛 증후군(Megarbane-Loiselet syndrome), 메헤스 증후군(Mehes syndrome), 메타-루이스-패튼 증후군(Mehta-Lewis-Patton syndrome), 마이어 블룸베르그 이마호른 증후군(Meier blumberg imahorn syndrome), 마이어-골린 증후군(Meier-Gorlin syndrome), 메이그 병(Meige disease), 마이네케 페퍼 증후군(Meinecke pepper syndrome), 마이네케 증후군(Meinecke syndrome), 흑색종(Melanoma), 멜레다 병(Meleda disease), 멜헴 팔 증후군(Melhem fahl syndrome), 유비저(Melioidosis), 멜커슨 로젠탈 증후군(Melkersson rosenthal syndrome), 멜닉-니들스 증후군(Melnick-Needles syndrome), 유선상과골증(Melorheostosis), 막증식성 사구체신염(Membrano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 막성 사구체신염(Membranous glomerulopathy), 메네트리에 병(Menetrier's disease), 멘겔 쾨니히스마크 증후군(Mengel konigsmark syndrome), 메니에르 병(Meniere's disease), 수막종(Meningioma), 수막염(Meningitis), 멘케스 증후군(Menkes syndrome), 정신지체(Mental retardation), 메레토야 증후군(Meretoja syndrome), 메르켈 세포암종(MCC: Merkel cell carcinoma), 멀롭 그루네바움 레이즈너 증후군(Merlob grunebaum reisner syndrome), 메산지움 경화(Mesangial sclerosis), 중배엽 이형성(Mesodermic dysplasia), 중피종(Mesothelioma), 메술램 증후군(Mesulam syndrome), 대사성 중독 질환(Metabolic intoxication disease), 대사성 간 질환(Metabolic liver disease), 골중간 형성이상(Metaphyseal dysplasia), 미첼 증후군(Michels syndrome), 미클레슨 증후군(Mickleson syndrome), 마이크로 증후군(Micro syndrome), 소두증(Microcephaly), 작은 동공증(Microcoria), 소낭포성 침윤성 림프관종(Microcystic infiltrating lymphatic malformation), 소구성 빈혈(Microcytic anaemia), 소안구증(Microphthalmia), 현미경적 대장염(Microscopic colitis), 소이증(Microtia), 미세융모 봉입체 병(Microvillous inclusion disease), 중간 대동맥 형성이상 증후군(Mid-aortic dysplastic syndrome), 미다스 증후군(Midas syndrome), 중간 대동맥 증후군(Middle aortic syndrome), 중심선 심장(Midline heart), 미튼스 증후군(Mietens syndrome), 미에비스 베렐렌 듀모울린 증후군(Mievis verellen dumoulin syndrome), 미카티 나자르 살리 증후군(Mikati najjar sahli syndrome), 미쿨리즈 병(Mikulicz disease), 경 굴지 형성이상(Mild campomelic dysplasia), 밀러 증후군(Miller syndrome), 밀러-디커 증후군(Miller-Dieker syndrome), 밀러-피셔 증후군 (MFS: Miller-Fisher syndrome), 밀스 증후군(Mills syndrome), 밀로이 병(Milroy disease), 미세변화 신증후군(MCNS: Minimal change nephrotic syndrome), 민코브스키-쇼파드 병(Minkowski-Chauffard disease), 미로싸이니-홈즈-월튼 증후군(Mirhosseini-Holmes-Walton syndrome), 승모판 탈출증(Mitral valve prolapse disease), 미우라 증후군(Miura syndrome), 혼합 결합 조직 질환(Mixed connective tissue disease), 혼합 표현형 급성 백혈병(Mixed phenotype acute leukaemia), 혼합 경화 골 이영양증(Mixed sclerosing bone dystrophy), 미요시 근병증(Miyoshi myopathy), Mls 증후군(Mls syndrome), 중등도 및 중증 외상성 뇌손상(Moderate and severe traumatic brain injury), 뫼비우스 증후군(Moebius syndrome), 모에르만 반덴베르게 프린스 증후군(Moerman vandenberghe fryns syndrome), 모에르체-볼트만 증후군(Moersch-Woltman syndrome), 모에슐러 클라렌 증후군(Moeschler clarren syndrome), 모르 증후군(Mohr syndrome), 모르-트라네브야르그 증후군(Mohr-Tranebjaerg syndrome), 몰리카 파보네 안테너 증후군(Mollica pavone antener syndrome), 몰로니 증후군(Moloney syndrome), 모모 증후군(Momo syndrome), 연주모(Monilethrix), 모노넨-카르네스-세낙 증후군(Mononen-Karnes-Senac syndrome), 단골섬유성 형성이상(Monostotic fibrous dysplasia), 몬테피오레 증후군(Montefiore syndrome), 무어-페더만 증후군(Moore-Federman syndrome), 모라바-메헤스 증후군(Morava-Mehes syndrome), 모르가니-스튜어트-모렐 증후군(Morgagni-Stewart-Morel syndrome), 모릴로 쿠치 파싸르게 증후군(Morillo cucci passarge syndrome), 나팔꽃 증후군(Morning glory syndrome), 모르키오 병(Morquio disease), 모리스 증후군(Morris syndrome), 모스 런슬리 사르겐트 증후군(Morse rawnsley sargent syndrome), 모르반 증후군(Morvan syndrome), 모스코비츠 병(Moschcowitz disease), 무니어-쿤 증후군(Mounier-Kuhn syndrome), 마우사-알 딘-알 나싸르 증후군(Mousa-Al Din-Al Nassar syndrome), 운동성 질환(Movement disease), 모왓-윌슨 증후군(Mowat-Wilson syndrome), 모야모야병(Moya-moya disease), 모이나한 증후군(Moynahan syndrome), MPO 결핍(MPO deficiency), Msbd 증후군(Msbd syndrome), 메셀레니 조인트 병(MJD: Mseleni joint disease), 무카-하베르만병(Mucha Habermann Disease), 머클-웰스 증후군(Muckle-Wells syndrome), 점막 상피 이형성(Mucoepithelial dysplasia), 뮤코리피드증(Mucolipidosis), 점액다당류증(Mucopolysaccharidosis), 털곰팡이증(Mucormycosis), 수포성 유전포창(Mucosal pemphigoid), 뮤코설파티도시스(Mucosulfatidosis), 무엔케 증후군(Muenke syndrome), 무어-토레 증후군(Muir-Torre syndrome), 뮬러관 무형성(Mullerian aplasia), 다발성 캐슬만 병(MCD: Multicentric Castleman disease), 다발성 거대 림프절 증식증(Multicentric giant lymph node hyperplasia), 다발성 골용해(Multicentric osteolysis), 다초점성 후천성 탈수초성 감각 및 운동 신경장애(Multifocal acquired demyelinating sensory and motor neuropathy), 다초점성 무늬 이영양증 자극 노란점 안저(Multifocal pattern dystrophy simulating fundus flavimaculatus), 다선성 증식(Multiglandular hyperplasia), 멀티미니코어 병(MmD: Multiminicore disease), 다결절 갑상선종 낭성 신장 다지증(Multinodular goiter cystic kidney polydactyly), 다발성 카르복실라제 결핍증(Multiple carboxylase deficiency), 다발성 구축 증후군(Multiple contracture syndrome), 다발성 피부 및 자궁 평활근종(Multiple cutaneous and uterine leiomyomas), 다발성 내분비선종(Multiple endocrine neoplasia), 다발성 골단 이형성증(Multiple epiphyseal dysplasia), 다발성 섬유모낭종(Multiple fibrofolliculoma), 다발성 과오종 증후군(Multiple hamartoma syndrome), 다발성 각화극세포종(Multiple keratoacanthoma), 다발성 익상편 증후군(Multiple pterygium syndrome),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다발성 설파타아제 결핍증(Multiple sulfatase deficiency), 다계통 위축증(Multiple system atrophy), 다계통 심실중격결손(Multiple ventricular septal defects), 멀비힐-스미스 증후군(Mulvihill-Smith syndrome), MURCS 연합(MURCS association), 머레이-퓨레틱-드레스커 증후군(Murray-Puretic-Drescher syndrome), 근육 채널병증(Muscular channelopathy), 근육퇴행위축(Muscular dystrophy), 근섬유증 다초점성 폐쇄 혈관(Muscular fibrosis multifocal obstructed vessels), 무트키닉 증후군(Mutchinick syndrome), 트립토판 관련 호산구성 근육통(Myalgia eosinophilla associated with tryptophan), 중증 근무력증(Myasthenia gravis), 근무력 증후군(Myasthenic syndromes), 진균종(Mycetoma), 미코플라즈마 뇌염(Mycoplasma encephalitis), 균상 식육종(Mycosis fungoides), 말이집탈락성 광범위 경화증(Myelinoclastic diffuse sclerosis), 광범성 중심 용해증(Myelinosis centralis diffusa), 골수 소뇌 장애(Myelocerebellar disorder), 골수형성이상 또는 골수증식성 질환(Myelodysplastic or myeloproliferative disease), 골수화생 동반 골수섬유증(Myelofibrosis with myeloid metaplasia) , 골수성 육종(Myeloid sarcoma), 골수종(Myeloma), 마이레 증후군(Myhre syndrome), 구더기증(Myiasis), 근간대성 근긴장 이상(Myoclonic dystonia), 근간대성 발작(Myoclonic epilepsy), 골수이형성(Myodysplasia), 근원섬유 근병증(Myofibrillar myopathy), 미오글로빈뇨증(Myoglobinuria), 근병증 및 당뇨병(Myopathy and diabetes mellitus), 근병증(Myopathy), 근시(Myopia), 진행성 골화성 근염(Myositis ossificans progressiva), 미오틸리노퍼시(Myotilinopathy), 선천성 근긴장증(Myotonia congenita), 근육긴장장애(Myotonic disease), 근세관성 근병증(Myotubular myopathy), 점액섬유성육종(Myxofibrosarcoma), 점액성 지방육종(Myxoid liposarcoma), 점액양형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Myxoid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섬유성 이형성 수반 점액종(Myxoma with fibrous dysplasia), 뫼비우스 증후군(Mobius syndrome), N 증후군(N syndrome), NACG, NAGS 결핍증(NAGS deficiency), NAME 증후군(NAME syndrome), NAO 증후군(NAO syndrome), NARP 증후군(NARP syndrome), NASH 증후군(NASH syndrome), NBS, NCL, NCMD, NF 1, NFJ 증후군(NFJ syndrome), NHL, NHPP, NISCH 증후군(NISCH syndrome), NOMID 증후군(NOMID syndrome), NPLCA, NSIP, NTD, 네겔리 증후군(Naegeli syndrome), 네겔리-프란세체티-야다존 증후군(Naegeli-Franceschetti-Jadassohn syndrome), 나거 증후군(Nager syndrome), 나기브 증후군(Naguib syndrome), 손톱 기형(Nail anomaly), 손톱 이형성(Nail dysplasia), 나이토-오야나기 병(Naito-Oyanagi disease), 나카가와 혈관모세포종(Nakagawa's angioblastoma), 나카조 니시무라 증후군(Nakajo nishimura syndrome), 나카조 증후군(Nakajo syndrome), 나카무라 오사메 증후군(Nakamura osame syndrome), 낸스-호란 증후군(Nance-Horan syndrome), 탈력발작 없는 기면증(Narcolepsy without cataplexy), 기면증-탈력발작(Narcolepsy-Cataplexy), 나소디지토어쿠스틱 증후군(Nasodigitoacoustic syndrome), 비인두 암종(Nasopharyngeal cancer), 나수-하콜라 병(Nasu-Hakola disease), 나탈리 증후군(Nathalie syndrome), 나바조 브레인스템 증후군(Navajo brainstem syndrome), 낙소스 병(Naxos disease), 괴사성 뇌하수체염(Necrotising hypophysitis), 괴사성 척수염(Necrotizing myelitis), 네말린 근병변(Nemaline myopathy), 신생아기 발생 다기관 염증질환(Neonatal Onset Multisystem Inflammatory Disease), 신생아 사망 면역 결핍(Neonatal death immune deficiency), 신생아 혈색소증(Neonatal hemochromatosis), 신생아 호중구 감소증(Neonatal neutropenia),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Neonatal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신모세포종(Nephroblastoma), 신원성 섬유피부질환(Nephrogenic fibrosing dermopathy), 신원성전신섬유증(Nephrogenic systemic fibrosis), 신석증(Nephrolithiasis), 신결석증-간 섬유증(Nephronophthisis-hepatic fibrosis), 신장병증(Nephropathy), 신장증( Nephrosis), 미만성 메산지음 경화증 수반 신 증후군(Nephrotic syndrome with diffuse mesangial sclerosis), 신 증후군(Nephrotic syndrome), 신경계 종양(Nervous system tumour), 네테르톤 병(Netherton disease), 노이-락소바 증후군(Neu-Laxova syndrome), 노이하우저 달리 마그넬리 증후군(Neuhauser daly magnelli syndrome), 노이하우저 아이흐너 오피즈 증후군(Neuhauser eichner opitz syndrome), 노이하우저 기형(Neuhauser's anomaly), 신경능선 종양(Neural crest tumour), 신경유극세포증(Neuroacanthocytosis), 신경축삭퇴행위축(Neuroaxonal dystrophy), 신경모세포종(Neuroblastoma), 신경피부멜라닌증(Neurocutaneous melanosis), 3-하이드록시이소부티릴-CoA 하이드롤라제 결핍에 의한 신경변성( Neurodegeneration due to 3-hydroxyisobutyryl-CoA hydrolase deficiency), 뇌의 철 침착을 수반한 신경변성(NBIA: Neurodegeneration with brain iron accumulation), 신경 변성 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 신경외배엽 증후군(Neuroectodermal syndrome), 신경상피종(Neuroepithelioma), 신경섬유종증(Neurofibromatosis), 신경지방종증(Neurolipomatosis), 신경근 접합부 질환(Neuromuscular junction disease), 시신경척수염(Neuromyelitis optica), 신경근육긴장증(Neuromyotonia), 신경장애(Neuropathy), 중성지방축적증(Neutral Lipid Storage Disease), 호중구감소증(Neutropaenia), 네보 증후군(Nevo syndrome), 모반양 과흑색종(Nevoid hypermelanosis), 네젤로프 증후군(Nezelof syndrome), 니콜라이데스 바라이쳐 증후군(Nicolaides baraitser syndrome), 니만-피크 병(Niemann-Pick disease), 니페어겔트 증후군(Nievergelt syndrome), 니카와-쿠로키 증후군(Niikawa-Kuroki syndrome), 니이메겐 브레이키지 증후군(Nijmegen breakage syndrome), 니벨론-니벨론-마빌레 증후군(Nivelon-Nivelon-Mabille syndrome), 노악 증후군(Noack syndrome), 노블 바스 셔만 증후군(Noble bass sherman syndrome), 노카르디아증(Nocardiosis), 결절성 림프구 우세형 호지킨 림프종(Nodular lymphocyte predominant Hodgkin lymphoma), 결절성-관절병-골용해 증후군(Nodulosis-arthropathy-osteolysis syndrome), 수암(Noma), 비-24시간 수면-각성 증후군(Non-24-Hour Sleep-Wake syndrome), 비-DYT1 특발성 염전 이긴장증(Non-DYT1 idiopathic torsion dystonia), 비호지킨 악성 림프종(Non-Hodgkin malignant lymphoma), 비알콜성 지방간염(Non-alcoholic steatohepatitis), 비-아밀로이드성 단일 클론성 면역글로불린 병(Non-amyloid monoclonal immunoglobulin deposition disease), 호산구 증가증 수반 비-거대세포 육아종성 측두동맥염(Non-giant cell granulomatous temporal arteritis with eosinophilia), 후안부에 영향을 주는 비-감염성 포도막염(Non-infectious uveitis affecting the posterior segment of the eye), 노나카 근병증(Nonaka myopathy), 비미분화성 생식세포 종양(Nondysgerminomatous germ cell tumor), 누난 유사 구축 근병증 고열증(Noonan like contracture myopathy hyperpyrexia), 누난 유사 증후군(Noonan like syndrome), 누난 증후군(Noonan syndrome), 노르모모르픽 시알산증(Normomorphic sialidosis), 노리병(Norrie disease), 노럼병(Norum disease), 노바 증후군(Nova syndrome), 노박 증후군(Novak syndrome), 핵세포 엔벨로퍼시(Nuclear cell envelopathy), 오 도넬 파파스 증후군(O donnell pappas syndrome), 오도허티 증후군(O'Doherty syndrome), 오설리번-맥레오드 증후군(O'Sullivan-McLeod syndrome), OA-1, OCA, OCRL1, OFC 증후군(OFC syndrome), OFCD 증후군(OFCD syndrome), OHSS, OLEDAID, ONMR 증후군(ONMR syndrome), OPPG, ORW 2, OSLAM 증후군(OSLAM syndrome), OSMED, OTUDP 증후군(OTUDP syndrome), 폐쇄성 문맥증(Obliterative portal venopathy), 폐쇄성 영아 동맥병증(Occlusive infantile arteriopathy), 직업성 알레르기성 폐포염(Occupational allergic alveolitis), 오코아 증후군(Ochoa syndrome), 갈색증(Ochronosis), 눈 골격 콩팥 증후군(Oculo skeletal renal syndrome), 눈-골-피부 증후군(Oculo-osteo-cutaneous syndrome), 눈 외배엽 증후군(Oculoectodermal syndrome), 눈 위장 근육 이영양증(Oculogastrointestinal muscular dystrophy), 안구 운동 마비(Oculomotor palsy), 동안 신경 마비(Oculomotor paralysis), 원위부근병증(Oculopharyngodistal myopathy), 치과 질환(Odontologic disease), 다발성 치아종(Odontomatosis), 외르터-프리에드만-앤더슨 증후군(Oerter-Friedman-Anderson syndrome), 식도 폐쇄(Oesophageal atresia), 오구치 병(Oguchi disease), 오하하 증후군(Ohaha syndrome), 오도 마도코로 소노다 증후군(Ohdo madokoro sonoda syndrome), 오타하라 증후군(Ohtahara syndrome), 오카모토 증후군(Okamoto syndrome), 오키히로 증후군(Okihiro syndrome), 올리고콘 증후군(Oligocone syndrome), 신원거대감소증(Oligomeganephronia), 올리버 맥팔란 증후군(Oliver mcfarlane syndrome), 올리버 증후군(Oliver syndrome), 올리에르 병(Ollier disease), 올름스테드 증후군(Olmsted syndrome), 오멘 증후군(Omenn syndrome), 오모디스플라시아(Omodysplasia), 오낫 증후군(Onat syndrome), 회선사상충증(Onchocerciasis), 온딘 증후군(Ondine syndrome), 온딘-히르슈슈프룽 병(Ondine-Hirschsprung disease), 손발톱이상증(Onychodystrophy), 우크스 증후군(Oochs syndrome), 안근마비 어린선(Ophtalmic ichthyosis), 안근마비(Ophtalmoplegia), 오피즈 BBB/G 증후군(Opitz BBB/G syndrome), 오피즈 레이놀즈 피츠제랄드 증후군(Opitz reynolds fitzgerald syndrome), 오피즈-칼타비아노 증후군(Opitz-Caltabiano syndrome), 오피즈-프리아즈 증후군(Opitz-Frias syndrome), 오펜하임 근긴장이상(Oppenheim's dystonia), 옵시스모디스플라시아(Opsismodysplasia), 안진전/간대성근경련(Opsoclonus-myoclonus syndrome), 시신경위축(Optic atrophy), 시신경 형성부전(Optic nerve hypoplasia), 시신경장애(Optic neuropathy), 시신경로 교종(Optic pathway glioma), 안와 평활근종(Orbital leiomyoma), 오몬드 병(Ormond's disease), 오르니틴 아미노전환효소 결핍증(Ornithine aminotransferase deficiency), 입-얼굴-손발가락 증후군(Orofaciodigital syndrome), 구강하악 근긴장이상(Oromandibular dystonia), 오로트산뇨증(Oroticaciduria), 오로야 열(Oroya fever), 오세볼드-레몬디니 증후군(Osebold-Remondini syndrome), 오스굿-슐라터병(Osgood-Schlatter disease), 오슬러-바케병(Osler-Vaquez disease), 골관절병증(Osteoarthropathy), 골모세포종(Osteoblastoma), 골연골염(Osteochondritis), 골연골종(Osteochondromas), 골연골증(Osteochondrosis), 골두개협착증(Osteocraniostenosis), 골이형성(Osteodysplasia), 골확장증(Osteoectasia), 골육종(Osteogenic sarcoma), 골용해(Osteolysis), 오스테오메소피크노시스(Osteomesopyknosis), 골괴사(Osteonecrosis), 골감소증(Osteopaenia), 선상골병증-두개경화증(Osteopathia striata-cranial sclerosis), 골화석증(Osteopetrosis), 골반문증(Osteopoikilosis), Osteoporosis(골다공증), Osteosarcoma(골육종), 골경화증(Osteosclerosis), 오스트라빅 린데만 솔베르그 증후군(Ostravik lindemann solberg syndrome), 귀경화증(Otosclerosis), 우브리에 빌슨 증후군(Ouvrier billson syndrome), 난소 세르톨리-레이디히 세포 종양(Ovarian Sertoli-Leydig cell tumor), 난소암(Ovarian cancer), 난소 악성 생식세포종양(Ovarian germ cell malignant tumor), 난소 백색질이영양증(Ovarioleukodystrophy), 옥살산증(Oxalosis), PAF, PAGOD 증후군(PAGOD syndrome), PAN, PANDAS, PAP, PAPA 증후군(PAPA syndrome), PARC 증후군(PARC syndrome), PCA, PCARP, 시신경 위축 수반 PCH(PCH with optic atrophy), PCT, PDALS, PEHO 증후군(PEHO syndrome), PEL, PELVIS 증후군(PELVIS syndrome), PFAPA 증후군(PFAPA syndrome), PFIC, PHACE 증후군(PHACE syndrome), PIBIDS 증후군(PIBIDS syndrome), PJS, PLOSL, PMD, PNDM, POADS, POEMS 증후군(POEMS syndrome), POF, POMC 결핍증(POMC deficiency), PPA, PPHS, PPM-X, PPoma, PSEK, PSP, PTC-RCC, PTLAH, PTLD, 뇌이랑비대증(Pachygyria), 손발톱비대증(Pachyonychia), 팩맨 이형성(Pacman dysplasia), 스트렙토코쿠스 감염 관련 소아성 자가면역 질환(Paediatric Autoimmune Disorders Associated with Streptococcus infections), 스트렙토코쿠스 감염 관련 소아성 자가면역 신경정신 질환(Paediatric Autoimmune Neuropsychiatric Disorders Associated with Streptococcus infections), 소아성 육아종성 관절염(Paediatric granulomatous arthritis), 파제트병(Paget disease), 파곤 스테판 증후군(Pagon stephan syndrome), Pai 증후군(Pai syndrome), 팔리스터 W 증후군(Pallister W syndrome), 팔리스터-할 증후군(Pallister-Hall syndrome), 팔리스터-킬리안 증후군(Pallister-Killian syndrome), 팔머 파곤 증후군(Palmer pagon syndrome), 눈꺼풀 질환(Palpebral disease), 파나이오토포울로스 증후군(Panayiotopoulos syndrome), 췌장암종(Pancreatic carcinoma), 췌장염(pancreatitis), 패너 병(Panner disease), 지방층염(Panniculitis), 범내장하수증 섬유 형성이상(Panostotic fibrous dysplasia), 신장 유두 증후군(Papillo-renal syndrome), 재발성 호흡기계 유두종증(Papillomatosis, recurrent respiratory), 파필론-리그-사우메 증후군(Papillon-Leage-Psaume syndrome), 파필론-레페브레 증후군(Papillon-Lefevre syndrome), 구진 및 경피양 점액 수종성 태선(Papular and sclerodermoid lichen myxedematosus), 구진 무모증(Papular atrichia), 유아 구진 점액증(Papular mucinosis of infancy), 이상근육긴장증(Paramyotonia), 종양수반성 천포창(Paraneoplastic pemphigus), 종양수반성 망막증(Paraneoplastic retinopathy), 하반신마비(Paraplegia), 부갑상선 암종(Parathyroid carcinoma), 실질성 간질환(Parenchymatous liver disease), 파리스-트루소 혈소판 감소증(Paris-Trousseau thrombocytopenia), 팔케스-웨버 증후군(Parkes-Weber syndrome), 파긴슨병(Parkinson disease), 파킨스-ALS-치매 복합증(Parkinsonism-dememtia-ALS complex), 발작성 한냉 혈색소뇨증(Paroxysmal cold haemoglobinuria), 발작성 활동 유도 이상운동증(Paroxysmal exertion-induced dyskinesia), 발작성 심실 세동(Paroxysmal ventricular fibrillation), 패리-롬버그 증후군(Parry-Romberg syndrome), 파르소니지-터너 증후군(Parsonage-Turner syndrome), 부분 심부 2도 화상 및 3도(전층) 화상(Partial deep dermal and full thickness burns), 파팅턴 아밀로이드증(Partington amyloidosis), 파팅턴 병(Partington disease), 파팅턴-앤더슨 증후군(Partington-Anderson syndrome), 파팅턴-물리 증후군(Partington-Mulley syndrome), 파르보바이러스 산전 감염(Parvovirus antenatal infection), 파스쿠엘 카스트로비에호 증후군(Pascuel castroviejo syndrome), 파샤얀 증후군(Pashayan syndrome), 파쓰웰-굿맨-시프르코브스키 증후군(Passwell-Goodman-Siprkowski syndrome), 파타우 증후군(Patau syndrome), 망막 색소 상피 무늬 이영양증(Patterned dystrophy of the retinal pigment epithelium), 패터슨 수도레프레카우니즘 증후군(Patterson pseudoleprechaunism syndrome), 패터슨 스티븐슨 증후군(Patterson Stevenson syndrome), 패터슨 로우리 근형부 이형성증(Patterson-Lowry rhizomelic dysplasia), 소수 관절형 만성 관절염(Pauciarticular chronic arthritis), 파보네 피우마라 리조 증후군(Pavone fiumara rizzo syndrome), 피어슨 증후군(Pearson syndrome), 피부 박리 증후군(Peeling skin syndrome), 펠겟-후어 기형(Pelget-Huer anomaly), 펠리체우스-메르츠바허 뇌 경화증(Pelizaeus-Merzbacher brain sclerosis), 펠라그라(Pellagra), 천포창(Pemphigus), 페나-쇼커 증후군(Pena-Shokeir syndrome), 펜드레드 증후군(Pendred syndrome), 펜타 X 증후군(Penta X syndrome), 오탄당뇨증(Pentosuria), 펩타이드 대사 질환(Peptide metabolism disease), 펩타이드 성장 인자 결핍(Peptidic growth factors deficiency), 페르힌투파 증후군(Perheentupa syndrome), 결절성동맥주위염(Periarteritis nodosa), 심장막 결손 횡경막 탈장(Pericardial defect diaphragmatic hernia), 심막염(Pericarditis), 신경다발막종(Perineurioma), 주산기 심근증(Peripartum cardiomyopathy), 말초 T세포 림프종(Peripheral T-cell lymphoma), 말초 신경 장애 및 시신경 위축(Peripheral neuropathy and optic atrophy), 복강내 평활근종증(Peritoneal leiomyomatosis), 뇌 종양 유도 종양주위 부종(Peritumoral oedema derived from brain tumours), 뇌실주위 결절 이소증(Periventricular nodular heterotopia), 펄만 증후군(Perlman syndrome), 악성빈혈(Pernicious anaemia), 페르니올라 크라예브스카 카르네발레 증후군(Perniola krajewska carnevale syndrome), 페록시좀 베타-산화 질환(Peroxisomal beta-oxidation disease), 페로 증후군(Perrault syndrome), 지속성 뮐러관 증후군(Persistent Mullerian duct syndrome), 피터스 기형(Peters anomaly), 피터스-플러스 증후군(Peters-plus syndrome), 페트게스-클레자트 증후군(Petges-Clejat syndrome), 쁘띠-프린스 증후군(Petit-Fryns syndrome), 페티 락소바 비데만 증후군(Petty laxova Wiedemann syndrome), 포이츠-예거 증후군(Peutz-Jeghers syndrome), 페이로니 증후군(Peyronie syndrome), 파이퍼 마이어 증후군(Pfeiffer mayer syndrome), 파이퍼 팜 텔러 증후군(Pfeiffer palm teller syndrome), 파이퍼 록켈레인 증후군(Pfeiffer rockelein syndrome), 파이퍼 증후군(Pfeiffer syndrome), 파이퍼-카퍼러 증후군(Pfeiffer-Kapferer syndrome), 파이퍼-싱어-찌쉐 증후군(Pfeiffer-Singer-Zschiesche syndrome), 파이퍼-웨버-크리스티안 증후군(Pfeiffer-Weber-Christian syndrome), 모반증(Phacomatosis), 갈색세포종(Phaeochromocytoma), 식세포 기능 이상(Phagocyte function anomaly), 파버 증후군(Phaver syndrome), 펠란-맥더미드 증후군(Phelan-McDermid syndrome), 표현형 설사(Phenotypic diarrhoea), 페닐케톤뇨증(Phenylketonuria), 해표지증(Phocomelia), 식물스테롤혈증(Phytosterolemia), 피카르디-라쉬에르-리틀 증후군(Picardi-Lassueur-Little syndrome), 뇌의 피크병(Pick disease of brain), 부분 백피증(Piebaldism), 피에르 로빈 시퀀스 관련 새궁 기형(Pierre Robin sequence associated with branchial archs anomalies), 피에르 로빈 시퀀스 관련 교원병(Pierre Robin sequence associated with collagen diseases), 비둘기사육사폐병(Pigeon-breeder's lung disease), 필라이 증후군(Pillay syndrome), 모기질종(Pilomatrixoma), 필로토 증후군(Pilotto syndrome), 핀헤이로 프라이레 마이아 미란다 증후군(Pinheiro freire maia miranda syndrome), 핀스키-디 조지-할리 증후군(Pinsky-Di George-Harley syndrome), 피트-홉킨스 증후군(Pitt-Hopkins syndrome), 피트-윌리엄스 단지증(Pitt-Williams brachydactyly), 피트-로저스-단크스 증후군(Pitt-rogers-danks syndrome), 뇌하수체 선종(Pituitary adenoma), 뇌하수체 무발생(Pituitary agenesis), 뇌하수체 호르몬 결핍증(Pituitary hormone deficiency), 뇌하수체 프로락틴분비세포 선종(Pituitary lactotrophic adenoma), 모공성 홍색 비강진(Pityriasis rubra pilaris), 피우싼-레나르츠-마티유 증후군(Piussan-Lenaerts-Mathieu syndrome), 형질세포종양(Plasma cell tumour), 혈소판 기능질환(Platelet function disease), 편평척추 형성이상(Platyspondylic dysplasia), 플렉틴 결핍증(Plectin deficiency), 다형성 지방육종(Pleomorphic liposarcoma), 흉막폐 아세포종(Pleuro-pulmonary blastoma), 흉막폐 자궁내막증(Pleuro-pulmonary endometriosis), 플롯 증후군(Plott syndrome), 플럼 증후군(Plum syndrome), 플럼머-빈슨 증후군(Plummer-Vinson syndrome), 폐아세포종(Pneumoblastoma), 폐포자충증(Pneumocystosis), 녹농균 유발 폐렴(Pneumonia caused by Pseudomonas Aeruginosa), 다형피부근염(Poikilo-dermatomyositis), 폴리트 증후군(Pollitt syndrome), 결절성 다발성 동맥염(Polyarteritis nodosa), 다발성 관절염(Polyarthritis), 다낭성 신질환(Polycystic kidney disease), 다낭성 간질환(Polycystic liver disease), 다낭성 난소질환(Polycystic ovarian disease), 적혈구증가증(Polycythaemia), 다지증(Polydactyly), 다골단 형성이상(Polyepiphyseal dysplasia), 다소뇌화증(Polymicrogyria), 다형 카테콜성 심실성 빈맥(Polymorphic catecholergic ventricular tachycardia), 다발성 근염(Polymyositis), 다골성 섬유성 골이형성증(Polyostotic fibrous dysplasia), 폴립증(Polyposis), 다합지증 - 심장기형(Polysyndactyly - cardiac malformation), 폼페병(Pompe disease), 슬와 웹 증후군(Popliteal web syndrome), 한공각화증(Porokeratosis), 포르피린증(Porphyria), 문맥고혈압(Portal hypertension), 문맥 혈전증(Portal vein thrombosis), 폴리오 후 증후군(Post polio syndrome), 이식술후 이식편 기능장애(Post transplantation graft dysfunction), 회백질척수염후 증후군(Post-poliomyelitic syndrome), 이식후 림프증식성 질환(Post-transplant lymphoproliferative disease), 외상후 척수공동증(Post-traumatic syringomyelia), 두경부 감염에 대한 2차 협심증후 패혈증(Postanginal sepsis secondary to oropharyngeal infection), 후방피질위축증(Posterior cortical atrophy), 산후 심근증(Postpartum cardiomyopathy), 바이러스 감염 후 피로 증후군(Postviral Fatigue Syndrome), 포토키-샤퍼 증후군(Potocki-Shaffer syndrome), 포터 시퀀스(Potter sequence), 파웰 찬드라 사알 증후군(Powell Chandra saal syndrome), 파웰 베넨치 고든 증후군(Powell venencie gordon syndrome), 프라더-윌리 증후군(Prader-Willi syndrome), 프라타 리베랄 곤칼브스 증후군(Prata liberal goncalves syndrome), 이개전 소와 신장 질환(Preauricular pits renal disease), 전구체 B-세포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Precursor B-cell acute lymphoblastic leukaemia), 전구체 T-세포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Precursor T-cell acute lymphoblastic leukaemia), 프레야솜바트-바라비티야 증후군(Preeyasombat-Varavithya syndrome), 임신-관련 담즙정체증(Pregnancy-related cholestasis), 노인성 조숙증(Premature aging), 압력-유발 국소 지방위축증(Pressure-induced localized lipoatrophy), 프리에토-바디아-뮬라스 증후군(Prieto-Badia-Mulas syndrome), 프리에르-그리셀리 증후군(Prieur-Griscelli syndrome),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증(Primary biliary cirrhosis), 원발성 섬모 이상운동증(Primary ciliary dyskinesia), 원발성 피부 CD30-양성 T-세포 림프증식성 질환(Primary cutaneous CD30-positive T-cell lymphoproliferative disorders), 원발성 삼출 림프종(Primary effusion lymphoma),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HIV) 감염에 관련된 원발성 삼출 림프종(Primary effusion lymphoma associated with the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infection), 원발성 장림프관확장증(Primary intestinal lymphangiectasia), 원발성 측삭경화증(Primary lateral sclerosis), 원발성 지방이영양증(Primary lipodystrophy), 원발성 림프부종(Primary lymphoedema), 원발성 폐 림프종(Primary pulmonary lymphoma),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Primary sclerosing cholangitis), 프라임로즈 증후군(Primerose syndrome), 조로증(Progeria), 소아기 진행성 연수마비(Progressive bulbar paralysis of childhood), 진행성 추체 이상증(Progressive cone dystrophy), 진행성 골간 이형성증(Progressive diaphyseal dysplasia), 진행성 대량 골용해증(Progressive massive osteolysis), 고혈압을 동반한 진행성 신장병증(Progressive nephropathy with hypertension), 간질환을 동반한 소아기 진행성 신경퇴행(Progressive neuronal degeneration of childhood with liver disease), 프로락틴선종(Prolactinoma), 프롭핑 제레스 증후군(Propping Zerres syndrome), 전립선암(Prostate cancer), 프로테우스 증후군(Proteus syndrome), 프라우드-레빈-카펜터 증후군(Proud-Levine-Carpenter syndrome), 프룬 배 증후군(Prune belly syndrome), 건선성 관절염(Psoriatic arthritis), PTEN 과오종 증후군(PTEN Hamartoma syndrome), 익상편(Pterygia), 음부 신경통(Pudendal neuralgia), 음부 신경병증(Pudendal neuropathy), 폐동정맥류(Pulmonary arterioveinous aneurysm), 폐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 증식증(Pulmonary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폐포 미석증(Pulmonary alveolar microlithiasis), 폐포 단백증(Pulmonary alveolar proteinosis), 폐대동맥 협착증(Pulmonary aortic stenosis), 폐동맥 고혈압증(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폐동정맥루(Pulmonary arterio-veinous fistula), 폐동맥 저형성증(Pulmonary artery hypoplasia), 폐 폐쇄증(Pulmonary atresia), 폐 모세포종(Pulmonary blastoma), 폐 분지 협착증(Pulmonary branch stenosis), 폐 자궁내막증(Pulmonary endometriosis), 폐 헤모시데린증(Pulmonary haemosiderosis), 폐기능 부족(Pulmonary insufficiency), 폐 림프관확장증(Pulmonary lymphangiectasia), 폐 림프관종증(Pulmonary lymphangiomatosis), 폐 결절성 림프구양 증식증(Pulmonary nodular lymphoid hyperplasia), 폐 판막상부 협착증(Pulmonary supravalvular stenosis), 폐표면활성단백질 이상(Pulmonary surfactant protein anomalies), 폐판막 무발생(Pulmonary valve agenesis (PVA)), 폐정맥 폐쇄성 질환(Pulmonary venoocclusive disease), 수석(Pulp stones), 펄프성 이형성증(Pulpal dysplasia), 퓨레틱 증후군(Puretic syndrome), 퍼틸로 증후군(Purtilo syndrome), 농축이골증(Pycnodysostosis), 결여연골무발생증(Pyknoachondrogenesis), 결여간질(Pyknolepsy), 파일병(Pyle disease), 괴저성 농피증(Pyoderma gangrenosum), 화농성 근염(Pyomyositis), 열변형적혈구증(Pyropoikilocytosis), Q 열(Q fever), 콰지-마르퀴조스 증후군(Qazi-Markouizos syndrome), 쿼트린 맥퍼슨 증후군(Quattrin mcpherson syndrome), RAEB-1, RAPADILINO 증후군(RAPADILINO syndrome), RB-ILD, RECQ2, RECQL3, RHS, 랍슨-멘덴홀 증후군(Rabson-Mendenhall syndrome), 방사선 증후군(Radiation syndromes), 방사성 신 증후군(Radio renal syndrome), 레인 증후군(Raine syndrome), 라잡-스프랭거 증후군(Rajab-Spranger syndrome), 람밤-하샤론 증후군(Rambam-Hasharon syndrome), 램바드-갈리안 증후군(Rambaud galian syndrome), 라몬 증후군(Ramon syndrome), 라모스 아로요 클라크 증후군(Ramos arroyo clark syndrome), 램지 헌트 증후군(Ramsay hunt syndrome), 랜달병(Randall disease), 랩-호지킨 외배엽 이형성 증후군(Rapp-Hodgkin ectodermal dysplasia syndrome), 랩-호지킨 증후군(Rapp-Hodgkin syndrome), 라스무센 존슨 톰슨 증후군(Rasmussen johnsen thomsen syndrome), 라스무센 증후군(Rasmussen syndrome), 라트번병(Rathburn disease), 레이 피터슨 스코트 증후군(Ray peterson scott syndrome), 레이너드 현상(Raynaud phenomenon), 리어든-바라이처 증후군(Reardon-Baraitser syndrome), 리어든-홀-슬래니 증후군(Reardon-Hall-Slaney syndrome), 간 피이식자에 있어서 재발 C형 간염 바이러스 유발 간 질환(Recurrent hepatitis C virus induced liver disease in liver transplant recipients), 적혈구 무형성증(Red cell aplasia), 레페토프 증후군(Refetoff syndrome), 반사성 교감 신경 이영양증 증후군(Reflex sympathetic dystrophy syndrome), 레프섬병(Refsum disease), 레지나토-쉬아파챠세 증후군(Reginato-Schiapachasse syndrome), 라이펜슈타인 증후군(Reifenstein syndrome), 라인하르트 파이퍼 증후군(Reinhardt pfeiffer syndrome), 라이터 증후군(Reiter’s syndrome), 신 무형성증(Renal adysplasia), 신세포암종(Renal cell carcinoma), 신 이형성증(Renal dysplasia), 신 당뇨(Renal glucosuria), 신 고혈압(Renal hypertension), 신 저형성증(Renal hypoplasia), 신 호두까기 증후군(Renal nutcracker syndrome), 신세뇨관성 산증(Renal tubular acidosis), 신세뇨관성 장애(Renal tubular disorder), 신-콜로보마 증후군(Renal-coloboma syndrome), 렌두-오슬러-웨버병(Rendu-Osler-Weber disease), 레니어-가브렐스-재스퍼 증후군(Renier-Gabreels-Jasper syndrome), 렌페닝 증후군(Renpenning syndrome), 활성화된 단백질 C에 대한 저항성(Resistance to activated protein C), 갑상선 자극 호르몬에 대한 저항성(Resistance to thyroid stimulating hormone), 호흡성 세기관지염(Respiratory bronchiolitis), 하지불안증후군(Restless legs syndrome), 제한성 심근증(Restrictive cardiomyopathy), 망상 신경다발막종(Reticular perineurioma), 망막세동맥 만곡증(Retinal arteriolar tortuosity), 망막변성(Retinal degeneration), 망막형성장애증(Retinal dystrophy), 망막출혈(Retinal hemorrhage), 망막모세포종(Retinoblastoma), 망막성간내분비 증후군(Retinohepatoendocrinologic syndrome), 미숙아 망막증(Retinopathy of prematurity), 초기 주맹증이 수반된 망막분리(Retinoschisis with early hemeralopia), 망막분리(Retinoschisis), 안구후퇴증후군(Retraction syndrome), 후복막 섬유증(Retroperitoneal fibrosis), 레트 유사 증후군(Rett like syndrome), 레트 증후군(Rett syndrome), 레베즈-데뷰즈 증후군(Revesz-Debuse syndrome), 레이예 증후군(Reye's syndrome), 레이놀즈 증후군(Reynolds syndrome), Rh 결핍 증후군(Rh deficiency syndrome), 횡문근육종(Rhabdomyosarcoma), 류마티스 열(Rheumatic fever), 리조멜릭형 이형성증(Rhizomelic dysplasia), Rh눌 증후군(Rhnull syndrome), 리차즈-런들 증후군(Richards-Rundle syndrome), 리차드슨 증후군(Richardson's syndrome), 리치에리 코스타-귀온 알메이다-코헨 증후군(Richieri Costa-Guion Almeida-Cohen syndrome), 리치에리 코스타 다 실바 증후군(Richieri costa da silva syndrome), 리치에리 코스타 골린 증후군(Richieri costa gorlin syndrome), 리치에리-코스타-콜레토 증후군(Richieri-Costa-Colletto syndrome), 리치에리코스타-페레이라 증후군(RichieriCosta-Pereira syndrome), 리치너-한하트 증후군(Richner-Hanhart syndrome), 릭커 증후군(Ricker syndrome), 릭케테시에병(Rickettesiae disease), 리델 갑상선염(Riedel Thyroiditis), 리거 증후군(Rieger syndrome), 우심방 가족성 확장증(Right atrium familial dilatation), 우심실 형성부전(Right ventricle hypoplasia), 강직성 척추 증후군(Rigid spine syndrome), 라일리-데이 증후군(Riley-Day syndrome), 라일리-스미스 증후군(Riley-Smith syndrome), 립버거 아세 증후군(Rippberger aase syndrome), 물결모양 근육병(Rippling muscle disease), 릿쳐 쉰젤 증후군(Ritscher schinzel syndrome), 리베라-페레즈-살라스 증후군(Rivera-Perez-Salas syndrome), 로버츠 증후군(Roberts syndrome), 로비노우 증후군(Robinow syndrome), 로비노우-소라우프 증후군(Robinow-Sorauf syndrome), 로비노우-웅거 증후군(Robinow-Unger syndrome), 로비노우-유사 증후군(Robinow-like syndrome), 록-레리 중체강 지방종증(Roch-Leri mesosomatous lipomatosis), 록키산 반점열(Rocky Mountain spotted fever), 로디니 리치에리 코스타 증후군(Rodini richieri costa syndrome), 로저병(Roger disease), 로이프만-멜라메드 증후군(Roifman-Melamed syndrome), 로키탄스키 증후군(Rokitansky syndrome), 로마노-워드 QT 간격 연장 증후군(Romano-Ward long QT syndrome), 롬보 증후군(Rombo syndrome), 롬멘 뮬러 사이베르트 증후군(Rommen mueller sybert syndrome), 로사이-도르프만병(Rosai-Dorfman disease), 로젠버그 로어 증후군(Rosenberg lohr syndrome), 로젠버그 추토리안 증후군(Rosenberg Chutorian syndrome), 로스문트-톰슨 증후군(Rothmund-Thomson syndrome), 로터 증후군(Rotor syndrome), 로이 마로톡스 크렘프 증후군(Roy maroteaux kremp syndrome), 로진-허츠-굿맨 증후군(Rozin-Hertz-Goodman syndrome), 루빈슈타인-테이비 증후군(Rubinstein-Taybi syndrome), 러드-클리멕 증후군(Rudd-Klimek syndrome), 루디거 증후군(Rudiger syndrome), 러셀 실버 증후군(Russell Silver syndrome), 러셀 위버 불 증후군(Russell weaver bull syndrome), 러더퍼드 증후군(Rutherfurd syndrome), 러발카바 증후군(Ruvalcaba syndrome), 러발카바-마이어-스미스 증후군(Ruvalcaba-Myhre-Smith syndrome), SADDAN, SANDO, SAPHO 증후군(SAPHO syndrome), SC 해표상지증(SC phocomelia), SCA, SCAN 2, SCAR1 , SCARF 증후군(SCARF syndrome), SCASI, SCD, SCID, SCLC, SE(M)D, SGBS, SGS, SHORT 증후군(SHORT syndrome), SIADH, SIBIDS 증후군(SIBIDS syndrome), SJS, SLK, SMD, SMEI, SMMCI, SOD, SOLAMEN 증후군(SOLAMEN syndrome), SPG, SPONASTRIME 이상형성증(SPONASTRIME dysplasia), SPS, SRP, SUNCT 증후군(SUNCT syndrome), 살-그린슈타인 증후군(Saal-Greenstein syndrome), 사카로핀뇨증(Saccharopinuria), 색-바라바스 증후군(Sack-Barabas syndrome), 새트레-코첸 증후군(Saethre-Chotzen syndrome), 사이토 쿠바 츠루타 증후군(Saito kuba tsuruta syndrome), 사카티 증후군(Sakati syndrome), 사카티-니한 증후군(Sakati-Nyhan syndrome), 사카티-니한-티스데일 증후군(Sakati-Nyhan-Tisdale syndrome), 살세도 증후군(Salcedo syndrome), 살라병(Salla disease), 살모넬라증(Salmonellosis), 살티 살렘 증후군(Salti salem syndrome), 삼마르티노 데크레치오 증후군(Sammartino decreccio syndrome), 산 루이스 밸리 증후군(San Luis Valley syndrome), 샌드호프병(Sandhoff disease), 샌디퍼 증후군(Sandifer syndrome), 샌드로우 증후군(Sandrow syndrome), 산필리포병(Sanfilippo disease), 산자드-사카티 증후군(Sanjad-Sakati syndrome), 산타부아리병(Santavuori disease), 산토스-마테우스-레알 증후군(Santos-Mateus-Leal syndrome), 사르코시토시스(Sarcocystosis), 사르코이드증(Sarcoidosis), 사르코신혈증(Sarcosinemia), 사르코스포리디오시스(Sarcosporidiosis), 사토요시 증후군(Satoyoshi syndrome), 세이 바버 홉스 증후군(Say barber hobbs syndrome), 세이 바버 밀러 증후군(Say barber miller syndrome), 세이 필드 콜드웰 증후군(Say field coldwell syndrome), 세이 마이어 증후군(Say meyer syndrome), 녹내장 여과 외과처치 중의 흉터형성(Scarring in glaucoma filtration surgical procedures), 샤프 테일러 바라이처 증후군(Schaap taylor baraitser syndrome), 샤이에 증후군(Scheie syndrome), 쇼이어만병(Scheuermann disease), 쉴바크-로트 증후군(Schilbach-Rott syndrome), 쉴더병(Schilder disease), 쉼케 증후군(Schimke syndrome), 쉼멜페닝 증후군(Schimmelpenning syndrome), 쉰들러병(Schindler disease), 쉰젤 증후군(Schinzel syndrome), 분리 회합(Schisis association), 주혈흡충증(Schistosomiasis), 슈미트 증후군(Schmidt syndrome), 슈미트 질렌워터 켈리 증후군(Schmitt gillenwater kelly syndrome), 달팽이 골반 이형성증(Schneckenbecken dysplasia), 슈니츨러 증후군(Schnitzler syndrome), 쇼퍼-베츠-볼 증후군(Schofer-Beetz-Bohl syndrome), 숄테 베거 반 에센 증후군(Scholte begeer van essen syndrome), 쇼프-슐츠-파사르게 증후군(Schopf-Schulz-Passarge syndrome), 신경초종(Schwannomatosis), 슈바르츠-얌펠 증후군(Schwartz-Jampel syndrome), 시미타르 증후군(Scimitar syndrome), 경화위축 증후군(Scleroatrophic syndrome), 경피증(Scleroderma), 경화성 점액부종(Scleromyxedema), 경화성 종격동염(Sclerosing mediastinitis), 경화성 스테오시스(Sclerosteosis), 스콧 증후군(Scott syndrome), 스콧-브라이언트-그레이엄 증후군(Scott-Bryant-Graham syndrome), 스콧-타오르 증후군(Scott-Taor syndrome), 시버 캐시디 증후군(Seaver cassidy syndrome), 세바스챤 증후군(Sebastian syndrome), 섹켈 유사 증후군(Seckel like syndrome), 섹켈 증후군(Seckel syndrome), 세들라코바 증후군(Sedlackova syndrome), 세마노바 레스니 증후군(Seemanova lesny syndrome), 세가와 증후군(Segawa syndrome), 세거스 증후군(Seghers syndrome), 자이텔버거병(Seitelberger disease), 셀릭-베나세라프-그린 증후군(Selig-Benacerraf-Greene syndrome), 셀라스-바이튼 증후군(Sellars-Beighton syndrome), 젠거스 증후군(Sengers syndrome), 젠거스-하멜-오튼 증후군(Sengers-Hamel-Otten syndrome), 시니어 증후군(Senior syndrome), 시니어-보이치스 증후군(Senior-Boichis syndrome), 시니어-로켄 증후군(Senior-Loken syndrome), 젠센브레너 증후군(Sensenbrenner syndrome), 젠터 증후군(Senter syndrome), 패혈증(Sepsis), 내경정맥의 패혈성 정맥염(Septic phlebitis of the internal jugular vein), 세퀘이로스-사크 증후군(Sequeiros sack syndrome), 세르벨-마르토렐 증후군(Servelle-Martorell syndrome), 세틀레이스 증후군(Setleis syndrome), 중증 폐쇄성 외상성 뇌손상(Severe closed traumatic brain injury), 중증 복합 면역결핍 T- B-(Severe combined immunodeficiency T- B-), 과호산구증을 수반한 중증 복합 면역결핍(Severe combined immunodeficiency with hypereosinophilia), 백혈구감소증을 수반한 중증 복합 면역결핍(Severe combined immunodeficiency with leukopenia), 중증 폐렴구균혈증(Severe pneumococcemia), 세자리 림프종(Sezary's lymphoma), 샤피로 증후군(Shapiro syndrome), 샤르마 카푸르 람지 증후군(Sharma kapoor ramji syndrome), 샤프 증후군(Sharp syndrome), 시한 증후군(Sheehan syndrome), 시겔라증(Shigellosis), 쇼케어 증후군(Shokeir syndrome), 숀 증후군(Shone syndrome), QT 기간 단축 증후군(Short QT syndrome), 괴사성 장염으로 인한 짧은창자증후군(Short bowel syndrome due to necrotizing enterocolitis), 혈전증으로 인한 짧은창자증후군(Short bowel syndrome due to thrombosis), 짧은창자증후군(Short bowel syndrome), 슈프린첸 탈장 증후군(Shprintzen omphalocele syndrome), 슈프린첸-골드버그 증후군(Shprintzen-Goldberg syndrome), 슐만 증후군(Shulman syndrome), 슈바흐만-다이아몬드 증후군(Shwachman-diamond syndrome), 샤이-드래거 증후군(Shy-drager syndrome), 시알산증(Sialidosis), 겸상적혈구빈혈(Sickle cell anaemia), 철적모구성 빈혈(Sideroblastic anaemia), 시드란스키-파인슈타인-굿맨 증후군(Sidransky-Feinstein-Goodman syndrome), 지글러 브루어 캐리 증후군(Siegler brewer carey syndrome), 실렌고 레론 펠리쪼 증후군(Silengo lerone pelizzo syndrome), 실렌스 증후군(Sillence syndrome), 시모사 펜차스자데 부스토스 증후군(Simosa penchaszadeh bustos syndrome), 심슨 형태이상 증후군(Simpson dysmorphia syndrome (SDYS)), 심슨-골라비-베멜 증후군(Simpson-Golabi-Behmel syndrome), 신딩-라르센-요한슨병(Sinding-Larsen-Johansson disease), 싱 츄하파왈 드한다 증후군(Singh chhaparwal dhanda syndrome), 싱-윌리엄스-맥칼리스터 증후군(Singh-Williams-McAlister syndrome), 단심실중격결손(Single ventricular septal defect), 싱글턴-메르텐 이형성증(Singleton-Merten dysplasia), 싱글턴-메르텐 증후군(Singleton-Merten syndrome), 굴심방 심차단(Sino-auricular heart block), 동방결절질환 및 근시(Sinus node disease and myopia), 시플 증후군(Sipple syndrome), 인어체기형(Sirenomelia), 시토스테롤혈증(Sitosterolemia), 내장역위-심장병증(Situs inversus viscerum-cardiopathy), 소그렌 증후군(Sjogren syndrome), 소그렌-라르손 증후군(Sjogren-Larsson syndrome), 골격계 이형성증(Skeletal dysplasia), 골격근질환(Skeletal muscle disease), 피부 교원병(Skin collagen disease), 피부 혈관 질환(Skin vascular disease), 수면장애(Sleep disorder), 수면 시크니스(Sleeping seekness), 슬라이병(Sly disease), 소장선암종(Small bowel adenocarcinoma), 소장 평활근육종(Small bowel leiomyosarcoma), 소형 비분리 세포 림프종(Small non-cleaved cell lymphoma), 스미스 마틴 도드 증후군(Smith martin dodd syndrome), 스미스-파인맨-마이어스 증후군(Smith-Fineman-Myers syndrome), 스미스-렘리-오피츠 증후군(Smith-Lemli-Opitz syndrome), 스미스-마게니스 증후군(Smith-Magenis syndrome), 스네돈 증후군(Sneddon syndrome), 스네돈-윌킨슨병(Sneddon-Wilkinson disease), 스나이더-로빈슨 증후군(Snyder-Robinson syndrome), 연부조직 신경주막종(Soft tissue perineurioma), 연부 조직 육종(Soft tissue sarcomas), 소발 소퍼 증후군(Sohval soffer syndrome), 고립성 형질세포종(Solitary plasmacytoma), 솔로몬 증후군(Solomon syndrome), 뇌하수체성장호르몬분비선종(Somatotroph adenoma), 좀머 히네스 증후군(Sommer hines syndrome), 좀머 라트분 배틀스 증후군(Sommer rathbun battles syndrome), 좀머-영-위-프라이에 증후군(Sommer-Young-Wee-Frye syndrome), 존트하이머 증후군(Sondheimer syndrome), 소노다 증후군(Sonoda syndrome), 솔스비 증후군(Sorsby syndrome), 솔스비 안저 이영양증(Sorsby's fundus dystrophy), 소토스 증후군(Sotos syndrome), 연축성 대마비(Spastic paraplegia), 스펠라시 깁스 와츠 증후군(Spellacy gibbs watts syndrome), 구상수정체증-브라키모피아(Spherophakia-brachymorphia), 스핑고리피드증(Sphingolipidosis), 이분척추증(Spina bifida), 척수성 위축증(Spinal atrophy), 나선균증(Spirillosis), 비장변연부 림프종(Splenic marginal zone lymphoma), 척추관절증(Spondylarthropathy), 척추성 굴지 증후군(Spondylo camptodactyly syndrome), 척추갈비뼈발생이상(Spondylocostal dysostosis), 척추뼈내연골형성이상(Spondyloenchondrodysplasia), 척추사지골단형성이상(Spondyloepiphyseal dysplasia), 중추신경계의 스펀지 퇴행(Spongy degeneration of central nervous system), 스펀지 심근(Spongy myocardium), 가족성 자발기흉(Spontaneous pneumothorax familial type), 스포로트리쿰증(Sporotrichosis), 두경부 편평상피암종(Squamous cell carcinoma of head and neck), 세인트루이스 뇌염(St Louis encephalitis), 스토커 치타야트 증후군(Stalker chitayat syndrome), 슈탐페 소렌슨 증후군(Stampe sorensen syndrome), 스타페도-전정 굳음증(Stapedo-vestibular ankylosis), 포도상구균성 괴사성 폐렴(Staphylococcal necrotizing pneumonia), 포도상구균성홍열(Staphylococcal scarlet fever), 포도상구균성 독소성 쇼크 증후군(Staphylococcal toxic shock syndrome), 슈타가르트병(Stargardt disease), 스타크-카에저 증후군(Stark-Kaeser syndrome), 놀람병(Startle disease), 피지낭종(Steatocystoma), 스틸-리차드슨-올스제브스키병(Steele-Richardson-Olszewski disease), 슈타인-레벤탈 증후군(Stein-Leventhal syndrome), 슈타이네르트 근긴장성 이영양증(Steinert myotonic dystrophy), 슈타인펠트 증후군(Steinfeld syndrome), 스턴-루빈스키-듀리 증후군(Stern-Lubinsky-Durrie syndrome), 스티븐스-존슨 증후군(Stevens-Johnson syndrome), 스티클러 증후군(Stickler syndrome), 근강직 증후군(Stiff person syndrome), 스틸병(Still disease), 스티믈러 증후군(Stimmler syndrome), 스토엘링가 데 쿠멘 다비스 증후군(Stoelinga de koomen davis syndrome), 스톨 알렘빅 핀크 증후군(Stoll alembik finck syndrome), 스톨 게라우델 차우빈 증후군(Stoll geraudel chauvin syndrome), 스톨 키에니 도트 증후군(Stoll kieny dott syndrome), 스톨-레비-프랑크포르트 증후군(Stoll-Levy-Francfort syndrome), 위암(Stomach cancer), 스토모르켄-샤스타드-랑스렛 증후군(Stormorken-Sjaastad-Langslet syndrome), 스트라톤 가르시아 영 증후군(Stratton garcia young syndrome), 스트라톤 파커 증후군(Stratton parker syndrome), 연쇄간균증(Streptobacillosis), 연쇄상구균성 독소성-쇼크 증후군(Streptococcal toxic-shock syndrome), 스트레스 심근병증(Stress cardiomyopathie), 스트럼펠-로레인병(Strumpell-Lorrain disease), 스터지-웨버 증후군(Sturge-Weber syndrome), 스튜브-비더만 이형성증(Stuve-Wiedemann dysplasia), 피하 지방층염-유사 T-세포 림프종(Subcutaneous panniculitis-like T-cell lymphoma), 폐동맥판하 협착(Subpulmonary stenosis), 빨기/삼키기 장애(Sucking/swallowing disorder), 영아 돌연사 증후군(Sudden infant death syndrome), 슈거만 증후군(Sugarman syndrome), 수잔스키-레오나드 증후군(Sujansky-Leonard syndrome), 설포시스테인뇨증(Sulfocysteinuria), 섬머스킬-월쉬-티그스트럽 증후군(Summerskill-Walshe-Tygstrup syndrome), 서밋 증후군(Summitt syndrome), 대동맥판상부협착증(Supravalvar aortic stenosis), 수삭 증후군(Susac syndrome), 서튼병 II(Sutton disease II), 스윗 증후군(Sweet syndrome), 스와이어 증후군(Swyer syndrome), 결합지증(Symphalangism), 실신발작성 빈맥(Syncopal paroxysmal tachycardia), 실신 빈맥성 부정맥(Syncopal tachyarythmia), 증후군성 설사(Syndromatic diarrhea), 윤활육종(Synovialosarcoma), 윤활막염(Synovitis), 신스폰딜리즘(Synspondylism), 신텔렌세팔리(Syntelencephaly), 유두상 한선종(Syringocystadenoma papilliferum), 척수공동증(Syringomyelia), 전신성 모세혈관 누출 증후군(Systemic capillary leak syndrome),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Systemic lupus erythematosus), 전신성 비만세포증(Systemic mastocytosis), 전신성 경피증(전신성 경화증)(Systemic scleroderma(systemic sclerosis)), 전신성 혈관염(Systemic vasculitis), T 세포 면역결핍(T cell immunodeficiency), T-세포 백혈병(T-cell leukaemia), T-세포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T-cell chronic lymphocytic leukaemia), TAC, TAR 증후군(TAR syndrome), TCP, TDO 증후군(TDO syndrome), TEMF, TGA, TINU 증후군(TINU syndrome), TNF 수용체 1 관련 주기성 증후군(TNF receptor 1 associated periodic syndrome), TOS, TRAPS 증후군(TRAPS syndrome), TTP, TTR 아밀로이드 심장병증(TTR amyloid cardiopathy), TTR 아밀로이드 신경병증(TTR amyloid neuropathy), 타바츠닉 증후군(Tabatznik syndrome), 타카츠키 증후군(Takatsuki syndrome), 다카야수 동맥염(Takayasu arteritis), 타코추보 심근증(Takotsubo cardiomyopathy), 탕시류 증후군(Tang hsi ryu syndrome), 탄지에르병(Tangier disease), 지발성 안면마비(Tardive dyskinesia), 족근관 증후군(Tarsal Tunnel syndrome), 타루이병(Tarui disease), 타우병증(Tauopathy), 타우시-빙 증후군(Taussig-Bing syndrome), 테이 증후군(Tay syndrome), 테이-삭스병(Tay-Sachs disease), 테이비 증후군(Taybi syndrome), 테이비- 린더 증후군(Taybi-Linder syndrome), 티비 알 살레 하순 증후군(Teebi al saleh hassoon syndrome), 티비 카우라 증후군(Teebi kaurah syndrome), 티비 나지브 알라와디 증후군(Teebi naguib alawadi syndrome), 티비 쉘타우트 증후군(Teebi shaltout syndrome), 모세혈관확장증(Telangiectasia), 안각격리증(Telecanthus), 텔퍼 슈거 재거 증후군(Telfer sugar jaeger syndrome), 템타미-샬라쉬 증후군(Temtamy-Shalash syndrome), 테르 하르 증후군(Ter Haar syndrome), 기형종(Teratoma), 사지절단증(Tetraamelia), 팔로 사징후(Tetralogy of Fallot), 태커 도나이 증후군(Thakker donnai syndrome), 지중해빈혈 증후군(Thalassaemia syndrome), 치사성 이형성증(Thanatophoric dysplasia), 테오도르 증후군(Theodore's syndrome), 티일 증후군(Thiele syndrome), 티만병(Thiemann disease), 티스-리스 증후군(Thies-Reis syndrome), 토마스 제웨트 레인스 증후군(Thomas jewett raines syndrome), 토마스 증후군(Thomas syndrome), 톰프슨 바레이쳐 증후군(Thompson baraitser syndrome), 톰슨 및 베커병(Thomsen and Becker disease), 통 더글라스 페란테 증후군(Thong douglas ferrante syndrome), 흉부 대동맥류(Thoracic aortic aneurysm) 및/ 또는 박리(dissection), 흉곽출구 증후군(Thoracic outlet syndrome), 쓰리 M병(Three M disease), 폐쇄혈전혈관염(Thromboangiitis obliterans), 혈소판 감소증(Thrombocytopaenia),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자가면역(Thrombocytopenic purpura autoimmune),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특발성(Thrombocytopenic purpura idiopathic), 혈소판 증가증(hrombocytosis), 혈전색전성 폐고혈압(Thromboembolic pulmonary hypertension), 혈액 기원(haematologic origin)의 혈전성 질환(Thrombotic disease), 흉선 무형성증(Thymic aplasia), 흉선암종(Thymic carcinoma), 갑상선 종양(thyroid tumor), 진드기 매개 뇌염(Tick-borne encephalitis), 티쩨 증후군(Tietze syndrome), 티모시 증후군(Timothy syndrome), 톨너 호르스트 맨즈케 증후군(Tollner horst manzke syndrome), 톨로사-헌트 증후군(Tolosa-Hunt syndrome), 순대양 신경병증(Tomaculous neuropathy), 톰 부룬 파듀 증후군(Tome brune fardeau syndrome), 토니-디브리-판코니병(Toni-Debre-Fanconi disease), 토노키-오우라-니이카와 증후군(Tonoki-Ohura-Niikawa syndrome), 토치 증후군(TORCH syndrome), 토리엘로 증후군(Toriello syndrome), 토리엘로-카레이 증후군(Toriello-Carey syndrome), 토리엘로-히긴스-밀러 증후군(Toriello-Higgins-Miller syndrome), 토리엘로-라카시-드로스트 증후군(Toriello-Lacassie-Droste syndrome), 토레스 아이버 증후군(Torres ayber syndrome), 뚜렛 증후군(Tourette syndrome), 타운스-브록스 증후군(Townes-Brocks syndrome), 개회충증(Toxocariasis), 톡소플라스마성 배아병증(Toxoplasma embryopathy), 톡소플라스마증(Toxoplasmosis), 기관 골형성증(Tracheopathia osteoplastica), 트란브제르그-스베즈카르드 증후군(Tranebjaerg-Svejgaard syndrome), 전염성 해면상 뇌증(Transmissible spongiform encephalopathies), 폐동맥 협착증(pulmonary stenosis)을 동반하는 대혈관 전위(Transposition of the great arteries), 트란스티레틴 아밀로이드 다발신경병증(Transthyretin amyloid polyneuropathy), 트리처-콜린스 증후군(Treacher-Collins syndrome), 삽관(intubation) 및 기계적 환기(mechanical ventilation)를 요하는 흡인성 폐렴(aspiration pneumotitis), 심인성 쇼크(Cardiogenic shock), 트레프트-샌봄-카레이 증후군(Treft-Sanbom-Carey syndrome), 참호열(Trench fever), 트레버병(Trevor disease), 삼중방심(Triatrial heart), 선모충증(Trichinosis), 모발 손발톱 형성이상(Tricho onychic dysplasia), 모발-치아-골 증후군(Tricho-dento-osseous syndrome), 모발-간-장 증후군(Tricho-hepato-enteric syndrome), 모발 비지절(Trichorhinophalangeal), 결절열모증 증후군(Trichorrhexis nodosa syndrome), 모발 유황 이영양증(Trichothiodystrophy), 삼첨판 폐쇄(Tricuspid atresia), 트리오피아(Triopia), 삼중 A 증후군(Triple A syndrome), 삼중 H 증후군(Triple H (HHH) syndrome), 삼중 X 증후군(Triplo-X syndrome), 삼염색체증(Trisomy), 청색맹(Tritanopia), 활차 형성이상(Trochlear dysplasia), 열대 석회화 만성 췌장염(Tropical calcific chronic pancreatitis), 열대 심근내막 섬유증(Tropical endomyocardial fibrosis), 트루에브 부르그 보타니 증후군(Trueb burg bottani syndrome), 차오-엘링슨 증후군(Tsao-Ellingson syndrome), 쯔카하라-카지이 증후군(Tsukahara-Kajii syndrome), 쯔쿠하라 증후군(Tsukuhara syndrome), 쯔쯔가무시병(Tsutsugamushi disease), 쯔쯔가무시열(Tsutsugamushi fever), 결핵(Tuberculosis), 결절성 경화증(Tuberous sclerosis), 세관형 식도 중복증(Tubular duplication of the oesophagus), 세관 형성이상(Tubular dysplasia), 세관성 신질환-심근증(Tubular renal disease - cardiomyopathy), 세뇨관 간질성 신염(Tubulointerstitial nephritis) 및 포도막염(uveitis) 증후군, 터커 증후군(Tucker syndrome), 투플리-락소바 증후군(Tuffli-Laxova syndrome), 야생토끼병(Tularaemia), 모래벼룩증(Tungiasis), 턴글란드-벨만 증후군(Tungland-Bellman syndrome), 터널 대동막판 하부협착증(Tunnel subaortic stenosis), 터코트 증후군(Turcot syndrome), 터너 증후군(Turner syndrome), 터너-카이저 증후군(Turner-Kieser syndrome), 쌍태아간 수혈 증후군(Twin.twin transfusion syndrome), 피부경결(Tylosis), ULD, UPDM, UPDP, USH, UhI 이상(anomaly), 울브라이트 호드즈 증후군(Ulbright hodes syndrome),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흉터홍반 오프리오제네시스(Ulerythema ophryogenesis), 울리크 증후군(Ulick syndrome), 울리히병(Ullrich disease), 제대 궤양(Umbilical cord ulceration), 공통심실 심근증(Univentricular cardiopathy), 운베리히트-룬드보그병(Unverricht-Lundborg disease), 우핑톤병(Upington disease), 업샤우-슐만 증후군(Upshaw-Schulman syndrome), 우어바흐-위데병(Urbach-Wiethe disease), 우어반-로저스-메이어 증후군(Urban-Rogers-Meyer syndrome), 우어반-쇼서-스폰 증후군(Urban-Schosser-Spohn syndrome), 요독 소양증(Uremic pruritus), 유렛-자발리아 증후군(Urrets-Zavalia syndrome), 아셔 증후군(Usher syndrome), 통상성 간질성 폐렴(UIP: Usual interstitial pneumonia), 포도막염(Uveitis), VIP종(VIPoma), VMCM, VODI 증후군(VODI syndrome), VSD, VWS, 바그너 트리올레 리페르트 증후군(Vagneur triolle ripert syndrome), 반 알렌-마이어 증후군(Van Allen- Myhre syndrome), 반 벤템-드리에센-한벨드 증후군(Van Benthem-Driessen-Hanveld syndrome), 반 보가르트병(Van Bogaert disease), 반 데르 와우데 증후군(Van Der Woude syndrome), 반 비에르빌레 헨드릭스 반 에르트브루겐 증후군(Van biervliet hendrickx van ertbruggen syndrome), 반 데 베르게-데퀘커 증후군(Van de berghe-Dequeker syndrome), 반 덴 보쉬 증후군(Van den Bosch syndrome), 반 덴 엔데 브루너 증후군(Van den ende brunner syndrome), 반 데르 크냅 증후군(Van der Knapp syndrome), 반 고뎀 증후군(Van goethem syndrome), 반 말데르겜 베츠부르거 베를로즈 증후군(Van maldergem wetzburger verloes syndrome), 반 레게모르터 피에르퀸 바모스 증후군(Van regemorter pierquin vamos syndrome), 바라디-파프 증후군(Varadi-Papp syndrome), 혈관성 백질뇌증(Vascular leukoencephalopathy), 혈관염(Vasculitis), 바스쿠에즈-허스트-소토스 증후군(Vasquez-Hurst-Sotos syndrome), 바스테르보텐 이영양증(Vasterbotten dystrophy), 갈렌 정맥류(Vein of Galen aneurysm), 베넨시 포웰 윈클만 증후군(Venencie powell winkelmann syndrome), 심실중격결손(Ventricular septal defect), 대동맥 판막 부족(aortic insufficiency)을 동반하는 심실중격결손, 베를로스-길레롯-프라인스 증후군(Verloes - Gillerot - Fryns syndrome), 베를로스 부르귀논 증후군(Verloes bourguignon syndrome), 베를로스 다비드 증후군(Verloes david syndrome), 베를로스 반 말데르겜 마메프 증후군(Verloes van maldergem mameffe syndrome), 베를로스-데프레즈 증후군(Verloes-Deprez syndrome), 베를루브 반호리크 브루박 증후군(Verloove vanhorick brubakk syndrome), 베르누이병(Verneuil disease), 빌조엔 윈쉽 증후군(Viljoen winship syndrome), 빌조엔-칼리스-보게 증후군(Viljoen-Kallis-Voges syndrome), 빌조엔-스마트 증후군(Viljoen-Smart syndrome), 바이러스성 출혈열(Viral hemorrhagic fever), 바이러스성 간염(Viral hepatitis), 바이러스성 혈관염(Viral vasculitis), 내장 신경병증(Visceral neuropathy), 백반증(Vitiligo), 유리체망막 변성(Vitreoretinal degeneration), 보그트-코야나기-하라다병(Vogt-Koyanagi-Harada disease), 포빙켈 증후군(Vohwinkel syndrome), 폴케-소카르만 증후군(Volcke-Soekarman syndrome), 폰 기르케병(Von Gierke disease), 폰 힙펠-린도우병(Von Hippel-Lindau disease), 폰 레클링하우젠병(Von Recklinghausen disease), 폰 보스-체르스트보이 증후군(Von Voss-Cherstvoy syndrome), 폰 빌레브란트병(Von Willebrand disease), 폰 힙펠 이상(Von hippel anomaly), Vsr 증후군(Vsr syndrome), 부오팔라병(Vuopala disease), W 증후군(W syndrome), WAGR 증후군(WAGR syndrome), WARBM1 , WHIM 증후군(WHIM syndrome), WL 증후군(WL syndrome), WT 사지-혈액 증후군(WT limb-blood syndrome), 왈러-아르스코그 증후군(Waaler-Aarskog syndrome), 바르덴부르그 증후군(Waardenburg syndrome), 바르덴부르그-샤흐 증후군(Waardenburg-Shah syndrome), 바그너병(Wagner disease), 와이즈만 증후군(Waisman syndrome), 왈덴스트룀 마크로글로불린혈증(Waldenstrom macroglobulinemia), 발트만병(Waldmann disease), 워커-다이슨 증후군(Walker-Dyson syndrome), 워커-워버그 증후군(Walker-Warburg syndrome), 월리스 크레민 베이턴 증후군(Wallis cremin beighton syndrome), 월리스 자이프 골드블라트 증후군(Wallis zieff goldblatt syndrome), 바르부르그 마이크로 증후군(Warburg Micro syndrome), 바르부르그 톰슨 증후군(Warburg thomsen syndrome), 바르부르톤-애니안-예보 증후군(Warburton-Anyane-Yeboa syndrome), 워만-멀리켄-헤이워드 증후군(Warman-Mulliken-Hayward syndrome), 워터-웨스트 증후군(Water-West syndrome), 워터하우스-프리드릭슨 증후군(Waterhouse-Friedrickson syndrome), 왓슨 증후군(Watson syndrome), 위버 유사 증후군(Weaver like syndrome), 위버 증후군(Weaver syndrome), 위버-윌리암스 증후군(Weaver- Williams syndrome), 웨버-크리스찬병(WCD: Weber-Christian disease), 웨버-크리스찬 지방층염(Weber-Christian panniculitis), 웹스터 데밍 증후군(Webster deming syndrome), 베게너 육아종(Wegener granulomatosis), 웨일 증후군(Weil syndrome), 웨일-마르체사니 증후군(Weill-Marchesani syndrome), 와이즈만 네터 스툴 증후군(Weismann Netter Stuhl syndrome), 바이센바처-즈베이뮬러 증후군(Weissenbacher-Zweymuller syndrome), 웰레스레이-카르만-프렌치 증후군(Wellesley-Carman-French syndrome), 웰스 증후군(Wells syndrome), 웰스-얀코빅 증후군(Wells-Jankovic syndrome), 베르드니그-호프만병(Werdnig-Hoffmann disease), 베르머 증후군(Wermer syndrome), 베르너 증후군(Werner syndrome), 베르니케 뇌병증(Wernicke's encephalopathy), 베르니케-코르사코프 증후군(Wernicke-Korsakoff syndrome), 웨스트 증후군(West syndrome), 서부 나일강 뇌염(West-Nile encephalitis), 웨스터호프-비머-코르만 증후군(Westerhof-Beemer-Cormane syndrome), 서부 말 뇌척수염(Western equine encephalomyelitis), 웨스트팔병(Westphall disease), 휠란 증후군(Whelan syndrome), 휘플병(Whipple disease), 휘파람 증후군(Whistling face syndrome), 백일해(Whooping cough), 화이트-머피 증후군(Whyte-Murphy syndrome), 비아커-볼프 증후군(Wieacker-Wolff syndrome), 비데만 그로세 디베른 증후군(Wiedemann grosse dibbern syndrome), 비데만 올딕스 오페르만 증후군(Wiedemann oldigs oppermann syndrome), 비데만-베크위드 증후군(Wiedemann-Beckwith syndrome), 비데만-라우텐스트라우흐 증후군(Wiedemann-Rautenstrauch syndrome), 빌데르반크 증후군(Wildervanck syndrome), 윌크스 스티븐슨 증후군(Wilkes Stevenson syndrome), 윌키-테일러-스캠블러 증후군(Wilkie-Taylor-Scambler syndrome), 빌레브란트병(Willebrand disease), 윌리-프라더 증후군(Willi-Prader syndrome), 윌리암스 증후군(Williams syndrome), 윌리암스-뷰렌 증후군(Williams-Beuren syndrome), 윌름즈 종양(Wilms tumor), 윌슨병(Wilson disease), 윌슨-터너 증후군(Wilson-Turner syndrome), 윈체스터병(Winchester disease), 윙클만 베취 파이퍼 증후군(Winkelman bethge pfeiffer syndrome), 윙클만 식세포성 지방층염(Winkelmann's cytophagic panniculitis), 윈쉽 빌조엔 리어리 증후군(Winship viljoen leary syndrome), 윈터 하딩 하이드 증후군(Winter harding hyde syndrome), 윈터-쇼트랜드-템플 증후군(Winter-Shortland-Temple syndrome), 위스코트-알드리치 증후군(Wiskott-Aldrich syndrome), 위슬러-판코니 증후군(Wissler-Fanconi syndrome), 위트코프 증후군(Witkop syndrome), 위트워 증후군(Wittwer syndrome), 월코트-랄리슨 증후군(Wolcott-Rallison syndrome), 울프-히르시호른 증후군(Wolf-Hirschhorn syndrome), 볼프 짐머만 증후군(Wolff zimmermann syndrome), 볼프-파킨슨-화이트 증후군(Wolff-Parkinson-White syndrome), 볼프람 증후군(Wolfram syndrome), 월만 병(Wolman disease), 우드하우스 사카티 증후군(Woodhouse sakati syndrome), 우즈 블랙 노버리 증후군(Woods black norbury syndrome), 우즈 레베샤 로저스 증후군(Woods leversha rogers syndrome), 우즈-크라우치만-허슨 증후군(Woods-Crouchman-Huson syndrome), 워스터 드라우트 증후군(Worster drought syndrome), 워스 증후군(Worth syndrome), 피부주름 증후군(Wrinkly skin syndrome), 와이번-메이슨 증후군(Wyburn-Mason syndrome), XHIGM, XLAG 증후군, XMEA, XP, 잔틱 요석증(Xanthic urolithiasis), 잔틴뇨증(Xanthinuria), 황색육아종성 뇌하수체염(Xanthogranulomatous hypophysitis), 대뇌건 황색종증(Xanthomatosis cerebrotendinous), 제로사이토시스(Xerocytosis), 색소성 건피증(Xeroderma pigmentosum), 황열병(Yellow fever), 황색 손발톱 증후군(Yellow nail syndrome), 예르시니아증(Yersiniosis), 요리후지-오쿠노 증후군(Yorifuji-Okuno syndrome), 요시무라-다케시다 증후군(Yoshimura-takeshita syndrom), 영 메이더스 증후군(Young maders syndrome), 영 증후군(Young syndrome), 영-위그 증후군(Young-Hugues syndrome), 영-심슨 증후군(Young-Simpson syndrome), 유니스-바론 증후군(Yunis-Varon syndrome), ZASP-관련 근섬유 근병증(ZASP-related myofibrillar myopathy), 자딕-바락-레빈 증후군(Zadik-Barak-Levin syndrome), 젤위거 증후군(Zellweger syndrome), 젤위거-유사 증후군(Zellweger-like syndrome), 짐머 단지증(Zimmer phocomelia), 짐머만 라반트 증후군(Zimmerman laband syndrome), 진세르-콜-엥만 증후군(Zinsser-Cole-Engman syndrome), 즐로토고라-오거 증후군(Zlotogora-Ogur syndrome), 즐로토구라-마르티네즈 증후군(Zlotogura-Martinez syndrome), 졸링거-엘리슨 증후군(Zollinger-Ellison syndrome), 조리 스태커 윌리암스 증후군(Zori stalker Williams syndrome), 주니히-케이 증후군(Zunich-Kaye syndrome), 접합균증(Zygomycosis), 2,8 디하이드록시-아데닌 요석증(2,8 dihydroxy-adenine urolithiasis), 2-아미노아디프산성 산뇨증(2-aminoadipic aciduria), 2-하이드록시글루타르산성 산뇨증(2-hydroxyglutaricaciduria), 2-메틸부티르산성 산뇨증(2-methylbutyric aciduria), 3 하이드록시이소부티르산성 산뇨증(3 hydroxyisobutyric aciduria), 3-하이드록시-3-메틸글루타르산성 산뇨증(3-hydroxy-3-methylglutaric aciduria), 3-메틸크로토닌성 글리신뇨증(3-methylcrotonylglycinuria), 3-메틸글루타콘산성 산뇨증(3-methylglutaconic aciduria), 3C 증후군(3C syndrome), 3M 증후군(3M syndrome), 4-하이드록시부티르산성 산뇨증(4-hydroxybutyricaciduria), 내장 리슈마니아증(Visceral leishmaniasis), 춘계 각막결막염(Vernal keratoconjunctivitis), UV-A 및 가시광선-유도성 감광성 장애(UV-A and visible light-induced photosensitivity disorders)(만성 광선 피부염(chronic actinic dermatitis), 피부 포르피린증(cutaneous porphyrias), 광선 양진(actinic prurigo) 및 일광 두드러기(solar urticaria)), 요독 소양증(Uremic pruritus), 삼환계 항우울제 중독(Tricyclic antidepressants poisoning), 외상성 척수 손상(Traumatic spinal cord injury), 신세포암종(Renal cell carcinoma), 표재성 방광암(Superficial bladder cancer), 황색포도상구균 균혈증(Staphylococcus aureus bacteraemia), 척수 손상(Spinal cord injury), 이분척추(Spina bifida), 연부 조직 육종(Soft tissue sarcoma), 소세포 폐암(Small cell lung cancer), 겸상적혈구병(Sickle cell disease), 유아기의 중증 간대성근경련간질(Severe myoclonic epilepsy in infancy), 중증 복합면역결핍증(SCID: Severe combined immunodeficiency), 중증 폐쇄 외상성 뇌손상(Severe closed traumatic brain injury), 미숙아 망막병증(Retinopathy of prematurity), 색소성 망막염(Retinitis pigmentosa), 임신주수 32 주 미만 미숙아의 호흡곤란 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간 이식 수용자(liver transplant recipients)의 재발 C형 간염 유도성 간 질환(Recurrent hepatitis C virus induced liver disease), 방사선 직장염(Radiation proctitis), 낭포성 섬유증에서의 녹농균 폐 감염(Pseudomonas aeruginosa lung infection), 진행성 간대성 근경련 간질(Progressive myoclonic epilepsies), 원발성 악성 골종양(Primary malignant bone tumors), 미숙 신생아(premature newborns)의 원발성 무호흡(Primary apnoea), 이식후 림프세포증식 장애(Post-transplant lymphoproliferative disorders), 후기신생아 뇌내출혈(Post-neonatal intracerebral haemorrhage), 이식후 이식편 기능장애(Post transplantation graft dysfunction), 진성적혈구증가증(Polycythemia vera), 뇌종양으로부터 유래하는 종양주위 부종(Peritumoral oedema), 말초 T세포 림프종(Peripheral T-cell lymphoma)(결절성(nodal), 기타 림프절외(extranodal) 및 백혈병성(leukaemic)/파종성(disseminated)), 임신주수 34 주 미만 미숙아의 동맥관(Ductus arteriosus), 부분적 2도(Partial deep dermal) 및 3도 화상(full thickness burns),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Paroxysmal nocturnal haemoglobinuria), 췌장암(Pancreatic cancer), 통증 HIV-연계성 신경병증(Painful HIV-associated neuropathy), 난소암(Ovarian cancer), 골육종(Osteosarcoma), 순수 자율신경계 부전(pure autonomic failure)을 가진 환자의 기립저혈압(Orthostatic hypotension), 다계통 위축증(multiple system atrophy)을 가진 환자의 기립저혈압, 오르니틴-트란스카바밀라제 결핍증(Ornithine-transcarbamylase deficiency), 방사선 요법(radiation therapy)을 받는 두경부암(head and neck cancer) 환자의 구강 점막염(Oral mucositis), 식도암(Oesophageal cancer), 비-외상성 뼈괴사(Non-traumatic osteonecrosis), 비-케톤성 고글라이신혈증(Non-ketotic hyperglycinaemia), 눈의 후안부(posterior segment)를 침범하는 비-감염성 포도막염(Non-infectious uveitis), 광각(light perception)이 없는 맹인의 비-24-시간 수면-각성 장애(Non-24-hour sleep-wake disorders), 신경모세포종(Neuroblastoma), 신생혈관 녹내장(Neovascular glaucoma), 신염 증후군(Nephritic syndrome), 골수형성이상 증후군(Myelodysplastic syndromes), 중증 근무력증(Myasthenia gravis), 중등도(Moderate) 및 중증(severe) 외상성 뇌손상(traumatic brain injury), 이염성 백질이영양증(Metachromatic leukodystrophy), 갑상선 수질암종(Medullary thyroid carcinoma), 비만세포증(Mastocytosis), 외투세포 림프종(Mantle cell lymphoma), 악성 흑색종(Malignant melanoma), 악성 위장관 간질 종양(Malignant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s), 외분비성 췌장 효소 기능부전(exocrine pancreatic enzyme insufficiency)에 기인하는 흡수장애(Malabsorption), 저혈류성 지속발기증(Low flow priapism), 지단백 리파제 결핍증(Lipoprotein lipase deficiency), 목질 결막염(Ligneous conjunctivitis), 레버 선천성 시신경병증(Leber's hereditary optic neuropathy), 레버 선천흑암시(Leber's congenital amaurosis), 임신주수 32주 이하 미숙아의 후기발병 패혈증(Late onset sepsis), 소아 골수단핵구성 백혈병(Juvenile myelomonocytic leukaemia), 일본 뇌염(Japanese encephalitis) , 창자 이식편대숙주병(Intestinal graft-versus-host disease), 무통성 비호지킨 림프종(Indolent non-Hodgkin's lymphoma), 일차성 담즙산 합성(primary bile acid synthesis)의 선천이상(Inborn errors), 고페닐알라닌혈증(Hyperphenylalaninemia), 고호산구 증후군(Hypereosinophilic syndrome), 신경아교종(Glioma), 바렛 식도(Barrett's oesophagus)의 고도 형성이상(High-grade dysplasia), 단순포진 바이러스 간질 각막염(Herpes simplex virus stromal keratitis), 유전성 인자 XIII 결핍증(Hereditary factor XIII deficiency), 간세포 암종(Hepatocellular carcinoma), 간 이식 후에 이어지는 B형 간염 재감염(reinfection), 간 정맥폐색성 질환(Hepatic veno-occlusive disease), 낭포성 섬유증에서의 그람 음성 박테리아 폐 감염(Gram negative bacterial lung infection), 위암(Gastric cancer), 감마 사르코클리칸병증(Gamma sarcoglycanopathy), 소포 림프종(Follicular lymphoma), 가족성 대장폴립증(Familial adenomatous polyposis), 선천 알파-1 항트립신 결핍증(congenital alpha-1 antitrypsin deficiency)에 속발된 폐기종(Emphysema), 뒤시엔느 근이영양증(Duchenne muscular dystrophy), 미만성 거대 B 세포 림프종(Diffuse large B cell lymphoma), 미만성 폐포출혈(Diffuse alveolar haemorrhage), 창자 미포자충 감염(intestinal microsporidial infection)에 연계된 설사(Diarrhoea), 피부 T 세포 림프종(Cutaneous T-cell lymphoma), 홍반성 루푸스(lupus erythematosus)의 피부 형태(Cutaneous forms), 이소성 ACTH 분비(ectopic ACTH secretion)에 속발된 쿠싱 증후군(Cushing's syndrome), 각막이식편 거부(Corneal graft rejection), 선천 정맥 기형(Congenital venous malformations), 선천 림프관 기형(Congenital lymphatic malformations), 선천 알파-1 항트립신 결핍증, 선천 부신 과형성(Congenital adrenal hyperplasia), 만성 통증(chronic pain), 코카인 중독(Cocaine poisoning), 만성 골수성 백혈병(Chronic myeloid leukaemia),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Chronic lymphocytic leukaemia), 킬레이트 요법(chelation therapy)을 요하는 만성 철 과부하(Chronic iron overload), 만성 특발성 골수섬유증(Chronic idiopathic myelofibrosis), 만성 호산구성 백혈병(Chronic eosinophilic leukaemia) 및 과호산구 증후군(hypereosinophilic syndrome), 담관암종(Cholangiocarcinoma), 샤르코-마리-투스병 유형 1A(Charcot-Marie-Tooth disease type 1A), 심인성 쇼크(Cardiogenic shock), 임신주수 30 주 미만 미숙아의 기관지폐 형성이상(Bronchopulmonary dysplasia), B-세포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B-cell chronic lymphocytic leukemia), 자가면역 포도막염(Autoimmune uveitis), 보체계(complement system)의 선천 이상에 연계된 비정형 용혈성-요독성 증후군(aHUS: Atypical Haemolytic Uraemic Syndrome), 삽관 및 기계적 환기를 요하는 흡인성 폐렴(aspiration pneumonitis), 동맥류 지주막하 출혈(Aneurysmal subarachnoid haemorrhage), 역형성 갑상선암(Anaplastic thyroid cancer), 치루(Anal fistula), 급성 감각신경성 난청(acute sensorineural hearing loss) (급성 음향성 외상(acute acoustic trauma), 돌발성 난청(sudden deafness) 및 수술 유도성 음향성 외상(surgery induced acoustic trauma)), 급성 말초혈관 폐색증(acute peripheral arterial occlusion), 급성 간헐성 포르피린증(acute intermittent porphyria), 페이로니병(Peyronie's disease)의 활성기(Active phase), 가시아메바 각막염(Acanthamoeba keratitis), A-만노스 축적증(A-mannosidosis), 5q 척수성 근위축(5q spinal muscular atrophy), 대정맥폐동맥 연결(Cavopulmonary Anastomosis), 심방중격결손(ASD: Atrial Septal Defects), 부분적 폐정맥환류이상(Partial Anomalous Pulmonary Venous Return), 존속 공동 심방심실관 심장내막융기결손(Persistent Common Atrio Ventricular Canal Endocardial Cushion Defect). 일차공개존증(Ostium Primum), 단심방(Single Atrium), 동맥관개존증(PDA: Patent Ductus Arteriosus), 총폐정맥환류이상(Total Anomalous Pulmonary Venous Return), 심실중격결손(VSD: Ventricular Septal Defect), 폐동막판 협착증(Pulmonary Valve Stenosis), 폐동맥 협착(Pulmonary Artery Stenosis) 및 폐동맥 가지의 협착(Stenosis of Pulmonary Artery Branches), 온전한 심실중격을 가진 폐동맥판폐쇄증(Pulmonary Atresia with Intact Ventricular Septum), 선천 승모판 질환(Congenital Mitral Valve Disease), 대동맥판막 협착증(Aortic Valvular Stenosis) 및 선천 대동맥판막 역류(Congenital Aortic Valvular Regurgitation), 판상부대동맥협착증(Supravalvular Aortic Stenosis), 대혈관 전위(Transposition of the Great Arteries), 양대혈관 우심실 기시증(Double Outlet Right Ventricle), 수정 대혈관 전위(Corrected Transposition of the Great Arteries), 동맥간(Truncus Arteriosus), 대동맥폐동맥창(Aorto Pulmonary Window), 삼천판 폐쇄(Tricuspid Atresia), 에브스타인 기형(Ebstein Anomaly), 대정맥의 기형(Malformations of the Vena Cava), 대동맥의 축착(Coarctation of the Aorta), 대동맥판막의 폐쇄(Atresia of Aortic Valve), 대동맥궁의 이상(Anomalies of the Aortic Arch), 대동맥 축착을 동반하는 우측쇄골하동맥(Right Subclavian Artery)의 비정상 기원(Anomalous Origin), 특발성 폐동맥 확장증(Idiopathic Dilatation of the Pulmonary Artery), 우측 폐동맥으로부터 발생하는 좌측 폐동맥(Left Pulmonary Artery Arising from Right Pulmonary Artery), 우심증(Dextrocardia) - 전내장역위증(Situs Inversus Totalis), 무비증(Asplenia)과 심장 기형(Heart Malformations)의 연계, 대정맥의 기형, 선천 관상동맥 동정맥루(Congenital Coronary Artery Arteriovenous Fistula), 관상동맥의 비정상 기원( Abnormal Origin of the Coronary Arteries), 발살바동(Sinus of Valsalva)의 동맥류(Aneurysm)(대동맥동 동맥류(Aortic Sinus Aneurysm)), 심장내막 탄력섬유증(Endocardial Fibroelastosis), 특발성 비후성 대동맥하 협착(IHSS: Idiopathic Hypertrophic Subaortic Stenosis), 승모판 탈출증(Mitral Valve Prolapse) - 발로우 증후군(Barlow's Syndrome), 좌심 발육부전(Hypoplastic Left Heart).
약제학적 조성물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암, 자가면역질환, 섬유성 질환, 염증성 질환, 신경 변성 질환, 감염성 질환, 폐질환, 심장 혈관 질환 또는 대사성 질환 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및/또는 희석제와 함께, 활성 성분으로서의 제 1 항의 펩티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약제학적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글리덴트 (glident), 희석제, 윤활제, 착색제, 감미제, 향미제, 방부제 등과 함께, 활성 성분으로서의 펩티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공지된 방법으로 적절한 용량 레벨로 통상적인 고체 또는 액체 담체 또는 희석제 및 통상적인 약제학적으로 제조된 애주번트 중에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펩티드는 정맥내 투여에 적합하거나, 경구 투여에 적합하거나, 흡입 투여에 적합하다.
투여 형태로는 예를 들면, 환약, 정제, 필름 정제, 코팅 정제, 캡슐, 리포좀 제제, 마이크로 및 나노 제제, 분말 및 침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또한 피부, 피내, 위내, 피부내 (intracutan), 혈관내, 정맥내, 근육내, 복강내, 비강내, 질내, 구강내, 경피적 (percutan), 직장, 피하, 설하, 국소, 또는 경피 투여를 포함한 비경구 투여용 약제학적 제제를 포함하며, 제제는 전형적인 비히클 및/또는 희석제 이외에도, 본 발명의 펩티드를 함유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약제학적 제제 및/또는 영양 보조 식품으로서 신생아 (newborn), 유아 (toddler), 및 소아 (infant)에게 펩티드를 경구 투여하기 위한 제제로서 포유동물 밀크, 인공 포유동물 밀크, 및 포유동물 밀크 대용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펩티드는 또한 이의 약제학적으로 활성인 염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적절한 약제학적으로 활성인 염은 산부가염 및 알칼리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나트륨, 칼륨, 리튬, 마그네슘 또는 칼슘 염이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티드는 유기산 및 무기산과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생성한다. 이러한 산부가염 생성에 적합한 산의 예로는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인산, 아세트산, 시트르산, 옥살산, 말론산, 살리실산, p-아미노살리실산, 말산, 푸마르산, 숙신산, 아스코르브산, 말레산, 술폰산, 포스폰산, 과염소산, 질산, 포름산, 프로피온산, 글루콘산, 락트산, 타르타르산, 하이드록시말레산, 피루브산, 페닐아세트산, 벤조산, p-아미노벤조산, p-하이드록시벤조산, 메탄술폰산, 에탄술폰산, 아질산, 하이드록시에탄술폰산, 에틸렌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나프틸술폰산, 술파닐산, 캠퍼술폰산, 차이나 애시드 (china acid), 만델산, o-메틸만델산, 하이드로젠-벤젠술폰산, 피크르산, 아디프산, D-o-톨릴타르타르산, 타르트론산, α-톨루산, (o, m, p)-톨루산, 나프틸아민 술폰산, 및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가에게 공지된 다른 광물산 또는 카복실산이 있다. 염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염을 생성하도록 유리 염기 형태를 충분한 양의 원하는 산과 접촉시킴으로써 제조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원하는 투여 형태에 대하여, 즉, 정제, 캡슐 (고체, 반고체 또는 액체 충전), 구성용 분말, 통상적인 약무와 일치하는 에어로졸 제제 형태의 경구 투여를 위해 선택된 적절한 담체 물질과 함께 투여될 것이다. 다른 적절한 제제로는 겔, 엘릭시르, 분산성 과립, 시럽, 현탁액, 크림, 로션, 용액, 유제, 현탁액, 분산액 등이 있다. 적절한 서방성 제형으로는 활성 성분이 함침되고, 이러한 함침되거나 캡슐화된 다공성 폴리머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정제형 또는 캡슐로 성형된 방출 제어 폴리머 매트릭스 또는 붕괴 속도를 변화시키는 층을 갖는 정제를 들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펩티드 5 내지 95 중량%로 구성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및/또는 희석제로서, 락토스, 전분, 수크로스, 셀룰로스,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제2인산칼슘, 황산칼슘, 탤크, 만니톨, 에틸 알콜 (액체 충전 캡슐)이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결합제로는 전분, 젤라틴, 천연당, 콘 스위트너, 천연 및 합성 검, 예컨대 아카시아, 알긴산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스,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왁스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제형에 사용되는 윤활제 중에서, 붕산, 벤조산나트륨, 아세트산나트륨, 염화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붕괴제로는 전분, 메틸셀룰로스, 구아검 등을 들 수 있다. 감미제, 향미제 및 방부제도 필요에 따라,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용어의 일부, 즉, 붕괴제, 희석제, 윤활제, 결합제 등은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논의된다.
게다가, 본 발명의 조성물은 치료 효과를 최적화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성분 또는 활성 성분의 속도 제어된 방출을 행하도록 서방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적절한 서방성 제형으로는 활성 성분이 함침되고, 이러한 함침되거나 캡슐화된 다공성 폴리머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정제형 또는 캡슐로 성형된 방출 제어 폴리머 매트릭스 또는 붕괴 속도를 변화시키는 층을 포함하는 층상 정제를 들 수 있다.
흡입용으로 적합한 에어로졸 제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예컨대 불활성 압축 가스, 예를 들면 질소와 병용할 수 있는 용액 및 분말 형태의 고체를 포함할 수 있다.
좌제를 제조하기 위해, 처음에 저 융점 왁스, 예컨대 지방산 글리세라이드의 혼합물, 예컨대 코코아 버터를 용융시키고, 활성 성분을 교반 또는 유사 혼합에 의해 그 중에 균질하게 분산시킨다. 그 다음에, 용융된 균일 혼합물을 편리한 사이즈의 몰드에 부어, 냉각함으로써 고화시킨다.
사용 직전에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용 액상 제제로 전환되도록 의도된 고형 제제도 포함된다. 이러한 액상으로는 용액, 현탁액 및 유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티드는 또한 경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경피 조성물은 크림, 로션, 에어로졸 및/또는 유제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적인 바와 같이, 매트릭스 또는 저장기 타입의 경피 패치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티드의 경피 제제는 순환 혈액으로의 상기 펩티드의 생체이용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펩티드 투여에 있어서의 한가지 문제점은 수성 환경에서의 불용성 물질의 생성, 또는 분해로 인한 생물 활성의 손실이다. 따라서,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할 시에, 이들의 유동성 및 이들의 생물학적 활성을 유지하기 위해 펩티드의 안정화가 달성되어야 한다. 의약용 활성제를 제공하는 이전의 노력은 약제를 폴리머 매트릭스에 혼입함으로써, 활성 성분을 체순환으로 방출시킨다는 것이다. 활성제의 공지된 서방성 전달 수단은 예를 들면, 약제학적으로 활성인 화학물질을 점막으로 전달하기 위한 폴리머 약제학적 비히클에 관하여, US4235988, US4188373, US4100271, US4474751, US4474752, US4474753, 또는 US4478822에 개시되어 있다. 약제학적 담체는 특정한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응축물의 수용액이다. 이러한 폴리머 약제학적 비히클은 점막에 의한 약물 흡수 및 지속성 약물 작용을 2배 이상 증가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대체물은 약물, 예컨대 인슐린의 안정화를 위해 사용되는 폴리옥시프로필렌과 폴리옥시에틸렌의 블록 코폴리머이다.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코폴리머 (폴록사머) 수용액은 펩티드의 안정화제로서 유용하다. 펩티드의 안정화제로서 작용하는 것 이외에도, 폴록사머는 펩티드의 전달을 위한 우수한 비히클을 제공하고, 생리적으로 허용가능하다. 상표명 "플루로닉스 (Pluronics; 예를 들면, 플루로닉 (Pluronic) F127, 플루로닉 P85, 플루로닉 F68)"로도 공지된 폴록사머는 공업 용도에서 이들을 유용하게 하는 계면활성제 특성을 갖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이들은 소수성 유성 물질의 수용성을 증가시키거나, 아니면 소수성이 상이한 2개의 물질의 혼화성을 증가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들 폴리머는 통상 공업 용도, 화장품 및 의약품에 사용된다. 이들은 또한 약물 전달 용도를 위한 모델 시스템으로서 사용되어 왔다. 생물학적으로 유도되는, 플록사머를 기제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인시츄 (In situ) 겔화는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US5256396), 이 공보에는 규정 농도의 폴록사머 407 및 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용어 "캡슐"은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보유하거나 함유하기 위한 메틸 셀룰로스, 폴리비닐알콜, 또는 변성 젤라틴 또는 전분으로 된 특수 용기 또는 인클로저 (enclosure)를 말한다. 하드셸 캡슐은 통상적으로 비교적 높은 겔 강도를 갖는 골 (bone) 젤라틴과 돈피 젤라틴의 블렌드로 제조된다. 캡슐 자체는 소량의 염료, 불투명화제 (opaquing agent), 가소제 및 방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정제는 적절한 희석제와 함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압축되거나 성형된 고형 제형을 의미한다. 정제는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가에게 공지된 습식 조립, 건식 조립 또는 압밀에 의해 얻어진 혼합물 또는 과립의 압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경구용 겔은 친수성 반고체 매트릭스에 분산되거나 가용화된 활성 성분을 말한다.
구성용 분말은 물 또는 쥬스에 현탁될 수 있는 활성 성분 및 적절한 희석제를 함유하는 분말 블렌드를 말한다. 이러한 신생아, 유아 및/또는 소아용 경구 투여 형태의 일례로는 임의로 부분적으로 락토스로 치환되는 분유 및 유장 분말로 제조된 모유 대용품이 있다.
모유는 영양소 및 비영양학적 생물 활성 성분이 풍부한 복합 유체이다. 신생아가 필요로 하는 모든 영양소를 함유한다. 이들은 대사 성분 (지방, 단백질 및 탄수화물), 물, 및 조직 성장 및 발달을 위한 원료, 예컨대 지방산, 아미노산, 미네랄, 비타민, 및 미량 원소를 포함한다.
지방의 98% 이상이 트리글리세라이드의 형태로 존재한다. 올레산 및 팔미트산은 모유 트리글리세라이드에서 가장 풍부한 지방산이며, 비교적 고 비율의 필수 지방산 및 리놀렌산, 그 다음에 장쇄 다가 불포화 지방산, 예컨대 아라키돈산 및 도코사헥사엔산이 풍부하다. 이들 장쇄 지방산은 뇌 및 신경 조직의 성분이며, 정신 및 시각 발달을 위해 약년기에 필요하다. 모유의 지질 성분은 지용성 미량영양소, 예컨대 프로스타글란딘, 및 비타민 A, D, E 및 K의 수송 비히클이다.
단백질은 모유 중의 질소 함유 화합물의 약 75%를 차지한다. 비단백질 질소 물질은 요소, 뉴클레오티드, 펩티드, 유리 아미노산, 및 DNA를 포함한다. 모유의 단백질은 2개의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다: 약 40:60의 비율로 존재하는 미셀라 카제인 및 수성 유장 단백질. 카제인은 비교적 작은 용적의 미셀을 형성하며, 소아의 위에 유모성 응유 (flocculent curd)를 생성한다. 주요 유장 단백질은 소량으로 존재하는 다수의 다른 단백질 및 펩티드와 함께, 락트알부민, 락토페린, 분비형 IgA, 및 혈청 알부민을 들 수 있다.
주요 탄수화물은 락트알부민을 포함하는 반응에 의해 글루코스로부터 유방 상피세포에 생성되는 이당류인 락토스이다. 영양 성분 이외에도, 모유는 유익한 비영양학적 기능을 갖는 풍부한 생물 활성 성분을 갖는다. 이들은 광범위한 특이적 및 비특이적 항미생물 인자를 포함한다; 사이토카인 및 항염증성 물질; 및 호르몬, 성장 조절 인자, 및 소화 효소 (표 1), 이들 중 다수는 다중 활성 (multiple activity)을 갖는다. 이들 성분은 약년기에 있어서의 숙주 방어 및 소화기 계통의 미숙 때문에 영유아에 특히 중요할 수 있다.
모유의 비영양학적 성분의 예
항미생물 인자 성장 인자
분비형 IgA, IgM, IgG
락토페린
리소자임
보체 C3
백혈구
비피더스 인자
지질 및 지방산
항바이러스성 무친, GAGs
올리고당
상피세포 성장 인자 (EGF)
신경 성장 인자 (NGF)
인슐린양 성장 인자 (IGF)
형질전환 성장 인자 (TGF)
타우린
폴리아민
사이토카인 및 항염증 인자 소화효소
종양괴사인자
인터루킨
인터페론
프로스타글란딘
항키모트립신
항트립신
혈소판 활성화 인자
아밀라아제
담즙산 자극 에스테라아제
담즙산 자극 리파아제
리포단백질 리파아제
호르몬 수송체
수유 피드백 저해인자 (FIL)
인슐린
프로락틴
갑상선 호르몬
코르티코스테로이드
ACTH
옥시토신
칼시토닌
부갑상선 호르몬
에리트로포이에틴
락토페린 (Fe)
폴산 결합제
코발라민 결합제
IgF 결합제
티록신 결합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결합제
모유 이외에도, 유아용 조제분유는 의학계에 의해 1세 미만 유아에게 영양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것으로 고려되는 유일한 다른 유아용 밀크이다. 우유는 유아의 미숙한 신장에 해를 가할 수 있는 고 함량의 단백질 및 전해질 (염)으로 인해 추천되지 않는다. 유아용 조제분유의 영양분은 단백질, 지방, 리놀레산, 비타민: A, C, D, E, K, 티아민 (B1), 리보플라빈 (B2), B6, B12, 니아신, 폴산, 판토텐산, 칼슘, 금속: 마그네슘, 철, 아연, 망간, 구리; 인, 요오드, 염화나트륨, 염화칼륨을 포함해야 한다. 또한, 우유를 사용하지 않는 조제분유는 비오틴, 콜린, 및 이노시톨을 포함해야 한다. 저알레르기성 조제분유는 특정한 건강 문제를 갖는 유아에 있어서의 특정한 의학적 합병증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유아용 분유는 원료 아미노산으로 합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분유의 종류는 종종 기본적인 유아용 조제분유 또는 이의 특수성 때문에 의료 식품으로 명명된다. 물 또는 쥬스에 현탁될 수 있는 활성 성분 및 적절한 희석제를 함유하는 분말 블렌드는 분무 건조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분무 건조는 밀크의 유용한 특성을 유지하면서, 밀크 농축물을 분말로 전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물의 최후 부분을 제거하기 위한 가장 적절한 방법인 것으로 밝혀졌다. 모든 분무 건조기의 원리는 농축물을 다량의 소액적으로 변환시킨 다음에, 고속 열기류에 노출시키는 것이다. 액적의 매우 큰 표면적으로 인해, 물은 거의 동시에 증발하여, 액적이 분말 입자로 변환된다. 분유는 건조된 밀크 고형분으로 제조된 분말이다. 분유는 액체 밀크보다 유효 기간이 훨씬 더 길며, 저 수분 함량으로 인해 냉장시킬 필요가 없다. 인스턴트 분유는 건조된 분유 입자를 부분적으로 재수화시킴으로써 제조되며, 재수화는 이들을 점착시키고 응집시킨다. 그 다음에, 물은 건조에 의해 제거되며, 분말 입자 사이에 혼입된 공기량이 증가된다. 분유 제조는 대규모로 행해지는 프로세스이다. 색상, 풍미, 용해도, 영양가와 같은 모든 바람직한 자연 특성을 보유하면서, 물을 적당히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분유 프로세스는 분무 건조, 유동층 처리, 추출, 증발 및 동결 건조를 포함한다. 다른 프로세스로는 동결 농축, 여과, 및 균질화가 있다. 본 발명의 인공 모유 제제 또는 모유 대용품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펩티드를 특히 분말 형태의 시판용 모유 제제를 포함하는 모유 제제에 첨가함으로써 제조된다. 펩티드는 바람직하게는 100 ml (시판용) 모유 제제당 3 내지 100 ㎍ 펩티드의 양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0 ㎍ /100 ml 모유 제제의 양으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100 ml 모유 제제의 양으로 첨가된다.
적절한 희석제는 통상 조성물 또는 제형의 대부분을 구성하는 물질이다. 적절한 희석제는 당, 예컨대 락토스, 수크로스, 만니톨 및 소르비톨, 밀, 옥수수, 쌀 및 감자로부터 유도된 전분, 및 셀룰로스, 예컨대 미결정성 셀룰로스를 포함한다. 조성물 중의 희석제의 양은 전체 조성물의 약 5 내지 약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약 7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약 6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50 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용어 "붕괴제"는 분해 (붕괴)를 촉진하여, 약제를 방출하도록 조성물에 첨가되는 물질을 말한다. 적절한 붕괴제로는 전분, "냉수 가용성" 변성 전분, 예컨대 카복시메틸스타치나트륨, 천연 및 합성 검, 예컨대 로커스트빈, 카라야, 구아, 트래거캔스 및 한천, 셀룰로스 유도체, 예컨대 메틸셀룰로스 및 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 미결정성 셀룰로스 및 가교 미결정성 셀룰로스, 예컨대 크로스카르멜로스나트륨, 알긴산염, 예컨대 알긴산 및 알긴산나트륨, 점토, 예컨대 벤토나이트, 및 비등성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조성물 중의 붕괴제의 양은 조성물의 약 1 내지 약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2 내지 약 3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약 3 내지 2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약 5 내지 약 10 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결합제는 분말을 함께 결합시키거나 "접착"시켜, 과립을 형성시킴으로써 응집시켜, 제제 중에 "접착제"로서 작용하는 물질을 특징으로 한다. 결합제는 희석제 또는 증량제에 이미 사용가능한 응집력을 가한다. 적절한 결합제로는 당, 예컨대 수크로스, 밀, 옥수수, 쌀 및 감자로부터 유도된 전분; 천연 검, 예컨대 아카시아, 젤라틴 및 트래거캔스; 해초 유도체, 예컨대 알긴산, 알긴산나트륨 및 알긴산칼슘암모늄; 셀룰로스계 재료, 예컨대 메틸셀룰로스 및 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무기물, 예컨대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을 들 수 있다. 조성물 중의 결합제의 양은 조성물의 약 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약 2 내지 약 2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약 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약 6 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윤활제는 정제, 과립 등이 압축된 후에, 마찰 또는 마모를 감소시킴으로써 몰드 또는 다이로부터 방출될 수 있도록 제형에 가해지는 물질을 말한다. 적절한 윤활제로는 스테아르산 금속염, 예컨대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스테아르산칼슘 또는 스테아르산칼륨; 스테아르산; 고 융점 왁스; 및 수용성 윤활제, 예컨대 염화나트륨, 벤조산나트륨, 아세트산나트륨, 올레산나트륨,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d'l-류신을 들 수 있다. 윤활제는 이들이 과립 표면, 및 과립과 정제 프레스 부분의 사이에 존재해야 하기 때문에, 통상 압축 전에 가장 마지막 단계에 첨가된다. 조성물 중의 윤활제의 양은 조성물의 약 0.05 내지 약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0.2 내지 약 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약 0.3 내지 약 3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약 0.3 내지 약 1.5 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글리덴트는 케이킹을 방지하고, 과립의 유동 특성을 향상시켜, 유동을 원활하게 균일하게 하는 물질이다. 적절한 글리덴트로는 이산화규소 및 탤크를 들 수 있다. 조성물 중의 글리덴트의 양은 조성물 중의 약 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전체 조성물 중의 0.1 내지 약 7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2 내지 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2 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착색제는 조성물 또는 제형에 착색을 부여하는 부형제이다. 이러한 부형제로는 식품 등급 염료, 및 적절한 흡착제, 예컨대 점토 또는 산화알루미늄에 흡착된 식품 등급 염료를 들 수 있다. 착색제의 양은 조성물의 약 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약 0.05 내지 6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약 0.1 내지 약 4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약 0.1 내지 약 1 중량%로 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티드는 다중 미립자 (multiparticulate), 단독 입자, 공지된 제형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그의 총량은 대상으로 하는 치료상 유용한 약물의 용량을 나타낸다. 경구 투여되는 경우에는, 다중 미립자는 통상 위장관에 자유로이 분산되어, 흡수를 최대화한다. 구체예는 US 6068859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는 아지스로마이신의 방출을 제어하는 다중 미립자를 개시하고 있다. 다중 미립자의 다른 이점은 약물 안정성의 개선이다. 다중 미립자의 폴록사머 성분은 매우 불활성을 나타내므로, 약물의 분해를 최소화한다.
그러나, 제형화의 문제점은 다중 미립자를 형성하는데 종종 사용되는 용융-응고 프로세스에 기인한다. 다중 미립자는 바람직하게는 원형 비드 또는 구형으로 형성된다. 용융된 다음에 응고되는 일부의 담체는 원형 비드를 형성하지 않지만, 로드, 스트링 또는 다른 비구형상으로 응고될 수 있다. 그 결과는 제형으로 가공하기가 어려운 고도의 비정형 다중 미립자이다. 이러한 문제는 예를 들면, WO 2007104173에 의해 해결되며, 여기서는 입자가 약제 (예를 들면, 인슐린)와 함께, 미셀을 형성하는 폴록사머, 수지, 및/또는 토코페롤로 구성된다. 미셀 형성은 인체 내의 다수의 영양소의 흡수에 필수적이다. 간장에 형성되어, 담낭에 의해 분비되는 담즙 염에 의해, 지방산의 미셀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소장에 의해 미셀 내의 복합 지질 (complicated lipid) 및 지용성 비타민이 흡수될 수 있다. 미셀은 형상이 대략 구형상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펩티드는 약제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경구 투여용으로 적합한 미셀을 형성하도록 폴록사머 및 수지로 제형화된다.
액상 제제로는 용액, 현탁액 및 유제를 들 수 있다. 비경구 주사용 물 또는 물-프로필렌글리콜 용액 또는 경구 액제, 현탁액 및 유제용 감미제 및 유백제의 첨가를 들 수 있다. 액상 제제는 또한 비강내 투여용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약제학적 조성물은 완충액이다. 수소 이온 농도 또는 pH에 관하여 사용되는 경우, 용어 "완충제", "완충계", "완충액" 및 "완충 용액"은 산 또는 알칼리 첨가시 또는 용매와의 희석시에 pH 변화에 저항하는 계, 특히 수용액의 능력을 말한다. 바람직한 완충계는 포메이트 (pKa=3.75), 락테이트 (pKa=3.86), 벤조산 (pKa=4.2), 옥살레이트 (pKa=4.29), 푸마레이트 (pKa=4.38), 아닐린 (pKa=4.63), 아세테이트 완충제 (pKa=4.76), 시트레이트 완충제 (pKa2=4.76, pKa3=6.4), 글루타메이트 완충제 (pKa=4.3), 포스페이트 완충제 (pKa=7.20), 숙시네이트 (pKa1=4.93; pKa2=5.62), 피리딘 (pKa=5.23), 프탈레이트 (pKa=5.41); 히스티딘 (pKa=6.04), MES (2-(N-모르폴리노)에탄술폰산; pKa=6.15); 말레산 (pKa=6.26); 카코딜레이트 (디메틸아르시네이트, pKa=6.27), 탄산 (pKa=6.35), ADA (N-(2-아세트아미도)이미노-디아세트산 (pKa=6.62); PIPES (4-피페라진비스-(에탄술폰산; BIS-TRIS-프로판 (1,3-비스[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메틸아미노]-프로판), pKa=6.80), 에틸렌디아민 (pKa=6.85), ACES 2-[(2-아미노-2-옥소에틸)아미노]에탄술폰산; pKa=6.9), 이미다졸 (pKa=6.95), MOPS (3-(N-모르핀)-프로판술폰산; pKa=7.20), 디에틸말론산 (pKa=7.2), TES (2-[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메틸]아미노 에탄술폰산; pKa=7.50) 및 HEPES (N-2-하이드록실에틸피페라진-N'-2-에탄술폰산; pKa=7.55) 완충제 또는 pKa가 3.8 내지 7.7인 다른 완충제로 구성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카복실산 완충제, 예컨대 아세테이트 및 카복실이산 (carboxylic diacid) 완충제, 예컨대 푸마레이트, 타르트레이트 및 프탈레이트 및 카복실삼산 (carboxylic triacid) 완충제, 예컨대 시트레이트의 그룹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완충제의 또하나의 그룹은 무기 완충제, 예컨대 술페이트, 보레이트, 카보네이트, 옥살레이트, 수산화칼슘 및 포스페이트 완충제로 나타낸다. 바람직한 완충제의 또 다른 그룹은 질소 함유 완충제, 예컨대 이미다졸, 디에틸렌디아민, 및 피페라진이다.
술폰산 완충제, 예컨대 TES, HEPES, ACES, PIPES, [(2-하이드록시-1,1-비스(하이드록시메틸)에틸)아미노]-1-프로판술폰산 (TAPS), 4-(2-하이드록시에틸)피페라진-1-프로판술폰산 (EPPS), 4-모르폴린프로판술폰산 (MOPS) 및 N,N-비스(2-하이드록시에틸)-2-아미노에탄술폰산 (BES)도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완충제의 다른 그룹은 글리신 완충제, 예컨대 글리신, 글리실-글리신, 글리실-글리실-글리신, N,N-비스(2-하이드록시에틸)글리신 및 N-[2-하이드록시-1,1-비스(하이드록시-메틸)에틸]글리신 (트리신)이다.
아미노산 완충제, 예컨대 글리신,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세린, 트레오닌,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아스파르테이트, 글루타메이트,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시스테인, 메티오닌, 프롤린, 4-하이드록시프롤린, N,N,N-트리메틸리신, 3-메틸히스티딘, 5-하이드록시리신, O-포스포세린, γ-카복시글루타메이트, ε-N-아세틸리신, ω-N-메틸아르기닌, 시트룰린, 오르니틴 및 이들의 유도체도 바람직하다.
하기의 완충제도 바람직하다:
유효 pH 범위 pKa 25℃ 완충제
2.7-4.2 3.40 말레이트 (pK1)
3.0-4.5 3.75 포르메이트
3.0-6.2 4.76 시트레이트 (pK2)
3.2-5.2 4.21 숙시네이트 (pK1)
3.6-5.6 4.76 아세테이트
3.8-5.6 4.87 프로피오네이트
4.0-6.0 5.13 말레이트 (pK2)
4.9-5.9 5.23 피리딘
5.0-6.0 5.33 피페라진 (pK1)
5.0-7.4 6.27 카코딜레이트
5.5-6.5 5.64 숙시네이트 (pK2)
5.5-6.7 6.10 MES
5.5-7.2 6.40 시트레이트 (pK3)
5.5-7.2 6.24 말레에이트 (pK2)
5.5-7.4 1.70, 6.04, 9.09 히스티딘
5.8-7.2 6.46 비스-트리스
5.8-8.0 7.20 포스페이트 (pK2)
6.0-12.0 9.50 에탄올아민
6.0-7.2 6.59 ADA
6.0-8.0 6.35 카보네이트 (pK1)
6.1-7.5 6.78 ACES
6.1-7.5 6.76 PIPES
6.2-7.6 6.87 MOPSO
6.2-7.8 6.95 이미다졸
6.3-9.5 6.80, 9.00 BIS-TRIS 프로판
6.4-7.8 7.09 BES
6.5-7.9 7.14 MOPS
6.8-8.2 7.48 HEPES
6.8-8.2 7.40 TES
6.9-8.3 7.60 MOBS
7.0-8.2 7.52 DIPSO
7.0-8.2 7.61 TAPSO
7.0-8.3 7.76 트리에탄올아민 (TEA)
7.0-9.0 0.91, 2.10, 6.70, 9.32 피로포스페이트
7.1-8.5 7.85 HEPPSO
7.2-8.5 7.78 POPSO
유효 pH 범위가 2.7 내지 8.5, 더욱 바람직하게는 3.8 내지 7.7인 완충제가 바람직하다. 각각의 완충제에 대한 유효 pH 범위는 pKa - 1 내지 pKa + 1 (여기서, Ka는 완충제 중의 약산에 대한 이온화 상수이고, pKa = - log K이다)로서 정의될 수 있다.
약제학적 용도에 적합한 완충제, 예를 들면 환자에게 투여하기에 적합한 완충제, 예컨대 아세테이트, 카보네이트, 시트레이트, 푸마레이트, 글루타메이트, 락테이트, 포스페이트, 프탈레이트, 및 숙시네이트 완충제가 가장 바람직하다. 통상 사용되는 약제학적 완충제의 특히 바람직한 예로는 아세테이트 완충제, 시트레이트 완충제, 글루타메이트 완충제 및 포스페이트 완충제가 있다. 카복실산 완충제의 그룹도 가장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카복실산 완충제"는 카복실일산 (carboxylic mono acid) 완충제, 카복실이산 완충제 및 카복실삼산 완충제를 언급할 것이다. 물론, 완충제, 특히 본 명세서에 기재된 완충제의 배합물도 본 발명에 유용하다.
일부의 적절한 약제학적 완충제로는 시트레이트 완충제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200 mM의 최종 제제 농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120 mM의 최종 제제 농도) 또는 아세테이트 완충제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200 mM의 최종 제제 농도) 또는 포스페이트 완충제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200 mM의 최종 제제 농도)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티드의 제형화 및 투여에 관한 기술은 문헌 [참조: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Mack Publishing Co., Easton PA]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펩티드를 포함하는 적절한 조성물은 적절한 액상 약제학적 담체 중의 펩티드의 용액 또는 다른 제제, 예컨대 정제, 환약, 필름 정제, 코팅 정제, 당의정, 캡슐, 분말 및 침착물, 겔, 시럽, 슬러리, 현탁액, 유제 등 일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약제학적 조성물은 흡입 투여 또는 정맥내 투여에 적합한 동결건조 (freeze-dried) 제제 (동결건조물)이다. 바람직한 동결건조 제제를 제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펩티드는 4 내지 5% (w/v) 만니톨 용액에 가용화된 다음에, 용액은 동결건조된다. 만니톨 용액도 상술한 적절한 완충액 중에서 제조될 수 있다.
적절한 항동해제 (cryoprotectant) /동결건조보호제 (lyoprotectant) (아니면, 증량제 또는 안정화제로 불리운다)의 추가의 예로는 티올 비함유 알부민, 면역글로불린, 폴리알킬렌옥사이드 (예를 들면, PEG,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트레할로스, 글루코스, 수크로스, 소르비톨, 덱스트란, 말토스, 라피노즈, 스타치오즈 및 다른 당류 (예를 들면, WO 97/29782 참조)를 들 수 있으며, 만니톨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은 통상적인 동결건조 기술에서 통상적인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동결건조법은 약제학적 제제를 제조하는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흡입 투여되기 위한 동결건조 제제의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 ㎛,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 ㎛이다. 동결건조 제제는 흡입기, 예를 들면 옵티네브 (OPTINEB)® 또는 벤타-네브 (VENTA-NEB)® 흡입기 (NEBU-TEC, Elsenfeld, Germany)를 사용하여 투여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동결건조된 생성물은 흡입 투여를 위해 멸균 증류수 또는 다른 적절한 액체에 재수화될 수 있다.
또는 정맥내 투여를 위해, 동결건조된 생성물은 정맥내 투여를 위해 멸균 증류수 또는 다른 적절한 액체에 재수화될 수 있다.
멸균 증류수 또는 적절한 액체에서 투여를 위해 재수화한 후에, 동결건조 제제는 재수화된 펩티드 제제의 표적 조직, 즉, 정맥내 투여를 위한 혈액 또는 흡입 투여를 위한 폐 조직의 근사한 생리적 오스몰 농도를 가져야 한다. 따라서, 재수화된 제제가 실질적으로 등장성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맥내, 경구, 또는 흡입 투여를 위한 바람직한 용량 농도는 100 내지 2000 μmole/ml,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800 μmole/ml이다. 이들은 또한 모유 대용품 또는 인공 모유 제제 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약제학적 조성물 중의 바람직한 펩티드의 범위이다.
영양 보조 식품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측면은 영양 보조 식품으로서의 개시된 펩티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영양 보조 식품은 경구 투여용으로 바람직하고, 특히 신생아, 유아, 및/또는 소아에로의 투여에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영양 보조 식품은 일상의 음식물을 보충하는데 사용된다. 이들 제품의 "식이 성분"은 또한 비타민, 미네랄, 허브 또는 다른 식물 성분, 아미노산, 및 물질, 예컨대 효소, 장기 조직, 선 (glandular), 및 대사 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영양 보조 식품은 예컨대, 정제, 캡슐, 소프트젤, 젤캡, 액체, 또는 분말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치료 방법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측면은 펩티드 Ala-Glu-Lys-Lys-Asp-Glu-Gly-Pro-Tyr-Arg-Met-Glu-His-Phe-Arg-Trp-Gly-Ser-Pro-Pro-Lys-Asp-OH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후술하는 질환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치료적 유효량으로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 자가면역질환, 섬유성 질환, 염증성 질환, 신경 변성 질환, 감염성 질환, 폐질환, 심장 혈관 질환 또는 대사성 질환 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용어 "예방" 또는 "치료"는 감염성 질환, 자가면역질환, 섬유성 질환, 염증성 질환, 신경 변성 질환, 또는 심장 혈관 질환의 증상을 예방, 억제, 또는 저지시키도록 본 발명의 펩티드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펩티드를 사용한 치료는 감염성 질환, 자가면역질환, 섬유성 질환, 염증성 질환, 신경 변성 질환, 또는 심장 혈관 질환의 증상을 예방, 억제, 또는 저지시키기 위해 다른 보호 화합물과 병용하여 행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활성제" 또는 "치료제"는 감염성 질환, 자가면역질환, 섬유성 질환, 염증성 질환, 신경 변성 질환, 또는 심장 혈관 질환 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질환의 증상 및/또는 진행을 예방, 억제, 또는 저지할 수 있는 약제를 말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치료 효과"는 감염성 질환, 자가면역질환, 섬유성 질환, 염증성 질환, 신경 변성 질환, 또는 심장 혈관 질환의 증상 및/또는 진행을 예방, 억제, 또는 저지시키는 보호 효과가 효과적으로 제공되는 것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치료적 유효량"은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 또는 환자에 있어서 상술한 치료 효과를 산출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펩티드의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대상" 또는 "환자"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투여될 수 있는 인간, 예컨대 인간 환자 또는 대상을 포함하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 포유동물을 의미한다. 용어 "포유동물"은 인간 환자 및 비인간 영장류, 및 실험 동물, 예컨대 래빗, 래트, 및 마우스, 및 다른 동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펩티드는 다른 치료 화합물과 병용 투여하여, 암, 자가면역질환, 섬유성 질환, 염증성 질환, 신경 변성 질환, 감염성 질환, 폐질환, 심장 혈관 질환 또는 대사성 질환 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른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화합물, 치료제 또는 공지된 약물과 본 발명의 펩티드의 "병용 투여"는 공지된 약물과 펩티드가 치료 효과를 가지게 될 때 약물과 펩티드를 투여함을 의미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러한 치료 효과는 상승작용을 나타낼 것이다. 이러한 동반 투여는 본 발명의 펩티드의 투여에 대하여, 약물의 수반 (즉, 동시에), 사전, 또는 후속 투여를 포함할 수 있다.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가는 특정한 약물 및 본 발명의 펩티드의 투여에 관한 적절한 타이밍, 시퀀스 및 용량을 결정하는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펩티드 활성의 정의
펩티드는 a) 내지 g)에 열거된 하기 활성 중 어느 하나를 증명한다면, 치료 활성을 갖는 것으로 간주된다:
a) 펩티드는 과잉으로 활동하는 생물학적 경로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다.
b) 펩티드는 과잉으로 생산된 생체 분자의 생산을 억제할 수 있다.
c) 펩티드는 과잉으로 생산된 생체 분자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다.
d) 펩티드는 활성이 저하된 생물학적 경로의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e) 펩티드는 불충분하게 생산된 생체 분자의 생산을 증가시킬 수 있다.
f) 펩티드는 불충분하게 생산된 생체 분자의 활성을 모방할 수 있다.
g) 펩티드는 암, 감염성 질환, 자가면역질환, 섬유성 질환, 염증성 질환, 신경 변성 질환, 또는 심장 혈관 질환 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른 질환의 증상 및/또는 진행을 예방, 억제, 또는 저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억제"는 생물학적 경로 또는 분자 활성의 활성 또는 생산을 10 내지 100% 감소시키는 것으로 정의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생물학적 경로 또는 분자 활성의 활성 또는 생산의 감소는 25 내지 100%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생물학적 경로 또는 분자 활성의 활성 또는 생산의 감소는 50 내지 100%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증대"는 생물학적 경로 또는 분자의 활성 또는 생산을 10 내지 100% 증가시키는 것으로 정의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생물학적 경로 또는 분자 활성의 활성 또는 생산의 증가는 25 내지 100%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생물학적 경로 또는 분자 활성의 활성 또는 생산의 증가는 50 내지 100%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방"은 불충분하게 생산된 생체 분자에 따라 생물학적 경로의 활성을 10 내지 100% 증가시키는 것으로 정의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생물학적 경로의 활성의 증가는 25 내지 100%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생물학적 경로의 활성의 증가는 50 내지 100%이다.
펩티드
본 발명의 펩티드를 암, 감염성 질환, 자가면역질환, 섬유성 질환, 염증성 질환, 신경 변성 질환, 또는 심장 혈관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대한 치료제로서의 활성에 관해 테스트하였으며, 펩티드는 하기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다:
Ala-Glu-Lys-Lys-Asp-Glu-Gly-Pro-Tyr-Arg-Met-Glu-His-Phe-Arg-Trp-Gly-Ser-Pro-Pro-Lys-Asp-OH (베타 MSH).
펩티드 서열 Ala-Glu-Lys-Lys-Asp-Glu-Gly-Pro-Tyr-Arg-Met-Glu-His-Phe-Arg-Trp-Gly-Ser-Pro-Pro-Lys-Asp-OH 다음의 괄호 안의 용어 "베타 MSH"는 상기 펩티드의 약어 또는 동의어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의약에 있어서의 약제학적 활성제, 즉, 약제로서의 상술한 펩티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펩티드의 이점은 펩티드가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한 징후에 대해 통상 사용되는 약물에 비해 독성이 낮으며, 펩티드가 부작용이 적고, 특정 질환의 장기 치료에 사용될 수 있으며, 용이하게 투여될 수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펩티드는 특정한 타겟에 대하여 선택적이며, 생리적 조건하에서 독성이거나 유해 분해 산물이 생성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펩티드(들)" 또는 "본 발명의 펩티드(들)"는 또한 상술한 펩티드의 염, 탈보호 형태, 아세틸화 형태, 탈아세틸화 형태, 상술한 펩티드의 에난티오머, 디아스테레오머, 라세미체, 프로드럭 및 수화물을 말한다. 펩티드의 디아스테레오머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의 입체화학적 또는 키랄 중심이 변화하는 경우에 얻어진다. 에난티오머는 모든 키랄 중심에서 반대 입체화학을 갖는다.
용어 "프로드럭"은 생리적 조건하에서 상술한 펩티드를 생성시키거나 방출시킬 수 있는 전구체 화합물을 말한다. 이러한 프로드럭, 즉, 이러한 전구체 분자는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펩티드를 생성하도록 선택적으로 절단되는 더 큰 펩티드이다. 또한 프로드럭은 특히 카복실산기 및/또는 아미노기의 보호기를 갖는 보호된 아미노산이다.
아미노기에 대한 적절한 보호기는 벤질옥시카보닐기, t-부틸옥시카보닐 (BOC) 기, 포르밀기, 및 아세틸기 또는 아실기이다. 카복실산기에 대한 적절한 보호기는 에스테르, 예컨대 벤질 에스테르 또는 t-부틸 에스테르이다.
본 발명은 또한 아미노산 치환, 결실, 첨가를 갖는 상기 펩티드를 포함하고, 치환 및 첨가는 표준 D 및 L 아미노산 및 변형 아미노산, 예를 들면 아미드화 및 아세틸화 아미노산을 포함하며, 이때 상술한 염기 펩티드 서열의 치료 활성은 유지된다.
열거된 펩티드 서열에서, "Ac"는 아세틸화 잔기를 나타내고, "NH2"는 아미드화 잔기를 나타내며, "사이클로"는 환상 펩티드를 나타내고, "D"는 D형 광학 이성질체를 나타낸다. 탈아세틸화 아미노기 또는 NH-기는 유리 아미노 (-NH2) 기를 말한다.
하기 약어는 본 명세서에 언급된 보통 아미노산에 대하여 사용된다.
약어 아미노산
Ala 알라닌
Arg 아르기닌
Asn 아스파라긴
Asp 아스파르트산 (아스파르테이트)
Cys 시스테인
Gln 글루타민
Glu 글루탐산 (글루타메이트)
Gly 글리신
His 히스티딘
Ile 이소류신
Leu 류신
Lys 리신
Met 메티오닌
Phe 페닐알라닌
Pro 프롤린
Pyl 피롤리신
Ser 세린
Sec 셀레노시스테인
Thr 트레오닌
Trp 트립토판
Tyr 티로신
Val 발린
Asx 아스파르트산 또는 아스파라긴
Glx 글루타민 또는 글루탐산
Xaa 아미노산
Xle 류신 또는 이소류신
일부의 변형 아미노산은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D-2-Nal"는 2-나프틸-D-알라닌이고,
"SertBu"는 t-부틸 세린이며,
"Azagly"는 아자 글리신이고,
"Me"는 메틸이며,
Met(O)는 메티오닌 술폭사이드이고,
"Pyr" 및 "pGlu"는 피로글루탐산이며,
"Tyr(SO3H)"은 황산화 티로신이고,
"Tyr(Me)"은 메틸티로신이며,
"NHEt"는 에틸아미드이다.
상술한 펩티드의 활성을 실시예 1 내지 17에 기재된 검정법을 이용하여 테스트하였다. 테스트된 펩티드는 모두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다.
실시예 1:
HIV-1 실험
항바이러스 검정에 사용하기 전에, CEM-SS 세포를 T-75 플라스크에서 계대시켰다. 검정 하루 전에, 감염시에 세포가 지수 증식기에 있는 것을 확보하도록 세포를 1:2로 분할하였다. 혈구계 및 트리판 블루 배제법 (trypan blue exclusion)을 이용하여, 총세포 생존율 정량화를 행하였다. 검정에 사용되는 세포의 세포 생존율은 95%를 초과하였다. 세포를 조직 배지에 5 × 104 세포/ml로 재현탁시켜, 50 ㎕의 용적으로 펩티드 함유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에 가하였다.
사용된 바이러스는 림프구 친화성 균주 (lymphocytotropic strain) HIV-1 IIIB이었다. NIH AIDS 리서치 앤드 레퍼런스 리에이전트 프로그램 (Research and Reference Reagent Program)으로부터 바이러스를 얻어, 스톡 바이러스 풀 (pool)의 생산을 위해, CEM-SS 세포에서 성장시켰다. 각 검정에서, 프리타이터된 (pre-titered) 바이러스 일정분량을 냉동 장치 (-8O℃)로부터 제거하여, 생물학적 안전 캐비닛에서 서서히 실온으로 해동시켰다. 바이러스를 재현탁시켜, 50 ㎕의 용적으로 각각의 웰에 가해진 바이러스 양이 감염 후 6일 후에 85% 내지 95%의 세포사를 나타내도록 측정된 양이 되도록 조직 배지에 희석시켰다. CEM-SS 세포에서의 종말점 적정에 의한 TCID5O 계산은 감염 다중도가 약 0.01임을 나타내었다. AZT (뉴클레오시드계 역전사 효소 저해제; NRTI) 및 인디나비르 (프로테아제 저해제; PI)를 양성 대조군 항바이러스성 화합물로서 사용하였다.
플레이트 포맷
각 플레이트는 세포 대조군 웰 (세포 단독), 바이러스 대조군 웰 (세포 + 바이러스), 약물 세포독성 웰 (세포 + 펩티드 단독), 펩티드 비색분석 대조군 웰 (펩티드 단독) 및 실험 웰 (펩티드 - 10 ㎍/ml + 세포 + 바이러스)을 포함하였다. 검출가능하다면, 세포 독성을 측정하기 위해, 삼중 측정 및 이중 측정으로 샘플의 항바이러스 효과를 평가하였다.
검정 종료시에, 플레이트를 가용성 테트라졸륨계 염료 MTS (CellTiter 96 Reagent, Promega)로 염색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고 펩티드 독성을 정량화하였다. 가용성 포르마잔 생성물을 얻도록 대사적으로 활성인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효소에 의해 MTS를 대사시켜, 세포 생존율 및 펩티드 세포독성의 신속한 정량 분석을 행할 수 있다. 이 시약은 사용 전에 제조되는 것을 요하지 않는 안정한 단일 용액이다. 검정 종료시에, MTS 시약을 웰 당 20 내지 25 ㎕ 가한 다음에,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를 37℃ 및 5% CO2에서 5 시간 동안 배양하여, 세포 생존율을 평가하였다. 접착 플레이트 시일러를 리드 대신에 사용하고, 시일링된 플레이트를 수회 전도시켜, 가용성 포르마잔 생성물을 혼합하고, 몰레큘러 디바이스 (Molecular Devices) Vmax 플레이트 리더를 사용하여, 플레이트를 490/560 nm에서 분광광도법으로 리딩하였다.
항바이러스 활성의 예상 레벨을 나타내는 양성 대조군 화합물 AZT 및 인디나비르의 평가에 기초한 전체 검정 성능은 유효하였다.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의 각 웰에 있어서의 세포의 거시적 관찰에 의해, MTS 대사성 염료로 세포 염색을 행하여 얻어진 세포독성 결과를 확인하였다.
HIV 실험 결과:
화합물 HIV-1으로 감염된
CEM-SS 세포 중에서의 CPE 감소율 %
세포
생존율 %
베타 MSH 0.0 84.9
AZT
(양성 대조군)
99 97
인디나비르
(양성 대조군)
100 93
실시예 2:
HBV 실험 검정 시스템
HepG2-2.2.15는 B형 간염 바이러스 (HBV) ayw 균주 게놈 (ATCC Cat. No. CRL-11997)을 포함하는 안정한 세포주이다. 바이러스 복제의 후기 단계, 예컨대 전사, 번역, 프리게놈 인캡시데이션 (pregenome encapsidation), 역전사, 입자 조립 및 방출을 블로킹하는 항바이러스성 화합물을 이러한 세포주를 사용하여, 동정하고 특성화할 수 있다. 본 검정에서, 활성 화합물은 세포로부터 분비된 HBV의 생성을 감소시킬 것이며, 이는 HBV DNA 카피를 직접 정확히 측정하도록 실시간 정량적 PCR (TaqMan) 검정을 이용함으로써 측정된다. 이 데이터의 분석에 의해, 다음을 계산할 수 있다:
* 항바이러스 활성
* 화합물 세포독성
HepG2-2.2.15 세포를 96 웰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에 평판 배양하였다. 16 내지 24 시간 후에, 이중 실험으로, HepG2-2.2.15 세포의 융합성 단층을 세척하고, 배지를 테스트 펩티드 - 10 ㎍/ml를 함유하는 완전 배지로 교체하였다. 라미부딘 (3TC)을 양성 대조군으로서 사용하고, 배지 단독을 음성 대조군 (바이러스 대조군)으로서 세포에 첨가하였다. 3일 후에, 배지를 펩티드를 함유하는 새로운 배지로 교체하였다. 펩티드의 초기 투여 6일 후에, 세포 배양 상청액을 수집하여, 프로나아제 및 DNA 분해 효소로 처리한 다음에, 실시간 정량적 TaqMan PCR 검정에 사용하였다. 증폭된 HBV DNA에 하이브리다이즈하는 소광된 (quenched) 형광 프로브 분자의 엑소핵산 분해 (exonucleolytic degradation)로부터 발생된 형광 시그널 증가를 모니터링함으로써, PCR로 증폭된 HBV DNA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였다. 각각의 PCR 증폭에 관해서는, 정제된 HBV DNA의 희석물을 사용하여, 표준곡선을 동시에 형성시켰다. 항바이러스 활성을 HBV DNA 레벨 (% 바이러스 대조군) 감소량으로부터 계산하였다. 그 다음에, 신규 염료 흡수 (uptake) 검정을 이용하여 세포 생존율을 계산하였으며, 이는 독성 (% 세포 대조군)을 계산하는데 사용된다.
HBV 실험 결과:
화합물 HEP G2 세포의 HBV 복제 저해율 % 세포
생존율 %
베타 MSH 24.8 100
3TC
(양성 대조군)
92.0 95.8
실시예 3:
HCMV 실험 검정 시스템
MRC-5 세포 (인간 태아 폐 섬유아세포)를 아메리칸 타입 컬쳐 컬렉션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CCL-171; Rockville, Maryland))에서 얻어, 10% 소 태아 혈청 (FBS), 0.1 mM 비필수 아미노산, 1.0 mM 피루브산나트륨, 2.0 mM L-글루타민, 100 units/ml 페니실린 및 100 ㎍/ml 스트렙토마이신이 추가된 이글 (Eagle) BSS (EMEM)를 함유하는 이글 최소 필수 배지에서 성장시켰다. 세포를 주당 2회 1:2로 분할하였다.
HCMV 균주 AD169을 ATCC (ATCC VR-538)로부터 얻었다. 2% FBS를 함유하는 MRC-5 성장 배지에서 최소 감염 다중도로 80% 융합성 MRC-5 세포를 감염시킴으로써, 바이러스 스톡을 준비하였다. 90% 내지 95%의 바이러스 세포 변성 효과 (CPE)가 관찰될 때까지 (10 내지 13일), 단층을 37℃, 5% CO2에서 배양하였다. 그 다음에, 배지를 세포로부터 수집하여, 세포 파편을 제거하도록 저 속도로 원심분리하고, 1 ml 용적으로 등분하여, 스톡 바이러스로서 -80℃로 보관하였다.
MRC-5 세포를 MRC-5 성장 배지를 사용하여, 24 웰 플레이트에서 75,000 세포/웰로 시딩하였다. 플레이트를 37℃, 5% CO2에서 하룻밤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날, 배지를 제거하고, HCMV의 100개의 플라크 형성 단위 (pfu)를 웰에 추가하였다. 바이러스를 37℃, 5% CO2에서 1 시간 동안 세포에 흡착시켰다. 펩티드를 0.5% 메틸셀룰로스를 함유하는 애세이 배지에서 10 ㎍/ml로 희석하였다. 배양 시간 후에, 바이러스 접종원을 흡인하지 않고서, 각 펩티드 용액 1 ml를 웰에 가하였다. 플레이트를 플라크 형성을 위해 7 내지 10일간 배양하였다. 간시클로비르를 양성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배양물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독성을 나타내었다. 배지를 웰로부터 흡인하고, 세포를 고정시켜, 크리스탈 바이올렛을 함유하는 20% 메탄올을 사용하여 염색한 다음에, 현미경 검사에 의해 플라크 계수를 행하였다. 세포독성 시험에 관해서는, MRC-5 세포를 성장 배지를 사용하여 96 웰 플레이트에서 2,500 세포/웰로 시딩하였다. 플레이트를 37℃, 5% CO2에서 하룻밤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날, 펩티드를 가해, 이중으로 테스트하였다. 6일간의 배양 시간 후에, 세포 생존율을 셀타이터 (CellTiter) 96 솔루션 (Solution) (Promeg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플레이트를 37℃에서 추가로 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접착 플레이트 시일러를 리드 대신에 사용하고, 시일링된 플레이트를 수회 전도시켜, 가용성 포르마잔 생성물을 혼합하고, 몰레큘러 디바이스 Vmax 플레이트 리더를 사용하여, 플레이트를 490/560 nm에서 분광광도법으로 리딩하였다.
항바이러스 활성의 예상 레벨을 나타내는 양성 대조군 화합물 간시클로비르의 평가에 기초한 전체 분석 성능은 유효하였다.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의 각 웰에 있어서의 세포의 거시적 관찰에 의해, MTS 대사성 염료로 세포 염색을 행하여 얻어진 세포독성 결과를 확인하였다.
HCMV 검정 결과:
화합물 플라크 감소율 % 세포
생존율 %
베타 MSH 2.5 100
간시클로비르
(양성 대조군)
100 100
실시예 4: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구균 ( Staphylococcus Aureus ) (MRSA) 검정
깨끗한 U-바텀 (bottom) 96 웰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항균성 검정을 행하였다. 양이온으로 조절된 뮬러-힌톤 배지 (Cation-adjusted Mueller-Hinton Broth (MHB))를 MRSA를 테스트하는데 사용하였다. 이중 실험으로, 본 발명의 펩티드 (각 0.1 ml - 10 ㎍/ml)를 웰에 분배하였다. 그 다음에, 웰에 5 × 105 CFU/mL MRSA를 0.1 ml 용적으로 접종시켰다. 대조군용으로, 각 플레이트는 세균 접종원을 함유하지 않는 배지를 갖는 4개의 웰 및 접종원을 함유하나, 펩티드를 함유하지 않는 배지를 갖는 4개의 웰을 포함하였다. 플레이트를 37℃에서 12 시간 동안 배양하여, 배양 후 18 내지 24 시간 동안 육안으로 리딩하였다. 처음에 MRSA의 성장 조절을 조사하여, 배지 준비물 및 성장 조건의 적합성을 결정하였다. 허용 성장은 각 샘플 웰의 저부에서 세포의 ≥ 2 mm 폭 버턴 (button) 또는 배양 상청액의 명백한 탁도로서 정의된다. 테스트 웰을 조사하여, 활성에 대하여 포지티브/네가티브 스코어를 결정하였다. 활성에 대한 포지티브 스코어는 테스트 MRSA의 거시적 성장의 완전 저해를 기초로 한다.
MRSA 검정 결과:
화합물 저해율 %
베타 MSH 0.0
실시예 5:
녹농균 ( Pseudomonas aeruginosa ) 검정
깨끗한 U-바텀 96 웰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항균성 검정을 행하였다. 양이온으로 조절된 뮬러-힌톤 배지 (MHB)를 녹농균을 테스트하는데 사용하였다. 이중 실험으로, 본 발명의 펩티드 (각 0.1 ml - 10 ㎍/ml)를 웰에 분배하였다. 그 다음에, 웰에 5 × 105 CFU/mL 녹농균을 0.1 ml 용적으로 접종시켰다. 대조군용으로, 각 플레이트는 세균 접종원을 함유하지 않는 배지를 갖는 4개의 웰 및 접종원을 함유하나, 펩티드를 함유하지 않는 배지를 갖는 4개의 웰을 포함하였다. 플레이트를 37℃에서 12 시간 동안 배양하여, 배양 후 18 내지 24 시간 동안 육안으로 리딩하였다. 처음에 녹농균의 성장 조절을 조사하여, 배지 준비물 및 성장 조건의 적합성을 결정하였다. 허용 성장은 각 샘플 웰의 저부에서 세포의 ≥ 2 mm 폭 버턴 또는 배양 상청액의 명백한 탁도로서 정의된다. 테스트 웰을 조사하여, 활성에 대하여 포지티브/네가티브 스코어를 결정하였다. 활성에 대한 포지티브 스코어는 테스트 녹농균의 거시적 성장의 완전 저해를 기초로 한다.
녹농균 검정 결과:
화합물 저해율 %
베타 MSH 0.0
실시예 6:
폐렴 연쇄상 구균 ( Streptococcus pneumoniae ) 검정
깨끗한 U-바텀 96 웰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항균성 검정을 행하였다. 양이온으로 조절된 뮬러-힌톤 배지 (MHB)를 폐렴 연쇄상 구균을 테스트하는데 사용하였다. 이중 실험으로, 본 발명의 펩티드 (각 0.1 ml - 10 ㎍/ml)를 웰에 분배하였다. 그 다음에, 웰에 5 × 105 CFU/mL 폐렴 연쇄상 구균을 0.1 ml 용적으로 접종시켰다. 대조군용으로, 각 플레이트는 세균 접종원을 함유하지 않는 배지를 갖는 4개의 웰 및 접종원을 함유하나, 펩티드를 함유하지 않는 배지를 갖는 4개의 웰을 포함하였다. 플레이트를 37℃에서 12 시간 동안 배양하여, 배양 후 18 내지 24 시간 동안 육안으로 리딩하였다. 처음에 폐렴 연쇄상 구균의 성장 조절을 조사하여, 배지 준비물 및 성장 조건의 적합성을 결정하였다. 허용 성장은 각 샘플 웰의 저부에서 세포의 ≥ 2 mm 폭 버턴 또는 배양 상청액의 명백한 탁도로서 정의된다. 테스트 웰을 조사하여, 활성에 대하여 포지티브/네가티브 스코어를 결정하였다. 활성에 대한 포지티브 스코어는 테스트 폐렴 연쇄상 구균의 거시적 성장의 완전 저해를 기초로 한다.
폐렴 연쇄상 구균 검정 결과:
화합물 저해율 %
베타 MSH 0.0
실시예 7:
결핵균 ( Mycobacterium tuberculosis ) 검정
깨끗한 U-바텀 96 웰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항균성 검정을 행하였다. 미들브룩 (Middlebrook) 7H12 애세이 배지를 약제 내성 결핵균을 테스트하는데 사용하였다. 이중 실험으로, 본 발명의 펩티드 (각 0.1 ml - 10 ㎍/ml)를 웰에 분배하였다. 그 다음에, 웰에 5 × 105 CFU/mL 결핵균을 0.1 ml 용적으로 접종시켰다. 대조군용으로, 각 플레이트는 세균 접종원을 함유하지 않는 배지를 갖는 4개의 웰 및 접종원을 함유하나, 펩티드를 함유하지 않는 배지를 갖는 4개의 웰을 포함하였다. 플레이트를 37℃에서 7일간 배양하여, 그 후에 육안으로 리딩하였다. 처음에 결핵균의 성장 조절을 조사하여, 배지 준비물 및 성장 조건의 적합성을 결정하였다. 허용 성장은 각 샘플 웰의 저부에서 세포의 ≥ 2 mm 폭 버턴 또는 배양 상청액의 명백한 탁도로서 정의된다. 테스트 웰을 조사하여, 활성에 대하여 포지티브/네가티브 스코어를 결정하였다. 활성에 대한 포지티브 스코어는 테스트 결핵균의 거시적 성장의 완전 저해를 기초로 한다. 검정에 사용된 약제 내성 결핵균은 하기 약제에 대한 내성을 나타낸다: 파라-아미노살리실산 (PAS), 스트렙토마이신 및 이소니아지드 (INH).
결핵균 검정 결과:
화합물 저해율 %
베타 MSH 0.0
실시예 8:
세포 주기 분석
인간 A549 세포 (인간 폐포암 기저 상피 세포 (carcinomic human alveolar basal epithelial cell))를 요오드화프로피듐 (Propidium iodide) 세포 주기 검정 실험에 사용하였다. 진핵 세포 주기는 세포에서 이의 복제에 이르기 위해 일어나는 일련의 이벤트이다. 세포 주기 조절은 유전자 손상 검출 및 복구, 및 제어되지 않은 세포 분열을 방지하는 각종 체크의 공급을 포함한, 세포에 매우 중요한 단계를 포함한다. 세포 주기를 제어하는 분자 이벤트는 정해져 있고 방향성을 나타내며; 즉, 각 프로세스는 순차적으로 일어난다. 세포 주기는 4개의 상이한 기: G1 기, S 기, G2 기 (일괄하여, 간기로서 알려짐) 및 M 기로 구성된다. M 기는 그 자체가 2개의 밀접하게 연관된 프로세스: 세포 염색체가 2개의 딸세포 사이에 분배되는 유사 분열, 및 세포질이 분할하여 상이한 세포를 형성하는 세포질 분열로 구성된다. 각 기의 활성화는 적절한 진행 및 이전 기의 완료에 의존한다. 분열이 일시적으로 또는 가역적으로 정지된 세포는 G0 기로 불리우는 휴지 상태에 들어간 것이라 한다. 비교적 짧은 M 기는 핵분열 및 세포질 분열로 구성된다. 이전의 M 기의 말기에서 DNA 합성 초기까지의 간기 내의 제 1 기는 G1 (G는 갭 또는 성장을 나타냄)으로 불리운다. 이러한 기 동안에, 세포의 생합성 활성이 고 비율로 재개된다. 이 기는 S 기에 요구되는 각종 효소, 주로 DNA 복제에 필요한 효소의 합성을 특징으로 한다. 그 다음의 S 기는 DNA 합성이 시작될 때에 개시되며; 완료될 때에, 모든 염색체가 복제된다. 그 다음에, 세포는 G2 기에 들어가서, 세포가 유사분열에 들어갈 때까지 지속된다. 주로 유사분열 과정시에 요구되는 미소관의 생산을 포함하여, 상당한 단백질 합성이 이 기 동안에 일어난다. G2 기 동안의 단백질 합성 저해에 의해, 세포가 유사분열을 행하는 것을 저지한다. 세포 주기 성분의 조절 이상 (disregulation)에 의해, 종양 형성을 유발할 수 있다.
요오드화프로피듐은 DNA를 염색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형광 분자 및 삽입제이다. 세포를 테스트 펩티드 - 10 ㎍/ml를 사용하여 24 시간 동안 배양하거나 미처리 상태로 두었다. 그 후에, 세포를 트립신 처리하고, 배지 + 10% FCS에 현탁시켜, 원심분리하고 (1000 rpm, 5 분), 세포 펠릿을 PBS (1 ml)에 재현탁시켰다. 세포를 2.5 ml 무수 EtOH에 피펫하여 (최종 농도 약 70%), 얼음에서 15 분간 배양하였다. 그 후에, 세포를 1500 rpm에서 5 분간 처리하여 펠릿을 만들어, PBS 중의 요오드화프로피듐 용액에 재현탁시켰다. 37℃에서 40 분간 배양한 후에, 세포를 FACS에서 검정하였다.
세포 주기 검정 결과:
화합물 세포 주기 분석
G0/G1 S G2/M
베타 MSH 57.9 32.9 9.2
실시예 9:
T 세포 증식 검정
인간 말초 혈액 단핵 세포 (PBMC)를 정상 인간 공여자로부터 얻었다. T 세포 증식 반응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테스트 펩티드 - 10 ㎍/ml의 부재하에 (양성 증식 대조군) 또는 이의 존재하에 T 세포 미토겐 피토헤마글루티닌 (PHA)으로 세포를 자극하여, T 세포 증식을 유도하였다. 105/웰 PBMC를 96 웰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에 평판 플레이트하고, 펩티드로 이중으로 검정하였다. 세포 배양물을 5% CO2 인큐베이터에서 37℃에서 3일간 배양한 후에, 추가로 12 시간 배양하면서 1 microCi/웰 3H-티미딘으로 펄스하였다. 배양 시간 종료시에, 플레이트를 수확하고, T 세포 증식 평가 기준으로서 세포에의 3H-티미딘의 혼입을 액체 신틸레이션에 의해 카운트하였다.
T 세포 증식 검정 결과:
화합물 PHA로 유도된
대조군에 대한 %
베타 MSH 99.9
실시예 10:
B 세포 증식 검정
인간 말초 혈액 단핵 세포 (PBMC)를 정상 인간 공여자로부터 얻었다. B 세포 반응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테스트 펩티드 - 10 ㎍/ml의 부재하에 (양성 증식 대조군) 또는 이의 존재하에 B 세포 미토겐 황색 포도상구균 Cowans I (SAC) + 인터루킨-2로 세포를 자극하여, B 세포 증식을 유도하였다. 105/웰 PBMC를 96 웰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에 평판 배양하고, 펩티드로 이중으로 검정하였다. 세포 배양물을 5% CO2 인큐베이터에서 37℃에서 3일간 배양한 후에, 추가로 12 시간 배양하면서 1 microCi/웰 3H-티미딘으로 펄스하였다. 배양 시간 종료시에, 플레이트를 수확하고, B 세포 증식 평가 기준으로서 세포에의 3H-티미딘의 혼입을 액체 신틸레이션에 의해 카운트하였다.
B 세포 증식 검정 결과:
화합물 SAC/IL2로 유도된
대조군에 대한 %
베타 MSH 100.4
실시예 11:
식작용 검정
RAW 264.7 (마우스 백혈병 단핵세포 대식세포 세포주) 세포를 ATCC로부터 얻어, 10% FBS를 함유하는 RPMI 1640 배지에서 성장시켰다. 섭취될 병원체로서 플루오레세인 표지 대장균을 첨가하기 전에, 37℃에서 30분간 테스트 펩티드 - 10 ㎍/ml로 12 × 75 mm 튜브에서 세포를 배양하였다. 세포를 37℃에서 추가로 60분간 배양하여, 플루오레세인 표지 대장균을 섭취하게 한 후에, 세포를 1% 파라포름알데히드로 고정시켰다. 그 다음에, 샘플을 플로사이토메트리로 분석하여, 휘도 함수로서 식작용의 양을 측정하였다 (식작용 활성이 높으면 높을수록, 대식세포 집단의 형광성이 높아진다). 양성 염색된 세포의 % 양성 평균 형광 강도 (MFI)로서 데이터를 나타낸다.
식작용 검정 결과:
화합물 대조군 식작용에 대한 %
베타 MSH 102.9
실시예 12:
아폽토시스 유도 검정
인간 A549 세포 (인간 폐포암 기저 상피 세포)를 아넥신-5 아폽토시스 검정 실험에 사용하였다. 아넥신-5는 칼슘 의존적으로 산성 인지질에 결합하는 고도로 보존된 단백질 패밀리의 멤버이다. 아넥신-5는 포스파티딜세린에 대하여 고친화성을 갖는다. 포스파티딜세린은 세포가 아폽토시스 또는 세포 괴사에 의한 사멸을 겪는 경우에 원형질막의 내측에서 외층으로 전위되며, 이는 사멸될 세포가 식세포에 의해 인지되는 시그널로서 작용한다. 아폽토시스 사인 (sign)을 분석하기 전에, 테스트 펩티드 - 10 ㎍/ml를 A549 세포에 24 시간 노출시켰다.
아폽토시스 유도 검정 결과:
화합물 유도율 %
베타 MSH 2.2
실시예 13:
아폽토시스 예방 검정
인간 A549 세포 (인간 폐포암 기저 상피 세포)를 아넥신-5 아폽토시스 검정 실험에 사용하였다. 아넥신-5는 칼슘 의존적으로 산성 인지질에 결합하는 고도로 보존된 단백질 패밀리의 멤버이다. 아넥신-5는 포스파티딜세린에 대하여 고친화성을 갖는다. 포스파티딜세린은 세포가 아폽토시스 또는 세포 괴사에 의한 사멸을 겪는 경우에 원형질막의 내측에서 외층으로 전위되며, 이는 사멸될 세포가 식세포에 의해 인지되는 시그널로서 작용한다. A549 세포를 테스트 펩티드 - 10 ㎍/ml로 30분간 전처리한 다음에, C2 세라마이드에 노출시켰다. 세라마이드는 미토겐 활성화 단백질 키나아제 (MAPK) 및 스트레스 활성화 키나아제 (JNK/SAPK)의 활성화를 통해 세포 아폽토시스를 매개한다. C2 세라마이드는 세라마이드의 막 가용성 합성 유사체이다.
아폽토시스 예방 검정 결과:
화합물 세라마이드로 유도된 아폽토시스
예방률 %
베타 MSH 16.45
실시예 14:
Th1/Th2 사이토카인 프로파일링 검정
Balb/c 마우스 (1923년에 유래된 일반적인 균주로, 다수의 상이한 리서치 분야에 사용됨. 또한 20회 이상의 상이한 연속 형매 교배 (brother-sister mating) 생산에 의한 동종 교배로서 분류됨, Balb/c 마우스는 알비노로 사이즈가 작음)를 PBS (5 ㎍/인젝션) 중의 오발부민 (오발부민은 통상 테스트 동물의 면역 반응을 자극시키는데 사용되는, 난백에서 발견되는 주요 단백질임)으로 1, 15, 및 29일째에 면역화시켰다. 50일째에, 마우스의 비장을 채취하였다 (오발부민으로 최후 부스트 (boost) 3주 후에). 세포를 배양하여 (2 × 105/웰, 삼중 실험), 배지 또는 테스트 펩티드 - 10 ㎍/ml로 30분간 배양하였다. 그 후에, 추가의 오발부민을 세포의 시험관 내에서의 재자극을 위해 10 ㎍/ml으로 세포에 가하였다. 72 시간 후에, 세포 상청액을 채취하여, 벡톤 디킨슨 (Becton Dickinson) 마우스 Th1/Th2 사이토카인 CBA 키트를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이 키트는 단일 샘플 중의 인터루킨-2 (IL-2), 인터루킨-4 (IL-4), 인터루킨-5 (IL-5), 인터페론-γ (IFN-γ), 및 종양괴사인자-α (TNF-α) 단백질 레벨을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키트 성능은 조직 배양 상청액 및 혈청 샘플 중의 특이적 사이토카인 단백질의 생리적으로 상응하는 농도 (pg/ml 레벨)의 분석에 최적화되어 있다.
Th1/Th2 사이토카인 검정 결과:
화합물 TNF-α 비장 세포;
TH1 반응
(대조군에 대한 %)
IFNγ 비장
세포;
TH1 반응
(대조군에
대한 %)
IL-2 비장
세포
(대조군에
대한 %)
IL-4 비장 세포;
TH2 반응
(대조군에 대한 %)
IL-5 비장
세포;
TH2 반응
(대조군에
대한 %)
베타 MSH 114.1 102.8 256.0 188.6 150.2
실시예 15:
TNF 알파 생성 검정
인간 말초 혈액 단핵 세포 (PBMC)를 정상 인간 공여자로부터 얻었다. 플레이트의 플라스틱 웰에 PBMC을 부착시켜, 대식세포를 준비하였다. 2 ng/ml의 재조합 인간 대식세포-콜로니 자극인자의 존재하에 8일 배양한 후, 분화된 대식세포를 테스트 펩티드 - 10 ㎍/ml와 함께 30분간 전배양한 다음에, 200 ng/ml의 최종 농도로 리포폴리사카라이드를 첨가하여, 인웰 자극 (in-well stimulation)을 유도하였다. 자극되지 않은 대식세포를 음성 백그라운드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하룻밤 동안의 배양 후에, 대조군 및 LPS로 자극된 배양물의 상청액을 채취하여, TNF 알파 특이적 ELISA를 이용하여 TNF 알파 생성을 검정하였다.
TNF 알파 검정 결과:
화합물 LPS 유도율 %
베타 MSH 97.3
실시예 16:
내피세포 이동 검정
내피세포 이동은 혈관 형성의 온사이트 (on-site) 동원에 불가결한 신혈관 형성 또는 혈관 신생 과정의 필요조건이다. 일차 인간 내피세포 (HUVEC)를 0.1% 소 혈청 알부민이 추가된 내피세포 기초 배지 (EBM)에서 37℃에서 6 시간 동안 멀티트랜스웰 (multi-transwell) 플레이트의 3 ㎛의 세공 직경을 갖는 인서트 챔버에 시딩하였다. 그 후에, 이중 실험으로, 지정 농도의 테스트 펩티드 - 10 ㎍/ml를 웰에 가하였다. 내피세포를 37℃에서 22 시간 동안 이동시킨 다음에, 이동된 세포를 고정시켜, 훽스트 (Hoechst) 33342 염료로 염색시켰다. 인서트 당 3개 필드의 이미지를 취해, 필드 당 이동된 세포수를 ImageProPlus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정량화하였다. 각 처리 조건에 있어서, 6개의 데이터 포인트의 표준편차 및 이동된 세포의 평균수에 대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HUVEC 이동에 대한 활성 테스트 펩티드를 대조군과 비교하여 이동된 세포의 50% 저해율에 기초하여 측정하였다. 통계적 p 값을 스튜던트 t-테스트 (Student's t-test)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내피세포 이동 검정 결과:
화합물 이동 저해율 %
베타 MSH 16
실시예 17:
내피세포관 형성 검정
내피세포관 형성 검정은 기저막 추출물의 겔에 배양하는 경우의 삼차원 모세혈관과 유사한 관상 구조를 형성하는 내피세포의 능력에 기초한다. 내피세포관 형성 검정은 혈관 신생의 저해 및 유도를 조사하기 위한 강력한 모델을 나타낸다. 칼세인 AM으로 사전 표지된 HUVEC를 세포외 기질 (Chemicon international Cat. ECM625)로 코팅된 96 웰 배양 플레이트에 시딩하여, 풀 (full) 성장 배지에서 테스트 펩티드 - 10 ㎍/ml로 처리하였다. 양성 대조군은 비히클 단독이었다. 내피세포를 20 시간 동안 관을 형성시킨 다음에, 도립 형광현미경하에 조사하였다. 이중 실험으로, 각 처리에 대한 웰을 촬영하여,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 ImageProPlus를 이용하여 평균 세관 길이를 검정하였다. 원 데이터를 픽셀로 나타낸 평균 소관 길이 ±표준편차로서 나타내었다. 통계적 p 값을 스튜던트 t-테스트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내피세포관 형성 검정 결과:
화합물 관 형성 저해율 %
베타 MSH 2
실시예 18:
cAMP 유도 검정
cAMP 키트를 인간 말초 혈액 단핵 세포 (PBMC) 중의 환상 AMP 생성의 정량 측정에 대한 면역측정법으로서 사용하였다. PBMC를 96 웰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 (4 × 106/ml에서의 세포 50 ㎕)에 넣고, 배지 단독 (백그라운드 대조군) 50 ㎕, 포르스콜린 (cAMP 양성 대조군; 50 ㎍/ml), 또는 테스트 펩티드를 가하였다. 플레이트를 혼합하여, 37℃에서 10 분간 배양하고, 세포를 3% 과염소산 50 ㎕를 가해 용해시켰다. NaOH를 가해, 샘플을 중화시켰다. 플레이트를 2500 rpm으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청액을 제거하였다. 그 다음에, ELISA에 의해 상청액 (애세이 완충제로 2배 희석됨)의 cAMP 레벨을 검정하였다.
cAMP 유도 검정 결과:
화합물 포르스콜린
(양성 대조군)으로 유도된 cAMP
생성률 %
베타 MSH 0.0
실시예 19:
모유 제제
모유 또는 인공 모유 제제 또는 모유 대용품을 제조하는 방법은 WO03043429, US5962062, WO0030461, EP0527283, EP0832565에 기재되어 있다. 인공 모유 또는 모유 대용품 제제의 일례는 하기에 주어지며, 상술한 참고문헌에 개시된 다른 제제도 사용될 수 있고, 원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밀크 대용품은 탈지 밀크 고형분 약 15 중량%, 탈염수 약 75 중량%, 대두유 약 9 중량%, 카라기네이트 (carrageenate) 약 0.02 중량%, 레시틴 0.2 중량%, 및 인산일수소이나트륨 약 0.2 중량%를 함유한다.
제 1 단계에서, 가용화 수성 배지를 제조하며, 이는 물 약 75 중량%, 카라기네이트 약 0.02 중량% 및 인산일수소이나트륨 약 0.2 중량%를 포함한다. 그 다음에, 탈지 분유를 60℃에서 10 분간 용액에 가해, 액체 중에 용해시킨다.
그 다음에, 60℃에서 대두유 및 레시틴을 밀크 대용품 조성물에 가한다. 밀크 조성물을 55℃에서 30분간 정치시킨다. 저온 살균 후에, 본 발명의 펩티드를 액체 또는 분말 형태로 가하여, 얻어진 밀크 조성물이 밀크 조성물 100 ml 당 본 발명의 펩티드 5 내지 50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의 양이 포함되도록 한다. 임의로 펩티드 2가 얻어진 조성물과 비슷하거나 더 적은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실시예 20:
겔 제제
펩티드 0.5 g
이소프로판올 1.6 g
글리세롤 1.0 g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코폴리머 12500 (플루로닉 F127) 1.6 g
물 5.3 g을 10 분간 혼합한 다음에, 연속 교반하에 85℃로 15분간 가열하였다. 용액을 교반하에 실온으로 냉각시킨다. 냉각 단계시에, 용액은 약 45℃의 온도에서 겔화되기 시작하여, 투명 겔을 형성한다. 겔은 의료용 펩티드 1을 5% 함유한다.
실시예 21:
로션 제제
펩티드 0.5 g
이소프로판올 1.9 g
디메틸이소소르바이드 1.0 g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코폴리머 12500 (플루로닉 F127) 1.0 g
물 5.6 g을 투명 용액이 형성될 때까지, 5O℃에서 교반, 가열시킨다. 그 다음에, 조성물을 교반하에 실온으로 냉각시킨다. 로션은 의료용 펩티드 1을 5% 함유한다.
SEQUENCE LISTING <110> mondoBIOTECH Laboratories AG <120> Use of a peptide as a therapeutic agent <130> MON-P02816WO <140> PCT/EP2008/008036 <141> 2008-09-09 <150> EP07017755.5 <151> 2007-09-11 <160> 1 <170> PatentIn version 3.3 <210> 1 <211> 22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 Ala Glu Lys Lys Asp Glu Gly Pro Tyr Arg Met Glu His Phe Arg Trp 1 5 10 15 Gly Ser Pro Pro Lys Asp 20

Claims (12)

  1. 약제에 사용하기 위한 식 Ala-Glu-Lys-Lys-Asp-Glu-Gly-Pro-Tyr-Arg-Met-Glu-His-Phe-Arg-Trp-Gly-Ser-Pro-Pro-Lys-Asp-OH를 갖는 펩티드.
  2. 암, 자가면역질환, 섬유성 질환, 염증성 질환, 신경 변성 질환, 감염성 질환, 폐질환, 심장 혈관 질환 및 대사성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펩티드 Ala-Glu-Lys-Lys-Asp-Glu-Gly-Pro-Tyr-Arg-Met-Glu-His-Phe-Arg-Trp-Gly-Ser-Pro-Pro-Lys-Asp-OH의 용도.
  3. 제 2 항에 있어서, 암, 자가면역질환, 섬유성 질환, 염증성 질환, 신경 변성 질환, 감염성 질환, 폐질환, 심장 혈관 질환 또는 대사성 질환이 AIDS, 알츠하이머 병,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허혈 신장애, 파킨슨병, 색소성 망막염, 간질, 재생불량빈혈, 골수형성이상 증후군, CD4+ T-세포 림프구 감소증, G6PD 결핍증, 심근경색증, 뇌졸중, 다낭신, 급성 간부전, 급성 세뇨관 괴사, 불임, 폐렴 연쇄상 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 유도 상피 세포사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유도 세포사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펩티드의 용도.
  4. 신생아 (newborn), 유아 (toddler), 및/또는 소아 (infant)에 대한 경구 투여용 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제 1항에 따른 펩티드의 용도.
  5. 동결건조 제제 또는 완충 액상 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제 1항에 따른 펩티드의 용도.
  6.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항동해제 (cryoprotectant), 동결건조보호제 (lyoprotectant), 부형제 및/또는 희석제와 함께, 펩티드 Ala-Glu-Lys-Lys-Asp-Glu-Gly-Pro-Tyr-Arg-Met-Glu-His-Phe-Arg-Trp-Gly-Ser-Pro-Pro-Lys-Asp-OH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동결건조물 또는 액상 완충액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정맥내 투여, 경구 투여, 또는 흡입 투여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9. 제 6 항,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신생아, 유아 및 소아에 대한 경구 전달에 적합한 인공 모유 제제 또는 모유 대용품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0. 제 6 항, 제 7 항,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암, 자가면역질환, 섬유성 질환, 염증성 질환, 신경 변성 질환, 감염성 질환, 폐질환, 심장 혈관 질환 또는 대사성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1. 암, 자가면역질환, 섬유성 질환, 염증성 질환, 신경 변성 질환, 감염성 질환, 폐질환, 심장 혈관 질환 또는 대사성 질환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펩티드 Ala-Glu-Lys-Lys-Asp-Glu-Gly-Pro-Tyr-Arg-Met-Glu-His-Phe-Arg-Trp-Gly-Ser-Pro-Pro-Lys-Asp-OH 또는 이의 염 및 수화물의 약제학적 유효량을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의 암, 자가면역질환, 섬유성 질환, 염증성 질환, 신경 변성 질환, 감염성 질환, 폐질환, 심장 혈관 질환 또는 대사성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암, 자가면역질환, 섬유성 질환, 염증성 질환, 신경 변성 질환, 감염성 질환, 폐질환, 심장 혈관 질환 또는 대사성 질환이 AIDS, 알츠하이머 병,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허혈 신장애, 파킨슨병, 색소성 망막염, 간질, 재생불량빈혈, 골수형성이상 증후군, CD4+ T-세포 림프구 감소증, G6PD 결핍증, 심근경색증, 뇌졸중, 다낭신, 급성 간부전, 급성 세뇨관 괴사, 불임, 폐렴 연쇄상 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 유도 상피 세포사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유도 세포사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07005661A 2007-09-11 2008-09-09 Aids 또는 알츠하이머 병의 치료를 위한 치료제로서의 베타-멜라노트로핀의 용도 KR201000598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7017755 2007-09-11
EP07017755.5 2007-09-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9865A true KR20100059865A (ko) 2010-06-04

Family

ID=40130545

Famil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5616A KR20100058554A (ko) 2007-09-11 2008-09-09 치료제로서의 망막 콜린성 뉴런을 위한 신경영양성 인자 (nfrcn) 및 융모성 고나도트로핀―베타 (109―145)의 용도
KR1020107005600A KR20100057049A (ko) 2007-09-11 2008-09-09 치료제로서의 고나도렐린의 용도
KR1020107005653A KR20100057641A (ko) 2007-09-11 2008-09-09 인터메딘 47 및 53 펩티드의 치료적 용도
KR1020107005634A KR20100057057A (ko) 2007-09-11 2008-09-09 치료제로서의 멜라닌 농축 호르몬 및 met-엔케팔린의 용도
KR1020107005597A KR20100056510A (ko) 2007-09-11 2008-09-09 치료제로서의 유로딜라틴의 용도
KR1020107005620A KR20100059859A (ko) 2007-09-11 2008-09-09 치료제로서의 c형 나트륨이뇨 펩티드 단독 또는 뉴로펩티드 af와의 배합물의 용도
KR1020107005661A KR20100059865A (ko) 2007-09-11 2008-09-09 Aids 또는 알츠하이머 병의 치료를 위한 치료제로서의 베타-멜라노트로핀의 용도
KR1020107005654A KR20100057642A (ko) 2007-09-11 2008-09-09 치료제로서의 cnp-22 단독 또는 피살라에민과 배합된 이의 용도

Family Applications Before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5616A KR20100058554A (ko) 2007-09-11 2008-09-09 치료제로서의 망막 콜린성 뉴런을 위한 신경영양성 인자 (nfrcn) 및 융모성 고나도트로핀―베타 (109―145)의 용도
KR1020107005600A KR20100057049A (ko) 2007-09-11 2008-09-09 치료제로서의 고나도렐린의 용도
KR1020107005653A KR20100057641A (ko) 2007-09-11 2008-09-09 인터메딘 47 및 53 펩티드의 치료적 용도
KR1020107005634A KR20100057057A (ko) 2007-09-11 2008-09-09 치료제로서의 멜라닌 농축 호르몬 및 met-엔케팔린의 용도
KR1020107005597A KR20100056510A (ko) 2007-09-11 2008-09-09 치료제로서의 유로딜라틴의 용도
KR1020107005620A KR20100059859A (ko) 2007-09-11 2008-09-09 치료제로서의 c형 나트륨이뇨 펩티드 단독 또는 뉴로펩티드 af와의 배합물의 용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5654A KR20100057642A (ko) 2007-09-11 2008-09-09 치료제로서의 cnp-22 단독 또는 피살라에민과 배합된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9) US20100323950A1 (ko)
EP (9) EP2187944A1 (ko)
JP (8) JP2010539051A (ko)
KR (8) KR20100058554A (ko)
AU (8) AU2008297891A1 (ko)
CA (8) CA2698828A1 (ko)
RU (8) RU2010114004A (ko)
WO (21) WO200904346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65023T3 (es) 2004-04-21 2011-09-20 Enobia Pharma Inc. Conjugados de administración ósea y método de uso de los mismos para dirigir proteínas a hueso.
ES2554713T3 (es) 2005-04-07 2015-12-22 Cardiorentis Ag Uso de un péptido natriurético para tratar insuficiencia cardiaca
JP4593639B2 (ja) 2008-03-04 2010-12-08 株式会社マルハニチロ食品 ペプチド含有摂食調節剤
HUE057174T2 (hu) 2009-05-20 2022-04-28 Biomarin Pharm Inc A C-típusú nátriuretikus peptid variánsai
DK2457581T3 (da) * 2009-07-23 2014-03-31 Igisu Co Ltd Sammensætning omfattende CNP eller BNP for et udvendigt præparat til hud til behandling af dermatitis
BR112012004058A2 (pt) 2009-08-27 2021-08-17 Kyoko Endo preparação terapêutica para rinite
WO2011153531A1 (en) 2010-06-04 2011-12-08 University Of South Florida Method of treating skeletal dysplasias using vessel dilator
US9585935B2 (en) * 2010-07-30 2017-03-0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Intranasal oxytocin treatment to improve schizophrenia
EP2658979B1 (en) 2010-12-27 2018-02-14 Alexion 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ns comprising natriuretic peptid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HUE035584T2 (en) 2011-01-21 2018-05-28 Igisu Co Ltd A therapeutic agent for the treatment of allopathy
EP2678002A2 (en) 2011-02-25 2014-01-01 Medtronic, Inc. Therapy for kidney disease and/or heart failure
WO2012118042A1 (ja) * 2011-02-28 2012-09-07 独立行政法人国立循環器病研究センター 悪性腫瘍転移抑制用医薬
US9233143B2 (en) * 2011-08-19 2016-01-12 National Cerebral And Cardiovascular Center Medicinal agent for preventing exacerbation of malignant tumor, comprising combination of natriuretic peptide receptor GC-A and GC-B agonists
WO2013033675A1 (en) 2011-09-02 2013-03-07 Medtronic, Inc. Chimeric natriuretic peptid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preparation
CN102380089A (zh) * 2011-11-14 2012-03-21 北京大学 中介素1-53在制备糖代谢紊乱治疗药物中的新用途
CN102389567A (zh) * 2011-11-14 2012-03-28 北京大学 中介素1-53在制备脂代谢紊乱治疗药物中的新用途
CN102441159B (zh) * 2011-12-08 2013-12-25 赵海潞 一种人类多肽在制备免疫调节剂中的应用
US20150045301A1 (en) * 2011-12-16 2015-02-12 Kalos Therapeutics, Inc. Methods and uses of anp (atrial natriuretic peptide), bnp (brain natriuretic peptide) and cnp (c-type natriuretic peptide)-related peptides and derivatives thereof for treatment of retinal disorders and diseases
ES2425448B8 (es) * 2012-03-12 2015-03-17 Universidade De Santiago De Compostela Uso de la obestatina para la regeneración muscular
RU2496504C1 (ru) * 2012-03-22 2013-10-2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чный центр биомедицинских технологий"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медицинских наук Средство для стимуляции работы в экстремальных условиях,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и его применения
US10052366B2 (en) 2012-05-21 2018-08-21 Alexion Pharmaceuticsl, Inc. Compositions comprising alkaline phosphatase and/or natriuretic peptide and methods of use thereof
WO2014116786A1 (en) * 2013-01-25 2014-07-31 Zietchick Research Institute,Llc Use of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to treat cerebral palsy and/or its co-morbidities
RU2521197C1 (ru) * 2013-03-22 2014-06-27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Рост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медицин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ГБОУ ВПО РостГМУ Минздрава России)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больных деструктивными формами туберкулеза легких
JP2017518373A (ja) * 2014-05-29 2017-07-06 グリーン・クロス・コーポレイションGreen Cross Corp. スタフィロコッカス・アウレウス感染疾患の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WO2016007873A1 (en) 2014-07-11 2016-01-1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craniosynostosis
CN112773765A (zh) 2014-09-19 2021-05-11 辉凌公司 治疗普拉德-威利综合征的方法
EP3212212B1 (en) 2014-10-31 2020-09-23 Monash University Powder formulation
US10449236B2 (en) 2014-12-05 2019-10-22 Alexion Pharmaceuticals, Inc. Treating seizure with recombinant alkaline phosphatase
CA2973883A1 (en) 2015-01-28 2016-08-04 Alexion Pharmaceuticals, Inc. Methods of treating a subject with an alkaline phosphatase deficiency
EP3307283B1 (en) * 2015-06-10 2020-09-02 Cellphire Inc. Composition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loss of fluids leading to hypotension and/or hypovolemia
RU2587332C1 (ru) * 2015-07-01 2016-06-2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Рост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медицин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ГБОУ ВПО РостГМУ Минздрава России)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больных деструктивными формами туберкулеза легких
WO2017010845A1 (ko) * 2015-07-15 2017-01-19 재단법인 목암생명과학연구소 포도상구균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1352612B2 (en) 2015-08-17 2022-06-07 Alexion Pharmaceuticals, Inc. Manufacturing of alkaline phosphatases
KR101727397B1 (ko) 2015-09-15 2017-04-1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멜라닌 응집 호르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증 억제용 조성물
WO2017058822A1 (en) 2015-09-28 2017-04-06 Alexion Pharmaceuticals, Inc. Identifying effective dosage regimens for tissue non-specific alkaline phosphatase (tnsalp)-enzyme replacement therapy of hypophosphatasia
WO2017064302A1 (en) * 2015-10-16 2017-04-20 INSERM (Institut National de la Santé et de la Recherche Médicale) Method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autoimmune inflammatory diseases
EP3368062A4 (en) 2015-10-30 2019-07-03 Alexion Pharmaceuticals, Inc. METHODS OF TREATING CRANIOSYNOSTOSIS IN A PATIENT
WO2017155569A1 (en) 2016-03-08 2017-09-14 Alexion Pharmaceuticals, Inc. Methods for treating hypophosphatasia in children
CA3019726A1 (en) 2016-04-01 2017-10-05 Alexion Pharmaceuticals, Inc. Treating muscle weakness with alkaline phosphatases
WO2017173395A1 (en) 2016-04-01 2017-10-05 Alexion Pharmaceuticals, Inc. Methods for treating hypophosphatasia in adolescents and adults
US10988744B2 (en) 2016-06-06 2021-04-27 Alexion Pharmaceuticals, Inc. Method of producing alkaline phosphatase
EP3500289B1 (en) 2016-08-18 2024-10-09 Alexion Pharmaceuticals, Inc. Asfotase alfa for use in treating tracheobronchomalacia
KR20190117541A (ko) 2017-01-20 2019-10-16 이뮨 시스템 레귤레이션 홀딩 에이비 신규 화합물 (이뮤노렐린)
WO2018134373A1 (en) 2017-01-20 2018-07-26 Immune System Regulation Holding Ab Novel compounds (immunorhelins- intracellular infections)
CN110381977A (zh) * 2017-01-20 2019-10-25 免疫系统调节控股有限公司 已知化合物的治疗细胞内感染的新用途
EP3585414A1 (en) 2017-02-22 2020-01-01 Immune System Regulation Holding AB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s for use as adjuvant immunotherapeutics
CN110719786A (zh) 2017-03-31 2020-01-21 阿雷克森制药公司 用于治疗成人和青少年的低磷酸酯酶症(hpp)的方法
CN108186583A (zh) * 2018-03-28 2018-06-22 宁波第二激素厂 一种兽用戈那瑞林注射剂的制备方法
EP3773684A1 (en) 2018-03-30 2021-02-17 Alexion Pharmaceuticals, Inc. Manufacturing of glycoproteins
CN112969450B (zh) 2018-09-20 2023-05-30 阿卡蒂亚药品公司 卡贝缩宫素药物产品及用于制备其的方法
CN112839632A (zh) 2018-09-20 2021-05-25 莱沃疗法公司 稳定的鼻内卡贝缩宫素制剂
CA3121200A1 (en) 2018-11-30 2020-06-04 Cellphire, Inc. Platelets as delivery agents
US11767511B2 (en) 2018-11-30 2023-09-26 Cellphire, Inc. Platelets as delivery agents
CN109893646A (zh) * 2019-03-19 2019-06-18 南京星银药业集团有限公司 一种治疗抑郁症的组合物
US11529587B2 (en) 2019-05-03 2022-12-20 Cellphire, Inc. Materials and methods for producing blood products
FR3099056B1 (fr) * 2019-07-26 2022-08-12 Univ Rouen Normandie Utilisation de l’ANP pour détruire les biofilms bactériens
AU2020334903B2 (en) 2019-08-16 2023-12-21 Cellphire, Inc. Thrombosomes as an antiplatelet agent reversal agent
CN112641928A (zh) * 2019-10-11 2021-04-13 田中纯美 一种用于血管新生、淋巴管新生相关疾病的多肽及其用途
CA3170201A1 (en) 2020-02-04 2021-08-12 Cellphire, Inc. Methods of treating congenital hemophilia with anti-fibrinolytic loaded platelets
US11419917B2 (en) 2020-04-07 2022-08-23 Drora Shevy Treatment for SARS-CoV-2 and other coronaviruses
WO2022029499A1 (en) * 2020-08-06 2022-02-10 Ads Aiphia Development Services Ag Methods of treating refractory ascites
CN112212178B (zh) * 2020-09-11 2022-04-01 山东中科诺亚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自转向的森林火灾监控装置
CA3173631A1 (en) 2021-02-12 2022-08-18 Walter C. Voegtli Alkaline phosphatase polypeptid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14940990B (zh) * 2022-06-20 2023-03-14 北京市神经外科研究所 与颅内动脉瘤相关的基因突变位点及其应用
EP4434579A1 (en) * 2023-03-23 2024-09-25 Servizo Galego de Saude Obestatin for use as antineoplastic agent in the treatment of pancreatic cancer

Family Cites Families (10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8373A (en) 1976-02-26 1980-02-12 Cooper Laboratories, Inc. Clear, water-miscible, liquid pharmaceutical vehicles and compositions which gel at body temperature for drug delivery to mucous membranes
US4100271A (en) 1976-02-26 1978-07-11 Cooper Laboratories, Inc. Clear, water-miscible, liquid pharmaceutical vehicles and compositions which gel at body temperature for drug delivery to mucous membranes
US4235988A (en) 1976-12-13 1980-11-25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Limited Delivery means for biologically active agents
US4321260A (en) * 1980-05-22 1982-03-23 Ayerst, Mckenna & Harrison Inc. Method of using gonadorelin for the treatment of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US4478822A (en) 1983-05-16 1984-10-23 Merck & Co., Inc. Drug delivery system utilizing thermosetting gels
US4474751A (en) 1983-05-16 1984-10-02 Merck & Co., Inc. Ophthalmic drug delivery system utilizing thermosetting gels
US4474752A (en) 1983-05-16 1984-10-02 Merck & Co., Inc. Drug delivery system utilizing thermosetting gels
US4474753A (en) 1983-05-16 1984-10-02 Merck & Co., Inc. Topical drug delivery system utilizing thermosetting gels
US4496521A (en) * 1983-07-15 1985-01-29 The Whittier Institute For Diabetes And Endocrinology Insulin-potentiating peptides
US5432176A (en) * 1988-11-29 1995-07-11 The John Hopkins University Method of retarding the progression of chronic renal failure
US5324510A (en) * 1989-09-01 1994-06-28 Boehringer Ingelheim Pharmaceuticals, Inc. Use of antibodies to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1 (ICAM-1) in the treatment of asthma
US5262520A (en) * 1989-12-01 1993-11-16 The Scripps Research Institute Peptides and antibodies that inhibit integrin-ligand binding
WO1991018010A1 (en) * 1990-05-15 1991-11-28 Swinburne Limited Inhibition of viral infection using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1-like peptides and/or analogues thereof
JP2977159B2 (ja) * 1990-09-07 1999-11-10 壽之 松尾 カエル由来新規生理活性ペプチド(カエルcnp)
JP3130080B2 (ja) * 1990-12-27 2001-01-31 日清製粉株式会社 ペプチ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256766A (en) * 1991-02-19 1993-10-2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Recombinant thrombin receptor and related pharmaceuticals
WO1992019254A1 (en) * 1991-04-24 1992-11-12 Warner-Lambert Company α-SUBSTITUTED POLYPEPTIDES HAVING THERAPEUTIC ACTIVITY
DE69128283T2 (de) 1991-08-12 1998-03-19 Nestle Sa Nahrungsmittelzusammensetzung
IL106998A0 (en) * 1992-09-17 1993-12-28 Univ Florida Brain-enhanced delivery of neuroactive peptides by sequential metabolism
DE4310632A1 (de) * 1993-04-01 1994-10-06 Merck Patent Gmbh Lineare Adhäsionsinhibitoren
CN1096862C (zh) 1994-05-06 2002-12-25 辉瑞大药厂 阿齐霉素的控释剂型
AU2473695A (en) * 1994-05-09 1995-11-29 Johns Hopkins University, The Method of slowing the progression of hiv infection
US5677275A (en) * 1994-08-05 1997-10-1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Treatment of cancer with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US5849708A (en) * 1995-06-06 1998-12-15 Joslin Diabetes Center, Inc. Promotion of eating behavior
EA000900B1 (ru) 1996-02-19 2000-06-26 Никомед Имеджинг Ас Термически стабилизированный контрастный агент
JPH09227590A (ja) * 1996-02-27 1997-09-02 Nisshin Flour Milling Co Ltd ペプチド
DE69722594T2 (de) * 1996-03-06 2004-04-29 Boehringer Ingelheim Pharmaceuticals, Inc., Ridgefield Pulverförmiges arzneimittel enthaltend interzelluläres adhäsionsmolekül
US6136780A (en) * 1996-03-29 2000-10-24 The Penn State Research Foundation Control of cancer growth through the interaction of [Met5 ]-enkephalin and the zeta (ζ) receptor
US20040063790A1 (en) * 1996-05-31 2004-04-01 The Scripps Research Institute Methods for inhibition of angiogenesis
WO1997049721A1 (en) * 1996-06-24 1997-12-31 University Of Maryland Biotechnology Institute Methods of treatment of wasting syndrome based on administration of derivatives of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TW360501B (en) 1996-06-27 1999-06-11 Nestle Sa Dietetically balanced milk product
GB9613705D0 (en) 1996-06-29 1996-08-28 Mini Agriculture & Fisheries Novel peptides
ATE193636T1 (de) 1996-09-24 2000-06-15 Nestle Sa Milchaustauschprodukt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SE9701162D0 (sv) * 1997-03-27 1997-03-27 Karolinska Innovations Ab New use II
US6583109B1 (en) * 1997-06-24 2003-06-24 Robert C. Gallo Therapeutic polypeptides from β-hCG and derivatives
IL123349A0 (en) * 1998-02-18 1998-09-24 Hadasit Med Res Service Agents for the prevention of damages caused by stress conditions
US7175679B2 (en) * 2001-03-29 2007-02-13 Biotempt B.V. Oligopeptide treatment of NF-κB mediated inflammation
GB9816234D0 (en) * 1998-07-24 1998-09-23 William Harvey Research Limite Compound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inflammation
US6333313B1 (en) * 1998-10-29 2001-12-25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Clinical use of oxytocin alone or in combination to treat bone disorders
ES2226466T3 (es) 1998-11-24 2005-03-16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Procedimiento de preparacion de una composicion proteinica y de una formula infantil que la contiene.
WO2000041717A2 (en) * 1998-12-18 2000-07-20 Avi Biopharma, Inc. Chorionic gonadotropin dna vaccines and methods
DE19903087A1 (de) * 1999-01-27 2000-08-10 Forssmann Wolf Georg Behandlung von erektilen Dysfunktionen mit C-Typ Natriuretischem Polypeptid (CNP) als Monotherapie oder in Kombination mit Phosphodiesterasehemmern
US20040259803A1 (en) * 1999-04-15 2004-12-23 Monash University Disease prevention by reactivation of the thymus
US20040013641A1 (en) * 1999-04-15 2004-01-22 Monash University Disease prevention by reactivation of the thymus
EP1173195B1 (en) 1999-04-21 2007-10-10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UTEROGLOBIN IN THE TREATMENT OF IgA MEDIATED AUTOIMMUNE DISORDERS
DE60026300T2 (de) * 1999-05-17 2006-11-16 Conjuchem, Inc., Montreal Schutz endogener, therapeutisch aktiver peptide vor peptidaseaktivität durch konjugation an blutbestandteile
DE19942230C2 (de) * 1999-09-03 2003-09-25 Wolf-Georg Forssmann Verwendung natriuretischer Peptide als antibiotisch wirksame Subsanzen zur Behandlung von bakteriellen Infektionen
WO2001017958A2 (en) * 1999-09-10 2001-03-15 Merck & Co., Inc. Neuropeptide sf receptor assays, compounds and therapeutic methods
US7235531B2 (en) * 1999-12-21 2007-06-26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Tachykinin-like polypeptides and use thereof
US6894026B1 (en) * 2000-01-11 2005-05-17 Atossa Healthcare, Inc. Long-acting oxytocin analogues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breast cancer and psychiatric disorders
US20010046968A1 (en) * 2000-03-23 2001-11-29 Zagon Ian S. Opioid growth factor modulates angiogenesis
JP4237375B2 (ja) * 2000-03-31 2009-03-11 アスビオファーマ株式会社 虚血性疾患の処置又は予防に用いる医薬組成物
SE0001440D0 (sv) * 2000-04-18 2000-04-18 Entretech Medical Ab A drug against climacteric disorders
DE50201566D1 (de) * 2001-02-24 2004-12-23 Mologen Ag Beta-endorphin / crf - gentherapie zur lokalen schmerzbekämpfung
SE0100684D0 (sv) * 2001-02-28 2001-02-28 Kerstin Uvnaes Moberg New subject-matter
WO2002085401A1 (en) * 2001-04-18 2002-10-3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Retrocyclins: antiviral and antimicrobial peptides
KR100411828B1 (ko) * 2001-04-21 2003-12-24 김수열 항 염증 효과가 있는 새로운 합성 펩타이드
CN1541103A (zh) * 2001-05-16 2004-10-27 �����˹��P����������Ʒ� 诱导持续免疫应答的方法
GB0115515D0 (en) * 2001-06-25 2001-08-15 Ferring Bv Oxytocin agonisys
SE0102910D0 (sv) * 2001-08-31 2001-08-31 Moberg Kerstin Uvnaes New use
US6770625B2 (en) * 2001-09-07 2004-08-03 Nobex Corpora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calcitonin drug-oligomer conjugates and methods of treating diseases therewith
PT1314357E (pt) 2001-11-23 2007-09-05 Nestle Sa Processo de preparação de leites em pó e produtos lácteos concentrados
WO2003063889A1 (en) * 2002-01-31 2003-08-07 Joslin Diabetes Center, Inc. METHODS OF MODULATING β CELL FUNCTION
DE10209072A1 (de) * 2002-02-28 2003-09-18 Universitaetsklinikum Charite Mittel zur Reduktion des Körpergewichts
US20050232925A1 (en) * 2002-03-18 2005-10-20 Sukhatme Vikas P Protease activity of thrombin inhibits angiogenesis
CA2391118A1 (en) * 2002-06-21 2003-12-21 Universite Du Quebec A Montreal Oxytocin as cardiomyogenesis inducer and uses thereof
JP4249970B2 (ja) * 2002-10-17 2009-04-08 扶桑薬品工業株式会社 Par−1を介する消化器系疾患の予防および/または治療用組成物
US8168233B2 (en) * 2002-10-18 2012-05-01 Amylin Pharmaceuticals, Inc. Treatment of pancreatitis with amylin
US6969702B2 (en) * 2002-11-20 2005-11-29 Neuronova Ab Compounds and methods for increasing neurogenesis
EP1583541B1 (en) * 2002-11-20 2011-01-12 NeuroNova AB Compounds and methods for increasing neurogenesis
AU2003298739A1 (en) * 2002-11-26 2004-06-18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Intermedin and its uses
WO2004069175A2 (en) 2003-02-02 2004-08-19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PARKINSON’S DISEASE AND OTHER α-SYNUCLEINOPATHIES
GB0323378D0 (en) * 2003-10-07 2003-11-05 Univ Leicester Therapeutic agent
EP1522856A1 (en) * 2003-10-09 2005-04-13 BioVisioN AG Method for the detection of a neurological or psychiatric, demential disease, especially Alzheimer's disease by use of cholecystokinin (CCK)-molecules, corresponding substances and detection reagents
US20070053954A1 (en) * 2003-10-24 2007-03-08 Rowe Stephen C Macromer-melt formulations
EP1529535A1 (en) * 2003-11-06 2005-05-11 IPF PharmaCeuticals GmbH Isolation of a circulating human lipolytic peptide
US20050143303A1 (en) * 2003-12-26 2005-06-30 Nastech Pharmaceutical Company Inc. Intranasal administration of glucose-regulating peptides
US8076288B2 (en) * 2004-02-11 2011-12-13 Amylin Pharmaceuticals, Inc. Hybrid polypeptides having glucose lowering activity
WO2005082397A1 (en) * 2004-02-26 2005-09-09 The Penn State Research Foundation Combinatorial therapies for the treatment of neoplasias using the opioid growth factor receptor
US7399744B2 (en) * 2004-03-04 2008-07-15 Amylin Pharmaceuticals, Inc. Methods for affecting body composition
EP3620530A1 (en) * 2004-03-31 2020-03-11 Kazuwa Nakao Composition for increasing body height
CA2561530C (en) * 2004-03-31 2014-04-22 Kazuwa Nakao Therapeutic or prophylactic agent for arthritis
EP2631244A1 (en) * 2004-10-08 2013-08-28 Amylin Pharmaceuticals, Inc. Amylin family polypeptide-6 (AFP-6) analog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m
WO2006060873A1 (en) * 2004-12-09 2006-06-15 Prince Henry's Institute Of Medical Research Method for restoring reproductive function
JP5317318B2 (ja) * 2004-12-24 2013-10-16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新規ポリペプチドおよびその用途
US20060177438A1 (en) * 2005-02-08 2006-08-10 New England Medical Center Methods of altering absorption of hydrophobic compounds
CA2595526A1 (en) * 2005-02-09 2006-08-17 Da Volterra Colonic delivery of active agents
AU2006213607A1 (en) * 2005-02-11 2006-08-17 Amylin Pharmaceuticals, Llc GIP analog and hybrid polypeptides with selectable properties
WO2007022123A2 (en) * 2005-08-11 2007-02-22 Amylin Pharmaceuticals, Inc. Hybrid polypeptides with selectable properties
US20060229250A1 (en) * 2005-03-09 2006-10-12 Jian Zhang Ghrelin associated peptide and its uses
WO2006135783A2 (en) * 2005-06-10 2006-12-21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odulating angiogenesis
EP1912666A2 (en) * 2005-07-22 2008-04-23 Amylin Pharmaceuticals, Inc. Use of amylin and amylin agonists as cardioprotective or myoprotective agents
GB0516091D0 (en) * 2005-08-04 2005-09-14 Haemostatix Ltd Therapeutic agent
WO2007027910A2 (en) * 2005-09-01 2007-03-08 The Feinstein Institute For Medical Research Peptide mimics of 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WO2007034498A1 (en) * 2005-09-26 2007-03-29 Compugen Ltd. Atrial natriuretic peptide (anp) splice variants and methods of using same
WO2007044998A1 (en) * 2005-10-12 2007-04-1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Retrocyclins: antiviral and antimicrobial peptides
WO2007055743A2 (en) * 2005-11-01 2007-05-18 Amylin Pharmaceuticals, Inc. Treatment of obesity and related disorders
JP2009519949A (ja) * 2005-12-16 2009-05-21 アミリン・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肥満症および関連する代謝性疾患の治療の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MX2008009654A (es) * 2006-01-24 2009-01-15 Univ British Columbia Polimorfismos de vias de vasopresina como indicadores del resultado expuesto en sujetos criticamente enfermos.
BRPI0708773B1 (pt) 2006-03-10 2021-10-19 Laboswiss Ag Método para solubilização, dispersão e estabilização de substâncias, produtos manufaturados de acordo com o método, bem como uso dos mesmos
ATE516300T1 (de) * 2006-03-20 2011-07-15 Merck Sharp & Dohme Neuromedin-u-rezeptoragonisten und ihre verwendung
JP2009538824A (ja) * 2006-03-31 2009-11-12 アミリン・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精神疾患及び障害治療用アミリン及びアミリンアゴニスト
WO2007134151A2 (en) * 2006-05-10 2007-11-22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Composition and method for increasing cell permeability of a compound
JPWO2008029601A1 (ja) * 2006-08-16 2010-01-21 株式会社 未来創薬研究所 ニューロメジンu受容体2(fm4)分子に対するリガンド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癌治療剤
JP2010510196A (ja) * 2006-11-17 2010-04-02 ダ・ボルテラ オイドラギット被覆を施した亜鉛/ペクチンビーズを使用する結腸送達
EP2120985B1 (en) * 2007-02-05 2012-06-27 Amylin Pharmaceuticals, Inc. FN-38 peptide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psychotic and anxiety disorders
ES2854674T3 (es) * 2007-03-14 2021-09-22 Arch Biosurgery Inc Tratamiento de uniones estrechas con fugas o dañadas y mejora de la matriz extracelular
WO2009042053A2 (en) * 2007-09-21 2009-04-02 Merck & Co., Inc. Neuromedin u receptor agonists and use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43458A2 (en) 2009-04-09
RU2010113972A (ru) 2011-10-20
CA2699169A1 (en) 2009-04-16
KR20100056510A (ko) 2010-05-27
WO2009033717A3 (en) 2009-06-11
WO2009033707A3 (en) 2009-12-17
EP2197466A2 (en) 2010-06-23
JP2010539022A (ja) 2010-12-16
US20100204107A1 (en) 2010-08-12
WO2009046844A1 (en) 2009-04-16
WO2009033795A2 (en) 2009-03-19
KR20100059859A (ko) 2010-06-04
RU2010114043A (ru) 2011-10-20
JP2010539051A (ja) 2010-12-16
WO2009033744A1 (en) 2009-03-19
AU2008306217A1 (en) 2009-04-09
WO2009043527A2 (en) 2009-04-09
CA2699084A1 (en) 2009-04-16
WO2009043448A2 (en) 2009-04-09
WO2009043450A3 (en) 2009-07-30
RU2010114057A (ru) 2011-10-20
WO2009043527A3 (en) 2009-05-28
RU2010114004A (ru) 2011-10-20
CA2699104A1 (en) 2009-04-09
WO2009043448A3 (en) 2009-06-18
WO2009043450A8 (en) 2010-04-22
WO2009046865A2 (en) 2009-04-16
WO2009043466A3 (en) 2009-09-03
KR20100057057A (ko) 2010-05-28
WO2009043439A3 (en) 2009-12-17
WO2009043439A2 (en) 2009-04-09
AU2008306255A1 (en) 2009-04-09
AU2008297891A1 (en) 2009-03-19
WO2009033701A1 (en) 2009-03-19
JP2010539008A (ja) 2010-12-16
WO2009043458A3 (en) 2009-11-26
WO2009040020A1 (en) 2009-04-02
WO2009046852A1 (en) 2009-04-16
JP5385279B2 (ja) 2014-01-08
KR20100057049A (ko) 2010-05-28
US20100190717A1 (en) 2010-07-29
JP2010539028A (ja) 2010-12-16
US20100249017A1 (en) 2010-09-30
KR20100058554A (ko) 2010-06-03
US20100323950A1 (en) 2010-12-23
US20100210538A1 (en) 2010-08-19
JP2010539016A (ja) 2010-12-16
EP2190459A1 (en) 2010-06-02
US20100204090A1 (en) 2010-08-12
WO2009033707A2 (en) 2009-03-19
JP2010539059A (ja) 2010-12-16
CA2698778A1 (en) 2009-03-19
KR20100057642A (ko) 2010-05-31
RU2010114013A (ru) 2011-10-20
WO2009043466A2 (en) 2009-04-09
WO2009039990A2 (en) 2009-04-02
WO2009043457A2 (en) 2009-04-09
WO2009033735A2 (en) 2009-03-19
WO2009033795A3 (en) 2009-08-06
AU2008309993A1 (en) 2009-04-16
EP2190456A2 (en) 2010-06-02
EP2185171A2 (en) 2010-05-19
WO2009043450A2 (en) 2009-04-09
AU2008297898A1 (en) 2009-03-19
JP2010539056A (ja) 2010-12-16
US20100204139A1 (en) 2010-08-12
EP2187921A2 (en) 2010-05-26
WO2009033735A3 (en) 2009-05-22
WO2009043505A3 (en) 2009-10-29
EP2185177A1 (en) 2010-05-19
RU2010113985A (ru) 2011-10-20
CA2698971A1 (en) 2009-03-19
WO2009033724A1 (en) 2009-03-19
RU2010114024A (ru) 2011-10-20
EP2187944A1 (en) 2010-05-26
AU2008297909A1 (en) 2009-03-19
WO2009046861A1 (en) 2009-04-16
CA2698977A1 (en) 2009-03-19
EP2190450A2 (en) 2010-06-02
EP2205269A1 (en) 2010-07-14
US8349805B2 (en) 2013-01-08
JP2010539002A (ja) 2010-12-16
AU2008310078A1 (en) 2009-04-16
WO2009039990A3 (en) 2009-07-16
US20100204108A1 (en) 2010-08-12
AU2008297875A1 (en) 2009-03-19
CA2698828A1 (en) 2009-03-19
KR20100057641A (ko) 2010-05-31
WO2009043457A3 (en) 2009-11-26
RU2010114056A (ru) 2011-10-20
CA2698687A1 (en) 2009-04-09
WO2009046865A3 (en) 2009-09-11
WO2009033717A2 (en) 2009-03-19
WO2009043505A2 (en) 2009-04-09
US20100204109A1 (en) 201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59865A (ko) Aids 또는 알츠하이머 병의 치료를 위한 치료제로서의 베타-멜라노트로핀의 용도
KR20100057063A (ko) 치료제로서의 펩티드의 용도
KR20100075439A (ko) 치료제로서의 감마 1 msh 단독 또는 펜타가스트린과의 배합물
KR20100061679A (ko) 치료적 적용을 위한 티로트로핀 방출 호르몬
KR20100059856A (ko) 치료제로서의 항염증성 펩티드―1의 용도
KR20100056521A (ko) 치료제로서의 cgrp
KR20100057062A (ko) 치료제로서의 펩티드의 용도
KR20100061486A (ko) 치료제로서의 펩티드의 용도
KR20100057056A (ko) 치료제로서의 펩티드 phpfhlfvy (레닌 저해제)의 용도
KR20100061680A (ko) 치료제로서의 gly-pro-glu-oh(gpe)의 용도
KR20100061678A (ko) 치료제로서의 멜라노트로핀-촉진 인자의 용도
KR20100061487A (ko) 펩티드 yglf 및 kvlpvpq와의 배합물의 치료적 용도
KR20100061485A (ko) 치료제로서의 피브로넥틴 단편 (196-203)의 용도
KR20100057060A (ko) 치료제로서의 펩티드의 용도
KR20100058552A (ko) 치료제로서의 펩티드 rfmwmr의 용도
KR20100056520A (ko) 치료제로서의 렙틴 (22-56)의 용도
KR20100057051A (ko) 치료제로서의 옥트레오티드의 용도
KR20100061488A (ko) 치료제로서의 펩티드의 용도
KR20100058559A (ko) 스플레노펜틴 및 티모펜틴의 배합물 및 약제에서 이의 용도
KR20100056516A (ko) 가스트린-1 및 g-pen-grgdspca의 치료적 용도
KR20110056452A (ko) 치료제로서의 펩티드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