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6381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6381A
KR20100056381A KR1020090108982A KR20090108982A KR20100056381A KR 20100056381 A KR20100056381 A KR 20100056381A KR 1020090108982 A KR1020090108982 A KR 1020090108982A KR 20090108982 A KR20090108982 A KR 20090108982A KR 20100056381 A KR20100056381 A KR 20100056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ignal
lines
data lines
line
pixe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8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3077B1 (ko
Inventor
히로유키 마루
마사미 이세키
후지오 카와노
타츠히토 고덴
타카노리 야마시타
코우지 이케다
타케시 이주미다
히로시 카게야마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56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6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97Special arrangements with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of display data in the drivers for data electrodes, in a pre-processing circuitry delivering display data to said drivers or in the matrix panel, e.g. multiplexing plural data signals to one D/A converter or demultiplexing the D/A converter output to multiple colum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291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in which the data driver supplies a variable data voltage for setting the current through, or the voltage across, the light-emit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표시장치는, 데이터선들; 상기 데이터선들에 교차하도록 배치된 주사선들; 상기 데이터선들과 상기 주사선들과의 교점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상기 데이터선들과 상기 주사선들에 따라 배열한 화소회로들; 화상 신호들을 전달하는 화상 신호선들; 및 상기 데이터선들의 각각이 상기 화상 신호선들 중의 하나의 화상 신호선에 접속되도록 상기 데이터선들을, 상기 화상 신호선들에 접속하는 스위치들을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선들은, 2개의 인접하는 데이터선들이 서로 인접해 커플링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커플링된 2개의 데이터선들은, 상기 스위치들에 의해, 상기 화상신호들 중의 상이한 2개의 화상 신호선들에 접속된다.
Figure P1020090108982
표시장치, 데이터선, 주사선, 화소회로, 신호선, 스위치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표시장치 및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화질 열화를 방지하는 샘플링 유닛의 제어 및 데이터선의 배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이하,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소자), 액정 소자 등을 이용한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장치는, 화소회로마다 표시 소자와 각 소자의 표시 상태를 제어하는 회로를 갖고 있다. 화소회로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는, 아몰퍼스(amorphous)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폴리실리콘 TFT 등으로 구성된다. 화소회로는, 매트릭스의 행방향으로 화소회로를 접속하는 주사선에 의해 선 단위로 선택되고, 열방향으로 연장되는 데이터선으로부터 화상 신호를 수신한다. 화상 신호는 데이터선 구동 회로에서 발생한다.
데이터선 구동회로는, TFT로 구성되고, 화소회로 매트릭스의 한 변을 따라 데이터선의 각 열마다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또, 화상 신호는 표시 패널에 접속된 집적회로에서 만들어져 표시 패널에 설치된 배선(이하, 화상 신호선이라고 한다)을 통해서 데이터선에 전달되는 경우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집적회로에서 데이터선의 개수(즉, 매트릭스의 열 수)의 화상 신호를 생성해서 표시 패널에 보내면, 표시 패널 상에 다수의 화상 신호선을 배치해야 한다. 그 결과, 화상 신호선이 차지하는 면적에 의해 표시 패널의 이른바 프레임 가장자리 부분의 사이즈가 커져 버린다. 이 때문에, 집적회로의 출력의 개수를 데이터선의 개수보다 적게 줄여 배선수를 줄여서, 1개의 출력으로부터 시분할 방식으로 복수의 데이터선에 화상 신호를 보내는 구성이 개발되어 왔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소 62-55625호 공보에는, 화상 신호선 및 데이터선을 TFT 스위치와 접속하는 회로가 제안되어 있다. 데이터선이 640개, 신호선이 8개일 때, 각 데이터선에 대응해서 설치된 640개의 TFT 스위치는, 일단이 데이터선에 접속되고, 타단이 8열에 대해서 1개의 비율로 1개의 화상 신호선에 접속된다. TFT 스위치는 8개씩이 1개의 제어선의 제어 신호에 의해 동시에 개폐된다.
1개의 화상 신호선에는 80열의 데이터선의 화상 신호가 시계열로 보내져 TFT 스위치에 의해 80열의 데이터선에서 순차 샘플링된다. 샘플링된 화상 신호는, 데이터선의 기생 용량 혹은 주사선의 선택 신호에 의해 선택된 화소회로의 홀딩 커패시터에 보유된다.
이러한 화상 신호선과 데이터선을 TFT 스위치로 접속하는 구성에 있어서는, 모든 8열의 화상 신호는, 동시에 개폐되는 TFT 스위치에 의해 동시에 데이터선에 전해진다. 즉, 화상 신호는 8열을 1블록으로 해서, 블록마다 순차 샘플링될 것이다.
이 경우에, 다른 타이밍에서 화상 신호를 수신하는 데이터선들 간의 경계에, 의도하지 않은 화상의 경계선이 나타나서 화질이 열화하는 것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소 S61-180293호 공보에 지적되어 있다. 이것은, 데이터선으로부터 화상 신호를 받아 보유한 화소회로가, 그 후에 화상 신호를 수신한 다음 열의 데이터선에 의해 전압의 변동을 받기 때문이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소 S61-180293호 공보에서는, 변동하는 전압분을 미리 화상 신호에 가산해서 발생시키는 것으로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그런데, 유기 EL를 이용한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화소 밀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인접하는 화소회로에 의해 전원 공급선이 공유되는 레이아웃 방법이 PCT 국제공개특허 WO98/036407호 공보에 제안되어 있다. 열방향으로 연장되는 1개의 전원 공급선의 양측에 화소회로를 배치해서, 그 2열의 화소회로에 공통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전원 공급선의 개수를 줄여서 화소회로 간의 간격을 작게 할 수가 있다. 행방향으로 정렬해 있는 인접하는 화소회로 내에서, 트랜지스터, 캐패시터, 배선 등의 회로 요소는 열방향의 축에 대해서 선대칭으로 배치된다(이하, 이것을 플립(flip) 배치라고 한다). 데이터선은 화소회로에 대한 전원 공급선과 반대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인접하는 화소회로열 사이에는, 2개의 데이터선과 전원 공급선이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에 설명한 화상 신호선과 데이터선을 TFT 스위치로 접속하는 구성을, 화소회로가 플립 배치로 설치되어 있는 액티브 매트릭스 표시장치에 적용하면, 새로운 문제가 생긴다.
즉, 상이한 타이밍에서 화상 신호가 샘플링되는 데이터선의 경계가, 플립 배 치의 화소회로들 사이에 배치되는 2개의 데이터선 사이에 올 때, 먼저 화상 신호를 수신해서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선은, 인접 데이터선의 전압 변동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 이것에 대해서, 상이한 타이밍에서 화상 신호가 샘플링되는 데이터선의 경계가, 2열의 화소회로를 사이에 두고, 떨어져 배치되어 있는 데이터선들 사이에 올 때, 인접하는 데이터선의 전압 변동의 영향은 거의 받지 않는다.
이와 같이, 데이터선이 2개의 그룹으로 배치되어 있으면, 데이터선 사이의 기생 용량의 크기도 교대로 변화되어서, 샘플링 타이밍이 서로 다른 화소회로열 사이의 경계로서 전압 변동의 영향이 큰 경계와 작은 경계가 생기게 된다. 이 때문에, 2개의 경계마다 각각 다른 방법으로 화상 신호를 보정해야 하기 때문에, 보정회로가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접하는 데이터선의 전압 변동에 의한 화질 열화가 없는 표시장치 및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표시장치는 데이터선들; 상기 데이터선들에 교차하도록 배치된 주사선들; 각각이 상기 데이터선들과 상기 주사선들과의 교점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상기 데이터선들과 상기 주사선들에 따라 정렬해 있는 화소회로들; 화상 신호들을 전달하는 화상 신호선들; 및 상기 데이터선들의 각각이 상기 화상 신호선들 중의 하나에 접속되도록 상기 데이터선들을, 상기 화상 신호선들에 접속하는 스 위치들을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선들은, 인접하는 데이터선 2개씩이 서로 인접해서 커플링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커플링된 2개의 데이터선들은, 상기 스위치들에 의해, 상기 화상 신호선들 중의 상이한 2개의 화상 신호선들에 접속되며, 상기 커플링된 2개의 데이터선을 대응하는 화상 신호들에 접속하는 스위치들은 동시에 활성화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인접해서 병렬로 배치된 복수의 데이터선 중에서 크로스 토크(cross-talk)를 방지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 공급선을 인접하는 화소회로들이 공유함으로써 레이아웃 효율이 높은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그외의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 예의 설명으로부터 밝혀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계되는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에서는, 유기 EL 발광층과 그것을 사이에 둔 전극으로 구성된 발광소자와, 거기에 전류를 공급하는 회로로 구성되는 화소회로 11~mn가, m행 n열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m, n는 각각 2이상의 자연수이다).
화소회로 11~mn는 m개의 주사선과 n개의 데이터선과의 각 교점에 대응해서 배치되고, 데이터선과 주사선을 따라 매트릭스 배치로 되어 있다.
데이터선 5, 7은, 각각 열방향(도 1의 종방향)으로 배치된 화소회로에 공통 으로 접속되어 화상 신호를 화소회로에 전달한다. 주사선 3은, 행방향(도 1의 횡방향)으로 배치된 화소회로에 공통으로 접속되고, 주사선에는 주사 선택 신호가 인가된다.
화소회로 11~1n, 화소회로 21~2n,···, 및 화소회로 m1~mn의 각각의 행에 대해서 1개(혹은 복수개)의 주사선 3이 배치되고 각 화소회로에 접속된다. 주사선 3에는, 데이터선에 의해 전달된 화상 정보의 화소회로에의 기록을 제어하는 주사 신호 VS1~VSm가 인가된다. 주사 신호는 주사 신호 발생회로(VSR) 2에 의해 발생된다.
데이터선은, 좌단의 화소회로열을 제1열로 해서 화소회로 11~m1, 화소회로 13~m3,···, 및 화소회로 1 n~mn로 구성되는 화소회로열의 화소회로에 접속된다.
데이터선은, 전부가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2개씩이 쌍을 이루어, 다른 데이터선보다 서로 더 가깝게 배치되어 있다. 쌍을 이루어 근접해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2개의 데이터선 5와 7은, 같은 화소회로열 사이에 배치된다. 도 1에서는, 홀수열의 화소회로와 그 바로 우측의 짝수열의 화소회로와의 사이에, 나란히 배치된 2개의 데이터선 5, 7이 커플링되어 배치되어 있다.
전원 전압을 화소회로에 전달하는 전원 공급선(8)은, 2개의 그룹의 화소회로열 사이에 배치되고, 양측의 2열의 화소회로에 공통으로 전원 전압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선(8)은, 짝수열의 화소회로열과 그 우측의 홀수열의 화소회로열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이러한 화소회로에 공통으로 접속된다. 즉, 전원 공급선(8)이 배치되는 화소회로열 사이의 공간과, 한 쌍의 데이터선이 배치되는 화소회로열 사이의 공 간은 서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도 1에서는, 전원 공급선(8)은 데이터선 5, 7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지만, 전원 공급선(8)은 주사선 3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어도 괜찮다. 여기서 "평행"이란, 완전하게 평행한 상태는 아니지만, 평행 상태로서 간주할 수 있는 정도로 평행에 가까운 상태도 포함한다.
또, 도 1에서는, 좌단의 화소회로열의 한층 더 좌측에 전원 공급선(8)이 배치되고, 우측에 데이터선이 배치되어 있지만, 이 배치가 반대여도 된다. 즉, 좌단의 화소회로열의 한층 더 좌측에 데이터선(7)이 배치되고, 우측에 전원 공급선(8)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좌단의 화소회로열은, 그것과 함께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기 위한 상대 화소회로열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단독으로 제1의 화소회로열 그룹을 구성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도 1에서는, 데이터선 5, 7과 주사선 3이 직교하도록(직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서로 교차하고 있으면 반드시 직각이 되도록 배치되지 않아도 된다. 또, 데이터선 5, 7과 주사선 3은 각각 직선에 한정되지 않는다. 화소가 벌집 모양으로 배치되었을 경우에는, 데이터선과 주사선이 화소 형상에 따라 사행(蛇行:meandering)해서 배치된다.
데이터선의 각각에는, 샘플링 유닛이 되는 스위치(이하, 샘플링 스위치라고 한다) 4, 6이 설치되어 있다.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샘플링 스위치의 데이터선에 접속된 단자의 반대측의 단자에는, 화상 신호선(도 2의 Video 1, 2,···)이 접속되어 있다. 화상 신호선은, 표시장치에 입력된 화상 신호를 데이터선에 전 달하는 배선이다. 샘플링 스위치 4, 6은, 각각 박막으로 형성된 트랜지스터(TFT)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쌍을 이룬 데이터선에 설치된 2개의 샘플링 스위치 4와 6의 게이트에 입력된 제어 신호는, H(High) 레벨 및 L(Low) 레벨의 타이밍이 항상 같다. 도 1에 있어서, G1와 G2, G3와 G4,···, Gn-1와 Gn는, 각각 동일한 타이밍을 갖는 제어 신호이다. 즉, 같은 화소회로열에 속하는 2개의 샘플링 스위치 4 및 6은 동시에 온/오프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화소회로열의 그룹에 속하고, 근접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병렬로 주행하는 2개의 커플링된 데이터선에 접속되어 있는 샘플링 스위치 4, 6은, 동일한 샘플링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같은 화소회로열 그룹의 2개의 커플링된 데이터선의 샘플링 타이밍은 항상 동일하고, 샘플링 타이밍이 서로 다른 열 사이의 경계는, 2열의 화소회로에 의해 분리된 2개의 데이터선 사이에 있다. 이것에 의해, 샘플링 타이밍이 서로 다른 열의 경계에 따라 2타입의 데이터 보정을 행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데이터선 간의 용량 결합이 매우 작아졌으므로, 인접 데이터선에 의한 전압 변동이 없어져, 경계에서의 데이터 보정 자체가 불필요하게 된다.
실시예 1
도 2는 도 1의 회로의 샘플링 스위치와 연결되는 배선을 추가한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인 표시장치의 회로 블럭도이다. 실제의 장치에서는, 화소회로는 800행 1920열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어 있지만, 도 2에는, 그 일부만이 묘화되어 있다.
화소회로 R11, G11,···은, 유기 EL 발광층을 전극 사이에 둔 발광소자와, 거기에 전류를 공급하는 화소회로로 구성된다.
도 2의 화소 중, R11 등 R로 시작하는 심볼의 화소회로는, 적색의 발광소자를 포함하고 있어 적색을 발색(發色)한다. G11 등의 G로 시작하는 심볼의 화소회로는, 녹색의 발광소자를 포함하고 있어 녹색을 발색한다. B11 등의 B로 시작하는 심볼의 화소회로는, 청색의 발광소자를 포함하고 있어 청색을 발색한다. 3개의 다른 색의 화소는 주사선을 따라 행방향으로 주기적으로 배치되고, 열방향으로 같은 색의 화소회로가 배치되어 있다.
도 2의 표시장치는 전체가 1매의 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다. 같은 기판에는 미도시의 집적회로 칩이 접속되고, 거기에 내장된 미도시의 데이터선 구동 회로에서 640선의 화상 신호가 생성되어 화상 신호선 Video 1, Video 2,···, Video 640에 출력되고 있다. 화상 신호선 Video 1~Video 640은, 매트릭스의 형태로 배치된 화소의 상부측을 따른 배선이며, 데이터선 DATA1, DATA2,···DATA 1920에 화상 신호를 전달한다.
화상 신호선의 개수는, 허용가능한 프레임 가장자리의 폭에 의해 규정되지만, 통상은, 프레임 가장자리의 폭을 가능한 한 좁게 하기 위해서, 화소 매트릭스의 열의 개수, 즉 데이터선의 개수보다 적은 수로 설정된다. 각 화상 신호선은, 일정한 복수수의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시계열로 포함하고, 그 수에 대응한 개수의 데이터선에 1개씩 시간별로 순차 접속되어 화상 신호를 전달한다.
이와 같이, 1개의 화상 신호선 Video k(k=1, 2, 3,···, 640)은, 대응하는 복수(도 2에서는 3개)의 데이터선 DATAn(n=1, 2,···, 1920)의 각각에 시간별로 화상 신호를 전달한다. 각 화상 신호선은, 화상 신호를 전달하는 상대가 되는 소정의 복수의 데이터선에 스위치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이들 스위치(1201)는, 데이터선을 연장해서, 화상 신호선과 교차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1201)는, 각각 각 데이터선에 대응해서 1개씩 설치된 박막 트랜지스터의 스위치(도 1의 4, 6)로 구성되어 있다. 각 스위치는, 데이터선 DATAi와 거기에 화상 신호를 전달하는 화상 신호선 Videoj를 접속한다. 스위치 4, 6을 구성하는 각 박막 트랜지스터는, 그 드레인이 데이터선에 접속되고 소스가 화상 신호선에 접속되며, 게이트에는, 스위치 4, 6의 개폐를 제어하는 신호가 입력된다.
스위치 4, 6을 닫으면, 화상 신호선의 화상 신호가 데이터선에 전달되어 데이터선 자신이 갖는 용량 C1에 의해 보유된다. 스위치 4, 6은 각각 화상 신호의 샘플링을 행하는 샘플링 스위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1920개의 데이터선과 640개의 화상 신호선이 설치되고, 1개의 화상 신호선이 1920/640=3개의 데이터선에 화상 신호를 공급하고 있다. 화상 신호선 Video1가 제1, 제3, 제5열의 데이터선에 화상 신호를 공급하고, 화상 신호선 Video2가 제2, 제4, 제6열의 데이터선에 화상 신호를 공급하고 있다. 이하, 다른 열마다 1개의 비율로, 즉 2열 중에서 1개의 비율로, 3개의 데이터선이 선택되어, 3개의 스위치에 접속된다.
1개의 화상 신호선에 접속되는 3개의 스위치는, 시간별로 순차 ON해서, 화상 신호의 샘플링을 행한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샘플링 신호 SP1, SP2, SP3가 각 스위치의 개폐를 제어하는 게이트에 각각 입력되어 있다.
샘플링 신호 SP1~SP3가 High(H) 레벨일 때에, 스위치가 온되어, 화상 신호를 데이터선에 샘플링한다. 샘플링 신호 SP1, SP2, SP3는 서로 겹치지 않는 시간에 스위치를 온한다.
한편, 샘플링 신호 SP1~SP3가 Low(L) 레벨일 때에, 스위치는 오프되어, 샘플링한 화상 신호를 데이터선의 기생 용량에 홀드(hold)한다. 동시에, 주사선에 선택 신호가 입력되고, 선택된 행의 화소회로에도 화상 신호 레벨이 홀드된다.
1개의 샘플링 신호선이 H레벨에 있는 기간 중에, 640개의 데이터선이 동시에 샘플링되고, 이것이 3개의 샘플링 신호에 의해 순차 행해져서, 합계 1920개의 데이터선에 화상 신호가 샘플링된다.
주사선 1203은, 각 행의 화소회로에 접속되고, 행 단위로 화소회로를 선택한다. 주사선 1203에는 화소회로에의 데이터선 정보의 기록을 제어하는 주사 신호 VS1, VS2,···VSm가 인가된다. 주사 신호는 주사 신호 발생회로(1202)에 의해 생성된다.
도 2의 화소회로 R11, G11,···의 구성을 도 3에 나타낸다. 도 3에는, 근접해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쌍을 이루는 2개의 데이터선 DATA1와 DATA2와, 그것의 양즉에 주사선 방향으로 서로 인접해 있는 2개의 화소회로 R11와 G11가 묘화되어 있다.
화소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동일 주사선에 접속되고, 2개의 데이터선 을 사이에 둔 관계에 있는 2개의 화소회로가 쌍을 이루고 있다. 이하, 쌍을 이루는 2개의 화소회로를 R11와 G11이라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화소회로 R11는, 유기 EL 발광층을 전극 사이에 둔 발광소자 EL, 구동 트랜지스터 M1, 스위칭 트랜지스터 M2, 캐패시터 C1, 및 그것들을 연결하는 배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 M2의 게이트는 주사선 VS1에 접속되고, 소스는 데이터선DATA1에 접속되며, 드레인은 캐패시터 C1의 하나의 단자와 구동 트랜지스터 M1의 게이트에 접속되어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 M1의 소스는 캐패시터 C1의 또 하나의 단자와 함께 전원 공급선 VDD1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EL 소자의 애노드에 접속되어 있다.
열방향으로 연장하는 전원 공급선 VDD1는, 화소회로 R11를 사이에 두고 데이터선 DATA1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전원 공급선 VDD1은 화소 매트릭스의 단부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화소회로 R11의 열에만 전력을 공급하지만, 이 단부 이외에 위치된 전원 공급선은, 그것의 양측에 화소회로를 가지고 있어, 그것들에 공통으로 전류를 공급한다. 전원 공급선 VDD2는 화소회로 G11의 열과 그 근처에 있는 화소회로 B11의 열(도 3에서는 미도시)의 화소회로에 전류를 공급한다.
인접한 화소회로 G11는 화소회로 R11와 같은 구성 및 접속 관계를 갖고 있다. 그렇지만, 화소회로 G11 내의 트랜지스터, 용량, 배선 등의 회로 요소의 배치는, 2개의 데이터선의 중심선(도 3의 일점쇄선)을 축으로 해서 화소회로 R11와 선대칭으로 되어 있다. 실제의 기판 상에서의 화소회로 R11와 화소회로 G11도 각 요 소가 대칭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행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화소회로 R11와 G11은, 열방향의 축에 대해서 선대칭으로 배치된 트랜지스터 등의 회로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도 3의 회로는 1개의 예이며, 그 밖에 다양한 화소회로가 제안되어 있다는 점에 유념한다. 그러나, 어떠한 화소회로든지, 서로 인접하는 2개의 화소회로가 대칭의 관계에 있는 것들에 대해서는,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회로 요소의 배치가 대칭이 아닌 경우에도, 전원 공급선 VDD가 화소회로열 사이의 다른 모든 공간에 교대로 배치되어, 양측의 2열의 화소회로에 의해 공유되고, 데이터선이 전원 공급선이 없는 화소회로열 사이의 공간에 2쌍을 이루어 배치되어 있는, 모든 표시장치에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화소회로의 구성요소 중에서, EL 소자는 다른 회로 요소에 대해서 특별한 배치 관계에 있다. 도 4는, 화소의 단면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있어서, 기판(31)은 언더코트(undercoat)층(32)으로 피복되고, 그 위에 반도체층이 형성되어 패터닝되어 있다. 반도체층은, 불순물 농도가 높은 드레인 영역(33) 및 소스 영역(34)과, 그 사이의 불순물 농도가 낮은 채널 영역(35)으로 분리되어 있다.
반도체층은 게이트 절연막(36)으로 피복되고, 채널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게이트 전극(37)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전극(37)과 게이트 절연막(36) 위는 층간 절연막(38)으로 덮여 있고, 층간 절연막(38) 위에는, 반도체층의 소스 영역(34)에 접속된 소스 전극(39)과 드 레인 영역(33)에 접속된 드레인 전극(4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4의 반도체층, 게이트 전극(37), 소스 전극(39), 및 드레인 전극(40)은, 도 3의 화소회로의 구동 트랜지스터 M1에 대응한다.
기판(31) 위에는, 구동 트랜지스터 M1뿐만 아니라, 같은 단면 구조의 스위칭 트랜지스터 M2, 캐패시터 C1, 및 게이트 전극 또는 소스/드레인 전극과 같은 층에 형성된 배선층도 있다. 이러한 요소는 도 4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전원 공급선 VDD와 데이터선 DATA는, 소스/드레인 전극(39, 40)과 같은 층에, 패터닝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 주사선 VS는, 게이트 전극(37)과 같은 층에, 게이트 전극(37)과는 별도로 패턴닝되어 배치되어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 M1 위는, 절연성의 평탄화층(51)으로 덮여 있다. 평탄화층 위에는, EL 소자의 한편의 전극(애노드)(53)이 패터닝되어 형성되고, 평탄화층(51)을 통해서 만들어진 컨택트홀(52)을 통해서 구동 트랜지스터 M1의 드레인 전극(40)에 접속되어 있다.
애노드 위에는 유기 EL층(55)이 형성되어, 한층 더 EL 소자의 다른 한편의 전극(음극)(56)으로 피복되어 있다. 애노드(53)와 유기 EL층(55)의 주위는, 그들을 인접한 EL 소자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소자 분리막(54)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와 같이, EL 소자(EL)는 반도체층과 전극으로 구성된 화소회로의 한층 더 위에, 그러한 회로 요소와 일부 겹쳐 형성되어 있다. EL 소자의 발광은, 화소회로가 위치되어 있는 곳과는 반대측으로부터, 도 4의 위쪽에 취득된다.
도 2의 샘플링 신호 SP1, SP2, SP3가 각각 인가되는 3개의 샘플링 신호선은, 샘플링 스위치를 구성하는 TFT의 게이트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1개의 화상 신호선은, 홀수열의 데이터선이나 또는 짝수열의 데이터선에만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서로 인접하는 커플링된 2개의 데이터선은 상이한 화상 신호선에 접속된다. 그 결과, 같은 화소회로열 그룹의 병렬로 주행하는 2개의 데이터선의 샘플링 스위치를 동일한 샘플링 신호로 제어할 수가 있다.
데이터선 DATA1과 데이터선 DATA2가 각각 접속되는 2개의 샘플링 스위치는 샘플링 신호 SP1에 의해 제어된다. 또, 데이터선 DATA3와 데이터선 DATA4가 각각 접속되는 2개의 샘플링 스위치는 샘플링 신호 SP2에 의해 제어된다. 또, 데이터선 DATA5와 데이터선 DATA6가 각각 접속되는 샘플링 스위치는 샘플링 신호 SP3에 의해 제어된다. 데이터선 DATA7~DATA12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각 데이터선에 접속되는 샘플링 스위치는 샘플링 신호 SP1~SP3의 어느 것인가에 의해 제어된다.
이와 같이, 나란히 배열되는 한 쌍의 데이터선에 대하여 샘플링 타이밍을 동일하게 함으로써, 샘플 앤 홀드(sampling and holding) 중의 데이터선 전위에 대해서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데이터선의 샘플링 동작에 의한 크로스 토크(cross-talk)를 방지할 수가 있다.
또, 2개의 데이터선과 전원 공급선이 복수의 화소회로열에 교대로 배치되는 구성에 의해, 레이아웃 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전원 공급선이 인접하는 열의 화소회로에 대해서 공통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전원 공급선의 배선을 간소화할 수가 있다.
도 5는, 도 2의 표시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주사선 3이 1행의 화소회로를 선택하는 기간 1H 중에는, 제1~ 제3의 샘플링 기간 T1, T2, T3가 있고, 화상 신호선 Video1~Video4의 각각에 시분할 방식으로 송신되는 화상 신호를 데이터선 DATA1~DATA12에 샘플링한다.
제1의 1H 기간에서는, 제1행의 화소회로가 선택되고, 제1 샘플링 기간 T1(샘플링 신호 SP1가 H레벨인 기간)에 있어서는, 화상 신호선 Video1의 화상 신호 R11는 화소회로 R11에 출력되며, 화상 신호선 Video2의 화상 신호 G11는 화소회로 G11에 출력된다.
또, 화상 신호선 Video3의 화상 신호 R31는 화소회로 R31에 출력되고, 화상 신호선 Video4의 화상 신호 G31는 화소회로 G31에 출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Video639와 Video640의 화상 신호가 화소회로 R6391와 화소회로 G6391에 출력된다.
다음에, 제2 샘플링 기간 T2(샘플링 신호 SP2가 H레벨인 기간)에 있어서, 화상 신호선 Video1의 화상 신호 B11는 화소회로 B11에 출력되고, 화상 신호선 Video2의 화상 신호 R21는 화소회로 R21에 출력된다. 또, 화상 신호선 Video3의 화상 신호 B31는 화소회로 B31에 출력되고, 화상 신호선 Video4의 화상 신호 R41는 화소회로 R41에 출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Video639와 Video640의 화상 신호가 화소회로 B6391와 화소회로 R6401에 출력된다.
제3 샘플링 기간 T3(샘플링 신호 SP3가 H레벨인 기간)에 있어서, 화상 신호선 Video1의 화상 신호 G21는 화소회로 G21에 출력되고, 화상 신호선 Video2의 화상 신호 B21는 화소회로 B21에 출력된다. 또, 화상 신호선 Video3의 화상 신호 G41 는 화소회로 G41에 출력되고, 화상 신호선 Video4의 화상 신호 B41는 화소회로 B41에 출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Video639와 Video640의 화상 신호가 화소회로 G6401와 화소회로 B6401에 출력되어, 모든 열의 샘플링을 완료한다.
다음의 1H에서는, 제2행의 화소회로가 선택되어, 같은 동작이 반복된다. 이하, 순차 행이 선택되어 전 800행의 선택이 종료해서 1프레임의 화상 표시가 완성된다.
일반적으로는, (열의 개수/색의 개수) 많은 화상 신호선을 접속하는 것과 같은 선 순차 구동에 있어서는, 샘플링 스위치는, 색마다 동일한 샘플링 신호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Video1가 적색의 화상 신호를 제1, 제4, 제7열에 공급하고, Video2가 녹색의 화상 신호를 제2, 제5, 제8열에 공급하며, Video3가 청색의 화상 신호를 제3, 제6, 제9열에 공급하고, 이하에는 이전과 같은 방식으로, 1개의 화상 신호선이 같은 색의 3개의 데이터선에 화상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때, 인접한 1개의 RGB 그룹의 데이터선은 동시에 샘플링되고, 다음의 RGB 그룹은 다른 타이밍에서 샘플링된다. 그 때문에, 플립(flip) 배치로 되어 있는 1개의 화소회로열 그룹에서는, 2타입의 화소회로 그룹, 즉 2개의 데이터선의 샘플링이 동시에 행해지는 것과 다른 타이밍에서 샘플링이 행해지는 것이 생기게 된다. 이것이 화소 데이터의 보정을 어렵게 한다.
본 실시예와 같이, 2개의 화상 신호선 중의 하나가 홀수열의 데이터선에 화상 신호를 공급하고, 다른 하나가 짝수열의 데이터선에 화상 신호를 공급하도록 구 성하면, 1개의 화소회로열 그룹의 커플링된 2개의 데이터선은 반드시 다른 화상 신호선에 접속된다. 2개의 화상 신호선은, 각각의 스위치를 동시에 닫아 샘플링을 행할 수가 있기 때문에, 쌍을 이루는 2개의 데이터선은 항상 동시에 샘플링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화상 신호선 Video1~Video4는, 동일 샘플링 타이밍에서 데이터선과 샘플링 스위치와의 접속에 따라 적어도 상이한 색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를 출력시킨다.
상이한 타이밍에서 샘플링되는 2개의 데이터선은, 2열의 화소회로를 사이에 둔 채로 떨어져 있으므로, 거의 전압 변동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상기 설명에서는, RGB의 3색을 반복하는 화소 배열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화소는 RGBG의 4색의 반복 및 RGBW의 4색의 반복 등 조합이 자유롭다.
도 2에서 전원 공급선은 열방향(도 2의 종방향)으로 연장하고 있지만, 전원 공급선을 행방향(도 2의 횡방향)으로 연장시켜서, 인접 화소회로 사이에 화소 회로 내의 구동 트랜지스터에 공급하는 전원을 분배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8은 그러한 배치의 예이다.
도 8에 있어서, 전원 공급선 VDD1는 화소회로 G11 및 B11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이 되는 소스와 접속된다. 전원 공급선 VDD1은 행방향으로 연장하지만, 화소회로 G11 및 화소회로 B11와 같은 행의 인접하는 화소회로에 전원을 분배함으로써, 행방향의 화소회로의 피치를 작게 할 수가 있다. 그 경우, 데이터선의 커플(couple)은 전원 공급선과 화소회로와의 접속이 없는 곳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도 9에 나타낸 것처럼, 행방향과 열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4개의 화소회로에 의해 전원 공급선이 공유되어도 된다. 도 9에 있어서, 전원 공급선 VDD1은 화소회로 G11 및 B11의 각각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이 되는 소스에 접속된다. 또, 전원 공급선 VDD1은 화소회로 G12 및 B12의 각각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이 되는 소스에 접속된다. 도 8 및 도 9에 있어서, 전원 공급선은 행방향으로 연장하는 배선과 이 배선과 컨택트홀을 통해서 각 화소회로에 접속되는 분배 배선으로 분리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전원 공급선과 분배 배선은 상이한 층으로 형성된다. 행방향으로 연장하는 배선부와 분배 배선부를 동일한 층으로 형성해서 전원 공급선을 제공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2
도 6은 본 발명과 관계되는 표시장치의 제2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 블럭도이다. 화소회로는, 유기 EL 발광소자와 거기에 전류를 공급하는 회로로 구성되고, 800행 1920열의 매트릭스의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도 6의 표시장치는, 실시예 1과 같이, 미도시의 집적회로 칩과 접속되고, 이 집적회로 칩에 내장된 데이터선 구동회로로부터, 6라인의 화상 신호가 화상 신호선 Video1, Video2,···, Video6에 출력된다. 화상 신호선 Video1~Video6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화소회로의 상부측을 따른 배선이며, 데이터선 DATA1, DATA2,···DATA1920에 화상 신호를 전달한다.
샘플링 스위치 그룹(1401)은, 데이터선과 거기에 화상 신호를 보내는 화상 신호선과의 교차점에 따라 설치되는 매트릭스 스위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6열의 모든 데이터선에 대해서 1개의 데이터선에 각각 접속되는 화상 신호선들이, 합계 320열의 데이터선에 접속되어 시분할 방식으로 각 데이터선에 화상 데이터를 공급한다.
화상 신호선 Video1는 제1, 제7, 제13, 제19,···열의 데이터선에 화상 신호를 공급하고, 화상 신호선 Video2는 제2, 제8, 제14, 제20,···열의 데이터선에 화상 신호를 공급하며, 이전에 설명한 것처럼, 각 화상 신호선은 6개의 데이터선 중에서 1개를 선택해서 거기에 화상 신호를 공급한다.
샘플링 스위치 그룹(1401)의 매트릭스 스위치는, 각 데이터선에 대응해서 설치된 1개의 TFT 스위치로 각각 구성되어 있다. 각 스위치는, 데이터선과 거기에 화상 신호를 전달하는 화상 신호선을 접속한다. 스위치의 일단은 데이터선에 접속되고, 타단은 화상 신호선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를 닫아 화상 신호를 데이터선에 전달하기 위한 샘플링 신호 SP1, SP2,···, SP320는, (데이터선의 개수/화상 신호선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 즉, 본 실시예에서는 320개의 신호선에 의해 각 TFT 스위치의 게이트에 입력된다.
도 6에 있어서, 미도시의 데이터선 구동회로로부터 화상 신호가 출력되는 화상 신호선 Video1~Video6가 배선되어 샘플링 스위치 그룹(1401)에 입력된다. 샘플링 신호 SP1~SP320는, 320개의 샘플링 신호선에 의해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입력된다. 각 샘플링 신호선에 샘플링 신호 SP1~SP320가 각각 공급된다.
도 6은, 12개의 데이터선과 7개의 전원 공급선을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1920개의 데이터선 DATA1~DATA1920와 961개의 전원 공급선 VDD1~VDD961가 설치되어 있다.
샘플링 스위치 그룹(1401)은, 샘플링 신호 SP1, SP2가 H레벨일 때에 온되어 화상 신호를 데이터선에 샘플링한다. 한편, 샘플링 신호 SP1, SP2가 L레벨일 때에 샘플링 스위치 그룹(1401)이 오프되고, 직전의 화상 신호의 레벨을 데이터선에 홀드한다.
주사선 1403은, 화소회로 R11, G11, B11, R21,···로 구성되는 제1행의 화소회로행과, 화소회로 R12, G12, B12, R22,···로 구성되는 제2행의 화소회로행에 접속된다. 주사선(1403)에는 화소회로에의 데이터선 정보의 기록을 제어하는 주사 신호 VS1, VS2,···이 인가된다. 주사 신호는 주사 신호 발생회로(VSR)(1402)에 의해 발생된다.
인접하는 화소회로열 사이에는, 병렬로 배치된 2개의 데이터선과 전원 공급선이 교대로 배치된다. 예를 들면, 데이터선 DATA3와 DATA4가, 화소회로 B11와 화소회로 B12로 구성되는 화소회로열(이하, 제3 화소회로열이라고 한다)과 화소회로열 R21와 화소회로열 R22로 구성되는 화소회로열(이하, 제4 화소회로열이라고 한다)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나서, 데이터선 DATA3는 제3 화소회로열의 각 화소회로에 접속되고, 데이터선 DATA4는 제4 화소회로열의 각 화소회로에 접속된다. 제3 화소회로열의 데이터선 DATA3이 배치되어 있는 곳과 반대측에는 전원 공급선 VDD2가 배치되고, 제4 화소회로열의 데이터선 DATA4이 배치되어 있는 곳과 반대측에는 전원 공급선 VDD3가 배치된다.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선 VDD2는, 양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2 화소 회로열(화소회로 G11와 화소회로 G12로 구성되는 화소회로열)의 각 화소회로와 제3 화소회로열의 각 화소회로에 공통으로 접속된다. 또, 전원 공급선 VDD3는, 양측에 배치되는 제4 화소회로열의 각 화소회로와 제5 화소회로열(화소회로 G21와 화소회로 G22로 구성되는 화소회로열)의 각 화소에 공통으로 접속된다.
샘플링 신호 SP1~SP320가 입력되는 샘플링 신호선이 샘플링 스위치의 게이트에 접속되어 있다. 병렬로 주행하는 커플링된 2개의 데이터선의 샘플링 스위치는, 동일한 샘플링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예를 들면, 데이터선 DATA1~DATA6에 각각 접속된 샘플링 스위치는 샘플링 신호 SP1에 의해 제어된다. 데이터선 DATA7~DATA12에 각각 접속된 샘플링 스위치는 샘플 신호 SP2에 의해 제어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데이터선 DATA13~DATA18,···, DATA1914~DATA1920에 각각 접속된 샘플링 스위치는 샘플링 신호 SP3,···, SP320에 의해 제어된다.
이때, 상이한 샘플링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샘플링 스위치에 접속되는 데이터선은, 병렬로 주행하는 2개의 그룹으로 형성되지 않는다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데이터선 DATA6와 데이터선 DATA7가 상이한 샘플링 신호 SP1 및 SP2에 의해 제어되고, 샘플링 신호 SP1가 L레벨이며, 데이터선 DATA6에 신호가 홀드되었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나서, 샘플링 신호 SP2가 H레벨로 되고, 데이터선 DATA7가 샘플링되면, 데이터선 DATA6와 데이터선 DATA7의 기생 용량이 존재하면 크로스 토크에 의해 데이터선 DATA6가 데이터선 DATA7의 영향을 받게 된다.
그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데이터선 DATA6와 데이터선 DATA7는, 2개의 화소회 로와 전원 공급선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 이 배치에 의해, 데이터선 DATA6와 데이터선 DATA7와의 사이의 기생 용량 C2는 배선 용량 C1보다 작아져, 크로스 토크를 억제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데이터선의 샘플링 타이밍을 동일하게 하고, 상이한 샘플링 타이밍의 샘플링 스위치에 접속하는 데이터선은 화소회로 및 전원 공급선 등에 의해 떨어져서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그 결과, 병렬로 주행하는 데이터선의 샘플링 동작으로 인한 홀드 중인 데이터선 전위에 대한 크로스 토크를 방지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신호선을 6개로 하고, 6개의 데이터선 중의 1개의 비율로 1개의 화상 신호선이 데이터를 전달하고 있다. 따라서, 화소회로열의 사이에서 나란히 주행하는 2개의 데이터선은 반드시 이 6개의 데이터선의 그룹에 들어가, 같은 샘플링 신호에 의해 동시에 화상 신호를 수신한다.
화상 신호선이 짝수개 있고, 그 각각이 같은 짝수개의 데이터선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데이터선에 스위치에 의해 1개씩 접속되어 있을 때는, 화소회로열 사이에서 나란히 주행하고 있는 2개의 데이터선은, 반드시 같은 샘플링 신호에 의해 동시에 화상 신호선으로부터 화상 신호를 수신한다. 이 때문에, 이 2개의 데이터선이 서로의 전압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정확히 화상 신호를 샘플링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표시 동작을 행하기 위해서, 도 7의 타이밍 차트에 나타낸 것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1행의 샘플링 기간에 있어서의 제1~ 제320의 샘플링 기간 T1-T320에서, 320 개의 화상 신호선 Video1~Video6의 화상 신호를 데이터선 DATA1~DATAM에 샘플링한다.
제1의 1H에서는, 제1행의 화소회로행이 선택된다.
제1 샘플링 기간 T1(샘플링 신호 SP1가 H레벨인 기간)에 있어서, 화상 신호선 Video1의 화상 신호 R11는 화소회로 R11에 출력되고, 화상 신호선 Video2의 화상 신호 G11는 화소회로 G11에 출력된다. 또, 화상 신호선 Video3의 화상 신호 B11는 화소회로 B11에 출력되고, 화상 신호선 Video4의 화상 신호 R21는 화소회로 R21에 출력된다. 또, 화상 신호선 Video5의 화상 신호 G21는 화소회로 G21에 출력되고, 화상 신호선 Video6의 화상 신호 B21는 화소회로 B21에 출력된다.
제2 샘플링 기간 T2(샘플링 신호 SP2가 H레벨인 기간)에 있어서, 화상 신호선 Video1의 화상 신호 R31는 화소회로 R31에 출력되고, 화상 신호선 Video2의 화상 신호 G31는 화소회로 G31에 출력된다. 또, 화상 신호선 Video3의 화상 신호 B31는 화소회로 B31에 출력되고, 화상 신호선 Video4의 화상 신호 R41는 화소회로 R41에 출력된다. 또, 화상 신호선 Video5의 화상 신호 G41는 화소회로 G41에 출력되고, 화상 신호선 Video6의 화상 신호 B41는 화소회로 B41에 출력된다.
이하, 순차 제3 샘플링 기간 T3 내지 제320 샘플링 기간 T320의 각각에 있어서, 화상 신호선 Video1~Video6의 화상 신호가 해당하는 화소회로에 출력된다.
1H의 마지막 제320 샘플링 기간 T320(샘플링 신호 SP320가 H레벨인 기간)에 있어서, 화상 신호선 Video1의 화상 신호 R6391는 화소회로 R6391에 출력되고, 화상 신호선 Video2의 화상 신호 G6391는 화소회로 G6391에 출력되며, 화상 신호선 Video3의 화상 신호 B6391는 화소회로 B6391에 출력되고, 화상 신호선 Video4의 화상 신호 R6401는 화소회로 R6401에 출력되며, 화상 신호선 Video5의 화상 신호 G6401는 화소회로 G6401에 출력되고, 화상 신호선 Video6의 화상 신호 B6401는 화소회로 B6401에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1H의 모든 열의 샘플링이 완료된다.
다음의 1H에서는, 제2행의 화소회로행이 선택되고, 같은 동작이 반복된다. 이하에는, 이전과 같이, 순차 행이 선택되어 전 800행의 선택이 종료해서 1프레임의 화상 표시가 완성된다.
본 실시예의 샘플링 스위치 그룹(1401)은, Video1-Video6의 각 화상 신호선을, 6라인 중에서 1개의 비율로 등간격으로 선택되는 데이터선에 접속한다. 일반적으로는, 화상 신호선의 개수(이것은 반드시 짝수이어야 한다)에 따라, 화상 신호선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열블록으로부터 1의 비율로 등간격으로 데이터선을 선택해서 1개의 화상 신호선에 접속하는 구성이다. 이것에 의해, 같은 화소회로열 그룹에 속하는 한 쌍의 데이터선은 상이한 화상 신호선에 접속된다. 화상 신호선은, 거기에 연결된 스위치를 전부 동시에 닫아서 일제히 샘플링을 행할 수가 있기 때문에, 쌍을 이루는 2개의 데이터선은 항상 동시에 샘플링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샘플링 신호는, 색마다는 아니고 인접하는 데이터선에 대해 샘플링 신호가 동일하게 되도록 배치 및 접속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화상 신호선(Video1~Video6)은, 동일한 샘플링 타이밍에서 데이터선과 샘플링 유닛 간의 접속에 따라 적어도 상이한 색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를 출력시킨다.
상기 설명에서는, RGB의 3색을 반복하기 위한 화소 배열을 예로 들어 설명했 지만, 화소는 RGBG의 4색의 반복 및 RGBW의 4색의 반복 등 조합이 자유롭다. 또, 샘플링 신호와 화상 신호의 선의 개수의 조합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실시예의 전원 공급선은 열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전원 공급선을 행방향으로 연장해도 괜찮다. 도 8은 그러한 배치의 예이다.
도 8에 있어서, 전원 공급선 VDD1은 화소회로 G11 및 B11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이 되는 소스에 접속된다. 전원 공급선 VDD1는 행방향으로 연장하지만, 화소회로 G11와 화소회로 B11 등, 같은 행의 인접하는 화소회로에 전원을 분배함으로써, 행방향의 화소회로의 피치를 작게 할 수가 있다. 그 경우에, 데이터선은 2개의 그룹으로 전원 공급선과 화소회로와의 접속이 없는 곳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도 9에 나타낸 것처럼, 행방향과 열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4개의 화소회로에 의해 전원 공급선이 공유되어도 된다. 도 9에 있어서, 전원 공급선 VDD1는 화소회로 G11 및 B11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이 되는 소스와 접속된다. 또, 전원 공급선 VDD1은 화소회로 G12 및 B12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이 되는 소스와 접속된다. 도 8 및 도 9에 있어서, 전원 공급선은 행방향으로 연장하는 배선과 이 배선과 컨택트홀을 통해서 각 화소회로와 접속되는 분배 배선으로 분리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전원 공급선과 분배 배선은 서로 다른 층으로 형성된다. 행방향으로 연장하는 배선부와 분배 배선부를 동일한 층으로 형성해서, 전원 공급선을 제공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예시적인 실시 형태 및 각 실시 예의 표시장치는, 예를 들면 정보표시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이 정보표시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전화, 휴대 컴퓨 터, 스틸 카메라 및 비디오 카메라의 어떤 형태든 취한다. 혹은, 정보표시장치는 그러한 복수의 각 기능을 실현하는 장치이다. 이 정보표시장치는, 정보 입력부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면, 휴대전화의 경우에는, 정보 입력부는, 안테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PDA와 휴대 PC의 경우에는, 정보 입력부는, 네트워크에 대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스틸 카메라와 무비 카메라의 경우에는, 정보 입력부는 CCD와 CMOS 등에 의거한 센서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정보표시장치로서, 상술한 각 실시예의 화소회로를 포함하는 AM형 OLED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일례의 블럭도이다. 이 도면은, 시스템 전체(111),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부(112), 영상 신호 처리회로(영상 신호 처리부가 된다)(113), 표시 패널(114), 메모리(115), CPU(116), 및 조작부(117)를 나타낸다. 촬영부(112)로 촬영한 영상 또는 메모리(115)에 기록된 영상을, 영상 신호 처리회로(113)에서 신호 처리해서, 표시장치가 되는 표시 패널(114)에서 볼 수가 있다. CPU(116)는, 조작부(117)로부터 입력을 받아, 촬영부(112), 메모리(115), 및 영상 신호 처리회로(113) 등을 제어해서, 상황에 따른 촬영, 기록, 재생, 및 표시를 행한다.
예시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는 모든 변형 및 균등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계되는 표시장치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제1의 실시 예의 회로도이다.
도 3은 제1의 실시 예의 화소회로도이다.
도 4는 제1의 실시 예의 화소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의 실시 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6은 제2의 실시 예의 회로도이다.
도 7은 제2의 실시 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8은 전원 공급선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전원 공급선의 다른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AM형 OLED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Claims (9)

  1. 데이터선들;
    상기 데이터선들에 교차하도록 배치된 주사선들;
    각각이 상기 데이터선들과 상기 주사선들과의 교점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상기 데이터선들과 상기 주사선들에 따라 정렬해 있는 화소회로들;
    화상 신호들을 전달하는 화상 신호선들; 및
    상기 데이터선들의 각각이 상기 화상 신호선들 중의 하나에 접속되도록 상기 데이터선들을, 상기 화상 신호선들에 접속하는 스위치들을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선들은, 인접하는 데이터선 2개씩이 서로 인접해서 커플링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커플링된 2개의 데이터선들은, 상기 스위치들에 의해, 상기 화상 신호선들 중의 상이한 2개의 화상 신호선들에 접속되며,
    상기 커플링된 2개의 데이터선을 대응하는 화상 신호들에 접속하는 스위치들은 동시에 활성화되는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모든 짝수번째의 데이터선이 상기 스위치들에 의해, 상기 화상 신호선들 중에서 같은 1개의 화상 신호선에 접속되는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회로들은 상기 주사선들을 따라 주기적으로 정렬해 있는 3개의 화소회로들을 포함하며, 상기 3개의 화소회로들의 각각은 서로 다른 3색 중의 한 색을 발색하는 발광소자를 갖고,
    상기 데이터선들 중의 각 2개의 데이터선으로부터 각각이 선택되는 3개의 데이터선들은, 상기 스위치들에 의해 같은 1개의 화상 신호선에, 상이한 시간에 접속되는 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데이터선들의 3개의 그룹은, 상기 스위치들에 의해, 상기 화상 신호선들 중의 2개의 화상 신호선에 접속되는 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선들 중 하나를 따라 정렬해 있고, 상기 커플링된 2개의 데이터선에 접속된 상기 화소회로들 중의 2개의 화소회로는, 상기 커플링된 2개의 데이터선 사이의 중심선에 대해서 선대칭으로 배치된 회로 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회로들에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선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전원 공급선들은 상기 커플링된 데이터선들 사이의 화소회로 경계선 이외의 화소회로 경계선을 따라 배치되는 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선들의 각각은, 상기 전원 공급선의 양측에 배치된 상기 화소회로들에 상기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표시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회로들에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선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전원 공급선들은 서로 인접한 2개의 데이터선들 사이에 위치된 화소회로 경계선 이외의 화소회로 경계선을 따라 배치되는 표시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선들의 각각은, 상기 전원 공급선의 양측에 배치된 상기 화소회로들에 상기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표시장치.
KR1020090108982A 2008-11-18 2009-11-12 표시장치 KR1010530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94369A JP2010122355A (ja) 2008-11-18 2008-11-18 表示装置及びカメラ
JPJP-P-2008-294369 2008-1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381A true KR20100056381A (ko) 2010-05-27
KR101053077B1 KR101053077B1 (ko) 2011-08-01

Family

ID=42195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8982A KR101053077B1 (ko) 2008-11-18 2009-11-12 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36841B2 (ko)
JP (1) JP2010122355A (ko)
KR (1) KR101053077B1 (ko)
CN (1) CN101739933B (ko)
TW (1) TWI408645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1312A (ko) * 2011-11-09 2013-05-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표시장치를 위한 구동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60038912A (ko) * 2014-09-30 2016-04-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패널 및 이의 표시장치
KR20160130028A (ko) * 2015-04-30 2016-11-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95510B2 (ja) * 2007-06-19 2014-05-21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9014836A (ja) * 2007-07-02 2009-01-22 Canon Inc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8497885B2 (en) * 2007-08-21 2013-07-30 Canon Kabushiki Karsha Display apparatus and drive method thereof
JP2009080272A (ja) * 2007-09-26 2009-04-16 Canon Inc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
JP2009109641A (ja) * 2007-10-29 2009-05-21 Canon Inc 駆動回路、及び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
JP5284198B2 (ja) * 2009-06-30 2013-09-11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2011013415A (ja) * 2009-07-01 2011-01-20 Canon Inc アクティブマトリックス型表示装置
JP2011028135A (ja) * 2009-07-29 2011-02-10 Canon Inc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5482393B2 (ja) * 2010-04-08 2014-05-0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装置のレイアウト方法、及び、電子機器
KR101758297B1 (ko) 2010-06-04 2017-07-26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1835637B1 (ko) * 2011-08-22 2018-04-2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집적회로 칩 및 이를 포함하는 송/수신 시스템
JP6124573B2 (ja) 2011-12-20 2017-05-10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
CN103091920B (zh) * 2013-01-25 2016-03-23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KR102040812B1 (ko) 2013-02-12 2019-11-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JP6478518B2 (ja) 2014-08-11 2019-03-06 キヤノン株式会社 発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7003894A (ja) * 2015-06-15 2017-01-05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CN105469765B (zh) * 2016-01-04 2018-03-30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多路复用型显示驱动电路
CN107706217B (zh) * 2017-09-22 2020-06-09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基板及应用于显示基板的喷墨打印方法
CN107945738B (zh) 2017-11-30 2021-02-02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有机发光显示面板和电子设备
CN109063631B (zh) * 2018-07-27 2021-08-31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00069698A (ko) * 2018-12-07 2020-06-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계발광 표시장치
CN111243441B (zh) * 2020-03-11 2021-12-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CN114079159B (zh) * 2020-08-13 2022-11-11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液晶天线
CN114665052A (zh) * 2022-03-22 2022-06-24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有机显示面板制作方法及有机显示面板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0477B2 (ja) 1985-02-06 1994-10-12 キヤノン株式会社 液晶表示パネル及び駆動方法
JPS6255625A (ja) 1985-09-05 1987-03-11 Canon Inc 液晶装置
US6462722B1 (en) * 1997-02-17 2002-10-08 Seiko Epson Corporation Current-driven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CN100341042C (zh) 1997-02-17 2007-10-03 精工爱普生株式会社 显示装置
JP3520396B2 (ja) * 1997-07-02 2004-04-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と表示装置
TWI282457B (en) * 2000-04-06 2007-06-11 Chi Mei Optoelectronics Corp Liquid crystal display component with defect restore ability and restoring method of defect
JP4014895B2 (ja) * 2001-11-28 2007-11-28 東芝松下ディスプレイ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KR100459135B1 (ko) * 2002-08-17 200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el 디스플레이 패널 및 구동방법
JP3950845B2 (ja) * 2003-03-07 2007-08-01 キヤノン株式会社 駆動回路及びその評価方法
JP4054794B2 (ja) * 2003-12-04 2008-03-05 キヤノン株式会社 駆動装置及び表示装置及び記録装置
KR20050102385A (ko) * 2004-04-22 2005-10-2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
KR100637164B1 (ko) * 2004-06-26 2006-10-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능동 구동형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JP2006065287A (ja) * 2004-07-30 2006-03-09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用駆動回路及び電気光学装置、並びに電子機器
KR101006450B1 (ko) * 2004-08-03 2011-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JP2006119581A (ja) * 2004-09-24 2006-05-1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4438066B2 (ja) * 2004-11-26 2010-03-24 キヤノン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およびその電流プログラミング方法
JP4438067B2 (ja) * 2004-11-26 2010-03-24 キヤノン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およびその電流プログラミング方法
JP4438069B2 (ja) * 2004-12-03 2010-03-24 キヤノン株式会社 電流プログラミング装置、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およびこれらの電流プログラミング方法
JP2007271969A (ja) * 2006-03-31 2007-10-18 Canon Inc カラー表示装置及び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装置
JP5058505B2 (ja) * 2006-03-31 2012-10-24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08009276A (ja) * 2006-06-30 2008-01-17 Canon Inc 表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情報処理装置
CN101153961A (zh) * 2006-09-29 2008-04-02 精工爱普生株式会社 显示装置、图像处理方法以及电子设备
JP2008170856A (ja) * 2007-01-15 2008-07-24 Sony Corp 画素回路及び表示装置
JP2009014836A (ja) * 2007-07-02 2009-01-22 Canon Inc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2009037123A (ja) * 2007-08-03 2009-02-19 Canon Inc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2009080272A (ja) * 2007-09-26 2009-04-16 Canon Inc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
JP2009128601A (ja) * 2007-11-22 2009-06-11 Canon Inc 表示装置および集積回路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1312A (ko) * 2011-11-09 2013-05-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표시장치를 위한 구동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60038912A (ko) * 2014-09-30 2016-04-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패널 및 이의 표시장치
KR20230008684A (ko) * 2014-09-30 2023-01-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패널 및 이의 표시장치
KR20160130028A (ko) * 2015-04-30 2016-11-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122355A (ja) 2010-06-03
TWI408645B (zh) 2013-09-11
KR101053077B1 (ko) 2011-08-01
CN101739933B (zh) 2012-08-29
US8436841B2 (en) 2013-05-07
CN101739933A (zh) 2010-06-16
TW201023143A (en) 2010-06-16
US20100128160A1 (en) 2010-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3077B1 (ko) 표시장치
CN110060621B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471113B1 (ko) 표시장치
KR102528296B1 (ko) 표시 장치
KR102595916B1 (ko) 표시장치
EP3355356B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n emission layer
US11200847B2 (en)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and drive method
KR102487500B1 (ko) 표시 장치
WO2020238490A1 (zh) 像素电路、显示基板、显示装置及驱动方法
WO2022052759A1 (zh) 显示基板和显示装置
WO2024088027A1 (zh) 显示基板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KR100649249B1 (ko) 역다중화 장치와, 이를 이용한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표시패널
CN109887987B (zh) 一种阵列基板及显示模组
CN112863414A (zh) 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
US20220197441A1 (en)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WO2021227023A1 (zh)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12767868A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WO2022226845A1 (zh) 显示基板以及显示面板
US11621314B2 (en) Display device
CN115421339B (zh) 显示面板和电子终端
WO2022226846A1 (zh) 显示基板以及显示面板
WO2022165833A1 (zh) 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JP2011090244A (ja) 回路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2023095533A (ja) 表示パネル及び表示装置
CN115132757A (zh) 阵列基板、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