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7889A - 다색 성형체,다색 성형법,및 기판 수납 용기 - Google Patents

다색 성형체,다색 성형법,및 기판 수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7889A
KR20090087889A KR1020097010294A KR20097010294A KR20090087889A KR 20090087889 A KR20090087889 A KR 20090087889A KR 1020097010294 A KR1020097010294 A KR 1020097010294A KR 20097010294 A KR20097010294 A KR 20097010294A KR 20090087889 A KR20090087889 A KR 20090087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bstrate
molding material
molded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0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0162B1 (ko
Inventor
히데오 쿠도
히로키 야마기시
Original Assignee
신에쯔 한도타이 가부시키가이샤
신에츠 폴리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에쯔 한도타이 가부시키가이샤, 신에츠 폴리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신에쯔 한도타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7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7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0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0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57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using means for adhering or bonding the layers or parts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5Closed carriers
    • H01L21/67383Closed carriers characterised by substrate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57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using means for adhering or bonding the layers or parts to each other
    • B29C2045/1659Fusion bo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612Composite web or sheet

Abstract

복수의 성형 재료를 성능의 관점에서 적절히 조합할 수 있는 다색 성형체, 다색 성형법, 및 기판 수납 용기를 제공한다.
서로 재질이 다른 제1, 제2의 성형 재료를 준비하고, 제1의 성형 재료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제1의 성형체(1)와 제2의 성형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2의 성형체(3)를 조합하여 일체화할 때, 각 제1의 성형체(1)와 제2의 성형체(3)의 경계(6)에 있어서의 주연부를 얇은 돌출편(5)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얇은 돌출편(5)을, 선단부를 향함에 따라 서서히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단면 대략 직각 삼각형으로 형성하고,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경사 각도(θ)를 5о~40о의 범위로 함과 아울러, 경계(6)를 형성하는 경사면(7)의 길이(L)를 0.4~5.0mm로 한다. 제1, 제2의 성형체(1·3)의 경계(6)에 있어서의 주연부를 얇은 돌출편(5)으로 형성하고 일체화하면, 적절하고 강고하게 조합할 수가 있으므로, 접합의 관점에서 조합을 재고할 필요가 없다.
다색 성형, 기판 수납 용기, 얇은 돌출편, 선단부, 경사 각도

Description

다색 성형체,다색 성형법,및 기판 수납 용기{MULTICOLOR MOLDED ITEM,METHOD OF MULTICOLOR MOLDING AND SUBSTRATE ACCOMMODATION CONTAINER}
본 발명은 다른 재질이나 같은 재질끼리를 조합하여 일체화하는 다색 성형체, 다색 성형법, 및 기판 수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각종 기계 장치의 기구 부품이나 기판 수납 용기 등에 대해서는, 제품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위의 다른 요구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다른 재질에 의해 복수의 부위를 각각 형성하고, 이 복수의 부위를 조합하여 일체화하고, 다른 재질의 제품을 얻는 수법이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제품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인서트(insert) 성형법이나 다색 성형법(2색 성형법이라고도 더블 몰드법(double molding)이라고도 한다)을 들 수 있고, 다색 성형법에서는 재질이 다른 2종류의 성형 재료가 접합 가능한가 아닌가의 관점에서 취사 선택하여 이용되고 있다(특허문헌 1, 2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5­67139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2000­12673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종래에 있어서의 다색 성형법은, 이상과 같이 재질이 다른 2종류의 성형 재료가 접합 가능한가 아닌가의 관점에서만 조합하여 이용되고 있으므로, 성능을 중시하여 2종류의 성형 재료를 적절히 조합할 수가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2종류의 성형 재료가 성능의 관점에서는 적절한 조합이라도, 접합 가능한가 아닌가의 관점에서는 상용성이 없고 부적절한 조합인 경우에는, 충분히 접합할 수가 없기 때문에 조합을 재고하지 않을 수 없다.
만일, 2종류의 성형 재료를 부적절한 선택이면서 성능을 중시하여 조합하면, 2종류의 성형 재료의 계면이 강도적으로 약화되고, 세정시의 스트레스(stress)나 사용시, 수송시의 진동으로 박리되어 버리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복수의 성형 재료를 성능의 관점에서 적절히 조합할 수가 있는 다색 성형체, 다색 성형법, 및 기판 수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 제2의 성형 재료를 조합하여 일체로 성형되는 것으로서, 제1의 성형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1의 성형체와 제2의 성형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2의 성형체의 경계의 적어도 주연부의 일부를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얇은 돌출편으로 형성하고, 이 얇은 돌출편의,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경사 각도를 5о~40о의 범위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제1의 성형 재료를 폴리카보네이트, 시클로올레핀 폴리머, 폴리에테르이미드의 어느 것으로 하고, 제2의 성형 재료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세탈,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의 어느 것으로 할 수가 있다.
또, 얇은 돌출편을 단면 대략 삼각형으로 형성하여 그 경사면의 길이를 0.4~5.0mm로 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 제2의 성형 재료를 조합하여 일체로 성형하는 성형법으로서, 제1의 성형 재료를 사용하여 제1의 성형체를 성형하고, 이 제1의 성형체에 제2의 성형 재료를 사용하여 제2의 성형체를 일체로 성형함과 아울러, 이들 제1, 제2의 성형체의 경계의 적어도 주연부의 일부를 단면 대략 삼각형의 얇은 돌출편으로 형성하여 그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경사 각도를 5о~40о의 범위로 하고, 이 얇은 돌출편의 경사면을 0.4~5.0mm의 길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제1의 성형 재료를 폴리카보네이트, 시클로올레핀 폴리머, 폴리에테르이미드의 어느 것으로 하고, 제2의 성형 재료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세탈,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의 어느 것으로 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판을 수납하는 용기 본체의 내부 양측에 기판을 정렬시켜 지지하는 지지체를 각각 설치하고, 각 지지체를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다색 성형체로 한 것으로서, 지지체는 제1의 성형 재료에 의해 성형되어 용기 본체의 내부 측방에 위치하는 지지편과, 제2의 성형 재료에 의해 적어도 지지편에 일체로 적층(층을 이루도록 겹쳐 쌓음)되어 기판에 접촉하는 접촉층을 포함하고, 이들 지지편과 접촉층의 경계의 적어도 주연부의 일부를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얇은 돌출편으로 형성하고, 이 얇은 돌출편의,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경사 각도를 5о~40о의 범위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지지체에는, 제1의 성형 재료에 의해 성형되어 용기 본체의 내부 측방에 설치되고, 지지편을 지지하는 지지벽을 포함하면 좋다.
또, 용기 본체의 내부 측방과 지지체의 지지벽의 사이에, 제2의 성형 재료와는 다른 재료의 개재층을 형성하면 좋다.
또, 지지체에는, 제2의 성형 재료에 의해 지지벽에 포개어지고, 기판의 지지벽에 대한 최접근부에 촉접(觸接)하는 촉접층을 포함하면 좋다.
또, 지지체의 지지편에 적층된 접촉층의 표면에, 기판에 접촉하는 돌기를 형성할 수가 있다.
또, 지지체의 지지편은 용기 본체의 내부 측방으로부터 안쪽 방향으로 돌출하여 기판의 측부 선단쪽에 대향하는 제1의 지지부와, 용기 본체의 내부 측방으로부터 안쪽 방향으로 돌출하여 기판의 측부 말단쪽에 대향하는 제2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이들 제1, 제2의 지지부의 노출면 중 적어도 표면에 접촉층을 각각 적층할 수가 있다.
또, 지지체의 지지편은 지지벽으로부터 안쪽 방향으로 돌출하여 기판의 측부 선단쪽에 대향하는 제1의 지지부와, 지지벽으로부터 안쪽 방향으로 돌출하여 기판의 측부 말단쪽에 대향하는 제2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제1, 제2의 지지부의 노출면에 접촉층을 각각 적층함과 아울러, 지지벽과 제2의 지지부의 사이에 접촉층을 적층하고, 지지벽과 접촉층의 경계의 적어도 주연부의 일부를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얇은 돌출편으로 형성하고, 이 얇은 돌출편의,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경사 각도를 5о~40о의 범위로 할 수가 있다.
또, 지지체의 제1, 제2의 지지부의 사이에 선반부를 개재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제2의 지지부의 노출면에 적층된 접촉층의 표면을, 기판의 중심부와 대략 동심원의 원추를 그리도록 경사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지지벽과 접촉층의 경계의 적어도 주연부의 일부를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얇은 돌출편으로 형성하고, 이 얇은 돌출편의,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경사 각도를 5о~40о의 범위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판을 수납하는 용기 본체의 내부 양측에, 기판을 정렬시켜 지지하는 지지체를 각각 설치하고, 각 지지체를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다색 성형체로 한 것으로서, 지지체는 제1의 성형 재료에 의해 성형되어 용기 본체의 내부 측방에 위치하는 지지벽과, 제2의 성형 재료에 의해 성형되어 지지벽에 형성되고, 기판을 접촉 지지하는 지지편을 포함하고, 이들 지지벽과 지지편의 경계의 적어도 주연부의 일부를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얇은 돌출편으로 형성하고, 이 얇은 돌출편의,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경사 각도를 5о~40о의 범위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지지체의 지지편은 지지벽으로부터 안쪽 방향으로 돌출하여 기판의 측부 선단쪽에 대향하는 제1의 지지부와, 지지벽으로부터 안쪽 방향으로 돌출하여 기판의 측부 말단쪽에 대향하는 제2의 지지부를 포함하면 좋다.
여기서,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제1, 제2의 성형 재료는 같은 재질이라도 좋고 다른 재질이라도 좋다. 다색 성형체로서는, 적어도 각종의 버튼(button)이나 키톱(key top), 각종 기계 장치의 손잡이, 핀셋, 자동차 관련 부품(운전석 조광 부품 등), 카메라의 렌즈 후드(lens hood), 디지털 카메라의 그립(grip)부, 휴대전화의 조작부, 유리 기판이나 반도체 웨이퍼 등의 각종 기판을 수납하는 기판 수납 용기의 일부, 웨이퍼 트레이(wafer tray), 기판용의 핸들링 지그(handling jig)를 들 수 있다. 또, 다색 성형체가 기판 수납 용기의 일부인 경우, 탑 오픈 박스 타입(top open box type), 프론트 오픈 박스 타입(front open box type), 바텀 오픈 박스 타입(bottom open box type)의 일부를 특별히 따지는 것은 아니다.
제1, 제2의 성형체는 각각 단수 복수를 특별히 따지는 것은 아니다. 얇은 돌출편은 제1, 제2의 성형체의 경계에 있어서의 주연부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것이라도 좋고, 주연부나 그 내측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것이라도 좋다. 또, 제1, 제2의 성형체의 경계에 있어서의 주연부의 전부(全部)로 이루어지는 것이라도 좋다. 이 얇은 돌출편은 대략 삼각형, 구체적으로는 직각 삼각형, 혹은 대체로 직각 삼각형이라고 인정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제2의 지지부는 간격을 두고 떨어져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색 성형체를 성형하는 경우에는, 제1의 성형 재료에 의해 1차측으로 되는 제1의 성형체를 성형하여 제2의 성형체를 성형하는 금형에 세트(set)하고, 이 금형에 제2의 성형 재료를 충전하여 2차측으로 되는 제2의 성형체를 성형함과 아울러, 제1, 제2의 성형체의 경계에 있어서의 적어도 주연부의 일부를 얇은 돌출편으로 형성하여 용융(가열하여 녹임) 접합하면, 다른 재질 또는 같은 재질의 다색 성형체를 얻을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성형 재료, 특히 재질이 다른 복수종의 성형 재료를 성능의 관점에서 적절히 조합할 수가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 얇은 돌출편의,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경사 각도를 5о~40о의 범위로 하므로, 얇은 돌출편의 선단부에 성형 재료를 충분히 충전할 수가 있어, 제1, 제2의 성형체를 강고하게 접합할 수가 있다.
또, 얇은 돌출편을 단면 대략 삼각형으로 형성하여 그 경사면의 길이를 0.4~5.0mm로 하면, 양호한 접합을 기대할 수 있고, 또한 성형 재료를 충분히 충전하여 성형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 지지체에, 지지벽으로 형성되고, 기판의 지지벽에 대한 최접근부에 촉접(觸接)하는 촉접층을 포함하면, 기판의 출납시에 기판의 지지벽에 대한 접근부에 촉접층이 촉접하므로, 기판과 지지벽의 접촉에 수반하는 마모나 손상을 막을 수가 있다.
또, 제1, 제2의 지지부의 노출면에 적층된 접촉층의 표면을, 기판의 중심부와 대략 동심원의 원추를 그리도록 경사시키면, 기판 수납 용기가 프론트 오픈 박스로 기판을 대략 수평으로 지지하여 수납하는 경우, 기판이 자중에 의해 자동적으로 구심되므로, 기판을 적절히 위치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기판의 중심으로 향하는 힘이 항상 작용하여 저항으로 되므로, 기판의 회전을 규제할 수가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다색 성형체와 다색 성형법의 실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확대 단면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기판 수납 용기의 실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전체 사시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기판 수납 용기의 실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기판 수납 용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지지체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정면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5의 VII­VII선 단면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기판 수납 용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지지체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8의 IX­IX선 단면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8의 X­X선 단면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8의 XI­XI선 단면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기판 수납 용기의 제2의 실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기판 수납 용기의 제3의 실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기판 수납 용기의 제4의 실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기판 수납 용기의 제4의 실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기판 수납 용기의 제5의 실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기판 수납 용기의 제6의 실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 설명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기판 수납 용기의 제6의 실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제1의 성형체 3    제2의 성형체
5    얇은 돌출편 6    경계
7    경사면 10    용기 본체
20    덮개체 30    지지체
31    지지벽 32    전부
33    후부 34    지지편
35    제1의 지지부 36    제2의 지지부
37    접촉층 38    표면
39    단차부 40    촉접층(觸接層)
50    돌기 51    개재 피복층(개재층)
52    선반부 W    기판
Wa    최접근부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를 설명하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색 성형체와 다색 성형법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듯이, 서로 재질이 다른 제1, 제2의 성형 재료를 준비하고, 제1의 성형 재료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제1의 성형체(1)와 제2의 성형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2의 성형체(3)를 조합하여 일체화할 때, 각 제1의 성형체(1)와 제2의 성형체(3)의 직선적인 경계(6)에 있어서의 주연부를 단면 대략 삼각형으로 예각의 얇은 돌출편(5)으로 형성하도 록 하고 있다.
제1의 성형 재료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각종의 열가소성 수지, 구체적으로는 폴리카보네이트, 시클로올레핀 폴리머, 혹은 폴리에테르이미드 등이 선택되어 사용된다. 또, 제2의 성형 재료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제1의 성형 재료보다도 미끄럼성, 내열성, 내마모성이 뛰어나고, 제1의 성형 재료와의 용융(가열하여 녹임)이 곤란한 각종의 열가소성 수지, 구체적으로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세탈,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등이 선택되어 사용된다.
한 쌍의 제1의 성형체(1)는, 도 2나 도 3에 나타내듯이, 각각 같은 크기의 단면 대략 블록(block)형으로 형성되고, 제2의 성형체(3)를 끼워지지하도록 기능한다. 각 제1의 성형체(1)의 제2의 성형체(3)에 접촉하는 경계면에는, 제2의 성형체(3)와의 조합용의 볼록부(2)가 돌출 형성된다. 또, 제2의 성형체(3)는, 도 2나 도 3에 나타내듯이, 제1의 성형체(1)보다도 긴 단면 대략 블록형으로 형성되고, 각 제1의 성형체(1)에 접촉하는 경계면에, 제1의 성형체(1)의 볼록부(2)와 끼워맞춰지는 오목부(4)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얇은 돌출편(5)은, 동 도에 나타내듯이, 선단부를 향함에 따라 서서히 가늘어지는 단면 대략 직각 삼각형(단면 대략 쐐기형이기도 하다)으로 형성되고, 경계(6)를 형성하는 경사면(7)과 수평면이 형성하는,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경사 각도(θ)가 5о~40о, 바람직하게는 10о~30о, 보다 바람직하게는 15о~20о의 범위로 되어 있고, 경사면(7)의 길이(L)가 0.4~5.0mm로 된다.
얇은 돌출편(5)의,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경사 각도(θ)를 5о~40о의 범위로 하는 것은, 경사 각도(θ)가 5о 미만인 경우에는, 실험 결과로부터 얇은 돌출편(5)의 선단부에 제1, 제2의 성형 재료를 충분히 충전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경사 각도(θ)가 40о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실험 결과로부터 각 제1의 성형체(1)와 제2의 성형체(3)를 강고하게 접합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얇은 돌출편(5)의,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경사 각도(θ)는, 다색 성형의 안정화나 접합의 확실화의 관점에서 10о~30о의 범위가 최적이다.
얇은 돌출편(5)의 경사면(7)의 길이(L)가 0.4~5.0mm의 범위인 것은, 길이(L)이 0.4mm 미만인 경우에는 실험 결과로부터 충분한 접합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반대로, 길이(L)가 5.0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실험 결과로부터 제1, 제2의 성형 재료를 적절히 충전할 수가 없고 성형이 불안정화하기 때문이다. 
상기에 있어서, 각종 기계 장치의 기구 부품, 버튼(button), 키톱(key top), 손잡이, 핀셋 등으로 이루어지는 다색 성형체를 성형하는 경우에는, 먼저, 도시하지 않은 금형에 가소화한 폴리카보네이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1의 성형 재료를 충전하여 베이스(base)로 되는 한 쌍의 제1의 성형체(1)를 각각 성형하고, 각 제1의 성형체(1)를 금형으로부터 탈형하여 제2의 성형체(3)를 성형하는 금형(도시하지 않음)에 인서트(insert)하고, 이 금형의 캐비티(cavity)의 벽면의 일부를 각 제1의 성형체(1)에 의해 구획 형성한다.
이렇게 하여 제2의 성형체용의 금형에 한 쌍의 제1의 성형체(1)를 인서트하면, 금형에 가소화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2의 성형 재료를 충전하여 제2의 성형체(3)를 성형함과 아울러, 각 제1의 성형체(1)와 제2의 성형체(3)의 경계(6)에 있어서의 주연부를 예각의 얇은 돌출편(5)으로 형성하여 용융 접합하고, 그 후 냉각하여 금형으로부터 탈형하면, 다색 성형체를 성형할 수가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비록 제1, 제2의 성형 재료가 접합의 관점에서 부적절한 조합인 경우라도, 제1, 제2의 성형체(1·3)의 경계(6)에 있어서의 주연부를 얇은 돌출편(5)으로 형성하여 일체화하면, 큰 압력이나 열을 이용하지 않고도 적절하고 강고하게 조합할 수가 있으므로, 접합의 관점에서 조합을 재고할 필요성이 전혀 없다. 따라서, 비록 상용성이 나빠도, 성능을 중시하여 2종류의 성형 재료를 적절히 조합할 수가 있다. 또, 2종류의 성형 재료의 계면이 강도적으로 약화되고, 세정시의 스트레스, 사용시나 수송시의 진동으로 박리되어 버리는 것을 확실히 억제 방지할 수가 있다.
다음에, 상기 다색 성형체나 다색 성형법을 이용한 기판 수납 용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판 수납 용기는, 도 4 내지 도 11에 나타내듯이, 구경 300mm의 둥근 반도체 웨이퍼로 이루어지는 복수매의 기판(W)을 수납하는 용기 본체(10)와, 이 용기 본체(10)의 개구한 정면을 씰 개스킷(seal gasket)(24)을 개재하여 개폐하는 착탈이 자유로운 덮개체(20)를 구비하고, 용기 본체(10)의 서로 대향하는 양 측벽에, 복수매의 기판(W)을 정렬시켜 지지하는 지지체(30)를 각각 배치하고, 각 지지체(30)를 다색 성형체로 하도록 하고 있다.
용기 본체(10)와 덮개체(20)의 성형 재료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테르이미드, 시클로올레핀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수지가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 본체(10)는, 도 4나 도 5에 나타내듯이, 예를 들면 투명의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사용하여 정면이 개구한 프론트 오픈 박스 타입(front open box type)으로 성형되고, 저면의 전부 양측과 후부 중앙에는, 도시하지 않은 반도체 가공 장치의 위치 결정 핀(pin)에 상방으로부터 끼워맞춰지는 단면 대략 역V자형의 위치 결정 도구가 각각 배치되어 있고, 천장의 중앙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자동 반송 기구에 파지되는 로보틱 핸들(robotic handle)(11)이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된다.
용기 본체(10)의 정면은, 폭방향 외측으로 뻗어나가 형성되어 덮개체(20) 끼워맞춤용의 림부(rim portion)(12)를 형성하고, 이 림부(12)의 내주면 상하에는, 덮개체(20)의 잠금 기구(26)용의 복수의 걸림 구멍(13)이 간격을 두어 각각 오목하게 형성된다. 또, 용기 본체(10)의 배면 벽의 내면에는, 기판(W)의 후부 주연을 수평으로 끼워맞춤 보지(保持)하는 좌우 한 쌍의 리어 리테이너(rear retainer)(14)가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피치(pitch)로 복수 병설된다. 또, 용기 본체(10)의 양 측벽 외면에는, 수동 반송용의 핸들(handle)(도시하지 않음)이 각각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된다.
덮개체(20)는, 도 4나 도 5에 나타내듯이, 용기 본체 정면의 림부(12)에 착 탈이 자유롭게 끼워맞춰지는, 정면에서 보아 가로로 길고 대략 직사각형인 케이싱(casing)(21)과, 이 케이싱(21)의 개구한 표면 양측을 착탈이 자유롭게 덮는 대략 직사각형의 복수의 커버 플레이트(cover plate)(22)를 구비하고,이들 케이싱(21)과 복수의 커버 플레이트(22)의 사이에는, 용기 본체(10)의 걸림 구멍(13)에 걸려 잠금 작용을 하는 좌우 한 쌍의 잠금 기구(26)가 내장된다.
케이싱(21)은 단면 대략 접시형으로 형성되고, 기판(W)에 대향하는 이면의 주연부에 프레임(frame)형의 단차 오목부(23)가 절결(切缺)됨과 아울러, 이 단차 오목부(23)에는 엔들리스(endless)로 탄성의 씰 개스킷(seal gasket)(24)이 끼워넣어져 있고, 이 씰 개스킷(24)이 용기 본체(10)의 림부(rim portion)(12) 내에 압접하여 변형됨으로써 기밀성을 확보한다. 이 케이싱(21)의 이면의 오목한 중앙부에는, 복수매의 기판(W)의 전부(前部) 주연을 탄발(彈發)적으로 수평으로 보지(保持)하는 세로로 긴 프론트 리테이너(front retainer)(25)가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된다.
각 잠금 기구(26)는, 케이싱(21)의 표면 측방에 축 지지되어 외부로부터 조작되는 회전 플레이트(rotary plate)(27)를 구비하고, 이 회전 플레이트(27)의 주연부에는, 회전 플레이트(27)의 회전에 수반하여 케이싱(21)의 상하 내외 방향으로 슬라이드(slide)하는 상하 한 쌍의 진퇴동(進退動) 플레이트가 원호 홈이나 핀(pin) 등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고, 각 진퇴동 플레이트의 선단부에는, 케이싱(21)의 둘레의 벽을 관통하여 용기 본체(10)의 걸림 구멍(13)에 끼워맞춰지는 걸림 발톱이 요동 가능하게 연결 지지된다.
한 쌍의 지지체(30)는, 용기 본체(10)의 성형시에 인서트(insert) 성형에 의해 양 측벽에 각각 일체화되고, 용기 본체(10)에 수납되는 복수매의 기판(W)을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피치(pitch)로 정렬시키고, 각 기판(W)을 좌우로부터 사이에 두어 수평으로 지지하도록 기능한다. 각 지지체(30)는, 도 6 내지 도 11에 나타내듯이, 용기 본체(10)의 측벽에 일체화되는 지지벽(31)과, 지지벽(31)의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병설되는 복수의 지지편(34)과, 지지벽(31)의 일부와 각 지지편(34)의 노출면에 적층되는 복수의 접촉층(37)과, 각 지지벽(31)에 형성되는 복수의 촉접층(觸接層)(40)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체(30)는,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내듯이, 지지벽(31)의 일부와 접촉층(37)의 경계(6), 각 지지편(34)과 접촉층(37)의 경계(6), 및 지지벽(31)과 각 촉접층(40)의 경계(6)의 주연부가 각각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얇은 돌출편(5)으로 형성되고, 각 얇은 돌출편(5)의,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경사 각도(θ)가 5о~40о, 바람직하게는 10о~30о, 보다 바람직하게는 15о~20о의 범위로 되어 있고, 또한 경계(6)를 형성하는 경사면(7)의 길이(L)가 0.4~5.0mm로 된다.
지지벽(31)과 복수의 지지편(34)은 내충격성, 내열성, 내수성이 뛰어난 폴리카보네이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1의 성형 재료에 의해 성형되고, 복수의 접촉층(37)과 촉접층(觸接層)(40)은 표면 평활성, 저마모성, 치수 안정성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2의 성형 재료에 의해 각각 성형된다. 따라서, 지지벽(31)과 복수의 지지편(34)은 제1의 성형체(1)를 형성하고, 복수의 접촉 층(37)과 촉접층(40)은 제2의 성형체(3)를 형성한다.
지지벽(31)은 정면에서 보아 세로로 긴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용기 본체(10)의 성형시에 그 측벽 내면에 인서트 성형으로 일체화된다. 이 지지벽(31)의 후부(도 6, 도 8의 우측)(33)는, 용기 본체(10)의 안쪽 방향으로 45о~80о의 경사 각도로 굴곡 경사지고, 용기 본체(10)의 측벽의 안쪽 방향으로 굴곡한 후부 형상에 대응한다.
각 지지편(34)은, 도 5나 도 8에 나타내듯이, 지지벽(31)의 전부(前部)(32)의 표면으로부터 용기 본체(10)의 안쪽 방향으로 대략 수평으로 돌출하여 기판(W)의 측부 선단(측부 전단)쪽에 하방으로부터 접촉층(37)을 개재하여 대향하는 제1의 지지부(35)와, 지지벽(31)의 굴곡한 후부(33)의 표면으로부터 용기 본체(10)의 안쪽 방향으로 대략 수평으로 돌출하여 기판(W)의 측부 선단(측부 후단)쪽에 하방으로부터 접촉층(37)을 개재하여 대향하는 제2의 지지부(36)로 분할하여 형성되고, 이들 제1, 제2의 지지부(35·36)가 간격을 두어 용기 본체(10)의 전후 방향, 환언하면 기판(W)의 출납 방향으로 이격한다.
제1의 지지부(35)는, 도 7에 나타내듯이, 선단부를 향함에 따라 서서히 얇아지는 단면 대략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평면 대략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용기 본체(10)의 정면측에 위치하고, 접촉층(37)으로 피복되어 있고, 가는 선단부측이 기판(W)의 이면 측부 선단쪽에 하방으로부터 접촉층(37)을 개재하여 대향한다. 또, 제2의 지지부(36)는, 제1의 지지부(35)보다도 작고 좁은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용기 본체(10)의 배면측에 위치하고, 선단부를 향함에 따라 서서히 얇아지는 단면 대략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모양으로 형성되어 접촉층(37)으로 피복되어 있고, 이 접촉층(37)이 지지벽(31)의 후부(33) 표면도 부분적으로 피복한다(도 6 참조).
복수의 접촉층(37)은, 도 7, 도 9, 도 10에 나타내듯이, 제1, 제2의 지지부(35·36)의 노출면에 각각 일체적으로 적층 피복됨과 아울러, 상하 방향으로 늘어서 있는 복수의 제2의 지지부(36) 간에 있어서의 지지벽(31)의 후부(33) 표면에도 일체적으로 적층되고, 제1, 제2의 지지부(35·36), 및 지지벽(31)의 후부(33) 표면의 경계(6)의 주연부가 각각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얇은 돌출편(5)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 얇은 돌출편(5)의,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경사 각도(θ)가 5о~40о, 바람직하게는 10о~30о, 보다 바람직하게는 15о~20о의 범위로 되고, 또한 경계(6)를 형성하는 경사면(7)의 길이(L)가 0.4~5.0mm로 조정된다.
제1, 제2의 지지부(35·36)를 피복하는 접촉층(37)은, 중공의 단면 대략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모양으로 형성되고, 표면(38)이 선단부를 향함에 따라 서서히 아랫 방향으로 경사지고 기판(W)의 측부 주연을 지지한다. 이러한 접촉층(37)의 표면(38)은, 도 7에 나타내듯이, 기판(W)의 중심부와 동심원의 역원추를 그리도록 경사 형성되고, 기판(W)을 그 자중을 이용하여 위치 결정하고, 또한 기판(W)의 회전을 규제하도록 기능한다.
제1의 지지부(35)를 피복하는 접촉층(37)의 표면(38)에는 동 도에 나타내듯이, 단차부(39)가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고, 이 단차부(39)가 기판(W)의 측부 주연 에 접촉하여 용기 본체(10)의 개구한 정면 방향으로의 튀어나옴을 규제한다. 이 단차부(39)는 기판(W)의 두께 치수, 구체적으로는 0.3mm~0.7mm의 높이로 형성된다. 
복수의 촉접층(觸接層)(40)은, 도 6에 나타내듯이, 각 지지벽(31)의 대략 중앙부 표면의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피치(pitch)로 병설되어 제1, 제2의 지지부(35·36)의 사이에 위치하고, 기판(W)의 출납시에 기판(W)의 지지벽(31)에 대한 양측의 최접근부(Wa)에 촉접(觸接)함으로써, 기판(W)과 지지벽(31)의 촉접에 수반하는 마모나 손상을 방지한다.
각 촉접층(40)은, 도 6이나 도 11에 나타내듯이, 정면에서 보아 가로로 긴 혹은 세로로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지지벽(31)의 표면의 경계(6)의 주연부가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얇은 돌출편(5)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얇은 돌출편(5)의,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경사 각도(θ)가 5о~40о, 바람직하게는 10о~30о, 보다 바람직하게는 15о~20о의 범위로 되고, 또한 경계(6)를 형성하는 경사면(7)의 길이(L)가 0.4~5.0mm로 조정된다. 그 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에 있어서, 용기 본체(10)나 지지체(30)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먼저, 가소화된 제1의 성형 재료에 의해 베이스로 되는 지지체(30)의 지지벽(31)과 복수의 지지편(34)을 일체 성형하여 중간품을 형성하고, 이 중간품을 복수의 접촉층(37)과 촉접층(40)을 성형하는 금형(도시하지 않음)에 세트(set)하고, 이 금형에 가소화된 제2의 성형 재료를 충전하여 복수의 접촉층(37)과 촉접층(40)을 성형하고, 완전한 지지체(30)를 성형한다.
이 성형시, 지지벽(31)과 접촉층(37)의 경계(6), 각 제1, 제2의 지지부(35·36)와 접촉층(37)의 경계(6), 및 지지벽(31)과 각 촉접층(40)의 경계(6)의 주연부가 각각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얇은 돌출편(5)으로 형성되고, 각 얇은 돌출편(5)의,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경사 각도(θ)가 5о~40о의 범위로 됨과 아울러, 경계(6)를 형성하는 경사면(7)의 길이(L)가 0.4~5.0mm로 설정되므로, 제1, 제2의 성형 재료의 상용성에 관계없이 양호한 용융 접합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벽(31)과 접촉층(37), 제1, 제2의 지지부(35·36)와 접촉층(37), 및 지지벽(31)과 촉접층(40)과 관련하여, 큰 압력이나 열을 이용하지 않고도 강고한 일체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이렇게 하여 완전한 지지체(30)를 성형하면, 이 지지체(30)를 용기 본체(10) 성형용의 금형(도시하지 않음)에 인서트(insert)하고, 이 금형에 용기 본체(10)용의 성형 재료를 충전하고, 그 후 냉각하여 금형으로부터 탈형하면, 지지체(30)를 좌우 양측부에 구비한 용기 본체(10)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비록 제1, 제2의 성형 재료가 접합의 관점에서 부적절한 조합(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조합 등)인 경우라도, 지지벽(31)과 접촉층(37)의 경계(6), 및 각 지지편(34)과 접촉층(37)의 경계(6)의 주연부를 각각 얇은 돌출편(5)으로 형성하고 일체화하면, 적절하고 강고하게 조합할 수가 있으므로, 접합의 관점에서 조합을 재고할 필요가 전혀 없다. 따라 서, 비록 상용성이 나빠도, 성능을 중시하여 2종류의 성형 재료를 적절히 조합할 수가 있어, 지지체(30)의 복수의 부위의 다른 요구 특성을 크게 만족시킬 수가 있다.
또, 2종류의 성형 재료의 계면이 강도적으로 약화되고, 세정시의 계면활성제의 침입이나 스트레스(stress), 사용시나 수송시의 진동으로 박리되어 버리는 것을 확실히 억제 방지할 수가 있다. 또, 경계(6)의 주연부의 일부만을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얇은 돌출편(5)으로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경계(6)의 전 주연부를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얇은 돌출편(5)으로 형성하므로, 극히 높은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또, 기판(W)에 지지편(34)의 노출면이 아니라, 미끄러짐성이 뛰어난 접촉층(37)의 경사진 표면(38)이 접촉하므로, 기판(W)에 올려놓는 위치의 흔적이 남지 않고, 기판(W)의 원활한 이동을 크게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기판(W)의 인출 미쓰(miss)를 막아 트러블(trouble)을 방지하고, 기판(W)의 마킹(marking)이나 흠집 발생을 확실히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 제2의 지지부(35·36)가 1매의 판이 아니라, 분할되어 간격을 두고 이격하므로, 기판(W)에 대한 접촉 영역을 감소시켜 파티클(particle)의 발생을 크게 억제할 수가 있다.
다음에,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각 지지체(30)의 제1의 지지부(35)를 피복하는 접촉층(37)과 제2의 지지부(36)를 피복하는 접촉층(37)의 적어도 어느 일방의 표면(38)에, 기판(W)의 이면 주연부에 접촉하는 돌기(50)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도 12에 있어서는, 좌우 한 쌍의 제1의 지지부(35)를 각각 피복하는 접촉층(37)의 표면(38)에, 기판(W)의 이면 주연부에 접촉하는 돌기(50)를 형성하고 있지만, 각 제2의 지지부(36)를 각각 피복하는 접촉층(37)의 표면(38)에, 기판(W)의 이면 주연부에 접촉하는 돌기(5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돌기(50)는, 예를 들면 가늘고 긴 선으로 형성되고, 접촉층(37)의 표면(38)에 일체화되어 기판(W)의 반경 방향을 지향한다. 그 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또한 기판(W)의 이면에 소면적의 돌기(50)가 접촉하므로, 접촉 면적을 감소시켜 파티클 발생의 확률을 큰 폭으로 저감할 수가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다음에,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용기 본체(10)의 양 측벽과 각 지지체(30)의 지지벽(31)의 사이에, 적어도 제2의 성형 재료와는 다른 별개의 재료의 개재 피복층(51)을 각각 판상으로 형성하여 일체화하도록 하고 있다.
각 개재 피복층(51)은, 제2의 성형 재료 이외의 성형 재료, 예를 들면 제1의 성형 재료나 그 외의 성형 재료에 의해 얇게 성형된다. 그 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또한 제2의 성형 재료가 제1의 성형 재료로 이루어지는 노출면에 노출되지 않게 하고 나서 용기 본체(10)의 측벽과 일체화할 수가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다음에, 도 14,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각 지지체(30)의 지지편(34)인 제1, 제2의 지지부(35·36)의 사이에, 판형의 선반부(52)를 간격을 두어 대략 수평으로 개재하여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선반부(52)는 소정의 성형 재료에 의해 성형되고, 제1, 제2의 지지부(35·36)의 표면과 같은 높이든지, 혹은 이들 제1, 제2의 지지부(35·36)의 표면보다도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있고, 제1, 제2의 지지부(35·36)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내고 싶은 경우 등에는, 노출면 중 적어도 표면에 제2의 성형 재료로 이루어지는 접촉층(37)이 적층 피복된다. 이 선반부(52)의 성형 재료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기판(W)의 접촉을 회피하고 싶은 경우에는 제1의 성형 재료가 선택된다.
선반부(52)의 하면인 이면은, 기판(W)이 자동 기계로 픽업(pickup)되는 경우, 픽업 범위가 좁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제2의 지지부(35·36)의 이면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높이로 설정된다. 그 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또한 용기 본체(10)에 기판(W)을 자동이 아니라 수동으로 삽입하는 경우에, 선반부(52)에 의해 인접하는 지지편(34)에 대한 오삽입(크로스 슬롯(cross-slot))을 억제 방지할 수가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다음에, 도 16은 본 발명의 제5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각 지지체(30)의 지지편(34)인 제1, 제2의 지지부(35·36)의 표면에만 접촉층(37)을 각각 적층하도록 하고 있다. 그 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또한 제1, 제2의 지지부(35·36)의 노출면 중 적어도 표면에 접촉층(37)을 적층하므로, 접촉층(37)의 적층 영역을 감소시켜 비용 삭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다음에, 도 17, 도 18은 본 발명의 제6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제1의 성형 재료에 의해 각 지지체(30)의 지지편(34)을 성형하는 것이 아니라, 제2의 성형 재료에 의해 각 지지체(30)의 지지편(34)과 접촉층(37)을 성형하여 일체화하고, 각 지지편(34)에 기판(W)을 지지시키도록 하고 있다.
지지벽(31)과 지지편(34)의 경계(6)의 주연부는, 강도 확보의 관점에서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얇은 돌출편(5)으로 형성되고, 각 얇은 돌출편(5)의,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경사 각도(θ)가 5о~40о, 바람직하게는 10о~30о, 보다 바람직하게는 15о~20о의 범위로 되어 있고, 또한 경계(6)를 형성하는 경사면(7)의 길이(L)가 0.4~5.0mm로 된다. 그 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또한 제조법이나 구성의 다양화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다색 성형법의 프로세스(process)는 이하와 같이 변경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금형에 가소화한 제1의 성형 재료를 충전하여 제1의 성형체(1)를 사출 성형하고, 한 번 금형을 열어 제1의 성형체(1)를 금형의 코어(core)측에 부착시킨 채로 금형의 회전반을 180о 회전시키고, 금형을 닫아 가소화한 제2의 성형 재료를 충전하고, 제2의 성형체(3)를 성형함과 아울러, 제1, 제2의 성형체(1·3)의 경계(6)에 있어서의 주연부의 적어도 일부를 얇은 돌출편(5)으로 형성하고 용융 일체화한 후, 탈형하여 의장적인 문자, 숫자, 기호 등으로 이루어지는 모양을 구비한 다색 성형체를 얻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2조의 사출 장치를 구비한 전용기를 사용하여 다색 성형하는 방법 외에, 예를 들면 2조의 금형을 수직축의 주위에 서로 등을 맞대게 장착하고, 수직축을 중심으로 하여 반회전시켜 다색 성형하는 방법, 혹은 1조의 금형 내에 1차 성형용과 2차 성형용의 캐비티(cavity), 코어(core)의 세트를 설치하여 다색 성형하는 방법 등도 적당히 채용할 수가 있다. 또, 이 다색 성형법을 더 전개하여, 성형체를 성형하는 실린더(cylinder) 수를 늘려 여러 색의 성형을 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제2의 성형체(1·3)의 직선적인 경계(6)를 나타냈지만, 하등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파형, 삼각형, 사각형, 요철형, 계단형, 톱니형 등의 경계(6)로 하여 접촉면을 증대시켜, 양호한 접합을 얻도록 해도 좋다. 또, 프론트 오픈 박스 타입(front open box type)의 기판 수납 용기를 나타냈지만, 하등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상부가 개구한 오픈 카세트(open cassette)로 이루어지는 기판 수납 용기라도 좋다. 또, 특히 지장을 초래하지 않으면, 지지편(34)을 제1, 제2의 지지부(35·36)로 분할하지 않고, 평면 대 략 く자형의 평판 등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 각 지지편(34)과 접촉층(37)의 경계(6)의 주연부를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얇은 돌출편(5)으로 형성했지만,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임의의 지지편(34)과 접촉층(37)의 경계(6)의 주연부의 적어도 일부를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얇은 돌출편(5)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 용기 본체(10)의 양 측벽에 지지벽(31)을 성형에 의해 각각 일체화했지만, 용기 본체(10)의 양 측벽 내면에 지지벽(31)을 나사, 볼트(bolt), 너트(nut) 등으로 이루어지는 체결 도구를 이용하여 일체화하거나, 열 용착, 초음파 용착, 레이저 용접 등에 의해 고정시킬 수가 있다. 또, 용기 본체(10)나 그 저부의 바텀 플레이트(bottom plate)에 지지벽(31)을 요철 끼워맞춤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 용기 본체(10)가 제1의 성형 재료에 의해 성형되는 경우에는, 지지벽(31)으로부터가 아니라, 용기 본체(10)의 측벽 내면으로부터 제1, 제2의 지지부(35·36)를 각각 직접 돌출시키고, 이들 제1, 제2의 지지부(35·36)와 접촉층(37)의 경계(6)의 주연부를 각각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얇은 돌출편(5)으로 형성하여 그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경사 각도(θ)를 5о~40о의 범위로 하고, 또한 경사면(7)의 길이(L)를 0.4~5.0mm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제1의 지지부(35)를, 위에서 보아 대략 삼각형과 대략 반원형이 조합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7)

  1. 제1, 제2의 성형 재료를 조합하여 일체로 성형되는 다색 성형체로서,
    제1의 성형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1의 성형체와 제2의 성형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2의 성형체의 경계의 적어도 주연부의 일부를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얇은 돌출편으로 형성하고, 이 얇은 돌출편의,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경사 각도를 5о~40о의 범위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성형체.
  2. 제1항에 있어서,
    제1의 성형 재료를 폴리카보네이트, 시클로올레핀 폴리머, 폴리에테르이미드의 어느 것으로 하고,
    제2의 성형 재료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세탈,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의 어느 것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성형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얇은 돌출편을 단면 대략 삼각형으로 형성하여 그 경사면의 길이를 0.4~5.0mm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성형체.
  4. 제1, 제2의 성형 재료를 조합하여 일체로 성형하는 다색 성형법으로서,
    제1의 성형 재료를 사용하여 제1의 성형체를 성형하고, 이 제1의 성형체에, 제2의 성형 재료를 사용하여 제2의 성형체를 일체로 성형함과 아울러, 이들 제1, 제2의 성형체의 경계의 적어도 주연부의 일부를 단면 대략 삼각형의 얇은 돌출편으로 형성하여 그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경사 각도를 5о~40о의 범위로 하고, 이 얇은 돌출편의 경사면을 0.4~5.0mm의 길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성형법.
  5. 제4항에 있어서,
    제1의 성형 재료를 폴리카보네이트, 시클로올레핀 폴리머, 폴리에테르이미드의 어느 것으로 하고,
    제2의 성형 재료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세탈,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의 어느 것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 성형법.
  6. 기판을 수납하는 용기 본체의 내부 양측에, 기판을 정렬시켜 지지하는 지지체를 각각 설치하고, 각 지지체를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다색 성형체로 한 기판 수납 용기로서,
    지지체는 제1의 성형 재료에 의해 성형되어 용기 본체의 내부 측방에 위치하 는 지지편과, 제2의 성형 재료에 의해 적어도 지지편에 일체로 적층되어 기판에 접촉하는 접촉층을 포함하고, 이들 지지편과 접촉층의 경계의 적어도 주연부의 일부를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얇은 돌출편으로 형성하고, 이 얇은 돌출편의,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경사 각도를 5о~40о의 범위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수납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지지체는 제1의 성형 재료에 의해 성형되어 용기 본체의 내부 측방에 설치되고, 지지편을 지지하는 지지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수납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용기 본체의 내부 측방과 지지체의 지지벽의 사이에, 제2의 성형 재료와는 다른 재료의 개재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수납 용기.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지지체는 제2의 성형 재료에 의해 지지벽에 포개어지고, 기판의 지지벽에 대한 최접근부에 촉접(觸接)하는 촉접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수납 용기.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체의 지지편에 적층된 접촉층의 표면에, 기판에 접촉하는 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수납 용기.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체의 지지편은, 용기 본체의 내부 측방으로부터 안쪽 방향으로 돌출하여 기판의 측부 선단쪽에 대향하는 제1의 지지부와, 용기 본체의 내부 측방으로부터 안쪽 방향으로 돌출하여 기판의 측부 말단쪽에 대향하는 제2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이들 제1, 제2의 지지부의 노출면 중 적어도 표면에 접촉층을 각각 적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수납 용기.
  12.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체의 지지편은, 지지벽으로부터 안쪽 방향으로 돌출하여 기판의 측부 선단쪽에 대향하는 제1의 지지부와, 지지벽으로부터 안쪽 방향으로 돌출하여 기판의 측부 말단쪽에 대향하는 제2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제1, 제2의 지지부의 노출면에 접촉층을 각각 적층함과 아울러, 지지벽과 제2의 지지부의 사이에 접촉층을 적층하고, 지지벽과 접촉층의 경계의 적어도 주연부의 일부를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얇은 돌출편으로 형성하고, 이 얇은 돌출편의,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경사 각 도를 5о~40о의 범위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수납 용기.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지지체의 제1, 제2의 지지부의 사이에 선반부를 개재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수납 용기.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제2의 지지부의 노출면에 적층된 접촉층의 표면을, 기판의 중심부와 대략 동심원의 원추를 그리도록 경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수납 용기.
  15.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벽과 접촉층의 경계의 적어도 주연부의 일부를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얇은 돌출편으로 형성하고, 이 얇은 돌출편의,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경사 각도를 5о~40о의 범위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수납 용기.
  16. 기판을 수납하는 용기 본체의 내부 양측에, 기판을 정렬시켜 지지하는 지지체를 각각 설치하고, 각 지지체를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다색 성형체로 한 기판 수납 용기로서,
    지지체는, 제1의 성형 재료에 의해 성형되어 용기 본체의 내부 측방에 위치 하는 지지벽과, 제2의 성형 재료에 의해 성형되어 지지벽에 형성되고 기판을 접촉 지지하는 지지편을 포함하고, 이들 지지벽과 지지편의 경계의 적어도 주연부의 일부를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얇은 돌출편으로 형성하고, 이 얇은 돌출편의,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경사 각도를 5о~40о의 범위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수납 용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지지체의 지지편은, 지지벽으로부터 안쪽 방향으로 돌출하여 기판의 측부 선단쪽에 대향하는 제1의 지지부와, 지지벽으로부터 안쪽 방향으로 돌출하여 기판의 측부 말단쪽에 대향하는 제2의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수납 용기.
KR1020097010294A 2006-12-01 2007-11-14 다색 성형체,다색 성형법,및 기판 수납 용기 KR1014101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325096 2006-12-01
JP2006325096A JP4920387B2 (ja) 2006-12-01 2006-12-01 基板収納容器
PCT/JP2007/072105 WO2008065892A1 (fr) 2006-12-01 2007-11-14 Article moulé à plusieurs couleurs, procédé de moulage en plusieurs couleurs et conteneur de réception de substra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889A true KR20090087889A (ko) 2009-08-18
KR101410162B1 KR101410162B1 (ko) 2014-06-19

Family

ID=39467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0294A KR101410162B1 (ko) 2006-12-01 2007-11-14 다색 성형체,다색 성형법,및 기판 수납 용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318275B2 (ko)
EP (1) EP2098351B1 (ko)
JP (1) JP4920387B2 (ko)
KR (1) KR101410162B1 (ko)
CN (1) CN101588906B (ko)
TW (1) TWI418456B (ko)
WO (1) WO20080658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81834B2 (ja) * 2007-10-30 2012-02-22 キヤノン株式会社 多層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466807B (zh) * 2008-03-13 2015-01-01 Entegris Inc 具有管狀環境控制元件之晶圓儲存盒
US8627959B2 (en) 2008-06-23 2014-01-14 Shin-Etsu Polymer Co., Ltd. Substrate storage container
JP5092949B2 (ja) * 2008-07-07 2012-12-05 株式会社Sumco ウェーハケース
US20120028063A1 (en) * 2009-04-20 2012-02-02 Kouichi Sakata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composition for welding and composite molded article
CN102844249B (zh) * 2010-04-20 2014-09-10 未来儿株式会社 基板收纳容器
US8910792B2 (en) * 2010-05-24 2014-12-16 Miraial Co., Ltd. Substrate storage container
JP6018404B2 (ja) * 2012-04-25 2016-11-02 株式会社荏原製作所 基板処理装置
JP6166275B2 (ja) * 2012-11-20 2017-07-19 ミライアル株式会社 基板収納容器
JP6185268B2 (ja) * 2013-03-26 2017-08-23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基板収納容器
KR102113139B1 (ko) * 2013-09-11 2020-05-20 미라이얼 가부시키가이샤 기판수납용기
JP2015177165A (ja) * 2014-03-18 2015-10-05 ダイセル・エボニック株式会社 フロントオープニングシッピングボック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527997A (ja) * 2014-08-28 2017-09-21 インテグリ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基板容器
WO2016046985A1 (ja) * 2014-09-26 2016-03-31 ミライアル株式会社 基板収納容器
CN107431036B (zh) * 2015-04-10 2021-09-28 信越聚合物株式会社 基板收纳容器
US9601577B1 (en) 2015-10-08 2017-03-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ree-dimensionally integrated circuit devices including oxidation suppression layers
JP6191672B2 (ja) * 2015-10-15 2017-09-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基板用トレイ
JP6672570B2 (ja) * 2017-01-10 2020-03-25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基板収納容器及び基板収納容器の製造方法
KR20190117502A (ko) * 2017-02-27 2019-10-16 미라이얼 가부시키가이샤 기판 수납 용기
JP6905867B2 (ja) * 2017-05-26 2021-07-21 花王株式会社 歯ブラシ
JP7069475B2 (ja) * 2017-08-10 2022-05-18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基板収納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6992240B2 (ja) * 2017-11-16 2022-01-13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基板収納容器
CN109203358A (zh) * 2018-09-19 2019-01-15 合肥联宝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复合材料的结构
US20210296149A1 (en) * 2020-03-23 2021-09-23 Applied Materials, Inc. Enclosure system shelf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2822A (en) * 1985-08-08 1988-08-09 Ettinger Anna C Reduction of gastrointestinal disease-producing organisms with sialic acid and gangliosides
JP2607076B2 (ja) * 1987-02-13 1997-05-07 大同特殊鋼株式会社 鋼材加熱装置
JPH069850Y2 (ja) * 1987-06-15 1994-03-16 日本板硝子株式会社 車両用窓ガラス
JP3145252B2 (ja) * 1994-07-29 2001-03-12 淀川化成株式会社 基板支承用側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カセット
US6428729B1 (en) * 1998-05-28 2002-08-06 Entegris, Inc. Composite substrate carrier
US6808668B2 (en) * 1998-05-28 2004-10-26 Entegris, Inc. Process for fabricating composite substrate carrier
US7523829B2 (en) * 2003-03-04 2009-04-28 Shin-Etsu Polymer Co., Ltd. Precision substrate storage container
JP4159946B2 (ja) * 2003-08-19 2008-10-01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基板収納容器
JP4226974B2 (ja) 2003-08-27 2009-02-18 紀伊産業株式会社 2色成形品の製造方法
JP4601932B2 (ja) * 2003-09-16 2010-12-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基板収納ケース
JP4667769B2 (ja) * 2004-06-11 2011-04-13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基板収納容器
JP4634772B2 (ja) * 2004-10-14 2011-02-16 ミライアル株式会社 収納容器
JP4584023B2 (ja) * 2005-05-17 2010-11-17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基板収納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18456B (zh) 2013-12-11
JP2008140948A (ja) 2008-06-19
CN101588906A (zh) 2009-11-25
WO2008065892A1 (fr) 2008-06-05
US20110064896A1 (en) 2011-03-17
KR101410162B1 (ko) 2014-06-19
EP2098351B1 (en) 2014-03-19
JP4920387B2 (ja) 2012-04-18
TW200833491A (en) 2008-08-16
EP2098351A1 (en) 2009-09-09
US8318275B2 (en) 2012-11-27
EP2098351A4 (en) 2012-06-20
CN101588906B (zh) 2013-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7889A (ko) 다색 성형체,다색 성형법,및 기판 수납 용기
CN1043630C (zh) 盛放盒式盘的外套盒
CN1481319A (zh) 吹塑成形容器
JP2011131511A (ja) 撮像レンズ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成形金型装置
WO2019097832A1 (ja) 基板収納容器
JP2003068839A (ja) 基板収納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S59199227A (ja) バンパ−の製造方法
WO2019031142A1 (ja) 基板収納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3974344B2 (ja) 精密基板収納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50113652A (ko) 사출성형 동시 가식품의 제조방법 및 사출성형 동시 가식용금형
JP2006327000A (ja) 内表面に薄膜を有する中空成形品の成形方法および成形装置
JP4217030B2 (ja) インモールド容器およびその製造装置
JP2005521236A (ja) 性能フィルムを備える半導体部品取扱装置
JP6701493B2 (ja) 容器本体の製造方法
JP2009131999A (ja) ガラスインサート成形用金型
JP2009248541A (ja) 2色成形品の成形方法および筐体部品
JP6275801B1 (ja) 樹脂製品
US20040126220A1 (en) Front opening shipping box
JP4596681B2 (ja) 収納容器とその製造方法
JP2003300583A (ja) 板状体の搬送用箱
JP7463090B2 (ja) 樹脂積層体および樹脂積層体の製造方法
JP3769578B2 (ja) 射出成形同時加飾品の製造方法及び射出成形同時加飾用金型
JP2011077166A (ja) 基板収納容器
JP6478376B2 (ja) 収納ケース
JP4346398B2 (ja) 射出成形同時加飾品の製造方法および射出成形同時加飾用金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