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6383A - 대차식 반송장치 - Google Patents

대차식 반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6383A
KR20090086383A KR1020097001552A KR20097001552A KR20090086383A KR 20090086383 A KR20090086383 A KR 20090086383A KR 1020097001552 A KR1020097001552 A KR 1020097001552A KR 20097001552 A KR20097001552 A KR 20097001552A KR 20090086383 A KR20090086383 A KR 20090086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assage
bogie
crossing area
limit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1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4792B1 (ko
Inventor
카츠히로 스기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090086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6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4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4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12Systems with propulsion devices between or alongside the rails, e.g. pneumatic systems
    • B61B13/127Systems with propulsion devices between or alongside the rails, e.g. pneumatic systems the propulsion device consisting of stationary driving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48Controlling attitudes of load-carriers dur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측의 캠 레일로 제어되는 승강이 자유로운 피반송물 지지대를 구비한 대차를 이용하는 반송장치에서, 차량 등의 통로를 횡단하도록 대차 주행 경로를 레이아웃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서, 그 특징은, 피반송물 지지대(11)를 상승 한계 위치에서 로크하는 자동 로크수단이 설치되고, 이 자동 로크수단의 로크 해제용 캠 종동 롤러(44)는 대차 주행 경로(P)의 반송 대차 지지 레벨(L)보다 상방에 설치되고, 피반송물 지지대(11)를 승강시키기 위한 캠 종동 롤러(32)는 피반송물 지지대(11)가 상승 한계 위치에 있을 때에는 반송 대차 지지 레벨(L)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대차 주행 경로와 통로의 교차 에어리어에는 반송 대차 지지 레벨(L)과 동일 레벨에서 횡단 통로 바닥재(45)가 부설되고, 이 통로 교차 에어리어에서는 반송 대차(1)는 피반송물 지지대(11)가 자동 로크수단으로 상승 한계 위치에 로크된 상태에서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점에 있다.
Figure 112009004624021-PCT00001
가이드 레일, 반송 대차, 피반송물 지지대, 캠 종동 롤러, 자동 로크수단, 승강용 캠 레일, 반송 대차 지지 레벨, 통로 교차 에어리어.

Description

대차식 반송장치{CARRIAGE TYPE CONVEYANCE DEVICE}
본 발명은 바닥측의 캠 레일로 제어되는 승강이 자유로운 피반송물 지지대를 구비한 대차식 반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대차식 반송장치, 즉 바닥면 상에 부설된 가이드 레일에 주행 가능하게 지지된 반송 대차에, 승강 가능한 피반송물 지지대와, 이 피반송물 지지대의 승강 운동과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승강용 캠 종동 롤러가 설치되고, 반송 대차 주행 경로측에는 상기 승강용 캠 종동 롤러를 밀어 올리는 승강용 캠 레일이 부설되어 있는 대차식 반송장치는, 특허문헌 1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 주지이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2006-62805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대차식 반송장치에서, 피반송물 지지대가 하강 한계 위치에 있을 때에도, 반송 대차를 지지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의 반송 대차 지지 레벨보다 상측에, 반송 대차 저부에 있는 승강용 캠 종동 롤러가 위치하도록 구성하면, 포크리프트(forklift)나 대차가 통과하는 통로를 횡단하도록 반송 대차 주행 경로를 레이아웃할 필요가 있어도, 그 횡단 통로 교차 에어리어에는 피반송물 지지대의 승강 위치에 관계없이, 상기 반송 대차 지지 레벨과 동일 레벨에서 횡단 통로 바닥재를 부설하면, 포크리프트나 대차가 가이드 레일 위치를 지장없이 통과 이동할 수 있지만, 상기 승강용 캠 종동 롤러의 승강 공간을 반송 대차 지지 레벨의 상측에서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반송 대차를 낮은 바닥 구조로 구성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대차식 반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그 수단을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참조 부호를 붙여서 나타내면, 제1항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바닥면 상에 부설된 가이드 레일(2a, 2b)에 주행 가능하게 지지된 반송 대차(1)에, 승강 가능한 피반송물 지지대(11)와, 이 피반송물 지지대(11)의 승강 운동과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승강용 캠 종동 롤러(30a, 30b, 32)와, 상승하는 피반송물 지지대(11)를 상승 한계 위치에서 로크하는 자동 로크수단(39)과, 이 자동 로크수단(39)의 로크 해제용 캠 종동 롤러(44)가 설치되고, 반송 대차 주행 경로측에는 상기 승강용 캠 종동 롤러(30a, 30b, 32)를 밀어 올리는 승강용 캠 레일(50, 52)과, 상기 로크 해제용 캠 종동 롤러(44)를 로크 해제 위치로 전환하는 로크 해제용 캠 레일(51)이 부설되어 있는 대차식 반송장치로서, 상기 로크 해제용 캠 종동 롤러(44)는 상기 가이드 레일(2a, 2b)의 반송 대차 지지 레벨(L)보다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용 캠 종동 롤러(30a, 30b, 32)는 피반송물 지지대(11)가 하강 한계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반송 대차 지지 레벨(L)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지만, 피반송물 지지대(11)가 상승 한계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반송 대차 지지 레벨(L)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반송 대차 주행 경로(P)를 횡단하는 통로 교차 에어리어(X)에는 상기 반송 대차 지지 레벨(L)과 동일 레벨에서 횡단 통로 바닥재(45)가 부설되고, 이 횡단 통로 바닥재(45)의 전후에 바닥면과의 단차를 메우는 경사 바닥재(46a, 46b)가 배열 설치되고, 이 통로 교차 에어리어(X)에서는 피반송물 지지대(11)가 상기 자동 로크수단(39)으로 상승 한계 위치에 로크된 상태에서 반송 대차(1)가 통과할 수 있도록, 당해 통로 교차 에어리어(X)의 위쪽에는 피반송물 지지대(11)를 상승 한계 위치로 밀어 올리는 승강용 캠 레일(50, 52)이 부설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구체적으로는, 청구항 제2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레일(2a, 2b) 상을 전동하는 반송 대차(1)측의 차륜(8)은 당해 가이드 레일(2a, 2b)의 차륜 지지면 상을 전동하는 둘레면 만을 구비한 플랜지가 없는 차륜으로 하고, 반송 대차(1)의 저부에는 상기 반송 대차 지지 레벨(L)보다 상측에서 주행 방향으로 적당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수직축 롤러(9a~9d)를 직렬 배열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통로 교차 에어리어(X)를 제외한 반송 대차 주행 경로(P)에는 상기 각 수직축 롤러(9a~9d)와 걸어 맞춰져 반송 대차(1)의 방향을 규제하는 방향 규제용 가이드 레일(3)을 부설하고, 상기 수직축 롤러(9a~9d)는 반송 대차(1)가 상기 통로 교차 에어리어(X)를 통과할 때, 통로 교차 에어리어(X)의 전후의 어느 하나 또는 통로 교차 에어리어(X)를 걸쳐서 항상 적어도 2개의 수직축 롤러가 상기 방향 규제용 가이드 레일(3)과 걸어 맞춰져 있도록, 간격과 개수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청구항 제2항에 기재된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 청구항 제3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레일(2a, 2b)은 통로 교차 에어리어(X)를 제외한 반송 대차 주행 경로(P)에 부설하고, 통로 교차 에어리어(X) 내에서는 반송 대차(1)측의 차륜(8)이 횡단 통로 바닥재(45) 상을 전동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청구항 제4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횡단 통로 바닥재(45)는 통로 교차 에어리어(X) 전후의 가이드 레일(2a, 2b)의 차륜 지지면을 연결하는 반송 대차 지지용 띠형상 바닥재(47a, 47b)를 포함하는 구조로 하고, 이 반송 대차 지지용 띠형상 바닥재(47a, 47b)를 지지하는 지지 레일재(49a, 49b)를 바닥면 상에 부설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상기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른 대차식 반송장치에 의하면, 바닥면 상에 부설된 반송 대차 지지 안내용의 가이드 레일의 반송 대차 지지 레벨보다 하측의 바닥면 상 공간도 피반송물 지지대를 밀어 올리기 위한 승강용 캠 종동 롤러의 승강 공간으로 이용하고 있으므로, 상기 반송 대차 지지 레벨보다 상측의 공간만을 상기 승강용 캠 종동 롤러의 승강 공간으로 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반송 대차를 낮은 바닥 구조로 구성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게다가 반송 대차 주행 경로를 횡단하는 통로 교차 에어리어에서는 피반송물 지지대가 자동 로크수단으로 상승 한계 위치에 로크된 상태에서 반송 대차가 주행하게 되므로, 이 통로 교차 에어리어에 승강용 캠 종동 롤러를 반송 대차 지지 레벨보다 상방으로 밀어 올려 두는 승강용 캠 레일을 부설할 필요가 없고, 로크 해제용 캠 종동 롤러도 반송 대차 지지 레벨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통로 교차 에어리어에서는 반송 대차 지지 레벨과 동일 레벨에서 부설된 횡단 통로 바닥재 및 이 횡단 통로 바닥재의 전후에 바닥면과의 단차를 메우도록 배열 설치된 경사 바닥재에 의해, 원활하고 또한 안전하게 포크리프트나 대차를 통과 이동시킬 수 있다. 물론 통로 교차 에어리어를 포함하여 반송 대차 주행 경로의 바닥면에 피트(pit)를 형성하지 않고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설비 비용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할 때에, 반송 대차의 차륜에 플랜지가 달린 차륜을 사용하면, 당해 차륜의 플랜지부가 가이드 레일과 걸어 맞춰짐으로써 반송 대차의 방향(자세)을 규제할 수 있지만, 이 경우, 통로 교차 에어리어에 부설되는 횡단 통로 바닥재에 상기 차륜의 플랜지부가 여유롭게 끼워져 통과하는 슬릿을 형성해 둘 필요가 있어, 횡단 통로 바닥면을 평탄한 연속면으로 할 수 없다. 그러나 청구항 제2항에 기재된 구성을 채용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때는, 통로 교차 에어리어에 부설되는 횡단 통로 바닥재에 플랜지가 달린 차륜의 플랜지부가 여유롭게 끼워져 통과하는 슬릿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횡단 통로 바닥면을 평탄한 연속면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 횡단 통로에서의 차량 등의 한층 원활하고 안전한 주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물론 반송 대차가 이 통로 교차 에어리어를 통과할 때에 주행 방향이 불측하게 변해버리는 사태는, 반송 대차측의 복수의 수직축 롤러와, 통로 교차 에어리어의 전후의 반송 대차 주행 경로에 부설된 방향 규제용 가이드 레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통로 교차 에어리어를 통과한 반송 대차가 당해 통로 교차 에어리어의 아래측의 주행 경로로부터 벗어나 버리는 것 같은 위험한 사태를 발생시키지 않아, 안전하게 통로 교차 에어리어를 주행 통과시킬 수 있다.
상기 청구항 제2항에 기재된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 청구항 제3항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통로 교차 에어리어의 바닥면을 당해 통로 교차 에어리어를 횡단하도록 부설된 가이드 레일의 차륜 전동 지지면과, 당해 가이드 레일을 피해서 부설된 횡단 통로 바닥재로 형성하는 경우보다, 횡단 통로 바닥면 전체를 평활한 평탄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청구항 제4항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횡단 통로 바닥재 중, 반송 대차의 차륜이 전동 통과하는 부분이 반송 대차 지지용 띠형상 바닥재로 구성되므로, 마모 등에 따라서 당해 반송 대차 지지용 띠형상 바닥재만을 교환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게다가 당해 반송 대차 지지용 띠형상 바닥재는 지지 레일재로 지지시켜, 큰 하중에도 견딜 수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반송 대차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는 개략의 일부 종단 측면도이다.
도 2는 반송 대차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는 개략의 평면도이다.
도 3은 피반송물 지지대가 상승 한계 위치에 있을 때의 크로스 링크 기구를 도시한 횡단 평면도이다.
도 4는 피반송물 지지대가 상승 한계 위치에 있을 때의 주요부를 도시한 종단 측면도이다.
도 5는 피반송물 지지대가 상승 한계 위치에 있을 때의 주요부를 도시한 종단 배면도이다.
도 6은 피반송물 지지대를 상승 한계 위치로부터 강하시키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한 주요부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7은 피반송물 지지대를 중간 높이 위치로부터 더욱 강하시키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한 주요부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8은 피반송물 지지대가 하강 한계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주요부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9는 반송 대차 주행 경로 중의 통로 교차 에어리어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동일 통로 교차 에어리어와 그 위측의 피반송물 지지대 승강용 캠 레일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절결 측면도이다.
도 11A는 동일 통로 교차 에어리어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 배면도, 도 11B는 그 일부분의 확대도이다.
<부호의 설명>
1 반송 대차 2a, 2b 지지용 가이드 레일
3 방향 규제용 가이드 레일 4 마찰 구동륜
5 백업 롤러 7 주행용 구동수단
8 차륜 9a~9d 수직축 롤러
10 크로스 링크 기구 11 피반송물 지지대
12a, 12b 크로스 링크 13a~14b 링크
16 지지 프레임 17, 22 베어링 부재
18, 23 위치 고정 지지점축 19, 24 공통 슬라이드 지지점축
20, 25 롤러 21, 26 전후 방향 슬라이드 가이드
30a, 30b 제1(승강용) 캠 종동 롤러 31 토글 링크
32 제2(승강용) 캠 종동 롤러 39 자동 로크수단
40 피걸림부 41 걸림구
44 로크 해제용 캠 종동 롤러 45 횡단 통로 바닥재
46a, 46b 경사 바닥재
47a, 47b 반송 대차 지지용 띠형상 바닥재
48 바닥재 본체 49a, 49b 지지 레일재
50 센터 캠 레일(승강용 제2 캠 레일)
51 로크 해제용 캠 레일
52 사이드 캠 레일(승강용 제1 캠 레일)
A 차량 등의 통로 P 반송 대차(1)의 주행 경로
L 반송 대차 지지 레벨 X 통로 교차 에어리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도 1 및 도 2에서, 1은 반송 대차로서, 바닥면 상에 부설된 좌우 한 쌍의 지지용 가이드 레일(2a, 2b)과, 편측의 가이드 레일(2a)에 접근하여 이들 가이드 레일(2a, 2b)과 평행하게 부설된 1개의 방향 규제용 가이드 레일(3)로 구성되는 주행 경로 상을 주행 한다. 이 반송 대차(1)를 주행시키기 위한 주행용 구동수단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 대차(1)의 주행 방향과 평행한 일측면에서 형성된 대차 전체 길이에 이르는 마찰 구동면(1a)에 압접하는 마찰 구동륜(4)과, 반송 대차(1)의 주행 방향과 평행한 타측면에서 형성된 백업면(1b)에 맞닿아 상기 마찰 구동륜(4)과의 사이에서 반송 대차(1)를 끼우는 백업 롤러(5), 및 상기 마찰 구동륜(4)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6)로 구성된 마찰 구동 형식의 주행용 구동수단(7)이 주행 경로 중의 적소에 배열 설치되어 있다.
반송 대차(1)에는 좌우 한 쌍의 지지용 가이드 레일(2a, 2b) 상을 전동하는 좌우 한 쌍 전후 2세트의 차륜(8)(가이드 레일(2a, 2b)과 걸어 맞춰지는 플랜지부를 가지지 않는 차륜)과, 방향 규제용 가이드 레일(3)에 걸어 맞춰지는 4개의 수직축 롤러(9a~9d)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5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방향 규제용 가이드 레일(3)은 좌우 한 쌍의 레일재(3a, 3b)로 구성되고, 각 수직축 롤러(9a~9d)가 좌우 한 쌍의 레일재(3a, 3b) 사이에 여유롭게 끼워지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지만, 1개의 수직 판형상의 레일재를 좌우 한 쌍의 수직축 롤러로 끼우는 구성이어도 된다. 결국,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수직축 롤러(9a~9d)는 반송 대차(1)의 저면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는데, 주행 경로측의 반송 대차 지지 레벨(L), 즉 좌우 한 쌍의 지지용 가이드 레일(2a, 2b)의 차륜 지지면과 동일 레벨의 반송 대차 지지 레벨(L)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고, 전후 양단의 수직축 롤러(9a, 9d)가 반송 대차(1)의 전후 양단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대략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반송 대차(1) 상에는 대략 중앙 위치에 크로스 링크 기구(10)를 통하여 승강이 자유롭게 지지된 피반송물 지지대(11)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 도 3~도 6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크로스 링크 기구(10)는 주행 방향과 평행한 2개의 크로스 링크(12a, 12b)를 피반송물 지지대(11)의 하측 좌우 양측에 병렬 배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크로스 링크 기구(10)가 구비하는 좌우 한 쌍의 크로스 링크(12a, 12b)는 중앙 교차부가 서로 동심형상의 중앙 지지점축(15)에서 피봇 장착된 2개의 링크(13a, 13b, 14a, 14b)로 이루어지고, 각 2개의 링크(13a~14b) 중, 내측이 되는 양 링크(13a, 14a)의 전단부는 반송 대차(1)측의 지지 프레임(16) 상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베어링 부재(17)에 서로 동심형상의 위치 고정 지지점축(18)에 의해 상하 요동이 자유롭게 피봇 장착되고, 당해 양 링크(13a, 14a)의 후단부는 공통 슬라이드 지지점축(24)에 의해 연결됨과 아울러, 당해 공통 슬라이드 지지점축(24)의 양단에 축지지된 롤러(25)가 피반송물 지지대(11)의 후단부 하측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전후 방향 슬라이드 가이드(26)에 전후 방향으로 전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다. 각 2개의 링크(13a~14b) 중, 외측이 되는 양 링크(13b, 14b)의 전단부는 피반송물 지지대(11)의 전단부 하측에서 상기 좌우 한 쌍의 베어링 부재(17)의 바로 위 위치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베어링 부재(22)에 서로 동심형상의 위치 고정 지지점축(23)에 의해 상하 요동이 자유롭게 피봇 장착되고, 당해 양 링크(13b, 14b)의 후단부는 공통 슬라이드 지지점축(19)에 의해 연결됨과 아울러, 당해 공통 슬라이드 지지점축(19)의 양단에 지승된 롤러(20)가 반송 대차(1)측의 지지 프레임(16) 상에서 상기 전후 방향 슬라이드 가이드(26)의 바로 아래 위치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전후 방향 슬라이드 가이드(21)에 전후 방향으로 전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다.
크로스 링크 기구(10)에는 승강용 캠 종동 롤러로서, 좌우 한 쌍의 제1 캠 종동 롤러(30a, 30b)와 1개의 제2 캠 종동 롤러(32)가 장착되어 있다. 제1 캠 종동 롤러(30a, 30b)는 좌우 한 쌍의 크로스 링크(12a, 12b)를 구성하는 각 2개의 링크(13a~14b) 중, 양 내측 링크(13a, 14a)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설된 돌출부(29a, 29b)의 하단에 서로 동심형상으로 축지지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29a, 29b)는 양 내측 링크(13a, 14a)의 중앙 지지점축(15)에 가까운 위치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연설된 것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반송물 지지대(11)가 상승 한계 위치에 있을 때는, 반송 대차(1)의 저면보다 상방에 캠 종동 롤러(30a, 30b)가 위치하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반송물 지지대(11)가 하강 한계 위치에 있을 때는, 캠 종동 롤러(30a, 30b)가 반송 대차(1)의 저면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캠 종동 롤러(32)는 크로스 링크 기구(10)에 병설된 토글 링크(31)에 축지지되어 있다. 즉 토글 링크(31)는 긴 링크(33)와 짧은 링크(34)를 중간 절곡 지지점축(35)에서 서로 연결하여 구성된 것으로, 각 링크(33, 34)는 각각 좌우 한 쌍의 링크 단체(單體)로 구성되고, 제2 캠 종동 롤러(32)는 내측이 되는 긴 링크(33)의 링크 단체 사이에서 상기 중간 절곡 지지점축(35)에 의해 축지지되어 있다. 이 토글 링크(31)는 좌우 한 쌍의 크로스 링크(12a, 12b) 사이의 대략 중앙에 배치된 것으로, 긴 링크(33)의 자유단은 크로스 링크(12a, 12b)를 구성하는 양 내측 링크(13a, 14a)의 중앙 지지점축(15)보다 조금 공통 슬라이드 지지점축(19, 24)에 가까운 위치에서 당해 양 내측 링크(13a, 14a) 사이에 좌우 수평 방향으로 가설(架設)된 축형상의 가설 부재(지지축 부재)(36)에 의해 피봇 장착되어 있다. 짧은 링크(34)의 자유단은 반송 대차(1)측의 지지 프레임(16) 상에 부착 설치된 베어링 부재(37)에, 크로스 링크(12a, 12b)의 중앙 지지점축(15)의 하방에 위치하는 지지축(38)에 의해 피봇 장착되어 있다.
또 상기한 크로스 링크 기구(10)에는 상승 한계 위치까지 상승한 피반송물 지지대(11)를 로크하는 자동 로크수단(39)이 병설되어 있다. 이 자동 로크수단(39)은 크로스 링크(12a, 12b)를 구성하는 외측의 양 링크(13b, 14b) 사이에 가설된 상기 공통 슬라이드 지지점축(19)을 피걸림부(40)로 하고, 이 피걸림부(40)에 대해서 자동으로 걸어 맞춰지는 좌우 한 쌍의 걸림구(41)를 구비한 것이다. 각각의 걸림구(41)는 좌우 한 쌍의 제1 캠 종동 롤러(30a, 30b)와 1개의 제2 캠 종동 롤러(32)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제2 캠 종동 롤러(32)에 대해서 좌우 둘로 나눈 상태로 배치된 동일 구조의 것으로, 각각은 반송 대차(1)측의 지지 프레임(16) 상에 설치된 베어링 부재(42)에 서로 동심형상의 좌우 수평 방향의 지지축(43)에 의해 상하 요동이 자유롭게 축지지되고, 각각의 걸림구(41)가 지지축(43)으로부터 수평 후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크 작용 위치에 중력으로 유지되어 있다. 또 각각의 걸림구(41)에는 하방향으로 암부(41a)가 일체로 연설되고, 이 암부(41a)의 하단에 서로 동심형상의 좌우 수평 지지축을 통하여 로크 해제용 캠 종동 롤러(44)가 축지지 되어 있다. 이 로크 해제용 캠 종동 롤러(44)는 걸림구(41)가 로크 작용 위치에 있을 때, 반송 대차(1)의 저면보다 하방이고, 상기 반송 대차 지지 레벨(L)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반송 대차(1)의 주행 경로 중에는, 피반송물 지지대(11) 상에 적재된 피반송물에 대해서 부품 조립 등의 작업을 행하는 작업 존이 설정되고, 이 작업 존보다 위측에 피반송물 싣기 작업 스테이션이 설정된다. 이 피반송물 싣기 작업 스테이션에 반송 대차(1)가 도착하기 전에,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강 한계 위치까지 중력으로 강하하고 있는 피반송물 지지대(11)를 도 4에 도시한 상승 한계 위치로 전환해 둔다. 이것은 포크리프트 등의 포킹 조작(forking operation)으로 피반송물을 피반송물 지지대(11) 상에 적재할 때, 당해 피반송물 지지대(11)의 하측에 포크의 강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이기도 하다. 이 피반송물 지지대(11)를 상승 한계 위치까지 밀어 올리기 위해서, 도 5 및 도 8에 각각 가상선으로 도시한 좌우 한 쌍의 사이드 가이드 레일(52)과, 도 4 및 도 5에 각각 가상선으로 도시한 1개의 센터 캠 레일(50)이 이용된다. 이들 캠 레일(50, 52)에 의한 피반송물 지지대(11)를 상승 한계 위치로 밀어 올리는 작용은 후술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피반송물 지지대(11)가 상승 한계 위치까지 밀어 올려질 때, 크로스 링크 기구(10)에서의 지지 프레임(16)측의 공통 슬라이드 지지점축(19)이 수평으로 위치 고정 지지점축(18)측으로 슬라이드하는데, 피반송물 지지대(11)가 상승 한계 위치에 이르기 직전에 당해 공통 슬라이드 지지점축(19)의 피걸림부(40)가 자동 로크수단(39)의 걸림구(41)를 중력에 저항하여 밀어 올리면서 통과하고, 피반송물 지지 대(11)가 상승 한계 위치에 이르렀을 때, 상기 걸림구(41)가 하방향으로 복귀 요동하여 공통 슬라이드 지지점축(19)의 피걸림부(40)에 자동으로 걸어 맞춰지게 된다. 즉 피반송물 지지대(11)는 상승 한계 위치에서 자동 로크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제1 캠 종동 롤러(30a, 30b)는 반송 대차(1)의 저면보다 조금 상방의 위치까지 올라가 있고, 1개의 제2 캠 종동 롤러(32)는 반송 대차(1)의 저면보다 조금 하방으로 돌출되는 위치인데, 상기 반송 대차 지지 레벨(L)보다 상방의 위치까지 올라가 있다. 또 반송 대차(1)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다른 수직축 롤러(9a~9d)나 로크 해제용 캠 종동 롤러(44)도 상기 반송 대차 지지 레벨(L)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피반송물 지지대(11)가 상승 한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반송 대차 지지 레벨(L)보다 하측으로 돌출되는 것은 아무것도 없는 상태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피반송물 지지대(11)가 상승 한계 위치에서 로크된 상태의 반송 대차(1)가 주행 경로 중에 설정된 피반송물 싣기 작업 스테이션에 도착했을 때, 상승 한계 위치에 있는 피반송물 지지대(11) 상에 피반송물을 적재한다. 이때 피반송물 지지대(11)가 피반송물의 중량으로 강하하는 것은 자동 로크수단(39)의 걸림구(41)로 저지되어 있다. 상승 한계 위치의 피반송물 지지대(11) 상에 피반송물이 적재된 반송 대차(1)를 작업 존 내에 진입시켜, 당해 적재 피반송물에 대한 소정의 작업을 실행하게 되는데, 작업 내용에 따라 피반송물의 레벨을 상승 한계 위치로부터 낮출 필요가 있을 때는, 도 5의 가상선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승 위치에 있는 제2 캠 종동 롤러(32)를 받을 수 있는 캠 레일, 바꾸어 말하면 피반송물 지지대(11)를 상승 한계 위치까지 밀어 올릴 수 있는 높이의 센터 캠 레일(50)과, 이 센터 캠 레일(50)이 제2 캠 종동 롤러(32)를 지지할 수 있는 상태에서 자동 로크수단(39)의 캠 종동 롤러(44)를 밀어 올리는 로크 해제용 캠 레일(51)을 주행 경로 바닥측에 부설해 둔다.
반송 대차(1)의 주행에 수반되어, 우선 상승 위치에 있는 제2 캠 종동 롤러(32)가 센터 캠 레일(50)의 상측으로 이행하고, 그 후, 자동 로크수단(39)의 로크 해제용 캠 종동 롤러(44)가 로크 해제용 캠 레일(51)에 얹혀 걸림구(41)가 중력에 저항하여 로크 작용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밀어 올려지고, 걸림구(41)가 크로스 링크 기구(10)의 지지 프레임(16)측의 공통 슬라이드 지지점축(19)(피걸림부(40))으로부터 상방으로 이탈하여, 상승 한계 위치에 있는 피반송물 지지대(11)에 대한 로크가 해제된다. 이 순간부터 제2 캠 종동 롤러(32)는 직하의 센터 캠 레일(50)에 의해 대략 동일 레벨에서 지지되므로, 피반송물 지지대(11)는 실질적으로 상승 한계 위치에 유지된 그대로이지만, 이 후의 반송 대차(1)의 주행에 수반되어 제2 캠 종동 롤러(32)가 센터 캠 레일(50)의 하강 구배부(50a)(도 6, 도 7 참조)로 이행함으로써, 피반송물 지지대(11)는 부하 하중에 의해 크로스 링크 기구(10)를 도복(倒伏) 자세로 밀어 내리면서 평행하게 강하하게 된다.
상기한 피반송물 지지대(11)의 강하에 수반되어 크로스 링크 기구(10)에서의 좌우 한 쌍의 크로스 링크(12a, 12b)는 중앙 지지점축(15)의 둘레에서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기립 자세로부터 수평 자세를 향하여 도복하게 되는데, 센터 캠 레일(50)의 하강 구배부(50a)에 의한 피반송물 지지대(11)의 강하 한도는 크로스 링크(12a, 12b)의 도복 운동에 수반되어 자세가 변화하는 토글 링크(31)의 짧은 링크(34)가 수직 자세로 되었을 때이다. 이때, 제2 캠 종동 롤러(32)의 강하량이 최대가 되고, 주행 경로의 바닥면에 가장 접근하며, 센터 캠 레일(50)의 하강 구배부(50a)의 종단으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한편, 크로스 링크(12a, 12b)의 도복 운동에 수반되어, 좌우 한 쌍의 제1 캠 종동 롤러(30a, 30b)도 강하하고, 반송 대차(1)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게 된다. 따라서, 제2 캠 종동 롤러(32)가 센터 캠 레일(50)의 하강 구배부(50a)의 종단으로부터 멀어지기 전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 대차(1)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좌우 한 쌍의 제1 캠 종동 롤러(30a, 30b)를 받을 수 있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캠 레일(52)을 주행 경로 바닥면 상에 부설해 두고, 좌우 한 쌍의 제1 캠 종동 롤러(30a, 30b)를 통하여 사이드 캠 레일(52)로 피반송물 지지대(11)를 지지시키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반송 대차(1)의 주행에 수반되어, 좌우 한 쌍의 제1 캠 종동 롤러(30a, 30b)가 사이드 캠 레일(52)의 하강 구배부(52a)(도 7 참조)로 이행함으로써, 피반송물 지지대(11)는 부하 하중에 의해 크로스 링크 기구(10)를 더욱 도복 자세로 밀어 내리면서 평행하게 강하하게 된다. 그리고 피반송물 지지대(11)가 도 8에 도시한 하강 한계 위치에 이르렀을 때, 제1 캠 종동 롤러(30a, 30b)가 사이드 캠 레일(52)의 하강 구배부(52a)의 종단으로부터 멀어지게 되고, 하강 한계 위치에 이른 피반송물 지지대(11)는 반송 대차(1)측에 설치된 받이부(도시 생략)로 지지된다. 이때, 토글 링크(31)의 짧은 링크(34)가 수직 자세로부터 약간 전방으로 요동한 자세가 되고, 제2 캠 종동 롤러(32)는 주행 경로 바닥면에 가장 접근한 위치보 다 약간 올라가 있고, 좌우 한 쌍의 제1 캠 종동 롤러(30a, 30b)는 반송 대차(1)의 저면으로부터 가장 하방으로 돌출된 위치, 즉 주행 경로 바닥면에 가장 접근한 위치에 있다. 이때의 각각의 캠 종동 롤러(30a, 30b, 32)의 위치는 상기 반송 대차 지지 레벨(L)보다 하방의 위치이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반송 대차(1)가 작업 존 내를 주행함에 수반되어, 피반송물을 적재한 피반송물 지지대(11)를 도 4에 도시한 상승 한계 위치로부터 도 8에 도시한 하강 한계 위치까지 낮출 수 있는데, 소정 구간만, 센터 캠 레일(50)에 의해 피반송물 지지대(11)를 상승 한계 위치에 유지하여 주행시키는 것, 사이드 캠 레일(52)에 의해 피반송물 지지대(11)를 도 7에 도시한 중간 높이 위치에 유지하여 주행시키는 것, 또는 캠 레일을 부설하지 않고 피반송물 지지대(11)를 하강 한계 위치에 유지하여 주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센터 캠 레일(50)이나 사이드 캠 레일(52)의 높이를 낮추고, 소정 구간만, 피반송물 지지대(11)를 상승 한계 위치와 상기 중간 높이 위치 사이의 임의의 높이, 또는 상기 중간 높이 위치와 하강 한계 위치 사이의 임의의 높이에 유지하여 주행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바와는 반대로, 상승 한계 위치보다 낮춰져 있는 피반송물 지지대(11)를 올리고자 할 때, 그 때의 피반송물 지지대(11)의 높이가 하강 한계 위치일 때는, 도 8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캠 레일(52)의 상승 구배부(52b)에 의해 제1 캠 종동 롤러(30a, 30b)를 통하여 크로스 링크 기구(10)를 기립시켜서 피반송물 지지대(11)를 예를 들어 중간 높이 위치까지 밀어 올리고, 그 때의 피반송물 지지대(11)의 높이가 중간 높이 위치일 때는, 도 4에 가상선으로 도 시한 바와 같이, 센터 캠 레일(50)의 상승 구배부(50b)에 의해 제2 캠 종동 롤러(32)를 통하여 크로스 링크 기구(10)를 더욱 기립시켜서 피반송물 지지대(11)를 예를 들어 상승 한계 위치까지 밀어 올리면 된다.
그 다음에 반송 대차(1)의 주행 경로 중의 통로와 교차하는 통로 교차 에어리어의 본 발명에 의한 구성을 도 9~도 1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 대차(1)의 주행 경로(P)와 차량 등의 통로(A)가 교차하는 통로 교차 에어리어(X)에서는 지지용 가이드 레일(2a, 2b)과 방향 규제용 가이드 레일(3)이 부설되지 않고 분단되며, 그 대신에 통로 교차 에어리어(X)에는 지지용 가이드 레일(2a, 2b)의 반송 대차 지지 레벨(L)과 동일 레벨에서 횡단 통로 바닥재(45)가 부설되고, 이 횡단 통로 바닥재(45)의 통로방향의 전후에는 바닥면과의 단차를 메우는 경사 바닥재(46a, 46b)가 부설되어 있다. 횡단 통로 바닥재(45)는 통로 교차 에어리어(X)의 반송 대차 주행 방향 전후에 위치하는 지지용 가이드 레일(2a, 2b)의 차륜 지지면을 동일 레벨에서 연결하는 좌우 한 쌍의 반송 대차 지지용 띠형상 바닥재(47a, 47b)와, 이들 반송 대차 지지용 띠형상 바닥재(47a, 47b)와 함께 횡단 통로 바닥면을 구성하는 바닥재 본체(48)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반송 대차 지지용 띠형상 바닥재(47a, 47b)는 바닥면 상에 부설된 지지 레일재(49a, 49b)에 의해 바닥재 본체(48)와는 분리되어 지지되어 있다.
또 통로 교차 에어리어(X)에서는 피반송물 지지대(11)가 상승 한계 위치에 로크된 상태에서 반송 대차(1)가 주행 통과할 수 있도록, 만약, 통로 교차 에어리어(X)에 접근 주행하는 반송 대차(1)의 피반송물 지지대(11)가 상승 한계 위치에 없을 때는, 통로 교차 에어리어(X)의 위측 주행 경로(P)에,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하강 한계 위치의 피반송물 지지대(11)를 반송 대차(1)의 주행에 수반시켜 중간 높이 위치까지 밀어 올리는 상기 사이드 캠 레일(승강용 제1 캠 레일)(52)과, 중간 높이 위치의 피반송물 지지대(11)를 반송 대차(1)의 주행에 수반시켜 상승 한계 위치까지 밀어 올리는 상기 센터 캠 레일(승강용 제2 캠 레일)(50)이 부설된다. 물론 통로 교차 에어리어(X)를 통과한 반송 대차(1)의 피반송물 지지대(11)는 필요에 따라서 로크 해제용 캠 레일(51)을 이용하여 상승 한계 위치에서의 로크를 해제함과 아울러 승강용 캠 레일(52, 50)을 이용하여 중간 높이 위치나 하강 한계 위치까지 강하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통로(A)에서 반송 대차 주행 경로(P)를 횡단하는 차량 등은 경사 바닥재(46a, 46b)와 통로 교차 에어리어(X)에 부설된 횡단 통로 바닥재(45)로 형성되어 있는, 연속된 반송 대차 주행 경로 넘기 통로 바닥면을 이용하여, 원활하고 또한 안전하게 횡단 통과시킬 수 있다. 한편, 반송 대차 주행 경로(P)에서 통로(A)를 횡단 주행하는 반송 대차(1)는 그 차륜(8)이 통로 교차 에어리어(X) 위의 가이드 레일(2a, 2b) 상으로부터 동일 레벨의 횡단 통로 바닥재(45)의 반송 대차 지지용 띠형상 바닥재(47a, 47b) 상으로 바꿔 타고, 이 반송 대차 지지용 띠형상 바닥재(47a, 47b) 상에서 통로 교차 에어리어(X) 내를 통과하고, 그리고나서 통로 교차 에어리어(X) 아래로 동일 레벨에서 연속되는 가이드 레일(2a, 2b) 상으로 바꿔 타고 수평으로 주행할 수 있다. 물론 이 통로 교차 에어리어(X)를 주행 통과하는 반송 대차(1)에는 피반송물 지지대(11)가 미리 상승 한계 위치로 전환되어 있기도 하여, 가이드 레일(2a, 2b)의 반송 대차 지지 레벨(L)보다 하측으로 돌출되는 부재가 일절 존재하지 않으므로, 통로 교차 에어리어(X)에 반송 대차 지지 레벨에서 부설되어 있는 횡단 통로 바닥재(45)에 반송 대차(1)측의 부재를 간섭시키지 않고 안전하게 주행시킬 수 있다.
또 반송 대차(1)의 방향 규제용의 수직축 롤러(9a~9d)가 걸어 맞춰지는 방향 규제용 가이드 레일(3)이 통로 교차 에어리어(X)에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반송 대차(1)가 통로 교차 에어리어(X)를 통과할 때에 당해 반송 대차(1)의 방향이 불측하게 변해버려, 통로 교차 에어리어(X)의 위측의 방향 규제용 가이드 레일(3)로부터 아래측의 방향 규제용 가이드 레일(3)로 수직축 롤러(9a~9d)가 제대로 바꿔 타지 못하는 것이 우려되는 곳이지만, 본 발명 실시형태에서는 대략 등간격을 두고 직렬형상으로 배열 설치된 복수개의 수직축 롤러(9a~9d) 중, 항상 적어도 2개의 수직축 롤러가 통로 교차 에어리어(X)의 전후 어느 일방의 방향 규제용 가이드 레일(3) 또는, 통로 교차 에어리어(X)의 전후 양 방향 규제용 가이드 레일(3)에 걸쳐서 걸어 맞춰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반송 대차(1)가 통로 교차 에어리어(X)를 통과할 때에 당해 반송 대차(1)의 방향이 불측하게 변해버릴 우려는 없다.
예를 들어 도시하는 실시형태에서, 대략 등간격을 두고 직렬형상으로 배열 설치된 4개의 수직축 롤러(9a~9d)의 각각의 롤러 사이의 간격을 d라고 하고, 횡단 통로 바닥재(45)의 반송 대차 주행 방향의 폭(통로 교차 에어리어(X)에서 분단되어 있는 방향 규제용 가이드 레일(3)의 분단 경로 길이)을 D라고 했을 때, D>d, d×2>D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4개의 수직축 롤러(9a~9d)의 간격을 설정하기만 하면, 반 송 대차(1)가 통로 교차 에어리어(X)를 통과하기 시작할 때부터 통로 교차 에어리어(X)를 전부 통과할 때까지 사이에, 수직축 롤러(9a~9d) 중, 항상 적어도 2개의 수직축 롤러를 방향 규제용 가이드 레일(3)에 걸어 맞추어, 반송 대차(1)의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반송 대차(1)가 통로 교차 에어리어(X)를 전부 통과했을 때, 4개의 수직축 롤러(9a~9d)를 확실히 통로 교차 에어리어(X) 아래측의 방향 규제용 가이드 레일(3)에 걸어 맞출 수 있다. 물론 수직축 롤러의 개수는 4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5개 또는 그 이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대차식 반송장치는 지지한 피반송물(자동차 바디 등)의 지지 레벨을 반송 경로 중에서 전환할 필요가 있는 자동차 조립 라인 등에서 활용할 수 있다.

Claims (4)

  1. 바닥면 상에 부설된 가이드 레일에 주행 가능하게 지지된 반송 대차에, 승강 가능한 피반송물 지지대와, 이 피반송물 지지대의 승강 운동과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승강용 캠 종동 롤러와, 상승하는 피반송물 지지대를 상승 한계 위치에서 로크하는 자동 로크수단과, 이 자동 로크수단의 로크 해제용 캠 종동 롤러가 설치되고, 반송 대차 주행 경로측에는 상기 승강용 캠 종동 롤러를 밀어 올리는 승강용 캠 레일과, 상기 로크 해제용 캠 종동 롤러를 로크 해제 위치로 전환하는 로크 해제용 캠 레일이 부설되어 있는 대차식 반송장치로서,
    상기 로크 해제용 캠 종동 롤러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반송 대차 지지 레벨보다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용 캠 종동 롤러는 피반송물 지지대가 하강 한계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반송 대차 지지 레벨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지만, 피반송물 지지대가 상승 한계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반송 대차 지지 레벨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반송 대차 주행 경로 중의 통로와 교차하는 통로 교차 에어리어에는 상기 반송 대차 지지 레벨과 동일 레벨에서 횡단 통로 바닥재가 부설되고, 이 횡단 통로 바닥재의 전후에 바닥면과의 단차를 메우는 경사 바닥재가 배열 설치되고, 이 통로 교차 에어리어에서는 피반송물 지지대가 상기 자동 로크수단으로 상승 한계 위치에 로크된 상태에서 반송 대차가 통과할 수 있도록, 당해 통로 교차 에어리어의 위쪽에는 피반송물 지지대를 상승 한계 위치로 밀어 올리는 승강용 캠 레일이 부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반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 상을 전동하는 반송 대차측의 차륜으로서, 당해 가이드 레일의 차륜 지지면 상을 전동하는 둘레면만을 구비한 플랜지가 없는 차륜이 사용되고, 반송 대차의 저부에는 상기 반송 대차 지지 레벨보다 상측에서 주행 방향으로 적당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수직축 롤러가 직렬 배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통로 교차 에어리어를 제외한 반송 대차 주행 경로에는 상기 각각의 수직축 롤러와 걸어 맞춰져 반송 대차의 방향을 규제하는 방향 규제용 가이드 레일이 부설되고, 상기 수직축 롤러는 반송 대차가 상기 통로 교차 에어리어를 통과할 때, 통로 교차 에어리어의 전후의 어느 하나 또는 통로 교차 에어리어를 걸쳐서 항상 적어도 2개의 수직축 롤러가 상기 방향 규제용 가이드 레일과 걸어 맞춰져 있도록, 간격과 개수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반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통로 교차 에어리어를 제외한 반송 대차 주행 경로에 부설되고, 통로 교차 에어리어 내에서는 반송 대차측의 차륜이 횡단 통로 바닥재 상을 전동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반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 통로 바닥재는 통로 교차 에어리어 전후의 가이드 레일의 차륜 지지면을 연결하는 반송 대차 지지용 띠형상 바닥재를 포함하고, 이 반송 대차 지지용 띠형상 바닥재를 지지하는 지지 레일재가 바닥면 상에 부설되 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반송장치.
KR1020097001552A 2007-01-30 2008-01-29 대차식 반송장치 KR1010947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18645A JP4895022B2 (ja) 2007-01-30 2007-01-30 台車式搬送装置
JPJP-P-2007-018645 2007-01-30
PCT/JP2008/051278 WO2008093666A1 (ja) 2007-01-30 2008-01-29 台車式搬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6383A true KR20090086383A (ko) 2009-08-12
KR101094792B1 KR101094792B1 (ko) 2011-12-16

Family

ID=39673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1552A KR101094792B1 (ko) 2007-01-30 2008-01-29 대차식 반송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971536B2 (ko)
EP (1) EP2039580B1 (ko)
JP (1) JP4895022B2 (ko)
KR (1) KR101094792B1 (ko)
CN (1) CN101547822B (ko)
BR (1) BRPI0804494B1 (ko)
CA (1) CA2657188C (ko)
MX (1) MX2009002316A (ko)
RU (1) RU2450945C2 (ko)
WO (1) WO200809366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307B1 (ko) * 2020-02-20 2020-07-22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57039B2 (ja) * 2007-03-27 2012-10-24 株式会社ダイフク 台車式搬送設備
US8425173B2 (en) 2009-04-10 2013-04-23 Symbotic Llc Autonomous transports for storage and retrieval systems
US9321591B2 (en) 2009-04-10 2016-04-26 Symbotic, LLC Autonomous transports for storage and retrieval systems
KR101487803B1 (ko) * 2010-07-09 2015-01-29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대차식 반송 장치
JP5526390B2 (ja) * 2010-12-08 2014-06-18 株式会社ダイフク 台車式搬送装置とその操向制御方法
US8965619B2 (en) 2010-12-15 2015-02-24 Symbotic, LLC Bot having high speed stability
US11078017B2 (en) 2010-12-15 2021-08-03 Symbotic Llc Automated bot with transfer arm
US9187244B2 (en) 2010-12-15 2015-11-17 Symbotic, LLC BOT payload alignment and sensing
US8696010B2 (en) 2010-12-15 2014-04-15 Symbotic, LLC Suspension system for autonomous transports
US9499338B2 (en) 2010-12-15 2016-11-22 Symbotic, LLC Automated bot transfer arm drive system
US10822168B2 (en) 2010-12-15 2020-11-03 Symbotic Llc Warehousing scalable storage structure
US9561905B2 (en) 2010-12-15 2017-02-07 Symbotic, LLC Autonomous transport vehicle
US8776983B2 (en) * 2012-06-26 2014-07-15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Turntable device for substrate and substrate transporting system
TWI461346B (zh) * 2013-03-19 2014-11-21 Ming Lurn Prec Machine Co Ltd 頂車機
JP2014190114A (ja) * 2013-03-28 2014-10-06 Daifuku Co Ltd 搬送用走行体の走行経路構造
JP6135332B2 (ja) * 2013-06-28 2017-05-31 中西金属工業株式会社 通路部横断用の搬送装置
JP6523296B2 (ja) 2013-09-13 2019-05-29 シムボティック エルエルシー 自動保管および取出システム
CN104163307B (zh) * 2014-08-05 2016-08-24 深圳市工勘岩土集团有限公司 导轨式设备行走结构
JP6749754B2 (ja) * 2015-11-02 2020-09-02 株式会社東安 コンベア装置
CN108313643B (zh) * 2017-12-12 2019-08-13 湖南百特随车起重机有限公司 一种联合输送装置
JP6655636B2 (ja) * 2018-02-09 2020-02-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台車利用の搬送設備
CN110713148B (zh) * 2019-10-19 2021-02-02 湖北洁能工程技术开发公司 布袋风管安装用自动爬架系统
CN112194041A (zh) * 2020-09-29 2021-01-08 博众精工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剪刀式抬升装置及抬车平台
CN113089990B (zh) * 2021-05-12 2022-07-15 致邦住宅工业集团有限公司 一种高层钢结构施工平台
CN113911951B (zh) * 2021-09-22 2022-10-21 深圳嘉车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举升机的3d四轮智能定位检测系统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82475B2 (ja) * 2003-05-12 2008-11-19 株式会社ダイフク 昇降荷台付き搬送装置
JP4310733B2 (ja) * 2003-09-08 2009-08-12 株式会社ダイフク 摩擦駆動の台車式搬送装置
JP4120626B2 (ja) * 2004-08-09 2008-07-16 株式会社ダイフク 搬送装置
US7458455B2 (en) * 2004-08-09 2008-12-02 Daifuku Co., Ltd. Conveying apparatus with lifting/lowering to-be-conveyed object support table
JP4196348B2 (ja) * 2004-08-09 2008-12-17 株式会社ダイフク 搬送装置
JP4433941B2 (ja) * 2004-08-26 2010-03-17 株式会社ダイフク 搬送装置
JP4065926B2 (ja) * 2004-10-21 2008-03-26 株式会社ダイフク 台車式搬送装置
JP4189685B2 (ja) * 2005-08-04 2008-12-03 株式会社ダイフク 台車式搬送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307B1 (ko) * 2020-02-20 2020-07-22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47822A (zh) 2009-09-30
MX2009002316A (es) 2009-05-11
KR101094792B1 (ko) 2011-12-16
RU2009113804A (ru) 2010-10-20
EP2039580A4 (en) 2012-08-22
BRPI0804494B1 (pt) 2019-04-02
CA2657188A1 (en) 2008-08-07
RU2450945C2 (ru) 2012-05-20
US7971536B2 (en) 2011-07-05
CA2657188C (en) 2011-08-09
WO2008093666A1 (ja) 2008-08-07
CN101547822B (zh) 2011-11-02
EP2039580A1 (en) 2009-03-25
EP2039580B1 (en) 2016-10-05
JP4895022B2 (ja) 2012-03-14
US20100218697A1 (en) 2010-09-02
JP2008184266A (ja) 2008-08-14
BRPI0804494A2 (pt) 201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4792B1 (ko) 대차식 반송장치
KR101001677B1 (ko) 승강하는 피반송물 지지대를 구비한 반송장치
JP5255906B2 (ja) 車体に対する足回り部品の同期搬送装置及び同期搬送方法
US7658273B2 (en) Carriage-type conveyance device
KR101112082B1 (ko) 대차식 반송설비
JP4196348B2 (ja) 搬送装置
JP2003072608A (ja) 自動車等の組立用搬送装置
JP4984229B2 (ja) 台車式搬送装置
JP2007302242A (ja) 台車式搬送装置
JP6863263B2 (ja) 物品収納設備
JP7334808B2 (ja) 物品収納設備
JP5692547B2 (ja) 摩擦駆動の台車式搬送装置
JP6874698B2 (ja) 物品収納設備
JP6066107B2 (ja) 搬送台車昇降装置付き搬送装置
JP7215524B2 (ja) 物品収納設備
JP2007119196A (ja) 搬送台車の経路変更用トラバーサ
JP2006044925A (ja) 搬送装置
JP2741282B2 (ja) 台車搬送装置
JP2531979B2 (ja) リフタ―付き搬送用移動体
JP3447889B2 (ja) 平面往復式駐車装置
JPH04183537A (ja) 可動体使用の組み立て設備
JPH03276864A (ja) 台車使用の搬送設備
JPH066632U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H04250940A (ja) 搬送装置使用の組み立て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