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1677B1 - 승강하는 피반송물 지지대를 구비한 반송장치 - Google Patents

승강하는 피반송물 지지대를 구비한 반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1677B1
KR101001677B1 KR1020077000231A KR20077000231A KR101001677B1 KR 101001677 B1 KR101001677 B1 KR 101001677B1 KR 1020077000231 A KR1020077000231 A KR 1020077000231A KR 20077000231 A KR20077000231 A KR 20077000231A KR 101001677 B1 KR101001677 B1 KR 101001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support
locking
cross
link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0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9532A (ko
Inventor
지로 나카무라
노부히로 하야시
마사노부 사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32023A external-priority patent/JP419634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3202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044925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070039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9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1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1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12Systems with propulsion devices between or alongside the rails, e.g. pneumatic systems
    • B61B13/127Systems with propulsion devices between or alongside the rails, e.g. pneumatic systems the propulsion device consisting of stationary driving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7/00Loading or unloading devices combined with vehicles, e.g. loading platforms, doors convertible into loading and unloading r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48Controlling attitudes of load-carriers dur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539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including work conveyor
    • Y10T29/5354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including work conveyor including transporting track
    • Y10T29/53548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including work conveyor including transporting track and work carrying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Reciprocating Conveyors (AREA)
  • Handcart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반송용 주행체(1)에 설치된 피반송물 지지대(3)를 반송경로 중의 특정 구간에 부설된 캠 레일(40)에 의해 밀쳐 올려서 상승위치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반송장치에 있어서, 상승위치에서의 피반송물 지지대(3)의 유지기능을 높여서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피반송물 지지대(3)를 승강하도록 지지하는 크로스 링크 기구(12)의 반송용 주행체(1)측에, 당해 크로스 링크 기구(12)의 기복운동에 따라 거의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 하는 피걸음부(33)가 설치되고, 상기 피반송물 지지대(3)가 소정 위치까지 상승했을 때에 상기 피걸음부(33)에 자동으로 걸어맞춰지는 로킹용 걸음 도구(34)가 설치되고, 상기 특정 구간의 종단부에는, 반송용 대차(1)의 주행에 따라 상기 로킹용 걸음 도구(34)를 로킹 해제 자세로 전환하는 로킹 해제용 캠(41)이 설치된 구성.
크로스 링크 기구, 반송용 주행체, 로킹용 걸음 도구, 피반송물 지지대, 반송장치.

Description

승강하는 피반송물 지지대를 구비한 반송장치{CARRYING APPARATUS WITH LIFTING CARRIED OBJECT SUPPORT TABLE}
본 발명은 대차 등의 반송용 주행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피반송물 지지대를 반송경로측에 설치된 캠 레일에 의해 상승위치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반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반송장치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반송용 주행체에 기복 자유로운 크로스 링크 기구를 통하여 피반송물 지지대가 승강 자유롭게 지지되고, 반송경로 중 특정 구간에는, 상기 크로스 링크 기구에 설치된 피조작부에 작용하여 당해 크로스 링크 기구를 기립시킴으로써 상기 피반송물 지지대를 상승위치로 전환하는 캠 레일이 배열 설치된 것이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개평7-172538호 공보
그리고, 종래의 이 종류의 반송장치의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크로스 링크 기구에 설치된 피조작부가 크로스 링크를 밀쳐 올리는 승강 로드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당해 피조작부(승강 로드)의 재질 열화나 중량 오버의 피반송물이 탑재되는 등으로 당해 피조작부(승강 로드)가 파손되는 것과 같은 사고가 생겼을 때, 당해 피조작부(승강 로드)와 캠 레일로 상승위치에 유지되어 있던 피반송물 지지대가 중력으로 하강한도 위치까지 충격있게 낙하하게 되어, 인신 사고 등의 중대한 사고로 이어질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반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그 수단을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참조부호를 괄호를 붙여 나타내면, 반송용 주행체(1)에 기복 자유로운 크로스 링크 기구(12)를 통하여 피반송물 지지대(3)가 승강 자유롭게 지지되고, 반송경로 중의 특정 구간에는, 상기 크로스 링크 기구(12)에 설치된 피조작부(14)에 작용하여 당해 크로스 링크 기구(12)를 기립시킴으로써 상기 피반송물 지지대(3)를 상승위치로 전환하는 캠 레일(40)이 배열 설치된 반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링크 기구(12)의 반송용 주행체(1)측에, 당해 크로스 링크 기구(12)의 기복운동에 따라 대략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피걸음부(33)가 설치되고, 상기 피반송물 지지대(3)가 소정 위치까지 상승했을 때에 상기 피걸음부(33)에 자동으로 걸어맞춰지는 로킹용 걸음 도구(34)가 설치되고, 상기 특정 구간의 종단부에는, 반송용 주행체(1)의 주행에 따라 상기 로킹용 걸음 도구(34)를 로킹 해제자세로 전환하는 로킹 해제용 캠(41)이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에 대해, 구체적으로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크로스 링크 기구(12)가, 병설되어 서로 연동하는 2개의 크로스 링크(13a, 13b)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상기 피걸음부(33)는 상기 2개의 크로스 링크(13a, 13b) 사이에 가설된 반송용 주행체(1)측의 슬라이드 지지점 축(25)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청구항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피반송물 지지대(3)의 상승위치의 높이가 다른 복수의 특정 구간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로킹용 걸음 도구(34)에는, 각 특정 구간에서의 피반송물 지지대(3)의 상승위치에 대응하여 복수의 걸음부(34a, 34b)를 설치할 수 있다. 이 청구항 3에 기재된 구성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구성의 어느 하나와 조합시켜서 실시할 수 있다.
크로스 링크 기구(12)에 설치되는 피조작부(14)는 어떠한 구성의 것이어도 되지만, 특히 청구항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크로스 링크 기구(12)를 구성하는 링크(15a, 15b)가 반송용 주행체(1)의 주행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 설치되어 있는 경우, 당해 링크(15a, 15b) 중, 반송용 주행체(1)측에 위치고정 지지점 축(19)을 구비한 링크(15a)에, 그 위치고정 지지점 축(19)에 가까운 위치에서 반송용 주행체(1)의 하측에 돌출하도록 캠 종동 롤러(31)를 축지지하고, 이 캠 종동 롤러(31)에 의해 상기 피조작부(14)를 구성할 수 있다. 이 청구항 4에 기재된 구성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성의 어느 하나와 조합시켜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에서, 청구항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크로스 링크 기구(12)가 서로 연동하는 좌우 1쌍의 크로스 링크(13a, 13b)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당해 양 크로스 링크(13a, 13b)를 구성하는 각각 2개의 링크(15a, 15b) 중, 반송용 주행체(1)측에 위치고정 지지점 축(19)을 구비한 링크(15a) 상호간을 당해 위치고정 지지점 축(19)에 가까운 위치에서 연결부재(28)에 의해 서로 연결하여, 이 연결부재(28)의 하측에 상기 캠 종동 롤러(31)를 축지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나 청구항 5에 기재된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 청구항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크로스 링크 기구(12)를 구성하는 링크(15a, 15b)는 일단의 위치 고정 지지점 축(19, 24)이 타단의 슬라이드 지지점 축(20, 25)에 대하여 반송용 주행체(1)의 주행방향의 전방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배열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상기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반송장치에 의하면, 가령 크로스 링크 기구측의 피조작부가 파손되는 것과 같은 사태가 일어나도, 크로스 링크 기구측의 피걸음부에 자동으로 걸어맞춰져 있는 로킹용 걸음 도구가 당해 크로스 링크 기구의 도복 운동, 즉, 피반송물 지지대의 강하운동을 저지하게 되어, 당해 피반송물 지지대가 충격있게 낙하하는 것에 기인하는 중대한 사고를 회피할 수 있어,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특정 구간의 시단부에서 크로스 링크 기구를 기립 상태로 로킹(피반송물 지지대를 상승위치에서 로킹)하거나, 특정 구간의 종단부에서 그 로킹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특별한 조작이나 전원을 필요로 하는 액추에이터는 불필요하여,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것과 같은 부적당이나 대폭적인 비용 상승을 수반하지 않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걸음부는, 크로스 링크 기구의 반송용 주행체측의 슬라이드 지지점 축에 가까운 위치에서 크로스 링크에 설치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상기 피걸음부는 크로스 링크 기구의 기복운동에 따라 약간 상하로도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피걸음부는, 크로스 링크 기구의 반송용 주행체측의 슬라이드 지지점과 동심 형상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특히, 병설되어 서로 연동하는 2개의 크로스 링크를 구비한 크로스 링크 기구인 경우, 청구항 2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그 2개의 크로스 링크 사이에 가설된 반송용 주행체측의 슬라이드 지지점 축에서 상기 피걸음부를 겸용시킬 수 있고, 구조를 간소화하여 저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당해 슬라이드 지지점 축은 상하동을 수반하지 않으므로, 로킹용 걸음 도구의 자동걸어맞춤 동작도 확실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또, 청구항 3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1개의 로킹용 걸음 도구를 사용하면서, 높이가 상이한 복수의 상승위치에서 피반송물 지지대를 로킹할 수 있고, 각 상승위치마다 대응시켜서 복수의 로킹용 걸음 도구와 각 로킹용 걸음 도구에 대응하는 로킹 해제용 캠을 설치하는 경우보다도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반송경로측의 캠 레일에 작용하는 피조작부가, 크로스 링크 기구를 구성하는 링크에 축지지된 캠 종동 롤러에 의해 구성되고, 당해 캠 종동 롤러를 통하여 상기 캠 레일에 의해 크로스 링크 기구의 링크를 직접 밀어 올려서 기립 운동시키는 것이므로, 피반송물 지지대를 상승위치까지 밀어 올리는데 필요로 하는 반송용 주행체의 주행거리가 짧아지도록, 캠 레일의 피조작부(캠 종동 롤러) 밀어 올리기 작용부의 경사를 크게 해도, 종래의 승강 로드를 수직하게 밀어 올리는 경우보다도 크로스 링크 기구를 무리없이 원활하게 기립운동 시킬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캠 레일의 피조작부 밀어 올리기 작용부의 경사를 크게 하여, 반송경로의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종래와 같이 좌굴 파손될 가능성이 높은 승강 로드가 없으므로, 대하중을 취급하는 반송장치로서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물론 구조면에서도, 승강 로드나 그 승강 가이드 수단, 승강 로드의 상승운동을 크로스 링크 기구의 링크의 요동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구 등이 불필요하게 되고, 부품수를 적게 하여 저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로스 링크 기구가 서로 연동하는 좌우 1쌍의 크로스 링크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청구항 5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좌우 1쌍의 크로스 링크에 각각 별도로 캠 종동 롤러를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캠 종동 롤러 및 캠 레일이 각각 1개이면 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저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동시에, 양 크로스 링크를 반송경로측의 캠 레일로 확실하게 동기시켜서 기복운동 시킬 수 있다.
또, 청구항 6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크로스 링크 기구를 구성하는 링크를, 일단의 위치고정 지지점 축이 타단의 슬라이드 지지점 축에 대하여 반송용 주행체의 주행방향의 후방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배열 설치하는 경우보다도, 캠 레일의 피조작부(캠 종동 롤러)를 링크의 위치고정 지지점 축에 근접시킬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캠 레일의 피조작부(캠 종동 롤러)를 링크의 위치고정 지지점 축에 근접시켜서 배치하고, 캠 레일에 의한 피조작부(캠 종동 롤러)의 밀어 올리기량(캠 레일의 높이)을 작게 하면서, 피반송물 지지대의 상승위치의 높이를 높게 할 수 있어, 반송용 주행체의 저바닥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A도는 대차 이용의 반송장치의 기본 구성을 예시하는 일부 종단 개략 측면도이고, B도는 동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로킹 수단을 구비한 크로스 링크 기구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 3은 동 크로스 링크 기구가 캠 레일에 의해 기립 동작한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배면도이다.
도 4는 동 크로스 링크 기구의 도복 상태에서의 횡단 평면도이다.
도 5는 동 크로스 링크 기구가 캠 레일에 의해 기립 동작한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 6은 동 크로스 링크 기구의 로킹 수단이 로킹 해제조작 되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로서, 크로스 링크 기구가 캠 레일에 의해 기립 동작한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배면도이다.
도 8은 동 제 2 실시형태에서, 크로스 링크 기구의 로킹 수단이 로킹 해제조작 되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반송용 주행체 3 피반송물 지지대
12 크로스 링크 기구 13a, 13b 좌우 1쌍의 크로스 링크
14 피조작부 15a, 15b 링크
16 공통 중앙 지지점 축 19, 24 위치고정 지지점 축
20, 25 공통 슬라이드 지지점 축
21, 26 롤러 22, 27 전후 방향 슬라이드 가이드
28 연결부재 31 캠 종동 롤러(피조작부)
32 로킹 수단 33 피걸음부(공통 슬라이드 지지점 축(25))
34b, 34c 걸음부 39 캠 종동 롤러
40 캠 레일 41 로킹 해제용 캠
42 승강 로드(피조작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도 1은 승강 자유로운 피반송물 지지대를 구비한 마찰구동 형식의 대차 이용의 반송장치의 기본 구성을 예시하는 것으로, 1은 주행방향으로 긴 평면 장방형의 반송용 주행체로서, 좌우 1쌍 전후 2조의 차륜 유닛(2a~2d)과, 승강 자유로운 피반송물 지지대(3)를 구비하고 있다. 각 차륜 유닛(2a~2d)은 반송경로를 따라 부설된 좌우 1쌍의 가이드 레일(4a, 4b)의 위를 구르는 차륜(5)을 가짐과 동시에, 좌우의 한쪽(도시예에서는 좌측)의 전후 2개의 차륜 유닛(2a, 2c)에는, 가이드 레일(4a)을 좌우 양측으로부터 끼우는 흔들림 방지용 수직축 롤러(6)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반송용 주행체(1)는 반송경로 중의 적당 개소에 병설된 마찰구동 수단(7)에 의해 추진된다. 이 마찰구동수단(7)은 종래 주지의 것으로, 반송용 주행체(1)에 그 전체 길이 에 걸쳐 연속되도록 형성된 좌우 1쌍의 서로 평행한 수직 마찰면(8a, 8b) 중, 일방의 마찰면(8a)에 맞닿는 구동 마찰바퀴(9)와 당해 구동 마찰바퀴(9)를 회전구동하는 모터(10), 및 구동 마찰바퀴(9)와의 사이에서 반송용 주행체(1)를 끼우도록 타방의 마찰면(8b)에 맞닿는 백업 롤러(11)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반송용 주행체(1)를 추진시키는 수단으로서 마찰구동수단(7)을 예시했지만, 차륜(5)의 적어도 하나를 모터 구동하는 방식이나, 반송용 주행체(1)의 반송경로에 따라 이동하도록 길게 설치된 구동 체인과 반송용 주행체(1)를 걸어맞추어지게 하고 당해 구동 체인으로 반송용 주행체(1)를 추진시키는 방식 등, 다른 어떠한 방식의 추진 수단이어도 된다. 또, 마찰구동수단(7)을 이용하는 경우에 반송용 주행체(1)측에 필요한 수직 마찰면(8a, 8b)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용 주행체(1)의 좌우 양측면을 그대로 전용해도 되고, 다른 부재를 부착하여 구성해도 된다. 또한, 반송용 주행체(1)로서 개별적으로 독립한 대차를 이용하고 있지만, 슬랫 컨베이어와 같이 반송경로 방향으로 연속되는 반송용 주행체 위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피반송물 지지대(3)가 배열 설치된 반송장치이어도 된다.
피반송물 지지대(3)는 이 피반송물 지지대(3)의 하측에서 반송용 주행체(1)와의 사이에 개재된 크로스 링크 기구(12)에 의해 수직으로 승강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이 크로스 링크 기구(12)는 좌우 1쌍의 크로스 링크(13a, 13b)와 피조작부(14)를 구비하고 있다. 반송용 주행체(1)의 반송경로중의 특정 구간, 즉 피반송물 지지대(3)를 상승위치로 올려놓는 특정 구간에는, 상기 크로스 링크 기구(12)의 피조작부(14)에 작용하여 당해 크로스 링크 기구(12)를 기립시키고, 피반 송물 지지대(3)를 상승위치로 올리는 캠 레일(40)이 부설되어 있다.
도 2~도 4는 본 발명에 기초하여 구성된 크로스 링크 기구(12)의 1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당해 크로스 링크 기구(12)가 구비하는 좌우 1쌍의 크로스 링크(13a, 13b)는, 중앙 교차부가 좌우 수평방향의 공통 중앙 지지점축(16)의 양단부에서 피봇식으로 부착된 2개의 링크(15a, 15b)로 이루어지고, 각 2개의 링크(15a, 15b) 중, 내측이 되는 양 링크(15a)의 전단부는, 반송용 주행체(1)측의 평면 직사각형 틀 형상 프레임(17)의 전단부 상측의 좌우 양측에 설치된 좌우 1쌍의 축받이 부재(18)에 서로 동심 형상의 좌우 수평방향의 위치고정 지지점 축(19)에 의해 상하요동 자유롭게 피봇식으로 부착되고, 당해 양 링크(15a)의 후단부는, 좌우 수평방향의 공통 슬라이드 지지점 축(20)에 의해 연결됨과 동시에, 당해 공통 슬라이드 지지점 축(20)의 양단에 지지된 롤러(21)가, 피반송물 지지대(3)의 후단부 하측의 좌우 양측에 설치된 전후 방향 슬라이드 가이드(22)에 전후 방향으로 구를 수 있도록 끼워맞추어져 있다. 각 2개의 링크(15a, 15b) 중, 외측이 되는 양 링크(15b)의 전단부는, 피반송물 지지대(3)의 전단부 하측의 좌우 양측에 설치된 좌우 1쌍의 축받이 부재(23)에 서로 동심 형상의 좌우 수평방향의 위치고정 지지점 축(24)에 의해 상하요동 자유롭게 피봇식으로 부착되고, 당해 양 링크(15b)의 후단부는, 좌우 수평방향의 공통 슬라이드 지지점 축(25)에 의해 연결됨과 동시에, 당해 공통 슬라이드 지지점 축(25)의 양단에 지지된 롤러(26)가, 반송용 주행체(1)측의 평면 직사각형 틀 형상 프레임(17)의 후단부 상측의 좌우 양측에 설치된 전후 방향 슬라이드 가이드(27)에 전후 방향으로 구를 수 있게 끼워맞추어져 있다.
도 2~도 4에 도시하는 크로스 링크 기구(12)의 피조작부(14)는, 좌우 1쌍의 크로스 링크(13a, 13b)를 구성하는 각 2개의 링크(15a, 15b) 중, 내측이 되는 양 링크(15a)의 전단부 근방위치에서 양 링크(15a) 상호간을 서로 연결 일체화하는 좌우 수평방향의 연결부재(28)의 중앙부 하측에 축받이 부재(29)와 좌우 수평방향의 지지축(30)을 통하여 지지된 캠 종동 롤러(31)로 구성되어 있다. 이 캠 종동 롤러(31)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반송물 지지대(3)가 하강 한계 위치에 있을 때, 반송용 주행체(1)의 밑바닥면보다도 하방으로 돌출해 있다.
또, 상기의 크로스 링크 기구(12)에는 피반송물 지지대(3)를 상승위치에서 로킹하는 로킹 수단(32)이 병설되어 있다. 이 로킹 수단(32)은, 좌우 1쌍의 크로스 링크(13a, 13b)를 구성하는 각 2개의 링크(15a, 15b) 중, 외측이 되는 양 링크(15b)의 후단부 사이에 가설된 상기 공통 슬라이드 지지점 축(25)을 피걸음부(33)로 하고, 이 피걸음부(33)에 대해 자동으로 걸어맞춰지는 좌우 1쌍의 걸음 도구(34)를 구비한 것이다. 각 걸음 도구(34)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조작부(14)의 캠 종동 롤러(31)에 대해 좌우 양분 상태로 배치된 것으로, 반송용 주행체(1)측의 평면 직사각형 틀 형상 프레임(17)의 전후 방향 중간위치에서 좌우 횡방향에 가설된 보강재(17a)를 이용하여 배열 설치된 좌우 2조의 축받이 부재(35)에 서로 동심 형상의 좌우 수평방향의 지지축(36)에 의해 상하요동 자유롭게 축지지되고, 각 걸음 도구(34)에 부설된 맞닿음부재(37)가 상기 축받이 부재(35)에 받아들여지는 홈 포지션에 중력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또, 각 걸음 도구(34)에는, 하향에 암부(34a)가 일체로 연이어 설치되고, 이 암부(34a)의 하단에 서로 동심 형상의 좌우 수평방향의 지지축(38)을 통하여 캠 종동 롤러(39)가 지지되어 있다. 이 캠 종동 롤러(39)는 반송용 주행체(1)의 바닥면보다도 하방으로 돌출해 있다.
피반송물 지지대(3)는 통상은 중력에 의해 도 2에 도시하는 하강 한계 위치까지 강하하여 안정되어 있다. 이때의 피반송물 지지대(3)의 하강 한계 위치는, 반송용 주행체(1)측에 세워서 설치한 높이조정 가능한 지지구(종래 주지의 것으로, 도시를 생략하고 있음)에 의해 결정된다. 이와 같이 피반송물 지지대(3)가 하강 한계 위치에 있을 때는, 크로스 링크 기구(12)의 좌우 1쌍의 크로스 링크(13a, 13b)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복상태에 있고, 피조작부(14)의 캠 종동 롤러(31)는 반송용 주행체(1)의 바닥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최대량 돌출해 있다.
그리고, 주행하는 반송용 주행체(1)가 피반송물 지지대(3)를 상승위치로 올려놓은 특정 구간에 진입하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조작부(14)의 캠 종동 롤러(31)가 캠 레일(40)을 올라타고 진행하여, 캠 레일(40)이 피조작부(14)의 캠 종동 롤러(31) 및 연결부재(28)를 통하여 좌우 1쌍의 크로스 링크(13a, 13b)의 내측의 링크(15a)를 밀쳐 올리게 된다. 따라서, 좌우 1쌍의 크로스 링크(13a, 13b)가 연동하여 기립운동 하게 되고, 당해 좌우 1쌍의 크로스 링크(13a, 13b)로 지지되어 있는 피반송물 지지대(3)가 수평자세를 유지한 채 상승이동하게 된다. 이때, 좌우 1쌍의 크로스 링크(13a, 13b)에서의 상하 각 공통 슬라이드 지지점 축(20, 25)이 롤러(21, 26) 및 슬라이드 가이드(22, 27)를 통하여 수평 전방으로 슬라이드 하게 되는데, 피반송물 지지대(3)가 상승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에 하측의 공통 슬라이드 지지점 축(25)(피걸음부(33))이 좌우 1쌍의 걸음 도구(34)를 그 선단 하측의 경사면을 통하여 밀어 올리면서 통과하고, 피반송물 지지대(3)가 상승위치에 도달했을 때, 즉 피조작부(14)의 캠 종동 롤러(31)가 캠 레일(40)의 최상 평탄면에 도달했을 때, 당해 하측의 공통 슬라이드 지지점 축(25)(피걸음부(33))에 대해 좌우 1쌍의 걸음 도구(34)의 오목 걸음부(34b)가 위에서 중력으로 끼워맞추어지게 된다. 물론, 각 걸음 도구(34)를 하향으로 강제 가압하는 스프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반송용 주행체(1)가 특정 구간에 진입했을 때, 하강 한계 위치에 있었던 피반송물 지지대(3)가 캠 레일(40)과 크로스 링크 기구(12)의 작용으로 상승위치로 올려지는데, 이때 로킹 수단(32)의 걸음 도구(34)가 자동적으로 크로스 링크 기구(12)에서의 피걸음부(33)(하측의 공통 슬라이드 지지점 축(25))에 자동으로 걸어맞춰져, 좌우 1쌍의 크로스 링크(13a, 13b)가 기립 상태로부터 도복운동 하는 것을 저지한다. 즉 피반송물 지지대(3)가 상승위치로부터 하강할 때의, 기립 상태의 크로스 링크(13a, 13b)의 공통 슬라이드 지지점 축(25)(피걸음부(33))의 후방으로의 슬라이드를, 당해 공통 슬라이드 지지점 축(25)(피걸음부(33))에 끼워맞추어져 있는 양 걸음 도구(34)의 오목 걸음부(34b)가 저지하므로, 가령, 피반송물 지지대(3)를 상승위치로 올려놓는 특정 구간 내를 반송용 주행체(1)가 주행중에, 캠 레일(40)에 의해 밀어 올려져 있는 피조작부(14)(캠 종동 롤러(31))가 어떠한 원인으로 파손되거나 하여, 당해 캠 레일(40)에 의한 크로스 링크(13a, 13b)에 대한 밀쳐 올리기 작용이 없어져도, 바꾸어 말하면, 상기 특정 구간의 시단부와 종 단부 사이에서는 가령 캠 레일(40)이 없는 상태이어도, 피반송물 지지대(3)를 상승위치로 확실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피반송물 지지대(3)를 상승위치로 올려 두는 특정 구간의 종단부에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용 주행체(1)의 반송경로측에 로킹 해제용 캠(41)이 부설되어 있다. 이 로킹 해제용 캠(41)은 반송용 주행체(1)의 주행에 따라 걸음 도구(34)의 캠 종동 롤러(39)가 올라타도록, 각 걸음 도구(34)에 대응하여 캠 레일(40)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것으로, 당해 로킹 해제용 캠(41)에 캠 종동 롤러(39)가 올라타고 걸음 도구(34)가 중력에 저항하여 상방으로 요동하고, 당해 걸음 도구(34)의 오목 걸음부(34b)가 크로스 링크 기구(12)측의 공통 슬라이드 지지점 축(25)(피걸음부(33))로부터 상방으로 이탈한 후, 크로스 링크 기구(12)의 피조작부(14)인 캠 종동 롤러(31)가 캠 레일(40)의 종단 내리막 경사부를 내려가고, 크로스 링크(13a, 13b)가 도복운동하고, 공통 슬라이드 지지점 축(25)(피걸음부(33))가 걸음 도구(34)의 오목 걸음부(34b)의 바로 아래위치로부터 후방으로 떨어지도록, 길이와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특정 구간의 종단부에서는, 자동적으로 로킹 수단(32)에 의한 피반송물 지지대(3)의 상승위치에서의 로킹 작용이 해제된 후, 캠 레일(40)과 크로스 링크 기구(12)의 작용에 의해, 상승위치에 유지되어 있던 피반송물 지지대(3)가 하강 한계 위치까지 강하시켜지게 된다.
또한, 특정 구간에서의 피반송물 지지대(3)의 상승위치의 높이는, 캠 레일(40)에 의한 피조작부(14)(캠 종동 롤러(31))의 밀쳐 올리기 높이, 즉 캠 레일(40)의 높이에 의해 정해지게 되는데,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용 주행 체(1)의 반송경로중에, 피반송물 지지대(3)를 고레벨(H)까지 상승시키기 위한 높이의 높은 캠 레일(40H)이 부설된 특정 구간과, 피반송물 지지대(3)를 저레벨(L)까지 상승시키기 위한 높이가 낮은 캠 레일(40L)이 부설된 특정 구간이 혼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로킹 수단(32)의 걸음 도구(34)에는, 캠 레일(40H)에 의해 크로스 링크(13a, 13b)를 밀쳐 올렸을 때의 공통 슬라이드 지지점 축(25)(피걸음부(33))의 위치에 대응하는 오목 걸음부(34b)와, 캠 레일(40L)에 의해 크로스 링크(13a, 13b)를 밀쳐 올렸을 때의 공통 슬라이드 지지점 축(25)(피걸음부(33))의 위치에 대응하는 오목 걸음부(34c)를 전후 방향으로 병설하면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캠 레일(40H)에 의해 피반송물 지지대(3)를 고레벨(H)까지 상승시켰을 때는, 걸음 도구(34)의 지지축(36)에 가까운 측의 오목 걸음부(34b)에 의해 크로스 링크(13a, 13b)의 공통 슬라이드 지지점 축(25)(피걸음부(33))이 로킹되고, 캠 레일(40L)에 의해 피반송물 지지대(3)를 저레벨(L)까지 상승시켰을 때는, 걸음 도구(34)의 지지축(36)으로부터 먼 쪽의 오목 걸음부(34c)에 의해 크로스 링크(13a, 13b)의 공통 슬라이드 지지점 축(25)(피걸음부(33))이 로킹된다. 또, 캠 레일(40H)을 구비한 특정 구간과 캠 레일(40L)을 구비한 특정 구간의 어느 곳에 있어서도, 그 종단부에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킹 해제용 캠(41)이 부설된다. 이 로킹 해제용 캠(41)은, 걸음 도구(34)의 캠 종동 롤러(39)에 작용하여 당해 걸음 도구(34)를, 그 오목 걸음부(34b, 34c)의 어느 쪽이 공통 슬라이드 지지점 축(25)(피걸음부(33))의 슬라이드 경로보다 상방으로 떨어지는 높이까지 밀어 올릴 수 있는 높이를 가짐과 동시에, 후방으로 슬라이드 하는 공통 슬라이드 지 지점 축(25)(피걸음부(33))이 이들 오목 걸음부(34b, 34c)보다도 후방으로 떨어질 때까지 밀어 올려놓는 길이를 갖는 것이며, 피반송물 지지대(3)가 강하를 시작하는 전에 로킹 수단(32)에 의한 크로스 링크(13a, 13b)의 기립 상태에서의 로킹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걸음 도구(34)에 전후 2개의 오목 걸음부(34b, 34c)를 설치했지만, 캠 레일(40H)에 의해 고레벨(H)까지 피반송물 지지대(3)를 상승시켰을 때에 기립 상태의 크로스 링크(13a, 13b)를 로킹하는 오목 걸음부(34b)만을 구비한 걸음 도구와, 캠 레일(40L)에 의해 저레벨(L)까지 피반송물 지지대(3)를 상승시켰을 때에 기립 상태의 크로스 링크(13a, 13b)을 로킹하는 오목 걸음부(34c)만을 구비한 걸음 도구를 각각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적어도 오목 걸음부(34b)를 구비한 한편의 걸음 도구를 밀어 올리는 로킹 해제용 캠(41)은, 당해 오목 걸음부(34b)의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슬라이드 하는 공통 슬라이드 지지점 축(25)(피걸음부(33))이 다시 타방의 걸음 도구의 오목 걸음부(34c)에 걸어맞추어지지 않도록, 당해 오목 걸음부(34c)를 구비한 타방의 걸음 도구도 동시에 밀어올리도록 구성해 둘 필요가 있다.
또,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크로스 링크 기구(12)의 피조작부(14)로서, 크로스 링크(13a, 13b)를 구성하는 링크(15a, 15b) 중, 반송용 주행체(1)측에 위치고정의 지지점 축(19)을 갖는 링크(15a)의 당해 위치고정 지지점 축(19)에 가까운 위치에 캠 종동 롤러(31)를 설치했지만,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용 주행체(1)에 수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지지시킨 승강 로드(42)로 구성된 피조작 부(14)이어도 된다. 이 경우, 승강 로드(42)의 하단에는 캠 레일(40)에 작용하는 캠 종동 롤러가 설치되고, 승강 로드(42)의 상단에는, 상기 링크(15a)측에 축지지된 롤러를 밀쳐 올리는 밀쳐 올리기 대가 설치된다. 따라서, 캠 레일(40)이 승강 로드(42)를 밀쳐 올림으로써, 당해 승강 로드(42)가 그 상단의 밀쳐 올리기 대와 상기 링크(15a)측의 롤러를 통하여 크로스 링크(13a, 13b)를 기립시키게 된다. 승강 로드(42)에 의한 크로스 링크측의 밀쳐 올리기 위치는, 링크(15a, 15b)를 서로 피봇식으로 부착하는 공통 중앙 지지점 축(16)의 위치이어도 된다. 이러한 승강 로드(42)로 이루어지는 피조작부(14)를 채용하고 있을 때는, 대하중의 피반송물을 다루는 반송장치의 경우에 당해 승강 로드(42)가 좌굴 파손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특히 본 발명에 의한 로킹 수단(32)의 병용은 효과가 있다.
또, 로킹용 걸음 도구(34)가 걸어맞추는 크로스 링크(13a, 13b)측의 피걸음부(33)로서, 크로스 링크(13a, 13b)에서의 반송용 주행체(1)측의 공통 슬라이드 지지점 축(25)을 이용했지만, 이러한 공통 슬라이드 지지점 축(25)이 존재하지 않을 때는, 슬라이드 지지점 축(25)의 근처에서 링크(15b)에, 로킹용 걸음 도구(34)가 걸어맞추는 피걸음부(33)를 형성하기 위한 부재를 부설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하는 피반송물 지지대를 구비한 반송장치는, 자동차의 조립 라인에서, 각종 부품이 부착되는 차체(피반송물)를 피반송물 지지대(3) 상에 탑재하여 반송하고, 부품 조립작업 구간(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캠 레일(40)이 부설된 특정 구간) 내에서는, 반송용 주행체(1) 상에 탑승한 작업자가 부품 조립작 업을 행하기 쉬운 레벨까지 차체(피반송물 지지대(3))를 상승시켜 둘 수 있는 반송장치로서 활용할 수 있다.

Claims (6)

  1. 반송용 주행체(1)에 기복 자유로운 크로스 링크 기구(12)를 통하여 피반송물 지지대(3)가 승강 자유롭게 지지되고, 반송경로 중의 특정 구간에는, 상기 크로스 링크 기구(12)에 설치된 피조작부(14)에 작용하여 당해 크로스 링크 기구(12)를 기립시킴으로써 상기 피반송물 지지대(3)를 상승위치로 전환하는 캠 레일(40)이 배열 설치된 반송장치로서, 상기 크로스 링크 기구(12)의 반송용 주행체(1)측에, 당해 크로스 링크 기구(12)의 기복운동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피걸음부(33)가 설치되고, 상기 피반송물 지지대(3)가 소정위치까지 상승했을 때에 상기 피걸음부(33)에 자동으로 걸어맞춰지는 로킹용 걸음 도구(34)가 설치되고, 상기 특정 구간의 종단부에는, 반송용 주행체(1)의 주행에 따라 상기 로킹용 걸음 도구(34)를 로킹 해제 자세로 전환하는 로킹 해제용 캠(41)이 설치된 반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링크 기구(12)가 나란히 설치되어 서로 연동하는 2개의 크로스 링크(13a, 13b)를 구비하고, 상기 피걸음부(33)가 상기 2개의 크로스 링크(13a, 13b) 사이에 가설된 반송용 주행체(1)측의 슬라이드 지지점 축(25)으로 구성되고, 상기 로킹용 걸음 도구(34)는 지지축(36)에 의해 상하 요동 자유롭게 축지지되고 하향으로 가압된 것이며, 상기 피반송물 지지대(3)가 소정 위치까지 상승했을 때에 상기 슬라이드 지지점 축(25)에 위로부터 자동 끼워맞추는 걸음부(34b)와, 상기 로킹 해제용 캠(41)에 올라타는 캠 종동 롤러(39)를 구비하고, 이 캠 종동 롤러(39)가 로킹 해제용 캠(41)에 올라탐으로써 로킹용 걸음 도구(34)가 상방으로 요동하여 상기 걸음부(34b)가 슬라이드 지지점 축(25)으로부터 상방으로 이탈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하는 피반송물 지지대를 구비한 반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용 걸음 도구(34)는 상기 슬라이드 지지점 축(25)의 길이방향 2개소에 자동 걸어맞춤 하도록 좌우 1쌍 설치되고, 이 좌우 1쌍의 로킹용 걸음 도구(34)의 캠 종동 롤러(39)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로킹 해제용 캠(41)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하는 피반송물 지지대를 구비한 반송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피반송물 지지대(3)의 상승위치의 높이가 다른 복수의 특 정 구간이 설치되고, 상기 로킹용 걸음 도구(34)에는, 각 특정 구간에서의 피반송물 지지대(3)의 상승위치에 대응하여 복수의 걸음부(34b, 34c)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하는 피반송물 지지대를 구비한 반송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링크 기구(12)를 구성하는 링크(15a, 15b)는 반송용 주행체(1)의 주행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 설치되고, 당해 링크(15a, 15b) 중, 반송용 주행체(1)측에 위치고정 지지점 축(19)을 구비한 링크(15a)에는, 그 위치고정 지지점 축(19)에 가까운 위치에서 반송용 주행체(1)의 하측으로 돌출하도록 캠 종동 롤러(31)가 축지지되고, 이 캠 종동 롤러(31)에 의해 상기 피조작부(14)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하는 피반송물 지지대를 구비한 반송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링크 기구(12)가 서로 연동하는 좌우 1쌍의 크로스 링크(13a, 13b)를 구비하고, 이 양 크로스 링크(13a, 13b)를 구성하는 각각 2개의 링크(15a, 15b) 중, 반송용 주행체(1)측에 위치고정 지지점 축(19)을 구비한 링크(15a)끼리 당해 위치고정 지지점 축(19)에 가까운 위치에서 연결부재(28)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이 연결부재(28)의 하측에 상기 캠 종동 롤러(31)가 축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하는 피반송물 지지대를 구비한 반송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링크 기구(12)를 구성하는 링크(15a, 15b)가 일단의 위치고정 지지점 축(19, 24)이 타단의 슬라이드 지지점 축(20, 25)에 대하여 반송용 주행체(1)의 주행방향의 전방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배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하는 피반송물 지지대를 구비한 반송장치.
KR1020077000231A 2004-08-09 2005-08-02 승강하는 피반송물 지지대를 구비한 반송장치 KR1010016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32023A JP4196348B2 (ja) 2004-08-09 2004-08-09 搬送装置
JP2004232024A JP2006044925A (ja) 2004-08-09 2004-08-09 搬送装置
JPJP-P-2004-00232024 2004-08-09
JPJP-P-2004-00232023 2004-08-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9532A KR20070039532A (ko) 2007-04-12
KR101001677B1 true KR101001677B1 (ko) 2010-12-15

Family

ID=35839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0231A KR101001677B1 (ko) 2004-08-09 2005-08-02 승강하는 피반송물 지지대를 구비한 반송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458455B2 (ko)
EP (1) EP1798131B1 (ko)
KR (1) KR101001677B1 (ko)
AT (1) ATE413995T1 (ko)
BR (1) BRPI0512772B1 (ko)
CA (1) CA2573776C (ko)
DE (1) DE602005011027D1 (ko)
MX (1) MX2007001617A (ko)
RU (1) RU2337843C1 (ko)
WO (1) WO2006016502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518B1 (ko) 2012-06-28 2014-01-28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안전장치
KR102138721B1 (ko) * 2020-01-30 2020-07-29 주식회사 비와이인더스트리 벨트 컨베이어의 언로딩 장치
KR20210034824A (ko) 2019-09-23 2021-03-31 고병기 유압 조절형 다단 하중조절 대차
EP3984857A1 (en) 2020-10-16 2022-04-20 OKO Co.,Ltd. Multi-stage load adjustment type moving car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65926B2 (ja) * 2004-10-21 2008-03-26 株式会社ダイフク 台車式搬送装置
JP4189685B2 (ja) * 2005-08-04 2008-12-03 株式会社ダイフク 台車式搬送装置
JP4666215B2 (ja) * 2005-08-10 2011-04-06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装置
US8745865B2 (en) * 2006-09-07 2014-06-10 Carrier Corporation Compressor service tool
JP4895022B2 (ja) * 2007-01-30 2012-03-14 株式会社ダイフク 台車式搬送装置
CA2657203C (en) * 2007-01-30 2011-07-12 Daifuku Co., Ltd. Conveyance device using carriage
JP4978371B2 (ja) * 2007-08-24 2012-07-18 株式会社ダイフク 台車利用の搬送装置
US7731013B2 (en) * 2008-02-27 2010-06-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Mechanical workstation skillet lift
FI20085215A0 (fi) * 2008-03-07 2008-03-07 Jomeks Oy Työstökone, työstökoneisiin soveltuva lamellikuljetin ja menetelmä kappaleen työstämiseksi työstökoneella
JP5020129B2 (ja) * 2008-03-13 2012-09-05 株式会社ダイフク コンベヤ上への車両移載装置
US8047756B2 (en) * 2008-04-04 2011-11-01 Savant Automation, Inc. Automatic load transfer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ed material handling systems
DE102009049905A1 (de) * 2009-10-12 2011-04-14 Gebr. Schmid Gmbh & Co. Halteeinrichtung für dünne flächige Substrate
JP5650841B2 (ja) * 2010-07-09 2015-01-07 株式会社ダイフク 台車式搬送装置
CN102249084A (zh) * 2011-06-28 2011-11-23 中汽昌兴(洛阳)机电设备工程有限公司 升降滚床
DE102015104023A1 (de) 2015-03-18 2016-09-22 Weber Maschinenbau Gmbh Breidenbach Vorrichtung zum Bewegen von Objekten
DE102015006224B4 (de) * 2015-05-13 2017-01-05 Cargobeamer Ag Shuttlebalken zum Transport von Waggonaufsätzen, Güterumschlagvorrichtung mit derartigen Shuttlebalken und Güterumschlagverfahren
US10308449B2 (en) 2016-09-27 2019-06-04 Cargobeamer Ag Shuttle bar for transport of railcar pallets, freight-handling device, and freight-handling method
CN107826700B (zh) * 2017-11-28 2024-01-26 武汉东研智慧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进口转接链床
JP6644819B2 (ja) * 2018-02-09 2020-02-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搬送作業設備
CN111071709B (zh) * 2019-12-30 2024-05-07 苏州富强科技有限公司 一种间歇往复式传动机构
CN112938136B (zh) * 2021-03-17 2022-12-13 山东国农物流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商务的物流产品临时存储装置
CN113369964A (zh) * 2021-04-29 2021-09-10 河南勤工机器人有限公司 管材、型材切割用自动调节型材放置架
CN114468558A (zh) * 2022-01-07 2022-05-13 安徽继远软件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印章工作台
JP2023142297A (ja) * 2022-03-24 2023-10-05 株式会社ダイフク 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57036A (en) * 1955-09-12 1958-10-21 Smith Corp A O Pusher mechanism
JPS60240575A (ja) * 1984-05-16 1985-11-29 Honda Motor Co Ltd ワ−ク搬送装置
SE459081B (sv) * 1987-10-07 1989-06-05 Atlas Copco Ab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positionering av ett antal arbetsorgan relativt en bilkaross
JP2805518B2 (ja) * 1990-02-16 1998-09-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移載方法および車両搬送台車
JPH0786077B2 (ja) * 1990-05-07 1995-09-20 株式会社マキシンコー 昇降装置
JPH04119262U (ja) * 1991-04-03 1992-10-26 市光工業株式会社 自動搬送装置用の被牽引機構
JPH07172538A (ja) 1993-12-15 1995-07-11 Daifuku Co Ltd コンベヤ装置
JP2000351589A (ja) * 1999-06-07 2000-12-19 Nakai Mokko:Kk 昇降装置
US6308404B1 (en) * 1999-07-12 2001-10-30 Daimlerchrysle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lifting two axles onto a vehicle chassis
JP2003081581A (ja) * 2001-09-12 2003-03-19 Sugiyasu Industries Co Ltd 車輌整備用リフトのスイングアーム
US7178660B2 (en) * 2002-07-02 2007-02-20 Jervis B. Webb Company Workpiece transport system with independently driven platforms
JP4182475B2 (ja) * 2003-05-12 2008-11-19 株式会社ダイフク 昇降荷台付き搬送装置
JP4581396B2 (ja) * 2003-12-25 2010-11-17 中西金属工業株式会社 昇降機能付き台車
JP4293010B2 (ja) * 2004-02-19 2009-07-08 中西金属工業株式会社 昇降機能付き台車
JP4423105B2 (ja) * 2004-05-20 2010-03-03 カジックス株式会社 試薬密封袋及び試薬添加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518B1 (ko) 2012-06-28 2014-01-28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안전장치
KR20210034824A (ko) 2019-09-23 2021-03-31 고병기 유압 조절형 다단 하중조절 대차
KR102138721B1 (ko) * 2020-01-30 2020-07-29 주식회사 비와이인더스트리 벨트 컨베이어의 언로딩 장치
EP3984857A1 (en) 2020-10-16 2022-04-20 OKO Co.,Ltd. Multi-stage load adjustment type moving cart
US11414115B2 (en) 2020-10-16 2022-08-16 Oko Co., Ltd. Multi-stage load adjustment type moving ca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512772B1 (pt) 2017-07-04
EP1798131A1 (en) 2007-06-20
EP1798131A4 (en) 2007-08-22
CA2573776C (en) 2010-05-25
ATE413995T1 (de) 2008-11-15
WO2006016502A1 (ja) 2006-02-16
US20080029366A1 (en) 2008-02-07
US7458455B2 (en) 2008-12-02
BRPI0512772A (pt) 2008-04-08
CA2573776A1 (en) 2006-02-16
DE602005011027D1 (de) 2008-12-24
RU2337843C1 (ru) 2008-11-10
EP1798131B1 (en) 2008-11-12
KR20070039532A (ko) 2007-04-12
MX2007001617A (es) 2007-04-10
RU2007105892A (ru) 2008-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1677B1 (ko) 승강하는 피반송물 지지대를 구비한 반송장치
KR100981336B1 (ko) 승강하는 짐받이를 구비한 반송장치
KR101094792B1 (ko) 대차식 반송장치
KR101297113B1 (ko) 대차 이용의 반송장치
US7658273B2 (en) Carriage-type conveyance device
CN100526138C (zh) 具有升降的被运送物支撑台的运送装置
JP4984229B2 (ja) 台車式搬送装置
JPH0539186A (ja) エスカレーター装置並びにエスカレーター用踏段
JP2006044926A (ja) 搬送装置
JP6066107B2 (ja) 搬送台車昇降装置付き搬送装置
JP2006044925A (ja) 搬送装置
CN110373996B (zh) 一种公路桥梁施工用空走车
JP4505754B2 (ja) 天井走行式搬送装置における走行レール昇降装置
JP2531979B2 (ja) リフタ―付き搬送用移動体
JP3543423B2 (ja) 連接踏段付エスカレータ装置
JPH10152281A (ja) エスカレーター装置
JPH066632U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CZ107698A3 (cs) Zařízeni pro přemisťování palet v parkovacím systému
JPH10152282A (ja) エスカレータ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