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2082B1 - 대차식 반송설비 - Google Patents

대차식 반송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2082B1
KR101112082B1 KR1020097001554A KR20097001554A KR101112082B1 KR 101112082 B1 KR101112082 B1 KR 101112082B1 KR 1020097001554 A KR1020097001554 A KR 1020097001554A KR 20097001554 A KR20097001554 A KR 20097001554A KR 101112082 B1 KR101112082 B1 KR 101112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s
elevating
lifting
conveyanc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1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4361A (ko
Inventor
카츠히로 스기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090064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4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2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2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JSHIFTING OR SHUNTING OF RAIL VEHICLES
    • B61J1/00Turntables; Traversers; Transporting rail vehicles on other rail vehicles or dollies
    • B61J1/10Traver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04Monorail systems
    • B61B13/06Saddle or like balanced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65G39/09Arrangements of bearing or sealing means

Abstract

반송 경로를 따라 바닥면(6) 상에 부설된 가이드 레일(7a, 7b) 상을 주행하는 반송 대차(1)를 사용한 반송설비에서, 반송 경로를 횡단하는 바닥면 상 통로의 채용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서, 바닥면 상의 통로가 횡단하는 상기 반송 경로 중의 통로 횡단 개소(14)에는 바닥면(6)을 파내려간 피트(15)가 설치되고, 이 피트(15) 내에 당해 피트(15)의 전후의 상기 가이드 레일(7a, 7b)을 접속하는 상승 레벨과, 상면이 바닥면(6)과 한면이 되는 하강 레벨 사이에서 평행 승강 자유로운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이 배열 설치되고, 상기 피트(15)에는 상기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의 승강용 개구부를 남기고 바닥면(6)과 한면 또는 대략 한면으로 바닥재(18)가 가설된 점에 특징을 가진다.
Figure 112009004624559-pct00001
가이드 레일, 반송 경로, 반송 대차, 통로 횡단 개소, 반송설비, 승강 가이드 레일, 승강 구동장치, 대차식 반송설비.

Description

대차식 반송설비{CARRIAGE-TYPE CONVEYANCE SYSTEM}
본 발명은 반송 경로를 따라 바닥면 상에 부설된 가이드 레일 상을 주행하는 반송 대차를 사용한 대차식 반송설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대차식 반송설비에서, 그 반송 경로 중에 바닥면 상 통로 횡단 개소가 존재하는 것 같은 경우, 구성을 개시한 특허문헌을 나타낼 수는 없지만, 당해 바닥면 상 통로 횡단 개소를 통행하는 차량 등이 반송 경로측의 가이드 레일 상을 안전하고 또한 용이하게 넘을 수 있도록, 당해 가이드 레일의 상면과 한면이 되도록 바닥면 상에 횡단 통로용 바닥재를 가설(架設)하고, 당해 횡단 통로용 바닥재의 양단에 바닥면과의 사이의 단차를 해소하기 위한 슬로프를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기한 바와 같이 양단에 슬로프를 가지는 횡단 통로용 바닥재를 바닥면 상에 가설하는 종래의 구성에서는, 가이드 레일이 없는 플랫한 바닥면 상과 비교하여, 횡단 통로에서의 수동 대차 등의 이동에 필요 이상의 노동력을 요할 뿐만 아니라 안전성도 저하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대차식 반송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대차식 반송설비는,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참조 부호를 괄호를 붙여서 나타내면, 바닥면 상에 부설된 가이드 레일(7a, 7b)로 형성되는 반송 경로와, 상기 가이드 레일(7a, 7b) 상을 주행하는 반송 대차(1)를 사용하고, 상기 반송 경로 중에는 바닥면 상의 통로(13)가 횡단하는 통로 횡단 개소(14)가 설치되어 있는 반송설비에서, 피트(15, pit)와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 및 승강 구동장치(19A, 19B)를 구비하고, 피트(15)는 상기 통로 횡단 개소(14)의 바닥면(6)을 파내려가 형성된 것으로, 바닥면(6)과 한면으로 가설된 바닥재(18)에 의해 커버되고,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은 상기 피트(15)의 전후의 상기 가이드 레일(7a, 7b)을 접속하는 상승 레벨과, 상면이 바닥면(6)과 한면이 되는 하강 레벨 사이에서 평행 승강 자유롭게, 상기 피트(15) 내에 배열 설치되고, 승강 구동장치(19A, 19B)는 상기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을 상승 레벨과 하강 레벨 사이에서 승강 구동하는 것이며, 상기 바닥재(18)에는 상기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의 승강용 개구부(17)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구체적으로는 청구항 제2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반송 대차(1)에는 그 주행 방향 적당 간격을 두고 적어도 4개의 피가이드부(3a~3d)를 설치하고, 상기 통로 횡단 개소(14)의 전후의 상기 반송 경로에는 상기 피가이드부(3a~3d)와 걸어 맞춰지는 반송 대차 안내용 가이드 레일(8)을 부설하고, 상기 통로 횡단 개소(14)를 반송 대차(1)가 통과할 때, 상기 피가이드부(3a~3d) 중 적어도 2개가 항상 상기 반송 대차 안내용 가이드 레일(8)에 걸어 맞춰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청구항 제3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반송 경로에는 대차 스토퍼(39a)와 전환수단(46)을 병설하고, 대차 스토퍼(39a)는 상기 통로 횡단 개소(14)의 적어도 반송 대차 주행 방향의 위측에 설치함과 아울러, 반송 대차(1)를 상기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의 앞에서 정지시키는 작용 자세와, 반송 대차(1)의 통과를 허용하는 비작용 자세로 전환이 자유롭게 구성하고, 전환수단(46)은 상기 대차 스토퍼(39a)를 상기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의 승강과 연동하여, 당해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이 하강 레벨에 있을 때에만 작용 자세로 전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제4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 구동장치(19A, 19B)는 승강 지지수단(20A, 20B)과 구동수단(21)으로 구성하고, 승강 지지수단(20A, 20B)은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전후 2개소에 배열 설치함과 아울러,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의 하측에서 당해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자유로운 가동체(22)와 상기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 중, 일방에 설치된 캠 레일(23)과, 타방에 설치된 캠 종동 롤러(24)로 구성하고, 구동수단(21)은 각각의 승강 지지수단(20A, 20B)의 상기 가동체(22)를 서로 연동시켜서 왕복 이동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청구항 제5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에는 승강 가이드 유닛(33)을 병설하고, 상기 캠 종동 롤러(24)는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의 좌우 양측에 동심형상으로 좌우 한 쌍 축지지되고, 상기 승강 가이드 유닛(33)은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전후 2개소에 배열 설치함과 아울러, 각각,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을 끼우는 좌우 한 쌍의 슬라이드 가이드(36)를 구비한 구조로 하고, 상기 각각의 승강 지지수단(20A, 20B)에는 승강 가이드 롤러(30)와 승강 가이드 부재(32)를 설치하고, 승강 가이드 롤러(30)는 상기 좌우 한 쌍의 캠 종동 롤러(24)의 외측에서 당해 캠 종동 롤러(24)와 동심형상으로 좌우 한 쌍 축지지되고, 승강 가이드 부재(32)는 좌우 한 쌍의 승강 가이드 롤러(30)가 승강 이동 자유롭게 걸어 맞춰지도록 좌우 한 쌍 나란히 설치하고, 상기 가동체(22)는 좌우 한 쌍의 승강 가이드 부재(32) 사이에 배열 설치함과 아울러, 이 가동체(22) 상에 상기 좌우 한 쌍의 캠 종동 롤러(24)를 각각 따로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캠 레일(23)을 부설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상기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른 대차식 반송설비에 의하면, 반송 대차가 통로 횡단 개소를 통과할 때에는, 상승 레벨로 올려진 승강 가이드 레일을 경유시켜서 반송 대차를 소정의 레벨에서 지장없이 주행시킬 수 있는 것이면서, 반송 대차가 통로 횡단 개소를 주행하지 않을 때에는, 승강 가이드 레일을 하강 레벨로 낮춰둠으로써, 피트를 덮는 바닥재와 하강 레벨에 있는 승강 가이드 레일의 상면으로 주변의 바닥면과 한면의 플랫한 횡단 통로가 형성되므로, 당해 횡단 통로 상에서의 수동 대차 등의 이동도 필요 이상의 노동력을 요하지 않고 안전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제2항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반송 대차의 차륜으로서, 가이드 레일과 걸어 맞춰지는 플랜지가 달린 차륜을 사용하지 않고도, 횡단 통로를 통과하는 반송 대차의 방향을 확실히 규제하여 횡단 통로 통과시에 반송 대차가 반송 경로로부터 불측하게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청구항 제3항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통로 횡단 개소에 배열 설치된 승강 가이드 레일이 하강 레벨로 낮춰져 있는 상태에서 잘못해서 반송 대차를 통로 횡단 개소에 진입시켜 버리는 일이 없어,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청구항 제4항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하강 레벨까지 낮춘 승강 가이드 레일의 하측에, 캠 레일 또는 캠 종동 롤러를 구비한 가동체가 승강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면 되므로, 통로 횡단 개소에 바닥면을 파내려가 형성해야 하는 피트의 깊이를 비교적 얕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청구항 제5항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승강 가이드 레일의 좌우 가로 방향의 이동이나 쓰러짐, 길이 방향의 이동을 확실히 방지하면서, 당해 승강 가이드 레일을 원활하게 평행 승강 이동시킬 수 있고, 게다가 캠 종동 롤러와 승강 가이드 롤러를 공통 지지축에서 축지지할 수 있어, 부품 점수를 줄여 염가로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통로 횡단 개소의 구성 전체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 2A는 반송 대차가 통로 횡단 개소를 통과할 때의 상태를 도시한 개략 종단 측면도, 도 2B는 횡단 통로가 사용될 때의 상태를 도시한 개략 종단 측면도이 다.
도 3A는 반송 경로 상을 주행할 때의 반송 대차를 도시한 개략 정면도, 도 3B는 통로 횡단 개소를 주행할 때의 반송 대차를 도시한 개략 종단 정면도, 도 3C는 횡단 통로가 사용될 때의 상태를 도시한 개략 종단 정면도이다.
도 4는 상승 레벨에 있는 승강 가이드 레일과 그 승강 구동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주요부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다른 주요부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7A는 도 4의 주요부의 측면도, 도 7B는 승강 가이드 레일이 하강 레벨로 전환된 상태에서의 주요부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A의 주요부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7A의 다른 주요부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7B의 주요부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7B의 다른 주요부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12는 승강 가이드 레일이 상승 레벨에 있을 때의 주요부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 13은 승강 가이드 레일이 하강 레벨에 있을 때의 주요부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 14는 승강 가이드 레일이 상승 레벨에 있고, 대차 스토퍼가 도복 비작용 자세에 있을 때의 주요부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 15는 승강 가이드 레일이 하강 레벨에 있고, 대차 스토퍼가 기립 작용 자세에 있을 때의 주요부의 종단 정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반송 대차 2 차륜
3a~3d 수직축 롤러 6 바닥면
7a, 7b 반송 대차 지지용 가이드 레일
8 반송 대차 안내용 홈형 가이드 레일
12 마찰 구동수단 13 바닥면 상 통로
14 통로 횡단 개소 15 피트
16a, 16b 승강 가이드 레일 17 개구부
18 바닥재 19A, 19B 승강 구동장치
20A, 20B 승강 지지수단 21 구동수단
22 판형상 가동체 23 캠 레일
24, 44 캠 종동 롤러 25 기판
26 슬라이드 가이드 레일 27 슬라이드 블럭
28, 41 베어링 부재 29, 42 지지축
30 승강 가이드 롤러 31 긴구멍
32 승강 가이드 부재 33 승강 가이드 유닛
35 미끄러짐 부재 36 슬라이드 가이드판
37 실린더 유닛 38 연결로드
39a, 39b 대차 스토퍼 40a, 40b 가대
45 조작판 46 전환수단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도 1~도 3에서, 1은 반송 대차이며, 저부에는 좌우 한 쌍 전후 2세트의 차륜(2)과, 주행 방향과 평행한 직선 상에서 적당 간격을 두고 축지지된 4개의 수직축 롤러(3a~3d)가 설치되고, 상측 중앙부에는 크로스 링크 기구(4)에 의해 승강이 자유롭게 지지된 승강 하대(荷臺)(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승강 하대(5)는 모터 구동의 나사 기구에 의해 크로스 링크 기구(4)를 기복 구동하는 모터 구동 방식이나, 크로스 링크 기구(4)의 기복 운동과 연동하는 승강 캠 종동 롤러를 바닥면측에 부설된 캠 레일로 밀어 올림으로써 승강 하대(5)를 상승시키고, 승강 하대(5)의 하강은 중력으로 행하게 하는 캠 레일 방식 등, 종래 주지된 각종 방식에 의해 승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반송 대차(1)의 주행 경로, 즉 반송 경로가 되는 바닥면(6) 상에는 차륜(2)을 전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레일(7a, 7b)과, 직렬되는 4개의 수직축 롤러(3a~3d)가 여유롭게 끼워지는 좌우 한 쌍의 레일재로 이루어지는 반송 대차 안내용 홈형 가이드 레일(8)이 부설되어 있다. 직렬되는 4개의 수직축 롤러(3a~3d)는 좌우의 편측의 차륜(2)의 내측에 인접하는 전후 방향(주행 방향)의 가상 직선 상에서, 반송 대차(1)의 전후 양단 근방 위치와 중간 2개소에 배치되어 있 다. 이 반송 대차(1)의 주행 구동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도 1 및 도 3A에 각각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 대차(1)의 평행한 좌우 양측면(1a, 1b)을 끼우는 마찰 구동 롤러(9)와 백업 롤러(10), 및 마찰 구동 롤러(9)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11)로 이루어지는 마찰 구동수단(12)을 반송 경로 상의 적당 간격의 위치에 배열 설치한 마찰 구동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반송 대차(1)의 반송 경로 중에는, 당해 반송 경로를 횡단하는 바닥면 상의 통로(13)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반송 경로 중의 통로 횡단 개소(14)에는 가이드 레일(7a, 7b) 및 반송 대차 안내용 가이드 레일(8)은 부설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횡단 통로(13)의 폭은 직렬되는 4개의 수직축 롤러(3a~3d) 중, 양단 2개의 수직축 롤러(3a, 3d) 사이의 거리보다 짧지만, 중간 2개의 수직축 롤러(3b, 3c) 사이의 거리보다 길고, 반송 대차(1)가 통로 횡단 개소(14)를 통과할 때, 직렬되는 4개의 수직축 롤러(3a~3d) 중, 전단의 1개의 수직축 롤러(3a) 또는 후단의 1개의 수직축 롤러(3d)만이 반송 대차 안내용 홈형 가이드 레일(8)에 여유롭게 끼워지는 상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바꾸어 말하면, 직렬되는 4개의 수직축 롤러(3a~3d) 중, 항상 적어도 2개의 수직축 롤러가 통로 횡단 개소(14)의 전후 어느 일방의 반송 대차 안내용 홈형 가이드 레일(8)에 여유롭게 끼워지거나 또는 통로 횡단 개소(14)의 전후 양 반송 대차 안내용 홈형 가이드 레일(8)에 걸쳐서 여유롭게 끼워져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반송 대차(1)의 반송 경로 중의 통로 횡단 개소(14)에는 바닥면(6)을 파내려가 구성된 피트(15)가 설치되고, 이 피트(15) 내에, 통로 횡단 개소(14)의 전후의 가이드 레일(7a, 7b)을 접속하는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은 도 2A 및 도 3B,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7a, 7b)을 접속하는 상승 레벨과,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의 상면과 바닥면(6)이 한면이 되는 하강 레벨의 사이에서 평행 승강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피트(15)에는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이 승강하는 개구부(17)를 남기고, 바닥면(6)과 한면으로 바닥재(18)가 가대(도시 생략)를 통하여 가설(架設)되어 있다.
이하,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의 승강 구동장치의 실시형태를 도 4~도 1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승강 가이드 레일(16a)의 승강 구동장치(19A)와 승강 가이드 레일(16b)의 승강 구동장치(19B)는 동일 구조의 것이며, 도 5~도 13은 승강 가이드 레일(16b)의 승강 구동장치(19B)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 승강 구동장치(19A, 19B)는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의 길이 방향의 양단 근방 2개소에 배열 설치된 승강 지지수단(20A, 20B)과 구동수단(21)을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승강 지지수단(20A, 20B)은 동일 구조의 것으로,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의 하측에 배치된 판형상 가동체(22)와, 이 판형상 가동체(22) 상에 부착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캠 레일(23)과, 각각의 캠 레일(23) 상에 전동이 자유롭게 탑재되는 좌우 한 쌍 전후 2세트의 캠 종동 롤러(24)를 구비하고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형상 가동체(22)는 피트(15)의 저면 상에 부설된 기판(25) 상의 좌우 한 쌍의 슬라이드 가이드 레일(26) 상에 슬라이드 블럭(27)을 통하여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지지되고, 좌우 한 쌍의 캠 레 일(23)은 평면에서 보아,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의 좌우 양측에서 당해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좌우 한 쌍의 각각의 캠 종동 롤러(24)는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의 하측에 부착 설치된 베어링 부재(28)의 좌우 양측에 좌우 수평 가로 방향의 공통 지지축(29)에 의해 축지지되어 있다.
각각의 좌우 한 쌍의 캠 종동 롤러(24)의 외측에는, 이들 캠 종동 롤러(24)를 축지지하는 공통 지지축(29)을 이용하여 승강 가이드 롤러(30)가 동심형상으로 축지지되고, 이들 각각의 승강 가이드 롤러(30)가 전동 승강이 자유롭게 여유롭게 끼워지는 상하 방향의 긴구멍(31)을 구비한 좌우 한 쌍의 승강 가이드 부재(32)가, 좌우 한 쌍의 캠 레일(23)의 외측에서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과 평행하게 기판(25) 상에 부착되어 있다.
또 각각의 승강 지지수단(20A, 20B)에는 승강 가이드 유닛(33)이 병설되어 있다. 이들 승강 가이드 유닛(33)은,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의 하측에 부착 설치된 부착 부재(34)를 통하여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의 좌우 양측에 부착된 미끄러짐 부재(35)와, 이 좌우 한 쌍의 미끄러짐 부재(35)를 통하여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을 승강이 자유롭게 끼우도록 기판(25) 상에 부착된 좌우 한 쌍의 슬라이드 가이드판(36)을 구비하고 있다.
구동수단(21)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방의 승강 지지수단(20A)에서의 판형상 가동체(22)와 기판(25) 사이에 개재 장착되어 당해 승강 지지수단(20A)의 판형상 가동체(22)를 왕복 이동시키는 실린더 유닛(37)과, 당해 승강 지지수단(20A)의 판형상 가동체(22)와 타방의 승강 지지수단(20B)에서의 판형상 가동 체(22)를 서로 연동 연결하는 연결로드(38)로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방의 승강 구동장치(19B)에서의 승강 지지수단(20A, 20B)에는 대차 스토퍼(39a, 39b)가 병설되어 있다. 각각의 승강 구동장치(19A, 19B)에는 도 8~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에 인접하는 가이드 레일(7a, 7b)의 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가대(40a, 40b)가 기판(25) 상에 입설되어 있는데, 대차 스토퍼(39a, 39b)는 상기 가대(40a, 40b)에 부착된 베어링 부재(41)에 좌우 수평 방향의 지지축(42)에 의해 축지지된 것으로, 가이드 레일(7b)과 병렬되는 반송 대차 안내용 홈형 가이드 레일(8) 내를 이동하는 수직축 롤러(3a)(또는 (3d))에 맞닿는 기립 작용 자세(도 10, 도 11, 및 도 15 참조)와, 당해 기립 작용 자세에 대해서 통로 횡단 개소(1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도복한, 수직축 롤러(3a~3d)의 통과를 허용하는 도복 비작용 자세(도 8, 도 9, 및 도 14 참조)의 사이에서만 상하 요동이 자유롭게 구성되고, 그리고 중력 또는 스프링력으로 상기 기립 작용 자세로 가압되어 있다. 또한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대차 스토퍼(39a, 39b)에는 전환수단(46)이 병설되어 있다. 이 전환수단(46)은 각각의 대차 스토퍼(39a, 39b)로부터 승강 가이드 레일(16b)이 있는 측에 돌출 설치된 좌우 수평 방향의 돌출 지지축(43)을 통하여 이들 각각의 대차 스토퍼(39a, 39b)에 축지지된 캠 종동 롤러(44)와, 승강 가이드 레일(16b)이 상승 레벨로 상승할 때에 상기 캠 종동 롤러(44)를 통하여 대차 스토퍼(39a, 39b)를 기립 작용 자세로부터 도복 비작용 자세로 전환하도록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의 측면에 부착 설치된 조작판(45)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서,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은 그 길이 방향의 양단 근방부가 승강 가이드 유닛(33)에 의해 끼워져 있는 것에 의해, 좌우 가로 방향의 쓰러짐이 방지되어 있음과 아울러, 각각의 승강 지지수단(20A, 20B)의 승강 가이드 부재(32)의 긴구멍(31)에 승강 가이드 롤러(30)가 여유롭게 끼워져 있는 것에 의해, 길이 방향의 이동이 방지되어, 수직 승강만 가능한 상태에 있다. 그리고 각각의 승강 구동장치(19A, 19B)의 구동수단(21)에서의 실린더 유닛(37)을 가동시키고, 판형상 가동체(22)를 통하여 전후 양 승강 지지수단(20A, 20B)의 캠 레일(23)을 동기시켜서 전후 이동시킴으로써, 캠 종동 롤러(24)를 통하여 당해 캠 레일(23)로 지지되어 있는 상기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이 수평 자세를 유지하여 평행 승강 운동하도록, 각각의 캠 레일(23)이 형성되어 있다. 즉 캠 레일(23)에는 캠 종동 롤러(24)를 택일적으로 지지하는 저위 수평 지지면과 고위 수평 지지면이 설치되어 있고, 전후 양 승강 지지수단(20A, 20B)의 캠 레일(23)의 이동에 의해,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측의 캠 종동 롤러(24)가 캠 레일(23)의 저위 수평 지지면과 고위 수평 지지면의 일방으로부터 타방으로 동시에 갈아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사용 방법을 설명하면 반송 경로 상을 주행하는 반송 대차(1)가 통로 횡단 개소(14)에 접근할 때까지는, 도 2B, 도 3C, 도 7B, 도 10, 도 11, 도 13,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을 하강 레벨로 낮춰 둔다. 즉 승강 구동장치(19A, 19B)의 전후 양 승강 지지수단(20A, 20B)에서의 캠 레일(23)을 구동수단(21)(실린더 유닛(37))에 의해 통로 횡단 개소(14)의 아래측으로 슬라이드시켜, 캠 레일(23)의 저위 수평 지지면에서 캠 종동 롤러(24)를 지지하는 상태로 전환한다. 이 결과,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이 상승 레벨로부터 하강 레벨까지 강하하고, 당해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의 상면이 피트(15)를 덮고 있는 바닥재(18)의 표면, 즉 바닥면(6)과 한면의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통로 횡단 개소(14)의 상면이 횡단 통로(13)의 바닥면(6)과 한면의 평탄면이 되므로, 횡단 통로(13) 상에서 수동 대차 등을 안전하고 또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을 하강 레벨로 전환한 상태에서는, 도 10, 도 11,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차 스토퍼(39a, 39b)의 전환수단(46)에서의 조작판(45)이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과 함께 하강되고, 대차 스토퍼(39a, 39b)의 캠 종동 롤러(44)로부터 하방으로 이간하므로, 이들 대차 스토퍼(39a, 39b)는 가압력에 의해 기립 작용 자세로 전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이 하강 레벨로 낮춰져 있는 상태에서, 잘못해서 반송 대차(1)를 통로 횡단 개소(14) 내에 진입시키는 것 같은 사태가 발생해도, 당해 반송 대차(1)의 수직축 롤러(3a~3d) 중, 선두의 수직축 롤러(3a)가 반송 대차 안내용 홈형 가이드 레일(8)의 종단부 내에 들어가 있는 상기 대차 스토퍼(39a, 39b)로 받아들여져, 반송 대차(1)가 통로 횡단 개소(14) 내에 진입하는 것을 저지하게 된다. 또한 반송 대차(1)의 주행 방향이 일방향으로 한정되어 있을 때는, 통로 횡단 개소(14)에 대해서 위측의 대차 스토퍼(39a)만을 설치하면 된다.
주행하는 반송 대차(1)가 통로 횡단 개소(14)로부터 일정 거리 앞에 도달했을 때에는, 승강 구동장치(19A, 19B)의 구동수단(21)(실린더 유닛(37))을 가동시키고, 전후 양 승강 지지수단(20A, 20B)의 판형상 가동체(22)를 통하여 각각의 캠 레 일(23)을, 도 2A, 도 3B, 도 4~도 6, 도 7A, 도 8, 도 9, 도 12,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로 횡단 개소(14)의 위측으로 슬라이드시켜,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을 하강 레벨로부터 상승 레벨까지 올려 둔다. 즉 전후 양 승강 지지수단(20A, 20B)에서의 캠 레일(23)의 저위 수평 지지면에서 캠 종동 롤러(24)를 지지하는 상태로 전환한다. 이 결과, 피트(15)를 덮는 바닥재(18)의 개구부(17)로부터 상승한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이, 통로 횡단 개소(14)의 전후의 가이드 레일(7a, 7b)을 동일 레벨에서 접속하는 상태가 됨과 동시에, 도 8, 도 9,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차 스토퍼(39a, 39b)의 전환수단(46)에서의 조작판(45)이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과 함께 상승하여, 대차 스토퍼(39a, 39b)의 캠 종동 롤러(44)를 밀어 올리므로, 당해 대차 스토퍼(39a, 39b)는 도복 비작용 자세로 전환되고, 반송 대차(1)의 수직축 롤러(3a~3d)의 이동 경로로부터 하방으로 퇴피하게 된다. 따라서, 반송 대차(1)는 그 차륜(2)이 통로 횡단 개소(14)의 위측의 가이드 레일(7a, 7b)로부터 상승 레벨의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을 경유하여 통로 횡단 개소(14)의 아래측의 가이드 레일(7a, 7b)로 전동 이동함으로써, 통로 횡단 개소(14)를 문제없이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반송 대차(1)의 4개의 수직축 롤러(3a~3d) 중, 적어도 2개의 수직축 롤러가 반드시 통로 횡단 개소(14)의 전후의 반송 대차 안내용 홈형 가이드 레일(8) 내에 여유롭게 끼워져 이동하므로, 통로 횡단 개소(14)를 통과하는 반송 대차(1)는 확실히 직진하게 되고, 당해 통로 횡단 개소(14)를 통과하는 사이에 반송 대차(1)의 방향이 불측하게 변화되어, 차륜(2)이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 상이나 통로 횡단 개소(14)의 아래측의 가이드 레일(7a, 7b) 상에서 벗어나서 떨어지거나, 수직축 롤러(3a~3d)가 통로 횡단 개소(14)의 아래측의 반송 대차 안내용 홈형 가이드 레일(8)에 끼워넣어지지 않고 벗어나 버리는 것과 같은 우려가 없다.
반송 대차(1)가 마찰 구동수단(12)으로 추진되는 타입인 것일 때는, 도 1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통로 횡단 개소(14)의 전후에 인접시켜서 마찰 구동수단(12)을 배열 설치하고, 통로 횡단 개소(14)의 위측의 마찰 구동수단(12)으로 통로 횡단 개소(14)에 보내지는 반송 대차(1)가, 당해 위측의 마찰 구동수단(12)으로부터 떨어지기 전에 통로 횡단 개소(14)의 아래측의 마찰 구동수단(12)에 이어져서 추진되도록 구성하면 된다. 또 통로 횡단 개소(14)의 앞에는, 주행해 오는 반송 대차(1)를 일시 정지시킴과 아울러 임의의 타이밍에서 통로 횡단 개소(14)로 송출할 수 있는 마찰 구동수단(12)을 설치함으로써, 횡단 통로(13)를 차량 등이 통행할 때에만, 반송 대차(1)를 통로 횡단 개소(14)의 앞에서 일시 정지시켜서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을 하강 레벨로 낮추고, 횡단 통로(13)를 사용시킬 수 있다.
또한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통로 횡단 개소(14)의 전역을 커버하는 넓은 피트(15)를 설치했지만,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과 그 승강 구동장치(19A, 19B)만을 각각 따로 수용하는 가늘고 긴 피트를 2열로 형성해도 된다. 또 판형상 가동체(22) 상에 캠 종동 롤러(24)를 축지지하고,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의 하측에 캠 레일(23)을 부설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차식 반송설비는 자동차 바디를 반송하면서 당해 바디에 각종 부품을 부착하는 자동차 조립 라인에서의 자동차 바디 반송설비로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5)

  1. 바닥면 상에 부설된 가이드 레일(7a, 7b)로 형성되는 반송 경로와, 상기 가이드 레일(7a, 7b) 상을 주행하는 반송 대차(1)를 사용하고, 상기 반송 경로 중에는 바닥면 상의 통로(13)가 횡단하는 통로 횡단 개소(14)가 설치되어 있는 반송설비로서,
    피트(15)와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 및 승강 구동장치(19A, 19B)를 구비하고, 피트(15)는 상기 통로 횡단 개소(14)의 바닥면(6)을 파내려가 형성된 것으로, 바닥면(6)과 한면으로 가설된 바닥재(18)에 의해 커버되고,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은 상기 피트(15)의 전후의 상기 가이드 레일(7a, 7b)을 접속하는 상승 레벨과, 상면이 바닥면(6)과 한면이 되는 하강 레벨 사이에서 평행 승강 자유롭게, 상기 피트(15) 내에 배열 설치되고, 승강 구동장치(19A, 19B)는 상기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을 상승 레벨과 하강 레벨 사이에서 승강 구동하는 것이며, 상기 바닥재(18)에는 상기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의 승강용 개구부(17)가 설치되며,
    상기 반송 대차(1)에는 그 주행 방향 적당 간격을 두고 적어도 4개의 피가이드부(3a~3d)가 설치되고, 상기 통로 횡단 개소(14)의 전후의 상기 반송 경로에는 상기 피가이드부(3a~3d)와 걸어 맞춰지는 반송 대차 안내용 가이드 레일(8)이 부설되고, 상기 통로 횡단 개소(14)를 반송 대차(1)가 통과할 때, 상기 피가이드부(3a~3d) 중 적어도 2개가 항상 상기 반송 대차 안내용 가이드 레일(8)에 걸어 맞춰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반송설비.
  2. 바닥면 상에 부설된 가이드 레일(7a, 7b)로 형성되는 반송 경로와, 상기 가이드 레일(7a, 7b) 상을 주행하는 반송 대차(1)를 사용하고, 상기 반송 경로 중에는 바닥면 상의 통로(13)가 횡단하는 통로 횡단 개소(14)가 설치되어 있는 반송설비로서,
    피트(15)와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 및 승강 구동장치(19A, 19B)를 구비하고, 피트(15)는 상기 통로 횡단 개소(14)의 바닥면(6)을 파내려가 형성된 것으로, 바닥면(6)과 한면으로 가설된 바닥재(18)에 의해 커버되고,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은 상기 피트(15)의 전후의 상기 가이드 레일(7a, 7b)을 접속하는 상승 레벨과, 상면이 바닥면(6)과 한면이 되는 하강 레벨 사이에서 평행 승강 자유롭게, 상기 피트(15) 내에 배열 설치되고, 승강 구동장치(19A, 19B)는 상기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을 상승 레벨과 하강 레벨 사이에서 승강 구동하는 것이며, 상기 바닥재(18)에는 상기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의 승강용 개구부(17)가 설치되며,
    상기 반송 경로에는 대차 스토퍼(39a)와 전환수단(46)이 병설되고, 대차 스토퍼(39a)는 상기 통로 횡단 개소(14)의 적어도 반송 대차 주행 방향의 위측에 설치된 것으로, 반송 대차(1)를 상기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의 앞에서 정지시키는 작용 자세와, 반송 대차(1)의 통과를 허용하는 비작용 자세로 전환이 자유로우며, 전환수단(46)은 상기 대차 스토퍼(39a)를 상기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의 승강과 연동하여, 당해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이 하강 레벨에 있을 때에만 작용 자세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반송설비.
  3. 바닥면 상에 부설된 가이드 레일(7a, 7b)로 형성되는 반송 경로와, 상기 가이드 레일(7a, 7b) 상을 주행하는 반송 대차(1)를 사용하고, 상기 반송 경로 중에는 바닥면 상의 통로(13)가 횡단하는 통로 횡단 개소(14)가 설치되어 있는 반송설비로서,
    피트(15)와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 및 승강 구동장치(19A, 19B)를 구비하고, 피트(15)는 상기 통로 횡단 개소(14)의 바닥면(6)을 파내려가 형성된 것으로, 바닥면(6)과 한면으로 가설된 바닥재(18)에 의해 커버되고,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은 상기 피트(15)의 전후의 상기 가이드 레일(7a, 7b)을 접속하는 상승 레벨과, 상면이 바닥면(6)과 한면이 되는 하강 레벨 사이에서 평행 승강 자유롭게, 상기 피트(15) 내에 배열 설치되고, 승강 구동장치(19A, 19B)는 상기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을 상승 레벨과 하강 레벨 사이에서 승강 구동하는 것이며, 상기 바닥재(18)에는 상기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의 승강용 개구부(17)가 설치되며,
    상기 승강 구동장치(19A, 19B)는 승강 지지수단(20A, 20B)과 구동수단(21)으로 이루어지고, 승강 지지수단(20A, 20B)은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전후 2개소에 배열 설치된 것으로,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의 하측에서 당해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자유로운 가동체(22)와 상기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 중, 일방에 설치된 캠 레일(23)과, 타방에 설치된 캠 종동 롤러(24)로 이루어지고, 구동수단(21)은 각각의 승강 지지수단(20A, 20B)의 상기 가동체(22)를 서로 연동시켜서 왕복 이동시키며,
    상기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에는 승강 가이드 유닛(33)이 병설되고, 상기 캠 종동 롤러(24)는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의 좌우 양측에 동심형상으로 좌우 한 쌍 축지지되고, 상기 승강 가이드 유닛(33)은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전후 2개소에 배열 설치된 것으로, 각각, 승강 가이드 레일(16a, 16b)을 끼우는 좌우 한 쌍의 슬라이드 가이드(36)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각각의 승강 지지수단(20A, 20B)에는 승강 가이드 롤러(30)와 승강 가이드 부재(32)가 설치되고, 승강 가이드 롤러(30)는 상기 좌우 한 쌍의 캠 종동 롤러(24)의 외측에서 당해 캠 종동 롤러(24)와 동심형상으로 좌우 한 쌍 축지지되고, 승강 가이드 부재(32)는 좌우 한 쌍의 승강 가이드 롤러(30)가 승강 이동 자유롭게 걸어 맞춰지도록 좌우 한 쌍 나란히 설치되고, 상기 가동체(22)는 좌우 한 쌍의 승강 가이드 부재(32) 사이에 배열 설치된 것으로, 이 가동체(22) 상에 상기 좌우 한 쌍의 캠 종동 롤러(24)를 각각 따로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캠 레일(23)이 부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반송설비.
  4. 삭제
  5. 삭제
KR1020097001554A 2007-03-27 2008-03-17 대차식 반송설비 KR1011120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81002 2007-03-27
JP2007081002A JP5057039B2 (ja) 2007-03-27 2007-03-27 台車式搬送設備
PCT/JP2008/054849 WO2008120565A1 (ja) 2007-03-27 2008-03-17 台車式搬送設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4361A KR20090064361A (ko) 2009-06-18
KR101112082B1 true KR101112082B1 (ko) 2012-02-22

Family

ID=39808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1554A KR101112082B1 (ko) 2007-03-27 2008-03-17 대차식 반송설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091484B2 (ko)
EP (1) EP2039579B1 (ko)
JP (1) JP5057039B2 (ko)
KR (1) KR101112082B1 (ko)
CN (1) CN101547820B (ko)
BR (1) BRPI0804502A2 (ko)
CA (1) CA2657205C (ko)
MX (1) MX2009002479A (ko)
RU (1) RU2403201C1 (ko)
WO (1) WO20081205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91513B (zh) * 2012-12-06 2015-04-29 济钢集团国际工程技术有限公司 联合运输台车
JP2014190114A (ja) * 2013-03-28 2014-10-06 Daifuku Co Ltd 搬送用走行体の走行経路構造
CN104670253A (zh) * 2015-02-06 2015-06-03 成都科创佳思科技有限公司 一种加工车间用牵车台
CN106167161A (zh) * 2015-08-20 2016-11-30 安徽省中坤元新型建材有限公司 可实现快速高效传输水泥纤维板的平模车
JP6749754B2 (ja) * 2015-11-02 2020-09-02 株式会社東安 コンベア装置
CN106218645B (zh) * 2016-08-26 2018-10-19 成都长客新筑轨道交通装备有限公司 一种轨道交通整编车辆发车系统
CN107934487A (zh) * 2017-12-18 2018-04-20 中冶焦耐(大连)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焦炉机械升降迁移平台及升降迁移方法
CN109131993A (zh) * 2018-10-26 2019-01-04 惠州市万顺桔企业管理服务有限公司 药瓶运输中转装置及其自动化生产设备
CN112692495A (zh) * 2021-01-19 2021-04-23 苏州佰铮达智能科技有限公司 用于真空腔均热板铜片的定位装置
CN114435836A (zh) * 2022-02-21 2022-05-06 北京京东乾石科技有限公司 一种穿梭车挡停机构及穿梭车轨道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9029A (ja) * 1991-08-08 1993-02-19 Daifuku Co Ltd レールのスイツチ装置
JPH082407A (ja) * 1994-06-27 1996-01-09 Nakanishi Kinzoku Kogyo Kk 床コンベヤ
JP2005343195A (ja) 2004-05-31 2005-12-15 Toyota Motor Corp 台車搬送装置
JP2006241686A (ja) * 2005-02-28 2006-09-14 Mitsubishi Heavy Ind Ltd 軌道系交通システムの分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4230C (de) * 1923-10-29 Fritz Schrank Senkrecht verschiebbare Plattform zum UEberbruecken von Schiebebuehnengruben
DE363256C (de) * 1922-11-06 Otto Kuen Steg zur UEberbrueckung von Schiebebuehnengruben
US2511316A (en) * 1947-02-10 1950-06-13 Edward L Cody Automobile servicing system and means
JPS4862705U (ko) * 1971-11-15 1973-08-09
JPS53507A (en) * 1976-06-24 1978-01-06 Fuji Car Mfg Branching device for new traffic system
JPS5555281Y2 (ko) * 1978-08-24 1980-12-22
JPS5932558A (ja) * 1982-02-22 1984-02-22 富士車輌株式会社 案内軌道車両用転轍装置の案内レ−ル支持装置
JPS59156007U (ja) * 1983-04-05 1984-10-19 宇部興産株式会社 台車式運搬装置
JPH0266803U (ko) * 1988-11-07 1990-05-21
US6622635B2 (en) * 1998-01-12 2003-09-23 Autran Corp. Automated transportation system
JP2000168548A (ja) * 1998-12-09 2000-06-20 Tsubakimoto Chain Co 自走式台車装置
CN1269676C (zh) * 2001-12-26 2006-08-16 株式会社大福 台车式搬运装置
JP2004299538A (ja) * 2003-03-31 2004-10-28 Kito Corp トロリー装置
JP4895022B2 (ja) * 2007-01-30 2012-03-14 株式会社ダイフク 台車式搬送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9029A (ja) * 1991-08-08 1993-02-19 Daifuku Co Ltd レールのスイツチ装置
JPH082407A (ja) * 1994-06-27 1996-01-09 Nakanishi Kinzoku Kogyo Kk 床コンベヤ
JP2005343195A (ja) 2004-05-31 2005-12-15 Toyota Motor Corp 台車搬送装置
JP2006241686A (ja) * 2005-02-28 2006-09-14 Mitsubishi Heavy Ind Ltd 軌道系交通システムの分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57205A1 (en) 2008-10-09
KR20090064361A (ko) 2009-06-18
JP5057039B2 (ja) 2012-10-24
CN101547820A (zh) 2009-09-30
US8091484B2 (en) 2012-01-10
EP2039579B1 (en) 2014-12-24
MX2009002479A (es) 2009-05-11
US20100218698A1 (en) 2010-09-02
EP2039579A4 (en) 2011-11-16
BRPI0804502A2 (pt) 2011-08-30
JP2008238914A (ja) 2008-10-09
EP2039579A1 (en) 2009-03-25
CA2657205C (en) 2011-02-01
RU2403201C1 (ru) 2010-11-10
WO2008120565A1 (ja) 2008-10-09
CN101547820B (zh) 201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2082B1 (ko) 대차식 반송설비
KR101094792B1 (ko) 대차식 반송장치
KR101001677B1 (ko) 승강하는 피반송물 지지대를 구비한 반송장치
CN107207212B (zh) 电梯系统轨道
US10486940B2 (en) Alignment system for an elevator car
CN101229880B (zh) 运送用移动体的上下通路切换装置
US4026388A (en) Inclined lift
KR20130139767A (ko) 물품 반송 설비
CN113692390A (zh) 电梯系统
CN112046507A (zh) 混合式缆索/轨道输送系统
JP4196348B2 (ja) 搬送装置
CN109607362B (zh) 一种地下轨道车辆升降系统
JP2013237511A (ja) カゴ台車用移載装置
CN212799176U (zh) 一种电梯检验用的安全装置
JP4895203B2 (ja) 吊下げ搬送設備
KR102330510B1 (ko) 로프리스 엘리베이터 시스템
JP2021195063A (ja) 搬送台車及び搬送台車システム
JP2007119196A (ja) 搬送台車の経路変更用トラバーサ
US11148907B2 (en) Elevator entryway with magnetic guidance for controlling door panel motion
US844164A (en) Car-haul.
JP2015189555A (ja) 搬送台車昇降装置付き搬送装置
KR101358624B1 (ko) 기계식 주차설비
CN117533683A (zh) 四向穿梭车及仓储系统
JPH066632U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H07116930A (ja) 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