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9767A - 물품 반송 설비 - Google Patents
물품 반송 설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39767A KR20130139767A KR1020130057725A KR20130057725A KR20130139767A KR 20130139767 A KR20130139767 A KR 20130139767A KR 1020130057725 A KR1020130057725 A KR 1020130057725A KR 20130057725 A KR20130057725 A KR 20130057725A KR 20130139767 A KR20130139767 A KR 201301397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veling
- rail
- article
- intersection
- trave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13/00—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whee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안내부나 피(被)안내체에 관한 하중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물품 반송(搬送) 설비를 제공한다. 물품 반송차(搬送車)(1)가, 물품 유지부(8)를 주행부(5)에 대하여 차체 가로 폭 방향으로 이동 조작하는 가로 이동 기구(機構)를 구비하고, 물품 반송차(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H가, 물품 반송차(1)를 교차부 C 이외에서 주행시키는 경우에는 물품 유지부(8)가 한쌍의 주행 레일(2)의 중간 위치 아래쪽에 위치하는 통상 주행 상태로 하고, 또한 물품 반송차(1)를 교차부 C에서 주행시키는 경우에는 물품 유지부(8)가 한쌍의 주행 레일(2)의 중간 위치 아래쪽으로부터 차체 가로 폭 방향에서 교차측 주행 레일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위치시킨 교차부 주행 상태로 하기 위해, 가로 이동 기구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천정 반송형(搬送型)의 물품 반송 설비에 관한 것이다.
종래, 물품을 싣고 내리는 복수의 스테이션을 경유하도록 주행 경로가 설정되고, 그 주행 경로를 따라 복수의 스테이션에 대하여 물품을 반출입(搬出入)하는 천정 반송차(搬送車)를 구비한 물품 반송 설비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일본공개특허 제2002―87250호 공보 참조).
특허 문헌 1의 물품 반송 설비에서는, 주행 경로와 다른 주행 경로인 교차 경로가 교차부에서 교차하고 있다. 주행 경로에서의 한쌍의 주행 레일 중, 교차 경로가 위치하는 측인 교차측 주행 레일은, 레일 부존재(不存在) 구간을 형성하도록 주행 방향에서 분단되어 있다. 레일 부존재 구간은, 주행 경로를 주행하고 있는 물품 반송차로서의 천정 반송차가 교차부를 경유하여 교차 경로를 주행하는 경우에, 천정 반송차의 중간부가 그 교차측 주행 레일을 통과하므로, 필요하다.
교차부에는, 선택된 주행 경로를 따라 천정 반송차를 주행시키기 위해 천정 반송차의 주행부가 구비하는 피안내체와 맞닿아 그 주행부의 주행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설치되어 있다. 천정 반송차가 교차부를 통과하는 경우에는, 이 안내부가 피안내체를 안내 지지한다. 이로써, 주행 경로에서의 한쌍의 주행 레일 중, 교차 경로가 위치하지 않는 측인 비(非)교차측 주행 레일로부터 주행부가 탈락하는 것을 억제하여 주행할 수 있다. 또한, 천정 반송차는, 주행부의 주행 방향에서 볼 때(주행 방향을 따른 방향에서 볼 때), 그 주행부의 차체 가로 폭 방향으로 이격(離隔)되어 쌍을 이루는 주행륜의 중간 위치 아래쪽에 물품 유지부가 위치하는 형태로, 천정 반송차가 차체 가로 폭 방향에서 편하중(偏荷重)이 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천정 반송차가 교차부를 통과하는 경우를 고려한다. 주행부에서의 쌍을 이루는 주행륜의 한쪽의 주행륜(제1 주행륜)이 주행 레일의 주행면에 탑재 지지되고, 쌍을 이루는 주행륜의 다른 쪽의 주행륜(제2 주행륜)이 주행 레일의 레일 부존재 구간에 위치하는 상태로 되면, 제1 주행륜이 주행 레일과 맞닿는 개소(箇所)를 중심(中心)으로 한 모멘트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물품 반송차는 제2 주행륜이 존재하는 측을 향해(제2 주행륜이 존재하는 측이 하강하는 상태로) 경사지도록 한다.
그래서, 특허 문헌 1의 물품 반송 설비에서는, 피안내체를 상기 제1 주행륜이 존재하는 측으로부터 안내부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주행륜이 존재하는 측을 향해 경사지도록 하는 힘을 안내부에 의해 캐치(catch)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로써, 천정 반송차는, 그 주행 방향에서 볼 때의 자세를, 주행 레일의 이격 방향으로 한쌍 설치되는 주행륜의 양쪽이 주행 레일에 탑재 지지되어 있는 경우와 같은 자세로 유지하여 교차부를 통과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 물품 반송차가 교차부를 통과할 때 피안내체가 안내부를 압압(押壓)한다. 그러므로, 물품 반송차의 중량에 따라 발생하는 하중을 안내부가 지지할 필요가 있고, 안내부 및 그 지지 구조의 강도를 견고한 것으로 할 필요가 생겨, 설비의 설치 비용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특히, 물품 반송차가 반송하는 물품의 중량이 무거울 경우에는, 전술한 제1 주행륜이 주행 레일과 맞닿는 개소를 중심으로 한 모멘트가 커진다. 그러므로, 물품 반송차가 교차부를 통과할 때 피안내륜이 가이드 레일을 압압하는 힘이 커져서 안내부가 지지해야 할 하중도 커진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내부나 피안내체에 관한 하중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물품 반송 설비의 제공이 요구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반송 설비의 특징적 구성은,
바닥면보다 위쪽에서 주행 경로를 따라 설치된 한쌍의 주행 레일 상을 주행하는 주행부와, 상기 주행 레일의 하단보다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형태로 상기 주행부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또한 물품을 유지할 수 있는 물품 유지부를 구비하고, 상하 방향의 중간부가 상기 한쌍의 주행 레일의 사이에 위치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주행 경로를 따라 주행 가능한 물품 반송차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부는, 상기 한쌍의 주행 레일에서의 상방향의 주행면을 전동(轉動)하는 주행륜을 차체 가로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쌍을 이루는 형태이면서 주행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쌍 배열되는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주행 경로에는, 다른 주행 경로인 교차 경로와 교차하는 교차부가 설정되고,
상기 한쌍의 주행 레일은, 상기 교차 경로가 위치하는 측인 교차측 주행 레일과, 상기 교차 경로가 위치하지 않는 측인 비교차측 주행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교차측 주행 레일은, 상기 물품 반송차가 상기 교차부를 경유하여 상기 교차 경로를 주행하는 경우에 상기 중간부가 그 교차측 주행 레일을 통과하는 레일 부존재 구간을 형성하도록, 주행 방향에서 분단(分斷)되어 있고,
상기 교차부에는, 상기 물품 반송차를 선택된 주행 경로를 따라 주행시키기 위해 상기 주행부가 구비하는 피안내체와 맞닿아 상기 주행부의 주행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설치되고,
상기 물품 반송차가 상기 교차부를 통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안내부가 상기 피안내체를 안내 지지함으로써, 상기 비교차측 주행 레일로부터 상기 주행부가 탈락하는 것을 억제하는 형태로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로서,
상기 물품 반송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물품 반송차는, 상기 물품 유지부를 상기 주행부에 대하여 차체 가로 폭 방향으로 이동 조작하는 가로 이동 기구(機構)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물품 반송차를 상기 교차부 이외에서 주행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물품 유지부가 상기 한쌍의 주행 레일의 중간 위치 아래쪽에 위치하는 통상 주행 상태가 되도록, 상기 가로 이동 기구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물품 반송차를 상기 교차부에서 주행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물품 유지부가 상기 한쌍의 주행 레일의 상기 중간 위치 아래쪽으로부터 차체 가로 폭 방향에서 상기 교차측 주행 레일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위치시킨 교차부 주행 상태가 되도록, 상기 가로 이동 기구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주행 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를 교차부에서 주행시키는 경우에는, 교차측 주행 레일 상을 전동하는 주행륜은 레일 부존재 구간을 통과하지 않으면 안된다. 본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이 때, 물품 유지부를, 한쌍의 주행 레일의 중간 위치로부터 차체 가로 폭 방향에서 교차측 주행 레일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위치시킨 교차부 주행 상태로 한다. 따라서, 물품 반송차의 중심(重心)은 교차측 주행 레일로부터 멀어지는 측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차체 가로 폭 방향으로 이격되는 한쌍의 주행륜 중 비교차측 주행 레일 상을 전동하는 주행륜과 주행 레일이 맞닿는 개소를 중심으로 한 주행 방향에서 볼 때의 모멘트가 작아지므로, 주행부에서의 피안내체가 안내부를 압압하는 힘을 작게 할 수 있다.
설명을 추가하면, 물품 반송차가 교차부를 통과하는 경우, 주행부는, 차체 가로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쌍을 이루는 주행륜의 한쪽의 주행륜(제1 주행륜)이 비교차측 주행 레일의 주행면에 탑재 지지되고, 다른 쪽의 주행륜(제2 주행륜)이 교차측 주행 레일에서의 레일 부존재 구간에 위치하는 상태로 된다. 레일 부존재 구간에 있어서는, 제2 주행륜에서는 물품 반송차의 하중이 캐치 지지되지 않으므로, 주행 방향을 따른 방향에서 볼 때, 제1 주행륜과 비교차측 주행 레일이 맞닿는 개소를 중심으로 하여 물품 반송차를 아래쪽으로 요동(搖動)시키는 방향으로 모멘트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물품 반송차는, 주행 방향에서 볼 때 레일 부존재 구간에 위치하는 주행륜이 아래쪽에 변위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한다.
본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물품 반송차의 피안내체를 안내부에 접촉시킴으로써, 레일 부존재 구간에 위치하는 주행륜의 존재측을 향해 경사지도록 하는 힘을 안내부에 의해 캐치한다. 따라서, 물품 반송차는 쌍을 이루어 설치되는 주행륜의 양쪽이 주행 레일에 탑재 지지되어 있는 경우와 같은 자세를 유지하여, 교차부를 통과할 수 있다.
본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물품 반송차가 교차부를 통과할 때, 물품 유지부를, 한쌍의 주행 레일의 중간 위치로부터 차체 가로 폭 방향에서 교차측 주행 레일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위치시킴으로써, 쌍을 이루는 주행륜 중 한쪽의 주행륜과 비교차측 주행 레일이 맞닿는 개소를 중심으로 한 주행 방향에서 볼 때의 모멘트를 작게 하여, 안내부에 의해 캐치하려는 힘, 즉 피안내체가 안내부를 압압하는 힘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안내부나 피안내체에 관한 하중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물품 반송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반송 설비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반송 설비는, 상기 한쌍의 주행 레일의 사이를 통과하는 형태로 상기 주행부와 상기 물품 유지부를 접속하는 접속부가 설치되고, 상기 접속부의 상하 방향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중간부에 상당하여, 상기 가로 이동 기구가, 상기 접속부에 대하여 상기 물품 유지부를 차체 가로 폭 방향으로 이동 조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행 레일의 사이를 통과하는 형태로 설치된 접속부의 하단은, 주행 레일의 하단보다 아래쪽에 위치한다. 그리고, 가로 이동 기구는, 그 접속부의 하단측, 즉 중간부의 하단측에 설치되므로, 주행 레일의 간격에 의존하지 않고, 차체 가로 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가로 이동 기구는, 물품 유지부를 한쌍의 주행 레일의 간격에 제한되지 않고 차체 가로 폭 방향으로 이동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속부와 물품 유지부를 일체로 구성하고, 가로 이동 기구를 주행부에 구비하여, 가로 이동 기구가, 접속부마다 물품 유지부를 차체 가로 폭 방향으로 이동 조작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하면, 한쌍의 주행 레일의 간격과 상기 한쌍의 주행 레일의 이격 방향에서의 물품 유지부의 폭에 의해, 물품 유지부의 차체 가로 폭 방향에서의 이동 조작 가능한 거리가 제한되게 된다. 그러므로, 물품 유지부를 한쌍의 주행 레일의 중간 위치로부터 차체 가로 폭 방향으로 크게 변위시킬 수 없으므로, 물품 반송차의 중심을 교차측 주행 레일로부터 멀어지는 측으로 이동시키려고 해도, 그 이동량이 비교적 작아진다. 따라서, 주행부에서의 피안내체 장착 위치에서의 안내부를 향하는 모멘트를 작게 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대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하면, 가로 이동 기구를 차체 가로 폭 방향으로 비교적 크게 변위시킬 수 있어, 주행부에서의 피안내체 장착 위치에서의 안내부를 향하는 모멘트를 작게 하기 용이하다. 따라서, 안내부 또는 피안내체에 관한 하중을 적절히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물품 반송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물품 반송차의 주행 방향에서 볼 때의 정면도이다.
도 2a는, 교차부의 패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b는, 교차부의 패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a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교차부 주행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b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교차부 주행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교차부 주행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b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교차부 주행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가이드 레일에 가해지는 힘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가이드 레일에 가해지는 힘을 설명하는 비교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의 물품 반송차의 주행 방향에서 볼 때의 정면도이다.
도 8은, 안내면에 가해지는 힘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안내면에 가해지는 힘을 설명하는 비교도이다.
도 10은, 교차부의 패턴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교차부의 패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b는, 교차부의 패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a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교차부 주행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b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교차부 주행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교차부 주행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b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교차부 주행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가이드 레일에 가해지는 힘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가이드 레일에 가해지는 힘을 설명하는 비교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의 물품 반송차의 주행 방향에서 볼 때의 정면도이다.
도 8은, 안내면에 가해지는 힘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안내면에 가해지는 힘을 설명하는 비교도이다.
도 10은, 교차부의 패턴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반송 설비를 적용한 천정 반송 설비의 제1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천정 반송 설비는, 유리 기판 제조 설비나 반도체 부품 제조 설비 등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조 설비에서는, 바닥면에는 물품 처리 장치나 물품 수납 장치가 설치되므로, 그 설치 스페이스를 확보하기 위하여, 주행 레일을 천정으로부터 현수(懸垂) 상태로 설치하고, 물품 반송차는 그 주행 레일에 안내되어 주행 이동하는 천정 반송차(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천정 반송차(1)와 그 주행을 안내하는 주행 레일(2)로서의 한쌍의 주행 레일(2a, 2b)을, 천정 반송차(1)의 주행 방향에서 볼 때 나타낸 단면도이다. 주행 레일(2a, 2b)은, 단면(斷面)이 네모진 U자형이면서 하방이 개구된 요크(30)의 개구측단 또한 내벽측에 지지되는 형태로, 주행 경로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한쌍 설치되어 있다.
천정 반송차(1)는, 상기 주행 레일(2a, 2b) 상을 주행하는 주행부(5)와, 주행 레일(2a, 2b)의 하단보다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형태로 주행부(5)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또한 물품 B를 유지할 수 있는 물품 유지부(8)를 구비하고 있다. 물품 유지부(8)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물품 B를 파지하는 파지부나 물품을 탑재하는 탑재부 등이 구비되어 있고, 물품 B를 물품 유지부(8)에 의해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주행부(5)는, 상기 한쌍의 주행 레일(2a, 2b)에서의 상방향의 주행면(2u) 상을 전동하는 한쌍의 주행륜(3)[주행륜(3a, 3b)]을, 차체 가로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쌍을 이루는 형태로, 또한 주행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쌍 배열되는 형태로 구비하고 있다. 주행륜(3a, 3b)의 각각은, 주행부(5)에 설치되는 주행 구동 모터 M1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주행부(5)와 물품 유지부(8)와의 사이에는, 한쌍의 주행 레일(2a, 2b)의 사이를 통과하는 형태로 상기 주행부(5)와 물품 유지부(8)를 접속하는 접속부로서의 접속 부재(6)가 설치되고, 접속 부재(6)의 하단에는, 가로 이동 기구가 장착된 지지부(7)가 설치되어 있다.
가로 이동 기구가 장착된 지지부(7)에는, 물품 유지부(8)를 주행부(5)에 대하여 차체 가로 폭 방향으로 이동 조작 가능한 가로 이동 기구로서의 랙 앤 피니언 M2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지고, 또한 물품 유지부(8)의 하중을 지지하는 하중 지지 부재(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되어 있다. 랙 앤 피니언 M2에서의 랙 기어(rack gear)는, 물품 유지부(8)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는, 주행부(5)에 대하여 그 수평 방향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상태로 접속 부재(6) 측에 설치되어 있다. 피니언 모터에 의해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켜 랙 기어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주행부(5)에 대한 물품 유지부(8)의 차체 가로 폭 방향에서의 위치를, 후술하는 통상 주행 상태와 교차부 주행 상태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통상 주행 상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유지부(8)가 한쌍의 주행 레일(2a, 2b)의 중간 위치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태이다. 교차부 주행 상태는, 도 3b나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유지부(8)가 한쌍의 주행 레일(2a, 2b)의 중간 위치 아래쪽으로부터 차체 가로 폭 방향의 한쪽 및 다른 쪽 중 어느 하나로 변위한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이다.
주행부(5)의 상단부로 또한 차체 가로 폭 방향의 중앙부에는, 후술하는 가이드 레일(31)과 맞닿아 천정 반송차(1)의 주행을 안내하는 피안내체로서의 피안내륜(9)이 설치되어 있다. 피안내륜(9)은, 주행부(5)의 주행 방향에 있어서 주행륜(3)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2개씩 설치되어 있다. 그 2개의 피안내륜(9)은, 차체 가로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체(9S)에 일체로 이동 가능하게, 또한 상하 축심을 따라 자유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주행부(5)에는, 슬라이드체를 슬라이드 구동하는 슬라이드체 구동용 모터 M3가 구비되어 있다.
천정 반송차(1)에는, 그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H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부 H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주행부(5)에 탑재되고, 천정 반송 설비 전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상위 관리 장치로부터의 반송 지령을 수신하여, 주행 구동 모터 M1, 랙 앤 피니언 M2에서의 랙 기어, 및 슬라이드체 구동용 모터 M3의 작동을 제어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천정 반송차(1)는, 주행 경로를 일방향을 향해 주행한다. 주행 경로는, 복수 존재하는 물품 처리 장치 또는 물품 수납 장치의 설치 개소를 천정 반송차(1)가 경유하는 상태로, 또한 교차부 C로서 후술하는 분기 개소 및 합류 개소를 가지는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
교차부 C에서의 교차 형태로서의 분기(分岐) 개소는,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정 반송차(1)가 주행하는 경로(o)의 주행 방향 전방에 경로(i)와 경로(ii)의 2개의 경로가 존재하게 되어 있다. 또한, 교차부 C에서의 교차의 형태로서의 합류 개소는,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정 반송차(1)가 주행하는 경로(i) 및 경로(ii)가 천정 반송차(1)의 주행 방향 전방에서 1개의 경로(o)에 합류하게 되어 있다. 분기 개소에 있어서 주행 방향 전방에 존재하는 2개의 경로 중, 천정 반송차(1)가 주행하는 측의 한쪽의 경로를 주간(主幹) 경로, 주간 경로에 대하여 다른 주행 경로로 되는 다른 쪽의 경로를 교차 경로(분기 경로)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합류 개소에 있어서 주행 방향 후방에 존재하는 2개의 경로 중, 천정 반송차(1)가 주행하는 측의 한쪽의 경로를 주간 경로, 주간 경로에 대하여 다른 주행 경로로 되는 다른 쪽의 경로를 교차 경로(합류 경로)라고 한다.
다른 주행 경로인 교차 경로와 주간 경로가 교차하는 교차부 C에 있어서, 교차 경로가 위치하는 측의 주행 레일을, 교차측 주행 레일이라고 한다. 또한, 상기 교차부 C에 있어서, 교차 경로가 위치하지 않는 측의 주행 레일을, 비교차측 주행 레일이라고 한다. 천정 반송차가 그 교차부 C를 경유하여 교차 경로를 주행하는 경우에는, 한쌍의 주행 레일(2a, 2b) 사이에 있어서 아래쪽에 위치하는 물품 유지부(8)와 주행부(5)를 접속하는 접속 부재(6)가, 교차측 주행 레일을 넘을 필요가 있다. 즉, 교차측 주행 레일은, 주행 방향 전방에 있어서 분단된다.
예를 들면, 도 3a에 나타낸 형태에서는, 교차부 C의 전후에서, 주간 경로가 주행 레일(2a)과 주행 레일(2b)과의 쌍이므로, 주행 레일(2d)과 주행 레일(2b)과의 쌍으로 변경된다. 교차 경로는, 주행 레일(2a)과 주행 레일(2c)과의 쌍이다. 따라서, 도 3a에 있어서, 주간 경로를 구성하는 주행 레일(2) 중, 교차측 주행 레일은 교차부 C의 바로 앞(후방)에 있어서는 "2a"이며, 교차부 C의 통과 후(전방)에 있어서는 "2d"이며, 비교차측 주행 레일은 "2b"이다. 또한, 도 4a에 나타낸 형태에서는, 교차부 C의 전후에서, 주간 경로가 주행 레일(2a)과 주행 레일(2b)과의 쌍으로부터, 주행 레일(2a)과 주행 레일(2c)과의 쌍으로 변경된다. 교차 경로는, 주행 레일(2d)과 주행 레일(2b)과의 쌍이다. 따라서, 도 4a에 있어서, 주간 경로를 구성하는 주행 레일(2) 중, 교차측 주행 레일은 교차부 C의 바로 앞(후방)에 있어서는 "2b"이며, 교차부 C의 통과 후(전방)에 있어서는 "2c"이며, 비교차측 주행 레일은 "2a"이다.
도 3a에 있어서 주간 경로를 구성하는 2개의 주행 레일 "2a"와 주행 레일"2d"와 사이, 및 도 4a에 있어서 주간 경로를 구성하는 2개의 주행 레일 "2b"와 주행 레일 "2c"와의 사이에는, 레일 부존재 구간이 존재한다. 즉, 교차부 C에 있어서, 교차측 주행 레일에는 레일 부존재 구간이 형성된다.
또한, 교차부 C에 있어서는, 한쌍의 주행 레일(2)의 사이이면서 주행 레일(2)의 주행면(2u)보다 위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가이드 레일(31)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31)은, 천정 반송차(1)를 선택된 주행 경로를 따라 주행시키기 위해 주행부(5)가 구비하는 피안내륜(9)과 맞닿아 주행부(5)의 주행을 안내하는 안내부로서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선택된 주행 경로"란, 상위 관리 장치로부터의 반송 지령에 따라 반송원(搬送元) 개소로부터 반송선(搬送先) 개소까지 물품 B를 반송하기 위해 결정된 주행 경로이다. 분기 개소 또는 합류 개소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결정된 주행 경로가 아닌 다른 주행 경로가 교차 경로로 된다. 예를 들면, 도 2a에 있어서 경로(o)로부터 경로(i)가 선택된 주행 경로인 경우에는, 경로(ii)가 교차 경로로 되고, 경로(o)로부터 경로(ii)가 선택된 주행 경로인 경우에는, 경로(i)가 교차 경로로 된다. 또한, 도 2b에 있어서 경로(i)로부터 경로(o)가 선택된 주행 경로인 경우에는, 경로(ii)가 교차 경로로 되고, 경로(ii)로부터 경로(o)가 선택된 주행 경로인 경우에는, 경로(i)가 교차 경로로 된다.
가이드 레일(31)은, 천정 반송차(1)의 주행 방향을 따른 방향에서 볼 때 단면 형상이 T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가이드 레일(31)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정면이나 지지면에 장착하기 위한 수평부와, 피안내륜(9)과 맞닿아 상기 피안내륜(9)을 안내하는 수직면인 제1 안내면(31a) 및 제2 안내면(31b)을 구비한 수직부로 구성되어 있다. 수직부는, 교차부 C에 있어서 각각의 주행 경로를 따른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교차부 C에 있어서, 주행 경로가 주간 경로와 분기 경로로 분기, 또는 주행 경로의 주간 경로에 합류 경로가 합류하는 경우에는, 천정 반송차(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H는, 슬라이드체 구동용 모터 M3를 작동시켜 피안내륜(9)을 도 3a, 도 3b, 도 4a,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체 가로 폭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하, 교차부 C가 아닌 개소, 및 교차부 C의 일례로서의 분기 개소를 천정 반송차(1)가 주행하는 경우에서의 제어부 H에 의한 제어를 설명한다. 제어부 H는, 천정 반송차(1)를 차체 가로 폭 방향으로 한쌍의 주행륜(3)의 양쪽이 주행 레일(2)에 탑재 지지되는 상태로 주행시키는 경우에는, 도 1에 나타낸 통상 주행 상태로 하기 위하여, 랙 앤 피니언 M2에서의 랙 기어를 제어한다.
또한,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정 반송차(1)를 경로(ii)를 따라 주행시키기 위해 교차부 C를 통과시키는 경우에는, 제어부 H는, 피안내륜(9)을, 가이드 레일(31)에서의 수직부의 우측[제2 안내면(31b) 측]에 위치시키기 위해 이동시킨다. 이로써, 주행부(5)는, 가이드 레일(31)에서의 제2 안내면(31b)과 피안내륜(9)이 맞닿는 상태로 경로(ii)를 향해 안내되는 동시에, 가이드 레일(31)이 피안내륜(9)을 통하여 하중을 캐치하여 안내 지지함으로써, 주행부(5)가 비교차측 주행 레일로서의 주행 레일(2b)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억제하는 형태로 주행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 H는, 랙 앤 피니언 M2에서의 랙 기어를 작동시켜, 물품 유지부(8)를, 한쌍의 주행 레일(2)의 중간 위치(통상 주행 시 위치라고 함)로부터 차체 가로 폭 방향에서 교차측 주행 레일로서의 주행 레일(2a) 또는 주행 레일(2d)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위치시킨 교차부 주행 상태로 하기 위해 랙 앤 피니언 M2에서의 랙 기어를 제어한다(도 3b 참조). 또한, 제어부 H는, 복수의 피안내륜(9) 중 1개가 가이드 레일(31)에 안내되는 상태를 검출한 시점에서 랙 앤 피니언 M2의 변위량 증가 방향에 대한 작동을 개시하게 하여, 천정 반송차(1)가 레일 부존재 구간을 주행할 때 물품 유지부(8)의 통상 주행 시 위치로부터의 차체 가로 폭 방향에서의 변위량이 최대로 되도록 랙 앤 피니언 M2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 H는, 복수의 피안내륜(9) 중 모두가 가이드 레일(31)에 안내되지 않는 상태를 검출한 시점에서 랙 앤 피니언 M2의 변위량 감소 방향에 대한 작동을 개시하게 하도록 랙 앤 피니언 M2를 제어한다.
또한,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정 반송차(1)를 경로(i)를 따라 주행시키기 위해 교차부 C를 통과시키는 경우에는, 제어부 H는, 피안내륜(9)을 가이드 레일(31)에서의 수직부의 좌측[제1 안내면(31a) 측]에 위치시키기 위해 이동시킨다. 이로써, 주행부(5)는, 가이드 레일(31)의 제1 안내면(31a)과 피안내륜(9)이 맞닿는 상태로 경로(i)를 향해 안내되는 동시에, 가이드 레일(31)이 피안내륜(9)을 통하여 하중을 캐치하여 안내 지지함으로써, 주행부(5)가 비교차측 주행 레일로서의 주행 레일(2a)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억제하는 형태로 주행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 H는, 랙 앤 피니언 M2에서의 랙 기어를 작동시켜, 물품 유지부(8)를, 한쌍의 주행 레일(2)의 중간 위치로부터 차체 가로 폭 방향에서 비교차측 주행 레일로서의 주행 레일(2b) 또는 주행 레일(2c)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위치시킨 교차부 주행 상태로 하기 위해 랙 앤 피니언 M2에서의 랙 기어를 제어한다(도 4b 참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차부 C에 있어서 물품 유지부(8)를 교차부 주행 상태로 한 경우에는, 천정 반송차(1)의 중심 W가 주행륜(3a)의 바로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태로 된다. 이 때 피안내륜(9)이 가이드 레일(31)을 압압하는 힘을 "F1"으로 나타낸다. 또한, 도 6에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출현하지 않는 상태이지만, 비교예로서, 교차부 C에 있어서 물품 유지부(8)를 교차부 주행 상태로 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는, 천정 반송차(1)의 중심 W는 주행 방향에서 볼 때 차체 가로 폭 방향의 중앙 주위에 위치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 피안내륜(9)이 가이드 레일(31)을 압압하는 힘을 "F2"로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교차부 C에 있어서 물품 유지부(8)를 교차부 주행 상태로 한 경우에 피안내륜(9)이 가이드 레일(31)을 압압하는 힘 F1은, 교차부 C에 있어서 물품 유지부(8)를 교차부 주행 상태로 하지 않은 경우에 피안내륜(9)이 가이드 레일(31)을 압압하는 힘 F2보다 충분히 작아진다. 즉, 교차부 C에 있어서는 물품 유지부(8)를 교차부 주행 상태로 함으로써, 주행 방향에서 볼 때 주행륜(3a)이 주행 레일(2a)과 맞닿는 개소를 중심으로 한 모멘트를 작게 하여, 피안내륜(9)이 가이드 레일(31)에서의 제1 안내면(31a)을 압압하는 힘을 작게 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반송 설비를 적용한 천정 반송 설비의 제2 실시형태를 설명하지만, 제2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천정 반송 설비에서의 안내부와 피안내체의 구성이 상이할뿐이므로, 그 상위점에 대하여 설명하고,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물품 반송차로서의 천정 반송차(1)와 그 주행을 안내하는 주행 레일(2)로서의 한쌍의 주행 레일(2a, 2b)을, 천정 반송차(1)의 주행 방향에서 볼 때 나타낸 도면이다. 주행 레일(2a, 2b)은, 단면이 네모진 U자형이면서 하방이 개구된 요크(40)의 개구측 단부에 지지되는 형태로, 주행 경로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한쌍 설치되어 있다. 또한, 주행 레일(2a, 2b) 각각의 외측면에는, 후술하는 피안내체로서의 한쌍의 피안내륜(9a, 9b)과 맞닿는 안내부로서의 안내면(40a, 40b)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 부재(6)의 하단에 설치되는 가로 이동 기구가 장착된 지지부(7)의 천정 반송차(1)의 주행 방향에서 볼 때의 양 단부가, 주행륜(3a, 3b)이 주행 레일(2a, 2b)에 탑재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안내면(40a, 40b)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가로 이동 기구가 장착된 지지부(7)의 차체 가로 폭 방향 양 단부에는, 피안내륜(9a, 9b)을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로 조작 가능한 솔레노이드 기구 M4가 별개로 설치되어 있다. 솔레노이드 기구 M4에 의해 피안내륜(9a) 또는 피안내륜(9b)이 상승 위치로 조작되면, 피안내륜(9a) 또는 피안내륜(9b)은, 안내면(40a) 또는 안내면(40b)과 맞닿는 상태로 되어, 피안내륜(9a) 또는 피안내륜(9b)이 하강 위치에 조작되면, 피안내륜(9a) 또는 피안내륜(9b)은 안내면(40a) 또는 안내면(40b)으로부터 이격되고, 주행 레일(2a, 2b) 및 요크(40)의 하단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태로 된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 H는, 천정 반송 설비 전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상위 관리 장치로부터의 지령 정보를 수신하여, 주행 구동 모터 M1, 랙 앤 피니언 M2에서의 랙 기어, 및 솔레노이드 기구 M4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교차부 C가 아닌 개소, 및 교차부 C의 일례로서의 분기 개소를 천정 반송차(1)가 주행하는 경우에서의 제어부 H에 의한 제어를 설명한다. 제어부 H는, 천정 반송차(1)를 차체 가로 폭 방향으로 한쌍의 주행륜(3)의 양쪽이 주행 레일(2a, 2b)에 탑재 지지되는 상태로 주행시키는 경우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안내륜(9a) 또는 피안내륜(9b) 양쪽이 상승 위치로 되도록 솔레노이드 기구 M4를 조작하고, 또한 물품 유지부(8)를 통상 주행 상태로 하기 위해 랙 앤 피니언 M2에서의 랙 기어를 제어한다.
또한, 천정 반송차(1)를, 교차부 C를 통과시켜 주행시키는 경우[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4a와 같이 경로(i)를 주행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함]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 H는, 피안내륜(9a)을 상승 위치로 하고, 피안내륜(9b)을 하강 위치로 하기 위해 솔레노이드 기구 M4를 조작한다. 이로써, 천정 반송차(1)는 한쌍의 주행 레일 중 비교차측 주행 레일로서의 주행 레일(2a)을 따라 주행한다. 또한, 피안내륜(9b)은 주행 레일(2b)의 아래쪽에 위치하므로, 주행륜(3b)은 교차측 주행 레일로서의 주행 레일(2b)로부터 이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주행륜(3a)만이 비교차측 주행 레일로서의 주행 레일(2a)에 탑재 지지되고, 주행륜(3b)은 주행 레일(2)에 탑재 지지되지 않는 상태로 되므로, 천정 반송차(1)에는, 주행 방향에서 볼 때 주행륜(3a)과 주행 레일(2a)이 맞닿는 개소를 중심으로 한 모멘트가 생기게 된다. 그리고, 생긴 모멘트를 피안내륜(9a)이 안내면(40a)을 압압하는 힘에 의해 지지하게 된다. 즉, 천정 반송차(1)가 교차부 C를 통과하는 경우에는, 안내면(40a)이 피안내륜(9a)을 안내 지지함으로써 주행부(5)가 비교차측 주행 레일로서의 주행 레일(2a)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억제하는 형태로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제어부 H는, 랙 앤 피니언 M2에서의 랙 기어를 작동시켜, 물품 유지부(8)를, 한쌍의 주행 레일(2)의 중간 위치로부터 차체 가로 폭 방향에서 교차측 주행 레일로서의 주행 레일(2b) 또는 주행 레일(2c)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위치시킨 교차부 주행 상태로 하기 위해 랙 앤 피니언 M2에서의 랙 기어를 제어한다.
그리고, 도시는 생략하지만,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3a 및 도 3b와 같이 경로(ii)를 주행하는 경우에는, 제어부 H는, 피안내륜(9b)을 상승 위치로 하고, 피안내륜(9a)을 하강 위치로 하기 위해 솔레노이드 기구 M4를 조작한다. 이로써, 천정 반송차(1)는 한쌍의 주행 레일 중 비교차측 주행 레일로서의 주행 레일(2b)를 따라 주행한다. 또한, 피안내륜(9a)은 주행 레일(2a)의 아래쪽에 위치하므로, 주행륜(3a)은 주행 레일(2a)로부터 이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주행륜(3b)만이 비교차측 주행 레일로서의 주행 레일(2b)에 탑재 지지되고, 주행륜(3a)은 주행 레일(2)에 탑재 지지되지 않는 상태로 되므로, 천정 반송차(1)에는, 주행 방향에서 볼 때 주행륜(3b)과 주행 레일(2b)가 맞닿는 개소를 중심으로 한 모멘트가 생기게 된다. 그리고, 생긴 모멘트를 피안내륜(9b)이 안내면(40b)을 압압하는 힘에 의해 지지하게 된다. 즉, 천정 반송차(1)가, 교차부 C를 통과하는 경우에는, 안내면(40b)이 피안내륜(9b)을 안내 지지함으로써 주행부(5)가 비교차측 주행 레일로서의 주행 레일(2b)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억제하는 형태로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제어부 H는, 랙 앤 피니언 M2에서의 랙 기어를 작동시켜, 물품 유지부(8)를, 한쌍의 주행 레일(2)의 중간 위치로부터 차체 가로 폭 방향에서 교차측 주행 레일로서의 주행 레일(2a) 또는 주행 레일(2d)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위치시킨 교차부 주행 상태로 하기 위해 랙 앤 피니언 M2에서의 랙 기어를 제어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차부 C에 있어서 물품 유지부(8)를 교차부 주행 상태로 한 경우에는, 천정 반송차(1)의 중심 W가 주행륜(3a)의 바로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태로 된다. 이 때 피안내륜(9a)이 안내면(40a)을 압압하는 힘을 "F1"으로 나타낸다. 또한, 도 9에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출현하지 않는 상태이지만, 비교예로서, 교차부 C에 있어서 물품 유지부(8)를 교차부 주행 상태로 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는, 천정 반송차(1)의 중심 W는 주행 방향에서 볼 때 차체 가로 폭 방향의 중앙 주위에 위치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 피안내륜(9a)이 안내면(40a)을 압압하는 힘을 "F2"로 나타낸다.
도 8 및 도 9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교차부 C에 있어서 물품 유지부(8)를 교차부 주행 상태로 한 경우에 피안내륜(9a)이 안내면(40a)을 압압하는 힘 F1은, 교차부 C에 있어서 물품 유지부(8)를 교차부 주행 상태로 하지 않은 경우에 피안내륜(9a)이 안내면(40a)을 압압하는 힘 F2보다 충분히 작아진다. 즉, 교차부 C에 있어서는 물품 유지부(8)를 교차부 주행 상태로 함으로써, 주행륜(3a)이 주행 레일(2a)과 맞닿는 개소를 중심으로 한 모멘트를 작게 하여, 피안내륜(9a)이 안내면(40a)을 압압하는 힘을 작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1) 상기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물품 반송 설비를, 천정으로부터 현수 상태로 배치한 주행 레일 상을 주행하는 천정 반송차를 구비한 천정 반송 설비에 적용한 구성을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주행 레일을 바닥면 상에 세워 설치된 지지체에 지지시키거나, 벽면으로부터 돌출된 지지체에 지지하게 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 또는 제2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물품 반송 설비를 유리 기반(基盤) 제조 설비나 반도체 부품 제조 설비에 있어서 사용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물품 반송 설비는, 예시한 상기 이외의 제조 설비나 수납 설비 등에 사용해도 된다.
(2) 상기 제1 실시형태 또는 제2 실시형태에서는, 교차부 C에 있어서 물품 유지부(8)를 교차부 주행 상태로 하는 데 있어서, 천정 반송차(1)의 중심 W가 주행륜(3a)의 바로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태로 되도록 랙 앤 피니언 M2를 이동 조작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천정 반송차(1)의 중심 W는, 주행 방향에서 볼 때 차체 가로 폭 방향의 중앙보다 비교차측 주행 레일 가까이의 위치로 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 또는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접속 부재(6)의 하단에 설치되는 가로 이동 기구가 장착된 지지부(7)에 가로 이동 기구로서의 랙 앤 피니언 M2를 구비하고, 물품 유지부(8)의 접속 부재(6)에 대한 차체 가로 폭 방향에서의 위치를 이동 조작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주행부(5)에 대하여 접속 부재(6)의 차체 가로 폭 방향에서의 위치를 이동 조작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 또는 제2 실시형태에서는, 가로 이동 기구와 해 랙 앤 피니언 M2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예를 들면, 물품 유지부(8)에 물품 B를 차체 가로 폭 방향에서 이송탑재(transfer)하는 이송탑재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이송탑재 기구를 사용하여 물품 B의 차체 가로 폭 방향의 위치를 변위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제어부 H가 천정 반송차(1) 또는 물품 유지부(8)의 중량을 검출하여 관리하고, 또한 랙 앤 피니언 M2의 이동 조작량[물품 유지부(8)의 이동 거리]을, 천정 반송차(1)의 중량 또는 물품 유지부(8)가 유지하고 있는 물품 B의 중량이 작을 때는 작은 이동 조작량으로 하고, 천정 반송차(1)의 중량 또는 물품 유지부(8)가 유지하고 있는 물품 B의 중량이 클 때는 큰 이동 조작량으로 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제어부 H가 천정 반송차(1)의 주행 속도를 검출하고, 천정 반송차(1)의 주행 속도에 따라서 랙 앤 피니언 M2의 이동 조작량[물품 유지부(8)의 이동 거리]을 상이하게 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3) 상기 제1 실시형태 또는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 H를 주행부(5)에 장비시켜, 상위 관리 장치로부터의 지령 정보를 수신하여 천정 반송차(1)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제어부 H를 주행부(5) 이외(예를 들면, 지상측)에 구비하고, 주행부(5)에는 제어부 H로부터의 지령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만을 구비하여, 수신한 지령 정보에 따라, 주행 구동 모터 M1, 랙 앤 피니언 M2에서의 랙 기어, 및 슬라이드체 구동용 모터 M3 또는 솔레노이드 기구 M4를 구동시키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주행부(5)에 설치하는 제어부 H의 자율 판단에 의해, 주행 구동 모터 M1, 랙 앤 피니언 M2에서의 랙 기어, 및 슬라이드체 구동용 모터 M3 또는 솔레노이드 기구 M4를 구동시키도록 구성해도 된다.
(4)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피안내륜(9)을 슬라이드체(9S)에 지지시ㅋ키고, 슬라이드체(9S)를 슬라이딩 조작함으로써 피안내륜(9)의 차체 가로 폭 방향의 위치를 변경하는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피안내륜(9) 대신에 마찰 저항이 작은 접촉체를 슬라이드체(9S)에 장착하고, 가이드 레일(31)과 상기 접촉체를 접촉 지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피안내륜(9)을 수평면 내에서 요동 가능한 암(arm)에 상하 축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고, 암의 요동에 의해 피안내륜(9)의 차체 가로 폭 방향의 위치를 변경 조작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 또는 제2 실시형태에서는, 피안내륜(9)을, 차체 가로 폭 방향으로 한쌍의 주행륜(3)에 대응하여 2개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한쌍의 주행륜(3)에 대응하여 1개 또는 3개 이상의 피안내륜(9)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또한 피안내륜(9)을, 차체 가로 폭 방향으로 한쌍의 주행륜(3)에 대응하여 설치하는 것이 아니고, 주행부(5)에 대응하여 1개 이상의 임의의 개수의 피안내륜(9)을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5) 상기 제1 실시형태 또는 제2 실시형태에서는, 천정 반송차(1)의 주행부(5)를 단일의 보디부로서 구성하고, 천정 반송차(1)의 주행 방향으로 복수 쌍 구비되는 주행륜(3) 모두를, 상기 단일의 보디부에 설치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차체 가로 폭 방향으로 한쌍의 주행륜(3)을 1조 구비하고 또한 상하 축심 주위에서 회동(回動) 가능한 보디부를, 천정 반송차(1)의 주행 방향으로 복수 구비하고, 이들을 서로 접속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복수의 보디부가 주행부(5)로 된다.
(6) 상기 제1 실시형태 또는 제2 실시형태에서는, 천정 반송차(1)가 복수의 경로 사이에서 갈아타는 것이 가능한 분기 경로 또는 합류 경로를 교차부 C로서 예시했지만, 교차부 C로서는, 천정 반송차(1)가 복수의 경로 사이에서 갈아탈 수 없는 십자 교차로(평면에서 볼 때 직각으로 교차하고 있는 것에 한정되지 않음)도 포함된다. 이 경우를 도 10에 나타낸다. 경로(o) 및 경로(i)를 주행 경로로서 천정 반송차(1)가 주행하는 경우, 천정 반송차(1)는 경로(x) 또는 경로(ii)로는 갈아탈 수 없다. 이 경우, 경로(o)와 경로(i)와의 사이에 있어서, 좌우 한쌍의 주행 레일(2)의 양쪽에 있어서 주행 레일(2)이 존재하지 않는 레일 부존재 구간이 생기므로, 주행부의 차체 가로 폭 방향으로 쌍을 이루는 주행륜(3)의 양쪽이 주행 레일(2)에 탑재 지지되지 않는 상태가 생긴다. 그래서, 천정 반송차(1)의 주행 경로로 되는 경로(o) 및 경로(i)의 사이에 있어서, 좌우 한쌍의 주행 레일(2)의 한쪽에, 교차부용 주행 레일(2r)을 출현시키도록 구성한다. 또한, 이 교차부용 주행 레일(2r)과 평면에서 볼 때 병행하게 되도록 교차부용 가이드 레일(31r)을 출현시키도록 구성한다. 이로써, 천정 반송차(1)는, 십자 교차로에 있어서도 쌍을 이루어 설치되는 주행륜(3)의 양쪽이 주행 레일(2)에 탑재 지지되어 있는 경우와 같은 자세로 유지하여, 교차부를 통과할 수 있다.
(7) 상기 제1 실시형태 또는 제2 실시형태에서는, 가로 이동 기구로서 랙 앤 피니언 M2를 사용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볼나사나 스카라 암(scara arm) 등, 주행부(5)에 대하여 물품 유지부(8)를 차체 가로 폭 방향으로 이동 조작 가능한 각종 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8) 상기 제1 실시형태 또는 제2 실시형태에서는, 한쌍의 주행 레일(2)을 수평 방향에서 서로 이격된 상태이면서 요크(30) 또는 요크(40)에 지지되는 상태로 설치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단면(斷面)에서 볼 때 ㄷ자형이면서 하단에 주행 레일(2)에 상당하는 한쌍의 레일 부분을 일체로 형성하는 형태로, 압출(壓出) 형성 등의 적절한 형성 방법에 의해 장척형(長尺形)으로 형성되는 레일재를 사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 또는 제2 실시형태에서는, 한쌍의 주행 레일(2)의 지지 형태로서, 요크(30) 또는 (40)의 하단부에 한쌍의 주행 레일(2)의 각각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한쌍의 주행 레일(2)의 간격을 적절히 유지하는 상태로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요크에 지지하게 하는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지지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9) 상기 제2 실시형태에서는, 피안내륜(9a, 9b)을 상승 또는 하강 조작하기 위해 솔레노이드 기구 M4를 사용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와 같은 구성 대신에, 예를 들면, 랙 앤 피니언이나 볼나사 등의 각종 직선 이동 조작 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1: 천정 반송차(물품 반송차)
2: 주행 레일
2u: 주행면
3: 주행륜
5: 주행부
6: 접속 부재(접속부)
8: 물품 유지부
9: 피안내륜(피안내체)
31: 가이드 레일(안내부)
B: 물품
M2: 랙 앤 피니언(가로 이동 기구)
H: 제어부
2: 주행 레일
2u: 주행면
3: 주행륜
5: 주행부
6: 접속 부재(접속부)
8: 물품 유지부
9: 피안내륜(피안내체)
31: 가이드 레일(안내부)
B: 물품
M2: 랙 앤 피니언(가로 이동 기구)
H: 제어부
Claims (2)
- 천정 반송형(搬送型)의 물품 반송 설비로서,
바닥면보다 위쪽에서 주행 경로를 따라 설치된 한쌍의 주행 레일 상을 주행하는 주행부와, 상기 주행 레일의 하단보다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형태로 상기 주행부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또한 물품을 유지할 수 있는 물품 유지부를 구비하고, 상하 방향의 중간부가 상기 한쌍의 주행 레일의 사이에 위치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주행 경로를 따라 주행 가능한 물품 반송차(搬送車)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부는, 상기 한쌍의 주행 레일에서의 상방향의 주행면을 전동(轉動)하는 주행륜이 차체 가로 폭 방향으로 이격(離隔)되어 쌍을 이루는 형태이면서 주행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쌍 배열되는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주행 경로에는, 다른 주행 경로인 교차 경로와 교차하는 교차부가 설정되고,
상기 한쌍의 주행 레일은, 상기 교차 경로가 위치하는 측인 교차측 주행 레일과, 상기 교차 경로가 위치하지 않는 측인 비(非)교차측 주행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교차측 주행 레일은, 상기 물품 반송차가 상기 교차부를 경유하여 상기 교차 경로를 주행하는 경우에, 상기 중간부가 상기 교차측 주행 레일을 통과하는 레일 부존재(不存在) 구간을 형성하도록, 주행 방향에서 분단(分斷)되어 있고,
상기 교차부에는, 상기 물품 반송차를 선택된 주행 경로를 따라 주행시키기 위해 상기 주행부가 구비하는 피(被)안내체와 맞닿아 상기 주행부의 주행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설치되고,
상기 물품 반송차가 상기 교차부를 통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안내부가 상기 피안내체를 안내 지지함으로써, 상기 비교차측 주행 레일로부터 상기 주행부가 탈락하는 것을 억제하는 형태로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물품 반송 설비는,
상기 물품 반송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품 반송차는, 상기 물품 유지부를 상기 주행부에 대하여 차체 가로 폭 방향으로 이동 조작하는 가로 이동 기구(機構)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물품 반송차를 상기 교차부 이외에서 주행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물품 유지부가 상기 한쌍의 주행 레일의 중간 위치 아래쪽에 위치하는 통상 주행 상태가 되도록, 상기 가로 이동 기구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물품 반송차를 상기 교차부에서 주행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물품 유지부가 상기 한쌍의 주행 레일의 상기 중간 위치 아래쪽으로부터 차체 가로 폭 방향에서 상기 교차측 주행 레일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위치시킨 교차부 주행 상태가 되도록, 상기 가로 이동 기구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주행 레일의 사이를 통과하는 형태로 상기 주행부와 상기 물품 유지부를 접속하는 접속부가 설치되고, 상기 접속부의 상하 방향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중간부에 상당하고,
상기 가로 이동 기구가, 상기 접속부에 대하여 상기 물품 유지부를 차체 가로 폭 방향으로 이동 조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2134197A JP5590422B2 (ja) | 2012-06-13 | 2012-06-13 | 物品搬送設備 |
JPJP-P-2012-134197 | 2012-06-1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39767A true KR20130139767A (ko) | 2013-12-23 |
KR102023519B1 KR102023519B1 (ko) | 2019-09-20 |
Family
ID=49822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57725A KR102023519B1 (ko) | 2012-06-13 | 2013-05-22 | 물품 반송 설비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5590422B2 (ko) |
KR (1) | KR102023519B1 (ko) |
CN (1) | CN103481893B (ko) |
TW (1) | TWI564196B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787050A (zh) * | 2014-11-27 | 2015-07-22 | 赫文波 | 一种缆车吊车自动化控制方法 |
CN104890676A (zh) * | 2014-11-27 | 2015-09-09 | 徐彬 | 缆车吊车自动化控制系统 |
KR20170105196A (ko) * | 2016-03-09 | 2017-09-19 | 세메스 주식회사 | 집적회로 소자 제조용 이송 장치 |
CN113056405A (zh) * | 2018-10-29 | 2021-06-29 | 村田机械株式会社 | 高架搬运车以及高架搬运车系统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103920A (ja) * | 1981-12-16 | 1983-06-21 | Sumitomo Light Metal Ind Ltd | 金属二重管の製造法 |
JP6276090B2 (ja) * | 2014-03-31 | 2018-02-07 | 株式会社ダイヘン | 搬送装置、搬送システム |
JP6237493B2 (ja) | 2014-06-25 | 2017-11-29 | マツダ株式会社 | 部品組付け装置 |
JP6168477B2 (ja) * | 2015-03-31 | 2017-07-26 | 村田機械株式会社 | 走行台車システム及び走行台車の走行方法 |
JP6471651B2 (ja) * | 2015-08-27 | 2019-02-20 | 株式会社ダイフク | 物品搬送設備 |
CN106608595A (zh) | 2015-10-26 | 2017-05-03 | 鹰铁路集装箱物流有限责任公司 | 构造成用于输送各种尺寸的对象的运输器 |
CN106956940A (zh) | 2015-10-26 | 2017-07-18 | 鹰铁路集装箱物流有限责任公司 | 高架式运输和路线管理系统 |
CN106429285B (zh) * | 2016-08-30 | 2018-09-14 | 昆山佰奥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 自动化流线机构 |
CN106241326B (zh) * | 2016-08-30 | 2018-09-14 | 昆山佰奥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 自动化流线传输方法 |
JP6620707B2 (ja) * | 2016-09-09 | 2019-12-18 | 株式会社ダイフク | 物品搬送設備 |
JP6790719B2 (ja) * | 2016-10-26 | 2020-11-25 | 村田機械株式会社 | 駆動台車 |
JP6677187B2 (ja) * | 2017-01-31 | 2020-04-08 | 株式会社ダイフク | 物品搬送設備 |
JP6717243B2 (ja) * | 2017-03-14 | 2020-07-01 | 株式会社ダイフク | 物品搬送設備 |
CN108328240B (zh) * | 2018-04-13 | 2023-06-09 | 浙江衣拿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 输送系统货架转轨装置 |
JP7099245B2 (ja) * | 2018-10-19 | 2022-07-12 | 株式会社ダイフク | 物品搬送車 |
CN109435969B (zh) * | 2018-12-29 | 2024-07-23 | 中车长江车辆有限公司 | 集装箱运输设备 |
CN109435968B (zh) * | 2018-12-29 | 2024-07-23 | 中车长江车辆有限公司 | 集装箱运输设备 |
CN113247561B (zh) * | 2021-06-09 | 2021-12-21 | 合肥井松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自动化冶金行业重型ems |
CN114132701B (zh) * | 2021-11-26 | 2024-01-30 | 苏州泰科贝尔直驱电机有限公司 | 转运设备及其转运方法 |
CN116453993B (zh) * | 2023-06-15 | 2023-09-08 | 上海果纳半导体技术有限公司 | 天车搬运系统、搬运方法和可存储介质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87436A (ja) * | 1992-09-04 | 1994-03-29 | Murata Mach Ltd | 物品搬送装置 |
JP2002087250A (ja) | 2000-09-14 | 2002-03-27 | Daifuku Co Ltd | 搬送設備 |
KR100520061B1 (ko) * | 2002-12-06 | 2005-10-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오버헤드타입 이송장치 |
KR100753072B1 (ko) * | 2000-09-14 | 2007-08-31 |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 이송 설비 |
KR20090004548A (ko) * | 2007-07-04 | 2009-01-12 | 아시스트 테크놀로지스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 반송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798309B2 (en) * | 2003-11-13 | 2010-09-21 | Applied Materials, Inc. | Stabilizing substrate carriers during overhead transport |
-
2012
- 2012-06-13 JP JP2012134197A patent/JP5590422B2/ja active Active
-
2013
- 2013-05-03 TW TW102115877A patent/TWI564196B/zh active
- 2013-05-22 KR KR1020130057725A patent/KR10202351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06-07 CN CN201310225282.0A patent/CN103481893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87436A (ja) * | 1992-09-04 | 1994-03-29 | Murata Mach Ltd | 物品搬送装置 |
JP2002087250A (ja) | 2000-09-14 | 2002-03-27 | Daifuku Co Ltd | 搬送設備 |
KR100753072B1 (ko) * | 2000-09-14 | 2007-08-31 |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 이송 설비 |
KR100520061B1 (ko) * | 2002-12-06 | 2005-10-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오버헤드타입 이송장치 |
KR20090004548A (ko) * | 2007-07-04 | 2009-01-12 | 아시스트 테크놀로지스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 반송 시스템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787050A (zh) * | 2014-11-27 | 2015-07-22 | 赫文波 | 一种缆车吊车自动化控制方法 |
CN104890676A (zh) * | 2014-11-27 | 2015-09-09 | 徐彬 | 缆车吊车自动化控制系统 |
KR20170105196A (ko) * | 2016-03-09 | 2017-09-19 | 세메스 주식회사 | 집적회로 소자 제조용 이송 장치 |
CN113056405A (zh) * | 2018-10-29 | 2021-06-29 | 村田机械株式会社 | 高架搬运车以及高架搬运车系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5590422B2 (ja) | 2014-09-17 |
KR102023519B1 (ko) | 2019-09-20 |
JP2013256235A (ja) | 2013-12-26 |
CN103481893B (zh) | 2017-04-12 |
TW201400389A (zh) | 2014-01-01 |
TWI564196B (zh) | 2017-01-01 |
CN103481893A (zh) | 2014-01-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23519B1 (ko) | 물품 반송 설비 | |
KR102031806B1 (ko) | 물품 반송 설비 | |
KR102422207B1 (ko) | 물품 반송 설비 | |
JP6168476B2 (ja) | 搬送台車と搬送台車システム | |
KR101419356B1 (ko) | 대차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반송시스템 | |
JP5477651B2 (ja) | 物品搬送設備 | |
US8448579B2 (en) | Article transport facility | |
KR101521498B1 (ko) | 반송대차 및 이를 이용하는 반송시스템 | |
US11084655B2 (en) | Vehicle for moving a container and system allowing such vehicle to move the container | |
KR101473832B1 (ko) | 반송시스템 | |
KR101359682B1 (ko) | 천장을 주행하는 반송차의 사이드 버퍼 및 반송차 시스템 | |
JPWO2015174181A6 (ja) | 搬送システム及び搬送方法 | |
JPWO2015174181A1 (ja) | 搬送システム及び搬送方法 | |
JP2007331906A (ja) | 天井走行車システム | |
KR20120106618A (ko) | 물품 반송 설비 | |
KR101479941B1 (ko) | 반송대차 | |
KR101419359B1 (ko) | 반송대차 및 이를 이용하는 반송시스템 | |
KR101419358B1 (ko) | 반송시스템 | |
KR101504145B1 (ko) | 반송시스템 및 그 대차장치 | |
JP4895203B2 (ja) | 吊下げ搬送設備 | |
KR101396226B1 (ko) | 반송시스템 | |
KR101419357B1 (ko) | 반송시스템 | |
KR20130115138A (ko) | 반송 장치 | |
JP2008222405A (ja) | 搬送装置 | |
JP2017193254A (ja) | 搬送設備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