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3307B1 -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 - Google Patents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33307B1 KR102133307B1 KR1020200020849A KR20200020849A KR102133307B1 KR 102133307 B1 KR102133307 B1 KR 102133307B1 KR 1020200020849 A KR1020200020849 A KR 1020200020849A KR 20200020849 A KR20200020849 A KR 20200020849A KR 102133307 B1 KR102133307 B1 KR 1021333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arding
- monorail
- holding device
- actuator
- moving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02—Arrangements permitting limited transverse relative movements between vehicle underframe or bolster and bogie; Connections between underframes and bogies
- B61F5/22—Guiding of the vehicle underframes with respect to the bogies
- B61F5/24—Means for damping or minimising the canting, skewing, pitching, or plunging movements of the underfram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04—Monorai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지에 설치된 모노레일의 경사도가 변경되더라도 승객이 탑승하는 탑승부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탑승부의 하중이 변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전체 부피를 줄여줄 수 있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승객이 탑승하는 탑승부와, 모노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부와, 상기 탑승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주행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의 하단이 힌지 결합되는 제1지지브라켓과, 상기 탑승부와 주행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탑승부의 수평상태를 제어하는 수평 유지 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승객이 탑승하는 탑승부와, 모노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부와, 상기 탑승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주행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의 하단이 힌지 결합되는 제1지지브라켓과, 상기 탑승부와 주행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탑승부의 수평상태를 제어하는 수평 유지 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지에 설치된 모노레일의 경사도가 변경되더라도 승객이 탑승하는 탑승부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탑승부의 하중이 변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전체 부피를 줄여줄 수 있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에 관한 것이다.
모노레일을 이용한 운행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도 1에 도시하듯이 모노레일을 교각구조위에 설치하고, 이 모노레일위에 차량이 구비되는데, 모노레일을 운행하는 구동구조는 모노레일의 양 측면에서 운행차량을 잡아주는 안내차륜(6)이 설치되어진다.
그리고, 집전장치(7)와 안정차륜(8)이 동시에 설치되어 동력공급과 함께 안정화를 유도하며, 구동차륜(1)이 모노레일 상면에 설치되어 지고, 이 구동차륜은 구동장치(4)에 의하여 동력을 공급받아 구동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모노레일은 경사가 급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안전하게 주행하게 되지만, 언덕 지대나 산악 지대에 설치되는 모노레일은 경사가 급하게 형성되어 모노레일 차량 역시 경사진 상태로 운행하게 된다.
그래서, 경사지게 설치된 모노레일을 주행하는 모노레일과 연결되는 주행부는 경사지도록 설치되지만, 모노레일 차량은 승객이 탑승하는 탑승부는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안정적인 주행을 가능하게 한다.
그런데, 종래의 경사부를 주행하는 모노레일 차량은 경사진 상태의 각도가 고정되어 있어 경사면의 각도가 변경될 경우에는 탑승부가 수평을 유지할 수 없어 승객의 안전과 승차감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본 공개특허 제2010-018187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모노레일카(10)는 주행하는 주행위치를 검출하여 그 검출한 주행위치에 근거한 레일의 경사각도 데이터가 기억되어 그 경사각도 데이터와 주행위치에 근거한 각도로 상부차량(12)을 실린더(26)를 이용해 경동시키므로, 경사각도가 변화하는 레일에 의해 주행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부차량(12)은 항상 거의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 탑승자의 안전과 차량의 승차감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일본 공개특허 제2010-018187호에 기재된 기술은 경사각도가 변화하는 레일을 주행하더라도 승객이 탑승하는 상부차량(12)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탑승자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고 승차감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상부차량(12)의 각도를 실린더(26)를 통하여 조절하면서 실린더(26)가 직접 상부차량(12)의 하중을 지지하게 되며, 탑승하는 승객의 수에 따라 가해지는 하중이 달라지게 되므로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로드의 돌출정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노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부의 상부에 승객이 탑승하는 탑승부가 힌지 결합으로 구비되되, 탑승부의 하면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각도 조절암의 하단을 액츄에이터로 이동시켜 탑승부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탑승부의 하중이 변하더라도 각도 조절암에 의해 각도가 변화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객이 탑승하는 탑승부와 주행부 사이에 구비되어 탑승부를 지지하는 각도 조절암에 길이방향으로 하부에 치우치도록 회전축을 구비함으로써, 액츄에이터의 로드를 조금만 이동시키더라도 각도 조절암의 상단은 이동량이 크게 되도록 하여 보다 신속하게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액츄에이터의 크기를 작게 형성할 수 있어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됨으로써, 용이하게 모노레일 차량에 설치할 수 있는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탑승부의 전후에 각각 구비되는 완충기의 상부에 완충기를 승하강 시키는 승강 실린더를 구비하여 모노레일의 경사도에 따라 완충기가 하방으로 돌출되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수평 유지 장치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완충기에 의해 탑승부의 급격한 각도 변화를 방지할 수 있는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승객이 탑승하는 탑승부와, 모노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부와, 상기 탑승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주행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의 하단이 힌지 결합되는 제1지지브라켓과, 상기 탑승부와 주행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탑승부의 수평상태를 제어하는 수평 유지 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평 유지 장치는 일측 단부는 상기 탑승부의 하부를 지지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주행부의 상면에 지지되는 각도 조절암과, 상기 주행부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각조 조절암의 하단과 힌지결합되는 액츄에이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각도 조절암의 상단은 상기 탑승부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상기 각도 조절암의 하단이 전후로 이동하여 상기 탑승부의 수평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각도 조절암과 액츄에이터 사이에 제1이동몸체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제1이동몸체의 일측 단부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로드가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이동몸체의 상부 일측은 상기 각도 조절암의 하단이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주행부의 상면에는 상기 제1이동몸체의 양측에 접하도록 제1이동가이드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제1이동몸체의 양측에는 제1날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이동가이드의 상단에는 제1날개부의 상부를 지지하는 제1이탈방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이동가이드의 전단과 후단에는 제1이동몸체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1이동제어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각도 조절암의 상단은 상기 탑승부의 하부를 따라 전후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각도 조절암에는 길이방향에서 하부에 위치되도록 회전축이 설치되며, 상기 주행부의 상면에는 상기 회전축이 지지되는 제2지지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상기 각도 조절암의 하단이 전후로 이동하여 상기 탑승부의 수평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각도 조절암과 액츄에이터 사이에 제1이동몸체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제1이동몸체의 일측 단부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로드가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이동몸체의 상부 일측은 상기 각도 조절암의 하단이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도 조절암의 상단에는 상기 탑승부의 하부를 따라 이동하는 제2이동몸체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2이동몸체의 양측에 접하도록 제2이동가이드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제2이동몸체의 양측에는 제2날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이동가이드의 하단에는 제2날개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이탈방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탑승부의 전부 및 후부의 하부에는 완충기가 더 구비되되, 상기 완충기의 상부에는 완충기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 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 실린더는 모노레일의 경사각도에 따라 완충기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모노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부의 상부에 승객이 탑승하는 탑승부가 힌지 결합으로 구비되되, 탑승부의 하면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각도 조절암의 하단을 액츄에이터로 이동시켜 탑승부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탑승부의 하중이 변하더라도 각도 조절암에 의해 각도가 변화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승객이 탑승하는 탑승부와 주행부 사이에 구비되어 탑승부를 지지하는 각도 조절암에 길이방향으로 하부에 치우치도록 회전축을 구비함으로써, 액츄에이터의 로드를 조금만 이동시키더라도 각도 조절암의 상단은 이동량이 크게 되도록 하여 보다 신속하게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액츄에이터의 크기를 작게 형성할 수 있어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됨으로써, 용이하게 모노레일 차량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탑승부의 전후에 각각 구비되는 완충기의 상부에 완충기를 승하강 시키는 승강 실린더를 구비하여 모노레일의 경사도에 따라 완충기가 하방으로 돌출되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수평 유지 장치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완충기에 의해 탑승부의 급격한 각도 변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모노레일 차량의 구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수평 유지 장치가 설치된 모노레일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의 수평 유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이 경사진 모노레일을 주행하는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7 실시 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7 실시 예에 따른 제2이동부재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수평 유지 장치가 설치된 모노레일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의 수평 유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이 경사진 모노레일을 주행하는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7 실시 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7 실시 예에 따른 제2이동부재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의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의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의 수평 유지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이 경사진 모노레일을 주행하는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8은 도 7 실시 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7 실시 예에 따른 제2이동부재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에 관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승객이 탑승하는 탑승부(100)와 상기 탑승부(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모노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부(200)와 상기 탑승부(10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대(130)와 상기 주행부(2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130)의 하단이 힌지 결합되는 제1지지브라켓(21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탑승부(100)는 승객이 탑승하도록 형성되는 차체(102)와 차체(102)의 하부에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하부 베이스(110)와 상기 차체(102)와 하부 베이스(110) 사이에 구비되는 에어 스프링(12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탑승부(100)와 주행부(200) 사이에는 수평 유지 장치(300)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130)와 제1지지브라켓(210)을 통하여 힌지결합으로 연결되어 회동가능한 탑승부(100)의 각도를 조절하여 탑승부(100)가 항상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 유지 장치(300)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방향 상단부는 상기 탑승부(100)의 하부를 지지하고 타측 단부는 주행부(200)의 상면에 지지되는 각도 조절암(320)과 상기 주행부(2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각도 조절암(320)의 하단과 힌지결합되는 액츄에이터(31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각도 조절암(320)의 상단은 상기 탑승부(100)의 하부를 형성하는 하부 베이스(110)에 힌지 결합으로 결합되는데, 상기 하부 베이스(110)에는 연결 브라켓(112)이 구비되어 상기 각도 조절암(320)의 상단이 힌지 결합으로 결합되게 된다.
이때, 상기 각도 조절암(320)의 하단은 상기 액츄에이터(310)의 로드(312)의 단부와 힌지 결합으로 연결되어 액츄에이터(310)의 제어에 의해 각도 조절암(320)의 하단이 주행부(200)의 상면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각도 조절암(320)의 상단은 탑승부(100)의 하부에 힌지 결합으로 연결되어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각도 조절암(320)의 하단만이 전후로 이동하게 되면, 각도 조절암(320)의 각도가 변화되면서 탑승부(100)와 주행부(200) 사이의 거리가 변하게 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130)와 제1지지브라켓(210)에 의해 힌지 결합되는 힌지 결합부를 기준으로 상기 각도 조절암(320)의 기울어지는 정도에 따라 탑승부(100)와 주행부(200) 사이의 각도가 변화됨으로써, 액츄에이터(310)의 제어에 의해 탑승부(100)의 수평상태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각도 조절암(320)은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가 고정되게 됨으로써, 탑승부(100)에 탑승하는 승객의 수가 많아져 하중이 커지게 되더라도 탑승부(100)와 주행부(200)이 사이의 거리가 변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종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차량(12)의 각도를 실린더(26)를 통하여 조절하면서 실린더(26)가 직접 상부차량(12)의 하중을 지지함으로써, 탑승하는 승객의 수에 따라 가해지는 하중이 달라지게 되므로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26)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로드의 돌출정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본 발명에서는 탑승부(100)를 지지하는 각도 조절암(320)은 길이가 고정된 바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탑승부(100)의 하중이 변하더라도 길이가 변하지 않아 안정적으로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승차감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각도 조절암(320)과 액츄에이터(310) 사이에는 제1이동몸체(33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제1이동몸체(330)는 상기 주행부(200)의 상면을 따라 전후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이동몸체(330)의 일측 단부는 상기 액츄에이터(310)의 로드(312)의 단부가 힌지 결합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1이동몸체(330)의 상부 일측은 상기 각도 조절암(320)의 하단이 힌지 결합으로 결합된다.
그래서, 상기 액츄에이터(31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이동몸체(330)가 전후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각도 조절암(320)의 하부 역시 이동하게 됨으로써, 각도 조절암(320)의 하단이 주행부(200)의 상면과 직접 접하지 않도록 하여 각도 조절암(320)이 주행부(200)와의 마찰에 의해 마모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주행부(200)의 상면에는 상기 제1이동몸체(330)의 양측에 접하도록 제1이동가이드(34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제1이동가이드(340)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이동몸체(330)가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전후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이동몸체(330)의 하단 양측에는 제1날개부(332)가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이동가이드(340)의 상단에는 상기 제1날개부(332)의 상부를 지지하도록 제1이탈방지턱(34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날개부(332)와 제1이탈방지턱(342) 사이에는 테프론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마찰 방지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되어 제1이동몸체(330)가 이동시 마찰력을 줄여주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이동가이드(340)의 전단과 후단에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이동제어바(344)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이동몸체(330)가 일정 거리 이상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수평 유지 장치를 구성하는 액츄에이터(310) 등이 정상 작동을 못하더라도 각도 조절바(320)의 하단이 일정 거리 이상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탑승부(100)의 각도가 과도하게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주행부(200)의 상면에는 제1이동몸체(330)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액츄에이터(310)가 설치된 타측 단부에 윈치(37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윈치(370)에 권취된 와이어는 상기 제1이동제어바(344)를 관통하여 상기 제1이동몸체(330)의 단부와 연결된다.
그래서, 상기 탑승부(100)의 일측을 상부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1이동몸체(330)를 액츄에이터(310)로 이동시킬 때, 상기 윈치(370)가 권취되는 방향으로 작동하여 제1이동몸체(330)를 보다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탑승부(100)의 일측을 하부로 이동시킬 경우에는 윈치(370)가 풀리는 방향으로 작동하여 액츄에이터(310)가 제1이동몸체(310)를 이동시킬 때,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각도 조절바(320)는 하나만이 구비되어 탑승부(100)의 수평상태를 제어할 수도 있지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각도 조절바(320)를 구비하여 탑승부(100)의 수평 상태를 조절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 유지 장치(300)에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모노레일과 탑승부(100)의 경사각도를 감지하기 위한 경사감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경사감지부에서 감지한 각도에 따라 탑승부(100)의 수평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액츄에이터(310)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조절 장치(300)를 구성하는 각도 조절암(320)의 상단은 상기 탑승부(100)의 하부를 따라 전후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각도 조절암(320)에는 길이방향에서 하부에 치우치도록 회전축(322)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주행부(200)의 상면에는 제2지지브라켓(220)이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322)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회전축(322)을 기준으로 상기 각도 조절암(320)이 회전되게 된다.
이때, 상기 각도 조절암(320)의 하단이 상기 액츄에이터(310)의 로드(312)의 이동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회전축(322)의 상부에 위치하는 단부도 전후로 이동하게 되어 탑승부(100)의 수평상태를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상기 각도 조절암(320)의 하단과 액츄에이터(310)의 로드(312) 사이에는 제1이동몸체(330)가 구비되고, 상기 제1이동몸체(330)의 양측에는 제1이동가이드(340)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이동몸체(330) 및 제1이동가이드(340)의 구성은 전술한 구성과 동일함으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각도 조절암(320)의 상단에는 제2이동몸체(350)가 힌지 결합으로 연결되는데, 상기 제2이동몸체(350)는 상기 탑승부(100)의 하부를 따라 전후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탑승부(100)의 하부에는 하부 베이스(110)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베이스(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사각 파이프를 이용하여 프레임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평평한 판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는데, 도 7의 실시예에서는 하부 베이스(110)를 판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제2이동몸체(350)가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하부 베이스(110)의 하면에는 상기 제2이동몸체(350)의 양측에 접하도록 제2이동가이드(36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제2이동몸체(350)의 양측에는 제2날개부(352)가 형성되고, 상기 제2이동가이드(360)의 하단에는 제2날개부(352)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이탈방지턱(362)이 형성되어 상기 제2이동몸체(350)가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전후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이 탑승하는 탑승부(100)의 전부 및 후부의 하부에는 완충기(14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완충기(140)는 상기 탑승부(100)를 구성하는 하부 베이스(11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각각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베이스(110)에는 상기 완충기(140)를 승하강 시키기 위한 승강 실린더(145)가 구비되는데, 상기 수평 유지 장치(300)를 구성하는 경사 감지부(미도시)를 통하여 감지된 모노레일의 경사각에 따라 상기 승강 실린더(145)를 작동시켜 완충기(140)를 승하강 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탑승부(100)와 모노레일의 거리가 가까운 곳에서는 완충기(140)를 상부로 이동시키고, 거리가 먼 곳에서는 완충기(140)를 하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수평 유지 장치에 이상이 발생하여 탑승부(100)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더라도 완충기에 의해 탑승부의 각도가 일정 이상 변하지 않도록 하여 탑승부(100) 내에서 승객이 넘어지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지에 설치된 모노레일의 경사도가 변경되더라도 승객이 탑승하는 탑승부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탑승부의 하중이 변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전체 부피를 줄여줄 수 있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에 관한 것이다.
100 : 탑승부 110 : 하부 베이스
120 : 에어 스프링 130 : 지지대
140 : 완충기 200 : 주행부
210 : 제1지지브라켓 220 : 제2지지브라켓
300 : 수평 유지 장치 310 : 액츄에이터
320 : 각도 조절암 330 : 제1이동몸체
340 : 제1이동가이드 350 : 제2이동몸체
360 : 제2이동가이드 370 : 윈치
120 : 에어 스프링 130 : 지지대
140 : 완충기 200 : 주행부
210 : 제1지지브라켓 220 : 제2지지브라켓
300 : 수평 유지 장치 310 : 액츄에이터
320 : 각도 조절암 330 : 제1이동몸체
340 : 제1이동가이드 350 : 제2이동몸체
360 : 제2이동가이드 370 : 윈치
Claims (10)
- 승객이 탑승하는 탑승부와,
모노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부와,
상기 탑승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주행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의 하단이 힌지 결합되는 제1지지브라켓과,
상기 탑승부와 주행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탑승부의 수평상태를 제어하는 수평 유지 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 유지 장치는 일측 단부는 상기 탑승부의 하부를 지지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주행부의 상면에 지지되는 각도 조절암과, 상기 주행부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각도 조절암의 하단과 힌지결합되는 액츄에이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도 조절암의 상단은 상기 탑승부의 하부를 따라 전후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각도 조절암에는 길이방향에서 하부에 치우치도록 회전축이 설치되며, 상기 주행부의 상면에는 상기 회전축이 지지되는 제2지지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상기 각도 조절암의 하단이 전후로 이동하여 상기 탑승부의 수평상태를 제어하며,
상기 각도 조절암과 액츄에이터 사이에 제1이동몸체가 더 구비되고,
상기 주행부의 상면에는 상기 액츄에이터가 설치된 타측 단부에 윈치가 설치되고 상기 윈치에 권취된 와이어는 상기 제1이동몸체의 단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몸체의 일측 단부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로드가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이동몸체의 상부 일측은 상기 각도 조절암의 하단이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암의 상단에는 상기 탑승부의 하부를 따라 이동하는 제2이동몸체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2이동몸체의 양측에 접하도록 제2이동가이드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제2이동몸체의 양측에는 제2날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이동가이드의 하단에는 제2날개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이탈방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부의 전부 및 후부의 하부에는 완충기가 더 구비되되,
상기 완충기의 상부에는 완충기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 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 실린더는 모노레일의 경사각도에 따라 완충기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0849A KR102133307B1 (ko) | 2020-02-20 | 2020-02-20 |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0849A KR102133307B1 (ko) | 2020-02-20 | 2020-02-20 |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33307B1 true KR102133307B1 (ko) | 2020-07-22 |
Family
ID=71893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20849A KR102133307B1 (ko) | 2020-02-20 | 2020-02-20 |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33307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28872B1 (ko) | 2020-11-30 | 2021-03-17 | 이엠티씨 주식회사 | 경사각도가 조절되는 궤도차량 |
KR102351965B1 (ko) * | 2020-12-04 | 2022-01-18 |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 |
KR102351966B1 (ko) * | 2020-12-04 | 2022-01-18 |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72299A (ja) * | 1993-12-21 | 1995-07-11 | Kaho Seisakusho:Kk | 車両の座席姿勢制御装置 |
JP2005263147A (ja) * | 2004-03-22 | 2005-09-29 | Chigusa Giken Kogyo Kk | 乗用中間傾斜電動モノレール |
KR20090086383A (ko) * | 2007-01-30 | 2009-08-12 |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 대차식 반송장치 |
JP2010018187A (ja) | 2008-07-11 | 2010-01-28 | Kaho Seisakusho:Kk | 斜面昇降機の水平維持システム |
WO2014128889A1 (ja) * | 2013-02-21 | 2014-08-28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軌道式車両、および、その車体傾斜制御方法 |
-
2020
- 2020-02-20 KR KR1020200020849A patent/KR10213330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72299A (ja) * | 1993-12-21 | 1995-07-11 | Kaho Seisakusho:Kk | 車両の座席姿勢制御装置 |
JP2005263147A (ja) * | 2004-03-22 | 2005-09-29 | Chigusa Giken Kogyo Kk | 乗用中間傾斜電動モノレール |
KR20090086383A (ko) * | 2007-01-30 | 2009-08-12 |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 대차식 반송장치 |
JP2010018187A (ja) | 2008-07-11 | 2010-01-28 | Kaho Seisakusho:Kk | 斜面昇降機の水平維持システム |
WO2014128889A1 (ja) * | 2013-02-21 | 2014-08-28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軌道式車両、および、その車体傾斜制御方法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28872B1 (ko) | 2020-11-30 | 2021-03-17 | 이엠티씨 주식회사 | 경사각도가 조절되는 궤도차량 |
KR102351965B1 (ko) * | 2020-12-04 | 2022-01-18 |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 |
KR102351966B1 (ko) * | 2020-12-04 | 2022-01-18 |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33307B1 (ko) |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 | |
WO2013179740A1 (ja) | トロリー式トラックのパンタグラフ装置 | |
EP3290380B1 (en) | A stabilizing device of an elevator car | |
JP2018530980A (ja) | 充電設備のための位置決めユニットと通電接続の方法 | |
CN111746581B (zh) | 转向架、单轨车辆和单轨交通系统 | |
US4195576A (en) | Monorail car stabilizing system | |
JP4501064B2 (ja) | スタッカークレーン | |
KR102351965B1 (ko) |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 | |
JP2669713B2 (ja) | 鉄道車両用パンタグラフ支持装置 | |
HU213715B (en) | Running gear for railway vehicles | |
US9440832B2 (en) | Counterweight balancing device for filming cranes | |
WO2006038299A1 (ja) | エレベータのロープ張力調整装置 | |
CN209383330U (zh) | 货叉倾角调节装置及托盘车 | |
CN111746578A (zh) | 转向架、单轨车辆和单轨交通系统 | |
JP2009057183A (ja) | スタッカークレーン | |
JP4799039B2 (ja) | 鉄道車両の車体傾斜装置 | |
CN111746580B (zh) | 转向架、单轨车辆和单轨交通系统 | |
US20220144034A1 (en) | Pulling compensation apparatus for vehicle | |
JP4582897B2 (ja) | 鉄道車両用振子台車 | |
CN118215598A (zh) | 用于充电站的定位单元和建立接触的方法 | |
CN111746579B (zh) | 转向架、单轨车辆和单轨交通系统 | |
JP5398578B2 (ja) | 索道設備のプラットホームにおける可動ステップ | |
KR102351966B1 (ko) |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 | |
KR102540552B1 (ko) | 자동차의 높이 가변형 범프 스톱퍼 | |
JP2005082331A (ja) | 高所作業車の制御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