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7803B1 - 대차식 반송 장치 - Google Patents

대차식 반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7803B1
KR101487803B1 KR1020127015882A KR20127015882A KR101487803B1 KR 101487803 B1 KR101487803 B1 KR 101487803B1 KR 1020127015882 A KR1020127015882 A KR 1020127015882A KR 20127015882 A KR20127015882 A KR 20127015882A KR 101487803 B1 KR101487803 B1 KR 101487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truck
conveyance
power source
movab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5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4222A (ko
Inventor
마사미 무라카미
젠구워 왕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다이후쿠 (차이나) 유센공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0202533987U external-priority patent/CN201722107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0202533900U external-priority patent/CN201723606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0102553519A external-priority patent/CN102019975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0202943106U external-priority patent/CN201737443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0202943093U external-priority patent/CN201834543U/zh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다이후쿠 (차이나) 유센공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130054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4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65G37/02Flow-sheets for conveyor combinations in warehouses, magazines or worksh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워크 지지대(2)와 그 승강 구동 수단(3)이 설치된 반송 대차(1)에는, 승강 구동 수단(3)과 연동 연결된 수동축(22)과, 워크 지지대(2)의 강하를 저지하는 로킹 수단(23)이 설치되고, 반송 대차(1)와 동기 주행 가능한 동력원용 대차(52)는 워크 지지 높이 전환 위치(C1, C2, E1, E2)에서의 반송 대차(1)의 주행경로 옆에, 당해 주행경로를 따라 주행 가능하게 설치되고, 동력원용 대차(52)에는, 동력원(59)으로 구동되는 전동축(58)과, 이 전동축(58)과 수동축(22)을 서로 연동 연결하는 절리 자유로운 연동 수단(61)이 설치된 대차식 반송 장치.

Description

대차식 반송 장치{TROLLEY-TYPE CONVEYANCE DEVICE}
본 발명은 자동차 조립 라인에서의 차체의 반송에 활용할 수 있는 대차식 반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조립 라인에서의 차체의 반송에 이용할 수 있는 대차식 반송 장치에서는, 반송 대차 위에서 지지되는 차체의 지지 레벨을 당해 차체에 대한 작업 내용에 따라 가변하도록 할 필요가 있으므로, 반송 대차 위에는 승강 자유로운 워크 지지대와 그 승강 구동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이 종류의 대차식 반송 장치에서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워크 지지대의 승강 구동 수단을 구동하는 동력원인 모터가 반송 대차 자체에 탑재되어 있었다.
일본 특개평4-306162호 공보
자동차 조립 라인에서 사용되는 승강 자유로운 워크 지지대 부착 반송 대차는, 각 반송 대차의 전후가 서로 맞결합하는 연속상태에서 주행시키는 것이므로, 자동차 조립 라인에는 대단히 많은 대수의 반송 대차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반송 대차에 있어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종래의 구성을 채용할 때는, 수많은 대수의 반송 대차의 모두에 워크 지지대를 승강 구동하는 모터를 탑재하지 않으면 안 되어, 반송 대차 자체의 비용, 나아가서는 설비 전체의 비용이 대단히 비싸게 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대차식 반송 장치를 제안하는 것으로, 그 본 발명에 따른 대차식 반송 장치는 후술하는 실시예와의 관계를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당해 실시예의 설명에서 사용한 참조부호를 괄호를 붙여서 나타내면, 승강 자유로운 워크 지지대(2)와 이 워크 지지대(2)를 승강 구동하는 승강 구동 수단(3)이 설치된 반송 대차(1)의 주행 경로 중에, 워크 지지 높이 전환 위치(C1, C2, E1, E2)가 설정되고, 이 워크 지지 높이 전환 위치(C1,C2, E1, E2)를 상기 반송 대차(1)가 통과할 때, 상기 승강 구동 수단(3)을 작동시켜 상기 워크 지지대(2)의 높이를 전환하도록 구성된 대차식 반송 장치로서,
상기 워크 지지 높이 전환 위치(C1, C2, E1, E2)에 있어서의 반송 대차(1)의 주행 경로 옆에, 당해 주행 경로를 따라 왕복이동 자유롭게 설치된 동력원용 대차(52)와, 이 동력원용 대차(52)를 일정 거리만큼 상기 반송 대차(1)와 동기 주행시키는 동기 구동 수단(60)이 설치되고,
상기 반송 대차(1)에는, 상기 승강 구동 수단(3)의 구동축(43)과 연동 연결된 수동축(22)과, 이 수동축(22)이 회전력을 받고 들이고 있지 않을 때에 워크 지지대(2)의 강하를 저지하는 로킹 수단(23)이 설치되고,
상기 동력원용 대차(52)에는, 상기 수동축(22)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동축(傳動軸)(58)과, 이 전동축(58)을 회전구동하는 동력원(59)이 설치되고, 상기 반송 대차(1)와 상기 동력원용 대차(52)의 동기 주행 상태에 있어서 상기 수동축(22)과 전동축(58)을 서로 연동 연결하는 분리 자유로운 연동 수단(61)이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 상기 로킹 수단(23)은 상기 승강 구동 수단(3)의 구동축(43)과 상기 수동축(22) 사이의 전동계에 웜 감속기(44)를 개재함으로써, 간단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각 워크 지지 높이 전환 위치에 있어서, 반송 대차(1)와 동력원용 대차(52)를 동기 주행시키는 동기 구동 수단으로서는 당해 동력원용 대차(52)에 설치된 주행 구동 수단의 구동용 모터를 전기적으로 동기 제어하는 수단에 의해서도 실현 가능하지만, 상기 동기 구동 수단(60)을, 상기 반송 대차(1)와 상기 동력원용 대차(52)를 연결하는 연결/이탈 자유로운 연결 수단(62)으로 구성할 때는, 반송 대차와 동력원용 대차를 기계적으로 연결 일체화하여, 그 양자를 확실하게 동기 주행시킬 수 있다.
이 경우의 연결 수단(62)은 상기 반송 대차의 전진 주행을 따라 동력원용 대차가 추종 주행할 수 있는 상태로 반송 대차(1)와 동력원용 대차(52)를 연결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구성의 것이어도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반송 대차(1)에 설치된 피협지부(63), 이 피협지부(63)를 상기 반송 대차(1)의 주행방향의 전후에서 협지 가능하게 상기 동력원용 대차(52)에 설치된 개폐 자유로운 협지도구(64a, 64b), 및 상기 동력원용 대차(52)에 설치되어 상기 협지도구(64a, 64b)를 상기 피협지부(63)의 이동 경로의 외측으로 퇴피한 퇴피 상태와 상기 피협지부(63)를 협지하는 협지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 구동 수단(65)으로 구성되는 연결 수단(62)을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연결 수단(62)을 채용할 때는, 간단한 구성이면서 확실하게 반송 대차와 동력원용 대차를 기계적으로 연결하고, 반송 대차의 주행에 따르게 하여 동력원용 대차를 확실하게 동기 주행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동축(58)과 수동축(22)은, 상기 반송 대차(1)와 상기 동력원용 대차(52)와의 동기 주행 상태에 있어서, 주행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동심 형상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서로 끼워맞춤/이탈 자유로운 회전전달용 끼워맞춤 선단부(22a, 58a)를 설치하고, 상기 연동 수단(61)은 상기 전동축(58)을 그 축심 방향으로 출퇴 이동시키는 전동축 출퇴 구동 수단(72)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전동축 출퇴 구동 수단(72)은 상기 동력원용 대차(52) 위에 상기 전동축(58)의 축심 방향으로 왕복이동 자유롭게 지지된 가동체(73), 이 가동체(73)를 왕복이동시키는 가동체 구동 수단(74), 상기 가동체(73)에 자전만 가능하게 지승된 중계축(89), 및 상기 동력원으로서 상기 가동체(73)에 지지되어 상기 중계축(89)을 회전구동하는 모터(59)로 구성하고, 상기 전동축(58)은 상기 중계축(89)에 대하여 축심 방향으로만 일정 범위 내에서 상대적으로 이동 자유롭게 끼워맞추어지게 함과 아울러, 당해 중계축(89)과의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96)에 의해 중계축(89)에 대하여 진출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반송 대차(1)와 상기 동력원용 대차(52)와의 동기 주행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73)가 진출 한계까지 이동했을 때, 상기 전동축(58)과 수동축(22) 각각의 회전 전달용 끼워맞춤 선단부(22a, 58a)에서 서로 끼워맞추어진 후, 상기 전동축(58)이 상기 중계축(89)에 대하여 상기 스프링(96)에 저항하여 후퇴 이동해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체(73)에는, 상기 전동축(58)과 병렬하고 또한 원추형 첨단부(104a, 104b)를 갖는 위치 결정용 로드(98a, 98b)를, 축심 방향으로 일정 범위 내에서 왕복이동 자유롭게 지지시킴과 아울러, 이 위치 결정용 로드(98a, 98b)를 상기 반송 대차(1)의 주행 경로의 어떤 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102a, 102b)을 병설하고, 상기 반송 대차(1)에는 상기 위치 결정용 로드(98a, 98b)의 원추형 첨단부(104a, 104b)가 끼워맞춤 가능한 원추형 구멍(105a, 105b)을 갖는 위치 결정용 끼워맞춤 부재(106a, 106b)를 설치하고, 상기 반송 대차(1)와 상기 동력원용 대차(52)와의 동기 주행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73)를 진출 이동시켰을 때, 상기 전동축(58)과 수동축(22)이 각각의 회전 전달용 끼워맞춤 선단부(22a, 58a)에 있어서 서로 끼워맞추어지기 전에, 상기 위치 결정용 로드(98a, 98b)의 원추형 첨단부(104a, 104b)가 상기 위치 결정용 끼워맞춤 부재(106a, 106b)의 원추형 구멍(105a, 105b)에 끼워맞추어지고, 상기 가동체(73)가 진출 한계까지 이동했을 때, 상기 위치 결정용 로드(98a, 98b)가 상기 스프링(102a, 102b)에 저항하여 후퇴 이동해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체(73)에는, 원점 위치에 대하여 일정 범위 내에서 수직 2차원 평면 위에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스프링(111a∼112b, 117a∼118b)에 의해 상기 원점 위치로 가압 유지된 가동 기판(83)을 설치하고, 이 가동 기판(83)에 상기 중계축(89) 및 모터(59)를 지지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반송 대차 위에는, 승강 자유로운 워크 지지대를 구비한 반송 대차에는, 당해 워크 지지대를 승강 구동하는 전동 모터 등의 동력원을 탑재할 필요가 없게 되어, 각 워크 지지 높이 전환 위치에 병설된, 설비 전체로서 반송 대차의 대수와 비교하여 현격하게 대수가 적은 동력원용 대차 위에만 상기 동력원을 탑재하면 되고, 각 워크 지지 높이 전환 위치에 동력원용 대차를 병설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해도, 설비 전체로서 전동 모터 등의 동력원의 사용 대수를 대폭 삭감하여, 설비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각 워크 지지 높이 전환 위치 이외의 주행 경로 위에서는, 로킹 수단에 의해 워크 지지대의 예측하지 못한 강하는 회피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제어계의 고장에 의해, 또는 작업자의 잘못된 조작에 의해, 워크 지지대가 승강 구동된다고 하는 것과 같은 예측하지 못한 사태를 초래할 우려는 전혀 없게 되어, 안전성이 한층더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대차식 반송 장치로 구성된 자동차 조립 라인의 레이아웃을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2는 주행 경로 중의 반송 대차와 그 마찰 구동 수단의 측면도.
도 3은 동상의 배면도.
도 4는 동상의 평면도.
도 5A는 반송 대차의 한 쪽 차륜 유닛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5B는 동 차륜 유닛의 종단 정면도.
도 6은 반송 대차 간의 연결 수단을 비연결 상태로 도시하는 일부 종단 측면도.
도 7은 도 6의 연결 수단을 연결 상태에서 도시하는 일부 종단 측면도.
도 8은 도 7의 횡단 평면도.
도 9는 워크 지지대의 승강 구동 수단을 워크 지지대를 상승 한계 레벨까지 올린 상태에서 도시하는 측면도.
도 10은 동상의 승강 구동 수단을 워크 지지대를 하강 한계 레벨까지 내린 상태에서 도시하는 측면도.
도 11은 동상의 승강 구동 수단의 일부와, 당해 승강 구동 수단에 대한 동력전달계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2는 동상의 승강 구동 수단과, 당해 승강 구동 수단에 대한 동력전달계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3은 워크 지지대를 상승 한계 레벨까지 올린 상태에서의 승강 구동 수단에 대한 안전대책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14는 동력원용 대차의 평면도.
도 15는 동상의 동력원용 대차측의 전동부 구성과 반송 대차측의 수동부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16은 동상의 동력원용 대차의 측면도.
도 17은 동상의 동력원용 대차와 반송 대차를 동기 주행시키기 위한 동기 구동 수단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18은 동상의 동력원용 대차측의 전동축과 반송 대차측의 수동축과의 연동 수단을 도시하는 일부 횡단 평면도.
도 19는 도 18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일부 횡단 평면도.
도 20은 도 19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확대 횡단 평면도.
도 21은 도 20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22는 도 18에 도시하는 가동체 내의 좌우 수평 방향의 자동 중심 조정 기구와 동 가동체의 구동 수단을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23은 도 18에 도시하는 가동체 내의 상하 수직방향의 자동 중심 조정 기구와 동 가동체의 구동 수단을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24는 동력원용 대차와 반송 대차와의 동기 주행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일부 횡단 평면도.
도 25는 도 24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확대 일부 횡단 평면도.
도 26은 도 25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확대 종단면도.
도 1에 도시하는 자동차 조립 라인은 반송 대차(1)의 엔드리스 형상 순환 주행 경로로 구성된 것으로, 제 1 작업 구간(A-B), 제 1 중계구간(B-C), 제 2 작업구간(C-D), 제 2 중계구간(D-E), 제 3 작업구간(E-F), 제 3 중계구간(F-G), 제 4 작업구간(G-H), 및 빈 반송 대차 되돌림 구간(H-J-A)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 2 중계구간(D-E)에 대해서는, 완충구간(D-K-L-E)이 병렬로 접속됨과 아울러, 임시적으로 사용되는 보조구간(M-N)이 분기되어 있다. 각 중계구간(B-C, D-E, F-G)의 양단(B∼G), 빈 반송 대차 되돌림 구간(H-J-A)의 선단(H)과 중간 전향점(J), 완충구간(D-K-L-E)의 중간 전향점(K, L), 및 보조구간(M-N)의 선단(M)에는, 각각 턴테이블이라고 호칭되는 것과 같은 반송 대차 전향 장치(P)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반송 대차 전향 장치(P)는 종래 주지의 것으로서, 위쪽의 주행경로로부터 갈아탄 반송 대차(1)를 수평으로 회전시켜 아래쪽의 주행경로로 내보내는 것이며, 소정 각도(일반적으로는 90도)의 범위에서 정역회전하는 턴테이블 위에, 위쪽의 주행경로와 아래쪽의 주행경로에 택일적으로 접속되는 반송 대차 지지 안내용 가이드 레일, 위쪽의 주행경로로부터 갈아탄 반송 대차(1)를 턴테이블 위의 소정 위치까지 끌어들이는 인입용 구동 수단, 및 턴테이블 위의 소정 위치에 있는 반송 대차(1)를 아래쪽의 주행경로로 내보내는 송출용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 작업구간(A-B, C-D, E-F, G-H), 빈 반송 대차 되돌림 구간(H-J-A), 각 중계구간(B-C, D-E, F-G), 및 완충구간(D-K-L-E)에는, 반송 대차(1)를 정속주행시키기 위한 마찰 구동 장치(Q)가 병설되어 있다. 이 마찰 구동 장치(Q)는 기본적으로는 위쪽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반송 대차(1)를 이어받아 아래쪽으로 내보내는 것인데, 도시된 각 작업구간(A-B, C-D, E-F, G-H) 등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요 대수의 반송 대차(1)를 전후 맞결합하는 상태로 일체로 정속주행시키는 구간에서는, 당해 구간의 시단부와 종단부에 배열 설치된다.
상기 구성의 도시된 자동차 조립 라인에서는, 제 1 작업구간(A-B)의 시단(A)에서 반송 대차(1) 위에 워크(자동차 차체)(W)가 적재된다. 이 워크(W)를 적재한 반송 대차(1)가 제 1 작업구간(A-B), 제 2 작업구간(C-D), 제 3 작업구간(E-F), 및 제 4 작업구간(G-H)으로 차례로 보내지고, 각 작업구간 내를 정속 전진 주행하는 동안에, 각 반송 대차(1)에 탑승한 작업자에 의해, 각 작업구간에 정해진 소정의 작업이 워크(W)에 대하여 행해진다. 그리고, 제 1 작업구간(A-B)과 제 4 작업구간(G-H)에서는 워크(W)의 낮은 부위에 대한 작업이 행해지는데, 제 2 작업구간(C-D)과 제 3 작업구간(E-F)에서는 그 입구측의 워크 지지 높이 전환 위치(C1, E1)를 통과할 때에, 각반송 대차(1)가 구비하는 워크 지지대의 높이가 소정의 고레벨까지 높아지고, 그리고 출구측의 워크 지지 높이 전환 위치(C2, E2)를 통과할 때에, 상기 워크 지지대의 높이가 소정의 저레벨까지 낮아지므로, 제 2 작업구간(C-D)의 워크 지지 높이 전환 위치(C1, C2) 사이와 제 3 작업구간(E-F)의 워크 지지 높이 전환 위치(E1, E2) 사이에서는, 그 때의 워크(W)의 지지 높이에 대응한 높은 부위에 대한 작업이 행해지게 된다.
또한, 완충구간(D-K-L-E)은 제 2 작업구간(C-D)으로부터 제 3 작업구간(E-F)으로 옮기는 워크 적재 반송 대차(1)를 일시적으로 대피시켜, 제 3 작업구간(E-F)으로 보내는 워크 적재 반송 대차(1)의 순서 변경이나 재편성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보조구간(M-N)은 제 2 작업구간(C-D)으로부터 제 3 작업구간(E-F)으로 옮기는 워크 적재 반송 대차(1)를 대피시켜, 장시간의 대기에 이용할 수 있다. 이 보조구간(M-N)으로 보내진 워크 적재 반송 대차(1)는 이 보조구간(M-N)을 후퇴 주행시키고, 제 2 중계구간(D-E)의 중간 위치와 교차하는 보조구간(M-N)의 선단(M)에 배열 설치된 반송 대차 전향 장치(P)를 이용하여, 당해 제 2 중계구간(D-E)의 중간 위치에 소정의 방향으로 되돌릴 수 있다.
제 4 작업구간(G-H)으로부터 내보내진 반송 대차(1) 위의 워크(W), 즉, 모든 작업이 완료된 완성 워크(W)는 당해 제 4 작업구간(G-H)의 종단과 빈 반송 대차 되돌림 구간(H-J-A)의 선단과의 교차점에 배열 설치된 반송 대차 전향 장치(P) 위의 반송 대차(1) 위에서 적당한 반출 수단에 의해 반출 위치(R)로 반출할 수 있다. 비게 된 반송 대차(1)는 빈 반송 대차 되돌림 구간(H-J-A)을 경유하여 원래의 제 1 작업구간(A-B)의 시단(A)으로 보내진다. 한편, 빈 반송 대차 되돌림 구간(H-J-A)의 중간 전향점(J)에 배열 설치된 반송 대차 전향 장치(P)에는, 그 아래쪽의 빈 반송 대차 되돌림 구간(J-A)가 있는 측과는 정반대측의 위치에 반송 대차 보수작업장(S)이 병설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작업구간(A-B)의 시단(A)으로 보내는 반송 대차(1) 중, 보수점검이나 간단한 수선작업 등이 필요하게 된 반송 대차(1)는 중간 전향점(J)의 반송 대차 전향 장치(P)로부터 반송 대차 보수작업장(S)으로 일단 송출하고, 필요한 작업이 종료한 후에 다시 중간 전향점(J)의 반송 대차 전향 장치(P)를 경유시켜 빈 반송 대차 되돌림 구간(J-A)으로 보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차식 반송 장치로 구성되는 자동차 조립 라인에서는, 그 반송 대차(1)의 주행경로의 전역에서 바닥면측의 파 내려간 작업 공간이 불필요하여, 반송 대차(1)는 승강 자유로운 워크 지지대에 지지된 워크(W)의 전체 주위에서 반송 대차(1) 위에 작업용 바닥면이 확보되어, 작업자는 각 반송 대차(1) 위의 워크(W)의 주위의 작업용 바닥면 위에 서서 당해 워크(W)에 대한 작업을 행할 수 있는 것인데, 상기 워크 지지대의 승강에 의해 워크(W)의 지지 레벨을 변화시킴으로써, 당해 워크(W)의 내부, 전체 주위의 외부, 및 바닥부의 모든 부위에 대한 조립 작업 등을 행할 수 있다. 물론, 워크(W)의 바닥부에 대한 작업을 위해, 당해 워크(W)를 오버헤드 컨베이어 등으로 옮겨 갈 필요도 없다.
이하, 상기 반송 대차(1)의 상세를, 도 2∼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반송 대차(1)는 그 평면 직사각형의 대차 본체(1a)의 중앙부의 상측에 워크 지지대(2)가 승강 구동 수단(3)에 의해 승강하도록 지지되고, 주행경로측의 바닥면 위에 부설된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레일(4a, 4b) 위를 주행할 수 있도록, 대차 본체(1a)의 바닥부에 좌우 한 쌍, 전후 2세트의 차륜 유닛(5a∼5d)이 설치되어 있다. 각 차륜 유닛(5a∼5d)은 가이드 레일(4a, 4b) 위를 구르는 지지용 차륜(6)과, 가이드 레일(4a, 4b)의 상면을 청소하는 브러시 등으로 이루어지는 청소도구(7)를 구비하과 아울러, 한 쪽의 가이드 레일(4b)에 대응하는 전후 한 쌍의 차륜 유닛(5b, 5d)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4b)을 좌우 양측으로부터 끼우도록 수직축의 주위로 회전 자유롭게 축지지된 진동방지용 롤러(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대차 본체(1a)의 전단 하측에는, 피견인용 훅(9)이 부착되고, 대차 본체(1a)의 후단 하측에는, 직후의 반송 대차(1)의 상기 피견인용 훅(9)에 걸어맞추는 견인용 걸림도구(10)가 설치되어 있다. 상세 구조를 도 6∼도 8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피견인용 훅(9)은 선단부 상측에 피걸어맞춤 오목부(9a)를 갖는 것이다. 견인용 걸림도구(10)는 대차 본체(1a)의 하측에 부착된 베어링(10a)에 수평 좌우측면의 지지축(10b)에 의해 상하요동 자유롭게 축지지된 좌우 한 쌍의 판재(10c)로 구성된 것으로, 선단에는, 좌우 한 쌍의 판재(10c) 사이를 횡단하는 걸림축(10d)과, 이 걸림축(10d)을 한 쪽으로 연장시키고 그 선단에 캠 종동 롤러(10e)가 설치되고, 후단에는, 좌우 한 쌍의 판재(10c)를 연결 일체화하는 맞닿음판(10f)이 고착되어 있다.
상기 견인용 걸림도구(10)는 중력으로 걸림축(10d)이 내려가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그 결과, 맞닿음판(10f)이 베어링(10a)에 형성한 받이부에 맞닿음으로써, 지지축(10b)으로부터 후방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걸림 자세로 유지되는 것이지만, 맞닿음판(10f)과 대차 본체(1a) 사이에 개재한 인장 코일 스프링 등의 스프링(10g)에 의해 상기 걸림 자세로 강제적으로 가압 유지되는 것도 가능하다. 견인용 걸림도구(10)는 직후의 반송 대차(1)와 대차 본체(1a)끼리 서로 맞결합하는 상태에서 지지축(10b)의 주위로 상하요동함으로써, 당해 견인용 걸림도구(10)의 걸림축(10d)이 직후의 반송 대차(1)의 상기 피견인용 훅(9)의 피걸어맞춤 오목부(9a)에 대하여 상하로 끼워맞춤/이탈 동작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전후의 반송 대차(1)가 서로 맞결합하는 상태에서, 전측의 반송 대차(1)의 견인용 걸림도구(10)를 상기 걸음 자세로 전환하고, 당해 견인용 걸림도구(10)의 걸림축(10d)을 후측의 반송 대차(1)의 피견인용 훅(9)의 피걸어맞춤 오목부(9a)에 끼워맞추어 둠으로써, 필요에 따라 전측의 반송 대차(1)로 후측의 반송 대차(1)를 견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피견인용 훅(9)과 견인용 걸림도구(10)와의 걸어맞춤에 의한 전후의 반송 대차(1)의 연결 상태를 해제하지 않으면 안 되는 장소에는, 도 7에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대차(1)의 주행경로의 바닥측에, 반송 대차(1)의 전진 주행을 이용하여 캠 종동 롤러(10e)를 밀어 올려 견인용 걸림도구(10)를 견인 해제 자세로 전환하는 캠 레일(11)을 부설해 두면 된다.
또한, 마찰 구동 장치(Q)의 일례를 도 2∼도 4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 마찰 구동 장치(Q)는 반송 대차(1)의 대차 본체(1a)를 사이에 끼도록 배열 설치된 좌우 한 쌍의 대칭 구조의 구동 유닛(12a, 12b)으로 구성된 것으로, 각 구동 유닛(12a, 12b)은 수직 지지축(13)의 주위로 일정 범위 내에서 수평요동 자유롭게 축지지된 가동대(14), 이 가동대(14) 위에 수직 방향으로 부착된 감속기 부착 모터(15), 가동대(14)의 하측에서 상기 감속기 부착 모터(15)의 수직 출력축에 부착된 마찰구동륜(16), 및 이 마찰구동륜(16)을 반송 대차(1)의 주행경로측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가동대(14)를 가압하는 스프링(17)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양쪽 구동 유닛(12a, 12b)의 마찰구동륜(16)이, 감속기 부착 모터(15)에 의해 서로 역방향으로 동일 원주속도로 회전구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반송 대차(1)의 대차 본체(1a)에 있어서의 서로 평행하고 직선 형상의 수직 좌우 양측면에 형성된 마찰구동면(1b, 1c)에 스프링(17)의 가압력으로 압접함으로써, 반송 대차(1)를 정속으로 전진 주행시킬 수 있다. 또한, 마찰 구동 장치(Q)의 위치를 통과할 때의 반송 대차(1)의 자세를 주행경로 방향(가이드 레일(4a, 4b)의 길이방향)과 완전한 평행자세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구동 유닛(12a, 12b)에, 마찰구동륜(16)의 전후 양측에서 반송 대차(1)의 마찰구동면(1b, 1c)에 맞닿는 회전 자유로운 전후 한 쌍의 가이드 롤러(18a, 18b)를 설치해 둘 수 있다.
각 반송 대차(1) 위의 워크 지지대(2)와 그 승강 구동 수단(3)의 상세를 도 9∼도 13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승강 자유로운 워크 지지대(2)는, 워크(자동차 차체)(W)의 바닥부의 좌우 양측변을 각각 별도로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지지대 유닛(2a, 2b)으로 구성되고, 각 지지대 유닛(2a, 2b)에는, 전후 한 쌍의 워크 지지면(19a)과, 워크(W)의 바닥부에 설치된 수직구멍부에 상향으로 끼워맞추어 워크(W)를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 핀(19b)이 설치되어 있다. 이 워크 지지대(2)를 승강하도록 지지하기 위하여, 워크 지지대(2)의 좌우 한 쌍의 지지대 유닛(2a, 2b)을 각각 별도로 승강하도록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다단 시저스 링크 기구(20a, 20b)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 구동 수단(3)은 각 다단 시저스 링크 기구(20a, 20b)를 수직으로 신축 구동하는 좌우 한 쌍의 짚체인 기구(21a, 21b), 양쪽 짚체인 기구(21a, 21b)의 구동축(43), 이 구동축(43)과 연동 연결하는 수동축(22), 및 수동축(22)과 구동축(43) 사이의 전동계에 개재된 로킹 수단(23)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다단 시저스 링크 기구(20a, 20b)는 좌우로 겹치는 2개의 링크 단체(24a, 24b)를 중앙부에서 연결축(25)에 의해 서로 축지지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상하 2개의 시저스 링크(26a, 26b)를, 반송 대차(1)의 주행방향과 평행한 전후 방향을 따른 수직면을 따라 상하로 신축동작할 수 있도록 연결축(27a, 27b)으로 연결 일체화한 것으로서, 그 하단의 시저스 링크(26a)에 있어서의 링크 단체(24a, 24b)의 하단부 중, 전측의 링크 단체(24b)의 하단부는 위치 고정 연결축(28)에 의해 받침대(29) 위에 축지지 연결되고, 후측의 링크 단체(24a)의 하단부는 상기 받침대(29) 위에 슬라이드 가이드 레일(30)을 통하여 전후이동 자유롭게 지지된 슬라이드 블록(31) 위에 연결축(32)에 의해 축지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단의 시저스 링크(26a)에 있어서의 링크 단체(24a, 24b)의 상단부 중, 전측의 링크 단체(24a)의 상단부는 위치 고정 연결축(33)에 의해 지지대 유닛(2a/2b)의 전단 하측에 축지지 연결되고, 후측의 링크 단체(24b)의 상단부는 지지대 유닛(2a/2b)의 후단부 하측에 부설된 슬라이드 가이드 레일(34)을 통하여 전후이동 자유롭게 지지된 슬라이드 블록(35)에 연결축(36)에 의해 축지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좌우 한 쌍의 다단 시저스 링크 기구(20a, 20b)의 모든 연결축(25, 27a, 27b, 28, 32, 33, 36)은 서로 동심 형상으로 위치하고 있다. 또한, 받침대(29)는 반송 대차(1)의 대차 본체(1a)의 하측에 가설되고, 따라서, 이 받침대(29) 위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다단 시저스 링크 기구(20a, 20b)는 대차 본체(1a)에 설치된 개구부를 상하로 관통하고 있다.
각 짚체인 기구(21a, 21b)는 받침대(29) 위에 설치된 기어 케이스(37), 이 기어 케이스(37) 내에 축지지된 전후 한 쌍의 톱니바퀴(38a, 38b), 기어 케이스(37)로부터 전후 양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받침대(29) 위에 설치된 체인 수납 케이스(39a, 39b), 및 전후 한 쌍의 체인 본체(40a, 40b)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전후 한 쌍의 체인 본체(40a, 40b)는 체인 수납 케이스(39a, 39b) 내에서 기어 케이스(37) 내로 들어가고, 전후 한 쌍의 톱니바퀴(38a, 38b)에 배면측이 맞물린 상태에서 당해 전후 한 쌍의 톱니바퀴(38a, 38b) 사이로부터 바로 위로 연장됨과 아울러, 상단이 지지대 유닛(2a/2b)에 브래킷(41a, 41b)을 통하여 연결된 것으로, 상기 톱니바퀴(38a, 38b)의 주위를 회동하는 방향(배면측)에만 절곡 가능하게 구성되고, 전후 한 쌍의 톱니바퀴(38a, 38b) 사이로부터 지지대 유닛(2a/2b)까지의 수직 연장 부분에서는, 양쪽 체인 본체(40a, 40b)의 서로 대면하는 배면측이 서로 맞물려서 수직 연장 자세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주지의 것이다. 상기 전후 한 쌍의 톱니바퀴(38a, 38b)는, 도시 생략하고 있지만, 기어 케이스(37) 내에 축지지된 기어를 통하여 서로 역전 연동하도록 연동 연결되어 있다.
양쪽 짚체인 기구(21a, 21b)는 서로 동심 형상으로 위치하는 톱니바퀴(38b)끼리를 연동 연결하는 전동축(42)에 의해 서로 연동 연결됨과 아울러, 한 쪽의 짚체인 기구(21b)의 톱니바퀴(38b)와 연동 연결하는 1개의 구동축(43)을 갖는다. 이 구동축(43)이 상기 로킹 수단(23)을 구성하는 셀프 로킹 타입의 전동 수단, 즉, 웜 감속기(44)와, 이 웜 감속기(44)의 웜 기어가 부착된 입력축(44a)과 상기 수동축(22)을 연동 연결하는 직각 전동 수단(45)을 통하여, 상기 수동축(22)에 연동 연결되어 있다. 수동축(22)은, 반송 대차(1)의 대차 본체(1a)의 일측변 하측에, 지지판(46)을 통하여 대차 본체(1a)에 고착된 베어링(47)에 의해, 상기 전동축(42) 및 구동축(43)과 평행한 좌우 수평방향으로 지승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승강 구동 수단(3)에 의하면, 수동축(22)을 회전구동함으로써, 그 회전력이 직각 전동 수단(45), 웜 감속기(44), 구동축(43), 및 전동축(42)을 통하여, 좌우 한 쌍의 짚체인 기구(21a, 21b)의 톱니바퀴(38a, 38b)에 전달되고, 양쪽 짚체인 기구(21a, 21b)의 체인 본체(40a, 40b)를 밀어 올려 구동하거나 또는 끌어내려 구동할 수 있다. 양쪽 짚체인 기구(21a, 21b)의 체인 본체(40a, 40b)를 밀어 올려 구동한 경우에는, 워크 지지대(2)의 좌우 한 쌍의 지지대 유닛(2a, 2b)이 서로 연동하여 밀어 올려지고, 양쪽 짚체인 기구(21a, 21b)의 체인 본체(40a, 40b)를 끌어내려 구동한 경우에는, 워크 지지대(2)의 좌우 한 쌍의 지지대 유닛(2a, 2b)이 서로 연동하여 강하하게 된다. 이 때, 양쪽 지지대 유닛(2a, 2b)은 각각 다단 시저스 링크 기구(20a, 20b)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도 9에 도시하는 상승 한계 높이로부터 도 10에 도시하는 하강 한계 높이까지의 범위 내에서, 서로 동일 높이의 수평자세를 유지하고 수직하게 평행 승강운동 하게 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하강 한계 높이까지 양쪽 지지대 유닛(2a, 2b)이 강하했을 때, 당해 양쪽 지지대 유닛(2a, 2b)의 전후 양단부의 바로 아래에, 대차 본체(1a) 위에 세워서 설치된 지지 부재(48)가 위치하도록 구성해 두면, 하강 한계 높이까지 강하한 양쪽 지지대 유닛(2a, 2b)을 지지 부재(48)에서 안정적으로 받아들이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하는 상승 한계 높이(또는 설정된 높이)까지 양쪽 지지대 유닛(2a, 2b)을 상승시켰을 때에는, 로킹 수단(23)을 구성하는 웜 감속기(44)의 존재에 의해, 수동축(22)에 대한 회전력 전달이 해제되어 당해 수동축(22)이 자유로운 상태가 되어도, 양쪽 지지대 유닛(2a, 2b)이 중력으로 강하하는 것은 저지되어 있다. 즉, 체인 본체(40a, 40b)를 강하방향으로 이동시켜 톱니바퀴(38a, 38b)를 회전시키는 것은 이들 톱니바퀴(38a, 38b)에 연동하는 구동축(43)이 웜 감속기(44)에 의해 회전 불능으로 로킹되어 있으므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양쪽 지지대 유닛(2a, 2b)이 중력에 의해 강하하는 것은, 이 지지대 유닛(2a, 2b)과 톱니바퀴(38a, 38b) 사이의 체인 본체(40a, 40b)가 버팀대와 같은 상태로 되어, 확실하게 저지된다.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상승 한계 높이(또는 설정된 높이)까지 양쪽 지지대 유닛(2a, 2b)을 상승시켰을 때에는, 도 9,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다단 시저스 링크 기구(20a, 20b)의 수직 상하방향의 신축운동을 저지하기 위한 로킹바(49)를 세팅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작업자에게 시각적으로 안심감을 줄 수 있다. 이 로킹바(49)는, 예를 들면, 상단의 시저스 링크(26b)의 링크 단체(24a, 24b)끼리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당해 링크 단체(24a, 24b)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로킹바 걸림용 핀(50)에 대하여 로킹바(49)의 양단의 구멍을 끼워맞춤으로써 세팅하고, 당해 로킹바 걸림용 핀(50)으로부터 로킹바(49)를 빼냄으로써 각 다단 시저스 링크 기구(20a, 20b)의 수직 상하방향의 신축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로킹바(49)의 양단의 구멍에 끼워맞추는 로킹바 걸림용 핀(50)을 링크 단체(24a, 24b)에 대하여 자전 가능하게 지승함과 아울러, 링크 단체(24a, 24b)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내단부를 아이 볼트 모양으로 형성하고, 양쪽 다단 시저스 링크 기구(20a, 20b)끼리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로드(51)의 양단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 설치한 걸림핀을 상기 로킹바 걸림용 핀(50)의 내단 아이 볼트부에 하향으로 끼워맞추어 걸 수 있도록 구성하면, 양쪽 다단 시저스 링크 기구(20a, 20b)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흔들려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연결 로드(51)(로킹바 걸림용 핀(50))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쪽 다단 시저스 링크 기구(20a, 20b)가 축소하여 워크 지지대(2)가 하강 한계 높이까지 강하했을 때에 대차 본체(1a) 등과 간섭하지 않는 높이에 위치해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항상 양쪽 다단 시저스 링크 기구(20a, 20b) 사이에 가설해 둘 수 있다. 물론, 로킹바 걸림용 핀(50)과는 별도로 연결 로드(51)의 양단을 거는 아이 볼트를 링크 단체(24a, 24b)에 부착할 수도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승강 구동 수단(3)의 수동축(22)에 대하여 회전력을 주기 위한 동력원용 대차에 대하여, 도 14∼도 2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 동력원용 대차(52)는, 도 1에 도시하는 자동차 조립 라인에서는, 제 2 작업구간(C-D) 및 제 3 작업구간(E-F) 내에 설정된 각 워크 지지 높이 전환 위치(C1, C2, E1, E2)에 있어서, 반송 대차(1)의 주행경로 옆(수동축(22)이 있는 측)에 병설되는 것으로서, 당해 반송 대차(1)의 주행경로와 평행하게 바닥면 위에 부설된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레일(53a, 53b) 위를 일정 범위 내에서 왕복 주행하는 것이다. 즉, 도 14∼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력원용 대차(52)는 상기 가이드 레일(53a, 53b)에 끼워맞추는 좌우 한 쌍 전후 2세트의 플렌지 부착 차륜(54a∼55b), 일방의 좌우 한 쌍의 플렌지 부착 차륜(55a, 55b)을 부착하는 구동축(56), 및 당해 구동축(56)을 회전구동하는 감속기 부착 모터(57)를 구비하고, 당해 감속기 부착 모터(57)를 가동시킴으로써 좌우 한 쌍의 플렌지 부착 차륜(55a, 55b)을 회전구동하여 자주시킬 수 있지만, 감속기 부착 모터(57)를 가동시키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가이드 레일(53a, 53b) 위를 자유롭게 전후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감속기 부착 모터(57)로서 셀프 로킹 기능을 갖지 않는 감속기를 구비한 것을 사용하거나 또는, 감속기 부착 모터(57)의 출력측에 전자 클러치가 개재되어, 감속기 부착 모터(57)를 가동시킬 때만 상기 전자 클러치가 자동적으로 접속되는 타입의 것이 사용된다.
상기 동력원용 대차(52)에는, 반송 대차(1)측의 승강 구동 수단(3)의 수동축(22)에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축(58), 이 전동축(58)을 구동하는 감속기 부착 모터(59), 반송 대차(1)에 대하여 동력원용 대차(52)를 동기 주행시키기 위한 동기 구동 수단(60), 및 수동축(22)과 전동축(58)을 서로 연동 연결하는 분리 자유로운 연동 수단(6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동기 구동 수단(60)은, 상기 플렌지 부착 차륜(55a, 55b)을 회전구동하는 감속기 부착 모터(57)를 전기적으로 제어하여, 정속으로 전진 주행하는 반송 대차(1)와 동력원용 대차(52)를 동기 주행시키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동기 구동 수단(60)이 반송 대차(1)와 동력원용 대차(52)를 연결하는 연결/이탈 자유로운 연결 수단(6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구체 구조를 설명하면 상기 연결 수단(62)은 반송 대차(1)의 대차 본체(1a)의 좌우 양측변 중, 상기 수동축(22)이 설치되어 있는 측의 측변부에, 수직 하향으로 돌출 설치된 축체로 구성된 피협지부(63), 이 피협지부(63)를 반송 대차(1)의 주행방향의 전후에서 협지 가능하게 동력원용 대차(52)에 설치된 개폐 자유로운 협지도구(64a, 64b), 및 동력원용 대차(52)에 설치되어 협지도구(64a, 64b)를 피협지부(63)의 이동경로의 외측으로 퇴피한 퇴피 상태와 피협지부(63)를 협지하는 협지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 구동 수단(65)으로 구성되어 있다. 협지도구(64a, 64b) 중, 반송 대차(1)측의 피협지부(63)를 받는 측의 협지도구(64a)는 동력원용 대차(52) 위에 위치 고정된 슬라이드 가이드(66)에 의해 출퇴 이동 자유롭게 지지된 광폭의 띠 형상체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당해 협지도구(64a)는, 그 출퇴 이동방향(협지도구(64a)의 길이방향)이 반송 대차(1)의 주행경로에 대하여 직각 수평방향이 아니고, 당해 협지도구(64a)의 선단이 반송 대차(1)의 전진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후퇴하도록 경사져 있고, 이 협지도구(64a)의 선단 근방의 좌우 양측 중, 반송 대차(1)의 전진측과는 역측에는, 당해 협지도구(64a)에 고착된 베어링판(67)에 수직 지지축(68)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축지지된 가동판(69)이 설치되고, 이 가동판(69)에 타방의 협지도구(64b)가 고착되어 있다.
전환 구동 수단(65)은 협지도구(64a)를 출퇴 구동하는 실린더 유닛(70)과, 상기 가동판(69)과 협지도구(64a) 사이에 개재되어 당해 가동판(69)(협지도구(64b))을 개폐 구동하는 실린더 유닛(71)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워크 지지 높이 전환 위치(C1, C2, E1, E2)에서 대기하고 있는 동력원용 대차(52)에 있어서, 도 17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협지도구(64a)에 대하여 협지도구(64b)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 협지도구(64a)를 실린더 유닛(70)에 의해 진출 한계 위치까지 진출시켜 두면, 정속으로 전진 주행해 오는 반송 대차(1)의 피협지부(63)가, 열려 있는 협지도구(64b) 앞을 통과한 후에 협지도구(64a)의 선단부에 맞닿는다. 이 결과, 주행에 관하여 로킹되어 잇지 않은 동력원용 대차(52)가 피협지부(63)와 협지도구(64a)를 통하여 반송 대차(1)측의 추력을 받아, 당해 반송 대차(1)와 동일한 방향으로 전진 주행을 개시하므로, 이 직후에, 실린더 유닛(71)에 의해 가동판(69)을 통하여 협지도구(64b)를 수직 지지축(68)의 주위로 폐쇄 동작시켜, 협지도구(64a, 64b) 사이에서 반송 대차(1)측의 피협지부(63)를 협지할 수 있다. 이 결과, 동력원용 대차(52)는 반송 대차(1)에 연결된 상태가 되어, 반송 대차(1)의 추력을 받아 당해 반송 대차(1)와 일체로 전진 주행하게 된다.
반송 대차(1)에 대한 동력원용 대차(52)의 동기 주행을 해제할 때는, 실린더 유닛(71)에 의해 가동판(69)을 통하여 협지도구(64b)를 수직 지지축(68)의 주위로 개방 동작시켜, 반송 대차(1)측의 피협지부(63)의 협지 작용을 해제한 후, 진출 한계 위치에 있는 협지도구(64a)를 실린더 유닛(70)에 의해 후퇴 끝 위치까지 후퇴시켜,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협지도구(64a, 64b)를 반송 대차(1)측의 피협지부(63)의 이동경로로부터 외측으로 퇴피시키면 된다. 이 상태에서는, 감속기 부착 모터(57)로 플렌지 부착 차륜(55a, 55b)을 강제 구동하여 동력원용 대차(52)를 원래의 정위치(워크 지지 높이 전환 위치(C1, C2, E1, E2))까지 후진 복귀시킬 수 있다.
상기 한바와 같이 연결 수단(62)에 의해 동력원용 대차(52)와 반송 대차(1)를 연결 일체화했을 때, 동력원용 대차(52)측의 전동축(58)과 반송 대차(1)측의 수동축(22)은 반송 대차(1)의 주행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서 서로 동심 형상으로 위치하게 되는데, 이들 전동축(58)과 수동축(22)에는 서로 끼워맞춤/이탈 자유로운 회전전달용 끼워맞춤 선단부(58a, 22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동 수단(61)은 전동축(58)을 그 축심방향으로 출퇴 이동시키는 전동축 출퇴 구동 수단(7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도 18∼도 23에 기초하여 상기 전동축 출퇴 구동 수단(72)의 구체 구조를 설명하면 동력원용 대차(52) 위에는 전동축(58)의 축심방향으로 왕복이동 자유롭게 지지된 가동체(73)와, 이 가동체(73)를 왕복이동시키는 가동체 구동 수단(74)이 설치되어 있다. 가동체 구동 수단(74)은 동력원용 대차(52)에 세워서 설치된 수직한 지지체(75)의 측면에 상하 2단으로 부설된 슬라이드 가이드 레일(76), 지지체(75)의 측면에 부착된 베어링(77)에 의해 양쪽 슬라이드 가이드 레일(76) 사이에서 당해 슬라이드 가이드 레일(76)과 평행하게 자전만 가능하게 지승된 스크루 샤프트(78), 및 이 스크루 샤프트(78)를 정역회전 구동하는 감속기 부착 모터(79)를 구비하고, 가동체(73)는 슬라이드 가이드 레일(76)에 끼워맞추는 슬라이드 블록(80)과, 스크루 샤프트(78)에 돌려 끼우는 너트 부재(81)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감속기 부착 모터(79)에 의해 스크루 샤프트(78)를 정역회전 구동함으로써, 가동체(73)를 슬라이드 가이드 레일(76)을 따라 전동축(58)의 축심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체(75)의 측면에는, 가동체(75)의 왕복이동 행정의 양단 위치를 정하는 스토퍼(82a, 82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동체(73)는 반송 대차(1)의 주행경로측과는 반대측의 배면부가 개방된 직사각형 상자형의 것으로, 그 내부에는, 정면판(73a)과 평행한 가동 기판(83)이 자동 중심 조정 지지 수단(84)을 통하여 상하좌우 2차원 방향으로 일정 범위 내에서 유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가동 기판(83)에는, 전동축(58)과 동심 형상으로 원통 형상 베어링 부재(88)가 고착되고, 이 원통 형상 베어링 부재(88)에 중계축(89)이 자전만 가능하게 동심 형상으로 지승되고, 이 중계축(89)을 통하여 전동축(58)을 정역회전 구동하는 감속기 부착 모터(59)가, 당해 모터(59)를 지지하는 모터 지지판(90)과 가동 기판(83)을 연결하는 둘레방향 복수 개의 연결축체(91)를 통하여, 가동체(73)의 후방으로 돌출하는 상태에서 가동 기판(83)에 지지되어 있다. 전동축(58)은, 상기 중계축(89)의 선단측의 각축부(89a)에 일정 범위 내에서 축심방향 슬라이딩만 가능하게 끼워맞추는 내측통축부(92), 이 내측통축부(92)의 선단에 동심 형상으로 연결 일체화된 중간 시트판(93)과 선단통축부(94), 및 선단통축부(94)에 동심 형상으로 지지된 선단축부(95)로 구성되어 있다. 내측통축부(92)는 원통 형상 베어링 부재(88)에 대하여 출퇴 자유롭게 끼워맞추어지고, 그 내단과 중계축(89)의 중간 플랜지부(89b) 사이에서 각축부(89a)에 외측에서 끼워진 압축 코일 스프링(96)에 의해,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계축(89)에 대하여 진출 한계 위치에 가압 유지되어 있다. 또한, 원통 형상 베어링 부재(88)의 선단에는, 전동축(58)의 내측통축부(92)에 형성된 소직경 동체부(92a)에 끼워맞추어지고, 중계축(89)에 대한 전동축(58)의 축심방향 슬라이딩 범위를 규제하는 빠짐방지 부재(88a)가 부착되어 있다.
전동축(58)의 선단축부(95)에는, 바깥쪽으로 넓은 삽입 가이드부(95a)를 구비한 각구멍부(95b)가 동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전달용 끼워맞춤 선단부(58a)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선단축부(95)는,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통축부(94)에 설치된 관통 각구멍부(94a)에 대하여 근소한 일정 범위 내에서 360도 임의의 방향으로 경동 가능하게 관통하는 각축부(95c)를 구비하고 있어, 중간 시트판(93)과의 사이에 개재된 압축 코일 스프링(97)에 의해, 내측통축부(92)에 대하여 거의 동심 형상의 평행 자세로 유지되어 있다.
가동체(73)의 가동 기판(83)에는 전동축(58)을 사이에 끼도록 2개의 위치 결정용 로드(98a, 98b)가 당해 전동축(58)과 평행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들 위치 결정용 로드(98a, 98b)는 가동 기판(83)에 부착된 통 형상 가이드(99a, 99b)에 축심방향 이동 자유롭게 관통함과 아울러, 당해 위치 결정용 로드(98a, 98b)에 고정된 고정 스프링 받이 시트(100a, 100b)와 당해 위치 결정용 로드(98a, 98b)에 축심방향 이동 자유롭게 헐겁게 끼워져서 상기 통 형상 가이드(99a, 99b)의 전단에 맞닿는 가동 스프링 받이 시트(101a, 101b)와의 사이에서 위치 결정용 로드(98a, 98b)에 밖에서 끼워진 압축 코일 스프링(102a, 102b)에 의해, 이들 위치 결정용 로드(98a, 98b)의 후단에 위치조정 자유롭게 부착된 스토퍼(103a, 103b)가 통 형상 가이드(99a, 99b)의 후단에 맞닿는 진출 한계 위치에 가압 유지되어 있다. 또한, 각 위치 결정용 로드(98a, 98b)에는 원추형 첨단부(104a, 104b)가 설치되어 있다.
도 11, 도 12, 도 24, 및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 대차(1)측의 수동축(22)의 회전전달용 끼워맞춤 선단부(22a)는 동력원용 대차(52)측의 전동축(58)의 회전전달용 끼워맞춤 선단부(58a)의 각구멍부(95b)에 끼워맞추는 각축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수동축(22)을 끼우도록, 동력원용 대차(52)측의 2개의 위치 결정용 로드(98a, 98b)의 원추형 첨단부(104a, 104b)가 끼워맞추는 원추형 구멍(105a, 105b)을 갖는 위치 결정용 끼워맞춤 부재(106a, 106b)가 수동축(22)을 지승하는 지지판(46) 중 1개에 고착되어 있다.
가동체(73) 내의 가동 기판(83)을 지지하는 자동 중심 조정 지지 수단(84)은,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체(73)의 정면판(73a)과 가동 기판(83) 사이에 배치된 중간 가동판(85), 이 중간 가동판(85)과 정면판(73a)과의 사이에 개재된 좌우 수평방향의 자동 중심 조정 기구(86), 및 중간 가동판(85)과 가동 기판(83)과의 사이에 개재된 상하 수직방향의 자동 중심 조정 기구(87)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간 가동판(85)과 가동체(73)의 정면판(73a)에는, 전동축(58) 및 중계축(89)을 지승하는 원통 형상 베어링 부재(88)와 2개의 위치 결정용 로드(98a, 98b)가 관통하는 관통구멍(107, 108)이 설치되는데, 이들 관통구멍(107, 108)은 자동 중심 조정 지지 수단(84)이 허용하는 가동 기판(83)의 수직 2차원 평면상의 이동 범위 내에서의 원통 형상 베어링 부재(88)와 위치 결정용 로드(98a, 98b)의 이동을 허용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 수평방향의 자동 중심 조정 기구(86)는, 도 18 및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 형상 베어링 부재(88)의 상하 2개소에서 가동체(73)의 정면판(73a)에 수평방향으로 가설된 상하 한 쌍의 수평 가이드 로드(109a, 109b), 이들 각 수평 가이드 로드(109a, 109b)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밖에서 끼우고 또한 중간 가동판(85)에 부착된 상하 한 쌍의 슬라이딩체(110a, 110b), 및 수평 가이드 로드(109a, 109b)에 각 슬라이딩체(110a, 110b)를 끼우도록 헐겁게 끼워져 각 슬라이딩체(110a, 110b)를 수평 가이드 로드(109a, 109b)의 중앙 위치에 가압 유지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111a, 111b, 112a, 112b)으로 구성되어 있다. 113a, 113b 및 114a, 114b는 각 슬라이딩체(110a, 110b)의 슬라이딩 범위를 규제하도록 가동체(73)의 정면판(73a)에 부착된 스토퍼이다.
또한, 상하 수직방향의 자동 중심 조정 기구(87)는, 도 18 및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 형상 베어링 부재(88)의 좌우 2개소에서 중간 가동판(85)에 수직방향으로 가설된 좌우 한 쌍의 수직 가이드 로드(115a, 115b), 이들 각 수직 가이드 로드(115a, 115b)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밖에서 끼우고 또한 가동 기판(83)에 부착된 좌우 한 쌍의 슬라이딩체(116a, 116b), 및 수직 가이드 로드(115a, 115b)에 각 슬라이딩체(116a, 116b)를 사이에 끼도록 헐겁게 끼워져 각 슬라이딩체(116a, 116b)를 수직 가이드 로드(115a, 115b)의 중앙 위치에 가압 유지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117a, 117b, 118a, 118b)으로 구성되어 있다. 119a, 119b 및 120a, 120b는 각 슬라이딩체(116a, 116b)의 슬라이딩 범위를 규제하도록 중간 가동판(85)에 부착된 스토퍼이다.
상기 구성의 자동 중심 조정 지지 수단(84)에 의하면, 중간 가동판(85)은 가동체(73)의 정면판(73a)에 대하여, 각 슬라이딩체(110a, 110b)가 수평 가이드 로드(109a, 109b)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립 위치에 압축 코일 스프링(111a∼112b)에 의해 유지되고, 가동 기판(83)은 중간 가동판(85)에 대하여, 각 슬라이딩체(116a, 116b)가 수직 가이드 로드(115a, 115b)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립 위치에 압축 코일 스프링(117a∼118b)에 의해 유지되고 있으므로, 가동 기판(83)에 지지되어 있는 전동축(58)은 수직 2차원 평면상의 정위치(중립 위치)에서 안정되어 있다. 이 전동축(58)에 수직 2차원 평면에 따른 방향의 외력이 작용하면, 그 외력의 작용방향 중, 좌우 수평방향의 분력에 의해 중간 가동판(85)이 가동체(73)의 정면판(73a)에 대하여, 슬라이딩체(110a, 110b)와 함께 압축 코일 스프링(111a, 112a 또는 111b, 112b)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스토퍼(113a, 114a 또는 113b, 114b)로 제한되는 위치까지 평행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외력의 작용방향 중, 상하 수직방향의 분력에 의해 가동 기판(83)이 중간 가동판(85)에 대하여, 슬라이딩체(116a, 116b)와 함께 압축 코일 스프링(117a, 118a 또는 117b, 118b)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스토퍼(119a, 120a 또는 119b, 120b)로 제한되는 위치까지 평행이동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외력이 없어지면, 전동축(58)은 수직 2차원 평면상의 정위치(중립 위치)로 자동 복귀하여 안정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동력원용 대차(52)의 사용방법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1에 도시하는 자동차 조립 라인의 제 2 작업구간(C-D) 및 제 3 작업구간(E-F) 내에 설정된 각 워크 지지 높이 전환 위치(C1, C2, E1, E2)에 대응하는 정위치에서 대기하고 있던 동력원용 대차(52)가 앞에 설명한 바와 같이 동기 구동 수단(60)(연결 수단(62))의 협지도구(64a, 64b)가 반송 대차(1)측의 피협지부(63)를 협지함으로써, 정속주행하고 있는 반송 대차(1)와 일체로 동기 주행하기 시작하면, 도 14, 도 15, 및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토퍼(82b)에 가동체(73)가 맞닿는 후퇴 한계 위치에서 대기하고 있던 가동체(73)를 가동체 구동 수단(74)의 감속기 부착 모터(79)를 정전 구동하여 슬라이드 가이드 레일(76)을 따라 전진 이동시킨다. 이 때 전동축(58)은,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계축(89)에 대하여 압축 코일 스프링(96)의 가압력으로 진출 한계 위치에 유지되어 있고, 2개의 위치 결정용 로드(98a, 98b)도,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기판(83)에 대하여 압축 코일 스프링(102a, 102b)의 가압력으로 진출 한계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이 때의 2개의 위치 결정용 로드(98a, 98b)의 원추형 첨단부(104a, 104b)는 전동축(58)의 선단(선단축부(95)의 선단)보다 조금 전방으로 돌출해 있다.
가동체(73)의 전진 이동에 의해 당해 가동체(73)에 지지되어 있는 전동축(58)이 반송 대차(1)측에 접근 이동하고, 도 24 및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 대차(1)측의 수동축(22)에 대하여 전동축(58)의 회전전달용 끼워맞춤 선단부(58a), 즉, 선단축부(95)의 각구멍부(95b)가 반송 대차(1)측의 수동축(22)의 각축 형상의 회전 전달용 끼워맞춤 선단부(22a)에 밖에서 끼워지게 되는데, 이것에 앞서, 가동체(73)에 지지되어 있는 2개의 위치 결정용 로드(98a, 98b)의 원추형 첨단부(104a, 104b)가 반송 대차(1)측의 위치 결정용 끼워맞춤 부재(106a, 106b)의 원추형 구멍(105a, 105b)에 끼워 넣어지는 과정에서, 앞에 설명한 바와 같이 전동축(58)과 2개의 위치 결정용 로드(98a, 98b)는 가동체(73)에 대하여 수직 2차원 평면을 따라 일정 범위 내에서 압축 코일 스프링(111a∼112b, 117a∼118b)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2개의 위치 결정용 로드(98a, 98b)와 위치 결정용 끼워맞춤 부재(106a, 106b)의 원추형 구멍(105a, 105b)의 축심 사이의 위치 어긋남, 나아가서는 전동축(58)의 회전전달용 끼워맞춤 선단부(58a)(선단축부(95)의 각구멍부(95b))와 수동축(22)의 각축상의 회전전달용 끼워맞춤 선단부(22a)의 축심 간의 위치 어긋남이 자동적으로 교정되어, 수동축(22)의 각축상의 회전전달용 끼워맞춤 선단부(22a)에 대한 전동축(58)의 회전전달용 끼워맞춤 선단부(58a)(선단축부(95)의 각구멍부(95b))의 끼워맞춤이 원활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해진다.
도 24 및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체(73)가 스토퍼(82a)로 위치 결정되는 전진 한계 위치에 도달했을 때, 2개의 위치 결정용 로드(98a, 98b)는 압축 코일 스프링(102a, 102b)에 저항하여 후퇴이동하고 있고, 전동축(58)은 그 선단축부(95)가 수동축(22)의 선단으로 상대적으로 밀려짐으로써, 중계축(89)에 대하여 압축 코일 스프링(96)에 저항하여 후퇴이동하고 있다. 따라서, 전동축(58)은 압축 코일 스프링(96)의 반력으로 전방으로 눌려져 있어, 그 회전전달용 끼워맞춤 선단부(58a)(선단축부(95)의 각구멍부(95b))가 수동축(22)의 각축상의 회전전달용 끼워맞춤 선단부(22a)에 끼워맞춘 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된다. 또한, 가령, 전동축(58)의 회전전달용 끼워맞춤 선단부(58a)(선단축부(95)의 각구멍부(95b))와 수동축(22)의 각축상의 회전전달용 끼워맞춤 선단부(22a)와의 둘레방향의 위상이 맞지 않아, 각구멍부(95b)에 수동축(22)의 회전전달용 끼워맞춤 선단부(22a)가 끼워맞추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서로 맞결합하는 상황이 되어도, 중계축(89)에 대한 전동축(58)의 후퇴 이동량이 커질 뿐이며, 전동축(58)측의 회전전달용 끼워맞춤 선단부(58a)와 수동축(22)측의 회전전달용 끼워맞춤 선단부(22a)와의 축방향의 서로 미는 상태는 유지되므로, 후술과 같이, 전동축(58)이 회전구동되었을 때에 양자는 확실하게 서로 끼워맞추어지게 된다. 또한 전동축(58)의 선단축부(95)는 당해 전동축(58)(내측통축부(92))에 대하여 완전히 고정 일체화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양자 간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97)에 저항하는 적당한 여유가 확보되어 있으므로, 당해 전동축(58)의 선단축부(95)(회전 전달용 끼워맞춤 선단부(58a))와 수동축(22)의 회전전달용 끼워맞춤 선단부(22a) 사이에 약간의 축심의 상대적인 경사가 있어도, 그 양자의 끼워맞춤은 원활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동체(73)가 전진 한계 위치에 도달하여, 수동축(22)의 각축상의 회전전달용 끼워맞춤 선단부(22a)에 대한 전동축(58)의 회전전달용 끼워맞춤 선단부(58a)(선단축부(95)의 각구멍부(95b))의 끼워맞춤이 완료되면, 감속기 부착 모터(59)를 가동시켜 중계축(89)을 회전구동함으로써, 그 회전력이 중계축(89)의 각축부(89a), 전동축(58)의 내측통축부(92), 중간 시트판(93), 선단통축부(94)의 관통 각구멍부(94a), 선단축부(95)의 각축부(95c), 선단축부(95)의 각구멍부(95b), 및 수동축(22)의 회전전달용 끼워맞춤 선단부(22a)를 경유하여 당해 수동축(22)에 전달되어, 반송 대차(1)측의 수동축(22)을 회전구동시킬 수 있다.
반송 대차(1)측의 수동축(22)이 회전구동됨으로써, 그 회전력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직각 전동 수단(45), 및 웜 감속기(44)를 경유하여, 워크 지지대(2)의 승강 구동 수단(3)에 있어서의 구동축(43)에 전달되고, 전동축(42)에서 서로 연동하는 좌우 한 쌍의 짚체인 기구(21a, 21b)의 톱니바퀴(38a, 38b)가 회전구동된다. 따라서, 도 1의 워크 지지대(2)를 상승시키는 워크 지지 높이 전환 위치(C1, E1)에서는, 좌우 한 쌍의 짚체인 기구(21a, 21b)의 체인 본체(40a, 40b)를 밀어 올리는 방향으로 톱니바퀴(38a, 38b)가 정전 구동되고, 워크 지지대(2)를 하강시키는 워크 지지 높이 전환 위치(C2, E2)에서는, 좌우 한 쌍의 짚체인 기구(21a, 21b)의 체인 본체(40a, 40b)를 끌어내리는 방향으로 톱니바퀴(38a, 38b)가 역전 구동되도록, 동력원용 대차(52)측의 전동축(58)의 회전방향을 결정하면 된다. 또한, 워크 지지대(2)를 상승시키는 워크 지지 높이 전환 위치(C1, E1)에서는, 워크 지지대(2)가 소정 레벨까지 상승하는데 요하는 시간만큼, 워크 지지대(2)를 하강시키는 워크 지지 높이 전환 위치(C2, E2)에서는, 워크 지지대(2)가 소정 레벨까지 하강하는데 요하는 시간만큼, 동력원용 대차(52)측의 전동축(58)을 회전구동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각 워크 지지 높이 전환 위치(C1, C2, E1, E2)를 통과하는 반송 대차(1)의 워크 지지대(2)의 승강 구동 수단(3)을, 당해 반송 대차(1) 위의 동력원이 아니고, 당해 반송 대차(1)에 견인되어 동기 주행하는 동력원용 대차(52) 위의 동력원(감속기 부착 모터(59))에 의해 구동하여, 워크 지지대(2)에 의한 워크 지지 높이의 전환이 완료되면, 감속기 부착 모터(59)에 의한 전동축(58)의 구동을 정지함과 아울러, 가동체 구동 수단(74)의 감속기 부착 모터(79)로 스크루 샤프트(78)를 역전 구동하여, 가동체(73)와 함께 전동축(58)과 2개의 위치 결정용 로드(98a, 98b)를 원래의 대기위치까지 후퇴 이동시킨다. 이 결과, 전동축(58)과 2개의 위치 결정용 로드(98a, 98b)가 가동체(73)(가동 기판(83))에 대하여 원래의 대기위치까지 압축 코일 스프링(96, 102a, 102b)의 가압력에 의해 진출 이동함과 아울러, 반송 대차(1)측의 수동축(22)과 2개의 위치 결정용 끼워맞춤 부재(106a, 106b)로부터 축심방향으로 이탈한다. 이 후, 동력원용 대차(52) 위의 동기 구동 수단(60)을 구성하고 있는 연결 수단(62)의 협지도구(64b)를 실린더 유닛(71)으로 개방시킴과 아울러 협지도구(64a)를 실린더 유닛(70)에 의해 후퇴 이동시켜, 양쪽 협지도구(64a, 64b)를 반송 대차(1)측의 피협지부(63)의 이동경로의 횡측방으로 퇴출시킨다. 이것에 의해 동력원용 대차(52)가 반송 대차(1)로부터 분리되어 정지하므로, 감속기 부착 모터(57)를 가동시켜 플렌지 부착 차륜(55a, 55b)을 회전구동하여, 동력원용 대차(52)를 가이드 레일(53a, 53b) 위에서 원래의 정위치(워크 지지 높이 전환 위치(C1, C2, E1, E2))까지 후진시키고, 다음 반송 대차(1)가 당해 정위치에 도착까지 대기시키면 된다.
또한, 각 작업구간(A-B, C-D, E-F, G-H) 등에 있어서, 전후의 반송 대차(1)가 서로 맞결합하는 상태, 즉, 각 반송 대차(1)의 대차 본체(1a)의 작업용 바닥면을 반송 대차 주행경로 방향에 연속하는 상태에서 각 반송 대차(1)를 주행시키는 연속 정속주행 구간에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전의 반송 대차(1)의 후단의 견인용 걸림도구(10)를 직후의 반송 대차(1)의 전단의 피견인용 훅(9)에 걸어 맞추어지게 하고, 구간 내의 모든 반송 대차(1)를 연결상태로 해 둠으로써, 만일, 당해 구간의 입구측의 마찰 구동 장치(Q)에 의해 각 반송 대차(1)를 지지 구동할 수 없는 상황이 되었을 때에도, 당해 구간의 출구측의 마찰 구동 장치(Q)에 의해 반송 대차(1)를 퇴출시킴으로써, 후속의 모든 반송 대차(1)를 견인주행시켜 당해 구간으로부터 퇴출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각 연속 정속주행 구간의 출구에서 1대씩 반송 대차(1)를 분리하여 고속으로 내보내는 장소에는, 도 7에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캠 레일(11)을 바닥측에 부설해 두고, 고속으로 내보내는 반송 대차(1)의 견인용 걸림도구(10)를 캠 레일(11)에서 견인 해제 자세로 전환한 후에 당해 반송 대차(1)를 고속으로 분리하여 주행시키면 된다. 또한, 각 연속 정속주행 구간의 입구측에도 상기 캠 레일(11)을 부설해 두고, 각 연속 정속주행 구간으로 보내진 반송 대차(1)의 견인용 걸림도구(10)를 견인 해제 자세로 전환해 두고, 후속의 반송 대차(1)가 맞결합 상태로 된 후에 상기 견인용 걸림도구(10)가 캠 레일(11)로부터 떨어져서 견인작용 자세로 복귀하고, 후측의 반송 대차(1)의 피견인용 훅(9)과 걸어맞추어지도록 하면 된다.
본 발명의 대차식 반송 장치는 워크 지지대를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 수단을 구비한 반송 대차를 사용하는 자동차 조립 라인에서의 자동차 차체의 반송에 활용할 수 있다.
A-B, C-D, E-F, G-H 작업구간
B-C, D-E, F-G 중계구간
H-J-A 빈 반송 대차 되돌림 구간
D-K-L-E 완충구간
M-N 보조구간
P 반송 대차 전향 장치
Q 마찰구동 장치
R 반출위치
S 반송 대차 보수작업장
W 워크(자동차 차체)
1 반송 대차
2 워크 지지대
2a, 2b 지지대 유닛
3 승강 구동 수단
4a, 4b, 53a, 53b 가이드 레일
5a∼5d 차륜 유닛
9 피견인용 훅
10 견인용 걸림도구
11 캠 레일
12a, 12b 구동 유닛
15, 57, 59, 79 감속기 부착 모터
16 마찰구동륜
20a, 20b 다단 시저스 링크 기구
21a, 21b 짚체인 기구
22 수동축
22a, 58a 회전전달용 끼워맞춤 선단부
23 로킹 수단
26a, 26b 시저스 링크
38a, 38b 톱니바퀴
39a, 39b 체인 수납 케이스
40a, 40b 체인 본체
42 전동축
43 구동축
44 웜 감속기
45 직각 전동 수단
49 로킹바
51 연결 로드
52 동력원용 대차
58 전동축
60 동기 구동 수단
61 연동 수단
62 연결 수단
63 피협지부
64a, 64b 협지도구
65 협지도구의 전환 구동 수단
69 가동판
70, 71 실린더 유닛
72 전동축 출퇴 구동 수단
73 가동체
74 가동체 구동 수단
76 슬라이드 가이드 레일
78 스크루 샤프트
83 가동 기판
84 자동 중심 조정 지지 수단
85 중간 가동판
86 좌우 수평방향의 자동 중심 조정 기구
87 상하 수직방향의 자동 중심 조정 기구
88 원통 형상 베어링 부재
89 중계축
92 전동축의 내측통축부
93 전동축의 중간시트판
94 전동축의 선단통축부
95 전동축의 선단축부
95a 각구멍부
96, 97, 102a, 102b, 111a∼112b, 117a∼118b 압축 코일 스프링
98a, 98b 위치 결정용 로드
99a, 99b 통 형상 가이드
106a, 106b 위치 결정용 끼워맞춤 부재
109a, 109b 수평 가이드 로드
110a, 110b, 116a, 116b 슬라이딩체

Claims (8)

  1. 승강 자유로운 워크 지지대(2)와 이 워크 지지대(2)를 승강 구동하는 승강 구동 수단(3)이 설치된 반송 대차(1)의 주행경로 중에, 워크 지지 높이 전환 위치(C1, C2, E1, E2)가 설정되고, 이 워크 지지 높이 전환 위치(C1, C2, E1, E2)를 상기 반송 대차(1)가 통과할 때, 상기 승강 구동 수단(3)을 작동시켜 상기 워크 지지대(2)의 높이를 전환하도록 구성된 대차식 반송 장치로서,
    상기 워크 지지 높이 전환 위치(C1, C2, E1, E2)에 있어서의 반송 대차(1)의 주행경로 옆에, 당해 주행경로를 따라 왕복이동 자유롭게 설치된 동력원용 대차(52)와, 이 동력원용 대차(52)를 일정 거리만큼 상기 반송 대차(1)와 동기 주행시키는 동기 구동 수단(60)이 설치되고,
    상기 반송 대차(1)에는, 상기 승강 구동 수단(3)의 구동축(43)과 연동 연결된 수동축(22)과, 이 수동축(22)이 회전력을 받아들이고 있지 않을 때에 워크 지지대(2)의 강하를 저지하는 로킹 수단(23)이 설치되고,
    상기 동력원용 대차(52)에는, 상기 수동축(22)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동축(58)과, 이 전동축(58)을 회전구동하는 동력원(59)이 설치되고, 상기 반송 대차(1)와 상기 동력원용 대차(52)의 동기 주행 상태에 있어서 상기 수동축(22)과 전동축(58)을 서로 연동 연결하는 분리 자유로운 연동 수단(61)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반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수단(23)은 상기 승강 구동 수단(3)의 구동축(43)과 상기 수동축(22)과의 사이의 전동계에 개재된 웜 감속기(44)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반송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구동 수단(60)은 상기 반송 대차(1)와 상기 동력원용 대차(52)를 연결하는 연결/이탈 자유로운 연결 수단(62)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반송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62)은 상기 반송 대차(1)에 설치된 피협지부(63), 이 피협지부(63)를 상기 반송 대차(1)의 주행방향의 전후에서 협지 가능하게 상기 동력원용 대차(52)에 설치된 개폐 자유로운 협지도구(64a, 64b), 및 상기 동력원용 대차(52)에 설치되어 상기 협지도구(64a, 64b)를 상기 피협지부(63)의 이동경로의 외측으로 퇴피한 퇴피 상태와 상기 피협지부(63)를 협지하는 협지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 구동 수단(65)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반송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축(58)과 수동축(22)은 상기 반송 대차(1)와 상기 동력원용 대차(52)의 동기 주행 상태에 있어서 주행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서 서로 동심 형상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서로 끼워맞춤/이탈 자유로운 회전전달용 끼워맞춤 선단부(22a, 58a)를 구비하고,
    상기 연동 수단(61)은 상기 전동축(58)을 그 축심방향으로 출퇴 이동시키는 전동축 출퇴 구동 수단(72)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반송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축 출퇴 구동 수단(72)은, 상기 동력원용 대차(52) 위에 상기 전동축(58)의 축심방향으로 왕복이동 자유롭게 지지된 가동체(73), 이 가동체(73)를 왕복이동시키는 가동체 구동 수단(74), 상기 가동체(73)에 자전만 가능하게 지승된 중계축(89), 및 상기 동력원으로서 상기 가동체(73)에 지지되어 상기 중계축(89)을 회전구동하는 모터(59)를 구비하고,
    상기 전동축(58)은, 상기 중계축(89)에 대하여 축심방향으로만 일정 범위 내에서 상대적으로 이동 자유롭게 끼워맞추어짐과 아울러, 당해 중계축(89)과의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96)에 의해 중계축(89)에 대하여 진출 방향으로 가압되고,
    상기 반송 대차(1)와 상기 동력원용 대차(52)와의 동기 주행 상태에서 상기 가동체(73)가 진출 한계까지 이동했을 때, 상기 전동축(58)과 수동축(22)이 각각의 회전전달용 끼워맞춤 선단부(22a, 58a)에서 서로 끼워맞추어진 후, 상기 전동축(58)이 상기 중계축(89)에 대하여 상기 스프링(96)에 저항하여 후퇴이동해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반송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73)에는, 상기 전동축(58)과 병렬하고 또한 원추형 첨단부(104a, 104b)를 갖는 위치 결정용 로드(98a, 98b)가 축심방향으로 일정 범위 내에서 왕복이동 자유롭게 지지됨과 아울러, 이 위치 결정용 로드(98a, 98b)를 상기 반송 대차(1)의 주행경로가 있는 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102a, 102b)이 병설되고,
    상기 반송 대차(1)에는, 상기 위치 결정용 로드(98a, 98b)의 원추형 첨단부(104a, 104b)가 끼워맞춤 가능한 원추형 구멍(105a, 105b)을 갖는 위치 결정용 끼워맞춤 부재(106a, 106b)가 설치되고,
    상기 반송 대차(1)와 상기 동력원용 대차(52)와의 동기 주행 상태에서 상기 가동체(73)를 진출 이동시켰을 때, 상기 전동축(58)과 수동축(22)이 각각의 회전전달용 끼워맞춤 선단부(22a, 58a)에서 서로 끼워맞추어지기 전에, 상기 위치 결정용 로드(98a, 98b)의 원추형 첨단부(104a, 104b)가 상기 위치 결정용 끼워맞춤 부재(106a, 106b)의 원추형 구멍(105a, 105b)에 끼워맞추어지고, 상기 가동체(73)가 진출 한계까지 이동했을 때, 상기 위치 결정용 로드(98a, 98b)가 상기 스프링(102a, 102b)에 저항하여 후퇴이동해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반송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73)에는, 원점위치에 대하여 일정범위 내에서 수직 2차원 평면상에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스프링(111a∼112b, 117a∼118b)에 의해 상기 원점 위치로 가압 유지된 가동 기판(83)이 설치되고, 이 가동 기판(83)에 상기 중계축(89) 및 모터(59)가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반송 장치.
KR1020127015882A 2010-07-09 2011-07-11 대차식 반송 장치 KR1014878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0202533987U CN201722107U (zh) 2010-07-09 2010-07-09 双侧组合升降装置
CN201020253390.0 2010-07-09
CN201020253398.7 2010-07-09
CN2010202533900U CN201723606U (zh) 2010-07-09 2010-07-09 外部驱动动态联接装置
CN2010102553519A CN102019975B (zh) 2010-08-17 2010-08-17 台车式柔性输送系统及其应用方法
CN201010255351.9 2010-08-17
CN2010202943106U CN201737443U (zh) 2010-08-17 2010-08-17 随动式同步装置
CN201020294310.6 2010-08-17
CN2010202943093U CN201834543U (zh) 2010-08-17 2010-08-17 全方位装配用台车
CN201020294309.3 2010-08-17
PCT/CN2011/001138 WO2012003716A1 (zh) 2010-07-09 2011-07-11 台车式搬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4222A KR20130054222A (ko) 2013-05-24
KR101487803B1 true KR101487803B1 (ko) 2015-01-29

Family

ID=45440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5882A KR101487803B1 (ko) 2010-07-09 2011-07-11 대차식 반송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408381B2 (ko)
JP (1) JP5650841B2 (ko)
KR (1) KR101487803B1 (ko)
WO (1) WO20120037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55355B (zh) 2008-09-03 2017-09-22 索利产业公司 可变运动婴儿座椅
US8540070B2 (en) * 2011-07-19 2013-09-24 Siemens Industry, Inc. Coil shift transfer car
JP5768826B2 (ja) * 2013-03-14 2015-08-26 株式会社安川電機 ロボットシステムおよびロボットの作業方法
JP2014190114A (ja) * 2013-03-28 2014-10-06 Daifuku Co Ltd 搬送用走行体の走行経路構造
JP6237493B2 (ja) * 2014-06-25 2017-11-29 マツダ株式会社 部品組付け装置
US9834385B2 (en) 2014-08-19 2017-12-05 Murata Machinery, Ltd. Truck transporting device
US9611107B2 (en) 2014-12-08 2017-04-04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Linear drive transport system and method
JP5784850B1 (ja) * 2015-02-18 2015-09-24 フィブイントラロジスティクス株式会社 カゴ台車搬送装置
JP6493804B2 (ja) * 2015-07-23 2019-04-03 株式会社ダイフク 搬送用走行体利用の搬送装置
JP6501078B2 (ja) * 2016-04-29 2019-04-17 株式会社ダイフク 搬送用走行体利用の搬送設備
CN106542020B (zh) * 2016-11-08 2018-11-27 天奇自动化工程股份有限公司 台车维修检测装置
CN106743228A (zh) * 2016-11-20 2017-05-31 嘉善永金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物料移动同步装置
CN106744464A (zh) * 2016-11-20 2017-05-31 嘉善永金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升降式物料移动同步装置
CN106697805A (zh) * 2016-11-20 2017-05-24 嘉善永金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半自动化物料移动装置
US10549855B2 (en) * 2017-06-26 2020-02-04 Marian Zdzislaw Augustyniak Airliner overhead meals delivery
JP6999396B2 (ja) * 2017-12-18 2022-01-18 矢崎総業株式会社 台車と搬送車との連結分離構造
JP6644819B2 (ja) * 2018-02-09 2020-02-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搬送作業設備
EP3781463A1 (de) * 2018-04-20 2021-02-24 pentanova cs GmbH Förderanlage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solchen
DE102018109584A1 (de) * 2018-04-20 2019-10-24 Eisenmann Se Förderanlage mit einem Förderwagen
DE102018109934A1 (de) * 2018-04-25 2019-10-31 Eisenmann Se Behandlungsanlage zum Behandeln von Werkstücken
JP7083963B2 (ja) * 2019-04-23 2022-06-13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リニアコンベアシステム、リニアコンベアシステムの制御方法、リニアコンベアシステム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13415592A (zh) * 2021-06-01 2021-09-21 杭州千岛湖瑞淳机器人研究院有限公司 一种板材料库及其应用的自动上下料机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8190A (ja) 2003-02-10 2004-08-26 Yamatomekku:Kk 車いす用リフター
JP2009248657A (ja) 2008-04-03 2009-10-29 Daifuku Co Ltd 自動車などの組立て用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1521U (ko) * 1986-04-18 1987-10-30
JPH04306162A (ja) 1991-04-04 1992-10-28 Daifuku Co Ltd パレット搬送設備
JPH0659731A (ja) * 1992-08-12 1994-03-04 Daifuku Co Ltd 搬送設備ならびに台車搬送装置
DE9414820U1 (de) * 1994-09-13 1995-01-12 Eissfeller, Roman, 78194 Immendingen Industrieroboter
US6105749A (en) * 1997-11-25 2000-08-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nhanced matrix tray feeder
US6427305B1 (en) * 1999-10-21 2002-08-06 Ex-Cello Machine Tools, Inc. Part elevator having a transfer bar with CAM follower and slot
JP4182475B2 (ja) * 2003-05-12 2008-11-19 株式会社ダイフク 昇降荷台付き搬送装置
JP4289945B2 (ja) * 2003-08-13 2009-07-01 株式会社大気社 搬送設備および搬送方法
JP2006021858A (ja) * 2004-07-07 2006-01-26 Daifuku Co Ltd 昇降搬送装置
EP1798131B1 (en) * 2004-08-09 2008-11-12 Daifuku Co., Ltd. Carrying apparatus with lifting carried object support table
JP4433941B2 (ja) * 2004-08-26 2010-03-17 株式会社ダイフク 搬送装置
JP4189685B2 (ja) * 2005-08-04 2008-12-03 株式会社ダイフク 台車式搬送装置
JP4895022B2 (ja) * 2007-01-30 2012-03-14 株式会社ダイフク 台車式搬送装置
RU2412101C2 (ru) * 2007-01-30 2011-02-20 Дайфуку Ко., Лтд. Транспор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тележки
US7731013B2 (en) * 2008-02-27 2010-06-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Mechanical workstation skillet lift
JP5340670B2 (ja) * 2008-08-22 2013-11-13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昇降駆動用噛合多列チェーン
CN102019975B (zh) * 2010-08-17 2012-09-26 大福(中国)有限公司 台车式柔性输送系统及其应用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8190A (ja) 2003-02-10 2004-08-26 Yamatomekku:Kk 車いす用リフター
JP2009248657A (ja) 2008-04-03 2009-10-29 Daifuku Co Ltd 自動車などの組立て用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08381B2 (en) 2013-04-02
WO2012003716A1 (zh) 2012-01-12
US20130015039A1 (en) 2013-01-17
WO2012003716A8 (zh) 2012-09-13
JP5650841B2 (ja) 2015-01-07
KR20130054222A (ko) 2013-05-24
JP2013536106A (ja) 201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7803B1 (ko) 대차식 반송 장치
JP4453626B2 (ja) 搬送設備
JP4600841B2 (ja) 自動車などの組立て用搬送装置
EP1783068B1 (en) Conveyance apparatus with lifting/lowering load carrying platform
KR101001677B1 (ko) 승강하는 피반송물 지지대를 구비한 반송장치
JP4883399B2 (ja) 被搬送物積み下ろし搬送方法
US8459438B2 (en) Workpiece conveyance device
JP2022510769A (ja) 積み降ろし装置および荷物積み降ろしシステム
MX2007004767A (es) Aparato de transporte tipo soporte y sistema de conexion de soporte de trnasporte del aparato de transporte.
US20180230706A1 (en) Carriage for handling vehicles
CN209291573U (zh) 装卸设备和货物装卸系统
US9315326B2 (en) Accumulation pallet conveyor
CN111661668B (zh) 无人配送系统
JP5209549B2 (ja) ドア搬送設備
JP4301214B2 (ja) 搬送用走行体の配送設備
AT504613A2 (de) Seilbahnanlage mit einer station zum speichern von fahrbetriebsmitteln
JP5327655B2 (ja) 搬送設備
CN108313083B (zh) 货运动车智能装载系统及智能货运动车
WO2017169256A1 (ja) 台車利用の搬送装置
CN116002310A (zh) 模块化分组装配生产线
JP3784459B2 (ja) 自動車用シートの搬送装置
CN107621821A (zh) 搬运系统
JP2004315215A (ja) 搬送装置
JP5354183B2 (ja) 昇降搬送設備
BR112012015962B1 (pt) aparelho transportador do tipo carr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