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8563A - 자동 시료분석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시료분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8563A
KR20090048563A KR1020090035159A KR20090035159A KR20090048563A KR 20090048563 A KR20090048563 A KR 20090048563A KR 1020090035159 A KR1020090035159 A KR 1020090035159A KR 20090035159 A KR20090035159 A KR 20090035159A KR 20090048563 A KR20090048563 A KR 20090048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tte
container
sample
measuremen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5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히로 오야마
가즈유키 사쿠라이
요이치 나카무라
노리요시 요시다
가즈토시 도쿠나가
고우지 가스야
에이지 다노시마
도시히로 구보타
다카아키 나가이
슈헤이 가네코
마사하루 시바타
세이도 비와
도시히로 오타니
Original Assignee
시스멕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70543A external-priority patent/JP499924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7248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07530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72486A external-priority patent/JP475154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7248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07545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72487A external-priority patent/JP475474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72485A external-priority patent/JP475154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75375A external-priority patent/JP461014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7538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08398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75397A external-priority patent/JP465841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550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78430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62979A external-priority patent/JP378431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0811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30241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2664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315350A/ja
Application filed by 시스멕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스멕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48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85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10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10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 G01N35/1081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relatively moving the transfer device and the containers in an horizontal plane
    • G01N35/1083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relatively moving the transfer device and the containers in an horizontal plane with one horizontal degree of freedo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10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 G01N35/1079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with means for piercing stoppers or septu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15/1031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by measuring electrical or magnetic effects
    • G01N15/12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by measuring electrical or magnetic effects by observing changes in resistance or impedance across apertures when traversed by individual particles, e.g. by using the Coulter princip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1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biological cells, e.g. blood cells
    • G01N2015/012Red blood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1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biological cells, e.g. blood cells
    • G01N2015/016White blood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2015/1006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for cytolog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2015/1024Counting particles by non-optic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2035/00465Separating and mixing arrangements
    • G01N2035/00524Mixing by agitating sample carri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10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 G01N35/1002Reagent dispens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10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 G01N35/1004Cleaning sample transfer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시료분석장치에 관한 것으로, 입력작동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입력작동에 기초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측정 결과를 나타내기 위한 측정 화면이 표시된 후에 미리 설정된 작업이 완수될 때까지 측정 화면을 다른 화면으로 바꾸기 위한 입력작동이 상기 입력부에서 수행되지 않을 경우 상기 측정 화면이 시료의 분석작동을 시작하기 위한 스타트 버튼을 포함하는 메인 화면으로 바뀌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메인 화면의 스타트 버튼이 선택될 경우 시료의 분석작동을 수행하기 위한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 시료분석장치{AUTOMATIC SAMPLE ANALYZER AND ITS COMPONENTS}
본 발명은 시료 분석장치와 그 구성요소에 관한 것이며, 특히, 혈액, 소변 등의 시료를 분석하는, 소형으로 범용성이 풍부한 시료분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기술으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알려져 있다.
반응 테이블의 원주를 복수로 균등 분할한 형상의 반응용기 디스크와, 반응용기 디스크로 유지된 복수개의 반응용기와, 각 반응용기를 샘플 분주장치, 시약분중 위치 및 광학 측정 위치까지 이송하는 수단과, 소요량의 샘플을 흡인하여 반응용기로 분주하는 수단과, 상기 반응용기 내의 시료를 광학적으로 측정하는 수단으로부터 구성된 소형 자동분석장치(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11-94842호 공보 참조).
개방된 검체용기에 대하여 제 1의 모터의 힘으로 피펫을 이동시키고, 밀폐된 검체용기에 대하여 제 2의 모터의 힘으로 피펫을 이동시키도록 한 액체흡인장치(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6,171,280호 참조).
길이 방향으로 압축·팽창 가능한 중공의 세정실과, 세정실의 팽창시에 세정 실내에 수용되며 세정실의 압축시에 세정실로부터 돌출하는 피펫과, 세정실을 팽창 한 상태로 록(lock)하는 록장치로 이루어지는 조립체(국제 공개 WO 92/22798호 참조).
중공 파이프의 선단을 봉지부재로 봉지하고, 선단 측면에 흡인구를 설치한 피펫(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 5,969,272호 공보 참조).
액체 시료를 흡인하기 위한 흡인용 세관과, 흡인시에 통기를 행하기 위한 통기용 세관을 병렬로 설치한 피펫(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 5,969,272호 참조).
액체 시료 채취구를 아래로 하여 거의 연직으로 배치된 피펫과, 이 피펫이 헐겁게 끼워진 형상으로 삽통되는 거의 연직의 관통로, 이 관통로로 세정액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로, 및 그 관통로로부터 세정 폐액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로를 갖고 이루어지는 피펫 외벽 세정용 부재와, 피펫에 연결되며 피펫의 내부로 세정액을 공급하기 위한 피펫 내부 세정수단과, 세정용부재의 공급로 및 피펫 내부 세정 수단에 연결되는 세정액 저장 챔버와, 세정용 부재의 배출로에 연결되며 피펫으로부터의 세정 폐액을 흡인하기 위한 흡인수단과, 배출로에 연결되며 흡인수단에 의해 흡인된 세정 폐액을 수납하기 위한 폐액 수납 챔버와, 세정용 부재 및 피펫의 상대 위치가 변하도록 양자 중의 적어도 한쪽을 상하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관통로가, 피펫과의 간극이 좁은 소경부와, 이 소경부의 아래쪽에 설치됨과 동시에 피펫과의 간극이 소경부 보다 넓은 대경부를 갖고 이루어지며, 공급로가 대경부에 또한 배출로가 소경부에 연통되어 있는 피펫 세정장치(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 5,592,959호 참조).
흡인구를 선단에 갖는 피펫이 삽통되는 관통로와, 이 관통로로 세정액을 공 급하기 위한 공급로, 및 그 관통로로부터 세정 폐액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로를 갖는 세정부재를 구비한 피펫 세정장치(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 5592959호 공보 참조).
종래, 자동 시료분석장치, 예를 들면 혈액 분석을 행하는 자동 분석장치는 각종 제안되어 있지만, 근래의 많은 자동 분석장치에 있어서는, 다수의 검체를 단시간에 처리하기 위해 장치가 대형화·고속화되고 있고, 또한 조작이 복잡한 것에서 전문의 작업자를 상설해 두지 않으면 안되므로, 그 만큼 많은 검사를 필요로 하지 않는 지역 병원이나 개인 병원에서는, 전문의 검사 센터에 검사를 의뢰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 때문에 긴급성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곧바로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를 갖고 있으며, 보다 소형으로 조작도 간단하고 범용성이 높은 자동 시료 분석장치의 출현이 요망되어 왔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자동 시료분석장치에 있어서, 의사나 간호사가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취급을 간략화하고, 진단·치료의 현장으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소형·경량화하며, 또한, 소음을 억제하여 정음화함과 동시에 보수·점검의 안전과 용이화 및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자동 시료분석장치는, 피펫과, 피펫을 소정 위치에 존재하는 검체용기까지 이동시키고 검체용기 중의 시료를 흡인시킨 후, 피펫을 다른 소정 위치에 존재한 개방 용기까지 이동시키고 시료를 토출시키는 피펫 구동장치와, 토출된 시료를 분석하는 분석부로 이루어지며, 피펫 구동장치는 수직방향으로 구동하는 주아암과, 주아암에 편지지로 지지되어 수평으로 연장된 가늘고 긴 가이드 아암을 구비하고, 가이드 아암이 주아암 보다 작은 휨 강성을 갖고, 검체용기로부터 시료를 흡인하는 때에는 주아암이 피펫을 수직 이동시키고, 개방 용기로 토출하는 때에는 가이드 아암이 피펫을 개방 용기 위치까지 안내한 후에 수직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펫 구동장치에 있어서, 검체용기에 대한 흡인동작시의 피펫의 수직 이동을 주아암으로 행하고, 개방 용기에 대한 피펫의 수직이동을 가이드 아암으로 행할 수가 있기 때문에, 가이드 아암과 그 관련 기구의 강성의 경감 및 피펫 구동장치의 경량화가 가능해진다.
피펫 구동장치는, 피펫을 지지하는 피펫 지지부와, 피펫 지지부를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고 수평이동시키는 피펫 수평구동부와, 주아암과 가이드 아암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피펫 수직구동부를 또한 구비하며, 주아암은 피펫 지지부를 수평방향으로 이탈 가능하게 고착하고, 피펫 지지부는, 주아암에 고착한 때 주아암에 의해 수직 이동하고, 주아암로부터 이탈한 때에 가이드 아암에 계합하여 수직 이동하도록 하여도 된다.
피펫 지지부가 돌기부를 갖고, 주아암은 그 돌기부를 수평방향으로 끼워넣게 하는 오목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피펫 지지부는, 가이드 아암에 계합하면서 가이드 아암에 따라 이동하는 롤러를 구비해도 된다.
피펫 수평구동부는 피펫 지지부를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피펫 수직 슬라이딩부를 구비해도 된다.
피펫에 접속되는 정량 펌프를 또한 구비하고, 피펫 지지부가 주아암에 의해 하강한 때에 검체용기로부터 시료를 흡인하고, 주아암으로부터 떨어져 이동한 때에 시료를 토출하도록 하여도 된다.
검체용기가 캡부착 용기라도 된다.
피펫 수직구동부는 구동원으로서 스테핑 모터를 구비하고, 피펫 지지부의 수직 이동시에 스테핑 모터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는, 피펫 지지부가 주아암에 고착하여 이동하는 때의 쪽이 가이드 아암에 계합하여 이동하는 때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도 된다.
또, 본 발명은, 피펫을 지지하는 피펫 지지부와, 피펫 지지부를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여 수평 이동시키는 피펫 수평구동부와, 피펫 지지부를 수평방향으로 이탈 가능하게 고착하는 주아암과, 주아암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된 가이드 아암과, 주아암과 가이드 아암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피펫 수직구동부를 구비하고, 피펫 지지부는, 주아암에 고착한 때에 주아암에 의해 수직 이동하고, 주아암으로부터 이탈한 때에 가이드 아암에 계합하여 수직 이동하는 피펫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피펫과, 피펫을 소정 위치에 존재하는 검체용기까지 이동시키고 검체용기 중의 시료를 흡인시킨 후, 피펫을 다른 소정 위치에 존재하는 개방 용기까지 이동시켜 시료를 토출시키는 피펫 구동장치와, 토출된 시료를 분석하는 분석부로 이루어지며, 피펫 구동장치는, 피펫을 지지하는 유지부 및 피펫 지지부를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를 갖는 피펫 수직 슬라이딩부와, 피펫 수직 슬라이딩부를 교환 가능하게 탑재하는 피펫 수평구동부와, 교환시에 피펫 수직 슬라이딩부에 장착되며 피펫의 수직 슬라이딩을 불능으로 하는 스토퍼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시료분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토퍼 부재에 의해 피펫의 이동을 저지하기 때문에, 피펫을 구비한 피펫 수직 슬라이딩부를 안전하고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스토퍼 부재는 피펫 지지부와 지지체에 각각 이탈 가능하게 계지되어도 된다.
피펫 수직 슬라이딩부는 피펫의 세정을 행하기 위한 세정부를 구비하고, 피펫 수직 슬라이딩부에 스토퍼 부재가 장착된 때 피펫 선단이 세정부의 내부에 수용되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은, 피펫을 지지하는 유지부 및 피펫 지지부를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를 갖는 피펫 수직 슬라이딩부와, 피펫 수직 슬라이딩부를 교환 가능하게 탑재하는 피펫 수평구동부와, 교환시에 피펫 수직 슬라이딩부에 장착되고 피펫의 수직 슬라이딩을 불능으로 하는 스토퍼 부재를 구비한 피펫 구동장치용 피펫 정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일부에 개구를 갖고 분석장치 본체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개구를 개폐하는 문과, 개구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검체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검체랙과, 문을 연 때에 문과 연동하여 검체랙을 개구를 향해 경사시키고 문을 닫은 때에 문과 연동하여 검체랙을 수직상태로 되돌리는 연동 부재와, 검체랙에 수용한 검체용기를 탄성적으로 유지하는 탄성 부재와, 그 검체용기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시료를 분석하는 분석부를 구비하는 자동 시료분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문을 연 때에 검체랙이 개구의 쪽으로 기울어지기 때문에, 검체랙에의 검체용기의 설치가 용이해진다. 또, 검체용기가 양측으로부터 탄성부재에 의해 끼워지지되어 검체랙과 동축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외경이 다른 검체용기의 검체랙에의 설치가 용이해진다.
검체랙이 검체용기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고 검체용기의 하단을 수용하고, 탄성 부재는 수용된 검체용기의 측면을 양측으로부터 탄성적으로 끼워지지하여 검 체용기를 검체랙과 동축으로 유지하는 제 1 및 제 2 탄성 부재로 되어도 된다.
문이 열릴 때 제 1 탄성 부재를 제 2 탄성 부재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문과 연동하여 이동시키는 지지부재를 또한 구비하여도 된다.
지지부재는 회동 가능하게 지축으로 지지되어도 된다.
검체랙은 바닥부가 상기 지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지지부재에 연동하여 지지부재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해도 된다.
문을 여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가세 부재와, 그 가세력에 대항하여 문에 이탈 가능하게 계지하는 누름버튼을 또한 구비하여도 된다.
본 발명은, 검체용기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고 검체용기의 하단을 수용하는 검체랙과, 수용된 검체용기의 측면을 양측으로부터 탄성적으로 끼워지지하여 검체용기를 검체랙과 동축으로 유지하는 제 1 및 제 2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검체용기 설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부에 개구를 갖고 분석장치 본체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개구를 개폐하는 문과, 개구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검체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검체랙과, 문을 연 때에 문과 연동하여 검체랙을 개구로 향하여 경사시키는 문을 닫은 때에 문과 연동하여 검체랙을 수직상태로 되돌리는 연동 부재와, 피펫을 소정 위치에 존재하는 검체용기까지 이동시키고 검체용기 중의 시료를 흡인시킨 후, 피펫을 다른 소정 위치에 존재하는 개방 용기까지 이동시키고 시료를 토출시키는 피펫 구동장치와, 피펫 구동장치가 검체랙의 상방으로부터 피펫을 검체용기 내에 삽입하는 때에 문을 록하는 록장치와, 개방 용기내의 시료를 분석하는 분석부를 구비한 자동 시료분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펫 삽입 동작시의 검체랙의 이동이 록 장치에 의해 저지되기 때문에, 안정된 흡인 동작을 행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피펫이나 검체용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피펫 구동장치가 검체용기에 피펫을 삽입하는 피펫 수직구동부를 구비하고, 록장치가 주아암으로부터 피펫과 평행하게 내려진 록 봉과, 피펫의 검체용기로의 삽입시에 록 봉이 삽입되는 계지구멍을 갖고 문의 내면에 설치된 돌출편으로 되어도 된다.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검체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검체랙과, 수용된 검체용기에 피펫이 삽입되는 때, 피펫 삽입 동작에 연동하여 검체랙의 이동을 기계적으로 저지하는 록 부재를 구비한 검체랙용 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시료를 수용하는 용기 및 수용된 시료의 성분을 분석하는 검출기로 이루어지는 분석부와, 시료, 분석 시약, 희석액을 포함하는 분석 배액을 수용하는 배액 챔버와, 배액 챔버에 음압(陰壓)을 인가하여 상기 용기 및 검출기의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분석 배액을 흡인시키는 음압펌프를 구비하고, 음압펌프가 흡기구와 배출구를 갖는 에어펌프와, 제 1 및 제 2 관통구를 갖고 에어펌프를 덮는 밀폐커버와, 밀폐커버의 외부로부터 제 1 관통구를 통하여 흡기구에 접속되는 흡기튜브와, 제 2 관통구에 접속되며 외부로 연장되는 소음용 배기튜브를 구비하는 자동 시료분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음압펌프가 커버로 밀폐되고 소음용 배기튜브를 구비하기 때문에, 그들이 유효하게 작용하여 음압펌프를 정음화 할 수 있다.
이 분석장치는, 에어펌프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대를 또한 구비하여도 된다.
이 분석장치는, 배액 챔버에 인가되는 음압을 검출하는 센서와, 그 음압이 소정 압력범위로 되도록 음압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또한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소정 압력 범위가 100∼300mmHg이어도 된다.
본 발명은, 흡기구와 배출구를 갖는 에어펌프와, 제 1 및 제 2 관통구를 갖고 에어펌프를 덮는 밀폐커버와, 밀폐커버의 외부로부터 제 1 관통구를 통하여 흡기구에 접속되는 흡기튜브와, 제 2 관통구에 접속되며 외부로 연장되는 소음용 배기튜브를 구비하는 음압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피펫과, 소정 위치에 존재하는 액체 혼합용 용기와, 피펫에 시료를 흡인시키고 액체 혼합용 용기에 공급하는 시료 공급부와, 액체 혼합용 용기에 희석액을 공급하는 희석액 공급부와, 희석된 시료를 분석하는 시료 분석부로 이루어지며, 액체 혼합용 용기는 내약품성 수지로 형성되며, 또한, 내벽이 조면화 된 시료분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시료 공급부란, 피펫을 다른 소정 위치에 존재하는 검체용기까지 이동시켜 검체용기 중의 시료를 흡인시킨 후, 피펫을 액체 혼합 용기까지 이동시켜 시료를 토출시키는 피펫 구동장치라도 된다. 또, 액체 혼합용 용기에 음압을 인가하여 액체 혼합 용기내에 시료를 흡인하는 음압 공급부라도 된다.
이 경우, 액체 혼합용 용기에 공급되는 시료는 샘플링 밸브 등의 정량부로 정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약품성 수지에 의해 형성된 용기는, 내벽면이 매끈 매끈하여 발수성이 높으며, 즉, 습성이 낮다. 따라서, 개방 용기에 공급되는 희석액이 내벽을 전해지고 용기 바닥부의 시료와 혼합될 때,희석액이 내벽에 물방울로 되어 잔류하고, 시료에 혼입되는 희석액이 그 만큼 부족하기 때문에, 정밀도 좋게 희석할 수 없다.
그 때문에,시료의 분석 정밀도가 저하된다는 문제가 생긴다.
일반적으로, 수지 표면의 습성은, 표면의 화학 조성, 표면에 나와 있는 관능기(官能基)의 종류와 수, 산 또는 염기로서의 성질, 표면의 결정성, 표면 거칠기(조도) 등에 관계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용기 내벽을 조면화하는 것에 의해, 그 습성이 향상한 것을 발견하였다. 결국, 용기 내벽의 표면을 거칠게 하는 것에 의해, 공급되는 희석액이 내벽면에 잔류하는 일 없이 시료와 혼합하여, 희석 정밀도가 높은 희석시료를 얻을 수 있으며, 분석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표면 거칠기와 습성과의 관계를 실험적에 검토한 결과, 산술 평균 거칠기 Ra가 0.16μm 이상이라면 희석 정밀도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의 습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또, Ra의 상한치도 0.65μm 정도가 바람직한 것도 발견되었다.
용기 내벽을 조면화 하는 가공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하여 행해진다. 즉, 볼반의 척에 용기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의 환봉을 장착하고, 그 환봉의 선단 측면에 스펀지로 뒷받침한 사포를 외경이 용기내경 보다 약간 커지도록 휘감는다.
그리고, 환봉을 회전시키면서 그 선단을 서서히 용기내로 삽입하여 용기 내 벽을 사포로 조면화한다. 사포로서는, 예를 들면 #400∼#1500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사포 대신에, 스펀지 부착 버프(스미토모 스리엠 주식회사제, 형식 320번)를 이용해도 된다.
여기서, Ra란, 조도곡선으로부터 그 평균선의 방향으로 기준 길이 m만큼 발취하여, 발취 부분의 평균선의 방향으로 X 축을, 종 배율의 방향으로 Y 축을 취하여, 조도곡선을 y=f(x)로 나타낸 때에, 다음 식에 의해 요구되는 값을 마이크로 미터(μm)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JISBO6O1 참조).
[수 1]
Figure 112009024407774-PAT00001
m : 기준 길이
또, 조도곡선이란, 단면 곡선으로부터, 소정의 파장보다 긴 표면 굴곡 성분을 위상 보상형 고역필터로 제거한 곡선이며, 단면 곡선이란, 대상면에 직각인 평면으로 대상면을 절단한 때에, 그 절단면에 나타나는 윤곽이다.
또, 본 발명의 액체 혼합용 용기는, 내약품성의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되는바, 그 재료로서는, 다음의 것을 들 수가 있다.
아크릴·아크릴로니트릴·스틸렌 수지
아크릴·아크릴로니트릴·스틸렌/폴리아미드 합금
아크릴·아크릴로니트릴·스틸렌/폴리카보네트 합금
아크릴로니토릴·부타디엔·스틸렌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합금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폴리 염화 비닐 합금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폴리아미드 합금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합금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메타크릴 수지 합금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폴리카보네이트 합금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말이미드·스틸렌 수지 합금
변성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염소화 폴리에틸렌·스틸렌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에틸렌 프로필렌 고무·스틸렌 수지
아크릴로니트릴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틸렌 수지
염소화 폴리에틸렌
에틸렌·비닐 알콜 수지
결정 폴리머
스틸렌·부타디엔 수지
스틸렌·말레인산 수지
생분해성 수지(초산 셀룰로스계)
생분해성 수지(고분자량 열가소성 폴리카프로락톤)
폴리3불화 염화 에틸렌
4불화 에틸렌·에틸렌 수지
4불화 에틸렌·6불화 프로필렌 수지
비결정 불소 수지
4불화 에틸렌·펠플루오르 알콕시 에틸렌 수지
폴리 4불화 에틸렌
폴리 불화 비닐리덴
변성 폴리4불화 에틸렌
4불화 에틸렌·6불화 프로필렌/불화 비닐리덴 합금
4불화 에틸렌/폴리프로필렌 합금
폴리아미드 11
폴리아미드 12
폴리아미드 40
폴리아미드·아크릴 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 합금
폴리아미드·말레 이미드·스틸렌 수지 합금
폴리아미드·폴리프로필렌 합금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비결정 폴리올레핀 합금
폴리아미드 6/특수 고무 합금
폴리아미드 6.66
폴리아미드 610
폴리아미드 66
변성 폴리아미드 66
폴리아미드 66/열가소성 플라스틱 엘라스토머 합금
폴리아미드 6T
비정질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 MXD6
폴리 아릴 에테르 케톤
폴리아미드 이미드
폴리 아리레이트
폴리 아릴 술폰
열가소성 폴리이미드
폴리시크로헥산 지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폴리 에테르 에테르 케톤
폴리 에테르 이미드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 에테르 니트릴
폴리 에테르 술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 염화 비닐
변성 폴리 염화 비닐
폴리 염화 비닐/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합금
폴리벤졸 이미다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아크릴로 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 합금
폴리 메틸 메타크릴 이미드
폴리 메틸 펜텐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카보네이트·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 합금
폴리카보네이트·폴리이미드 합금
폴리카보네이트·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합금
비정질 폴리올레핀
폴리 아세탈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폴리아미드 합금
폴리후탈 아미드
폴리술폰
변성 폴리페닐렌 에테르
변성 폴리페닐렌 에테르/폴리아미드 합금
변성 폴리페닐렌 에테르/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합금
변성 폴리페닐렌 에테르/폴리페닐렌 황화물 합금
변성 폴리페닐렌 에테르/특수 고무 합금
폴리페닐렌 황화물
폴리페닐렌 황화물/폴리아미드 66 합금
범용 폴리스틸렌
고충격 폴리스틸렌
중충격 폴리스틸렌
변성 폴리스틸렌
신디오택틱 폴리스틸렌
폴리티오에테르 술폰
말레이미도·스틸렌 수지
말레이미드·스틸렌/폴리아미드 합금
메타크릴·스틸렌 수지
메타크릴 수지
변성 메타크릴 수지
또, 본 발명은, 원통상의 내벽을 갖고, 내벽의 원주에 따라 액체를 외부로부터 주입하는 주액구를 상단 부근에 구비하고, 내약품성 수지로 형성되며, 또한, 내벽이 조면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혼합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용기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약품성의 수지를 사출 성형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이 용기에서는, 내벽은, 산술 평균 거칠기 Ra가 0.16μm 이상의 표면 거칠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벽은, 산술 평균 거칠기 Ra가, 0. 16μm≤Ra≤0.65μm의 범위에 있는 표면 거칠기를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내약품성 수지가 폴리 에테르 이미드로 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 이 용기는, 바닥부에 액체를 배출하는 배액구를 똔한 구비하여도 좋고, 바닥부에 기체를 주입하는 주기구를 또한 구비하여도 된다.
본 발명은, 액체 흡인관과, 액체 흡인관을 통하여 시료를 흡인해서 정량하는 정량부와, 정량한 시료를 분석하는 분석부를 구비하고, 액체 흡인관은 가늘고 긴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파이프는 그 축에 평행한 액체유로(결국 흡인유로)를 내부에 갖고, 또한,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뻗은 홈을 외면에 갖는 자동 시료분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액체 흡인관(피펫)이 갭부착 진공 채혈관(시료용기)의 갭을 뚫으면, 채혈관이 내기(內氣)가 바로 홈을 통하여 최단 거리에서 외기(外氣)로 개방되기 때문에, 액체 흡인관을 통한 시료의 흡인과 정량이 원활히 행해져, 정밀도 높은 시료분석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액체 흡인관은 파이프의 외면에 길이 방향의 홈을 형성한 것만으로 되기 때문에, 그 구성이 극히 단순하고, 홈의 세정도 액체 흡인관의 외측의 세정을 행할 때에 동시에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홈이 파이프의 축과 평행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의해 홈의 가공이 용이해진다.
또, 홈은 파이프의 외측으로 향하여 확산되는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갭의 고무나 시료의 홈에의 막힘이 방지된다.
또, 홈은 바닥부가 둥근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갭의 고무나 시료의 홈에의 막힘이 방지된다.
액체류노(흡인유로)는 파이프의 축에 대하여 편심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파이프 단면에 있어서의 홈형성용 영역이 증대하고, 홈의 단면적, 형상, 배치의 자유도가 증대하여, 통기성 및 피세정성이 높은 홈을 형성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으로부터 가늘고 긴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파이프는 그 축에 평행한 액체유로를 내부에 갖고, 또한, 길이 방향으로 뻗은 홈을 외면에 갖는 액체 흡인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액체 흡인관에 있어서, 홈이 파이프의 축과 평행이라도 된다.
홈은 파이프의 외면을 향하여 확산된 단면을 가져도 된다.
홈은 바닥부가 둥근형상을 띤 단면을 가져도 된다.
액체유로는 파이프의 축에 대하여 편심되게 설치되어도 된다.
본 발명은, 피펫과, 피펫으로부터 흡인된 시료를 분석하는 분석부와, 입구로부터 출구로 피펫을 관통시키는 피펫 관통구멍을 설치한 클리너(cleaner) 본체를 구비하는 피펫 세정장치와, 피펫 및 클리너 본체 중 적어도 한쪽을 이동시키는 구동장치로 이루어지며, 클리너 본체에 설치된 피펫 관통구멍은 입구측 내부에 동축에 형성된 피펫 안내 구멍과 출구측 내부에 동축에
형성된 피펫 세정구멍으로 되어,피펫 세정구멍은 내벽에 입구로부터 출구로 향하여 순서대로 배열된 제 1,제 2 및 제 3 개구를 갖고, 본체는 제 1 개구를 대기에 개방하는 통기로와, 제 3 개구에 연통하는 세정액 공급로와, 제 2 개구에 연통하는 세정액 배출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시료분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펫 세정장치의 피펫 관통구멍의 내벽에 대기에 개방하는 개구를 설치했기 때문에, 세정액은 피펫 세정장치에 잔류하는 일 없이 효율적으로 피펫을 세정할 수 있고, 정밀도 높은 시료분석을 행할 수가 있다.
이 분석장치는, 세정액 공급로에 세정액을 공급하는 공급부와, 세정액 배출로로부터 세정액을 흡인하는 흡인부와, 공급부와 흡인부를 구동하는 구동회로부를 또한 구비하고, 구동장치가 피펫 및 클리너 본체 중 적어도 한쪽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구동부를 갖고, 구동회로부는 피펫의 상승시 또는 클리너 본체의 하강시에 공급부와 흡인부를 구동시켜 피펫의 외측을 세정해도 된다.
이 분석장치는, 피펫에 세정액을 공급하는 공급부와, 세정액 배출로로부터 세정액을 흡인하는 흡인부와, 공급부와 흡인부를 구동하는 구동회로부를 또한 구비하고, 구동장치가 피펫 및 클리너 본체 중 적어도 한쪽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구동부를 갖고, 구동회로부는 피펫 선단이 피펫 관통구멍 내에 존재할 때에 공 급부와 흡인부를 구동시켜 피펫의 내측을 세정해도 된다.
본 발명은, 입구로부터 출구로 피펫을 관통시키는 피펫 관통구멍을 설치한 본체를 구비하고, 피펫 관통구멍은 입구측 내부에 동축에 형성된 피펫 안내 구멍과 출구측 내부에 동축에 형성된 피펫 세정구멍으로 이루어지며, 피펫 세정구멍은 내벽에 입구로부터 출구로 향하여 순서대로 배열된 제 1, 제 2 및 제 3 개구를 갖고, 본체는 제 1 개구를 대기에 개방하는 통기로와, 제 3 개구에 연통하는 세정액 공급로와, 제 2 개구에 연통하는 세정액 배출로를 구비하는 피펫 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피펫 관통구멍은 원형 단면을 갖고, 피펫 세정구멍은 입구로부터 출구로 향하여 순서대로 직렬 접속된 제 1 및 제 2 관통구멍으로 이루어지며, 제 1 및 제 2 개구가 제 1 관통구멍의 내벽에, 제 3 개구가 제 2 관통구멍의 내벽에 각각 설치되며, 피펫 관통구멍은 피펫 안내 구멍, 제 1 관통구멍, 제 2 관통구멍의 순서로 커지는 내경을 가져도 된다.
피펫 관통구멍은 원형 단면을 갖고, 피펫 세정구멍은 입구로부터 출구로 향하여 순서대로 직렬 접속된 제 1, 제 2, 제 3 관통구멍으로 이루어지며, 제 1 및 제 2 개구가 제 1 관통구멍의 내벽에, 제 3 개구가 제 3 관통구멍의 내벽에 각각 설치되며, 피펫 안내 구멍 및 제 2 관통구멍은, 제 1 및 제 3 관통구멍보다 작은 내경을 가져도 된다.
본 발명은, 선단에 흡인구를 갖는 피펫과, 피펫을 통하여 시료를 흡인해서 정량하는 정량부와, 피펫으로 액체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정량한 시료를 분석하는 분석부와, 정량부와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제어부는 시료의 흡인 전에 공급부가 피펫의 흡인구에 액체를 충족시켜 두도록 제어하는 시료분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료의 흡인전에 피펫의 흡인구가 액체로 채워져 있기 때문에, 피펫을 시료에 삽입해도 흡인전에 흡인구에 시료가 침입하는 일 없이, 고정밀도의 정량이 가능해진다.
또, 이 분석장치는, 피펫을 세정하는 세정 클리너를 또한 구비하고, 피펫의 흡인구가 선단 측면에 설치되며, 세정 클리너는, 피펫을 관통시키는 관통구멍과, 관통구멍에 연통하여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 공급로와, 관통구멍에 연통하여 세정액을 배출하는 세정액 배출로를 갖고, 세정 클리너는, 피펫의 흡인구의 축과 세정액 배출로의 입구의 축이, 피펫의 축방향으로부터 보아 90도 보다 큰 각도를 갖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이에 의하면, 피펫의 흡인 동작 전에 세정 클리너에 의해 피펫을 세정하여도, 흡인구로 세정액 배출로로부터의 음압이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피펫의 흡인구를 미리 충족시키고 있는 액체가 세정액 배출로로 빠져 나오는 것이 없다. 따라서, 흡인구는 액체로 채워진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정확한 정량을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으로부터, 선단 측면에 흡인구를 갖는 피펫과, 피펫을 통하여 액체를 흡인하는 흡인부와, 피펫을 세정하는 세정 클리너를 구비하고, 세정 클리너는, 피펫을 관통시키는 관통구멍과, 관통구멍에 연통하여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 공급로와, 관통구멍에 연통하여 세정액을 배출하는 세정액 배출로를 갖고, 세정 클리너는, 피펫의 흡인구의 축과 세정액 배출로의 입구의 축이, 피펫의 축방향으로부터 보아 90도 보다 큰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액체흡인장치를 제공한 것이다.
이 액체흡인장치에 있어서는, 피펫에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부를 또한 구비하고, 액체 공급부는 피펫이 시료를 흡인하기 전에 미리 피펫의 흡인구를 액체로 충족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선단 측면에 흡인구를 갖는 피펫을 세정하는 세정 클리너를 구비하고, 세정 클리너는, 피펫을 관통시키는 관통구멍과, 관통구멍에 연통하여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 공급로와, 관통구멍에 연통하여 세정액을 배출한 세정액 배출로를 갖고, 세정 클리너는, 피펫의 흡인구의 축과 세정액 배출로의 입구의 축이, 피펫의 축방향으로부터 보아 90도 보다 큰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피펫 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선단에 흡인구를 갖는 피펫과, 피펫을 통하여 제 1의 액체를 흡인하는 흡인부와, 피펫으로 제 2의 액체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흡인부와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제어부는 제 1의 액체의 흡인 전에 공급부가 피펫의 흡인구에 제 2의 액체를 충족시켜 두도록 제어하는 액체 흡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액체흡인장치는 피펫을 세정하는 세정 클리너를 또한 구비하고, 피펫의 흡인구가 선단 측면에 설치되며, 세정 클리너는, 피펫을 관통시키는 관통구멍과, 관통구멍에 연통하여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 공급로와, 관통구멍에 연통하여 세정액을 배출하는 세정액 배출로를 갖고, 세정 클리너는, 피펫의 흡인구의 축과 세정액 배출로의 입구의 축이, 피펫의 축방향으로부터 보아 90도 보다 큰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측정모드로 동작 가능한 자동 시료분석장치에 있어서, 측정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측정모드 선택 버튼과, 선택된 측정모드의 측정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지령을 출력하는 스타트 버튼과, 스타트 버튼의 색을 변경하는 색 변경부와, 선택된 측정모드에 따라 스타트 버튼의 색을 변경하기 위한 색 변경부를 제어하는 색 변경 제어부와, 스타트 버튼의 지령을 받아 시료를 분석하는 분석부를 구비하는 자동 시료분석장치를 제공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측정자가 선택한 측정모드에 따라 스타트 버튼의 색이 변한다. 이에 의해, 측정을 시작하기 위해 스타트 버튼을 누르려고 할 때에, 색 표시에 의해 측정모드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드 선택의 오류에 기인하는 오조작을 저감시킬수 있다.
이 분석장치는, 터치패널식의 입력/표시부를 또한 갖고, 상기 측정모드 선택 버튼 및 스타트 버튼은 각각 입력/표시 장치에 의해 표시된 버튼으로 이루어지며, 색 변경부는, 입력/표시부에 표시되는 스타트 버튼의 색을 변경하도록 하여도 된다.
본 발명은, 입력부와, 표시부와, 분석부와, 입력부로부터의 출력을 받아 표시부와 분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표시부는, 분석부가 분석을 개시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메인 화면과, 분석부의 분석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분석 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하고, 입력부에 의한 미입력 상태가, 분석 화면에 분석결과가 표시되고 나서 분석부의 소정의 공정이 종료될 때까지 계속하면, 제어부는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되고 있는 분석 화면을 메인 화면으로 전환하는 자동 시료분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분석장치의 소정의 공정이 종료될 때까지 입력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자동적으로 메인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하여 측정자가 하나 하나 화면을 전환하는 수고를 간략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터치패널식의 입력/표시부와, 입력/표시부에 표시되는 스타트 버튼과, 표시된 스타트 버튼으로부터의 지령을 받아 분석기기를 구동하여 시료를 분석하는 분석부와, 분석기기를 감시하는 감시부와, 입력/표시부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감시부가 이상을 검지한다면 제어부는 입력/표시부에 표시된 스타트 버튼을 소거하는 자동 시료분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시료를 분석하는 분석부와,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분석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표시부와 분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1 이상의 분석항목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 1의 문자 사이즈로 표시하는 제 1 분석 화면과, 제 1 분석 화면 보다도 많은 분석항목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 1 문자 사이즈 보다 작은 제 2의 문자 사이즈로 표시하는 제 2 측정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자동 시료분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분석장치는, 제 1 측정화면에서 표시되는 분석항목을 임의로 설정 가능한 입력부를 또한 구비하여도 된다.
본 발명은, 시료를 통과시키는 오리피스부와, 직류전원부와, 오리피스부를 통과하는 시료로 직류전원부로부터 정전류를 공급하는 정전류회로와, 오리피스부를 통과하는 시료의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하는 저항식 검출부와, 검출된 임피던스 변화로부터 시료를 분석하는 분석부를 구비하고, 직류전원부가 콕크로프트(Cockcroft) 방식 전원을 구비하는 자동 시료분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콕크로프트 방식 전원은, 발진부와, 직류 입력 전압을 상기 발진부로부터 보내 오는 스위칭 주파수에 동기하여 단속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칭회로부와, 스위칭회로부의 출력전압을 승압하는 승압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위칭 주파수가 50∼1000kHz이어도 된다.
직류전원부는 자연 공냉 되어도 된다.
본 발명은, 분석부와, 분석부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분석부에 대하여 급배되는 액체의 용기를 수납하는 용기 수납유닛과, 하우징의 밖에 부설되어 용기 수납유닛을 지지하는 용기 홀더를 구비하고, 용기 수납유닛이, 2개의 대형 용기와 1개의 소형 용기와 이들 용기를 수납한 케이스로 이루어지고, 대형 용기는 유체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 유체를 출입하기 위한 입구부, 입구부의 아래에 계속된 견부, 견부의 일부에 설치되며 소형 용기를 재치하기 위한 소형 용기 재치부, 견부의 아래에 계속된 용기측면부를 갖고, 소형 용기는 유체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 유체를 출납하기 위한 입구부,구부의 아래에 계속된 견부, 견부의 아래에 계속된 용기측면부, 소형 용기 재치부의 형상에 맞춘 바닥면을 갖고, 케이스는 2개의 대형 용기의 소형 용기 재치부의 아래에 계속된 용기 측면부가 서로 접하는 상태에서 이들 용기를 탄합적으로 수납하고, 또한, 소형 용기는 2개의 대형 용기의 서로 접한 용기 측면부의 위의 견부에 설치된 소형 용기 재치부에 재치되는 자동 시료분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2개의 대형 용기와 1개의 소형 용기와 이들 용기를 수납하는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대형 용기는 유체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 유체를 출입하기 위한 입구부, 입구부의 아래에 계속된 견부, 견부의 일부에 설치된 소형 용기를 재치하기 위한 소형 용기 재치부, 견부의 아래에 계속된 용기 측면부를 갖고, 소형 용기는 유체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 유체를 출입하기 위한 입구부, 입구부의 아래에 계속된 견부, 견부의 아래에 계속된 용기 측면부, 소형 용기 재치부의 형상으로 맞춘 바닥면을 갖고, 케이스는 2개의 대형 용기의 소형 용기 재치부의 아래에 계속된 용기 측면부가 서로 접한 상태에서 이들 용기를 탄합적으로 수납하고, 또한, 소형 용기는 2개의 대형 용기의 서로 접한 용기 측면부의 위의 견부에 설치된 소형 용기 재치부에 재치된 용기 수납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2개의 대형 용기의 견부에는, 소형 용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가 형성되어도 된다.
고정부는, 2개의 대형 용기의 각각의 견부에 설치된 단차부에 의해 구성되며, 2개의 대형 용기의 단차부가 소형 용기의 용기 측면을 끼워 지지하는 것에 의해 고정하도록 하여 된다.
2개의 대형 용기의 단부에는 또한 볼록부 또는 오목부가 형성되며, 소형 용 기의 용기 측면부에는 상기 단차부에 형성된 볼록부 또는 오목부와 끼워맞춤하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2개의 대형 용기의 단차부에는 볼록부가 형성되며, 소형 용기의 용기 측면부에는 상기 단부에 형성된 볼록부와 끼워맞춤하는 오목부가 형성되며, 대형 용기의 상기 볼록부의 상측에는 또한 날부가 형성되며, 이 날부가 소형 용기의 일부에 겹쳐지도록 하여 된다.
2개의 대형 용기는, 동일 형상, 동일 용량으로 되도록 형성되며, 한쪽이 희석제를 수용하는 용기, 다른 쪽이 폐액을 회수하는 용기라도 된다.
소형 용기는 용혈제를 수용하는 용기라도 된다.
본 발명은, 유체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 유체를 출입하기 위한 입구부, 입구부의 아래에 계속된 견부, 견부의 일부에 설치된 소형 용기를 재치하기 위한 소형 용기 재치부, 견부의 아래에 계속된 용기 측면부를 각각 갖는 2개의 대형 용기와, 유체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와 유체를 출입하기 위한 입구부와 소형 용기 재치부의 형상에 맞춘 바닥면을 갖는 1개의 소형 용기를 이용하여, 2개의 대형 용기를 각각 용기 측면부에서 서로 접하도록 배치함과 동시에, 이 2개의 대형 용기의 서로 접한 용기 측면부의 위의 견부에 설치된 소형 용기 재치부에 상기 소형 용기를 재치하는 용기의 배치 방법을 제공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체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 유체를 출입하기 위한 입구부, 입구부의 아래에 계속된 견부, 견부의 아래에 계속된 용기 측면부를 갖고, 견부에는 다른 용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용기를 제공한 것이다.
고정부는, 견부에 설치된 단부에 의해 구성되며, 단부에는 또한 볼록부 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단부에는 볼록부가 형성되며, 상기 볼록부의 상측에는 또한 날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은, 대형 용기의 견부에 설치된 단부에 형성된 볼록부 또는 오목부와 끼워맞춤하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용기 측면부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분석부와, 분석부를 수용하고 분석부에 대하여 액체를 급배하는 급배구를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밖에 부설되고 분석부에 대하여 급배된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와, 용기의 입구부와 급배구를 접속한 유로접속기구를 구비하고, 유로접속기구는, 지지부재를 기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된 안내기구와, 안내기구에 장착된 노즐로 구성되며, 노즐의 내부에는 유로가 형성되고, 이 유로의 일단이 용기의 입구부와 접속 가능하고, 타단이 하우징의 급배구와 접속 가능하고, 안내기구는, 지지부재를 기축으로 한 회전에 의해 노즐을 용기의 입구부에 안내 가능한 자동 시료분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용기의 입구부와 시료분석장치의 급배구를 접속하는 유로접속기구로서, 지지부재를 기축으로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된 안내기구와, 안내기구에 장착된 노즐로 구성되며, 노즐의 내부에는 유로가 형성되며, 이 유로의 일단이 용기의 입구부와 접속 가능하고, 타단이 분석장치의 급배구와 접속 가능하고, 안내기 구는, 지지부재를 기축으로 한 회전에 의해 노즐을 용기의 입구부에 안내 가능한 유로접속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지지부재는, 분석장치의 벽면에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안내기구는, 제 1 레버와 제 2 레버와 가세 부재로 이루어지며, 제 1 레버는 제 1 레버의 일단측에서 상기 지지부재를 기축으로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 2 레버는 제 1 레버의 타단측에 장착된 제 2 지지부재를 기축으로서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며, 가세 부재는 제 1 레버를 용기의 입구로부터 멀리한 방향으로 가세하기 위한 제 1 레버와 분석장치의 벽면과의 사이에 장착되며, 또한, 노즐은, 상기 제2 레버에 장착되고 있어도 된다.
안내기구는, 또한, 상기 지지부재에 축지지되는 제 3 레버를 갖고, 제 1 레버가 용기의 입구측으로 회동하는 것에 의해 제 3 레버가 용기의 입구에 장착되는 내뚜껑에 접합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은, 지지부재와, 지지부재를 기축으로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된 안내기구와, 안내기구에 장착된 노즐을 구비하고, 노즐의 내부에는 유로가 형성되며, 이 유로의 일단이 용기의 입구부와 접속 가능하고, 타단이 분석장치의 급액구와 접속 가능하며, 안내기구는, 지지부재를 기축으로 한 회전에 의해 노즐을 용기의 입구부에 안내 가능한 용기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 2 및 제 3 용기와 함께 사용되는 제 1 용기로서,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제 1 몸체부, 제 1 몸체부의 내부와 소통하는 입구를 갖는 제 1 몸체부의 상부상에 형성된 제 1 목부 및 제 1 견부, 및 상기 제 1 목부에서 제 1 견부까 지 돌출하는 제 1 돌출부를 포함하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기는 제 1 용기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되고 제 1 용기와 상응하는 제 2 몸체부, 제 2 목부 및 견부 및 제 2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용기는,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면상에 2개의 대향하는 오목부가 형성된 제 3 몸체부, 및 제 3 몸체부의 상부에 형성된 입구부 및 제 3 견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구부에는 제 3 몸체부의 내부와 소통하는 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용기는, 제 1 및 제 2 견부상에 제 3 용기를 유지하고 또한 제 1 및 제 2 돌출부를 상기 대향하는 오목부 및 제 3 견부에 결합시키므로써 상기 제 3 용기를 고정하기 위하여 제 2 용기와 공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돌출부는 두개의 대향하는 오목부 중 하나에 끼워맞춰지는 상부 및 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는 제 3 견부 위에 중첩되어도 된다.
상기 제 1 용기의 입구에 끼워맞춰진 내측 캡 및 내측 흡입관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내측 캡은 흡입관과 소통하기 위한 제 1 관통 구멍과 제 1 몸체부로부터 에어를 방출하기 위한 제 2 관통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관은 상기 제 1 관통 구멍과 연결되고 제 1 몸체부의 내측 바닥에로 연장되어도 된다.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용기와 함께 사용되는 제 3 용기로서, 외면상에 형성된 두개의 대향하는 오목부를 갖춘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제 3 몸체부, 및 제 3 몸체부 상부에 형성된 입구부와 제 3 견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구부는 제 3 몸체부 내부와 소통하는 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용기는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제 1 몸체부와, 제 1 몸체부의 내부와 소통하는 입구를 갖는 제 1 몸체부 상부상의 제 1 목부 및 견부와, 또한 상기 제 1 목부에서 제 1 견부까지 돌출하는 제 1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용기는 제 1 용기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되고 제 1 용기와 상응하는 제 2 몸체부와, 제 2 목 및 견부와, 또한 제 2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용기는제 1 및 제 2 견부 상에서 제 3 용기를 유지하고 또한 제 1 및 제 2 돌출부를 상기 대향하는 오목부 및 제 3 견부에 결합시키므로써 상기 제 3 용기를 고정하기 위하여 제 2 용기와 협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 3 용기의 입구에 끼워맞춰진 내측 캡 및 내측 흡입관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내측 캡은 흡입관과 소통하기 위한 제 1 관통 구멍과 제 3 몸체부로부터 공기를 방출하기 위한 제 2 관통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관은 상기 제 1 관통 구멍과 연결되고 제 3 몸체부의 내측 바닥으로 연장되어도 된다.
본 발명은, 지지 부재상에 피벗식으로 장착된 레버; 및 먼 단부 및 가까운 단부를 갖는, 상기 레버상에 피벗식으로 장착된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가까운 단부는 외부 흡입관과 연결되며 먼 단부는 레버가 피벗식으로 동작할 때 용기의 입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경로 연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레버가 제 1, 제 2, 제 3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3 레버가 지지 부재상에 피벗식으로 장착되고, 상기 제 2 레버 및 노즐이 제 1 레버상에 피벗식으로 장착되며, 상기 제 1, 제 2, 제 3 레버가 동일한 방향으로 피벗식으로 동작할 때, 제 1 레버는 노즐의 먼 단부를 용기의 입구에 들어가도록 리드하며, 상기 제 2 및 제 3 레버는 노즐이 입구와 지속적으로 연결되도록 용기와 결합하여도 된다.
상기 레버가 입구를 해제하도록 레버를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여도 된다.
상기 제 1 몸체부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상을 가져도 된다.
상기 제 3 몸체부가 실질적으로 편평한 바닥을 가져도 된다.
본 발명의 자동 시료분석장치는, 주로 인간을 포함한 포유 동물의 체액(혈액, 오줌, 골수액 등)을 분석하는 분석장치로서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하나로서의 자동 혈액분석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혈액분석장치에 있어서의「자동」이란, 사용자가 적어도 1개의 검체용기를 장치에 세트하면, 그 후는 전부 자동적으로 검체용기의 혈액 시료의 성분이 검출되며, 분석항목의 값이 산출되어, 산출 결과가 출력되는 것을 말한다.
이 자동 혈액분석장치는, 인간을 포함한 포유 동물의 혈액을 그 분석 대상으로 한다.
그 분석항목(측정·해석)으로서는, 인간의 혈액의 경우에는, 적혈구의 수(RBC), 백혈구의 수(WBC), 헤모글로빈의 양(HGB), 적혈구 용적률 값(HCT), 혈소판의 수(PLT)를 최초로, 평균 적혈구 용적(MCV), 평균 적혈구 헤모글로빈의 양(MCH) 및 평균 적혈구 색소 농도 (MCHC) 등이 천거된다.
또, 사용하는 측정 원리로서는, RBC와 PLT의 측정에는 시스 플로 전기저항 방식, WBC의 측정에는 전기저항 방식, HGB의 측정에는 비색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석 대상의 혈액 시료는 피험자로부터 채혈하여 검체용기(채혈관)에 수 용되는바, 그 경우 전체 혈액이라도 좋고, 미리 소정 농도로 희석된 것이어도 된다.
특히, 소아로부터 채취하는 경우에는, 채취양이 적기 때문에 미리 규정 농도, 예를 들면 26 배로 희석된다.
이 자동 혈액분석장치에 사용 가능한 검체용기(채혈관)로서는, 일반적으로 자주 이용되는 외경 1 2∼1 5mm, 전체 길이 85mm 이하의 진공 채혈관(입구가 고무 캡으로 봉지되는 것) 및 오픈 채혈관(입구가 개방되는 것)이나 외경 9∼11mm의 각종 미량 채혈관 등을 들 수 있다.
또, 필요로 하는 혈액 시료의 양으로서는, 예를 들면, 전혈 시료의 경우 10∼15μL, 희석시료의 경우 250∼350μL이다.
이 자동 혈액분석장치는 본체와 용기 수납유닛으로 구성할 수 있고, 본체는 하우징에 수용하고, 용기 수납유닛은 용기 홀더를 통하여 하우징의 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는 하우징 전면 상부에 표시부를 구비할 수 있고, 표시부에는 분석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LCD(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분석 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터치패널을 일체적으로 설치하면, 장치의 조작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그들의 설치 공간이 절약될 수 있다.
또, 하우징의 내부에는, 사용자가 검체용기를 삽입 설치하기 위한 검체 세트부, 검체용기로부터 시료를 정량·희석하여 혈액 성분의 검출을 행하는 검출부, 검출부의 정량·희석에 필요한 유체의 제어를 행하는 유체제어기기를 구비한 유체제어부, 검출부와 유체 제어부와 표시부를 전기적으로 구동 제어하는 전기 부품을 수 용하는 전기제어기판부, 입력되는 상용 전원으로부터의 교류 전압을 낮은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원부, 또한 분석 결과를 인자 출력하는 프린터부 등을 수용할 수가 있다.
이들의 각 부분은, 조작이나 보수의 용이성, 혹은 발열의 유무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검체 세트부를 하우징의 전면의 근처에 배치하면, 하우징 전면에 개폐문(검체세트패널)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는 그 문을 통하여 내부의 검체 세트부에 검체용기를 용이하게 세트할 수 있고, 또한 세트된 검체용기가 문에 의해 보호받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검출부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하우징의 좌우 어느 쪽인가 측면 내부에 유닛화하여 배치하면, 하우징의 한쪽의 측판을 제거하는 것 만으로, 보수나 점검을 할 수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검출부는 피펫으로 검체용기로부터 혈액 시료를 정량하여, 적당하게 희석해서 혈액 성분의 검출측정을 적정하게 행하기 위해, 피펫 구동장치, 믹스 챔버, 및 검출기 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에 이용되는 피펫으로서는, 갭부착의 검체용기에 구비하여 일반적으로 피어서 또는 니들 이라 불리는 선단이 날카로운 것을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다음에, 유체 제어부에 대해서는, 검출부와 반대의 측면 내부에, 결국 검출부와 표리 관계로 배치하면, 동일하게 하우징의 다른 쪽의 측판을 제거한 것만으로, 보수나 점검을 할 수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유체 제어부에 설치되는 전자 밸브나 각종 펌프류는 소음원이 되므로, 각 부품의 정음화에 유의하는 것에 의해, 유체 제어부 전체의 소음을, 예를 들면 돌발음을 포함하여 45dB 이하로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이 혈액 분석장치에서는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유체 회로의 구동원으로서 외부의 컴프레서와 같은 압력기기를 사용하지 않고, 그에 대신하여 하우징 내에 음압펌프를 설치하고 있다. 이 음압펌프는 유체 회로 전체의 음압원으로서 작용하기 위해 그 사용빈도가 높고, 그 정음화를 특히 배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전원부는 트랜지스터나 다이오드 등의 발열부품을 많이 포함하기 때문에, 하우징 내의 최상부에 배치하여, 하우징에 통기기(통기 구멍)를 설치하여 자연 냉각하도록 하면, 강제 풍냉용의 팬 등이 불필요하게 되어, 정음화 및 공간 절약화가 도모된다. 또, 최상부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발열의 다른 각 부분에 대한 악영향을 피할 수 있다.
또, 용기 수납유닛에는, 적어도 본체에서 사용하는 희석액과 용혈제를 각각 수용하는 2개의 용기, 및 본체로부터 배출되는 폐액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를 수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의사나 간호사가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취급을 간략화하고, 진단·치료의 현장으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소형·경량화하며, 또한, 소음을 억제하여 정음화함과 동시에 보수·점검의 안전과 용이화 및 에너지 절약화를 달성한 자동 시료분석장치가 이루어진다.
이하,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혈액분석장치의 전면사시도이고, 도 2는 후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1)는 하우징(2)에 수납되며, 그 전면 상부에 입력/표시부(3)를 구비하고, 전면 우하에 검체용기를 삽입 설치할 때에 개폐하는 검체세트패널(4)과, 검체세트패널(4)을 열기 위한 푸시버튼(5)을 구비한다.
하우징(2)의 우측판의 내측에는, 검체용기를 삽입 설치하기 위한 검체세트부(6)와, 검체용기로부터 시료를 정량·희석하여 검체 성분의 검출을 행하는 검출부(7)가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2)의 좌측판의 내측에는, 검출부(7)의 정량·희석 등에 필요한 유체의 제어를 행하는 유체 기기, 결국 밸브류나 펌프류 등을 집약적으로 수용하는 유체제어부(8)가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2)의 배면판의 내측에는, 검출부(7)와 유체제어부(8)과 표시부(3)를 전기적으로 구동 제어하는 전기 제어부품을 탑재한 기판을 수용하는 전기제어기판부(9)가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2)의 천정판의 내측에는, 입력되는 상용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원부(10)와, 분석 결과를 인자 출력하는 프린터부(11)가 설치되어 있다.
좌우측판, 배면판 및 천장판은, 각각이 분리 가능하게 나사 고정되어, 각 부 분마다 그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발열부품을 구비하는 전원부(10)는 하우징(2)내의 최상부에 설치되며, 하우징(2)의 전원부(10)를 둘러싸는 부분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기기(통풍구멍)(12, 13)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전원부(10)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분석장치의 다른 구성요소에 열적인 영향을 주는 일 없이 통기기(12, 13)으로부터 방출되어, 자연 공냉이 행해진다. 결국, 전원부(10)는, 냉각 팬과 같은 강제 공냉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컴팩트화 됨과 동시에 정음화 된다.
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1)의 좌측면에는 용기 홀더(950)가 부설되며, 희석액과 용혈제를 각각 수용하는 용기(Bl, B3)와, 배액을 수용하는 용기(B2)를 조합하여 수납한 용기 수납유닛(100)이 용기 홀더(950)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검체세트부의 구성과 동작
도4는 검체 세트부(6)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체 세트패널(4)은 지축(14)에 의해 화살표 S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며,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화살표 S 방향으로 가세되고 있다. 검체세트패널(4)의 상방에는, 푸시버튼(5)이 지축(15)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스프링(16)에 의해 화살표 T 방향으로 가세되고 있다.
검체세트패널(4)의 상단에 설치된 발톱(17)이 푸시버튼(5)의 하단에 계지하여, 검체세트패널(4)이 화살표 S 방향으로 열리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 검체세트패 널(4)에는 검체용기의 하단을 수용하여 지지하기 위한 검체랙(18)가 설치되며, 검체랙(18)의 상방에는 검체용기를 끼고 위치 결정하기 위한 2개의 협지발톱(19a, 19b)이 설치되며, 협지발톱(19a, 19b)의 기단은 각각 검체세트패널(4)로부터 수평으로 돌출한 돌출편(20)의 선단과, 지지판(21)에 고정되어 있다.
도 5와 도 6은 각각 협지발톱(19a, 19b)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협지발톱(19a, 19b)은 선단에 V 자형의 절결부(22)를 구비하고, 각도 e'=30도 만큼 굴곡한 굴곡부(23)을 갖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체랙(18)의 중심축에 대칭으며 배치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검체랙(18)에 설치된 검체용기(SP1)를 양측으로부터 탄성적으로 끼워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협지발톱(19a, 19b)은 탄성판(예를 들면 판두께 0.8mm의 폴리아세탈 수지판)으로 형성되며, 외경이 다른(예를 들면 12∼15mm) 검체용기(SP1)가 설치되어도 굴곡부(23)의 각도 e'가 탄성적으로 변화하여 그 외경의 변화를 흡수하여, 항상 검체용기(SP1)을 검체랙(18)에 동축으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 8은 미소 채혈용의 소형 검체용기(SP2)를 검체랙(18)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경우, 검체용기(SP2)는 외경 및 높이가 검체용기(SP1) 보다 작기 때문에, 그것을 보충하기 위해 어댑터(AD)를 통하여 검체랙(18)에 삽입된다.
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체 세트부(6)에는 검체세트패널(4)의 개폐를 검출하는 센서(포토인터럽터)(J1), 검체용기가 검체랙(18)에 설치되어 있든가 아닌가를 검출하는 센서(리밋 스위치)(J2), 어댑터(AD)가 사용되고 있는가 아닌가를 검출하는 센서(리밋 스위치)(J3)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사용자가 푸시버튼(5)의 상단을 누르면, 푸시버튼(5)은 도 4의 화살표 T의 반대방향으로 약간 회동하여, 푸시버튼(5)의 하단이 발톱(17)으로부터 벗어난다. 그에 의해 검체세트패널(4)는 지축(14)을 중심으로 해서 화살표 S 방향으로 회동하여, 검체세트패널(4)의 돌출편(4a)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판(21)에 계지할 때까지 열린다. 그래서, 사용자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체용기(SP1)를 검체 랙(18)에 삽입한다.
그리고,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체세트패널(4)을 닫으면, 발톱(17)이 푸시버튼(5)의 하단에 계지하여 닫은 상태가 유지된다. 이 때, 검체용기(SP1)은 협지발톱(19a, 19b)에 의해 양측으로부터 끼워지지되어, 검체랙(18)과 동축이 되도록 지지된다. 또한, 푸시버튼(5)은 큰 표면적(60mm×70mm)을 갖고, 사용자가 검체용기를 쥐었던 손으로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검출부의 구성과 동작
검출부(7)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펫 수평구동부(200)와, 피펫 수직 슬라이딩부(300)와, 피펫 수직구동부(400)와, 믹스 챔버(70)와, 검출기(50)를 구비한다.
피펫 수평구동부
도13은 피펫 수평구동부(200)의 정면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판(201)에 종동 풀리(202)와 구동 풀 리(20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풀리(202, 203) 사이에 타이밍 벨트(204)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 풀리(203)는 지지판(201)의 이면에 설치된 피펫 전후용 모터(스테핑 모터)(205)에 의해 구동된다.
지지판(201)의 상방에는 수평방향으로 가이드 레일(206)이 설치되며, 아래쪽에는 수평방향으로 가이드 샤프트(207)가 설치되어 있다. 세로로 가늘고 긴 수평 이동판(208)은, 상단이 가이드 레일(206)에 끼워 넣어지고, 하단이 가이드 샤프트(207)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재(209)와 결합하여, 이면에 돌출하는 연결부재(210)에 의해 타이밍 벨트(204)와 연결하고 있다.
또한, 수평 이동판(208)은 피펫 수직 슬라이딩부(300)를 고정하기 위한 비스 구멍(211, 212)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수평 이동판(208)은 모터(205)의 구동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 지지판(201)에는 수평 이동판(208)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피펫 전위치센서(포토 인터럽터)(J5)가 설치되어 있다.
피펫 수직 슬라이딩부
도14는 피펫 수직 탑재부(300)의 정면도, 도 15는 도 14의 B-B선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펫 수직 슬라이딩부(300)는, 지지체(301)에 수직으로 지지된 가이드 샤프트(302)와, 피펫(PT)을 수직으로 유지하여 가이드 샤프트(302)상을 슬라이딩하는 피펫 지지부(303)를 구비한다.
지지체(301)은 종방향으로 가늘고 긴 가이드 홈(304)을 구비하고, 피펫 지지 부(303)로부터 수평으로 돌출하는 가이드 봉(305)이 가이드 홈(304)에 삽입되어 안내되며, 피펫 지지부(303)가 안정되게 수직방향으로 가이드 샤프트(302)상을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지지체(301)는 도 13에 나타내는 수평 이동판(208)에 고정될 때에 고정용의 비스를 관통시키는 절결부(306, 307)를 구비한다.
또한, 피펫 지지부(303)는 가이드 롤러(308)를 구비하고, 가이드 롤러(308)가 피펫 수직구동부(400)의 가이드 아암(후술)과 계합하며, 가이드 아암에 연동하여 피펫 지지부(303)가 수직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지지체(301)의 아래쪽에는, 피펫 PT를 관통시켜 피펫 PT의 외벽과 내벽을 세정하기 위한 클리너(피펫 세정장치)(S)가 설치되며, 피펫 지지부(303)가 지지체(301)의 최상부(도 14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피펫(PT)의 날카로운 선단이 클리너(S) 중에 숨겨지도록 되어 있다.
지지체(301)의 아래쪽에 고정된 급배액용 니플(309, 310, 311)은, 각각 튜브(312, 313, 314)를 통하여 피펫(PT)의 기단 및 클리너(S)에 접속된다.
피펫 지지부(303)에 나사 고정된 비스(315)와, 지지체(301)의 돌기부(317)에 나사 고정된 비스(316)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상의 스페이서(318)를 고정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도 16과 같이 고정된 스페이서(318)는, 피펫 지지부(303)를 지지체(301)의 최상부에 고정하여, 피펫(PT)의 날카로운 선단이 클리너(S)로부터 나오는 것을 저지한다.
따라서, 피펫 수직 슬라이딩부(300)는, 스페이서(318)를 설치한 상태에서 도 13에 나타내는 수평 이동판(208)에 재치되며, 절결부분(306, 307)을 통하여 비스 구멍(211, 212)로 비스(319, 320)(도 17)로 고정된 후, 비스(315, 316)을 완화하는 것에 의해 스페이서(318)가 제거된다.
그에 의해, 피펫 수직 슬라이딩부(300)는 피펫 수평구동부(200)에 안전하게 탑재되며, 작업자가 피펫(PT)의 선단에서 손상되는 일이 없다. 또, 피펫 PT에 막히는 바와 같은 문제가 생긴 경우에는, 피펫 수직 슬라이딩부(300) 전체를 교환하도록 하고 있지만, 그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스페이서(318)가 이용되어, 교환작업이 안전하게 행해진다.
또한, 도 17은 피펫 수평구동부(200)에 피펫 수직 슬라이딩부(300)를 탑재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8은 그 좌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펫 수직 슬라이딩부(300)의 피펫 지지부(303)의 단부(303a)는 단면 십자형의 형상을 갖고, 피펫 수직구동부(400)의 주아암(후술)에 끼워 넣음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피펫 수직구동부
도19는 피펫 수직구동부(400)의 좌측면도, 도 20은 도 19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펫 수직구동부(400)는 가늘고 길게 수평방향으로 뻗은 주아암(401)과, 주아암(401)을 직교 방향으로 관통하여 지지판(41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나사 축(402)과, 나사 축(402)에 나사로 계합하여 주아암(401)에 고정되는 너트(403)와, 나사 축(402)에 평행으로 지지판(412)에 설치된 슬라이드 레일(404a)과, 주아암(401)의 좌단부에 설치되고 슬라이드 레일(404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계합하여 주아암(401)을 수직방향으로 안내하는 접동 부재(404b)와, 지지판(412)에 고정된 피펫 상하용 모터(스테핑 모터)(405)를 구비한다.
나사 축(402)의 상단과 모터(405)의 출력축에는 각각 풀리(406, 407)이 고정되고 그 사이에 타이밍 벨트(408)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405)의 구동에 의해 주아암(401)이 수직방향으로 상하 이동할 수가 있다. 그리고, 주아암(401)이 최상부에 이른 것을 검지하기 위한 피펫 상위치센서(J4)가 지지판(412)상에 설치되어 있다.
또, 주아암 401의 오른쪽 끝에는 가이드 아암(409)이 수평으로 고정되고 피펫 수직 슬라이딩부(300)의 가이드 롤러(308)에 계합하고 있다(도18).
주아암(401)은 피펫 지지부(303)의 단면 십자형의 단부(303a)(도17, 18)에 대향하는 면에 단면 십자형의 오목부(410)를 갖고,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펫 지지부(303)의 단부(303a)가 오목부(410)에 화살표 X 방향으로서 이탈 가능하게 적당한 클리어런스를 갖고 끼워넣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주아암의 상하 운동의 힘이 직접 피펫 지지부(303)에 전달된다. 또, 주아암(401)의 중앙부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상단의 굴곡부에서 주아암(401)에 계지하는 록봉(41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주아암(401)은 단면 20mm×26mm, 길이 108mm의 알루미늄 합금(A5052)으로 이루어지며, 가이드 아암(409)은 판두께 0.5mm의 강판(SECC)을 이용하여 단면 "コ" 형상으로 절곡 180mm의 길이를 갖는다.
피펫 수평구동부와 피펫 수직 슬라이딩부와 피펫 수직구동부의 동작
검체 세트부(6)의 검체랙(18)에 설치된 검체용기(SP1)로부터 혈액 시료를 정량하는 경우에는, 피펫 전후용 모터(205)를 구동하여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펫 지지부(303)의 단부(303a)를 주아암(401)의 오목부(410)에 끼워넣고, 피펫 상하용 모터(405)를 구동하여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아암(401)을 피펫 상위치 센서(J4)가 작동할 때까지 상승시킨다. 단부(303a)를 오목부(410)에 끼워넣는 것에 의해 나사 축(402)과 피펫(PT)과 검체용기(SP1)는, 그들 중심이 동일 평면상에 존재하는 외에, 나사 축(402)의 피펫(PT)에 대한 모멘트도 최소로 되기 때문에, 모터(405)에 의해 피펫(PT)을 하강시킬 때, 모터(405)의 토오크가 피펫(PT)이 하강하는 힘에 가장 효율적으로 변환된다.
그리고, 모터(405)의 구동에 의해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펫(PT)을 검체용기 상승 방지용의 스토퍼(26)의 관통구멍(26a)을 통하여 하강시키고,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펫(PT)을 검체용기(SP1)의 거의 바닥까지 도달시킨다. 이 때, 검체용기(SP1)가 고무 캡 부착의 진공채혈관인 경우에는 피펫(PT)의 선단에서 고무 캡을 뚫는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에 구비하여 피펫(PT)의 하강시에는 모터(405)로 통상보다도 큰 입력전류가 구동회로부(후술)로부터 공급되어 큰 출력 토오크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피펫(PT)이 하강할 때에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 봉(411)이 검체 세트패널(4)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편(24)에 설치된 계지 구멍(25)에 계지하여, 검체세트패널(4)이 부주의하게 열리고 피펫(PT)나 검체용기(SP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체랙(18)에 어댑터(AD)를 통하여 소형 검체용기(SP2)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검체 어댑터 검출센서(J3)가 작동하기 때문에, 후술의 제어부(500)는 피펫(PT)의 선단이 소형 검체용기(SP2)의 거의 바닥부에 이르도록 피펫(PT)의 하강 거리를 조정한다.
혈액 시료의 채취가 종료되면, 피펫(PT)은 도 21의 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피펫(PT)을 검체용기(SP1)로부터 앞지른 때에 피펫(PT)에 고무 캡이 부착하여 피펫(PT)와 함께 상승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 경우에는 스토퍼(26)에 의해 그 상승이 저지된다.
피펫(PT)이 도 21의 위치로 복귀하면, 피펫 전후용 모터(205)의 구동에 의해, 피펫 지지부(303)는 단부(303a)가 주아암(401)의 오목부(410)로부터 도 20의 화살표 X의 역방향으로 빼내진 후, 가이드 롤러(308)를 가이드 아암(409)의 내면에서 회전시키면서 피펫(PT)을 믹스 챔버(70) 및 검출기(50)의 위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피펫 상하용 모터(405)의 구동에 의해, 그 구동력이 주아암(401), 가이드 아암(409), 가이드 롤러(308)를 통하여 피펫 지지부(303)로 전달되며, 그에 의해 피펫(PT)은 하강 동작 및 그 후의 상승 동작을 행한다.
검출기의 구성
도 23은 검출기(50)의 주요 부분 노치정면도, 도 24는 그 주요 부분 노치 측면도이다. 검출기(50)는 투광성의 폴리 술폰 수지제이고,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바 와 같이 측정용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제 1, 제2 및 제 3 수용부(51, 52, 53)을 구비한다. 또한, 제 1 수용부(51)는 상부가 대기에 개방되고 제 1 수용부(51)과 제 3 수용부(53)는 연통하고 있다.
제 1 수용부(51)와 제 2 수용부(52)의 격벽에는 루비제의 오리피스용 원판(54)이 장착되며,원판(54)에는 직경 80μm의 오리피스(55)가 천공되어 있다. 또한, 제 2 수용부(52)는 제트 노즐(56)을 구비하고, 제트 노즐(56)은 그 선단이 제 2 수용부(52)를 통하여 오리피스(55)에 임하도록 노즐 지지부재(57)과 전극(58)에 지지되며, 그 후단은 급액용 니플(59)에 연통하고 있다. 전극(58)은 스테인리스 강제로 제 2 수용부(52의) 내부에 노출하고 있다.
또, 검출기(50)는, 제 1 수용부(51)에 희석액과 용혈제를 각각 공급하기 위한 노즐(60, 61), 제 2 수용부(52)에 각각 급액과 배액을 행하기 위한 니플(63, 64), 제3 수용부(53)의 바닥부에 설치된 배액용 니플(65)와 기포 방출용 니플(66)을 구비한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출기(50)는, 제 1 수용부(51)의 내부로 돌출하는 백금제의 전극(67),제 3 수용부(53)를 양측으로부터 끼우도록 설치된 발광 다이오드(68)과 포토 다이오드(69)를 구비한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68)로부터는 파장 555nm의 빛이 출사되며, 제 3 수용부(53)을 투과한 빛의 강도가 포토 다이오드(69)에 의해 검출되게 되어 있다. 발광 다이오드(68)와 포토 다이오드(69)는 헤모글로빈의 양(HGB)의 측정에 사용된다. 또, 전극(67, 58)은 오리피스(55)를 통과하는 액체의 임피던스의 변화를 측정하여 백혈구의 수, 적혈구의 수, 혈소판의 수 등을 계수하기 위해 설치된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 제3 수용부(51, 53)에서는 백혈구 측정시료가 조제되며, 제 1, 제2 수용부(51, 52)에서는 백혈구의 수, 혈소판의 수 및 적혈구 수의 검출이 행해진다.
믹스 챔버(액체 혼합용 용기)의 구성
도 25(a)는 믹스 챔버(70)의 종단면도이고, 도 25(b)는 믹스 챔버(70)의 평면도이며, 믹스 챔버(70)는 혈액시료를 혼합하기 위한 수용부(71)를 구비한다. 수용부(71)은 원통형으로 상부가 대기에 개방되며, 상부에 희석액 공급용의 니플(72)을 갖고, 바닥부에는, 혼합된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니플(73), 수용부(71)내의 잔류액을 배출하기 위한 니플(74) 및 수용부(71)내의 액체를 교반하는 기포(에어)를 주입하기 위한 니플(75)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니플(72, 73, 74, 75)은, 각각 수용부(71)에 연통하는 주액구(72a), 배액구(73a, 74a), 주기구(75a)에 접속되어 있다. 주액구(72a)는, 액체가 수용부(71)의 상부로부터 원주에 따라 주입되도록 개구 된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믹스 챔버(70)에 희석액을 공급하여 세정을 행한 경우에, 수용부(71)의 내벽면이 주액구(72a)로부터 분사되는 희석액에 의해 효율적으로 세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믹스 챔버(70)는, 내약품성의 열가소성 수지, 여기에서는 폴리 에테르 이미드를 사출 성형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수용부(71)의 내벽면은, 희석액 에 대한 습성을 충분히 높게 하기 위해 산술 평균 거칠기 Ra가 0.29μm으로 되도록 조면화 가공되고 있다. 따라서, 주액구(72a)로부터 토출되는 희석액은, 내벽면에 물방울으로 되어 잔류하는 일 없이 수용부(71)의 바닥부에 공급되어, 미리 저장되어 있는 혈액 시료를 원하는 배율로 정밀도 좋게 희석한다.
피펫 및 클리너(피펫 세정장치)의 구성과 동작
도38은 피펫(PT)의 종단면도이다. 피펫(PT)은 스테인리스 강제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동축의 흡인유로(31)를 구비한다. 선단은 a'=30도의 각도로 예리하게 절단되며, 검체용기(SP1)가 캡부인 경우에, 그 캡을 뚫게 되어 있다. 또, 흡인유로(31)는 선단부가 스테인리스 강제의 봉상부재(33)에 의해 봉지됨과 동시에 측면으로 개구하여 피펫(PT)의 축에 직교하는 축을 갖는 흡인구(32)를 구비한다.
도 26은 클리너 본체(80)의 평면도, 도 27은 도 26의 D-D선 단면도, 도 32는 도 26의 E-E선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클리너 본체(80)의 중앙에는 피펫(PT)을 입구(81a)로부터 출구(81b)로 세로로 관통시키는 피펫 관통구멍(81)이 설치되며, 피펫 관통구멍(81)은 원직경 단면을 갖는다.
피펫 관통구멍(81)은, 입구(81a)로부터 출구(81b)를 향하여 순차적으로, 동축에 직렬접속된 피펫 안내 구멍(82)과, 제 1 관통구멍(83)과, 제 2 관통구멍(84)으로 구성된다. 피펫 안내 구멍(82)은 피펫(PT)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갖고, 피펫(PT)의 축심이 제 1 및 제 2 관통구멍(83, 84)의 축심에 일치하도록 피펫(PT)을 안내한다.
한편, 제 1 및 제 2 관통구멍(83, 84)은, 피펫을 세정하기 위한 피펫 세정구멍을 구성한다. 제 1 관통구멍(83)의 내벽은, 입구측에 제 1 개구(85a)를, 출구측에 제 2 개구(85b)를 각각 갖고, 제 2 관통구멍(84)의 내벽은, 제 3 개구(85c)를 갖는다.
본체(80)는, 제 1 개구(85a)를 대기(본체(80)의 외측)로 개방하는 통기로(86a)와, 제 2 개구(85b)를 세정액 배출 니플(87)에 연통하는 세정액 배출로(87a)와, 제 3 개구(85c)를 세정액 공급 니플(88)에 연통한 세정액 공급로(88a)를 구비한다.
여기서, 피펫 안내 구멍(82), 제 1 관통구멍(83), 제 2 관통구멍(84)의 내경(Dl, D2, D3)은, 각각 피펫(PT)의 외경의 105%, 115%, 200%에 설정된다. 예를 들면, 피펫(PT)의 외경이 2.0mm의 경우는, D1=2.lmm, D2=2.3mm, D3=4.0mm이다.
그래서,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펫 관통구멍(81)에 피펫(PT)이 위로부터 아래로 관통하여, 세정액(이 실시예에서는 희석액)이 니플(88)로부터 제 2 관통구멍(84)으로 공급되며 니플(87)로부터 흡인되면, 그 세정액은 제 2 관통구멍(84)으로부터 피펫(PT)의 외주벽에 똑같이 접촉하면서 제 1 관통구멍(83)으로 유입하여, 니플(87)로부터 배출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피펫(PT)이 상승한다. 즉, 화살표 Z 방향으로 이동하면, 피펫(PT)의 외측(외주벽)에 부착되어 있는 혈액 시료 등이 세정액에 의해 씻어내지고 배출되는 것으로 된다.
이 때, 피펫(PT)의 상승 동작에 수반하여 세정액의 일부가 피펫(PT)에 부착하여 제 2 개구(85b) 보다도 상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그 세정액이 제 1 관통구멍(83)의 상부에 잔류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제 1 관통구멍(83)에 설치된 제 1 개구(85a)의 작용에 의해, 제 1 관통구멍(83)의 상부가 대기압으로 되므로, 제 1 개구(85a)와 제 2 개구(85b)와의 압력차에 의해, 그 세정액은 제 2 개구(85b)에 되돌려지고, 제 2 개구(85b)를 통하여 니플(87)로 배출된다. 따라서, 제 2 관통구멍(84)으로부터 제 l 관통구멍(83)으로 유입하는 세정액은, 제 1 관통구멍(83)의 상부에 잔류한 일 없이, 피펫(PT)의 외측을 효과적으로 세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펫(PT)의 선단을 제 1 관통구멍(83)내에 정지시켜 니플(87)로부터 음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피펫(PT)의 기단으로부터 선단의 흡인구(32)에 세정액이 공급되면, 피펫(PT)의 흡인유로(31)를 통과한 세정액은 피펫(PT)의 흡인구(32)로부터 토출하는 동시에 제 2 개구(85b)를 통하여 니플(87)로 흡인되어, 제 2 관통구멍(84)의 쪽으로 토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하여 피펫(PT)의 내측 즉, 흡인유로(31)와 흡인구(32)의 내벽이 세정되는 것이 된다.
여기서, 도 37에 피펫(PT)의 축으로부터 본 피펫(PT)에 대한 클리너 본체(80)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인구(32)의 축과 세정액 배출로(87a)의 개구(85b)의 축이 이루어지는 각 e'이 90도 보다 크게 되도록 피펫(PT)과 클리너 본체(80)가 배치되어 있다. 그것은, 다음의 현상이 실험적으로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1) e'≤90。로 있으면, 피펫(PT)의 흡인유로(31)와 흡인구(32)를 미리 충족 시키고 있는 희석액(후술)이, 피펫(PT)의 외측 또는 내측을 세정한 때에, 세정액 배출로(87a)의 음압 작용에 의해 빠져 나오고, 흡인구(32)에 빈곳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과 같이 혈액 시료를 피펫(PT)을 통해 흡인하여 정량할 때, 흡인전에 흡인구(32)의 빈곳에 혈액 시료가 침입하여, 흡인시에는, 그 침입 양 만큼 많은 혈액 시료가 흡인되기 때문에, 정량에 오차가 생긴다.
(2) e'>90。로 있으면, 세정액 배출로(87a)의 음압이 직접 흡인구(32)에 영향을 주지 않고, 피펫(PT)의 외측 또는 내측을 세정하여도 흡인구(32)에 빈곳이 생기는 일 없이 정확한 정량을 할 수가 있다.
도 33은, 클리너 본체(80)의 변형예로서의 클리너 본체(80a)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27 대응도이다.
본체(80a)는, 피펫 관통구멍(81)이 입구로부터 출구를 향하여 순서대로 동축에 직렬 접속된 피펫 안내 구멍(82)과 제 1, 제 2, 제 3 관통구멍(83a, 89, 84로 구성된다.
즉, 제 1 및 제 2 관통구멍(83a 와 89)가, 도 27의 제 1 관통구멍(83)에 대응하고, 제 3 관통구멍(84)은 도 27의 제 2 관통구멍(84)에 대응한다. 그리고,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관통구멍(89)는 내경이 피펫 안내 구멍(82)과 거의 동일하고, 제 1 관통구멍(83a)은 내경이 제 2 관통구멍(89) 보다 크게 제 3 관통구멍(84)와 거의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클리너 본체(80a)의 그 밖의 구성은 클리너 본체(80)(도27)와 동등하고, 피펫(PT)에 대한 세정 동작도 클리너 본체(80)와 마찬가지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피펫의 다른 실시예
도39는, 검체용기(SP1 또는 SP2)로서, 특히 진공 채혈관(고무캡으로 봉지된 용기)을 이용하는 경우에 피펫(PT)(도38)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실시예의 피펫(PTa)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0은 피펫(PTa)의 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펫(PTa)은 스테인리스 강제의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파이프는 그 축에 평행으로, 또한, 파이프의 축으로부터 편심한 흡인유로(액체유로)(601)를 내부에 구비한다. 선단은 a'=30도의 각도로 예리하게 절단되며, 검체용기(SP1 또는 SP2)의 갭을 뚫도록 되어 있다. 또, 흡인유로(601)는 선단부가 스테인리스 강제의 봉상부재(603)에 의해 봉지된다. 또한, 피펫(PTa)는 측면에 개구하는 흡인구(602)를 구비한다. 흡인구(602)는, 피펫(PTa)의 축에 직교하는 축을 갖고, 또한, 흡인유로(601)에 연통한다.
또한, 피펫(PTa)는, 축과 평행하게 뻗는 홈(604)을 외면에 갖는다. 홈(604)은 피펫(PTa)이 캡을 관통한 때 바로 검체용기내의 압력을 대기압으로 되돌려, 피펫(PTa)의 흡인동작을 원활화함과 동시에 정량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또, 홈(604)은 거의 U 형상으로 외측을 향하여 확산되며, 또한, 바닥부가 둥근형을 띤 단면을 갖는다. 홈(604)은 이와 같은 단면 형상을 갖기 때문에, 캡의 고무나 혈액이 홈(604)에 막히는 일이 없을 뿐만 아니라, 클리너(도 27)에 의해 효율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
또, 흡인유로(601)의 중심을 피펫(PTa)의 축심으로부터 비켜 놓는 것에 의해 단면에 있어서의 홈(604)의 형성영역이 증대하여, 보다 효율 좋은 홈(604)의 면적으로 형상을 선택하기 위한 자유도가 증대한다.
도 41(a)∼도41(e)는 도 39에 나타내는 피펫(PTa)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공정 설명도이다.
먼저, 스테인리스 강(SUS316)제의 외경 1.6mm, 내경 0.5mm의 시판의 파이프(610)를, 도 41의 (a)에 나타내는 단면에 있어서 한 변 S1=1mm의 정방형으로 구멍(601)이 한 변으로부터 S2=0.65mm의 거리에 위치하도록 절삭 가공하여 각재(612)를 형성한다.
다음에, 도 4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인리스 강(SUS316)제의 외경 2.lmm의 환봉(6l3)에 폭 W=깊이 D=1mm의 홈(614)을 축방향으로 형성한다.
다음에, 도 41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봉(613)의 홈(614)에 각재(612)를 끼워넣고, 각재(612)와 환봉(613)의 경계부분(615)에 레이저 용접을 행하고, 각재(612)와 환봉(613)을 접합한다.
다음에, 표면을 연마하여 도 41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경 2.1mm로 S3=0.4mm만큼 편심한 구멍(601)을 갖는 둥근 파이프로 완성한다.
다음에, 도 41의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대 폭 GW=0.5mm, 깊이 Gd=1mm의 U 자형 홈(604)을 프레이즈 가공에 의해 형성하다. 또한, 홈(604)의 단면 형상과 위치는, 홈(604)의 통기성과 피세정성이 최대로 되도록 결정되어 있다.
다음에, 도 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을 a'=30도의 각도로 절단하고, 스테인리스 강제의 봉상부재(603)를 용접 또는 은 납땜으로 고정한 후, 흡인구(602) 를 천공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피펫(PTa)이 제조된다.
음압펌프의 구성과 작용
도28은 유체 제어부(8)(도1)에 설치된 음압펌프(P1)(후술)의 구성을 나타내는 주요부 노치 정면도이다. 에어펌프(90)는 고무제의 대좌(91)에 탑재되며 수지제의 케이스(92)에 의해 밀폐되어 있다. 에어펌프(90)의 흡인 튜브(93)은 케이스(92)의 상부 관통구멍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며, 에어펌프(90)의 배기튜브(94)의 개방단은 케이스(92)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92)의 상부의 다른 관통구멍에 니플(95)이 설치되며, 니플(95)에, 소음용 배기튜브(96)가 접속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에어펌프(90)의 진동은 고무제 대좌(91)에 흡수되고, 에어펌프(90)의 발생음은 밀폐 케이스(90)에 의해 차폐되며, 배기음은 소음용 배기튜브(96)에 의해 소음된다. 따라서, 음압펌프(P1)는 효율적으로 정음화된다. 따라서, 튜브(96)의 내경과 길이는 실험적으로 소음 효과를 조사하여 적정하게 설정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에어펌프(90)로서, 정격전압 DC12V, 정격 토출량 2L/min의 직류 에어펌프를 이용하여, 튜브(96)로서 외경 6.5mm, 내경 3mm, 길이 300mm의 실리콘 튜브를 이용하고 있다.
유체 회로와 전기 회로의 구성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유체 회로를 나타내는 계통도이다. 이 유체 회 로에 있어서 유체기기 간은 송액용 튜브로 접속되어 있다. 유체 회로는, 피펫(PT)으로부터 시료를 정량하는 시린지 펌프(syringe pump)(SR1), 희석액 용기(B1)로부터 희석액을 믹스 챔버(70)나 검출기(50)에 공급하는 시린지 펌프(SR2), 용혈제 용기(B3)로부터 용혈제를 검출기(50)에 공급하는 시린지 펌프(SR3), 믹스 챔버(70)나 검출기(50)로부터의 배액을 수용하는 배액 챔버(WC), 배액 챔버(WC)에 음압을 인가하는 음압펌프(P1), 배액 챔버(WC)로부터 배액 용기(B2)로 배액을 배출하는 배액 펌프(P2), 믹스 챔버(70)나 검출기(50)에 교반용의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펌프(P3), 유체 회로의 유로를 개폐하는 전자 밸브(SV1∼SV4, SV7∼SV14, SV16, SV17, SV20∼SV25)를 구비한다. 또한, 시린지 펌프(SR1)은 시린지 펌프 모터(STM4)에 의해, 시린지 펌프(SR2, SR3)은 시린지 펌프 모터(STM5)에 의해 구동된다. 시린지 펌프 모터(STM4, STM5)에는 스테핑 모터를 이용할 수가 있다.
또, 상기 희석액으로서는 셀팩(시스멕스(주)제)이, 용혈제로서는 스토마토라이자 WH(시스멕스(주)제)가, 각각 매우 적합하게 사용된다.
도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기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전원부(10)은 상용교류전원으로부터 받은 전압을 직류전압(12V)으로 변환하여 제어부(500)와 구동회로부(501)로 공급한다. 제어부(500)는 CPU, ROM, RAM으로 이루어지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구비하고, 구동회로부(501)는 드라이버 회로나 I/O 포트 등을 구비한다. 입력/표시부(3)는 액정디스플레이(3a)와, 그 위에 중첩된 투명의 터치패널(3b)을 구비하고, 제어부(500)에 접속되어 있다.
구동회로부(501)는, 패널 개폐 센서(J1), 검체검출센서(J2), 검체 어댑터 검 출센서(J3), 피펫 상(上)위치 센서(J4), 피펫 전(前)위치센서(J5), 배액 챔버(WC)내의 음압을 검출하는 압력센서(J6), 배액 챔버(WC)내의 저장 액량을 검출하는 플로트 스위치(J7), 발광 다이오드(68) 및 포토 다이오드(69)로 된 헤모글로빈 검출부(502), 전극(58, 67)으로 이루어진 저항식 검출부(503)로부터의 각각의 출력 신호를 A/D 변환하여 제어부(500)에 출력한다.
제어부(500)는, 구동회로부(50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와 입력/표시부(3)의 터치패널(3b)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받아 시료의 분석을 행하는 분석부(500a)와, 소정의 처리 프로그램에 의해 그들 신호의 처리를 행하는 구동제어부(500b)를 구비한다. 그리고, 구동 제어부(500b)는, 그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구동회로부(501)에 피펫 상하용 모터(405), 피펫 전후용 모터(205), 시린지 펌프 모터(STM4), 시린지 펌프 모터(STM5), 음압펌프(P1), 배액 펌프(P2), 에어펌프(P3), 전자 밸브(SV1∼SV25)를 구동시킨다. 또한, 제어부 500는, 분석조건, 분석항목, 분석결과 등을 입력/표시부(3)의 액정 디스플레이(3a)에 표시시키고, 프린터부(11)에 인자 출력을 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액정디스플레이(3a)의 표시색을 변경하는 색 변경부(500c)와, 색 변경부(500c)를 제어하는 색 변경제어부(500d)를 구비한다.
혈액분석장치의 분석동작
도1에 나타내는 혈액분석장치의 분석동작을 도 31(a), 도 31(b)에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에 기초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3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혈액분석장치의 전원이 투입되고(스텝 S1), 예비 세정공정을 포함하는 각종 측정 준비에 필요한 측정준비시간이 경과하면(스텝 S2), 입력/표시부(3)의 액정 디스플레이(3a)에 「Ready」와 같은 문자가 표시된다(스텝 S3). 그러면, 사용자는 검체용기를 검체 세트부(6)(도4)에 설치한다(스텝 S4). 설치한 검체용기의 시료가 전혈시료인 경우에는, 사용자는 표시부(3)의 터치패널(3b)에 의해 「전혈모드」를 선택하는 조작을 행하고, 희석시료인 경우에는 「희석모드」를 선택하는 조작을 행한다(스텝 S5).
다음에, 터치패널(3b)의 스타트 버튼을 누른다(스텝 S6). 이 경우, 스텝 S4에 있어서, 검체용기(SP1 또는 SP2)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경우 및/ 또는 검체세트패널(4)이 닫히지고 있지 않는 경우, 센서(J1, J2)가 그것을 검지하기 때문에, 장치는 시동하지 않는다. 검체용기(SP1 또는 SP2)가 설치되어, 검체세트패널(4)이 닫혀져 있다면 장치의 동작이 개시되며, 「전혈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스텝 S7), 전혈로부터의 적혈구수(RBC) 측정시료 및 백혈구수(WBC) 측정시료의 조제가 행해진다(스텝 S8, S9).
스텝 S9에서 조제된 WBC 측정용 시료를 이용하여 WBC와 헤모글로빈 양(HGB)의 측정이 행해지고(스텝 S10), 측정된 WBC와 HGB가 액정 디스플레이(3a)에 표시된다(스텝 S11). 다음에, 스텝 S8에서 조제된 RBC 측정용 시료를 이용하여 RBC의 측정이 행해지며, PLT (혈소판 수), 적혈구 용적률 값(HCT) 및 그 밖의 분석항목, 평균 적혈구 용적(MCV), 평균 적혈구 용적(MCH), 평균 적혈구 헤모글로빈 농도(MCHC) 등이 산출되며, RBC의 측정치와 산출된 분석항목이 액정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스 텝 S13, S14).
여기서, WBC, RBC 및 PLT는 검출기(50)의 전극(58, 67) 사이의 임피던스의 변화 펄스를 계수하여 산출되며, HGB는 포토 다이오드(68)로부터 얻어지는 희석액만의 흡광도(블랭크 값)와 WBC 측정용 시료의 흡광도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산출된다. 또, HCT는 전극(58, 67) 사이의 임피던스의 변화 펄스의 파고치로부터 산출되며, MCV, MCH 및 MCHC는, 각각 다음의 식으로서 산출된다.
MCV=(HCT) / (RBC)
MCH=(HGB) / (RBC)
MCHC=(HGB) / (HCT)
또한, 다음과 같은 항목도 산출된다.
LYM% : 총 WBC에 대한 소형 백혈구의 비율
(임파구와 등가인 것으로 가정함.)
MXD% : 총 WBC에 대한 중간 백혈구의 비율
(단세포, 에오시노필, 및 바소필과 등가인 것으로 가정함)
NEUT% : 총 WBC에 대한 대형 백혈구의 비율
(누트로필과 등가인 것으로 가정함.)
LYM # : 소형 백혈구의 절대수
(임파구와 등가인 것으로 가정함)
MXD# : 중간 백혈구의 절대수
(단세포, 에오시노필, 및 바소필과 등가인 것으로 가정함)
NEUT# : 대형 백혈구의 절대수
(누트로필과 등가인 것으로 가정함.)
RDW-SD : 적혈구 분포폭 계산치, 표준편차
RDW-CV : 적혈구 분포폭 계산치, 분산계수
PDW : 혈소판 분포폭 계산치
MPV : 평균 혈소판 용적
P-LCR : 총 혈소판의 수에 대한 대형 혈소판의 비율
다음에 유체 회로의 세정공정이 실시되며, 세정공정이 종료되면(스텝 S15), 루틴은 스텝 S3으로 돌아오고, 다음의 검체의 측정에 구비하여「Ready」가 액정 디스플레이(3a)에 표시된다. 또한, 스텝 S7에 있어서「희석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희석 혈액으로부터 RBC 및 WBC 측정용 시료가 조제된다(스텝 S16, S17). 이 경우 검체 시료는 이미 희석된 혈액이기 때문에, 그 희석 배율을 고려하여 희석되며, 전혈모드와 동일한 희석배율의 혈액 시료를 얻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도 29에 나타내는 유체 계통도에 기초하여 스텝 S8∼S15에 있어서의 처리 공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유체회로 중의 모든 밸브는 통상은 닫혀 있는 상폐 타입의 것이다.
예비 세정공정(스텝 S2)
(1) 피펫(PT)을 검체랙(18)의 상부로 이동시키고,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강시킨다(이 시점에서는 검체용기(SP1)는 검체 세트부(6)에 설치되어 있지 않 다).
(2) 밸브(SV9, SV25)를 열고, 시린지 펌프(SR2)로부터 희석액을 세정 클리너(S)에 공급하여 배액 챔버(WC)로 배출한다. 동시에 도 34와 같이 피펫(PT)을 끌어올리고, 피펫(PT)의 선단이 도 35에 나타내는 위치에 이르면, 피펫(PT)을 정지시킨다. 그에 의해 피펫(PT)의 외측의 세정을 종료한다.
(3) 다음에, 밸브(SV9, SV25)를 열린 채로, 피펫(PT)을 도 36의 위치까지 약간 하강시키고, 밸브(SV4, SV10)을 열며, 시린지 펌프(SR2)로부터 희석액을 피펫(PT)에 공급한다. 그와 함께, 피펫(PT)의 흡인구멍(32)으로부터 배출된 희석액을 배출 챔버(WC)에 배출하여, 피펫(PT)의 내측을 세정한다.
(4) 다음에, 밸브(SV4, SV10)를 닫으면, 피펫(PT)의 흡인구(32)로부터 제 2 개구(85b)에의 희석액의 흐름이 정지하하여, 내측 세정을 종료한다.
이때, 흡인유로(31) 및 흡인구(32)는 희석액으로 채워져 있다. 한편, 제 3 개구(85c)로부터 제 2 개구(85b)에의 희석액의 흐름은 계속하고 있으므로, 다음에 밸브(SV9, SV25)를 닫으면, 그 흐름이 정지하여, 피펫(PT)의 흡인구(32)는 희석액으로 채워진 상태로 유지된다.
RBC 측정용 시료의 조제(스텝 S8)
(1) 배액 챔버(WC)에 음압펌프(P1)로부터 음압을 인가하여, 밸브(SV16, SV20)을 여는 것에 의해 검출기(50) 및 믹스 챔버(70)내의 잔류액을 배출하고, 그 후 밸브(SV16, SV20)를 닫는다.
(2) 밸브(SV22)를 열고, 시린지 펌프(SR2)에 흡인 동작을 시켜, 희석액을 수용한 용기(B1)로부터 희석액을 시린지 펌프(SR2)에 흡인하여, 밸브(SV22)를 닫는다.
(3) 피펫(PT)을 하강시켜 검체용기(SP1)에 삽입한다. 그리고, 밸브(SV10, SV8)를 열고, 시린지 펌프(SR1)에 흡인 동작을 시키는 것에 의해, 피펫(PT)이 소정량(10μL)만큼 혈액 시료를 흡인한다. 그 후, 밸브(SV10, SV8)를 닫는다.
(4) 다음에, 피펫(PT)을 끌어올린다. 이 끌어올리는 동작 중에 밸브(SV9, SV25)를 열고, 시린지 펌프(SR2)로부터 희석액을 세정 클리너(S)로 공급하여 배액 챔버(WC)로 배출하여, 피펫(PT)의 외측을 세정한다. 그리고, 밸브(SV9, SV25)를 닫는다.
(5) 밸브(SV14)를 열고, 시린지 펌프(SR2)에 토출 동작을 시키는 것에 의해 믹스 챔버(70)에 소정량(1.3mL)만큼 희석액을 공급한다. 그리고, 밸브(SV14)를 닫는다.
(6) 피펫(PT)을 믹스 챔버(70)의 바로 위까지 이동시킨 후, 하강시킨다. 그리고 피펫(PT)에 흡인해 둔 10μL의 혈액 시료를, 밸브(SV10, SV4)를 열어 시린지 펌프(SR2)에 토출 동작을 시키는 것에 의해, 믹스 챔버(70)에 주입한다. 이에 따라 130 배에 1단 희석된 1.3mL의 희석시료가 믹스 챔버(70) 내에 조제된다. 그 후, 밸브 SV10, SV4를 닫는다.
(7) 예비 세정공정의 (2)∼(4)의 동작을 실행한 후, SV4, SV10을 열고, 시린지(SR2)가 소정량만 흡인 동작을 행하는 것에 의해, 피펫(PT)의 흡인구(32)에 약 10μL의 에어갭(공기층)을 만든다. 그 후, SV4, SV10을 닫는다.
(8) 밸브(SV12)를 열고 에어펌프(P3)을 구동하여 에어를 믹스 챔버(70)에 공급하여, 기포에 의해 믹스 챔버(70) 안의 희석시료를 교반한다. 그리고, 에어펌프(P3)를 정지시키고 밸브(SV12)를 닫는다.
(9) 재차 피펫(PT)을 믹스 챔버(70)내로 하강시키고, 밸브(SV10, SV4)를 열고, 시린지 펌프(SR2)에 흡인 동작을 시키는 것에 의해, 피펫(PT)이 소정량(0. 59mL)만 1단 희석시료를 흡인한다. 그리고, 밸브 SV10, SV4를 닫는다.
(10) 피펫(PT)의 외측을 예비 세정공정의 (2)와 같이 세정하면서 피펫(PT)를 끌어올린다.
(11) 밸브(SV20)를 연다. 그리고, 배액 챔버(WC)에 음압펌프(P1)로부터 음압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 믹스 챔버(70)의 잔류 시료를 전부 배액 챔버(WC)로 배출한다. 그리고, 밸브 (SV20)을 닫는다.
(12) 밸브(SV14)를 열고, 시린지 펌프(SR2)에 토출 동작을 시키는 것에 의해, 희석액을 시린지 펌프(SR2)로부터 믹스 챔버(70)에 공급한 후, 밸브(SV14)를 닫는다. 그리고, 상기 (11)을 실행한다.이에 따라 믹스 챔버(70)의 세정이 행해진다.
(13) 밸브(SV14)를 열고, 시린지 펌프(SR2)에 토출 동작을 시키는 것에 의해, 소정량의 희석액을 시린지 펌프(SR2)로부터 믹스 챔버(70)에 공급하고, 희석액에 의한 전분주를 행한다. 그리고, 밸브(S14)를 닫는다.
(14) 피펫(PT)을 하강시키고, 밸브(SV10, SV4)를 열어, 시린지 펌프(SR2)에 토출 동작을 시키는 것에 의해, 믹스 챔버(70)로 피펫(PT)에 흡인 지지되어 있는 1단 희석시료 0.59mL의내 0.2mL만큼을 토출시킨다. 그리고, 밸브(SV10, SV4)를 닫는다. 다음에, 피펫(PT)을 끌어올린다. 끌어올리는 중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피펫(PT)의 외측의 세정이 행해진다.
(15) 밸브(SV13)을 열고 시린지 펌프(SR2)에 토출 동작을 시켜, 시린지 펌프(SR2)로부터 희석액을 믹스 챔버(70)에 공급하여, 750배의 2단 희석액을 작성한다. 그리고, 밸브(SV13)을 닫는다. 이 때,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기포에 의한 교배를 행한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적혈구 측정용 시료가 믹스 챔버(70) 내에 조제된다.
WBC 측정용 시료의 조제(스텝 S9)
(1) 밸브 SV13을 열고, 시린지 펌프(SR2)에 토출 동작을 시키는 것에 의해 검출기(50)에 희석액을 0.5mL만큼 공급한다(전분주). 그리고, 밸브(SV13)를 닫는다.
(2) 피펫(PT)을 검출기(50)의 위까지 이동시킨후 하강시키며, 밸브(SV10, SV4)를 열고, 시린지 펌프(SR2)에 토출 동작을 시키는 것에 의해, 피펫(PT)으로부터 검출기(50)로 0.39mL의 1단 희석시료를 토출시킨다. 그리고, 밸브(SV10, SV4)를 닫는다.
(3) 밸브(SV24)를 열고 시린지 펌프(SR3)에 흡인 동작을 시키는 것에 의해, 용혈 용기(B3)로부터 시린지 펌프(SR3)에 용혈제를 흡인한다. 그리고, 밸브(24)를 닫는다.
(4) 밸브(SV23)를 열고, 시린지 펌프(SR3)에 토출 동작을 시키는 것에 의해, 0.5mL의 용혈제를 검출기(50)에 공급하여, 밸브(SV23)를 닫는다. 이에 따라, 검출기(50)에는 0.39mL의 희석액과, 0.5mL의 1단 희석시료와, 0.5mL의 용혈제가 검출기(50)의 제 1 및 제 3 수용부(51, 53)의 중에 존재한다.
(5) 피펫(PT)를 상승시키고, 동시에 예비 세정공정의(2)∼(4)와 마찬가지로 하여 피펫(PT)의 외측을 세정함과 동시에, 내측도 세정한다. 여기서, 피펫(PT)의 흡인구(32)는 희석액으로 채워진 상태로 유지된다.
(6) 밸브(SV11)을 열고, 에어펌프(P3)를 작동시켜 검출기(50)에 에어를 공급하여 기포에 의한 교건을 행하고, 에어펌프(P3)를 정지시키고 밸브(SV11)을 닫는다.이것에 따라,검출기(50) 안에 있어 WBC 측정용 시료의 조제가 완료된다.
WBC 및 HGB의 측정(스텝 S10)
(1) 밸브(SV21, SV18)를 연다. 그리고, 음압펌프(P1)로부터 배액 챔버(WC)로 음압을 인가 하는 것에 의해, 희석액 용기(B1)로부터 희석액을 검출기(50)의 제 2 수용부(52)를 통하여 배액 챔버(WC)로 흐르게 하여, 제 2 수용부(52)를 세정함과 동시에 희석액을 제 2 수용부(52) 내에 수용한다. 그리고, 밸브(SV21, SV18)을 닫는다.
(2) 밸브(SV17)을 열고, 시린지 펌프(SR2)에 의한 흡인 동작을 행하는 것에 의해, 검출기(50) 내에 있어서 제 1 및 제 3 수용부(51, 53)에 수용되어 있던 백혈 구 측정용 시료를 오리피스(55)를 통하여 제 2 수용부(52)로 유입시킨다(약10초간). 그리고, 밸브(SV17)를 닫는다. 이 때, 제어부(500)는 전극(58과 67) 사이의 임피던스의 변화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백혈구수(WBC)를 산출한다.
(3) 동시에, 발광 다이오드(68)를 발광시켜 포토 다이오드(69)에 의해 검출된 투과광 강도에 의해 제어부는 헤모글로빈 양(HGB)을 산출한다. 또한, HGB의 블랭크 측정(희석액 만의 투과광 강도의 측정)은, 미리 WBC 측정시료 조제시의 공정(1)의 종료 직후에 행해진다.
RBC의 측정(스텝 S12)
(1) 밸브(SV16)를 열고, 음압펌프(P1)로부터 배액 챔버(WC)에 음압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 검출기(50) 내의 잔류액을 배액 챔버(WC)로 배출한다. 그리고, 밸브(SV16)를 닫는다.
(2) 밸브(SV13)를 열고, 시린지 펌프(SR2)에 토출 동작을 시키는 것에 의해, 검출기(50)의 제 1 및 제 3 수용부(51, 53)에 희석액을 공급한다.
그리고, 밸브 SV13을 닫는다.
(3) 밸브(SV21, SV18)을 열고, 음압펌프(P1)로부터 배액 챔버(WC)에 음압을 인가시키는 것에 의해, 희석액 용기(B1)로부터 희석액을 검출기(50)의 제 2 수용부(52)로 공급하여 제 2 수용부(52)를 세정한다. 그리고, 밸브(SV21, SV18)를 닫는다.
(4) 밸브(SV1, SV3)를 열고, 시린지 펌프(SR2)에 흡인 동작을 시키는 것에 의해, 믹스 챔버(70)의 적혈구 측정용 시료를 차아징 라인(CL)에 저장시킨다. 그리고, 밸브(SV1, SV3)를 닫는다.
(5) 밸브(SV17)를 열고, 시린지 펌프(SR2)에 토출 동작을 시키는 것에 의해, 희석액이 검출기(50)의 제 3 수용부(52)로부터 제 1 수용부(51)로 오리피스(55)를 통하여 유입한다.
(6) 그 사이에 밸브(SV7)을 열고, 시린지 펌프(SR1)에 토출 동작을 시키는 것에 의해, 차아징 라인(CL)에 저장되어 있던 적혈구 측정용 시료가 제트 노즐(56)로부터 오리피스(55)에 분출된다. 제트 노즐(56)로부터 분출된 적혈구 측정용 시료는, 상기 (5)에 있어서 희석액에 둘러싸이고, 시스플로로서 오리피스(55)를 통과한다(약10초간). 그리고, 밸브(SV17, SV7)를 닫는다.
(7) 이 시스 플로가 오리피스(55)를 통과할 때에 생기는 전극(58, 67) 사이의 임피던스 변화에 기초하여, 제어부(500)는 적혈구 수(RBC), 혈소판 수(PLT), 적혈구 용적률(HCT) 및 그 밖의 항목을 산출한다.
세정공정(스텝 S15)
(1) 밸브(SV20, SV16)을 연다. 그리고, 음압펌프(P1)로부터의 음압을 배액 챔버(WC)에 인가하는 것에 의해, 믹스 챔버(70)와 검출기(50)의 잔류액을 배액 챔버(WC)에 배출하고, 밸브(SV20, SV16)를 닫는다.
(2) 밸브(SV14, SV13)를 열고, 시린지 펌프(SR2)에 토출 동작을 시키는 것에 의해, 믹스 챔버(70)와 검출기(50)에 희석액을 공급한다. 그리고 밸브(SV14, SV13) 를 닫는다.
(3) 밸브(SV1, SV2)를 연다. 그리고, 음장 펌프(P1)로부터 배액 챔버(WC)에 음압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 믹스 챔버(70)로부터 희석액을 차아징 라인(CL)을 통하여 배액 챔버로 배출한다. 그리고, 밸브(SV1, SV2)를 닫는다.
이상으로 세정공정은 종료된다. 또한, 배액 챔버(WC) 내의 음압은 압력 센서(J6)에 의해 감시되어,항상 소정 압력 범위 100∼300mmHg,바람직하게는 150∼200mmHg에 있는 것과 같이 음압펌프(P1)가 구동된다.
또, 배액 챔버(WC)에 저장된 배액이 소정량에 이르면, 플로트 스위치(J7)에 의해 검출되어 배액 펌프(P2)가 구동해서, 그 배액이 배액 용기(B2)로 배출된다.
입력/표시부
사용자가 오류없이 입력 조작할 수 있도록, 입력/표시부(3)는, 사용자에게 입력순서를 순차적으로 안내함과 동시에, 입력 내용, 분석 경과, 분석 결과를 알기 쉽게 표시한다.
이하에, 입력/표시부(3)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부(500)는 내장한 ROM에 기억되어 있는 소정의 프로그램과 표시 정보를 기초로 각종 표시화면을 액정 디스플레이(3a)에 표시한다. 이러한 각종 표시화면에는 측정을 시작하기 위한 스타트 버튼이 표시되는 메인화면, 모드선택버튼이 표시되는 모드선택 화면, 나아가서는 측정항목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화면 등이 포함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메인화면(도 42 (a),도 43,도 44)은, 스타트 버튼(516)과 모드선택버튼(512, 514)이 동시에 표시되도록 해 둔다.
혈액분석장치의 분석 공정에 수반하는 표시 동작에 관하여 도 31(a), 31(b)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입력/표시장치(3)는, 다음과 같이 표시를 행한다.
먼저, 도 3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혈액분석장치의 전원이 투입되고(스텝 S1), 소정의 준비 시간이 경과하면(스텝 S2), 입력/표시장치(3)의 액정 디스플레이(3a)에 「Ready」와 같은 문자를 포함하는 메인화면(도42 (a))이 표시된다. 이 메인화면에는 모드선택버튼(512,514)과 스타트 버튼(516)이 표시되어 있다.
그래서, 측정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시료가 들어가 있는 검체용기를 검체세트부(6)에 설치한다(스텝 S4). 다음에 측정자는 전혈모드로 측정을 행하는가 희석모드로 측정을 행하는가를 선택한다(스텝 S5). 선택은 메인화면 중의 2개의 모드선택버튼(512, 514)의 어느 한쪽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설치한 검체용기의 시료가 전혈 시료(통상의 측정을 행할 때의 시료)로 있는 경우에는, 측정자는 입력/표시장치(3)에 표시되어 있는 메인화면 중에 적색으로 표시되어 있는「전혈모드」버튼(512)을 접촉하고, 희석시료인 경우에는 황색으로 표시되고 있는「희석모드」버튼(514)을 접촉한다(스텝 S5).
이 때「전혈모드」버튼(512)에 접촉하면 메인화면 중의 스타트 버튼(516)은 적색이 되며,「희석모드」버튼(514)에 접촉하면 스타트버튼(516)은 황색이 된다. 이 때, 제어부(500)는, 버튼의 색을 변경하는 색 변경부(500c) 및 색 변경 제어부(500b)를 기능 시킨다.
이어서 메인화면 상에 표시되어 있는 스타트 버튼의 색으로부터 측정모드를 확인하면서 스타트 버튼(516)을 접촉한다(스텝 S6). 제어부(500)는 「전혈모드」와「희석모드」의 어느 쪽이 선택되고 있는가를 판단하여 각각에 따른 프로그램의 처리를 시작한다(스텝 S7).
여기서 스타트 버튼(516)에 의한 입력에 기초하여 측정 동작이 시작된다면 거의 동시에, 입력/표시장치(3)가 표시한 화면은 메인화면(도42 (a))으로부터 측정화면(도42 (b))으로 전환된다. 이 때의 측정화면에는 측정항목이 표시되고 있지만, 각 항목의 측정결과는 아직 얻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표시되고 있지 않다.
또, 이 때에 표시된 측정항목은, 일반적으로 중요하다고 말해지고 있는 5항목(WBC, RBC, HGB, HCT, PLT)에 초기 설정되어 있다.
「전혈모드」가 선택되고 있을 때는, 전혈로부터 RBC 측정시료 및 WBC 측정시료를 조제한다(스텝 S8, S9).
「희석모드」가 선택되고 있을 때는, 희석 혈액으로부터 RBC 측정시료 및 WBC 측정시료를 조제한다(스텝 S16, S17).
이어서 스텝 S9로 조제된 WBC 측정용 시료를 이용하여 WBC, HGB(헤모글로빈 농도)의 측정이 먼저 실행되며(스텝 S10), 측정결과가 얻어지면 이 2항목의 측정결과의 데이터가 표시 중의 측정화면에 표시된다(도 42 (c))(스텝 S11).
또한, 스텝 S8로 조제된 RBC 시료를 이용하여 RBC의 측정이 행해되며(스텝 S12), PLT (혈소판 수), HCT(적혈구 용적률 값) 및 그 밖의 측정항목이 산출되고(스텝 S13), 그들 측정결과 및 산출결과가 측정화면 중에 표시된다(스텝 S14). 이 때 측정화면에는 큰 문자 사이즈로 5항목의 측정결과가 표시되어 있다(도42 (d)).
이어서 다음번 측정의 준비를 위해 세정공정이 시작된다(스텝 S15).도 31(b)는 스텝 S15의 상세한 플로차트이다. 도 31(b)에 있어서, 세정 중에 8항목 표시를 위한 터치 패널 조작이 이루어졌는가가 감시되고(스텝 S18), 8항목 표시의 입력 조작이 이루어진다면 문자 사이즈가 작은 8항목 표시화면(도42(e))으로 이전된다(스텝 S19).
일단,8항목 표시화면(도 42(e),도 49)으로 이전되면, 화면 오른쪽 위에 표시가 이루어진「복귀」버튼(534)에 접촉할 때까지 8항목 표시가 표시된다(스텝 S20).「복귀」버튼(534)에 접촉한다면 메인화면(도42(a))으로 전환된다(스텝 S21).
만약, 스텝 S18에 있어 입력조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그대로 5항목 표시화면(도42(d))를 표시하고 계속하여 세정 종료를 기다린다(스텝 S22).
세정이 종료되면 메인화면(도42(a))로 전환(스텝 S21)되어, 재차 스텝 S3에 돌아오며, 다음 시료의 측정에 준비된다. 즉, 세정이 종료될 때까지 8항목 표시를 위한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는, 8항목 표시의 필요가 없는 것으로 하여, 자동적으로 메인화면(도42(a))으로 전환된다. 이 메인 화면(도42(a))에의 자동적인 전환을 하는지 아닌지를 결정함에 있어, 제어부(500)는, 세정이 종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로는, 제어부(500)는 분석 장치 각 부분에 구비된 센서 등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세정의 종료를 판단한다. 또한, 별도 타이머를 설치하고, 세정 개시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세정이 종료되었다고 간주하여, 상기와 같이 자동적으로 5항목 표시화면(도42(d))를 메인화면(도42(a))으로 전환하도록 제어부(500)가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세정 종료라고 판단될 때부터 일정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상기와 같이 자동적으로 5항목 표시화면(도42(d))을 메인화면(도42(a))으로 전환하도록 제어부(500)가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에, 메인화면, 측정화면의 표시 내용으로 대하여 설명한다.
메인화면
도 43,도 44는 메인화면의 표시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3은 전혈모드 선택시, 도 44는 희석모드 선택시의 화면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 측정모드 영역(511)은, 전혈모드」버튼(512)과, 「희석모드」버튼(514)을 나타내고 있다. 스타트 버튼(516)은 스타트 버튼 영역에 표시된다. 그 밖에, 프린터의 종이 이송을 행하기 위한 P/F 버튼(518), 보수, 설정, 교정 등의 각종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버튼(520), 장치의 정밀관리를 행하기 위한 Qc버튼(522), 이미 측정이 끝난 시료에 관한 측정결과를 표시화면을 호출하기 위한 버튼(524), 조업정지동작(세정 후에 장치를 정지하는)을 개시하기 위한 조업정지버튼(526), 희석모드로 필요한 분주를 행하기 위한 분주버튼(528) 등이 표시된다.
터치 패널(3b)이 디스플레이(3a) 위에 중첩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버튼의 각 기능은, 터치 패널(3b)의 대응부분을 손가락 등으로 접촉하는(누르다) 것에 의해 기동되며, 각 기능은 미리 제어부(500)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는 것에 의해 처리된다.
영역(510)은 검체 ID번호를 입력하는 영역이며, 도시하지 않은 키보드(팝업 메뉴로서 표시되는 것이라도 좋다)로부터 수치 등이 입력된다.
측정모드의 선택에 관하여 설명한다.도 43에 나타내는「전혈모드」버튼(512), 「희석모드」버튼(514)는 각각 적색과 황색으로 착색되어 있다. 2개의 버튼(512와 514)의 색이 다른 것은, 색채에 의한 식별 작용을 이용하여 잘못 누르는 것을 줄이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예를 들면「전혈모드」버튼(512)을 접촉하면 이것이 눌러지고 압입되도록 입체적으로 표시되며, 다른 편「희석모드」버튼(514)은 눌러지고 있지 않고 돌출되게 보이도록 입체적으로 표시된다. 역으로「희석모드」버튼(514)을 접촉하면 이것이 눌려지며,「전혈모드」버튼(5l2)가 돌출되게 보이도록 표시된다. 이에 의해 2차원 평면인 터치 패널 위의 버튼이라도 시각적으로는 입체 표시되어, 어느 쪽이 선택되고 있는가가 명확해 지므로, 측정모드의 잘못이 생기기 어렵게 된다.
또한,「전혈모드」버튼(512)과 「희석모드」버튼(514)의 하부에「Whole Blood」「Pre-Diluted」와 같이 선택된 모드를 의미하는 표시를 동시에 행하도록 하여 또한 잘못을 막도록 하고 있다.
또한, 선택된 각 측정모드에 따라 스타트 버튼(516)의 색을 연동하여 변경하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전혈모드」버튼(512)는 적색, 「희석모드」버튼(514)은 황색으로 표시되어 있지만, 「전혈모드」버튼(512)이 눌려져 전혈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스타트 버튼(516)도 적색으로 되며,「희석모드」버튼(514)이 눌려져 희석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스타트 버튼(516)도 황색으로 변화한다. 또한, 「전혈모드」버튼(512)는, 평상시 적색으로 표시되어도 되고, 또는, 전혈모드가 선택되고 있을 때에만 적색으로 표시되어도 좋다. 마찬가지로「희석모드」버튼(514)는, 평상시 황색으로 표시되어도 되고, 혹은, 희석모드가 선택되고 있을 때만 황색에 표시되어도 좋다. 어쨌든, 「전혈모드」버튼(512)·「희석모드」버튼(514)이 동시에 동일한 색으로 표시되지 않는다면 된다.
또한, 각 버튼의 색은, 색채적으로 구별되기 쉬운 색이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화면에서는, 스타트 버튼(516)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측정이 스타트하는 것으로 된다. 그렇지만, 세정이 종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 시약이 부족되어 있는 경우, 장치가 트러블 상태인 경우에, 측정 동작이 스타트되어 버린다면, 새로운 고장의 원인이 될지 모른다. 그래서 제어부(500)로 구동회로부(501) 등으로부터의 신호를 감시하는 것에 의해 시약 부족이나 장치 상태를 파악하도록 하여, 측정 준비가 완료되어 있으면 스타트 버튼(516)을 표시시키고, 준비가 완료되어 있지 않아 측정 불가상태인 때나 트러블 상태인 때는 도 4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타트 버튼(516) 그 자체를 표시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부주의하게 스타트 버튼(516)을 누른 일을 없게 함과 동시에 스타트할 수 없는 상태인 것이 명확하게 알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제어부(500)이 감시하는 대상에는, 예를 들면 세정공정의 종료정보, 도 30에 나타내는 패널개폐센서(J1), 검체 검출센서(J2) 등의 각종 센서출력에 근거한 장치 트러블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스타트 버튼을 표시하지 않도록 하면, 거기에 표시가능한 공간이 가능하기 때문에 측정불가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큰 문자로의 표 시를 행하도록 하도 된다.
측정화면
다음에, 측정중에 표시되는 화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6은 스타트 버튼(516)을 눌러 측정이 개시된 직후의 측정화면, 도 47은 WBC 측정용 시료에 의한 측정결과가 얻어진 후의 측정화면, 도 48은 RBC 측정용 시료에 의한 측정결과가 얻어져 측정이 종료된 직후의 측정화면을 나타낸다. 측정중의 화면인 도 46, 도 47에는 색의 변화에 의해 측정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는 그래픽 표시(삼각형 표시)(530)가 하단에 표시되어 있다.
이 측정화면에는, 기본으로 되는 5항목(WBC, RBC, PLT, HGB, HCT)이 문자 사이즈를 크게 하여 표시되어 있다.
측정 개시 직후는 측정결과가 얻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단지 측정항목( 및 그 단위)가 표시되어 있다. 측정 개시후, 약 20초 경과한다면 WBC 측정용 시료에 의한 측정이 종료되기 때문에, 도 4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WBC, HGB의 데이터가 바로 표시된다.
그 후, 약 80초 경과하면 RBC 측정용 시료에 의한 측정이 종료되기 때문에, 도 4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5항목의 결과가 표시된다.
여기서, 도 48의 오른쪽 밑에 설치된 화살표부 버튼(「진행버튼」이라 한다)(532)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또한 MCV(평균 적혈구 용적), MCH (평균 적혈구 헤모글로빈 양), MCHC (평균 적혈구 헤모글로빈 농도)의 각 항목을 포함하는 도 4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8항목의 측정결과 표시화면이 표시된다. 이 화면은 본 혈액분석장치에서 측정하는 모든 항목이 표시되는 것이지만, 항목수가 많기 때문에 문자 사이즈는 작게 되어 있다
또한, 도 49에 있어서 또한 진행된 버튼(532)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도 50, 도 5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WBC 측정시료나 RBC 측정시료의 측정결과에 관한 각종 통계데이터 화면을 표시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또, 도 49(또는 도 42(e))의 8항목 표시의 상태로부터 도 48(또는 도 42(d))의 5항목 표시의 상태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도 된다.
그 후, 도 49, 도 50, 도 51의 오른쪽 위에 표시되어 있는「복귀」버튼(534)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메인화면(도42(a), 도 43, 도 44)에 되돌리는 것으로 된다.
측정자에 따라서는, 8항목 표시(나아가서는 통계 데이터 화면)까지 검토하지 않고, 다음의 측정으로 이전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도 48의 화면으로 이전되고 나서 세정공정이 종료되기 까지의 약 20 초간 미조작 상태가 계속된 경우, 즉 그 사이에 8항목 표시를 보기 위한「진행버튼」(532)의 조작이 없는 경우, 도 49의 데이터를 볼 필요가 없는 것으로 하여 자동적으로 메인화면으로 돌아온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입력/표시부(3)는, 측정 개시후에 기본 5항목을 표시하도록 설정하고 있지만, 측정 가능하다 항목 중 특히 원하는 항목만을 미리 등록할 수 있도록 하여, 8항목을 표시하는 화면과는 다르게 임의로 선택한 항목만을 표시하는 화면을 설치해도 된다.
도 52는 WBC와 RBC만을 제 1 측정화면으로서 등록할 때의 화면이다. 임의의 항목만을 등록하는 조작은, 도 43, 도 44의 메뉴 버튼(520)에 접촉하여「설정」의 화면을 호출하며, 그「설정」화면으로부터 측정항목을 지정하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표시 항목수에 따라 문자 사이즈를 미리 정하고 있으며(예를 들면 2항목까지는 20 포인트, 5항목까지는 16 포인트 등), 항목수에 따라 문자 사이즈가 결정되도록 하고 있다.
저항식 검출부의 검출회로
저항식 검출부(503)에 이용하는 검출회로에는, 전원부(10)의 출력하는 직류전압(12V)를 50V 이상으로 승압하는 승압회로를 필요로 하지만, 본 발명의 검출회로에서는, 그 승압회로로서 콕크로프트 방식 전원을 채용하고 있다.
이하, 저항식 검출부(503)에 이용하는 검출회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3은, 저항식 검출부(503)에 사용되는 검출회로의 기본회로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콕크로프트 방식 전원(830)으로부터 직류전압이 정전류회로(840)와 저항식 검출부(503)의 직렬회로에 인가되며, 저항식 검출부(503)의 단자전압이, 직류성분을 제거하는 콘덴서(852)를 통하여 증폭회로(855)에 입력되며, 증폭되어 검출신호로서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오리피스(55)(도 23)내를 혈구 등의 입자가 통과하면 전극(58, 67)(도 23, 24) 사이의 임피던스가 미소 변동한다. 이 때 정전류회로(840)는 오리피스(55)에 항상 일정전류를 흐르게 하기 위해, 그 임피던스의 변동에 따라 전극(58, 67) 사이에 미소전압 변동이 발생한다. 이 전압 변동분을 콘덴서(852)를 통하여 직류분을 제거하고, 증폭기(855)에 입력하는 것에 의해, 검출신호를 얻을 수가 있다.
다음에 콕크로프트 방식 전원(830)에 대하여 설명한다.
콕크로프트 방식 전원(830)은, 도 5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진부(831)와 스위칭회로부(832)와 승전압부(833)에 의해 구성된다.
발진부 831에서는, 연산증폭기소자(831a), 저항(R1), 콘덴서(C6)을 이용한 RC 발진회로를 형성하여, 그 출력단자를 분기하여 한쪽에 반전용의 연산증폭기소자(831b)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도 6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상이 반전한 2개의 방형파(A, A')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들 방형파 출력은 스위칭회로부(832)에 공급된다.
스위칭회로부(832)에서는, 직류전원(+12V 전압)에 접속된 2개의 아날로그 스위치소자(832a, 832d), 및 접지 단자에 접속된 2개의 아날로그 스위치소자(832b, 832c)가 사용되고 있다.
아날로그 스위치소자(832a, 832c)는 방형파(A)에 동기하여, 또한, 아날로그 스위치소자(832b, 832c)는 위상이 역상의 방형파(A')에 동기하여 개폐한다.
그리고, 아날로그 스위치소자(832a, 832b)가 접속되어 쌍을 이루고, 또, 아날로그 스위치(832c, 832d)가 접속되어 쌍을 이루며, 각 쌍이 각각 출력단자(T1, T2)를 통하여 승전압부(833)에 접속된다.
스위칭회로부(832)에서는, 위상이 상호 역상의 방형파(A, A')에 동기하여 4개의 아날로그 스위치소자가 전환되도록 되어 있고, 출력단자(T1, T2)의 한쪽에 +12V가 인가될 때, 동시에 다른 쪽의 출력단자는 접지되어 0V로 된다. 단자(T1, T2)는 교대로 +12V와 0V로 전환된다.
승압부(833)는 스위칭회로(832)의 출력단자(T1, T2)에 접속된다.
승압부(833)는 콘덴서(C1∼C4)와 다이오드(D1∼D4)에 의해 승압하도록 구성된다. 즉, 다이오드(D1)의 캐소드와 다이오드(D2)의 양극이 접속되며, 다이오드(D2)의 캐소드와 다이오드(D3)의 양극이 접속되며, 이하 마찬가지로 다이오드가 차례차례로 직렬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직렬 접속된 2개의 다이오드의 양극과 캐소드의 사이를 콘덴서(C1∼C4)로 접속하도록 하고 있다(단 최초의 콘덴서(C1)만 스위칭회로부(832)의 출력단자(T1)와 다이오드(D1)의 사이에서 접속된다).
이 승압부(833)에, 스위칭회로(832)로부터 +12V 전압이 교번적으로 인가된다. 인가된 전압은, 콘덴서를 1개 통과할 때마다 승압되어, 거의 콘덴서의 개수 배에 가까운 전압이 된다. 도면에서는, 콘덴서, 다이오드가 각 4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12V의 약 5 배인 55V의 출력전압을 얻을 수 있다(계산상으로는 60V이지만, 실제로는 다이오드의 순전압 강하분 만큼 전압이 내려간다).
승압되는 전압은 정류 다이오드(D5)와 평활 콘덴서(C5)를 통하여 후단으로 출력된다. 또한, 콕크로프트 방식 전원(830)에서 발생한 전압이 공급되는 정전류회로(840)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정전류회로, 예를 들면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커런트미러회로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다음에 콕크로프트 방식 전원(830)이 승압회로로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하기 위해 행한 실험의 결과를 나타낸다.
실험용의 기본 회로구성을 도 55에 나타낸다. 도 55는 도 54에 나타낸 콕크 로프트 방식 전원(830)을 정전류회로(840)에 접속한 것이다.
여기서 이용한 정전류회로(840)는, 트랜지스터에 의한 커런트미러회로를 채용한 것이다. 정전류회로(840)는, 평활용의 초크 코일(L) 및 콘덴서(C6), 전류설정용 저항(저항치 Rs)(842), 저항기 검출부(503)의 임피던스에 상당하는 더미 저항(843), 기준전압(Es)을 발생하는 제너 다이오드(844), 트랜지스터(Q1, Q2), 저항(R3, R4), 콘덴서(C7) 및 작동 스위치(S)로부터 구성된다. 그리고, 전류설정용 저항(842)의 저항치(Rs)를 패러미터로서 설정하는 것에 의해, Es/Rs의 전류를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먼저, 콕크로프트 방식 전원(830)의 발진부(831)에 있어서의 스위칭 주파수(kHz)와 출력전압(V)의 관계에 대한 실험데이터를 표 1 및 도 57에 나타낸다.
[표 1]
스위칭주파수(kHz) 부하전류없음 부하전류 0.75mA 부하전류 2.50mA
1 58.1 47.5 31.5
10 58.0 53.6 46.7
50 58.0 53.8 47.2
100 58.0 53.8 47.1
200 58.0 53.7 47.1
500 57.9 53.6 46.7
1000 58.0 53.2 45.9
2000 58.2 52.3 43.5
3000 58.1 49.5 35.7
또한, 이 때 간단하게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편리상, 발진 회로(831)에 대신하여 펄스 제너레이터를 이용하여 스위칭 주파수를 변화시켰다.
또, 승압부(833)의 콘덴서(C1∼C4)에는 1μF 세라믹 콘덴서를 이용하였다.
또한, 정전류회로(841)의 전류치 설정용 저항(842)을 조정하여, 부하 전류가 0mA, 0.75mA, 2.50mA의 상태를 만들었다. 이 때의 콕크로프트 방식 전원의 출력전압은 정전류회로(841)에 설치한 단자(TP1)로 측정하였다.
표 1 및 도 57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정전류회로의 부하전류가 없을 때는, 출력전압은 스위칭 주파수에 의존하지 않는다. 한편, 부하전류가 커지면 주파수가 높은 만큼 유리해진다. 단, 높은 주파수에서 전압이 저하되고 있는 것은, 스위칭회로(832)의 아날로그 스위치소자의 동작 스피드나 ON 저항이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한편, 낮은 주파수에서는 전류의 공급이 따라잡지 않기 때문에 전압이 유지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데이터에 의해, 약 50V의 출력전압이 필요한 전원으로서는, 스위칭 주파수 50∼1000kHz에서 사용하는 것이 적절한 것이 밝혀졌다.
다음에, 콕크로프트 방식 전원의 승압부(833)에 있어서 사용되는 승압용 콘덴서(C1∼C4)의 콘덴서용량(μF)과 출력전압(V)의 관계에 대한 실험 데이터를 표 2 및 도 58에 나타낸다.
[표 2]
C1∼C4 콘덴서용량(μF) 부하전류없음 부하전류 0.75mA 부하전류 2.50mA
1 58.3 54.2 47.8
0.1 58.2 53.7 47.1
0.01 58.1 50.9 39.0
승압부(833)의 콘덴서(C1∼C4)에는 1μF, 0.1μF, 0.01μF의 세라믹 콘덴서 를 이용하였다. 앞의 실험과 마찬가지로 정전류회로(841)의 전류치 설정용 저항(842)을 조정하여, 부하전류가 0mA, 0.75mA, 2.50mA의 상태를 만들고, 단자(TP1)에서 출력전압을 측정하였다.
표 2 및 도 58에 보여지듯이, 부하전류가 없을 때에는, 출력전압은 콘덴서용량에 의존하지 않는다. 한편, 부하전류가 증대함에 따라 콘덴서용량이 클수록 전원으로서의 전류용량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콘덴서용량이 클수록 전류용량의 점에서는 유리하지만, 전류용량과 함께 콘덴서 자체가 커지게 되므로 실용상 문제가 없는 1μF이 매우 적합한 것이 밝혀졌다.
다음에, 스위칭 주파수와 출력전압의 관계, 콘덴서용량과 출력전압의 관계에 입각하여, 콕크로프트 방식 전원의 스위칭 주파수, 콘덴서용량의 회로정수의 최적화를 도모하고, 전원으로서의 성능을 확인하였다.
표 3 및 도 59는 부하전류와 전원전압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실험 데이터이다.
스위칭 주파수는 상술한 매우 적합한 범위에 포함된 160kHz(도 54의 발진회로(831) 중의 R1=47kU', C6=100PF)로 하여, 콘덴서(C1∼C4)는 1μF로 하였다.
[표 3]
부하전류(mA) TPI의 전압
DC성분(V) AC성분(mVrms)
0.09 56.4 0.30
0.25 55.8 0.31
0.53 54.7 0.33
0.76 53.8 0.36
0.92 53.2 0.37
1.64 50.4 0.47
2.46 47.4 0.60
6.74 28.7 1.53
표3 및 도 59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부하전류가 커짐과 동시에 DC성분이 내려가고, AC성분은 크게 된다. 그리고 부하 전류 1.64mA 이상이 된다면 DC성분이 50V 이하가 된다. 검출회로용 전원으로서 요구된 조건(출력 50V 이상, 부하전류 0.6∼1mA)은 충분 충족되어 있기 때문에, 승압회로로서 콕크로프트 방식 전원이 적용 가능한 것이 밝혀졌다.
다음에, 콕크로프트 방식 전원에 의한 소비전력에 관하여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소비전력은, 스위칭회로(832)에 접속되는 직류 입력 전압원(+12V)과 스위칭 소자와의 사이에 저항(약10U')을 삽입하여, 그 전압 강하로부터 소비전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대기시(콕크로프트 전원의 스위칭 동작을 정지한 상태)에서는 소비전력 3mW가 확인되며, 검출전류를 ON이라고 한 상태에서는(전류 부하 0.75mA인 때) 83mW의 소비전력이 확인되었다.
덧붙여서, 도 56으로 나타낸 시판 DC-DC 컨버터의 경우는, 대기시(DC-DC에 5V를 공급하여, 출력은 무부하로 한 상태)로 580mW, 검출전류를 ON으로 한 상태(전 류부하 0.75mA인 때)로 640mW의 소비전력이 확인되었다.
이 결과, 콕크로프트 전원을 이용한 승압회로는, 시판 DC-DC 컨버터를 이용하고 작성한 승압회로에 비해 소비전력은 크게 절감되고 있으며, 또한 종래 장치로 사용되고 있던 승압회로와 비교한다면 각 단에 소비전력이 절감되는 것이 된다.
그 결과, 발열량이 작아지기 때문에, 이 승압회로는 냉각팬 등에 의해 강제 공냉할 필요도 없어지고, 자연 공냉으로 충분히 사용 가능하게 된다.
용기수용유닛, 용기홀더 및 유로접속기구
도3에 나타내는 용기수납유닛(100)과, 용기수납유닛(100)을 지지하는 용기홀더(950)(도69)와,용기수납유닛(100)과 본체(1)를 유체적으로 접속하는 유로접속기구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용기수납유닛
도 6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수납유닛(100)은, 내케이스(901), 대략 방형의 대형 용기(902, 903)과 소형 용기(904)에 의해 구성된다. 내케이스(901)는 도 6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윗면이 열린 직방체 형상이고, 측면의 일부에는 손가락을 넣어 내케이스(901)를 들기 쉽게 하기 위한 손잡이(90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906)는, 손잡이가 되는 부분에 미싱 눈금을 넣고 있어, 그것을 깨는 것에 의해 형성되도록 하여도 된다.
내케이스(901)는, 2개의 대형 용기(902, 903)가 수납될 수 있고, 또한, 이 2 개의 대형 용기(902, 903)를 내케이스(901)에 넣은 상태에서, 이들 용기의 내케이스(901)내에서의 위치가 정해지도록 하기 위해, 각 대형 용기의 한 면(도 61중 S로 나타내는)을 접하도록 나란히 한 때의 외형·겉 치수법에 맞춰 내케이스(901)의 내형·내 치수가 규정되어 있다. 또한, 용기홀더(950)에 장착된 안내기구(970)와의 위치 관계로부터, 대형 용기를 떼어내어 나열할 필요가 있을 때는, 모든 용기를 내케이스(901)에 수용한 상태에 맞춰 내케이스(901)의 내부 형상을 규정하면, 용기의 내케이스(901)내에서의 위치를 정할 수 있다. 내케이스(901)는, 예를 들면, 골판지,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어진다. 또, 내케이스는, 용기를 수납한 후, 뚜껑을 가능하도록 하여도 된다. 대형 용기(902, 903)의 한쪽이 도 29에 나타내는 희석액 용기(B1)로서, 다른 쪽이 배액 용기(B2)로서 사용된다.
다음에, 각 용기의 형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2는 대형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3은 소형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들 용기는, 플라스틱제, 예를 들면 HDPE(고밀도 폴리에틸렌)의 블로우 성형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사용되며, 교체 가능하고 1회용으로 가능한 것이다. 이 대형 용기(902, 903)은 시약을 저장하는 탱크부분(용기 본체(910)이라 한다)이 거의 직방체 형상으로 되어 있고, 용기 본체(910)의 상부에는, 시약을 출납하기 위한 작은 직경의 입구부(911)가 설치되어 있다. 입구부(911)의 측면은 나사 홈(912)이 새겨져 있으며, 대형 용기(902,903)을 밀봉할 때에 도시하지 않는 외측 뚜껑으로 나사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대형 용기(902, 903)를 사용한 때에는 입구부(911)를 닫도록 내뚜껑(913)이 장착된다. 또한, 용기 본체는, 반드시 직방체 형상일 필요는 없고, 원통 형상이라도 된다.
도 62의 대형 용기(902, 903)의 견부에는 견부 돌기부(923)가 형성되고 있다. 이 견부 돌기부(923)은, 용기수납유닛(100)을 용기홀더(950)에 세트할 때에, 세트하는 방향을 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도 69의 용기홀더(950)에는, 3개의 안내기구(970)가 장착되어 있으며, 용기(902, 903, 904)는, 예를 들면, 폐액용, 용혈제용, 희석제용으로 각 용도가 정해져 있다. 따라서 용기를 세트할 때에는, 각각의 용도로 맞도록 안내기구(970)와 용기(902, 903, 904)를 접속할 필요가 있다. 만약, 이 견부 돌기부(923)가 없다며, 용기 수납유닛(100)을 세트하는 방향이 반대가 되어 폐액용과 희석제용으로 접속이 틀릴 우려가 있다. 그러나, 견부 돌기부(923)가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대형 용기(902, 903)를 내케이스에 수용하여(도61), 세트하는 방향을 틀리게 한 때에 대형 용기(902, 903)의 견부 돌기부(923)가, 용기홀더(950)의 벽면에 내측을 향하여 설치된 도 69에 나타내는 돌기부(955)(대형 용기(902, 903)의 견부 돌기부(923)와 동일한 높이)에 걸려 세트할 수 있도록 해 두면 용기수납유닛(100)을 용기홀더(950)에 세트하는 방향을 틀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64는 내뚜껑(913)을 설치한 상태의 대형 용기(902, 903)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내뚜껑(913)에는 유연성과 함께 사용하는 시약에 대한 내성이 요구되며,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가 매우 적합하다. 내뚜껑(913)에는 유체 통과구멍(914)과 공기구멍(9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유체 통과구멍(914)을 시약이 통과할 때에 공기구멍(9l5)으로부터 공기가 출입할 수 있도록 하여 용기내가 감압 또는 양 압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대형 용기(902, 903)의 내측(용기 본체(910)내)에는, 유체 통과 구멍(914)에 접속되어 유로로서 작용하는 유로 튜브(916)가 매달려 있고, 이 유로 튜브(916)의 선단이 용기의 바닥에 이르도록 하는 것으로, 시약 잔량이 적은 때라도 유로 튜브(916)를 통하여 시약을 흡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튜브로서는, 우레탄 튜브, 실리콘 튜브, 4불화 에틸렌 튜브 등을 들 수 있다.
입구부(911)의 아래에는 용기를 큰 직경으로 넓히기 위한 견부(917)가 형성되며, 견부(917)의 아래에는 용기 측면(918)이 이어져 있다. 이 용기 측면(918)으로 둘러싸이는 내 공간이 용기 본체(910)로 된다. 견부(917)의 일부로서 입구부(911)의 주위 부분에는 목부(9l9)가 형성되고 있다. 이 목부(919)는, 소형 용기(904)를 견부(917)에 재치한 때에 소형 용기(904)의 측면(후술하는 소형 용기 측면부분)이 맞접하도록 하여 소형 용기(904)를 고정하기 위해 설치된 것이며(도67 참조), 소형 용기(904)의 외경(겉 치수법)에 맞춰 목부(919)의 외경(겉 치수법)이 규정된다. 또, 대형 용기의 입구부(911)의 측면에는 용기 돌기부(922)가 형성되고 있지만,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도 63에 나타내는 소형 용기(904)는, 시약을 저장하는 탱크 부분(용기 본체(931))를 형성한 용기 측면(939)이 있으며, 용기 본체(931)의 상부에는, 시약을 출입시키기 위한 작은 직경의 입구부(932)가 설치되어 있다. 또, 도 65의 단면도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소형 용기(904)는 평면의 위에 재치할 수 있도록 바닥면(942)을 거의 평면으로 하고 있다. 단, 이 평면의 정도는 완전한 평면으로 할 필 요는 없고, 대형 용기(902, 903)의 견부(917) 중의 소형 용기(904)가 재치되는 장소(소형 용기 재치부(924)라고 한다)와의 관계로 정해지는 것이며, 대형 용기측의 견부의 소형 용기 재치부(924)가 다소 경사져 있으면, 소형 용기(904)의 바닥면(942)은 그 경사에 맞추도록 한다. 이와 같이 거의 평면에는 다소의 요철, 곡면, 경사가 있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소형 용기 재치부(924)는, 2개의 대형 용기(902, 903)를 병렬 배치할 때에, 대형 용기(902, 903)의 사이에 소형 용기(904)를 배치할 수 있다면 되고, 거의 평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소형 용기(904)의 바닥면(942)도 소형 용기 재치부(924)의 형상으로 맞추면 되고, 마찬가지로 거의 평면에 제한되지 않는다. 소형 용기(904)는 도 29에 나타내는 용혈제 용기(B3)로서 사용된다.
입구부(932에 설치되는 나사 홈(933), 내뚜껑(934), 유체 통과구멍(935), 공기구멍(936)이나 견부(937), 유로 튜브(938), 용기 돌기부(941)에 대해서는, 대형 용기(902, 903)의 것과 거의 동일한 것이 동일의 기능을 나타내도록 구성되고 있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소형 용기(904)의 용기 측면(939)인 대략 원반부분의 지름은, 상술한 바와 같이 대형 용기(902, 903)의 단부(919)와 접촉할 수 있도록 규정되어 있다(도 61 참조).
또한, 도면에 있어서는 단부(919)와 소형 용기(904)의 용기 측면(939)은 거의 원형상으로 해 두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다각형상이라도 좋다. 그 경우에는 단부(919)와 용기 측면(939)이 접하도록 치수가 규정된다.
대형 용기(902, 903)의 목부(919)의 외측 주위에 있는 견부(917)는 상술한 바와 같이 거의 평면 형상으로 되어 있어, 바닥면이 견부(917)에 맞춰 거의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소형 용기(904)가 이 위에 간단하게 재치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대형 용기(902, 903)의 단부(919)중에서 소형 용기(904)와 접한 것이 된 부위에는 볼록부(920)가 형성되고 있다. 한편, 소형 용기(904)의 측면에도 이 블록부(920)에 끼워맞춤 가능한 오목부(940)이 형성되고 있고, 소형 용기(904)를 양측으로부터 목부(919)로 끼움과 동시에, 블록부(920)와 소형용기(904)의 오목부(940)를 끼워맞춤시키는 것에 의해 횡방향으로의 어긋남을 제한하여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견부(917)의 거의 평면 영역에, 소형 용기(904)의 외주에 맞춘 링상의 볼록부를 형성하여 횡으로 어긋남을 제한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 대형 용기(902, 903)의 목부(919)에 설치된 블록부(920)에 있어서, 그 볼록부 상측에 차양부(921)를 형성하여, 이 차양부(921)가 소형 용기(904)의 일부에 덮이도록 해 두는 것으로 소형 용기(904)가 횡방향 뿐만 아니라 윗방향으로 이동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대형 용기(902, 903)와 소형 용기(904)를 내케이스(901)에 수납할 때의 동작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대형 용기(902)와 대형 용기(903)을 내케이스(901)에 수납한 때에 서로 접하는 것으로 되는 면(도 61에 있어서 접촉면을 S로 나타내는)을 약간 뗀 상태(1cm 정 도)로 하여, 이들 2개의 대형 용기(902, 903)를 나열해 둔다.
이어서, 2개의 대형 용기(902, 903)의 견부(917)에 의해 중앙 부근에 형성된 평면 영역상에 소형 용기(904)를 재치한다.
대형 용기(902, 903)의 목부(919)에 형성된 블록부(920)와 소형 용기(904)의 용기측면(939)에 형성된 오목부(940)가 꼭 맞도록 미조정을 하면서, 2개의 대형 용기(902, 903)가 접촉할 때까지 접근하여 간다.
도 66은 2개의 대형 용기(902, 903)가 면 S로 접촉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7은 그 정면도, 도 68은 그 평면도이다. 2개의 대형 용기(902, 903)이 면 S로 접한 상태에서는, 소형 용기(904)는 단부(919) 및 볼록부(920) 및 차양부(921)에 의해 고정되고 있기 때문에,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2개의 대형 용기(902, 903)를 들어올려 내케이스(901)내에 삽입한다.
내케이스(901)와 2개의 대형 용기(902, 903)는 끼워맞춤식으로 수납되도록 치수가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내케이스(901)내에 대형 용기(902, 903)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 대형 용기(902, 903)의 위치가 정해지며, 이에 따라 소형 용기(904)에 대해서도 위치가 정해진다. 이상과 같이 하여 대형 용기(902, 903)의 견부(917)에, 소형 용기(904)가 재치된 상태에서 이들 용기가 수납된다.
용기홀더
다음에, 용기수납유닛(100)을 지지하기 위해 본체(1)에 부설되는 용기홀더를 설명한다. 용기홀더(단 용기수납유닛(100)을 포함)의 외관은 도 61에 나타나 있으 며, 또한, 용기홀더(단 용기수납유닛(100)을 제외한 상태)는 도69에 나타나 있다. 용기수납유닛(100)은 용기홀더(950)에 수납 지지된다. 이 용기홀더(950)는, 설치나사(956, 957)를 이용하여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혈액분석장치 본체(1)에 설치하여 사용된다.
용기홀더(950)는, 직방체를 기본으로 하여, 직방체를 형성하는 6면 중 정면(951)은 오른쪽 위측이 크게 원호를 그리도록 노치되며, 바닥면(952), 벽면(953), 좌측면(954)가 남아 있고, 윗면 및 우측면에 상당하는 면이 없어져 개구로 되어 있다.
용기홀더(950)의 내 치수는, 용기수납유닛(100)의 내케이스(90l)의 겉치수에 맞춰 있으며, 우측 면측으로부터 용기수납유닛(100)의 내케이스(901)가 좌측면(954)에 접합하는 위치까지 넣어지는 것에 의해, 내케이스(901)의 위치 결정이 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내케이스(901)내에 끼워맞춤식으로 수납된 대형 용기(902, 903), 및, 이에 따라 고정된 소형 용기(904)의 각각의 입구부(911, 932)의 용기홀더(950)에 장착된 안내기구에 대한 위치 관계도 정해지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정면(951)의 노치된 위치에 내케이스의 손잡이(906)이 나타나도록 되어 있으며, 이 손잡이(906)에 손가락을 넣도록 하여 간단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유로접속기구
다음에, 용기로부터 혈액분석장치 본체(1)에 시약을 공급하고, 역으로 본체(1)로부터 용기로 폐액을 배출하기 위해, 용기와 본체를 유로 접속하는 유로접속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로접속기구는, 용기 내측에 있는 부분과 용기 외측에 있는 부분에 의해 구성된다. 그 중, 용기 내측의 부분에 대해서는 도 64, 도 65를 이용하여 이미 설명한 대로이다. 즉, 도 64에 있어서는 유로접속기구의 일부로서, 유체 통과구멍(914), 공기구멍(915)을 갖는 내뚜껑(913), 내뚜껑(913)에 매달리는 유로 튜브(916)이 사용되며 65에 있어서는 유체 통과구멍(935), 공기구멍(936)을 갖는 내뚜껑(934), 내뚜껑(934)에 매달리는 유로튜브(938)이 사용된다.
용기 외측에 있는 유로접속기구에 관해서는, 사시도를 도 61에 나타냄과 동시에,정면도를 도 69에 나타낸다. 이하, 이들 도면 및 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유로접속기구는, 노즐(960), 안내기구(970)에 의해 구성된다.
안내기구(970)는 용기홀더(950)의 벽면(953)의 상단에 형성된 절결(988)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3개의 용기에 대응하여 3개의 유로접속기구가 장착되고 있지만, 모두 동일한 구조이기 때문에, 대형 용기용의 유로접속기구의 1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0으로부터 도 73은, 유로접속기구의 안내기구(970)를 도 61, 도 69의 우측(도면 중 화살표 A 방향)으로부터 본 때의 구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안내기구(970)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 도 74는 안내기구(970)의 중앙 단면도(후술하는 도 73의 위치상태에서의 단면)이다.
먼저, 노즐(960)에 관하여 설명한다.노즐(960)은 ,안내기구(970)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다(도 61). 그리고, 노즐(960)은, 도 74에 단면이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내부에 유로(961)이 형성된 대략 원통형상을 하고 있다.
유로(961)는 한 끝이 유체통과구멍(914)(도 64)에 삽입되며, 타단이 혈액분석장치 본체(1)의 급배구에 튜브를 통하여 유로 접속된다. 이 중 유체통과 구멍(914)에 삽입한 측의 노즐 선단부(962)는, 유체통과구멍(914)에 삽입을 쉽게하기 위해,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노즐(960)내의 유로(961)는, 노즐 도중에 직각으로 꺾여져 있으며, 노즐(960)의 축방향 중앙 부근에서 원통 측면에 형성된 개구(964)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이 개구(964)에 혈액분석장치 본체(1)와 유로 접속되는 튜브가 장착된다. 노즐(960)의 후단측에는 지지구멍(96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구멍(963)에는 후술하는 제 2 기축(973)이 관통하도록 되어 있으며, 제 2 기축(973)에 의해 노즐(960)이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 지지구멍(963)이 노즐(960)의 후단측에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자체중량에 의해 노즐 선단부(962)가 연직 아래방향을 향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안내기구(970)에 대하여 도 61∼7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안내기구(970)는, 한쪽의 단부에서, 용기홀더(950)의 벽면(953)의 노치(988) 부분에 장착된 지지부재(제 1 기축)(971)을 축으로 하고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는 제 1 레버(972), 제 1 레버(972)의 다른쪽 단부에 장착되는 제 2 지지부재(제 2 기축)(973)을 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는 제 2 레버(974), 한편의 단부에서 제 1 기축(971)에 제 1 레버(972)와 함께 축지지되는 제 3 레버(975)로 구성된다. 지지부재, 제 2 지지부재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SUS303이 매우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 각 레버의 재질은, 예를 들면 ABS 수지가 매우 적합하게 사용된다.
제 1 레버(972), 제 2 레버(974), 제 3 레버(975)는, 도 61, 도 6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960)을 레버의 내측에서 감싸도록 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용기의 내뚜껑(913)에 덮인 것이 가능하다.
제 3 레버(975)가 제 1 레버(972)의 내측에 오도록 장착되어 있다. 제 2 레버(974)가 제 1 레버(972)의 내측에 오도록 장착되어 있다. 또한,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제 3 레버(975)의 레버 선단측의 부분이 제 2 레버(974)를 피하도록 내측에 단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레버(972)에 대하여 도 69, 도 70, 도 74를 이용하여 또한 설명한다. 제 1 기축(971)이 관통하는 관통구멍은, 제 1 레버(972)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긴구멍(987)으로서 있고, 제 1 레버(972)는 길이 방향으로 미동 가능하게 축지지된다.
또,제 1 레버(972)가 도 70(도 61의 상태)에 보여지는 바와 같은 당겨 올려진 상태의 때에 무제한으로 회동하는 것을 막기 위해, 이 상태에서 벽면(953)의 배면에 접합한 스토퍼(989)가, 제 1 레버(972)의 긴구멍(987)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조금 떠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레버(972)의 내측에는 제 3 레버(975)가 제 1 기축(971)로 축지지되어 있으며, 제 1 레버(972)와 제 3 레버(975)가 무제한으로 넓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 해 제 3 레버(975)에 돌기(978)를 형성함과 동시에, 제 1레버(972)에 이 돌기(978)가 꼭 맞는 긴구멍(979)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레버(972)와 제 3 레버(975)는 이 긴구멍(979) 내에서 돌기(978)이 이동할 수 있는 범위내의 각도로 넓힐수가 있다.
그리고, 제 1 레버(972)의 좌우면을 연결하여 폭방향으로 넓어지는 중앙면(990)(도 69)은, 평판형상으로 완성되어 있다.
제 2 레버(974)에 관하여 도 69, 도 70, 도 74를 이용하여 또한 설명한다. 제 2 레버(974)는 제 2 기축(973)에 의해 축지지된다.
제 2 레버(974)는 컵형상을 하고, 그 내부에 내뚜껑(913)이 들어갈 수 있는 내공간(980)(도74)을 갖고 있으며, 내공간(980)에는 제 2 기축(973)으로 지지된 노즐(960)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내공간(980)에 내뚜껑(913)이 들어간 때에 노즐 선단부(962)가 유체통과구멍(914)(도61 참조)에 삽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도 7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레버(974)의 내벽면에는, 용기의 입구부(911) 측면에 설치한 용기돌기부(922)와 계합하기 위한 구름형의 오목부(98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982)는 제 2 기축(973)을 축으로 하여 제 2 레버(974)가 회전하면 용기돌기부(922)가 오목부(982)에 들어가고, 회전이 진행됨에 따라 오목부(982)의 속으로 진행되도록 구름형의 곡선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용기돌기부(922)와의 계합에 의해 제 2 레버(974)와 대형 용기(902)가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제 2 레버(974)에는 제 2 레버(974)를 회전할 때에 조작을 쉽게 하기 위한 아암(983)이 형성되어 있다.
제 3 레버(975)에 대하여 도 69, 도 70, 도 7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 3 레버(975)의 다른 방향의 단부에는 내뚜껑(913)과 맞접하여 이를 억누르는 압압부(984)(도 69, 도 61 참조), 제 1 레버(972)가 끌어올려진 상태에서 제 2 레버(974)를 지지하는 지지돌기(985)(도 69, 도 70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압압부(984)는, 제 3 레버(975)의 내측에 오는 내뚜껑(913)을 억누르도록 하기 위해, 내측으로 향해진 돌기물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도 61 참조).
이것과는 역으로 지지돌기(985)는, 제 2 레버(974)가 지지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향해져 있다(도 69 참조).
또한, 이 지지돌기(985)는 제 1 레버(972)와 제 3 레버(975)가 접근하면(긴구멍(979)내에서 돌기(978)가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된다), 지지돌기(985)와 제 2 레버(974)와의 접촉점의 위치가 조금씩 이동하는 것으로 되며, 그 이동한 위치에서 제 2 레버를 지지하는 것으로 된다. 역으로 제 2 레버(974)는, 접촉점의 이동과 함께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돌기 맞접함 면(R)(도 74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3 레버(975)의 좌우면을 연결하는 중앙면(991)(도 69)은, 평판 형상으로 완성되어 있다. 또한, 제 3 레버(975)가 내려진 때에 용기의 입구부(911)와 충돌하지 않도록 입구부(911)를 피하도록 반달 모양의 노치(992)(도 69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 노즐(960)이 유체 통과구멍(914)에 삽입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서 안내기 구(970)를 상방으로 끌어올려 두기 위해(도 61로 나타낸 상태), 제 1 레버(972)와 배면(953)과의 사이에 가세력을 주기 위한 제 1 기축(971)에 감여진 토션 스프링(976), 동일하게 안내기구(970)이 상방으로 끌어올려진 상태인 때에 제 1 레버(972)와 제 3 레버(975)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가세력을 주기 위한 제 1 기축(971)에 감겨진 토션 스프링(977)이 장착되어 있다(도75∼도7).
2개의 스프링은 서로 간섭하지 않는 바와 같은 형상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즉, 도 7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션 스프링(976)은 코일이 좌우로 2 부분으로 분리된 형태로 제 1 기축(971)에 감겨짐과 동시에 중앙부(A)는 코일축으로부터 우회하도록 코일 심선이 연장된 형태로 있다.
또, 토션 스프링(977)은, 통상의 직선상 코일 형상이고, 토션 스프링(976)의 중앙부의 우회 부분(A)에 이 토션 스프링(977)이 장착된다. 도 76, 도 7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션 스프링(976)의 중앙부(A)는 제 1 레버(972)의 중앙면(990)에 맞접하여, 토션 스프링(976)의 단부(B)는, 벽면(953)(도 69)에 형성된 코일 고정부(993)(도 75)에 의해 고정 지지된다.
토션 스프링(977)의 단부(C, D)는 제 1 레버(972)의 중앙면(990), 제 3 레버(975)의 중앙면(991)에 맞접하도록 하여 지지되어 있다.
다음에, 안내기구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0으로부터 도 73의 도면은, 안내기구(970)가 자유로운 상태(올려진 상태)로부터 서서히 회전하고, 노즐(960)이 유체통과구멍(914)(도64)에 삽입되며, 또한 용기 돌기부(922)와 제 2 레버(974)의 구름형의 오목부(982)가 계합할때까지의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이 다.
도 70은, 안내기구(970)가 자유로운 상태에 놓여져 있는 도면이다. 제 1 레버(972)는, 제 1 기축(971)에 감겨진 토션 스프링(976)(도75)의 가세력에 의해 올리지며, 스토퍼(989)가 배면(953)(도 69)에 맞접하는 상태로 정지하고 있다.
이 때, 제 3 레버(975)는, 제 1 기축(97l)에 감겨진 토션 스프링(977)(도 75)의 가세력에 의해 제 1 레버(972)로부터 떨어지도록 하여, 돌기(978)의 단부에 맞접한 상태에서 정지하고 있다.
이 때 제 2 레버(974)는, 제 2 기축(973)을 축으로 하여 축지지됨과 동시에 제 2 레버(974)의 일부가 제 3 레버(975)의 지지돌기(985)에 맞접한 상태로 되기 때문에, 제 2 레버(974)는 자체 중량에 의해 지지돌기(985)에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 2 레버(974)의 아암(983)을 갖고 화살표 X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잠시 동안은 지지돌기(985)가 제 2 레버(974)에 맞접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제 1 레버(972), 제 2 레버(974), 제 3 레버(975)가 일체로 되어 회전하는 것으로 된다.
도 71은, 제 3 레버(975)가 거의 수평방향이 될 때 까지 회전하고, 내뚜껑(913)에 접촉한 상태의 도면이다. 제 3 레버(975)가 내뚜껑(913)에 접촉하면, 압압부(984)에 의해 내뚜껑이 눌려진다. 제 3 레버(975)는 내뚜껑(913)에 의해 그 이상의 회전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더욱 제 2 레버(974)의 아암(983)에 힘을 가한다면 제 1 레버(972)와 제 3 레버(975)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토션 스프링(977)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제 1 레버(972)가 회전을 시작한다. 즉, 제 1 레버(972)와 제 3 레버(975)와의 사이에 이루는 각도가 좁아지면서 제 1 레버(972)가 제 3 레버(975)에 덮이도록 되어, 이윽고 제 1 레버(972)가 제 3 레버(975)에 맞접할(제1 레버(972)가 수평 방향이 되는)때까지 회전이 진행된다.
제 1 레버(972)와 제 3 레버(975)와의 사이에 이루는 각도가 좁아지기 시작하면, 지지돌기(985)와 제 2 기축(973)과의 거리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변화하여, 제 2 레버(974)와 지지돌기(985)와의 접촉점의 위치가 도 74의 지지돌기 맞접함 면(R)을 이동하는 것으로 되어, 접촉점의 이동과 함께 제 2 기축(973)을 축으로 한 제 2 레버(974)의 회전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도 71의 상태가 되면, 그 이후는 제 1 레버(972)의 제 1 기축(971)을 축으로 하는 회전과 제 2 레버(974)의 제 2 기축(973)을 축으로 하는 회전이 연동하는 상태로 된다.
또, 제 1 레버(972)와 제 3 레버(975)와의 사이에 이루는 각도가 좁아지기 시작하면 잠시 후에 노즐 선단부(962)(도74)가 내뚜껑(913)에 접촉한다. 노즐 선단부(962)가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에 의해, 테이퍼에 안내되면서 노즐(960)이 유체통과구멍(914)(도 64)에 삽입되고 간다.
또한, 이 때 제 1 레버(972)는 긴구멍(987)을 관통하는 제 1 기축(971)에 의해 축지지되어 있는 것에서, 제 1 레버(972)는 길이 방향으로 다소의 자유도를 갖고 있다. 이 자유도에 의해 매끈매끈하게 노즐(960)을 유체통과구멍(914)에 삽입할 수 있다.
도 72는 제 1 레버(972)가 거의 수평으로 될 때까지 회전하여, 제 3 레버(975)에 맞접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노즐(960)은 완전하게 유체통과구멍(914)에 삽입되어 있다.
제 1 레버(972)가 제 3 레버(975)에 맞접하면 제 1 레버(972)는 그 이상의 회전이 불가능하게 된다. 지지돌기(985)와 제 2 기축(973)은 가장 근접한 상태가 되며, 제 2 레버(974)와 지지돌기(985)는 맞접함 상태가 해제된 상태로 된다.
이 이후는, 제 2 기축(973)을 축으로 하는 제 2 레버(974)의 회전만이 진행되게 되어, 제 2 레버(974)의 회전에 의해, 용기 돌기부(922)가 제 2 레버(974)의 구름형의 오목부(982)에 들어가게 된다.
도 73은 용기돌기부(922)가 제 2 레버(974)의 구름형의 오목부(982) 내에서 고정된 최종 상태이다. 제 2 레버(974)의 제 2 기축(973)을 축으로 하는 회전이 진행하여, 용기돌기부(922)가 구름형의 오목부(982)의 최심부에 맞접한다. 이 상태에서 고정된다(도74의 상태).
이상과 같은 동작에 의해, 안내기구(970)에 의해 노즐(960)을 유체통과구멍(914)에 삽입할 수 있다. 이 결과, 용기내의 유로튜브(916)(도 64), 내뚜껑(913)의 유체통과구멍(914), 노즐(960)이 유로접속되어, 혈액분석장치 본체(1)에 연결된 유로를 확립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와 같이 제 1 레버(972)와 제 3 레버(975)가 당겨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세력을 주기 위한 토션 스프링(977)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도 70의 상태에서 제 1 레버(972), 제 2 레버(974), 제 3 레버(975)를 일체가 되어 회전시키는 기능만을 위해서는, 제 3 레버(975)는 자체 중량에 의해 제 1 레버(972)로부터 떨어지는 작용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
용기수납유닛과 용기홀더와 유로접속기구의 관계
도 6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홀더(950)의 정위치에 용기수납유닛(100)을 수납하는 것에 의해, 대형 용기(902, 903), 소형 용기(904)의 입구부(913, 932)의 위치가 정해지며, 이 위치에 맞춰 유로접속기구의 안내기구(970)가 장착되고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단지 용기수용유닛(100)을 용기홀더(950)에 두는 것만으로, 안내기구(970)를 회전시켜 노즐(960)을 내뚜껑(913, 934)의 유체통과구멍(914, 935)에 삽입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하는 혈액분석장치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계하는 혈액분석장치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계하는 혈액분석장치에 부설된 용기수납 유닛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계하는 혈액분석장치의 검체 세트부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계하는 혈액분석장치의 지지돌기의 정면도.
도 6은 이 발명에 관계하는 혈액분석장치의 끼워지지하는 돌기의 측면도.
도 7은 도 4의 A-A선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계하는 혈액분석장치의 검체랙에 설치한 소형 검체용기의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관계하는 혈액분석장치의 검체 세트부의 동작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에 관계하는 혈액분석장치의 검체 세트부의 동작 설명도.
도 11 본 발명에 관계하는 혈액분석장치의 검체 세트부의 동작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에 관계하는 혈액분석장치의 검출부의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관계하는 혈액분석장치의 피펫 수평구동부의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관계하는 혈액분석장치의 피펫 수직 슬라이딩부의 정면도.
도 15는 도 14의 B-B선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관계하는 혈액분석장치의 피펫 수직 슬라이딩부의 정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관계하는 피펫 수직 슬라이딩부와 피펫 수평구동부의 주요부의 정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관계하는 피펫 수직 슬라이딩부와 피펫 수평구동부의 주요부의 좌측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관계하는 피펫 수직구동부의 좌측면도.
도 20은 도 19의 C-C선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에 관계하는 피펫 수직구동부의 동작 설명도.
도 22는 본 발명에 관계하는 피펫 수직구동부의 동작 설명도.
도 23은 본 발명에 관계하는 검출기의 주요부 노치 정면도.
도 24는 본 발명에 관계하는 검출기의 주요부 노치 측면도.
도 25(a), 도 25(b)는 본 발명에 관계하는 믹스 챔버의 단면도 및 평면도.
도 26은 본 발명에 관계하는 클리너 본체의 평면도.
도 27은 도 26의 D-D선 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에 관계하는 음압펌프의 단면도.
도 29는 본 발명에 관계하는 혈액분석장치의 유체 회로의 계통도.
도 30은 본 발명에 관계하는 혈액분석장치의 전기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1(a), 도 31(b)는 본 발명에 관계하는 혈액분석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32는 도 26의 E-E 단면도.
도 33은 도 26에 나타내는 클리너 본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27 대응도.
도 34는 도 27에 나타내는 클리너 본체의 동작 설명도.
도 35는 도 27에 나타내는 클리너 본체의 동작 설명도.
도 36은 도 27에 나타내는 클리너 본체의 동작 설명도.
도 37은 도 26에 나타내는 클리너 본체의 피펫에 대한 배치 설명도.
도 38은 본 발명에 관계하는 피펫의 종단면도.
도 39는 본 발명에 관계하는 피펫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0은 도 39에 나타내는 피펫의 횡단면도.
도 41(a)∼도 41(e)는 도 39에 나타내는 피펫의 제조 공정도.
도 42(a)∼도 42(e)는 본 발명에 관계하는 혈액분석장치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천이를 나타내는 도면.
도 43은 메인 화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전혈모드를 지정한 상태).
도 44는 메인 화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희석모드를 지정한 상태).
도 45는 메인 화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측정 불가 상태).
도 46은 측정화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측정 개시 직후).
도 47은 측정화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WBC 측정 종료시).
도 48은 측정화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RBC 측정 종료시).
도 49는 전 측정항목(8항목)을 표시하는 측정화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0은 측정화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WBC 측정의 통계 데이터 표시시).
도 51은 측정화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RBC,PLT 측정의 통계 데이터 표시시).
도 52는 측정화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표시항목을 임의 설정할 때).
도 53은 본 발명에 관계하는 혈액분석장치의 검출회로의 회로도.
도 54는 본 발명에 관계하는 혈액분석장치에 있어 사용된 콕크로프트 방식 전원의 회로도.
도 55는 콕크로프트 방식 전원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이용한 실험 회로도.
도 56은 시판의 DC-DC 컨버터를 이용한 승압회로의 회로도.
도 57은 스위칭 주파수와 출력전압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58은 콘덴서 용량과 출력전압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59는 부하 전류와 전원 전압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60은 도 54의 주요부 파형도.
도 61은 본 발명에 관계하는 용기 수납유닛을 용기 홀더에 설치할 때의 외관도.
도 62는 본 발명에 관계하는 용기 수납유닛에 이용되는 대형 용기의 구성도.
도 63은 본 발명에 관계하는 용기 수납유닛에 이용되는 소형 용기의 구성도.
도 64는 내뚜껑을 설치한 대형 용기의 단면도.
도 65는 내뚜껑을 설치한 소형 용기의 단면도.
도 66은 2개의 대형 용기와 소형 용기를 내케이스에 수납하는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7은 2개의 대형 용기와 소형 용기를 내케이스에 수납하는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8은 2개의 대형 용기와 소형 용기를 내케이스에 수납하는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9는 유로접속기구가 장착된 용기 홀더의 정면도.
도 70은 유로접속기구의 안내기구의 구성 및 움직임을 설명하는 도면.
도 71은 유로접속기구의 안내기구의 구성 및 움직임을 설명하는 도면.
도 72는 유로접속기구의 안내기구의 구성 및 움직임을 설명하는 도면.
도 73은 유로접속기구의 안내기구의 구성 및 움직임을 설명하는 도면.
도 74는 안내기구의 중앙 단면도.
도 75는 안내기구로 사용되는 가세 부재의 설치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76은 안내기구로 사용되는 가세 부재의 설치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77은 안내기구로 사용되는 가세 부재의 설치상태를 설명한 도면.

Claims (5)

  1. 입력작동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입력작동에 기초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시료의 분석작동을 수행하기 위한 분석부; 및
    시료분석장치가 켜질 경우 상기 분석작동을 시작하기 위한 스타트 버튼을 포함하는 메인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메인 화면의 상기 스타트 버튼이 선택되고 상기 분석작동이 상기 분석부에 의해 수행될 경우 상기 분석작동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측정 결과를 나타내기 위한 측정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에 상기 측정 화면이 표시된 후에 미리 설정된 작업이 완수될 때까지 상기 측정 화면을 다른 화면으로 바꾸기 위한 입력작동이 상기 입력부에서 수행되지 않을 경우 상기 측정 화면이 상기 메인 화면으로 바뀌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시료분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작업은 세정작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시료분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 화면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후에 미리 설정된 작 업이 완수되기 전에 소정의 입력작동이 상기 입력부에서 수행되는 경우 상기 측정 화면이 상기 측정 화면보다 많은 측정 결과를 가지는 제2 측정 화면으로 바뀌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시료분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 및 표시부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touch panel display)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시료분석장치.
  5. 입력작동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입력작동에 기초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시료의 분석작동을 수행하기 위한 분석부; 및
    시료분석장치가 켜질 경우 상기 분석작동을 시작하기 위한 스타트 버튼을 포함하는 메인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메인 화면의 상기 스타트 버튼이 선택되고 상기 분석작동이 상기 분석부에 의해 수행될 경우 상기 분석작동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측정 결과를 나타내기 위한 측정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에 상기 측정 화면이 표시된 후에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측정 화면을 다른 화면으로 바꾸기 위한 입력작동이 상기 입력부에서 수행되지 않을 경우 상기 측정 화면이 상기 메인 화면으로 바뀌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시료분석장치.
KR1020090035159A 2001-09-06 2009-04-22 자동 시료분석장치 KR200900485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70543A JP4999242B2 (ja) 2001-09-06 2001-09-06 抵抗式血球計数装置
JPJP-P-2001-00270543 2001-09-06
JP2001272483A JP2003075457A (ja) 2001-09-07 2001-09-07 自動血液分析装置とその装置に用いる陰圧ポンプ
JPJP-P-2001-00272486 2001-09-07
JP2001272487A JP4754741B2 (ja) 2001-09-07 2001-09-07 自動血液分析装置とその装置に用いる検体容器設置装置
JPJP-P-2001-00272485 2001-09-07
JPJP-P-2001-00272487 2001-09-07
JPJP-P-2001-00272483 2001-09-07
JP2001272485A JP4751543B2 (ja) 2001-09-07 2001-09-07 自動血液分析装置とその装置に用いる検体ラック用ロック装置
JP2001272484A JP2003075304A (ja) 2001-09-07 2001-09-07 自動血液分析装置とその装置に用いるピペット駆動装置用ピペット停止装置
JP2001272486A JP4751544B2 (ja) 2001-09-07 2001-09-07 自動血液分析装置とその装置に用いるピペット駆動装置
JPJP-P-2001-00272484 2001-09-07
JP2001275375A JP4610140B2 (ja) 2001-09-11 2001-09-11 血液分析装置
JPJP-P-2001-00275397 2001-09-11
JPJP-P-2001-00275385 2001-09-11
JPJP-P-2001-00275375 2001-09-11
JP2001275385A JP2003083983A (ja) 2001-09-11 2001-09-11 容器収納ユニット及び容器の配置方法及び容器
JP2001275397A JP4658411B2 (ja) 2001-09-11 2001-09-11 流路接続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試薬ホルダ
JPJP-P-2001-00355093 2001-11-20
JP2001355093A JP3784306B2 (ja) 2001-11-20 2001-11-20 試料分析装置とその装置に用いるピペット洗浄装置
JPJP-P-2001-00362979 2001-11-28
JP2001362979A JP3784311B2 (ja) 2001-11-28 2001-11-28 試料分析装置とその装置に用いる液体混合用容器
JP2002108113A JP2003302412A (ja) 2002-04-10 2002-04-10 試料分析装置とその液体吸引装置およびピペット洗浄装置
JPJP-P-2002-00108113 2002-04-10
JP2002126640A JP2003315350A (ja) 2002-04-26 2002-04-26 試料分析装置とそれに用いる液体吸引管
JPJP-P-2002-00126640 2002-04-26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5936A Division KR20080087073A (ko) 2001-09-06 2008-09-01 자동 시료분석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5320A Division KR20100028615A (ko) 2001-09-06 2010-02-19 자동 시료분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563A true KR20090048563A (ko) 2009-05-14

Family

ID=27584375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3881A KR20030022076A (ko) 2001-09-06 2002-09-06 자동 시료분석장치
KR1020080085936A KR20080087073A (ko) 2001-09-06 2008-09-01 자동 시료분석장치
KR1020090035159A KR20090048563A (ko) 2001-09-06 2009-04-22 자동 시료분석장치
KR1020100015320A KR20100028615A (ko) 2001-09-06 2010-02-19 자동 시료분석장치
KR1020100129081A KR20110007596A (ko) 2001-09-06 2010-12-16 자동혈액분석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3881A KR20030022076A (ko) 2001-09-06 2002-09-06 자동 시료분석장치
KR1020080085936A KR20080087073A (ko) 2001-09-06 2008-09-01 자동 시료분석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5320A KR20100028615A (ko) 2001-09-06 2010-02-19 자동 시료분석장치
KR1020100129081A KR20110007596A (ko) 2001-09-06 2010-12-16 자동혈액분석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6772650B2 (ko)
EP (1) EP1291659A3 (ko)
KR (5) KR2003002207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34026B2 (en) 2001-05-18 2011-10-11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Infusion pump assembly
EP1390089B1 (en) 2001-05-18 2007-01-24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Infusion set for a fluid pump
EP1291659A3 (en) * 2001-09-06 2008-05-21 Sysmex Corporation Automatic sample analyzer and its components
JP4351875B2 (ja) * 2003-07-15 2009-10-28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液体吸引装置とそれを備えた分析装置
JP4098174B2 (ja) * 2003-07-16 2008-06-11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分析装置
JP2007504438A (ja) * 2003-09-01 2007-03-01 インバーネス・メデイカル・スウイツツアーランド・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毛管現象を用いるサンプリング装置
JP4490069B2 (ja) * 2003-09-29 2010-06-23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臨床検査システム
US7077810B2 (en) 2004-02-05 2006-07-18 Earlysense Ltd. Techniques for prediction and monitoring of respiration-manifested clinical episodes
US8942779B2 (en) 2004-02-05 2015-01-27 Early Sense Ltd. Monitoring a condition of a subject
US8403865B2 (en) 2004-02-05 2013-03-26 Earlysense Ltd. Prediction and monitoring of clinical episodes
US8491492B2 (en) 2004-02-05 2013-07-23 Earlysense Ltd. Monitoring a condition of a subject
JP4355590B2 (ja) * 2004-02-23 2009-11-04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分析システム
JP4505265B2 (ja) * 2004-06-09 2010-07-21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試料分析装置および試料分析装置に用いる外部記憶媒体
JP2006189282A (ja) 2005-01-05 2006-07-20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自動分析装置
JP4593404B2 (ja) * 2005-08-29 2010-12-08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液体試料吸引監視方法及び装置、並びに液体試料分析装置
US8852164B2 (en) 2006-02-09 2014-10-07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Method and system for shape-memory alloy wire control
JP4781075B2 (ja) * 2005-10-03 2011-09-28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検体分析装置
JP4669368B2 (ja) * 2005-10-03 2011-04-13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生体試料分析装置
JP4608405B2 (ja) * 2005-10-03 2011-01-12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生体試料分析方法及び生体試料分析装置
US8958990B2 (en) * 2005-10-03 2015-02-17 Sysmex Corporation Sample analyzer and sample analyzing method
US11478623B2 (en) 2006-02-09 2022-10-25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Infusion pump assembly
US11497846B2 (en) 2006-02-09 2022-11-15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Patch-sized fluid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US10010669B2 (en) 2006-02-09 2018-07-03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Systems and methods for fluid delivery
US11027058B2 (en) 2006-02-09 2021-06-08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Infusion pump assembly
EP2532376B1 (en) 2006-02-09 2019-09-18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Pumping fluid delivery systems using force application assembly
US11364335B2 (en) 2006-02-09 2022-06-21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fluid delivery
JP2007278886A (ja) * 2006-04-07 2007-10-25 Olympus Corp 反応容器、分析装置および分析方法
HU226837B1 (hu) 2006-05-31 2009-12-28 Semmelweis Egyetem Folyadéksugárral mûködõ deszorpciós ionizációs eljárás és eszköz
US7752930B2 (en) * 2006-10-13 2010-07-13 Venturedyne, Ltd. Microbial gaseous-fluid sampl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EP1947463A1 (en) * 2007-01-16 2008-07-23 Roche Diagnostics GmbH Collection of liquid analytical samples for clinical analytical purpose
EP3153841B1 (en) 2007-02-01 2020-04-15 Sysmex Corporation Sample analyzer
JP4861874B2 (ja) * 2007-03-29 2012-01-25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分析装置
JP4948230B2 (ja) * 2007-03-29 2012-06-06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試料分析装置および試料分析方法
JP4876010B2 (ja) * 2007-03-29 2012-02-15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検体分析装置および試薬吸引方法
JP5137436B2 (ja) * 2007-03-29 2013-02-06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試料分析装置
JP4969292B2 (ja) * 2007-03-30 2012-07-04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試料分析装置
US8425839B2 (en) * 2007-03-30 2013-04-23 Sysmex Corporation Sample analyzer
JP4969293B2 (ja) * 2007-03-30 2012-07-04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検体分析装置
US8703492B2 (en) * 2007-04-06 2014-04-22 Qiagen Gaithersburg, Inc. Open platform hybrid manual-automated sample processing system
US8585607B2 (en) 2007-05-02 2013-11-19 Earlysense Ltd. Monitoring, predicting and treating clinical episodes
JP5094222B2 (ja) * 2007-06-15 2012-12-12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試料分析装置および試料分析方法
JP5162177B2 (ja) * 2007-07-31 2013-03-13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粒子分析装置及び粒子分析方法
EP2037281B1 (en) * 2007-09-13 2018-10-10 Sysmex Corporation Sample analyzer
KR100873915B1 (ko) * 2007-11-01 2008-12-12 주식회사 아이센스 혈액 분석 장치용 용액 용기
EP3679969A3 (en) 2007-12-31 2020-09-30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Infusion pump assembly
US8900188B2 (en) 2007-12-31 2014-12-02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Split ring resonator antenna adapted for use in wirelessly controlled medical device
US9456955B2 (en) 2007-12-31 2016-10-04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fluid delivery
US10080704B2 (en) 2007-12-31 2018-09-25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fluid delivery
US10188787B2 (en) 2007-12-31 2019-01-29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fluid delivery
US8881774B2 (en) 2007-12-31 2014-11-11 Deka Research & Development Corp.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fluid delivery
CA2919786C (en) 2007-12-31 2019-10-22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Infusion pump assembly
EP2098869B1 (en) * 2008-03-07 2022-07-20 Sysmex Corporation Analyzer and sample transportation method for analyzer
US9017610B2 (en) * 2008-04-25 2015-04-28 Roche Diagnostics Hematology, Inc. Method of determining a complete blood count and a white blood cell differential count
US9602777B2 (en) 2008-04-25 2017-03-21 Roche Diagnostics Hemat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zing body fluids
US9883809B2 (en) 2008-05-01 2018-02-06 Earlysense Ltd. Monitoring, predicting and treating clinical episodes
US8882684B2 (en) 2008-05-12 2014-11-11 Earlysense Ltd. Monitoring, predicting and treating clinical episodes
CN104965068B (zh) * 2008-05-09 2017-12-08 希森美康株式会社 血液分析装置,血液分析方法及溶血剂
JP2012502671A (ja) 2008-05-12 2012-02-02 アーリーセンス エルティディ 臨床症状のモニタリング、予測及び治療
US8262616B2 (en) 2008-10-10 2012-09-11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Infusion pump assembly
US8223028B2 (en) 2008-10-10 2012-07-17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Occlusion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8016789B2 (en) 2008-10-10 2011-09-13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Pump assembly with a removable cover assembly
US8708376B2 (en) 2008-10-10 2014-04-29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Medium connector
US9180245B2 (en) 2008-10-10 2015-11-10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System and method for administering an infusible fluid
US8066672B2 (en) 2008-10-10 2011-11-29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Infusion pump assembly with a backup power supply
US8267892B2 (en) 2008-10-10 2012-09-18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Multi-language / multi-processor infusion pump assembly
US9103782B2 (en) 2008-12-02 2015-08-11 Malvern Instruments Incorporated Automatic isothermal titration microcalorimeter apparatus and method of use
EP2193847A1 (de) * 2008-12-04 2010-06-09 EMBL (European Molecular Biology Laboratory) Koaxialnadel und Pipettiervorrichtung
RU2558884C2 (ru) 2009-05-27 2015-08-10 Майкромасс Юк Лимитед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идентификации биологических тканей
JP5961111B2 (ja) 2009-07-15 2016-08-02 デカ・プロダクツ・リミテッド・パートナーシップ 注入ポンプアセンブリのための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5808524B2 (ja) * 2009-07-16 2015-11-10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試薬容器および試薬セット
WO2011063139A1 (en) 2009-11-18 2011-05-26 Qiagen Laboratory central control unit method and system
CN105759019B (zh) * 2010-02-26 2019-05-31 希森美康株式会社 试剂容器以及试剂容器组件
JP5466066B2 (ja) * 2010-03-30 2014-04-09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検体分析装置
WO2011133822A1 (en) * 2010-04-21 2011-10-27 Flow Systems, Inc. Differential pressure constant volume flow air sampler
JP5111578B2 (ja) * 2010-08-27 2013-01-09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血液分析装置
JP5111581B2 (ja) * 2010-09-28 2013-01-09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血液分析装置
CN101948019B (zh) * 2010-09-29 2011-11-16 余晋林 一种血液成分智能化处理系统
JP5690543B2 (ja) * 2010-10-05 2015-03-25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検体検査自動化装置,自動分析装置およびシステム
US10292625B2 (en) 2010-12-07 2019-05-21 Earlysense Ltd. Monitoring a sleeping subject
JP5710328B2 (ja) 2011-03-23 2015-04-30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血球計数装置
GB201109414D0 (en) 2011-06-03 2011-07-20 Micromass Ltd Diathermy -ionisation technique
US9317653B2 (en) * 2011-07-22 2016-04-19 Sysmex Corporation Analyzer, and method for performing a measurement on a sample
US9297819B2 (en) 2011-07-22 2016-03-29 Sysmex Corporation Hematology analyzing system and analyzer
US10514385B2 (en) 2011-07-22 2019-12-24 Sysmex Corporation Hematology analyzer, method, and system for quality control measurements
EP2739979B1 (en) * 2011-08-03 2019-01-16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Detection of a compromised flow line in a laboratory instrument
EP2749886B1 (en) * 2011-08-22 2016-07-06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oration Plug application and removal device and sample processing device
IN2014MN01506A (ko) 2011-12-28 2015-05-01 Medimass Kft
US9281174B2 (en) 2011-12-28 2016-03-08 Micromass Uk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rapid evaporative ionization of liquid phase samples
US11524151B2 (en) 2012-03-07 2022-12-13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fluid delivery
JP5878138B2 (ja) * 2013-02-28 2016-03-08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試料分析装置
WO2014150871A2 (en) * 2013-03-15 2014-09-25 Abbott Point Of Care Inc Management system for point of care testing
CA3130345A1 (en) 2013-07-03 2015-01-08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fluid delivery
EP3026417B1 (en) * 2013-07-26 2020-05-13 Sekisui Medical Co., Ltd. Container for specimen preparation
CN103441683B (zh) * 2013-09-12 2015-09-23 深圳开立生物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有源钳位正激电源电路
WO2015072757A1 (ko) * 2013-11-15 2015-05-21 바디텍메드 주식회사 일체화된 반응 및 검출 수단을 구비한 시험 장치에 사용되는 스테이션
CN105934675B (zh) 2013-12-13 2018-10-12 豪夫迈·罗氏有限公司 用于分析仪器的试剂容器保持器、用于分析仪器的试剂供应系统以及分析仪器
CN104374933B (zh) * 2014-10-28 2016-03-09 利多(香港)有限公司 全自动生化分析仪
WO2016142669A1 (en) 2015-03-06 2016-09-15 Micromass Uk Limited Physically guided rapid evaporative ionisation mass spectrometry ("reims")
EP3265817B1 (en) 2015-03-06 2020-08-12 Micromass UK Limited Rapid evaporative ionisation mass spectrometry ("reims") and desorption electrospray ionisation mass spectrometry ("desi-ms") analysis of swabs and biopsy samples
KR101934663B1 (ko) 2015-03-06 2019-01-02 마이크로매스 유케이 리미티드 급속 증발 이온화 질량 분광분석 (“reims”) 디바이스에 커플링된 이온 분석기용 유입구 기기장치
JP6845148B2 (ja) 2015-03-06 2021-03-17 マイクロマス ユーケー リミテッド 電気外科的応用のための液体トラップ又は分離器
CN107567315B (zh) 2015-03-06 2020-09-29 英国质谱公司 化学引导的敞开式电离质谱
GB2555921B (en) 2015-03-06 2021-09-15 Micromass Ltd Endoscopic tissue identification tool
EP4365928A2 (en) 2015-03-06 2024-05-08 Micromass UK Limited Spectrometric analysis of microbes
EP3266037B8 (en) 2015-03-06 2023-02-22 Micromass UK Limited Improved ionisation of samples provided as aerosol, smoke or vapour
EP4257967A3 (en) 2015-03-06 2024-03-27 Micromass UK Limited Collision surface for improved ionisation
CA2978042A1 (en) 2015-03-06 2016-09-15 Micromass Uk Limited Tissue analysis by mass spectrometry or ion mobility spectrometry
CN107645938B (zh) 2015-03-06 2020-11-20 英国质谱公司 成像导引的敞开式电离质谱测定
CN108700590B (zh) 2015-03-06 2021-03-02 英国质谱公司 细胞群体分析
EP3264989B1 (en) 2015-03-06 2023-12-20 Micromass UK Limited Spectrometric analysis
US11367605B2 (en) 2015-03-06 2022-06-21 Micromass Uk Limited Ambient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imaging platform for direct mapping from bulk tissue
DE102015218665A1 (de) 2015-09-29 2017-03-30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Lagerung und Entleerung von mit Fluid gefüllten Behältern in mikrofluidischen Vorrichtungen
GB201517195D0 (en) 2015-09-29 2015-11-11 Micromass Ltd Capacitively coupled reims technique and optically transparent counter electrode
US10357585B2 (en) 2015-12-14 2019-07-23 Saraya Co., Ltd. Liquid supplying system
KR20170082269A (ko) * 2016-01-06 2017-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7178833A1 (en) 2016-04-14 2017-10-19 Micromass Uk Limited Spectrometric analysis of plants
WO2018110145A1 (ja) * 2016-12-12 2018-06-21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自動分析装置及び自動分析方法
JP6948158B2 (ja) * 2017-05-29 2021-10-13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試料処理装置及び試料処理方法
US10192637B2 (en) 2017-05-31 2019-01-29 Sysmex Corporation Specimen analyzer and specimen analysis method
US10520518B2 (en) 2017-05-31 2019-12-31 Sysmex Corporation Specimen analyzer and specimen analysis method
US11268969B2 (en) 2017-05-31 2022-03-08 Sysmex Corporation Specimen analyzer and specimen analysis method
CN107703108B (zh) * 2017-06-29 2024-05-31 迈克医疗电子有限公司 样本检测装置和体外诊断设备
JP6866249B2 (ja) * 2017-07-14 2021-04-28 株式会社堀場製作所 分析装置
DE102017130954A1 (de) * 2017-12-21 2019-06-27 Enway Gmbh Reinig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Reinigungsvorrichtung
WO2019133865A1 (en) * 2017-12-29 2019-07-04 Beckman Coulter, Inc. Probe washing arrangement with multiple configurations for sample analyzer and method of using
WO2019177645A1 (en) * 2018-03-15 2019-09-19 Chris Marsh Reagent container for an aldehyde analysis system and method of use
US11358148B2 (en) 2018-03-30 2022-06-14 Idexx Laboratories, Inc. Point-of-care diagnostic systems and containers for same
USD876960S1 (en) 2018-03-30 2020-03-03 Idexx Laboratories, Inc. Container
US11541396B2 (en) 2018-03-30 2023-01-03 Idexx Laboratories, Inc. Point-of-care diagnostic systems and containers for same
USD876961S1 (en) 2018-03-30 2020-03-03 Idexx Laboratories, Inc. Container
US11523972B2 (en) 2018-04-24 2022-12-13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fluid delivery
KR102207891B1 (ko) * 2018-12-28 2021-01-26 주식회사 에이피엠엔지니어링 표본 자동 공급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JP6837086B2 (ja) * 2019-01-24 2021-03-03 日本電子株式会社 自動分析装置
KR102480305B1 (ko) * 2019-02-15 2022-12-23 주식회사 파이퀀트 성분 분석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2480306B1 (ko) * 2019-02-15 2022-12-23 주식회사 파이퀀트 성분 분석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N114384266B (zh) * 2022-03-23 2022-08-09 苏州长光华医生物医学工程有限公司 一种样本智能装载装置及方法
CN115041246B (zh) * 2022-07-15 2023-04-18 成都瀚辰光翼科技有限责任公司 移液器控制方法及装置、移液控制设备和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2586A (en) * 1971-03-10 1972-08-08 Union Carbide Corp Process for the determination of creatinine body fluids
SE7614077L (sv) * 1976-12-14 1978-06-15 Pharmacia Fine Chemicals Ab Programmerbar fraktionssamlare
US5008712B1 (en) * 1980-10-17 1995-04-18 Canon Kk Variable magnification copying apparatus and automatic shutdown therefor
US4422151A (en) * 1981-06-01 1983-12-20 Gilson Robert E Liquid handling apparatus
JPH0711526B2 (ja) * 1985-07-13 1995-02-08 株式会社島津製作所 自動サンプリング装置
US5055263A (en) * 1988-01-14 1991-10-08 Cyberlab, Inc. Automated pipetting system
ATE154981T1 (de) * 1990-04-06 1997-07-15 Perkin Elmer Corp Automatisiertes labor für molekularbiologie
JPH04348743A (ja) 1990-10-02 1992-12-03 Daiichi Kogyo Kk 採血管自動脱気装置
EP0580622A4 (en) * 1991-03-22 1994-08-24 Environmental Prod Amalgam Pty Apparatus for servicing refrigeration systems
US5211310A (en) * 1991-04-30 1993-05-18 Andronic Devices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phases of blood
DE69209979T2 (de) 1991-06-18 1996-11-21 Coulter Corp Demontierbare und auswechselbare ansaugnadel - patronenaufbau
US5267865A (en) * 1992-02-11 1993-12-07 John R. Lee Interactive computer aided natural learning method and apparatus
US5788508A (en) * 1992-02-11 1998-08-04 John R. Lee Interactive computer aided natural learning method and apparatus
US5302132A (en) * 1992-04-01 1994-04-12 Corder Paul R Instructional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s
US5483843A (en) * 1992-06-01 1996-01-16 Thermo Separation Products Inc. Transport apparatus
US5322192A (en) * 1992-07-28 1994-06-21 Automed Corporation Pipetting apparatus
US5408891A (en) * 1992-12-17 1995-04-25 Beckman Instruments, Inc. Fluid probe washing apparatus and method
DE59410373D1 (de) * 1993-09-17 2004-06-09 Hoffmann La Roche Analysengerät mit einer Vorrichtung zur Suspension von Partikeln und ein Verfahren zur Durchführung der Suspension
JP3239199B2 (ja) * 1993-12-20 2001-12-17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ピペット洗浄装置
US6266057B1 (en) * 1995-07-05 2001-07-24 Hitachi, Lt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3228645B2 (ja) * 1994-09-21 2001-11-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免疫分析装置
US5627531A (en) * 1994-09-30 1997-05-06 Ohmeda Inc. Multi-function menu selection device
US5577837A (en) * 1995-05-19 1996-11-26 Forma Scientific, Inc. Temperature controlled HEPA-filtered console shaker
US5844560A (en) * 1995-09-29 1998-12-01 Intel Corporation Graphical user interface control element
JP3307816B2 (ja) * 1995-12-19 2002-07-24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試料吸引装置
JP3678527B2 (ja) * 1996-03-14 2005-08-03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試料吸引管
US6243619B1 (en) * 1996-05-10 2001-06-05 Amada Company, Ltd.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plate material processing machine
JP3495509B2 (ja) * 1996-06-19 2004-02-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水蒸気改質炉の燃焼ガス排出ダクト
US5935523A (en) * 1997-05-29 1999-08-10 Medical Laboratory Automation, Inc. Apparatus for accessing a sealed container
US6066243A (en) * 1997-07-22 2000-05-23 Diametrics Medical, Inc. Portable immediate response medical analyzer having multiple testing modules
JPH1194842A (ja) 1997-09-17 1999-04-09 Nittec Co Ltd 自動分析装置
AUPP058197A0 (en) * 1997-11-27 1997-12-18 A.I. Scientific Pty Ltd Pathology sample tube distributor
US6288790B1 (en) * 1998-05-15 2001-09-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bility support for printing
AUPP441798A0 (en) 1998-06-30 1998-07-23 Australian Biomedical Corporation Limited Laboratory sampling probe positioning apparatus
EP1876451A3 (en) * 1998-07-27 2012-02-29 Hitachi, Ltd. Handling method of body fluid sample and analysis apparatus using the same
EP0984285B1 (en) 1998-08-31 2004-01-07 Sysmex Corporation Sample aspirator having dual inter-operating manipulation units
US6246745B1 (en) * 1999-10-29 2001-06-12 Compumed,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bone mineral density
CA2391743A1 (en) * 1999-11-15 2001-05-25 I-Stat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aying coagulation in fluid samples
US6604054B2 (en) * 2000-02-29 2003-08-05 Gen-Probe, Inc. Method of detecting fluid flow through a conduit
EP1308410B1 (en) * 2000-06-23 2009-09-3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splay operating device for elevator
JP3720736B2 (ja) * 2001-07-02 2005-11-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印刷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EP1291659A3 (en) * 2001-09-06 2008-05-21 Sysmex Corporation Automatic sample analyzer and its components
JP3684183B2 (ja) * 2001-09-11 2005-08-17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
JP4355590B2 (ja) * 2004-02-23 2009-11-04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分析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91659A3 (en) 2008-05-21
US20060029520A1 (en) 2006-02-09
US20030070498A1 (en) 2003-04-17
KR20030022076A (ko) 2003-03-15
KR20080087073A (ko) 2008-09-30
KR20100028615A (ko) 2010-03-12
EP1291659A2 (en) 2003-03-12
KR20110007596A (ko) 2011-01-24
US6938502B2 (en) 2005-09-06
US6772650B2 (en) 2004-08-10
US20050074361A1 (en) 2005-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48563A (ko) 자동 시료분석장치
US7919044B2 (en) Sample analyzer and its components
JP3886440B2 (ja) 試料分析装置とそれに用いる液体吸引管
JP2004170152A (ja) 試料分析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気泡検知回路と気泡検知方法
CN101865929B (zh) 自动试样分析器及其部件
JP3784311B2 (ja) 試料分析装置とその装置に用いる液体混合用容器
JP4751543B2 (ja) 自動血液分析装置とその装置に用いる検体ラック用ロック装置
JP4073298B2 (ja) 試料分析装置
JP4754741B2 (ja) 自動血液分析装置とその装置に用いる検体容器設置装置
JP4751544B2 (ja) 自動血液分析装置とその装置に用いるピペット駆動装置
CN115248328A (zh) Poct血细胞分析仪及其使用方法
CN1912617B (zh) 自动试样分析器及其部件
JP2003315350A (ja) 試料分析装置とそれに用いる液体吸引管
JP3960906B2 (ja) 試料分析装置とそれに用いる流体回路
JP4359456B2 (ja) 試料分析装置とそれに用いる試料容器セット用アダプタ
TW544516B (en) Automatic sample analyzer and its components
CN215180255U (zh) Poct血细胞分析仪
CN216387080U (zh) Poct血细胞分析仪、试剂盒
CN216525867U (zh) Poct血细胞分析仪
JP3784306B2 (ja) 試料分析装置とその装置に用いるピペット洗浄装置
CN215866723U (zh) Poct血细胞分析仪
CN216525868U (zh) Poct血细胞分析仪
CN115248321A (zh) Poct血细胞分析仪及其使用方法
CN115248326A (zh) Poct血细胞分析仪及其使用方法
JP2003194827A (ja) 試料分析装置と測定ユニット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試料分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212

Effective date: 2010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