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2269A - 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2269A
KR20170082269A KR1020160001478A KR20160001478A KR20170082269A KR 20170082269 A KR20170082269 A KR 20170082269A KR 1020160001478 A KR1020160001478 A KR 1020160001478A KR 20160001478 A KR20160001478 A KR 20160001478A KR 20170082269 A KR20170082269 A KR 20170082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ower
inspection
inspection apparatus
power consum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1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태
김종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1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2269A/ko
Priority to US16/068,615 priority patent/US20190018031A1/en
Priority to PCT/KR2016/012590 priority patent/WO2017119583A1/ko
Priority to EP16883967.8A priority patent/EP3385738A4/en
Publication of KR20170082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22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1R31/3682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584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analysers
    • G01N35/00722Communications; Ident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within the blood, pH-value of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02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provided with flat sample substrates, e.g. slides
    • G01N35/0006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provided with flat sample substrates, e.g. slides whereby the sample substrate is of the bio-disk type, i.e. having the format of an optical dis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584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analysers
    • G01N35/00594Quality control, including calibration or testing of components of the analyser
    • G01N35/00712Automatic status testing, e.g. at start-up or periodi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584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analysers
    • G01N35/00722Communications; Identification
    • G01N35/00871Communications between instruments or with remote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8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stream of discrete samples flowing along a tube system, e.g. flow injection analysis
    • G01R31/3624
    • G01R31/3658
    • G01R31/367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2Monitoring battery levels, e.g. power saving mode being initiated when battery voltage goes below a certain leve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02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provided with flat sample substrates, e.g. slides
    • G01N2035/00099Characterised by type of test elements
    • G01N2035/00158Elements containing microarrays, i.e. "biochi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2035/00178Special arrangements of analysers
    • G01N2035/00237Handling microquantities of analyte, e.g. microvalves, capillary networ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584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analysers
    • G01N35/00722Communications; Identification
    • G01N35/00871Communications between instruments or with remote terminals
    • G01N2035/00881Communications between instruments or with remote terminals network configur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584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analysers
    • G01N35/00722Communications; Identification
    • G01N2035/00891Displaying information to the opera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584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analysers
    • G01N35/00722Communications; Identification
    • G01N2035/00891Displaying information to the operator
    • G01N2035/009Displaying information to the operator alarms, e.g. audib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584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analysers
    • G01N35/00722Communications; Identification
    • G01N2035/00891Displaying information to the operator
    • G01N2035/0091GUI [graphical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10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 G01N2035/1027General features of the devices
    • G01N2035/1034Transferring microquantities of liq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584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analysers
    • G01N35/00594Quality control, including calibration or testing of components of the analyser
    • G01N35/00613Quality control
    • G01N35/00623Quality control of instru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Hematology (AREA)
  • Tests Of Electric Status Of Batteries (AREA)

Abstract

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한 발명으로, 체외진단기를 사용함에 따라 체외진단기에 마련된 배터리의 전력 소모율을 산출하고, 그에 따라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을 결정하여 체외진단기의 동작 가능 시간 및 검사 가능 횟수를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체외진단기에 마련된 배터리의 현재 상태를 직관적으로 파악하고 검사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체외진단기의 동작을 비활성화 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는, 검사장치에 마련되는 배터리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저장된 배터리 정보에 기초하여 검사장치의 동작에 따라 변경되는 배터리 전력 소모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배터리 전력 소모율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결정된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 및 검사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Tes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개시된 발명은 소량의 샘플로 체외 진단을 수행할 수 있는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체외진단(In Vitro Diagnostic)이란 환자로부터 분리 가능한 혈액 및 체액 등을 이용하여 환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기술로써, 질병 파악을 위한 사전 진단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체외 진단을 위해 환자의 샘플에 대한 면역 검사, 임상 화학 검사 등이 수행되는바, 면역 검사 및 임상 화학 검사는 환자의 상태에 대한 진단, 치료 및 그 예후의 판단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체외진단기의 대표적인 예시인 혈액분석장치는 일회용 카트리지 또는 디스크와 같은 검사 매체를 사용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혈액 검사를 가능하게 하며, 환자로부터 채혈된 적은 양의 혈액으로 환자의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체외진단기를 통해 환자의 혈액 및 체액 등과 같은 검사 대상체를 분석하기 위해서 검사 매체를 이용하는데, 혈액분석장치의 경우 사용자가 환자로부터 채혈된 혈액을 검사 매체에 투입한 후, 검사 매체를 체외진단기에 입력하여 혈액 검사기가 검사 대상체를 분석하도록 한다. 검사 매체에는 검사 대상체를 분석하기 위한 시약(reagen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혈액 검사기는 검사 매체에 포함된 시약과 검사 대상체 사이의 반응을 분석하여, 환자가 소정의 항체 또는 항원을 보유하고 있는지 혹은 소정의 질병에 대한 환자의 감염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환자가 감염된 질병 이외에도 마약 검사 등에도 혈액 검사기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의료 진단에 있어서 일회용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POC(Point-of-care) 혈액분석장치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신속하고 정확한 혈액검사를 가능하게 하는 소형 POC 혈액 분석에 대한 연구개발이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체외진단기의 동작에는 배터리가 사용되는데, 배터리의 전력량에 따라 체외진단기가 동작할 수 있는 시간 및 검사 가능한 횟수를 정확히 예측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배터리의 제조시기, 배터리 사용 횟수, 배터리의 온도에 따른 전력 소모율 및 체외진단기를 사용함에 따른 배터리의 전력 소모율을 산출하여 배터리의 수명 및 배터리 특성 변화를 정확히 예측하는 것이 필요하다.
개시된 발명은 체외진단기를 사용함에 따라 체외진단기에 마련된 배터리의 전력 소모율을 산출하고, 그에 따라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을 결정하여 체외진단기의 동작 가능 시간 및 검사 가능 횟수를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체외진단기에 마련된 배터리의 현재 상태를 직관적으로 파악하고 검사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체외진단기의 동작을 비활성화 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는,
반응 장치에 수용된 검사 매체를 검사하는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사장치에 마련되는 배터리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된 배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검사장치의 동작에 따라 변경되는 배터리 전력 소모율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배터리 전력 소모율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결정된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 및 상기 검사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검사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결정된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에 기초한 상기 검사장치의 동작 가능 시간 및 검사 가능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정보는, 상기 배터리의 제조시기에 기초한 전력 소모율, 상기 배터리 사용 횟수, 상기 배터리 사용 횟수에 기초한 전력 소모율, 상기 배터리의 온도에 기초한 전력 소모율 및 상기 검사장치의 검사 종류에 기초한 상기 배터리의 전력 소모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사장치의 검사 종류에 기초한 상기 검사장치의 동작에 따라 변경되는 상기 배터리 전력 소모율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검사장치의 검사 진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검사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이 미리 정해진 전력량 이하이면, 상기 검사장치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는 제어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이 미리 정해진 전력량 이하이면, 상기 검사장치의 검사 진행에 필요한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이 미리 정해진 전력량 이하이면, 상기 검사장치의 검사 진행을 위한 제어 화면이 표시되지 않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결정된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에 기초한 상기 검사장치의 동작 가능 시간 및 검사 가능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검사장치의 검사 종류에 기초한 상기 검사장치의 동작 가능 시간 및 검사 가능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결정된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검사장치의 검사 진행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결정된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이 미리 정해진 전력량 이하이면, 상기 검사장치의 검사 진행을 위한 제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배터리의 제조시기에 기초한 전력 소모율, 상기 배터리 사용 횟수, 상기 배터리 사용 횟수에 기초한 전력 소모율, 상기 배터리의 온도에 기초한 전력 소모율 및 상기 검사장치의 검사 종류에 기초한 상기 배터리의 전력 소모율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산출된 배터리 전력 소모율 및 상기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된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 및 상기 검사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외부 디바이스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된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이 미리 정해진 전력량 이하이면, 사용자에게 알림을 송출하는 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 제어방법은,
반응 장치에 수용된 검사 매체를 검사하는 검사장치 제어방법에 있어서, 미리 저장된 상기 검사장치의 배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검사장치의 동작에 따라 변경되는 배터리 전력 소모율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배터리 전력 소모율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 및 상기 검사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 전력 소모율을 산출하는 것은, 상기 검사장치의 검사 종류에 기초한 상기 검사장치의 동작에 따라 변경되는 상기 배터리 전력 소모율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된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검사장치의 검사 진행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된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검사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된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이 미리 정해진 전력량 이하이면, 상기 검사장치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는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된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이 미리 정해진 전력량 이하이면, 상기 검사장치의 검사 진행에 필요한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된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이 미리 정해진 전력량 이하이면, 상기 검사장치의 검사 진행을 위한 제어 화면이 표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사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것은, 상기 결정된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에 기초한 상기 검사장치의 동작 가능 시간 및 검사 가능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사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것은, 상기 검사장치의 검사 종류에 기초한 상기 검사장치의 동작 가능 시간 및 검사 가능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사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것은, 상기 결정된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검사장치의 검사 진행 여부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된 현재 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 및 상기 검사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외부 디바이스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된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이 미리 정해진 전력량 이하이면, 사용자에게 알림을 송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배터리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체외진단기의 동작에 따른 배터리의 전력 소모율을 정확히 산출할 수 있고, 이로부터 체외진단기의 동작 가능 시간 및 검사 가능 횟수를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알려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이 체외진단기의 검사 진행을 하기에 낮은 경우, 전원을 제어하거나 검사 진행을 비활성화 함으로써 검사 진행 중에 검사가 중지되거나 검사매체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의 외관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검사장치에 삽입되는 반응장치의 외관도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의 외관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3의 검사장치에 삽입되는 반응장치의 외관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제어 블럭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의 검사 종류 및 배터리 사용 횟수에 기초한 전력 소모율에 관한 데이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제조 시기 및 배터리의 온도에 기초한 전력 소모율에 관한 데이터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 및 검사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 및 검사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검사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제어하는 것을 도시한 화면이다.
도 11은 검사장치의 검사 진행에 필요한 전원이 차단되는 것을 도시한 화면이다.
도 12는 검사장치의 검사 진행을 위한 제어 화면을 비활성화 시키는 것을 도시한 화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의 전력량 및 검사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외부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개시된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 및 장치는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개시된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개시된 실시예들은 개시된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개시된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개시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개시된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개시된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개시된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개시된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개시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개시된 명세서에서 "사용자"는 의료 전문가로서 응급 구조 요원, 의사, 간호사, 임상 병리사, 의료 영상 전문가 등이 될 수 있으며, 의료 장치를 수리하는 기술자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검사장치가 체외진단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는 체외진단기의 경우를 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의 외관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검사장치에 삽입되는 반응장치의 외관도이다.
검사 장치(100)는 환경 시료, 바이오 시료, 식품 시료 등 다양한 종류의 시료를 검사하는데 사용될 수 있도록 소형화 및 자동화된 장치이다. 특히, 인체로부터 채취한 생체 시료를 검사하는 체외 진단에 사용될 경우, 검사실 외에도 환자, 의사, 간호사, 임상 병리사 등의 사용자에 의해 가정, 직장, 외래진료실, 병실, 응급실, 수술실, 중환자실 등의 환자가 있는 장소에서 현장 검사(POCT: Point Of Care Testing)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시료가 주입되어 시약과 시료의 반응이 일어나는 반응 장치에는 모세관력에 의해 시료나 시약이 이동하는 카트리지 타입, 원심력에 의해 시료나 시약이 이동하는 디스크 타입, 시료나 시약이 이동하지 않고 바로 측정이 이루어지는 큐벳 타입 등이 있다. 이러한 반응 장치의 타입에 따라 검사 장치의 구조나 구성이 달라질 수 있는바, 도 1의 예시는 카트리지 타입의 반응장치가 삽입되는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의 예시에 따르면, 검사 장치(100)에는 반응 장치(10)가 장착되는 공간인 장착부(103)가 마련되며, 장착부(103)의 도어(102)를 상측으로 슬라이딩하여 개방하면 반응 장치(10)를 검사 장치(100)에 장착할 수 있는바, 구체적인 예로서 반응 장치(10)의 일부를 장착부(103)에 마련된 소정의 삽입홈(104)에 삽입할 수 있다.
반응 장치(10)의 일부는 본체(107) 내부로 삽입되고, 나머지 부분은 검사 장치(100)의 외부로 노출되어 지지대(10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가압부(105)가 반응 장치(10)를 가압하면 시료가 반응이 일어나는 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반응 장치(10)의 장착이 완료되면, 검사 장치(100)는 도어(102)를 폐쇄하고 검사를 시작한다.
도 1의 예시에 따른 검사 장치(100)에 삽입되는 카트리지 타입의 반응 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외관을 가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예시에 따른 반응 장치(10)는 하우징(11)과, 시료와 시약이 만나 반응이 일어나는 플랫폼(12)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은 플랫폼(12)을 지지하는 것과 동시에 사용자가 반응 장치(10)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플랫폼(12)은 하우징(11)의 하부에 접합되거나 하우징(11)에 형성된 소정의 홈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하우징(11)과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11)은 성형이 용이하고 화학적, 생물학적으로 비활성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등의 아크릴, 폴리다이메틸실록산(PDMS) 등의 폴리 실록산, 폴리카보네이트(PC),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저밀도 폴리에틸열(LDPE),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등의 폴리에틸렌, 폴리비닐알코올, 초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 폴리프로필렌(PP), 아크릴로니트릴 뷰타디엔 스티렌(ABS), 사이클로 올레핀 공중합체(COC) 등의 플라스틱 소재, 유리, 운모, 실리카, 반도체 웨이퍼 등의 다양한 재료가 하우징(11)의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하우징(11)에는 시료가 유입되는 유입홀(inlet hole, 11a)이 형성된다. 사용자는 검사 대상인 시료를 파이펫(pipet)이나 스포이드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유입홀(11a)에 떨어뜨릴 수 있다.
플랫폼(12)에는 복수의 챔버(12a)가 형성되고, 챔버(12a)에는 시약이 수용되어 있다. 예를 들어, 시약은 챔버(12a) 내부에 도포된 후 건조되는 방식으로 수용될 수 있다. 유입홀(11a)에 유입된 시료는 유입홀(11a)과 챔버(12a)를 연결하는 채널(미도시)을 통해 챔버(12a)에 도달하고, 챔버(12a)에 미리 수용되어 있는 시약과 반응한다. 앞서 도 1에서 반응 장치(10)의 일부가 검사 장치(100)의 삽입홈(104)에 삽입된다고 하였다. 챔버(12a)에서 시약과 시료의 반응이 일어나므로 플랫폼(12)이 홈(104)에 삽입될 수 있고, 가압부(105)가 유입홀(11a)을 가압하여 시료의 유입을 촉진시킬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플랫폼(12)은 세 개의 판이 접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세 개의 판은 상판, 하판 및 중간판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판과 하판은 차광잉크를 인쇄하여 챔버(12a)로 이동하는 시료를 외부의 빛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판과 하판은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판과 하판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필름은 초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등의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PP) 필름, 폴리염화비닐(PVC) 필름, 폴리비닐 알코올(PVA) 필름, 폴리스틸렌(PS) 필름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중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중간판은 셀룰로오즈 등의 다공질 시트로 형성되어 그 자체로서 벤트(vent)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다공질 시트를 소수성을 갖는 물질로 만들거나 다공질 시트에 소수성 처리를 하여 시료의 이동에는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랫폼(12)이 3중층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 상판과 중간판에는 유입홀(11a)을 이루는 홀이 형성되고, 상판과 하판의 챔버(12a)에 대응되는 부분은 투명하게 처리될 수 있다. 상판과 하판의 챔버(12a)에 대응되는 부분을 투명하게 처리하는 것은 챔버(12a) 내에서 일어나는 반응에 의한 광학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중간판에는 얇은 채널이 형성되고, 유입홀(11a)을 통해 유입된 시료는 채널의 모세관력에 의해 챔버(12a)까지 이동할 수 있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의 외관도이고,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3의 검사장치에 삽입되는 반응장치의 외관도이다.
도 3의 예시는 디스크 타입의 반응 장치가 삽입되는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3의 예시에 따르면, 검사장치(100)에는 디스크 타입의 반응장치(20)를 안착시킬 수 있는 트레이(102)가 포함된다. 안착된 반응장치(20)는 트레이(102)와 함께 검사장치(100)의 본체(107) 내부로 삽입된다. 반응장치(20)가 삽입되면, 검사장치(100)는 삽입된 반응장치(20)의 종류, 시료의 종류 또는 검사 프로세스에 의해 정해진 시퀀스에 따라 반응장치(20)를 회전시키고, 검사 결과를 측정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크 타입의 반응장치(20)는 회전 가능한 플랫폼(21)과 플랫폼(21)에 형성된 구조물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조물들은 시료이나 시약을 수용하는 복수의 챔버와 이들 챔버를 연결하는 채널을 포함한다. 구조물들은 반응장치(20)의 내부에 형성되나, 당해 예시에서는 반응장치(20)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반응장치(20)를 위에서 내려다보면 그 내부에 형성된 구조물들을 볼 수 있는 것으로 한다.
플랫폼(21)은 성형이 용이하고 그 표면이 생물학적으로 비활성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바, 아크릴(PMMA), 폴리다이메틸실록산(PDMS),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플로필렌(PP), 폴리비닐알코올(PVA), 폴리에틸렌(PE) 등의 플라스틱 소재, 유리, 운모, 실리카, 실리콘 웨이퍼 등의 다양한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다만, 개시된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화학적, 생물학적 안정성 및 기계적 가공성을 가지는 소재이면 어느 것이든 플랫폼(21)의 재료가 될 수 있고, 반응장치(20) 내의 검사 결과를 광학적으로 분석하는 경우에는 플랫폼(21)이 광학적 투명성을 더 갖는 것으로 할 수 있다.
플랫폼(21)에는 시료가 유입되는 유입홀(21a), 시약이 미리 수용되어 있는 챔버(22a) 및 유입홀(21a)과 챔버(22a)를 연결하는 채널(21b)이 형성될 수 있다.
앞서, 도 3에 대한 설명에서 검사장치(100)가 반응장치(20)를 회전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반응장치(20)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홀(C)에 검사장치(100)가 제공하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턴테이블이 삽입되어 반응장치(20)가 회전하면, 유입홀(21a)을 통해 유입된 시료가 원심력에 의해 챔버(22a)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시료가 혈액인 경우에는 회전에 의한 원심 분리가 가능하다. 따라서, 플랫폼(21)에 혈액의 원심 분리를 위한 구조물들을 더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디스크 타입의 반응장치(20) 역시 플랫폼(21)이 복수 층의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21)이 상판과 하판의 두 개의 판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판과 하판이 맞닿는 면에 챔버나 채널 등의 구조물에 해당하는 음각 구조물을 형성하고, 상기 두 판을 접합함으로써 플랫폼(21) 내부에 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과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판과 판의 접합은 접착제 또는 양면 접착 테이프를 이용한 접착이나 초음파 융착, 레이저 용접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2과 도 4의 예시에 따른 반응장치(10, 20)들은 모두 소량의 시료만으로도 정량적인 분석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반응장치(10, 20) 내에서 시료나 시약은 채널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이들은 유체(fluid)의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반응장치(10, 20)들을 미세유동장치(microfluidic device)라고도 한다.
검사장치(100)의 외관이나 종류가 도 1 및 도 3의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큐벳 타입의 반응 장치를 검사하는 스펙트로미터(spectrometer)와 같은 장치도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100)가 될 수 있고, 외부 온도, 내부 온도 또는 시료의 온도가 결과에 영향을 주는 검사를 수행하는 장치라면 모두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100)가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챔버(12a, 22a)는 서로 다른 시약을 수용할 수 있어서 동시에 다양한 검사 항목에 대한 검사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챔버(12a, 22a) 각각에는 GGT 검사 시약, CREA 검사 시약, TRIG 검사 시약, CHOL 검사 시약, ALT 검사 시약이 수용될 수 있어 동시에 GGT 검사, CREA 검사, TRIG 검사, CHOL 검사, ALT 검사가 진행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서 상술한 검사장치(100)에는 배터리(180)가 장착되어 있으며, 배터리의 전력량에 따라 검사장치(100)가 검사를 진행하는 전력을 얻을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배터리(180)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배터리(180)의 종류에 따라 전력 소모율과 관련된 배터리(180) 정보가 다를 수 있는데, 이러한 배터리(180) 정보에는 배터리(180) 제조시기, 배터리(180)의 사용 횟수에 따른 전력 소모율, 배터리(180)의 온도와 관련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검사장치(100)의 동작에 의해 검사 매체에 대한 검사가 진행되면, 배터리(180)의 전력이 소모되고 배터리(180)의 전력 소모율에 따라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이 결정될 수 있다. 즉,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에 따라 검사장치(100)가 검사 진행을 위해 동작할 수 있는 시간 및 검사가 수행되는 횟수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존의 검사장치(100)는 검사장치(100)가 동작함에 따라 변경되는 배터리(180)의 전력 소모율을 산출하는 것이 아니라, 미리 정해져 있는 배터리(180)의 전력 소모율 데이터에 기초하여 배터리(180)의 전력량을 결정하였다. 즉, 검사장치(100)가 검사 동작을 진행하는 경우, 검사 동작의 횟수 및 경과 시간에 근거하여 장착된 배터리(180)의 전력 소모율을 일률적으로 결정 하였다.
그러나, 배터리(180)는 그 종류에 따라서 전력 소모율이 다르고, 배터리(180)의 제조시기, 배터리(180)의 사용 횟수, 검사장치(100)가 수행하는 검사의 종류, 배터리(180)의 온도에 따라서 전력 소모율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검사장치(100)의 검사가 진행되는 경우 이러한 배터리(180) 관련 정보들에 기초하여 배터리(180)의 전력 소모율을 산출해야 한다.
또한, 기존의 검사장치(100)는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이 결정되면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만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렸으므로, 사용자는 표시된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은 확인할 수 있었으나, 배터리(180)의 전력량에 따라서 검사장치(100)가 검사를 진행할 수 있는 시간 또는 검사 진행 가능 횟수에 대한 정보는 확인할 수 없었다. 따라서, 검사장치(100)로 검사 진행 도중에 검사장치(100)의 전원 부족으로 검사가 종료되는 경우도 발생하였는데, 휴대용 POC장치의 경우 외부에서 검사를 진행하는 경우에는 검사가 종료되면 다시 검사를 재개할 수 없었으며, 마약 분석을 위한 검사 진행에 있어서 검사 매체를 적시에 검사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미리 저장되어 있는 배터리(180)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검사장치(100)가 검사를 수행함에 따른 배터리(180)의 전력 소모율의 변화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산출된 배터리(180) 전력 소모율로부터 결정된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에 따라 검사장치(100)의 동작 가능 시간 및 검사 가능 횟수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배터리(180) 방전에 대비할 수 있고,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이 낮아서 검사를 진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검사를 종료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제어 블럭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의 검사 종류 및 배터리 사용 횟수에 기초한 전력 소모율에 관한 데이터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제조 시기 및 배터리의 온도에 기초한 전력 소모율에 관한 데이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고하면, 검사장치(100)는 챔버에 광을 조사하고 챔버로부터 광신호를 검출하여 반응장치(10)에 수용된 샘플을 검사하는 검출부(120), 검사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30), 검사장치(100)의 동작 및 제어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40), 검사장치(100)의 제어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150), 검사장치(100)가 외부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 하거나 검사장치(100)의 동작 및 제어와 관련된 정보를 외부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통신부(160), 검사장치(100)의 동작 및 제어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림으로 송출하는 알림부(170), 검사장치(100)가 동작하도록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180) 및 배터리(180)가 제공하는 전력에 따라 검사장치(100)의 각 구성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반응장치(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혈액과 같은 생화학 샘플을 수용하여 샘플에 포함된 검체의 존재 여부 또는 농도를 산출하기 위한 생화학 반응이 일어나는 장치로, 검출부(120)는 발광부(121) 및 수광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121)는 반응장치(10)의 일정 영역에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발광면적이 넓고 균일할 광을 조사할 수 있는 면광원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이 발광부(121)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발광부(121)는 소정의 주파수로 점멸하는 광원으로써, LED(light emitting diode), LD(Laser Diode)와 같은 반도체 발광소자와 할로겐 램프나 제논 램프 같은 가스 방전 램프(Lamp)로 구현될 수도 있다.
수광부(122)는 발광부(121)에서 조사되어 반응장치(10)의 챔버(12a)에 수용되는 샘플을 투과하거나 반사된 광을 검출하여 광의 세기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수광부(122)는 공핍층 포토 다이오드(depletion layer photo diode)나 애벌런치 포토 다이오드(avalanche photo diode) 또는 광전자 증배관(photomultiplier tub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수광부(122)는 CMOS 이미지 센서 또는 CCD 이미지 센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발광부(121)와 수광부(122)는 반응장치(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마련되거나, 반응장치(10) 상부 또는 하부에 같이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발광부(121) 및 수광부(122)는 검출부(120)의 반응결과를 검출하기 위해 검출부(120)가 배열된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발광부(121) 및 수광부(122)의 이동을 위한 동력은 검사장치(100)의 모터(미도시)로부터 제공된다. 제어부(130)는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발광부(121) 및 수광부(122)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발광부(121)에서 조사되는 빛의 세기나 파장은 제어부(130)의 명령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수광부(122)는 광을 검출하여 생성한 전기적 신호를 프로세서(130)로 전송할 수 있다. 발광부(121) 및 수광부(122)는 수광부(122)의 검출결과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컨버터를 더 포함하여 제어부(130)로 디지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100)의 제어방법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배터리(180) 정보에 기초하여 검사장치(100)의 동작에 따라 변경되는 배터리(180) 전력 소모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배터리(180) 전력 소모율에 기초하여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을 결정할 수 있다.
저장부(150)에 저장된 배터리(180) 정보는 배터리(180)의 제조시기에 기초한 전력 소모율, 배터리(180) 사용 횟수, 배터리(180) 사용 횟수에 기초한 전력 소모율, 배터리(180)의 온도에 기초한 전력 소모율 및 검사장치(100)가 수행하는 검사의 종류에 기초한 배터리(180)의 전력 소모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검사장치(100)에 마련된 배터리(180)는 제어부(130)에 전력 소모율에 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배터리(180) 정보에 따라 전력 소모율이 달라지므로, 검사장치(100)를 사용하여 검사를 진행하는 경우 배터리(180)의 전력 소모율이 변경되는 것은 다양한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도 7의 (a)를 참고하면, 배터리(180)는 그 제조 시기에 따라 전력 소모율이 달라질 수 있다. 즉, 배터리(180)의 제조 시기가 오래된 경우, 배터리(180)의 성능이 저하되었을 것이므로, 검사장치(100)가 검사를 진행하는 경우 검사 진행에 따른 배터리(180)의 전력 소모율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검사장치(100)가 검사를 진행하지 않는 경우에도 배터리(180)의 전력이 소모될 수 있는데, 이 때 소모되는 전력은 배터리(180)의 제조 시기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80)의 제조 년도가 2010년인 경우에는 배터리(180)의 전력 소모율이 1.2%인 반면, 제조 년도가 2015년인 경우에는 배터리(180)의 전력 소모율이 0.2%이다. 즉,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배터리(180) 제조 년도가 오래된 경우에는 그만큼 배터리(180) 성능이 저하되었으므로 배터리(180) 전력 소모율은 배터리(180) 제조 년도가 오래되지 않은 경우보다 클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검사장치(100)가 수행하는 검사의 종류에 기초한 배터리(180)의 전력 소모율은 검사장치(100)에서 수행되는 검사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검사장치(100)가 검사를 진행할 때 검사의 종류는 혈액검사, 심장질환 검사, 마약 복용여부 검사, 에이즈 검사 등 다양할 수 있는데, 검사의 종류에 따라 검사장치(100)가 구동하는 시간이나 구동되는 구성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검사의 종류에 따라 배터리(180)의 전력 소모율도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검사장치(100)가 검사를 복수 회 진행함에 있어서, 배터리(180)의 성능은 계속 저하될 것이므로 사용 횟수에 따른 배터리(180)의 전력 소모율은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장치(100)가 A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 구동 모터(미도시)를 15분 돌리는 경우에는 배터리(180)의 전력 소모율이 10%인 반면, 검사장치(100)가 C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 구동 모터를 10분 돌리는 경우에는 배터리(180)의 전력 소모율이 6%일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배터리(180) 정보에 기초하여 검사장치(100)가 검사를 진행하는 경우 현재 검사장치(100)에 장착되어 있는 배터리(180)의 전력 소모율을 산출할 수 있는데, 이 때 산출 방식은 수학식 1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c는 배터리(180)의 전력 소모율, d는 배터리(180)의 제조 년도에 기초한 배터리(180)의 전력 소모율, x는 검사장치(100)가 수행하는 검사의 종류에 기초한 배터리(180)의 전력 소모율이고 y는 검사 진행에 따른 배터리(180) 사용 횟수이며, 배터리(180)의 전력 소모율에 대한 단위는 %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배터리 정보에 기초하여2012년에 제조된 배터리가 장착된 검사장치(100)로 A 검사를 진행하는 경우에 배터리(180)의 전력 소모율을 산출할 수 있다.
A검사가 진행되지 않는 경우에도, 배터리(180)의 전력 소모는 진행되므로 배터리(180) 사용 횟수가 0인 경우 배터리(180)의 전력 소모율은 0.8%가 된다. 검사장치(100)가 A검사를 1회 진행하는 경우의 전력 소모율 c = 0.8 + 10*1 로 계산될 수 있으므로, 10.8% 만큼 배터리(180) 전력이 소모될 수 있다. 따라서, 전력이 소모되지 않은 배터리(180)의 전력량을 100%라고 하면, A검사를 1회 진행한 경우 배터리(180)의 전력량은 89.2%가 된다.
검사장치(100)가 A검사를 2회 진행하는 경우의 전력 소모율 c = 0.8 + 10*2로 계산될 수 있으므로, 20.8% 만큼 배터리(180) 전력이 소모될 수 있다. 따라서, A검사를 2회 진행한 경우 배터리(180)의 전력량은 68.4%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검사장치(100)가 검사를 진행하는 경우, 검사의 종류 및 배터리(180) 정보에 기초하여 검사 진행 횟수에 따른 배터리(180) 전력 소모율을 산출할 수 있고, 산출된 배터리 전력 소모율에 기초하여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을 결정할 수 있다.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80)의 온도에 따라 전력 소모율이 달라질 수 있다. 검사장치(100)에 마련된 배터리(180)가 정상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최적 동작 온도는 15℃~32℃이다. 또한, 배터리(180)의 전력 소모율은 저온에서는 소모율이 적어지고 고온에서는 소모율이 커지는 특성이 있다.
도 7의 (b)를 참고하면 배터리(180)의 온도가 15℃~20℃인 경우에 배터리(180)의 전력 소모율은 0.2%이고, 20℃~25℃인 경우에 전력 소모율은 0.4%, 25℃~30℃인 경우에 전력 소모율은 0.6%, 30℃~40℃인 경우에 전력 소모율은 1.5%일 수 있다. 즉, 배터리(180)의 온도가 최적 동작 온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전력 소모율이 더 커질 수 있다.
상술한 수학식 1 및 수치들은 모두 실시예에 불과하며,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수식과 수치들은 다양한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결정된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에 기초하여 검사장치(100)의 검사 진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검사장치(100)가 진행할 수 있는 검사의 종류에 따라서 필요한 배터리(180) 전력이 다르므로,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검사의 종류 또는 미리 설정되어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검사의 종류에 따라서 제어부(130)가 필요한 배터리(180)의 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검사장치(100)가 검사를 진행하는데 필요한 배터리(180)의 전력량을 앞서 산출한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과 비교할 수 있고, 현재 전력량이 검사를 진행하는데 필요한 배터리(180)의 전력량보다 큰 경우에는 검사를 진행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가 산출한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이 미리 정해진 전력량을 초과하여, 검사장치(100)가 진행하고자 하는 검사를 1회 이상 수행할 수 있는 경우에는 검사를 진행시키는 제어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을 결정하여 검사장치(10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이 미리 정해진 전력량 이하이면, 검사장치(100)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는 제어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검사장치(100)의 구성 중에서 검사 진행에만 관여하는 히터, 팬, 모터, 바이오 센서 등의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검사가 진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제어부(130)는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이 미리 정해진 전력량 이하에 해당하여, 검사장치(100)가 진행하고자 하는 검사를 1회 이상 수행할 수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전원부(190)를 제어하여, 배터리(180)로부터 검사 진행에 관여하는 구성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검사가 진행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이 적은 경우에도 사용자가 검사를 진행 하다가 도중에 검사가 중단되는 결과를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후술할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40)에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 및 검사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이 미리 정해진 전력량 이하인 경우에는 검사장치(100)의 검사 진행을 위한 제어 화면이 표시되지 않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부(140)로 송출할 수 있고, 알림부(170)로 제어 신호를 송출하여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이 부족함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30)는 검사장치(100)에 내장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 processor)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검사장치(100)에서 수행된 검사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반응장치(10)는 다수의 챔버(12a)를 구비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반응장치(10)로부터 다수의 검사항목을 검출할 수 있고, 다수의 검사항목이 검출되면 디스플레이부(140)는 다수의 검사항목에 대한 검출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40)는 검사장치(100)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데, 예컨대 검사장치(100)의 설정, 검사의 진행 상태, 검사 결과 등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에 기초하여 검사장치(100)의 검사 진행 여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4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s), OLED(OrganicLight Emitting Diodes),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의 표현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40)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명령을 입력 받는 터치스크린(145)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검사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40)는 터치스크린(145)으로 구현된 것을 실시예로 설명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40)는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100) 제어방법에 의해서 구현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40)는 제어부(130)가 결정한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 및 검사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는 바, 이하 도 8 내지 도 1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 및 검사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 및 검사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검사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제어하는 것을 도시한 화면이고, 도 11은 검사장치의 검사 진행에 필요한 전원이 차단되는 것을 도시한 화면이며, 도 12는 검사장치의 검사 진행을 위한 제어 화면을 비활성화 시키는 것을 도시한 화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부(140)는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140a)을 표시할 수 있고, 검사장치(100)가 검사를 진행하는 경우에 동작할 수 있는 동작 가능시간(140b)를 표시할 수 있으며, 검사장치(100)가 검사를 진행할 수 있는 검사 가능 횟수(140c)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될 수 있는 항목 및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며,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가 산출한 배터리(180)의 전력 소모율에 기초하여 결정된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140a)이 10%인 경우에, 10%의 전력량으로 검사장치(100)가 동작할 수 있는 동작 가능시간(140b)은 1시간 20분일 수 있고, 10%의 전력량으로 검사장치(100)가 진행할 수 있는 검사 가능 횟수(140c)는 3회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된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140a), 검사장치(100)의 동작 가능시간(140b), 검사장치(100)의 검사 가능 횟수(140c)를 확인할 수 있고 이로부터 검사장치(100)를 사용하여 검사를 진행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부(140)는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140a)를 표시함과 동시에, 검사장치(100)가 진행하는 검사의 종류에 따라 검사장치(100)의 동작 가능시간(140b) 및 검사장치(100)의 검사 가능 횟수(140c)를 표시할 수 있다.
도 6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검사장치(100)가 수행하는 검사의 종류에 기초한 배터리(180)의 전력 소모율은 검사장치(100)에서 수행되는 검사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검사장치(100)가 진행하는 검사의 종류에 따라 검사장치(100)가 구동하는 시간이나 구동되는 구성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동일한 배터리(180)의 전력량에 기초하여도 소모되는 배터리(180)의 전력량이 달라진다. 따라서, 동일한 배터리(180)의 전력량에 기초하여도 검사의 종류에 따라 검사장치(100)가 동작할 수 있는 동작 가능 시간 또는 검사를 진행할 수 있는 검사 가능 횟수가 달라질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된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140a)이 10%인 경우, A검사를 진행하기 위해 검사장치(100)가 동작 가능한 시간은 1시간 20분이고, A검사를 진행하기 위한 검사 가능 횟수는 3회이다. 또한, B검사를 진행하기 위해 검사장치(100)가 동작 가능한 시간은 1시간이고, B검사를 진행하기 위한 검사 가능 횟수는 2회이다. C검사를 진행하기 위해 검사장치(100)가 동작 가능한 시간은 3시간이고, C검사?? 진행하기 위한 검사 가능 횟수는 5회이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된 화면을 통해, 검사장치(100)의 검사 종류에 따라 검사장치(100)가 동작 가능한 시간 및 검사 가능 횟수를 알 수 있다. 도 9에서는 A검사, B검사, C검사를 실시예로 들었으나, 검사의 종류 및 숫자에는 제한이 없으며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부(140)는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에 기초하여 검사장치(100)의 검사 진행을 위한 제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을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현재 전력량을 미리 정해진 배터리(180)의 전력량과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이 미리 정해진 전력량 이하에 해당하여 전력량을 절약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 제어부(130)는 검사장치(10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즉, 검사장치(100)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는 제어 신호를 송출하여 히터, 팬, 모터, 바이오 센서 등의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제어부(130)가 전원을 제어하는 것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이 5%이고, 검사장치(100)의 동작 가능시간이 30분이며 검사 가능 횟수가 1회인 경우에는, 검사장치(100)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절약할 필요가 있으므로 제어부(130)가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송출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140)에는 검사장치(100)를 절전 모드로 전환하는 알림 화면(140d)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검사장치(100)는 검사 진행을 위해 배터리(180)의 전력을 절약할 수 있고, 사용자는 검사장치(100)가 절전 모드로 전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40)에 마련된 터치스크린(145)을 터치하여, 검사장치(100)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데, 절전 모드가 진행중인 검사장치(100)를 다시 활성화 시키는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검사장치(100)의 전원을 차단하여 검사장치(100)가 정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며, 배터리(180)의 충전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부(140)는 검사장치(100)의 검사 진행을 중단하는 제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가 결정한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이 미리 정해진 전력량보다 적어서 검사장치(100)의 검사 진행이 불가한 경우에는 검사 진행이 불가함을 알리는 화면(140e)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된 화면을 통해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이 검사를 진행하기에 부족한 전력량임을 판단할 수 있고, 검사를 진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검사 진행 중에 검사장치(100)의 동작이 정지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스크린(145)을 터치하여 검사장치(100)에 저장된 현재 검사 데이터를 불러올 수 있고, 배터리(180)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 케이블을 연결한 후 검사를 시작하기 위한 터치 입력을 할 수도 있으며, 검사장치(100)의 전원이 차단되어 있는 것을 해제하는 전원 차단 해제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부(140)는 검사장치(100)의 검사 진행이 되지 않도록 검사 제어 화면을 비활성화시켜 표시할 수 있다. 검사장치(100)가 검사 매체에 대한 검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40)의 터치스크린(145)을 터치하여 검사를 시작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45)에 표시된 검사 시작 버튼(140f)을 누르면 검사 매체에 대한 검사가 진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배터리(180)의 전력 용량이 검사를 진행하기에 부족한 경우에도 사용자가 검사 시작 버튼(140f)을 눌러 검사를 진행하면, 검사 도중에 검사장치(100)의 동작이 정지되어 검사 진행이 중단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이 미리 정해진 전력량 이하여서 검사장치(100)가 검사를 1회 진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제어부(130)는 검사장치(100)의 전원을 차단하는 제어를 송출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는 검사 시작 버튼(140f)을 비활성화 시켜서 사용자가 검사 진행을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알림부(170)는 제어부(130)가 결정한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이 미리 정해진 전력량 이하이면, 사용자에게 알림을 송출할 수 있다. 즉,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이 부족하여 검사장치(100)가 검사를 진행할 수 없는 경우에 알림부(170)는 음성 신호 또는 기계음을 통해서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이 부족함을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알림부(170)는 일반적인 스피커 형태 또는 소리만 출력할 수 있는 진동판 형태로 검사장치(100)의 외부에 별도로 마련될 수 있고, 검사장치(100) 내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저장부(150)는 검사장치(100)의 동작 및 제어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50)는 배터리(180)의 제조시기에 기초한 전력 소모율, 배터리(180) 사용 횟수, 배터리(180) 사용 횟수에 기초한 전력 소모율, 배터리(180)의 온도에 기초한 전력 소모율 및 검사장치의 검사 종류에 기초한 배터리(180)의 전력 소모율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에는 검사장치(100)가 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배터리(180)의 전력량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검사장치(100)가 검사의 종류별로 검사를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배터리(180)의 기준 전력량 및 검사가 진행하지 않도록 검사 시작 버튼(140f)을 비활성화 하는 기준 전력량에 대한 정보도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에는 제어부(130)가 산출한 배터리(180)의 전력 소모율에 대한 정보와, 그에 따라 결정된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누적된 정보를 제어부(130)에 제공하여 차후 배터리(180)의 전력 소모율 및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을 산출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예를 들어,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저장부(150)는 검사장치(100)와 탈착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50)는 CF 카드(Compact Flash Card),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부(160)는 검사장치(100)와 외부 디바이스 간에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검사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는 내용이 외부 디바이스에 표시될 수 있도록 검사장치(100)에서 획득되거나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외부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즉, 도 8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검사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는 화면에 관한 데이터를 외부 디바이스로 송신하여 사용자가 외부 디바이스를 통해서도 검사장치(100)에 표시되는 화면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통신부(160)는 제어부(130)가 결정한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에 기초하여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 및 검사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외부 디바이스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외부 디바이스는 휴대용 단말(1000), 태블릿(1100), 스마트 TV(1200), PC(1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검사장치(1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검사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40)에서 출력할 수 있는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가진 장치이면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또한, 통신부(16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저장 서버(900)와도 연결될 수 있고, 제어부(130)가 저장 서버(90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불러오는 경우 통신부(160)가 데이터를 제어부로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160)는 단일의 외부 디바이스와 일-대-일로 통신하거나 소수의 외부 디바이스와 일-대-다로 통신하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무선 접속 장치(Access Point) 등을 통하여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에 접속하는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통신 모듈, 검사장치(100)와 외부 디바이스 사이에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등의 근거리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통신부(160)에 포함되는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 와이파이 통신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외에도 다양한 통신 규약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의 전력량 및 검사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외부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8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검사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는 화면에 관한 데이터를 외부 디바이스로 송신하여 사용자가 외부 디바이스를 통해서도 검사장치(100)에 표시되는 화면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디바이스인 휴대용 단말(1000) 또는 PC(1300)의 화면에는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140a)이 표시될 수 있고, 검사장치(100)가 검사를 진행하는 경우에 동작할 수 있는 동작 가능시간(140b)이 표시될 수 있으며, 검사장치(100)가 검사를 진행할 수 있는 검사 가능 횟수(140c)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외부 디바이스는 검사장치(100)의 알림부(170)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에게 알림을 송출할 수 있다. 즉,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이 부족하여 검사장치(100)가 검사를 진행할 수 없는 경우에 외부 디바이스는 음성 신호 또는 기계음을 통해서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이 부족함을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제어부(130)는 검사장치(100)에 장착된 배터리(180)의 전력 소모율을 산출할 수 있다(S100). 저장부(150)에는 배터리(180)의 제조시기에 기초한 전력 소모율, 배터리(180) 사용 횟수, 배터리(180) 사용 횟수에 기초한 전력 소모율, 배터리(180)의 온도에 기초한 전력 소모율 및 검사장치(100)가 수행하는 검사의 종류에 기초한 배터리(180)의 전력 소모율 등 배터리(180)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배터리(180)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부(130)는 검사장치(100)의 동작에 따라 변경되는 배터리(180) 전력 소모율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배터리(180) 전력 소모율을 산출하여 전력 소모율 산출 전 배터리(180)의 전력량에서 소모된 전력량을 차감함으로써,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을 결정할 수 있다(S110).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이 결정되면,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40)는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 및 검사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S120). 즉, 디스플레이부(140)는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 및 검사장치(100)의 동작 가능 시간 및 검사 가능 횟수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된 정보로부터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과 검사장치(100)로 검사를 진행하는데 있어 필요한 정보를 인지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산출된 배터리(180)의 전력 소모율 및 그로부터 결정된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을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고(S130), 누적하여 저장된 정보는 제어부(130)에 제공되어 차후 배터리(180)의 전력 소모율 및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을 산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검사장치(100)가 통신부(16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고, 검사장치(100)와 외부 디바이스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 및 검사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 디바이스에 표시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S140). 제어부(130)가 외부 디바이스에 표시할 것인지 결정하는 것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준 설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에 표시할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통신부(160)를 제어하여 상술한 정보가 외부 디바이스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S150).
또한, 제어부(130)는 결정된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이 미리 정해진 전력량 이하이면, 사용자에게 알림을 송출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고(S160), 알림부(170)로 제어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알림부(170)는 제어부(130)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을 송출할 수 있으며(S170),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이 부족하여 검사장치(100)가 검사를 진행할 수 없는 경우에 알림부(170)는 음성 신호 또는 기계음을 통해서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이 부족함을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
도 15를 참고하면, 제어부(130)는 검사장치(100)에 장착된 배터리(180)의 전력 소모율을 산출할 수 있다(S200). 저장부(150)에는 배터리(180)의 제조시기에 기초한 전력 소모율, 배터리(180) 사용 횟수, 배터리(180) 사용 횟수에 기초한 전력 소모율, 배터리(180)의 온도에 기초한 전력 소모율 및 검사장치(100)가 수행하는 검사의 종류에 기초한 배터리(180)의 전력 소모율 등 배터리(180)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배터리(180)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부(130)는 검사장치(100)의 동작에 따라 변경되는 배터리(180) 전력 소모율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배터리(180) 전력 소모율을 산출하여 전력 소모율 산출 전 배터리(180)의 전력량에서 소모된 전력량을 차감함으로써,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을 결정할 수 있다(S210). 제어부(130)는 검사장치(100)가 진행할 수 있는 검사의 종류에 기초하여 배터리(180)의 전력 소모율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과 미리 정해져서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배터리(180)의 전력량을 비교할 수 있다(S220). 비교 결과,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이 미리 정해진 전력량보다 크면 검사장치(100)의 검사를 진행하는 검사 진행 가능 결정을 할 수 있다(S235). 반면, 결정된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이 미리 정해진 전력량 이하이면, 제어부(130)는 검사장치(10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S240).
즉,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이 미리 정해진 전력량 이하에 해당하여 검사장치(100)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켜야 하는 경우, 검사장치(100)의 구성 중에서 검사 진행에만 관여하는 히터, 팬, 모터, 바이오센서 등의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검사가 진행되지 않는 경우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에 따라 검사장치(100)가 진행하고자 하는 검사를 1회 이상 진행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고(S250), 판단 결과, 1회 이상 검사 진행이 가능한 경우에는 1회 검사 진행 가능 결정을 하여(S255), 사용자의 검사 제어 명령에 따라 검사를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배터리(180)의 현재 전력량이 미리 정해진 전력량 이하에 해당하여, 검사장치(100)가 진행하고자 하는 검사를 1회 이상 수행할 수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전원부(190)를 제어하여, 배터리(180)로부터 검사 진행에 관여하는 구성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검사가 진행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는 검사 제어 화면이 비활성화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260).
100 : 검사장치
120 : 검출부
130 : 제어부
140 : 디스플레이부
150 : 저장부
160 : 통신부
170 : 알림부
180 : 배터리
190 : 전원부

Claims (29)

  1. 반응 장치에 수용된 검사 매체를 검사하는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사장치에 마련되는 배터리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된 배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검사장치의 동작에 따라 변경되는 배터리 전력 소모율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배터리 전력 소모율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결정된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 및 상기 검사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검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결정된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에 기초한 상기 검사장치의 동작 가능 시간 및 검사 가능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검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정보는,
    상기 배터리의 제조시기에 기초한 전력 소모율, 상기 배터리 사용 횟수, 상기 배터리 사용 횟수에 기초한 전력 소모율, 상기 배터리의 온도에 기초한 전력 소모율 및 상기 검사장치의 검사 종류에 기초한 상기 배터리의 전력 소모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검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사장치의 검사 종류에 기초한 상기 검사장치의 동작에 따라 변경되는 상기 배터리 전력 소모율을 산출하는 검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검사장치의 검사 진행 여부를 결정하는 검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검사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제어하는 검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이 미리 정해진 전력량 이하이면, 상기 검사장치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는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검사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이 미리 정해진 전력량 이하이면, 상기 검사장치의 검사 진행에 필요한 전원을 차단하는 검사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이 미리 정해진 전력량 이하이면, 상기 검사장치의 검사 진행을 위한 제어 화면이 표시되지 않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검사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결정된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에 기초한 상기 검사장치의 동작 가능 시간 및 검사 가능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검사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검사장치의 검사 종류에 기초한 상기 검사장치의 동작 가능 시간 및 검사 가능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검사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결정된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검사장치의 검사 진행 여부를 표시하는 검사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결정된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이 미리 정해진 전력량 이하이면, 상기 검사장치의 검사 진행을 위한 제어 화면을 표시하지 않는 검사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배터리의 제조시기에 기초한 전력 소모율, 상기 배터리 사용 횟수, 상기 배터리 사용 횟수에 기초한 전력 소모율, 상기 배터리의 온도에 기초한 전력 소모율 및 상기 검사장치의 검사 종류에 기초한 상기 배터리의 전력 소모율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검사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산출된 배터리 전력 소모율 및 상기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검사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 및 상기 검사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외부 디바이스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검사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이 미리 정해진 전력량 이하이면, 사용자에게 알림을 송출하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검사장치.
  18. 반응 장치에 수용된 검사 매체를 검사하는 검사장치 제어방법에 있어서,
    미리 저장된 상기 검사장치의 배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검사장치의 동작에 따라 변경되는 배터리 전력 소모율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배터리 전력 소모율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 및 상기 검사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검사장치 제어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전력 소모율을 산출하는 것은,
    상기 검사장치의 검사 종류에 기초한 상기 검사장치의 동작에 따라 변경되는 상기 배터리 전력 소모율을 산출하는 검사장치 제어방법.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검사장치의 검사 진행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검사장치 제어방법.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검사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검사장치 제어방법.
  22.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이 미리 정해진 전력량 이하이면, 상기 검사장치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는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검사장치 제어방법.
  23.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이 미리 정해진 전력량 이하이면, 상기 검사장치의 검사 진행에 필요한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검사장치 제어방법.
  24.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이 미리 정해진 전력량 이하이면, 상기 검사장치의 검사 진행을 위한 제어 화면이 표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검사장치 제어방법.
  25.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것은,
    상기 결정된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에 기초한 상기 검사장치의 동작 가능 시간 및 검사 가능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검사장치 제어방법.
  26.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것은,
    상기 검사장치의 검사 종류에 기초한 상기 검사장치의 동작 가능 시간 및 검사 가능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검사장치 제어방법.
  27.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것은,
    상기 결정된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검사장치의 검사 진행 여부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검사장치 제어방법.
  28.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현재 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 및 상기 검사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외부 디바이스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검사장치 제어방법.
  2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배터리의 현재 전력량이 미리 정해진 전력량 이하이면, 사용자에게 알림을 송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검사장치 제어방법.
KR1020160001478A 2016-01-06 2016-01-06 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8226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478A KR20170082269A (ko) 2016-01-06 2016-01-06 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6/068,615 US20190018031A1 (en) 2016-01-06 2016-11-03 Tes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16/012590 WO2017119583A1 (ko) 2016-01-06 2016-11-03 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16883967.8A EP3385738A4 (en) 2016-01-06 2016-11-03 Tes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478A KR20170082269A (ko) 2016-01-06 2016-01-06 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269A true KR20170082269A (ko) 2017-07-14

Family

ID=59274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478A KR20170082269A (ko) 2016-01-06 2016-01-06 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90018031A1 (ko)
EP (1) EP3385738A4 (ko)
KR (1) KR20170082269A (ko)
WO (1) WO20171195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81701B (zh) * 2020-05-18 2022-03-18 深圳市金泰克半导体有限公司 测试进度指示方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5175A (en) * 1983-07-14 1986-11-25 Recreational Technologies Inc. Device indicating the time remaining of the useful life of a battery
US5248929A (en) * 1992-04-30 1993-09-28 Murata Machinery, Ltd. Battery time monitor for cellular telephone
US5684404A (en) * 1995-11-17 1997-11-04 Sharp Microelectronics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of measuring a battery lifetime
US6149683A (en) * 1998-10-05 2000-11-21 Kriton Medical, Inc. Power system for an implantable heart pump
EP1291659A3 (en) * 2001-09-06 2008-05-21 Sysmex Corporation Automatic sample analyzer and its components
US7508168B2 (en) * 2002-05-16 2009-03-24 Sony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with remaining battery power indicating function
GB0312303D0 (en) * 2003-05-29 2003-07-02 Yuasa Battery Uk Ltd Battery life monitor and battery state of charge monitor
US7199557B2 (en) * 2003-07-01 2007-04-03 Eaton Power Quality Company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estimation of battery reserve life using adaptively modified state of health indicator-based reserve life models
DE10337679A1 (de) * 2003-08-16 2005-03-17 Roche Diagnostic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stnutzungsdauer-Anzeige
JP4370974B2 (ja) * 2004-05-14 2009-11-25 株式会社島津製作所 超音波診断装置
US7751891B2 (en) * 2004-07-28 2010-07-06 Cyberonics, Inc. Power supply monitoring for an implantable device
DE102005005017A1 (de) * 2005-02-03 2006-08-17 Roche Diagnostics Gmbh Elektromechanische Stechhilfe zur Gewinnung flüssiger Proben
US8414504B2 (en) * 2006-03-22 2013-04-09 Panasonic Corporation Blood test device
JPWO2007108518A1 (ja) * 2006-03-22 2009-08-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血液検査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CA2646721A1 (en) * 2006-03-22 2007-09-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Blood inspection device
US20080177345A1 (en) * 2007-01-18 2008-07-24 Schmidt Craig L Methods for estimating remaining battery service life in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US20100324451A1 (en) * 2007-02-09 2010-12-23 Panasonic Corporation Blood testing apparatus
US7941220B2 (en) * 2007-06-07 2011-05-10 Cardiac Pacemaker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battery status of implantable medical device
US7945797B2 (en) * 2007-07-12 2011-05-17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portable power source management
US20110098600A1 (en) * 2007-08-07 2011-04-28 Panasonic Corporation Piercing device, blood testing device, and piercing method
WO2009075696A1 (en) * 2007-12-10 2009-06-18 Bayer Healthcare Llc Rapid charging and power management of a battery-powered fluid analyte meter
US8612167B2 (en) * 2008-01-18 2013-12-17 Medtronic , Inc. Estimating remaining battery service life in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US8032317B2 (en) * 2008-05-15 2011-10-04 The Nielsen Company (Us), Llc System and methods for metering and analyzing energy consumption of events within a portable device
DE102008038415A1 (de) * 2008-08-19 2010-02-25 Endress + Hauser Process Solutions Ag Verfahren zur Überwachung des Ladezustands bzw. der Restkapazität einer Batterie bzw. eines Akkus in der Automatisierungstechnik
US20100235121A1 (en) * 2009-03-11 2010-09-16 Scott Douglas Consti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odeling, simulating, estimating and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in battery-operated devices
US20140095091A1 (en) * 2009-03-11 2014-04-03 Novatel Wireles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MODELING, MONITORING, ESTIMATING and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IN BATTERY-OPERATED DEVICES
JP2011101730A (ja) * 2009-11-11 2011-05-26 Toshiba Corp 携帯型の超音波画像診断装置
US20110128006A1 (en) * 2009-12-01 2011-06-02 Helix Micro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battery life
US8849459B2 (en) * 2010-10-15 2014-09-30 Roche Diagnostics Operations, Inc. Power management system for a handheld medical device
US10687150B2 (en) * 2010-11-23 2020-06-16 Audiotoniq, Inc. Battery life monitor system and method
KR101711014B1 (ko) * 2010-12-10 2017-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테스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 시스템
KR101853882B1 (ko) * 2011-01-10 2018-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물질 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3619255B (zh) * 2011-02-28 2016-11-02 雅培糖尿病护理公司 与分析物监测装置关联的装置、系统和方法以及结合了它们的装置
US9018893B2 (en) * 2011-03-18 2015-04-28 Medtronic Minimed, Inc. Power control techniques for an electronic device
US8564447B2 (en) * 2011-03-18 2013-10-22 Medtronic Minimed, Inc. Battery life indication techniques for an electronic device
US9653759B2 (en) * 2012-03-29 2017-05-16 The Boeing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ed battery life cycle management
CN104203097B (zh) * 2012-03-30 2017-10-24 生命扫描苏格兰有限公司 医疗监测中的电池状态检测和存储方法以及系统
KR20140009613A (ko) * 2012-07-11 2014-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검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09606A (ko) * 2012-07-11 2014-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057631B2 (en) * 2012-07-24 2015-06-16 Thomas W. NEWTON Smoke detector with an easily-readable and highly-visible battery-life display
US9465078B2 (en) * 2012-11-02 2016-10-11 Fairfield Industries, Inc. Battery capacity and durability prediction method
CN105102998B (zh) * 2013-03-15 2018-08-21 克朗设备公司 用于电池状况度量的分数耗减估计
US9651627B2 (en) * 2013-03-29 2017-05-16 Stmicroelectronics Pte Ltd. Accumulated power consumption sensor: application in smart batteries systems
KR102205650B1 (ko) * 2013-06-05 2021-01-21 넥서스 디엑스, 아이엔씨. 미세유동장치, 검사장치, 이들을 포함하는 검사 시스템 및 검사장치의 제어방법
WO2015029153A1 (ja) * 2013-08-28 2015-03-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Liイオン電池の寿命予測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50059413A (ko) * 2013-11-22 2015-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시료 검사방법 및 미세유동장치
KR102127220B1 (ko) * 2013-12-04 2020-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물질 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11696A (ko) * 2014-03-26 2015-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혈액 검사기 및 그에 따른 혈액 검사 방법
KR102171096B1 (ko) * 2014-04-21 2020-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운행 중 배터리의 수명을 추정하는 장치 및 방법
US9210662B1 (en) * 2014-05-29 2015-12-08 Apple Inc. Adaptive battery life extension
KR20160056196A (ko) * 2014-11-11 2016-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128891B1 (ko) * 2014-12-30 2020-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검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338153B2 (en) * 2015-03-03 2019-07-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estimating remaining useful life (RUL) of battery in real time
WO2016160369A1 (en) * 2015-03-20 2016-10-06 Zoll Medical Corporation Systems for self-testing an ambulatory medical device
US10578677B2 (en) * 2015-06-30 2020-03-03 Zoll Medica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battery life status
WO2017112398A1 (en) * 2015-12-21 2017-06-29 Dexcom, Inc. Continuous analyte monitoring system power conserv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85738A1 (en) 2018-10-10
US20190018031A1 (en) 2019-01-17
EP3385738A4 (en) 2019-01-02
WO2017119583A1 (ko) 2017-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55804C (en) Point of care analytical processing system
US10113971B2 (en) Tes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McRae et al. Programmable bio-nano-chip system: a flexible point-of-care platform for bioscience and clinical measurements
CN110892247B (zh) 用于执行光学和电化学测定的设备、系统和方法
KR20190117128A (ko) 유체 검사 카트리지, 이를 포함하는 유체 검사장치 및 검사장치의 제어방법
CN110869746B (zh) 利用通用电路系统执行光学和电化学测定的技术
CN110869745B (zh) 用于执行光学测定的设备、系统和方法
JP2019528430A (ja) 生体試料分析システム、構成要素、およびその方法
KR20160056196A (ko) 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220812B1 (ko)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WO2012070111A1 (ja) 測定システム、測定方法、前記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およびこのプログラムの記録媒体
US20180095069A1 (en) Specimen analysis apparatus, and measurement method thereof
KR20170082269A (ko) 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128891B1 (ko) 검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228383B2 (en) Tes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024365A (ko) 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70167985A1 (en) Specimen analysis apparatus and method of analyzing specimen using the same
EP3346275A1 (en) Tes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453637B1 (ko) 검사장치 및 검사장치의 제어방법
US20180275154A1 (en) Cartridge, detecting device, and detecting method
RU272282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иагностики состояния гемостаза
JP2012159405A (ja) カートリッジ及び自動分析方法
WO2021176561A1 (ja) 検出装置、分注装置及び分注方法
Yao et al. Telemedicine for insulin detection based on microfluidic system
US20170102378A1 (en) Industrial design of stand-alone assa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