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8123A - 로만세이드 - Google Patents

로만세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8123A
KR20080108123A KR1020087024547A KR20087024547A KR20080108123A KR 20080108123 A KR20080108123 A KR 20080108123A KR 1020087024547 A KR1020087024547 A KR 1020087024547A KR 20087024547 A KR20087024547 A KR 20087024547A KR 20080108123 A KR20080108123 A KR 20080108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rail
fabric
cord
lifting
suspe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4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3672B1 (ko
Inventor
도시미츠 혼다
도모노리 무토
히로유키 소메야
도시유키 모리
Original Assignee
도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08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8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5/00Devices for drawing draperies, curtains, or the like
    • A47H5/02Devices for opening and closing cur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3Structure or support of upper box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1/00Curtain cord appurtenan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2201/00Means for connecting curtains
    • A47H2201/02Hook-and-loop faste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23Combinations of at least two screens
    • E06B2009/2447Parallel screens
    • E06B2009/2452Parallel screens moving independentl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E06B2009/2622Gathered vertically; Roman, Austrian or festoon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E06B2009/2625Pleated screens, e.g. concertina- or accordion-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제1 직물을 헤드 레일 근방까지 걷어올려도 제1 직물의 외관을 해치지 않으며, 또한 제2 직물의 제작 공정수를 증가시키지 않는다. 헤드 레일(16)에 제1 및 제2 직물(11, 12)의 상단이 각각 부착되고, 헤드 레일로부터 승강 가능하게 매달아진 제1 및 제2 승강 코드(21, 22)가 제1 및 제2 직물에 각각 연결된다. 제1 승강 코드(21)는 제1 직물(11)의 후측에 배선되고, 제2 승강 코드(22)는 제2 직물(12)의 상단을 넘어 제2 직물(12)의 후측에 배선된다. 또한 헤드 레일의 후부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하방을 향하여 연장 부재(17)가 돌출되어 설치되고, 제2 직물의 상단이 연장 부재의 전면에 부착된다. 더욱이 제2 직물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 제2 승강 코드의 매달아진 부분을 포함하는 소정 폭으로 제2 직물의 상단을 연장 부재의 전면에 부착하지 않는 비부착부(18)가 설치되고, 헤드 레일로부터 매달아진 제2 승강 코드가 비부착부를 지나 제2 직물의 전측으로부터 후측에 배선된다.
로만세이드, 코드, 직물, 헤드 레일, 승강

Description

로만세이드{ROMAN SHADE}
본 발명은 헤드 레일에 상단이 각각 부착된 직물을 승강 코드에 의해 승강시키는 로만세이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옥에 있어서 창문 등의 개구부에 실내측으로부터 부착되는 로만세이드가 알려져 있다. 이 로만세이드는 헤드 레일에 상단이 부착된 직물을 승강 코드에 의해 승강시키는 것으로서, 그 직물이 개구부를 막고, 필요에 따라 승강 코드를 상승시켜 직물을 걷어올림으로써 그 개구부로부터 채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최근 2장의 직물을 설치한 로만세이드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2장의 직물을 단일의 헤드 레일에 부착한 로만세이드로서, 헤드 레일의 전면 및 후면에 제1 및 제2 직물의 상단을 각각 부착한 로만세이드가 제안된 바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이 로만세이드는 헤드 레일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직물을 부착함으로써 다중 직물을 사용하는 로만세이드로 되어 있으며, 그 헤드 레일로부터 헤드 레일의 전면 및 후면에 부착된 제1 직물과 제2 직물 사이에 제1 승강 코드 및 제2 승강 코 드가 모두 매달아지도록 하였다. 그리고, 제2 직물의 상단 부근에 삽통공을 형성하여 헤드 레일로부터 매달아진 제2 승강 코드를 그 삽통공에 삽통시킴으로써 그 제2 승강 코드를 제2 직물의 후면측에 배선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로만세이드에서는, 제1 승강 코드 및 제2 승강 코드가 제1 직물 및 제2 직물의 후면측에 각각 배선되기 때문에, 정면측에서 보았을 때 각각의 승강 코드가 노출되지 않아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특허 제3379934호(청구항 1, 명세서 [0039], 도 3)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상기 종래의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로만세이드에서는, 제2 직물을 내린 상태에서 제1 직물만을 헤드 레일 근방까지 걷어올리면, 제2 직물의 상단 부근에 형성된 삽통공이 실내측에 노출되어 제2 직물의 외관을 해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로만세이드에서는, 제2 직물에 제2 승강 코드의 매달아진 위치에 맞추어 삽통공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제2 직물의 제작 공정수가 증가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더욱이 상기 종래의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로만세이드에서는, 제1 및 제2 직물을 내린 상태에서 제2 직물에 태양광 등의 강한 빛이 쪼여지면, 이 빛이 제2 직물에 형성된 삽통공을 지나 제1 직물에 스포트라이트 형태로 조사되기 때문에, 제1 직물이 비교적 얇은 직물이면 상기 스포트라이트 형태의 강한 빛이 제1 직물을 투과하여 실내에 침입해 버리는, 즉 실내에 스포트라이트 형태의 빛샘이 발생해 버리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상기 종래의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로만세이드에서는, 헤드 레일을 창문 등의 개구부 상방의 방의 벽면 또는 천장에 수평하게 부착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실내측을 향하는 헤드 레일의 전면에 제1 직물의 상단을 부착하는 작업은 비교적 용이하지만, 방의 벽면을 향하는 헤드 레일의 후면에 제2 직물의 상단을 부착하는 작업은 헤드 레일의 후면과 방의 벽면 사이의 간극이 비교적 작기 때문에 비교적 많은 공정수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미리 헤드 레일의 후면에 제2 직물의 상단을 부착한 상태에서 이 헤드 레일을 방의 벽면 등에 부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미리 직물을 부착한 헤드 레일을 방의 벽면 등에 부착하는 작업은 직물을 부착하지 않은 헤드 레일을 방의 벽면 등에 부착하는 작업과 비교하여 작업성이 현저하게 저하해 버린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헤드 레일을 방의 벽면 등에 부착한 후에 있어서도, 제1 및 제2 직물은 사용자(거주자)의 기호에 따라 수시로 교체되어 그 무늬 또는 문양 등이 변경되는 것이며, 헤드 레일의 후면에 부착한 제2 직물의 교체 작업은, 전술한 바와 같이 헤드 레일의 후면과 방의 벽면 등과의 사이의 간극이 비교적 작은 것에 기인하여 번거로워져서, 그 교체 작업에 비교적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직물을 헤드 레일 근방까지 걷어올려도 제2 직물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또한 제2 직물의 제작 공정수를 증가시키지 않으며, 더욱이 제1 및 제2 직물을 내린 상태에서 제2 직물에 강한 빛이 쪼여져도 실내에의 스포트라이트 형태의 빛샘을 방지할 수 있는 로만세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의 벽면 등에 부착된 헤드 레일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된 연장 부재에의 제2 직물의 부착 작업 및 교체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로만세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 레일(16)과, 헤드 레일(16)에 상단이 각각 부착된 제1 및 제2 직물(11, 12)과, 헤드 레일(16)로부터 승강 가능하게 매달아져서 제1 및 제2 직물(11, 12)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승강 코드(21, 22)를 구비한 로만세이드의 개량이다.
그 특징 있는 구성은, 제1 직물(11)의 상단이 헤드 레일(16)의 전면에 부착되고, 헤드 레일(16)로부터 매달아진 제1 승강 코드(21)는 제1 직물(11)의 후측에 배선되며, 헤드 레일(16)의 후부 하측 가장자리를 따라 하방을 향하여 연장 부재(17)가 돌출되어 설치되고, 제2 직물(12)의 상단이 연장 부재(17)의 전면에 부착되고, 제2 승강 코드(22)는 연장 부재(17)보다 전측의 헤드 레일(16)로부터 매달아지고, 제2 직물(12)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 제2 승강 코드(22)의 매달아진 부분을 포함하는 소정 폭으로 제2 직물(22)의 상단을 연장 부재(17)의 전면에 부착하지 않는 비부착부(18)가 설치되고, 헤드 레일(16)로부터 매달아진 제2 승강 코드(22)는 제2 직물(12)의 상단을 넘어 비부착부(18)를 지나 제2 직물(12)의 전측으로부터 후측에 배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1에 기재된 로만세이드에서는, 헤드 레일(16)로부터 매달아진 제1 승강 코드(21)를 제1 직물(11)의 후측에 배선하고, 헤드 레일(16)로부터 매달아져서 제2 직물(12)을 승강시키는 제2 승강 코드(22)를 제2 직물(12)의 상단을 넘어 그 후측에 배선하였으므로, 제2 승강 코드(22)가 제1 승강 코드(21)로부터 거의 완전히 분리되어 제2 승강 코드(22)가 제1 승강 코드(21)에 얽히지 않고, 제1 직물을 헤드 레일 근방까지 걷어올려도 제2 승강 코드(22)가 제2 직물(12)에 가려지므로 그 제2 직물의 외관을 해치지 않는다.
또한, 이 로만세이드에서는, 헤드 레일(16)을 방의 벽면 등에 부착한 후에 제1 및 제2 직물(11, 12)을 헤드 레일(16) 등에 부착할 때, 먼저 제2 직물(12)의 상단을 실내측의 넓은 공간에 면하는 연장 부재(17)의 전면에 부착한 후에 제1 직물(11)의 상단을 실내측의 넓은 공간에 면하는 헤드 레일(16)의 전면에 부착한다. 이에 따라, 방의 벽면 등에 부착된 헤드 레일의 후면과 방의 벽면과의 사이의 비교적 작은 간극으로부터 헤드 레일의 후면에 제2 직물을 부착하기 때문에 부착 작업이 번거로운 종래의 로만세이드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서는 방의 벽먼(14) 등에 부착된 헤드 레일(16)의 연장 부재(17)의 전면에 제2 직물(12)을 매우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으로서, 연장 부재(17)가 헤드 레일(16)과 일체로 설치되며, 헤드 레일(16)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2에 기재된 로만세이드에서는, 연장 부재(17)를 헤드 레일(16)과 일체로 설치하였으므로 부품수가 증가하지 않는다. 또한 연장 부재(17)를 헤드 레일(16)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하였으므로, 연장 부재(17)를 헤드 레일(16)과 함께 압출 성형 또는 인발 성형(Pultrusion)에 의해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 레일(113)과, 상기 헤드 레일(113)에 상단이 각각 부착된 제1 및 제2 직물(114, 115)과, 상기 헤드 레일(113)로부터 승강 가능하게 매달아져서 상기 제1 및 제2 직물(114, 115)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승강 코드(121, 122)를 구비한 로만세이드의 개량이다.
그 특징 있는 구성은, 제1 직물(114)의 상단이 헤드 레일(113)의 전면에 부착되고, 헤드 레일(113)로부터 매달아진 제1 승강 코드(121)는 제1 직물(114)의 후측에 배선되고, 제2 직물(115)의 상단이 헤드 레일(113)의 후면에 부착되며, 제2 승강 코드(122)는 제2 직물(115)의 상단을 넘도록 헤드 레일(113)의 후측으로 인출되어 제2 직물(115)의 후측에 매달아진 데 있다.
이 청구항 3에 기재된 로만세이드에서는, 제2 승강 코드(122)를 상부 공간(113f)으로부터 헤드 레일(113)의 후측으로 인출하여 제2 직물(115)의 후측에 직접 매달아지게 하므로 종래 필요하였던 제2 승강 코드(122)를 제2 직물(115)의 후측으로 안내하는 삽통공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 삽통공이 불필요해져 제2 직물(115)에 대하여 종래 필요하였던 삽통공을 형성하는 가공 공정수를 생략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으로서, 헤드 레일(113)로부터 매달아진 제1 승강 코드(121)의 상부가 헤드 레일(113)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안내되어 헤드 레일(113)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매달아지고, 헤드 레일(113)로부터 매달아진 제2 승강 코드(122)의 상부가 제1 승강 코드(121)보다 상방 또는 하방의 헤드 레일(113)의 내부에서 헤드 레일(113)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되어 헤드 레일(113)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매달아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으로서, 제1 승강 코드(121) 또는 제2 승강 코드(122)의 어느 한쪽을 권취하는 드럼(123 또는 124)이 헤드 레일(113)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1 승강 코드(121) 또는 제2 승강 코드(122)의 다른 한쪽이 헤드 레일(113)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안내되어 헤드 레일(113)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매달아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으로서, 제1 승강 코드(121)를 권취하는 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3)과 제2 승강 코드(122)를 권취하는 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4)이 설치되고, 헤드 레일(113)에 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3)과 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3)의 상측에 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4)이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5, 청구항 7 및 청구항 9에 기재된 로만세이드에서는, 헤드 레일(113)에 제1 승강 코드(121) 또는 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3)과 제2 승강 코드(122) 또는 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4)을 수용하므로, 헤드 레일(113)의 폭은 단일의 권취 드럼을 수용하는 헤드 레일과 동등하게 할 수 있어, 제1 직물(114)이 실내로 돌출하는 양이 증가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으로서, 제2 승강 코드(122)의 상부가 제1 승강 코드(121)보다 상방의 헤드 레일(113)의 내부에서 헤드 레일(113)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되고, 헤드 레일(113)에 내부를 상하로 2분할하는 격벽(113e)이 설치되고, 격벽(113e)에 의해 헤드 레일(113)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승강 코드(121)를 수용하는 하부 공간(113g)과 하부 공간(113g)의 상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승강 코드(122)를 수용하는 상부 공간(113f)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7에 따른 발명으로서, 헤드 레일(113)에 내부를 상하로 2분할하는 격벽(113e)이 설치되고, 격벽(113e)에 의해 헤드 레일(113)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승강 코드(121) 또는 제1 승강 코드(121)를 권취하는 드럼(123)을 수용하는 하부 공간(113g)과, 하부 공간(113g)의 상측에 제2 승강 코드(122)를 권취하는 드럼(124) 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승강 코드(122)를 수용하는 상부 공간(113f)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9에 따른 발명으로서, 헤드 레일(113)에 내부를 상하로 2분할하는 격벽(113e)이 설치되고, 격벽(113e)에 의해 헤드 레일(113)의 내부에 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3)을 수용하는 하부 공간(113g)과 하부 공간(113g)의 상측에 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4)을 수용하는 상부 공간(113f)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6, 청구항 8 및 청구항 10에 기재된 로만세이드에서는, 격벽(113e)에 의해 구획된 하부 공간(113g)에 제1 승강 코드(121) 또는 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3)을 수용하고, 격벽(113e)에 의해 구획된 상부 공간(113f)에 제2 승강 코드(122) 또는 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4)을 수용하므로, 그들이 서로 완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1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6,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10에 따른 발명으로서, 상부 공간(113f)으로부터 헤드 레일(113)의 후측으로 인출된 제2 승강 코드(122)를 제2 직물(115)의 후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126d)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11에 기재된 로만세이드에서는, 가이드 부재(126d)가 헤드 레일(113)의 후측으로 인출된 제2 승강 코드(122)를 제2 직물(115)의 후측으로 안내하므로, 제2 승강 코드(122)와 제2 직물(115)의 마찰 저항이 필요 이상으로 커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직물(115)을 승강시킬 때의 조작 하중을 저감시킬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 레일로부터 매달아진 제1 승강 코드를 제1 직물의 후측에 배선하고, 헤드 레일로부터 매달아져서 제2 직물을 승강시키는 제2 승강 코드를 제2 직물의 상단을 넘어 그 후측에 배선하였으므로, 제2 승강 코드가 제1 승강 코드로부터 거의 완전히 분리되어 제2 승강 코드가 제1 승강 코드에 얽히지 않는다. 또한 제1 승강 코드를 승강시켰을 때에도 제2 승강 코드는 제2 직물의 후측에 있으므로 제2 직물의 외관을 악화시키지 않는다. 이 경우, 제2 직물의 상단이 연장 부재의 전면에 부착되어 있지 않은 비부착부에 통과되고, 제2 직물의 전측으로부터 후측으로 안내하여 제2 직물의 후측에 배선하도록 하면, 제2 승강 코드를 승강시켰을 때 제1 직물이 의사에 반하여 승강되지 않아 제2 직물만을 확실하게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직물의 상단을 헤드 레일의 전면 및 연장 부재의 전면에 각각 부착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헤드 레일을 방의 벽면 등에 부착한 후에, 제1 및 제2 직물을 헤드 레일에 부착할 때, 먼저 제2 직물의 상단을 실내측의 넓은 공간에 면하는 연장 부재의 전면에 부착한 후, 제1 직물의 상단을 실내측의 넓은 공간에 면하는 헤드 레일의 전면에 부착함으로써 제1 직물의 부착 작업성뿐만 아니라, 제2 직물의 부착 작업성도 향상된다.
또한 제2 직물을 내린 상태에서 제1 직물만을 헤드 레일 근방까지 걷어올렸을 때, 제2 직물의 상단 부근에 형성된 삽통공이 실내측에 노출되어 외관을 해침과 아울러 제2 직물의 제작 공정수가 증가하는 종래의 로만세이드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로만세이드에서는 제2 직물의 상단 부근에 삽통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2 직물을 내린 상태에서 제1 직물만을 헤드 레일 근방까지 걷어올려도 제2 직물의 외관을 해치지 않으며, 제2 직물의 제작 공정수가 증가하지도 않는다. 또한 제1 및 제2 직물을 내린 상태에서 제2 직물에 태양광 등의 강한 빛이 쪼여졌을 때, 제2 직물에 형성된 삽통공을 통과한 스포트라이트 형태의 강한 빛이 제1 직물을 투과하여 실내에 스포트라이트 형태의 빛샘이 발생하는 종래의 로만세이드와 비교하 여, 본 발명의 로만세이드에서는 제2 직물에 삽통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1 및 제2 직물을 내린 상태에서 제2 직물에 태양광 등의 강한 빛이 쪼여져도 제1 직물에 스포트라이트 형태의 강한 빛이 조사되지 않아 실내에 스포트라이트 형태의 빛샘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방의 벽면 등에 헤드 레일을 부착한 후에 이 레일의 후면에 제2 직물을 부착하는 경우나 이 제2 직물을 교체하는 경우에, 헤드 레일의 후면과 방의 벽면과의 간극이 비교적 작기 때문에 상기 제2 직물의 헤드 레일 후면에의 부착 또는 교체 작업이 번거로운 종래의 로만세이드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로만세이드에서는 제2 직물을 실내측의 넓은 공간을 향하는 연장 부재의 전면에 부착하기 때문에 헤드 레일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된 연장 부재 전면에서의 제2 직물의 부착 또는 교체 작업이 매우 용이해진다.
더욱이 연장 부재를 헤드 레일과 일체로 설치하고 헤드 레일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하면, 부품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헤드 레일 및 연장 부재의 가공 공정수를 거의 증가시키지 않아도 된다.
한편, 제1 직물의 상단을 헤드 레일의 전면에 부착하고, 제2 직물의 상단을 헤드 레일의 후면에 부착하고, 제2 승강 코드가 제2 직물의 상단을 넘도록 헤드 레일의 후측으로 인출하여 제2 직물의 후측에 매달아지게 함에따라 종래 필요하였던 제2 승강 코드를 제2 직물의 후측으로 안내하는 삽통공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 삽통공이 불필요해져 제2 직물에 대하여 종래 필요하였던 삽통공을 형성하는 가공 공정수를 생략할 수 있다. 이 경우, 헤드 레일에 제1 승강 코드 또는 전측 코드용 권취 드럼과 제2 승강 코드 또는 후측 코드용 권취 드럼을 수용하도록 하면, 헤드 레일의 폭은 단일의 권취 드럼을 수용하는 헤드 레일과 동등하게 할 수 있고, 제1 직물이 실내로 돌출하는 양이 증가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격벽에 의해 구획된 하부 공간에 제1 승강 코드 또는 전측 코드용 권취 드럼을 수용하고, 격벽에 의해 구획된 상부 공간에 제2 승강 코드 또는 후측 코드용 권취 드럼을 수용하도록 하면, 그들이 서로 완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부 공간으로부터 헤드 레일의 후측으로 인출된 제2 승강 코드를 제2 직물의 후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설치하면, 그 가이드 부재가 헤드 레일의 후측으로 인출된 제2 승강 코드를 제2 직물의 후측으로 안내하므로, 제2 승강 코드와 제2 직물의 마찰 저항이 필요 이상으로 커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직물을 승강시킬 때의 조작 하중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제1 실시 형태의 로만세이드를 도시한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2는 그 로만세이드의 헤드 레일에 제1 및 제2 직물을 부착하기 직전 상태를 보인 도 1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그 로만세이드의 요부를 파단한 정면도이다.
도 4는 그 로만세이드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로만세이드를 도시한 도 6의 B-B선 단면 도이다.
도 6은 그 로만세이드의 요부를 파단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제2 실시 형태의 로만세이드를 도시한 도 8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8은 그 로만세이드의 요부를 파단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B부의 확대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90…로만세이드,
11…제1 직물,
12…제2 직물,
16…헤드 레일,
17…연장 부재,
18…비부착부,
21…제1 승강 코드,
22…제2 승강 코드,
110…로만세이드,
113…헤드 레일,
113e…격벽,
113g…하부 공간,
113f…상부 공간,
114…제1 직물,
115…제2 직물,
121…제1 승강 코드,
122…제2 승강 코드,
123…전측 코드용 권취 드럼,
124…후측 코드용 권취 드럼,
126d…가이드 부재,
다음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제1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만세이드(10)는, 고정용 브래킷(13)을 통하여 방의 벽면(14)에 부착된 헤드 레일(16)과, 이 헤드 레일(16)에 상단이 각각 부착되며 헤드 레일(16)의 길이와 대략 동일의 폭을 갖는 제1 및 제2 직물(11, 12)과, 헤드 레일(16)로부터 승강 가능하게 매달아져서 제1 및 제2 직물(11, 12)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승강 코드(21, 22)를 구비한다. 헤드 레일(16)은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의 압출 성형 또는 인발 성형에 의해 횡단면 대략 역 U자형으로 형성되고, 상판부(16a)와, 상판부(16a)의 앞 가장자리로부터 매달아진 전벽(16b)과, 상판부(16a)의 뒷 가장자리로부터 매달아진 후벽(16c)을 갖는다.
도 1 및 도 2에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 레일(16)의 전면, 즉 헤드 레일(16) 전벽(16b)의 전면에는 제1 직물(11)이 제1 면 패스너(31)를 통하여 부착된다. 제1 면 패스너(31)는 헤드 레일(16)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는 비교적 두꺼운 경질 플라스틱 등에 의해 형성된 제1 띠형판(31a)와, 이 제1 띠형판(31a)의 표면에 밀집된 상태로 나란히 설치된 다수 개의 제1 갈고리형 돌기(31b)와, 제1 직물(11)의 폭과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는 제1 띠형포(31c)와, 이 제1 띠형포(31c)의 표면에 밀집된 상태로 나란히 설치되며 제1 갈고리형 돌기(31b)에 이탈 가능하게 걸리는 다수 개의 제1 링형 돌기(31d)를 갖는다. 또한 헤드 레일(16)의 전벽(16b)의 상부 및 중앙 하부에는 상기 제1 띠형판(31a)의 상부 가장자리 및 하부 가장자리를 각각 유지하는 한 쌍의 제1 후크(16d, 16d)가 각각 헤드 레일(16)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제1 직물(11)의 후면 상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 띠형포(31c)가 꿰매붙여진다. 이에 따라 제1 직물(11)의 상단이 헤드 레일(16)의 전면에 이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후크(16d, 16d)는 헤드 레일(16)과 일체로 설치된다.
한편, 헤드 레일(16)의 후부에는 연장 부재(17)가 설치된다. 이 연장 부재(17)는 헤드 레일(16)의 후벽(16c)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설치된다. 또한 연장 부재(17)는 헤드 레일(16)과 일체로 설치되며, 헤드 레일(16)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는 대략 역 〈자형의 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장 부재(17)의 전면 하부에는 제2 직물(12)이 제2 면 패스너(32)를 통하여 부착된다. 제2 면 패스너(32)는 상기 제1 면 패스너(31)와 대략 동일하게 구성되며, 비교적 두꺼운 경질 플라스틱 등에 의해 형성된 제2 띠형판(32a)과, 이 제2 띠형판(32a)의 표면에 밀집된 상태로 나란히 설치된 다수 개의 제2 갈고리형 돌기(32b)와, 제2 띠형포(32c)와, 이 제2 띠형포(32c)의 표면에 밀집된 상태로 나란히 설치되며 제2 갈고리형 돌기(32b)에 이탈 가능하게 걸리는 다수 개의 제2 링형 돌기(32d)를 갖는다.
또한 연장 부재(17)의 중앙 및 하부에는 상기 제2 띠형판(32a)의 상부 가장자리 및 하부 가장자리를 각각 유지하는 한 쌍의 제2 후크(17a, 17a)가 각각 연장 부재(17)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제2 직물(12)의 후면 상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2 띠형포(32c)가 꿰매붙여진다. 더욱이 상기 제2 면 패스너(32)는 소정 폭의 비부착부(18)를 제외한 연장 부재(17)의 하부 전면 및 제2 직물(12)의 후면 상부 가장자리에 연장 부재(17)의 길이 방향 및 제2 직물(12)의 폭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설치된다. 비부착부(18)는 제2 직물(12)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 코드 삽통 부재(19)로부터 매달아진 제2 승강 코드(22)의 늘어진 부분을 포함하는 소정 폭의 간극, 즉 제2 직물(12)의 상단을 연장 부재(17)의 전면에 부착하지 않는 부분이다. 이에 따라 제2 직물(12)의 상단은 연장 부재(17)의 하부 전면에 이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2 후크(17a, 17a)는 헤드 레일(16)과 일체로 부착된다. 또한 상기 비부착부(18)의 소정 폭은 제2 직물(12)의 두께나 제2 승강 코드(22)의 굵기에 따라서도 달라지지만, 1∼10cm, 바람직하게는 2∼5cm의 범위로 설정된다. 비부착부(18)의 소정 폭을 1∼10cm의 범위로 한정한 것은, 1cm 미만에서는 제2 승강 코드(22)가 원활하게 승강될 수 없고, 10cm를 초과하면 제2 직물(12)의 상부 가장자리의 일부가 연장 부재(17)로부터 떨어져서 제2 직물(12)의 외관을 해치지 때문이다.
한편, 헤드 레일(16)의 상판부(16a)와 전벽(16b)과 후벽(16c)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16e)에는 복수 개(도 3의 예에서는 2개)의 코드 삽통 부재(19)가 헤드 레일(16)의 길이 방향의 임의의 위치에 수용된다. 코드 삽통 부재(19)는 상기 헤드 레일(16)의 공간에 이탈 가능하게 끼워지며, 이 공간(16e)이 코드 삽통 부재(19)에 의해 하부 공간(16f) 및 상부 공간(16g)으로 분할되도록 구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공간(16f)에는 복수 개의 제1 승강 코드(21)가 삽통된다. 이들 제1 승강 코드(21)의 일단부는 대응하는 소정의 코드 삽통 부재(19)로부터 매달아지고, 제1 직물(11)의 후면에 연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부착된 복수 개의 제1 코드 링(41)에 삽통되어 연직 하방으로 배선된 후, 제1 직물(11)의 하단에 부착된 제1 웨이트 바(51) 또는 최하단의 제1 코드 링(41)에 연결된다(도 4에서는 최하단의 제1 코드 링(41)에 연결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음.). 또한 제1 승강 코드(21)의 타단부는 코드 삽통 부재(19)에 삽통되어 하부 공간(16f)을 우방향으로 안내받아 헤드 레일(16)의 우단 하부에 설치된 정지 수단인 스토퍼(23)에 삽통된 후, 스토퍼(23)로부터 매달아져서 제1 조작 손잡이(61)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상부 공간(16g)에는 복수 개의 제2 승강 코드(22)가 삽통된다. 이들 제2 승강 코드(22)의 일단부는 대응하는 소정의 코드 삽통 부재(19)로부터 매달아지고, 제2 직물(12)과 연장 부재(17) 사이에 형성된 소정 폭의 비부착부(18)에 삽통된 후에, 제2 직물(12)의 후면에 연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부착된 복수 개의 제2 코드 링(42)에 삽통되어 연직 하방으로 배선되고, 더욱이 제2 직물(12)의 하단에 부착된 제2 웨이트 바(52) 또는 최하단의 제2 코드 링(42)에 연결된다(도 4에서는 최하단의 제2 코드 링(42)에 연결되는 경우를 나타내었음.). 또한 제2 승강 코드(22)의 타단부는 코드 삽통 부재(19)에 삽통되어 상부 공간(16g)을 우방향으로 안내받아 스토퍼(23)에 삽통된 후, 스토퍼(23)로부터 매달아져서 제2 조작 손잡이(62)에 연결된다.
상기 스토퍼(23)는 제1 및 제2 조작 손잡이(61, 62)가 설치된 측의 제1 및 제2 승강 코드(21, 22)의 상승을 각각 금지 또는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조작 손잡이(61)가 설치된 측의 제1 승강 코드(21)를 하강시킨 후에 상승시키면, 스토퍼(23)는 제1 승강 코드(21)의 상승을 금지하고, 상승이 금지된 제1 승강 코드(21)를 일단 하강시키면 다시 제1 승강 코드(21)의 상승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1 조작 손잡이(61)가 설치된 측의 제1 승강 코드(21)를 상승시키면, 헤드 레일(16)의 코드 삽통 부재(19)로부터 매달아져서 제1 직물(11)에 연결된 측의 제1 승강 코드(21)가 하강하고, 반대로 제1 조작 손잡이(61)가 설치된 측의 제1 승강 코드(21)를 하강시키면, 제1 직물(11)에 연결된 측의 제1 승강 코드(21)가 상승하여 제1 직물(11)을 걷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2 조작 손잡이(62)가 설치된 측의 제2 승강 코드(22)를 하강시킨 후에 상승시키면, 스토퍼(23)는 제2 승강 코드(22)의 상승을 금지하고, 상승이 금지된 제2 승강 코드(22)를 일단 하강시키면 다시 제2 승강 코드(22)의 상승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2 조작 손잡이(62)가 설치된 측의 제2 승강 코드(22)를 상승시키면, 헤드 레일(16)의 코드 삽통 부재(19)로부터 매달아져서 제2 직물(12)에 연결된 측의 제2 승강 코드(22)가 하강하고, 반대로 제2 조작 손잡이(62)가 설치된 측의 제2 승강 코드(22)를 하강시키면, 제2 직물(12)에 연결된 측의 제2 승강 코드(22)가 상승하여 제2 직물(12)을 걷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승강 코드(21, 22)는 각각을 별개로 독립적으로 상하 이동시킬 수 있지만, 제1 및 제2 조작 손잡이(61, 62)의 상측에서 제1 및 제2 승강 코드(21, 22)가 연결 부재(24)에 의해 연결되고, 이 연결 부재(24)를 조작함으로써 제1 및 제2 승강 코드(21, 22)를 동시에 상하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고정용 브래킷(13)은 앞발톱(71a)이 형성된 제1 블록체(71)와, 뒷발톱(72a)이 형성된 제2 블록체(72)를 갖는다. 제2 블록체(72)는 제1 블록체(71)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앞발톱(71a) 및 뒷발톱(72a)은 헤드 레일(16)을 전후로부터 파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 블록체(71)는 방의 벽면(14)에 나사못(26)에 의해 고정된다(도 4). 더욱이 헤드 레일(16)의 상판부(16a)의 전단 및 후단에는 앞발톱(71a) 및 뒷발톱(72a)이 각각 걸리는 전측 걸림부(16h) 및 후측 걸림부(16i)가 각각 설치된다. 제2 블록체(72)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앞발톱(71a)을 뒷발톱(72a)에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고, 앞발톱(71a) 및 뒷발톱(72a)에 의해 헤드 레일(16)을 전후로부터 유지함으로써 헤드 레일(16)은 방의 벽면(14)에 대하여 대략 수평하게 고정된다(도 4). 또한, 전측 걸림부(16h) 및 후측 걸림부(16i)는 헤드 레일(16)과 일체로 설치되며, 전측 걸림부(16h)는 제1 면 패스너(31)의 제1 띠형판(31a)의 상부 가장자리를 유지하는 제1 후크(16d)를 겸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로만세이드(10)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제1 또는 제2 직물(11, 12)을 승강시키려면 제1 또는 제2 직물(11, 12)에 대응하여 헤드 레일(16)의 우측에 배열 설치된 제1 또는 제2 조작 손잡이(61, 62)를 조작함으로써 행한다. 예컨대 제1 직물(11)을 상승시키는 경우에는, 제1 조작 손잡이(61)를 하방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이 제1 조작 손잡이(61)가 설치된 측의 제1 승강 코드(21)가 아래로 당겨짐과 아울러, 제1 직물(11)에 연결된 측의 제1 승강 코드(21)가 상승하여 제1 웨이트 바(51)가 상승한다. 이 때 제1 직물(11)은 서로 인접하는 제1 코드 링(41) 사이에서 주름을 형성하면서 걷혀올라간다. 제1 조작 손잡이(61)를 하방으로 잡아당기는 힘을 완화시키면, 스토퍼(23)가 제1 승강 코드(21)의 상승을 금지하여 제1 직물(11)이 걷혀올라간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제1 직물(11)을 하강시키는 경우에는, 제1 조작 손잡이(61)를 조금 하방으로 잡아당겨 제1 조작 손잡이(61)가 설치된 측의 제1 승강 코드(21)의 상승을 허용한 후, 제1 조작 손잡이(21)를 서서히 올린다. 이에 따라 제1 직물(11)에 연결된 측의 제1 승강 코드(21)가 제1 웨이트 바(51) 및 제1 직물(11)의 자중에 의해 하강한다. 또한 제2 직물(12)은 제2 조작 손잡이(62)를 상기 제1 조작 손잡이(61)와 동일하게 조작함으로써 승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헤드 레일을 고정용 브래킷을 통하여 방의 벽면에 부착하였으나, 헤드 레일을 고정용 브래킷을 통하여 방의 천장면에 부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로만세이드(10)에서는, 제1 직물(11)의 상단을 헤드 레일(16)의 전면에 부착하고, 제2 직물(12)의 상단을 연장 부재(17)의 전면에 부착하는, 즉 헤드 레일(16)을 방의 벽 등에 부착한 상태에서, 제2 직물(12)의 상단을 실내측의 넓은 공간에 면하는 연장 부재(17)의 전면에 부착한 후에, 제1 직물(11)의 상단을 실내측의 넓은 공간에 면하는 헤드 레일(16)의 전면에 부착한다. 이 결과, 방의 벽면 등에 부착한 헤드 레일의 후면과 방의 벽면 사이의 비교적 작은 간극으로부터 헤드 레일의 후면에 제2 직물을 부착하는 종래의 로만세이드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로만세이드(10)에서는 제1 직물(11)의 부착 작업성뿐만 아니라, 제2 직물(12)의 부착 작업성도 향상된다. 또한 헤드 레일(16)로부터 매달아진 제1 승강 코드(21)를 제1 직물(11)의 후측에 배선하고, 헤드 레일(16)로부터 매달아져서 제2 직물(12)을 승강시키는 제2 승강 코드(22)를 제2 직물(12)의 상단이 연장 부재(17)의 전면에 부착되어 있지 않은 비부착부(18)에 통과시키고, 제2 직물(12)의 전측으로부터 후측으로 안내하여 제2 직물(12)의 후측에 배선하였으므로, 제2 승강 코드(22)가 제1 승강 코드(21)로부터 거의 완전히 분리되어 제2 승강 코드(22)가 제1 승강 코드(21)에 얽히지 않는다. 이 결과, 제2 승강 코드(22)를 승강시켰을 때 제1 직물(11)이 의사에 반하여 승강하지 않아 제2 직물(12)만을 확실하게 승강시킬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2 직물(12)을 승강시키는 제2 승강 코드(22)의 기능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제2 직물(12)을 걷어올릴 때 제1 직물(11)이 간섭하여 동시에 걷혀올라가는 사태를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로만세이드에서는, 제2 직물을 내린 상태에서 제1 직물만을 헤드 레일 근방까지 걷어올렸을 때, 제2 직물의 상단 부근에 형성된 삽통공이 실내측에 노출되어 외관을 해침과 아울러, 상기 제2 직물에 삽통공을 형성하는 공정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로만세이드(10)에서는, 제2 직물(12)의 상단 부근에 삽통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2 직물(12)을 내린 상태에서 제1 직물(11)만을 헤드 레일(16) 근방까지 걷어올려도 제2 직물(12)의 외관을 해치지 않으며, 제2 직물(12)의 제작 공정수가 증가하지도 않는다. 또한 종래의 로만세이드에서는 제1 및 제2 직물을 내린 상태에서 제2 직물에 태양광 등의 강한 빛이 쪼여졌을 때 제2 직물에 형성된 삽통공을 통하여 제1 직물에 스포트라이트 형태의 강한 빛이 조사되어, 실내에 스포트라이트 형태의 빛샘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로만세이드(10)에서는, 제2 직물(12)에 삽통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1 및 제2 직물(11, 12)을 내린 상태에서 제2 직물(12)에 태양광 등의 강한 빛이 쪼여져도 제1 직물(11)에 스포트라이트 형태의 강한 빛이 조사되지 않아 실내에 스포트라이트 형태의 빛샘이 발생하지 않는다.
더욱이 상기 제1 및 제2 직물(11, 12)은 가옥의 창문 등의 개구부(도시 생략)를 실내측으로부터 덮는 것으로서, 완전히 동일한 직물로 할 수도 있으나, 예컨대 제2 직물(12)을 불투명 직물로 하고, 제1 직물(11)을 암막 직물로 함으로써, 2장의 직물(11, 12)로 차광 효과를 부여하도록 할 수 있다. 단, 이 조합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측의 직물(11 또는 12)을 투명한 직물, 타측의 직물(12 또는 11)을 불투명 직물로 하거나, 또는 2장의 직물(11, 12)을 서로 다른 무늬의 직물로 하는 등 다양한 조합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헤드 레일(16)을 방의 벽면 등에 부착한 후에 있어서도, 제1 및 제2 직물(11, 12)은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수시로 교체할 수 있어, 그 무늬 또는 문양 등이 변경된다. 여기서, 종래의 로만세이드에서는, 헤드 레일의 후면과 방의 벽면 사이의 간극이 비교적 작기 때문에, 헤드 레일의 후면에 부착된 제2 직물을 교체하는 작업이 비교적 번거로워 그 교체 작업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로만세이드(10)에서는, 제2 직물(12)의 상단을 실내측의 넓은 공간에 면하는 연장 부재(17)의 전면에 부착하므로, 제2 직물(12)의 상단의 연장 부재(17)의 전면에의 교체 작업은 매우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코드 삽통 부재(19)에 의해 분할된 하부 공간(16f)에 제1 승강 코드(21)를 삽통하고, 상부 공간(16g)에 제2 승강 코드(22)를 삽통한 예를 개시하였으나, 코드 삽통 부재(19)에 의해 분할된 하부 공간(16f)에 제2 승강 코드(22)를 삽통하고, 상부 공간(16g)에 제1 승강 코드(21)를 삽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승강 코드를 헤드 레일의 내부에서 그 길이 방향으로 안내하고, 헤드 레일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매달아지게 하였으나,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 레일(16)의 내부에 제1 승강 코드(21)를 풀 수 있게 권취하는 복수 개의 드럼(91)을 설치하고, 이들 드럼(91)을 회전시킴으로써 제1 승강 코드(21)를 상하 이동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헤드 레일(16) 내에 이 레일(16)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드럼받이(92)가 고정되고, 이들 드럼받이(92)에 드럼(91)이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다. 또한 각 드럼(91)에는 제1 승강 코드(21)의 타단이 권취 가능하게 그리고 풀림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승강 코드(21)의 일단부는 대응하는 소정의 드럼(91)으로부터 매달아지며, 제1 직물(11)의 후면에 연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부착된 복수 개의 제1 코드 링(41)이 삽통되어 연직 하방으로 배선된 후, 제1 직물(11)의 하단에 부착된 제1 웨이트 바(51) 또는 최하단의 제1 코드 링(41)에 연결된다. 각 드럼(91)에는 단일의 회전축(93)이 삽통되며, 이들 드럼(91)은 회전축(93)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회전축(93)은 헤드 레일(16) 내에 이 레일(16)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그 좌단이 제1 조작부(95)에 연결된다. 제1 조작부(95)는 케이스(95a)에 수용되며, 스프로킷(도시 생략)과, 이 스프로킷의 하부에 배치되는 걸림부(도시 생략)와, 그 스프로킷에 둘둘 감겨 케이스(95a)의 하단으로부터 매달아진 조작 체인(95b)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로만세이드(90)에서는, 조작 체인(95b)을 조작하면, 스프로킷 및 회전축(93)이 회전하고, 또한 드럼(91)이 회전하여 제1 직물(11)이 승강한다.
한편, 각 드럼받이(92)에는 헤드 레일(16)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핀(94)이 회전 가능하게 각각 부착되며, 이들 핀(94)에는 복수 개의 제2 승강 코드(22)가 각각 걸쳐진다. 이들 제2 승강 코드(22)의 일단부는 대응하는 소정의 핀(94)으로부터 매달아지며, 제2 직물(12)과 연장 부재(17) 사이에 형성된 소정 폭의 비부착부(18)에 삽통된 후에, 제2 직물(12)의 후면에 연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부착된 복수 개의 제2 코드 링(42)에 삽통되어 연직 하방으로 배선되고, 더욱이 제2 직물(12)의 하단에 부착된 제2 웨이트 바(52) 또는 최하단의 제2 코드 링(42)에 연결된다. 또한 제2 승강 코드(22)의 타단부는 헤드 레일(16) 내를 우방향으로 안내받아 스토퍼(23)에 삽통된 후, 스토퍼(23)로부터 매달아져서 제2 조작 손잡이(62)에 연결된다. 제2 직물(12)은 제2 조작 손잡이(62)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실시 형태와 대략 동일하게 승강된다. 또한, 헤드 레일 내의 드럼에 제2 승강 코드를 풀림 가능하게 권취하고, 이들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제2 승강 코드를 상하 이동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도 1 및 도 3과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품을 나타낸다.
또한, 이 도 5 및 도 6에서는, 헤드 레일(16)의 내부에 설치된 복수 개의 드럼(91)이 제1 승강 코드(21)를 풀림 가능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들 드럼(91)에 의해 제2 승강 코드(22)를 풀림 가능하게 하여 이 드럼(91)을 회전시킴으로써 제2 승강 코드(22)를 상하 이동시키도록 구성하고, 제1 승강 코드(21)를 헤드 레일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안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헤드 레일(16)의 내부에 제1 승강 코드(21)를 풀림 가능하게 권취하는 복수 개의 드럼(91)과, 제2 승강 코드(21)를 풀림 가능하게 권취하는 복수 개의 드럼을 각각 설치하고, 이들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승강 코드(21, 22)를 각각 상하 이동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 7∼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만세이드(110)는, 고정용 브래킷(111)을 통하여 방의 벽면(112)(도 7)에 부착된 헤드 레일(113)을 구비한다. 이 헤드 레일(113)은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의 압출 성형 또는 인발 성형에 의해 형성되며, 도 7에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부(113a)와, 상판부(113a)의 앞 가장자리로부터 매달아진 전벽(113b)과, 상판부(113a)의 뒷 가장자리로부터 매달아진 후벽(113c)을 갖는다. 상판부(113a)와 전벽(113b)과 후벽(113c)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은 격벽(113e)에 의해 상하로 2분할되고, 헤드 레일(113)의 내부 공간은 그 격벽(113e)에 의해 격벽(113e)의 상측에 상부 공간(113f)이 형성되고, 그 격벽(113e)의 하측에 하부 공간(113g)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공간(113f)의 후측의 후벽(113c)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는 후측 슬릿(113n)이 형성된다. 또한 하부 공간(113g)에는 그 하측에 헤드 레일(113)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는 하측 슬릿(113k)이 형성된다. 한편, 고정용 브래킷(111)은 앞발톱(111a) 및 걸림 볼록부(111b)가 형성된 전측 블록체(111c)와, 그 전측 블록체(111c)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뒷발톱(111d)을 갖는다. 그리고, 전측 블록체(111c)가 방의 벽면(112)에 나사못(111e)에 의해 고정된다.
헤드 레일(113)의 상판부(113a)의 전단에는 앞발톱(111a) 및 걸림 볼록부(111b)가 각각 걸리는 전측 걸림부(113h) 및 걸림홈(113m)이 각각 설치되고, 그 상판부(113a)의 후단에는 뒷발톱(111d)이 걸리는 후측 걸림부(113i)가 설치된다. 뒷발톱(111d)은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앞발톱(111a)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고, 전측 걸림부(113h) 및 걸림홈(113m)에 앞발톱(111a) 및 걸림 볼록부(111b)를 각각 걸리게 한 상태에서 후측 걸림부(113i)에 뒷발톱(111d)이 걸리게 함으로써 헤드 레일(113)은 방의 벽면(112)에 대하여 고정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전측 걸림부(113h), 걸림홈(113m) 및 후측 걸림부(113i)는 헤드 레일(113)과 일체로 설치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만세이드(110)는, 이 헤드 레일(113)에 상단이 각각 부착되고, 헤드 레일(113)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폭을 갖는 제1 및 제2 직물(114, 115)을 구비한다. 헤드 레일(113)의 전면, 즉 헤드 레일(113)의 전벽(113b)의 전면 상부에는 제1 직물(114)이 전측면 패스너(116)를 통하여 부착된다. 도 7에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전측면 패스너(116)는 헤드 레일(113)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는 비교적 두꺼운 경질 플라스틱 등에 의해 형성된 전측 띠형판(116a)과, 제1 직물(114)의 폭과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는 전측 띠형포(116b)를 갖는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았으나, 전측 띠형판(116a)의 표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전측 갈고리형 돌기가 밀집된 상태로 나란히 설치되고, 전측 갈고리형 돌기에 이탈 가능하게 걸리는 다수 개의 도시하지 않은 전측 링형 돌기가 전측 띠형포(116b)의 표면에 밀집된 상태로 나란히 설치된다. 또한 헤드 레일(113)의 전벽(113b)의 상부 및 중앙부에는 상기 전측 띠형판(116a)의 상부 가장자리 및 하부 가장자리를 각각 유지하는 한 쌍의 전측 후크(113d, 113d)가 각각 헤드 레일(113)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제1 직물(114)의 후면 상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전측 띠형포(116b)가 꿰매붙여진다. 이에 따라 제1 직물(114)의 상단이 헤드 레일(113)의 전면에 이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전측 후크(113d, 113d)는 헤드 레일(113)과 일체로 설치된다.
한편, 헤드 레일(113)의 후면, 즉 헤드 레일(113)의 후벽(113c)의 후면 하부에는 제2 직물(115)이 후측면 패스너(117)를 통하여 부착된다. 후측면 패스너(117)는 상기 전측면 패스너(116)와 대략 동일하게 구성되며, 비교적 두꺼운 경질 플라스틱 등에 의해 형성된 후측 띠형판(117a)과 후측 띠형포(117b)를 구비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 후측 띠형판(117a)의 표면에는 다수 개의 후측 갈고리형 돌기가 밀집된 상태로 나란히 설치되고, 이 후측 갈고리형 돌기에 이탈 가능하게 걸리는 다수 개의 후측 링형 돌기가 후측 띠형포(117b)의 표면에 밀집된 상태로 나란히 설치된다. 또한 헤드 레일(113)의 후벽(113c)의 중앙부 및 하부에는 상기 후측 띠형판(117a)의 상부 가장자리 및 하부 가장자리를 각각 유지하는 한 쌍의 후측 후크(113j, 113j)가 각각 헤드 레일(113)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제2 직물(115)의 전면 상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후측 띠형포(117b)가 꿰매붙여진다. 이에 따라 제2 직물(111)의 상단이 헤드 레일(113)의 후면 하부에 이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후측 후크(113j, 113j)는 헤드 레일(113)과 일체로 설치된다.
더욱이 로만세이드(110)는 헤드 레일(113)로부터 승강 가능하게 매달아져서 제1 및 제2 직물(114, 115)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승강 코드(121, 122)를 구비한다. 한편, 헤드 레일(113)의 내부로서 격벽(113e)의 하측에 형성된 하부 공간(113g)에는 제1 승강 코드(121)를 풀림 가능하게 권취하는 복수 개의 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3)이 설치되고, 헤드 레일(113)의 내부로서 격벽(113e)의 상측에 형성된 상부 공간(113f)에는 제2 승강 코드(122)를 풀림 가능하게 권취하는 복수 개의 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4)이 설치된다. 그리고, 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3)을 회전시킴으로써 제1 승강 코드(121)가 상하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4)을 회전시킴으로써 제2 승강 코드(122)가 상하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3)과 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4)은 동일한 구조이며, 그들은 동일 구조의 드럼받이(125, 126)에 의해 각각 지지된다. 그리고, 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3)을 먼저 설명하면, 도 8 및 도 9에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공간(113g) 내에는 헤드 레일(113)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드럼받이(125)가 고정되고, 이들 드럼받이(125)에 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3)이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다. 드럼받이(125)는 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3)의 양단을 피벗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125a, 125b)와, 그 한 쌍의 지지부(125a, 125b)를 연결하는 본체부(125c)를 구비한다. 그 본체부(125c)의 일단에는 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3)에 상부가 권회된 제1 승강 코드(121)가 헐겁게 꽂혀져서 그 제1 승강 코드(121)를 하부 공간(113g)으로부터 그 외부인 헤드 레일(113)의 하방으로 도출하는 가이드 부재(125d)가 일체로 형성된다. 본체부(125c)의 일단에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125d)는 단면이 사각 형상으로서 제1 승강 코드(121)가 헐겁게 꽂혀지는 구멍을 갖는 통체이다. 그리고, 그 가이드 부재(125d)에는 그 사각 형상의 구멍을 114분할하도록 직교하는 가이드핀(125e, 125e)이 설치된다.
또한 그 본체부(125c)의 타단에는 이 본체부(125c)를 하부 공간(113g)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 핸들(125f)이 설치된다. 고정 핸들(125f)의 상세한 내용은 생략하지만, 이 고정 핸들(125f)은 90도 회전시킴으로써 이 드럼받이(125)를 하부 공간(113g)의 내부에서 헤드 레일(113)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그 고정 핸들(125f)을 반대 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원래의 위치로 되돌림으로써 이 본체부(125c)를 하부 공간(113g)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헤드 레일(113)의 하부 공간(113g)의 하측에 형성된 하측 슬릿(113k)은 헤드 레일(113)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부재(125d)가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며, 이 하측 슬릿(113k)에 가이드 부재(125d)를 진입시키도록 하부 공간(113g) 내에 드럼받이(125)를 삽입하고,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 핸들(125f)을 원래의 위치로 되돌림으로써 헤드 레일(113)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드럼받이(125)는 고정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공간(113g)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된 드럼받이(125)에 유지된 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3)에는 그 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3)과 함께 회전하지만 축방향으로는 슬라이딩하는 링(123a)이 밖에서 끼워지고, 그 링(123a)에 제1 승강 코드(121)의 타단이 연결된다. 제1 승강 코드(121)는 대응하는 소정의 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3)으로부터 가이드 부재(125d)로 헐겁게 꽂혀져서 하부 공간(113g)으로부터 그 외부인 헤드 레일(113)의 하방으로 도출되어 매달아진다. 한편, 제1 직물(114)의 후면에는 연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전측 코드 링(127)이 부착된다. 하부 공간(113g)으로부터 매달아진 제1 승강 코드(121)는 전측 코드 링(127)에 삽통되어 연직 하방으로 배선되고, 그 후 제1 직물(114)의 최하단의 전측 코드 링(138)에 그 하단이 연결된다.
각 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3)에는 단일의 하단용 회전축(129)이 삽통되고, 이들 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3)은 하단용 회전축(129)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용 회전축(129)은 헤드 레일(113)의 하부 공간(113g)을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그 일단은 전측 조작부(131)에 연결되고, 그 타단은 스토퍼(132)에 연결된다. 전측 조작부(131)는 케이스(131a)에 수용되고, 스프로킷(131b)과, 이 스프로킷(131b)에 둘둘 감겨 케이스(131a)의 하단으로부터 매달아진 조작 체인(131c)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조작 체인(131c)을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스프로킷(131b)은 하단용 회전축(129)과 함께 회전하고, 하단용 회전축(129)이 회전함으로써 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3)도 회전하여 제1 승강 코드(121)를 승강시키도록 구성된다.
하단용 회전축(129)의 좌단에 연결된 스토퍼(132)는 제1 승강 코드(121)를 풀어내는 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3)의 회전을 금지 또는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 체인(131c)을 조작하여 하단용 회전축(129)과 함께 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3)을 회전시켜 제1 승강 코드(121)를 상승시킨 후에 하강시키면, 스토퍼(132)는 제1 승강 코드(121)를 풀어내는 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3)의 회전을 금지하고, 이 상태에서 제1 승강 코드(121)를 다시 상승시키도록 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3)을 약간 회전시킨 후에 제1 승강 코드(121)를 다시 하강시키면, 제1 승강 코드(121)를 풀어내는 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3)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조작 체인(131c)을 조작하여 제1 승강 코드(121)를 상승시키면, 제1 승강 코드(121)에 연결된 제1 직물(114)을 걷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부 공간(113f) 내에는 헤드 레일(113)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드럼받이(126)가 고정된다. 이 드럼받이(126)는 하부 공간(113g)에 고정된 것과 동일한 구조의 것으로서, 이들 드럼받이(126)에 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4)이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다. 이 드럼받이(126)는 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3)을 유지하는 것과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공간(113f)의 후측에 형성된 후측 슬릿(113n)은 헤드 레일(113)의 길이 방향으로 드럼받이(126)의 가이드 부재(126d)가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며, 이 후측 슬릿(113n)에 가이드 부재(126d)를 진입시키도록 상부 공간(113f) 내에 드럼받이(126)를 삽입하고,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 핸들(126f)을 원래의 위치로 되돌림으로써 헤드 레일(113)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드럼받이(126)가 고정된다.
상부 공간(113f)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된 드럼받이(126)에 유지된 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4)에는 그 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4)과 함께 회전하지만 축방향으로는 슬라이딩하는 링(124a)이 밖에서 끼워지고, 그 링(124a)에 제2 승강 코드(122)의 타단이 연결된다. 제2 승강 코드(122)는 대응하는 소정의 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4)으로부터 가이드 부재(126d)에 헐겁게 꽂혀져서 상부 공간(113f)으로부터 후측 슬릿(113n)을 통과하여 그 외부인 헤드 레일(113)의 후방으로 도출된다. 여기서, 드럼받이(126)에 형성된 가이드 부재(126d)는 상부 공간(113f)으로부터 헤드 레일(113)의 후측으로 인출된 제2 승강 코드(122)를 제2 직물(115)의 후측으로 안내하고, 제2 승강 코드(122)는 상부 공간(113f)으로부터 제2 직물(115)의 상단을 넘도록 헤드 레일(113)의 후측으로 인출되어 제2 직물(115)의 후측에 매달아진다.
한편, 제2 직물(115)의 후면에는 연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후측 코드 링(133)이 부착된다. 상부 공간(113f)으로부터 제2 직물(115)의 상단을 넘도록 헤드 레일(113)의 후측으로 인출되어 매달아진 제2 승강 코드(122)는 후측 코드 링(133)에 삽통되어 연직 하방으로 배선되고, 그 후 제2 직물(115)의 최하단의 후측 코드 링(139)에 그 하단이 연결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4)에는 단일의 상단용 회전축(136)이 삽통되고, 이들 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4)은 상단용 회전축(136)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용 회전축(136)은 헤드 레일(113)의 상부 공간(113f)을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그 일단은 후측 조작부(137)에 연결되고, 그 타단은 스토퍼(132)에 연결된다(도 9). 후측 조작부(137)는 전측 조작부(131)와 동일 구조이며 케이스(137a)에 수용되고, 스프로킷(137b)과, 이 스프로킷(137b)에 둘둘 감겨 케이스(137a)의 하단으로부터 매달아진 조작 체인(137c)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조작 체인(137c)을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스프로킷(137b)은 상단용 회전축(136)과 함께 회전하고, 상단용 회전축(136)이 회전함으로써 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4)도 회전하여 제2 승강 코드(122)를 승강시키도록 구성된다.
상단용 회전축(136)의 좌단에 연결된 스토퍼(132)는 제2 승강 코드(122)를 풀어내는 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4)의 회전을 금지 또는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 체인(137c)을 조작하여 상단용 회전축(136)과 함께 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4)을 회전시켜 제2 승강 코드(122)를 상승시킨 후에 하강시키면, 스토퍼(132)는 제2 승강 코드(122)를 풀어내는 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4)의 회전을 금지하고, 이 상태에서 제2 승강 코드(122)를 다시 상승시키도록 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4)을 약간 회전시킨 후에 제2 승강 코드(122)를 다시 하강시키면, 제2 승강 코드(122)를 풀어내는 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4)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조작 체인(137c)을 조작하여 제2 승강 코드(122)를 상승시키면, 후측 코드(122)에 연결된 제2 직물(115)을 걷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후측 조작부(137)의 케이스(137a)는 헤드 레일(113)의 일단 가장자리 주위를 포위하도록 구성되며, 헤드 레일(113)의 타단에는 도시하지 않은 캡이 설치된다. 이 캡도 헤드 레일(113)의 타단 가장자리 주위를 포위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헤드 레일(113)은 양단부가 주위로부터 포위되어 헤드 레일(113)의 하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하측 슬릿(113k) 및 상부 공간(113f)의 후측에 헤드 레일(113)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후측 슬릿(113n)이 각각 확개하는 사태를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로만세이드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제1 또는 제2 직물(114, 115)을 승강시키려면 제1 또는 제2 직물(114, 115)에 대응하여 헤드 레일(113)의 우측에 배열 설치된 전측 또는 후측 조작부(131, 137)를 조작함으로써 행한다(도 9). 예컨대 제1 직물(114)을 상승시키는 경우에는, 전측 조작부(131)의 조작 체인(131c)을 조작하여 제1 승강 코드(121)를 상승시킴으로써 최하단 전측 코드 링(138)을 상승시킨다. 그러면 제1 직물(114)은 서로 인접하는 전측 코드 링(127) 사이에서 주름을 형성하면서 걷혀올라간다. 또한 제2 직물(115)을 상승시키는 경우에는 후측 조작부(137)의 조작 체인(137c)을 조작하여 제2 승강 코드(122)를 상승시킴으로써 최하단의 후측 코드 링(139)을 상승시킨다. 그러면 제2 직물(115)은 서로 인접하는 후측 코드 링(133) 사이에서 주름을 형성하면서 걷혀올라간다. 그리고, 걷혀올라간 제1 및 제2 직물(114, 115)을 하강시키는 경우에는 스토퍼(132)를 해제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승강 코드(121, 122)를 다시 상승시키도록 전측 및 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3, 124)을 약간 회전시켜 스토퍼(132)를 해방하고, 제1 및 제2 승강 코드(121, 122)를 각각의 드럼(123, 124)으로부터 풀어낸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직물(114, 115)의 자중에 의해 그들을 제1 및 제2 승강 코드(121, 122)와 함께 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헤드 레일을 고정용 브래킷을 통하여 방의 벽면에 부착하였으나, 헤드 레일을 고정용 브래킷을 통하여 방의 천장면에 부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로만세이드(110)에서는, 제1 승강 코드(121)를 권취하는 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3)과, 제2 승강 코드(122)를 권취하는 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4)을 각각 설치하지만, 헤드 레일(113)에 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3)을 수용하는 하부 공간(113g)과 하부 공간(113g)의 상측에 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4)을 수용하는 상부 공간(113f)을 형성하였으므로, 헤드 레일(113)의 폭은 단일의 권취 드럼을 수용하는 헤드 레일과 동등하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제1 직물(114)이 실내에 돌출하는 양이 증가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직물(114)을 상승시키는 제1 승강 코드(121)를 헤드 레일(113)로부터 매달아서 제1 직물(114)의 후측에 배선하고, 제2 직물(115)을 상승시키는 제2 승강 코드(122)를 상부 공간(113f)으로부터 헤드 레일(113)의 후측으로 인출하여 제2 직물(115)의 후측으로 안내하여 매달았으므로, 제2 승강 코드(122)가 제2 승강 코드(122)로부터 거의 완전히 분리되어 제2 승강 코드(122)가 제2 승강 코드(122)에 얽히지 않는다. 이 결과, 제2 승강 코드(122)를 승강시켰을 때 제1 직물(114)이 의사에 반하여 승강하지 않아 제2 직물(115)만을 확실하게 승상시킬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2 직물(115)을 승강시키는 제2 승강 코드(122)의 기능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제2 직물(115)을 걷어올릴 때 제1 직물(114)이 간섭하여 동시에 걷혀올라가는 사태를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로만세이드에서는, 제2 직물을 내린 상태에서 제1 직물만을 헤드 레일 근방까지 걷어올렸을 때 제2 직물의 상단 부근에 형성된 삽통공이 실내측에 노출되어 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지만, 본 발명의 로만세이드에서는 상부 공간(113f)으로부터 헤드 레일(113)의 후측으로 인출된 제2 승강 코드(122)를 제2 직물(115)의 후측으로 안내하고, 제2 승강 코드(122)는 상부 공간(113f)으로부터 제2 직물(115)의 상단을 넘도록 헤드 레일(113)의 후측으로 인출되어 그 제2 직물(115)의 후측에 매달았으므로, 제2 직물(115)을 내린 상태에서 제1 직물(114)만을 헤드 레일(113) 근방까지 걷어올려도 제2 직물(115)의 외관을 해치지 않는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부 공간(113f)으로부터 헤드 레일(113)의 후측으로 인출된 제2 승강 코드(122)를 제2 직물(115)의 후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126d)를 설치하였으므로, 그 가이드 부재(126d)가 헤드 레일(113)의 후측으로 인출된 제2 승강 코드(122)를 제2 직물(115)의 후측으로 안내하여 제2 승강 코드(122)와 제2 직물(115)의 마찰 저항이 필요 이상으로 커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직물(115)을 승강시킬 때의 조작 하중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헤드 레일(113)은 양단부를 주위로부터 포위함으로써 하측 슬릿(113k) 및 후측 슬릿(113n)의 각각의 확개가 방지되는 구조를 개시하였으나, 하측 슬릿(113k) 및 후측 슬릿(113n)의 각각의 확개를 방지하기 위한 부재를 별도로 준비하고, 이러한 확개 방지 부재를 헤드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예컨대 하측 슬릿(113k) 및 후측 슬릿(113n)에 삽입되는 가이드 부재(125d, 126d)에 하측 슬릿(113k) 및 후측 슬릿(113n)의 각각의 확개를 방지하기 위한 후크(125h, 126h)와 같은 구조를 추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헤드 레일(113)을 벽면(112)에 부착하는 브래킷(111)에 하측 슬릿(113k) 및 후측 슬릿(113n)의 각각의 확개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추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승강 코드(121)를 권취하는 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3)과 제2 승강 코드(122)를 권취하는 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4)이 설치되는 예를 개시하였으나, 제1 및 제2 승강 코드(121, 122)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상부를 헤드 레일(113)의 내부에서 헤드 레일(113)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하여 헤드 레일(113)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매달아지도록 할 수도 있다. 그 경우에도, 헤드 레일(113)의 폭은 단일의 권취 드럼을 수용하는 헤드 레일과 동등하게 할 수 있고, 제1 직물(114)이 실내에 돌출하는 양이 증가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격벽(113e)에 의해 구획된 하부 공간(113g)에 제1 승강 코드(121) 또는 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3)을 수용하고, 격벽(113e)에 의해 구획된 상부 공간(113f)에 제2 승강 코드(122) 또는 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4)을 수용함으로써 그들이 서로 완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헤드 레일에 상단이 각각 부착된 제1 및 제2 직물을 그들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승강 코드에 의해 승강시키는 로만세이드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헤드 레일(16)과, 상기 헤드 레일(16)에 상단이 각각 부착된 제1 및 제2 직물(11, 12)과, 상기 헤드 레일(16)로부터 승강 가능하게 매달아져서 상기 제1 및 제2 직물(11, 12)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승강 코드(21, 22)를 구비한 로만세이드에 있어서,
    상기 제1 직물(11)의 상단이 상기 헤드 레일(16)의 전면에 부착되고,
    상기 헤드 레일(16)로부터 매달아진 상기 제1 승강 코드(21)는 상기 제1 직물(11)의 후측에 배선되며,
    상기 헤드 레일(16)의 후부 하측 가장자리를 따라 하방을 향하여 연장 부재(17)가 돌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2 직물(12)의 상단이 상기 연장 부재(17)의 전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2 승강 코드(22)는 상기 연장 부재(17)보다 전측의 상기 헤드 레일(16)로부터 매달아지고,
    상기 제2 직물(12)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 승강 코드(22)의 매달아진 부분을 포함하는 소정 폭으로 상기 제2 직물(22)의 상단을 상기 연장 부재(17)의 전면에 부착하지 않는 비부착부(18)가 설치되고,
    상기 헤드 레일(16)로부터 매달아진 상기 제2 승강 코드(22)는 상기 제2 직물(12)의 상단을 넘어 상기 비부착부(18)를 지나 상기 제2 직물(12)의 전측으로부터 후측에 배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세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연장 부재(17)가 헤드 레일(16)과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헤드 레일(16)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된 로만세이드.
  3. 헤드 레일(113)과, 상기 헤드 레일(113)에 상단이 각각 부착된 제1 및 제2 직물(114, 115)과, 상기 헤드 레일(113)로부터 승강 가능하게 매달아져서 상기 제1 및 제2 직물(114, 115)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승강 코드(121, 122)를 구비한 로만세이드에 있어서,
    상기 제1 직물(114)의 상단이 헤드 레일(113)의 전면에 부착되고,
    상기 헤드 레일(113)로부터 매달아진 상기 제1 승강 코드(121)는 상기 제1 직물(114)의 후측에 배선되고,
    상기 제2 직물(115)의 상단이 상기 헤드 레일(113)의 후면에 부착되며,
    상기 제2 승강 코드(122)는 상기 제2 직물(115)의 상단을 넘도록 상기 헤드 레일(113)의 후측으로 인출되어 상기 제2 직물(115)의 후측에 매달아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세이드.
  4. 제 3 항에 있어서, 헤드 레일(113)로부터 매달아진 제1 승강 코드(121)의 상부가 상기 헤드 레일(113)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안내되어 상기 헤드 레일(113)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매달아지고, 상기 헤드 레일(113)로부터 매달아진 제2 승강 코드(122)의 상부가 상기 제1 승강 코드(121)보다 상방 또는 하방의 상기 헤드 레일(113)의 내부에서 상기 헤드 레일(113)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되어 상기 헤드 레일(113)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매달아진 로만세이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제2 승강 코드(122)의 상부가 제1 승강 코드(121)보다 상방의 헤드 레일(113)의 내부에서 상기 헤드 레일(113)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되고,
    상기 헤드 레일(113)에 내부를 상하로 2분할하는 격벽(113e)이 설치되고,
    상기 격벽(113e)에 의해 상기 헤드 레일(113)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제1 승강 코드(121)를 수용하는 하부 공간(113g)과 상기 하부 공간(113g)의 상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제2 승강 코드(122)를 수용하는 상부 공간(113f)이 형성된 로만세이드.
  6. 제 3 항에 있어서, 제1 승강 코드(121) 또는 제2 승강 코드(122)의 어느 한쪽을 권취하는 드럼(123 또는 124)이 헤드 레일(113)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승강 코드(121) 또는 상기 제2 승강 코드(122)의 다른 한쪽이 상기 헤드 레일(113)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안내되어 상기 헤드 레일(113)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매달아진 로만세이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레일(113)에 내부를 상하로 2분할하는 격벽(113e)이 설치되고, 상기 격벽(113e)에 의해 상기 헤드 레일(113)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승강 코드(121) 또는 상기 제1 승강 코드(121)를 권취하는 드럼(123)을 수용하는 하부 공간(113g)과, 상기 하부 공간(113g)의 상측에 제2 승강 코드(122)를 권취하는 드럼(124) 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제2 승강 코드(122)를 수용하는 상부 공간(113f)이 형성된 로만세이드.
  8. 제 3 항에 있어서, 제1 승강 코드(121)를 권취하는 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3)과 제2 승강 코드(122)를 권취하는 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4)이 설치되고,
    헤드 레일(113)에 상기 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3)과 상기 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3)의 상측에 상기 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4)이 수용된 로만세이드.
  9. 제 8 항에 있어서, 헤드 레일(113)에 내부를 상하로 2분할하는 격벽(113e)이 설치되고, 상기 격벽(113e)에 의해 상기 헤드 레일(113)의 내부에 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3)을 수용하는 하부 공간(113g)과 상기 하부 공간(113g)의 상측에 후측 코드용 권취 드럼(124)을 수용하는 상부 공간(113f)이 형성된 로만세이드.
  10. 제 5 항, 제 7 항 및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부 공간(113f)으로부터 헤드 레일(113)의 후측으로 인출된 제2 승강 코드(122)를 제2 직물(115)의 후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126d)가 설치된 로만세이드.
KR1020087024547A 2006-03-09 2007-02-21 로만세이드 KR1010536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64016 2006-03-09
JP2006064016 2006-03-09
JP2006285973A JP4870517B2 (ja) 2006-03-09 2006-10-20 ローマンシェード
JPJP-P-2006-285973 2006-10-20
PCT/JP2007/053148 WO2007102314A1 (ja) 2006-03-09 2007-02-21 ローマンシェー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8123A true KR20080108123A (ko) 2008-12-11
KR101053672B1 KR101053672B1 (ko) 2011-08-03

Family

ID=38474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4547A KR101053672B1 (ko) 2006-03-09 2007-02-21 로만세이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931066B2 (ko)
EP (2) EP1992262A4 (ko)
JP (1) JP4870517B2 (ko)
KR (1) KR101053672B1 (ko)
CN (1) CN101394769B (ko)
HK (1) HK1125806A1 (ko)
TW (1) TWI346171B (ko)
WO (1) WO20071023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9391A (ja) * 2006-11-15 2008-05-29 Sanko Shoji Kk カーテン昇降用コードの接続具
JP5329133B2 (ja) * 2008-06-20 2013-10-30 株式会社イマイ 窓遮蔽装置
US8474507B2 (en) 2008-08-22 2013-07-02 Hunter Douglas Inc. System for confining lift cords in coverings for architectural openings
TWM355074U (en) * 2008-08-28 2009-04-21 Ching Feng Home Fashions Co Detachable Roman curtain
US8584728B2 (en) * 2009-03-06 2013-11-19 Hunter Douglas Inc. Rail for coverings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20100294438A1 (en) * 2009-05-22 2010-11-25 Lutron Electronics Co., Inc. Roman shade system
TWM376238U (en) * 2009-10-20 2010-03-21 Ching Feng Home Fashions Co Improved construction of window covering
US8381792B2 (en) * 2009-11-02 2013-02-26 Horizons Window Fashions, Inc. Window shade and method of use thereof
US8365795B2 (en) * 2009-11-02 2013-02-05 Horizons Window Fashions, Inc. Window shade and method of use thereof
EP2369119B1 (en) * 2010-03-26 2016-08-31 Shih-Ming Lin Window blind assembly
CN101803852B (zh) * 2010-04-27 2011-12-21 湖南科技大学 具有安全防犯报警功能的智能窗帘
JP2012065685A (ja) * 2010-09-21 2012-04-05 Toso Co Ltd 日射遮蔽装置のスクリーン取付構造
JP5744456B2 (ja) * 2010-09-30 2015-07-08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たくし上げカーテンの生地取付装置
JP5666965B2 (ja) * 2011-04-08 2015-02-12 トーソー株式会社 日射遮蔽装置
US9062493B2 (en) 2011-05-16 2015-06-23 Maxxmar Inc. Blind assembly with two blind head rail
US8505607B2 (en) 2011-07-19 2013-08-13 Horizons Window Fashions, Inc. Window shade
US9010399B2 (en) 2012-05-01 2015-04-21 Horizons Holdings, Llc Window shade
US8813807B1 (en) * 2014-03-25 2014-08-26 Lewis Hyman, Inc. Window shade lifting apparatus
JP6385782B2 (ja) * 2014-10-08 2018-09-05 トーソー株式会社 遮蔽材の昇降装置
MX2016001493A (es) * 2015-02-02 2016-11-16 Springs Window Fashions Llc Sistema de elevacion de persiana y arreglo de carril superior.
JP6143378B2 (ja) * 2015-09-30 2017-06-07 トーソー株式会社 日射遮蔽装置のスクリーン取付構造
JP6143377B2 (ja) * 2015-09-30 2017-06-07 トーソー株式会社 日射遮蔽装置のスクリーン取付構造
JP6328297B2 (ja) * 2017-05-11 2018-05-23 トーソー株式会社 日射遮蔽装置のスクリーン取付構造
US20190242186A1 (en) * 2018-02-06 2019-08-08 Tser Wen Chou Horizontal blind structure
JP6600036B2 (ja) * 2018-04-17 2019-10-30 トーソー株式会社 日射遮蔽装置のスクリーン取付構造
JP6600037B2 (ja) * 2018-04-17 2019-10-30 トーソー株式会社 日射遮蔽装置のスクリーン取付構造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9496U (ko) * 1986-06-11 1987-12-18
KR900003849Y1 (ko) * 1986-12-03 1990-05-03 한국동력자원연구소 단열커텐의 이중부착장치
US5274357A (en) * 1992-02-05 1993-12-28 Riordan Dennis E Combined alarm system and window covering assembly
US5440289A (en) * 1986-12-12 1995-08-08 Riordan; Dennis E. Combined alarm system and window covering assembly
US5205333A (en) * 1987-03-25 1993-04-27 Verosol Usa Inc. Shade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US4953610A (en) * 1989-03-17 1990-09-04 Ultimate Window Coverings, Inc. Double window shade assembly with independent shade movement
USRE34273E (en) * 1989-03-17 1993-06-08 Ultimate Window Coverings, Inc. Double window shade assembly with independent shade movement
US5205335A (en) * 1990-10-31 1993-04-27 Blind Ambition,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vely opening a portion of a venetian window blind while closing another portion
US5054534A (en) * 1991-02-06 1991-10-08 Amy Hong Window shade with dual blinds
US5090466A (en) * 1991-06-24 1992-02-25 Amy Hong Pleated window shade
US5205334A (en) * 1991-10-03 1993-04-27 Verosol Usa Inc. Double layer shade
US5988254A (en) * 1998-06-29 1999-11-23 Hanright; Connie A. Washable window shade with removable components
JP3379934B2 (ja) 1999-11-26 2003-02-24 株式会社ニチベイ ローマンシェード
AU2001251603A1 (en) * 2000-04-14 2001-10-30 Ren Judkins Headrail for double shade
JP2003093220A (ja) * 2001-09-27 2003-04-02 Yokota Riyouhan Kk ダブルシェード
JP3598098B2 (ja) * 2002-03-12 2004-12-08 中部インテリア株式会社 二重昇降カーテン装置
US7063122B2 (en) * 2002-03-20 2006-06-20 Hunter Douglas Inc. Bottom-up/top-down retractable cellular shade
US6964291B2 (en) * 2003-01-14 2005-11-15 Ren Judkins Double shade headrail with removable cord collection spools
JP4125967B2 (ja) * 2003-01-29 2008-07-30 株式会社ニチベイ ローマンシェード
US6988526B2 (en) * 2003-02-10 2006-01-24 Ren Judkins Roman shade with liner
CN2610054Y (zh) * 2003-03-27 2004-04-07 瑞安市宝利塑料制品有限公司 罗马帘的收放止滑装置
CA2430180C (en) * 2003-05-21 2010-03-16 Royal Group Technologies Limited Cascade shade
TWM251549U (en) * 2004-01-15 2004-12-01 Nien Made Entpr Co Ltd Roman curtain with adjustable light transmittance
CN2674988Y (zh) * 2004-01-19 2005-02-02 亿丰综合工业股份有限公司 可调整透光率的罗马帘
JP4066031B2 (ja) * 2004-04-14 2008-03-26 株式会社川島織物セルコン 昇降式二重吊り内装材とストッパー
US20060027336A1 (en) * 2004-07-22 2006-02-09 Shih-Ming Lin Double-layer roman shade
US7654299B2 (en) * 2004-08-20 2010-02-02 Lewis Hyman Inc. Window shade liner method and apparatus
US20060151126A1 (en) * 2004-11-29 2006-07-13 Dominique Lampe Systems and mechanisms for use with double blinds and double shades
US20060213625A1 (en) * 2005-03-23 2006-09-28 Nien Made Enterprise Co., Ltd. Easily fixable roman blind
US20060225846A1 (en) * 2005-04-06 2006-10-12 Marusak Thomas J Segmented Roman window shade
US20060225845A1 (en) * 2005-04-06 2006-10-12 Marusak Thomas J Segmented Roman window shade
TWM279722U (en) * 2005-05-09 2005-11-01 Hsiao-Wei Nien Structure of individually movable secondary shade for primary shade
US20070107854A1 (en) * 2005-11-16 2007-05-17 Hunter Douglas Inc. Operating system for collapsible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7520311B2 (en) * 2005-12-22 2009-04-21 Hunter Douglas Inc. Threaded lift cord spool for coverings for architectural openings
JP2007185219A (ja) * 2006-01-11 2007-07-26 Chubu Interior Kk 二重昇降カーテン装置
US20080035277A1 (en) * 2006-08-14 2008-02-14 Wen-Jui Lin Retractable window shade with multiple shading gradations
US7686059B2 (en) * 2006-09-05 2010-03-30 Hunter Douglas Inc. Top down/bottom up control system for retractable shade
US20080223530A1 (en) * 2007-03-13 2008-09-18 Vincent Grosso Shade cover attachment for blind
US7806159B2 (en) * 2007-03-20 2010-10-05 Newell Window Furnishings, Inc. Flexible window covering
US8261807B2 (en) * 2008-04-28 2012-09-11 Hunter Douglas Inc. Dual fabric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94769A (zh) 2009-03-25
TWI346171B (en) 2011-08-01
EP3235409B1 (en) 2019-11-06
US7931066B2 (en) 2011-04-26
TW200745440A (en) 2007-12-16
US20090020235A1 (en) 2009-01-22
KR101053672B1 (ko) 2011-08-03
CN101394769B (zh) 2011-04-13
JP2007268246A (ja) 2007-10-18
WO2007102314A1 (ja) 2007-09-13
HK1125806A1 (en) 2009-08-21
EP1992262A1 (en) 2008-11-19
JP4870517B2 (ja) 2012-02-08
EP1992262A4 (en) 2015-06-10
EP3235409A1 (en) 201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3672B1 (ko) 로만세이드
JP6006954B2 (ja) プリーツスクリーンの昇降装置及びプリーツ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
JP4878883B2 (ja) ボトムレールの位置決め具及びその位置決め方法
JP4729271B2 (ja) 日射遮蔽装置の遮蔽材操作装置
WO2016068021A1 (ja) 横型ブラインド
JP3223016U (ja) カフェカーテン
JP2010112060A (ja) ボトムレールの下限位置決め機構
JP3379934B2 (ja) ローマンシェード
JP2005058473A (ja) 昇降カーテン装置
JP2010112061A (ja) ボトムレールの下限位置決め具
JP2007185219A (ja) 二重昇降カーテン装置
JP6386004B2 (ja) ローマンシェードのスワッグ収納構造
JP2007209639A (ja) ローマンシェード
JP2019027176A (ja) 日射遮蔽装置
JP3524798B2 (ja) プリーツカーテン、プリーツカーテンの交換用カーテン材及びプリーツカーテンのカーテン材交換方法
JP2018066135A (ja) 昇降コード位置調整機構および日射遮蔽装置
JP2007236678A (ja) ローマンシェード
JP7080018B2 (ja) プリーツスクリーン
KR200386788Y1 (ko) 블라인드용 직물 슬랫
JP2006314532A (ja) ローマンシェード
JP2008125726A (ja) たくし上げカーテンのヘッドレール
JP2022067862A (ja) 日射遮蔽装置及び高さ調整装置
JP5329133B2 (ja) 窓遮蔽装置
JP5744456B2 (ja) たくし上げカーテンの生地取付装置
JP2024092328A (ja) たくし上げカーテン、及びフレーム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8